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4561A - 오일 시일 캡 및 그것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시일 캡 및 그것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4561A
KR20230104561A KR1020230083378A KR20230083378A KR20230104561A KR 20230104561 A KR20230104561 A KR 20230104561A KR 1020230083378 A KR1020230083378 A KR 1020230083378A KR 20230083378 A KR20230083378 A KR 20230083378A KR 20230104561 A KR20230104561 A KR 20230104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oil seal
port
seal cap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 우치하라
고헤이 나가하라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0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5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69Bearings or seals
    • F16H57/0472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1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covers or lids for gear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08Exchange, draining or filling of transmission lubri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0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9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aling the gearboxes, e.g. to improve airtightn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5Lubricant storage reservoirs, e.g. reservoirs in addition to a gear sump for collecting lubricant in the upper part of a gear case
    • F16H57/0454Sealings between different partitions of a gearing or to a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8Type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3/00Covers or similar closure members for pressure vessels in general
    • F16J13/02Detachable closure members; Means for tightening closures
    • F16J13/12Detachable closure members; Means for tightening closures attached by wedging action by means of screw-thread, interrupted screw-thread, bayonet closure,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01M2011/0416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Retarder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가공에 수고를 들이지 않고 폐쇄 대상 부분에 설치할 수 있으면서, 또한 오일의 교환 작업 등의 통과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오일 시일 캡을 제공한다.
오일 시일 캡(30)은, 제1 구멍(31a)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본체부(31)와, 제1 구멍(31a)의 관통 방향으로 보아 본체부(31)의 외주부의 내측에서 본체부(31)에 설치되고, 제1 구멍(31a)의 관통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구멍(32a)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포트부(32)와, 포트부(3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구멍(32a)을 막는 마개 부재(33)를 구비하고 있다. 제2 구멍(32a)은 제1 구멍(31a)을 통하여, 본체부(31)에 대하여 포트부(32)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고, 포트부(32)의 표면에는 당해 표면에 대하여 돌출된 걸림 지지부(38a)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오일 시일 캡 및 그것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OIL SEAL CAP AND ECCENTRIC OSCILLATION GEAR DEVICE INCLUDING THE SAME}
(관련된 출원의 상호 참조)
본원은 2015년 4월 1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5-81734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일본 특허 출원 제2015-81734의 모든 내용은 참조되며 여기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일 시일 캡 및 그것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는, 편심부를 갖는 크랭크축과, 크랭크축의 편심부가 삽입되는 삽입 관통 구멍을 가짐과 함께 톱니부를 갖는 요동 기어와, 요동 기어의 톱니부와 교합하는 내치를 갖는 외통과, 외통의 내측에 배치되고 또한 크랭크축을 개재하여 요동 기어를 보유 지지하는 캐리어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어 장치에서는, 외통과 캐리어에 의해 요동 기어를 수용하는 폐공간이 형성되고, 캐리어에 폐공간을 외부에 연통시키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의 각각에는, 오일 시일 캡이 감입되어 있다. 이들 오일 시일 캡은, 상술한 폐공간에 봉입된 윤활유를 가두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복수의 관통 구멍 중 요동 기어의 직경 방향 중앙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관통 구멍에는, 원판 형상의 저판부와, 저판부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된 원환상의 원통부를 갖는 오일 시일 캡(오일 밀봉 부재)이 감입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복수의 관통 구멍 중 크랭크축을 설치하기 위하여 형성된 관통 구멍에는, 오일 구멍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오일 구멍을 막는 마개 부재를 갖는 오일 시일 캡이 감입되어 있다.
후자의 오일 시일 캡에 의하면, 폐공간에 봉입된 윤활유를 교환할 때에 본체부를 분리하지 않고 마개 부재만을 분리하고, 윤활유의 교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윤활유의 교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84999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오일 시일 캡 중 저판부와 원통부를 갖는 오일 시일 캡은, 그 원통부를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밀착시킴으로써, 윤활유의 누설 및 관통 구멍으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고 있다. 당해 캡은, 금속제의 강성 부재를 내장함으로써, 그 강성(탄성)에 의해 원통부를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밀착시켜 윤활유의 누설 및 관통 구멍으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당해 캡은, 간이적인 형상이기 때문에, 금속제의 강성 부재를 내장하는 상태로 용이하게 제작 가능하고, 직경 방향으로 변형되기 쉬운 형상이기 때문에, 강성 부재의 강성을 이용하여 적절하게 관통 구멍에 설치된다.
한편, 상술한 오일 시일 캡 중 오일 구멍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본체부와 오일 구멍을 막는 마개 부재를 갖는 오일 시일 캡에서는, 본체부가 관통 구멍에 감입된다.
이 본체부는, 마개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직경 방향으로 변형되기 어려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이 오일 시일 캡은, 본체부가 강성 부재로 제작되었다고 해도, 그 강성을 이용하여 적절하게 관통 구멍에 설치하기 쉽다고는 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특허문헌 1에도 개시된 바와 같이, 후자의 오일 시일 캡에서는, 본체부를 시일 부재 및 빠짐 방지 부재를 개재하여 캐리어의 관통 구멍에 감입함으로써 윤활유의 누설 및 관통 구멍으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할 필요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수반하여, 캐리어의 관통 구멍에는 상술한 시일 부재 및 빠짐 방지 부재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가공을 행할 필요성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공에 수고가 든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가공에 수고를 들이지 않고 폐쇄 대상 부분에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오일의 교환 작업 등의 통과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오일 시일 캡 및 그것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구멍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제1 구멍의 관통 방향으로 보아 상기 본체부의 외주부의 내측에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멍의 관통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구멍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포트부와, 상기 포트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구멍을 막는 마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제1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포트부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포트부 중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당해 표면에 대하여 돌출되거나 또는 오목한 걸림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오일 시일 캡이다.
