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537Y1 - 에어실린더와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 및 이를 갖는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실린더와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 및 이를 갖는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537Y1
KR200489537Y1 KR2020170005602U KR20170005602U KR200489537Y1 KR 200489537 Y1 KR200489537 Y1 KR 200489537Y1 KR 2020170005602 U KR2020170005602 U KR 2020170005602U KR 20170005602 U KR20170005602 U KR 20170005602U KR 200489537 Y1 KR200489537 Y1 KR 200489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air
piston
space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099U (ko
Inventor
송남천
고봉훈
정용길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부
Priority to KR2020170005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37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0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0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28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9/00Removing castings from moulds, not restricted to casting processes covered by a single main group; Removing cores; Handling ingots
    • B22D29/04Handling or stripping castings or ingots
    • B22D29/08Strippers actuated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15B15/1447Pistons; Piston to piston rod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9Fluid interconnections, e.g. fluid connectors,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크로크를 줄일 수 있는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에 관한 것으로, 금형장치의 성형공간에서 성형된 제품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품의 외면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밀어올리는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으로서, 내부에 일정길이를 갖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단부의 외면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주입공이 관통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기 수용공간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 외면에 상기 실린더의 내면과 접촉되는 접촉되는 접촉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의 수용공간으로 인입된 단부 외면에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공이 관통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내면에 상기 공기토출공과 연통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공기토출공이 관통 형성된 상기 피스톤의 단부에 일정 길이를 갖도록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선택적으로 인입출되면서 상기 제품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밀어올리는 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에어실린더에 공기가 주입되는 구조를 변경하여 종래와 동일한 스트로크를 갖는 에어실린더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하고, 이러한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을 금형장치에 적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금형장치를 설계함에 있어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실린더와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 및 이를 갖는 금형장치{AIR CYLINDER, EJECT-PIN WITH IT AND MOLDING DEVICE HAVING EJECT-PIN}
본 고안은 에어실린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실린더의 공기가 주입되는 구조를 변경하여 종래와 동일한 스트로크를 갖는 에어실린더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실린더는 기계 장치 구동부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실린더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을 직선 왕복 운동시키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실린더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에어실린더는 피스톤(10)과 실린더(20) 등의 주요 부품으로 결합 되어 실린더(2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 여부에 따라 피스톤(10)이 상,하로 작동하여 높이 조절을 할수 있게 된다.
피스톤(10)은 실린더(20)의 내부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형상의 부재로서, 실린더(20)의 내부에 인입되는 피스톤(10)의 단부 외면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오링(11)이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20)는 일단을 통하여 피스톤(10)이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에 일정한 수용공간(21)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실린더(20)의 양측 단부에는 압축공기를 주입하고 토출시킬 수 있는 공기유동공(31, 32)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폐쇄부재(30)가 실린더(20)의 내부로 일정 간격 삽입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에어실린더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별도의 폐쇄부재(30)에 형성된 공기유동공(31, 32)을 통하여 공기를 실린더(20)의 수용공간(21)으로 주입 및 토출함으로써 피스톤(10)이 실린더(20)에 인입 및 인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에어실린더에 있어서, 실린더(20)의 수용공간(21)으로 외부의 압축공기를 주입시켜 실린더(20)로부터 피스톤(10)이 인출 구동되도록 하고, 실린더(20)의 수용공간(2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실런더(20)의 내부로 피스톤(10)이 인입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서 실린더(20)의 양단부에 별도의 폐쇄부재(30)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에어실린더의 조립 및 제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원하는 피스톤(10)의 스트로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실린더(20)가 스트로크보다 훨씬 큰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므로 공간활용도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실린더에 공기가 유입되는 구조를 변경하여 종래와 동일한 스트로크를 갖는 에어실린더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에어실린더를 금형의 이젝트핀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이젝트핀을 금형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금형장치의 설계시에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에어실린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에어실린더는, 내부에 일정길이를 