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341B1 -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341B1
KR102281341B1 KR1020150011959A KR20150011959A KR102281341B1 KR 102281341 B1 KR102281341 B1 KR 102281341B1 KR 1020150011959 A KR1020150011959 A KR 1020150011959A KR 20150011959 A KR20150011959 A KR 20150011959A KR 102281341 B1 KR102281341 B1 KR 102281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video data
screen
source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1628A (ko
Inventor
정정윤
신치호
신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1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341B1/ko
Priority to CN201680007227.6A priority patent/CN107211020B/zh
Priority to PCT/KR2016/000555 priority patent/WO2016122151A1/ko
Priority to EP16743629.4A priority patent/EP3253029B1/en
Publication of KR20160091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628A/ko
Priority to US15/660,690 priority patent/US1005731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59End-user terminal functionalities specially adapt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 H04L65/6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3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the control of the source by the dest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62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t th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Abstract

싱크 디바이스에서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텍스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상기 특정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OURCE DEVICE AT SINK DEV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미러링된 화면을 음성 인식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크린 미러링(screen mirroring)이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와 같은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을 TV와 같은 싱크 디바이스의 화면에 그대로 미러링하는 기술을 말한다. 사용자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즐기던 영상이나 이미지 등을 미러링 기술을 이용하여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TV를 통해 그대로 즐길 수 있다.
종래에는, 싱크 디바이스에서는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을 제어할 수 없었기 때문에 사용자는 소스 디바이스에서만 명령어를 입력할 수 밖에 없었으나, 최근에는 UIBC(User Input Back Channel)를 통해 싱크 디바이스에서 소스 디바이스로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명령어를 전송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UIBC의 규격에는 사용자가 음성 인식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는 정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음성 인식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스크린 미러링 시 사용자의 음성 신호로부터 변환된 텍스트를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또는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명령어로 변환하여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텍스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상기 특정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싱크 디바이스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으로 통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상기 특정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싱크 디바이스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으로 통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UIBC(User Input Back Channel)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 가능한 명령어 및 상기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의 맵핑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디스플레이부와,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텍스트와 대응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크린 미러링 시 사용자의 음성 신호로부터 변환된 텍스트를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또는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명령어로 변환하여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스 디바이스의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싱크 디바이스의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2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입력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 미러링을 위하여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간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과 관련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과 관련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0과 관련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0과 관련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0과 관련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스 디바이스의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 방송방식, 예를 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기 기술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TM,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들이 합쳐짐에 따라 하나의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기준시점의 영상과 확장시점의 영상)을 입력 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설정하거나, 2D 영상을 입력 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싱크 디바이스의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방송 수신부(205),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 저장부(2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50), 제어부(270), 디스플레이부(280), 오디오 출력부(285), 전원 공급부(29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 수신부(205)는, 적어도 하나의 튜너(210), 복조부(2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상기 방송 수신부(205)는 튜너(210)와 복조부(220)는 구비하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수신부(205)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중화부(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튜너(210)를 거쳐 복조부(220)에서 복조된 신호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거쳐 수신된 신호를 다중화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상기 방송 수신부(225)는 역시 도시되진 않았으나, 역다중화부(demultiplexer)를 구비하여 상기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상기 복조된 신호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거친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다.
튜너(2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튜너(210)는, 수신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 혹은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2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2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2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210)는, 싱글 캐리어(single carrier) 또는 멀티플 캐리어(multiple carrier)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2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로 튜닝 및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신호(DIF: Digital Intermediate Frequency or baseband signal)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220)는, 튜너(2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채널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2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거나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복조부(2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복조부(2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2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280)를 통해 영상을, 오디오 출력부(285)를 통해 음성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와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 디바이스, 카메라, 캠코더(Camcorder), 컴퓨터(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 블루투스 디바이스(Bluetooth device), 클라우드(Cloud)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 등과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는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미지, 영상, 음성 등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부(470)로 전달한다. 제어부(270)는 처리된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4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디바이스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는, 셋톱-박스(STB)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톱-박스(STB)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는, 인접하는 외부 디바이스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application list)을 수신하여, 제어부(270) 또는 저장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외부 디바이스에,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트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트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트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firmware)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트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어부(2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2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2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400)는, 저장부(2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저장부(440)가 제어부(2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저장부(240)는 제어부(2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2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70)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 디바이스(4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270)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 디바이스(4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치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7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는,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센싱(sensing)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2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270)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튜너(210), 복조부(220)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2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하여 외부 출력 디바이스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270)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튜너(2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튜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내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2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2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280) 또는 오디오 출력부(2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2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디바이스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디바이스,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280) 또는 오디오 출력부(2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2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2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컨텐트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내에 저장된 컨텐트,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트,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트일 수 있다. 컨텐트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2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2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2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2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2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280)는, 제어부(2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2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2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입력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285)는, 제어부(2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2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제어부(27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2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2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2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2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backlight lamp)를 구비하는 액정 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동작 가능한 인버터(inverter)(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 디바이스(4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 디바이스(4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 디바이스(4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2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 디바이스(4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의 ATSC 방식 또는 DV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의 처리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도시된 구성 중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반대로 도시되진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술한 바와 달리, 튜너와 복조부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외부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2의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제어부(270)의 일 예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mixer)(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Frame Rate Converter)(355), 및 포맷터(formatter)(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상기 제어부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음성 처리부와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MPEG-2 TS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역다중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 또는 복조부 또는 외부디바이스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를 복호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된 영상 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디코더(325)는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MPEG-2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하고,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H.264 규격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는 H.264 디코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된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각종 데이터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OSD 데이터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widget), 아이콘(icon), 시청률 정보(viewing rate information)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데이터와 영상 처리부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를 믹싱(mixing)하여 포맷터(360)로 제공한다. 복호된 영상 신호와 OSD 데이터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overlay) 되어 표시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를 변환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는 입력되는 60Hz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주파수에 따라 예를 들어, 120Hz 또는 24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가지도록 변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함으로써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는 프레임 레이트를 60Hz에서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기존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프레임 또는 예측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여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프레임 변환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를 바이패스(bypass) 할 수도 있다.