본 발명에 관한 오일 시일 캡에 의하면, 포트부에 마개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마개 부재의 설치 때문에 본체부의 형상이 제약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본체부로서, 폐쇄 대상 부분에 설치 가능한 간이적인 형상이고 또한 폐쇄 대상 부분에 특수한 가공을 요구하지 않는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 오일 시일 캡은, 가공에 수고를 들이지 않고 폐쇄 대상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를 분리하지 않고 마개 부재만을 분리하고, 오일을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의 내측에 통과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체부 또는 포트부의 걸림 지지부를 공구로 걸림 지지함으로써, 본체부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마개 부재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관한 오일 시일 캡에 의하면, 가공에 수고를 들이지 않고 폐쇄 대상 부분에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오일의 통과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구멍의 관통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트부의 상기 제2 구멍의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 부재의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본체부 또는 포트부의 걸림 지지부를 공구로 걸림 지지함으로써, 마개 부재를 제2 구멍에 대하여 회전시킬 때 본체부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마개 부재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 부재에는, 당해 마개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를 걸림 지지 가능한 조작용 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용 홈을 이용하여 마개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구에 의해 마개 부재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구멍이 형성된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된 주위벽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판부는, 상기 제1 구멍의 관통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위벽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본체부가 원형의 폐쇄 대상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에, 본체부가 간이적이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변형되기 쉬운 형상을 취하기 때문에, 금속 등의 강성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본체부를 원형의 폐쇄 대상 부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원형의 폐쇄 대상 부분에 가공에 수고를 들이지 않고 오일 시일 캡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주위벽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저판부의 중앙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된 플랜지부를 더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가 폐쇄 대상 부분의 적소 또는 그 주변의 부분에 접촉됨으로써, 오일 시일 캡의 축방향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개 부재의 착탈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부는, 상기 저판부 중 상기 주위벽부가 돌출된 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일 시일 캡의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부는, 상기 저판부 중 상기 주위벽부가 돌출된 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포트부의 선단에 있어서 마개 부재를 공구로 조작하여, 공구로부터 포트부를 개재하여 본체부에 축방향을 따르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 당해 힘이 본체부의 주위벽부를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변형시킨다. 이에 의해, 본체부가 원형의 폐쇄 대상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에, 주위벽부가 폐쇄 대상 부분의 내주면에 가압되므로, 오일 시일 캡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개 부재의 착탈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부는, 상기 제2 구멍의 관통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 지지부는, 다각 형상의 상기 포트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코너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포트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부는, 상기 제2 구멍의 관통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 지지부는, 상기 포트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포트부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면으로부터 당해 축방향을 따라 타단부면측으로 연장되는 제1 홈부와, 상기 제1 홈부의 상기 타단부면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포트부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구를 포트부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공구의 일부를 홈의 제1 홈부로부터 제2 홈부로 이동시키고, 이 공구의 일부가 제2 홈부에 이르렀을 때에 공구를 회전시키고, 그 후, 이 공구의 일부를 제2 홈부에 주위 방향 및 축방향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상태로 세트함으로써, 오일 시일 캡의 회전 및 축방향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개 부재의 착탈 작업의 작업 효율을 매우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포트부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1쌍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포트부의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부채 형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원호 부분이 상기 포트부의 외주면으로부터 개방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서 소정의 회전수비로 회전수를 변환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장치이며, 편심부와, 상기 편심부가 삽입되는 삽입 관통 구멍을 가짐과 함께 톱니부를 갖는 요동 기어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한쪽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요동 기어의 상기 톱니부와 교합하는 내치를 갖는 외통과,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다른 쪽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는 캐리어와, 상기한 오일 시일 캡을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 및 상기 외통에 의해, 상기 요동 기어를 수용하는 폐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 및 상기 외통의 한쪽에는, 상기 폐공간에 연통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 시일 캡은, 상기 연통 구멍을 막고 있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이다.
본 발명에 관한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에 의하면, 오일 시일 캡에 있어서, 포트부에 마개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마개 부재의 설치 때문에 본체부의 형상이 제약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본체부로서, 폐쇄 대상 부분인 연통 구멍에 설치 가능한 간이적인 형상이고 또한 폐쇄 대상 부분에 특수한 가공을 요구하지 않는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공에 수고를 들이지 않고 오일 시일 캡을 연통 구멍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를 분리하지 않고 마개 부재만을 분리하고, 오일을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의 내측에 통과시키고, 폐공간으로부터 오일을 배출하거나, 폐공간으로 오일을 공급하거나 할 수 있다. 게다가, 본체부 또는 포트부의 걸림 지지부를 공구로 걸림 지지함으로써, 본체부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마개 부재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공에 수고를 들이지 않고 오일 시일 캡을 연통 구멍에 설치할 수 있으면서, 또한 오일의 통과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 구멍에는, 외부측을 지향하는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일 시일 캡은, 상기 본체부를 상기 단차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연통 구멍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일 시일 캡이 연통 구멍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개 부재의 착탈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시일 캡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구멍이 형성된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된 주위벽부를 갖고, 상기 포트부는, 상기 저판부 중 상기 주위벽부가 돌출된 측의 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주위벽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저판부의 중앙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된 플랜지부를 더 갖고 있으며, 상기 오일 시일 캡은, 상기 연통 구멍의 외부측의 단부의 주연부 또는 상기 연통 구멍의 외부측의 단부에 형성된 모따기부에 상기 플랜지부를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연통 구멍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오일 시일 캡이 연통 구멍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개 부재의 착탈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에 수고를 들이지 않고 폐쇄 대상 부분에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오일의 통과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오일 시일 캡 및 그것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시일 캡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의 단면도.
도 2의 (A)는 도 1에 도시하는 오일 시일 캡의 확대도이며, (B)는 (A)의 화살표 II 방향으로 오일 시일 캡을 본 도면.
도 3의 (A)는 오일 시일 캡에 대한 조작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B)는 (A)의 화살표 III 방향으로 오일 시일 캡을 본 도면.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시일 캡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며, (B)는 (A)의 화살표 IV 방향으로 오일 시일 캡을 본 도면이며, (C)는 (A)의 IV'-IV'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시일 캡의 포트부의 사시도.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시일 캡을 조작하기 위한 공구 사시도.
도 7의 (A) 내지 (C)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시일 캡에 대한 조작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도 7의 (C)의 VIII-VIII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시일 캡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시일 캡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시일 캡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시일 캡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시일 캡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며, (B)는 제7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이하, 기어 장치라고 칭함)(1)는 예를 들어 로봇의 선회 몸체나 팔 관절 등의 선회부, 각종 공작 기계의 선회부 등에 감속기로서 적용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기어 장치(1)는 도시 생략하는 입력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크랭크축(10)을 회전시켜, 크랭크축(10)의 편심부(10a, 10b)에 연동하여 요동 기어(14, 16)를 요동 회전시킴으로써, 입력 회전으로부터 감속한 출력 회전을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로봇의 베이스(한쪽의 상대 부재)와 선회 몸체(다른 쪽의 상대 부재) 사이에서, 상대 회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는, 제1 부재로서 예시되고, 예를 들어 선회 몸체는 제2 부재로서 예시된다.
기어 장치(1)는 외통(2)과, 캐리어(4)와, 복수(예를 들어 3개)의 크랭크축(10)과, 제1 요동 기어(14)와, 제2 요동 기어(16)와, 복수(예를 들어 3개)의 전달 기어(20)와, 오일 시일 캡(30)을 구비하고 있다.
외통(2)은 기어 장치(1)의 외면을 구성하는 것이며, 대략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외통(2)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핀 홈(2b)이 형성되어 있다. 각 핀 홈(2b)은 외통(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축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들 핀 홈(2b)은 외통(2)의 내주면에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외통(2)은 다수의 내치 핀(3)을 갖고 있다. 각 내치 핀(3)은 핀 홈(2b)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각 내치 핀(3)은 대응하는 핀 홈(2b)에 각각 감입되어 있고, 외통(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다수의 내치 핀(3)은 외통(2)의 주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들 내치 핀(3)에 의해 내치(3a)가 구성된다. 복수의 내치 핀(3)으로 이루어지는 내치(3a)에는, 제1 요동 기어(14)의 제1 외치(14a) 및 제2 요동 기어(16)의 제2 외치(16a)가 교합한다.
