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6473A - 레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레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6473A
KR20230096473A KR1020210185975A KR20210185975A KR20230096473A KR 20230096473 A KR20230096473 A KR 20230096473A KR 1020210185975 A KR1020210185975 A KR 1020210185975A KR 20210185975 A KR20210185975 A KR 20210185975A KR 20230096473 A KR20230096473 A KR 20230096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creen housing
screen
rail assembly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7061B1 (ko
Inventor
강동헌
안석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코메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코메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코메론
Priority to KR1020210185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061B1/ko
Publication of KR2023009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6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지지판 상에 대해 직선 이동을 하는 이동 물체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 어셈블리의 설치방법은, 이동 물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슬릿을 포함하는 레일, 이동 물체와 함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레일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장착되는 스크린 하우징, 및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감겨 있다가 이동부에 일 단부가 결속되어 스크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출입하면서 가이드 슬롯을 차단하는 스크린 테이프를 제공하는 단계, 지지판에 형성된 설치 홀의 하부에 이동부 및 스크린 하우징이 조립된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 및 설치 홀을 통해 노출된 스크린 하우징의 상부에 마감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일 어셈블리 {RAIL ASSEMBLY}
본 발명은 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고 지속적인 배출이 가능한 레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시트 등의 이동 물체는 일정 경로를 따라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들 이동 물체의 이동을 위해 바닥 또는 지지판에는 레일이 가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레일에는 위로 개방된 가이드 슬릿이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먼지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가이드 슬릿을 통해 레일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렇게 유입된 이물질들은 원활한 작동을 방해하거나 비위생적인 관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0768호에는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에는 레일 커버의 가이드 슬릿을 스크린 부재로 차단하고, 그 내부의 롤러 등을 보호하는 내용이 설명되어 있다. 하지만, 스크린 부재가 가이드 슬릿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 틈새로 이물질 등이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 어떠한 해결책이 없다.
또한, 스크린 부재가 평판으로 제공되어 이물질을 특정 위치로 유도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며, 하이힐이 가이드 슬릿에 진입하여 빠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가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1-001800호(2001.1.9. 공개)에는 차량용 시트의 설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설치 구조도 레일 내부로 쓰레기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을 따라 슬라이더가 움직이며 슬라이더의 전후단에 코일 스프링이 권취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부로 개방된 가이드 슬릿을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코일 스프링 역시 가이드 슬릿을 차단만 하고 있으며, 스크레이퍼로 이물질을 가이드 슬릿 바깥으로 퍼 올리는 기능을 하지만, 역시 스크레이퍼의 측면으로 빠지는 이물질은 제거할 수 없으며, 바깥으로 이물질을 퍼 올린다고 해도 이들은 다시 가이드 슬릿으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이 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시트 등의 이동 물체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이물질을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크린을 이용한 레일 어셈블리로서, 이동하는 부속과 스크린의 장착이 용이한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지판에 설치가 용이하며 카페트 등과 같은 바닥 마감재를 안전하게 덮을 수 있는 개선된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레일 어셈블리를 소형화할 수 있는 레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판 상에 대해 직선 이동을 하는 이동 물체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 어셈블리의 설치방법은, 이동 물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슬릿을 포함하는 레일, 이동 물체와 함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레일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장착되는 스크린 하우징, 및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감겨 있다가 이동부에 일 단부가 결속되어 스크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출입하면서 가이드 슬롯을 차단하는 스크린 테이프를 제공하는 단계, 지지판에 형성된 설치 홀의 하부에 이동부 및 스크린 하우징이 조립된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 및 설치 홀을 통해 노출된 스크린 하우징의 상부에 마감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감 커버는 레일 및 스크린 하우징보다 큰 폭 또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스크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됨으로써 카페트와 같은 마감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마감 커버를 별도로 분리가 가능하여, 지지판의 설치 홀을 최소로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마감 커버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감 커버는 일측에 형성된 회전 돌기 및 타측에 형성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며, 회전 돌기를 레일 또는 스크린 하우징에 결속하고, 타측의 결합 돌기를 선회하면서 마감 커버를 스크린 하우징 또는 지지판에 결속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스크린 하우징의 외측으로 결합 홈을 형성하고, 마감 커버의 결합 돌기를 결합 홈에 결속할 수 있다.