포맷터(3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을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변경한다. 예를 들어, 포맷터(360)는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VDS: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포맷터(360)는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이 3D 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포맷에 맞게 3D 형태로 구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3D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오디오 포맷을 처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성 신호가 MPEG-2, MPEG-4, AAC, HE-AAC, AC-3, BSAC 등의 포맷으로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에 대응되는 디코더를 구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 내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경우에도 이를 복호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로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각, 종료시각 등의 방송 정보가 포함된 EPG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로서,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영상 또는 입력되는 영상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신호 처리디바이스일 수 있다. 영상신호 처리디바이스의 다른 예로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280)와 오디오 출력부(285)가 제외된 셋톱-박스(STB), 상술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게임 디바이스, 컴퓨터 등이 더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싱크 디바이스로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는 음성 신호 수신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음성 신호 수신부는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 음성 신호 수신부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여 외부의 음성 신호를 직접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고,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음성 신호 수신부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5)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50)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부(240)는,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텍스트 변환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변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부(240)는,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표시된 텍스트 인식 및 이미지 내 오브젝트를 인식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된 입력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상에 구비된 프론트 패널(front panel)(미도시)이나 제어 수단(입력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 수단은 유, 무선 통신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UID; User Interface Device)로써, 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 목적으로 구현된 리모컨(410), 키보드(430), 포인팅 디바이스(420), 터치패드(touch-pad) 등이 포함되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연결된 외부 입력 전용의 제어 수단 역시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 목적이 아니나 모드 전환 등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를 제어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모바일 디바이스 등도 제어 수단에 포함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를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수단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RS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채용하여 디지털 디바이스와 통신 가능하다.
리모컨(4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키 버튼들이 구비된 통상의 입력 수단을 말한다.
포인팅 디바이스(420)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을 탑재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압력, 회전 등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화면상에 대응되는 포인터(pointer)를 구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소정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이러한 포인팅 디바이스(420)는, 매직 리모컨, 매직 컨트롤러 등 다양한 이름으로 명명될 수 있다.
키보드(4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종래 방송만을 제공하던 것을 넘어 지능형 통합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종래 리모컨(410)만으로는 제어가 쉽지 않아 이를 보완하여 PC의 키보드와 유사하게 구현하여 텍스트 등의 입력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구현되었다.