외통(2)에는 플랜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플랜지부는, 예를 들어 로봇의 베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볼트)를 삽입 관통하기 위한 삽입 관통 구멍(2a)이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4)는 외통(2)과 동축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외통(2) 내에 수용되어 있다. 캐리어(4)는 외통(2)에 대하여 동일한 축 주위로 상대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캐리어(4)는 외통(2)의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한 쌍의 주베어링(6)에 의해 외통(2)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캐리어(4)는 기판부(4a)와 복수(예를 들어 3개)의 샤프트부(도시 생략)를 갖는 기초부(5)와, 단판(端板)부(7)를 구비하고 있다.
기판부(4a)는 외통(2) 내에서 축방향의 일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기판부(4a)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는 원형의 관통 구멍(4d)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4d)은, 기판부(4a)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4d)의 주위에는, 복수(예를 들어 3개)의 크랭크축 설치 구멍(4e)(이하, 간단히 설치 구멍(4e)이라고 함)이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치 구멍(4e)은 기판부(4a)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기판부(4a)에는, 캐리어(4)를 예를 들어 로봇의 선회 몸체에 고정하기 위한 도시 생략된 체결구(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단판부(7)는 기판부(4a)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외통(2) 내에서 축방향의 타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단판부(7)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7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7a)은, 단판부(7)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7a)의 주위에는, 복수(예를 들어 3개)의 크랭크축 설치 구멍(7b)(이하, 간단히 설치 구멍(7b)이라고 함)이 기판부(4a)의 복수의 설치 구멍(4e)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설치 구멍(7b)은 단판부(7)를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외통(2) 내에는 단판부(7) 및 기판부(4a)의 서로 대향하는 양쪽의 내면과, 외통(2)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폐공간 S가 형성되어 있다. 즉, 외통(2)과 캐리어(4)에 의해 폐공간 S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4d, 7a) 및 설치 구멍(4e, 7b)은 외부와 상기 폐공간 S를 연통시키는 연통 구멍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설치 구멍(4e) 각각에는, 오일 밀봉 부재(25)가 설치되어 있다. 오일 밀봉 부재(25)는 원판 형상의 저판부(25b)와, 이 저판부(25b)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된 원환상의 원통부(25c)를 갖고 있으며,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25c)는, 설치 구멍(4e)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캐리어(4) 내에 봉입된 윤활유가 누설되지 않게 되어 있다.
오일 밀봉 부재(25)는 내면을 구성하는 금속제의 강성 부재인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내면 형성부(26)와, 내면 형성부(26)의 외면에 피복된 수지제의 외면 형성부(27)로 형성되어 있다. 오일 밀봉 부재(25)에서는, 내면 형성부(26)의 강성(탄성)에 의해 원통부(25c)가 설치 구멍(4e)의 내주면에 가압되어 있다. 또한, 내면 형성부(26)의 저부 및 외면 형성부(27)의 저부에 의해, 저판부(25b)가 형성되어 있고, 내면 형성부(26)의 원통부 및 외면 형성부(27)의 원통부에 의해 원통부(25c)가 형성되어 있다.
3개의 샤프트부는 기판부(4a)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기판부(4a)의 일주면(내측면)으로부터 단판부(7)측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3개의 샤프트부는,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샤프트부는, 도시 생략하는 볼트에 의해 단판부(7)에 체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판부(4a), 샤프트부 및 단판부(7)가 일체화되어 있다.
3개의 크랭크축(10)은 예를 들어 외통(2) 내에서 캐리어(4)의 중심축의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크랭크축(10)은 한 쌍의 크랭크 베어링(12a, 12b)에 의해 캐리어(4)에 대하여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각 크랭크축(10)의 축방향의 일단부에 제1 크랭크 베어링(12a)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제1 크랭크 베어링(12a)은 기판부(4a)의 설치 구멍(4e)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각 크랭크축(10)의 축방향의 타단부에 제2 크랭크 베어링(12b)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제2 크랭크 베어링(12b)은 단판부(7)의 설치 구멍(7b)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크랭크축(10)은 기판부(4a) 및 단판부(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크랭크축(10)은 축 본체(10c)와, 이 축 본체(10c)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술한 편심부(10a, 10b)를 갖는다. 제1 편심부(10a)와 제2 편심부(10b)는, 양쪽크랭크 베어링(12a, 12b)에 의해 지지된 부분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1 편심부(10a)와 제2 편심부(10b)는, 각각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으며, 모두 축 본체(10c)의 축심에 대하여 편심된 상태에서 축 본체(10c)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 편심부(10a)와 제2 편심부(10b)는, 각각 축심으로부터 소정의 편심량으로 편심되어 있어, 서로 소정 각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요동 기어(14)는 외통(2) 내의 상기 폐공간 S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각 크랭크축(10)의 제1 편심부(10a)에 제1 롤러 베어링(18a)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1 요동 기어(14)는 각 크랭크축(10)이 회전하여 제1 편심부(10a)가 편심 회전하면, 이 편심 회전에 연동하여 내치 핀(3)에 교합하면서 요동 회전한다.
제1 요동 기어(14)는 외통(2)의 내경보다도 조금 작은 크기를 갖고 있다. 제1 요동 기어(14)는 상술한 제1 외치(14a)와, 중앙부 관통 구멍(14b)과, 복수(예를 들어 3개)의 제1 편심부 삽입 관통 구멍(14c)과, 복수(예를 들어 3개)의 샤프트부 삽입 관통 구멍(도시 생략)을 갖고 있다. 제1 외치(14a)는 요동 기어(14)의 주위 방향 전체에 걸쳐 원활하게 연속되는 물결 형상을 갖고 있다.
중앙부 관통 구멍(14b)은, 제1 요동 기어(14)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3개의 제1 편심부 삽입 관통 구멍(14c)은, 제1 요동 기어(14)에 있어서 중앙부 관통 구멍(14b)의 주위에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편심부 삽입 관통 구멍(14c)에는, 제1 롤러 베어링(18a)이 개재 장착된 상태에서 각 크랭크축(10)의 제1 편심부(10a)가 각각 삽입 관통되어 있다.
복수의 샤프트부 삽입 관통 구멍은, 제1 요동 기어(14)에 있어서 중앙부 관통 구멍(14b)의 주위에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샤프트부 삽입 관통 구멍은, 주위 방향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제1 편심부 삽입 관통 구멍(14c) 사이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샤프트부 삽입 관통 구멍에는, 대응하는 샤프트부가 유격을 가진 상태로 삽입 관통되어 있다.
제2 요동 기어(16)는 외통(2) 내의 상기 폐공간 S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각 크랭크축(10)의 제2 편심부(10b)에 제2 롤러 베어링(18b)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1 요동 기어(14)와 제2 요동 기어(16)는 제1 편심부(10a)와 제2 편심부(10b)의 배치에 대응하여 축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제2 요동 기어(16)는 각 크랭크축(10)이 회전하여 제2 편심부(10b)가 편심 회전하면, 이 편심 회전에 연동하여 내치 핀(3)에 교합하면서 요동 회전한다.
