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070A -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및 당해 수지 조성물의 성형품 - Google Patents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및 당해 수지 조성물의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070A
KR20230124070A KR1020237025448A KR20237025448A KR20230124070A KR 20230124070 A KR20230124070 A KR 20230124070A KR 1020237025448 A KR1020237025448 A KR 1020237025448A KR 20237025448 A KR20237025448 A KR 20237025448A KR 20230124070 A KR20230124070 A KR 20230124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rganic filler
resin
resin composition
carbon atoms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요시무라
준코 야마모토
유스케 다지리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24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07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2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46Polyesters chemically modified by esterification
    • C08G63/50Polyesters chemically modified by esterification by mono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06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무기 필러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수지인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M은 탄소 원자수 3~18의 지방족 모노알코올 잔기, L은 탄소 원자수 2~23의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 A는 탄소 원자수 1~8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잔기 또는 탄소 원자수 6~18의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잔기).

Description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 및 당해 수지 조성물의 성형품
본 발명은,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 및 당해 수지 조성물의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건재, 자동차용 부재, 위생 흡수 물품, 스톤 페이퍼, 방열재 등은,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성형되어 있고, 무기 필러에 의해 내충격성, 내굴곡성, 치수 안정성, 투습성, 방열성 등의 다양한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상기 성형품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및/또는 증량에 의한 코스트다운을 도모하기 위해, 무기 필러의 충전량을 더 증가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수지 조성물 중의 무기 필러의 충전량을 증가시킨 경우, 무기 필러의 유동성이 저하하고, 그와 함께,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도 저하해서,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이 현저하게 훼손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우레탄 방수 상재(床材) 용도에서는, 무기 필러로서 탄산칼슘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탄산칼슘의 충전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점도가 상승해서, 성형성 및 핸들링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었다.
필러 배합에 의해서 조성물의 성형성이 훼손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감점제를 더 첨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한, 필러의 유동성을 개선하는 유동성 개질제를 더 첨가함으로써, 조성물의 유동성을 개선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그러나, 상기 감점제 및 상기 유동성 개질제로서도,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개선 효과는 충분하지 않았다.
일본국 특개2011-79935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8-181959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무기 필러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특정의 구조를 갖는 에스테르 수지가 무기 필러에 대해서 우수한 유동성 개질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아내서,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수지인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일반식(1) 중,
M은 탄소 원자수 3~18의 지방족 모노알코올 잔기이고,
L은 탄소 원자수 2~23의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이고,
A는 탄소 원자수 1~8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잔기 또는 탄소 원자수 6~18의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잔기이고, n은 반복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해, 무기 필러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의 변경을 가해서 실시할 수 있다.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는,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수지이다.
이하,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인 에스테르 수지를 「본 발명의 에스테르 수지」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식(1) 중,
M은 탄소 원자수 3~18의 지방족 모노알코올 잔기이고,
L은 탄소 원자수 2~23의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이고,
A는 탄소 원자수 1~8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잔기 또는 탄소 원자수 6~18의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잔기이고,
n은 반복수를 나타낸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한쪽의 말단의 카르복시기가 무기 필러에 흡착하고, 다른쪽의 말단의 지방족 모노알코올 잔기를 포함하는 폴리히드록시카르복시산쇄가 수지 조성물 중의 베이스 수지에 대한 상용성(相溶性)을 담보함으로써, 무기 필러의 유동성을 개질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알코올 잔기」란, 알코올로부터 수산기를 뺀 나머지의의 유기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란, 히드록시카르복시산으로부터 수산기 및 카르복시기를 각각 뺀 나머지의 유기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의 탄소 원자수에 대해서는, 카르복시기 중의 탄소 원자는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카르복시산 잔기란, 디카르복시산으로부터 두 카르복시기를 뺀 나머지의 유기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디카르복시산 잔기의 탄소 원자수에 대해서는, 카르복시기 중의 탄소 원자는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M의 지방족 모노알코올 잔기의 지방쇄는, 직쇄여도 분기상이어도 되고, 지환 구조 및/또는 에테르 결합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M의 지방족 모노알코올 잔기의 지방쇄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갖는 불포화의 지방쇄여도 된다.
M의 탄소 원자수 3~18의 지방족 모노알코올 잔기로서는, 프로판올 잔기, 부탄올 잔기, 펜탄올 잔기, 헥산올 잔기, 시클로헥산올 잔기, 헵탄올 잔기, 옥탄올 잔기, 노난올 잔기, 데칸올 잔기, 운데칸올 잔기, 세탄올(cetanol) 잔기, 스테아릴알코올 잔기 등을 들 수 있다.
M의 탄소 원자수 3~18의 지방족 모노알코올 잔기는,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5~18의 지방족 모노알코올 잔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5~18의 분기 구조를 갖는 지방족 모노알코올 잔기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7~18의 분기 구조를 갖는 지방족 모노알코올 잔기이다.
예를 들면, M이 탄소 원자수 5~18의 분기 알킬기가 되는 지방족 모노알코올 잔기로 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중의 베이스 수지에 대한 상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L의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의 지방쇄는, 직쇄여도 분기상이어도 되고, 지환 구조 및/또는 에테르 결합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L의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의 지방쇄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갖는 불포화의 지방쇄여도 된다.
L의 탄소 원자수 2~23의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로서는,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에난트산, 카프르산, 운데실산, 라우르산, 트리데실산, 미리스트산, 펜타데실산, 팔미트산, 마르가르산, 스테아르산 등의 탄소 원자수 2~23의 지방족 카르복시산의 지방쇄에 수산기가 하나 치환한 히드록시카르복시산의 잔기를 들 수 있고, 구체예로서는 젖산 잔기, 9-히드록시스테아르산 잔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잔기, 6-히드록시카프로산 잔기, 리시놀레산 잔기 등을 들 수 있다.
L의 탄소 원자수 2~23의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는,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2~23의 분기 구조를 갖는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2~23의 분기 구조를 갖는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이다.
예를 들면, L이 탄소 원자수 2~23의 분기의 알킬렌기가 되는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로 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중의 베이스 수지에 대한 상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n개의 L은 1종 단독으로도 되고, 2종 이상이어도 된다.
L은, 예를 들면, 탄소 원자수 12~23의 분기 구조를 갖는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와 탄소 원자수 2~6의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의 양쪽의 병존으로 해도 된다.
L이 탄소 원자수 12~23의 분기 구조를 갖는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인 L1과, 탄소 원자수 2~6의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L2의 병존인 경우, L1과 L2의 존재비(몰비)는 예를 들면, L1:L2=60~95:40~5이다.
A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잔기의 지방쇄는, 직쇄여도 분기상이어도 되고, 지환 구조 및/또는 에테르 결합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A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잔기의 지방쇄는, 포화의 지방쇄여도 되고,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갖는 불포화의 지방쇄여도 된다.
