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927A - 표피재 - Google Patents

표피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927A
KR20230088927A KR1020237019685A KR20237019685A KR20230088927A KR 20230088927 A KR20230088927 A KR 20230088927A KR 1020237019685 A KR1020237019685 A KR 1020237019685A KR 20237019685 A KR20237019685 A KR 20237019685A KR 20230088927 A KR20230088927 A KR 20230088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fabric
layer
surface layer
skin material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7390B1 (ko
Inventor
히데오 이케나가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88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0Open-work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4Upholstered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47C27/007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permeable to liquid or air in a special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91Seat covering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seat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0Physical properties porou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10B2403/0213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with apertures, e.g. with one or more mesh fabric pl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8Upholstery, mattress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Abstract

탈것이나 가구 등의 좌석 시트나, 탈것의 내장재 등의 표피재에 있어서, 높은 청량성, 땀참 방지성을 가짐과 동시에, 면파스너의 훅부 등의 딱딱한 돌기물에 의해 표면이 긁혀도, 보풀 일어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표피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피재는, 표층(表層)의 편지(編地)와, 이층(裏層)의 편지와, 이 표층의 편지와 이층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連結絲)로 이루어진 연결층을 포함하는 입체 편물로 구성되는 표피재로서, 이 표층의 편지의 외측면을 인체와 접촉하는 면으로 하고, 또한, 이 표층의 편지의 코(stitch) 치밀도가 11500 이상 2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피재
본 발명은 표피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표리 2층의 편지(編地)와 상기 2층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連結絲)로 구성된 입체 편물은, 연결사에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함으로써 두께 방향으로 쿠션성을 갖고, 또한, 표리면의 편지를 메쉬 구조로 하여 높은 통기성을 확보함으로써, 청량하고 땀참 방지성이 높은 쿠션재로서, 좌석 시트나 침구 등의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입체 편물을 탈것이나 가구 등의 좌석 시트나 탈것의 내장재 등의 표피재에 이용하는 경우, 입체 편물의 표면이 개구율이 큰 메쉬형이면 높은 통기성은 발현되지만, 표피재에 요구되는 표면의 내마모성 등의 내구성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입체 편물의 표면의 내마모성 대책으로서, 이하의 특허문헌 1에는, 표층의 편지를 단사(單絲) 섬도 1∼10 데시텍스의 멀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한 개공율이 35% 이하의 치밀한 조직으로 하고, 또한, 표층의 편지의 코(stitch) 치밀도를 4000∼11000의 입체 편물로 함으로써, 소프트한 표면 감촉과 소프트한 탄력감을 갖고, 또한, 테이버 마모성이 우수하며, 장기간 사용해도 외관 변화가 적은 입체 편물이 얻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특허문헌 2에는, 입체 편물의 6.54 ㎠의 면적 중에 존재하는 연결사의 총 단면적을 특정 범위로 하고, 표층의 편지의 동일 코에 있어서의 멀티필라멘트의 겉보기 직경과 모노필라멘트의 직경의 관계를 적정화하며, 표층의 편지의 개구율을 35% 이하의 치밀한 편조직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굵은 모노필라멘트를 사용하여 반발감을 늘려도, 모노필라멘트의 번쩍임, 까슬까슬함을 억제하여, 표면이 매끄러운 촉감의 입체 편물이 얻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특허문헌 3에는, 입체 편물의 총 커버 팩터를 특정 범위로 하고, 표면의 메쉬 개공 면적을 소정값 이하로 하며, 표면의 마찰계수의 변동 MMD를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까슬까슬함이 적어 피부 자극이 적은 입체 편물이 얻어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2989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83118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4438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입체 편물은, 테이버 마모성은 개선되어 있으나, 면파스너의 훅부 등의 딱딱한 돌기물로 긁혀질 때의 보풀 일어남을 억제하기 위한 표면 상태나, 표면의 오목부의 상태에 대해서는 하등 고려되어 있지 않아, 돌기물로의 긁힘에 의한 보풀 일어남 억제 성능은 불충분한 것이었다.
또한,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의 입체 편물은, 표면을 치밀한 편조직으로 하고 있으나, 면파스너의 훅부 등의 딱딱한 돌기물로 긁혀졌을 때의 보풀 일어남을 억제하기 위한 표면 상태나, 표면의 오목부의 상태에 대해서는 하등 고려되어 있지 않아, 보풀 일어남 억제 성능이 불충분한 것이었다.
이상의 종래 기술의 수준을 감안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탈것이나 가구 등의 좌석 시트나 탈것의 내장재 등의 표피재에 있어서, 높은 청량성, 땀참 방지성을 가짐과 동시에, 면파스너의 훅부 등의 딱딱한 돌기물에 의해 표면이 긁혀도, 보풀 일어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표피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하여 실험을 거듭한 결과, 표층(表層)의 편지와, 이층(裏層)의 편지와, 이 표층의 편지와 이 이층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된 입체 편물을 포함하는 표피재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의 코 치밀도를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예상 외로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이다.
[1] 표층의 편지와, 이층의 편지와, 이 표층의 편지와 이 이층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이루어진 연결층을 포함하는 입체 편물로 구성되는 표피재로서, 이 표층의 편지의 외측면을 인체와 접하는 면으로 하고, 또한, 이 표층의 편지의 코 치밀도가 11500 이상 2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재.
[2] 상기 표층의 편지의 코 치밀도가 13000 이상 19000 이하인, 상기 [1]에 기재된 표피재.
