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818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0818A KR20220160818A KR1020210068916A KR20210068916A KR20220160818A KR 20220160818 A KR20220160818 A KR 20220160818A KR 1020210068916 A KR1020210068916 A KR 1020210068916A KR 20210068916 A KR20210068916 A KR 20210068916A KR 20220160818 A KR20220160818 A KR 202201608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display
- screen size
- display device
- recommend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1—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content stream or additional data, e.g. lower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for a mobile client with a small scree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에 수용되며 회전 가능한 롤러, 롤러의 회전에 의해 화면 크기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 컨텐츠 추천 명령을 수신하면, 외부 서버로부터 컨텐츠 추천 명령에 따른 추천 컨텐츠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화면 크기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상이하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수신, 처리 및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신호로부터 영상신호를 분리하며, 다시 분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최근 들어, 방송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도 상당히 다양해져 왔으며, 장치의 성능도 이에 따라 향상되어 왔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순히 방송 컨텐트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컨텐트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발전해오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프로그램들뿐만 아니라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게임 플레이, 음악 감상, 인터넷 쇼핑, 사용자 맞춤정보 등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기능의 수행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기기들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며, 사용자에게 상시적인 컴퓨팅 환경(ubiquitous computing)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네트워크로의 연결성(connectivity) 및 상시적 컴퓨팅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장치로 진화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충분한 탄성을 가져 큰 변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휘어지거나 접힐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가 하우징에 모두 인입되는 제로뷰 모드, 디스플레이가 하우징에서 일부 인출되는 파셜뷰 모드 또는 디스플레이가 하우징에서 전부 인출되는 풀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 추천 명령에 따라 컨텐츠 추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기존 추천 컨텐츠는 대부분 풀뷰 모드의 화면에 맞춰져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로뷰 모드 또는 파셜뷰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에 컨텐츠 추천 명령을 수신할 경우, 풀뷰 모드로 전환한 후 추천 컨텐츠의 출력이 가능하므로, 풀뷰 모드로 전환하는데 불필요한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로뷰 모드 또는 파셜뷰 모드에서 컨텐츠를 추천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에 어긋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개시는 컨텐츠 추천시 풀뷰 모드로 전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제로뷰 모드 또는 파셜뷰 모드에서도 컨텐트 추천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에 수용되며 회전 가능한 롤러, 롤러의 회전에 의해 화면 크기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 컨텐츠 추천 명령을 수신하면, 외부 서버로부터 컨텐츠 추천 명령에 따른 추천 컨텐츠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화면 크기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상이하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현재의 화면 크기를 획득하고, 획득한 현재의 화면 크기에서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컨텐츠를 추천 컨텐츠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현재 화면 크기를 포함하는 화면 상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로부터 현재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추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컨텐츠 추천 명령을 수신하면 외부 서버로부터 복수의 추천 컨텐츠를 수신하고, 현재 화면 크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추천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추천 컨텐츠를 수신하면, 현재 화면 크기에서 제공 가능한 추천 컨텐츠를 필터링하고, 필터링한 추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필터링한 컨텐츠가 복수개인 경우, 현재 화면 크기와 동일한 화면 크기로 직전 동작했을 때 출력한 컨텐츠와 가장 유사한 컨텐츠를 2차 필터링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화면 크기가 제로일 경우, 오디오만 출력되는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고, 화면 크기가 제1 크기일 경우, 오디오 및 오디오에 대한 요약 정보가 출력되는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고, 화면 크기가 제1 크기 보다 큰 제2 크기일 경우,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포함하는 추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화면 크기가 제로일 경우, 라디오 방송, 음악 또는 오디오북을 추천 컨텐츠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화면 크기가 제1 크기일 경우, 노래 가사, 음악 정보 또는 대화 정보를 요약 정보로 출력하고, 요약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화면 크기가 제2 크기일 경우, 방송 프로그램, VOD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 추천 명령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환하지 않고,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출력 가능한 컨텐츠가 추천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되고, 추천 컨텐츠를 보다 빠르게 제공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풀뷰 모드 뿐만 아니라 제로뷰 모드 또는 파셜뷰 모드에서도 임의의 컨텐츠를 추천하여 제공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디스플레이의 모드가 제로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모드가 파셜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모드가 풀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 추천 명령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이 도시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 추천 명령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이 도시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계 