KR20230134004A -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 및 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 및 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004A
KR20230134004A KR1020220030018A KR20220030018A KR20230134004A KR 20230134004 A KR20230134004 A KR 20230134004A KR 1020220030018 A KR1020220030018 A KR 1020220030018A KR 20220030018 A KR20220030018 A KR 20220030018A KR 20230134004 A KR20230134004 A KR 20230134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ixed
pencil lead
sides
inser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692B1 (ko
Inventor
오승헌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믹스앤매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믹스앤매치 filed Critical (주)믹스앤매치
Priority to KR1020220030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692B1/ko
Publication of KR20230134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9/00Non-propelling pencils; Styles; Crayons; Chalks
    • B43K19/16Making non-propelling pencils
    • B43K19/18Making pencil writing-cores

Landscapes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용 연필심을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한 후 성형된 연필심을 연필케이스 내로 간편용이하게 삽입시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 및 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형금형의 구성은 내면 중앙에 원료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원료주입구 양측으로 배출공이 연통된 다수의 심성형부가 요입형성되며 양측으론 횡방향에 결합홈을 종방향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하부 바닥면 일측에는 고정자석이 고정 된 한쌍의 성형편을 볼트 조립작업 없이 결합된 금형본체와, 상기 금형본체의 하부에 밀착되게 자력 고정될 수 있으면서 원료를 유도하여 심성형부에 원료를 주입할수 있도록 양측에 상기 고정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엇갈리는 상태로 고정자석을 고정하고 중앙에는 심성형부와 대응되는 원료유도부가 형성된 커버금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금형편의 외면에 외부의 자력에 의해 금형편이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는 이격자석을 고정한 구성이고 상기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는 본체의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길이방향 중앙에 결합홈과 결합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심성형부가 형성된 금형본체를 재치하여 안내하는 가이드안내부재와, 상기 가이드안내부재 후단 양측에는 상, 하 글라이딩 이송시킬 수 있는 실린더에 연계된 실린더로드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상측에 고정되되 상기 금형본체의 결합홈과 일치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에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의 상부에 설치되어 금형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부재를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할 수 있는 누름지지판과, 상기 고정지그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금형본체의 심성형부로 공기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공기분사공과, 상기 공기분사공의 전후측에는 상기 금형본체가 삽입되어 한쌍의 금형편을 양측으로 이격시길 수 있는 간격을 갖으면서 내면에 이격자석이 고정된 한쌍의 격벽과, 상기 삽입장치를 콘트롤하는 콘드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금형편을 분리하기 위한 볼트 분리작업 없이 자력에 의해 간편용이게 이격시킨 후 연필심 삽입 작업을 용이하게 함에 따라 작업능률 향상은 물론 다량 생산으로 인한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 및 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A cosmetic pencil lead molding mold and a pencil lead insertion device molded by the molding mold}
본 발명은 화장용 연필심을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한 후 성형된 연필심을 연필케이스 내로 간편용이하게 삽입시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 및 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외면에 이격자석을 고정한 한쌍이 금형편을 볼트 조립없이 결합된 금형본체를 커버금형과 고정자석에 의해 가조립 고정한 성형금형의 원료주입구에 연필심 원료 주입시 주입장치의 지그를 이용하여 금형편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 상태로 연필심 원료를 충진 경화함에 따라 연필심 성형시 금형편을 볼트조립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성형금형 및 상기 성형금형에서 성형된 연필심을 연필케이스에 삽입하는 삽입장치의 격판 내면에 상기 금형본체의 금형편 외면에 고정된 이격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이격자석을 고정하여 하강 고정되는 금형본체의 금형편이 이격자석의 자력에 의해 