제2 요동 기어(16)는 외통(2)의 내경보다도 조금 작은 크기를 갖고 있으며, 제1 요동 기어(14)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제2 요동 기어(16)는 상술한 제2 외치(16a), 중앙부 관통 구멍(16b), 복수(예를 들어 3개)의 제2 편심부 삽입 관통 구멍(16c) 및 복수(예를 들어 3개)의 샤프트부 삽입 관통 구멍(도시 생략)을 갖고 있다. 이들은, 제1 요동 기어(14)의 제1 외치(14a), 중앙부 관통 구멍(14b), 복수의 제1 편심부 삽입 관통 구멍(14c) 및 복수의 샤프트부 삽입 관통 구멍과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고 있다. 각 제2 편심부 삽입 관통 구멍(16c)에는 제2 롤러 베어링(18b)이 개재 장착된 상태에서 크랭크축(10)의 제2 편심부(10b)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각 크랭크축(10)의 단판부(7)의 설치 구멍(7b) 내에 설치되는 부분의 축방향 외측의 부위에는, 각각 전달 기어(20)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전달 기어(20)는 입력 기어(8a)와 교합하는 외치(20a)를 갖고 있다. 입력 기어(8a)는, 도시 생략하는 구동 모터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입력부로서 기능하는 입력축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받는다. 각 전달 기어(20)는 입력 기어(8a)의 회전을 대응하는 크랭크축(10)으로 전달한다.
각 전달 기어(20)는 대응하는 크랭크축(10)의 축 본체(10c)의 단부에 각각 외부 끼움되어 있다. 각 전달 기어(20)는 크랭크축(10)의 회전축과 동일한 축 주위로 이 크랭크축(10)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각 전달 기어(20)가 입력 기어(8a)에 의해 구동되면, 각 크랭크축(10)은 축 주위로 회전한다. 각 크랭크축(10)이 회전하면, 편심부(10a, 10b)에 설치된 요동 기어(14, 16)는 편심부(10a, 10b)의 회전에 수반하여 내치 핀(3)에 교합하면서 요동하고, 이에 의해 캐리어(4) 및 외통(2)이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오일 시일 캡(30)은 캐리어(4)에 있어서의 기판부(4a)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 구멍(4d)에 설치되어 있어, 당해 관통 구멍(4d)을 막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 시일 캡(30)은 본체부(31)와, 본체부(31)의 외주부 내측에서 당해 본체부(31)에 설치된 포트부(32)와, 포트부(3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마개 부재(3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31)에는 제1 구멍(31a)이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이 제1 구멍(31a)의 관통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본체부(31)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구멍(31a)은 단면 원 형상의 구멍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부(31)의 직경 방향 중앙부에 제1 구멍(31a)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1)는 제1 구멍(31a)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저판부(31b)와, 저판부(31b)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된 원통 형상의 주위벽부(31c)를 갖고 있으며,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위벽부(31c)는 관통 구멍(4d)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캐리어(4) 내에 봉입된 윤활유가 누설되지 않게 되어 있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31)는 내면을 구성하는 금속제의 강성 부재인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내면 형성부(37)와, 내면 형성부(37)의 외면에 피복된 수지제의 외면 형성부(36)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31)에서는, 내면 형성부(37)의 강성(탄성)에 의해 주위벽부(31c)가 관통 구멍(4d)의 내주면에 가압되어 있다. 또한, 내면 형성부(37)의 저부 및 외면 형성부(36)의 저부에 의해, 저판부(31b)가 형성되어 있고, 내면 형성부(37)의 원통부 및 외면 형성부(36)의 원통부에 의해, 주위벽부(3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제의 외면 형성부(36)가 관통 구멍(4d)에 있어서 폐공간 S측을 지향하지만, 그 대신에 관통 구멍(4d)으로부터 외부측을 지향하는 경우에는 양호한 내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4d)이 폐공간 S측에 형성되는 제1 구멍부(4d1)와, 제1 구멍부(4d1)보다도 폐공간 S의 외부측에서 제1 구멍부(4d1)에 나란히 형성되고 또한 제1 구멍부(4d1)보다도 대직경의 제2 구멍부(4d2)와, 제1 구멍부(4d1) 및 제2 구멍부(4d2)의 사이에 형성되고 외부측을 지향하는 단차면(4d3)을 갖고 있으며, 제2 구멍부(4d2)의 외부측의 단부에는 모따기부(4d4)가 형성되어 있다. 오일 시일 캡(30)은 본체부(31)의 저판부(31b)의 외주부를 단차면(4d3)에 접촉시킨 상태로 관통 구멍(4d)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일 시일 캡(30)이 관통 구멍(4d)의 축방향을 따라 폐공간 S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주위벽부(31c)는 관통 구멍(4d) 중 제2 구멍부(4d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포트부(32)는 저판부(31b) 중 주위벽부(31c)가 돌출된 측의 면, 즉 금속제의 내면 형성부(37)의 저판 부분에 설치되고, 외부에 면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포트부(32)는 본체부(31)의 제1 구멍(31a)의 관통 방향으로 보아 본체부(31)의 외주부의 내측에서 본체부(31)에 설치되어 있다. 포트부(32)는 내면 형성부(37)에 예를 들어 용접으로 고정된다. 또한, 포트부(32)에는, 제1 구멍(31a)의 관통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구멍(32a)이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구멍(32a)은 제1 구멍(31a)을 통하여, 본체부(31)에 대하여 포트부(32)가 설치된 측(외부측)과는 반대측(폐공간 S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제2 구멍(32a)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32b)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암나사부(32b)는, 제2 구멍(32a)의 외부측의 단부로부터, 이 제2 구멍(32a)의 외부측의 단부와 폐공간 S측의 단부의 중간점을 폐공간 S측으로 약간 초과한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한편, 마개 부재(33)의 외주면에는, 암나사부(32b)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 부재(33)의 외주면의 수나사부(33b)가 제2 구멍(32a)의 내주면의 암나사부(32b)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마개 부재(33)는 제2 구멍(32a)을 막는다. 이 예에서는, 제2 구멍(32a)의 내주면의 축방향의 전역에 암나사부(32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마개 부재(33)를 제2 구멍(32a)의 내주면의 암나사부(32b)에 비틀어 넣었을 때, 최종적으로 마개 부재(33)의 수나사부(33b)의 선단이, 제2 구멍(32a)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암나사부(32b)와 비나사부의 경계 부분에 축방향에서 접촉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마개 부재(33)에 의해 제2 구멍(32a)을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마개 부재(33)의 수나사부(33b) 및 제2 구멍(32a)의 암나사부(32b)는 스트레이트 나사이어도 되고, 혹은 테이퍼 나사이어도 된다.