또한, 레일은 가이드 슬롯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카페트 수용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페트 수용돌기와 레일 사이에 U-자형의 카페트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고, 카페트 수용홈으로 지지판에 깔리는 카페트 등의 마감재 단부를 가릴 수 있다.
마감 커버의 회전 돌기를 카페트 수용돌기의 하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돌출 형성하고, 회전 돌기를 카페트 수용돌기와 레일 사이의 공간에 넣어 지지한 후, 회전 돌기를 중심으로 마감 커버를 선회시켜 전방의 결합 돌기가 스크린 하우징 또는 지지판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의 외벽이 레일의 단부에 일치하도록 스크린 하우징을 레일의 단부에 내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레일의 단부에서 스크린 하우징의 길이만큼 카페트 수용돌기를 절삭할 수 있다.
스크린 테이프를 공급하는 스크린 하우징을 레일 단부에 내장함으로써, 스크린 하우징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레일 어셈블리를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판 상에 대해 직선 이동을 하는 이동 물체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 어셈블리는, 이동 물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슬릿을 포함하는 레일, 이동 물체와 함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레일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장착되는 스크린 하우징,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감겨 있다가 이동부에 일 단부가 결속되어 스크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출입하면서 가이드 슬롯을 차단하는 스크린 테이프, 및 스크린 하우징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감 커버는 스크린 하우징 및 레일이 노출되는 설치 홀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스크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됨으로써 카페트와 같은 마감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마감 커버를 별도로 분리가 가능하여, 지지판의 설치 홀을 최소로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마감 커버는 일측에 형성된 회전 돌기 및 타측에 형성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며, 회전 돌기가 레일 또는 스크린 하우징에 결속되고, 타측의 결합 돌기가 선회하면서 스크린 하우징 또는 지지판에 결속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크린 하우징의 외측으로 결합 홈이 형성되며, 마감 커버의 결합 돌기가 결합 홈에 결속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레일은 가이드 슬롯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카페트 수용돌기를 포함하며, 마감 커버의 회전 돌기는 카페트 수용돌기의 하부로 진입하여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은 레일의 단부에 내장되며, 스크린 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해서 레일의 단부에서 스크린 하우징의 길이만큼 카페트 수용돌기가 절삭될 수 있다.
카페트 수용돌기가 형성된 가이드 슬롯의 내벽으로 스크린 테이프의 좌우 모서리를 수용 및 지지하는 평행 슬릿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린 테이프의 일단부와 이동부를 연결하는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하여, 스크레이퍼도 평행 슬릿 지지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스크린 테이프는 볼록한 메탈 테이프로 제공될 수 있는데, 볼록한 스크린 테이프에 의해서 양측으로 유도된 이물질은 이동부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크레이퍼를 따라 스크린 하우징 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일단 스크린 하우징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스크린 테이프가 출입하는 개구부에서 테이프가 보관된 내부 공간보다는 먼지 배출 경로를 따라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먼지 배출 경로와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 공간 사이에는 내부 격벽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격벽은 스크린 하우징 내에서 먼지 배출 경로를 정의하는 것은 물론 하우징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먼지 배출 경로는 스크린 하우징의 외측면 하부로 연결된 제1 배출구를 포함하며, 제1 배출구의 주변으로 레일과 스크린 하우징 사이로 제2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출구와 제2 배출구는 서로 인접하게 제공되며, 상하로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를 확보하면서 레일의 소형화하기 위해, 제1 배출구와 제2 배출구는 경사진 격벽에 의해서 구분되게 할 수 있다.
