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712A -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 Google Patents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712A
KR20230124712A KR1020237025374A KR20237025374A KR20230124712A KR 20230124712 A KR20230124712 A KR 20230124712A KR 1020237025374 A KR1020237025374 A KR 1020237025374A KR 20237025374 A KR20237025374 A KR 20237025374A KR 20230124712 A KR20230124712 A KR 20230124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entene
methyl
thermoplastic elastomer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5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사다 후카가와
다카유키 우에쿠사
모토야스 야스이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24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71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4Monomers containing five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45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2003/3045Sulfates
    • C08K2003/3063Magnesium sulf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4Thermoplastic elastomer

Abstract

본 발명은, 용이하게 성형 가공할 수 있고, 유연하고 또한 중량감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무기 충전재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특정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15∼50질량부와, 무기 충전재(B) 10∼50질량부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 5∼49질량부(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무기 충전재(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합계를 100질량부로 한다)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과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본 발명은,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보다 상세하게는 열가소성 수지와 무기 충전재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도 폴리올레핀은, 종래부터 일용 잡화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사출 성형 등의 양산이 가능하고, 비중이 가벼운 데다가 기계 강도가 우수하고, 광택성이나 착색성, 내약품성이나 리사이클성 등의 다양한 특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박육 성형체의 경우에는, 충격 하중에 대해서 파손되기 쉬운 경우가 있다. 성형체의 형상으로서, 예를 들면, 리브 구조를 마련하면, 충격 하중의 완충 효과를 발휘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도 있지만, 리브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 곤란한 형상의 경우에는, 무기 필러를 충전한 성형 재료를 이용하여, 충격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경우가 있다.
완구에도 종래부터 폴리올레핀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박육 형상의 완구라도, 내충격성의 향상으로서는, 일용 잡화와 마찬가지로 무기 필러를 충전한 성형 재료가 이용된다. 그와 같은 성형 재료는 단단해지는 경향이고, 예를 들면, 완구를 취급할 기회가 많은 유아(幼兒)에게는, 단단한 감촉이므로 형상의 변화가 부족하기 때문에, 놀기에 질려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고무 재료에 가까운 탄성을 갖는 특징 때문에, 일용 잡화나 완구에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스타이렌·에틸렌·뷰틸렌·스타이렌 공중합체(스타이렌·에틸렌·뷰텐·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EBS)는, 단단한 폴리스타이렌 부분(하드 세그먼트)과 부드러운 폴리뷰틸렌 부분(소프트 세그먼트)을 블록상으로 공중합한 구성 단위를 갖는다. 폴리스타이렌의 말단 블록은, 서로 응집된 구조(도메인)를 형성하기 때문에, 그들 폴리스타이렌의 도메인이 의사(擬似) 가교점이 되어, 고무 재료에 가까운 탄성을 발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단, 강고한 자기 점착력(택성)을 갖는 수지이기도 하고, 예를 들면, 사출 성형 시에 성형체가 금형에 첩부되어 버려, 양산성이 뒤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자기 점착력을 억제하기 위해, 결정성 폴리올레핀 등의 배합이나 무기 필러를 충전한 성형 재료가 이용된다. 그러나, 그들 성형 재료는 유연성을 유지할 수 없어, 경질인 성형체가 되는 경향이었다.
특허문헌 1에는, 무기 광물 분말과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합성지가 개시되어 있다.
추가로,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는, 특정한 무기 충전물과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시트 성형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중, 특허문헌 2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탄산 칼슘을 등량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당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특허문헌 2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대신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이용할 수 있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결정성 고분자와 무기 미세 분말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당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특허문헌 3은, 그와 같은 수지 조성물의 예로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탄산 칼슘과 소량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1-07137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3-026866호 공보 WO2018/092494호
엘라스토머 등의 재료가 변형될 때의 점탄성을 평가할 때의 지표로서, 손실 계수를 들 수 있다. 이 손실 계수는, 손실 탄성률(G")과 저장 탄성률(G')의 비(G"/G')로 표시되는 수치이며, tanδ로서 알려져 있다. tanδ가 큰 재료는, 성형체로 했을 때에 부드러운 감촉으로 이어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
특허문헌 1의 수지 조성물은, 합성지로서 활용할 수 있고, 절첩성(折疊性)이나 인열성(引裂性)이 우수하다. 그러나, 높은 tanδ 피크치는 발현되지 않아, 유연성이 뒤떨어지는 재료이다.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의 수지 조성물은, 무기 충전물을 많이 함유하면서도, 양호한 성형 가공성이 얻어지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들은, 성형체 표면의 끈적임이 해소된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단, 무기 충전물을 많이 함유하므로, 얻어지는 성형체는 경질인 것이다. 따라서, 유연성이 없어지는 경향이며, 원래 높은 tanδ 피크치를 발현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용이하게 성형 가공할 수 있고, 유연하고 또한 중량감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무기 충전재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무기 충전재(B)와, 특정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를, 특정한 배합 비율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과제가 해결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이하의 [1]∼[9]의 사항에 관한 것이다.
[1]
이하의 요건(d) 및 요건(e) 중 적어도 1개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15∼50질량부와,
무기 충전재(B) 10∼50질량부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 5∼49질량부(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무기 충전재(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합계량을 100질량부로 한다)
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과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또한
하기의 요건(a)∼(c)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a) -40∼150℃의 온도 범위에서, 주파수 10rad/s(1.6Hz)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구해지는 손실 정접 tanδ의 값이 최대가 될 때의 온도(이하, tanδ 피크 온도라고도 한다.)가, 0℃ 이상 60℃ 이하이다.
(b) -40∼150℃의 온도 범위에서, 주파수 10rad/s(1.6Hz)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구해지는 손실 정접 tanδ의 최대치(이하, tanδ 피크치라고도 한다.)가, 0.6 이상 5.0 이하이다.
(c) 밀도가, 1.0g/cm3 이상 5.0g/cm3 이하이다.
(d)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 55∼90몰%와,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 10∼45몰%(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와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합계를 100몰%로 한다)로 이루어진다.
(e)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한 융점이 160℃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다.
[2]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가, 하기의 요건(f) 및 (g)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f) -40∼150℃의 온도 범위에서, 주파수 10rad/s(1.6Hz)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구해지는 tanδ 피크 온도가, 15℃ 이상 45℃ 이하이다.
(g) -40∼150℃의 온도 범위에서, 주파수 10rad/s(1.6Hz)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구해지는 tanδ 피크치가, 0.6 이상 5.0 이하이다.
[3]
상기 무기 충전재(B)가, 탄산 칼슘, 황산 마그네슘, 황산 바륨, 산화 마그네슘 및 탤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4]
상기 무기 충전재(B)의 평균 입자경이, 0.01∼1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
[5]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
[6]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일용 잡화.
[7]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완구.
[8]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이어피스 부재.
[9]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시트.
본 발명에 의하면, 용이하게 성형 가공할 수 있고, 높은 tanδ 피크치를 발현하여, 유연하고 또한 중량감을 갖는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는, 예를 들면, 높은 응력 완화성, 탄성 변형된 후에 천천히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하는 보형성, 유연하고 또한 중량감을 가진 일용 잡화나 완구, 및 이어피스 부재 등의 웨어러블 기기의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성형체는, 예를 들면, 완구, 일용 잡화, 및 이어피스 부재로서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로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합체」 및 「(공)중합체」라는 어구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용된다.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무기 충전재(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15∼50질량부와, 무기 충전재(B) 10∼50질량부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 5∼49질량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무기 충전재(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합계량을 100질량부로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과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형적이고 또한 적합한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로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과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 중 어느 한쪽만을 포함하고 있다. 이 태양에 있어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의 양과,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의 양 중 어느 한쪽은, 0질량부가 된다.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를 포함하지 않는 수지 조성물의 경우, 상기 100질량부의 기준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무기 충전재(B)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의 합계량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와 같은 수지 조성물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무기 충전재(B)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의 합계량을 100질량부로 하여,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15∼50질량부와,
무기 충전재(B): 10∼50질량부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 5∼49질량부
를 포함하지만,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는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을 포함하지 않는 수지 조성물의 경우, 상기 100질량부의 기준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무기 충전재(B)와,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의 합계량이다. 바꾸어 말하면, 이와 같은 수지 조성물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무기 충전재(B)와,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의 합계량을 100질량부로 하여,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15∼50질량부와,
무기 충전재(B): 10∼50질량부와,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 5∼49질량부
를 포함하지만,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은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이하의 요건(a)∼(c)를 전부 만족시킨다.
