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3005A -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및 유모차 - Google Patents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및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3005A
KR20230093005A KR1020237017118A KR20237017118A KR20230093005A KR 20230093005 A KR20230093005 A KR 20230093005A KR 1020237017118 A KR1020237017118 A KR 1020237017118A KR 20237017118 A KR20237017118 A KR 20237017118A KR 20230093005 A KR20230093005 A KR 20230093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able
locking
driv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7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완취안 주
정원 궈
Original Assignee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filed Critical 원더랜드 스위처랜드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093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3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2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7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locking in a brak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 B62B2301/046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 B62B2301/0463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with means restricting the rotation about that axis by blocking the rotation at a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이 개시되고, 이는: 이동 가능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구동 부재; 및 구동 핀, 견인 부재, 및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조립체를 포함하고, 구동 핀은 구동 부재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견인 부재는 제1 케이블 및 제2 케이블을 포함하며, 제1 케이블의 제1 단부는 구동 핀에 연결되고, 제1 케이블의 제2 단부는 제2 케이블의 제1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중공형 샤프트의 내부 공동 내로 연장되고, 제2 케이블의 제2 단부는 잠금 부재에 연결된다. 구동 부재는 구동 핀을 구동하여 활주시키도록, 그에 따라 견인 부재가 잠금 부재를 활주시켜 바퀴를 잠금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및 유모차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20년 10월 22일자로 출원되고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원에 포함되며 명칭이 "WHEEL SET BRAKE MECHANISM AND BABY TRANSPORT"인 중국 특허출원 제CN2020111439643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원은 바퀴 브레이크 기술, 그리고 특히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및 그러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메커니즘을 갖는다. 사용자가 브레이크 메커니즘의 구동 부재를 발로 누를 때, 브레이크 메커니즘은 유모차의 뒷바퀴를 잠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모차가 우발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유모차의 사용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일부 유모차에서, 개별적인 뒷바퀴를 위한 브레이크 메커니즘들이 서로 분리된다. 제동의 경우, 사용자는, 브레이크 메커니즘이 상응하는 뒷바퀴를 각각 잠금하도록, 각각의 브레이크 메커니즘의 구동 부재를 별도로 동작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한 유모차는 브레이크 동작이 더 복합하다. 일부 다른 유모차에서, 개별적인 뒷바퀴를 위한 브레이크 메커니즘들이 동일 구동 부재를 공유한다. 사용자는 동일 구동 부재를 동작시켜 브레이크 메커니즘이 동시에 뒷바퀴를 잠금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유모차는 브레이크 동작을 단순화하나, 더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유모차의 앞바퀴는 일반적으로 유니버설 바퀴(universal wheel)이고, 뒷바퀴도 유니버설 바퀴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모차가 방향을 바꿀 때 매끄럽게 주행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유모차가 정방향으로 정상적으로 주행할 때 뒷바퀴가 쉽게 회전되며, 이는 유모차가 정방향으로 정상적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한다.
본원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의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태에서, 본원은 이동 가능 프레임의 바퀴를 잠금하기 위한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바퀴는, 바퀴가 모든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중공형 샤프트를 통해서 이동 가능 프레임에 장착되며, 이러한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은: 이동 가능 프레임에 장착된 구동 부재; 및 구동 핀, 견인 부재, 및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조립체로서, 구동 핀은 구동 부재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견인 부재는 제1 케이블 및 제2 케이블을 포함하며, 제1 케이블의 제1 단부는 구동 핀에 연결되고, 제1 케이블의 제2 단부는 제2 케이블의 제1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중공형 샤프트의 내부 공동 내로 연장되고, 제2 케이블의 제2 단부는 잠금 부재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조립체를 포함한다. 구동 부재는 구동 핀을 구동하여 활주시키도록, 그에 따라 견인 부재가 잠금 부재를 활주시켜 바퀴를 잠금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구동 부재는 슬리브 부분 및 슬리브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페달 부분을 포함하고, 이동 가능 프레임의 수평 튜브는 슬리브 부분으로 둘러싸이고, 수평 튜브 및 슬리브 부분 중 하나는 세장형 홀을 구비하고, 수평 튜브 및 슬리브 부분 중 다른 하나는 슈트(chute)를 구비하며, 구동 부재는 미리 결정된 각도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는 초기 위치 및 제동 위치를 갖는다. 구동 핀은 수평 튜브로 둘러싸이며(sleeved with), 구동 핀은 세장형 홀 및 슈트를 통과하는 반경방향-돌출 활주 샤프트를 구비한다. 구동 부재는, 초기 위치와 제동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될 때, 활주 샤프트를 구동시켜 세장형 홀 및 슈트 내에서 활주시키고, 그에 따라 구동 핀이 수평 튜브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하여 잠금 부재가 바퀴를 잠금 해제 또는 잠금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은, 구동 핀에 작용하여 구동 핀을 통해서 구동 부재를 초기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브레이크 조립체는, 잠금 부재에 작용하여 바퀴가 잠금 해제되는 잠금 해제 위치에서 잠금 부재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1 탄성 리셋 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슬리브 부분은 2개의 슈트를 대칭적으로 구비하고, 수평 튜브는 2개의 슈트에 각각 상응하는 2개의 세장형 홀을 구비하며;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은 2개의 브레이크 조립체를 구비하며, 2개의 브레이크 조립체의 잠금 부재는 이동 가능 프레임의 2개의 바퀴를 잠금하도록 구성되고, 2개의 브레이크 조립체의 각각의 활주 샤프트는 상응하는 슈트 및 세장형 홀의 세트로 둘러싸이며; 제1 탄성 부재는 2개의 브레이크 조립체의 구동 핀들 사이에 클램핑된다.
