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839B1 - 블록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블록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839B1
KR101311839B1 KR1020130017691A KR20130017691A KR101311839B1 KR 101311839 B1 KR101311839 B1 KR 101311839B1 KR 1020130017691 A KR1020130017691 A KR 1020130017691A KR 20130017691 A KR20130017691 A KR 20130017691A KR 101311839 B1 KR101311839 B1 KR 101311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groove
block
groove
concrete morta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천
Original Assignee
나라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라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라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7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4Unitary mould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moulding spaces, e.g. moulds divided into multiple moulding spaces by integratable partitions, mould part structures providing a number of moulding spaces in mutual co-operation
    • B28B7/241Detachable assemblies of mould parts providing only in mutual co-operation a number of complete moulding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4Discharging the shaped articles
    • B28B13/06Removing the shaped articles from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재질의 블록을 자동화 방식을 통해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하로 개구된 수용홈을 구비한 형틀본체; 상기 형틀본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바닥판과, 상하로 개구된 이송홈을 구비하되 상기 형틀본체와 바닥판의 상면을 교대로 수평이동하면서 상기 이송홈과 수용홈이 연통되거나 상기 바닥판에 의해 상기 수용홈이 폐구되도록 된 이동부재를 구비한 이송대;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상기 수용홈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폐구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을 승하강시키는 구동수단과, 하강한 상기 승강판을 고정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승강대; 및 상기 수용홈 내 블록을 가압하도록 상기 수용홈의 상단으로 삽입되는 성형 가압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블록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block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콘크리트 재질의 블록을 자동화 방식을 통해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재질의 블록은 습식 또는 건식에 상관없이 기본 형틀을 모체로 제작된다. 즉, 형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해 성형한 후 통상적인 건조(양생)과정을 거쳐 상기 형틀에 상응하는 블록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블록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도 1(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 형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및 도 2(제조된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해당 블록(20, 20')에 상응하는 형태로 성형한 수용홈(11)을 갖는 형틀본체(10)에 적당량의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하고, 필요한 경우 보조형틀(20)을 수용홈(11)에 삽입한다. 여기서, 보조형틀(20)은 블록(20, 20')에 형성된 관통공(31)을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건조되면 보조형틀(20)은 수용홈(11)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를 위해 보조형틀(20)은 고정체(21) 등과 같은 손잡이용 자재가 보강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건조가 완료되어 해당 블록(20, 20')이 완성되면, 형틀본체(10)로부터 블록(20, 20')을 탈형한 후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블록(20, 20')을 둘로 분할해서 완전한 형태로 완성한다.
그런데, 블록(20, 20') 제조를 위한 전술한 종래 방법은 수작업을 통해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자동화기기를 통해서 블록(20, 20') 제조가 이루어지더라도 형틀본체(10)로부터 블록(20, 20')를 탈형하기 위해서는 형틀본체(10)를 뒤엎어서 블록(20, 20')을 수용홈(11)으로부터 분리시켰어야 하므로, 건조 중인 블록(20, 20')이 형틀본체(10)의 기울어짐에 의한 편중으로 수용홈(11) 내에서 변형되거나 훼손되어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빈번하였다.
결국, 콘크리트 재질의 블록(20, 2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수작업으로 일일이 제조하거나, 자동화기기를 이용하더라도 탈형 작업은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주의를 하면서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이 있었다.
