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817Y1 - 호안블록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호안블록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72817Y1 KR200372817Y1 KR20-2004-0028123U KR20040028123U KR200372817Y1 KR 200372817 Y1 KR200372817 Y1 KR 200372817Y1 KR 20040028123 U KR20040028123 U KR 20040028123U KR 200372817 Y1 KR200372817 Y1 KR 20037281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lower mold
- mold
- pusher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B28B7/0035—Mould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sidewalls of the mould and the moulded article move with respect to each other during demoulding
- B28B7/0038—Mould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sidewalls of the mould and the moulded article move with respect to each other during demoulding the sidewalls of mould and moulded article moving only past each other, e.g. box-shaped moulds which are lifted off from the mould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58—Moulds, cores or mandrels with provisions concerning the elimination of superfluous material; Moulds with burr-removing means provided therein or carried thereb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4—Unitary mould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moulding spaces, e.g. moulds divided into multiple moulding spaces by integratable partitions, mould part structures providing a number of moulding spaces in mutual co-operation
- B28B7/241—Detachable assemblies of mould parts providing only in mutual co-operation a number of complete moulding spaces
- B28B7/243—Detachable assemblies of mould parts providing only in mutual co-operation a number of complete moulding spaces for making plates, panels or similar sheet- or disc-shaped objec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안블록의 성형시 금형에 잔류된 블록재가 간단하게 회수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환경이 청결해지고 블록재의 낭비가 저감되는 호안블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몰드에 저장되어 호안블록의 재료가 되는 블록재의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블록재에 상부몰드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는 푸셔를 설치하되, 상기 푸셔가 하부몰드의 한쪽 단부를 막도록 하여 누출되는 블록재가 한방향으로 배출되게 하고, 누출되는 블록재의 반송을 위한 구성이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블록재의 누출이 감소되어 작업환경이 청결해지는 호안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록 제조장치는 상부몰드와 하부몰드 사이에는 상기 하부몰드의 공간부에 저장된 블록재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몰드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을 성형하는 돌부가 형성된 푸셔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몰드의 상부에는 상기 푸셔의 돌부에 대응하는 굴곡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블록재를 가공하여 하천 또는 유수지 등의 제방에 설치되는 호안블록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안블록의 성형시 금형에 잔류된 블록재가 간단하게 회수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환경이 청결해지고 블록재의 낭비가 저감되는 호안블록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유수지 등의 경사면에는 강한 유속으로 인하여 토사가 유실되거나 지반이 침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옹벽시설물 또는 호안 블록 등이 설치된다.
최근에는 하천 유역의 토지이용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의 일환으로 하천 환경이 주변의 환경과 조화를 이뤄 자연식상 상태를 유지시키는 친환경적인 호안블럭이 본출원인에 의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호안블록 제조장치는 보관탱크의 몰타르를 이송콘베이어로 호퍼를 통해 몰타르 공급통에 공급한 후, 상기 몰타르 공급통에 저장된 몰타르를 성형틀에 타설시켜 완제품의 호안블록을 제조하는 공정을 자동화하고, 몰타르의 타설시 버려지는 몰타르를 보관탱크로 반송하는 반송컨베이어가 설치되어 낭비되는 몰타르가 재활용되도록 하고 있다.
