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617A -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617A
KR20230085617A KR1020210173962A KR20210173962A KR20230085617A KR 20230085617 A KR20230085617 A KR 20230085617A KR 1020210173962 A KR1020210173962 A KR 1020210173962A KR 20210173962 A KR20210173962 A KR 20210173962A KR 20230085617 A KR20230085617 A KR 20230085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layer
plant
storage space
soi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원
김우영
김정희
정나라
정명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10173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5617A/ko
Publication of KR20230085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01G2/10Vegetative propagation by means of cutt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01G24/15Calcined rock, e.g. perlite, vermiculite or clay aggreg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근성 식물 재배를 위한 식물매트에 있어서,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직포로 이루어진 망부재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펄라이트(pearlite)로 조성된 충진재가 수납된 매트층 및 상기 매트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토양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THE ULTRALIGHT PLANT M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매트를 경량화하여 식물매트의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토양층에 심어진 식물의 뿌리가 보다 신속하게 시공면에 활착할 수 있도록 한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의 발달로 인하여 도시는 사회, 문화, 교육, 경제의 중심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 도시의 기능집중으로 인해서 과다한 에너지 사용과 난개발이 이루어진 결과 녹지감소, 대기오염, 도시 열섬화현상 등의 환경문제가 유발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에너지 사용감축 및 도시녹지 확충의 일환으로 도심내 한정된 녹지조성공간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녹지확충을 도모할 수 있게 건축물의 옥상이나 지붕 내지는 인공지반에 녹화를 할 수 있는 다양한 식생매트들이 도입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 이용되고 있는 식생매트는 씨앗이 심어진 토양층과, 토양층의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층을 구비한다. 씨앗은 통상 잔디나 새덤류의 것이 사용된다. 보호층은 통상 토양층의 상부와 하부를 덮는 종이나 그물망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호층은 식생매트의 제작과정에서 접착제나 접착성분에 의해 토양층에 일체로 고정된다.
제조가 완료된 식생매트는 비탈면에 깔린 상태에서 고정핀 등을 통해 비탈면에 고정되며, 이 상태의 식생매트는 토양층의 씨앗이 발아되고 비탈면에 뿌리를 내리게 됨에 따라 비탈면에 견고히 부착되어 비탈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면서 비탈면을 녹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식생매트의 구조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800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종래에는 식생매트를 구성하는 식물의 근부활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이 미비한 상태이기 때문에, 식생매트를 경량화하거나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시공시기를 단축시키는 등 식생매트에 의한 시공면의 피복률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많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800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식물매트를 경량화하여 식물매트의 운반과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토양층에 심어진 식물의 뿌리가 보다 신속하게 시공면에 활착할 수 있도록 하는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은,
천근성 식물 재배를 위한 식물매트에 있어서, 부직포로 이루어진 망부재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펄라이트(pearlite)로 조성된 충진재가 수납된 매트층 및 상기 매트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토양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토양층은 상기 토양층의 표면 내지는 속으로 밀식(密植)되게 삽목(揷木)된 상태의 삽목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식물매트는 상기 매트층에 적층된 토양층에 상기 삽목묘가 심어진 상태에서 발근된 뿌리가 돌아 상기 매트층과 토양층이 고착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 길게 이어 두루마리 형상을 가지며, 필요한 크기로 재단하고 사용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상기 삽목묘는 기린초, 섬기린초, 애기기린초, 바위채송화, 돌나물, 세덤알붐, 세덤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매트층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충진재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매트층의 상면과 저면을 함께 일정한 패턴으로 재봉하여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천근성 식물 재배를 위한 식물매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직포로 이루어진 망부재 내부의 수납공간에 