한편, 리모컨(410), 포인팅 디바이스(420), 키보드(430) 등 제어수단은, 필요에 따라 터치패드를 구비함으로써 텍스트 입력, 포인터 이동, 사진 내지 동영상의 확대/축소 등 더욱 편리하고 다양한 제어 목적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미러링에서 컨텐트의 송신 주체가 되는 소스 디바이스는 도 1과 관련하여 상술한 이동 단말기(100)이고 싱크 디바이스는 컨텐트의 수신 주체가 되는 싱크 디바이스는 도 2와 관련하여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 미러링을 위하여 소스 디바이스와 싱크 디바이스 간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동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부(11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능을 활성화하고 스크린 미러링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주변에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디바이스 디스커버리를 수행한다(S510). 여기서, 무선 통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3)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일 수 있다. 디바이스 디스커버리의 수행 결과, 이동 단말기(10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통해 통신 가능한 디바이스로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가 탐색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부(110)는, 탐색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와 연결을 설정하고(S52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Capability Negotiation을 수행한다(S530).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와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연결을 설정한다(S540). 그 이후,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RTSP에 기반한 PLAY 명령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된 화면에 대응하는 컨텐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10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간에는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에 따라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의 무선 통신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데이터(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 중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그대로 미러링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데이터에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70)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285)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음성 인식을 통하여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성 인식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측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음성 신호를 수신한다. 일례로, 음성 신호 수신부는, 리모트 컨트롤러(400)에 내장된 마이크로폰에 의해 획득된 외부의 음성이 전기적인 형태로 변환된 음성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Speech-To-Text)하고, 변환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메시지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될 데이터를 제어하고, 제어 결과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음성 인식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측에서,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 출력부(28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AV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미러링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미러링 시,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 가능한 명령어 및 상기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의 맵핑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40)는 RTSP에 의해 정의된 소정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어의 포맷과 각 명령어에 대응되는 텍스트의 맵핑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RTSP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 가능한 명령어로는, 재생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어, 재생의 일시 정지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어 및 스크린 미러링을 위한 무선 통신 연결을 종료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어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일시 정지"라는 단어를 발화하였다고 가정하자.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된 상기 "일시 정지"라는 단어에 대응하는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텍스트와 대응되는 명령어를 RTSP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가 "일시 정지"를 포함하는 경우, 저장부(240)에 저장된 명령어 중에서 상기 "일시 정지"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RTSP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일시 정지"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의 데이터의 전송을 일시 정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RTSP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 가능한 명령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사용자가 발화함으로써, 음성 인식을 통해, 싱크 디바이스 측에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메시지 형태)를 UIBC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UIBC(User Input Back Channel)란, 싱크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기반으로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의미한다.
소스 디바이스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UIBC의 성능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싱크 디바이스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요청한다(S8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UIBC를 통한 사용자 입력의 전송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820).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UIBC를 통한 사용자 입력의 전송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와 함께, 사용자 입력의 처리에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계(S810) 및 단계(S820)는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단계(S510), Capability Negotiation 단계(S530), RTSP 연결 설정 단계(S540)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예를 들어, 스트리밍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 및/또는 오디오 출력부(285)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저장부(240)는, 미러링 시,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 가능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및 상기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의 맵핑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40)는,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의 포맷과 각 명령어에 대응되는 텍스트의 맵핑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이란, 마우스나 터치패드 등의 움직임, 클릭, 터치, 줌 배율, 스크롤 양, 회전량 등과 같은 정보 및 키보드의 특정 키의 선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한다(S830).
그리고, 제어부(27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상기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텍스트와 대응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한다(S850).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처리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고,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소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어 결과를 반영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한다(S860).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그 기능 실행의 결과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화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 결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80)에 미러링될 수 있다.
도 9는 도 8과 관련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 출력부(28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AV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미러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제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화면 회전"이라는 단어를 발화하였다고 가정하자.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된 상기 "화면 회전"이라는 단어에 대응하는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저장부(240)에 저장된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사용자 입력의 명령어에 대응하는 텍스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텍스트와 대응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가 "화면 회전"을 포함하는 경우, 저장부(240)에 저장된 명령어 중에서 상기 "화면 회전"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을 가로 방향(기존 화면의 방향이 세로 방향인 경우)으로 회전하거나, 세로 방향(기존 화면의 방향이 가로 방향인 경우)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화면 회전의 실행 결과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화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 결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80)에 미러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기존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명령어를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아닌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강조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메시지 형태)를 UIBC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소스 디바이스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UIBC의 성능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싱크 디바이스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요청한다(S10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UIBC를 통한 사용자 입력의 전송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한다(S1020).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UIBC를 통한 사용자 입력의 전송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와 함께, 사용자 입력의 처리에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단계(S1010) 및 단계(S1020)는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단계(S510), Capability Negotiation 단계(S530), RTSP 연결 설정 단계(S540)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예를 들어, 스트리밍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 및/또는 오디오 출력부(285)를 통해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변경된 경우, 화면 변경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S1030).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가 변경되거나, 비디오 데이터의 장면이 변경되거나,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의 실행으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적어도 일부 변경되는 등의 경우, 화면 변경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텍스트의 위치 정보를 저장부(240)에 저장한다(S1040). 즉,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화면 변경을 알리기 위한 신호가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를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계(S1030)가 생략되고, 제어부(270)는,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를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을 챕쳐하고, 상기 캡쳐된 화면에서 텍스트를 인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상기 인식된 텍스트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를 각 텍스트와 대응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에서 상기 인식된 텍스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저장부(240)는, 미러링 시,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 가능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이란, 마우스나 터치패드 등의 움직임, 클릭, 터치, 줌 배율, 스크롤 양, 회전량 등과 같은 정보 및 키보드의 특정 키의 선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한다(S1050).