또한, 포트부(32)의 표면에는 당해 표면에 대하여 돌출된 걸림 지지부(38a)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 지지부(38a)는, 공구에 의해 주위 방향으로 걸림 지지되기 때문에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포트부(32)는 제2 구멍(32a)의 관통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이 다각 형상, 구체적으로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 지지부(38a)가, 육각 형상의 포트부(3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코너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6개의 걸림 지지부(38a)가 포트부(32)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마개 부재(33)에는, 당해 마개 부재(33)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를 걸림 지지 가능한 조작용 홈(33c)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용 홈(33c)은 마개 부재(33)의 한쪽의 주면(외부측의 주면)에 형성된 홈이며, 다각 형상(도면의 예에서는 육각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다. 이 조작용 홈(33c)에 공구의 선단부를 삽입하고, 공구를 돌림으로써, 마개 부재(33)를 포트부(32)에 대하여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마개 부재(33)를 포트부(32)로부터 분리하거나, 포트부(32)에 장착하거나 할 수 있다. 마개 부재(33)가 본체부(31)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본체부(31)가 캐리어(4)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제2 구멍(32a) 및 제1 구멍(31a)을 통하여 외부와 폐공간 S가 연통되기 때문에, 제2 구멍(32a) 및 제1 구멍(31a)으로부터 폐공간 S로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멍(32a) 및 제1 구멍(31a)으로부터, 폐공간 S로 봉입된 윤활유를 배출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3을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시일 캡(30)에 대한 조작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먼저, 육각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양단이 개방된 통 형상의 제1 공구(101)와, 육각 형상의 외주면을 갖는 막대 형상의 제2 공구(102)가 준비된다. 도 3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공구(101)는 그 일단부로부터 그 내부로 포트부(32)가 삽입되도록 조작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포트부(32)의 각 걸림 지지부(38a)가, 제1 공구(101)의 육각 형상의 내주면에 의해 걸림 지지된다. 또한, 도 3의 (A)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2 공구(102)가 이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계속해서, 도 3의 (A)의 화살표 α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공구(101)의 타단부로부터 그 내부로 제2 공구(102)가 통과되어, 제2 공구(102)의 선단부가 마개 부재(33)의 조작용 홈(33c)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 공구(102)를 돌림으로써, 마개 부재(33)를 포트부(32)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마개 부재(33)를 포트부(32)로부터 분리하거나, 포트부(32)에 장착하거나 할 수 있다.
이때, 포트부(32)의 걸림 지지부(38a)가 제1 공구(101)에 걸림 지지된 상태로 당해 공구(101)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보유 지지함으로써, 오일 시일 캡(30)의 전체가 관통 구멍(4d)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것이 규제됨으로써, 마개 부재(33)를 제2 구멍(32a)에 대하여 회전시킬 때 본체부(31)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오일 시일 캡(30)에 의하면, 마개 부재(33)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마개 부재(33)가 포트부(32)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본체부(31)가 캐리어(4)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제2 구멍(32a) 및 제1 구멍(31a)을 통하여 외부와 폐공간 S가 연통되기 때문에, 제2 구멍(32a) 및 제1 구멍(31a)으로부터 폐공간 S로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멍(32a) 및 제1 구멍(31a)으로부터 폐공간 S로 봉입된 윤활유를 배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오일 시일 캡(30)에 있어서 포트부(32)에 마개 부재(33)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마개 부재(33)의 설치 때문에 본체부(31)의 형상이 제약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본체부(31)로서, 관통 구멍(4d)에 설치 가능한 간이적인 형상이고 또한 관통 구멍(4d)에 특수한 가공을 요구하지 않는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일 시일 캡(30)은 가공에 수고를 들이지 않고 관통 구멍(4d)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부(31)로서, 원 형상의 저판부(31b)와, 저판부(31b)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된 주위벽부(31c)를 갖는 부재가 채용되어 있다. 이러한 간이적이고 또한 직경 방향으로 변형되기 쉬운 형상의 부재가 본체부(31)로서 채용되면서, 또한 금속 등의 강성 부재(내면 형성부(37))가 이용됨으로써, 본체부(31)를 관통 구멍(4d)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일 시일 캡(30)이 가공에 수고를 들이지 않고 관통 구멍(4d)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31)를 분리하지 않고 마개 부재(33)만을 분리하고, 윤활유를 제1 구멍(31a) 및 제2 구멍(32a)의 내측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게다가, 포트부(32)의 걸림 지지부(38a)를 공구로 걸림 지지함으로써, 본체부(31)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마개 부재(33)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부(31)는 제1 구멍(31a)의 관통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구멍(32a)의 내주면에 암나사부(32b)가 형성되고, 마개 부재(33)의 외주면에 수나사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포트부(32)의 걸림 지지부(38a)를 공구로 걸림 지지함으로써, 마개 부재(33)를 제2 구멍(32a)에 대하여 회전시킬 때 본체부(31)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개 부재(33)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공에 수고를 들이지 않고 오일 시일 캡(30)을 관통 구멍(4d)에 설치할 수 있으면서, 또한 윤활유 등의 오일의 통과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마개 부재(33)에는, 당해 마개 부재(33)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를 걸림 지지 가능한 조작용 홈(33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작용 홈(33c)을 이용하여 마개 부재(3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공구에 의해 마개 부재(33)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포트부(32)는 저판부(31b) 중 주위벽부(31c)가 돌출된 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포트부(32)와 주위벽부(31c)가 직경 방향(저판부(31b)의 주면을 따르는 방향)에서 겹치기 때문에, 오일 시일 캡(30)의 치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포트부(32)는 제2 구멍(32a)의 관통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걸림 지지부(38a)는 육각 형상의 포트부(3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코너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포트부(32)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 부분 중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부분과 마찬가지인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나타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포트부(322)가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오일 시일 캡(30)에 있어서의 포트부(322)는 제2 구멍(32a)의 관통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걸림 지지부(38b)는, 포트부(322)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홈을 포함하는 걸림 지지부(38b)는, 포트부(322)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면(외부측의 면)으로부터 당해 축방향을 따라 타단부면(폐공간 S측의 면)측으로 연장되는 제1 홈부(38b1)와, 제1 홈부(38b1)의 상기 타단부면측의 단부로부터 포트부(322)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부(38b2)를 갖고 있다. 도 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홈부(38b2)는 포트부(322)의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원호 부분이 포트부(322)의 외주면으로부터 개방되어 있다. 즉, 제2 홈부(38b2)는 제1 홈부(38b1)로부터 포트부(322)의 주위 방향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홈을 포함하는 걸림 지지부(38b)가 포트부(322)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1쌍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4d)에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단차면(4d3)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오일 시일 캡(30)은 관통 구멍(4d)의 축방향을 따라 폐공간 S측 및 외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시일 캡(30)에 대한 조작 방법의 일례를 도 6 내지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되는, 양단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일단부측의 내면에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핀부(103a)가 설치된 제3 공구(103)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제2 공구(102)가 준비된다. 제3 공구(103)에 있어서, 한 쌍의 핀부(103a)는, 제3 공구(103)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핀부(103a)는 제1 홈부(38b1)에 삽입 가능함과 함께, 제2 홈부(38b2)에 삽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먼저,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공구(103)가 핀부(103a) 각각을 제1 홈부(38b1)에 삽입시킴으로써, 그 일단부로부터 그 내부로 포트부(322)가 삽입되도록 조작된다.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공구(103)는 핀부(103a)가 제2 홈부(38b2)에 이르기까지 조작된다.