요건(a)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40∼150℃의 온도 범위에서, 주파수 10rad/s(1.6Hz)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구해지는 손실 정접 tanδ의 값이 최대가 될 때의 온도(이하, 「tanδ 피크 온도」라고도 한다.)가, 0℃ 이상 60℃ 이하이다. 여기에서, 상기 tanδ 피크 온도의 하한치에 대해서는, 상기 tanδ 피크 온도는,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tanδ 피크 온도의 상한치에 대해서는, 상기 tanδ 피크 온도는, 5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tanδ 피크 온도를 상기의 온도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성형체는 폭넓은 환경 온도하에 대응하여, 높은 응력 완화성을 발휘한다.
요건(b)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40∼150℃의 온도 범위에서, 주파수 10rad/s(1.6Hz)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구해지는 손실 정접 tanδ의 최대치(이하, 「tanδ 피크치」라고도 한다.)가, 0.6 이상 5.0 이하이다. 이 tanδ 피크치가, 0.6 이상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이상 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6 이상 3.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tanδ 피크치를 상기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얻어지는 성형체는 응력 완화성이 우수하여, 탄성 변형된 후에 천천히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할 수 있다.
상기 손실 정접 tanδ는, 동적 점탄성으로 측정되는 저장 탄성률(G')과 손실 탄성률(G")의 비(G"/G')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손실 정접 tanδ는, -40∼150℃의 온도 범위에서, 주파수 10rad/s(1.6Hz)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구해지고, 이 온도 범위 중에서 당해 손실 정접 tanδ가 최대치가 될 때의 온도를 전술한 tanδ 피크 온도로 하고, 그때의 손실 정접 tanδ의 값을 tanδ 피크치로 한다. 전술한 tanδ 피크 온도는,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한편, 측정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하는 내용과 같다.
요건(c)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밀도가 1.0g/cm3 이상 5.0g/cm3 이하이다. 여기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의 밀도의 하한치에 대하여 보면, 상기 밀도는, 1.05g/cm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1g/cm3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의 밀도의 상한치에 대하여 보면, 4.0g/cm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g/cm3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조성물의 밀도가 상기의 범위 내에 있으면, 성형체로 했을 때에 중량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일용 잡화에 이용하면, 책상이나 테이블 등에 두었을 때에 설치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밀도의 측정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하는 내용과 같다.
추가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시트상의 성형체로 했을 때에, 압침 접촉 개시로부터 15초 후에 있어서의 쇼어 A 경도(ASTM D2244에 준거, 두께 2mm의 성형체를 3매 겹친 상태에서 측정)의 하한치는,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압침 접촉 개시로부터 15초 후에 있어서의 쇼어 A 경도의 상한치는 95인 것이 바람직하고, 9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8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성형체의 제작 방법은,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시트상의 성형체로 했을 때에, 아래 식으로 정의되는 쇼어 A 경도(ASTM D2244에 준거, 두께 2mm의 성형체를 3매 겹친 상태에서 측정)의 값의 변화 ΔHS의 하한치는 5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ΔHS의 상한치는 6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ΔHS=(압침 접촉 개시 직후의 쇼어 A 경도치-압침 접촉 개시로부터 15초 후의 쇼어 A 경도치)
ΔHS는,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무기 충전재(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에 의해 임의로 변경할 수 있고, ΔHS가 상기 범위 내이면, 유연성이 우수하다.
한편, 쇼어 A 경도의 측정이 곤란한 경우에는, 대신에 쇼어 D 경도치를 이용하여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ΔHS 대신에, 아래 식으로 정의되는 쇼어 D 경도(ASTM D2244에 준거, 두께 2mm의 성형체를 3매 겹친 상태에서 측정)의 값의 변화 ΔHS'의 값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ΔHS'=(압침 접촉 개시 직후의 쇼어 D 경도치-압침 접촉 개시로부터 15초 후의 쇼어 D 경도치)
이 경우, 이 ΔHS'의 하한치는 5인 것이 바람직하고, 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1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ΔHS'의 상한치는 6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ΔHS'도, 상기 ΔHS와 마찬가지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무기 충전재(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에 의해 임의로 변경할 수 있고, ΔHS'가 상기 범위 내이면, 유연성이 우수하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요건(d)∼(g) 중 1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부를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태양에 있어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는, 요건(d) 및 (e) 중 적어도 1개의 요건을 만족시킨다. 즉,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는, 요건(d)만을 만족시키고 있어도 되고, 요건(e)만을 만족시키고 있어도 되며, 혹은 요건(d) 및 요건(e) 양쪽을 만족시키고 있어도 된다. 이 태양에 있어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는, 요건(d) 및/또는 (e)에 더하여, 바람직하게는 요건(f)와 요건(g) 중 어느 한쪽, 특히 바람직하게는 요건(f) 및 요건(g) 양쪽을 추가로 만족시킨다.
요건(d)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이하 「구성 단위(i)」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55∼90몰%와,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이하 「구성 단위(ii)」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10∼45몰%(구성 단위(i)과 구성 단위(ii)의 합계를 100몰%로 한다)로 이루어진다.
요건(e)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한 융점이 160℃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다.
요건(f)
-40∼150℃의 온도 범위에서, 주파수 10rad/s(1.6Hz)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구해지는 tanδ 피크 온도가, 15℃ 이상 45℃ 이하이다.
요건(g)
-40∼150℃의 온도 범위에서, 주파수 10rad/s(1.6Hz)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구해지는 tanδ 피크치가, 0.6 이상 5.0 이하이다.
상기 요건(d)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가,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과,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를 특정한 비율로 갖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란, α-올레핀에 대응하는 구성 단위, 즉, -CH2-CHR-(R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시사한다.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해석할 수 있고, 4-메틸-1-펜텐에 대응하는 구성 단위(즉, -CH2-CH(-CH2CH(CH3)2)-로 표시되는 구성 단위)를 시사한다.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에 대하여,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양의 하한치는 55몰%이다. 그 구성 단위의 양은 6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68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양의 상한치는 90몰%이지만, 86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85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4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에 있어서,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의 양이 상기의 하한치 이상이면, 동적 점탄성으로 측정되는 tanδ 피크 온도가 실온 부근이 되기 때문에, 수지 조성물의 tanδ 피크 온도도 전술한 범위 내로 조정하기 쉽다. 한편,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의 양이 상기의 상한치 이하이면, 실온에서의 완화성이 높아져 성형체로서 피트감이 향상된다.
따라서,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에 있어서,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의 양의 상한치는 45몰%이다. 이 구성 단위의 양은 4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32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의 양의 하한치는, 10몰%이지만, 14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15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6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각 구성 단위의 함유율(몰%)의 값은, 13C-NMR에 의해 측정된다. 한편, 측정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하는 내용과 같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는, α-올레핀으로서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서는, 4-메틸-1-펜텐과 탄소 원자수가 보다 큰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과 비교해서, 보다 결정화도가 낮아져, 유연한 조성물이 얻어진다. 상기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뷰텐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에서도 특히 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구성 단위(ii)는, 이들 중 1개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어도 되고, 2 이상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어도 된다.
상기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으로서, 프로필렌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무기 충전재(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와의 균일하고 양호한 혼련성이 얻어지고, 그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는, 유연성을 갖는 성형체가 얻어지기 쉽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무기 충전재(B)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각각 후기 「무기 충전재(B)」 및 후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항에서 후술한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는, 상기 구성 단위(i)과 상기 구성 단위(ii)만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 태양에 있어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는, 4-메틸-1-펜텐과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요건(e)에 대하여,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한 융점이 160℃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140℃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무기 충전재(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와의 양호한 혼련성이 얻어지고, 응력 완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요건(f)에 대하여,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는, -40∼150℃의 온도 범위에서, 주파수 10rad/s(1.6Hz)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구해지는 tanδ 피크 온도가 15℃ 이상 45℃ 이하이고, 20℃ 이상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이상 4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anδ 피크 온도를 상기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실온 부근에서의 응력 완화 특성이 보다 발휘될 수 있다.