동일한 목적으로 제1 배출구를 직각 삼각형 또는 일반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배출구는 제1 배출구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동일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1 배출구와 제2 배출구를 경사진 격벽으로 구분하거나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지 않더라도 동일 높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스크린 테이프는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에 감겨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며, 스크린 하우징은 스크린 테이프를 외면에 감기 위한 릴 및 스크린 테이프를 감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내장할 수 있다. 스프링으로는 태엽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릴은 스크린 하우징 내부에 보빈 형태로 제공되거나 스크린 하우징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스크레이퍼가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같이 이동시키기 때문에,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스크레이퍼의 단부는 스크린 하우징의 외벽 내면(Lo) 및 릴의 중심(O) 사이의 일 지점(Li)까지 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깊이 진입하더라도 단부가 멈추는 일 지점(Li)은 릴의 중심(O)으로부터 수평 거리(g)로 최소 2mm 이격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는 결속 홈 또는 결속 홀을 포함하며, 이동부는 결속 홈에 대응하는 결속 돌기를 포함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이동부가 스크레이퍼에 밀착하는 과정에서 결속 돌기가 결속 홈에 결속됨으로써 스크레이퍼 및 스크린 테이프의 단부가 이동부에 용이하게 초기 장착 또는 결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일 어셈블리는 시트 등의 이동 물체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이물질을 상부에서 아래로, 즉 일정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일 어셈블리는 스크린으로 가이드 슬릿을 차단하는 레일 어셈블리로서, 이동하는 부속과 스크린 간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레일 어셈블리는 스크린으로 가해지는 수직 힘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켜, 가이드 슬릿으로 뾰족하거나 좁은 물체가 진입하여도 유효한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에서 마감 커버를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레일과 스크레이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하우징과 스크레이퍼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먼지 배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먼지 배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에서 마감 커버를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레일 어셈블리의 레일과 스크레이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레일 어셈블리(100)는 이동 물체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용 시트(10) 등의 이동 물체에 결속될 수 있으며, 스크린 테이프(140)로 가이드 슬릿(112)을 차단하여 바닥으로 떨어진 이물질이 레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물체로서 차량용 시트(10)를 예시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정, 공장, 차량 등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크기로 다양한 이동 물체와 결속되어 사용될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100)는 가이드 슬릿(112)이 형성된 레일(110),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120), 스크린 테이프(140)를 공급하는 스크린 하우징(130) 및 스크레이퍼(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110)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슬릿(112)을 포함하며, 이를 위해 전체적으로 상방이 개방된 ㄷ-자 또는 C-자 형상의 몸체를 가질 수 있으며, 그 몸체의 상부로 가이드 슬롯(112)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카페트 수용돌기(116)를 포함할 수 있다.
카페트 수용돌기(116)에 의해서 카페트 수용돌기(116)와 레일 몸체 사이에는 U-자형의 카페트 수용홈이 좌우로 형성될 수 있다. 카페트 수용홈으로는 지지판(30)에 깔리는 카페트(40)의 단부를 가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110)을 따라 이동부(120)가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이동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레일(110) 내부에 이동 물체(10)와 연결될 배선, 배선 가이드 등이 더 추가될 수가 있다.
도 3의 (b)를 보면, 가이드 슬릿(112)을 형성하는 내벽의 양측으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평행 슬릿 지지부(114)가 제공될 수 있다. 평행 슬릿 지지부(114)는 스크린 테이프(140) 또는 스크레이퍼(150)의 양측 모서리를 지지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슬릿(112)의 내벽에 홈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레일(110) 내부로 이동부(1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이동부(120)의 전면 및 후면으로 결속 돌기가 형성된 연장부(122)가 제공될 수 있다. 결속 돌기는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스크린 테이프(140)의 단부에 고정된 스크레이퍼(150)의 결속 홀에 결속될 수 있다.
레일(110)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스크린 하우징(13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스크린 하우징(130)은 이동부(120)와 결속될 수 있는 스크린 테이프(140)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테이프(140)는 스크린 하우징(130) 내부에서 감긴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동부(120)가 레일(110)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노출되는 가이드 슬릿(112)을 차단할 수 있도록 스크린 테이프(140)는 스크린 하우징(130)의 개구부(132)를 출입할 수 있다.
스크린 테이프(140)는 얇은 금속 테이프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표면에 나일론 등의 코팅이 추가될 수가 있다. 외형적으로 스크린 테이프(140)는 전반적으로 위로 볼록한 형상으로 굽어진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슬릿(112) 사이로 스크린 테이프(140)를 누르는 힘이 발생할 때, 평행 슬릿 지지부(114)에 의해서 양단 모서리가 지지됨으로써 스크린 테이프(140)가 좌굴 없이 누르는 힘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 테이프(140) 위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면 점차적으로 이물질은 스크린 테이프(140)의 양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양측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스크레이퍼(150)의 좌우 모서리에 의해서 스크린 하우징(130)을 향해 이송될 수 있다.