양측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하부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필심을 금형본체 상부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된 연필케이스 내부로 간편용이하게 삽입시켜 작업을 용이하게 함에 따라 작업능률 향상은 물론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 및 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눈썹, 아이 라인 또는 입술 라인 등에 화장을 할 때에는 화장용 연필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화장용 연필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연필 몸체의 내부에 소정의 색상을 가지고 일정 직경 및 일정 길이를 가지는 연필심을 성형한 후 결합 또는 일체로 성형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화장용구용 연필심을 성형하고 이를 조립하는 장치는 성형금형 내에서 일정 직경 및 길이를 가지는 연필심을 성형한 상태에서 상기 성형금형의 상부에 연필케이스가 결합된 케이스 결합부재를 긴밀하게 접촉된 상태로 고정한 후, 상기 성형금형의 하부에서 기계적인 힘으로 밀핀을 밀어서 성형금형에 성형된 연필심을 강제로 연필케이스에 밀어 삽입하는 기계식 구조와, 상기 성형금형의 하부에서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성형금형에 성형된 연필심을 연필케이스에 공압으로 밀어 삽입하는 공기 압력식 구조를 이용하여 삽입되게 함으로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계식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2015호 "화장용 연필 제조장치"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의 테이블에 설치된 안내부재에 결합되는 연필심이 내부에 성형된 성형금형과, 상기 성형금형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측에는 복수 개의 연필케이스가 구비된 케이스 결합부재와, 상기 테이블의 하측에 결합된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나사축에 결합되어 승강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에 결합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성형금형 내의 연필심을 연필 케이스에 밀어 배출시키는 다수개의 밀핀이 설치된 배출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계식 구조의 경우에는 성형금형의 심성형부에 겔상태의 연필심 원료를 주입한 후 성형하는 과정에서 연필심의 외면과 심성형부의 내면이 밀착되는 수준을 넘어 부착되는 상태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식과 같이 강제적으로 밀어 취출은 용이하나, 연필심이 심성형부에 붙어 있는 상태에서는 강제적 취출에 의해 연필심 하면이 부서지는 파손으로 제품불량의 요인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성형금형의 심성형부와 배출부재의 밀핀이 조금이라도 일치하지 아니할 경우에는 배출부재의 밀핀이 휘거나 전체적으로 파손되어 수시로 정비를 해야 함에 따른 경제적으로 많은 손실이 유발됨은 물론 수리 과정에서 작업의 지연으로 인하여 작업능률이 저하되고 제품의 코스트에도 악영향을 끼치되는 등의 문제점 등이 야기되었다.
그리고 공기 압력식 구조의 경우는 대한미국 공개특허 제10-2017-0035511호"화장용구용 심 성형장치"가 제안되어 있으며, 이는 한쌍으로 된 금형편을 분리되지 않도록 볼트로 고정하여 성형금형을 조립한 후 상기 성형금형의 심성형부에 연필심 원료를 충진하되, 성형금형 내에서 일정 직경 및 길이를 가지는 연필심을 성형하고, 성형된 연필심을 연필케이스에 삽입할 시에는 상기 성형금형을 결합한 볼트를 풀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성형금형의 하측에서 공기압력을 가하여 성형금형의 심성형부의 의해 성형된 연필심을 연필케이스에 삽입되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기 압력식 구조는 연필심이 성형된 성형금형에서 공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연필케이스 내로 연필심을 배출시켜 결합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성형금형 내의 원료 주입이나, 연필심 삽입시 주입 및 삽입이 용이하도록 성형금형의 금형편을 볼트에 의해 조립 분해를 주입과 삽입시 마다 작업자가 해야 함으로써, 성형금형의 조립 및 분해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이 증대함에 따른 작업능률 저하는 물론 생산성이 저하되어 결국 제품의 코스트에도 악영향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성형금형을 이루는 금형편의 조립 및 분리작업이 없는 상태로 연필심을 충진 성형할 수 있는 성형금형과, 상기 성형금형에 성형된 연필심을 성형금형의 금형편을 간편용이하게 이격시키면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케이스 결합부재에 결합된 연필케이스 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한 성형금형 및 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62015호(2019.03.19.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1805호(1999.09.06.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2971호(2017.06.26.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8887호(2015.08.25.