계속해서, 도 7의 (B)의 화살표 β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공구(103)가 그 축 주위로 회전된다.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공구(103)는 핀부(103a)가 제2 홈부(38b2)의 포트부(322)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에 주위 방향에서 접촉 또는 근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조작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도 8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핀부(103a)가, 제2 홈부(38b2)의 벽면에 주위 방향 및 축방향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상태로 된다. 또한, 공구(103) 또는 포트부(322)의 축방향으로 보아, 핀부(103a)의 길이가 제1 홈부(38b1)의 직경 방향의 길이와 동일한 경우에는, 공구(103)를 회전시킬 수 없기 때문에, 도 7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부(103a)는, 제1 홈부(38b1)의 직경 방향의 길이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공구(103)의 타단부로부터 그 내부로 제2 공구(102)가 통과되고, 제2 공구(102)의 선단부가, 마개 부재(33)의 조작용 홈(33c)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 공구(102)를 돌림으로써, 마개 부재(33)를 포트부(32)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마개 부재(33)를 포트부(32)로부터 분리하거나, 포트부(32)에 장착하거나 할 수 있다.
이때, 포트부(322)의 걸림 지지부(38b)의 제2 홈부(38b2)가 제3 공구(103)의 핀부(103a)에 주위 방향 및 축방향으로부터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 당해 공구(103)를 회전시키지 않도록 하면서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도록 보유 지지함으로써, 오일 시일 캡(30)의 전체가 관통 구멍(4d)에 대하여 상대 회전 및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에 의해, 마개 부재(33)를 제2 구멍(32a)에 대하여 회전시킬 때 본체부(31)가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또한 본체부(31)가 관통 구멍(4d)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오일 시일 캡(30)에 의하면, 마개 부재(33)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공구(103)에는 관통 구멍(4d)의 테두리부(주연부)에 접촉하는 걸림 지지부(103b)가 설치되어도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걸림 지지부(103b)를 설치함으로써, 공구(103)의 내부에 있어서의 오일 시일 캡(30)의 삽입 위치를 규제하도록 해도 된다.
마개 부재(33)를 제2 구멍(32a)에 대하여 회전시킬 때는, 제2 공구(102)로부터 오일 시일 캡(30)을 관통 구멍(4d)에 압입하는 힘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힘에 의해 오일 시일 캡(30)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마개 부재(33)의 착탈 작업을 행하기 쉬워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 시일 캡(30)이 관통 구멍(4d)의 축방향을 따라 폐공간 S측 및 외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오일 시일 캡(30)이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핀부(103a)가 제2 홈부(38b2)에 이르렀을 때에 제3 공구(103)를 회전시키는 방향은, 제2 공구(102)에 의해 마개 부재(33)를 회전시키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2 공구(102)에 의해 마개 부재(33)를 회전시켰을 때에 함께 회전하려고 하는 본체부(31)가 포트부(322)의 제2 홈부(38b2)를 개재하여 핀부(103a)에 바로 걸림 지지되기 때문에, 본체부(31)의 회전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3 공구(103)를 포트부(322)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고, 제3 공구(103)의 일부인 핀부(103a)를 제1 홈부(38b1)로부터 제2 홈부(38b2)로 이동시키고, 핀부(103a)가 제2 홈부(38b2)에 이르렀을 때에 공구(103)를 회전시키고, 그 후, 공구(103)의 핀부(103a)를 제2 홈부(38b2)에 주위 방향 및 축방향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상태로 세트할 수 있다. 그리고, 오일 시일 캡(30)의 회전 및 축방향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개 부재(33)의 착탈 작업의 작업 효율을 매우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 부분 중 제1 및 제2 실시 형태의 구성 부분과 마찬가지인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나타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 시일 캡(30)의 본체부(313)가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본체부(313)는 제1 구멍(31a)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저판부(313b)와, 저판부(313b)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된 원통 형상의 주위벽부(313c)를 갖고 있으며,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위벽부(313c)는 관통 구멍(4d)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본체부(313)는 내면을 구성하는 금속제의 강성 부재인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내면 형성부(373)와, 내면 형성부(373)의 외면에 피복된 수지제의 외면 형성부(363)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포트부(32)는 본체부(313)의 저판부(313b) 중 주위벽부(313c)가 돌출된 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설치되고, 외부에 면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예에서는, 제1 구멍(31a)이 내면 형성부(373)에 형성되고, 내면 형성부(373)의 제1 구멍(31a)의 주연부로부터 포트부(32)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면 형성(363)은 포트부(32)의 직경 방향의 외측에 있어서 내면 형성부(373)의 외면을 덮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포트부(32)의 선단에 있어서 마개 부재(33)를 공구로 조작하여, 공구로부터 포트부(32)를 개재하여 본체부(313)에 축방향을 따르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 당해 힘이 본체부(313)의 주위벽부(313c)를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변형시킨다. 이에 의해, 본체부(313)가 원형의 관통 구멍(4d)에 설치되는 경우에, 주위벽부(313c)가 관통 구멍(4d)의 내주면에 가압되므로, 오일 시일 캡(30)의 축방향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개 부재(33)의 착탈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 부분 중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의 구성 부분과 마찬가지인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나타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 시일 캡(30)의 본체부(314)가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본체부(314)는 제1 구멍(31a)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저판부(314b)와, 저판부(314b)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된 원통 형상의 주위벽부(314c)와, 주위벽부(314c)에 설치되고 또한 저판부(314b)의 중앙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된 플랜지부(314d)를 갖고 있다.