금속 테이프로 형성된 스크린 테이프(140)는 스크린 하우징(130) 내에서 권취될 때에는 평평하게 펴진 상태로 권취될 수 있으며, 개구부(132)에서 나오면서 원래의 볼록하게 굽어진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 하우징(130)은 레일(110)의 단부에 내장될 수 있다. 즉, 스크린 하우징(130)의 외벽이 레일(110)의 단부에 거의 일치하도록 스크린 하우징(130)을 레일(110)의 안까지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10)의 단부에서 스크린 하우징(130)의 길이만큼 카페트 수용돌기(116)를 절삭할 수 있다.
스크린 테이프(140)를 공급하는 스크린 하우징(130)을 레일(110)의 단부에 내장함으로써, 스크린 하우징(130)을 외부 하중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 1과 같이 레일 어셈블리(100)를 컴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스크린 하우징(130)을 레일(11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마감 커버(160)가 레일(110) 속으로 내장된 스크린 하우징(130)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전반적으로 레일 어셈블리(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를 보면, 레일 어셈블리(100)를 설치하기 위해서, 마감 커버(160)를 제외한 레일(110), 이동부(120), 스크린 하우징(130)가 조립된 조립체를 차량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위로 설치 홀(35)이 형성된 지지판(30)을 설치할 수 있다.
차량 프레임과 지지판(30) 사이로는 차량을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한 배선이나 설비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흡음재 등이 삽입될 수 있다.
지지판(30) 위로 카페트(40) 등이 깔릴 수 있다. 카페트(40) 역시 설치 홀(35)에 대응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지만, 카페트(40)에 형성된 홀은 설치 홀(35)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설치 홀(35)로 노출된 지지판(30) 및 카페트(40)의 상부로 마감 커버(160)가 결합될 수 있다. 마감 커버(160)는 후방으로 돌출된 2개의 회전 돌기(162) 및 전방에서 아래로 돌출된 결합 돌기(164)를 포함하며, 스크린 하우징(130)의 전방에는 결합 돌기(164)에 대응하는 결합 홈(13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마감 커버(160)를 결합하기 위해 먼저 마감 커버(160)의 회전 돌기(162)를 카페트 수용돌기(116)와 레일 몸체 사이로 삽입하고(①), 삽입된 회전 돌기(162)를 중심으로 마감 커버(160)를 선회시켜 결합 돌기(164)가 스크린 하우징(130)의 결합 홈(137)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②).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돌기가 레일의 카페트 수용돌기에 결속되고, 결합 돌기가 스크린 하우징에 결속된다. 이 외에도 회전 돌기는 스크린 하우징에 결속될 수 있고, 결합 돌기도 지지판에 결속될 수도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마감 커버(160)가 카페트(40)의 단부를 넓게 덮어 누름으로써, 카페트(40)의 절단면을 깔끔하게 덮을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마감 커버(160)의 전방 단부만 도시되어 있지만, 마감 커버(160)의 좌우 폭을 설치 홀(35)보다 넓게 형성하여 좌우 단부 역시 카페트를 안정적으로 덮게 할 수 있다.