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그 주된 목적으론 볼트의 조립 없이 커버금형에 의해 한쌍의 금형편을 합치한 금형본체를 가조립하고, 상기 금형편의 외면에 이격자석을 인서트되게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금형에, 연필심 원료 충진시 주입장치의 지그를 이용하여 충진하는 동안만 금형편이 벌어지지 않는 상태로 충진 경화되게 하고, 경화된 연필심을 연필케이스에 삽입시 이격자석의 자력에 의해 금형편이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필심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볼트 분해작업 없이 간편하면서도 원화롭게 연필심을 취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 그 특징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론 상기 성형금형에서 성형된 연필심을 연필 케이스에 삽입하는 삽입장치의 공기분사공 양측의 격벽 내면에 상기 금형본체의 금형편 외면에 고정된 이격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이격자석을 고정하여 공기분사공에 밀착되게 하강 고정되는 금형본체의 금형편 외면에 고정된 이격자석과 격벽 내면에 고정된 이격자석의 자력에 의해 금형편이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상태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금형본체의 심성형부에 성형된 연필심을 상부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된 연필케이스 내부로 간편용이하게 삽입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금형편을 분리하기 위한 볼트 분리작업 없이 자력에 의해 간편용이게 이격시킨 후 연필심 삽입 작업을 용이하게 함에 따라 작업능률 향상은 물론 다량 생산으로 인한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그 특징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은 대응되는 내면 중앙에 원료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원료주입구 양측으로 배출공이 연통된 다수의 심성형부가 요입형성되며 양측으론 횡방향에 결합홈을 종방향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하부 바닥면 일측에는 고정자석이 고정 된 한쌍의 성형편을 볼트 조립작업 없이 결합된 금형본체와, 상기 금형본체의 하부에 밀착되게 자력 고정될 수 있으면서 원료를 유도하여 심성형부에 원료를 주입할수 있도록 양측에 상기 고정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엇갈리는 상태로 고정자석을 고정하고 중앙에는 심성형부와 대응되는 원료유도부가 형성된 커버금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금형편의 외면에 외부의 자력에 의해 금형편이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는 이격자석을 고정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격자석은 금형편의 이격시 양측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는 본체의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길이방향 중앙에 결합홈과 결합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심성형부가 형성된 금형본체를 재치하여 안내하는 가이드안내부재와, 상기 가이드안내부재 후단 양측에는 상, 하 글라이딩 이송시킬 수 있는 실린더에 연계된 실린더로드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상측에 고정되되 상기 금형본체의 결합홈과 일치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에 결합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의 상부에 설치되어 금형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부재를 가압수단에 의해 가압할 수 있는 누름지지판과, 상기 고정지그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금형본체의 심성형부로 공기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공기분사공과, 상기 공기분사공의 전후측에는 상기 금형본체가 삽입되어 한쌍의 금형편을 양측으로 이격시길 수 있는 간격을 갖으면서 내면에 이격자석이 고정된 한쌍의 격벽과, 상기 삽입장치를 콘트롤하는 콘드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격벽에 고정된 이격자석은 상기 금형본체에 고정된 이격자석과 대응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격벽에 고정된 이격자석은 금형편의 이격시 양측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기분사공 외주면에는 분출되는 공기가 새지 않도록 패킹을 고정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수단은 에어실린더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엑츄에이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가이드안내부재를 진행방향 양측에는 금형본체가 양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양측 가이드편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격벽의 간격은 금형본체 안치시 금형본체의 양측 외면과 격벽의 내면이 0.5㎜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그의 내측에 돌출된 결합돌기의 선단은 금형본체의 결합홈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전협후광의 경사면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 및 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볼트의 조립 없이 커버금형에 의해 한쌍의 금형편이 합치된 금형본체를 가조립하고, 상기 금형편의 외면에 이격자석을 인서트되게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성형금형에 연필심 원료 충진시 주입장치의 지그를 이용하여 충진하는 동안만 금형편이 벌어지지 않는 상태로 충진 경화되게 하고, 경화된 연필심을 연필케이스에 삽입시 이격자석의 자력에 의해 금형편이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필심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볼트 분해작업 없이 간편하면서도 원활롭게 연필심을 취출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성형금형에서 성형된 연필심을 연필 케이스에 삽입하는 삽입장치의 공기분사공 양측의 격벽 내면에 상기 금형본체의 금형편 외면에 고정된 이격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이격자석을 고정하여 공기분사공에 밀착되게 하강 고정되는 금형본체의 금형편 