한편, 블록(20, 20')은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용도와 목적으로 활용되므로, 다양한 디자인의 블록 제조가 요구된다. 특히 외관으로 직접 드러나는 블록(20, 20') 전면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성형이 바람직한데, 자동화기기를 활용할 경우엔 해당 디자인을 충족할 수 있는 형틀제작에 한계가 있고, 자동화를 통한 제조과정에도 한계가 있으므로, 이 또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자동화 방식을 통해 블록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성형 및 제조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복잡한 전면 디자인도 설계된 형태에 따라 안정적으로 자동 성형할 수 있는 블록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개구된 수용홈을 구비한 형틀본체;
상기 형틀본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바닥판과, 상하로 개구된 이송홈을 구비하되 상기 형틀본체와 바닥판의 상면을 교대로 수평이동하면서 상기 이송홈과 수용홈이 연통되거나 상기 바닥판에 의해 상기 수용홈이 폐구되도록 된 이동부재를 구비한 이송대;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상기 수용홈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폐구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을 승하강시키는 구동수단과, 하강한 상기 승강판을 고정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승강대; 및
상기 수용홈 내 블록을 가압하도록 상기 수용홈의 상단으로 삽입되는 성형 가압대;
를 포함하는 블록 제조장치이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판에 의해 하단이 폐구된 이동부재의 이송홈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제1단계;
상하로 개구되되 승강판에 의해 하단이 폐구된 수용홈을 구비한 형틀본체로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켜서,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상기 수용홈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단계;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상기 수용홈에서 건조시켜서 블록을 완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승강판을 하강시켜서 상기 블록을 상기 형틀본체로부터 탈헝하되, 상기 수용홈의 상방에서 성형 가압대로 상기 블록을 가압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블록 제조방법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탈형을 위해 형틀을 뒤엎을 필요가 없으므로 성형한 블록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탈형할 수 있고, 상기 성형 과정에서 블록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정밀한 형태의 턱을 자연스럽게 형성시키므로, 상기 턱 성형을 위해 블록 성형 후 별도의 절삭공정을 진행하는 불합리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종래 형틀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제조된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에 대한 제1실시 예가 동작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에 대한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에 대한 제2실시 예를 통해 제조된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에 대한 제3실시 예가 동작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에 대한 제3실시 예를 통해 제조된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에 대한 제4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에 대한 제1실시 예가 동작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는 제조 대상 블록(30, 30'; 도 2 참조)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성형되되 상하로 개구된 수용홈(111)을 갖는 형틀본체(110)와, 블록(30, 30')의 재질인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수용홈(111)으로 이송하는 이송대(140)와, 수용홈(111)에 주입된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가압하도록 수용홈(111)의 상단 개구부로 삽입되는 성형 가압대(150)와, 수용홈(111)의 하단 개구부를 폐구하고 성형 가압대(150)의 상기 삽입시 제조된 블록을 지지하면서 하강하도록 된 승강대(16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는 블록(30, 30') 형상에 대응해서 수용홈(111)에 상주하는 보조형틀(12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더불어서 보조형틀(120)이 현 위치를 고수하도록 지지하면서 이송대(140)에 구성된 이동부재(141)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형 링커(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형틀본체(110)에 형성된 수용홈(111)은 한 쌍의 블록(30, 30')이 서로 마주하게 붙어있는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수용홈(111)은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구된 형태를 이룬다.
보조형틀(120)은 수용홈(111)에 배치되어서, 블록(30, 30') 내에 관통공(31)이 성형되도록 한다.
레일형 링커(130)는 보조형틀(120)을 수용홈(111) 내 특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지지하고, 형틀본체(110)의 상면에서 이동부재(141)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되므로, 보조형틀(120)과 형틀본체(110) 간의 고정기능과 더불어 이동부재(141)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기능을 더불어 수행한다. 한편, 수용홈(111)은 통상적으로 한 쌍의 블록(30, 30')이 서로 대칭하게 배치된 모습이므로, 블록(30, 30')의 관통공(31)이 성형되도록 하는 보조형틀(120) 역시 서로 대칭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레일형 링커(130) 역시 쌍을 이루며 서로 대칭하게 배치된다.
이송대(140)는 상하로 개구된 이송홈(141a)을 가지며 형틀본체(110)를 향해 수평이동하도록 배치되는 이동부재(141)를 포함한다. 이동부재(141)는 이송수단(미도시함)의 구동을 통해서, 주입구간과 형틀구간을 왕복하도록 배치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홈(141a)의 하단이 바닥판(142)에 의해 폐구되는 주입구간에서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이송홈(141a)에 주입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이송수단이 이동부재(141)를 형틀본체(110)로 수평 이동시켜서,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수용홈(11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동부재(141)가 형틀본체(110)가 위치한 형틀구간으로 이동하면 이송홈(141a)의 하단이 개구되므로, 콘크리트 모르타르는 수용홈(111)을 향해 신속히 유입되고, 수용홈(111)은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로 충전되어서 해당 블록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참고로, 이동부재(141)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해 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이송수단은 유압실린더 또는 볼스크류 등의 동력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직선 왕복운동을 일으킬 수 있는 장치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동력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승강대(160)는 수용홈(111)의 개구된 하단을 폐구하는 승강판(161)을 승,하강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서, 승강판(161)과, 승강판(161)을 승,하강하도록 하는 구동수단(162)과, 하강한 승강판(161)을 고정하는 스토퍼(163)로 구성된다.