[3] 상기 표층의 편지의 코 치밀도가 14000 이상 19000 이하인, 상기 [2]에 기재된 표피재.
[4]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깊이 250 ㎛에 있어서의 개구율이, 15% 이상 70% 이하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피재.
[5]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와 이층의 편지 사이의 연결층측으로부터 표층의 편지를 향해 투과하는 통기도가, 33 ㏄/㎠/sec 이상인,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피재.
[6]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와 이층의 편지 사이의 연결층측으로부터 표층의 편지를 향해 투과하는 통기도가, 40 ㏄/㎠/sec 이상인, 상기 [5]에 기재된 표피재.
[7]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와 이층의 편지 사이의 연결층측으로부터 표층의 편지를 향해 투과하는 통기도가, 50 ㏄/㎠/sec 이상인, 상기 [6]에 기재된 표피재.
[8]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와 이층의 편지 사이의 연결층측으로부터 표층의 편지를 향해 투과하는 통기도가, 400 ㏄/㎠/sec 이하인,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피재.
[9]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에 짜 넣어지는 연결사의 코수가, 이 표층의 편지의 총 코수의 1/4 이상 1/2 이하인,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피재.
[10]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가 실 빼기 배열로 이루어진 메쉬 조직을 포함하고, 메쉬 조직의 개구부의 사이즈가 0.3 ㎜ 이상 2.5 ㎜ 이하인, 상기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피재.
[11]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가 기모(起毛)되어 있지 않은, 상기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피재.
[12] 상기 입체 편물의 두께가 2.5 ㎜ 이상 12 ㎜ 이하인, 상기 [1]∼[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피재.
[13] 좌석 시트용인, 상기 [1]∼[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피재.
[14]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와 이층의 편지 사이의 연결층측으로부터 표층의 편지를 향해 투과하는 통기도가, 400 ㏄/㎠/sec 이하이고,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가 기모되어 있지 않으며, 좌석 시트용인, 상기 [1]∼[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피재.
본 발명의 표피재는, 높은 청량성, 땀참 방지성을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면파스너의 훅부 등의 딱딱한 돌기물에 의해 표면이 긁혀도, 보풀 일어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메쉬 조직의 개구부의 사이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표층의 편지와, 이층의 편지와, 이 표층의 편지와 이 이층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이루어진 연결층을 포함하는 입체 편물로 구성되는 표피재로서, 이 표층의 편지의 외측면을 인체와 접하는 면으로 하고, 또한, 이 표층의 편지의 코 치밀도가 11500 이상 2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재이다.
본 실시형태의 표피재는, 표층의 편지와, 이층의 편지와, 이 표층의 편지와 이 이층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로 구성된 입체 편물을 포함한다. 상기 입체 편물은, 더블 라셀 경편기나 더블 환편기에 의해 편성되고, 편기(編機)의 게이지는 18∼28 게이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표피재를 구성하는 입체 편물은, 표피재의 인체와 접하는 면측이 되는 표층의 편지의 코 치밀도가 11500 이상 20000 이하인 것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 중, 용어 「코 치밀도」란, 하기 식:
코 치밀도 M=N×√D
{식 중, N은, 가로 세로 2.54 ㎝당 표층의 편지의 코수(개)이고, D는, 표층의 편지의 1개의 코를 형성하는 섬유의 총 섬도(데시텍스)이다.}로 표시되는 표층의 편지의 코의 치밀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또한, 「표층의 편지의 1개의 코를 형성하는 섬유의 총 섬도」란, 연결사의 섬도를 제외하고, 삽입 뜨기 등의 코를 형성하지 않는 섬유를 제외한, 코를 형성하는 섬유만의 총 섬도를 가리킨다. 또한, 「인체와 접하는 면」이란, 표피재를 탈것이나 가구 등의 좌석 시트나 탈것의 내장재로서 사용한 경우에, 인체와 접하게 되는 면을 가리키고 있고, 좌석 시트 용도의 경우에는 착좌면(着座面)이다.
코 치밀도가 11500 미만이면, 면파스너의 훅부 등의 돌기물이 표층의 코의 단섬유에 걸리기 쉬워져, 단섬유가 절단되어 보풀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반대로, 코 치밀도가 20000을 초과하면, 표층의 코의 단섬유에 면파스너의 훅부 등의 돌기물이 걸리기 어려워지지만, 표층의 편지의 통기성이 저하됨으로써, 공기의 대류에 의한 열의 이동이나, 습기의 이동이 일어나기 어려워져, 표피재에의 착좌 시나 접촉 시의 청량감이나 땀 차는 느낌이 악화되는 것이 된다.
돌기물에 의한 보풀 일어남을 억제하고, 청량감, 땀 차는 느낌을 보다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 코 치밀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13000 이상 190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00 이상 19000 이하이다.