외면에 고정된 이격자석과 격벽 내면에 고정된 이격자석의 자력에 의해 금형편이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상태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금형본체의 심성형부에 성형된 연필심을 상부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된 연필케이스 내부로 간편용이하게 삽십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금형편을 분리하기 위한 볼트 분리작업 없이 자력에 의해 간편용이게 이격시킨 후 연필심 삽입 작업을 용이하게 함에 따라 작업능률 향상은 물론 다량 생산으로 인한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성형금형으로서, 상측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성형금형으로서, 하측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성형금형의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로서,
6a) 내지 6d)는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작동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성형금형으로서, 상측에서 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성형금형으로서, 하측에서 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성형금형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은 화장용 연필심을 성형하여 성형된 연필심을 연필케이스에 조립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분류하면 성형금형(100)은 금형본체(110), 커버금형(120) 및 이격자석(1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형본체(110)는 한쌍의 금형편(110a)(110b)을 합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한쌍의 금형편(110a)(110b)은 대향되게 결합되되, 대응되는 위치 내면 중앙에 관통하는 상태로 반원형의 원료주입구(111)를 형성하고, 원료주입구(111)의 양측으론 하부에서 길게 연필심 원료를 충진할 수 있는 심성형부(112)를 일정길이 형성하되, 심성형부(112)의 끝단에는 원료 주입시 발생되는 공기압력을 배출하기 위하여 연통되는 상태로 배출공(112a)이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삽입장치의 고정지그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113)이 요입형성되고, 양측 끝단에는 연필케이스가 안착되는 케이스 결합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114)이 하향 형성되고, 금형편(110a)(110b)의 각각 일측과 타측에는 커버금형(120)과 부착되어 가조립될 수 있는 고정자석(115)이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금형편(110a)(110b)의 외면에는 성형된 연필심을 연필케이스에 삽입할 시 외부의 자력과 붙으면서 금형편(110a)(110b)를 일정간격 유지할 수 있는 이격자석(130)이 고정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격자석(130)은 금형편(110a)(110b) 이격시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수평을 이루면서 이격될 수 있도록 복수개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금형(120)은 내면 중앙에 상기 금형편(110a)(110b)의 원료주입구(111)를 통하여 주입된 원료가 유도되어 심성형부(112)에 원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긴 원료유도부(121)가 요입형성되고, 양측 끝단 모서리에는 상기 금형편(110a)(110b)의 하면에 고정된 고정자석(115)과 대응되게 부착되어 금형편(110a)(110b)의 가조립과 동시에 하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어긋나는 위치에 고정자석(125)을 고정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격자석(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금형편(110a)(110b)의 외면에 인서트되는 상태로 부착고정되어 외부의 자력에 의해 자성이 발생되면 외부에 구성된 자석과의 간격만큼 금형편(110a)(110b)를 벌려 이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격자석(130)은 중앙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벌어지는 양측의 균형을 고려하여 복수개로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성형금형(100)은 외면에 이격자석(130)이 고정된 금형편(110a)(110b)을 긴밀하게 접촉되는 상태로 마주보게 볼트의 조립작업 없이 결합하여 금형본체(110)를 구성하고, 상기 금형본체(110)의 하부에 커버금형(130)을 조립하되, 상기 금형편(110a)(110b)의 고정자석(115)과 커버금형(130)의 고정자석(125)에 의해 자력에 의해 부착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자석(115, 125)의 자력에 의해 금형본체(110)와 커버금형(120)이 결합되어 있어 금형본체(110)를 별도의 볼트 조립작업 없이 금형편(110a)(110b)이 분리됨 없이 가조립이 되는 상태이고, 금형편(110a)(110b)의 하부는 유입되는 원료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상태로 커버하고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의 성형금형(100)에 연핌심의 원료를 주입할 시에는 주입장치의 지그에 의해 성형금형(100)의 금형편(110a)(110b)이 합치된 금형본체(110)의 양측 및 하부를 압박하여 구속한 상태에서 연필심의 원료를 원료주입구(111)를 통하여 주입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원료주입구(111)를 통하여 주입되는 연필심 원료는 커버금형(130)의 중앙에 길게 요입형성된 원료유도부(121)로 유도되면서 심성형부(112)에 상향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심성형부(112)에 원료가 채워지는 과정에서 공기의 압력이 발생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공기압력은 배출공(112a)에 의해 배출되면서 원료가 심성형부(112) 전체에 골고루 완벽하게 채워지게되는 것이다.