A의 탄소 원자수 1~8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잔기로서는, 말론산 잔기, 숙신산 잔기, 글루타르산 잔기, 아디프산 잔기, 피멜산 잔기, 수베르산 잔기, 아젤라산 잔기, 세바스산 잔기, 말레산 잔기, 푸마르산 잔기, 1,2-디카르복시시클로헥산 잔기, 1,2-디카르복시시클로헥센 잔기 등을 들 수 있다.
A의 탄소 원자수 6~18의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잔기로서는, 프탈산 잔기, 이소프탈산 잔기, 테레프탈산 잔기 등을 들 수 있다.
A는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8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잔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2~4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잔기이다.
n은, 반복수를 나타내고, 당해 반복수의 평균값은, 바람직하게는 2~20의 범위이다.
또, n의 평균값은 폴리에스테르의 수평균 분자량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의 수평균 분자량(Mn)은, 예를 들면, 500~5,000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500~4,000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3,000의 범위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700~3,000의 범위이다.
상기 수평균 분자량(Mn)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 측정에 기해서 폴리스티렌 환산한 값이며,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의 산가는, 바람직하게는 5~120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80의 범위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7~50의 범위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산가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확인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의 성상은, 수평균 분자량이나 조성 등에 따라서 상이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액체이다.
여기서 「실온에서 액체」란, 실온 25℃에 있어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가 유동성을 나타내는 성상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는, 지방족 모노알코올,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을 포함하는 반응 원료를 사용해서 얻어진다. 여기서 반응 원료란,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원료라는 의미이고,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지 않는 용매나 촉매를 포함하지 않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의 반응 원료는, 지방족 모노알코올,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을 포함하면 좋고, 기타 원료를 포함해도 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의 반응 원료는, 반응 원료의 전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이 지방족 모노알코올,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모노알코올,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만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에 사용하는 지방족 모노알코올은, M의 탄소 원자수 3~18의 지방족 모노알코올 잔기에 대응하는 지방족 모노알코올이고, 사용하는 지방족 모노알코올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에 사용하는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은, L의 탄소 원자수 2~23의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에 대응하는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이고, 사용하는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에 사용하는 지방족 디카르복시산은, A의 탄소 원자수 1~8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잔기에 대응하는 지방족 디카르복시산이고, 사용하는 지방족 디카르복시산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에 사용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은, A의 탄소 원자수 6~18의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잔기에 대응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이고, 사용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사용하는 반응 원료는, 상기의 에스테르화물, 상기의 산염화물, 상기의 산무수물 등의 유도체도 포함하며, 예를 들면, 히드록시카르복시산이면, ε-카프로락톤 등의 락톤 구조를 갖는 화합물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에 사용하는 지방족 모노알코올,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및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은, 어느 것도 그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스테르화물, 산염화물, 환상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을 2종 병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탄소 원자수 13~24의 분기 구조를 갖는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과 탄소 원자수 3~7의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을 병용하면 좋다.
이 때, 탄소 원자수 13~24의 분기 구조를 갖는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과 탄소 원자수 3~7의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의 몰비는, 예를 들면, (탄소 원자수 13~24의 분기 구조를 갖는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탄소 원자수 3~7의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60~95:40~5로 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폴리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과 지방족 모노알코올을, 수산기의 당량이 카르복시기의 당량보다도 많아지는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서 주쇄의 편말단에만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를 얻은 후, 얻어진 폴리에스테르에 추가로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반응 원료의 반응은, 필요에 따라서, 에스테르화 촉매의 존재 하에서, 예를 들면, 170~250℃의 온도 범위 내에서 10~25시간의 범위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면 좋다.
또, 에스테르화 반응의 온도, 시간 등의 조건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적의 설정해도 된다.
상기 에스테르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등의 티타늄계 촉매; 아세트산아연 등의 아연계 촉매; 옥틸산주석, 디부틸주석옥사이드 등의 주석계 촉매; p-톨루엔설폰산 등의 유기 설폰산계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촉매의 사용량은, 적의 설정하면 좋지만, 통상, 반응 원료의 전량 100질량부에 대해서, 0.001~0.1질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한다.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는, 무기 필러 및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의 무기 필러의 유동성 개질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를 포함함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무기 필러 충전량을 높일 수 있고, 핸들링성, 성형성 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이 포함하는 각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무기 필러)
본 발명의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이 함유하는 무기 필러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탄산칼슘, 탈크, 실리카, 클레이, 산화안티몬,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하이드로탈사이트, 규산칼슘, 산화마그네슘, 티탄산칼륨, 티탄산바륨, 산화티타늄, 산화칼슘, 이산화망간,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무기 필러는,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티탄산바륨, 탈크, 질화붕소 및 질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탈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상기 무기 필러의 입경, 섬유 길이, 섬유경 등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으로 하는 용도에 따라서 적의 조정하면 좋다. 또한, 상기 무기 필러의 표면 처리 상태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으로 하는 용도에 따라서 예를 들면, 포화 지방산 등으로 표면 수식을 해도 된다.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의 함유량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무기 필러 100질량부에 대해서,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0.01~30질량부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무기 필러 100질량부에 대해서,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0.05~10질량부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기 필러 100질량부에 대해서,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0.1~5.0질량부의 범위이다.
(가소제)
본 발명의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가소제를 포함한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등의 벤조산에스테르; 프탈산디부틸(DBP), 프탈산디-2-에틸헥실(DOP), 프탈산디이소노닐(DINP), 프탈산디이소데실(DIDP), 프탈산디운데실(DUP), 프탈산디트리데실(DTDP) 등의 프탈산에스테르; 테레프탈산비스(2-에틸헥실)(DOTP) 등의 테레프탈산에스테르; 이소프탈산비스(2-에틸헥실)(DOIP) 등의 이소프탈산에스테르; 피로멜리트산테트라-2-에틸헥실(TOPM) 등의 피로멜리트산에스테르; 아디프산디-2-에틸헥실(DOA), 아디프산디이소노닐(DINA), 아디프산디이소데실(DIDA), 세바스산디-2-에틸헥실(DOS), 세바스산디이소노닐(DINS) 등의 지방족 이염기산에스테르; 인산트리-2-에틸헥실(TOP), 인산트리크레실(TCP) 등의 인산에스테르;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다가 알코올의 알킬에스테르; 아디프산 등의 2염기산과 글리콜의 폴리에스테르화에 의해 합성된 분자량 800~4,000의 폴리에스테르; 에폭시화대두유, 에폭시화아마인유 등의 에폭시화에스테르; 헥사히드로프탈산디이소노닐에스테르 등의 지환식 이염기산; 디카프르산1.4-부탄디올 등의 지방산글리콜에스테르; 아세틸시트르산트리부틸(ATBC); 파라핀 왁스나 n-파라핀을 염소화한 염소화파라핀; 염소화스테아르산에스테르 등의 염소화지방산에스테르; 올레산부틸 등의 고급지방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하는 가소제는 목적으로 하는 용도에 따라서 결정하면 좋고, 상기 가소제를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 가소제의 함유량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무기 필러 100질량부에 대해서, 가소제 5~300질량부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무기 필러 100질량부에 대해서, 가소제 10~200질량부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이 함유하는 첨가제는,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상기 가소제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이외의 기타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기타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감점제, 난연제, 안정제, 안정화 조제, 착색제, 가공 조제, 충전제, 산화 방지제(노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활제, 대전 방지제, 가교 조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수지)
본 발명의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이 함유하는 수지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설파이드, 폴리염화비닐, 변성 폴리설파이드, 실리콘 수지, 변성 실리콘 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하는 수지는 목적으로 하는 용도에 따라서 결정하면 좋고, 상기 수지를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은 수지를 함유하지만, 수지 대신에 아스팔트 등의 점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도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를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은, 사용시에 유동성을 필요로 하는 페이스트상 수지 조성물로 해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는, 조성물의 점도를 저감하고, 또한, 무기 필러의 충전량을 높일 수 있는 점에서, 도료, 접착제, 구조재 등에 적용할 수 있고, 필러 함유율의 증가가 요망되는 구조재(건재)나, 필러의 함유율이 특히 높은 폴리설파이드계 실링재에 호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을 페이스트상 수지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용도별의 조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조재)
상기 구조재에 사용하는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이 함유하는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구조재(건재)에 사용하는 수지는 용도에 따라서 상이하며, 예를 들면, 방수재이면 수지 성분은 폴리우레탄이 주로 사용되고, 인공 대리석이면 불포화폴리에스테르가 주로 사용된다.
