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5462A - 식용 양식 장어 - Google Patents

식용 양식 장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5462A
KR20230075462A KR1020237011248A KR20237011248A KR20230075462A KR 20230075462 A KR20230075462 A KR 20230075462A KR 1020237011248 A KR1020237011248 A KR 1020237011248A KR 20237011248 A KR20237011248 A KR 20237011248A KR 20230075462 A KR20230075462 A KR 20230075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l
weight
eels
edible
bod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1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이나바
아이 우치야마
료코 다카노
Original Assignee
아이치 프레펙츄러
교리츠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치 프레펙츄러, 교리츠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치 프레펙츄러
Publication of KR20230075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5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84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docri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과제] 골격근 중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가 높은 고품질의 식용 양식 장어의 제공.
[해결 수단] 골격근 중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가 높은 고품질의 식용 양식 장어, 및 그와 같은 장어 개체를 함유한 식용 양식 장어의 군 등을 제공한다. 장어 골격근 중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는, 장어의 체중을 X(g), 지질/단백질비를 Z로 했을 때 식 I을 만족시키는 식용 양식 장어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크게 성장한 후에도, 살이 단단해지지 않고, 살의 부드러움·품질·맛이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다.
Z>-0.001X+1.95(250<X<1,800) (I)

Description

식용 양식 장어
본 발명은, 골격근 중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가 높은 고품질의 식용 양식 장어, 및 그러한 장어 개체를 함유한 식용 양식 장어의 군(群) 등에 관한 것이다.
장어는, 장어과 장어속에 속하는 어류의 총칭으로, 일본장어, 큰장어, 유럽장어 등, 세계에서 19종류가 알려져 있다. 고래부터, 유럽, 동아시아 지역 등에서는 식용에 제공되며, 특히 일본에서는, 전통적으로 인기가 있는 식재(食材)가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전역에 서식하는 일본장어(학명 「Anguilla japonica」)는, 태평양의 마라아나 제도 부근에서 산란하고, 렙토세팔루스(Leptocephalus)로 불리우는 유생이 된 후, 거의 투명하며 전장(全長) 5∼6 cm·체중 0.2∼0.3 g 정도의 치어 장어로 변태하고, 쿠로시오의 조류를 타고 동아시아 지역의 연안 영역에 이르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리고, 육지 수역·연안 영역·기수역(汽水域) 등에서 정착·성장해서 소장어(크로코 등)가 되고, 5∼10 수년에 걸쳐서 더 성숙하고, 다시 산란 장소를 향하여 회유(回遊)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그 외의 장어에 대해서도, 산란 장소·정착 장소 등이 상이한 경우도 있지만, 거의 동일한 생활 형태를 가진다.
수요의 크기, 이윤의 높음 등에 의해, 장어의 양식은 널리 행해지고 있고, 전체 소비량의 99% 이상이 양식 장어인 것으로 되어 된다. 현재 주류의 장어의 양식법은, 연안 영역에 내유(來遊)한 천연의 치어 장어를 양식용의 종묘(種苗)로서 포획하고, 그것을 양식지에 방류해서 사육하고, 생육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인공부화로 얻어진 치어를 큰 장어까지 성장시키고, 또한 다음 세대의 치어를 얻는 완전 양식에 대하여, 실험실 레벨에서는 성공이 보고되어 있지만, 상업 레벨에서의 양산화에는 이르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컷 장어는 체중 300g을 초과하면 성장이 둔화되고, 오히려 살이 단단해져 품질·맛이 떨어진다. 한편, 암컷 장어는, 수컷 장어보다 성장의 한계가 크고, 체중 300g을 초과해도 성장이 둔화되지 않고, 살이 부드러운 채로 성장하여, 품질·맛도 유지된다. 그러나, 치어 장어로부터 소장어의 시기에 양식 환경 하에서 사육하면, 그 대부분이 수컷 장어가 되므로, 암컷 장어를 입수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식용 양식 장어는, 수컷 장어인 것을 전제로 하여 양식되어 출하된다. 즉, 지나치게 성장한 경우에는 살이 단단해져 품질·맛이 떨어져서 상품가치가 없어지므로, 식용 양식 장어는, 통상, 체중 250g에 도달하기 전에 출하된다.