상기 요건(g)에 대하여,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는, -40∼150℃의 온도 범위에서, 주파수 10rad/s(1.6Hz)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구해지는 tanδ 피크치가, 0.6 이상 5.0 이하이고, 1.0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상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이상 4.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tanδ 피크치를 상기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인장 응력이나 변형되는 속도에 따라, 원래의 형상으로 완만하게 되돌아가고자 하는 복원성이 우수하다.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는, 데칼린 중 135℃에서 측정한 극한 점도 [η]가, 0.1∼5.0dl/g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4.0dl/g, 더 바람직하게는 1.0∼3.5dl/g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합 중에 수소를 병용하면 분자량을 제어할 수 있어, 저분자량체부터 고분자량체까지 자유롭게 얻고, 상기 범위의 극한 점도 [η]로 조정할 수 있다. 측정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하는 내용과 같다.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폴리스타이렌 환산으로 1,000∼1,0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80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00∼500,0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측정 방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하는 내용과 같다.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 평균 분자량(Mn)의 비인 분자량 분포(Mw/Mn)가, 1.0∼3.5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3.0, 더 바람직하게는 1.5∼2.8 이하이다. 상기 분자량 분포(Mw/Mn)가 3.5 이하이면, 조성 분포에서 유래하는 저분자량, 저입체규칙성 폴리머의 영향이 적고, 얻어지는 성형체의 기계 강도가 저하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 ASTM D1238 준거, 온도 230℃, 하중 2.16kg)는, 0.1∼10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30g/10분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가 상기의 범위에서 하한치 이상인 경우에는, 무기 충전재(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양호한 분산성이 얻어진다.
전술한 범위의 상한치 이하인 경우는, 수지의 분자량이 지나치게 낮지 않고, 성형체로서 충분한 기계 강도가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830∼870kg/m3, 보다 바람직하게는 830∼860kg/m3, 더 바람직하게는 830∼850kg/m3이다. 한편, 측정 방법의 상세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하는 내용과 같다.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의 밀도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의 코모노머 조성비에 의해,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밀도가 상기의 범위 내에 있는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는, 무기 충전재(B)와의 양호한 혼련성이 얻어지고, 나아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에 대해서, 즉,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 및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 양쪽에 대해서, 균일하고 양호한 분산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의 첨가량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무기 충전재(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해서 15∼50질량부이다. 상기 첨가량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가 높은 tanδ 피크치를 발현할 수 있는 점에서 일정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 이상이다. 한편,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의 중량감이 얻어지는 점에서 일정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부 이하이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의 제조 방법>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4-메틸-1-펜텐과 전술한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을 마그네슘 담지형 타이타늄 촉매, 또는 메탈로센 촉매 등의 적절한 중합 촉매 존재하에서 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중합 촉매로서는, 종래 공지된 촉매, 예를 들면, 마그네슘 담지형 타이타늄 촉매, 국제공개 제01/53369호, 국제공개 제01/27124호, 일본 특허공개 평3-193796호 공보, 혹은 일본 특허공개 평2-41303호 공보, 국제공개 제2011/055803호, 국제공개 제2014/050817호 등에 기재된 메탈로센 촉매 등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중합은, 용해 중합(solution polymerization) 및 현탁 중합 등을 포함하는 액상 중합법, 및 기상 중합법 등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행할 수 있다.
액상 중합법에서는, 액상을 구성하는 용매로서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탄화수소의 예에는, 프로페인, 뷰테인, 펜테인, 헥세인, 헵테인, 옥테인, 데케인, 도데케인, 및 등유 등을 포함하는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펜테인, 사이클로헥세인, 메틸사이클로펜테인, 및 메틸사이클로헥세인 등을 포함하는 지환족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및 자일렌 등을 포함하는 방향족 탄화수소, 및 에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다이클로로메테인, 트라이클로로메테인, 및 테트라클로로메테인 등을 포함하는 할로젠화 탄화수소,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포함된다.
또한, 액상 중합법에서는, 전술한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에 대응하는 모노머(즉, 4-메틸-1-펜텐), 전술한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ii)에 대응하는 모노머(즉, 전술한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 자체를 용매로 한 괴상 중합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의 4-메틸-1-펜텐과 상기의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의 공중합을 단계적으로 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4-메틸-1-펜텐의 구성 단위(i), 및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의 구성 단위(ii)의 조성 분포를 적당히 제어할 수도 있다.
중합 온도는, -50∼200℃가 바람직하고, 0∼100℃가 보다 바람직하며, 20∼100℃가 더 바람직하다. 중합 압력은, 상압∼10MPa 게이지압(즉, 상압 이상(상압+10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압∼5MPa 게이지압(즉, 상압 이상(상압+5M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합 시에, 생성되는 폴리머의 분자량이나 중합 활성을 제어할 목적으로, 수소를 첨가해도 된다. 첨가하는 수소의 양은, 전술한 4-메틸-1-펜텐의 양과 전술한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의 양의 합계 1kg에 대해서, 0.001∼100NL 정도가 적절하다.
<무기 충전재(B)>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에 더하여 무기 충전재(B)를 포함한다. 이 무기 충전재(B)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충분한 충격 강도를 부여함과 함께, 충분한 중량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무기 충전재(B)는, 무기계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본 블랙 또는 그래파이트 혹은 실레인 커플링제 등에 의해 표면 처리가 실시된 카본 블랙, 미분 규산, 실리카(연무질 실리카, 침강성 실리카, 규조토 및 석영 등을 포함한다), 알루미나, 산화 철, 페라이트, 산화 마그네슘, 산화 타이타늄, 삼산화 안티모니, 산화 지르코늄, 산화 바륨 및 산화 칼슘 등을 포함하는 산화물계 필러, 수산화 알루미늄 및 수산화 마그네슘 등을 포함하는 수산화물계 필러, 규산 알루미늄(클레이), 규산 마그네슘(탤크), 마이카, 카올린, 규산 칼슘, 유리 섬유, 유리 플레이크, 유리 비즈 등을 포함하는 규산염계 필러, 규조토 및 석회암 등을 포함하는 퇴적암계 필러, 몬모릴론석(몬모릴로나이트), 마그네시안 몬모릴론석, 철 몬모릴론석, 철 마그네시안 몬모릴론석, 바이델라이트, 알루미니안 바이델라이트, 논트론석, 알루미니안 논트로나이트, 사포석(사포나이트), 알루미니안 사포석, 헥토라이트, 소코나이트, 스티븐사이트, 및 벤토나이트 등을 포함하는 점토 광물계 필러, 페라이트, 철 및 코발트 등을 포함하는 자성계 필러, 은, 금, 구리 및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하는 도전성 필러, 질화 알루미늄, 질화 붕소, 실리콘 카바이드 등을 포함하는 열전도성 필러, 황산 알루미늄, 황산 마그네슘, 황산 바륨, 황산 칼슘 등을 포함하는 황산염계 필러, 아황산 칼슘 등을 포함하는 아황산염계 필러, 탄산 칼슘, 염기성 탄산 마그네슘, 돌로마이트, 타이타늄산 바륨, 타이타늄산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에서도, 본 발명에 사용하는 무기 충전재(B)로서는, 실리카, 황산 마그네슘, 황산 바륨, 탄산 칼슘, 수산화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및 탤크가 바람직하고, 황산 마그네슘, 황산 바륨, 탄산 칼슘, 산화 마그네슘, 및 탤크가 보다 바람직하고, 황산 마그네슘, 황산 바륨, 탄산 칼슘, 및 탤크가 더 바람직하며, 성능, 취급 용이성, 공급 안정성, 가격 등의 관점에서, 황산 바륨, 탄산 칼슘, 및 탤크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 무기 충전재(B)는,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혹은 본 발명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무기 충전재(B)의 입경은,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와의 성형 가공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μm∼10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μm∼80μm, 더 바람직하게는 0.01μm∼50μm이다.
무기 충전재(B)의 입경이란, 공지된 방법인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를 이용한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로 측정되는 적산%의 분포 곡선으로부터 얻어지는 50% 평균 입자경(d50)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무기 충전재(B)의 첨가량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무기 충전재(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해서 10∼50질량부이다. 상기 첨가량은,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가 중량감 및 충분한 충격 강도를 얻는 점에서 일정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 이상이다. 한편,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가 높은 응력 완화성, 즉, 탄성 변형된 후에 천천히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하는 보형성의 점에서 일정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부 이하이다.