상기 성형금형(100)은 금형편(110a)(110b)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심성형부(112)에 충진된 원료는 빠른 시간에 성형이 이루지기 때문에 금형편(110a)(110b)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볼트의 조립 없이 가조립에 의해서도 충분히 성형할 수 있고, 상기 성형된 연핌심 취출시 까지는 고정자석(115)(125)의 자력으로도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성형금형(100)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의 취출하여 연필케이스에 삽입할 시에는 하부의 공기 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취출 삽입될 수 있도록 금형편(110a)(110b) 외면에 고정된 이격자석(120)에 의해 외부의 자력으로 금형편(110a)(110b)을 일정거리 이격되게 하여 연필심을 간편용이하게 연필케이스에 삽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로서, 6a) 내지 6d)는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작동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7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는 성형금형(100)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을 삽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분류하면 테이블(10), 가이드안내부재(20), 실린더로드(30), 고정지그(40), 누름지지판(50), 공기분사공(60), 격벽(70), 콘트롤부(8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이블(10)은 넓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 위치하도록 다리 또는 판넬로 받치는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안내부재(20)는 테이블(10)의 길이방향 중앙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테이블(10)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위치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커버금형(120)을 탈리한 금형본체(110)를 가이드하여 안내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안내부재(20)의 양측에는 안내되는 금형본체가 양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금형본체(110)의 결합홈(113)이 후술되는 고정지그(40)의 결합돌기(41)에 일치되게 가이드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편(21)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로드(30)는 후술되는 에어분사공(60) 양측 중앙에 테이블(10)을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부는 상하 작동하는 실린더(31)와 연계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실린더로드(30)의 상하 왕복운동시 직립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테이블(10)의 관통부에 슬립형 안내부재(32)를 게재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지그(40)는 내면에 금형본체(110)의 결합홈(113)과 대응되는 두께의 결합돌기(41)가 내향 돌출된 것으로 양측에 상하왕복운동하는 실린더로드(30)의 상단부에 볼팅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지그(40)의 결합돌기(41) 선단에는 금형본체(110)의 결합홈(113)이 초기 결합시 결합이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전협후광의 경사부(4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누름지지판(50)은 고정지그(4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가압수단(51)에 의해 상하 이동하여 연필케이스가 수납된 케이스 결합부재가 금형본체(110)의 상면과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누름지지판(50)의 가압수단(51)은 에어실실린더를 이용하여 가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엑츄에이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공기분사공(60)은 고정지그(40) 내측에 테이블(10)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금형본체(110)의 심성형부(112)와 동일한 갯수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미도시된 에에콤프레셔에서 제공되는 공기의 압력을 분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공기분사공(60) 외주면에는 금형본체(110)의 심성형부(112)에 공기를 불어 넣을 때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킹(61)을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격벽(70)은 공기분사공(60) 전, 후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면에 이격자석(71)이 고정설치되어 공기분사공(60)에 안착되는 금형편(110a)(110b)을 자력에 의해 양측으로 이격시켜 금형편(110a)(110b)의 심성형부(112)로 부터 연필심을 분리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부(80)는 테이블(10)의 일정한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 전기적 회로에 의해 삽입장치 전체를 콘트롤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주입장치에 의해 주입완료되어 연필심이 성형된 성형금형(100)은 고정자석(115)(125)에 의해 부착고정된 금형본체(110)와 커버금형(120)을 자력으로부터 탈리시켜 분리한다.