코 치밀도를 11500 이상 20000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표층의 편지에 사용하는 섬유의 섬도, 편기의 게이지, 기상(機上) 코스, 편조직, 히트 세트 등의 마무리 가공에서의 폭 감소율, 폭 내기율, 오버피드율, 언더피드율 등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층의 편지에 이용하는 섬유의 소재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일 소재여도, 복수의 소재가 혼섬, 합연(合撚), 혼방, 교편(交編) 등에 의해 복합화되어 있어도 좋으나, 원사 강도, 내광성의 면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의 장섬유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단섬유의 인발 저항을 크게 하여 면파스너의 훅부 등의 돌기물에 의해 편지 표면으로부터 단섬유가 인출되기 어렵게 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는, 가연 가공사, 인터레이스 가공사, 또는, 연사(撚絲)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층의 편지에 이용하는 섬유의 섬도는, 코 치밀도를 적정화하는 데 있어서, 100 데시텍스 이상 350 데시텍스 이하의 섬도의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표층의 편지를 형성하는 섬유로 이루어진 하나의 코의 총 섬도는 150 데시텍스 이상 800 데시텍스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표층의 편지에 이용하는 섬유가 멀티필라멘트인 경우, 그 단사 섬도는 1 데시텍스 이상 6 데시텍스 이하가 바람직하지만, 단사의 강력이 보다 높아지는 3 데시텍스 이상 6 데시텍스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연결사에 이용하는 섬유는 모노필라멘트가 바람직하다. 연결사에 모노필라멘트를 이용하는 경우, 그 섬도는, 편지 표면으로의 모노필라멘트의 돌출을 억제하고, 또한 양호한 쿠션성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30 데시텍스 이상 300 데시텍스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데시텍스 이상 250 데시텍스 이하이다.
입체 편물의 편지 표면으로 모노필라멘트가 돌출되면, 면파스너의 훅부 등의 돌기물에 걸리기 쉬워지기 때문에, 모노필라멘트가 표층의 편지의 외측면(즉, 표피재의 인체와 접하는 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표층의 편지를 형성하는 섬유의 코가 모노필라멘트의 코를 누르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서는 표층의 편지를 형성하는 섬유로 이루어진 하나의 코의 총 섬도 D1(데시텍스)에 대해, 모노필라멘트의 섬도 D2(데시텍스)는 이하의 관계식:
D1/D2≥3
을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표피재를 구성하는 입체 편물에 있어서는, 표층의 편지의 편조직은, 적어도 2장의 바디(reed)를 사용하여, 가이드 바로부터 실을 공급할 때에, 1인 1아웃이나 2인 2아웃 등의 실 빼기 배열로 한 메쉬 조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메쉬 조직으로 하면 편지 표면에 오목부가 발생하여 오목부에 훅부 등의 돌기물이 걸리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표피재를 구성하는 입체 편지에 있어서는, 외측면(최표층)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250 ㎛의 깊이에 있어서의 개구율이 15%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구율은, 메쉬 조직의 개구부뿐만 아니라, 표층의 편지의 메쉬 조직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의, 깊은 오목부가 있는 부분도 포함하여 산출하는 것으로 한다. 개구율이 70% 이하이면, 돌기물이 오목부의 단섬유에 걸리기 어려워지고, 또한, 개구율이 15% 이상이면, 표층의 편지의 통기도가 충분해져, 열이나 습기의 이동이 하기 쉬워, 청량감이나 땀 차는 느낌이 우수한 것이 된다. 최표층으로부터 250 ㎛의 깊이에 있어서의 개구율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20% 이상 60% 이하,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20% 이상 50% 이하이다.
표층의 편지의 메쉬 조직의 개구부의 사이즈가 0.3 ㎜ 이상 2.5 ㎜ 이하인 것이, 표층의 편지의 통기성을 확보하고 메쉬 조직의 개구부에 훅부 등의 돌기부가 걸리기 어려워지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 2.2 ㎜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메쉬 조직의 개구부란, 표층의 편지를 형성하는 세로 방향으로 연속되는 코열에 있어서, 일부의 또는 모든 코스에서, 인접하는 코열이 코스 방향(가로 방향)으로 0.3 ㎜ 이상으로 간극을 둠으로써 형성되는 공극을 말하며, 메쉬 조직의 개구부의 사이즈는, 상기 메쉬 조직의 개구부에 있어서, 코스 방향(가로 방향)의 수평선에서 가장 직선 거리가 길어지는 2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길이를 나타낸다. 도 1에, 인접하는 코(1, 2) 사이에, 사이즈(K)(㎜)의 메쉬 조직의 개구부(3)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메쉬 조직의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실이 삽입 뜨기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표피재는, 착좌 시나 접촉 시에 인체로부터의 열이나 습기를 이동시켜, 청량성, 땀참 방지성을 양호하게 하는 데 있어서,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와 이층의 편지 사이의 연결층(이하, 간단히 「연결층」이라고도 한다.)측으로부터 표층의 편지를 향해 투과하는 통기도가 33 ㏄/㎠/se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sec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sec 이상이다. 또한, 상기 통기도는 400 ㏄/㎠/se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중, 용어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와 이층의 편지 사이의 연결층측으로부터 표층의 편지를 향해 투과하는 통기도」란, JIS L1096 통기성 시험 방법(A법)의 흡인 조건에 준하여 입체 편물의 통기성을 측정할 때에, 입체 편물의 시험편 사이즈를 가로 세로 15 ㎝로 하고, 표층의 편지를 하측으로 하여 통기성 시험기의 개구부에 놓으며, 이층의 편지의 외측면에는 두께 3 ㎜, 가로 세로 20 ㎝의 실리콘 고무 플레이트를 겹침으로써 이층의 편지를 투과하는 공기를 차단하고, 입체 편물의 4변의 단면으로부터 들어가 연결층을 통해 표층의 편지를 투과하는 공기의 통기도를 말한다.