펄라이트(pearlite)로 조성된 충진재를 수납하여 매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매트층 상부에 토양층을 포설하여 적층하는 단계, 상기 토양층의 표면을 거쳐 속으로 식물을 밀식(密植)되게 삽목묘를 삽목(揷木)하는 단계 및 상기 매트층과 토양층에 수분을 공급하여 인접하게 삽목된 상기 식물들로부터 발근(發根)된 뿌리 사이가 상호 얽혀 활착하도록 생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식물매트는 상기 삽목묘에서 발근된 뿌리가 상기 매트층의 상면을 통과하여 내부에 수납된 충진재를 거쳐 상기 매트층의 저면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높이를 3cm의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매트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충진재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매트층의 상면과 저면을 함께 일정한 패턴으로 재봉하여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삽목묘는 기린초, 섬기린초, 애기기린초, 바위채송화, 돌나물, 세덤알붐, 세덤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식물매트는 상기 매트층에 적층된 토양층에 상기 삽목묘가 심어진 상태에서 발근된 뿌리가 돌아 상기 매트층과 토양층이 고착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 길게 이어 두루마리 형상을 가지며, 필요한 크기로 재단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은 식물매트를 경량화함에 따라 식물매트의 운반과 시공이 용이한 효과 내지는 식물의 근부활착력이 개선되어 식물의 뿌리가 시공면에 보다 신속하게 활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매트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층의 망부재가 재봉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매트에 삽목묘가 심어진 상태를 단면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매트에 심어진 삼목묘가 발근되어 인접한 뿌리들과 서로 얽혀 시공면에 활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매트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매트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초경량 식물매트(A)는 내부에 수납공간(11a)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1a)에 펄라이트(pearlite)로 조성된 충진재(12)가 수납된 매트층(10)과 상기 매트층(10)의 상부에 적층되는 토양층(20)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분되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매트층(1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납공간(11a)이 마련되는 망부재(11)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러한 망부재(11)의 재질은 어느 하나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못자리용으로 이용되는 통상의 얇은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11a)에는 충진재(12)가 수납될 수 있으며, 그러한 충진재(12)가 수납된 망부재(11)는 상기 충진재(12)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방을 부착 또는 재봉하는 방식으로 밀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식물매트(A)의 가로, 세로 크기는 어느 하나로 한정될 필요 없이 시공면(1)의 상황에 따라 재단하는 방식으로 맞춤 제작될 수 있으며, 높이 또한 어느 하나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후술되는 삽목묘(30)에서 발근된 뿌리의 활착이 용이하면서도 상기 식물매트(A)의 무게가 가볍도록 3cm의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매트층(10)은 상기 수납공간(11a)에 충진재(12)를 수납한 후에, 상기 매트층(10)의 상면과 저면을 함께 재봉하여 일정한 패턴의 재봉선(11b)이 형성되도록 상기 수납공간(11a)을 구획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한 패턴이라 함은, 상기 매트층(10)을 위에서 바라볼 때 격자무늬 또는 줄무늬 등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구획된 상기 수납공간(11a)에 의하여 상기 충진재(12)가 매트층(10) 내부에서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충진재(12)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펄라이트(pearlite)로 조성될 수 있다. 상기 펄라이트는 진주암을 분쇄하여 제조한 백색의 다공질체로서 비교적 입자가 작고 전용적밀도가 극히 낮으며 무게 또한 가벼운 특성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상기 식물매트(A)의 통기성과 투수성, 토양 경도, 응집성 및 부착성을 개량할 수 있다.
토양층(20)은,
앞서 설명한 매트층(10)의 상부 전체 면적에 일정한 높이로 고르게 포설하여 적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토양층(20)은 상기 토양층(20)의 표면 내지는 속으로 밀식(密植)되게 삽목(揷木)된 상태의 삽목묘(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삽목묘(30)의 종류에 따라 삽목 방식이 조금씩 상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식물매트(A)에 삽목묘(30)를 삽목하는 방법을 어느 하나로 한정할 필요 없이, 상기 삽목묘(30)를 토양층(20) 표면에 뿌리는 방법 내지는 토양층(20) 표면을 거쳐 속까지 꽂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토양층(20)을 거쳐 상기 매트층(10)의 망부재(11)를 뚫고 내부에 수납된 충진재(12)에 꽂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삽목묘(30)는,
옥상녹화용 식물 소재에 적합한 천근성 새덤류를 예로 들 수 있다. 예컨대, 기린초, 섬기린초, 애기기린초, 바위채송화, 돌나물, 세덤알붐 등 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마련되어 식물 자체적으로도 우수한 근부활착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생존력이 높은 식물을 적용한 식물매트는 시공 과정에서 큰 주위를 기울이지 않더라도 시공면(1)에 간편히 시공될 수 있게 된다.