또한, 제1 케이블의 제2 단부는 연결부를 가지며, 연결부는 연결 홈을 구비하며; 제2 케이블의 제1 단부는 제1 피벗 조인트를 구비하고, 제1 피벗 조인트는 연결 홈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다.
또한, 이동 가능 프레임은 바퀴 시트(wheel seat)를 구비하고, 바퀴는 바퀴 스탠드를 가지며, 바퀴 스탠드는 수직으로 배열된 중공형 샤프트를 통해서 바퀴 시트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며; 잠금 부재는 서로 수직으로 배열된 횡방향 샤프트 및 길이방향 샤프트를 포함하고, 활주 슬리브는 길이방향 샤프트에 고정되고, 활주 슬리브는 바퀴 스탠드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며, 활주 슬리브의 축은 바퀴의 롤링 축에 수직이며, 횡방향 샤프트로부터 먼 활주 슬리브의 단부 부분은 수용 홈을 구비하고; 제2 케이블의 제2 단부는 제2 피벗 조인트를 구비하고, 제2 피벗 조인트는 수용 홈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다.
또한, 제1 탄성 리셋 부재가 바퀴 스탠드와 활주 슬리브 사이에 배열된다.
또한, 길이방향 샤프트는 활주 슬리브 내로 연장되고, 핀 샤프트를 통해서 활주 슬리브에 연결된다.
또한, 바퀴의 허브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 홀을 구비하고, 횡방향 샤프트는 결합 홀에 진입하여 바퀴를 잠금할 수 있거나 결합 홀을 빠져 나가 바퀴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이동 가능 프레임은 바퀴 시트를 구비하고, 바퀴는 바퀴 스탠드를 가지며, 바퀴 스탠드는 수직으로 배열된 중공형 샤프트를 통해서 바퀴 시트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잠금 부재는 서로 수직으로 배열된 횡방향 샤프트 및 길이방향 샤프트를 포함하고, 길이방향 샤프트는 바퀴 스탠드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고, 길이방향 샤프트의 축은 바퀴의 롤링 축에 수직이며; 제2 케이블의 제2 단부는 길이방향 샤프트에 연결되고; 바퀴의 허브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 홀을 구비하고, 횡방향 샤프트는 결합 홀에 진입하여 바퀴를 잠금할 수 있거나 결합 홀을 빠져 나가 바퀴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부재는 슬리브 부분 및 슬리브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페달 부분을 포함하고, 이동 가능 프레임의 수평 튜브는 슬리브 부분으로 둘러싸이고, 구동 부재는 미리 결정된 각도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는 초기 위치 및 제동 위치를 가지며;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은 제동 위치에서 구동 부재를 잠금하도록 구성된 잠금 조립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잠금 조립체는 수평 튜브의 외측에 배열된 잠금 돌출부를 포함하고; 슬리브 부분은 잠금 돌출부에 대해서 접경되는 단부 표면을 구비하고, 단부 표면은 잠금 함몰부를 구비하고; 잠금 돌출부가 잠금 함몰부와 결합될 때, 구동 부재는 제동 위치에서 잠금된다.
또한, 잠금 돌출부는 탄성적으로 연장될 수 있는 잠금 핀에 의해서 형성되고, 잠금 핀의 축은 수평 튜브의 축방향에 평행하다.
또한, 수평 튜브의 단부 부분은 바퀴 시트를 구비하고, 바퀴 시트는 장착 홀을 구비하며, 제2 탄성 부재 및 잠금 핀이 장착 홀 내에 배열되고, 잠금 함몰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잠금 핀의 단부 부분은 원형 원호 또는 절두 원추의 형상이다.
또한, 단부 표면은 잠금 돌출부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 홈을 더 구비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은 전술한 이동 가능 프레임 및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유모차를 제공하고, 이동 가능 프레임은 앞바퀴 및 뒷바퀴를 포함하고, 뒷바퀴는, 뒷바퀴가 모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중공형 샤프트를 통해서 이동 가능 프레임에 장착되고,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은 뒷바퀴를 잠금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동 가능 프레임은 바퀴 시트를 구비하고, 뒷바퀴는 바퀴 스탠드를 가지며, 바퀴 스탠드는, 뒷바퀴가 모든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바퀴 시트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유모차는 바퀴 세트 배향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바퀴 세트 배향 메커니즘은 바퀴 스탠드의 회전을 잠금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퀴 세트 배향 메커니즘은 동작 부분, 제3 케이블, 위치결정 핀(locating pin), 및 제2 탄성 리셋 부재를 포함하고, 동작 부분은 제3 케이블의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제3 케이블의 제2 단부는 위치결정 핀에 연결되며, 위치결정 핀의 축은 바퀴 스탠드의 회전 축에 평행하고; 바퀴 스탠드는 위치결정 홀을 구비하고, 제2 탄성 리셋 부재는 위치결정 핀을 구동시켜 위치결정 홀 내로 연장시키도록 구성되며, 동작 부분은 위치결정 핀을 제3 케이블을 통해서 위치결정 홀의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동 가능 프레임은 앞바퀴의 쌍 및 뒷바퀴의 쌍을 포함하고, 앞바퀴 및 뒷바퀴의 각각은 모든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동 가능 프레임에 장착되며, 바퀴 세트 배향 메커니즘은 뒷바퀴의 쌍의 양 바퀴 스탠드의 회전을 잠금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 내의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뒷바퀴, 및 프레임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 내의 뒷바퀴,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및 바퀴 세트 배향 메커니즘의 부분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구동 부재를 생략한,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 내의 뒷바퀴 및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 내의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의 구동 부재의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 내의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의 구동 부재의 다른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케이블의 구조가 도시된,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 내의 뒷바퀴 및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의 부분 전방 단면도이다.