입체 편물의 연결층측으로부터 표층의 편지를 향해 투과하는 통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특히 연결층을 공기가 통과할 때의 압력 손실을 줄이는 것이 유효하며, 이를 위해서는, 입체 편물의 연결층을 형성하는 연결사의 개수를 표층의 편지의 코수에 대해 상대적으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에 짜 넣어지는 연결사의 코수가, 표층의 편지의 총 코수의 1/4 이상 1/2 이하(즉, 0.25 이상 0.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층의 편지의 총 코수란, 표측(表側) 편지 가로 세로 2.54 ㎝ 중에 있는 코수를 말하며, 코스수/2.54 ㎝와 웨일수/2.54 ㎝의 곱으로 구해진다.
또한, 통상 일반적인 JIS L1096 통기성 시험 방법(A법)으로 측정되는, 입체 편물의 이층의 편지로부터 표층의 편지를 투과하는 통기도는, 60 ㏄/㎠/sec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sec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sec 이상이다. 이층의 편지로부터 표층의 편지를 투과하는 통기도를 60 ㏄/㎠/sec 이상으로 함으로써, 벤틸레이션 시스템이 편입되어 있는 쿠션 부재와 조합하여 이용하는 좌석 시트용 표피재로서, 보다 적합하다.
입체 편물을 구성하는 섬유에는 임의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각종 섬유 소재가 복합되어 있어도 좋으나, 표층의 편지, 연결사, 이층의 편지 모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100%인 것이 머티리얼 리사이클이나 케미컬 리사이클 등, 리사이클의 용이함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섬유는 미염색이어도 좋으나, 염색 가공 시의 입체 편물의 성량 변동을 억제하는 데 있어서 원착사(原着絲) 또는 선염사(先染絲)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염색 공정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는 안료 등을 이겨 넣은 원착사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표피재를 구성하는 입체 편물의 두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표피재로서의 봉제성이나 취급성에서, 2.5 ㎜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상이며, 또한, 12 ㎜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 ㎜ 이하이다. 또한, 입체 편물의 단위 중량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400∼100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900 g/㎡이다.
본 실시형태의 표피재를 구성하는 입체 편물의 마무리 가공 방법은, 선염사나 원착사를 사용한 입체 편물의 경우, 생기(生機)를 정련, 히트 세트 등의 공정을 통해 마무리할 수 있으나, 공정 간략화의 면에서 히트 세트만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결사 또는 표리 2층의 편지에 이용하는 섬유 중 어느 하나가 미착색인 입체 편물의 경우, 생기를 프리세트, 정련, 염색, 히트 세트 등의 공정을 통해 마무리할 수 있다. 또한,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는, 기모되어 있지 않은 것이, 청량감, 땀참 방지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표피재는 탈것이나 가구 등의 좌석 시트나, 탈것의 도어 트림, 천장, 암 레스트, 계기판 등의 내장재 등의 표피재에 이용되고, 종래의 표피재와 같이 이면에 우레탄을 라미네이트할 수 있으나, 라미네이트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 쪽이 리사이클성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표피재는 입체 편물 단독으로 구성되어도 좋으나, 디자인성이나 기능성의 면에서, 다른 소재와 봉제나 접착 등에 의해 조합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표피재는, 높은 내마모성이 요구되며, 사람이 접할 때의 청량감, 땀참 방지성의 기능을 보다 발휘할 수 있는, 좌석 시트용으로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 실시예 등에 있어서 이용한 입체 편물의 각종 물성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은 것이었다.
(a) 표층의 편지의 코 치밀도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로부터 10 ㎝ 이상의 실을 뽑아내고, 15 gf의 하중을 1개의 실에 가했을 때의 길이와 중량을 측정하여, 1개의 실의 섬도를 계산한다. 표층의 편지의 1개의 코를 형성하는 섬유가 2개 이상의 실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실의 섬도를 계산하여 합계함으로써, 총 섬도 D(데시텍스)를 측정한다. 이때, 연결사는 포함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입체 편물을 편성하기 전에 표층의 편지의 코를 형성하는 섬유의 섬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JIS L 1013에 준거하여 측정한다. 또한, 입체 편물의 코스수/2.54 ㎝와 웨일수/2.54 ㎝의 곱 N을 측정하여, 표층의 편지의 코 치밀도를 하기 식:
코 치밀도 M=N×√D
에 의해 산출한다.
(b) 표층의 편지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깊이 250 ㎛에 있어서의 개구율(%)
기엔스사 제조의 원 샷 3D 측정 마이크로스코프 VR-3000을 이용하여, 배율 25배∼38배로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의 외측면을 오토포커스, 3D 측정으로 촬영한다. 촬영된 3D 화상의 표층의 편지의 최표층면을 임의의 높이에서 슬라이스한 섬유의 단면적의 면적률(섬유가 존재하는 면적의 비율)의 합계가 0.3∼0.5%가 되도록, 높이 임계값을 설정하고, 이 높이를 표측 편지의 외측면(최표층)의 높이로 한다. 계속해서, 외측면의 높이로부터 내측을 향해 250 ㎛ 내린 위치의 섬유의 단면적의 면적률의 합계를 계측하고, 100%로부터 본 면적률을 뺀 값을,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깊이 250 ㎛에 있어서의 개구율로 한다.