이때 상기 금형본체(110)의 금형편(110a)(110b)은 연핌심이 심성형부(112)에 달라붙어 있는 상태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아니하는 이상 분리되지 아니한다.
이상태에서 금형본체(110)를 테이블(10)의 상측에 고정설치된 가이드안내부재(20)에 도 6a와 같이 재치하는 것이고, 재치된 금형본체(110) 양측의 가이드편(21)에 의해 양측으로 떨어짐 없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금형본체(110)를 전방으로 밀면 금형본체(110)는 가이드안내부재(20) 상면에서 가이드편(21)에 가이드 되면서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상태로 미끄러져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금형본체(110)는 가이드안내부재(20) 끝단까지 안내되면서 금형본체(110)의 결합홈(113)이 고정지그(40)의 결합돌기(41)에 안내되어 도 6b와 같이 결합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결합돌기(41)의 선단에 전협후광의 경사부(42)가 형성되어 있어 부드럽게 안내되어 결합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지그(40)에 금형본체(110)를 결합완료한 후 콘트롤부(70)를 작동시키면 실린더(31)가 작동하여 실린더로드(30)를 하측으로 이송시켜 내면에 이격자석(71)이 고정된 격벽(70) 사이의 공기분사공(60)과 밀착되는 상태로 도 6c와 같이 하강하여 위치되는 순간 상기 금형본체(110)가 격판(70) 내면에 고정된 이격자석(71)과 순간적으로 자력에 의해 금형본체(110)의 금형편(110a)(110b)을 도 6d와 같이 이격시키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성형된 열필심은 금형편(110a)(110b)의 심성형부(112)와 분리된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격벽의 간격은 금형본체(110) 안착시 금형본체(110)의 양 측면과 격벽의 내면이 0.5㎜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금형본체(110)를 공기분사공(60)과 밀착완료된 후에는 금형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114)을 이용하여 연필케이스가 수납된 케이스 결합부재를 올려 놓고, 상부에서 가압수단(51)의 작동에 의해 가압지지판(50)이 하강하여 케이스 결합부재를 누르고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조립장치는 공기분사공(60)을 통해 공기를 분출하여 배출공(112a)을 통해 심성형부(112)에 공기압력을 가하면 심성형부(112)와 이격시 분리된 연필심이 간편용이하게 연필케이스에 삽입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성형금형에서 성형된 연필심을 연필 케이스에 삽입하는 삽입장치의 공기분사공 양측의 격벽 내면에 상기 성형금형의 금형편 외면에 고정된 이격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이격자석을 고정하여 공기분사공에 밀착되게 하강 고정되는 금형본체의 금형편 외면에 고정된 이격자석과 격벽 내면에 고정된 이격자석의 자력에 의해 금형편이 양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는 상태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금형본체의 심성형부에 성형된 연필심을 상부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된 연필케이스 내부로 간편용이하게 삽입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금형편을 분리를 위한 볼트 분리작업 없이 자력에 의해 간편용이게 이격시킨 후 연필심 삽입 작업을 용이하게 함에 따라 작업능률 향상은 물론 다량 생산으로 인한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한다.
