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8639A - 안전벨트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8639A
KR20230118639A KR1020237023318A KR20237023318A KR20230118639A KR 20230118639 A KR20230118639 A KR 20230118639A KR 1020237023318 A KR1020237023318 A KR 1020237023318A KR 20237023318 A KR20237023318 A KR 20237023318A KR 20230118639 A KR20230118639 A KR 20230118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ongue
seat belt
buckle
belt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애쉬윈 바라람
아비지트 스와인
아비지트 아트와드카르
이율리안 로타리우
티모 네렌하임
올레 샤른버그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30118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69Safety mea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안전벨트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이 안전벨트 장치는 삽입 슬롯(3)을 구비하는 벨트 버클(2), 벨트 버클(2)의 삽입 슬롯(3) 안으로 끼워져서 그 안에 잠길 수 있으며 벨트 텅 메인 바디(5) 및 벨트 텅 트림 패널(6)을 갖는 벨트 텅(4), 및 안전벨트(7)를 포함하며, 안전벨트(7)는 벨트 텅(4)의 후프(8)를 통해서 연장된다. 벨트 버클(2)과 벨트 텅(4)은 전력 및/또는 신호를 벨트 버클(2)로부터 벨트 텅(4)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안전벨트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들을 갖는 안전벨트(seatbelt)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전벨트 장치에 있어서, 안전벨트에 추가적 기능을 위해 다양한 전기 또는 전자 구성요소, 예를 들어 마이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영구적 작동을 위해 전력을 공급받아야 한다. 안전벨트에서의 마이크의 연결이 예를 들어 DE 10 2005 002 865 B3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3점식 스트랩(three-point strap)의 경우, 안전벨트의 일 단부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또는 차량 시트에 고정 요소(일반적으로 앵커 플레이트라고 함) 상에 고정되며, 여기서 필요한 전기 전도체의 결합이 단순한 방식으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벨트 스트랩 외부에 마련된 전달 장치 유닛을 통해 웨빙(webbing) 내의 대응하는 수신 유닛으로 에너지가 유도식으로 전달되는, 전자 장치를 구비한 안전벨트 장치가 DE 10 2019 103 460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웨빙의 위치를 사용 중에 보정하는 데 전송 및/또는 수신 유닛으로서의 복수의 오프셋 코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벨트 장치의 가동 부분으로의 전력 및/또는 신호의 개선된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안전벨트 장치를 특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특징부를 갖는 안전벨트 장치가 제안된다. 종속 청구항, 도면, 및 관련 설명으로부터 추가의 바람직한 개발이 취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에 따르면, 삽입 슬롯이 있는 벨트 버클, 벨트 버클의 삽입 슬롯에 삽입될 수 있고 그 삽입 슬롯에 잠길 수 있는 벨트 텅(tongue), 및 안전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 텅은 벨트 텅 메인 바디와 벨트 텅 커버를 갖는, 자동차용 안전벨트 장치가 제안된다. 안전벨트는 벨트 텅의 후프(hoop)를 통해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 버클과 벨트 텅이 전력 및/또는 신호를 벨트 버클로부터 벨트 텅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제안된다.
벨트 버클로부터 벨트 텅으로의 전력 및/또는 신호 전송은, 종래 기술에서 안전벨트 장치, 즉 이 경우에 있어서 안전벨트의 가동 부분으로의 단순한 전송을 가능하게 한 안전벨트의 고정된 정지 지점들과는 무관하게 대응되는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벨트 텅으로의 제안된 전송의 결과로서, 소위 이중 견인기들 - 가슴 및 무릎 벨트용인 3점식 벨트의 경우에는 각각이 별도의 견인기를 가짐 - 이 간단한 방식으로 안전벨트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안전벨트 장치에서는 안전벨트의 고정된 정지 지점은 전송용으로 이용 가능하지 않다.
이 경우 전력 및/또는 신호의 전송은, 예를 들어, 삽입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는, 벨트 텅에 의한 전기 접촉부의 단순한 폐쇄를 초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벨트 텅으로의 전력 및/또는 신호의 전송은 삽입된 상태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된 상태의 검출을 위해 벨트 버클에 별도의 마이크로 스위치가 필요하지 않다.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벨트 텅은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상태 표시기, 예를 들어 2개의 상태 LED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삽입된 상태 및/또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에 의한, 무선 데이터 연결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안전벨트 장치의 가동 부분은 안전벨트 및 벨트 텅을 포함한다.
또 다른 개발에 따르면, 벨트 버클 및 벨트 텅 각각이 전력 및/또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인덕터 코일을 갖는 것이 제안된다.