승강판(161)은 수용홈(111)의 개구된 하단을 선택적으로 폐구해서, 수용홈(111)에 유입된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수용홈(111)에 저수된 상태로 건조될 수 있도록 하고, 하강을 통해 수용홈(111)을 개구할 경우엔 건조된 해당 블록(30, 30')을 형틀본체(110)로부터 탈형한다. 결국,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30, 30')은 형틀본체(110)를 뒤엎을 필요없이 탈형되므로, 블록(30, 30')의 훼손을 최소화하고 아울러 탈형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동수단(162)은 승강판(161)이 승,하강하도록 구동하는 것으로서, 성형 가압대(150)의 동작 타이밍에 맞춰 승강판(161)이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구동수단(162)은 유압실린더 또는 볼스크류 등의 동력수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직선 왕복운동을 일으킬 수 있는 장치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동력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스토퍼(163)는 블록(30, 30')을 안착한 상태로 하강한 승강판(161)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해당 위치를 유지하는 승강판(161)으로부터 블록(30, 30')을 분리한 후 스토퍼(163)를 해제해서 승강판(161)을 승강시키고, 이를 통해 승강판(161)이 수용홈(111)의 하단을 다시 폐구할 수 있도록 한다.
성형 가압대(150)는 수용홈(111)의 개구된 상단으로 삽입되어서 수용홈(111)에 저수된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가압하고, 아울러 승강판(161)의 하강시 블록(30, 30')의 상면을 추가로 가압하면서 해당 블록(30, 30')의 상면이 평면을 유지하면서 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성형 가압대(150)는 상하 이동시, 레일형 링커(130)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로 분할될 수 있는데, 분할되더라도 승,하강이 일체로 동작하도록 되어서 제조되는 블록(30, 30')의 상면이 전체적으로 평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의 동작을 블록(30, 30') 제조 과정을 따라 순차 설명한다.
우선,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바닥판(142)에 의해 하단이 폐구되는 주입구간에서, 이동부재(141)의 이송홈(141a)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한다. 이송홈(141a)에 주입되는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주입량은 수용홈(111)에 주입되는 적정량이 될 것이며, 이는 해당 블록(30, 30') 제조를 위해 사전에 확인된다.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동부재(141)를 형틀구간으로 강제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이송홈(141a) 내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수용홈(111)으로 이송한다. 결국, 이송홈(141a) 내 콘크리트 모르타르는 수용홈(111) 쪽으로 이송되고, 상기 형틀구간에서 이송홈(141a)의 하단이 개구되면서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수용홈(111)으로 주입된다. 여기서, 이동부재(141)는 형틀본체(110) 상면에 배치된 레일형 링커(1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동부재(141)는 지정된 위치에 정확히 이동하여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이송할 수 있다.
한편, 형틀본체(110)의 수용홈(111)은 하단이 승강대(160)의 승강판(161)에 의해 폐구되므로,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는 수용홈(111)에 저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건조된다.
일정시간 경과 후 수용홈(111) 내에서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건조가 완료되면, 승강대(160)는 구동수단(162)을 동작시켜서 승강판(161)을 하강시키고, 이를 통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판(161) 상에 안착된 블록(30, 30')을 형틀본체(110)로부터 탈형한다. 아울러 블록(30, 30')이 형틀본체(110)로부터 원활히 탈형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는 성형 가압대(150)가 블록(30, 30')을 가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블록(30, 30') 상면은 평면상태가 유지되도록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블록(30, 30')의 탈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141)가 형틀본체(110)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동부재(141)가 주입구간으로 복귀한 후 이루어질 수도 있다. 만일 이동부재(141)가 상기 주입구간으로 복귀한 후 블록(30, 30')의 탈형이 이루어질 경우, 성형 가압대(150)는 이동부재(141)의 이송홈(141a)을 관통하지 않고 수용홈(111)으로 직접 삽입된다.