도 4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상기 나열한 식물들 중 어느 하나의 삽목묘(30)에서 발근된 뿌리는 상기 매트층(10)의 상면 즉, 얇은 부직포로 마련된 상기 망부재(11)를 가볍게 통과하여 상기 매트층(10) 내부에 수납된 충진재(12)를 거치고, 상기 매트층(10)의 저면에 위치하는 상기 망부재(11)까지 더 파고들어 상기 삽목묘(30)의 뿌리가 시공면(1)에 용이하게 활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초경량 식물매트가 제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매트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식물매트의 제조방법은, 부직포로 이루어진 망부재(11)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11a)에 펄라이트로 조성된 충진재(12)를 수납하여 매트층(10)을 형성하는 단계(S1), 상기 매트층(10) 상부에 토양층(20)을 포설하여 적층하는 단계(S2), 상기 토양층(20)의 표면을 거쳐 속으로 식물을 밀식(密植)되게 삽목묘(30)를 삽목(揷木)하는 단계(S3) 및 상기 매트층(10)과 토양층(20)에 수분을 공급하여 인접하게 삽목된 상기 식물들로부터 발근(發根)된 뿌리 사이가 상호 얽혀 활착하도록 생장시키는 단계(S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식물매트(A)의 가로, 세로 크기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로 한정될 필요 없이 시공면(1)의 상황에 따라 맞춤 제작될 수 있으며, 그러한 식물매트(A)의 높이는 상기 삽목묘(30)에서 발근된 뿌리의 활착이 용이하면서도 식물매트(A)의 무게가 가볍도록 3cm의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매트층(10)의 경우에도 상기 수납공간(11a)에 충진재(12)를 수납한 후에, 상기 매트층(10)의 상면과 저면을 함께 일정한 패턴으로 재봉하여 상기 수납공간(11a)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목묘(30)의 종류는 앞서 언급한 옥상녹화용 식물 소재에 적합한 자생초화류의 식물들로 예를 들 수 있으며, 그러한 삽목묘(30)를 삽목하는 방법 또한 앞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층(10)에 적층된 토양층(20)에 상기 삽목묘(30)가 심어진 상태에서 발근된 뿌리가 돌아 상기 매트층(10)과 토양층(20)이 고착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 길게 이어 두루마리 형상을 가지고 필요한 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러한 변형된 상태에서도 상기 식물매트(A)의 손상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식물매트(A)는 별도의 접착제나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자체적인 결속력을 통해 토양층(20)의 유실 및 식물의 분리가 방지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시공면(1)에 맞추어 재단된 식물매트(A)는 비탈지거나 울룩불룩한 시공면(1)에 깔리도록 배치된 상태에서는 별도의 고정핀(미도시) 등을 통해 시공면(1)에 고정시키고, 이 상태의 식물매트(A)는 일정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식물의 뿌리가 시공면(1)에 활착되어 시공이 완료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식물매트(A)를 경량화함에 따라 상기 식물매트(A)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상기 삽목묘(30)의 근부활착력이 개선된 상기 식물매트(A)는 삽목묘(30)에서 발근된 뿌리가 보다 신속하게 시공면(1)을 파고들어 시공면(1)에 활착되므로, 시공면(1)의 조기 피복이 가능하게 되어 식물이 토양층(20)으로부터 탈락될 염려를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시공면 A : 식물매트
10 : 매트층 11 : 망부재
11a : 수납공간 11b : 재봉선
20 : 토양층 30 : 삽목묘

Claims (10)

  1. 천근성 식물 재배를 위한 식물매트에 있어서,
    부직포로 이루어진 망부재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펄라이트(pearlite)로 조성된 충진재가 수납된 매트층; 및
    상기 매트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토양층;을 포함하는 것인 초경량 식물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층은,
    상기 토양층의 표면 내지는 속으로 밀식(密植)되게 삽목(揷木)된 상태의 삽목묘;를 포함하는 것인 초경량 식물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매트는,
    상기 매트층에 적층된 토양층에 상기 삽목묘가 심어진 상태에서 발근된 뿌리가 돌아 상기 매트층과 토양층이 고착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 길게 이어 두루마리 형상을 가지며, 필요한 크기로 재단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식물매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목묘는,
    기린초, 섬기린초, 애기기린초, 바위채송화, 돌나물, 세덤알붐, 세덤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층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충진재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매트층의 상면과 저면을 함께 일정한 패턴으로 재봉하여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것인 초경량 식물매트.