두 개의 인덕터 코일은 벨트 버클로부터 벨트 텅으로의 전력의 비접촉 전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송이 접촉 없이 오염과 무관하게 발생될 수 있다. 전송 가능한 전력은, 예를 들어, 2.5 W일 수 있다. 또한, 2개의 인덕터 코일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벨트 버클로부터 벨트 텅으로 그리고/또는 벨트 텅으로부터 벨트 버클로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벨트 버클의 인덕터 코일이 벨트 텅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슬롯의 영역에 배열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삽입 슬롯의 영역은 벨트 텅으로부터 가능한 최소 거리를 달성하도록 인덕터 코일을 배열하기 위해 특히 적합하다. 삽입 슬롯의 영역의 인덕터 코일 배열체는, 예를 들어, 삽입 슬롯의 상류에, 삽입 슬롯 자체에, 또는 중간 위치에 배열될 수 있고, 따라서 인덕터 코일이 삽입 슬롯에 부분적으로만 배열된다.
또 다른 개발에 따르면, 벨트 버클의 인덕터 코일이 벨트 버클의 잠금해제 버튼의 반대측 상에 있는 삽입 슬롯과 관련하여 배열되는 것이 제안된다.
잠금해제 버튼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측부 상의 반대 배열체는 구조를 단순화하고, 높은 전송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인덕터 코일과 벨트 텅의 인덕터 코일 사이의 가능한 최소 거리를 허용한다. 또한, 인덕터 코일은 기존 설치 상황에서 벨트 텅에 의해 숨겨지며, 이는 광학적 이점을 제공한다.
또 다른 제안된 실시형태에 따르면, 벨트 텅의 인덕터 코일은 삽입 방향과 관련하여 벨트 텅 메인 바디의 잠금 섹션 위쪽에 배열된다.
따라서, 벨트 텅의 인덕터 코일이 벨트 버클 안으로 폭 넓은 거리에 걸쳐서 삽입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벨트 텅 메인 바디의 잠금 부분에 결합되는 잠금 메커니즘 및 삽입 슬롯은 인덕터 코일과 독립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 다른 개발에 따르면, 벨트 텅의 인덕터 코일이 벨트 텅 메인 바디의 메인 표면 상에 배열되고, 인덕터 코일이 벨트 텅 커버로 덮이는 것이 제안된다.
벨트 텅 메인 바디는, 예를 들어, 금속 시트로 제작되므로, 두 개의 메인 표면, 예를 들어, 전방 표면 및 후방 표면을 갖는다. 메인 표면은 벨트 텅 메인 바디의 표면의 대부분을 형성한다. 인덕터 코일은 대응되는 배열체의 두 개의 메인 표면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벨트 텅이 삽입될 때 잠금해제 버튼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메인 표면이 적합하다. 따라서 평평한 인덕터 코일은 벨트 텅 메인 바디 상에 간단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벨트 텅 커버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기계적 보호를 위해 인덕터 코일을 덮는다. 벨트 텅 커버는 또한 인덕터 코일과 벨트 텅 메인 바디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삽입되고 잠긴 상태의 벨트 텅이 삽입 축을 따른 움직임의 자유도를 갖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움직임의 자유도는 한편으로는 잠금해제 프로브의 작동 없이 벨트 텅의 추가적인 연장이 가능하지 않은 벨트 텅의 잠금 위치에 의해서 제한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벨트 텅의 삽입 슬롯 안으로의 더 깊은 삽입이 가능하지 않은 벨트 텅의 밀어넣기(pushing-in) 위치에 의해서 제한된다. 벨트 텅의 인덕터 코일과 벨트 버클의 인덕터 코일은 움직임 간극의 특정 상대적 위치에서 서로 동심으로 배열된다.
그 결과, 삽입되어 잠긴 상태에서의 벨트 텅의 움직임 간극 내에서 벨트 텅 및 벨트 버클의 인덕터 코일들의 커버리지가 최적이 되며, 그 커버리지에서 전력 및/또는 데이터 전송이 최적이 된다.
벨트 텅이 삽입 슬롯 안으로 더 깊이 삽입될 수 없는 벨트 텅의 밀어넣기 위치(pushing-in position)는 초과 이동 위치라고도 지칭된다. 잠금해제 프로브의 작동 없이 벨트 텅이 더 이상 연장될 수 없는 벨트 텅의 잠금 위치는 정상 위치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벨트 텅의 인덕터 코일과 벨트 버클의 인덕터 코일이 서로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되는 상대적 위치가 움직임 간극의 중앙 영역에 배열되는 것이 더 제안된다.
중앙 영역은 벨트 버클의 삽입 축을 따라 연장되는 움직임 간극의 부분적인 섹션이다. 중앙 영역은, 예를 들어, 삽입 축을 따른 전체 움직임 간극의 예를 들어 20%, 더 나아가 예를 들어 25%의 움직임의 범위의 한계로부터의 거리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개발에 따르면, 벨트 텅과 벨트 버클 각각이 복수의 전기 접촉부를 갖고, 복수의 전기 접촉부는 벨트 텅이 삽입되고 잠길 때, 벨트 버클과 벨트 텅 사이에 전력 및/또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전기적 연결부를 생성하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전력 및/또는 신호는 벨트 텅 및 벨트 버클 상의 전기 접촉부들을 통해 벨트 버클로부터 벨트 텅으로 그리고/또는 벨트 텅으로부터 벨트 버클로 전송될 수 있다.
