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8887A -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8887A
KR20230108887A KR1020220004553A KR20220004553A KR20230108887A KR 20230108887 A KR20230108887 A KR 20230108887A KR 1020220004553 A KR1020220004553 A KR 1020220004553A KR 20220004553 A KR20220004553 A KR 20220004553A KR 20230108887 A KR20230108887 A KR 20230108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tea
sweet
red bean
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수
이소연
Original Assignee
이광수
이소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수, 이소연 filed Critical 이광수
Priority to KR1020220004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8887A/ko
Publication of KR20230108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88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0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tea flavour or tea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1Shea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도록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팥을 고온의 소금으로 구워내어 차를 제조함으로써 팥 고유의 향을 가지며 조직 또한 부드러워져 물로 잘 우려낼 수 있어 팥의 유익한 성분을 차로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는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팥차의 제조방법은, 단팥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팥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준비한 팥을 세척하는 단계(S2); 상기 세척한 팥의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하는 단계(S3); 상기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한 팥을 소금구이하는 단계(S4); 상기 소금구이한 팥을 냉각하는 단계(S5); 상기 냉각한 팥을 분쇄하여 팥차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S6); 상기 팥차 원료와 단맛 부원료를 혼합하여 단팥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7); 및 상기 단팥차 혼합물을 포장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SWEET RED BEAN TE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도록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팥을 고온의 소금으로 구워내어 차를 제조함으로써 팥 고유의 향을 가지며 조직 또한 부드러워져 물로 잘 우려낼 수 있어 팥의 유익한 성분을 차로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는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커피 소비가 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우리나라 성인 1인당 커피 소비량이 400잔을 넘어서며 커피 시장 역시 2014년도부터 연평균 9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재수)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여인홍)에서 발간한 커피류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커피 판매 시장규모는 6조4041억 원으로 2014년 4조9022억 원과 비교해 306% 성장했다.
반면, 차(茶, tea) 시장의 경우 웰빙 붐의 영향과 커피 대체 음료에 대한 수요자의 니즈 향상으로 인해 커피보다 큰 폭으로 그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2017년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발표한 '2015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차 생산량은 2014년 기준 약 46만3900톤으로 2007년에 비해 387% 증가했다. 총 생산액은 8197억원으로 같은 기간 666% 늘었다. 차 수입량은 2010년 585톤에서 2014년에는 891톤으로 523%가량 증가했다. 
최근에는 국민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식품에 대한 기호특성이 고급화될 뿐만 아니라, 특히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가 급증하면서 약품이 아닌 식품으로서 맛보다는 생체의 조절기능에 초점을 맞춘 이른바 기능성 건강식품이라 불리우는 각종의 다(茶)류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차에 대한 니즈와 차 시장의 성장성에 걸맞추어 차에 대한 다양한 제조 공법에 대한 기술적인 시도가 존재하여 왔는데, 이러한 시도들은 대부분 기업의 대량 생산 위주의 공급자 중심의 것이며, 자연적인 공법 등이 아닌, 인위적 약품이나 인위적 향의 추가 등을 통해 손실한 풍미를 보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팥(小豆·赤豆; small red bean, azuki bean, Phaseolus angularis WF Wight)은 한해살이풀로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로 분류된다. 팥은 우리나라에서 쌀과 콩 다음으로 치는 오곡중 하나로 동지(冬至)에 팥죽을 먹었으며 대문이나 벽에 팥죽을 뿌려 액(厄)을 쫓는 데 이용되어 왔다.