도 10은, 용이한 설명을 위해서 바퀴 스탠드를 생략한,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 내의 뒷바퀴 및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구동 부재가 그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 내의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의 잠금 부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구동 부재가 제동 위치에 있을 때,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 내의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의 잠금 부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2 케이블의 다른 구조가 도시된,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 내의 뒷바퀴 및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의 부분 전방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제2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본원의 기술 내용, 구조적 특징 및 달성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구현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이하에서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0)는 유아용 스트롤러(baby stroller)이다. 유모차(100)는 이동 가능 프레임(1) 및 이동 가능 프레임(1)에 장착된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시트를 포함할 수 있고, 유모차(100)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유모차(100)의 유형이 유아용 스트롤러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의 적용 범위가 또한 유모차(100)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프레임"으로 지칭되는) 이동 가능 프레임(1)은 앞바퀴(2)의 쌍 및 뒷바퀴(3)의 쌍을 구비할 수 있다. 앞바퀴(2)는 유니버셜 회전 바퀴일 수 있고, 뒷바퀴(3)는 또한 예를 들어 유니버셜 회전 바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뒷바퀴(3)는, 예를 들어, 바퀴 스탠드(31)를 구비하고, 수평 튜브(12)가 프레임(1)의 후방 단부 아래에 배열되고, 수평 튜브(12)는 2개의 측면에서 바퀴 시트(11)를 각각 구비한다. 바퀴 시트(11)는 그에 각각 상응하는 뒷바퀴(3)의 바퀴 스탠드(31)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바퀴 스탠드(31)가 뒷바퀴(3)를 유니버셜 회전 구동시킬 수 있게 한다. 바퀴 스탠드(31)의 회전 축이 수평 튜브(12)의 축에 수직이고, 뒷바퀴(3)의 롤링 축이 바퀴 스탠드(31)의 회전 축에 수직인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유모차(100)가 수평 평면에서 주행할 때, 바퀴 스탠드(31)의 회전 축은 수평 평면에 대체로 수직이고, 뒷바퀴(3)의 롤링 축은 수평 평면에 대체로 평행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4)이 프레임(1)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4)은 2개의 뒷바퀴(3)를 동시에 잠금하여 뒷바퀴(3)의 롤링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유모차(100)의 제동을 실현한다.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4)은 2개의 뒷바퀴(3)를 동시에 잠금 해제하여, 뒷바퀴(3)가 롤링되게 그리고 유모차(100)가 정상적으로 주행하게 할 수 있다.
바퀴 세트 배향 메커니즘(5)이 프레임(1) 상에 배열된다. 바퀴 세트 배향 메커니즘(5)은 2개의 뒷바퀴(3)의 바퀴 스탠드들(31)의 회전을 동시에 제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바퀴 스탠드(31)가 그 회전 축을 중심으로 유니버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퀴 세트 배향 메커니즘(5)은 2개의 뒷바퀴(3)의 바퀴 스탠드들(31)의 회전 제한을 동시에 해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바퀴 스탠드(31)가 그 회전 축을 중심으로 유니버셜 회전하게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4)의 구조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4)은 구동 부재(41), 잠금 조립체(410)(도 9 참조), 2개의 브레이크 조립체, 및 제1 탄성 부재(44)(도 9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조립체는, 예를 들어 구동 핀(42), 견인 부재(제1 케이블 및 제2 케이블), 잠금 부재(43), 및 제1 탄성 부재(44)를 포함하는, 대체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브레이크 조립체의 하나를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 부재(41)는 슬리브 부분(412) 및 슬리브 부분(412)으로부터 연장되는 페달 부분(411)을 포함할 수 있다. 슬리브 부분(412)은, 슬리브 부분(412)이 수평 튜브(12)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평 튜브(12)의 외측에 배열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슬리브 부분(412)은 2개의 반-원통형 구조물(412a 및 412b)의 접경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슬리브 부분(412)은 2개의 슈트(41a)를 대칭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평 튜브(12)는 2개의 세장형 홀(12a)을 구비할 수 있다. 하나의 세장형 홀(12a)이 하나의 슈트(41a)에 상응하고, 세장형 홀(12a)의 연장 방향은 수평 튜브(12)의 축방향에 평행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2개의 슈트(41a)가 수평 튜브(12) 상에 배열될 수 있고, 2개의 세장형 홀(12a)이 슬리브 부분(412) 상에 배열될 수 있다. 페달 부분(411)은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반-원통형 구조물(412a)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페달 부분(411)은, 사용자가 누르는 힘을 가할 때, 슬리브 부분(412)을 아래쪽으로 피벗되게 구동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구동 부재(41)는 제동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뒷바퀴(3)가 잠금되고, 회전될 수 없다. 페달 부분(411)은, 사용자가 상승시키는 힘을 가할 때, 슬리브 부분(412)을 위쪽으로 피벗되게 구동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구동 부재(41)는 초기 위치까지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뒷바퀴(3)가 잠금 해제되고,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잠금 조립체(410)는 구동 부재(41)를 제동 위치에서 잠금하도록 구성된다. 즉, 구동 부재(41)가 제동 위치로 회전될 때, 잠금 조립체(410)는 구동 부재(41)의 회전을 자동적으로 잠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구동 부재(41)를 제동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승시키는 힘을 페달 부분(411)에 인가할 때, 잠금 조립체(410)에 의해서 구동 부재(41)에 인가되는 잠금 힘이 극복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페달 부분(411)은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잠금 조립체(410)의 구조를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구동 핀(42)은 수평 튜브(12)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고, 구동 핀(42)의 축은, 예를 들어, 수평 튜브(12)의 축에 평행하다. 구동 핀(42)은 반경방향-돌출 활주 샤프트(42a)를 구비한다. 즉, 활주 샤프트(42a)의 축은 수평 튜브(12)의 축에 수직이다. 활주 샤프트(42a)는 세장형 홀(12a) 및 슈트(41a)의 상응 세트를 통과한다. 따라서, 구동 부재(41)가 초기 위치와 제동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될 때, 구동 부재(41)는 2개의 브레이크 조립체의 2개의 구동 핀들(42)을 동시에 구동시켜 활주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부재(41)가 회전될 때, 2개의 구동 핀(42)의 활주 샤프트(42a)가 슈트(41a)에 의해서 구동되어, 세장형 홀(12a)을 따라서 수평 튜브(12)의 축방향으로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활주될 수 있다. 2개의 활주 샤프트(42a)의 이동은 2개의 구동 핀(42)을 서로를 향해서 또는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하게 구동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구동 핀(42) 및 잠금 부재(43)가 동기화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각각의 브레이크 조립체의 구동 핀(42)이 견인 부재를 통해서 잠금 부재(43)에 연결된다. 견인 부재는 와이어 로프와 같은 가요성 케이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서, 견인 부재는 단일 케이블일 수 있다. 견인 부재는 구동 핀(42)에 연결된 일 단부 및 잠금 부재(43)에 연결된 타 단부를 갖는다.