한편, 무기 충전재(B)가 2종 이상인 경우, 무기 충전재(B)의 합계의 첨가량에 대하여, 상기 수치 범위가 적용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및 상기 무기 충전재(B)에 더하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가 포함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과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 및 후술하는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는, 모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요구되는 상기 tanδ 피크 온도를 0℃ 이상 60℃ 이하의 범위로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형적이고 또한 적합한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과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 중 어느 한쪽만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상기 무기 충전재(B)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을 포함하지만,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는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상기 무기 충전재(B)와,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를 포함하지만,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은 포함하지 않는다.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계 중합체, 프로필렌계 중합체, 뷰텐계 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3∼20의 α-올레핀과 환상 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스타이렌, 아세트산 바이닐,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등의 각종 바이닐 화합물을 코모노머로 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에틸렌계 엘라스토머, 및 폴리에틸렌을 하드 세그먼트로서 포함하는 해도(海島) 구조를 갖는 에틸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각종 에틸렌계 엘라스토머;
프로필렌과 탄소 원자수 4∼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4∼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탄소 원자수 4∼20의 α-올레핀과 환상 올레핀의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및 폴리프로필렌을 하드 세그먼트로서 포함하는 해도 구조를 갖는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각종 프로필렌계 엘라스토머; 및,
1-뷰텐과 탄소 원자수 5∼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1-뷰텐과 탄소 원자수 5∼20의 α-올레핀과 환상 올레핀의 공중합체 등의 1-뷰텐계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뷰텐계 엘라스토머, 및 폴리뷰텐을 하드 세그먼트로서 포함하는 해도 구조를 갖는 뷰텐계 엘라스토머 등의 각종 뷰텐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에틸렌계 공중합체」란,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구체적으로는, 에틸렌을 5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말하고, 「프로필렌계 공중합체」란,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을 5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말하며, 「뷰텐계 공중합체」란, 뷰텐을 주성분으로 하는(구체적으로는, 뷰텐을 5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상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말한다.
본 발명의 적합한 태양의 하나에 있어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은, 프로필렌과 에틸렌과 탄소 원자수 4∼20의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이며, 그 적합한 예로서, 프로필렌과 에틸렌과 뷰텐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은, 1종 단독이어도 되고, 혹은 2종류 이상의 조합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은, 미변성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여도 되고, 혹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산 무수물기, 카복실기, 아미노기, 이미노기, 알콕시실릴기, 실란올기, 실릴 에터기, 하이드록실기 및 에폭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작용기로 변성시킨 변성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여도 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태양의 하나에 있어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은, 미변성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다.
상기 중에서도,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로서는, 프로필렌계 공중합체가,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상기 무기 충전재(B)와의 혼련성, 및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서 용이하게 성형 가공할 수 있고, 유연성을 갖는 성형체가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로서는, 예를 들면, 경질부(또는 결정부)가 되는 폴리스타이렌 블록과, 연질부(또는 비정부)가 되는 다이엔계 모노머 블록의 블록 공중합체이며, 경질부는 연질부의 양 말단에 있어도 된다.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로서는,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SBS), 수첨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수첨 스타이렌·뷰타다이엔 고무)(HSBR),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EPS), 스타이렌·에틸렌·뷰텐·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타이렌·아이소뷰틸렌·스타이렌 공중합체(SIBS), 스타이렌·아이소뷰틸렌 공중합체(SIB), 스타이렌·에틸렌·뷰텐·스타이렌·스타이렌 공중합체(SEBSS)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할 수 있는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는, 1종 단독이어도 되고, 혹은 2종류 이상의 조합이어도 된다.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로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HSBR로서는, JSR(주)제 다이나론(등록상표)을 들 수 있다. SEPS란,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SIS)를 수소 첨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SIS로서는, JSR(주)제 JSR SIS(등록상표), (주)구라레이제 하이브라(등록상표), 크레이톤 폴리머 재팬(주)제 크레이톤 D(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SEPS로서는, (주)구라레이제 세프톤(등록상표), 또는 크레이톤 폴리머 재팬(주)제 크레이톤(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SEBS로서는, 아사히 가세이(주)제 터프텍 H 시리즈(등록상표), 크레이톤 재팬 폴리머(주)제 크레이톤(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SEBSS로서는, 연질부에도 스타이렌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아사히 가세이(주)제 S.O.E.(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SIB 및 SIBS로서는, (주)가네카제 시브스타(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스타이렌계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 등 타 수지를 조합하여 콤파운드된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미쓰비시 케미컬(주)제 테파블록(등록상표), 구라레이 플라스틱스(주)제 어네스톤(등록상표), 아론카세이(주)제 엘라스토머 AR 시리즈(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첨가량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첨가량은,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상기 무기 충전재(B)와,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해서 5∼49질량부이다. 상기 첨가량은, 상기 수지 조성물의 tanδ 피크 온도를 0℃ 이상 60℃ 이하의 범위로 조정하는 점에서 일정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이다. 한편, 상기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가 탄성 변형된 후에 천천히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하는 보형성의 점에서 일정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부 이하이다.
여기에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가 2종 이상인 경우(즉,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로서 2종 이상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이용되는 경우, 및 상기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로서 2종 이상의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이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합계의 첨가량에 대하여, 상기 수치 범위가 적용된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상기 무기 충전재(B)와,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상기 무기 충전재(B)와,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단,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에도, 상기 무기 충전재(B)에도,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에도 해당하지 않는 그 밖의 성분(이하, 「그 밖의 성분」)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그 밖의 성분」으로서, 공지된 첨가제를 들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연화제, 이형 부여제, 산화 방지제, 난연제, 자외선 흡수제, 계면활성제, 대전 방지제, 안료, 염료, 슬립제, 내후성 안정제, 내열 안정제, 적외선 흡수제, 안티블로킹제, 방담제, 활제, 가소제, 노화 방지제, 염산 흡수제, 결정핵제, 방미제, 항균제, 및 유기 충전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첨가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혹은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연화제의 예로서는, 프로세스 오일, 윤활유, 파라핀, 유동 파라핀,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석유 아스팔트 및 바셀린 등을 포함하는 석유계 물질, 콜 타르 및 콜 타르 피치 등을 포함하는 콜 타르류, 피마자유, 아마씨유, 유채씨유, 대두유 및 야자유 등을 포함하는 지방유, 톨유, 밀랍, 카르나우바 납 및 라놀린 등을 포함하는 납류, 리시놀레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12-수산화 스테아르산, 몬탄산, 올레산 및 에루크산 등을 포함하는 지방산 또는 그의 금속염, 석유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및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등을 포함하는 합성 고분자, 다이옥틸 프탈레이트, 다이옥틸 아디페이트 및 다이옥틸 세바케이트 등을 포함하는 에스터계 가소제,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액상 폴리뷰타다이엔 또는 그의 변성물 혹은 수첨물, 및 액상 싸이오콜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연화제를 들 수 있다.
추가로, 연화제로서는, 방향족 카복실산 에스터(프탈산 다이뷰틸 등), 지방족 카복실산 에스터(메틸 아세틸 리시놀레이트 등), 지방족 다이카복실산 에스터(아디프산-프로필렌 글라이콜계 폴리에스터 등), 지방족 트라이카복실산 에스터(시트르산 트라이에틸 등), 인산 트라이에스터(인산 트라이페닐 등), 에폭시 지방산 에스터(스테아르산 에폭시 뷰틸 등), 석유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형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면, 고급 지방산의 저급(탄소 원자수 1∼4) 알코올 에스터(스테아르산 뷰틸 등), 지방산(탄소 원자수 4∼30)의 다가 알코올 에스터(경화 피마자유 등), 지방산의 글라이콜 에스터, 유동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페놀계(2,6-다이-t-뷰틸-4-메틸페놀 등), 다환 페놀계(2,2'-메틸렌비스(4-메틸-6-t-뷰틸페놀), 그 밖의 메틸렌 가교화 다환 페놀 등), 인계(테트라키스(2,4-다이-t-뷰틸페닐)-4,4-바이페닐렌다이포스포네이트 등), 아민계(N,N-다이아이소프로필-p-페닐렌다이아민 등) 등을 들 수 있다.
