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485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485A
KR20230112485A KR1020220008795A KR20220008795A KR20230112485A KR 20230112485 A KR20230112485 A KR 20230112485A KR 1020220008795 A KR1020220008795 A KR 1020220008795A KR 20220008795 A KR20220008795 A KR 20220008795A KR 20230112485 A KR20230112485 A KR 20230112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display device
display
imag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승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8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2485A/ko
Priority to EP22161067.8A priority patent/EP4216026A1/en
Priority to AU2022201740A priority patent/AU2022201740B2/en
Priority to JP2022044899A priority patent/JP7334295B2/ja
Priority to US17/707,848 priority patent/US11600216B1/en
Priority to CN202210596888.4A priority patent/CN116527972A/zh
Publication of KR20230112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4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리모컨으로부터 리모컨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타입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디스플레이 속성을 변경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은 리모컨 입력 타입 또는 터치 입력 타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말기의 기능은 다양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와 음성통신,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및 비디오 촬영, 음성녹음,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파일 재생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나 비디오를 출력하는 기능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전자게임 플레이 기능이 추가되거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가 특정 인치(예를 들어, 27인치) 이상인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터치에 어려움이 있다.
즉, 일정 크기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기존의 태블릿과 같은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의 움직임이 더 많이 필요하여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맞게 디스플레이 속성을 변경하여 사용성을 최적화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터치 사용을 최적화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리모컨으로부터 리모컨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타입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디스플레이 속성을 변경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은 리모컨 입력 타입 또는 터치 입력 타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적절한 크기를 갖는 GUI가 제공될 수 있어, 입력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의 지점을 중심으로 화면이 축소되어, 사용자의 터치 사용이 최적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영상의 출력 밝기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제어 시, 눈부심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에 따라 영상의 크기가 감소되어 영상 시청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가상 키보드의 속성을 변경하는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리모컨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1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2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c는 종래에 따라 터치 입력을 통해 제1 가상 키보드에 입력을 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화면의 크기가 줄어드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e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 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모바일 기기에 설정된 키보드 정보에 맞추어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f 및 도 8g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세에 따라 서로 다른 타입의 가상 키보드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8h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세가 변경되더라도 서로 동일한 타입의 가상 키보드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 밝기 모드를 제공하는 흐름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화면 밝기 모드를 다르게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영상을 제공하는 흐름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화면 크기를 다르게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4b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영상을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6b는 터치 모드의 유지여부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들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메모리(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 컨트롤러(170),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 디스플레이(180), 스피커(185), 전원 공급 회로(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기(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기(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 또는 메모리(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컨트롤러(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17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기(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기(210), 무선통신회로(22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 센서(240), 출력 인터페이스(250), 전원공급회로(260), 메모리(270), 컨트롤러(280), 마이크로폰(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회로(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회로(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회로(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회로(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회로(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회로(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통신회로(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회로(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회로(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 인터페이스(250)를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253),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회로(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컨트롤러(28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마이크로폰(290)은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9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샤프트(103) 및 스탠드 베이스(105)가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10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스탠드 베이스(105)를 이어줄 수 있다. 