또한, 동의보감에서 팥은 성질이 따뜻하고 맛은 달고 독이 없으며, 설사와 이질, 창만을 치료하고 젖을 나오게 하며 각기병과 수종을 치료하고 몸을 여위게 하므로 지나치게 살찐 사람이 먹으면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특히 팥의 안토시아닌은 proanthocyanidin으로 그 중에서도 cyanidin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색소는 항산화 및 항종양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또한 팥에 함유된 사포닌은 섬유질과 함께 변통을 돕고 독을 풀고 배변을 촉진하여 장을 깨끗하게 해주며 신장병, 각기병, 숙취 등에도 높은 효능을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팥(赤豆)은 당질, 단백질 등의 에너지류를 함유하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세하게는 당질 51.13%, 단백질 20.94%, 수분 14.91%, 회분 3.63%, 지방 0.7% 외에도 비타민 B1과 사포닌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고 영양가의 콩류로 분류된다. 예로부터 팥은 각기병에 놓은 식품으로 알려져 왔으며, 속이 열한 것과 소갈을 다스리는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명의별록(名醫別錄)에는 '팥은 한열과 속이 열한 것을 다스리며 소명을 이롭게 하고 소갈에도 좋다'고 되어있고, 약성본초(藥性本草)에는 '팥은 열독을 다스리고 악혈을 없애며 또 비와 위를 튼튼하게 해준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이러한 팥은 팥죽, 팥떡, 팥앙금, 양갱 등의 음식으로 만들어져 현재까지도 많이 섭취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팥은 보통 밥밑용으로 이용되며 팥죽이나 떡, 빵의 속 재료, 앙금, 양갱, 빙과제조용 등으로 제조되어 그 섭취방법이 제한적으로만 적용되고 있다.
팥을 이용한 차(茶)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9080호(등록일자 2019년12월18일)에는, (a) 세척한 팥을 건조한 다음, 분쇄하고 로스팅기에 공급하여 로스팅하는 단계; (b) 세척된 부원료를 건조한 다음, 로스팅기에 공급하여 로스팅하는 단계; (c) 상기 로스팅된 팥과 부원료를 각각 일정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및 (d) 상기 분쇄된 팥과 부원료를 7:3의 비율로 혼합하여 팥차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팥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단계의 로스팅은 180~200℃의 온도에서 20분간 수행된 다음, 100℃의 온도에서 30분간 수행되며, 상기 (b)단계의 로스팅은 160~200℃의 온도에서 10~20분간 수행되며, 상기 부원료는 현미, 보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게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5014호(등록일자 2018년03월28일)에는, 건조된 팥을 물에 충분히 침지시켜 불리고, 그 불려진 팥을 60 - 80℃에서 반숙시킨 다음 그 반숙된 팥을 건조시키고, 그 건조된 팥을 100 - 150℃에서 10 - 15분간 덖음기에서 덖음 한 후 그 덖음된 팥을 파쇄하여 팥 차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건조된 작두콩을 잘게 파쇄한 후 그 파쇄된 작두콩을 100 - 150℃에서 10 - 15분간 덖음기에서 덖음하여 작두콩차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건조된 우엉을 잘게 파쇄한 후 그 파쇄된 우엉을 80 - 100℃에서 10 - 15분간 덖음기에서 덖음하여 우엉 차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팥 차 원료 30 - 40중량%, 작두콩 차 원료 30 - 35중량%, 우엉 차 원료 30 - 35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차 혼합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차 혼합물을 티백에 넣고 포장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건조된 팥은 물에 충분히 침지시켜 발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팥, 작두콩, 우엉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9327호(등록일자 2013년09월10일)에는, 팥을 주재료로 하는 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팥, 현미, 수국, 로즈힙을 포함하는 차재료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차재료 중 상기 수국을 70~80℃의 물에 투입하여 상기 수국을 우려내는 단계; 투입된 상기 수국의 단맛이 충분히 우려날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수국이 투입된 물에 상기 팥과 상기 현미를 투입하여 상기 팥과 상기 현미를 우려내는 단계; 투입된 상기 팥과 상기 현미가 익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팥과 상기 현미가 투입된 물에 상기 로즈힙을 투입하여 상기 로즈힙을 우려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팥을 주재료로 하는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게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5635호(공개일자 2009년11월05일)에는, 팥을 사용하여 팥추출차를 제조함에 있어서 팥을 수돗물에 10내지 12시간 불리는 과정, 은의 순도 99.9%를 사용하며 참숯을 흰천으로 포장하여 사용하는 과정, 온도 100내지 120도씨의 끓는 시점에서 5내지 10분정도 더 끓여 팥 추출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59080호(등록일자 2019년12월1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5014호(등록일자 2018년03월2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9327호(등록일자 2013년09월10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15635호(공개일자 2009년11월05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도록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팥을 고온의 소금으로 구워내어 차를 제조함으로써 팥 고유의 향을 가지며 조직 또한 부드러워져 물로 잘 우려낼 수 있어 팥의 유익한 성분을 차로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는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팥차의 