벨트 버클의 접촉부들이 벨트 버클의 잠금해제 버튼의 타측부 상의 삽입 슬롯과 관련하여 배열되는 것이 더 제안된다.
그 결과, 잠금해제 버튼 및 연관된 잠금해제 메커니즘은 벨트 버클의 접촉부들과 별도로 배열 및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잠금해제 프로브는 이로써 특히 쉬운 방식으로 삽입 슬롯까지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잠금해제 버튼이 작동될 때 조작자의 접근 영역에 접촉부가 없어서, 오염을 피할 수 있다.
또 다른 개발에 따르면, 벨트 텅의 접촉부들이 삽입 방향과 관련하여 벨트 텅 메인 바디의 잠금 섹션 위쪽에 배열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벨트 버클의 삽입 슬롯에 있는 잠금 메커니즘으로부터 벨트 텅 상의 접촉부들의 기하학적 분리가 달성될 수 있다.
벨트 텅으로부터 안전벨트로 전력 및/또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전기적 연결부가 제공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벨트 텅과 안전벨트 사이의 2개 이상의 전기적 연결부에 의해서, 벨트 버클로부터의 전력 및/또는 신호가 벨트 텅을 통해 안전벨트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자 구성요소들은 안전벨트 내에서 또는 상에서 작동되고/되거나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배타적으로 전력이 벨트 버클로부터 벨트 텅을 통해 안전벨트로 또는 이에 제공된 전기 그리고/또는 전자 구성요소들로 전송될 수 있다. 안전벨트의 전기 및/또는 전자 구성요소들과 차량의 추가 시스템 사이의 신호의 전송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 표준을 통해 발생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연결부는 벨트 텅의 후프 상에 제공되고, 플러그 연결부는 삽입 방향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후프 상의 측부 상에 배열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 연결부는 벨트 텅의 인출 방향을 가리키는 후프의 측부 상에 배열된다. 이 방향이 또한 벨트 힘이 작용하는 방향이지만, 후프의 이러한 측부 또는 표면은 응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벨트 텅 상의 플러그인(plug-in) 연결부는 벨트 텅과 안전벨트 사이의 힘의 전달을 위해 제공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된다.
또 다른 개발에 따르면, 벨트 텅의 후프를 덮도록 안전벨트의 봉제 루프가 접혀지고, 플러그 연결부가 안전벨트 상에 제공되며, 플러그 연결부가 안전벨트의 봉제 루프 내에 배열되는 것이 제안된다.
안전벨트의 봉제 루프는 후프를 둘러싸서, 서로 독립적으로 벨트 텅의 후프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안전벨트의 두 개의 단부가 벨트 텅으로부터 제거된다. 이를 위해 적어도 두 개의 벨트 레이어가 함께 재봉된다. 이러한 봉제 루프는 가슴 스트랩과 골반 스트랩 각각을 위한 두 개의 견인기를 사용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루프 내 플러그 연결부의 배열체는 안전벨트를 통한 플러그 연결부의 보호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플러그 연결부 상에 걸리지 않을 수 있거나, 이를 간단한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다.
안전벨트의 플러그 연결부가 봉제 루프 내에서 안전벨트로부터 빠져나가는 케이블 상에 배열되는 것이 더 제안된다.
플러그인 연결부에서 케이블은 벨트 텅의 후프 주위에 봉제된 루프의 이동성을 보상하기에 충분한 연결 유연성을 달성하여, 벨트 텅과 벨트 버클의 플러그 연결부들의 연결이 기계적 응력으로부터 자유롭게 유지될 수 있다.
또 다른 개발에 따르면, 케이블이 안전벨트의 봉제 루프의 봉제 섹션을 통해 연장되는 것이 제안된다.
케이블은 안전벨트의 2개의 봉제된 벨트 레이어 사이에서 안내될 수 있고, 봉제된 섹션 내에 유지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케이블은 봉제 섹션을 통해 안전벨트의 관형 벨트 위치 내에서 이어지고, 관형 벨트 위치로부터 루프 내의 봉제 루프 안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은 봉제 부분에 의해서 자신의 위치에 고정된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케이블은 적어도 봉제 섹션에 2개의 라인을 갖고, 라인들은 2 mm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4 mm보다 큰, 더욱 바람직하게는 6 mm의 폭을 갖는다.
이에 대응되게 폭넓은 케이블은 매우 평평하게 설계될 수 있고, 동시에 충분한 라인 단면을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봉제 섹션 내의 케이블의 가시성이 또한 크게 감소된다. 또한, 이러한 케이블은 재봉 바늘로 봉제 섹션을 제작하는 동안 발생될 수 있는 천공에 대해 매우 높은 공차를 제공한다. 어떠한 구멍이라도 대응되는 폭에서 라인 단면을 최소한으로 감소시켜, 제작 중에 높은 오차 공차가 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개발에 따르면, 안전벨트 내에 또는 상에 가요성 인쇄 회로가 제공되며, 인쇄 회로에는 전력 및/또는 신호가 벨트 버클로부터 벨트 텅을 통해 그리고 안전벨트를 통해 전송되는 것이 제안된다.
