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776B1 -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776B1
KR102460776B1 KR1020180030925A KR20180030925A KR102460776B1 KR 102460776 B1 KR102460776 B1 KR 102460776B1 KR 1020180030925 A KR1020180030925 A KR 1020180030925A KR 20180030925 A KR20180030925 A KR 20180030925A KR 102460776 B1 KR102460776 B1 KR 102460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door
bracket
fix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9053A (ko
Inventor
김은수
정대익
김재학
장승혁
배병완
정성빈
강신정
변득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0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776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58Rests or guides for relevant parts of the operator's body
    • G05G1/60Foot rests or foot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는 차량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과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풋레스트 하우징; 및 풋레스트 하우징의 후방 단부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면서 각도가 조절되고, 설정각도에서 고정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승객의 발 또는 종아리가 얹혀지는 도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 {CONVENIENCE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풋레스트의 발판 각도 및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개선한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율주행 차량이란 운전자가 핸들과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 등을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자율주행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차량으로 최근 들어 개발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자율주행 상황이 보편적으로 실현될 경우 승객들은 최대한 편안한 상태로 휴식을 취할 수 있기를 원하게 되며, 일예로 후석 승객은 발을 전방으로 뻗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상황을 원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차량의 풋레스트는 후석 승객이 발을 단순히 얹어서 지지할 수 있는 발판형태의 것으로, 회전 가능한 발판이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리어부에 장착된 구조이며, 이와 같은 종래의 풋레스트는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자율주행 차량에서는 사용이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7915호
본 발명은, 차량 공간 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발판의 높이 및 틸팅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승객에 따라 최적의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승객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는 차량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과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풋레스트 하우징; 및 풋레스트 하우징의 후방 단부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면서 각도가 조절되고, 설정각도에서 고정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승객의 발 또는 종아리가 얹혀지는 도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모듈은, 풋레스트 하우징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양단이 풋레스트 하우징에 설치된 메인프레임; 상단부가 메인프레임에 힌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풋레스트 하우징의 후방 단부를 개폐하는 발판도어; 및 발판도어에 설치되어, 발판도어를 설정각도에 따라 고정시키는 폴딩고정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폴딩고정장치는, 메인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발판도어에 고정된 브라켓; 메인프레임에 고정되어 외주면에 고정부와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되, 각각 고정부는 서로 동일한 각도에 형성되고, 돌출부는 서로 다른 각도에 형성된 다수의 락 기어; 브라켓에 설치되고, 일단에 돌출부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어 브라켓의 회전각도에 따라 걸림부가 락 기어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돌출부에 걸리면서 발판도어가 고정되도록 하는 락 투쓰; 및 메인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일단은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은 락 기어에 고정됨으로써 브라켓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제1리턴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돌출부는 일측면이 락 기어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걸림부는 돌출부에 끼워지는 쐐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브라켓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축이 설치되고, 락 투쓰는 고정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타단에 브라켓 외부로 연장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브라켓 내부에는 일단이 브라켓에 고정되며, 타단이 락 투쓰에 고정되어 락 투쓰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제2리턴스프링이 마련되고, 풋레스트 하우징에는 락 투쓰의 손잡이부와 연동되어 승객의 조작에 따라 락 투쓰를 회전시킴으로써, 락 투쓰의 걸림부를 돌출부로부터 해제시키는 잠금해제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풋레스트 하우징에는 후방 상단측에 가이드부재가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메인프레임은 양단이 하방 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가이드부재에 설치되고,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풋레스트 하우징에는 발판도어와 마주하는 지점에 설치되어 발판도어에 의해 밀릴 경우, 교번하여 발판도어를 풋레스트 하우징 측에 고정시키거나 발판도어를 풋레스트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락킹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에 따르면, 차량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바, 미사용시에는 수납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밀어넣을 수 있는바 차량의 실내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어 자율주행 차량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