그리고, 장어를 암컷화하는 수단으로서, 치어 장어로부터 소장어로 성장하는 시기에 여성 호르몬(에스트라디올17β)을 배합 사료에 첨가하고 급이(給餌)함으로써, 암컷화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외, 호르몬을 사용하지 않고 장어를 암컷화시키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내부에 진입한 장어의 전신을 덮어 가리는 중공(中空)의 수용 부재가 배치된 수조(水槽) 내에서, 성분화(性分化) 전의 장어를 사육함으로써 암컷화를 촉진하는 수단이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사항으로서, 대두 이소플라본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대두 이소플라본은, 주로 대두의 배아 등에 많이 포함되는, 이소플라본을 기본 골격으로 한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의 총칭이다. 대두 이소플라본은, 글루코시드형(배당체; 당과 공유결합한 구조), 아글리콘형(비배당체; 배당체의 당 부분이 탈리한 구조), 배당체의 아세틸화체, 및 배당체의 말로닐화체의 4개로 분류된다. 각 분류에 각각 3종류의 화합물이 알려져 있어, 대두 이소플라본으로서, 합계 12종류의 화합물이 알려져 있다. 그 중, 글루코시드형의 3개의 대두 이소플라본이, 게니스틴, 다이진, 글리시틴이며, 이들의 아글리콘형(당부분이 탈리한 것)이, 각각, 게니스테인, 다이제인, 글리시테인이다. 원료 대두 등의 종류, 추출·정제·처리 방법 등에 의해, 각 화합물의 조성·함유량은 변동한다. 또한, 대두 이소플라본 중의 특정한 화합물을 분리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는, 용제를 사용해서 이소플라본 혼합물로부터 고순도의 게니스테인을 분리하는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대두 이소플라본은, 여성 호르몬(에스트로겐)과 화학 구조가 유사하며, 식물성 에스트로겐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아글리콘형으로 되어 있는 대두 이소플라본은, 에스트로겐 유사 작용을 가지며, 심장병, 갱년기장애, 골다공증, 유방암 등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비특허문헌 1에는, 유럽 장어에 게니스테인을 2mg/kg(dry feed)씩 100일간 급이한 결과 55%가 암컷이 된 것에 대하여, 그보다 많은 20mg/kg(dry feed)씩을 급이한 경우에는, 15%밖에 암컷이 되지 않은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18-143182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7-173148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이, 치어 장어로부터 소장어의 시기에 양식 환경 하에서 사육 하면, 그 대부분이 수컷 장어가 된다. 수컷 장어는 중형 이상으로 성장하기 어렵고, 또한 성장하면 반대로 살이 단단해져 품질·맛이 떨어지므로, 시장에 유통하는 식용 양식 장어는, 자연 환경 하에서 성장 후, 식용에 포획된 천연 장어, 특히, 이들 천연의 암컷 장어와 비교하여, 대부분이 체중 200∼250 g으로 소형이며, 또한, 중형 이상의 것이면, 골격근 중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가 높지 않아, 품질·맛이 떨어진다.
한편, 간이적으로, 안전하게 또한 안정적으로, 양식 환경 하에서 암컷 장어를 만드는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현재, 중형·대형이며, 골격근 중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가 높고, 품질·맛이 양호한 식용 양식 장어를 양산하고, 시장에 공급하는 것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중형 이상이며, 골격근 중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가 높은 고품질의 식용 양식 장어를 제공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치어 장어·소장어의 시기의 장어에, 대두 이소플라본을 첨가한 장어용 사료 등을 급이함으로써, 양식 환경 하에서의 간단하면서 안정적인 암컷 장어를 생산하는 것에 성공하고, 이로써, 처음으로, 중형 이상이며, 골격근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가 높은 고품질의 식용 양식 장어의 생산·양산을 실현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중형 이상이며, 골격근 중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가 높은 고품질의 식용 양식 장어, 및 그러한 장어 개체를 함유한 식용 양식 장어의 군 등을 제공한다.
장어 골격근 중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는, 장어의 체중을 X(g), 지질/단백질비를 Z로 했을 때 하기 식 I를 만족시키는 식용 양식 장어가 포함된다.
[수식 1]
Figure pct00001
또한, 체중이 250g 보다 크고, 또한, 하기 식 A에 의한 값을 BMI로 하고, 상기 BMI값을 Y, 지질/단백질비를 Z로 했을 때 하기 식 II를 만족시키는 식용 양식 장어가 포함된다.
[수식 2]
Figure pct00002
[수식 3]
Figure pct00003
또한, 체중이 250g 보다 크고, 또한, 체중당의 생식선 중량을 a(%), 10분간의 열가공 시에서의 살의 파단하중을 b(N)으로 했을 때 하기 식 III을 만족시키는 식용 양식 장어가 포함된다.