도 9를 계속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견인 부재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케이블(48) 및 제2 케이블(49)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바퀴 시트(11)는 바퀴 시트(11)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중공형 샤프트(47)를 구비하고, 중공형 샤프트(47)는 대체로 수직으로 배열되고(중공형 샤프트(47)의 축은 수평 튜브(12)의 축에 대체로 수직이고), 뒷바퀴(3)의 바퀴 스탠드(31)는 중공형 샤프트(47)를 통해서 바퀴 시트(11)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케이블(48)의 제1 단부가 구동 핀(42)에 연결되고, 제1 케이블(48)의 제2 단부는 제2 케이블(49)의 제1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중공형 샤프트(47)의 내부 공동(470) 내로 연장되고, 제2 케이블(49)의 제2 단부는 잠금 부재(43)에 연결된다.
도 9에서, 제1 케이블(48)의 제2 단부는 연결부(48a)를 구비할 수 있고, 연결부(48a)는, 예를 들어, 중공형 샤프트(47)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부(48a)는 또한 연결 홈(480a)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케이블(49)은 제1 피벗 조인트(49a)를 갖는다. 제1 피벗 조인트(49a)는 연결 홈(480a)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1 피벗 조인트(49a)는 연결 홈(480a) 내에 있도록 구형 표면을 통해서 연결 홈(480a)의 홈 벽에 접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케이블(48) 및 제2 케이블(49)은 장력을 유지하면서 2개의 접합부에서 상대적인 회전을 할 수 있다. 도 9에서, 제1 피벗 조인트(49a)는 구형 헤드일 수 있고, 제2 케이블(49)의 견인 라인이 연결부(48a)의 관통 홀을 통해서 외측으로 이어진다. 제1 피벗 조인트(49a)는 연결 홈(480a)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케이블(49)이 뒷바퀴(3)와 함께 회전할 때, 제1 케이블(48) 및 제2 케이블(49)은 꼬이거나 감기지 않을 것이고, 그에 따라 구동 핀(42) 및 구동 부재(41)의 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일부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2 케이블(49)의 제1 피벗 조인트(49a)는, 예를 들어, 원통형, 원뿔형, 또는 총알 형상의 구조일 수 있다. 볼(49c)이 제1 피벗 조인트(49a)의 하부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케이블(49)의 견인 라인은, 볼(49c)을 통과한 후에, 연결부(48a)의 관통 홀을 통해서 외부로 이어진다. 볼(49c)은 연결 홈(480a)의 홈 벽에 대해서 접경되고, 그에 따라 제1 피벗 조인트(49a)는 저마찰의 저항 및 작은 소음을 가지고 연결 헤드(48a)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잠금 부재(43)는 뒷바퀴(3)를 잠금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제동 위치로 회전할 때, 구동 부재(41)가 구동 핀(42)을 구동하여 수평 튜브(12)의 축을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고, 구동 핀(42)은 잠금 부재(43)를 견인 부재를 통해서 구동하여 제1 탄성 리셋 부재(46)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잠금 이동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잠금 부재(43)는 잠금 위치로 이동하고, 이러한 잠금 위치에서 뒷바퀴(3)가 잠금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구동 부재(41)가 초기 위치로 회전될 때, 잠금 부재(43)는, 제1 탄성 리셋 부재(46)의 작용 하에서, 잠금 해제 위치로 복귀할 수 있고, 이러한 잠금 해제 위치에서 뒷바퀴(3)는 잠금 해제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형태에서, 잠금 부재(43)는 T-형상의 구조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잠금 부재(43)는 서로 수직으로 배열된 횡방향 샤프트(431) 및 길이방향 샤프트(4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으로부터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뒷바퀴(3)의 허브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 홀(32)을 구비할 수 있고, 횡방향 샤프트(431)가 뒷바퀴(3)의 반경방향을 따라서 이동하여 결합 홀(32)에 진입할 수 있거나 결합 홀(32)을 빠져 나올 수 있고, 그에 따라 뒷바퀴(3)를 잠금하거나 뒷바퀴(3)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길이방향 샤프트(432)는 바퀴 스탠드(31)와 직접적으로 활주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길이방향 샤프트(432)의 축은 뒷바퀴(3)의 롤링 축에 수직이다. 제2 케이블(49)의 제2 단부는 길이방향 샤프트(432)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제1 탄성 리셋 부재(46)는 바퀴 스탠드(31)와 길이방향 샤프트(432)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케이블(49)은 길이방향 샤프트(432)를 직접 당겨서, 횡방향 샤프트(431)가 결합 홀(32)에 진입할 수 있게 한다. 반대로, 제1 탄성 리셋 부재(46)는 길이방향 샤프트(432)를 밀어서, 횡방향 샤프트(431)가 결합 홀(32)을 빠져 나가게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계속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활주 슬리브(45)가 길이방향 샤프트(432)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방향 샤프트(432)는 활주 슬리브(45) 내로 연장될 수 있고, 핀 샤프트(451)를 통해서 활주 슬리브(45)에 연결된다. 활주 슬리브(45)는 뒷바퀴(3)의 바퀴 스탠드(31)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고, 활주 슬리브(45)의 축은 뒷바퀴(3)의 롤링 축에 수직일 수 있다. 