형틀본체(110)로부터 탈형된 블록(30, 30')은 승강판(161)을 따라 일정 높이까지 하강하고, 지정된 높이에 이르면 승강판(161)은 스토퍼(163)에 의해 고정된다. 결국, 작업자는 블록(30, 30')을 승강판(16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서 지정된 장소에 보관하고, 스토퍼(163)를 해제해서 승강판(161)이 수용홈(111)의 하단을 다시 폐구할 수 있도록 승강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에 대한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에 대한 제2실시 예를 통해 제조된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는 블록(40, 40') 전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턱(41, 42)이 형성되도록 성형해서, 해당 블록(40, 40')을 축조할 경우 턱(41, 42)에 의해 형성된 블록(40, 40') 간의 경계가 명확해지도록 한다. 결국, 해당 블록(40, 40')을 축조할 경우 해당 축조물은 별도의 시멘트모르타르를 매개로 다수의 블록을 접착해 축조한 구조물인 것으로 보이게 된다.
그런데, 블록(40, 40') 전면 가장자리에 턱(41, 42)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이용해서 블록(40, 40')의 전면 전체를 우선 제작한 후 상기 가장자리를 턱(41, 42)이 지도록 절삭하는 공정을 진행해야 했다. 특히 한 쌍의 블록(40, 40')을 마주하게 배치하는 방식으로 해당 블록을 성형할 경우에는, 성형과 동시에 블록(40, 40') 전면 부분의 가장자리에 정밀한 턱을 형성시킨 후 건조시까지 이를 유지하는 것이 결코 용이하지 않으므로, 현실적으로는 형틀본체에서는 블록의 본체를 우선 제작하고, 탈형 후 해당 지점을 절삭해서 턱을 형성시키는 별도의 공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성형 과정에서 전면 가장자리를 따라 정밀한 턱선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이동부재(141)의 하단에 성형돌기(143)를 돌출 형성시키고, 아울러 성형 가압대(150')의 저면에 가압돌기(151)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성형돌기(143)와 가압돌기(151)는 각각 수용홈(111)의 중심부분을 가압하도록 해서, 한 쌍의 블록(40, 40') 성형시 해당 블록(40, 40') 전면에 계획된 턱(41, 42)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를 기반으로 한 블록 제조과정을 순차 설명한다.
우선, 바닥판(142')에 의해 하단이 폐구되는 주입구간에서, 이송대(140')에 구성된 이동부재(141')의 이송홈(141a)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한다. 여기서, 이동부재(141')의 하단에는 성형돌기(143)가 이동부재(141')의 이동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 고정되고, 바닥판(142')의 상면에는 돌출된 성형돌기(143)를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홈(142a)이 형성된다. 결국, 성형돌기(143)는 가이드홈(142a)에 이동가능하게 맞물려서, 이동부재(141')의 이동과 더불어 형틀본체(110')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참고로, 형틀본체(110')에는 가이드홈(142a)과 연통하는 관통홈(112)이 형성되어서, 성형돌기(143)가 간섭없이 수용홈(111)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부재(141')를 형틀구간으로 강제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이송홈(141a) 내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수용홈(111)으로 이송한다. 결국, 이송홈(141a) 내 콘크리트 모르타르는 수용홈(111) 쪽으로 이송되고, 상기 형틀구간에서 이송홈(141a)의 하단이 개구되면서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수용홈(111)으로 주입된다. 한편, 형틀본체(110')의 수용홈(111)은 하단이 승강대(160)의 승강판(161)에 의해 폐구되므로,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는 수용홈(111)에 저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건조된다. 여기서, 성형돌기(143)는 수용홈(111)에 주입된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지정된 상면을 점유하면서 일정한 홈을 형성시킨다. 즉, 블록(40, 4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턱(41)을 성형돌기(143)가 1차로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후, 이동부재(141')를 주입구간으로 다시 복귀시킨다. 이때 성형돌기(143)는 반건조된 상태인 제1턱(41)의 면 부분을 다지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제1턱(41)의 형태를 견고히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수용홈(111) 내에서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건조가 완료되면 승강대(160)는 구동수단(162)을 동작시켜서 승강판(161)을 하강시키고, 이를 통해 승강판(161) 상에 안착된 블록(40, 40')을 형틀본체(110')로부터 탈형한다. 