또한, 승객의 발이나 종아리가 얹혀지는 발판의 틸팅각도 및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바, 승객이 요구하는 최적의 자세를 구현하여 승객의 편의성을 극대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차량 상품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풋레스트가 전방으로 최대 이동하여 삽입된 상태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풋레스트가 후방으로 인출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풋레스트 하우징로부터 도어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고정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폴딩고정장치의 회전각도 별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풋레스트의 락킹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풋레스트가 전방으로 최대 이동하여 삽입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풋레스트가 후방으로 인출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풋레스트 하우징로부터 도어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10); 가이드레일(10)과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풋레스트 하우징(20); 및 풋레스트 하우징(20)의 후방 단부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면서 각도가 조절되고, 설정각도에서 고정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승객의 발 또는 종아리가 얹혀지는 도어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의 전방 끝은 차량의 글로브박스가 구비된 대시보드의 하측공간까지 연장되게 설치되고, 후방 끝은 리어시트의 바로 앞 부근까지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풋레스트 하우징(20)은 전방으로 최대 이동될 시 대시보드의 하측공간으로 수납되고, 하측공간으로 삽입된 풋레스트 하우징(20)은 차량 실내공간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는바, 차량의 실내공간 활용을 최대한 가능하게 되어 자율주행 차량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가이드레일(10)을 따라 풋레스트 하우징(20)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는 전동식 또는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에 의한 기계식 중 어느 하나로서 구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전동식의 경우에는 차량 내에 구비된 조작 버튼이나, 승객이 소지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동작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풋레스트 하우징(20)에는 후방 단부를 개폐하도록 회전하면서 각도가 조절되고, 설정각도에서 고정됨으로써 승객이 요구하는 각도로 동작하는 도어모듈(100)이 마련된다.
승객은 상황에 따라 풋레스트 하우징(20)의 전후방향 위치와 더불어 도어모듈(10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가 승객이 요구하는 최적의 자세로 승객의 발 또는 종아리를 받칠 수 있도록 하여 착좌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도어모듈(100)은, 풋레스트 하우징(2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양단이 풋레스트 하우징(20)에 설치된 메인프레임(110); 상단부가 메인프레임(110)에 힌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풋레스트 하우징(20)의 후방 단부를 개폐하는 발판도어(120); 및 발판도어(120)에 설치되어, 발판도어(120)를 설정각도에 따라 고정시키는 폴딩고정장치(130);로 구성될 수 있다.
풋레스트 하우징(20)의 후방 단부를 개폐하는 발판도어(120)가 마련되고, 발판도어(120)가 개폐될 수 있는 회전축으로써 메인프레임(110)이 풋레스트 하우징(20)의 후방 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발판도어(120)가 메인프레임(110)에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만 구성될 뿐이라면 승객이 발판도어(120)에 발이나 종아리를 얹을 경우, 발판도어(120)는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하방으로 회전해버리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는 발판도어(120)에 설치되어 발판도어(120)의 회전각도에 따라 고정되도록 하는 폴딩고정장치(130)가 마련됨으로써, 승객이 발판도어(120)에 발 또는 종아리를 얹더라도 발판도어(120)가 회전하지 않아 승객이 편안하게 다리를 풋레스트 장치에 얹을 수 있다.
여기서, 발판도어(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고정장치(130)를 감싸는 커버들과, 승객의 발과 맞닿는 부분에 쿠션감을 제공하는 재질로 설치된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고정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폴딩고정장치(130)는 메인프레임(110)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발판도어(120)에 고정된 브라켓(131); 메인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외주면에 고정부(132a)와 돌출부(132b)가 돌출 형성되되, 각각 고정부(132a)는 서로 동일한 각도에 형성되고, 돌출부(132b)는 서로 다른 각도에 형성된 다수의 락 기어(132); 브라켓(131)에 설치되고, 일단에 돌출부(132b)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부(133a)가 돌출 형성되어 브라켓(131)의 회전각도에 따라 걸림부(133a)가 락 기어(132)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돌출부(132b)에 걸리면서 발판도어(120)가 고정되도록 하는 락 투쓰(133); 및 메인프레임(110) 상에 설치되어 일단은 브라켓(131)에 고정되고, 타단은 락 기어(132)에 고정됨으로써 브라켓(131)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제1리턴스프링(1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메인프레임(11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발판도어(120)와 일체로 마련된 브라켓(131)이 메인프레임(11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브라켓(131)에는 원래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리턴스프링(134)이 연결된다.