전술된 몰타르는 컨베이어를 이용한 공지의 공급수단을 통해 공급되며,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는 그 기술적 구성이 용이성으로 인해 별도로 설명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의 호안블록 제조방법 및 장치는 성형틀에 몰타르를 공급하기 위해 몰타르 공급통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성형틀에 잔류되어 있던 몰타르를 밀며 진행하게 되어 몰타르가 상기 성형틀 외부로 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몰타르 공급통에 의해 외부로 떨어지는 몰타르를 반송하기 위해서, 종래의 호안블록 제조장치는 상기 성형틀의 전단 및 후단에 반송용 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구성이 복잡해진다. 또한, 상기 몰타르의 반송과정에서 분진 등이 발생하게 되어 작업환경의 청결성이 저하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몰드에 저장되어 호안블록의 재료가 되는 블록재의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블록재에 상부몰드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는 푸셔를 설치하되, 상기 푸셔가 하부몰드의 한쪽 단부를 막도록 하여 누출되는 블록재가 한방향으로 배출되게 하여, 누출되는 블록재의 반송을 위한 구성이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블록재의 누출이 감소되어 작업환경이 청결해지는 호안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록 제조장치에 의해 완성된 호안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호안블록이 하천의 제방면에 시공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록 제조장치의 요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록 제조장치의 푸셔가 변형된 사시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록 제조장치를 이용한 호안블록의 제조공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간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안블록 12 : 홈
14 : 볼록부 15 : 연결공
15a : 연결홈 16 : 만곡돌부
18 : 요홈 50 : 하부몰드
52 : 하부본체 53 : 가이드판
54 : 공간부 55 : 막대부
55a : 연장로드 56 : 만곡홈
57 : 격벽 58 : 굴곡부
60 : 상부몰드 61 : 제1실린더
62 : 상부본체 64 : 가압로드
68 : 가압블록 68a, 68b : 돌출부
70 : 푸셔 71 : 제3실린더
74 : 브러쉬 78 : 돌부
79 : 보조덧판 80 : 재료공급함
81 : 제2실린더 90 : 탈형판
91 : 제4실린더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록 제조장치는 호안블록의 재료가 되는 블록재가 수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측부에는 만곡홈이 형성된 하부몰드와,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몰드의 저장부에 저장된 블록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몰드와, 상기 상부몰드와 하부몰드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에 블록재를 공급하는 재료공급함을 포함하는 호안블록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몰드와 하부몰드 사이에는 상기 하부몰드의 공간부에 저장된 블록재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몰드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을 성형하는 돌부가 형성된 푸셔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몰드의 상부에는 상기 푸셔의 돌부에 대응하는 굴곡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재료공급함의 상부 또는 하부와 상기 푸셔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상부몰드 또는 하부몰드에 잔류된 블록재를 제거하는 브러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쉬는 고무재질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몰드의 공간부에는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해 양 대향면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격벽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몰드의 돌출부는 상기 공간부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셔는 측면 하단에서 연장된 보조덧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록 제조장치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록 제조장치에 의해 완성된 호안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호안블록이 하천의 제방면에 시공된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호안블록 제조장치에 의해 제작되는 호안 블록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이 하천 제방의 지면에 맞닿도록 다수개가 상호 연결되어 맞춤 조합된다. 또한, 상기 호안블록(10)의 배면에는 양 대향 단부를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홈(12)이 형성된다. 전술된 호안블록(10)의 홈(12)은 상기 홈(12)이 형성된 방향으로 인접된 다른 호안블록(10)들의 홈(12)과 연결되어, 상기 호안블록(10)의 하측으로 침투된 빗물 등은 신속하게 배수하는 배수공간으로서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호안블록(10)의 상부 좌, 우측에는 볼록부(14)가 형성되어, 하천수가 흐를 때 상기 볼록부(14)에 부딪히며 유속이 감소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호안블록(10)의 상측으로 물길을 유도하여 빠른 유속에 의해 상기 호안블록(10)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호안블록(10)은 양 대향 측면에 라운드 형상의 만곡돌부(16)가 형성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안블록(10)을 하천 제방의 굴곡면(L)에 시공할 때 호안블록(10)의 측면의 만곡돌부(16)는 인접된 호안블록(10)의 만곡돌부(16)와 서로 접하게 되어 호안 블록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않게 한다.
