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2170A -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2170A
KR20230112170A KR1020220007549A KR20220007549A KR20230112170A KR 20230112170 A KR20230112170 A KR 20230112170A KR 1020220007549 A KR1020220007549 A KR 1020220007549A KR 20220007549 A KR20220007549 A KR 20220007549A KR 20230112170 A KR20230112170 A KR 20230112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link stopper
armrest cover
directional sliding
co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윤
김혜경
최용원
박해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7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2170A/ko
Priority to US18/075,197 priority patent/US20230226961A1/en
Priority to CN202211693050.3A priority patent/CN116461400A/zh
Publication of KR20230112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2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3Longitudin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14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taking a position opposite to the original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체에 매설되는 콘솔바디의 상부에 이격하여 위치하는 암레스트 커버, 암레스트 커버의 하부에 체결되고, 암레스트 커버의 작동에 대응하여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동력 전달부, 콘솔바디에 위치하고, 다수의 고정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콘솔 고정부 및 암레스트 커버의 하면에 위치하고, 다수의 고정홈에 고정되어 암레스트 커버의 길이방향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락킹 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Bi-directional sliding armrest}
본 발명은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암레스트 커버와 락킹 유닛이 연결된 구조를 적용하여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후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어 자율주행 차량 내 승객의 다양한 착좌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 가능한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물품을 임시 보관하기 위한 콘솔박스가 구비되어 있으며, 콘솔박스의 상부에는 뚜껑역할을 함과 동시에 시트에 앉은 차량의 탑승자가 편안하게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마련된 암레스트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암레스트는 장거리 운전을 하는 운전자가 팔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기어의 변속 등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운전자의 피로를 경감시키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중요도를 가진다.
이러한 암레스트는 내부에 콘솔이 형성되어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 사이 플로어 패널의 터널부에 설치되어 있는 시프트 레버 또는 파킹 브레이크 레버의 일부만을 덮는 간단한 것에서부터 대형인 것으로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일부를 구성하여 스위치, 라디오, 스테레오, 히터 컨트롤, 소형물 수납 주머니 등을 배치하고, 뒤쪽에는 패드달린 뚜껑이 있는 박스부를 갖추며 이에 뒷좌석용 재떨이나 스위치를 설치한 것까지 있다.
한편, 자율주행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차량 내 승객의 다양한 착좌 위치에 대한 기술이 다방면으로 검토되고 있다. 종래의 암레스트는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전방을 향해 앉아있는 상태에서만 암레스트의 전/후방 위치 조절 가능하여 1열 승객의 위치가 달라지면 활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자율주행 차량에서 1열 승객이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180도 회전한 대면모드의 경우 승객의 팔 거치기능이나 수납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11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암레스트 커버와 락킹 유닛이 연결된 구조를 적용하여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후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를 제공한다.
또한, 콘솔 바디와 이격하여 위치하는 락킹 유닛을 적용하여 수납공간의 활용 범위가 넓은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차체에 매설되는 콘솔바디의 상부에 이격하여 위치하는 암레스트 커버; 상기 암레스트 커버의 하부에 체결되고, 상기 암레스트 커버의 작동에 대응하여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동력 전달부; 상기 콘솔바디에 위치하고, 다수의 고정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콘솔 고정부; 및 상기 암레스트 커버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고정홈에 고정되어 상기 암레스트 커버의 길이방향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락킹 유닛;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를 제공한다.
또한, 일끝단이 상기 암레스트 커버의 양단과 체결되는 노브; 및 상기 노브의 타끝단과 연결되는 링크로드; 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의 일끝단이 회전하여 상기 링크로드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락킹 유닛은, 사선부가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링크 스토퍼; 및 상기 동력 전달부에 고정되고, 상기 사선부와 대응되는 내측면을 포함하여 상기 링크 스토퍼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링크 스토퍼 브라켓;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사선부가 상기 링크 스토퍼 브라켓에 걸려 상기 링크 스토퍼의 길이가 짧아지고,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상기 링크 스토퍼의 양단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락킹 유닛은 상기 암레스트 커버와 연결된 슬라이드 댐퍼;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솔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드 댐퍼와 길이방향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기어부; 를 포함하여 상기 암레스트 커버가 길이방향으로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를 제공한다.