제조방법은, 단팥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팥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준비한 팥을 세척하는 단계(S2); 상기 세척한 팥의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하는 단계(S3); 상기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한 팥을 소금구이하는 단계(S4); 상기 소금구이한 팥을 냉각하는 단계(S5); 상기 냉각한 팥을 분쇄하여 팥차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S6); 상기 팥차 원료와 단맛 부원료를 혼합하여 단팥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7); 및 상기 단팥차 혼합물을 포장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팥차의 제조방법은, 상기 S6 단계에서, 상기 단맛 부원료는, 나한과 추출물 분말, 수국차잎 분말 또는 수크랄라스(천연설탕 대체제 또는 당으로 전환되지 않는 수크랄라스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팥차의 제조방법은, 상기 S4 단계에서, 상기 소금은 그 입자 크기가 14~16 메쉬이고, 열을 가한 200~320℃의 상기 소금에 상기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한 팥을 투입하고 1~3분 동안 교반하여 소금구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팥차의 제조방법은,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팥은, 0.5~1.5℃의 온도에서 1~2일 동안 시래기 농축액 또는 오미자 농축액에 침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팥차는, 단팥차에 있어서, 보 발명에 따른 단팥차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도록 맛과 영양을 균형있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레시피의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팥을 고온의 소금으로 구워내어 차를 제조함으로써 팥 고유의 향을 가지며 조직 또한 부드러워져 물로 잘 우려낼 수 있어 팥의 유익한 성분을 차로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는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팥차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제조 공정도.
이하,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팥차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제조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팥차의 제조방법은, 단팥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팥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준비한 팥을 세척하는 단계(S2); 상기 세척한 팥의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하는 단계(S3); 상기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한 팥을 소금구이하는 단계(S4); 상기 소금구이한 팥을 냉각하는 단계(S5); 상기 냉각한 팥을 분쇄하여 팥차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S6); 상기 팥차 원료와 단맛 부원료를 혼합하여 단팥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7); 및 상기 단팥차 혼합물을 포장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팥차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각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팥 준비 단계(S1);
본 단계는, 농가에서 재배한 신선한 팥을 준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팥은 붉은이 팥, 충주팥 또는 아리리 팥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2. 세척 단계(S2);
본 단계는, 상기 준비한 팥을 세척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1 단계에서 준비한 팥을 흐르는 물에 2~3회 씻어내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팥을 세척하는 단계는 공지의 방법, 장치나 기계로 구성할 수 있고, 특별히 그 방법, 장치나 기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물기 제거(건조) 단계(S3);
본 단계는, 상기 세척한 팥의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2 단계에서 세척한 팥의 물기를 자연 탈수 또는 기계 탈수로 제거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단계에서 흡수된 수분이 제거된다. 탈수 과정에 부가하여 자연 건조 또는 열풍 건조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팥의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하는 단계는 공지의 방법, 장치나 기계로 구성할 수 있고, 특별히 그 방법, 장치나 기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 소금구이 단계(S4);
본 단계는, 상기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한 팥을 소금구이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3 단계에서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한 팥을 가열한 소금으로 구워내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소금은 그 입자 크기가 14~16 메쉬이고, 열을 가한 200~320℃의 상기 소금에 상기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한 팥을 투입하고 1~3분 동안 교반하여 구워내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팥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소금은 10~30 중량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금구이 과정을 통하여 팥의 조직이 팽창하게 되면서 팥 고유의 향을 가지게 되며 조직 또한 부드러워져 물로 우려낼 경우 잘 우러나게 된다.