[수식 4]
Figure pct00004
양식 중의, 치어 장어로부터 소장어로 성장하는 시기 중의 소정 기간, 예를 들면, 성이 미결정 또는 성적 가소성을 가지는 기간에 걸쳐, 대두 이소플라본이 첨가된 장어용 사료 등을 섭취시킴으로써, 양식 환경 하에서, 간이적으로, 고효율이면서 안정적으로 암컷 장어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중형 이상이며, 골격근에서의 지방 조직 비율이 높은 고품질의 식용 양식 장어를 생산·양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소장어」란, 어린 장어 중, 치어 장어보다 성장한 것을 일컫는다. 이하, 편의 상, 체중 0.5g 미만인 것을 치어 장어로, 0.5g 이상인 것을 소장어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골격근 중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가 높은 고품질의 식용 양식 장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2에 있어서, 체중 및 지질/단백질비를 자웅간에서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 있어서, BMI값 및 지질/단백질비를 자웅간에서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3에 있어서, 생식선 중량지수와 가열 조리 후의 배(腹)측의 살의 파단하중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양식 장어에 대하여>
본 발명은, 중형 이상이며, 골격근 중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가 높은 고품질의 식용 양식 장어를 널리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양식 장어의 크기는, 중형 이상이며, 구체적으로는, 체중이, 바람직하게는 250g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g보다 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50g보다 크다. 또한, 장어의 체중은, 바람직하게는 1,800g보다 작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g보다 작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0g보다 작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양식 장어는, 체중이 상기한 범위 내이며, 또한 골격근 중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가 높은 것, 즉 체중이 예를 들면 250g 보다 크게 성장한 후에도, 살이 단단해지지 않고, 살의 부드러움 ·품질·맛이 양호하게 유지된 것을 넓게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장어 골격근 중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에 의거하여, 장어의 체중과 지질/단백질비 사이에 소정의 관련성이 있는 것도 신규로 발견했다. 그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는, 장어의 체중을 X(g), 지질/단백질비를 Z로 했을 때 하기 식 I'를 만족시키는 식용 양식 장어가 포함된다.
[수식 5]
Figure pct00005
식 I'에 있어서, 장어의 체중 X의 범위는, 상기한 바와 같다.
식 I'에 있어서, 지질/단백질비 Y는, 공지의 영양성분 분석방법 등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어의 등부·복부 등의 골격근을 적출하고, 공지의 영양성분 분석에 의해 단백질량과 지질량을 측정하고, 지질/단백질비를 산출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장어 골격근 중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에 의거하여, 장어의 BMI(body mass index)값과 지질/단백질비 사이에 소정의 관련성이 있는 것도 신규로 발견했다. 그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는, 하기 식 A에 의한 값을 BMI로 하고, 상기 BMI값을 Y, 지질/단백질비를 Z로 했을 때 하기 식 II'를 만족시키는 식용 양식 장어가 포함된다.
[수식 6]
Figure pct00006
[수식 7]
Figure pct00007
식 II'에 있어서, BMI값 Y는, 바람직하게는 0.2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보다 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8보다 크다. 또한, BMI값 Y는, 바람직하게는 2.0보다 작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보다 작다. 지질/단백질비는, 상기한 바와 같다.
그 외, 본 발명에서는, 장어 골격근 중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에 의거하여, 열가공 시에서의 살의 파단하중에 소정의 관계가 있는 것도 신규로 발견했다. 그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는, 체중당의 생식선 중량을 a(%), 10분간의 열가공 시에서의 살의 파단하중을 b(N)로 했을 때하기 식 III'를 만족시키는 식용 양식 장어가 포함된다.
[수식 8]
Figure pct00008
체중당의 생식선 중량, 즉 생식선 중량지수 a(%)는, 공지의 방법, 예를 들면, 장어 개체로부터 생식선을 적출해서 그 중량을 측정하고, 체중으로 나누고 100을 곱하는 것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식 III'에 있어서, 생식선 중량지수 a는, 바람직하게는 0.1%보다 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보다 크다. 또한, 생식선 중량지수 a는, 바람직하게는 4%보다 작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보다 작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보다 작다.
10분간의 열가공 시에서의 살의 파단하중 b(N)는, 가열조리 후에서의 살의 경도의 지표로서 취득하는 것이며, 공지의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어의 한쪽 면을 적산 온도 510,000[℃·초]로 조리하고, 양면을 조리한다. 한쪽 면에서의 조리는, 예를 들면, 600∼1,000 ℃로 510∼850 초간 행해도 된다. 조리 기기는 전열그릴러가 바람직하다. 가열조리를 행한 후, 가열조리 후의 살의 특정한 부분(복부 등)에 대하여, 레오미터 등의 탄성측정장치 등으로, 파단하중 b를 측정한다.