갖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단부의 외면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주입공이 관통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기 수용공간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 외면에 상기 실린더의 내면과 접촉되는 접촉되는 접촉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의 수용공간으로 인입된 단부 외면에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공이 관통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내면에 상기 공기토출공과 연통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주입공은 상기 실린더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에서 인출되는 방향의 상기 실린더의 단부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토출공은 상기 피스톤의 단부 외면의 둘레 방향 및 상기 피스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은, 금형장치의 성형공간에서 성형된 제품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품의 외면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밀어올리는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으로서, 내부에 일정길이를 갖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단부의 외면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주입공이 관통 형성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기 수용공간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 외면에 상기 실린더의 내면과 접촉되는 접촉되는 접촉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의 수용공간으로 인입된 단부 외면에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공이 관통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내면에 상기 공기토출공과 연통되는 공기유로가 형성된 피스톤과; 상기 공기토출공이 관통 형성된 상기 피스톤의 단부에 일정 길이를 갖도록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선택적으로 인입출되면서 상기 제품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밀어올리는 핀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품과 접촉되는 상기 핀부재의 단부에는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품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밀어올릴 경우에 제품을 지지하는 받침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금형장치는, 상호 결합에 의하여 제품이 성형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성형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성형홈이 각각 함몰 형성된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으로 이루어지는 금형과; 상기 성형공간에서 성형된 제품을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으로부터 탈거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젝트핀은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소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에어실린더는, 에어실린더에 공기가 주입되는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에어실린더의 구조를 간편화시킴으로써 에어실린더의 조립 및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실린더에 공기가 주입되는 구조를 변경하여 종래와 동일한 스트로크를 갖는 에어실린더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하고, 이러한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을 금형장치에 적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금형장치를 설계함에 있어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실린더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실린더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이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5는 도 4의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을 갖는 금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실린더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이 작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5는 도 4의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을 갖는 금형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실린더(300)는, 내부에 일정길이를 갖는 수용공간(311)이 마련되고 단부의 외면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311)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311)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주입공(312)이 관통 형성된 실린더(310)와; 상기 실린더(310)의 상기 수용공간(311)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 외면에 상기 실린더(310)의 내면과 접촉되는 접촉되는 접촉부재(321)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310)의 수용공간(311)으로 인입된 단부 외면에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공(322)이 관통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내면에 상기 공기토출공(322)과 연통되는 공기유로(323)가 형성된 피스톤(3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310)는 내부에 수용공간(311)이 구비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일단은 개구 형성되어 피스톤(320)이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폐쇄되게 형성되며 피스톤(320)에 형성된 접촉부재(321)에 의하여 일측에서 수용공간(311)의 내부로 주입된 공기가 실린더(31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린더(3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311)은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실린더(310)의 수용공간(311)에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320)이 직선 왕복 운동할 수 있는 거리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실린더(310)의 개구 형성된 단부 외면의 일측에는 압축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공(312)이 관통 형성되어 외부의 압축공기를 공기주입공(312)을 통하여 실린더(310)의 수용공간(311)으로 주입함으로써 피스톤(320)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공기주입공(312)은 실린더(310)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320)이 실린더(310)에서 인출되는 방향의 실린더(310)의 단부 외면에 형성됨으로써 공기주입공(312)을 통하여 실런더(310)의 수용공간(311)으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피스톤(320)이 실린더(310)의 내부로 인입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피스톤(320)은 실린더(310)의 수용공간(311)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린더(310)의 수용공간(311)으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인입 및 인출 구동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피스톤(320)은 폐쇄 형성된 실린더(310)의 타단과 근접한 위치의 단부 외면 영역에 접촉부재(321)가 구비되어 있다.