S29가 구체화된 일 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현재 화면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디스플레이의 모드가 제로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모드가 파셜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모드가 풀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 추천 명령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이 도시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 추천 명령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이 도시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계 S29가 구체화된 일 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현재 화면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TV, 스마트 TV, 네트워크 TV, HBBTV(Hybrid Brodacast Broadband Television),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디지털 사이니지, 데스크탑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롤러블 디스플레이란, 디스플레이부가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휘어짐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접힘이 가능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스마트 TV 등에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고, 스마트 폰 등과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등에도 적용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음성 획득부(175),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authenticated)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분리된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우징 내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우징(183)과, 하우징(183)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디스플레이(180), 디스플레이(180)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안내하는 롤러(18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83)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디스플레이(18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롤러블 디스플레이는 충분한 탄성을 가져 큰 변형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롤러(184)는 하우징(183)에 수용될 수 있다.
롤러(184)는 디스플레이(180)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롤러(184)는 디스플레이(180)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바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롤러(184)가 R1 방향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180)는 하우징(183)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반면에, 롤러(184)가 R2 방향으로 회전하면 디스플레이(180)는 롤러(184)의 주변에 감기면서 하우징(183)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180)는 상하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80)는 상하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가 좌우 방향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롤러(184)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되거나, 하우징(183)으로 인입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 중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된 영역에 컨텐트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커버(1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186)는 하우징(183) 내부에 배치되며, 하우징(183) 내부로 인입된 디스플레이(180)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180)가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됨에 따라 컨텐트가 표시되는 영역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또는 인입에 따라 디스플레이(180) 중 컨텐트의 표시 영역이 가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180)의 모드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디스플레이의 모드가 제로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모드가 파셜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모드가 풀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습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한편,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예를 들어 '제로뷰 모드', '파셜뷰 모드' 및 '풀뷰 모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므로, 이러한 용어는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용어에 제한되지 않음이 타당하다.
디스플레이(180)는 롤러(184)의 회전에 의해 제로뷰 모드, 파셜뷰 모드 또는 풀뷰 모드로 제어될 수 있다.
제로뷰 모드(zero view mode)는, 디스플레이(180) 전체가 하우징(183) 내부로 인입된 상태로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로뷰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180) 전체가 하우징(183)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피커 모드로 동작할 경우 디스플레이의 모드를 제로뷰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원 오프될 경우 디스플레이(180)를 제로뷰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로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180)의 모든 영역에 컨텐트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로뷰 모드일 때 오프될 수 있다.
파셜뷰 모드(partial view mode)는, 디스플레이(180) 중 일부가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파셜뷰 모드는 디스플레이(180)가 풀뷰 모드 보다 하우징(183)으로부터 짧게 인출된 상태로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셜뷰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180) 중 일부가 하우징(183) 내부에 위치하고, 디스플레이(180) 중 나머지 일부가 하우징(183)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메뉴(menu) 모드, 무드(mood) 모드, 뮤직(music) 모드, 프레임(frame) 모드 또는 시계 모드 등으로 동작할 경우 디스플레이의 모드를 파셜뷰 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파셜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180) 중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된 영역에서만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파셜뷰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180) 중 하우징(183)에 인입된 영역에는 컨텐트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파셜뷰 모드에서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되는 디스플레이(180)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다. 즉, 풀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 미만으로 디스플레이(180)가 인출된 경우는 모두 파셜뷰 모드에 포함될 수 있다.