아울러 블록(40, 40')이 형틀본체(110')로부터 원활히 탈형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는 성형 가압대(150')가 블록(40, 40')을 가압한다. 여기서, 성형 가압대(150')는 제1턱(41)을 매꾸면서 가압하도록 돌출형성된 가압돌기(151)를 더 포함한다. 결국, 1차적으로 성형돌기(143)에 의해 다져진 제1턱(41)은 가압돌기(151)에 의해 2차적으로 그 형태를 완전히 하면서 세밀한 형상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블록(40, 40')은 제1턱(41) 이외에 양측면으로 제2턱(42)을 더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수용홈(111) 내 해당 지점에는 제2턱(42)을 성형하기 위한 돌출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형틀본체(110')로부터 탈형된 블록(40, 40')은 승강판(161)을 따라 일정 높이까지 하강하고, 지정된 높이에 이르면 승강판(161)은 스토퍼(163)에 의해 고정된다. 결국, 작업자는 블록(40, 40')을 승강판(16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서 지정된 장소에 보관하고, 스토퍼(163)를 해제해서 승강판(161)이 수용홈(111)의 하단을 다시 폐구할 수 있도록 승강시킨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에 대한 제3실시 예가 동작하는 모습을 순차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에 대한 제3실시 예를 통해 제조된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는 블록 전면을 콘크리트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재질과 모양, 무늬 또는 색상 등을 적용해서 상기 블록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는 서로 마주하도록 접합된 한 쌍의 전면패널을 이송대(140")에 구성된 이동부재(141")에 삽탈할 수 있도록 배치해서, 이동부재(141")가 주입구간에 위치하면 성형 가압대(150)의 가압으로 이동부재(141")로부터 분리돼 수용홈(111)으로 삽입되고, 이를 통해 수용홈(111)에 주입된 콘크리트 모르타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전면패널(51)은 한 쌍이 서로 마주하게 접합된 형태이므로, 도 11과 같이 블록(50, 50') 제조가 완료되면 전면패널(51)을 서로 분리시킴으로써 한 쌍의 해당 블록(50, 50')을 둘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삽입되는 전면패널(51)의 일면에는 앵커(52)가 돌출 형성되므로,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완전히 건조되면 앵커(52)와 서로 결속되어서, 전면패널(51)을 단단히 체결하게 된다.
참고로, 전면패널(51)과 이동부재(141") 간의 임시 결속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전면패널(51)의 말단에는 요부(a)를 형성시키고, 이동부재(141")에는 철부(b)를 형성시켜서, 요부(a)와 철부(b)가 서로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도록 했다. 즉, 전면패널(51a)이 요부(a)와 철부(b)의 맞물림 상태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결속된 것이다. 하지만, 이외에도 전면패널(51)이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동부재(141")와 결속될 수 있는 구조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를 기반으로 한 블록 제조과정을 순차 설명한다.
우선, 바닥판(142')에 의해 하단이 폐구되는 주입구간에서, 이동부재(141")의 이송홈(141a)에 전면패널(51)을 삽입하고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한다. 전면패널(5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141")로부터 분리가능한 구조이며,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참고로, 전면패널(5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므로, 바닥판(142)의 상면과 형틀본체(110')에는 각각 전면패널(51)이 이동부재(141")의 이동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가이드홈(142a)과 관통홈(1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부재(141")를 형틀구간으로 강제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이송홈(141a) 내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수용홈(111)으로 이송한다. 결국, 이송홈(141a) 내 콘크리트 모르타르는 수용홈(111) 쪽으로 이송되고, 상기 형틀구간에서 이송홈(141a)의 하단이 개구되면서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수용홈(111)으로 주입된다. 한편, 형틀본체(110')의 수용홈(111)은 하단이 승강대(160)의 승강판(161)에 의해 폐구되므로,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는 수용홈(111)에 저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건조된다.