주위벽부(314c)는 관통 구멍(4d) 중 제2 구멍부(4d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또한, 오일 시일 캡(30)은 모따기부(4d4)에 플랜지부(314d)를 접촉시킨 상태로 관통 구멍(4d)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플랜지부(314d)가 모따기부(4d4)에 접촉됨으로써, 오일 시일 캡(30)의 관통 구멍(4d)의 축방향(깊이 방향)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마개 부재(33)의 착탈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 부분 중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의 구성 부분과 마찬가지인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나타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 시일 캡(30)의 포트부(325)가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트부(325)에서는, 외부측을 지향하는 두께 방향의 일단부면에, 당해 일단부면에 대하여 오목한 걸림 지지부(38c)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가공에 수고를 들이지 않고 오일 시일 캡(30)을 관통 구멍(4d)에 설치할 수 있으면서, 또한 윤활유 등의 오일의 통과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 부분 중 제1 내지 제5 실시 형태의 구성 부분과 마찬가지인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나타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 내지 제5 실시 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 시일 캡(30)의 본체부(316)가 제1 내지 제5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본체부(316)에는 그 주위벽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된 걸림 지지부(38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포트부(32)에는 걸림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가공에 수고를 들이지 않고 오일 시일 캡(30)을 관통 구멍(4d)에 설치할 수 있으면서, 또한 윤활유 등의 오일의 통과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 부분 중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의 구성 부분과 마찬가지인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나타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와 상이한 구성에 대하여 주로 설명한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 시일 캡(30)의 본체부(317) 및 포트부(327)가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포트부(327)는 본체부(317)의 저판부(317b)의 외부측을 지향하는 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포트 본체(327a)와, 포트 본체(327a)로부터 돌출되어 본체부(317)의 제1 구멍(31a)을 관통하는 돌출부(327b)를 갖고 있다. 제2 구멍(32a)은 포트 본체(327a) 및 돌출부(327b)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제2 구멍(32a)은 제1 구멍(31a)을 통하여, 환언하면 제1 구멍(31a)의 내측을 통하여, 본체부(317)에 대하여 포트부(327)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본체부(317)에서는, 금속제의 내면 형성부(377)의 외면을 피복하는 외면 형성부(367)에, 돌출부(327b)의 선단을 덮는 연장 피복부(36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면 형성부(377)의 폐공간 S측의 면에 있어서의 제1 구멍(31a)의 주연부와 돌출부(327b)가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용접 부분은 외면 형성부(367)에 의해 덮여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가공에 수고를 들이지 않고 오일 시일 캡(30)을 관통 구멍(4d)에 설치할 수 있으면서, 또한 윤활유 등의 오일의 통과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포트부(327)에 저판부(317b)의 제1 구멍(31a)(이 예에서는, 제1 구멍(31a) 중 내면 형성부(377)에 형성된 구멍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327b)가 형성됨으로써, 제조 단계에 있어서, 포트부(327)와 본체부(317)의 용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면 형성부(377)의 폐공간 S측의 면에 있어서의 제1 구멍(31a)의 주연부와 돌출부(327b)가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부분에 있어서 용접을 행함으로써, 용접 시에 본체부(317)의 주위벽부(317c)가 방해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용접(고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조 단계에 있어서, 돌출부(327b)를 제1 구멍(31a)에 삽입함으로써, 본체부(317)에 대한 포트부(327)의 위치 결정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B)에는, 제7 실시 형태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돌출부(327b)의 외주면에 설치된 리테이닝 링(40)이, 저판부(317b) 중 내면 형성부(377)를 포트 본체(327a)와 협동하여 감입함으로써, 포트부(327)가 본체부(317)에 설치되어 있다. 리테이닝 링(40)은 외면 형성부(367)에 의해 덮여 있다. 이러한 형태가 채용되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 구멍(4d)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오일 시일 캡(30)이 설치되어 있지만, 오일 시일 캡(30)은 크랭크축 설치 구멍(4e)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오일 시일 캡(30)이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1)에 적용되어 있지만, 이외의 장치에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포트부(32)가 육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포트부(32)는 삼각 형상, 사각 형상, 오각 형상, 팔각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홈을 포함하는 걸림 지지부(38b)가 제1 홈부(38b1) 및 제2 홈부(38b2)를 갖는 예를 설명했지만, 예를 들어 제1 홈부(38b1) 및 제2 홈부(38b2) 중 한쪽만이 형성되는 등의 형태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2 홈부(38b2)가 포트부(322)의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제2 홈부(38b2)는 부채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플랜지부(314d)가 모따기부(4d4)에 접촉하지만, 플랜지부(314d)가 관통 구멍(4d)의 외부측의 단부의 주연부에 접촉하는 형태가 채용되어도 된다.
1: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2: 외통
3: 내치 핀
3a: 내치
4: 캐리어
4a: 기판부
4d: 관통 구멍
4d1: 제1 구멍부
4d2: 제2 구멍부
4d3: 단차면
4d4: 모따기부
4e: 크랭크축 설치 구멍
5: 기초부
7: 단판부
7b: 크랭크축 설치 구멍
10: 크랭크축
10a: 제1 편심부
10b: 제2 편심부
10c: 축 본체
14: 제1 요동 기어
14a: 제1 외치
16: 제2 요동 기어
16a: 제2 외치
30: 오일 시일 캡
31, 313, 314, 316, 317: 본체부
31a: 제1 구멍
31b, 313b, 314b, 317b: 저판부
31c, 313c, 314c, 317c: 주위벽부
314d: 플랜지부
32, 322, 325, 327: 포트부
32a: 제2 구멍
32b: 암나사부
33: 마개 부재
33b: 수나사부
33c: 조작용 홈
36, 363, 367: 외면 형성부
37, 373, 377: 내면 형성부
38a, 38b, 38c, 38d: 걸림 지지부
38b1: 제1 홈부
38b2: 제2 홈부
S: 폐공간

Claims (15)

  1. 제1 구멍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제1 구멍의 관통 방향으로 보아 상기 본체부의 외주부의 내측에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멍의 관통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구멍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포트부와,
    상기 포트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구멍을 막는 마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와 관통 구멍 사이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본체부의 외주부가 상기 관통 구멍과 직접 밀착함으로써 폐쇄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관통 구멍에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제1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포트부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포트부 중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당해 표면에 대하여 돌출되거나 또는 오목하고,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방지하는 공구로 걸림 지지되는 걸림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오일 시일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구멍의 관통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포트부의 상기 제2 구멍의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개 부재의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오일 시일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부재에는, 당해 마개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를 걸림 지지 가능한 조작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오일 시일 캡.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구멍이 형성된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된 주위벽부를 갖는, 오일 시일 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부는, 상기 제1 구멍의 관통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위벽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오일 시일 캡.
  6. 제1 구멍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제1 구멍의 관통 방향으로 보아 상기 본체부의 외주부의 내측에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멍의 관통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구멍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포트부와,
    상기 포트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구멍을 막는 마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제1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포트부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포트부 중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당해 표면에 대하여 돌출되거나 또는 오목한 걸림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구멍이 형성된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된 주위벽부를 갖고,
    상기 저판부는, 상기 제1 구멍의 관통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위벽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주위벽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저판부의 중앙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된 플랜지부를 더 갖는, 오일 시일 캡.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부는, 상기 저판부 중 상기 주위벽부가 돌출된 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 시일 캡.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부는, 상기 저판부 중 상기 주위벽부가 돌출된 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 시일 캡.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부는, 상기 제2 구멍의 관통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이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 지지부는, 다각 형상의 상기 포트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코너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오일 시일 캡.
  10. 제1 구멍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제1 구멍의 관통 방향으로 보아 상기 본체부의 외주부의 내측에서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멍의 관통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구멍이 관통하도록 형성된 포트부와,
    상기 포트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구멍을 막는 마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제1 구멍을 통하여,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포트부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포트부 중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당해 표면에 대하여 돌출되거나 또는 오목한 걸림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포트부는, 상기 제2 구멍의 관통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 지지부는, 상기 포트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포트부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면으로부터 당해 축방향을 따라 타단부면측으로 연장되는 제1 홈부와, 상기 제1 홈부의 상기 타단부면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포트부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부를 갖는, 오일 시일 캡.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포트부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1쌍 형성되어 있는, 오일 시일 캡.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포트부의 축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부채 형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원호 부분이 상기 포트부의 외주면으로부터 개방되어 있는, 오일 시일 캡.