예를 들어, 벨트 마이크, 벨트 에어백 작동, 탑승자 분류, 조명, 진동 요소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위한 다양한 전자 구성요소가 가요성 회로 기판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케이블은 봉제 섹션에서, 예를 들어, 가요성 회로 기판에 연결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가요성 회로 기판과 일체화될 수 있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아래에 설명한다. 다음 도면이 도시된다.
도 1은 인덕터 코일들을 구비하는 벨트 텅 및 벨트 버클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인덕터 코일들을 구비하는 벨트 텅 및 벨트 버클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인덕터 코일을 구비하는 벨트 버클과 인덕터 코일을 구비하는 삽입된 벨트 텅을 도시한다.
도 4는 인덕터 코일을 구비하는 벨트 버클과 삽입된 벨트 텅을 측면도로 도시한다.
도 5는 움직임 간극 내에 있는 벨트 텅 및 벨트 버클의 인덕터 코일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가요성 인쇄 회로 및 안전벨트의 봉제 루프를 구비하는 벨트 텅을 도시한다.
도 7은 인덕터 코일을 구비하는 벨트 텅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인덕터 코일을 구비하는 벨트 버클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벨트 잠금 장치용 전기 접촉부를 구비하는 벨트 텅을 도시한다.
도 10은 벨트 텅용 전기 접촉부를 구비하는 벨트 버클을 도시한다.
도 1은 벨트 버클(2)로부터 벨트 텅(4)으로 전력 및/또는 신호를 유도적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된 안전벨트 장치(1)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벨트 텅(4)은, 예를 들어, 판금으로 제조될 수 있는 벨트 텅 메인 바디(5)를 갖는다. 벨트 텅 메인 바디(5)는 벨트 텅 커버(6)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있다. 벨트 버클(2)의 삽입 슬롯(3) 안으로의 삽입을 위해 제공되는 벨트 텅(4)의 섹션은 벨트 텅(4)의 잠금 섹션(11)을 형성하는 리세스를 갖는다. 벨트 텅(4)의 삽입 슬롯(3) 안으로의 삽입 후 벨트 버클(2)의 잠금 메커니즘은 잠금 부분에 결합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서, 잠금 부분(11)은 벨트 텅(4)의 외측 윤곽 상에 형성될 수 있고 리세스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잠금은 조작자에 의해서 잠금해제 버튼(10)을 누름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인덕터 코일(9)은 벨트 텅(4) 상의 후방 측부에, 또는 탑승자를 향한 정렬을 위해 제공되는 측부에 제공된다. 이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인덕터 코일(9)은 벨트 텅 메인 바디(5)의 메인 표면(12)에 평행하게 놓인다. 즉, 인덕터 코일(9)의 주축은 메인 표면(12)에 수직이다. 인덕터 코일(9)은 삽입 방향(B)과 관련하여 잠금 섹션(11) 위쪽에 위치된다. 따라서, 잠금 섹션(11)의 위쪽은 각각의 경우에 잠금 섹션(11)이 인덕터 코일(9) 앞에서 삽입 슬롯(3) 안으로 삽입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형태에서, 인덕터 코일(9)은 삽입 슬롯(3)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인덕터 코일(9)이 또한, 벨트 텅(4)의 삽입된 상태에서 단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즉, 삽입 슬롯(3)의 전이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인덕터 코일(9)이 외측 영향으로부터 기계적으로 보호되도록 인덕터 코일(9)이 벨트 텅 커버(6)로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 텅 커버(6)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므로, 벨트 텅 커버(6)는 유도 전력 및/또는 신호 전송에 대한 장애물을 제공하지 않는다.
벨트 텅(4)은 또한 후프(8)를 가지며, 이 후프를 통해 안전벨트(7)가 안내되므로, 힘이 안전벨트(7)로부터 후프(8) 안으로 도입될 수 있다. 유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후프(8)는 특히 삽입 방향(B)의 측부 상에서 벨트 텅 커버(6)로 감싸여서, 예를 들어, 금속 벨트 텅 메인 바디(5)의 에지가 벨트 텅 커버(6)에 의해 둥글게 될 수 있으며, 이는, 무엇보다도, 안전벨트(7) 상의 마모를 최소화한다.
도 2는 도 1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정면도로 도시하며, 이는 벨트를 착용한 탑승자의 신체로부터 멀리 향하게, 즉 탑승자가 벨트를 착용한 때 주로 이 측부를 보게, 제공된다. 이 도면에서, 벨트 텅(4)의 인덕터 코일(9)은 벨트 텅(4) 자체에 의해서 숨겨진다.