스크린 테이프(140)의 안쪽 단부는 스크린 하우징(130)의 내부 공간에서 스프링에 의해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스크린 테이프(140)가 이동부(120)에 결속되지 않는 초기 상태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스크린 테이프(140)는 하우징(130)의 안쪽으로 감기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크린 테이프(140)의 단부에 고정된 스크레이퍼(150)가 스크린 하우징(130)의 개구부(132)에 의해서 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정지 돌기(139)가 외벽에 형성되어 스크레이퍼(150) 및 스크린 테이프(140)의 단부가 스크린 하우징(130) 내부로 들어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스크린 하우징과 스크레이퍼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크린 하우징(130)은 스크린 테이프(140)가 출입하도록 전방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 개구부보다 내측에 형성되어 개구부의 하부로 먼지 배출 경로(134)를 형성하고 먼지 배출 경로(134)로부터 내부를 차단하는 내부 격벽(136)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레이퍼(150)의 단부가 스크린 하우징(130)의 개구부를 넘어 내부까지 진입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먼지를 스크린 하우징(130)의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130) 내부로 밀린 이물질이나 먼지는 대부분 내부 격벽(136)에 의해 차단되어 먼지 배출 경로(134)를 따라 스크린 하우징(1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스크레이퍼(150)가 이물질이나 먼지를 내부로 밀어 넣으면서 그 단부가 스크린 하우징(130) 내부로 진입을 해야 하지만, 너무 깊게 진입하면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권취되는 스크린 테이프의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스크린 테이프의 손상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 스크레이퍼(150)의 단부는 링의 회전 중심(O)보다 안쪽(Li)에서 멈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크레이퍼(150)의 단부는 스크린 하우징(130)의 외벽 내면(Lo) 및 릴의 회전 중심(O) 사이의 어느 일 지점(Li)에서 멈추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때 스크레이퍼(150)의 단부가 멈추는 일 지점(Li)은 릴의 회전 중심(O)에서부터 수평 거리(g)로 최소 2mm 정도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 범위는 스크린 하우징(130)의 외벽 내면(Lo)를 넘어서지 않는 것이 좋다.
스크린 하우징(130)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스크레이퍼(150)가 개구부에 진입할 때 스크린 하우징(13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그 전에 내부 격벽(136)에 의해 차단되어 먼지 배출 경로(134)를 따라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내부 격벽(136)은 먼지 배출 경로(134)와 스크린 하우징(130)의 내부 공간(138) 사이에 형성되며, 먼지 배출 경로(134)를 정의하는 것은 물론 하우징의 내부 공간(138)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138)으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도 있기 때문에 하우징의 내부 공간(138)의 하부에는 먼지 배출 경로(134)와 연결되는 통로(138-1)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동부(120)를 스크린 하우징(130)에 밀착하고 분리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이동부(120)와 스크린 테이프(140)를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
이동부(120)는 반대쪽 스크린 테이프(140)와 결속된 상태에서 아직 결합되지 않은 스크린 하우징(130)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부(120)의 연장부(122)가 스크레이퍼(150)의 저면을 타고 진입하여 결속 홀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120)가 반대로 이동하면, 이동부(120)의 연장부(122)과 스크레이퍼(150)는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면 같이 이동할 수 있다.
도 5 및 도 9를 보면, 스크린 하우징(130)은 스크린 테이프(140)가 출입하도록 전방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32), 개구부(132)보다 내측에 형성되어 개구부(132)의 하부로 먼지 배출 경로(134)를 형성하고 먼지 배출 경로(134)로부터 내부 공간(138)을 차단하는 내부 격벽(136)을 포함할 수 있다.
볼록하게 굴곡진 스크린 테이프(140)에 의해서 양측으로 유도된 이물질은 이동부(120)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크레이퍼(150)와 함께 스크린 하우징(130) 쪽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일단 스크린 하우징(130)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스크레이퍼(150)가 개구부(132)에 진입할 때 스크린 하우징(130)의 내부 공간(138)으로 유입되지 않고, 그 전에 내부 격벽(136)에 의해 차단되어 먼지 배출 경로(134)를 따라 경로 끝에 있는 제1 배출구(134-1)을 통해 레일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위로 볼록한 스크린 테이프(140)를 지지하기 위해서, 개구부(132)에는 스크린 테이프(14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는 정지 돌기(139)가 형성될 수 있다. 정지 돌기(139)는 스크린 테이프(140)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 9의 (a)와 같이, 스크레이퍼(150)가 스크린 하우징(130)의 내부 공간(138)으로 더 이상 들어가지 않고 개구부(132)에서 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링으로는 태엽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릴은 스크린 하우징(130) 내부에서 별도의 보빈 형태로 제공되거나 스크린 하우징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의 먼지 배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우징(130)으로 유입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먼지 배출 경로의 제1 배출구(134-1)는 대략 삼각형 형태로 제공되며, 제1 배출구(134-1)의 양측으로 레일(110)로부터의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구(134-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배출구(134-1, 134-2)를 통해서 하우징(130)으로 유입된 이물질과 레일(110)로 유입된 이물질을 모두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스크린 하우징(130)이 레일(110)의 단부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먼지 배출 경로는 스크린 하우징(130)의 외측면 하부에 형성된 제1 배출구(134-1)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배출 경로(134)는 하우징(130)의 내부를 L-자 형상으로 통과할 수 있다.
