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081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081A
KR20220154081A KR1020227015634A KR20227015634A KR20220154081A KR 20220154081 A KR20220154081 A KR 20220154081A KR 1020227015634 A KR1020227015634 A KR 1020227015634A KR 20227015634 A KR20227015634 A KR 20227015634A KR 20220154081 A KR20220154081 A KR 20220154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pecific
touch input
display device
specific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5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2034B1 (ko
Inventor
이빛나
김안나
문지희
정다인
서석원
이동희
박대건
김소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54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터치 입력 지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터치 입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마우스 입력 기능 지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마우스 입력 기능 지원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본 개시는 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수신, 처리 및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영상신호를 분리하며, 다시 분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한편, TV 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기 시작하면서 채널 변경, 볼륨 조절뿐만 아니라 동작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였다.
또한 사용자 입력 방식의 다양화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사용자 터치 입력을 통한 사용자 입력이 제공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터치 입력의 사용자 의도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었다.
한편, 터치 입력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려면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또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신할 수 있어야 하는데,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나,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개시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터치입력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마우스 입력으로 전환하여 사용자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이 터치 입력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여 사용자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터치 입력 지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터치 입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마우스 입력 기능 지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마우스 입력 기능 지원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마우스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마우스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마우스 입력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이 특정 위치의 터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특정 위치의 마우스 클릭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위치에 상기 마우스 클릭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컨텐츠에 대한 롱 프레스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컨텐츠에 대한 롱 클릭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롱 클릭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이 특정 위치를 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특정 위치를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위치가 상기 특정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이 특정 위치를 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특정 위치를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위치가 상기 특정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개의 컨텐츠를 특정 방향으로 나열하여 출력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터치된 컨텐츠를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가 이동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이 롱 프레스 입력 이후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재생중인 컨텐츠의 현재 시점을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고, 현재 시점으로부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만큼 시점이 진행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컨텐츠의 재생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바를 출력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특정 지점을 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프로그래스바를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고, 현재 시점으로부터 특정 방향만큼 시점이 진행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마우스 입력 기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창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창은 사용자의 손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마우스 입력 기능'에 따른 화면 이동 방향에 대한 가이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마우스 입력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방향키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이 특정 위치의 터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특정 위치의 선택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위치에 상기 선택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이 특정 위치를 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방향과 반대 방향에 대응하는 제1 방향의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위치가 상기 특정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개의 컨텐츠를 특정 방향으로 나열하여 출력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터치된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방향과 반대 방향에 대응하는 제1 방향의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가 이동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입력이 롱 프레스 입력 이후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재생중인 컨텐츠의 현재 시점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고, 현재 시점으로부터 상기 특정방향으로 방향키 입력만큼 시점이 진행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컨텐츠의 재생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바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프로그래스 바 상의 특정 시점을 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특정 방향에 대응하는 제1 방향의 방향키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의 특정 시점으로부터 특정 방향으로 상기 방향키 입력만큼 시점이 진행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방향키 입력 기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창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창은 사용자의 손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방향키 입력 기능'에 따른 화면 이동 방향에 대한 가이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은 스크롤할 수 있는 스크롤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스크롤바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입력을 상기 스크롤바의 특정 영역을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 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이 스크롤바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입력을 상기 스크롤바의 특정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입력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설치된 터치를 지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더라도 마우스 입력 또는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입력이 실행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가이드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터치를 지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에서도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후 드래그 입력에 따른 화면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후 드래그 입력에 따른 컨텐츠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롱 프레스 입력에 따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이동을 가이드하기위한 가이드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입력 시 재생 시점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입력 시 재생 시점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입력 시 재생 시점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무선 통신부(173), 음성 획득부(175),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톱 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73)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authenticated)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부(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75)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오디오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분리된 셋톱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291)을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291)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순서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컨대, AI 장치(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에서 수신되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사용자 입력부(120)의 터치식 입력수단에 대응시켜 수신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20)에 터치 입력을 제공하고,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12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S510).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이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저장부(140)에 저장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서버 또는 셋톱박스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영상 및 이미지 컨텐츠, 웹브라우저, 스마트 가이드, 별도의 케이블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외부입력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어플리케이션이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520).