도 1의 도면과 대조적으로, 벨트 버클(2) 상의 인덕터 코일(9)의 위치는 정면도에서 보일 수 있다. 인덕터 코일(9)은 벨트 버클(2) 상에서 삽입 슬롯(3) 영역에 위치되고, 벨트 버클(2)의 하우징(21)에 의해서 숨겨진다. 삽입 슬롯(3)은 일측 상의 인덕터 코일(9)과 타측부 상의 잠금해제 버튼(10) 사이에 배열된다(도 3 참조). 유리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하우징(21)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도 3은 벨트 텅(4)이 삽입되어 잠긴 상태의 벨트 버클(2)을 도시한다. 삽입된 상태에서, 벨트 텅(4)과 벨트 버클(2)의 인덕터 코일들(9)은, 벨트 버클(2)의 인덕터 코일(9)로부터 벨트 텅(9)의 인덕터 코일(9)로의 유도식 전력 전송이 발생될 수 있을 정도로 접근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동차의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의 전류가 벨트 텅(4)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벨트 버클(2)은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온보드 전원 공급 시스템에 연결되거나 연결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케이블 및/또는 플러그 연결에 의해서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벨트 텅(4)으로의 전기 에너지 전송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으로서, 전기 신호의 유도식 신호 전송이 2개의 인덕터 코일(9)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연결부(15)가 벨트 텅(4) 상에 제공되며, 이는 전력을 안전벨트(7)로 전송하는 것 및/또는 안전벨트(7)와 벨트 텅(4) 사이에서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플러그 연결부(15)는 후프(8) 상에 배열되고, 벨트 텅(4)의 인덕터 코일(9)에 연결된다. 이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벨트 텅(4)에서 전자 시스템(미도시)을 통해 실행된다. 벨트 텅(4)의 후프(8) 상의 플러그 연결부(15)의 배열은 이 영역에서 안전벨트(7)로부터 벨트 텅(4)으로 어떠한 힘도 가해지지 않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벨트 텅(4)은, 예를 들어, 2개의 상태 LED 형태의 2개의 상태 표시기(22)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이들의 조명 상태를 통해, 즉 깜박임 및/또는 다른 발광 색상에 의해서 벨트 텅(4)의 잠금 상태에 대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태 디스플레이(22)는, 예를 들어, 안전벨트(7)의 벨트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차량의 다른 시스템으로 블루투스를 통해 무선 데이터 연결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인덕터 코일(9) 및 삽입된 벨트 텅(4)과 함께 벨트 버클(2)을 삽입 축(A)이 명확하게 보일 수 있는 측면도로 도시한다. 벨트 텅(4)은 벨트 텅 메인 바디(5)의 일부 및 잠금 섹션(11)과 함께 삽입 축(A)을 따라 삽입 슬롯 안으로 삽입되어 그 안에 잠긴다. 잠금해제 버튼(10)이 작동되면, 벨트 텅(4)은 삽입 방향(B)에 반대로 삽입 축(A)을 따라 벨트 버클(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4의 벨트 버클(2) 내에서 벨트 텅(4)의 위치는 잠금해제 버튼(10)의 작동 없이 벨트 버클(2) 밖으로의 벨트 텅(4)의 추가적인 연장이 불가능한 위치에 대응된다. 정상 위치라고도 지칭될 수 있는 이 위치는 삽입 축(A)을 따른 벨트 텅(4)의 움직임 간극의 제1 한계를 형성한다. 잠금 상태에서, 삽입 축(A)을 따른 벨트 텅(4)의 벨트 버클(2) 안으로의 추가적인 밀어넣기는 설계로 인해 종단 정지부가 도달될 때까지 가능할 수 있다. 초과 이동이라고도 불리는 이 위치는 삽입 축(A)을 따른 벨트 텅(4)의 움직임 간극의 제2 한계를 형성한다. 움직임 간극은 잠금 상태에만 관련되며, 벨트 텅(4)이 해제되면, 움직임 간극의 제1 한계가 초과된다.
이러한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움직임의 범위의 각각의 위치에서 전력 및/또는 신호의 유도식 전송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벨트 텅(4) 및 벨트 버클(2)의 인덕터 코일들(9)은 중앙 위치에서, 즉 이동 범위의 한계들 중 하나가 아닌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최적으로 위치된다. 최적의 위치 결정은 가능한 최소 거리 외에도 2개의 인덕터 코일(9)의 동심원 배열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 경우, 인덕터 코일들(9)은 정상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최적으로 배열되지 않으며, 이는 이 위치에서 효율성을 감소시키지만, 전송 위치에서도 전력 및/또는 신호의 충분한 전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움직임의 범위에서 코일들(9)의 상대적인 위치는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실선 나선형은 벨트 텅(4)의 인덕터 코일(9)을 나타낸다. 파선 나선은 벨트 버클(2)의 인덕터 코일(9)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의 좌측 예시에서, 벨트 텅(4) 및 따라서 연관된 인덕터 코일(9)은, 잠금을 해제하지 않고는 추가적인 연장이 불가능한 정상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서로에 대한 인덕터 코일들(9)의 위치 결정은 전력 및/또는 신호의 유도식 전송에 대해 최적이 아니다.