또한, 일단이 상기 콘솔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락킹 유닛에 고정되어 상기 암레스트 커버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 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락킹 유닛은, 상기 링크 스토퍼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링크 스토퍼의 폭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링크 스토퍼 가이드; 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 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암레스트 커버와 락킹 유닛이 연결된 구조를 적용하여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후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어 자율주행 차량 내의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콘솔 바디와 이격하여 위치하는 락킹 유닛을 적용하여 수납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락킹 유닛, 동력 전달부 및 콘솔 고정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동력 전달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락킹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링크 스토퍼가 고정홈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링크 스토퍼가 고정홈으로부터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슬라이딩 댐퍼와 기어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스프링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높이 방향", "폭방향", "길이 방향"은 차량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또는 "하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는, 콘솔바디(100) 상부에 위치한 암레스트 커버(200), 동력 전달부(300) 및 락킹 유닛(5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암레스트 커버(200)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암레스트 커버(200)는 승객이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앉아있는 경우 팔 거치에 적합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1열 승객이 전방을 향해 앉아 오른팔을 암레스트 커버(200)에 걸친 상태에서 180도 회전한 경우 원하는 위치에 암레스트 커버(200)를 고정시켜 왼팔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암레스트 커버(200)의 길이방향 위치의 고정 또는 고정해제는 동력 전달부(300)의 노브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노브(310)를 당기는 경우 락킹 유닛(500)에 의해 고정된 암레스트 커버(200)가 고정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브(310)의 회전축은 암레스트 커버(2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노브(310)의 회전으로 암레스트 커버(20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락킹 유닛(500)은 콘솔바디(100)와 암레스트 커버(200)가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암레스트 커버(200)는 콘솔바디(100)와 상부로 이격하여 위치하여 수납공간의 활용도를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락킹 유닛(500), 동력 전달부(300) 및 콘솔 고정부(4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동력 전달부(3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는 차체에 매설되는 콘솔바디(100)의 상부에 이격하여 위치하는 암레스트 커버(200), 암레스트 커버(200)의 하부에 체결되고 암레스트 커버(200)의 작동에 대응하여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동력 전달부(300), 콘솔바디(100)에 위치하고, 다수의 고정홈(41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콘솔 고정부(400) 및 암레스트 커버(200)의 하면에 위치하고, 다수의 고정홈(410)에 고정되어 암레스트 커버(200)의 길이방향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락킹 유닛(5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암레스트 커버(200)는 차체에 매설되는 콘솔바디(100)의 상부에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암레스트 커버(200)의 하부에 락킹 유닛(500) 및 동력 전달부(300)가 체결되고 콘솔바디(100)에 콘솔 고정부(400)가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300)는 암레스트 커버(200)의 하부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300)는 암레스트 커버(200)의 작동에 대응하여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동력 전달부(300)는 노브(310) 및 링크로드(3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브(310)는 일끝단이 암레스트 커버(200)의 양단과 체결되고, 타끝단이 링크로드(32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브(310)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브(310)의 회전축은 암레스트 커버(200)에 체결되어 노브(310)를 회전시키는 경우 암레스트 커버(20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로드(320)는 노브(310)의 타끝단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링크로드(320)는 암레스트 커버(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암레스트 커버(200)의 양단에 체결된 노브(31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브(310)의 일끝단이 회전하는 경우 링크로드(320)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노브(310)를 당겨 회전시키면 노브(310)와 연결된 링크로드(320)가 노브(310) 쪽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콘솔 고정부(400)는 콘솔바디(100)에 위치하고, 다수의 고정홈(41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콘솔 고정부(400)는 다수의 고정홈(410)을 포함하여 락킹 유닛(500)을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홈(410)에 락킹 유닛(500)이 고정되거나 고정 해제되어 암레스트 커버(200)의 길이방향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콘솔 고정부(400)는 콘솔바디(100)에 위치하여 암레스트 커버(20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콘솔 고정부(400)에 형성된 기어부(420)와 락킹 유닛(500)에 형성된 슬라이드 댐퍼(530)가 맞물려 암레스트 커버(20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락킹 유닛(500)은 암레스트 커버(200)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락킹 유닛(500)은 다수의 고정홈(410)에 고정되어 암레스트 커버(200)의 길이방향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락킹 유닛(500)은 암레스트 커버(200)에 체결되어 콘솔 고정부(400)를 따라 암레스트 커버(200)와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락킹 유닛(500)은 암레스트 커버(200)에 체결되는 어퍼레일 