샤프트(103)는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샤프트(103)의 하단은 스탠드 베이스(105)의 가장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103)의 하단은 스탠드 베이스(105)의 둘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샤프트(103)는 스탠드 베이스(105)에 대해 수직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103)의 상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스탠드 베이스(10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샤프트(103) 및 스탠드 베이스(105)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샤프트(103)의 상부와 디스플레이(180)의 후면이 맞닿은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a는 디스플레이(180)의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큰 자세를 갖는 가로 모드로 동작함을 나타내고, 도 5b는 디스플레이(180)의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큰 자세를 갖는 가로 모드로 동작함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들고 이동할 수 있다. 즉, 스탠드 타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된 기기와는 달리 이동성이 향상되어 사용자는 배치 위치에 구애받지 않는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601).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입력의 타입은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입력, 터치 입력, 마우스 입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180) 상에 영상을 표시하는 중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타입을 획득한다(S603).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로에 기반하여 사용자 입력의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의 타입은 리모컨 입력 타입, 터치 입력 타입, 마우스 입력 타입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을 리모컨 입력 타입으로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을 터치 입력 타입으로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을 마우스 입력 타입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마우스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135)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획득된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디스플레이 속성을 변경한다(S605).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속성은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된 영상의 크기, 밝기,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속성은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요소들의 크기, 밝기, 위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속성의 변경은 디스플레이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우스 입력 타입은 터치 입력 타입에 준하여 처리될 수 있다. 이는 마우스 입력의 경우와 터치 입력의 경우 모두,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 간 거리가 가까울 수 있기 때문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속성이 변경된 화면을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한다(S607).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속성이 제2 디스플레이 속성으로 변경된 경우, 변경된 속성을 반영한 영상 또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가상 키보드의 속성을 변경하는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의 실시 예는 단계 S603 내지 S607을 구체화한 도면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리모컨 입력 타입인지를 판단한다(S701).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리모컨 입력 타입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속성을 갖는 제1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한다(S703).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터치 입력 타입으로 판단된 경우(S705), 제2 속성을 갖는 제2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한다(S707).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상 키보드의 크기는 제2 가상 키보드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즉, 여기서 속성은 가상 키보드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다가 터치 입력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의 거리는 더 가까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한 제어 시 표시되는 가상 키보드의 크기가 그대로 유지된다면, 사용자의 손 움직임이 더 늘어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리모컨 입력 타입에서 터치 입력 타입으로 변경된 경우, 가상 키보드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a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리모컨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1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는 예이고, 도 8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2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c는 종래에 따라 터치 입력을 통해 제1 가상 키보드에 입력을 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색 창(810)을 포함하는 화면(800)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180)의 사이즈는 27, 29, 31인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 또는 리모컨으로 명명)의 움직임에 따라 제어되는 포인터(205, 또는 커서라 명명)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포인터(205)가 검색 창(810)에 위치하고, 텍스트 입력을 위한 명령을 리모컨(200)으로부터 수신한 경우, 제1 크기를 갖는 제1 가상 키보드(820)를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검색 창(810)을 터치한 예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색 창(810)에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를 갖는 제2 가상 키보드(830)를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 타입이 터치 입력 타입으로 판단된 경우, 제1 가상 키보드(820)를 제2 가상 키보드(830)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크기가 줄어든 가상 키보드를 통해 좀 더 편리하게 터치 입력을 가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종래에 따라 터치 입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제1 가상 키보드(820)가 표시된다면, 제1 가상 키보드(820)는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는 너무 크므로, 사용자의 손 움직임이 크게 늘어나게 된다.
이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리모컨 입력 타입으로 재 변경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8a와 같이, 제1 크기를 갖는 제1 가상 키보드(82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리모컨(200)을 사용한다는 것은 그만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사용자 간 거리가 멀어짐을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가상 키보드의 크기가 커야 사용자가 포인터(205)를 통해 텍스트 입력을 하는게 더 용이하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적절한 크기를 갖는 가상 키보드가 제공될 수 있어, 입력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터치 입력 타입으로 판단된 경우, 가상 키보드의 크기뿐만 아니라, 표시 중인 화면의 크기도 축소될 수 있다.
도 8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화면의 크기가 줄어드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의 화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특정 지점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800)의 크기를 도 8d에 도시된 바와 이 축소된 화면(801)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상 키보드(820)도 축소된 화면(801)의 비율에 맞게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소될 수 있다.
즉, 터치된 지점(840)을 중심으로 축소된 화면(801) 및 축소된 가상 키보드(821)가 표시될 수 있다.