구조재가 방수재인 경우, 방수재에 사용하는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이하, 단지 「방수재용 수지 조성물」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은,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주제 성분과, 방향족 폴리아민, 폴리올, 물 및 습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경화제 성분을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조성물이면 바람직하다.
주제 성분이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화합물로서는,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구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2,2'-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로서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올이 바람직하고, 폴리옥시폴리프로필렌디올 단독 혹은 폴리옥시프로필렌디올과 폴리옥시프로필렌트리올의 혼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있어서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비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수산기의 몰비(NCO/OH)로 1.8~2.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기 말단 우레탄 프리폴리머에 있어서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량(NCO기 함유율)은, 2~5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경화제 성분이 포함하는 방향족 폴리아민으로서는, 4,4'-메틸렌비스(2-클로로아닐린), 디메틸티오톨루엔디아민, 디에틸톨루엔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4,4'-메틸렌비스(2-클로로아닐린)은, 「MOCA」로서 알려져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경화제 성분이 포함하는 폴리올로서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이 바람직하고,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폴리올의 관능기수는 2~4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3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이 이액 경화형인 경우,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비는, 주제가 포함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경화제가 포함하는 활성 수소 함유기의 몰비(NCO/(NH2+OH))가, 예를 들면, 1.0~2.0의 범위이고, 1.0~1.8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1.3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경화제 성분은, 무기 필러를 포함하면 좋고, 당해 무기 필러로서는,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실리카, 카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우레탄 조성물에 있어서의 무기 필러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10~60질량부의 범위로 하면 좋고, 20~50질량부의 범위로 하면 바람직하다. 무기 필러의 함유량을 당해 범위로 함으로써, 조성물의 경화성과 얻어지는 방수재의 성능의 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액 경화형 폴리우레탄의 경우, 통상, 주제와 경화제의 점도가 어느 것도 높고(주제: 예를 들면, 7~10Pa·s의 범위, 경화제: 예를 들면, 10~30Pa·s의 범위), 기온이 내려가는 겨울철은 점도가 더 상승하는 점에서, 무기 필러의 분산성을 향상시켜서, 함유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는 유용하다.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는, 방수재용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이액 경화형 폴리우레탄인 경우,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는, 주제 성분 및 경화제 성분의 적어도 한쪽에 포함되면 좋다.
우레탄화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경화제 성분은 공지의 경화 촉매를 포함해도 된다. 당해 경화 촉매로서는, 유기산납, 유기산주석, 3급 아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제 성분은, 무기 필러 및 경화 촉매 외에, 상기 감점제, 상기 가소제, 산화크롬, 산화티타늄, 프탈로시아닌 등의 안료;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재, 탈수제 등의 안정제 등을 포함해도 된다.
방수재용 조성물을 성형해서 얻어지는 방수재로서는, 예를 들면, 옥상용 방수재를 들 수 있다.
상기 옥상용 방수재는, 예를 들면, 주제 성분과 경화제 성분을 혼합한 조성물을 원하는 개소에 도포해서 도막을 형성해서, 반응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실링재)
상기 폴리설파이드계 실링재에 사용하는 폴리설파이드계 수지는, 분자 내에 설피드 결합을 갖는 수지이면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설피드 결합에 알킬기와 같은 탄화수소기가 결합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설파이드 수지는, 골격 중에 예를 들면, 에테르 결합, 에스테르 결합, 아미드 결합, 이미드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폴리설파이드계 수지가 골격 내에 에테르 결합을 갖는 경우, 폴리설파이드폴리에테르 수지가 된다. 폴리설파이드 수지는 편말단 또는 양말단에, 예를 들면, 티올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등의 관능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폴리설파이드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주쇄 중에 -(C2H4OCH2OC2H4-Sx)-(x는 1~5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함유하고, 또한, 말단에 -C2H4OCH2OC2H4-SH로 표시되는 티올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설파이드계 수지는 실온, 구체적으로는 25℃에서 유동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설파이드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Mn)은 통상 100~20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400~50,000 이하이다.
또한, 상기 폴리설파이드계 수지로서는, 폴리설파이드폴리에테르 수지도 들 수 있다. 폴리설파이드폴리에테르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티올기 함유 폴리설파이드폴리에테르 수지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주쇄 중에, (1) 「-(R1O)n」(R1은 탄소 원자수 2~4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n은 6~200의 정수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 부분과, (2) 「-C2H4OCH2OC2H4-Sx-」 및 (3) 「-CH2CH(OH)CH2-Sx-」(상기 x는 1~5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또한, 말단에, (4) 「-C2H4OCH2OC2H4-SH」 또는 「-CH2CH(OH)CH2-SH」으로 표시되는 티올기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설파이드폴리에테르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은 통상 600~20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800~50,000이다.