도 10의 (b)를 보면, 제1 배출구(134-1)는 경사진 격벽에 의해서 대략 삼각형 형태로 제공되며, 삼각형 형태의 제1 배출구(134-1)의 양측으로 레일로부터의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구(134-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의 (b)를 보면, 먼지 배출 경로의 제1 배출구(234-1)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제공되며, 그 제1 배출구(234-1)의 하부로도 레일로부터의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구(234-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제1 배출구(234-1)와 제2 배출구(234-2)를 사각형 형태로 형성하여도 충분히 우수한 배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삼각형 형태의 제1 배출구(134-1)의 형태를 형성한 경우, 사각형으로 제1 배출구(234-1)를 형성한 경우보다 레일 바닥으로부터의 높이를 더 짧게 형성할 수 있다(h1 < h2). 이는 똑같은 배출 경사도를 유지하면서도 레일을 포함한 레일 어셈블리의 전체 높이를 작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레일 어셈블리의 소형화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레일 어셈블리의 높이가 같은 경우에도, 먼지 배출 경로의 경사도를 더 급하게 형성할 수 있어 먼지의 배출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제1 배출구(134-1)와 제2 배출구(134-2)를 경사진 격벽으로 구분하여 삼각형 형태로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면 그 격벽을 계단 형태나 지그재그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1 배출구와 제2 배출구가 상하 적층 관계가 아닌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 관계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레일 어셈블리 110 : 레일
120 : 이동부 130 : 스크린 하우징
140 : 스크린 테이프 150 : 스크레이퍼

Claims (15)

  1. 지지판 상에서 직선 이동을 하는 이동 물체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 어셈블리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물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슬릿을 포함하는 레일, 상기 이동 물체와 함께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레일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장착되는 스크린 하우징, 및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감겨 있다가 상기 이동부에 일 단부가 결속되어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출입하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을 차단하는 스크린 테이프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설치 홀의 하부에 상기 이동부 및 상기 스크린 하우징이 조립된 상기 레일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설치 홀을 통해 노출된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상부에 마감 커버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레일 어셈블리 설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커버는 일측에 형성된 회전 돌기 및 타측에 형성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돌기를 상기 레일 또는 스크린 하우징에 결속하고, 타측의 상기 결합 돌기를 선회하면서 상기 마감 커버를 상기 스크린 하우징 또는 상기 지지판에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설치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외측으로 결합 홈을 형성하고, 상기 마감 커버의 상기 결합 돌기를 상기 결합 홈에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설치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가이드 슬롯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카페트 수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 커버의 상기 회전 돌기를 상기 카페트 수용돌기의 하부로 진입하여 지지하면서 상기 마감 커버를 선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설치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외벽이 상기 레일의 단부에 일치하도록 상기 스크린 하우징을 상기 레일의 단부에 내장하며, 상기 스크린 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레일의 단부에서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길이만큼 상기 카페트 수용돌기를 절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설치방법.