접촉부재(321)는 실린더(3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311)의 직경과 유사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원반 형상의 부재로서, 접촉부재(321)의 측면은 실린더(310)의 내면과 밀착되게 배치됨으로써 실린더(310)의 내부로 주입된 압축공기가 접촉부재(321)의 측면과 실린더(310)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접촉부재(321)의 측면에는 별도의 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실린더(310)의 내부로 주입된 압축공기가 접촉부재(321)의 측면과 실린더(310)의 내면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유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압축공기에 의한 가압력이 접촉부재(321)의 판면에 손실없이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에어실린더(300)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접촉부재(321)를 기준으로 실린더(310)의 폐쇄된 타단과 근접한 영역에 위치한 실린더(320)의 단부 외면에는 공기토출공(32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톤(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피스톤(320)의 내면에 공기토출공(322)과 연통되는 공기유로(3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유로(323)를 통하여 외부의 압축공기가 공기토출공(322)을 통하여 수용공간(311)의 내부로 토출되어 가압력을 접촉부재(321)에 가압함으로써 실린더(310)의 외부로 피스톤(320)이 인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공기토출공(322)은 피스톤(320)의 단부 외면의 둘레 방향 및 피스톤(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됨으로써 공기토출공(322)을 통하여 수용공간(311)의 내부로 신속하고 균일하게 압축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실린더가 작동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실린더(310)로부터 피스톤(320)이 인출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피스톤(3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유로(323)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피스톤(320)의 단부에 형성된 공기토출공(322)을 통하여 압축공기가 수용공간(311)으로 토출되면서 피스톤(320)에 형성된 접촉부재(321)의 하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공기의 가압력에 의하여 접촉부재(321)가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피스톤(320)은 실린더(310)의 수용공간(311)에서 외부로 인출 구동하게 된다.
반대로, 실린더(310)의 내부로 피스톤(320)이 인입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기주입공(312)을 통하여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압축공기가 수용공간(311)으로 주입되면서 피스톤(320)에 형성된 접촉부재(321)의 하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공기의 가압력에 의하여 접촉부재(321)가 상측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피스톤(320)은 실린더(310)의 수용공간(311)의 내부로 인입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실린더(300)는 구조를 간편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에어실린더(300)의 조립 및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용공간(311)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동일한 정도의 스트로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실린더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200)은, 금형장치의 성형공간에서 성형된 제품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품의 외면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밀어올리는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200)으로서, 내부에 일정길이를 갖는 수용공간(211)이 마련되고 단부의 외면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211)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211)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주입공(212)이 관통 형성된 실린더(210)와; 상기 실린더(210)의 상기 수용공간(211)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 외면에 상기 실린더(210)의 내면과 접촉되는 접촉되는 접촉부재(221)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210)의 수용공간(211)으로 인입된 단부 외면에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공(222)이 관통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내면에 상기 공기토출공(222)과 연통되는 공기유로(223)가 형성된 피스톤(220)과; 상기 공기토출공(222)이 관통 형성된 상기 피스톤(220)의 단부에 일정 길이를 갖도록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220)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210)에 선택적으로 인입출되면서 상기 제품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밀어올리는 핀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200)의 실린더(210)와 피스톤(220)의 구조를 상술한 에어실린더(30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핀부재(230)는 일단이 공기토출공(222)이 관통 형성된 피스톤(220)의 단부에 일정 길이를 갖도록 고정되어 일부가 실린더(210)의 외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실린더(210)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피스톤(220)이 인출 구동되면 핀부재(230)는 실린더(210)의 내부로 인입 구동되고, 피스톤(220)이 인입 구동되면 핀부재(230)는 실린더(210)의 외부로 인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품과 접촉되는 핀부재(230)의 단부에는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품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밀어올릴 경우에 제품을 지지하는 받침부재(240)가 구비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이 작동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실린더(210)로부터 이젝트핀(200)의 핀부재(230)가 인입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피스톤(2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유로(223)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피스톤(220)의 단부에 형성된 공기토출공(222)을 통하여 압축공기가 수용공간(211)으로 토출되면서 피스톤(220)에 형성된 접촉부재(221)의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공기의 가압력에 의하여 접촉부재(221)가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피스톤(220)이 실린더(210)의 수용공간(211)에서 외부로 인출 구동하면서 이젝트핀(200)의 핀부재(230)가 인입 구동하게 된다. (도 4의 (a) 참조)