상기 폴리설파이드계 수지는 제조 방법에 제한은 없고, 각종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설파이드계 수지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설파이드 수지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티오콜 LP-23, LP-32」(도레 파인케미컬가부시키가이샤제), 「THIOPLAST 폴리머」(AKZO NOBEL사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설파이드계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를 포함하는 폴리설파이드계 실링재에는, 기타 각종 첨가제 등을 병용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감점제, 상기 가소제, 접착성 부여제, 안료, 염료,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점착 부여 수지, 안정제,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착성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실란 등의 실란커플링제가 특히 유리면에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범용 화합물인 점에서 호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노실란으로서는, 예를 들면,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에틸디에톡시실란, 비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아민, 비스메톡시디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 비스에톡시디에톡시실릴프로필아민,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에틸디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료로서는, 아조 안료, 구리프탈로시아닌 안료 등의 유기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염료로서는, 예를 들면, 흑색 염료, 황색 염료, 적색 염료, 청색 염료, 갈색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노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힌더드페놀계 화합물, 힌더드아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대전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제4급 암모늄염; 폴리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 등의 친수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난연제로서는, 예를 들면, 클로로알킬포스페이트, 디메틸·메틸포스포네이트, 브롬·인 화합물, 암모늄폴리포스페이트, 네오펜틸브로마이드-폴리에테르, 브롬화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성 부여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테르펜 수지, 페놀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로진 수지, 자일렌 수지, 에폭시 수지, 알킬티타네이트류,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산실릴에스테르, 지방산아미드트리메틸실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분산제는, 고체를 미세한 입자로 해서 액 중에 분산시키는 물질을 말하고, 헥사메타인산나트륨, 축합 나프탈렌설폰산나트륨,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설파이드계 실링재는 통상, 사용 직전에 경화제와 혼합해서 사용된다. 경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산화물, 금속 과산화물, 유기 무기의 산화제, 에폭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 일반적으로 폴리설파이드 수지계 실링재에 사용되는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산화납이나 이산화망간 등의 금속 과산화물이 바람직하고, 이산화망간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동성 개질제는, 이 경화제 중에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로서 이산화망간을 사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주제로서 사용하는 폴리설파이드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서, 경화가 충분해지고, 또한, 적정한 탄성을 갖는 경화물이 얻어지는 점에서, 2.5~25질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3~20질량부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에는 기타 충전제, 가소제, 경화 촉진제, 실란커플링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실링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경화 조건으로서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시킨 후, 통상 20~25℃이다. 또한, 경화 시간은 통상 24~168시간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은, 상기 페이스트상 수지 조성물에 한정되지 않고,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등을 하는 성형용 수지 조성물로서도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성형용 수지 조성물의 성상은 다양하며, 성형 전의 단계(상온)에서 액상이거나, 성형시의 가열에 의해 액상으로 하거나 하지만,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는, 무기 필러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것에 의한 과도한 점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용융 혼련 등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는, 무기 필러의 첨가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는 점에서, 무기 필러의 첨가량을 증가시켜서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망되고 있는, 자동차용 부재, 위생 흡수 물품, 건재, 스톤 페이퍼, 방열 부재 등의 성형용 수지 조성물에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을 성형용 수지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용도별의 조성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자동차용 부재)
자동차용 부재에 사용하는 성형용 수지 조성물(이하, 단지 「자동차 부재용 수지 조성물」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이 포함하는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이고, 당해 열가소성 수지 중에서도 우수한 성형성, 높은 기계적 강도, 경제성 등의 특징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MFR(230℃, 2.16kg)이 60~120g/10분의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자동차 부재용 수지 조성물은, 수지 성분으로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더 포함해도 된다. 당해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차 부재용 수지 조성물이 포함하는 무기 필러로서는, 탈크, 탄산칼슘, 위스커(상기 위스커의 재질로서는, 그라파이트, 티탄산칼륨, 알루미나, 탄화규소, 질화규소, 뮬라이트, 마그네시아, 붕산마그네슘, 붕산알루미늄, 황산마그네슘, 산화아연, 붕화티타늄 등), 카본나노파이버, 카본나노튜브, 카올린, 클레이, 마이카 등을 들 수 있다.
자동차 부재용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및 무기 필러 이외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해도 되고, 당해 첨가제로서는, 상기 감점제, 상기 가소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난연제,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자동차 부재용 수지 조성물이 포함하는 수지 성분, 무기 필러,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등의 조성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하기 물성 중 하나 이상을 만족시키는 조성으로 조정하면 바람직하다.
자동차 부재용 수지 조성물의 MFR(230℃, 2.16kg, JIS-K7210-1)은, 20g/10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30g/10분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동차 부재용 수지 조성물의 선팽창 계수(JIS-K7197)는, 5.0×10-5/K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5.0×10-5/K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동차 부재용 수지 조성물의 인장 탄성률(JIS-K7161)은, 2.5G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3.0GPa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동차 부재용 수지 조성물의 샤르피 충격값(JIS-K7111)은, 30kJ/㎡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40kJ/㎡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동차 부재용 수지 조성물을 성형해서 얻어지는 자동차용 부재로서는, 본넷 후드, 펜더, 범퍼, 도어, 트렁크 리드, 루프, 라디에이터 그릴, 휠 캡, 인스트루먼트 패널, 필러 가니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자동차용 부재는, 자동차 부재용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위생 흡수 물품)
위생 흡수 물품에 사용하는 성형용 수지 조성물(이하, 단지 「위생 흡수 물품용 수지 조성물」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이 포함하는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이고, 당해 폴리올레핀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밀도가 상이한 2종 이상의 폴리에틸렌을 사용해도 된다.
위생 흡수 물품용 수지 조성물의 수지 성분인 폴리올레핀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MFR(190℃, 2.16kgf)이 0.1~20g/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5~5g/10분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MFR을 0.1g/10분 이상으로 함으로써, 박막 필름의 성형성을 충분하게 유지할 수 있고, 20g/10분 이하로 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위생 흡수 물품용 수지 조성물은, 수지 성분으로서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더 포함해도 된다.
상기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티렌-올레핀계(SEP, SEBC 등), 스티렌-올레핀-스티렌계(SEPS, SEBS 등), 스티렌-디엔계(SIS, SBS 등), 수첨스티렌-디엔계(HSIS, HSBR 등)의 스티렌 블록을 포함하는 엘라스토머를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에 있어서의 스티렌 성분은 10~40질량%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0~40질량%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위생 흡수 물품용 수지 조성물이 포함하는 무기 필러로서는, 탄산칼슘, 황산칼슘, 탄산바륨, 산화티타늄 등을 들 수 있고, 탄산칼슘 및 황산바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이들 무기 필러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입자상이면 바람직하고, 평균 입자경이 0.1~10㎛의 범위의 미립자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평균 입자경이 0.3~5㎛의 범위의 미립자이면 더 바람직하고, 평균 입자경이 0.5~3㎛의 범위의 미립자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위생 흡수 물품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무기 필러의 함유량은,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무기 필러=60~20질량부:40~80질량부이면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무기 필러=55~25질량부:45~75질량부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무기 필러=50~30질량부:50~70질량부이면 더 바람직하다.
무기 필러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이면, 얻어지는 위생 흡수 물품의 투습성, 통기성 및 내투액성의 모두를 충분하게 담보할 수 있다.
위생 흡수 물품용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및 무기 필러 이외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해도 되고, 당해 첨가제로서는, 상기 가소제, 감점제, 상용화제, 가공 조제, 산화 방지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안티블로킹제, 방담제, 소광제, 계면활성제, 항균제, 소취제, 대전 방지제, 발수제, 발유제, 방사선 차폐제, 착색제,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위생 흡수 물품용 수지 조성물을 성형해서 얻어지는 성형품은, 종이 기저귀, 생리용 냅킨 등의 위생 흡수 물품에서 사용되는 백시트(통기성 및 투습성을 갖지만, 액체는 통과하지 않는 시트)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백시트는, 예를 들면, 위생 흡수 물품용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 후, T 다이법 또는 인플레이션법에 의해 시트로 한 후, 얻어진 시트를 일축 또는 이축 연신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스톤 페이퍼)
스톤 페이퍼란, 석회석에 유래하는 탄산칼슘과 폴리올레핀(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시트로서, 시트의 성형에 물 및 목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원료인 석회석은 지구 상에 거의 무진장 존재하기 때문에, 지속 가능성이 우수한 시트이다.