그리고, 제어부(270)는, 상기 인식된 텍스트(즉,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상기 특정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S1060).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상기 인식된 텍스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정보,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에서 상기 특정 텍스트에 대응하는 특정 위치 정보의 영역을 선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2 정보 및 상기 특정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제3 정보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제어한다(S1070).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처리에 필요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하고,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소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제어 결과를 반영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한다(S1080).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명령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그 기능 실행의 결과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화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어 결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80)에 미러링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70)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 포함된 텍스트 및 이미지 내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에서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란, 이미지에 포함된 문자, 도형 및 숫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인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270)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이미지 내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상기 인식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 또는 특정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상기 특정 텍스트 또는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 간 단계(S1040~S1080)가 반복됨으로써, 사용자는 음성 인식으로 싱크 디바이스 측에서 소스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미러링 시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기 설정된 몇몇 명령어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된 화면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텍스트/오브젝트를 발화함으로써 기존 UIBC를 활용하여 소스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강조되는 효과가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과 관련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 출력부(28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AV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미러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제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1110)를 인식하고, 인식된 텍스트의 위치 정보를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무선 및 네트워크"라는 텍스트와 (50, 100)의 위치 정보를 서로 맵핑하여 저장하고, "통화"라는 텍스트와 (50, 150)의 위치 정보를 서로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화면 변경을 알리기 위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1110)를 인식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1110)를 인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무선 및 네트워크 눌러줘"라는 문장을 발화하였다고 가정하자.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된 상기 "무선 및 네트워크 눌러줘"라는 문장에 대응하는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1110)(즉,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무선 및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장치(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무선 및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영역(예를 들어,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중 (50,1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무선 및 네트워크의 메뉴를 실행하고 그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무선 및 네트워크의 메뉴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무선 및 네트워크의 메뉴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를 인식한다.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상기 무선 및 네트워크의 메뉴가 실행된 이후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화면 변경을 알리기 위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1210)를 인식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1210)를 인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 텍스트(1210) 이외에 다른 텍스트가 존재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텍스트(1210)만 인식되는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제어부(270)는, 상기 인식된 텍스트의 위치 정보를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무선 네트워크 사용"이라는 텍스트와 (20, 100)의 위치 정보를 서로 맵핑하여 저장하고, "GPS 위성 사용"이라는 텍스트와 (50, 150)의 위치 정보를 서로 맵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무선 네트워크 사용"이라는 단어를 발화하였다고 가정하자.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된 상기 "무선 네트워크 사용"이라는 단어에 대응하는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1210)(즉,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무선 네트워크 사용")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장치(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무선 네트워크 사용"에 대응하는 영역(예를 들어,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중 (50,1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 사용의 메뉴를 실행하고 그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사용의 메뉴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0과 관련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 출력부(28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AV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미러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제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1400)에서 텍스트 및 이미지 내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1400)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 14를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상기 화면(1400)에 포함된 텍스트(1410)를 인식하고, 상기 화면(1400)에 포함된 이미지 내 오브젝트(1420)를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1410) 및 오브젝트(1420) 각각의 상기 화면(1400) 상에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1410) 및 오브젝트(1420)를 각 위치 정보와 대응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화면 변경을 알리기 위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1410) 및 오브젝트(1420)를 인식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1410) 및 오브젝트(1420)를 인식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영어 사전"이라는 단어를 발화하였다고 가정하자.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된 상기 "영어 사전"이라는 단어에 대응하는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1410) 및 오브젝트(1420)(즉,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 또는 특정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특정 텍스트 또는 특정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텍스트 또는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장치(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영어 사전"이라는 텍스트에 대응하는 영역(예를 들어, "영어 사전"이라는 텍스트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영어 사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영어 사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도 15는 도 10과 관련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 출력부(28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AV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미러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제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1510)를 인식하고, 인식된 텍스트의 위치 정보를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화면 변경을 알리기 위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1510)를 인식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1510)를 인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 텍스트(1510) 이외에 다른 텍스트가 존재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텍스트(1510)만 인식되는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삭제 3번"이라는 문장을 발화하였다고 가정하자.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된 상기 "삭제 3번"이라는 문장에 대응하는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1510)(즉,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삭제")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변환된 텍스트는, 상기 인식된 텍스트(1510)에 포함되는 제1 텍스트(예를 들어, "삭제") 및 상기 제1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의 횟수와 대응되는 제2 텍스트(예를 들어, "3번")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장치(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상기 제1 텍스트에 대응하는 영역(예를 들어,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중 상기 제1 텍스트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텍스트와 대응되는 횟수(3회)만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어하고자 하는 소스 디바이스의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1회 발화함으로써, 상기 기능을 원하는 횟수만큼 제어/실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강조되는 효과가 있다.