반대로, 실린더(210)의 외부로 이젝트핀(200)의 핀부재(230)가 인출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기주입공(212)을 통하여 압축공기를 주입하면 압축공기가 수용공간(211)으로 주입되면서 피스톤(220)에 형성된 접촉부재(221)의 하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공기의 가압력에 의하여 접촉부재(221)가 상측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피스톤(220)이 실린더(210)의 수용공간(211)의 내부로 인입 구동하면서 이젝트핀(200)의 핀부재(230)가 인출 구동하게 된다. (도 4의 (b) 참조)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200)은 구조를 간편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젝트핀(200)의 조립 및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용공간(211)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동일한 정도의 스트로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이젝트핀(2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을 갖는 금형장치는, 상호 결합에 의하여 제품(1)이 성형되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도록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성형공간(101)을 형성할 수 있는 성형홈이 각각 함몰 형성된 상부금형(110) 및 하부금형(120)으로 이루어지는 금형(100)과; 상기 성형공간(101)에서 성형된 제품(1)을 상기 상부금형(110) 및 하부금형(120)으로부터 탈거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2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금형(100)은 크게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금형(110)과 상부금형(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금형(120)으로 구성되며,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에는 이들의 상호 결합에 의하여 제품(1)을 성형하는 공간인 성형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성형홈(111, 121)이 각각 함몰 형성되어 있다.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의 복수의 개소에는 스팀공(112, 12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스팀공(112, 122)의 일측에는 후술할 이젝트핀(200)이 설치되는 이젝트핀공(12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젝트핀공(123)은 제품(1)에 형성되는 각인(2)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의 판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이젝트핀공(123)에는 각각 이젝트핀(200)이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200)을 이용하여 금형(100)의 성형공간(101)에서 성형된 제품(1)을 탈거시에 제품(1)의 외면 일측과 접촉되어 제품(1)을 밀어낼 수 있도록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200)의 핀부재(230)의 단부에는 받침부재(240)가 구비되어 있다.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200)의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20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금형장치는, 에어실린더에 공기가 주입되는 구조를 변경하여 에어실린더 자체의 스트로크를 줄인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이 적용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금형장치를 설계함에 있어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고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범위는 위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금형 101 : 성형공간
110 : 상부금형 111 : 성형홈
112 : 스팀공 120 : 하부금형
121 : 성형홈 122 : 스팀공
123 : 이젝트핀공 200 : 이젝트핀
210, 310 : 실린더 211, 311 : 수용공간
212, 312 : 공기주입공 220, 320 : 피스톤
221, 321 : 접촉부재 222, 322 : 공기토출공
223, 323 : 공기유로 240 : 받침부재
300 : 에어실린더

Claims (7)

  1. 내부에 일정길이를 갖는 수용공간(311)이 마련되고 단부의 외면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311)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311)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주입공(312)이 관통 형성된 실린더(310)와;
    상기 실린더(310)의 상기 수용공간(311)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 외면에 상기 실린더(310)의 내면과 접촉되는 접촉되는 접촉부재(321)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310)의 수용공간(311)으로 인입된 단부 외면에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공(322)이 관통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내면에 상기 공기토출공(322)과 연통되는 공기유로(323)가 형성된 피스톤(320)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공은 상기 실린더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에서 인출되는 방향의 상기 실린더의 단부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토출공은 상기 피스톤의 단부 외면의 둘레 방향 및 상기 피스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실린더.