도 5의 중앙의 표현은 인덕터 코일들(9)이 서로에 대해 동심원으로 배열되는 인덕터 코일들(9)의 최적 상대 위치를 도시한다. 이러한 상대 위치는 움직임 간극의 중앙 영역에서 점유된다. 따라서 중앙 영역은 삽입 축(A)을 따른 움직임 간극의 한계들로부터 일정 거리를 가지며, 여기서 거리는, 예를 들어, 삽입 축(A)을 따른 움직임 간극의 25%가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또한, 중앙 영역은, 예를 들어, 35% 또는 그 이상, 예를 들어, 45%의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중앙의 최적 상대적 위치가 정상 위치와 이동 위치 사이의 한계들로부터 동일한 거리에서 있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초과 이동 위치에 있는 벨트 텅(4)의 인덕터 코일(9)은 도 5의 오른쪽 도면에서 보일 수 있으며, 이 위치에서 잠긴 벨트 텅(4)은, 예를 들어, 탑승자가 여기에 손을 위치함으로써 벨트 버클(2) 안으로 깊숙이 가압되어 있다. 유도식 전력 전송은 또한 이 위치에서 충분한 정도로 가능하다.
도 6은 벨트 텅(4)의 후프(8)를 둘러싸는 봉제 루프(17)를 갖는 안전벨트(7)를 구비하는 벨트 텅(4)을 도시한다. 따라서, 후프(8)를 통한 안전벨트(7)의 어떠한 슬라이딩도 가능하지 않다. 봉제 루프(17)는 봉제 루프(17)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봉제 부분(18)에 의해 폐쇄된다. 봉제 루프(17)에 의해 벨트 텅(4)과 고정된 안전벨트(7)는, 예를 들어, 2개의 견인기 또는 벨트 견인기가 있는 3점식 벨트에 적합하며, 벨트 견인기는 골반 스트랩용으로 제공되고, 다른 벨트 견인기는 가슴을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후프(8) 상의 플러그 연결부(15)(도 3 참조)는 봉제 루프(17)에 의해 대부분 숨겨지고, 봉제 루프(17)의 측방향 개구들을 통해서만 보인다. 후프(8)의 플러그 연결부(15)는 안전벨트(7)의 플러그 연결부(16)에 연결되거나 잠긴다. 플러그 연결부(16)는 케이블(14)에 고정되며, 이는, 봉제 루프(17) 내에서 후프(8)의 움직임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전벨트(7) 또는 케이블(14)의 출구 개구부와 플러그 연결부(16) 사이의 연결부의 봉제 루프(17) 내에서의 충분한 이동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케이블(14)은 내측 표면을 통해 봉제 루프(17)에 들어간다.
케이블(14)은 벨트 버클(2)로부터 안전벨트(7)에 통합된 가요성 회로 기판(20)으로 전력 및/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 회로 기판은, 예를 들어, 벨트 마이크, 벨트 조명, 촉각 경고 장치, 벨트 에어백 작동 또는 탑승자 분류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가능하게 한다.
케이블(14) 및 가요성 회로 기판(20)은, 예를 들어, 호스로서 설계된 안전벨트(7)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케이블(14)은 봉제 루프(17)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튜브형 안전벨트(7)에 들어간다. 케이블(14)은 전력 및/또는 신호들의 전송을 위해 적어도 2개의 라인(19)을 갖는다.
케이블(14)의 라인들(19)은 봉제 부분(18)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서 나란히 안내된다. 라인들(19)은 적어도 이 영역에서 비교적 넓다, 즉, 예를 들어, 2 mm보다 넓거나, 또는 예를 들어 5 mm보다 넓다. 이것은 라인들(19)이 안전벨트(7)에서 보이지 않도록 매우 가늘게 설계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이어진다. 동시에, 봉제 섹션(18)을 제작하는 중에, 시임(seam)이 라인들(19) 자체를 통과하도록 라인들(19)이 관통될 수 있다.
도 7은 인덕터 코일(9)을 구비하는 대응되는 벨트 텅(4)의 분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두 부분으로 된 벨트 텅 커버(6)와 함께 벨트 텅 메인 바디(5)가 보일 수 있다. 또한, 벨트 텅 커버(6)에 의해 외부로 숨겨지는 인덕터 코일(9)의 위치가 보일 수 있다. 인덕터 코일(9)은 플러그 연결부(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벨트 버클(2)의 분해도가 도 8에 도시된다. 벨트 버클(2)의 인덕터 코일(9)의 위치는 또한 여기에서 보일 수 있으며, 이는 모든 측부로부터 벨트 버클(2)의 하우징(21) 부분들로 덮인다. 삽입 슬롯(3)의 영역에서 인덕터 코일(9)의 배열이 명확하게 보일 수 있다. 잠금해제 버튼(10)과 벨트 버클(2)의 잠금 메커니즘은 도시되지 않는다.