  6. 천근성 식물 재배를 위한 식물매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직포로 이루어진 망부재 내부의 수납공간에 펄라이트(pearlite)로 조성된 충진재를 수납하여 매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매트층 상부에 토양층을 포설하여 적층하는 단계;
    상기 토양층의 표면을 거쳐 속으로 식물을 밀식(密植)되게 삽목묘를 삽목(揷木)하는 단계; 및
    상기 매트층과 토양층에 수분을 공급하여 인접하게 삽목된 상기 식물들로부터 발근(發根)된 뿌리 사이가 상호 얽혀 활착하도록 생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매트는,
    상기 삽목묘에서 발근된 뿌리가 상기 매트층의 상면을 통과하여 내부에 수납된 충진재를 거쳐 상기 매트층의 저면으로 파고들 수 있도록 높이를 3cm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된 충진재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매트층의 상면과 저면을 함께 일정한 패턴으로 재봉하여 상기 수납공간을 구획하는 것인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삽목묘는,
    기린초, 섬기린초, 애기기린초, 바위채송화, 돌나물, 세덤알붐, 세덤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매트는,
    상기 매트층에 적층된 토양층에 상기 삽목묘가 심어진 상태에서 발근된 뿌리가 돌아 상기 매트층과 토양층이 고착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 길게 이어 두루마리 형상을 가지며, 필요한 크기로 재단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210173962A 2021-12-07 2021-12-07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5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962A KR20230085617A (ko) 2021-12-07 2021-12-07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962A KR20230085617A (ko) 2021-12-07 2021-12-07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617A true KR20230085617A (ko) 2023-06-14

Family

ID=8674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962A KR20230085617A (ko) 2021-12-07 2021-12-07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56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009Y1 (ko) 1998-02-07 2000-04-15 자연녹화산업주식회사 종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8009Y1 (ko) 1998-02-07 2000-04-15 자연녹화산업주식회사 종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559206Y (zh) 组合式的植物的植被板构造
KR20110084475A (ko) 식생매트
JP2003268773A (ja) ポケット付き植生袋体並びに該植生袋体を用いた緑化基盤体及び該緑化基盤体による緑化方法
CN205232722U (zh) 一种干热河谷区内槽式生态隔离带梯田
JP6750343B2 (ja) 緑化用マット
KR20230085617A (ko) 초경량 식물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0509A (ko) 사면 녹화공법 및 사면 녹화구조
JP3890532B2 (ja) 多目的緑化盤及び緑化方法
JP6750332B2 (ja) 緑化用マットの製造方法
CA2926501C (en) Green roofing substrate brick and method of making and installing same
CN102986473A (zh) 一种屋顶绿化用的苗木软包及其种植方法
CN204426058U (zh) 用于植物生长免维护种植结构
JPH11289864A (ja) 屋上法面等緑化植栽パネル化工法
JP3502167B2 (ja) 植物の植込みマット及びその使用方法
JP2736011B2 (ja) 緑化用土嚢袋及び緑化用土嚢
JP2004159513A (ja) 植生土嚢及びこれを用いた植生ユニット
JP2004180531A (ja) 袋状植木ポット
CN218244358U (zh) 种子防护型植生毯
JP3099165U (ja) 植生マット
KR102445084B1 (ko) 목본류 식생이 가능한 녹화공법
JP3043174U (ja) 苗 床
JP4279010B2 (ja) 植栽ユニット
CN216018002U (zh) 一种用于生态保护的植生生态袋
JP2001103834A (ja) パック緑化工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植物栽培パック
CN212164453U (zh) 一种草皮卷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