풀뷰 모드(full view mode)는, 디스플레이(180)가 하우징(183)으로부터 최대로 인출된 상태로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즉, 풀뷰 모드는 하우징(183)으로부터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가 최대인 모드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뷰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180)가 하우징(183)으로부터 모두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일반 모드로 동작할 경우 디스플레이의 모드를 풀뷰 모드로 제어할 수 있고, 이 때 일반 모드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로부터의 입력 영상 등을 출력하는 모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풀뷰 모드일 때, 디스플레이(180) 중 하우징(183)으로부터 인출된 영역에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풀뷰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80)는 디스플레이(180) 중 영상 출력이 가능한 전체 영역에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트의 표시 영역은 디스플레이 모드, 즉 디스플레이(180)의 인출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 추천 명령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명령은 임의의 컨텐츠를 출력시키는 명령일 수 있다. 즉, 컨텐츠 추천 명령은 컨텐츠를 특정하지 않는 컨텐츠 출력 명령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추천 명령을 수신하면 임의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추천 명령을 수신하면, 외부 서버(300, 도 9, 10 참고)와의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300, 도 9, 10 참고)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드에 따라서 화면 크기가 달라지는 바, 외부 서버(300, 도 9, 10 참고)로부터 현재 화면 크기에 맞지 않는 컨텐츠를 수신할 경우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 또는 현재 화면 크기를 고려한 추천 컨텐츠를 외부 서버(300, 도 9, 10 참고)로부터 수신 및 출력하고자 한다.
즉, 제어부(170)는 컨텐츠 추천 명령을 수신하면, 외부 서버(300, 도 9, 10 참고)로부터 컨텐츠 추천 명령에 따른 추천 컨텐츠를 수신하고, 화면 크기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상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현재의 화면 크기를 획득하고, 획득한 현재의 화면 크기에서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컨텐츠를 추천 컨텐츠로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 추천 명령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이 도시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추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11).
사용자는 음성 명령이나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컨텐츠 추천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음성 획득부(175)를 통해 “재미 있는거 추천해줘”, “나 심심해” 등의 음성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대상을 특정하지 않은 컨텐츠 요청 음성을 인식하면, 컨텐츠 추천 명령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컨텐츠 추천 명령을 수신하면, 현재 화면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S12).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를 획득하고,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는 현재 화면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현재 화면 크기를 획득하면, 화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외부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S13).
화면 상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화면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상태 정보는 현재 화면 크기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화면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서버(300)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화면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S15).
즉, 외부 서버(300)는 컨텐츠 요청 신호에 포함된 화면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추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300)는 현재 화면 크기에서 출력 가능한 컨텐츠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출력 가능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서버(300)는 컨텐츠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서버(300)는 획득한 추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17).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외부 서버(300)로부터 추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컨텐츠 요청 신호에 응답하는 추천 컨텐츠를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하는 추천 컨텐츠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통해 전송한 화면 상태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화면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외부 서버(300)에 전송한 경우 제1 추천 컨텐츠를 수신하고, 제2 화면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외부 서버(300)에 전송한 경우 제2 추천 컨텐츠를 수신하고, 제3 화면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외부 서버(300)에 전송한 경우 제3 추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추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S19).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환하지 않고, 현재 화면 크기에 맞게 수신된 추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를 경우, 제어부(170)는 현재 화면 크기를 포함하는 화면 상태 정보를 외부 서버(300)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300)로부터 현재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추천 컨텐츠를 수신 및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컨텐츠 추천 명령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컨텐츠 추천 명령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이 도시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추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S21).
단계 S21은 도 9에서 설명한 단계 S11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70)는 컨텐츠 추천 명령을 수신하면, 외부 서버(300)로 컨텐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3).
이 때, 제어부(170)는 화면 상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서버(300)는 컨텐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복수의 추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S25).