제1 탄성 리셋 부재(46)는 바퀴 스탠드(31)와 활주 슬리브(45)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횡방향 샤프트(431)로부터 먼 활주 슬리브(45)의 단부 부분이 수용 홈(45a)을 구비할 수 있고, 제2 케이블(49)의 제2 단부가 제2 피벗 조인트(49b)를 구비하며, 제2 피벗 조인트(49b)는 수용 홈(45a)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2 피벗 조인트(49b)는, 활주 슬리브(45)의 단부 캡과 길이방향 샤프트(432) 사이에 수용되는 구형 헤드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2 피벗 조인트(49b)가 활주 슬리브(45)의 단부 캡에 대해서 접경되어 활주 슬리브(45)를 제2 케이블(49)에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케이블(49)은 활주 슬리브(45)를 구동하여 잠금 부재(43)의 횡방향 샤프트(431)가 결합 홀(32) 내에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탄성 리셋 부재(46)는 활주 슬리브(45)를 구동하여 잠금 부재(43)의 횡방향 샤프트(431)가 결합 홀(32)을 빠져 나가게 할 수 있다. 활주 슬리브(45)와 제2 피벗 조인트(49b)의 배열은 잠금 부재(43)와 제2 케이블(49) 사이의 상대적인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볼이 또한 제2 케이블(49)의 제2 피벗 조인트(49b)와 활주 슬리브(45)의 단부 캡 사이에 클램핑될 수 있다. 볼의 배열에 대해서는 도 13의 볼(49c)을 참조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탄성 부재(44)는 수평 튜브(12) 내에 위치되고 2개의 브레이크 조립체의 2개의 구동 핀들(42) 사이에 위치된다. 구동 부재(41)가 초기 위치로부터 제동 위치로 스위칭될 때, 제1 탄성 부재(44)는 압축된다. 제1 탄성 부재(44)는, 구동 부재(41)가 제동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스위칭될 때, 힘을 2개의 구동 핀(42)에 동시에 인가하고, 이는 2개의 구동 핀(42)의 반대 방향의 리셋 이동을 촉진하고, 구동 부재(41)는, 각각의 구동 핀(42)의 활주 샤프트(42a)와 상응 슈트(41a) 및 상응 세장형 홀(42a)의 결합을 통해서, 초기 위치에서 유지된다. 제1 탄성 리셋 부재(46)는 잠금 부재(43)를 잠금 해제 위치로 구동하고, 그에 따라 뒷바퀴(3)의 다음 제동을 촉진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잠금 조립체(410)의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잠금 조립체(410)는 구동 부재(41)를 제동 위치에서 잠금할 수 있거나, 구동 부재(41)를 제동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잠금 조립체(410)는 수평 튜브(12)의 외측에 배열된 잠금 돌출부(410b)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부재(41)의 슬리브 부분(412)은, 예를 들어, 잠금 돌출부(410b)에 대해서 접경되는 단부 표면(4101)을 구비할 수 있다. 단부 표면(4101)은 잠금 함몰부(410a)를 구비한다. 잠금 돌출부(410b)는, 페달 부분(411)이 눌릴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구동 부재(41)를 초기 위치로부터 제동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단부 표면(4101)과 접경된다. 잠금 함몰부(410a)는 구동 부재(41)가 제동 위치에 도달한 후에 잠금 돌출부(410b)와 결합되고, 그에 따라 구동 부재(41)를 제동 위치로 잠금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동 부재(41)는, 사용자가 구동 부재에 힘을 계속 가할 필요가 없이, 제동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제동 동작의 편의를 개선할 수 있다. 구동 부재(41)를 제동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스위칭할 필요가 있을 때, 페달 부분(411)이 상승되어 구동 부재(41)를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잠금 함몰부(410a)가 잠금 돌출부(410b)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잠금 돌출부(410b)는 탄성적으로 연장될 수 있는 잠금 핀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고, 잠금 핀의 축은 수평 튜브(12)의 축방향에 평행하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바퀴 시트(11)는 장착 홀(110)을 구비할 수 있고, 제2 탄성 부재(410c) 및 잠금 핀이 장착 홀(110)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410c)는 잠금 핀을 구동하여 장착 홀(110)의 외부로 연장시키도록 구성된다. 잠금 함몰부(410a)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잠금 핀의 단부 부분이 원형 원호 또는 절두 원추의 형상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부 표면(4101)은 잠금 돌출부(410b)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 홈(410d)을 더 구비할 수 있고, 잠금 함몰부(410a)는 안내 홈(410d)의 단부에 위치된다. 구동 부재(41)가 회전될 때, 잠금 돌출부(410b)가 안내 홈(410d)을 따라서 활주되어 구동 부재(41)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바퀴 세트 배향 메커니즘(5)은 동작 부분(51), 제3 케이블(52), 위치결정 핀(53), 및 제2 탄성 리셋 부재(54)를 포함한다. 제3 케이블(52)은 와이어 로프일 수 있다. 동작 부분(5)은 유모차(100)의 팔걸이 상에 배열될 수 있고 제3 케이블(52)의 제1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위치결정 핀(53)의 축은 바퀴 스탠드(31)의 회전 축에 평행하고, 위치결정 핀(53)은 프레임(1)의 바퀴 시트(11) 상에 활주 가능하게 배열된다. 제3 케이블(52)의 제2 단부가 위치결정 핀(53)에 연결된다. 바퀴 스탠드(31)는 위치결정 홀(105)을 구비하고, 제2 탄성 리셋 부재(54)는, 위치결정 핀(53)이 위치결정 홀(105) 내로 연장될 수 있게 하는 힘을 제공한다. 바퀴 스탠드(31)의 회전이 잠금되도록, 위치결정 핀(53)이 위치결정 홀(105) 내로 삽입되어 바퀴(3)의 위치를 결정한다. 동작 부분(51)이 동작되고, 제3 케이블(52)은 위치결정 핀(53)을 위치결정 홀(105)의 외부로 당길 수 있고, 그에 의해서 바퀴 스탠드(31)가 회전될 수 있게 한다.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00)의 동작 프로세스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유모차의 제동이 필요할 때, 페달 부분(411)을 눌러서 구동 부재(41)를 수평 튜브(12) 상에서 회전시킨다. 구동 부재(41)의 2개의 슈트(41a)가 2개의 브레이크 조립체의 활주 샤프트들(42a)을 구동시켜 서로를 향해서 이동시킨다. 이어서, 각각의 브레이크 조립체의 구동 핀(42)은 제1 케이블(48)을 구동하고, 제1 케이블(48)은 제2 케이블(49)을 구동하며, 제2 케이블(49)은 잠금 부재(43)를 구동하여 이동시키고, 잠금 부재(43)의 횡방향 샤프트(431)가 뒷바퀴(3)의 결합 홀(32)에 진입하여 뒷바퀴(3)의 롤링을 잠금할 수 있다. 잠금 조립체(410)의 잠금 돌출부(410b)는 구동 부재(41)의 잠금 함몰부(410a) 내에서 유지되고, 그에 따라 구동 부재(41)는 제동 위치에서 유지되고, 유모차(100)는 제동 상태로 유지된다. 유모차(100)를 잠금 해제할 필요가 있을 때, 페달 부분(411)을 상승시켜 구동 부재(41)의 잠금 함몰부(410a)를 잠금 조립체(410)의 잠금 돌출부(410b)로부터 분리한다. 구동 부재(41)는 제1 탄성 부재(44)의 작용 하에서 리셋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케이블(48) 및 제2 케이블(49)을 느슨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잠금 부재(43)는 제1 탄성 리셋 부재(46)의 작용 하에서 이동하고, 횡방향 샤프트(431)는 결합 홀(32)을 빠져 나오며, 이어서 바퀴(3)가 잠금 해제되고, 유모차(100)가 주행할 수 있다.