도 16은 도 10과 관련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 출력부(28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AV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미러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제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1610)를 인식하고, 인식된 텍스트의 위치 정보를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화면 변경을 알리기 위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1610)를 인식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1610)를 인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 텍스트(1610) 이외에 다른 텍스트가 존재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상 텍스트(1610)만 인식되는 경우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10분 뒤에 전송"이라는 문장을 발화하였다고 가정하자.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된 상기 "10분 뒤에 전송"이라는 문장에 대응하는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1610)(즉,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전송")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변환된 텍스트는, 상기 인식된 텍스트(1610)에 포함되는 제1 텍스트(예를 들어, "전송") 및 상기 제1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의 전송 시간과 대응되는 제2 텍스트(예를 들어, "10분 뒤")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70)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장치(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상기 제1 텍스트에 대응하는 영역(예를 들어,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중 상기 제1 텍스트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텍스트와 대응되는 시간(10분 뒤)에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텍스트와 대응되는 시간이 절대적인 특정 시간인 경우에는 해당 시간에 메시지가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되고, 상기 제2 테스트와 대응되는 시간이 현재로부터 소정 시간 이후인 경우에는 해당 시간 이후에 메시지가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 출력부(28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AV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미러링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포함된 텍스트 및 이미지 내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를 각각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화면 변경을 알리기 위한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 및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 및 오브젝트를 인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LG TV"라는 단어를 발화하였다고 가정하자.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된 상기 "LG TV"라는 단어에 대응하는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 또는 특정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에는,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RTSP를 통해 전송 가능한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 도 8 및 도 9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사용자 입력의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 도 10 내지 도 1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인식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변환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될 때의 사용자 입력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LG TV")가 키보드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변환된 텍스트("LG TV")가 키보드를 통해 입력될 때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문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LG TV"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텍스트가 표시된 문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 출력부(28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AV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미러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제어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저장부(240)는, 미러링 시,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 가능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및 상기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의 맵핑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40)는,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의 포맷과 각 명령어에 대응되는 텍스트의 맵핑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사용자 입력이란, 마우스나 터치패드 등의 움직임, 클릭, 터치, 줌 배율, 스크롤 양, 회전량 등과 같은 정보 및 키보드의 특정 키의 선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중 특정 명령어(예를 들어, Vendor-Specific 명령어)에 대해서는, 싱크 디바이스와 소스 디바이스 간 약속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입력의 본래의 기능이 아닌 기 설정된 특정 기능을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 중 키보드의 ESC 키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의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와 이동 단말기(100) 간 약속을 통해, ESC 키의 본래의 기능이 아닌 "이전 화면으로 되돌리기 기능"을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ESC 키를 누르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어를 ESC 키의 본래 기능을 나타내는 텍스트 대신 "이전 화면으로 되돌리기 기능"을 나타내는 텍스트와 맵핑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이전 화면"이라는 단어를 발화하였다고 가정하자.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된 상기 "이전 화면"이라는 단어에 대응하는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저장부(240)에 저장된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텍스트와 대응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이전 화면")와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ESC 키의 선택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ESC 키의 선택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ESC 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기능(이전 화면으로 되돌리기 기능)을 실행하고, 그 실행 결과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 출력부(28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AV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미러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해상도 변경"이라는 문장을 발화하였다고 가정하자.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된 상기 "해상도 변경"이라는 문장에 대응하는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 또는 특정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에는,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RTSP를 통해 전송 가능한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 도 8, 도 9 및 도 1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사용자 입력의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 도 10 내지 도 1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인식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변환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될 때의 사용자 입력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해상도 변경)가 키보드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변환된 텍스트(해상도 변경)가 키보드를 통해 입력될 때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7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과, 소정 텍스트 및 상기 텍스트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의 맵핑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텍스트(해상도 변경)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여 메모리(170)에 저장된 특정 기능(해상도 변경 기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기능에 기초하여 해상도 변경을 위한 메뉴를 실행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을 위한 메뉴의 실행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해상도 변경을 위한 메뉴의 실행의 결과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형태의 명령어가 아니더라도, 원하는 바를 음성으로 발화함으로써 소스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 출력부(28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AV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미러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2880 X 1880으로 해상도 변경"이라는 문장을 발화하였다고 가정하자.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된 상기 "2880 X 1880으로 해상도 변경"이라는 문장에 대응하는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 또는 특정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에는,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RTSP를 통해 전송 가능한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 도 8, 도 9 및 도 1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사용자 입력의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 도 10 내지 도 1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인식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변환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될 때의 사용자 입력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2880 X 1880으로 해상도 변경)가 키보드를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변환된 텍스트(2880 X 1880으로 해상도 변경)가 키보드를 통해 입력될 때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70)는, 소정 텍스트 및 상기 텍스트에 대응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특정 기능의 맵핑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텍스트(2880 X 1880으로 해상도 변경)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텍스트 중 일부 텍스트(해상도 변경)와 대응하여 메모리(170)에 저장된 특정 기능(해상도 변경 기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기능에 기초하여 해상도 변경을 위한 메뉴를 실행하고, 상기 해상도 변경을 위한 메뉴가 실행된 상태에서, 상기 검출된 텍스트 중 다른 일부 텍스트(2880 X 1880)와 대응하여 메모리(170)에 저장된 특정 기능(상기 해상도 변경을 위한 메뉴를 이용하여 해상도를 직접 변경하는 기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기능에 기초하여 상기 해상도 변경을 위한 메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해상도를 2880 X 1880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2880 X 1880로 해상도가 변경된 결과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형태의 명령어가 아니더라도, 원하는 바를 음성으로 발화함으로써 소스 디바이스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여러 뎁스를 통하지 않고서도 소스 디바이스의 원하는 기능을 한 번의 발화를 통해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 출력부(28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AV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미러링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저장부(240)는,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RTSP를 통해 전송 가능한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 도 8, 도 9 및 도 1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사용자 입력의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 도 10 내지 도 1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인식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TV 카메라 실행"이라는 문장을 발화하였다고 가정하자.