스톤 페이퍼는, 탄산칼슘을 다량으로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에 의해서 탄산칼슘의 유동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시트 물성을 높일 수 있다.
스톤 페이퍼는, 예를 들면, 탄산칼슘, 폴리올레핀 및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를 포함하는 스톤 페이퍼 조성물을 용융 혼련해서, 인플레이션 성형 또는 압출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스톤 페이퍼 조성물에 있어서, 탄산칼슘의 함유량은, 폴리올레핀과 탄산칼슘의 질량비(폴리올레핀:탄산칼슘)로, 예를 들면, 85:15~20:80이고, 바람직하게는 85:15~30:7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5:15~35:65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80:20~40:60이다.
스톤 페이퍼 조성물은, 상기 가소제, 감점제, 발포제, 색제, 활제, 커플링제, 안정제(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 대전 방지제 등을 보조제로서 더 포함해도 된다.
상기 발포제로서는, 프로판, 노르말부탄, 이소부탄, 노르말펜탄, 이소펜탄, 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시클로헥산, 시클로펜탄, 시클로부탄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 화합물; 트리플루오로모노클로로에탄, 디플루오로디클로로메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활제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히드록시스테아르산, 복합형 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의 지방산계 활제; 지방족 알코올계 활제, 스테아로아미드, 옥시스테아로아미드, 올레일아미드, 에루실아미드, 리시놀아미드, 베헨아미드, 메틸올아미드, 메틸렌비스스테아로아미드, 메틸렌비스스테아로베헨아미드, 고급 지방산의 비스아미드산, 복합형 아미드 등의 지방족 아마이드계 활제; 스테아르산-n-부틸, 히드록시스테아르산메틸,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포화 지방산 에스테르, 에스테르계 왁스 등의 지방족 에스테르계 활제; 지방산 금속비누계족 활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인계 산화 방지제, 페놀계 산화 방지제, 펜타에리트리톨계 산화 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인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등의 아인산의 트리에스테르, 디에스테르, 모노에스테르 등의 아인산에스테르;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트리옥틸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페이트, 2-에틸페닐디페닐포스페이트 등의 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페놀계의 산화 방지제로서는, α-토코페롤, 부틸히드록시톨루엔, 시나필 알코올, 비타민E, n-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tert-부틸-6-(3'-tert-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닐아크릴레이트, 2,6-디-tert-부틸-4-(N,N-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디에틸에스테르, 및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메틸]메탄 등을 들 수 있다.
(방열 부재)
PC, 스마트폰, 텔레비전 등의 전자 기기에서는 고성능화에 수반해서 발열량이 증가하고 있어, 발생한 열을 효율좋게 방열하기 위해서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방열 부재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차와 같은 자동차도 전자 기기를 많이 구비하고 있어, 열전도성 필러를 포함하는 방열 부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방열 부재에 사용하는 성형용 수지 조성물(이하, 단지 「방열 부재용 수지 조성물」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이 포함하는 수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이다.
방열 부재용 수지 조성물의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공지의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페놀노볼락 수지, 크레졸노볼락 수지 등의 노볼락형 페놀 수지; 미변성의 레졸페놀 수지, 동유, 아마인유, 호두유 등으로 변성한 유변성 레졸페놀 수지 등의 레졸형 페놀 수지 등의 페놀 수지; 비스페놀A에폭시 수지, 비스페놀F에폭시 수지 등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지방쇄 변성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에폭시 수지 등의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폴리알킬렌글리콜형 에폭시 수지 등의 에폭시 수지; 유리아(요소) 수지, 멜라민 수지 등의 트리아진환을 갖는 수지; (메타)아크릴 수지나 비닐에스테르 수지 등의 비닐 수지;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비스말레이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실리콘 수지, 벤즈옥사진환을 갖는 수지, 시아네이트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경화제와 함께 사용하면 좋다.
열경화성 수지와 함께 사용하는 경화제로서는,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디아미노디페닐설폰, 이소포론디아민, 이미다졸, BF3-아민 착체, 구아니딘 유도체 등의 아민계 화합물; 디시안디아미드, 리놀렌산의 2량체와 에틸렌디아민으로부터 합성되는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아미드계 화합물; 무수프탈산, 무수트리멜리트산, 무수피로멜리트산, 무수말레산, 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메틸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무수메틸나딕산, 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메틸헥사히드로무수프탈산 등의 산무수물계 화합물; 페놀노볼락 수지, 크레졸노볼락 수지, 방향족 탄화수소 포름알데히드 수지 변성 페놀 수지, 디시클로펜타디엔페놀 부가형 수지, 페놀아랄킬 수지(자일록 수지), 레조르신노볼락 수지, 나프톨아랄킬 수지, 트리메틸올메탄 수지, 테트라페닐올에탄 수지, 나프톨노볼락 수지, 나프톨-페놀 공축 노볼락 수지, 나프톨-크레졸 공축 노볼락 수지, 비페닐(biphenyl) 변성 페놀 수지, 비페닐 변성 나프톨 수지, 아미노트리아진 변성 페놀 수지, 알콕시기 함유 방향환 변성 노볼락 수지 등의 페놀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방열 부재용 수지 조성물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공지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페닐렌옥시드 수지, 폴리페닐렌설피드 수지, 폴리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알릴설폰 수지,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폴리아미노비스말레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비스말레이미드트리아진 수지, 폴리메틸펜텐 수지, 불화 수지, 액정 폴리머, 올레핀-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방열 부재용 수지 조성물이 함유하는 열전도성 필러로서는,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규산칼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베릴리아, 산화알루미늄, 질화알루미늄, 질화붕소, 수화금속 화합물, 용융 실리카, 결정성 실리카, 비결정성 실리카, 탄화규소, 질화규소, 탄화티타늄, 다이아몬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필러는, 실란계, 티타네이트계 및 알루미네이트계 커플링제 등으로 표면 처리를 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열전도성 필러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구상, 침상, 플레이크상, 수지상, 섬유상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방열 부재용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열전도성 필러의 함유량은 용도에 따라서 적의 조정할 수 있고,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열전도성 필러를 30~500질량부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열 부재용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및 열전도성 필러 이외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해도 되고, 당해 첨가제로서는, 염료, 안료, 산화 방지제, 중합 금지제, 소포제, 레벨링제, 이온 포집제, 보습제, 점도 조정제, 방부제, 항균제, 대전 방지제, 안티블로킹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등을 들 수 있다.