한편, 성형 가압대(150')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전면패널(51)을 가압하고, 전면패널(51)은 수용홈(111) 내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지정된 깊이로 삽입된다. 물론 성형 가압대(150')는 전면패널(51)이 해당 깊이까지만 삽입되면 하방 이동을 정지하고, 수용홈(111) 내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건조되기까지 대기한다.
성형 가압대(15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에 가압돌기(151)가 보강 형성될 수 있다. 가압돌기(151)는 블록(50, 50')에 제1턱(53)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 전면패널(51)이 수용홈(111) 내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깊이 삽입되도록 하고, 가압돌기(151) 또한 제1턱(53)이 형성될 수 있는 깊이로 수용홈(111) 내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삽입되어 그 상태를 유지한다.
수용홈(111) 내에서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의 건조가 완료되면 승강대(160)는 구동수단(162)을 동작시켜서 승강판(161)을 하강시키고, 이를 통해 승강판(161) 상에 안착된 블록(50, 50')을 형틀본체(110')로부터 탈형한다. 아울러 블록(50, 50')이 형틀본체(110')로부터 원활히 탈형될 수 있도록 상부에서는 성형 가압대(150')가 블록(50, 50')을 가압한다.
한편, 블록(50, 50')은 제1턱(53) 이외에 양측면으로 제2턱(54)을 더 형성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수용홈(111) 내 해당 지점에는 제2턱(54)을 성형하기 위한 돌출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형틀본체(110')로부터 탈형된 블록(50, 50')은 승강판(161)을 따라 일정 높이까지 하강하고, 지정된 높이에 이르면 승강판(161)은 스토퍼(163)에 의해 고정된다. 결국, 작업자는 블록(50, 50')을 승강판(16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해서 지정된 장소에 보관하고, 스토퍼(163)를 해제해서 승강판(161)이 수용홈(111)의 하단을 다시 폐구할 수 있도록 승강시킨다.
이상 설명한 방법을 통해 제조된 블록(50, 50')은 전면이 콘크리트가 아닌 다른 재질로 된 다양한 모양, 무늬 또는 색상의 전면패널(51)로 디자인됨으로써, 블록(50, 50')이 축조되는 주변 환경에 어울리는 미려한 구조물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블록(50, 50') 제조를 수작업이 아닌 자동화기기를 통해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과 공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제조장치에 대한 제4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부재(141')의 중심부에 상하로 개구된 공간을 구획하도록 하는 한 쌍의 구획벽(144)을 형성시켜서, 상기 공간으로 다른 재질 또는 다른 색상의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구획벽(144)은 이동부재(141')의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턱(144b)이 형성되도록 해서, 이동부재(141')의 수평 이동시 블록(40')에 턱(4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획벽(144)은 이동부재(141')의 이동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부재(141')의 이송홈(141a)은 한 쌍의 구획벽(144)에 의해서 3부분으로 구획된다. 여기서, 양쪽 가장자리 구역은 블록(40') 본체 구간이므로, 통상적인 재질의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주입된다. 반면, 가운데 구역은 블록(40')의 전면 구간이므로, 해당하는 재질 또는 색상의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주입된다.
바닥판(142') 상에 위치한 이동부재(141')의 상기 구역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각각 적당량 주입된 후, 이동부재(141')는 형틀본체(110')를 향해 이동한다.
구획벽(144)에 의해 구획된 이송홈(141a)은 하부가 모두 개구된 상태이므로, 이동부재(141')가 형틀본체(110')로 진입함과 동시에 개구된 하부를 통해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본체 구간에 주입된 콘크리트 모르타르는 수용홈(111)의 해당 구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전면 구간에 주입된 콘크리트 모르타르는 하부의 개구홈(144a)을 통해 수용홈(111)의 중앙으로 집중 유입된다. 결국, 이종(異種)의 콘크리트 모르타르는 형틀본체(110')의 수용홈(111) 내에 정확히 구분돼 충전된다.
계속해서, 수용홈(111)에 이종(異種)의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충전되면, 이동부재(141')는 원위치인 바닥판(142')으로 복귀한다. 이때,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턱(144b)은 블록의 전면 구간에 위치한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끌고 가면서 성형하고, 이를 통해 블록(40')의 턱(41')을 형성시킨다.