  13.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서 소정의 회전수비로 회전수를 변환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장치이며,
    편심부와,
    상기 편심부가 삽입되는 삽입 관통 구멍을 가짐과 함께 톱니부를 갖는 요동 기어와,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한쪽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요동 기어의 상기 톱니부와 교합하는 내치를 갖는 외통과,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의 다른 쪽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는 캐리어와,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오일 시일 캡을 구비하고,
    상기 캐리어 및 상기 외통에 의해, 상기 요동 기어를 수용하는 폐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 및 상기 외통의 한쪽에는, 상기 폐공간에 연통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 시일 캡은, 상기 연통 구멍을 막고 있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구멍에는 외부측을 지향하는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오일 시일 캡은, 상기 본체부를 상기 단차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연통 구멍에 설치되어 있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시일 캡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구멍이 형성된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외주부로부터 돌출된 주위벽부를 갖고,
    상기 포트부는, 상기 저판부 중 상기 주위벽부가 돌출된 측의 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주위벽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저판부의 중앙측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플랜지부를 더 갖고 있으며,
    상기 오일 시일 캡은, 상기 연통 구멍의 외부측의 단부의 주연부 또는 상기 연통 구멍의 외부측의 단부에 형성된 모따기부에 상기 플랜지부를 접촉시킨 상태로 상기 연통 구멍에 설치되어 있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KR1020230083378A 2015-04-13 2023-06-28 오일 시일 캡 및 그것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장치 KR202301045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81734A JP6537873B2 (ja) 2015-04-13 2015-04-13 オイルシールキャップ及びそれを備える偏心揺動型歯車装置
JPJP-P-2015-081734 2015-04-13
KR1020160040101A KR20160122066A (ko) 2015-04-13 2016-04-01 오일 시일 캡 및 그것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101A Division KR20160122066A (ko) 2015-04-13 2016-04-01 오일 시일 캡 및 그것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561A true KR20230104561A (ko) 2023-07-10

Family

ID=559669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101A KR20160122066A (ko) 2015-04-13 2016-04-01 오일 시일 캡 및 그것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KR1020230083378A KR20230104561A (ko) 2015-04-13 2023-06-28 오일 시일 캡 및 그것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101A KR20160122066A (ko) 2015-04-13 2016-04-01 오일 시일 캡 및 그것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95911B2 (ko)
EP (1) EP3081833B1 (ko)
JP (1) JP6537873B2 (ko)
KR (2) KR20160122066A (ko)
CN (2) CN110886831B (ko)
TW (2) TWI6896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292B1 (ko) 2017-11-30 2019-07-23 수광산업 주식회사 오일 흡수형 오일캡
CN108539903B (zh) * 2018-05-21 2019-10-08 赵文龙 一种新能源汽车用电机的养护方法
CN108757903B (zh) * 2018-05-21 2019-10-15 江苏微特利电机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新能源汽车的减速电机
JP7481106B2 (ja) * 2019-12-03 2024-05-1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産業用ロボットの関節構造
JP2021102997A (ja) * 2019-12-26 2021-07-15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クーリングタワー用減速装置
EP4067696A1 (en) * 2021-03-31 2022-10-05 Nabtesco Corporation Drive transmission device and construction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4999A (ja) 2012-10-26 2014-05-12 Nabtesco Corp オイルシールキャップ及び偏心揺動型歯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105Y2 (ko) * 1977-06-01 1981-04-02
JPS5546033U (ko) * 1978-09-19 1980-03-26
US4293056A (en) * 1979-02-26 1981-10-06 Setree Ii Robert R Device for lubricating a hub with bearings
JP3447168B2 (ja) * 1996-01-16 2003-09-16 古河機械金属株式会社 オイルプラグ
PL347401A1 (en) * 2001-05-07 2002-11-18 Piotr Loniewski Oil drai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particular that used in automotive vehicles, device for and method o draining off used engine oil from an oil sump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particular of that used in automotive vehicles
JP2006207697A (ja) * 2005-01-28 2006-08-10 Nidec-Shimpo Corp 減速機のオイルシール構造
CN201100399Y (zh) * 2007-07-27 2008-08-13 四川资阳市三桥减速电机有限公司 石油圆弧齿轮减速器专用油封
JP5474462B2 (ja) * 2009-09-16 2014-04-1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偏心揺動型歯車装置及び偏心揺動型歯車装置の製造方法
JP2012202444A (ja) * 2011-03-24 2012-10-22 Ntn Corp フィルタ付き転がり軸受
JP5546033B2 (ja) 2011-11-02 2014-07-09 福島工業株式会社 覗き窓付き断熱扉
JP2014084951A (ja) 2012-10-24 2014-05-12 Nabtesco Corp 偏心揺動型歯車装置
CN103089929A (zh) * 2012-11-03 2013-05-08 吴小杰 轴承用脂润滑兆瓦级准行星半直驱风电增速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4999A (ja) 2012-10-26 2014-05-12 Nabtesco Corp オイルシールキャップ及び偏心揺動型歯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37873B2 (ja) 2019-07-03
CN110886831B (zh) 2023-03-03
US9695911B2 (en) 2017-07-04
EP3081833A1 (en) 2016-10-19
KR20160122066A (ko) 2016-10-21
JP2016200239A (ja) 2016-12-01
CN106051128B (zh) 2020-05-15
TW201945652A (zh) 2019-12-01
TWI740213B (zh) 2021-09-21
EP3081833B1 (en) 2018-08-01
US20160298731A1 (en) 2016-10-13
TW201641851A (zh) 2016-12-01
TWI689671B (zh) 2020-04-01
CN110886831A (zh) 2020-03-17
CN106051128A (zh)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04561A (ko) 오일 시일 캡 및 그것을 구비하는 편심 요동형 기어장치
JP5438297B2 (ja) 偏心揺動型歯車装置
WO2017203754A1 (ja) アクチュエータ
WO2014087573A1 (ja) 歯車装置
WO2011030690A1 (ja) 旋回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多関節ロボット
KR20150079607A (ko)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JP2014084999A (ja) オイルシールキャップ及び偏心揺動型歯車装置
TWI739858B (zh) 齒輪裝置
JP2011185318A (ja) 歯車装置
JP2007211944A (ja) 偏心揺動型減速機
JP6746748B2 (ja) オイルシールキャップ及びそれを備える偏心揺動型歯車装置
JP5508126B2 (ja) 歯車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096343A (ja)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
JP7201362B2 (ja) 緩み止め具、緩み止め機構、固定装置、締結構造および産業機械
JP2019078342A (ja) 減速装置
JP6333154B2 (ja) 偏心揺動型減速装置
KR102172816B1 (ko)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JP5941379B2 (ja) 偏心揺動型歯車装置
TW201718167A (zh) 旋轉台用減速機
KR20200066200A (ko) 산업 기계의 회전 기구, 감속기, 산업 기계 및 구동 장치
JP6275235B2 (ja) 自動ドア装置
JP6804387B2 (ja) 固定機構及びメカニカルシール
JP2016205460A (ja) 波動歯車装置及び波動歯車装置の回転体の移動阻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