  2. 삭제
  3. 삭제
  4. 금형장치의 성형공간에서 성형된 제품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품의 외면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밀어올리는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200)으로서,
    내부에 일정길이를 갖는 수용공간(211)이 마련되고 단부의 외면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211)과 연통되어 상기 수용공간(211)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주입공(212)이 관통 형성된 실린더(210)와;
    상기 실린더(210)의 상기 수용공간(211)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측 외면에 상기 실린더(210)의 내면과 접촉되는 접촉부재(221)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210)의 수용공간(211)으로 인입된 단부 외면에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공(222)이 관통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내면에 상기 공기토출공(222)과 연통되는 공기유로(223)가 형성된 피스톤(220)과;
    상기 공기토출공(222)이 관통 형성된 상기 피스톤(220)의 단부에 일정 길이를 갖도록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220)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210)에 선택적으로 인입출되면서 상기 제품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밀어올리는 핀부재(23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주입공은 상기 실린더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피스톤이 상기 실린더에서 인출되는 방향의 상기 실린더의 단부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토출공은 상기 피스톤의 단부 외면의 둘레 방향 및 상기 피스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과 접촉되는 상기 핀부재의 단부에는 상대적으로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품을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밀어올릴 경우에 제품을 지지하는 받침부재(2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
  6. 상호 결합에 의하여 제품(1)이 성형되는 성형공간(101)을 형성하도록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성형공간(101)을 형성할 수 있는 성형홈이 각각 함몰 형성된 상부금형(110) 및 하부금형(120)으로 이루어지는 금형(100)과;
    상기 성형공간(101)에서 성형된 제품(1)을 상기 상부금형(110) 및 하부금형(120)으로부터 탈거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의 두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청구항 제4항 또는 청구항 제5항에 따른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핀은 상기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소에 복수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장치.
KR2020170005602U 2017-10-31 2017-10-31 에어실린더와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 및 이를 갖는 금형장치 KR200489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02U KR200489537Y1 (ko) 2017-10-31 2017-10-31 에어실린더와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 및 이를 갖는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02U KR200489537Y1 (ko) 2017-10-31 2017-10-31 에어실린더와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 및 이를 갖는 금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99U KR20190001099U (ko) 2019-05-09
KR200489537Y1 true KR200489537Y1 (ko) 2019-10-01

Family

ID=6653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602U KR200489537Y1 (ko) 2017-10-31 2017-10-31 에어실린더와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 및 이를 갖는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5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347B1 (ko) 2020-06-05 2020-10-28 주식회사 청공 정밀 압력조절이 용이한 에어 실린더용 공기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7411A (ja) * 1993-04-19 1994-11-01 Toyo Electric Mfg Co Ltd 複動シリンダ
KR100986393B1 (ko) * 2008-04-01 2010-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조용 이젝트핀 냉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347B1 (ko) 2020-06-05 2020-10-28 주식회사 청공 정밀 압력조절이 용이한 에어 실린더용 공기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099U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0236C2 (ru) Изостатический штамп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плитки
WO2011111241A1 (ja) 鋳型造型機
US77407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mold-decoration
KR200489537Y1 (ko) 에어실린더와 에어실린더를 구비한 이젝트핀 및 이를 갖는 금형장치
KR100964236B1 (ko) 사출장치 및 그 사출물
KR101327508B1 (ko) 프레스 방식의 클리닝장치
CN110126066A (zh) 瓷坯成型系统
JP5719425B2 (ja) 射出金型のアンダーカット取出し装置
KR100964221B1 (ko) 사출장치
CN110871552B (zh) 一种可靠性高的注塑模具
CN205058514U (zh) 柱塞及成型系统
KR101378703B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처리장치
KR101210427B1 (ko) 사출용 노즐 및 사출장치
KR102589692B1 (ko) 화장용 연필심 성형금형 및 그 성형금형에 의해 성형된 연필심 삽입장치
KR101300562B1 (ko) 성형기의 진공챔버장치
JP4924195B2 (ja) 粉末成形用金型および粉末成形用金型における漏出粉末除去方法
US6394786B1 (en) Mold for injection molding
KR100844490B1 (ko) 열간 단조의 피니셔 공정에 의한 피스톤 스커트 반제품의제조용 금형 장치
KR20100007472U (ko) 내용물 배출펌프
KR101975772B1 (ko) 성형품의 변형 방지를 위한 상측 이젝팅 구조를 갖는 다이캐스팅 금형
KR200445760Y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 취출장치
TWM486540U (zh) 模內功能組件的時序控制裝置
CN210908100U (zh) 气动脱模保护机构
RU2341374C1 (ru) Пресс-форма с выводящей трубкой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отформованного изделия и пропускания потока воздуха
KR102018303B1 (ko) Rtm 금형의 에어 흡입 및 분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