이 경우, 외부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모드별 또는 화면 크기별 컨텐츠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300)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제로뷰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추천 컨텐츠, 제2 디스플레이 모드(파셜뷰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추천 컨텐츠, 제3 디스플레이 모드(풀뷰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추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외부 서버(300)는 제1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추천 컨텐츠, 제2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추천 컨텐츠 및 제3 회면 크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추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외부 서버(300)는 복수의 추천 컨텐츠를 획득하면, 획득한 복수의 추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S27).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외부 서버(300)로부터 복수의 추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복수의 추천 컨텐츠를 수신하면, 현재 화면 크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추천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S29).
제어부(170)는 복수의 추천 컨텐츠를 수신하면, 현재 화면 크기에서 제공 가능한 추천 컨텐츠를 필터링하고, 필터링한 추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제로뷰 모드)인 경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추천 컨텐츠를 획득하고,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2 디스플레이 모드(파셜뷰 모드)인 경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추천 컨텐츠를 획득하고,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가 제3 디스플레이 모드(풀뷰 모드)인 경우 제3 디스플레이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추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현재 화면 크기가 제1 화면 크기(예를 들어, 제로)일 경우 필터링을 통해 복수의 추천 컨텐츠 중 제1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추천 컨텐츠를 획득하고, 현재 화면 크기가 제2 화면 크기(예를 들어, 파셜뷰 모드일 때의 크기)일 경우 필터링을 통해 복수의 추천 컨텐츠 중 제2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추천 컨텐츠를 획득하고, 현재 화면 크기가 제3 화면 크기(예를 들어, 풀뷰 모드일 때의 크기)일 경우 필터링을 통해 복수의 추천 컨텐츠 중 제3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추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복수의 컨텐츠에서 출력할 추천 컨텐츠의 필터링을 현재 화면 상태만을 고려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현재 화면 상태와 함께 직전 출력 컨텐츠를 함께 고려하여 추천 컨텐츠를 필터링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현재 화면 상태 및 직전 출력 컨텐츠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를 필터링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도 10의 단계 S29가 구체화된 일 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제어부(170)는 현재 화면 크기에서 제공 가능한 추천 컨텐츠를 1차 필터링할 수 있다(S31).
즉, 제어부(170)는 복수의 컨텐츠 중 현재 화면 크기를 통해 출력 가능한 컨텐츠를 우선 필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현재 화면 크기와 동일한 화면 크기로 직전 동작했을 때 출력한 컨텐츠와 가장 유사한 컨텐츠를 2차 필터링할 수 있다(S33).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1차 필터링을 통해 스포츠 경기 컨텐츠 및 영화 컨텐츠를 획득한 경우, 2차 필터링시 직전에 현재 화면 크기와 동일한 화면 크기로 동작할 때의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70)는 현재 화면 크기와 동일한 화면 크기로 직전에 동작할 때 컨텐츠가 영화라면, 2차 필터링을 통해 추천 컨텐츠로 영화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1차 필터링된 컨텐츠가 복수개인 경우, 2차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2차 필터링을 통해 현재 화면 크기와 동일한 화면 크기로 직전 동작했을 때 출력한 컨텐츠와 가장 유사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현재 화면 크기가 제1 화면 크기일 경우, 직전에 제1 화면 크기로 동작할 때 출력한 컨텐츠와 가장 유사한 컨텐츠를 1차 필터링된 컨텐츠에서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70)는 현재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가장 빠르게 출력 가능한 컨텐츠를 필터링하는 동시에 사용자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70)는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추천 컨텐츠가 복수개인 경우 적어도 1회 이상의 필터링을 통해 출력할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필터링을 통해 복수의 추천 컨텐츠 중 획득된 어느 하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를 경우, 제어부(170)는 컨텐츠 추천 명령을 수신하면 외부 서버(300)로부터 복수의 추천 컨텐츠를 수신하고, 현재 화면 크기에 기초하여 복수의 추천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현재 화면 상태에 따른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오디오 출력부(185)는 하우징(183)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현재 화면에 따라 추천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이 도시된 예시 도면이다.