축소된 화면(801)의 크기는 태블릿 PC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트를러(170)는 축소된 비율 및 터치 지점(840)에 기초하여, 기존의 화면(800)의 좌표계를 축소된 화면(801)의 좌표계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170)는 터치 지점(840)을 중심으로 화면(800)의 크기가 축소되도록 좌표계를 변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의 지점을 중심으로 화면이 축소되어, 사용자의 터치 사용이 최적화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축소된 화면(801) 이외의 지점이 선택된 경우, 축소된 화면(801) 및 축소된 가상 키보드(821)를 원래의 화면(800) 및 원래의 가상 키보드(820)로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정 시간 내에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 축소된 화면(801) 및 축소된 가상 키보드(821)를 원래의 화면(800) 및 원래의 가상 키보드(820)로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축소된 가상 키보드(821)에 포함된 버튼(미도시)의 선택에 따라 축소된 화면(801) 및 축소된 가상 키보드(821)를 원래의 화면(800) 및 원래의 가상 키보드(820)로 전환할 수 있다.
도 8e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 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모바일 기기에 설정된 키보드 정보에 맞추어 가상 키보드가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모바일 기기(880)는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통신 규격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모바일 기기(880)에 설정된 키보드 자판 타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키보드 자판 타입에 대한 정보는 터치 입력 수신 전에 미리 모바일 기기(880)로부터 확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키보드 자판 타입에 대한 정보에 따라 모바일 기기(880)에 설정된 키보드 자판 타입을 갖도록 제2 가상 키보드(830)의 자판 타입을 일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880)의 키보드 자판 타입이 qwerty 타입인 경우, 터치 입력에 따라 제2 가상 키보드(830)의 자판 타입 또한, qwerty 타입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키보드 자판 타입의 설정을 변경할 필요 없이, 모바일 기기(880)에서 사용하는 키보드 자판 타입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8f 및 도 8g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세에 따라 서로 다른 타입의 가상 키보드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세에 따라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가로 모드는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더 큰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랜드스케이프 모드이고, 세로 모드는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더 작은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포트레이트 모드일 수 있다.
도 8f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가로 모드에 있고, 도 8g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세로 모드에 있다.
도 8f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로 모드 하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설정된 제1 키보드 자판 타입을 갖는 제2 가상 키보드(83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g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세로 모드 하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모바일 기기(880)에서 설정된 제2 키보드 자판 타입을 갖는 제3 가상 키보드(89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에서 전환된 후,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 키보드 자판 타입의 제2 가상 키보드(830)를 제2 키보드 자판 타입을 갖는 제3 가상 키보드(890)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자세에 따라 서로 다른 키보드 자판 타입을 갖는 가상 키보드가 제공되어 향상된 사용자 경험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h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세가 변경되더라도 서로 동일한 타입의 가상 키보드를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h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로 모드 하에서 제1 키보드 자판 타입의 제2 가상 키보드(83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자세가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변경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세로 모드 하에서, 제1 키보드 자판 타입과 동일한 타입을 갖는 제2 가상 키보드(83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자세에 따라 키보드 자판 타입이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는 키보드 자판 배열이 달라져 키보드 입력에 혼란을 느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가상 키보드(830)가 표시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세가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변경되더라도, 동일한 키보드 자판 타입의 가상 키보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에 혼란이 일어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2 가상 키보드(830)가 표시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세가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되더라도, 동일한 키보드 자판 타입의 가상 키보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 밝기 모드를 제공하는 흐름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의 실시 예는 도 6의 단계 S603 내지 S607을 구체화한 도면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리모컨 입력 타입인지를 판단한다(S901).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리모컨 입력 타입으로 판단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밝기 모드를 제1 화면 밝기 모드로 동작시킨다(S903).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터치 입력 타입으로 판단된 경우(S905),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밝기 모드를 제2 화면 밝기 모드로 동작시킨다(S907).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밝기 모드는 기본 밝기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1 화면 밝기 모드 및 기본 밝기보다 더 낮은 밝기를 출력하는 절전을 위한 제2 화면 밝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화면 밝기 모드를 다르게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리모컨 입력 타입인 경우, 제1 밝기를 갖는 제1 영상(1001)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본 밝기에 상응하는 제1 화면 밝기 모드로 동작함을 나타내는 제1 밝기 팝업 창(1010)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터치 입력 타입으로 변경된 경우, 제2 밝기를 갖는 제2 영상(1003)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리모컨 입력 타입에서 터치 입력 타입으로 변경된 경우, 영상의 밝기가 제1 밝기에서 제2 밝기로 변경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본 밝기 보다 절전 상태의 모드인 제2 화면 밝기 모드로 동작함을 나타내는 제2 밝기 팝업 창(1030)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터치 입력 타입 경우, 밝기를 감소시키는 이유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할 시,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영상의 출력 밝기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제어 시, 눈부심이 방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밝기 팝업 창(1030) 대신, 밝기 모드의 변경을 문의하는 메시지 또는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밝기 조절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영상을 제공하는 흐름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의 실시 예는 도 6의 단계 S603 내지 S607을 구체화한 도면일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리모컨 입력 타입인지를 판단한다(S1101).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리모컨 입력 타입으로 판단된 경우, 제1 크기를 갖는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한다(S1103).