난연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인산 암모늄, 에틸렌비스트리스(2-사이아노에틸)포스포늄 클로라이드, 트리스(트라이브로모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트라이브로모페닐)포스페이트, 트리스(3-하이드록시프로필)포스핀 옥사이드 등의 인산 에스터 및 그 밖의 인 화합물, 염소화 파라핀, 염소화 폴리올레핀, 퍼클로로사이클로펜타데케인 등의 염소계 난연제, 헥사브로모벤젠, 에틸렌비스다이브로모노보네인다이카복시이미드,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유도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S, 및 테트라브로모다이펜타에리트리톨 등의 브로민계 난연제,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트라이아졸계, 벤조페논계, 살리실산계, 아크릴레이트계 등을 들 수 있다.
항균제로서는, 4급 암모늄염, 피리딘계 화합물, 유기산, 유기산 에스터, 할로젠화 페놀, 유기 아이오딘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양성의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고급 알코올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지방산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고급 알킬아민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 등의 폴리에틸렌 글라이콜형 비이온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혹은 글리세린의 지방산 에스터, 펜타에리트리톨의 지방산 에스터, 소비트 혹은 소비탄의 지방산 에스터, 다가 알코올의 알킬 에터, 알칸올아민의 지방족 아마이드 등의 다가 알코올형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등의 황산 에스터염, 알킬벤젠설폰산염, 알킬설폰산염, 파라핀설폰산염 등의 설폰산염, 고급 알코올 인산 에스터염 등의 인산 에스터염 등을 들 수 있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트라이메틸암모늄염 등의 제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활성제로서는, 고급 알킬아미노프로피온산염 등의 아미노산형 양성 계면활성제, 고급 알킬 다이메틸 베타인, 고급 알킬 다이하이드록시에틸 베타인 등의 베타인형 양성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대전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전술한 계면활성제, 지방산 에스터,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를 들 수 있다. 지방산 에스터로서는 스테아르산이나 올레산의 에스터 등을 들 수 있고, 고분자형 대전 방지제로서는 폴리에터 에스터 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무기 안료(산화 타이타늄, 산화 철, 산화 크로뮴, 황화 카드뮴 등), 유기 안료(아조레이크계, 싸이오인디고계, 프탈로사이아닌계, 안트라퀴논계)를 들 수 있다. 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아조계, 안트라퀴논계, 트라이페닐메테인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안료 및 염료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해서, 통상 5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1∼3질량부이다.
슬립제로서는, 예를 들면, 왁스(카르나우바 납 왁스 등), 고급 지방산(스테아르산 등), 고급 지방산염(스테아르산 칼슘 등), 고급 알코올(스테아릴 알코올 등), 고급 지방산 아마이드(스테아르산 아마이드, 에루크산 아마이드 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각종 첨가제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도에 따라,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에 대해서, 각각 합계로, 0.01∼3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전형적이고 또한 예시적인 태양으로서, 이하의 (X1)∼(X4)에 나타내는 것을 들 수 있다:
(X1)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상기 무기 충전재(B)와,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X2)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상기 무기 충전재(B)와, 상기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X3)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상기 무기 충전재(B)와,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과, 상기 각종 첨가제만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X4)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상기 무기 충전재(B)와, 상기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와, 상기 각종 첨가제만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
한편,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이 「그 밖의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그 밖의 성분」의 합계량은,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상기 무기 충전재(B)와,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합계량 100질량부에 대해서, 0.01∼3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0.1∼3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없고, 예를 들면, 종래 공지된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상기 무기 충전재(B)와,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와, 옵셔널인 상기 「그 밖의 성분」을 공지된 혼합기를 이용하여, 드라이 블렌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혼합기로서, 예를 들면, 헨셸 믹서, 텀블러 블렌더, V-블렌더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혼합기로 드라이 블렌딩한 후, 예를 들면, 180∼250℃의 온도 설정하에서, 단축 압출기, 2축 압출기, 밴버리 믹서, 니더, 롤 밀 등에 의해 용융 혼련 후, 조립(造粒) 혹은 분쇄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그들 중에서도, 각 성분의 혼합성이나 생산성의 관점에서, 2축 압출기나 밴버리 믹서에 의한 용융 혼련이 바람직하다. 그들 방법에 의해, 각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 분산된 고품질인 펠릿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무기 충전재(B)는,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등의 수지 성분과의 혼합물, 예를 들면, 상기 무기 충전재(B)와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등의 수지 성분을 미리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마스터배치의 형태로 이용해도 된다.
<성형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성형체는, 전술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성형체로서, 예를 들면, 완구, 일용 잡화, 이어피스 부재 외에, 시트상의 성형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체의 제조 방법에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없고, 예를 들면, 종래 공지된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사출 성형, 압출 성형, 압축 성형, 3D 조형, 마이크로파 가열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그와 같은 성형 방법 중에서도, 소요의 금형에 의한 사출 성형이 바람직하고, 그와 같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적합하게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시트상의 성형체를 얻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T 다이를 장착한 압출 시트 성형이 바람직하다. T 다이를 장착한 단축 압출기 혹은 2축 압출기로, 실린더 온도 180∼250℃, 캐스팅 롤 온도 20∼80℃에서 제막하여,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시트의 두께는, 그 용도에도 따르지만, 통상 10∼1000μm, 바람직하게는 20∼500μm이면, 시트 성형 시에 핀홀이 생기지 않아, 충분한 기계 강도가 얻어지고, 시트의 양산성에도 유리하다.
또한, 시트의 표면에는 엠보싱 가공을 실시해도 되고, 시트 성형 시 또는 시트 성형 후에 연신해도 된다. 추가로, 시트의 잔류 응력을 제거할 목적으로, 수지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어닐링 처리를 행해도 된다.
<성형체의 용도>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는, 실온 영역에서의 높은 응력 완화성에 의한 피트감 향상에 더하여, 탄성 변형된 후에 천천히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는, 예를 들면, 일용 잡화, 완구, 이어피스 부재, 및 시트뿐만 아니라, 종래 공지인 자동차용 자재, 의류용 자재, 위생용 자재, 건축용 자재, 스포츠용 자재, 생활용 자재, 레저용 자재, 산업용 자재, 전자 재료용 자재 등에 유용하다.
또한, 가정 용품의 분야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식품 등을 넣는 용기, 포크나 스푼(특히, 포크나 스푼의 손잡이나 그립), 접시 등의 식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고, 중량감이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도자기를 대신하는 용기나 식기로서 유용하다.
도자기를 이용하는 다른 용도, 예를 들면, 램프 셰이드나 화병 등의 일용 잡화, 특정한 음향 스피커의 구조 부재, 세면대나 변기 등의 물 주변 제품 등으로의 전개도 가능하다. 도자기 이외에도, 중량감을 부여할 수 있는 특징을 활용하여, 예를 들면, 플라스틱 모델 등의 모형, 악기용 부재, 타일, 인공 대리석 대체품, 건축용 부재 등으로도 전개가 가능하다. 또한, 덮개 부착 용기(에어리스 용기 등을 포함한다), 화장품 컴팩트 등의 용기로서 유용하다. 그 밖에, 성형 가공성과 보형성을 활용하여,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재료로서도 유용하다.
나아가, 중량감, 촉감 및 의장성 등의 특징을 활용하여, 예를 들면, 이어피스 부재로서도 유용하다. 귀 속에 보청기가 적절히 장착되어, 안정되고 또한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디바이스의 휴대를 가능하게 하는 웨어러블 기기가 진전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커넥터를 이용하여 음향 기기와 접속, 혹은 Bluetooth나 Wi-Fi, 적외선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청취하는 이어폰 부재로도 유용하다. 귀에 대한 압력이 감소되고, 과도한 이어폰의 움직임을 방지하므로, 피트감이나 쾌적성이 얻어진다. 또한, 스마트워치의 밴드 부재로서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무기물의 충전성 및 추종성 등의 특징을 살려, 예를 들면 전자 정보 재료의 방열재로서도 유용하다. 특히 최근에는 반도체 회로의 고정세화에 의해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는 열량이 많아져 방열재에 의한 효율화가 필요해지게 되지만, 밀착성, 추종성을 살려 효율적으로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수지의 물성 측정 방법, 사용 수지, 시험편의 제작 방법 및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지의 물성 측정 방법]
<구성 단위의 함유율>
폴리머 중의 4-메틸-1-펜텐, 및 α-올레핀 함량의 정량화는, 이하의 장치 및 조건에 의해 13C-NMR로 측정한 결과를 토대로 했다. 단, 본 측정 결과의 α-올레핀 함량에는, 4-메틸-1-펜텐의 함량은 포함되지 않는다.