상기 소금의 입자 크기, 소금 구이 온도 및 팥과 소금의 혼합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소금구이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냉각 단계(S5);
본 단계는, 상기 소금구이한 팥을 냉각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4 단계에서 소금구이한 팥을 상온에서 35~45분 동안 냉각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냉각함으로써 팥의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팥을 냉각하는 단계는 공지의 방법, 장치나 기계로 구성할 수 있고, 특별히 그 방법, 장치나 기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6. 분쇄 단계(S6);
본 단계는, 상기 냉각한 팥을 분쇄하여 팥차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5 단계에서 냉각한 팥을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팥을 적당한 크기로 분쇄함으로써 물로 우려낼 때 단시간에 더 많은 양이 우러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팥은 0.01~3mm의 크기를 가지도록 분쇄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7. 단맛 부원료 혼합 단계(S7);
본 단계는, 상기 팥차 원료와 단맛 부원료를 혼합하여 단팥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6 단계에서 분쇄한 팥차 원료 100 중량부와, 단맛을 지닌 단맛 부원료 30~50중량부를 혼합하여 단팥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맛 부원료는, 나한과 추출물 분말 또는 수국차잎 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혼합하는 경우에는 1:1의 혼합비로 구성할 수 있다.
나한과는 조롱박과의 초본 다년생 식물이며 중국 및 태국 등지에 자생한다. 나한과의 열매와 잎은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하는데, 주로 고랭지에서 자생하며 안개가 많고 서늘한 기후와 햇볕을 좋아하고 배수가 잘되며 부식질이 많은 토양에서 서식하므로 재배조건이 까다로워 인위적인 재배가 어려운 식물로 예로부터 귀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나한과의 열매는 한방에서 나한과라 부르며, 맛이 달고 성질은 서늘하며 독이 없고, 청폐윤장(淸肺潤腸)의 효능이 있어 백일해, 담화, 해수 등 호흡기 질환의 치료에 주로 사용한다.
나한과의 화학적 구성은 저분자당, 아미노산, 비타민, 마그네슘, 인, 철분, 지방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구성성분은 calabash triterpene glucoside이며, 특히 자당의 약 250배 이상의 당도를 지니는 mogroside가 주요 구성성분으로 알려져있다.
나한과는 설탕보다 약 300~400배 높은 당도를 보이는데, 나한과의 감미성분은 설탕과 달리 당류에 기인하지 않고, triterpene glycoside에 기인한 단맛이므로 대체감미료로 사용되며 특히 비만, 고혈압, 당뇨 등 대산질환환자의 대체감미료로 활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나한과 추출물 분말은 상기 나한과의 열매를 추출하여 분말화한 것으로, 나한과 열매의 추출 및 분말화 방법은 공지의 방법, 장치나 기계로 구성할 수 있고, 특별히 그 방법, 장치나 기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수국차(Hydrangea tea)는 우리나라에 16속 36종이 분포되어 있는 범의귀과(Saxifragaceae)의 30년생 낙엽 저목인데, 일반적으로 감로차로 알려져 있다. 수국차의 원료가 되는 수국류(Hydrangea)는 본래 관상학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어 장식화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수국의 잎, 줄기, 뿌리를 생약으로 사용하며, 그 약리 효능에 주목하고 있다.
국내산 수국차 (Hydrangea macrophylla)는 중국의 첨엽차 (Hydrangea aspera DON)에 비해 독성이 없으며, 일본의 아마차 (Hydrangea macrophylla SERINGE var thunbergii Makino)에 있는 쓴맛과 불쾌한 단맛 없이 청량한 단맛을 가져 매우 우수한 관능적 특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수국차는 해발 700m 이상의 고랭지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고유의 비당성 단맛과 박하 향을 나타낸다.
수국차에는 필로둘신(phyllodulcin), 이소필로둘신(isophyllodulcin), 툰베르기놀(thunberginol) A, B, C, E, F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수국차 단맛의 주요 성분은 필로둘신과 이소필로둘신인데, 설탕과 비교하여 400~800배의 감미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이들은 생잎 자체에서는 배당체인 8-β-글루코시드의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단맛이 없다가, 건조 및 분쇄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효소작용에 의한 분해로 단맛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필로둘신은 비당성분이기 때문에, 비만이나 당뇨 등 설탕의 섭취 제한이 필요한 사람에게 감미를 즐기면서도 건강을 지킬 수 있게 해 주는 당 대체재이다.