일 실시 예에서 제1 크기는 디스플레이(180)의 전체 화면의 크기일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터치 입력 타입으로 판단된 경우(S1105), 제1 영상 보다 축소된 제2 크기를 갖는 제2 영상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한다(S1107).
일 실시 예에서, 제2 크기는 제1 크기의 3/4 크기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도 12a 및 도 12b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화면 크기를 다르게 제공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리모컨 입력 타입인 경우, 제1 크기를 갖는 제1 영상(1210)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터치 입력 타입으로 변경된 경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를 갖는 제2 영상(1230)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리모컨 입력 타입에서 터치 입력 타입으로 변경된 경우, 영상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터치 입력 타입 경우, 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이유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 거리가 가까워짐에 따라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할 시, 영상이 한눈에 들어오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영상의 크기가 조절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 제어 시, 영상이 한눈에 들어올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리모컨 입력 타입에서 터치 입력 타입으로 변경된 경우, 영상의 크기를 제1 크기에서 제2 크기로 축소시키면서, 영상의 밝기를 제1 밝기에서 제2 밝기로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도 11의 실시 예에서는 도 9의 실시 예가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b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영상을 제공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의 실시 예는 도 6의 단계 S603 내지 S607을 구체화한 도면일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4b의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모바일 기기(880)와 화면 공유 서비스(스크린 미러링)를 제공하고 있음을 가정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리모컨 입력 타입인지를 판단한다(S1301).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리모컨 입력 타입으로 판단된 경우, 제1 크기를 갖는 제1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한다(S1303).
일 실시 예에서 제1 크기는 디스플레이(180)의 전체 화면의 크기일 수 있다.
제1 미러링 영상은 모바일 기기(880)가 표시 중인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일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터치 입력 타입으로 판단된 경우(S1305), 제1 미러링 영상 보다 축소된 제2 크기를 갖는 제2 미러링 영상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한다(S1307).
제2 크기는 제1 크기의 3/4에 해당되는 크기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도 1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세로 모드 하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전, 제1 미러링 영상(1410)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제1 크기를 갖는 제1 미러링 영상(1410)을 제2 크기를 갖는 제2 미러링 영상(1430)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는 미러링 영상을 축소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용이하게 하고, 미러링 영상을 한눈에 들어오게 하기 위함이다.
그 후, 컨트롤러(17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제2 미러링 영상(1430)의 터치 입력 지점에 상응하는 변환된 UIBC 좌표 정보를 모바일 기기(880)로 전송한다(S1309).