또한, 상기 호안블록(10)에는 복수의 연결공(15) 및 연결홈(15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15)에는 연결부재(P)가 삽입되어 인접된 다른 호안블록의 연결공(15)에 삽입되므로서, 시공된 호안블록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호안블록(10)의 상부에는 인접된 다른 호안블록(10)과 조합되며 식생홀을 이루는 요홈(18)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18)은 형성된 위치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호안블록(10)의 양 대향 단부에는 반원형의 요홈(18a)으로 형성되고, 꼭지점 부근에는 사분원 형상의 요홈(18b)으로 형성되어 인접된 호안 블록과의 결합시 하나의 원형홈을 이루게 되고, 상기 원형홈에는 초본 등의 식물(N)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록 제조장치의 요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록 제조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안블록(10)의 본체를 성형하는 하부몰드(5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몰드(50)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몰드(50)에 수납된 블록재의 상면을 가압하여 소정의 형상을 성형하는 상부몰드(60)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몰드(50)는 내부가 중공되어 상기 블록재가 수납되는 공간부(54)를 형성하는 하부본체(52)와, 상기 하부본체(52)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판(53)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본체(52)의 측부에는 상기 호안블록(10)의 만곡돌부(16)를 형성하기 위한 만곡홈(5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몰드(50)의 공간부(54)에는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57)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격벽(57)은 상기 하부몰드(50)의 양 대향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몰드(50)의 공간부(54)에는 상기 격벽(57)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공간부(54)에 상기 호안블록(10)의 연결공(15)을 형성하기 위한 막대부(55)가 위치되고, 상기 막대부(55)는 상기 가이드판(53)에 형성된 연장로드(55a)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몰드(60)는 제1실린더(61)에 의해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상부본체(6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본체(62)에는 하방으로 가압로드(64)가 설치된다. 상기 가압로드(64)의 단부에는 상기 제1실린더(61)의 하강시 상기 하부몰드(50)의 저장부에 저장된 블록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가압블록(68)이 설치된다. 상기 가압블록(68)에는 하방으로 돌출부(68a, 68b)가 형성되어 상기 호안블록(10)의 상부를 성형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호안블록(10)은 상부에 요홈(18)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68a, 68b)는 상기 요홈(18)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몰드(60)와 하부몰드(50) 사이에는 상기 하부몰드(50)의 저장부로 블록재를 공급하는 재료공급함(80)이 위치된다. 상기 재료공급함(80)은 제2실린더(81)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몰드(50)의 가이드판(53)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재료공급함(80)은 (도시되지 않은) 복록재 공급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블록재를 보관하는 호퍼로부터 블록재를 공급받은 후, 상기 하부몰드(50)로 블록재를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재료공급함(80)의 저면은 개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개방부를 차폐하는 (도시되지 않은) 차폐부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몰드(60)와 하부몰드(50) 사이에는 상기 상부몰드(60)의 돌출부(68a, 68b)에 대응하는 돌부(78)가 형성된 푸셔(70)가 위치된다. 상기 푸셔(70)는 제3실린더(71)에 의해 상기 하부몰드(50)의 가이드판(53)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하부몰드(50)의 공간부(54)에 저장된 블록재에 상기 상부몰드(60)의돌출부(68a, 68b)에 대응하는 홈을 성형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판(53)과 상기 하부본체(52)는 상기 푸셔(70)의 돌부(78)에 대응하는 굴곡부(58)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부(78)는 상기 호안블록(10)의 상기 가압블록의 돌출부(68a, 68b)의 형상에 따라 반원형돌부(78a) 또는 사분원형돌부(78b)로 이루어지고, 상기 굴곡부(58)는 상기 반원형돌부(78a) 또는 사분원형돌부(78b)에 대응되는 반원형홈(58a) 또는 사분원형홈(58b)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푸셔(70)의 상부와 하부에는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상부몰드(60) 또는 하부몰드(50)에 마찰되며 상기 상부몰드(60) 또는 하부몰드(50)에 잔류된 블록재를 제거하는 브러쉬(74)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료공급함(80)의 상부 또는 하부에도 브러쉬(74)가 더 설치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74)는 털, 천 또는 철실과 같은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브러쉬(74)는 고무재질과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부몰드(50)의 저면에는 탈형판(90)이 위치된다. 상기 탈형판(90)은 제4실린더(91)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탈형판(90)은 상승시 상기 하부몰드(50)의 저면을 차폐하고, 하강시 상기 하부몰드(50)로부터 완성된 호안블록(10)을 이탈시킨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호안블록(10) 제조장치는 상기 푸셔(70)에 의해 제거된 블록재를 수거하여 다시 사용하기 위하여 반송하는 회수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수부는 상기 가이드판(53)의 후단 하부에 설치된 이송콘베이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콘베이어는 상기 가이드판(53)의 후단 하부와 상기 블록재 공급 컨베이어 사이를 궤도운동하며 블록재를 회수한다. 또한, 상기 하부몰드(50)의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54)에 저장된 블록재를 다지기 위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도시되지 않은) 진동발진부가 설치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록(10) 제조장치의 푸셔(70)가 변형된 사시도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푸셔(70)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판(53)의 여유공간에 잔류된 블록재를 상기 하부몰드(50)의 공간부(54)로 몰아넣어주는 보조덧판(79)이 형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호안블록 제조장치를 이용한 호안블록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록 제조장치를 이용한 호안블록의 제조공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된 간략도인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4실린더(91)에 유압을 가하여 하부몰드(50)의 저면에 탈형판(90)이 밀착되도록 상기 탈형판(90)을 상승시킨다. 다음으로 블록재 공급 컨베이어를 작동하여 호퍼를 거쳐 재료공급함(80)에 블록재(S)를 공급한 후, 제2실린더(81)에 유압을 가하여 상기 재료공급함(80)을 전진시킨다.