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된 상기 "TV 카메라 실행"이라는 문장에 대응하는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한다. 제어부(27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에 기 설정된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지 않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관련된 소정 기능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내에서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7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에 기 설정된 텍스트(TV)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지 않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관련된 소정 기능(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내에서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100)을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스크린 미러링 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에서 계속하여 실행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280) 및 오디오 출력부(28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이미지 데이터, 그래픽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AV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화면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부(280)의 화면에 미러링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저장부(240)는,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RTSP를 통해 전송 가능한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 도 8, 도 9 및 도 1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사용자 입력의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 도 10 내지 도 1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인식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도 5와 관련하여 상술한 단계들(S510~540)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이동 단말기(100)에서 지원 가능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상기 지원 가능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카메라"라는 단어를 발화하였다고 가정하자. 일례로, 리모트 컨트롤러(40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획득된 상기 "카메라"라는 단어에 대응하는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70)는,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한다. 제어부(27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가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에 포함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구현 가능한 특정 기능과도 관련된 경우,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것인지 아니면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관련된 기능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실행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GUI(2210)를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7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가 저장부(240)에 저장된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지원 가능한 기능에 대한 정보와 관련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동시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구현 가능한 특정 기능과도 관련된 경우,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것인지 아니면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관련된 기능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실행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GUI(2210)를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GUI(2210)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관련된 기능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에서 실행할 것을 선택하기 위한 제1 메뉴(2210a) 및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할 것을 선택하기 위한 제2 메뉴(2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270)는, 상기 제1 메뉴(2210a)를 선택하는 명령이 감지되면,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지 않고, 상기 변환된 텍스트와 관련된 소정 기능(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 내에서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220)을 디스플레이부(280)에 출력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통해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스크린 미러링 어플리케이션)은 백그라운드에서 계속하여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어부(270)는, 상기 제2 메뉴(2210b)를 선택하는 명령이 감지되면, 저장부(240)에 저장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 또는 특정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 실행 화면(2230)을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2230)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린 미러링 시 사용자의 음성 신호로부터 변환된 텍스트를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또는 UIBC를 통해 전송 가능한 명령어로 변환하여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음성 인식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 또는 이동 단말기(100)의 소정 기능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 단말기
20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laims (20)

  1.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싱크 디바이스로 전송된 비디오 데이터를 원격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원격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텍스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상기 특정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의 변경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을 캡쳐하는 단계; 및
    상기 캡쳐된 화면에서 텍스트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에서의 상기 인식된 텍스트의 좌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검출된 좌표 정보와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정보,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에서 상기 특정 텍스트에 대응하는 특정 위치 정보의 영역을 선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2 정보 및 상기 특정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제3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UIBC(User Input Back Channel)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이미지 내 오브젝트를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 또는 특정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상기 특정 텍스트 또는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텍스트가 상기 인식된 텍스트에 포함되는 제1 텍스트 및 상기 제1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의 횟수와 대응되는 제2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상기 제1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텍스트와 대응되는 횟수만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텍스트가 상기 인식된 텍스트에 포함되는 제1 텍스트 및 상기 제1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의 전송 시간과 대응되는 제2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상기 제1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텍스트와 대응되는 시간에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음성 신호를 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재 수신된 음성 신호로부터 변환된 텍스트가 상기 인식된 텍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재 수신된 음성 신호로부터 변환된 텍스트가 키보드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될 때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데이터를 원격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싱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으로 통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원격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신호 수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텍스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상기 특정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싱크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화면의 변경을 알리는 신호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경우,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을 캡쳐하고, 상기 캡쳐된 화면에서 텍스트를 인식하는, 싱크 디바이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때,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에서의 상기 인식된 텍스트의 좌표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검출된 좌표 정보와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싱크 디바이스.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한 제1 정보,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에서 상기 특정 텍스트에 대응하는 특정 위치 정보의 영역을 선택하였음을 나타내는 제2 정보 및 상기 특정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제3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싱크 디바이스.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UIBC(User Input Back Channel)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싱크 디바이스.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이미지 내 오브젝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오브젝트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위치 정보와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인식된 텍스트 및 오브젝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 또는 특정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상기 특정 텍스트 또는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싱크 디바이스.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텍스트가 상기 인식된 텍스트에 포함되는 제1 텍스트 및 상기 제1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의 횟수와 대응되는 제2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상기 제1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텍스트와 대응되는 횟수만큼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싱크 디바이스.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텍스트가 상기 인식된 텍스트에 포함되는 제1 텍스트 및 상기 제1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의 전송 시간과 대응되는 제2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에서 상기 제1 텍스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텍스트와 대응되는 시간에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싱크 디바이스.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가 상기 인식된 텍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변환된 텍스트가 키보드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될 때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싱크 디바이스.