컨트롤러(170)는 제2 미러링 영상(1430)의 일 지점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입력의 지점에 대한 UIBC(User Input Back Channel, 사용자 입력 백 채널)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백 채널은 모바일 기기(88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한 터치 입력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모바일 기기(880)로 전달하는 채널일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터치 지점의 제1 UIBC 좌표를 제2 UIBC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UIBC 좌표는 제1 미러링 영상(1410)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된 일 지점의 좌표이고, 제2 UIBC 좌표는 제1 미러링 영상(1410)의 축소에 따른 제2 미러링 영상(1430)에서 일 지점의 좌표일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영상 축소 비율에 맞게 제1 UIBC 좌표를 제2 UIBC 좌표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제2 UIBC 좌표를 모바일 기기(880)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880)는 수신된 제2 UIBC 좌표에 기반하여 해당 지점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가로 모드 하에서,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표시 중인 제3 미러링 영상(1450)을 제4 미러링 영상(1470)으로 전환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a의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제4 미러링 영상(1470)은 제3 미러링 영상(1450)에 비해 일정 비율만큼 축소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b는 터치 모드의 유지여부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들이다.
도 15의 실시 예는 도 6의 단계 S603 내지 S607을 구체화한 도면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리모컨 입력 타입인지를 판단한다(S1501).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리모컨 입력 타입으로 판단된 경우, 제1 크기를 갖는 제1 영상을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한다(S1503).
일 실시 예에서 제1 크기는 디스플레이(180)의 전체 화면의 크기일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터치 입력 타입으로 판단된 경우(S1505), 제1 영상 보다 축소된 제2 크기를 갖는 제2 영상 및 터치 메뉴를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한다(S1507).
일 실시 예에서 터치 메뉴는 터치 모드를 유지할지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을 제공하는 메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메뉴를 통해 터치 모드를 유지하기 위한 ON 입력, 터치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OFF 입력 중 어느 하나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터치 입력을 통해 제어하기 위한 모드일 수 있다. 터치 모드 하에서는 영상의 크기가 축소되고, 영상의 밝기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축소된 제2 영상(1610) 및 온 된 상태의 터치 메뉴(1620)를 디스플레이(18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터치 모드를 OFF 하기 위한 OFF 입력을 수신했는지를 판단하고(S1509), OFF 입력을 수신한 경우, 축소된 제2 영상을 원래 크기의 제1 영상으로 전환한다(S1511).
동시에, 컨트롤러(170)는 제1 영상의 원래 밝기가 되도록 화면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OFF 입력에 따라 터치 메뉴(1620)를 오프시킬 수 있고, 축소된 제2 영상(1610)을 원래 크기의 제1 영상(1630)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축소된 제2 영상(1610)은 그라데이션 효과가 적용되면서, 제1 영상(1630)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OFF 입력이 수신되지 않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 터치 입력을 수신하지 않는 경우, 터치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사용자에게 터치 모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권이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보다 주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리모컨으로부터 리모컨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타입을 획득하고, 획득된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디스플레이 속성을 변경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은
    리모컨 입력 타입 또는 터치 입력 타입 중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상기 리모컨 입력 타입인 경우, 제1 크기를 갖는 제1 가상 키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상기 리모컨 입력 타입에서 상기 터치 입력 타입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제1 크기 보다 작은 제2 크기를 갖는 제2 가상 키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한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영상의 축소된 영상 및 상기 제2 가상 키보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바일 기기와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가상 키보드의 자판 타입을 상기 모바일 기기에서 설정된 자판 타입으로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자세 모드가 가로 모드 하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기 설정된 자판 타입을 갖는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자세 모드가 세로 모드 하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모바일 기기에 설정된 자판 타입을 갖는 가상 키보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상기 리모컨 입력 타입인 경우, 제1 밝기로 상기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상기 터치 입력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밝기 보다 작은 제2 밝기로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상기 리모컨 입력 타입인 경우, 상기 제1 밝기로 상기 영상이 출력됨을 나타내는 제1 밝기 팝업 창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상기 터치 입력 타입인 경우, 상기 제2 밝기로 상기 영상이 출력됨을 나타내는 제2 밝기 팝업 창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상기 리모컨 입력 타입인 경우, 제1 밝기로 상기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상기 터치 입력 타입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제1 밝기 보다 작은 제2 밝기로 상기 영상을 출력하면서, 상기 영상의 축소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상기 리모컨 입력 타입에서, 상기 터치 입력 타입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에서 표시된 상기 영상을 축소시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터치 모드의 유지여부를 설정 가능한 터치 메뉴를 더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메뉴를 통해 상기 터치 모드가 해제된 경우, 상기 축소된 영상을 원래 크기로 복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가 표시 중인 소스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 신호에 기반하여, 제1 미러링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이 상기 리모컨 입력 타입에서 상기 터치 입력 타입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제1 미러링 영상이 축소된 제2 미러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미러링 영상 상에 수신된 터치 입력의 일 지점에 상응하는 UIBC 좌표를 미러링 영상의 축소된 비율에 맞게 변환하고, 변환된 UIBC 좌표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연결되고, 수직하게 연장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연결된 스탠드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디스플레이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타입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사용자 입력의 타입에 따라 디스플레이 속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타입은