도 9는 안전벨트(7)에 전력 및/또는 신호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벨트 텅(4)의 대안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안전벨트(7)로의 전송은, 예를 들어, 도 6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발생될 수 있다. 이전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와 달리, 전력 및/또는 신호의 유도식 전송이 발생되지 않는다. 대신에, 4개의 전기 접촉부(13)가 벨트 텅(4) 상에 제공되며, 이 전기 접촉부를 통해 대응되는 벨트 버클(2)로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도 10 참조). 4개의 접촉부에 더하여, 예를 들어, 벨트 텅 메인 바디(5)는 또한, 예를 들어, 접지용 접촉부일 수 있다.
전기 접촉부(13)는 삽입 방향(B)에 평행하게 배향되고, 잠금 부분(11)과 관련하여 삽입 방향(B) 반대쪽에 위치된다. 평행 정렬은 삽입 축(A)을 따른 움직임 간극 내에서 슬라이딩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도 10은 삽입된 벨트 텅(4)에서 벨트 텅(4)의 전기 접촉부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설정할 수 있는 전기 접촉부(13)를 삽입 슬롯(3) 아래에 구비하는 대응되는 벨트 버클(2)을 도시한다.

Claims (18)

  1. 자동차용 안전벨트 장치(1)로서,
    - 삽입 슬롯(3)을 갖는 벨트 버클(2),
    - 상기 벨트 버클(2)의 상기 삽입 슬롯(3) 안으로 삽입되어 그 안에 잠길 수 있으며 벨트 텅 메인 바디(5) 및 벨트 텅 커버(6)를 갖는 벨트 텅(4), 및
    - 안전벨트(7)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7)는 상기 벨트 텅(4)의 후프(hoop)(8)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벨트 버클(2)과 상기 벨트 텅(4)은 전력 및/또는 신호를 상기 벨트 버클(2)로부터 상기 벨트 텅(4)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버클(2) 및 상기 벨트 텅(4) 각각은 전력 및/또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인덕터 코일(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버클(2)의 상기 인덕터 코일(9)은 상기 벨트 텅(4)을 삽입하기 위한 상기 삽입 슬롯(3)의 영역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버클(2)의 상기 인덕터 코일(9)은 상기 벨트 버클(2)의 잠금해제 버튼(10)의 반대 측부 상에 상기 삽입 슬롯(3)과 관련하여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텅(4)의 상기 인덕터 코일(9)은 삽입 방향(B)과 관련하여 상기 텅 메인 바디(5)의 잠금 부분(11) 위쪽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텅(4)의 상기 인덕터 코일(9)은 상기 벨트 텅 메인 바디(5)의 메인 표면(12) 상에 배열되고, 상기 인덕터 코일(9)은 상기 벨트 텅 커버(6)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삽입되고 잠긴 상태의 상기 벨트 텅(4)은 삽입 축(A)을 따른 움직임 간극을 갖고,
    - 상기 움직임 간극은 한편으로는 잠금해제 버튼(10)의 작동 없이 상기 벨트 텅(4)의 추가적인 연장이 가능하지 않은 상기 벨트 텅(4)의 잠금 위치에 의해서 제한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벨트 텅(4)의 상기 삽입 슬롯(3) 안으로의 더 깊은 삽입이 가능하지 않은 상기 벨트 텅(4)의 밀어넣기(pushing-in) 위치에 의해서 제한되고,
    - 상기 벨트 텅(4)의 상기 인덕터 코일(9)과 상기 벨트 버클(4)의 상기 인덕터 코일(9)은 상기 움직임 간극의 특정 상대적 위치에서 서로 동심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텅(4)의 상기 인덕터 코일(9)과 상기 벨트 버클(4)의 상기 인덕터 코일(9)이 서로에 대해 동심으로 배열되는 상기 상대적 위치는 상기 움직임 간극의 중앙 영역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텅(4)과 상기 벨트 버클(2) 각각은 복수의 전기 접촉부들(13)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전기 접촉부는 상기 벨트 텅(4)이 삽입되고 잠길 때, 상기 벨트 버클(2)과 상기 벨트 텅(4) 사이에 전력 및/또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전기적 연결부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버클(2)의 상기 접촉부들(13)은 상기 벨트 버클(2)의 잠금해제 버튼(10)의 타측부 상의 상기 삽입 슬롯(3)과 관련하여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텅(4)의 상기 접촉부들(13)은 상기 삽입 방향(B)과 관련하여 상기 벨트 텅 메인 바디(5)의 잠금 부분(11) 위쪽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텅(4)으로부터 상기 안전벨트(7)로 전력 및/또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전기적 연결부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텅(4)의 상기 후프(8) 상에 플러그 연결부(15)가 제공되고, 상기 플러그 연결부(15)는 상기 후프(8) 상에서 상기 삽입 방향(B)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측부 상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텅(4)의 상기 후프(8)를 덮도록 상기 안전벨트(7)의 봉제 루프(17)가 접혀지고, 플러그 연결부(16)는 상기 안전벨트(7) 상에 제공되며, 상기 플러그 연결부는 상기 안전벨트(7)의 상기 봉제 루프(17) 내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7)의 상기 플러그 연결부(16)는 상기 봉제 루프(17) 내에서 상기 안전벨트(7)로부터 빠져나가는 케이블(14) 상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4)은 상기 안전벨트(7)의 상기 봉제 루프(17)의 봉제 부분(18)을 통해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4)은 적어도 상기 봉제 부분에 2개의 라인(19)을 갖고, 상기 라인들은 2 mm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4 mm보다 큰, 더욱 바람직하게는 6 mm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7) 내에 또는 상에 가요성 인쇄 회로(20)가 제공되며, 상기 인쇄 회로에는 전력 및/또는 신호가 상기 벨트 버클(2)로부터 상기 벨트 텅(4)을 통해 그리고 상기 안전벨트(7)를 통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장치(19).