유모차(100)의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을 때, 동작 부분(51)이 제3 케이블(52)을 구동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동작 부분(51)이 동작될 수 있고, 제3 케이블(52)은 위치결정 핀(53)을 구동하여 위치결정 홀(105)을 빠져 나오게 하며, 그에 따라 바퀴(3)의 바퀴 스탠드(31)는 중공형 샤프트(47)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유모차(100)의 앞바퀴(2) 및 뒷바퀴(3)가 모든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유모차(100)는 자유롭게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유모차의 방향을 바꿀 필요가 없을 때, 동작 부분(51)이 해제되고, 위치결정 핀(53)은 제2 탄성 리셋 부재(54)의 작용 하에서 위치결정 홀(105) 내로 재-삽입되고, 그에 따라 뒷바퀴(3)의 바퀴 스탠드(31)를 잠금한다. 이러한 경우에, 유모차(100)의 뒷바퀴(3)는 롤링만을 할 수 있고 모든 방향으로 회전할 수는 없다. 제3 케이블(52)을 구동하는 동작 부분(51)의 특정 구조가 알려진 구조일 수 있고, 본원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라, 하나의 구동 부재(41)가 2개의 구동 핀(42)을 구동하여 활주시키고, 2개의 구동 핀(42)은, 2개의 견인 부재를 통해서, 2개의 뒷바퀴(3) 부근에 배열된 2개의 잠금 부재(43)를 당기고, 그에 따라 1번의 누름으로 이중 브레이크의 기능을 구현한다. 또한, 브레이크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다. 또한, 바퀴(3)의 바퀴 스탠드(31)가 프레임(1)의 바퀴 시트(11)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모차(100)가 자유롭게 방향을 바꿀 수 있게 한다. 또한, 바퀴(3)의 바퀴 스탠드(31)는 바퀴 세트 배향 메커니즘(5)에 의해서 잠금되거나 잠금 해제되고, 그에 따라 바퀴 스탠드(31)의 회전을 잠금하거나 바퀴 스탠드(31)의 회전을 잠금 해제하고, 이는 유모차 사용의 편의성 및 유연성을 크게 개선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원의 예일 뿐이고, 확실하게 본원의 범위를 제한하는 데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본원의 특허 범위에 따라 이루어진 동등한 변경은 여전히 본원에 포함되는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이동 가능 프레임의 바퀴를 잠금하기 위한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이며, 상기 바퀴는, 상기 바퀴가 모든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중공형 샤프트를 통해서 상기 이동 가능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은:
    상기 이동 가능 프레임에 장착된 구동 부재; 및
    구동 핀, 견인 부재, 및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조립체로서, 상기 구동 핀은 상기 구동 부재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견인 부재는 제1 케이블 및 제2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블의 제1 단부는 상기 구동 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케이블의 제2 단부는 상기 제2 케이블의 제1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중공형 샤프트의 내부 공동 내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케이블의 제2 단부는 잠금 부재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부재는 상기 구동 핀을 구동하여 활주시키도록, 그에 따라 상기 견인 부재가 상기 잠금 부재를 활주시켜 상기 바퀴를 잠금하도록 구성되는,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슬리브 부분 및 상기 슬리브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페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가능 프레임의 수평 튜브가 상기 슬리브 부분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수평 튜브 및 슬리브 부분 중 하나는 세장형 홀을 구비하고, 상기 수평 튜브 및 슬리브 부분 중 다른 하나는 슈트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부재는 미리 결정된 각도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는 초기 위치 및 제동 위치를 가지며;
    상기 구동 핀은 수평 튜브로 둘러싸이며, 상기 구동 핀은 세장형 홀 및 슈트를 통과하는 반경방향-돌출 활주 샤프트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구동 부재는, 초기 위치와 제동 위치 사이에서 스위칭될 때, 상기 활주 샤프트를 구동시켜 상기 세장형 홀 및 슈트 내에서 활주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구동 핀이 상기 수평 튜브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기 잠금 부재가 바퀴를 잠금 해제 또는 잠금할 수 있게 하는,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핀에 작용하도록, 그에 따라 상기 구동 핀을 통해서 상기 구동 부재를 초기 위치에서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1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조립체는, 상기 잠금 부재에 작용하여 상기 바퀴가 잠금 해제되는 잠금 해제 위치에서 상기 잠금 부재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제1 탄성 리셋 부재를 더 포함하는,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분은 2개의 슈트를 대칭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수평 튜브는 상기 2개의 슈트에 각각 상응하는 2개의 세장형 홀을 구비하며;