니혼 덴시(주)제 ECP500형 핵자기 공명 장치를 이용하고, 오쏘다이클로로벤젠/중수소화 벤젠(80/20용량%) 혼합 용매, 시료 농도 55mg/0.6mL, 측정 온도 120℃, 관측핵은 13C(125MHz), 시퀀스는 싱글펄스 프로톤 디커플링, 펄스 폭은 4.7μ초(45° 펄스), 반복 시간은 5.5초, 적산 횟수는 1만회 이상, 27.50ppm을 케미컬 시프트의 기준치로 하여 측정했다. 얻어진 13C-NMR 스펙트럼에 의해, 4-메틸-1-펜텐·α-올레핀(A)의 조성을 정량화했다.
<극한 점도>
우벨로데 점도계를 이용하여, 데칼린 중 135℃에서 측정한 값이다. 중합 파우더, 및 펠릿 또는 수지괴(塊)를 약 20mg 채취하고, 데칼린 15mL에 용해하고, 얻어지는 데칼린 용액에 대하여, 135℃로 가열한 오일 배스 중에서 비점도 ηsp를 측정했다. 이 데칼린 용액에 데칼린 용매를 5mL 추가하여 희석 후, 동일하게 비점도 ηsp를 측정했다. 이 희석 조작을 추가로 2회 반복하여, 농도(C)를 제로로 외삽했을 때의 ηsp/C의 값을 극한 점도 [η]로서 산출했다(아래 식 참조).
[η]=lim(ηsp/C) (C→0)
<중량 평균 분자량(Mw), 수 평균 분자량(Mn), 분자량 분포(Mw/Mn값)>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로서 Waters사제 ALC/GPC150-C plus형(시차 굴절계 검출기 일체형)을 이용하고, 분리 칼럼으로서 도소(주)제 GMH6-HT를 2개, 및 GMH6-HTL을 2개 직렬 접속하여 이용하고, 이동상 매체로서 o-다이클로로벤젠, 산화 방지제로서 0.025질량%의 다이뷰틸하이드록시톨루엔(다케다 약품 공업(주)제)을 이용하며, 이동상 매체를 1.0mL/분으로 이동시키고, 시료 농도는 15mg/10mL로 하고, 시료 주입량은 500μL로 하고, 검출기는 시차 굴절계를 이용했다. 표준 폴리스타이렌으로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 이상, 4,000,000 이하에 있어서, 도소(주)제의 표준 폴리스타이렌을 이용했다.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표준 폴리스타이렌 샘플을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해서 해석함으로써, 중량 평균 분자량(Mw), 수 평균 분자량(Mn) 및 분자량 분포(Mw/Mn값)를 산출했다. 1샘플당 측정 시간은 60분이었다.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
ASTM D1238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했다.
<융점>
JIS K7121에 준거하여, 세이코 인스트루먼츠(주) 시차 주사 열량계 DSC220C를 이용하고, 승온 속도 10℃/분으로 측정되는 융해 피크 정점의 가장 높은 온도를 융점으로 했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의 밀도>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의 밀도(kg/m3)는, JIS K7112에 준거하여, 밀도 구배관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의 합성>
충분히 질소 치환한 용량 1.5L의 교반 날개 부착 SUS제 오토클레이브에, 23℃에서 n-헥세인 300ml(건조 질소 분위기하, 활성 알루미나 상에서 건조한 것), 4-메틸-1-펜텐 450ml를 장입했다. 이 오토클레이브에, 트라이아이소뷰틸알루미늄(TIBAL)의 1.0mmol/ml 톨루엔 용액을 0.75ml 장입하고 교반했다.
다음으로, 오토클레이브를 내온 60℃까지 가열하고, 전체압(게이지압)이 0.40MPa이 되도록 프로필렌으로 가압했다.
계속해서, 미리 조제해 둔 알루미늄 환산으로 1mmol의 메틸알루미녹세인, 및 0.01mmol의 다이페닐메틸렌(1-에틸-3-t-뷰틸-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2,7-다이-t-뷰틸-플루오렌일)지르코늄 다이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톨루엔 용액 0.34ml를 오토클레이브에 질소로 압입하여, 중합 반응을 개시했다.
중합 반응 중에는, 오토클레이브의 내온이 60℃가 되도록 온도를 조정했다.
중합 개시로부터 60분후, 오토클레이브에 메탄올 5ml를 질소로 압입하여, 중합 반응을 정지시킨 후, 오토클레이브 내를 대기압까지 탈압했다. 탈압 후, 반응 용액에 아세톤을 첨가하면서 교반했다.
얻어진 용매를 포함하는 파우더상의 공중합체를 100℃, 감압하에서 12시간 건조했다. 생성물인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의 중량은 36.9g이고, 공중합체 중의 4-메틸-1-펜텐 함유량은 72.3mol%, 프로필렌 함유량은 27.7mol%였다. DSC 측정을 행한 바, 융점은 관측되지 않았다. 각 물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의 동적 점탄성 측정>
전술한 방법으로 얻어진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를 SUS제 형틀에 소정량 충전하고, 가열반 200℃로 설정한 유압식 열프레스기(간사이 롤사제 PEWR-30)를 이용하여, 예열 7분간, 게이지압 10MPa에서 2분간 가압한 후, 20℃로 설정한 냉각반으로 바꾸어 옮기고, 게이지압 10MPa에서 압축하고 3분간 냉각하여, 두께 2.0mm의 측정용 프레스 시트를 제작했다.
다음으로, 전술한 방법으로 얻어진 두께 2.0mm의 측정용 프레스 시트로부터, 길이 35mm×폭 10mm의 치수로 타발 가공한 시험편을 제작하고, 레오미터(안톤 파사제 MCR301)에 의해, 토션 모드, 주파수 10rad/s(1.6Hz), 왜곡 설정 0.1%, 승온 속도 2℃/분의 조건에서, -40∼150℃에 있어서의 동적 점탄성의 온도 분산을 관측한 바, tanδ 피크치는 2.70, tanδ 피크 온도는 30℃였다.
각 물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무기 충전재(B)>
무기 충전재(B-1)로서, 중질 탄산 칼슘((주)칼파인제 KS-1000: 50% 평균 입자경 4.2μm)을 사용했다.
<무기 충전재(B-2)>
무기 충전재(B-2)로서, 황산 바륨(사카이 화학 공업 주식회사, 평균 입자경 10.0μm)을 사용했다.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로서, 이하의 3종을 사용했다.
(C1-1): 미쓰이 화학(주)제 타프머 PN-2060(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 ASTM D1238 준거, 온도 230℃, 하중 2.16kg) 6g/10분, 밀도 868kg/m3, 융점 160℃, 표면 경도(ASTM D2244 준거) 쇼어 A 84)
(C1-2): 미쓰이 화학(주)제 미쓰이 EPT3072EPM(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 ASTM D1238 준거, 온도 190℃, 하중 2.16kg) 1.0g/10분, 밀도 880kg/m3, 융점 관측되지 않음)
(C1-3): 미쓰이 화학(주)제 미쓰이 EPT K-9720M(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 ASTM D1238 준거, 온도 190℃, 하중 2.16kg) 0.5g/10분, 밀도 870kg/m3, 융점 관측되지 않음)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로서, 이하의 4종을 사용했다.
(C2-1): 아사히 가세이(주)제 터프텍 H1052(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 ASTM D1238 준거, 온도 230℃, 하중 2.16kgf) 13g/10분, 밀도 0.89g/cm3, 표면 경도(ASTM D2244 준거) 쇼어 A 67),
(C2-2): 아사히 가세이(주)제 터프텍 H1272(밀도 0.90g/cm3, 표면 경도(ASTM D2244 준거) 쇼어 A 35, 유전 조성물),
(C2-3): 구라레이 플라스틱스(주)제 어네스톤 CJ001N(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 ASTM D1238 준거, 온도 230℃, 하중 2.16kgf) 2g/10분, 밀도 0.90g/cm3, 표면 경도(ASTM D2244 준거) 쇼어 A 40),
(C2-4): 구라레이 플라스틱스(주)제 어네스톤 JS20N(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 ASTM D1238 준거, 온도 190℃, 하중 2.16kgf) 15g/10분, 밀도 0.89g/cm3, 표면 경도(JIS K6253-3 준거) 쇼어 E 20)
(C2-5): 아사히 가세이(주)제 S.O.E. S1613(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 ASTM D1238 준거, 온도 230℃, 하중 2.16kgf) g/14분, 밀도 0.93g/cm3, 표면 경도(ASTM D2244 준거) 쇼어 A 46),
한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 및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에 대하여, 표현 「쇼어 A」 및 「쇼어 E」의 직후에 있는 수치는, 각각 쇼어 A 경도 및 쇼어 E 경도에서의 값이다.