본 발명에서 수국차잎 분말은 상기 수국차잎을 분말화한 것으로, 수국차잎의 분말화 방법은 공지의 방법, 장치나 기계로 구성할 수 있고, 특별히 그 방법, 장치나 기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8. 포장 단계(S8);
본 단계는, 상기 단팥차 혼합물을 포장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7 단계에서 제조한 단팥차 혼합물을 티백에 넣고 포장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팥차 혼합물을 일정무게로 칭량한 다음, 다공성 추출포에 포장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팥차 혼합물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1회 추출분량씩 포장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단팥차 혼합물 1~20g을 다공성 추출포에 포장할 수 있으며 상기 다공성 추출포는 용매가 통과할 수 있는 추출포라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팥을 0.5~1.5℃의 온도에서 1~2일 동안 시래기 농축액에 침지한 팥으로 준비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시래기 농축액은, 시래기를 그 중량의 0.5~2.0배의 물이 들어있는 추출기에 넣고 60~80℃의 온도에서 12~14시간 동안 농축 추출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열수 추출에 사용하는 물의 비율이 원재료 혼합물 중량의 0.5배 미만인 경우에는 물의 양이 열수 추출에 필요한 최소한의 양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열수 추출과정에서 원재료 혼합물에 포함된 원재료의 변형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추출되는 추출액의 양이 적어 비경제적일 수 있으며, 물의 비율이 양이 2.0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수 추출하여 충분히 농축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시래기는 무청이나 배춧잎을 잘라다가 가지런히 엮어 잘 말린 것으로, 감압억제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식이섬유와 칼슘(Ca), 철(Fe), 비타민C, 카로틴 같은 영양소가 풍부하다. 또한, 라이신 함유량이 높은 우수한 단백질 식품이며, 무기질과 섬유소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무기질은 인체내에서 생리기능을 조절하고 체조직의 구성 및 생리 활성 물질의 구성 성분이다.
시래기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 A는 항산화작용으로 암, 동맥경화, 노화를 촉진하는 활성산소 억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는데, 식이섬유와 칼슘이 많아 포도당과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막아 당뇨, 동맥경화 등의 예방에 효과가 있고 철분이 많아 빈혈 예방에 효과적이고 식이섬유는 장의 운동을 활성화시켜 변비를 예방하며, 장내 세균의 생육을 돕고 소화 분해된 음식물의 영양 성분을 장의 내부 소장 점막을 통해 혈액 속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시래기는 겨울철에 모자라기 쉬운 비타민과 미네랄 식이섬유가 골고루 들어가 있어 건강에 좋다. 시래기는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인데 무에 많이 들어있는 식이섬유는 위와 장에 머물며 포만감을 주어 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예방해준다.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팥을 0.5~1.5℃의 온도에서 1~2일 동안 오미자 농축액에 침지한 팥으로 준비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오미자 농축액은 오미자를 그 중량의 0.5~2.0배의 물이 들어있는 추출기에 넣고 60~80℃의 온도에서 12~14시간 동안 농축 추출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열수 추출에 사용하는 물의 비율이 원재료 혼합물 중량의 0.5배 미만인 경우에는 물의 양이 열수 추출에 필요한 최소한의 양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열수 추출과정에서 원재료 혼합물에 포함된 원재료의 변형을 야기시킬 수 있으며, 추출되는 추출액의 양이 적어 비경제적일 수 있으며, 물의 비율이 양이 2.0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수 추출하여 충분히 농축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오미자는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 낙엽 덩굴나무로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자라며 암수딴그루의 특징을 지닌다. 열매는 장과이고 둥글고 붉은색이며,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는데, 식용의 경우 주로 차로 이용되고, 한방에서는 강장제로 흔히 쓰이며 기침을 줄이고 노화 방지 등의 목적으로 사용한다. 오미자 열매는 주로 말린 건 오미자로서 한약재의 원료로 사용되고, 생오미자 열매는 주로 설탕에 재워 오미자청을 만들어 일상 생활에서 음료수 등으로 이용된다.