방열 부재용 수지 조성물이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방열 부재용 수지 조성물을 가열함으로써 방열 부재를 성형할 수 있다. 방열 부재용 수지 조성물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자외선이나 적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 성형할 수 있다. 방열 부재용 수지 조성물이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사출 성형, 압출 성형, 프레스 성형 등의 공지의 성형 방법에 의해 방열 부재를 얻을 수 있다.
방열 부재용 수지 조성물을 성형해서 얻어지는 방열 부재는, 히트 싱크(heat sink)로서 사용할 수 있다. 방열 부재용 수지 조성물을 성형해서 얻어지는 방열 부재는, 방열시키려고 하는 부위와 금속제 방열 부재를 접합하는 방열 접합 부재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방열 부재용 수지 조성물은 반도체 봉지 재료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실시예에 있어서, 산가 및 수산기가의 값은, 하기 방법에 의해 평가한 값이다.
[산가의 측정 방법]
JIS K0070-1992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수산기가의 측정 방법]
JIS K0070-1992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본원 실시예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의 수평균 분자량은, GPC 측정에 기해서 폴리스티렌 환산한 값이고,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다.
[GPC 측정 조건]
측정 장치: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고속 GPC 장치 「HLC-8320GPC」
칼럼: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 GURDCOLUMN SuperHZ-L」 +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 gel SuperHZM-M」 +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 gel SuperHZM-M」 +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 gel SuperHZ-2000」 +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TSK gel SuperHZ-2000」
검출기: RI(시차굴절계)
데이터 처리: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EcoSEC Data Analysis 버전 1.07」
칼럼 온도: 40℃
전개 용매: 테트라히드로퓨란
유속: 0.35mL/분
측정 시료: 시료 7.5mg을 10ml의 테트라히드로퓨란에 용해하고, 얻어진 용액을 마이크로필터로 여과한 것을 측정 시료로 했다.
시료 주입량: 20μl
표준 시료: 상기 「HLC-8320GPC」의 측정 매뉴얼에 준거해서, 분자량이 기지인 하기의 단분산 폴리스티렌을 사용했다.
(단분산 폴리스티렌)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A-30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A-50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A-100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A-250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A-500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F-1」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F-2」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F-4」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F-1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F-2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F-4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F-80」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F-128」
도소가부시키가이샤제 「F-288」
(합성실시예 1: 유동성 개질제A의 합성)
온도계, 교반기, 및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내용적 3리터의 4구 플라스크에,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주성분: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1,859g, 이소노닐알코올 325g,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옥틸산주석(네오스탄 U28, 닛토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0.064g을 투입하고, 질소 기류 하에서 교반하면서 210℃가 될 때까지 단계적으로 승온함으로써, 합계 24시간 축합 반응시켰다. 산가가 1 이하가 된 것을 확인한 후, 120℃까지 강온했다. 무수말레산 89.0g을 투입하고, 120℃에서 반응시켰다. 무수말레산의 소실을 IR로 확인하고, 실온에서 액체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유동성 개질제A(산가 19mgKOH/g, 수산기가 14mgKOH/g, 수평균 분자량 1,620)를 얻었다.
(합성실시예 2-4: 유동성 개질제B, C 및 D의 합성)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 이소노닐알코올 및 무수말레산의 사용량을 조정한 이외는 합성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유동성 개질제B(산가 34mgKOH/g, 수산기가 20mgKOH/g, 수평균 분자량 1050), 유동성 개질제C(산가 16mgKOH/g, 수산기가 10mgKOH/g, 수평균 분자량 2,200) 및 유동성 개질제D(산가 19mgKOH/g, 수산기가 36mgKOH/g, 수평균 분자량 1,160)를 각각 얻었다.
어느 것도 실온에서 액체였다.
(합성실시예 5: 유동성 개질제E의 합성)
온도계, 교반기, 및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내용적 2리터의 4구 플라스크에,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주성분: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987g, 이소노닐알코올 132g,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옥틸산주석(네오스탄 U28, 닛토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1.05g을 투입하고, 질소 기류 하에서 교반하면서 220℃가 될 때까지 단계적으로 승온함으로써, 합계 34시간 축합 반응시켰다. 산가가 1 이하가 된 것을 확인한 후, 150℃까지 강온했다. 무수프탈산 58.9g을 투입하고, 150℃에서 반응시켰다. 무수프탈산의 소실을 IR로 확인하고, 실온에서 액체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유동성 개질제E(산가 18mgKOH/g, 수산기가 4mgKOH/g, 수평균 분자량 2,560)를 얻었다.
(합성실시예 6: 유동성 개질제F의 합성)
온도계, 교반기, 및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내용적 3리터의 4구 플라스크에,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주성분: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1859g, 이소노닐알코올 325g,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옥틸산주석(네오스탄 U28, 닛토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0.064g을 투입하고, 질소 기류 하에서 교반하면서 210℃가 될 때까지 단계적으로 승온함으로써, 합계 24시간 축합 반응시켰다. 산가가 1 이하가 된 것을 확인한 후, 150℃까지 강온했다. 무수프탈산 140g을 투입하고, 150℃에서 반응시켰다. 무수프탈산의 소실을 IR로 확인하고, 실온에서 액체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유동성 개질제F(산가 17mgKOH/g, 수산기가 16mgKOH/g, 수평균 분자량 1,460)를 얻었다.
(합성실시예 7: 유동성 개질제G의 합성)
온도계, 교반기, 및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내용적 3리터의 4구 플라스크에,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주성분: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1,302g, 이소노닐알코올 355g,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옥틸산주석(네오스탄 U28, 닛토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0.10g을 투입하고, 질소 기류 하에서 교반하면서 210℃가 될 때까지 단계적으로 승온함으로써, 합계 24시간 축합 반응시켰다. 산가가 1 이하가 된 것을 확인한 후, 150℃까지 강온했다. 무수숙신산 113g을 투입하고, 150℃에서 반응시켰다. 무수숙신산의 소실을 IR로 확인하고, 실온에서 액체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유동성 개질제G(산가 45mgKOH/g, 수산기가 22mgKOH/g, 수평균 분자량 1,200)를 얻었다.
(합성비교예1: 유동성 개질제A'의 합성)
온도계, 교반기, 및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내용적 2리터의 4구 플라스크에, 1,3-부탄디올을 459.3g, 네오펜틸글리콜을 48.7g, 아디프산을 616.2g,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를 0.112g 투입하고, 질소 기류 하에서 교반하면서 220℃가 될 때까지 단계적으로 승온함으로써, 합계 10시간 축합 반응시켰다. 무수말레산 44.2g을 투입하고, 150℃에서 반응시켰다. 무수말레산의 소실을 IR로 확인하고, 실온에서 액체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유동성 개질제A'를 얻었다(산가 29mgKOH/g, 수산기가 120, 수평균 분자량 950).