100 : 성형금형 110a 110b : 금형편 111 : 원료주입구
112 : 심성형부 112a : 배출공 113 : 결합홈
114 : 결합공 115 : 고정자석
120 : 커버금형 121 : 원료유도부 125 : 고정자석
130 : 이격자석
10 : 테이블 20 : 가이드안내부재 21 : 가이드편
30 : 실린더로드 31 : 실린더
40 : 고정지그 41 : 결합돌기 42 : 경사부
50 : 누름지지판 51 : 가압수단
60 : 공기분사공 61 : 패킹
70 : 격판 71 : 이격자석
80 : 콘트롤부

Claims (11)

  1. 성형금형(100)은 대응되는 내면 중앙에 원료주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원료주입구(111) 양측으로 배출공(112a)이 연통된 다수의 심성형부(112)가 요입형성되며 양측으론 횡방향에 결합홈(113)을 종방향에 결합공(114)을 형성하고, 하부 바닥면 일측과 타측에는 고정자석(115)이 고정 된 한쌍의 금형편(110a)(110b)을 볼트 조립작업 없이 금형본체(110)와;
    상기 성형금형(110)의 하부에 밀착되게 자력 고정될 수 있으면서 원료를 유도하여 심성형부에 원료를 주입할수 있도록 양측에 상기 고정자석(1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엇갈리는 상태로 고정자석(125)을 고정하고 중앙에는 심성형부(112)원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원료유도부(121)가 형성된 커버금형(120)으로 구성되고,
    상기 금형편(110a)(110b)의 외면에 외부의 자력에 의해 금형이편(110a)(110b)이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는 이격자석(130)을 고정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자석(130)은 금형편(110a)(110b)의 이격시 양측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고정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
  3. 화장용 연필심 삽입장치에 있어서,
    본체의 테이블(10)과;
    상기 테이블(10)의 길이방향 중앙에 결합홈과 결합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심성형부가 형성된 금형본체(110)를 재치하여 안내하는 가이드안내부재(20)와;
    상기 가이드안내부재(20)의 후단 양측에는 상, 하 슬라이딩 이송시킬 수 있는 실린더(31)에 연계된 실린더로드(30)와;
    상기 실린더로드(30)의 상측에 고정되되 상기 금형본체(110)의 결합홈(113)과 일치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에 결합돌기(41)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지그(40)와;
    상기 고정지그(40)의 상부에 설치되어 금형본체(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케이스 결합부재를 가압수단(51)에 의해 가압할 수 있는 누름지지판(50)과;
    상기 고정지그(40)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어 금형본체(110)의 심성형부(112)로 공기의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공기분사공(60)과;
    상기 공기분사공(60)의 전후측에는 상기 금형본체(110)가 삽입되어 한쌍의 금형편(110a)(110b)을 양측으로 이격시킬 수 있는 간격을 갖으면서 내면에 이격자석(71)이 고정된 한쌍의 격벽(70)과;
    상기 삽입장치를 콘트롤하는 콘드롤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70)에 고정된 이격자석(71)은 상기 금형본체(110)에 고정된 이격자석(130)과 대응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70)에 고정된 이격자석(71)은 금형편(110a)(110b)의 이격시 양측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공(60) 외주면에는 분출되는 공기가 새지 않도록 패킹(61)을 고정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51)은 에어실린더를 적용하여 작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51)은 엑츄에이터를 적용하여 작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안내부재(20)의 진행방향 양측에는 금형본체(110)가 양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가이드할 수 있도록 양측 가이드편(21)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70)의 간격은 금형본체(110) 안치시 금형본체편(110)의 양측 외면과 격벽(70)의 내면이 0.5㎜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40)의 내측에 돌출된 결합돌기(41)의 선단은 금형본체(110)의 결합홈(113)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전협후광의 경사면(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KR1020220030018A 2022-03-10 2022-03-10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 및 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KR102589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018A KR102589692B1 (ko) 2022-03-10 2022-03-10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 및 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0018A KR102589692B1 (ko) 2022-03-10 2022-03-10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 및 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004A true KR20230134004A (ko) 2023-09-20