(c) 메쉬 조직의 개구부의 사이즈(㎜)
상기 (b)에서 촬영된 3D 화상으로부터, 메쉬 조직의 개구부에 있어서, 코스 방향(가로 방향)의 수평선에서 가장 직선 거리가 길어지는 2점을 직선으로 연결한 길이를 측정하여, 메쉬 조직의 개구부의 사이즈로 한다. 측정은 임의의 개구부를 20개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한다.
(d) 연결층으로부터 표측 편지를 향해 투과하는 통기도(㏄/㎠/sec)
다카야마 리드사 제조의 통기성 시험기 FX3300 라보에어 IV를 이용하여, 시험편 사이즈 가로 세로 15 ㎝의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를 하측으로 하여 통기성 시험기의 개구부에 놓고, 이층의 편지의 외측면에 두께 3 ㎜, 가로 세로 20 ㎝의 실리콘 고무 플레이트를 겹치며, 그 위로부터 통기성 시험기의 테스트 헤드를 압박하여 클램프로 고정하고, JIS L1096 통기성 시험 방법(A법)에 준한 흡인 조건으로, 입체 편물의 4변의 단면의 연결층으로부터 들어가 표측 편지를 투과하는 통기도를 측정한다.
(e) 입체 편물의 이층의 편지로부터 표층의 편지에 투과하는 통기도(㏄/㎠/sec)
다카야마 리드사 제조의 통기성 시험기 FX3300 라보에어 IV를 이용하여, JIS L1096 통기성 시험 방법(A법)에 준하여 입체 편물의 이층의 편지로부터 표층의 편지에 투과하는 통기도를 측정한다.
(f) 면파스너에 의한 보풀 일어남성(급)
다이에이 가가쿠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의 평면 마모 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험편 사이즈 폭 8 ㎝, 길이 31 ㎝의 입체 편물을, 표층의 편지를 상측으로 하여 평면 마모 시험기의 평면 마모대에 놓고 양단을 클램프로 고정한다. 다음으로, 구라레 파스닝사 제조의 매직 테이프(등록 상표) A8693Y.71(길이 5 ㎝)을, 훅측을 외측으로 하여 마찰자에 부착한다. 마찰자를 포함하여 압박 하중을 9.8 N, 스트로크를 14 ㎝, 속도를 60±10 왕복/min으로 하여, 마찰자를 시험편 위에 얹어 놓고, 왕복 5회의 마모 시험을 행한다. 시험편은 입체 편물의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부터 채취하여 측정하고, 시험 후에 시험편의 표면의 마모 상태를 관찰하여, 이하의 등급 판정을 행한다. 판정은 0.5급 간격으로 행한다.
5급: 보풀 일어남이 보이지 않는다
4급: 보풀 일어남이 약간 보인다
3급: 보풀 일어남이 분명히 보이지만, 실 끊김은 눈에 띄지 않는다
2급: 보풀 일어남이 약간 현저하고, 실 끊김이나 실의 「인출」이 있다
1급: 보풀 일어남이 현저하고, 외관 이상이 심하다
(g) 테이버 마모
JASOM403 A법(테이버 로터리 어브레이저법)에 준하여, 테이버형 마모 시험기를 이용하여, CS-10의 마모륜에 의해 하중 4.9 N, 속도 70 rpm으로 1000회 마모한다. 시험 후에 시험편의 표면의 마모 상태를 관찰하여, 이하의 등급 판정을 행한다. 판정은 0.5급 간격으로 행한다.
5급: 표면 상태에 변화가 없다
4급: 약간 보풀 일어남이 있다
3급: 보풀 일어남이 많다
2급: 보풀 일어남이 많고 실이 가늘어지고 있다
1급: 실 끊김이 있다
(h) 청량감
표피재를, 자동차용 좌석 시트의 좌석부, 등부의 우레탄 패드 상에 붙여, 좌석 시트의 인체에 접하는 전면이 입체 편물을 포함하는 표피재로 형성된 좌석 시트를 제작하였다.
본 좌석 시트를 30℃, 50% RH의 온습도 환경에 설치하고, 모니터가 본 환경에서 30분간 안정을 취한 후, 좌석 시트에 10분간 착좌하였다. 이때, 착좌 전에 대해 10분 후에 모니터가 덥게 느꼈는지의 여부를, 이하의 등급 판정을 행하여, 청량감의 평가로 하였다. 판정은 0.5급 간격으로 행한다. 모니터의 수는 5명으로 하고, 5명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5급: 매우 덥게 느껴 불쾌하다
4급: 상당히 덥게 느낀다
3급: 덥게 느낀다
2급: 약간 덥게 느낀다
1급: 약간 덥게 느끼지만, 신경 쓰일 정도는 아니다
0급: 변함없다
(i) 땀 차는 느낌
상기 (h)와 마찬가지로, 좌석 시트를 30℃, 50% RH의 온습도 환경에 설치하고, 모니터가 본 환경에서 30분간 안정을 취한 후, 좌석 시트에 10분간 착좌하였다. 이때, 착좌 전에 대해 10분 후에 모니터가 땀이 차는 것을 느꼈는지의 여부를, 이하의 등급 판정을 행하여, 땀 차는 느낌의 평가로 하였다. 판정은 0.5급 간격으로 행한다. 모니터의 수는 5명으로 하고, 5명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5급: 매우 땀이 차서, 불쾌하다
4급: 상당히 땀이 찬다
3급: 땀이 찬다
2급: 약간 땀이 찬다
1급: 약간 땀이 차지만, 신경 쓰일 정도는 아니다
0급: 변함없다
[실시예 1∼3, 비교예 1]
6장 바디를 장비한 18 게이지, 가마 간 7 ㎜의 더블 러셀 편기를 이용하여, 표층의 편지를 형성하는 2장의 바디(L1, L2)로부터 334 dtex 72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가연 가공사를 2개 정렬하여 1인 1아웃(L1)과 1아웃 1인(L2)의 배열로 공급하고, 연결부를 형성하는 2장의 바디(L3, L4)로부터 110 dtex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모노필라멘트를 1인 1아웃(L3)과 1아웃 1인(L4)의 배열로 공급하며, 또한, 이층의 편지를 형성하는 2장의 바디(L5, L6)로부터 167 dtex 36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가연 가공사를 모두 올인의 배열로 공급하였다.