    리모컨 입력 타입 또는 터치 입력 타입 중 어느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20008795A 2022-01-20 2022-01-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3011248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795A KR20230112485A (ko) 2022-01-20 2022-01-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22161067.8A EP4216026A1 (en) 2022-01-20 2022-03-09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U2022201740A AU2022201740B2 (en) 2022-01-20 2022-03-14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22044899A JP7334295B2 (ja) 2022-01-20 2022-03-22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US17/707,848 US11600216B1 (en) 2022-01-20 2022-03-29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202210596888.4A CN116527972A (zh) 2022-01-20 2022-05-30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795A KR20230112485A (ko) 2022-01-20 2022-01-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485A true KR20230112485A (ko) 2023-07-27

Family

ID=8107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795A KR20230112485A (ko) 2022-01-20 2022-01-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600216B1 (ko)
EP (1) EP4216026A1 (ko)
JP (1) JP7334295B2 (ko)
KR (1) KR20230112485A (ko)
CN (1) CN116527972A (ko)
AU (1) AU2022201740B2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2820A (ja) * 2003-02-21 2004-09-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と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789848B2 (ja) 2007-04-24 2011-10-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装置
KR101651859B1 (ko) 2009-06-05 2016-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KR20110069563A (ko) * 2009-12-17 2011-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10157322A1 (en) * 2009-12-31 2011-06-30 Broadcom Corporation Controlling a pixel array to support an adaptable light manipulator
JP2012064075A (ja) 2010-09-17 2012-03-29 Funai Electric Co Ltd 文字入力装置
KR101788006B1 (ko) 2011-07-18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로 제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JP2013097695A (ja) 2011-11-04 2013-05-20 Panasonic Corp Gui実行装置、gui実行方法、及びgui実行プログラム
US20130127738A1 (en) * 2011-11-23 2013-05-23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scaling of touch sensor
KR20130081596A (ko) * 2012-01-09 2013-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사용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196017B2 (ja) * 2012-01-13 2017-09-13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2013152566A (ja) * 2012-01-24 2013-08-08 Funai Electric Co Ltd リモコン装置
KR101195514B1 (ko) * 2012-03-22 2012-10-29 알서포트 주식회사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11457B1 (ko) 2013-05-15 2020-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281341B1 (ko) * 2015-01-26 2021-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4356B1 (ko) * 2015-09-11 2022-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489752B1 (ko) * 2016-01-05 2023-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272627B2 (en) * 2016-11-28 2022-03-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tand
KR102469754B1 (ko) * 2018-02-13 2022-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126266A (ko) * 2020-04-10 2021-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00216B1 (en) 2023-03-07
CN116527972A (zh) 2023-08-01
AU2022201740B2 (en) 2024-02-01
AU2022201740A1 (en) 2023-08-03
JP2023106270A (ja) 2023-08-01
EP4216026A1 (en) 2023-07-26
JP7334295B2 (ja) 202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1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213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72573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570379B1 (ko)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595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794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1680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U2022201740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101300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993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997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4230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31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49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13814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424342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30120798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301115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814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286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1608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227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613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16711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KR20220154081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