상기 재료공급함(80)이 상기 하부몰드(50)의 상부에 위치되면, 상기 재료공급함(80)에 저장된 블록재(S)를 상기 하부몰드(50)의 공간부(54)로 공급한 후, 새로운 블록재(S)가 재공급되도록 상기 재료공급함(80)을 후퇴시킨다.
이때, 진동발진부를 작동시켜 상기 하부몰드(50)를 진동시킴으로서 상기 공간부(54)에 저장된 블록재(S)가 다져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간부(54)에 블록재(S)가 저장되면, 진동발진부의 작동을 멈추고 상기 제3실린더(71)에 유압을 가하여 상기 하부몰드(50)의 한쪽면을 막고있는 푸셔(70)를 전진시킨다. 상기 푸셔(70)는 상기 하부몰드(50)의 가이드판(53)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하부의 돌부(78a, 78b)가 상기 공간부(54)에 저장된 블록재(S) 상부에 상기 상부몰드(60)의 돌출부(68a, 68b)에 대응하는 홈을 성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푸셔(70)를 원위치로 후퇴시켜 상기 하부몰드(50)의 한쪽면을 막는다.
한편, 상기 푸셔(70)는 전진과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몰드(60)의 저면과 하부몰드(50)의 상면에 브러쉬(74)를 밀착시키며 진행하고, 이를 통해 상기 상부몰드(60)와 하부몰드(50)에 잔류된 블록재(S)가 제거된다.
다음으로, 제1실린더(61)에 유압을 가하여, 상부본체(62)를 하강시키면, 상기 상부본체(62)의 하부에 설치된 가압로드(64)와 가압블록(68)이 하강된다. 이때, 하강된 상부몰드(60)의 가압블록(68)은 상기 하부몰드(50)의 공간부(54)에 저장된 블록재(S) 상부를 가압하여, 호안블록(10)의 상부형상을 성형한다.
이와 같이 블록재(S)를 소정시간 가압한 후, 상기 제4실린더(91)의 유압을 제거하여 탈형판(90)이 하강시키면, 호안블록(10)이 상기 하부몰드(50)로부터 이탈되며 하강한다.
이렇게 상기 하부몰드(50)로부터 이탈된 호안블록(10)은 이송수단에 의해 별도의 건조실로 이송된 후, 소정의 건조, 양생과정을 거쳐 완제품으로 완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록 제조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록 제조장치는 하부몰드의 한쪽면이 푸셔에 의해 차폐되어 있어, 블록재가 한쪽 방향으로만 흘러내리게 되므로, 잔류된 블록재의 회송을 위한 회송컨베이어가 한쪽으로만 형성되어 누출된 블록재의 반송을 위한 구성이 간단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록 제조장치는 블록재가 외부로 누출되는 량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흐트러진 블록재를 다시 재활용할 수 있어 생산비용이 절감된다. 더불어, 작업공간에 블록재의 분진이 날리지 않게되어 작업환경이 청결해진다.
또한, 상기 푸셔 또는 재료공급함이 전진 또는 후퇴하는 과정에서 상기 푸셔 또는 재료공급함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된 브러쉬가 상기 상부몰드 또는 하부몰드에 묻은 블록재를 제거하므로, 항상 정확한 형태의 호안블록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록 제조장치를 사용하여 식생홈 및 만곡돌부가 형성되어 환경친화적인 호안블록을 자동으로 제작할 수 있고, 한번의 작업으로 복수의 호안블록을 동시에 제작할 수 있어 생산수율이 향상된다.