브라켓 및 어퍼레일 브라켓에 체결되는 슬라이드 댐퍼(530), 탄성력을 갖는 링크 스토퍼(510), 링크로드(320)에 체결되는 링크 스토퍼 브라켓(520), 어퍼레일 브라켓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링크 스토퍼 가이드(5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락킹 유닛(50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링크 스토퍼(510)가 고정홈(410)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링크 스토퍼(510)가 고정홈(410)으로부터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락킹 유닛(500)은 링크 스토퍼(510) 및 링크 스토퍼 브라켓(5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스토퍼(510)는 사선부(511)가 형성되고, 양단이 고정홈(410)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링크 스토퍼(510)는 탄성체를 기준으로 양단에 사선부(511)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스토퍼(510)의 양 끝단은 고정홈(4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스토퍼(510)의 양 끝단은 고정홈(410)으로부터 해제되거나 고정홈(41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스토퍼 브라켓(520)은 동력 전달부(3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스토퍼 브라켓(520)은 사선부(511)와 대응되는 내측면을 포함하여 링크 스토퍼(510)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링크 스토퍼 브라켓(520)은 링크로드(320)에 고정되어 암레스트 커버(200)의 길이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스토퍼 브라켓(520)은 사선부(511)와 대응되는 내측면을 포함하여 링크 스토퍼(51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링크 스토퍼 브라켓(52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여 링크 스토퍼 브라켓(520)의 내측면이 사선부(511)를 밀면 링크 스토퍼(51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30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선부(511)가 링크 스토퍼 브라켓(520)에 걸려 링크 스토퍼(51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선부(511)가 링크 스토퍼 브라켓(520)의 내측면에 걸리는 경우 링크 스토퍼(510)의 양단은 고정홈(410)으로부터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락킹 유닛(500)은 링크 스토퍼 가이드(54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스토퍼 가이드(540)는 링크 스토퍼(510)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링크 스토퍼(510)의 폭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링크 스토퍼 가이드(540)는 링크 스토퍼(510)를 높이방향으로 상면 및 하면을 감싸도록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스토퍼(510)의 상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링크 스토퍼 가이드(540)는 릭킹 유닛과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스토퍼(510)의 하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링크 스토퍼 가이드(540)는 스프링부(600)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스토퍼 브라켓(52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 링크 스토퍼(510)는 링크 스토퍼 가이드(540)를 따라 길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링크 스토퍼 가이드(540)는 사선부(511)와 링크 스토퍼(510)의 양끝단의 폭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암레스트 커버(20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링크 스토퍼(510)의 양끝단은 고정홈(410)에 삽입되고 사선부(511)는 링크 스토퍼 브라켓(520)의 내측면과 맞닿은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가 노브(310)를 당겨 회전시키면 링크로드(320)가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고, 링크 스토퍼 브라켓(520)이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스토퍼 브라켓(520)이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면, 사선부(511)가 링크 스토퍼 브라켓(520)의 내측면에 걸려 링크 스토퍼(51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스토퍼(510)의 길이가 짧아지면 고정홈(410)으로부터 링크 스토퍼(510)의 양끝단이 고정 해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슬라이딩 댐퍼와 기어부(420)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락킹 유닛(500)은 슬라이드 댐퍼(530)를 더 포함하고 콘솔 고정부(400)는 기어부(420)를 포함하여 암레스트 커버(200)가 길이방향으로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제 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댐퍼(530)는 암레스트 커버(2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슬라이드 댐퍼(530)는 기어부(420)와 맞물려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어부(420)는 슬라이드 댐퍼(530)와 길이방향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어부(420)는 슬라이드 댐퍼(530)의 길이방향 이동거리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기어부(420)는 콘솔 고정부(400)의 상단에 형성되고 고정홈(410)은 콘솔 고정부(400)의 하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의 스프링부(600)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는 일단이 콘솔 고정부(400)에 고정되고, 타단이 락킹 유닛(500)에 고정되는 스프링부(6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부(600)는 암레스트 커버(20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스프링부(600)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부(600)의 몸체는 콘솔 고정부(400)에 체결되고, 스프링부(600)의 끝단은 락킹 유닛(500)에 체결되어 암레스트 커버(200)가 길이방향 이동에 따라 끝단이 늘어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부(600)는 콘솔 고정부(400)의 끝단의 고정홈(410)에 링크 스토퍼(5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노브(310)를 회전시키는 경우, 락킹 해제되며 암레스트 커버(200)가 기준 위치로 원복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암레스트 커버(200)의 기준 위치는 콘솔 고정부(400)의 길이방향으로 중심일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암레스트 커버(200)와 락킹 유닛(500)이 연결된 구조를 적용하여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후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어 자율주행 차량 내 승객의 다양한 착좌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 가능한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를 제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콘솔바디