(합성비교예2: 유동성 개질제B'의 합성)
온도계, 교반기, 및 환류 냉각기를 부착한 내용적 2리터의 4구 플라스크에, 경화 피마자유 지방산(주성분: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987g, 이소노닐알코올 132g, 에스테르화 촉매로서 옥틸산주석(네오스탄 U28, 닛토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제) 1.05g을 투입하고, 질소 기류 하에서 교반하면서 220℃가 될 때까지 단계적으로 승온함으로써, 합계 34시간 축합 반응시켰다. 산가가 1 이하가 된 것을 확인하고, 실온에서 액체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유동성 개질제B'를 얻었다(산가 0.4mgKOH/g, 수산기가 21mgKOH/g, 수평균 분자량 2,870).
유동성 개질제A~G, 유동성 개질제A' 및 유동성 개질제B' 이외에, 유동성 개질제로서 공지의 n-헥실에테르도 별도 준비했다.
(실시예 1-13 및 비교예 1-6: 중질탄산칼슘 함유 조성물의 조제와 평가)
무기 필러로서 탄산칼슘(중질탄산칼슘, 마루오칼슘가부시키가이샤제 「수퍼 S」), 가소제로서 DINP(프탈산디이소노닐), 활성 수소 화합물로서 DETDA(디에틸톨루엔디아민) 및 유동성 개질제를 표 1 및 2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하고, 자전·공전 교반기(THINKY ARV-310)로 1000rpm 및 0.2Pa로 2분간 교반해서, 페이스트상의 무기 필러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트에 대해서, 하기 방법에 의해 점도를 평가했다. 결과를 표 1 및 2에 나타낸다.
(점도의 측정 방법)
E형 점도계(도요산교가부시키가이샤제 TV-25H)로, 표준 로터(1˚34'×R24, 시어(shear) 속도[1/S] 3.83×N, N은 로터의 회전수[rpm])를 사용해서, 얻어진 페이스트의 점도를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페이스트를 측정 온도 25℃ 및 회전 속도 10rpm으로 처리를 행하고, 3분간 처리 후의 페이스트의 점도값을 판독했다.
[표 1]
Figure pct00003
[표 2]
Figure pct00004
실시예 1-13의 유동성 개질제A~F를 각각 사용한 탄산칼슘 함유 조성물은 점도가 낮게 억제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 비교예 1~6의 감점제인 n-헥실에테르나 유동성 개질제A' 및 B'를 각각 사용한 탄산칼슘 함유 조성물에서는 점도가 높은 것이 판독된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7-10: 콜로이드 탄산칼슘 함유 조성물의 조제와 평가)
무기 필러로서 탄산칼슘(콜로이드 탄산칼슘, 마루오칼슘가부시키가이샤제 「칼파인200」), 가소제로서 DINP(프탈산디이소노닐) 및 유동성 개질제를 표 3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하고, 유성 교반 장치(THINKY ARV-310)로 1000rpm 및 0.2Pa로 2분간 교반해서, 페이스트상의 무기 필러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트에 대해서,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점도를 평가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표 3]
Figure pct00005
(실시예 15-20 및 비교예 11-19: 알루미늄계 무기 필러 함유 조성물의 조제와 평가)
무기 필러로서, 고순도 알루미나(스미토모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제 「AKP-3000」), 구상 알루미나(덴카가부시키가이샤제 「DAW-07」), 수산화알루미늄, 가소제로서 DINP(프탈산디이소노닐) 및 유동성 개질제를 표 4 및 5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하고, 유성 교반 장치(THINKY ARV-310)로 1000rpm 및 0.2Pa로 2분간 교반해서, 페이스트상의 무기 필러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트에 대해서, 하기 방법에 의해 유동성 및 점도를 평가했다. 결과를 표 4 및 5에 나타낸다.
(유동성의 평가 방법)
얻어진 조성물 약 0.4g을 수평으로 한 유리 기판 상에 스포이드로 적하했다. 적하 후, 유리 기판을 수평에 대해서 경사각이 80˚가 되도록 경사시키고, 유리 기판 상의 조성물이 유리 기판에서 흘러내린 경우를 「○」로 평가하고, 유리 기판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머문 경우를 「×」로 평가했다. 평가는 25℃에서 행했다.
(점도의 측정 방법)
E형 점도계(도요산교가부시키가이샤제 TV-25H)로, No.6 로터(3˚×R9.7, 시어 속도[1/S] 2.00×N, N은 로터의 회전수[rpm])를 사용해서, 얻어진 페이스트의 점도를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페이스트를 측정 온도 25℃ 및 회전 속도 1rpm으로 처리를 행하고, 3분간 처리 후의 페이스트의 점도값을 판독했다.
[표 4]
Figure pct00006
[표 5]
Figure pct00007
실시예 15-20의 유동성 개질제B 또는 유동성 개질제G를 사용한 알루미늄계 무기 필러 함유 조성물은 유동성이 양호한 것에 대해서, 비교예 11-19에서는 유동성이 얻어져 있지 않는 것이 판독된다.
(실시예 21-32 및 비교예 20-22: 중질탄산칼슘 함유 조성물의 조제와 평가)
무기 필러로서 탄산칼슘(중질탄산칼슘, 마루오칼슘가부시키가이샤제 「수퍼 S」), 가소제로서 DINP(프탈산디이소노닐), PB-10(벤조산에스테르계 가소제, 디아이씨가부시키가이샤제) 및 DINA(아디프산디이소노닐), 수지로서 실리콘 오일(신에츠실리콘 가부시키가이샤제 「KF-54」), 스쿠알렌, 파라핀계 프로세스 오일(니혼썬세키유 가부시키가이샤제 「P100」), 그리고, 유동성 개질제를 표 6 및 7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하고, 유성 교반 장치(THINKY ARV-310)로 1000rpm 및 0.2Pa로 2분간 교반해서, 페이스트상의 무기 필러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트에 대해서, 하기 방법에 의해 유동성 및 점도를 평가했다. 결과를 표 6 및 7에 나타낸다.
(유동성의 평가 방법)
얻어진 조성물 약 0.4g을 수평으로 한 유리 기판 상에 스포이드로 적하했다. 적하 후, 유리 기판을 수평에 대해서 경사각이 80˚가 되도록 경사시키고, 유리 기판 상의 조성물이 유리 기판에서 흘러내린 경우를 「○」로 평가하고, 유리 기판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머문 경우를 「×」로 평가했다. 평가는 25℃에서 행했다.
(점도의 측정 방법)
E형 점도계(도요산교가부시키가이샤제 TV-25H)로, 표준 로터(1˚34'×R24, 시어 속도[1/S] 3.83×N, N은 로터의 회전수[rpm])를 사용해서, 얻어진 페이스트의 점도를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페이스트를 측정 온도 25℃ 및 회전 속도 10rpm으로 처리를 행하고, 3분간 처리 후의 페이스트의 점도값을 판독했다.
[표 6]
Figure pct00008
[표 7]
Figure pct00009
실시예 21-32의 유동성 개질제A 또는 유동성 개질제G를 사용한 무기 필러 함유 조성물은 유동성이 양호한 것에 대해서, 유동성 개질제A'를 사용한 비교예 20-22에서는 유동성이 얻어져 있지 않는 것이 판독된다.