도 12의 (a)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제어부(170)는 화면 크기가 제로일 경우, 오디오만 출력되는 추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화면 크기가 제로일 경우,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서만 추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화면 크기가 제로일 경우, 라디오 방송, 음악, 팟캐스트, 오디오 클립 또는 오디오북을 추천 컨텐츠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2의 (b)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제어부(170)는 화면 크기가 제1 크기(예를 들어, 파셜뷰 모드일 때의 화면 크기)일 경우, 오디오 및 오디오에 대한 요약 정보가 출력되는 추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화면 크기가 제1 크기일 경우,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하고,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 중인 오디오에 대한 요약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화면 크기가 제1 크기일 경우,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노래, 음악, 외국어 대화 등을 출력하고,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노래 가사, 음악 정보 또는 대화 정보(예를 들어, 자막)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노래 가사, 음악 정보 또는 대화 정보를 요약 정보로 출력하면서, 요약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도 12의 (c)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제어부(170)는 화면 크기가 제1 크기 보다 큰 제2 크기(예를 들어, 풀뷰 모드일 때의 화면 크기)일 경우,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포함하는 추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화면 크기가 제2 크기일 경우, 방송 프로그램, VOD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추천 명령을 수신하면 화면 크기 연동 추천 컨텐츠를 출력함으로써, 별도의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없이 바로 추천 컨텐츠를 제공 가능한 이점이 있다.
전술한 본 개시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회전 가능한 롤러;
상기 롤러의 회전에 의해 화면 크기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
컨텐츠 추천 명령을 수신하면,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추천 명령에 따른 추천 컨텐츠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화면 크기에 따라 상기 추천 컨텐츠를 상이하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의 화면 크기를 획득하고, 획득한 현재의 화면 크기에서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컨텐츠를 상기 추천 컨텐츠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화면 크기를 포함하는 화면 상태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추천 컨텐츠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추천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복수의 추천 컨텐츠를 수신하고,
현재 화면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추천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추천 컨텐츠를 수신하면, 현재 화면 크기에서 제공 가능한 추천 컨텐츠를 필터링하고,
필터링한 추천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링한 컨텐츠가 복수개인 경우, 현재 화면 크기와 동일한 화면 크기로 직전 동작했을 때 출력한 컨텐츠와 가장 유사한 컨텐츠를 2차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 크기가 제로일 경우, 오디오만 출력되는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고,
화면 크기가 제1 크기일 경우, 오디오 및 상기 오디오에 대한 요약 정보가 출력되는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고,
화면 크기가 상기 제1 크기 보다 큰 제2 크기일 경우, 이미지 또는 비디오를 포함하는 추천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 크기가 제로일 경우, 라디오 방송, 음악 또는 오디오북을 상기 추천 컨텐츠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 크기가 제1 크기일 경우, 노래 가사, 음악 정보 또는 대화 정보를 상기 요약 정보로 출력하고,
상기 요약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를 함께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 크기가 제2 크기일 경우, 방송 프로그램, VOD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8916A KR20220160818A (ko) | 2021-05-28 | 2021-05-28 | 디스플레이 장치 |
EP21943221.8A EP4351153A1 (en) | 2021-05-28 | 2021-12-24 | Display device |
PCT/KR2021/019862 WO2022250237A1 (ko) | 2021-05-28 | 2021-12-24 | 디스플레이 장치 |
US18/562,780 US20240236396A1 (en) | 2021-05-28 | 2021-12-24 |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8916A KR20220160818A (ko) | 2021-05-28 | 2021-05-28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0818A true KR20220160818A (ko) | 2022-12-06 |
Family
ID=8422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8916A KR20220160818A (ko) | 2021-05-28 | 2021-05-28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236396A1 (ko) |
EP (1) | EP4351153A1 (ko) |
KR (1) | KR20220160818A (ko) |
WO (1) | WO2022250237A1 (ko) |
Family Cites Families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49828A (ja) * | 2004-03-01 | 2005-09-1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表示装置 |
KR20100065418A (ko) * | 2008-12-08 | 2010-06-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요성 표시부를 가지는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표시 방법 |
US8396759B2 (en) * | 2010-06-18 | 2013-03-12 | Google Inc. | Context-influenced application recommendations |
KR101227644B1 (ko) * | 2010-08-10 | 2013-01-30 | 유상규 |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JP5369214B2 (ja) * | 2012-04-17 | 2013-12-18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コンテンツ推薦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コンテンツ推薦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