    상기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은 2개의 브레이크 조립체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브레이크 조립체의 잠금 부재는 이동 가능 프레임의 2개의 바퀴를 잠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2개의 브레이크 조립체의 각각의 활주 샤프트는 상응하는 슈트 및 세장형 홀의 세트로 둘러싸이며; 그리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2개의 브레이크 조립체의 상기 구동 핀들 사이에 클램핑되는,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의 제2 단부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연결 홈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케이블의 제1 단부는 제1 피벗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피벗 조인트는 상기 연결 홈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는,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 프레임은 바퀴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바퀴는 바퀴 스탠드를 가지며, 상기 바퀴 스탠드는 수직으로 배열된 상기 중공형 샤프트를 통해서 상기 바퀴 시트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서로 수직으로 배열된 횡방향 샤프트 및 길이방향 샤프트를 포함하고, 활주 슬리브가 상기 길이방향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활주 슬리브는 상기 바퀴 스탠드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활주 슬리브의 축은 상기 바퀴의 롤링 축에 수직이며, 상기 횡방향 샤프트로부터 먼 상기 활주 슬리브의 단부 부분은 수용 홈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케이블의 제2 단부는 제2 피벗 조인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피벗 조인트는 상기 수용 홈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는,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8. 제7항에 있어서,
    제1 탄성 리셋 부재가 상기 바퀴 스탠드와 상기 활주 슬리브 사이에 배열되는,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샤프트는 상기 활주 슬리브 내로 연장되고, 핀 샤프트를 통해서 상기 활주 슬리브에 연결되는,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의 허브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 홀을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 샤프트는 상기 결합 홀에 진입하여 상기 바퀴를 잠금할 수 있거나 상기 결합 홀을 빠져 나가 상기 바퀴를 잠금 해제할 수 있는,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 프레임은 바퀴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바퀴는 바퀴 스탠드를 가지며, 상기 바퀴 스탠드는 수직으로 배열된 상기 중공형 샤프트를 통해서 상기 바퀴 시트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잠금 부재는 서로 수직으로 배열된 횡방향 샤프트 및 길이방향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방향 샤프트는 상기 바퀴 스탠드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길이방향 샤프트의 축은 상기 바퀴의 롤링 축에 수직이며;
    상기 제2 케이블의 제2 단부는 상기 길이방향 샤프트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바퀴의 허브가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 홀을 구비하고, 상기 횡방향 샤프트는 상기 결합 홀에 진입하여 상기 바퀴를 잠금할 수 있거나 상기 결합 홀을 빠져 나가 상기 바퀴를 잠금 해제할 수 있는,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슬리브 부분 및 상기 슬리브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페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가능 프레임의 수평 튜브가 상기 슬리브 부분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구동 부재는 미리 결정된 각도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는 초기 위치 및 제동 위치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은 상기 제동 위치에서 상기 구동 부재를 잠금하도록 구성된 잠금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조립체는 상기 수평 튜브의 외측에 배열된 잠금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부분은 상기 잠금 돌출부에 대해서 접경되는 단부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단부 표면은 잠금 함몰부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잠금 돌출부가 상기 잠금 함몰부와 결합될 때, 상기 구동 부재는 제동 위치에서 잠금되는,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돌출부는 탄성적으로 연장될 수 있는 잠금 핀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잠금 핀의 축은 상기 수평 튜브의 축방향에 평행한,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튜브의 단부 부분은 바퀴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바퀴 시트는 장착 홀을 구비하며, 제2 탄성 부재 및 잠금 핀이 상기 장착 홀 내에 배열되고, 상기 잠금 함몰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상기 잠금 핀의 단부 부분은 원형 원호 또는 절두 원추의 형상인,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표면은 상기 잠금 돌출부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 홈을 더 구비하는,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17. 이동 가능 프레임, 및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유모차이며, 상기 이동 가능 프레임은 앞바퀴 및 뒷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뒷바퀴는, 상기 뒷바퀴가 모든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중공형 샤프트를 통해서 상기 이동 가능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은 뒷바퀴를 잠금하도록 구성되는, 유모차.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 프레임은 바퀴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뒷바퀴는 바퀴 스탠드를 가지며, 상기 바퀴 스탠드는, 상기 뒷바퀴가 모든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바퀴 시트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유모차는 바퀴 세트 배향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퀴 세트 배향 메커니즘은 상기 바퀴 스탠드의 회전을 잠금하도록 구성되는, 유모차.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 세트 배향 메커니즘은 동작 부분, 제3 케이블, 위치결정 핀, 및 제2 탄성 리셋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부분은 상기 제3 케이블의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케이블의 제2 단부는 상기 위치결정 핀에 연결되며, 상기 위치결정 핀의 축은 상기 바퀴 스탠드의 회전 축에 평행하고; 그리고