<프로필렌계 수지(E)>
프로필렌계 수지(E)로서, 프로필렌 호모폴리머인 (주)프라임 폴리머제 J105G(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 ASTM D1238 준거, 온도 230℃, 하중 2.16kg) 9g/10분, 융점 162℃)를 사용했다.
<수지 조성물의 제작>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펠릿화를 목적으로 하는 단축 압출기가 마련된 밴버리 믹서((주)고베 세이코쇼 BB-L1800: 접선식 4날개 로터, 혼련조 용적 1.63L)를 사용했다. 밴버리 믹서의 호퍼에는, 미리 드라이 블렌딩된 각종의 수지 성분을 소정량 투입하여, 플로팅 웨이트에 의해 믹싱 챔버 내에 밀어 넣고, 상기 무기 충전재(B)의 소정량을 호퍼 사이드 플레이트로부터 투입했다. 온도 설정 220℃, 로터 회전수 80rpm의 조건에서 용융 혼련하고, 그 용융 상태를 유지한 혼련물을 단축 압출기로 이송하고, 원형 구멍을 갖는 다이(펠리타이징 헤드), 냉각 수조 및 펠리타이저를 이용하여 조립해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 조성물의 펠릿은 균일하게 혼합 분산되어 있고, 펠릿의 직경은 2.5∼3.0mm였다.
<성형체의 제작>
수지 조성물의 재료 구성에 기초한 성형체의 물성 평가로서, 사출 성형기(도시바 기계(주)제 ES75SXIII; 형 체결력 735kN, 스크루 직경 Φ32mm)를 이용하여, 길이 120mm×폭 130mm×두께 2mm의 각판(角板) 및 기계 물성 측정용의 ASTM D638에 준거한 두께 3mm의 덤벨(덤벨형 성형체 시험편)을 제작했다. 한편, 주된 성형 조건은 이하와 같다.
·실린더 설정 온도: 220∼240℃
·스크루 회전수: 100rpm
·사출 압력: 30∼40MPa
·사출 속도: 25∼30mm/초
·금형 온도: 30∼60℃(각판의 경우는 40℃)
·냉각 시간: 30∼60초(각판의 경우는 40초)
성형체의 물성 평가
<동적 점탄성의 측정>
전술한 방법으로 얻어진 두께 2.0mm의 성형체로부터, 길이 35mm×폭 10mm의 치수로 타발 가공한 시험편을 제작하고, 레오미터(안톤 파사제 MCR301)를 사용하여, 토션 모드, 주파수 10rad/s(1.6Hz), 왜곡 설정 0.1%, 승온 속도 2℃/분의 조건에서, -40∼150℃의 온도 분산에 있어서의 tanδ 피크 온도 및 tanδ 피크치를 관측했다.
<성형체의 밀도>
전술한 방법으로 얻어진 두께 2mm(2.0mm)의 성형체(각판)로부터, 길이 62mm×폭 13mm의 치수로 타발 가공한 시험편을 제작하고, JIS K7112에 준거하는 수중 치환법에 의해, 성형체의 밀도(g/cm3)를 측정했다.
<표면 경도>
전술한 방법으로 얻어진 두께 2mm(2.0mm)의 성형체(각판)를 3매 겹쳐 시험편으로 하고, ASTM D2244에 준거하여, 23℃에서 경도계의 압침을 시험편의 표면에 누른 직후와 15초 후의 각각에 대하여, 쇼어 A 경도를 각각 측정했다. 통상, 쇼어 A 90 이상에서는, 쇼어 D의 경도계로 변경하여 측정하지만, 압침의 압력을 받은 경시 변위를 파악할 목적으로, 쇼어 A 90 이상에서도 경도계를 변경하지 않고 측정했다.
얻어진 각각의 쇼어 A 경도의 값을 토대로, 아래 식에 기초하여 ΔHS의 값을 산출했다.
ΔHS=(압침 접촉 개시 직후의 쇼어 A 경도치-압침 접촉 개시로부터 15초 후의 쇼어 A 경도치)
<기계 물성>
성형체의 인장 강도 및 인장 탄성률은, 상기 덤벨형 성형체 시험편을 이용하여 인장 시험에 의해 측정했다. 인장 시험은, 주식회사 인테스코제 5스트랜드 인장 시험기 2005X-5를 이용하여, ASTM D638에 준거해서 23℃에 있어서, 시험 속도 50mm/분으로 행했다.
<성형 수축률>
수축률은, 상기 두께 2.0mm의 성형체(각판)를 이용하여, 사출 금형의 길이와의 차를 4변에 대하여 측정하고, 금형의 길이에 대한 치수 변화를 이용하여 산출했다.
〔실시예 1〕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32질량부와, 무기 충전재(B-1) 48질량부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 20질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재료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과 같이 용융 혼련을 행하여 펠릿을 얻었다.
이어서, 그 펠릿을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과 같이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전술에서 기재한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사용하는 수지 및 무기 충전재(B-1)의 배합량을, 표 2-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사용하는 수지 중,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을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1)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사용하는 수지 중,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을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2)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사용하는 수지 및 무기 충전재(B-1)의 배합량을, 표 2-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30질량부와, 무기 충전재(B-1) 40질량부와,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3) 30질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재료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과 같이 용융 혼련을 행하여 펠릿을 얻었다.
이어서, 그 펠릿을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과 같이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전술에서 기재한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사용하는 수지 및 무기 충전재(B-1)의 배합량을, 표 2-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1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사용하는 수지 중,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3)을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2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사용하는 수지 및 무기 충전재(B-1)의 배합량을, 표 2-2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2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사용하는 수지 및 무기 충전재(B-1)의 배합량을, 표 2-2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2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40질량부와, 무기 충전재(B-1) 30질량부와,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5) 30질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재료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과 같이 용융 혼련을 행하여 펠릿을 얻었다.
이어서, 그 펠릿을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과 같이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전술에서 기재한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2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40질량부와, 무기 충전재(B-2) 30질량부와,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5) 30질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재료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과 같이 용융 혼련을 행하여 펠릿을 얻었다.
이어서, 그 펠릿을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과 같이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전술에서 기재한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2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50질량부와, 무기 충전재(B-1) 40질량부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2) 10질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재료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과 같이 용융 혼련을 행하여 펠릿을 얻었다.
이어서, 그 펠릿을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과 같이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전술에서 기재한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2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사용하는 수지 및 무기 충전재(B-1)의 배합량을, 표 2-2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2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50질량부와, 무기 충전재(B-1) 40질량부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3) 10질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재료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과 같이 용융 혼련을 행하여 펠릿을 얻었다.
이어서, 그 펠릿을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과 같이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전술에서 기재한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3에 나타낸다.
〔실시예 16〕
사용하는 수지 및 무기 충전재(B-1)의 배합량을, 표 2-3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5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3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수지 조성물의 재료 구성으로서,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단독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3에 나타낸다.
〔비교예 2〕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30질량부와, 무기 충전재(B-1) 70질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재료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과 같이 용융 혼련을 행하여 펠릿을 얻었다.
이어서, 그 펠릿을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과 같이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전술에서 기재한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3에 나타낸다.
〔비교예 3〕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40질량부와, 프로필렌계 수지(E) 60질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재료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과 같이 용융 혼련을 행하여 펠릿을 얻었다.
이어서, 그 펠릿을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과 같이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전술에서 기재한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3에 나타낸다.
〔비교예 4〕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30질량부와, 무기 충전재(B-2) 70질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재료 구성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과 같이 용융 혼련을 행하여 펠릿을 얻었다.
이어서, 그 펠릿을 이용하여, 전술한 방법과 같이 성형체 및 각종 시험편을 제작하고, 전술에서 기재한 물성 평가를 행했다. 그 결과를 표 2-3에 나타낸다.