오미자에는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리그난(lignan)류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고 활성을 나타낸다. 오미자에 분포하는 리그난은 간 상해를 예방하고, 간의 재활을 촉진하며, 간암 발생을 억제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밝혀졌다. 또한, 열매의 리그난 화합물 중 탁월한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시잔드린(schizandrin)은 척수의 반사 흥분성을 높이며 심장-핏줄계통과 호흡 촉진 작용이 있어 동맥경화를 억제하며, 탄수화물 대사를 돕고 효소활성을 높여 소화기능을 강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농가에서 재배한 신선한 붉은이 팥을 준비한다.
(2) (1)에서 준비한 팥을 흐르는 물에 2~3회 씻어 세척한다.
(3) (2)에서 세척한 팥의 물기를 자연 탈수로 제거한다.
(4) (3)에서 탈수하 팥 100 중량부를 14~16 메쉬의 입자 크기에 200~320℃로 가열된 소금 10~30 중량부로 1~3분 동안 교반하여 구워낸다.
(5) (4)에서 소금구이한 팥을 상온에서 35~45분 동안 냉각한다.
(6) (5)에서 냉각한 팥을 0.01~3mm의 크기로 분쇄하여 팥차 원료를 제조한다.
(7) (6)에서 분쇄한 팥차 원료 100 중량부와, 단맛 부원료로서 나한과 추출물 분말 20 중량부 및 수국차잎 분말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단팥차 혼합물을 제조한다.
(8) (7)에서 제조한 단팥차 혼합물 20g을 티백에 넣고 포장한다.
[실시예 1]의 (1)에서, 시래기 농축액에 침지하여 0.5~1.5℃의 온도에서 1~2일 동안 침지한 팥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여기서, 시래기 농축액은 시래기를 그 중량의 0.5~2.0배의 물이 들어있는 추출기에 넣고 60~80℃의 온도에서 12~14시간 동안 농축 추출하여 얻는다.
[실시예 1]의 (1)에서, 오미자 농축액에 침지하여 0.5~1.5℃의 온도에서 1~2일 동안 침지한 팥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여기서, 오미자 농축액은 오미자를 그 중량의 0.5~2.0배의 물이 들어있는 추출기에 넣고 60~80℃의 온도에서 12~14시간 동안 농축 추출하여 얻는다.
[비교예 1]
시중에 판매되는 단팥차를 준비하여 [비교예 1]로 하였다.
[시험예 : 관능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본 발명에 따른 단팥차와 [비교예 1]의 시중에 판매되는 단팥차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관능평가는 성인 남녀 각 50명씩 총 100명을 소비자 패널로 선정하여 맛(풍미), 심미감 및 전체 기호도에 대하여 9점 채점법(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관능평가에 사용한 모든 시료는 20ml를 입 안에 넣고 20초간 머금어 구강 표피를 골고루 자극한 후 뱉어내고, 한 시료의 평가를 마칠 때마다 물로 입안을 세척하고 10분이 경과된 후 다음 시료를 평가하였다.
구분 맛(단맛) 전체 기호도
실시예 1 6.7 6.6 6.7
실시예 2 7.2 7.1 7.2
실시예 3 7.3 7.2 7.3
비교예 1 5.0 4.9 4.9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팥차로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하여 맛(단맛), 향 및 전체 기호도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월등히 높게 평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팥을 각각 시래기 농축 및 오미자 농축액에 침지하여 전처리한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경우 [실시예 1]에 비해서도 맛(단맛), 향 및 전체 기호도의 면에서 매우 만족하고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팥차는 팥을 고온의 소금으로 구워내어 차를 제조함으로써 팥 고유의 향을 가지며 조직 또한 부드러워져 물로 잘 우려낼 수 있어 팥의 유익한 성분을 차로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고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거부감 없이 취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5)

  1. 단팥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팥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준비한 팥을 세척하는 단계(S2);
    상기 세척한 팥의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하는 단계(S3);
    상기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한 팥을 소금구이하는 단계(S4);
    상기 소금구이한 팥을 냉각하는 단계(S5);
    상기 냉각한 팥을 분쇄하여 팥차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S6);
    상기 팥차 원료와 단맛 부원료를 혼합하여 단팥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7); 및
    상기 단팥차 혼합물을 포장하는 단계(S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팥차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6 단계에서,
    상기 단맛 부원료는,
    나한과 추출물 분말 또는 수국차잎 분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팥차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에서,
    상기 소금은 그 입자 크기가 14~16 메쉬이고, 열을 가한 200~320℃의 상기 소금에 상기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한 팥을 투입하고 1~3분 동안 교반하여 소금구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팥차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팥은, 0.5~1.5℃의 온도에서 1~2일 동안 시래기 농축액 또는 오미자 농축액에 침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팥차의 제조방법.