이하에 나타내는 편조직으로, 기상 코스를 21 코스/2.54 ㎝(실시예 1), 24 코스/2.54 ㎝(실시예 2), 30 코스/2.54 ㎝(실시예 3), 18 코스/2.54 ㎝(비교예 1)로 하여 입체 편물의 생기를 편성하였다. 얻어진 생기를 1% 폭 내기하고, 오버피드율 0%, 175℃×1분으로 건열(乾熱) 세트하여, 이하의 표 1의 여러 물성을 갖는 입체 편물을 얻고, 이것을 표피재로 하였다.
(편조직)
L1: 1011/2322/(1인 1아웃)
L2: 2322/1011/(1아웃 1인)
L3: 3245/2310/(1인 1아웃)
L4: 2310/3245/(1아웃 1인)
L5: 0001/1110/(올인)
L6: 2234/2210/(올인)
[실시예 4]
L4로부터의 실 공급을 행하지 않고, 연결사의 코수를, 표층의 편지의 총 코수의 1/2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표 1의 여러 물성을 갖는 입체 편물을 얻고, 이것을 표피재로 하였다.
[실시예 5∼8, 비교예 2, 3]
표측의 편지를 형성하는 2장의 바디(L1, L2)로부터 222 dtex 48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가연 가공사를 2개 정렬하여 1인 1아웃(L1)과 1아웃 1인(L2)의 배열로 공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섬유, 편조직에 의해, 기상 코스를 24 코스/2.54 ㎝(실시예 5), 29 코스/2.54 ㎝(실시예 6), 34 코스/2.54 ㎝(실시예 7), 34 코스/2.54 ㎝(실시예 8), 21 코스/2.54 ㎝(비교예 2), 36 코스/2.54 ㎝(비교예 3)로 하여 입체 편물의 생기를 편성하였다. 얻어진 생기는 5∼10% 폭 감소하고, 오버피드율 0∼10%, 175℃×1분으로 건열 세트하여, 이하의 표 1의 여러 물성을 갖는 입체 편물을 얻고, 이것을 표피재로 하였다.
[실시예 9]
6장 바디를 장비한 18 게이지, 가마 간 6 ㎜의 더블 러셀 편기를 이용하여, 표층의 편지를 형성하는 2장의 바디(L2, L3)로부터 334 dtex 72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가연 가공사를 2개 정렬하여 2인 2아웃(L2, L3)의 배열로 공급하고, 상기 표층의 편지에 패턴사를 삽입 뜨기하는 바디(L1)로부터 167 dtex 48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회색 원착사)의 가연 가공사를 3개 정렬하여 2아웃/1인 3아웃/1인 3아웃/…의 배열로 공급하며, 연결부를 형성하는 1장의 바디(L4)로부터 110 dtex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모노필라멘트를 2인 2아웃의 배열로 공급하고, 또한, 이층의 편지를 형성하는 2장의 바디(L5, L6)로부터 167 dtex 36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가연 가공사를 모두 올인의 배열로 공급하였다.
이하에 나타내는 편조직으로, 기상 코스를 30 코스/2.54 ㎝로 하여, 패턴사가 인접하는 볼록형 이랑부의 오목부에 면한 한쪽의 코와, 동일 코스에 있는 오목부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의 코에 파지(把持)된 입체 편물의 생기를 편성하였다. 얻어진 생기를, 폭 내기율 0%, 오버피드율 0%, 175℃×1분으로 건열 세트하여, 이하의 표 1의 여러 물성을 갖는 입체 편물을 얻고, 이것을 표피재로 하였다.
(편조직)
L1: 0000/4444/(2아웃/1인 3아웃/1인 3아웃/‥‥)
L2: 1011/2344/6766/5433/(2인 2아웃)
L3: 6766/5433/1011/2344/(2인 2아웃)
L4: 1043/6734/(2인 2아웃)
L5: 0001/1110/(올인)
L6: 2234/2210/(올인)
[실시예 10]
6장 바디를 장비한 18 게이지, 가마 간 6 ㎜의 더블 러셀 편기를 이용하여, 표층의 편지를 형성하는 2장의 바디(L2, L3)로부터 334 dtex 72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가연 가공사를 2개 정렬하여 2인 2아웃(L2)과 2아웃 2인(L3)의 배열로 공급하고, 연결부를 형성하는 1장의 바디(L4)로부터 110 dtex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모노필라멘트를 2인 2아웃의 배열로 공급하며, 또한, 이층의 편지를 형성하는 2장의 바디(L5, L6)로부터 167 dtex 36 필라멘트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흑색 원착사)의 가연 가공사를 모두 올인의 배열로 공급하였다.