[표 2-1]
[표 2-2]
[표 2-3]
표 2-1∼표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6에서 얻어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는, 주파수 10rad/s(1.6Hz)에 의한 동적 점탄성(-40∼150℃의 온도 범위)으로 측정되는 tanδ 피크 온도가 0℃ 이상 60℃ 이하, tanδ 피크치가 0.6 이상 5.0 이하이기 때문에, 실온 영역에서의 응력 완화성이 우수하여, 탄성 변형된 후에 천천히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한다. 또한, 밀도가 1.0g/cm3 이상 5.0g/cm3 이하로, 중량감이 있는 성형체가 얻어졌다. 나아가, 표면 경도의 측정에 의하면, 직후와 15초 후에 있어서의 경도의 변위가 크기 때문에, 부드러운 감촉을 인식할 수 있는 성형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는, 일용 잡화, 완구 및 이어피스 부재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일용 잡화로서는, 예를 들면, 식품 등을 넣는 용기, 포크나 스푼(특히, 포크나 스푼의 손잡이나 그립), 및 접시 등의 식기류, 덮개 부착 용기, 화장품 컴팩트 등의 용기를 들 수 있다. 완구로서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모델 등의 모형을 들 수 있다. 이어피스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보청기용 부재, 이어폰 부재를 들 수 있다. 그 밖에 예를 들면, 방열재 등을 들 수 있다.

Claims (9)

  1. 이하의 요건(d) 및 요건(e) 중 적어도 1개의 요건을 만족시키는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 15∼50질량부와,
    무기 충전재(B) 10∼50질량부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 5∼49질량부(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와, 무기 충전재(B)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의 합계량을 100질량부로 한다)
    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1)과 스타이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고, 또한
    이하의 요건(a)∼(c)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a) -40∼150℃의 온도 범위에서, 주파수 10rad/s(1.6Hz)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구해지는 손실 정접 tanδ의 값이 최대가 될 때의 온도(이하, tanδ 피크 온도라고도 한다.)가, 0℃ 이상 60℃ 이하이다.
    (b) -40∼150℃의 온도 범위에서, 주파수 10rad/s(1.6Hz)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구해지는 손실 정접 tanδ의 최대치(이하, tanδ 피크치라고도 한다.)가, 0.6 이상 5.0 이하이다.
    (c) 밀도가, 1.0g/cm3 이상 5.0g/cm3 이하이다.
    (d) 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 55∼90몰%와,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 10∼45몰%(4-메틸-1-펜텐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와 탄소 원자수 2∼4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의 합계를 100몰%로 한다)로 이루어진다.
    (e)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한 융점이 160℃ 이하이거나, 또는 융점이 관측되지 않는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A)가, 이하의 요건(f) 및 (g)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f) -40∼150℃의 온도 범위에서, 주파수 10rad/s(1.6Hz)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구해지는 tanδ 피크 온도가, 15℃ 이상 45℃ 이하이다.
    (g) -40∼150℃의 온도 범위에서, 주파수 10rad/s(1.6Hz)에 의한 동적 점탄성 측정으로 구해지는 tanδ 피크치가, 0.6 이상 5.0 이하이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재(B)가, 탄산 칼슘, 황산 마그네슘, 황산 바륨, 산화 마그네슘 및 탤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전재(B)의 평균 입자경이, 0.01∼1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일용 잡화.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완구.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이어피스 부재.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시트.
KR1020237025374A 2021-01-25 2022-01-20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KR202301247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09498 2021-01-25
JP2021009498 2021-01-25
PCT/JP2022/001920 WO2022158511A1 (ja) 2021-01-25 2022-01-20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712A true KR20230124712A (ko) 2023-08-25

Family

ID=8254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5374A KR20230124712A (ko) 2021-01-25 2022-01-20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84119A1 (ko)
EP (1) EP4282888A1 (ko)
JP (1) JPWO2022158511A1 (ko)
KR (1) KR20230124712A (ko)
CN (1) CN116724084A (ko)
TW (1) TW202237731A (ko)
WO (1) WO2022158511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1378A (ja) 1998-03-05 2001-03-21 Run Men Environment Friendly Paper Prod Hong Kong Holdings Ltd 環境に優しい紙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組成物
JP2003026866A (ja) 2001-07-16 2003-01-29 Maruo Calcium Co Ltd オレフィン系樹脂シート用添加剤、及びそれを配合してなるシート用樹脂組成物
WO2018092494A1 (ja) 2016-11-17 2018-05-24 株式会社Tbm ペレットを製造する方法、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ペレ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34433C (zh) 1999-10-08 2008-11-19 三井化学株式会社 茂金属化合物及制备方法、烯烃聚合催化剂、聚烯烃及制备方法
WO2001053369A1 (fr) 2000-01-21 2001-07-26 Mitsui Chemicals, Inc. Copolymeres blocs d'olefine, procedes de fabrication et utilisation
KR101408423B1 (ko) 2009-11-06 2014-06-17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4-메틸-1-펜텐·α-올레핀 공중합체, 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4-메틸-1-펜텐 공중합체 조성물
EP2902419B1 (en) 2012-09-25 2020-08-19 Mitsui Chemicals, Inc. Method for producing olefin polymer, and olefin polymer
CN107250247B (zh) * 2015-03-06 2020-04-14 三井化学株式会社 交联体及减振材
JP6972573B2 (ja) * 2017-02-20 2021-11-24 Mcppイノベーション合同会社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
JP2019033798A (ja) * 2017-08-10 2019-03-07 三井化学株式会社 月経カップ
JP6947653B2 (ja) * 2018-01-17 2021-10-13 三井化学株式会社 挿耳部材
JP2019130707A (ja) * 2018-01-30 2019-08-08 三井化学株式会社 制振材
JP7189732B2 (ja) * 2018-11-05 2022-12-14 三井化学株式会社 重合体組成物および当該重合体組成物から形成される制振材
KR20220079644A (ko) * 2019-11-15 2022-06-13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1378A (ja) 1998-03-05 2001-03-21 Run Men Environment Friendly Paper Prod Hong Kong Holdings Ltd 環境に優しい紙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組成物
JP2003026866A (ja) 2001-07-16 2003-01-29 Maruo Calcium Co Ltd オレフィン系樹脂シート用添加剤、及びそれを配合してなるシート用樹脂組成物
WO2018092494A1 (ja) 2016-11-17 2018-05-24 株式会社Tbm ペレットを製造する方法、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ペレ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724084A (zh) 2023-09-08
TW202237731A (zh) 2022-10-01
JPWO2022158511A1 (ko) 2022-07-28
EP4282888A1 (en) 2023-11-29
WO2022158511A1 (ja) 2022-07-28
US20240084119A1 (en)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9161T3 (es) Mezclas basadas en aceite de interpolímeros de etileno/-olefinas.
EP1896539B1 (en) Filled tpo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articles prepared from the same
JP5859401B2 (ja) 向上した相溶性を有するエチレン/α−オレフィンの共重合体から製造されるポリマーブレンド
EP2190918B1 (en) Filled tpo compositions with good low temperature ductility
EP1162219A1 (en) Propylene/ethylene block copolymer, blushing-resistant transparent polypropylene resin for molding, elastomer for molding, and molded article obtained from these
CN103517944B (zh) 软聚烯烃组合物及其高填充复合物
EP2432831B1 (en) Thermoplastic elastomers exhibiting superior food contact compliance
KR20130064734A (ko)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를 사용한 열가소성 물질의 충격 개질
BRPI0609817B1 (pt) Mistura de polímeros e artigo moldado flexível
JP6304680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自動車外装部材
JP2022523796A (ja) ポリプロピレン系複合材及びこの製造方法
JP2012040136A (ja) マウスガード用組成物、マウスガード用シートおよびマウスガード
CN108026201B (zh) 使用了氢化嵌段共聚物的管
BRPI0609815B1 (pt) composição polimérica
JP3931725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なる射出成形体
CN114651044B (zh) 树脂组合物和成型体
KR20230124712A (ko) 수지 조성물 및 성형체
JP4019748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なる射出成形体
JP2014189705A (ja) 軟質薄肉容器用ポリエチレン組成物
JP2008115274A (ja) マスターバッチおよ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の製造方法
JP6466189B2 (ja) 積層体およびその用途
US20230287208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JP2006124447A (ja) ポリエチレン系樹脂製射出成形体
TW202222957A (zh) 熱塑性樹脂組成物
KR20220018942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