  19.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비디오 데이터를 원격 제어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어하기 위한 싱크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방식으로 통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원격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신호 수신부;
    UIBC(User Input Back Channel)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 가능한 명령어 및 상기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의 맵핑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음성 신호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 중 상기 변환된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특정 텍스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정 텍스트와 대응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UIBC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싱크 디바이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환된 텍스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와 대응되는 텍스트 이외의 기 설정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텍스트와 대응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를 통해 상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싱크 디바이스.
KR1020150011959A 2015-01-26 2015-01-26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1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959A KR102281341B1 (ko) 2015-01-26 2015-01-26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201680007227.6A CN107211020B (zh) 2015-01-26 2016-01-19 宿设备及其控制方法
PCT/KR2016/000555 WO2016122151A1 (ko) 2015-01-26 2016-01-19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16743629.4A EP3253029B1 (en) 2015-01-26 2016-01-19 Sink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5/660,690 US10057317B2 (en) 2015-01-26 2017-07-26 Sink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959A KR102281341B1 (ko) 2015-01-26 2015-01-26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628A KR20160091628A (ko) 2016-08-03
KR102281341B1 true KR102281341B1 (ko) 2021-07-23

Family

ID=5654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959A KR102281341B1 (ko) 2015-01-26 2015-01-26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57317B2 (ko)
EP (1) EP3253029B1 (ko)
KR (1) KR102281341B1 (ko)
CN (1) CN107211020B (ko)
WO (1) WO20161221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493A1 (ko) * 2021-11-19 2023-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128206A1 (ko) * 2021-12-30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스 장치, 싱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6616B2 (ja) * 2014-08-19 2019-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79808B1 (en) * 2015-09-29 2019-08-13 Amazon Technologies, Inc. Audio associating of computing devices
KR102412283B1 (ko) * 2016-02-17 2022-06-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영상 공유 제어 방법
KR102568664B1 (ko) * 2016-10-06 2023-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CN109874410A (zh) * 2016-10-14 2019-06-1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传输内容的方法和设备
KR20200049020A (ko) * 2018-10-31 2020-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명령에 응답하여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96628B1 (ko) * 2019-01-30 2020-12-30 주식회사 오투오 Usb-c dmp 디바이스
US11682395B2 (en) * 2020-01-16 2023-06-20 Arris Enterprises Llc Electronic device, system, method and program for externally adding voice control functionality to another device
WO2022019413A1 (ko) * 2020-07-24 2022-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TWI745038B (zh) * 2020-08-20 2021-11-01 瑞鼎科技股份有限公司 非等差的脈寬調變調光方法
CN112420052B (zh) * 2020-11-18 2023-03-31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WO2023003061A1 (ko) * 2021-07-23 2023-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5904282A (zh) * 2021-08-19 2023-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投屏方法、设备、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KR20230112485A (ko) 2022-01-20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815687B2 (en) 2022-03-02 2023-11-14 Google Llc Controlling head-mounted device with gestures into wearabl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25466A1 (en) * 2012-05-10 2013-12-05 Clickberry,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active video using voice
US20140210693A1 (en) * 2013-01-25 2014-07-31 Qualcomm Incorporated Connectionless transport for user input control for wireless display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0123A (en) * 1995-06-05 1999-03-30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voice controlled video screen display
US5875448A (en) * 1996-10-08 1999-02-23 Boys; Donald R. Data stream editing system including a hand-held voice-editing apparatus having a position-finding enunciator
US5774857A (en) * 1996-11-15 1998-06-30 Motorola, Inc. Conversion of communicated speech to text for tranmission as RF modulated base band video
US6130720A (en) * 1997-02-10 2000-10-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variety of information from an information server
US6438523B1 (en) * 1998-05-20 2002-08-20 John A. Oberteuffer Processing handwritten and hand-drawn input and speech input
US6643620B1 (en) * 1999-03-15 2003-1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oice activated controller for recording and retrieving audio/video programs
US7245291B2 (en) * 2000-07-11 2007-07-17 Imran Sharif System and method for internet appliance data entry and navigation
JP2003345379A (ja) * 2002-03-20 2003-12-03 Japan Science & Technology Corp 音声映像変換装置及び方法、音声映像変換プログラム
CN1427394A (zh) * 2002-04-09 2003-07-02 北京无限商机通信技术有限公司 语音浏览网关
AU2003303116A1 (en) * 2002-12-19 2004-07-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residential gateway system having a handheld controller with a display for displaying video signals
US9460346B2 (en) * 2004-04-19 2016-10-04 Google Inc. Handheld device for capturing text from both a document printed on paper and a document displayed on a dynamic display device
US7689232B1 (en) * 2004-09-21 2010-03-30 Beyer Jr Malcolm K Method of providing call forward of voice and messages and remote phone activation