KR102104898B1 (ko) * | 2012-06-05 | 2020-04-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3d 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US20150029229A1 (en) * | 2013-07-27 | 2015-01-29 |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 Adjustable Size Scrollable Display |
KR20160123620A (ko) * | 2015-04-16 | 2016-10-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KR20170004076A (ko) * | 2015-07-01 | 2017-01-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인텔리전트 에이전트 시스템 및 제어 방법 |
US10361936B2 (en) * | 2015-08-19 | 2019-07-23 | Google Llc | Filtering content based on user mobile network and data-plan |
KR102469625B1 (ko) * | 2015-10-13 | 2022-11-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US10402037B1 (en) * | 2015-12-29 | 2019-09-03 | Amazon Technologies, Inc. | Optimizations for a lock screen |
US9747289B2 (en) * | 2016-01-13 | 2017-08-29 | Disney Enterpris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proximity-based personalized content recommendations |
US20170277361A1 (en) * | 2016-03-25 | 2017-09-28 | Amazon Technologies, Inc. | Content optimizations for a lock screen |
KR102388082B1 (ko) * | 2017-05-23 | 2022-04-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동작 방법 |
KR102420877B1 (ko) * | 2017-08-25 | 2022-07-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
KR102408112B1 (ko) * | 2018-01-12 | 2022-06-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배치 구조 |
KR102613328B1 (ko) * | 2019-01-17 | 2023-12-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2666752B1 (ko) * | 2019-01-29 | 2024-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CN110189634B (zh) * | 2019-05-27 | 2021-04-27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一种柔性显示装置 |
KR20210028417A (ko) * | 2019-09-04 | 2021-03-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20220084318A (ko) * | 2019-10-28 | 2022-06-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크기가 변경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EP4075258A4 (en) * | 2019-12-13 | 2023-08-23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
KR102700793B1 (ko) * | 2019-12-26 | 2024-08-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US11436959B2 (en) * | 2019-12-31 | 2022-09-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having rollabl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2002346B2 (en) * | 2020-01-09 | 2024-06-04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roller to wind or unwind display |
US20210398333A1 (en) * | 2020-06-19 | 2021-12-23 | Apple Inc. | Smart Cropping of Images |
US11395032B2 (en) * | 2020-06-26 | 2022-07-19 | Rovi Guides, Inc. | Autoplay recommendations and sequencing in full screen video mode |
-
2021
- 2021-05-28 KR KR1020210068916A patent/KR20220160818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21-12-24 EP EP21943221.8A patent/EP4351153A1/en active Pending
- 2021-12-24 WO PCT/KR2021/019862 patent/WO202225023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12-24 US US18/562,780 patent/US20240236396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351153A1 (en) | 2024-04-10 |
US20240236396A1 (en) | 2024-07-11 |
WO2022250237A1 (ko) | 2022-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657783B2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US10560654B2 (en) | Display device | |
US12093591B2 (en) | Display device | |
KR102700793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10725732B2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2570379B1 (ko) |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US10327030B2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2479487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20103747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30023067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20167119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추천 방법 | |
KR20220160818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10130066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US20230026197A1 (en) | Display device | |
KR20220099791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
KR20220161388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10242304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20005590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US20240319958A1 (en) |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 |
KR20180040230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30112485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KR20230120798A (ko) | 디스플레이 시스템 | |
KR20230111526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40159913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220056218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