먼저, 어플리케이션은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해당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동작되는 운영체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된 화면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지 판단하고, 해당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기능을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탑재된 운영체제는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제어부(17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하는지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종류, 설치 일자, 기능, 고유번호 등 어플리케이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운영체제를 통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입력 지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경우, 입력부(120)를 통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531).
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터치 입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S520),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분석하고(S530) 어플리케이션이 마우스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S540).
구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마우스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마우스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마우스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552, S562)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마우스 입력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방향키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551, S561).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터치 입력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에 대응하는 화면 이동 및 컨텐츠 재생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분석할 수 있다(S530).
이때, 사용자 터치 입력 분석은 터치 입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터치 입력 또는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분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 터치입력을 분석하여 해당 터치입력이 특정 위치 터치, 특정 위치 터치 후 드래그, 특정 위치 롱 프레스, 프로그래스 바 터치 후 드래그, 스크롤 바 터치 후 드래그 등 다양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후 드래그 입력에 따른 화면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화면에 대하여 터치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에에 따른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상기 화면 상의 특정 위치의 터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특정 위치의 마우스 클릭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위치에 상기 마우스 클릭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화면(610) 상의 제1 컨텐츠(613)에 대하여 사용자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제1 컨텐츠(613)에 대한 클릭 입력으로 전환하여 인식하고, 제1 컨텐츠(613)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화면의 이동을 위하여 특정 위치를 터치 후 드래그 입력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특정 위치(611)를 터치하고 특정 방향(612)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특정 위치(611)를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612)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위치가 상기 특정 방향(612)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특정 위치(611)를 터치하고 특정 방향(612)로 드래그 인 경우, 제어부(170)는 상기 특정 위치(611)를 마우스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612)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여 인식할 수 있다.
도 6(b)를 참고하면, 상기 마우스 입력에 따라, 제어부는 특정 위치(611)가 특정 방향(612)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화면(63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동된 화면(630)에는 제1 컨텐츠(611)과 다른 컨텐츠(631)가 출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이 마우스 입력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특정 위치의 터치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특정 위치의 선택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위치에 상기 선택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화면 상의 제1 컨텐츠(613)에 대하여 사용자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제1 컨텐츠(613)에 대한 선택 입력으로 전환하여 인식하고, 제1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화면의 이동을 위하여 특정 위치를 터치 후 드래그 입력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특정 위치(611)를 터치하고 특정 방향(612)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특정 방향(612)과 반대 방향에 대응하는 제1 방향의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위치(611)가 상기 특정 방향(612)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특정 위치(611)를 터치하고 특정 방향(612)로 드래그 인 경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위치(611)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방향(612)과 반대 방향에 대응하는 제1 방향의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여 인식할 수 있다.