KR102589692B1 KR102589692B1 (ko) 2023-10-18

Family

ID=8819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0018A KR102589692B1 (ko) 2022-03-10 2022-03-10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 및 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69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805Y1 (ko) 1997-04-02 1999-12-01 김영윤 화장용구 심체 성형 조립장치
KR100311569B1 (ko) * 1999-07-08 2001-10-18 유동훈 립펜슬의 펜슬심 투입장치
KR100416788B1 (ko) * 2001-02-15 2004-02-05 화성화학 주식회사 화장용구의 심체 성형방법 및 그 성형금형
KR100853297B1 (ko) * 2007-05-14 2008-08-20 화성화학 주식회사 화장용구의 심체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KR101548887B1 (ko) 2014-12-11 2015-09-01 김진길 화장용구용 심 성형장치
KR101752971B1 (ko) 2015-09-23 2017-06-30 김진길 화장용구용 심 성형장치
KR101962015B1 (ko) 2017-06-23 2019-07-17 김진길 화장용 연필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805Y1 (ko) 1997-04-02 1999-12-01 김영윤 화장용구 심체 성형 조립장치
KR100311569B1 (ko) * 1999-07-08 2001-10-18 유동훈 립펜슬의 펜슬심 투입장치
KR100416788B1 (ko) * 2001-02-15 2004-02-05 화성화학 주식회사 화장용구의 심체 성형방법 및 그 성형금형
KR100853297B1 (ko) * 2007-05-14 2008-08-20 화성화학 주식회사 화장용구의 심체 성형방법과 성형장치
KR101548887B1 (ko) 2014-12-11 2015-09-01 김진길 화장용구용 심 성형장치
KR101752971B1 (ko) 2015-09-23 2017-06-30 김진길 화장용구용 심 성형장치
KR101962015B1 (ko) 2017-06-23 2019-07-17 김진길 화장용 연필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692B1 (ko)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9692B1 (ko)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 및 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KR20090048093A (ko) 플라스틱 사출금형장치
KR100964221B1 (ko) 사출장치
CN110126065A (zh) 陶瓷等静压成型系统
KR100787196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101378703B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처리장치
KR200489537Y1 (ko) 에어실린더와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 및 이를 갖는 금형장치
CN212603057U (zh) 一种具有延迟顶出结构的模具
JP2006248055A (ja) 射出成形金型の2段突き出し機構
KR200433757Y1 (ko) 내측 언더컷 처리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CN210082301U (zh) 一种三板模注塑模具
CN210308838U (zh) 一种侧向抽芯机构及注塑模具
KR20180105019A (ko) 이젝트 유닛을 구비한 금형 조립체
KR101311839B1 (ko) 블록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KR20210075785A (ko) 금형
US6394786B1 (en) Mold for injection molding
CN111267294B (zh) 固封极柱成型模具及成型方法
KR102433335B1 (ko) 사출금형 코어 모듈장치
CN210082317U (zh) 一种链板单元注塑成型模具
CN114619621B (zh) 一种注塑件自动植入螺母的注塑设备
CN217476517U (zh) 一种注塑模具两侧顶出机构
KR101975772B1 (ko) 성형품의 변형 방지를 위한 상측 이젝팅 구조를 갖는 다이캐스팅 금형
CN213766931U (zh) 泵壳注塑模具
CN220390201U (zh) 一种模具及注塑设备
KR200280828Y1 (ko) 원료주입 게이트 기능을 갖는 슬라이더가 구비된 금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