이하에 나타내는 편조직으로, 기상 코스를 30 코스/2.54 ㎝로 하여, 패턴사가 메쉬 개구부에 면하는 한쪽의 코와 동일 코스에 있는 다른쪽의 코에 파지된 입체 편물의 생기를 편성하였다. 얻어진 생기를, 폭 내기율 0%, 오버피드율 0%, 175℃×1분으로 건열 세트하여, 이하의 표 1의 여러 물성을 갖는 입체 편물을 얻고, 이것을 표피재로 하였다.
(편조직)
L1: 실 공급 없음
L2: 1011/2322/1022/4544/3233/4533/(2인 2아웃)
L3: 4544/3233/4533/1011/2322/1022/(2아웃 2인)
L4: 1023/1023/1032/4532/4532/4523/(2인 2아웃)
L5: 0001/1110/(올인)
L6: 2234/2210/(올인)
[실시예 11]
6장 바디를 장비한 18 게이지, 가마 간 4.2 ㎜의 더블 러셀 편기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표 1의 여러 물성을 갖는 입체 편물을 얻고, 이것을 표피재로 하였다.
Figure pct00001
표 1과 같이, 코 치밀도가 11500 이상 20000 이하인 실시예 1∼11의 입체 편물에서는, 면파스너(훅측)에 의한 보풀 일어남성이 억제되어 있고, 청량성, 땀 차는 느낌 방지성도 양호한 것이었다.
실시예 4에서는, 연결사의 코수를 실시예 3 대비 1/2로 함으로써, 입체 편물의 연결층측으로부터 표층의 편지를 향해 투과하는 통기도가 실시예 3보다 커져, 청량성, 땀 차는 느낌 방지성이 보다 양호해졌다.
이에 대해, 코 치밀도가 11500 미만인 비교예 1, 2에서는, 청량감, 및 땀 차는 느낌 방지성은 양호하지만, 외측면(최표층)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깊이 250 ㎛에 있어서의 개구율이 큰 것도 기인하여, 면파스너에 의한 보풀 일어남성이 현저한 것이었다.
또한, 비교예 3은 코 치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면파스너에 의한 보풀 일어남성은 억제되어 있으나, 입체 편물의 이층의 편지로부터 표층의 편지에 투과하는 통기도, 및 연결층측으로부터 표층의 편지를 향해 투과하는 통기도가 낮아, 청량성, 땀참 방지성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메쉬 조직의 개구부의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실시예 9는, 실시예 10과 비교하여, 면파스너에 의한 보풀 일어남성이 보다 양호해지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표피재는, 탈것이나 가구 등의 좌석 시트의 우레탄 패드 등의 쿠션 부재 위에 배치하거나, 시트 프레임에 팽팽하게 설치함으로써 형성되는 좌석 시트나, 탈것의 도어 트림, 천장, 암 레스트, 계기판 등의 내장재 등에 이용할 수 있는 표피재이며, 높은 청량성, 땀참 방지성을 가짐과 동시에, 면파스너의 훅부 등의 딱딱한 돌기물에 의해 표면이 긁혀도, 보풀 일어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적합하게 이용 가능하다.
1: 인접하는 코 2: 인접하는 코
3: 개구부 K: 개구부의 사이즈

Claims (14)

  1. 표층(表層)의 편지(編地)와 이층(裏層)의 편지와, 이 표층의 편지와 이 이층의 편지를 연결하는 연결사(連結絲)로 이루어진 연결층을 포함하는 입체 편물로 구성되는 표피재로서, 이 표층의 편지의 외측면을 인체와 접하는 면으로 하고, 또한, 이 표층의 편지의 코(stitch) 치밀도가 11500 이상 20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의 편지의 코 치밀도가 13000 이상 19000 이하인 표피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층의 편지의 코 치밀도가 14000 이상 19000 이하인 표피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깊이 250 ㎛에 있어서의 개구율이, 15% 이상 70% 이하인 표피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와 이층의 편지 사이의 연결층측으로부터 표층의 편지를 향해 투과하는 통기도가, 33 ㏄/㎠/sec 이상인 표피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와 이층의 편지 사이의 연결층측으로부터 표층의 편지를 향해 투과하는 통기도가, 40 ㏄/㎠/sec 이상인 표피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와 이층의 편지 사이의 연결층측으로부터 표층의 편지를 향해 투과하는 통기도가, 50 ㏄/㎠/sec 이상인 표피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와 이층의 편지 사이의 연결층측으로부터 표층의 편지를 향해 투과하는 통기도가, 400 ㏄/㎠/sec 이하인 표피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에 짜 넣어지는 연결사의 코수가, 이 표층의 편지의 총 코수의 1/4 이상 1/2 이하인 표피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가 실 빼기 배열로 이루어진 메쉬 조직을 포함하고, 메쉬 조직의 개구부의 사이즈가 0.3 ㎜ 이상 2.5 ㎜ 이하인 표피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가 기모(起毛)되어 있지 않은 표피재.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물의 두께가 2.5 ㎜ 이상 12 ㎜ 이하인 표피재.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석 시트용인 표피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와 이층의 편지 사이의 연결층측으로부터 표층의 편지를 향해 투과하는 통기도가, 400 ㏄/㎠/sec 이하이고, 상기 입체 편물의 표층의 편지가 기모되어 있지 않으며, 좌석 시트용인 표피재.