도 6(b)를 참고하면, 상기 제1 방향의 방향키 입력에 따라, 제어부(170)는 특정 위치(611)가 특정 방향(612)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화면(630)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화면 이동 및 컨텐츠 실행 출력 결과는 마우스 입력 기능 및 방향키 입력 기능에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후 드래그 입력에 따른 컨텐츠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어플리케이션이 마우스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복수개의 컨텐츠가 카테고리 별로 묶인 경우, 포커싱 된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전환하거나,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개의 컨텐츠 목록을 살펴보기 위한 드래그 터치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개의 컨텐츠를 특정 방향으로 나열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터치된 컨텐츠를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특정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가 이동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의 화면(710)에는 유사한 카테고리로 묶인 컨텐츠(713, 714)가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개의 컨텐츠 목록을 살펴보기 위하여 특정 위치(711)를 터치한 채로 특정 방향(712)로 드래그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위치(711)는 유사한 카테고리로 묶인 컨텐츠 중 어느 하나(713) 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상기 터치 입력을 특정 위치(711)를 클릭한 채로 특정 방향(712)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0)는 도 7(b)와 같이, 상기 특정 방향(712)으로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713, 714)가 이동된 화면(730)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어플리케이션이 방향키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터치 입력이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터치 입력을 터치된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방향과 반대 방향에 대응하는 제1 방향의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가 이동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7(a)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개의 컨텐츠 목록을 살펴보기 위하여 특정 위치(711)를 터치한 채로 특정 방향(712)로 드래그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상기 터치 입력을 특정 위치(711)를 선택한 채로 특정 방향(712)과 반대 방향에 대응하는 제1 방향의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0)는 상기 특정 방향(712)으로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713, 714)가 이동된 화면(730)을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롱 프레스 입력에 따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터치 입력이 특정 컨텐츠에 대한 롱 프레스 입력 이후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제어부(170)는 화면에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이 마우스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컨텐츠에 대한 롱 클릭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롱 클릭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롱 클릭 입력은 마우스의 클릭한 상태로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하는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a)와 도 8(b)를 참고하면, 제어부(170)는 특정 컨텐츠(810)에 대한 사용자의 롱 프레스 입력(811)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롱 프레스 입력을 컨텐츠(810)에 대한 롱 클릭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 창(82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가 영상인 경우 상세 정보 창에는 컨텐츠에 대한 제목, 재생시간, 날짜, 예고편, 제작자, 재생, 미리보기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입력이 지원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임에도 불구하고 터치입력에 따른 동작이 수행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터치 입력이 마우스 입력 기능 또는 방향키 입력 기능으로 전환되어 수행됨을 알리는 가이드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a)와 도 9(b)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제1 컨텐츠(910)에 대한 특정 위치(911)에 터치 입력을 입력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마우스 입력 기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창(920)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상기 가이드 창은 사용자의 손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이미지(921)와 마우스 입력 기능이 실행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커서 가이드 이미지(922) 및 현재 터치 입력이 수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가이드 이미지(9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 입력 기능이 마우스 끌기에 대응하는 경우 화면 이동 방향에 대한 가이드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방향키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방향키 입력 기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창(1120)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제1 컨텐츠(1010)에 대한 특정 위치(1011)의 터치 후 특정 방향(1012)으로 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방향키 입력을 가이드 하기 위한 상기 가이드 창(1020)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방향키 입력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창(1020)은 사용자의 손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이미지(1021)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방향키 입력 기능'에 따른 화면 이동 방향에 대한 가이드 이미지(10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화면을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해당 방향의 방향키를 활성화하여 나타내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시 화면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에는 스크롤바와 같이 화면을 이동시키기 편리한 툴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스크롤바에 터치입력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어플리케이션이 마우스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실행중인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스크롤바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입력을 상기 스크롤바의 특정 영역을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 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고하면, 화면은 스크롤바(1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스크롤바(1110)의 특정 영역(1111)을 터치하고 특정 방향(1112)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1111)을 클릭한 채로 특정 방향(1112)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방향(1112)으로 스크롤 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크롤 되는 정도는 사용자의 특정 방향(1112)으로 드래그 강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 어플리케이션이 방향키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실행중인 사용자의 터치입력이 스크롤바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입력을 상기 스크롤바의 특정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고하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스크롤바(1110)의 특정 영역(1111)을 터치하고 특정 방향(1112)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특정 영역(1111)을 선택한 채로 특정 방향(1112)으로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방향(1112)으로 스크롤 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크롤 되는 정도는 사용자의 특정 방향(1112)으로 드래그 강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터치 