200: 암레스트 커버
300: 동력 전달부
310: 노브
320: 링크로드
400: 콘솔 고정부
410: 고정홈
420: 기어부
500: 락킹 유닛
510: 링크 스토퍼
511: 사선부
520: 링크 스토퍼 브라켓
530: 슬라이드 댐퍼
540: 링크 스토퍼 가이드
600: 스프링부

Claims (7)

  1. 차체에 매설되는 콘솔바디의 상부에 이격하여 위치하는 암레스트 커버;
    상기 암레스트 커버의 하부에 체결되고, 상기 암레스트 커버의 작동에 대응하여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동력 전달부;
    상기 콘솔바디에 위치하고, 다수의 고정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콘솔 고정부; 및
    상기 암레스트 커버의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다수의 고정홈에 고정되어 상기 암레스트 커버의 길이방향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락킹 유닛;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일끝단이 상기 암레스트 커버의 양단과 체결되는 노브; 및
    상기 노브의 타끝단과 연결되는 링크로드; 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의 일끝단이 회전하여 상기 링크로드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유닛은,
    사선부가 형성되고, 양단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링크 스토퍼; 및
    상기 동력 전달부에 고정되고, 상기 사선부와 대응되는 내측면을 포함하여 상기 링크 스토퍼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링크 스토퍼 브라켓;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사선부가 상기 링크 스토퍼 브라켓에 걸려 상기 링크 스토퍼의 길이가 짧아지고,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상기 링크 스토퍼의 양단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유닛은 상기 암레스트 커버와 연결된 슬라이드 댐퍼;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솔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드 댐퍼와 길이방향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기어부; 를 포함하여 상기 암레스트 커버가 길이방향으로 양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
  6.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콘솔 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락킹 유닛에 고정되어 상기 암레스트 커버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 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유닛은,
    상기 링크 스토퍼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링크 스토퍼의 폭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링크 스토퍼 가이드; 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
KR1020220007549A 2022-01-19 2022-01-19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 KR2023011217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549A KR20230112170A (ko) 2022-01-19 2022-01-19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
US18/075,197 US20230226961A1 (en) 2022-01-19 2022-12-05 Bidirectional sliding armrest
CN202211693050.3A CN116461400A (zh) 2022-01-19 2022-12-28 双向滑动扶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549A KR20230112170A (ko) 2022-01-19 2022-01-19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2170A true KR20230112170A (ko) 2023-07-27

Family

ID=87162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549A KR20230112170A (ko) 2022-01-19 2022-01-19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26961A1 (ko)
KR (1) KR20230112170A (ko)
CN (1) CN1164614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115B1 (ko) * 2023-09-13 2023-12-15 주식회사 서연이화 콘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103B1 (ko) 2010-12-10 2012-06-01 덕양산업 주식회사 진동감쇄 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타입 암레스트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103B1 (ko) 2010-12-10 2012-06-01 덕양산업 주식회사 진동감쇄 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타입 암레스트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115B1 (ko) * 2023-09-13 2023-12-15 주식회사 서연이화 콘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26961A1 (en) 2023-07-20
CN116461400A (zh) 202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2363B1 (ko)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JP6615596B2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
US7140681B2 (en) Occupant centering ergonomic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US8020933B2 (en) Lumbar support device of seat for vehicles
US20140191553A1 (en) Cable synchronizer system
JP2007196896A (ja) シート
US20230191968A1 (en) Control armrest containment structure
KR20230112170A (ko)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
EP1728673B1 (en) A configurable seat assembly for a vehicle
EP2265461A1 (en) Reclining seat
KR101770213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US10415628B2 (en) Cable release bypass system and vehicle seat with cable release bypass system
KR102460776B1 (ko)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
KR101679688B1 (ko)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틸팅장치
KR0138717Y1 (ko) 자동차 시트백에 설치된 발받침용 쿠션
KR102332001B1 (ko) 캠핑카용 운전석 및 조수석 회전구조
JP2010215072A (ja) スライド機構
KR0129189B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
KR200183516Y1 (ko) 푸트 레스트 어셈블리
KR0176368B1 (ko) 이동식 센터콘솔 유니트
KR200347370Y1 (ko) 굴삭기의캐빈고정장치
JPH1067264A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のチルトロック機構
KR20230166436A (ko) 2열 수동 릴렉션시트
JP2020083272A (ja) 乗り物用シート
KR20060024291A (ko) 자동차용 럼버 서포트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