KR1020237019685A 2021-03-24 2022-03-22 표피재 KR102637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49849 2021-03-24
JP2021049849 2021-03-24
PCT/JP2022/013177 WO2022202815A1 (ja) 2021-03-24 2022-03-22 表皮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927A true KR20230088927A (ko) 2023-06-20
KR102637390B1 KR102637390B1 (ko) 2024-02-15

Family

ID=8339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9685A KR102637390B1 (ko) 2021-03-24 2022-03-22 표피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35211A1 (ko)
EP (1) EP4248803A4 (ko)
JP (1) JP7259143B2 (ko)
KR (1) KR102637390B1 (ko)
CN (1) CN116546906A (ko)
WO (1) WO2022202815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313A (ko) * 1999-12-16 2002-10-09 아사히도켄 가부시키가이샤 이중편물
KR20030092033A (ko) * 2001-03-29 2003-12-03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좌석 시트용 입체 편물
JP2004183118A (ja) 2002-11-29 2004-07-02 Asahi Kasei Fibers Corp 三次元立体編物
JP2004229894A (ja) 2003-01-30 2004-08-19 Asahi Kasei Fibers Corp 座席および車両
JP2007044386A (ja) 2005-08-12 2007-02-22 Asahi Kasei Fibers Corp クッション材
KR20070031414A (ko) * 2004-07-27 2007-03-19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입체 편물 및 심재 및 적층체
KR20170044775A (ko) * 2015-10-15 2017-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풍시트 표피재용 원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8762A (ja) 2001-05-23 2002-12-04 Asahi Kasei Corp 立体編物
JP3853175B2 (ja) * 2001-06-06 2006-12-06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保温編地
US7235504B2 (en) * 2001-09-28 2007-06-26 Seiren Co., Ltd. Three dimensional knitted fabric having unevenness
US20070261173A1 (en) * 2003-10-27 2007-11-15 Jeremy Schlussel Spacer fabric for mattress pad
DE102005029755A1 (de) * 2005-06-24 2006-12-28 Heinrich Essers Gmbh & Co. Kg Formangepasste Abstandsgewirk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TW200745398A (en) * 2006-02-22 2007-12-16 Asahi Kasei Fibers Corp Three-dimensional fabric
JP5346188B2 (ja) * 2008-08-15 2013-11-20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布バネ材用経編地
JP5551890B2 (ja) * 2009-05-27 2014-07-16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二層構造布バネ材
JP2012213858A (ja) * 2011-03-31 2012-11-08 Toyobo Co Ltd 金属層形成弾性織編物シートおよび椅子張り用シート
JP6386329B2 (ja) * 2014-10-06 2018-09-05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表皮材
CN106757773B (zh) * 2016-12-12 2019-08-27 天鼎丰非织造布有限公司 一种抗菌、阻燃、防静电非织造布及其织造方法
CN210169588U (zh) * 2019-07-01 2020-03-24 江苏金太阳纺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清凉透气的针织夏凉席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313A (ko) * 1999-12-16 2002-10-09 아사히도켄 가부시키가이샤 이중편물
KR20030092033A (ko) * 2001-03-29 2003-12-03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좌석 시트용 입체 편물
JP2004183118A (ja) 2002-11-29 2004-07-02 Asahi Kasei Fibers Corp 三次元立体編物
JP2004229894A (ja) 2003-01-30 2004-08-19 Asahi Kasei Fibers Corp 座席および車両
KR20070031414A (ko) * 2004-07-27 2007-03-19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입체 편물 및 심재 및 적층체
JP2007044386A (ja) 2005-08-12 2007-02-22 Asahi Kasei Fibers Corp クッション材
KR20170044775A (ko) * 2015-10-15 2017-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통풍시트 표피재용 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2202815A1 (ko) 2022-09-29
CN116546906A (zh) 2023-08-04
JP7259143B2 (ja) 2023-04-17
US20240035211A1 (en) 2024-02-01
EP4248803A1 (en) 2023-09-27
KR102637390B1 (ko) 2024-02-15
WO2022202815A1 (ja) 2022-09-29
EP4248803A4 (en) 202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4070B2 (en) Three-dimensional fabric for seat
US7174750B2 (en) Warp knit fabric with steric structure
CN111479681B (zh) 表皮材料及表皮材料的制造方法
KR20080085081A (ko) 입체 직물
US11814783B2 (en) Synthetic leather
JP4785459B2 (ja) クッション材
KR102637390B1 (ko) 표피재
JP2004190191A (ja) 放熱性立体編物
WO2022255311A1 (ja) 座席シート用表皮材及びそれを含む座席シート
WO2022255319A1 (ja) 表皮材
JP2004339652A (ja) 立体編物積層体
JP7237260B1 (ja) ダブルラッセル編地及びそれを含む表皮材
KR20230101905A (ko) 시트 표피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좌석
JP4340447B2 (ja) 座席および車両
EP3760238A1 (en) A device for moisture regulation on a portion of skin of a living being, as well as an article and set comprising such a device
JP4323164B2 (ja) 三次元立体編物
JP2023054536A (ja) 複合糸を含む表皮材
JPH0615599Y2 (ja) シートカバー
JP4646821B2 (ja) キルティング縫製品およびクッション材
JP2003278060A (ja) 三次元立体編物
JP2022108014A (ja) 立体構造編物、及びマットレス用カバー
JP2004003094A (ja) クッション材
JP2004285547A (ja) 三次元立体構造編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