  5. 단팥차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단팥차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팥차.
KR1020220004553A 2022-01-12 2022-01-12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08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553A KR20230108887A (ko) 2022-01-12 2022-01-12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553A KR20230108887A (ko) 2022-01-12 2022-01-12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887A true KR20230108887A (ko) 2023-07-19

Family

ID=8742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553A KR20230108887A (ko) 2022-01-12 2022-01-12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888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635A (ko) 2008-05-02 2009-11-05 김성환 팥추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9327B1 (ko) 2011-11-23 2013-09-16 정경빈 팥을 주재료로 하는 차의 제조방법
KR101845014B1 (ko) 2015-07-27 2018-04-0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하린식품 팥, 작두콩, 우엉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KR102059080B1 (ko) 2017-11-28 2019-12-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디자인농부 항비만 기능성을 가지는 팥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635A (ko) 2008-05-02 2009-11-05 김성환 팥추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09327B1 (ko) 2011-11-23 2013-09-16 정경빈 팥을 주재료로 하는 차의 제조방법
KR101845014B1 (ko) 2015-07-27 2018-04-0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하린식품 팥, 작두콩, 우엉을 이용한 차 제조방법
KR102059080B1 (ko) 2017-11-28 2019-12-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디자인농부 항비만 기능성을 가지는 팥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56737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KR101342517B1 (ko) 건강 기능성 죽 및 상기 죽의 제조방법
KR20110052253A (ko) 가시오가피를 이용한 전복 장조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복 장조림
KR20120108112A (ko) 뽕잎과 스테비아가 함유된 송편 제조방법
CN103653080A (zh) 一种板栗休闲食品及其加工方法
KR101033142B1 (ko) 차와 죽의 기능이 함께하는 일회용 시리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00279B1 (ko) 옥수수수염, 메밀, 녹차 및 스테비오사이드를 함유하는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KR100783325B1 (ko) 기능성 천연색소가 함유된 가래떡의 제조방법
KR102339269B1 (ko) 저염 된장 및 그 제조방법
CN105104984A (zh) 一种速食蒲公英粥及其制备方法
KR101265290B1 (ko) 발아곡물과 발효된 약초잎 그리고 된장을 이용한 편의선식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4649A (ko) 매실추출물과 아가베시럽을 이용한 꼬막 육의 즉석식품 제조방법
KR101164052B1 (ko) 야콘과 점액질염분을 함유하는 흑 마늘 녹차 티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90006650A (ko)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KR20230036432A (ko) 잔대를 이용한 된장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08887A (ko) 단팥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311902B1 (ko) 호박과 고구마로 조성된 황금색 된장의 제조방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20090006899A (ko) 새콤달콤한 검은 콩 옥수수수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708778B1 (ko) 홍삼곤짠지의 제조방법
KR101491732B1 (ko) 홍시를 이용한 아이스크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홍시 아이스크림 제조방법
CN110876476A (zh) 一种安神健脑清热养颜桂花藕粉冲调羹及其制备方法
KR101728280B1 (ko) 발효 도라지 제조방법
CN104305242A (zh) 一种富硒笋香金针牛肉丝及其加工方法
KR102320421B1 (ko) 식방풍잎차 및 그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