입력이 스크롤바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고 드래그하는 입력이 마우스 입력 기능 또는 방향키 입력 기능으로 전환된 경우, 특정 방향으로 화면이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가이드 창(1130)을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 창(1130)에는 화면의 이동방향에 대응하는 가이드 이미지가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에서는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컨텐츠의 재생 시점을 설정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입력 시 재생 시점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제어부(170)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는 일정 재생 시간을 가진 영상 또는 이미지 데이터일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 재생 중 일시정지, 빨리감기, 뒤로감기 및 특정 시점으로 이동 등을 위한 다양한 터치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롱 프레스 입력 이후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재생중인 컨텐츠의 현재 시점을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고, 현재 시점으로부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만큼 시점이 진행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컨텐츠(1210)가 재생되고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의 특정 위치(1211)를 롱 프레스 입력 이후 특정방향(1212, 예를 들어 오른쪽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상기 터치 입력을 재생중인 컨텐츠의 현재 시점을 클릭한 채로 오른 쪽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여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현재시점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만큼 시점이 진행(1213)된 컨텐츠(1220)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컨텐츠의 재생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바(1310)를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특정 지점(1311)을 터치하고 특정 방향(1312)으로 드래그인 경우, 제어부(170)는 상기 터치 입력을 현재시점의 프로그래스 바(1310)를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여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현재 시점(1311)으로부터 특정 방향(1312)로 드래그 강도만큼 시점이 진행된 프로그래스 바(1313)를 출력하고, 상기 프로그래스바(1313)에 대응하는 시점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방향키 입력을 제공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70)는 상기 터치 입력이 롱 프레스 입력 이후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가 수신되면, 상기 터치 입력을 재생중인 컨텐츠의 현재 시점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현재 시점으로부터 상기 특정방향(1312)으로 방향키 입력만큼 시점이 진행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컨텐츠의 재생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바(1310)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프로그래스 바 상의 특정 시점(1311)을 터치하고 특정 방향(1312)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특정 방향(1312)에 대응하는 제1 방향의 방향키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의 특정 시점으로부터 특정 방향으로 상기 방향키 입력만큼 시점이 진행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래스 바 상의 특정 시점(1311)을 터치하고 오른쪽으로 드래그 한 경우,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재생중인 컨텐츠(1310)의 특정 시점(1311)로부터 오른쪽으로 방향키 입력만큼 시점이 진행된 컨텐츠(1320)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재생 시점 이동에 따라 마우스 입력 기능 또는 방향키 입력 기능의 가이드 창을 설명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마우스 입력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재생 시점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창(1320)을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창(1320)은 마우스 입력 기능에 따라 사용자의 손동작 가이드 이미지(1321) 및 커서 가이드 이미지(1322) 및 특정 방향(1312)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시점이 이동되고 있음을 가이드 하는 이미지(13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사용자가 프로그래스 바의 현재 시점(1310)을 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켜 이후 시점(1313)까지 드래그 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창(1320)에 포함된 손동작 가이드 이미지와 커서 가이드 이미지가 이동하는 효과(1323)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마우스 입력 기능 뿐만 아니라, 방향키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입력 시 재생 시점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방향키 입력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재생 시점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창(1420)을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창(1420)은 방향키 입력 기능에 따라 사용자의 손동작 가이드 이미지(1421) 및 방향키 가이드 이미지(1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사용자가 프로그래스 바의 현재 시점을 터치하고 특정방향으로 이동시켜 이후 시점까지 드래그 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 특정 영역(1411)을 터치하고 특정 방향(1412)으로 드래그 하는 경우에도 상기 가이드 창(1420)에 포함된 방향키 가이드 이미지가 컨텐츠 재생 시점을 조절하는 방향으로 활성화된 가이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터치 입력 지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터치 입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마우스 입력 기능 지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마우스 입력 기능 지원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마우스 입력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마우스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마우스 입력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특정 위치의 터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특정 위치의 마우스 클릭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위치에 상기 마우스 클릭 입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컨텐츠에 대한 롱 프레스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컨텐츠에 대한 롱 클릭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롱 클릭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특정 위치를 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특정 위치를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위치가 상기 특정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특정 위치를 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특정 위치를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위치가 상기 특정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개의 컨텐츠를 특정 방향으로 나열하여 출력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터치된 컨텐츠를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가 이동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롱 프레스 입력 이후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재생중인 컨텐츠의 현재 시점을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고,
    현재 시점으로부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만큼 시점이 진행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컨텐츠의 재생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바를 출력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특정 지점을 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프로그래스바를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고,