메인프레임(110)에는 다수의 락 기어(132)가 고정되고, 브라켓(131)에는 락 투쓰(133)가 설치되어 승객의 조작에 따라 발판도어(120)가 회전할 경우, 브라켓(131)과 함께 락 투쓰(133)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락 투쓰(133)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133a)는 락 기어(132)의 외주면 캠 라인을 따라 이동하다가, 락 기어(132b)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132b)에 끼워짐으로써 브라켓(131)이 복원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발판도어(120)의 회전각도가 고정된다.
여기서, 락기어(132)가 다수 개로 구비되고, 각각의 돌출부(132b) 위치가 서로 다른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각도로 발판도어(120)를 고정시킬 수 있는바, 수납식 풋레스트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락 투쓰(133)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기어(13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단일개로 마련되되 락기어(132)와 대응되는 지점마다 걸림부(133a)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발판도어(120)가 풋레스트 하우징(20)의 후방 단부를 닫고 있는 상태라면, 브라켓(131)이 제1리턴스프링(1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되려는 힘을 전달받게 되는데, 락 투쓰(133)의 걸림부(133a)가 락기어(132)의 고정부(132a)에 걸리게 되는바, 브라켓(131)이 초기상태보다 더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발판도어(120)가 풋레스트 하우징(20)에 부딪히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제1리턴스프링(134)은 일단이 브라켓(131)에 고정되고, 타단이 락기어(132)에 고정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메인프레임(110)을 중심으로 브라켓(131)이 회전할 경우 인장 또는 압축되면서 복원되려는 힘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브라켓(131)에 원상태로 복원시키려는 복원력을 가하게 된다.
여기서, 돌출부(132b)는 일측면이 락 기어(132)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걸림부(133a)는 돌출부(132b)에 끼워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락 투쓰(133)가 제1리턴스프링(13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려 하더라도 걸림부(133a)가 돌출부(132b)에 쐐기형상으로 끼워지기 때문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폴딩고정장치의 회전각도 별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다수의 락기어(132)에 돌출부(132b)가 각각 90°, 120°에 형성된다고 가정한다면, 도 9는 발판도어가 90°로 회전된 상태이고, 도 10은 발판도어가 120°로 회전된 상태이다. 물론, 이는 설명을 위해 설정한 각도일 뿐, 설계자나 차량에 따라 충분히 가변될 수 있는 것인바, 수치로 한정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도어가 90°로 회전된다면 브라켓(131)이 발판도어를 따라 메인프레임(11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아울러, 락 투쓰(133)도 브라켓(131)과 함께 화살표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락 투쓰(133)의 걸림부(133a)는 도 9a와 같이 다수의 락기어(132) 중 90°에 돌출부(132b)가 형성된 락기어(132)의 돌출부(132b)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된다. 하지만, 120°에 돌출부(132b)가 형성된 락기어(132)에는 도 9b와 같이 걸림부(133a)가 돌출부(132b)에 끼워지지 않고 해당 락기어(132)의 외주면 캠라인 상에만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하지만, 락 투쓰(133)는 90°에 돌출부(132b)가 형성된 락기어(132)에 끼워지는바, 발판도어가 고정되어 승객이 발 또는 종아리를 얹더라도 무너지지 않아 수납식 풋레스트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만약, 도 10과 같이 발판도어가 화살표를 따라 120°이상 회전된다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락기어(132) 중 90°에 돌출부(132b)가 형성된 락기어(132)에는 락 투쓰(133)의 걸림부(133a)가 끼워지지 않고 회전가능한 상태로 마련된다. 하지만,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에 돌출부(132b)가 형성된 락기어(132)에는 락 투쓰(133)의 걸림부(133a)가 끼워지는바, 발판도어의 회전각도가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발판도어가 고정될 수 있는 각도가 90°와 120°로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차량 또는 설계자에 따라 락기어(132)의 돌출부(132b)의 개수와 적용 각도를 가변함으로써 다양한 각도로 발판도어를 고정시키게 마련할 수 있다.