Claims (5)
- 호안블록의 재료가 되는 블록재가 수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측부에는 만곡홈이 형성된 하부몰드와,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부몰드의 저장부에 저장된 블록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상부몰드와,상기 상부몰드와 하부몰드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에 블록재를 공급하는 재료공급함을 포함하는 호안블록 제조장치에 있어서,상기 상부몰드와 하부몰드 사이에는 상기 하부몰드의 공간부에 저장된 블록재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몰드의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을 성형하는 돌부가 형성된 푸셔를 포함하고,상기 하부몰드의 상부에는 상기 푸셔의 돌부에 대응하는 굴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록 제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료공급함의 상부 또는 하부와 상기 푸셔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상부몰드 또는 하부몰드에 잔류된 블록재를 제거하는 브러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록 제조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록 제조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몰드의 공간부에는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기 위해 양 대향면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몰드의 돌출부는 상기 공간부에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록 제조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측면 하단에서 연장된 보조덧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록 제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8123U KR200372817Y1 (ko) | 2004-10-05 | 2004-10-05 | 호안블록 제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8123U KR200372817Y1 (ko) | 2004-10-05 | 2004-10-05 | 호안블록 제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72817Y1 true KR200372817Y1 (ko) | 2005-01-14 |
Family
ID=49444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8123U KR200372817Y1 (ko) | 2004-10-05 | 2004-10-05 | 호안블록 제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72817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3770B1 (ko) | 2005-06-11 | 2006-08-22 | 유한회사 한스 | 세굴 방지용 콘크리트 블록 제조 장치 및 방법 |
KR100704407B1 (ko) * | 2005-10-10 | 2007-04-06 | 박병도 | 호안블럭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0761520B1 (ko) | 2006-06-19 | 2007-10-04 | 강용구 | 식생 호안블록 제작장치 |
KR101311839B1 (ko) * | 2013-02-19 | 2013-09-27 | 나라앤텍 주식회사 | 블록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
KR101606637B1 (ko) | 2014-06-19 | 2016-03-25 | 박창호 | 굴삭기를 이용한 황토블럭 성형장치 |
-
2004
- 2004-10-05 KR KR20-2004-0028123U patent/KR20037281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3770B1 (ko) | 2005-06-11 | 2006-08-22 | 유한회사 한스 | 세굴 방지용 콘크리트 블록 제조 장치 및 방법 |
KR100704407B1 (ko) * | 2005-10-10 | 2007-04-06 | 박병도 | 호안블럭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0761520B1 (ko) | 2006-06-19 | 2007-10-04 | 강용구 | 식생 호안블록 제작장치 |
KR101311839B1 (ko) * | 2013-02-19 | 2013-09-27 | 나라앤텍 주식회사 | 블록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
KR101606637B1 (ko) | 2014-06-19 | 2016-03-25 | 박창호 | 굴삭기를 이용한 황토블럭 성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72817Y1 (ko) | 호안블록 제조장치 | |
CN211331809U (zh) | 一种珠宝加工用激光雕刻机 | |
KR101662494B1 (ko) | 수문의 지수구조 | |
JP4058550B2 (ja) | 軟弱地盤の改良工法 | |
CN209810831U (zh) | 一种盐碱土壤改良用排碱管清淤装置 | |
JP6356040B2 (ja) | 水路洗浄方法 | |
CN215165100U (zh) | 一种道路养护用绿化清洁装置 | |
SU1298313A1 (ru) | Рабочее оборудование бульдозера | |
US304618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molded pulp articles having holes therethrough | |
CN102619191A (zh) | 液压垂直铺塑机 | |
CN211368309U (zh) | 一种羊足碾用梳装刮板的更换机构 | |
KR200265747Y1 (ko) | 수도계량기 보호통 제조장치 | |
SG106570A1 (en) | Process for deepening and/or reinforcing, consolidating or renovating a quay wall constructed along a water basin | |
CN2213839Y (zh) | 护板式皮碗封隔器 | |
SU1141155A1 (ru) |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лотковых каналов от наносов | |
CN208056150U (zh) | 一种便于清理的水利水电用清淤设备 | |
CN207313169U (zh) | 一种带引导约束装置的内进流网板格栅 | |
CN210733302U (zh) | 一种线路板3d打印装置 | |
KR100583015B1 (ko) | 방조제 구축시 최종 체절구간에서의 사석유실 방지공법 | |
CN109797639B (zh) | 扩缝后道路裂缝修补装置 | |
CN206987382U (zh) | 一种便携气压式模板脱模剂刷涂装置 | |
CN214758988U (zh) | 一种豆制品定型充灌机 | |
CN213670648U (zh) | 一种分级式铸件清洗装置 | |
SU989080A2 (ru) | Щит дл проходки тоннелей в водоносных грунтах | |
KR200311668Y1 (ko) | 건식콘크리트 호안블록 성형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1231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