계속해서, 가압대(150')의 가압과 더불어 승강대(160)의 승강판(161)이 하강하고, 이를 통해 블록(40')은 본체와 전면이 다른 재질 또는 다른 색상으로 성형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110'; 형틀본체 111; 수용홈 112; 관통공
113; 돌출부 120; 보조형틀 130; 레일형 링커
140, 140', 140"; 이송대 141, 141', 141"; 이동부재
141a: 이송홈 142, 142'; 바닥판 142a; 가이드홈
143; 성형돌기 150, 150'; 성형 가압대 151; 가압돌기

Claims (9)

  1. 상하로 개구된 수용홈을 구비한 형틀본체;
    상기 형틀본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바닥판과, 상하로 개구된 이송홈을 구비하되 상기 형틀본체와 바닥판의 상면을 교대로 수평이동하면서 상기 이송홈과 수용홈이 연통되거나 상기 바닥판에 의해 상기 수용홈이 폐구되도록 된 이동부재를 구비한 이송대;
    상하로 승하강하면서 상기 수용홈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폐구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을 승하강시키는 구동수단과, 하강한 상기 승강판을 고정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승강대;
    상기 수용홈 내에 배치되는 보조형틀;
    상기 보조형틀이 형틀본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보조형틀과 형틀본체의 각 상면을 연결하되,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상면에 돌출된 레일형 링커; 및
    상기 수용홈 내 블록을 가압하도록 상기 수용홈의 상단으로 삽입되되, 상기 레일형 링커에 간섭되지 않도록 분할 형성된 성형 가압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한 쌍의 블록을 서로 마주하게 배치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이동부재는 하단에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된 성형돌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성형돌기는 상기 수용홈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되며;
    상기 형틀본체는 상기 성형돌기가 통과하는 관통홈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가압대의 저면에는 상기 성형돌기가 통과한 지점을 가압하도록 돌출된 가압돌기가 보강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한 쌍의 블록을 서로 마주하게 배치한 형상을 이루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수용홈의 중심에서 하방으로 이동해 분리되도록 배치되고 한 쌍이 서로 마주하게 접합된 전면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성형 가압대의 저면에는 상기 전면패널을 가압하도록 돌출된 가압돌기가 보강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이송홈을 구획하며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된 구획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획벽은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턱이 보강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제조장치.
  7. 삭제
  8. 바닥판에 의해 하단이 폐구된 이동부재의 이송홈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제1단계; 상하로 개구되되 승강판에 의해 하단이 폐구된 수용홈을 구비한 형틀본체로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켜서,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상기 수용홈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단계;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상기 수용홈에서 건조시켜서 블록을 완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승강판을 하강시켜서 상기 블록을 상기 형틀본체로부터 탈헝하되, 상기 수용홈의 상방에서 성형 가압대로 상기 블록을 가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블록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하단에 이동방향을 따라 돌출된 성형돌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성형돌기는 상기 수용홈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되고, 상기 형틀본체는 상기 성형돌기가 통과하는 관통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3단계와 제4단계 사이에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형틀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바닥판으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제조방법.
  9. 바닥판에 의해 하단이 폐구된 이동부재의 이송홈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제1단계; 상하로 개구되되 승강판에 의해 하단이 폐구된 수용홈을 구비한 형틀본체로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시켜서,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상기 수용홈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2단계;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상기 수용홈에서 건조시켜서 블록을 완성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승강판을 하강시켜서 상기 블록을 상기 형틀본체로부터 탈헝하되, 상기 수용홈의 상방에서 성형 가압대로 상기 블록을 가압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블록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수용홈의 중심에서 하방으로 이동해 분리되도록 배치되고 한 쌍이 서로 마주하게 접합된 전면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성형 가압대의 저면에는 상기 전면패널을 가압하도록 돌출된 가압돌기가 보강되며;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성형 가압대가 상기 전면패널을 가압해서 상기 전면패널이 상기 수용홈 내 콘크리트 모르타르로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건조되는 동안 상기 가압돌기가 상기 콘크리트 모르타르에 일부 삽입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성형 가압대가 현 위치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 제조방법.