(실시예 33 및 비교예 23-24: 알루미늄계 무기 필러 함유 조성물의 조제와 평가)
무기 필러로서, 구상 알루미나(덴카가부시키가이샤제 「DAW-07」 및 「DAW-45」),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 및 유동성 개질제를 표 8에 나타내는 비율로 배합하고, 유성 교반 장치(THINKY ARV-310)로 1000rpm 및 0.2Pa로 2분간 교반해서, 페이스트상의 무기 필러 함유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페이스트에 대해서, 하기 방법에 의해 점도를 평가했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냈다.
(점도의 측정 방법)
E형 점도계(도요산교가부시키가이샤제 TV-25H)로, No.6 로터(3˚×R9.7, 시어 속도[1/S] 2.00×N, N은 로터의 회전수[rpm])를 사용해서, 얻어진 페이스트의 점도를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얻어진 페이스트를 측정 온도 25℃ 및 회전 속도 2rpm으로 처리를 행하고, 3분간 처리 후의 페이스트의 점도값을 판독했다.
[표 8]
Figure pct00010
분산매가 비스페놀A형 에폭시 수지와 같은 수지여도, 유동성 개질제B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유동성이 얻어지는 것이 판독된다.

Claims (13)

  1. 하기 일반식(1)으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수지인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상기 일반식(1) 중,
    M은 탄소 원자수 3~18의 지방족 모노알코올 잔기이고,
    L은 탄소 원자수 2~23의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이고,
    A는 탄소 원자수 1~8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잔기 또는 탄소 원자수 6~18의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잔기이고,
    n은 반복수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L은 탄소 원자수 2~23의 분기 구조를 갖는 지방족 히드록시카르복시산 잔기인,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M은 탄소 원자수 5~18의 분기 구조를 갖는 지방족 모노알코올 잔기인,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는 탄소 원자수 2~4의 지방족 디카르복시산 잔기인,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가가 5~120mgKOH/g의 범위인,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평균 분자량이 500~5,000의 범위인,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온에서 액체인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탈크, 티탄산바륨, 질화붕소 및 질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무기 필러용인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9. 수지, 무기 필러 및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를 함유하는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가, 탄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탈크 및 티탄산바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더 함유하는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설파이드, 폴리염화비닐, 변성 폴리설파이드, 실리콘 수지, 변성 실리콘 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및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의 성형품.
KR1020237025448A 2021-03-04 2022-02-17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및 당해 수지 조성물의 성형품 KR202301240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34273 2021-03-04
JP2021034273 2021-03-04
PCT/JP2022/006293 WO2022185930A1 (ja) 2021-03-04 2022-02-17 無機フィラー流動性改質剤、無機フィラー含有樹脂組成物及び当該樹脂組成物の成形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070A true KR20230124070A (ko) 2023-08-24

Family

ID=8315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5448A KR20230124070A (ko) 2021-03-04 2022-02-17 무기 필러 유동성 개질제, 무기 필러 함유 수지 조성물및 당해 수지 조성물의 성형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01786A1 (ko)
EP (1) EP4303268A1 (ko)
JP (1) JP7355266B2 (ko)
KR (1) KR20230124070A (ko)
CN (1) CN116897177A (ko)
TW (1) TW202246383A (ko)
WO (1) WO2022185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04033A1 (ja) * 2022-04-21 2023-10-26 Dic株式会社 無機フィラー流動性改質剤、無機フィラー含有組成物および熱伝導性シリコーンシー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9935A (ja) 2009-10-06 2011-04-21 Kao Corp ペースト樹脂組成物
JP2018181959A (ja) 2017-04-06 2018-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用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力変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16479B4 (de) 2004-03-31 2007-03-15 Byk-Chemie Gmbh Verwendung von Polyestern als Dispergiermittel und Polyester enthaltende Masterbatches
JP6106638B2 (ja) * 2013-08-05 2017-04-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膜、カラーフィルタ、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固体撮像素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275862B2 (ja) * 2018-05-29 2023-05-18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成形用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成形体及び積層物
JP2022526249A (ja) * 2019-03-14 2022-05-24 ルブリゾル アドバンス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水物中間体を介して作製されたマルチアミンポリエステル分散剤
JP2021015169A (ja) * 2019-07-11 2021-02-12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着色組成物、感光性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10643028B (zh) * 2019-10-07 2021-06-11 烟台大学 双羧基聚己内酯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无机填料分散剂的应用
US11174341B1 (en) * 2020-06-04 2021-11-16 Thomas O'Lenick Regiospecific lactic acid polyest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79935A (ja) 2009-10-06 2011-04-21 Kao Corp ペースト樹脂組成物
JP2018181959A (ja) 2017-04-06 2018-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用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力変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46383A (zh) 2022-12-01
WO2022185930A1 (ja) 2022-09-09
JPWO2022185930A1 (ko) 2022-09-09
CN116897177A (zh) 2023-10-17
US20240101786A1 (en) 2024-03-28
EP4303268A1 (en) 2024-01-10
JP7355266B2 (ja) 202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90020A1 (en) Thermally Conductive Polyurethane Adhesive Composition
EP3450500A1 (en) Polyester resin molding composition for damping materials
KR20100048943A (ko) 차체 접착제 또는 구조 발포체로서 사용할 수 있는 열경화형 에폭시 수지 조성물
JP6856177B2 (ja) 流動性改質剤、これを含む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の硬化物
JP7355266B2 (ja) 無機フィラー流動性改質剤、無機フィラー含有樹脂組成物及び当該樹脂組成物の成形品
JP7127754B2 (ja) 無機フィラー分散安定化剤、無機フィラー含有樹脂組成物、成形品及び添加剤
US6329460B1 (en) Polysiloxane composition and rubber composition and resin composition
CN114585686A (zh) 聚对苯二甲酸丁二醇酯组合物和塑料/金属杂化复合材料
WO2022185931A1 (ja) 無機フィラー分散安定化剤、無機フィラー含有樹脂組成物及び当該樹脂組成物の成形品
WO2023204033A1 (ja) 無機フィラー流動性改質剤、無機フィラー含有組成物および熱伝導性シリコーンシート
TW202311351A (zh) 無機填料分散安定劑、含無機填料之樹脂組成物、成形品及添加劑
KR101259885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유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220214A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の製造方法
JP5924477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
KR102094329B1 (ko) 난연성이 우수한 구조용 접착제
JP4455898B2 (ja) ポリエステル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用途
JPH1025401A (ja) 難燃性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組成物
WO2023112858A1 (ja) 積層構造体およびその用途
Gürses et al. Synthesis and Thermal and Textural Characterization of Aniline Formaldehyde-Organoclay Composites
KR20220115222A (ko) 조성물 및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00082226A (ko) 내열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고분자 나노클레이 복합체의 제조방법
JP2002105342A (ja) 耐候性が改良された硬化性組成物
Das et al. In situ Composites Based on Polyether Sulfone and Liquid Crystalline Polymer in Presence and Absence of Modified Nanofiller as a Compatibil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