  6. 지지판 상에 대해 직선 이동을 하는 이동 물체를 안내하기 위한 레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물체의 이동 경로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슬릿을 포함하는 레일;
    상기 이동 물체와 함께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레일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에 장착되는 스크린 하우징;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감겨 있다가 상기 이동부에 일 단부가 결속되어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출입하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을 차단하는 스크린 테이프; 및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감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 커버는 상기 스크린 하우징 및 상기 레일이 노출되는 설치 홀의 폭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커버는 일측에 형성된 회전 돌기 및 타측에 형성된 결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돌기가 상기 레일 또는 스크린 하우징에 결속되고, 타측의 상기 결합 돌기가 선회하면서 상기 스크린 하우징 또는 상기 지지판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외측으로 결합 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 커버의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결합 홈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가이드 슬롯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카페트 수용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 커버의 상기 회전 돌기는 상기 카페트 수용돌기의 하부로 진입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페트 수용돌기가 형성된 상기 가이드 슬롯의 내벽으로 상기 스크린 테이프의 좌우 모서리를 수용 및 지지하는 평행 슬릿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하우징은 상기 레일의 단부에 내장되며, 상기 스크린 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레일의 단부에서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길이만큼 상기 카페트 수용돌기가 절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테이프의 일단부와 상기 이동부를 연결하는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 하우징은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먼지 배출 경로를 제공하며, 상기 먼지 배출 경로는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외측면 하부로 연결된 제1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구의 주변으로 상기 레일과 상기 스크린 하우징 사이로 제2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구와 상기 제2 배출구는 경사진 격벽에 의해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구와 상기 제2 배출구는 동일 높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하우징은 상기 스크린 테이프를 외면에 감기 위한 릴 및 상기 스크린 테이프를 감는 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내장하고,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스크레이퍼의 단부는 상기 스크린 하우징의 외벽 내면(Lo) 및 상기 릴의 중심(O) 사이의 일 지점(Li)까지 진입하며, 상기 일 지점(Li)은 상기 릴의 중심(O)으로부터 수평 거리로 최소 2mm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어셈블리.
KR1020210185975A 2021-12-23 2021-12-23 레일 어셈블리 KR102637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975A KR102637061B1 (ko) 2021-12-23 2021-12-23 레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975A KR102637061B1 (ko) 2021-12-23 2021-12-23 레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6473A true KR20230096473A (ko) 2023-06-30
KR102637061B1 KR102637061B1 (ko) 2024-02-15

Family

ID=86959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975A KR102637061B1 (ko) 2021-12-23 2021-12-23 레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0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1800A (ja) * 1999-06-16 2001-01-09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シートの取付構造
JP2003039994A (ja) * 2001-07-27 2003-02-13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スイーパーの取付構造
KR20100120768A (ko) * 2009-05-07 2010-11-17 주식회사다스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JP2016220518A (ja) * 2015-05-21 2016-12-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ライド給電装置の異物除去構造
KR102339501B1 (ko) * 2021-07-22 2021-12-15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롱슬라이드용 더스트 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1800A (ja) * 1999-06-16 2001-01-09 Ikeda Bussan Co Ltd 車両用シートの取付構造
JP2003039994A (ja) * 2001-07-27 2003-02-13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スイーパーの取付構造
KR20100120768A (ko) * 2009-05-07 2010-11-17 주식회사다스 시트레일의 이물질 유입 차단장치
JP2016220518A (ja) * 2015-05-21 2016-12-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ライド給電装置の異物除去構造
KR102339501B1 (ko) * 2021-07-22 2021-12-15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롱슬라이드용 더스트 커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061B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438B1 (ko) 레일 어셈블리
US7829789B2 (en) Power feeding apparatus and harness wiring structure using the same
EP2476589B1 (en) Wire harness routing device
CN110574250B (zh) 线束布线装置
US7339112B2 (en) Electric supply device
JPWO2019188811A1 (ja) ケーブル巻取り装置、及びスライドシート用フラットケーブル配索構造
US7683259B2 (en) Power supply system
US6428924B1 (en) Battery storage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30096473A (ko) 레일 어셈블리
US10415287B1 (en) Counterbalance system for tilt-in window having a shielded brake shoe structure
US3811703A (en) Safety belt protector
KR20230096471A (ko) 레일 어셈블리
KR102495109B1 (ko) 레일 어셈블리
KR20230096472A (ko) 레일 어셈블리
JP2001001800A (ja) 車両用シートの取付構造
JP6156457B2 (ja) スライドシート用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装置
JP3467465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巻取り装置の異物排出構造
JP5275467B2 (ja) ワイヤハーネス配索装置
JP4230405B2 (ja) キャリアプレ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EP0807932A2 (en) Tape cartridge
JP3749496B2 (ja) 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5916099B2 (ja) 不正防止機能を有するコインホッパ
JP7455727B2 (ja) 給電装置
WO2021192833A1 (ja) 電線カバー付きコネクタ
KR20020082602A (ko) 자동차의 러기지 룸 스크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