다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에는 브라켓(131)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축(135)이 설치되고, 락 투쓰(133)는 고정축(135)에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타단에 브라켓(131) 외부로 연장되는 손잡이부(133b)가 형성되고, 브라켓(131) 내부에는 일단이 브라켓(131)에 고정되며, 타단이 락 투쓰(133)에 고정되어 락 투쓰(133)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제2리턴스프링(136)이 마련되고, 풋레스트 하우징(20)에는 락 투쓰(133)의 손잡이부(133b)와 연동되어 승객의 조작에 따라 락 투쓰(133)를 회전시킴으로써, 락 투쓰(133)의 걸림부(133a)를 돌출부(132b)로부터 해제시키는 잠금해제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락 투쓰(133)는 브라켓(131)에 고정축(135)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잠금해제장치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여 걸림부(133a)가 락 기어(132)의 돌출부(132b)로부터 해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잠금해제장치는 락 투쓰(133)의 타단에 형성된 손잡이부(133b)와 연동되도록 마련되어 승객의 조작에 의해 락 투쓰(133)를 걸림부(133a)가 돌출부(132b)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작한다.
여기서, 잠금해제장치는 버튼방식에 의해 락 투쓰(133)가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와이어를 매개로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락 투쓰(133)는 브라켓(131)에 일단이 고정된 제2리턴스프링(136)과 연결됨으로써, 잠금해제장치에 의해 회전될 경우 다시 원복하려는 탄성력을 제2리턴스프링(136)으로부터 전달받고, 잠금해제장치의 동작이 해제되면 기존 상태로 원복되어 발판도어의 회전각도에 따라 락 기어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풋레스트 하우징(20)에는 후방 상단측에 가이드부재(140)가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메인프레임(110)은 양단이 하방 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가이드부재(140)에 설치되고, 가이드부재(14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프레임(110)과 가이드부재(140)는 헤드레스트에 적용되는 잠금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메인프레임(110)의 양측에 다수의 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가이드부재(140) 내부에는 메인프레임(110)의 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가 스프링에 의해 중심부로 압축력을 전달받는 방식으로 마련된다.
그에 따라, 메인프레임(110)의 양단부가 가이드부재(140)에 삽입될 경우, 홈에 돌기가 끼워지면서 메인프레임(110)의 높이가 고정된다. 이때, 가이드부재(140)에는 버튼방식으로 스프링의 압축력을 해소하도록 마련되어, 돌기가 메인프레임(110)의 홈으로부터 벗어나 메인프레임(110)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발판도어(120)를 승객이 원하는 높이로 적절히 조절하여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식 풋레스트의 락킹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풋레스트 하우징(20)에는 발판도어(120)와 마주하는 지점에 설치되어 발판도어(120)에 의해 밀릴 경우, 교번하여 발판도어(120)를 풋레스트 하우징(20) 측에 고정시키거나 발판도어(120)를 풋레스트 하우징(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락킹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이 발판도어(120)를 미는 행동만으로도 풋레스트 하우징(20) 후방 단부를 개폐할 수 있게 되는바,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에 따르면, 차량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바, 미사용시에는 수납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밀어넣을 수 있는바 차량의 실내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어 자율주행 차량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다.