KR1020237023318A 2020-12-15 2021-12-06 안전벨트 장치 KR202301186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33574.1A DE102020133574A1 (de) 2020-12-15 2020-12-15 Sicherheitsgurtvorrichtung
DEDE102020133574.1 2020-12-15
PCT/EP2021/084361 WO2022128564A1 (de) 2020-12-15 2021-12-06 Sicherheitsgurt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639A true KR20230118639A (ko) 2023-08-11

Family

ID=8009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3318A KR20230118639A (ko) 2020-12-15 2021-12-06 안전벨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25372A1 (ko)
JP (1) JP2024506117A (ko)
KR (1) KR20230118639A (ko)
CN (1) CN116669586A (ko)
DE (1) DE102020133574A1 (ko)
WO (1) WO20221285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10252B3 (de) 2021-09-16 2023-02-23 Autoliv Development Ab Gurtzunge, Sicherheitsgurteinrichtung und Herstellverfahren für eine Gurtzunge
EP4349665A1 (en) 2022-10-07 2024-04-10 Autoliv Development AB Safety belt device and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02865B3 (de) 2005-01-20 2006-06-14 Autoliv Development Ab Freisprech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20070182534A1 (en) 2006-02-07 2007-08-09 Rory Gregory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seatbelt usage
DE102015204815B4 (de) * 2015-03-17 2017-07-2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gurteinrichtung für ein Fahrzeug
US9527477B1 (en) 2015-06-02 2016-12-27 Tk Holdings Inc. Seat belt buckle tongue electromagnetic coupling with optional wireless sensor and/or actuator system
US10143043B1 (en) * 2017-12-07 2018-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ted seat belt
WO2020144249A1 (en) * 2019-01-12 2020-07-16 Autoliv Development Ab Integrated electromagnetic and optical device for wireless transfer of power and data communication
DE102019103460B4 (de) 2019-02-12 2022-05-25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gurtvorrichtung mit einer elektronischen Vorrichtung
DE102019113893A1 (de) 2019-05-24 2020-11-26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gu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6117A (ja) 2024-02-09
DE102020133574A1 (de) 2022-06-15
US20240025372A1 (en) 2024-01-25
WO2022128564A1 (de) 2022-06-23
CN116669586A (zh)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18639A (ko) 안전벨트 장치
US6960993B2 (en) Device for transmitting signals and/or energy to a vehicle seat rail system
CA224270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locked or unlocked condition of a seat belt buckle
EP1461232B1 (en) A safety arrangement
EP0861763B1 (en) Seat belt buckle with hall effect locking indicator and method of use
EP1625984B1 (en) Switch device
US9527477B1 (en) Seat belt buckle tongue electromagnetic coupling with optional wireless sensor and/or actuator system
CN210454622U (zh) 具有颜色编码照明特征的座椅安全带总成
US20060285344A1 (en) Buckle Apparatus and Seat Belt Apparatus
US6575394B1 (en) Seat belt retracting device
KR20110051980A (ko) 안테나 통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버튼시동 차량의 비상시동방법
KR100577625B1 (ko) 좌석과 좌석 벨트, 트랜스폰더 통신 장치 및 전송 코일을 포함하는 제조 물품
US6474435B1 (en) Means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components in a vehicle occupant protection system
CN109421654B (zh) 车辆用座椅安全带装置
WO2014199750A1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148166B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홀스위치
EP1680971B1 (en) Tongue of inflatable belt device
CN100352702C (zh) 磁性位置传感器
US6801112B1 (en) Device for switching a connection according to the state of an apparatus to be monitored, especially a safety switch
US20080252058A1 (en) Seatbelt system
JP2008245831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20030122361A1 (en) Seat restraint tension sensing assembly
KR101148167B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구조
CN110871768A (zh) 用于检测安全带系统的锁定和/或功能状态的系统和方法
JP2001018748A (ja) バックル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