US20090316688A1 (en) * 2006-07-13 2009-12-24 Venkat Srinivas Meenavalli Method for controlling advanced multimedia features and supplemtary services in sip-based phones and a system employing thereof
US7733903B2 (en) * 2006-08-04 2010-06-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ext transcriptions for voice communications
KR101356490B1 (ko) * 2007-02-06 2014-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방법
US8949266B2 (en) * 2007-03-07 2015-02-03 Vlingo Corporation Multiple web-based content category searching in mobile search application
US20090313020A1 (en) * 2008-06-12 2009-12-17 Nokia Corporation Text-to-speech user interface control
US8180644B2 (en) * 2008-08-28 2012-05-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rolling text display of voice call or message during video display session
US9557889B2 (en) * 2009-01-28 2017-01-31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plan design, user interface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nd device management
US9280971B2 (en) * 2009-02-27 2016-03-08 Blackberry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speech to text conversion and related methods
CA2824017C (en) * 2011-01-14 2021-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ser input from a sink device to a source device in a wi-fi direct communication system
US20130013318A1 (en) * 2011-01-21 2013-01-10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JP5847846B2 (ja) * 2011-01-21 2016-01-27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ワイヤレス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ユーザ入力バックチャネル
US8677029B2 (en) * 2011-01-21 2014-03-18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put back channel for wireless displays
EP2842055B1 (en) * 2012-04-25 2018-06-27 Kopin Corporation Instant translation system
KR101925027B1 (ko) * 2012-07-30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129374B1 (ko) * 2012-08-27 2020-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및 휴대 단말
KR20140081172A (ko)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팬택 싱크 장치, 소스 장치, 이들을 포함하는 무선랜 시스템 및 싱크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30114B1 (ko) * 2013-01-07 2019-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732137B1 (ko) * 2013-01-07 201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KR20140093303A (ko) * 2013-01-07 2014-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89861A (ko) * 2013-01-07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16347B1 (ko) * 2013-02-12 2019-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라이언트 및 서버 간 연결 방법 및 장치
KR102090948B1 (ko) * 2013-05-20 2020-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화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US9306992B2 (en) * 2013-06-07 2016-04-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using Wi-Fi display transport mechanisms to accomplish voice and data communications
US9183612B2 (en) * 2013-09-04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Wearable display device use-based data processing control
WO2015056296A1 (ja) * 2013-10-15 2015-04-23 株式会社 東芝 電子機器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10338684B2 (en) * 2014-03-26 2019-07-02 Intel Corporation Mechanism to enhance user experience of mobile devices through complex inputs from external displays
US9665336B2 (en) * 2014-07-29 2017-05-30 Qualcomm Incorporated Direct streaming for wireless display
KR101614756B1 (ko) * 2014-08-22 2016-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음성 인식 장치, 그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차량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25466A1 (en) * 2012-05-10 2013-12-05 Clickberry,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active video using voice
US20140210693A1 (en) * 2013-01-25 2014-07-31 Qualcomm Incorporated Connectionless transport for user input control for wireless display de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493A1 (ko) * 2021-11-19 2023-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3128206A1 (ko) * 2021-12-30 2023-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스 장치, 싱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53029A1 (en) 2017-12-06
EP3253029A4 (en) 2018-08-01
KR20160091628A (ko) 2016-08-03
US20170324794A1 (en) 2017-11-09
WO2016122151A1 (ko) 2016-08-04
US10057317B2 (en) 2018-08-21
CN107211020B (zh) 2020-06-16
CN107211020A (zh) 2017-09-26
EP3253029B1 (en)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1341B1 (ko) 싱크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613591B2 (en) Method for removing image sticking in display device
CN107801094B (zh) 在信宿装置处控制信源装置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设备
US10298734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2453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0230B1 (ko) 두 디바이스 간 근거리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031724A (ko) 스크린 미러링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102446694B1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00927B1 (ko) 화상출력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것들의 제어 방법
KR10233698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KR102508682B1 (ko) 표시장치와 그 영상 처리 방법
KR10227143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잔상 제거 방법
US11190838B2 (en) Multimedia device with standby mode and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KR102340231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983745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same
KR102478460B1 (ko) 표시장치와 그 영상 처리 방법
KR10213535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08384B1 (ko) 전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설정 방법
KR20160095825A (ko) 디지털 사이니지
KR102246092B1 (ko) 화상출력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것들의 제어 방법
KR20170042159A (ko) 영상출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02246B1 (ko) 영상출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112365A (ko) 워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4067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에서의 결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