    상기 바퀴 스탠드는 위치결정 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탄성 리셋 부재는 상기 위치결정 핀을 구동시켜 상기 위치결정 홀 내로 연장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동작 부분은 상기 위치결정 핀을 상기 제3 케이블을 통해서 상기 위치결정 홀의 외부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유모차.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 프레임은 앞바퀴의 쌍 및 뒷바퀴의 쌍을 포함하고, 상기 앞바퀴 및 뒷바퀴의 각각은 모든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이동 가능 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바퀴 세트 배향 메커니즘은 상기 뒷바퀴의 쌍의 양 바퀴 스탠드의 회전을 잠금하도록 구성되는, 유모차.
KR1020237017118A 2020-10-22 2021-10-22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및 유모차 KR202300930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143964.3A CN114379639A (zh) 2020-10-22 2020-10-22 轮组刹车机构及婴儿车
CN202011143964.3 2020-10-22
PCT/EP2021/079357 WO2022084515A1 (en) 2020-10-22 2021-10-22 Wheel set brake mechanism and baby transpor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3005A true KR20230093005A (ko) 2023-06-26

Family

ID=7841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7118A KR20230093005A (ko) 2020-10-22 2021-10-22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및 유모차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406390A1 (ko)
EP (1) EP4232342A1 (ko)
JP (1) JP2023548806A (ko)
KR (1) KR20230093005A (ko)
CN (2) CN114379639A (ko)
AU (1) AU2021366326A1 (ko)
CA (1) CA3199312A1 (ko)
DE (1) DE112021005583T5 (ko)
TW (1) TWI793822B (ko)
WO (1) WO20220845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27822A (zh) * 2022-06-08 2023-12-15 明门(中国)幼童用品有限公司 驻车结构和儿童车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51422Y (zh) * 2007-11-13 2008-11-19 钟志群 后轮变向式手刹童车
JP6239283B2 (ja) * 2013-07-05 2017-11-29 コンビ株式会社 キャスター及び乳母車
CN204020960U (zh) * 2014-08-25 2014-12-17 肖德恩 一种婴儿手推车的一踩双刹机构
JP6407703B2 (ja) * 2014-12-19 2018-10-17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CN109466613A (zh) * 2018-12-11 2019-03-15 周巍 拉力控制的自动刹车轮架及车轮装置
CN111391910A (zh) * 2020-05-19 2020-07-10 昆山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童车的刹车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366326A1 (en) 2023-06-22
CN114379639A (zh) 2022-04-22
CN116507547A (zh) 2023-07-28
TW202319278A (zh) 2023-05-16
TW202220884A (zh) 2022-06-01
CA3199312A1 (en) 2022-04-28
JP2023548806A (ja) 2023-11-21
US20230406390A1 (en) 2023-12-21
DE112021005583T5 (de) 2023-08-31
EP4232342A1 (en) 2023-08-30
TWI793822B (zh) 2023-02-21
WO2022084515A1 (en)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9549B (zh) 嬰兒車(二)
EP1764281B1 (en) Baby stroller frame with seat direction changing mechanism
US20080224450A1 (en) Device for transporting a child
US7219918B2 (en) Stroller having a brake device
CN107128350B (zh) 一种折叠婴儿推车
KR102245979B1 (ko) 캐스터 및 유모차
KR20070085259A (ko) 유모차
KR20230093005A (ko) 바퀴 세트 브레이크 메커니즘 및 유모차
JP7210653B2 (ja) ベビーカーのブレーキ機構及びそれを備えるベビーカー
TWI767319B (zh) 兒童載具
US10259483B2 (en) Braking system for a stroller
TWI659879B (zh) Baby carriage
TWI835517B (zh) 輪組煞車機構及嬰兒車
CN116001900A (zh) 轮组刹车机构及婴儿车
CN210416705U (zh) 一种刹车装置及儿童推车
JP6785163B2 (ja) 双輪およびそれを備えた乳母車
CN111361624A (zh) 联动解锁的儿童推车
US20140339858A1 (en) Cable actuators and cable actuated apparatuses and systems
JP3215844U (ja) キャスタ装置および収納ラック
US20240131968A1 (en) Child holding device, more particularly stroller
CN113071390B (zh) 椅体旋转及仰俯角调节机构及儿童安全座椅
CN113085441A (zh) 后轮旋转锁控机构及其幼儿载具
EP3912886A1 (en) Locking/unlocking device and hand-propelled vehicle comprising said locking/unlocking device
CN219467827U (zh) 一种儿童座兜及具有该座兜的儿童推车
CN116039749A (zh) 一种刹车装置及儿童推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