KR1020130017691A 2013-02-19 2013-02-19 블록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KR101311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691A KR101311839B1 (ko) 2013-02-19 2013-02-19 블록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691A KR101311839B1 (ko) 2013-02-19 2013-02-19 블록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839B1 true KR101311839B1 (ko) 2013-09-27

Family

ID=4945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691A KR101311839B1 (ko) 2013-02-19 2013-02-19 블록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8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01046A (zh) * 2022-05-05 2022-07-05 鄂尔多斯应用技术学院 一种超高压陶瓷电容器的制备设备及制备方法
KR20220168603A (ko) * 2021-06-16 2022-12-26 김재홍 보도블럭 이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8428A (ja) * 1998-11-27 2000-06-13 Katsura Kikai Seisakusho:Kk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成形機における材料調整型給材箱装置
JP2000190315A (ja) * 1998-12-25 2000-07-11 Kei:Kk サンドイッチ状積層化粧ブロックの成形方法及びその型枠
KR200267630Y1 (ko) * 2001-12-06 2002-03-12 (주)동방에스엔씨 시멘트 블록 성형기의 성형부 구조
KR200372817Y1 (ko) * 2004-10-05 2005-01-14 한상희 호안블록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8428A (ja) * 1998-11-27 2000-06-13 Katsura Kikai Seisakusho:Kk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成形機における材料調整型給材箱装置
JP2000190315A (ja) * 1998-12-25 2000-07-11 Kei:Kk サンドイッチ状積層化粧ブロックの成形方法及びその型枠
KR200267630Y1 (ko) * 2001-12-06 2002-03-12 (주)동방에스엔씨 시멘트 블록 성형기의 성형부 구조
KR200372817Y1 (ko) * 2004-10-05 2005-01-14 한상희 호안블록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603A (ko) * 2021-06-16 2022-12-26 김재홍 보도블럭 이송장치
KR102576477B1 (ko) * 2021-06-16 2023-09-08 김재홍 보도블럭 이송장치
CN114701046A (zh) * 2022-05-05 2022-07-05 鄂尔多斯应用技术学院 一种超高压陶瓷电容器的制备设备及制备方法
CN114701046B (zh) * 2022-05-05 2024-01-26 鄂尔多斯应用技术学院 一种超高压陶瓷电容器的制备设备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760B1 (ko) 습식 방식의 투수블록 제조장치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투수블록
EP3730261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oncrete articles
KR101311839B1 (ko) 블록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CN105283302B (zh) 用于制造纤维复合材料构件的设备
CN209812639U (zh) 陶瓷胚体一体自动注浆成型装置
CN109719834B (zh) 一种易脱模的混凝土试块制作装置
CN107443676A (zh) 一种具有定位功能的注塑机
CN107263674B (zh) 一种乐高砖成型机
TWI769288B (zh) 射出成型模具及製造高分子材料元件的方法
US3504408A (en) Apparatus for molding interlocking concrete blocks
KR20130024588A (ko) 사출금형에 초음파 진동기가 구비된 게이트 절단장치
CN109128039B (zh) 带缸套发动机缸体的消失模模具
KR100759647B1 (ko) 조립식 온돌패널의 제조장치
TWM579095U (zh) Mold exchange mechanism for linear multi-mode station forming and processing machinery
KR20170129016A (ko)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 금형 및 이 금형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방법
SU605528A3 (ru) Машина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вертикальных стопок безопочных форм
CN213469477U (zh) 一种基于多气缸侧抽芯技术的熔模铸造模具
US11780114B2 (en) Device for pressing a non-hardened concrete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concrete articles
KR100278088B1 (ko) 조립식 타일블럭의 제조방법 및 장치
TWI676545B (zh) 直線多模站成型加工機械之模具交換機構
CN208305654U (zh) 一种具有二次顶出机构的防尘盖模具
US2987795A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building blocks
CN219095751U (zh) 一种便于定位的连帮鞋底注塑模具及注塑成型机
CN106493920B (zh) 一种具有固定工件功能的脱模机构
CN211363341U (zh) 一种变轨道抽芯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