또한, 승객의 발이나 종아리가 얹혀지는 발판의 틸팅각도 및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바, 승객이 요구하는 최적의 자세를 구현하여 승객의 편의성을 극대화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차량 상품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플로어패널
10: 가이드레일
20: 풋레스트 하우징
100: 도어모듈
110: 메인프레임
120: 발판도어
130: 폴딩고정장치
131: 브라켓
132: 락기어
132a: 고정부
132b: 돌출부
133: 락 투쓰
133a: 걸림부
133b: 손잡이부
134: 제1리턴스프링
135: 고정축
136: 제2리턴스프링
140: 가이드부재
150: 락킹장치

Claims (7)

  1. 차량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과 결합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풋레스트 하우징; 및
    풋레스트 하우징의 후방 단부를 개폐하도록 동작하면서 각도가 조절되고, 설정각도에서 고정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승객의 발 또는 종아리가 얹혀지는 도어모듈을 포함하고;
    도어모듈은 풋레스트 하우징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양단이 풋레스트 하우징에 설치된 메인프레임을 포함하고;
    풋레스트 하우징에는 후방 상단측에 가이드부재가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메인프레임은 양단이 하방 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가이드부재에 설치되고,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도어모듈은,
    상단부가 메인프레임에 힌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풋레스트 하우징의 후방 단부를 개폐하는 발판도어; 및
    발판도어에 설치되어, 발판도어를 설정각도에 따라 고정시키는 폴딩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폴딩고정장치는,
    메인프레임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발판도어에 고정된 브라켓;
    메인프레임에 고정되어 외주면에 고정부와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되, 각각 고정부는 서로 동일한 각도에 형성되고, 돌출부는 서로 다른 각도에 형성된 다수의 락 기어;
    브라켓에 설치되고, 일단에 돌출부의 일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어 브라켓의 회전각도에 따라 걸림부가 락 기어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돌출부에 걸리면서 발판도어가 고정되도록 하는 락 투쓰; 및
    메인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일단은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단은 락 기어에 고정됨으로써 브라켓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제1리턴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돌출부는 일측면이 락 기어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걸림부는 돌출부에 끼워지는 쐐기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브라켓을 폭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축이 설치되고,
    락 투쓰는 고정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타단에 브라켓 외부로 연장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브라켓 내부에는 일단이 브라켓에 고정되며, 타단이 락 투쓰에 고정되어 락 투쓰에 탄성복원력을 가하는 제2리턴스프링이 마련되고,
    풋레스트 하우징에는 락 투쓰의 손잡이부와 연동되어 승객의 조작에 따라 락 투쓰를 회전시킴으로써, 락 투쓰의 걸림부를 돌출부로부터 해제시키는 잠금해제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풋레스트 하우징에는 발판도어와 마주하는 지점에 설치되어 발판도어에 의해 밀릴 경우, 교번하여 발판도어를 풋레스트 하우징 측에 고정시키거나 발판도어를 풋레스트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락킹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
KR1020180030925A 2018-03-16 2018-03-16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 KR102460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925A KR102460776B1 (ko) 2018-03-16 2018-03-16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925A KR102460776B1 (ko) 2018-03-16 2018-03-16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053A KR20190109053A (ko) 2019-09-25
KR102460776B1 true KR102460776B1 (ko) 2022-11-01

Family

ID=6806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925A KR102460776B1 (ko) 2018-03-16 2018-03-16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7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351B1 (ko) * 2020-06-18 2021-03-02 주식회사 단테크 클라이밍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88684A1 (en) * 2015-04-01 2016-10-06 Volvo Car Corporation Multi-functional catering module for arrangement in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0006B1 (ko) 2004-07-23 2006-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풋레스트
KR101603425B1 (ko) * 2014-07-25 2016-03-15 현대다이모스(주) 풋레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88684A1 (en) * 2015-04-01 2016-10-06 Volvo Car Corporation Multi-functional catering module for arrangement in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053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0625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EP3165400B1 (en) Child safety seat
JP6440251B2 (ja) スライドアームレストコンソール開閉装置
US9855871B2 (en) Vehicle seat
KR101664690B1 (ko) 자동차 시트 쿠션 익스텐션장치
KR101406449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US8172319B2 (en) Active headrest apparatus for vehicle and actuator thereof
RU2686283C1 (ru) Сиденье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837386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KR102460776B1 (ko) 차량용 수납식 풋레스트 장치
KR101593846B1 (ko) 헤드레스트 장치
JP2007196899A (ja) シートの操作装置及びシート
KR101656297B1 (ko) 차량용 시트 장치
KR102570786B1 (ko) 차량용 플랫시트
KR101506351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JP3721934B2 (ja) 電動オットマン装置
KR20200073611A (ko)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JP4334398B2 (ja) 車両用内装装置
KR20230112170A (ko) 양방향 슬라이딩 암레스트
KR101607206B1 (ko) 비대칭 트랙의 워크인 메모리장치
KR200333285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장치
KR100494550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KR20060091755A (ko) 차량 시트 백 폴딩을 위한 스트라이커의 자동격납장치
KR102092027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647189B1 (ko) 차량용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