    현재 시점으로부터 특정 방향만큼 시점이 진행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마우스 입력 기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창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창은 사용자의 손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마우스 입력 기능'에 따른 화면 이동 방향에 대한 가이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마우스 입력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방향키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특정 위치의 터치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상기 특정 위치의 선택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위치에 상기 선택 입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특정 위치를 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방향과 반대 방향에 대응하는 제1 방향의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위치가 상기 특정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개의 컨텐츠를 특정 방향으로 나열하여 출력하고,
    상기 터치 입력이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을 터치된 컨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방향과 반대 방향에 대응하는 제1 방향의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컨텐츠가 이동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이 롱 프레스 입력 이후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을 재생중인 컨텐츠의 현재 시점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고,
    현재 시점으로부터 상기 특정방향으로 방향키 입력만큼 시점이 진행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컨텐츠의 재생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바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이 상기 프로그래스 바 상의 특정 시점을 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인 경우, 상기 특정 방향에 대응하는 제1 방향의 방향키 입력으로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의 특정 시점으로부터 특정 방향으로 상기 방향키 입력만큼 시점이 진행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방향키 입력 기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창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창은 사용자의 손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상기 방향키 입력 기능'에 따른 화면 이동 방향에 대한 가이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스크롤할 수 있는 스크롤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스크롤바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입력을 상기 스크롤바의 특정 영역을 클릭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마우스 끌기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 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스크롤할 수 있는 스크롤 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이 스크롤바의 특정 영역을 터치하고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입력인 경우, 상기 터치입력을 상기 스크롤바의 특정 영역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방향키 입력으로 전환하고 상기 특정 방향으로 스크롤된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7015634A 2021-05-11 2021-05-11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02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5836 WO2022239881A1 (ko) 2021-05-11 2021-05-11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081A true KR20220154081A (ko) 2022-11-21
KR102602034B1 KR102602034B1 (ko) 2023-11-15

Family

ID=8402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634A KR102602034B1 (ko) 2021-05-11 2021-05-11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39760A1 (ko)
JP (1) JP2024519327A (ko)
KR (1) KR102602034B1 (ko)
CN (1) CN117321559A (ko)
WO (1) WO2022239881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6005A (ko) * 2008-06-27 2011-04-0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가상 터치패드
KR20140074562A (ko) * 2012-12-10 201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89874A (ko) * 2013-01-07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를 이용한 마우스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09376A (ko) * 2013-07-16 2015-01-26 주식회사 틸론 터미널 환경의 서버 기반 컴퓨팅 시스템에서 마우스 ui 지원을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 장치 및 마우스 ui 지원 방법
KR101574752B1 (ko) * 2014-09-15 2015-12-08 주식회사 마스터소프트 스마트 기기용 터치 마우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2762A (ko) * 2008-10-17 2010-04-27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휴대 단말기에서 마우스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05806B1 (ko) * 2013-01-07 2015-03-2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서의 포인터 활성화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6005A (ko) * 2008-06-27 2011-04-0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가상 터치패드
KR20140074562A (ko) * 2012-12-10 201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89874A (ko) * 2013-01-07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를 이용한 마우스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09376A (ko) * 2013-07-16 2015-01-26 주식회사 틸론 터미널 환경의 서버 기반 컴퓨팅 시스템에서 마우스 ui 지원을 위한 터치 스크린 단말 장치 및 마우스 ui 지원 방법
KR101574752B1 (ko) * 2014-09-15 2015-12-08 주식회사 마스터소프트 스마트 기기용 터치 마우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321559A (zh) 2023-12-29
KR102602034B1 (ko) 2023-11-15
JP2024519327A (ja) 2024-05-10
WO2022239881A1 (ko) 2022-11-17
EP4339760A1 (en)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41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560654B2 (en) Display device
KR1025213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70379B1 (ko) 스크린 미러링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022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5954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8516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7948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5927B1 (ko) 스크랩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020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300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0559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649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7722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46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7345579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301115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25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4216026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30269415A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2300847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3992816A1 (en) Display device
EP4027334A1 (en) Display apparatus
KR20230120798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2301320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