부가하여, 중형·대형이며, 골격근 중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가 높은 식용 양식 장어에서는, 등부 또는 복부의 골격근 중의 지방 조직이 메쉬형으로 국재(局在)한 상태가 되어 있다.
여기서, 「지방 조직이 메쉬형으로 국재한 상태」란, 지방 조직이 근육 전체적으로 불규칙한 메쉬형으로 침착하고 있는 것을 일컬으며, 또한, 침착의 비율이 표준 장어보다 높고, 지방 조직이 매끄러운 것을 일컫는다. 종은 다르지만, 공익사단법인 일본식육등급협회가 우지육(牛脂肉) 거래규격에서의 육질 등급으로서 정하고 있는 4등급 및 5등급에 상당한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장어에 있어서는, 몸측 근에서 현저하며, 몸측 근의 지방조직 면적비(지방조직 면적/전체 단면적)가 35% 이상의 것이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등측보다 배측의 몸측 근에 있어서 지방조직 면적비는 높아지고, 배측의 몸측 근에 있어서는 37% 이상을 지표로 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장어의 종류는, 장어과 장어속에 속하는 것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일본장어(학명 「Anguilla japonica」), 큰장어(학명 「Anguilla marmorata」), 유럽장어(학명 「Anguilla anguilla」), 미국장어(학명 「Anguilla rostrata」) 등도 대상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어가 일본장어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양식 장어의 군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양식 환경 하에서는 그 대부분이 수컷 장어가 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중형 이상이며, 골격근 중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가 높은 식용 양식 장어의 개체가 일정한 비율 이상으로 많은 양이 시장에 존재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의해 처음으로, 그러한 식용 양식 장어의 많은 양이 시장에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본 발명은, 복수의 상기 식용 양식 장어 개체로 형성된 군을 모두 포함한다.
양식 환경 하에서의 암컷 장어의 발생율이 거의 0%인 것을 고려하면, 예를 들면, 10마리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식용 양식 장어 개체를 12% 이상의 비율로 함유한 식용 양식 장어의 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의 비율로 함유한 식용 양식 장어의 군,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의 비율로 함유한 식용 양식 장어의 군은, 본 발명의 전에는 만드는 것이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양식 장어의 군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양식 장어 등의 생산 방법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양식 장어 등의 생산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들 식용 양식 장어 및 그 군은, 치어 장어 및/또는 소장어의 시기에, 후술하는 장어용 사료 또는 장어 암컷화 유도제를 섭취시킴으로써, 생산·양산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생산·양산된 것만으로 좁게 한정되지 않는다.
장어는, 치어 장어로부터 소장어에 성장해 가는 동안(예를 들면, 체중 0.2g∼30g까지의 생육 기간 중)의 소정의 시기에 자웅 분화하고, 체중 30g 이상 정도로 성장하면, 생식선의 형태학적 관찰에 의해 자웅 판별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웅 분화하는 시기의 전후, 예를 들면, 그 치어 장어 및/또는 소장어의 시기에, 이들의 장어용 사료 또는 장어 암컷화 유도제를 섭취시킴으로써, 확실하게 고효율로 장어를 암컷화 유도할 수 있고, 이로써, 중형 이상이며, 골격근에서의 지질 함유의 정도가 높은 고품질의 식용 양식 장어(의 군)을 생산·양산할 수 있다.
장어용 사료 또는 장어 암컷화 유도제를 섭취시키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이들을 급이함으로써 행해도 되고, 이들과는 별개로 섭취시켜도 되고, 이들을 직접 장어 개체에 투여 등을 해도 된다.
장어용 사료 또는 장어 암컷화 유도제를 섭취 등을 시키는 기간은, 자웅 분화하는 시기 및 그 전후를 포함하는 기간이면 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치어 장어 및/또는 소장어의 시기의 2∼6 개월간, 끊임없이 이들을 섭취 등을 계속해서 시킴으로써, 확실하게 고효율로 장어를 암컷화 유도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
장어용 사료 또는 장어 암컷화 유도제를 섭취 등을 시키는 빈도에 대해서도, 섭취 등을 시키는 기간 중, 끊임없이 섭취 등을 계속해서 시킬 수 있으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주일 중의 3∼7 일, 이들을 섭취 등을 시킴으로써, 확실하게 고효율로 장어를 암컷화 유도할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장어의 성장의 정도에 따라, 예를 들면, 치어 장어∼소장어(예를 들면, 체중 0.2g∼20g)의 시기에는, 하루에 섭취시키는 양을 2∼3 회로 더욱 나누어서 주고, 소장어(예를 들면, 체중 20g∼30g)의 시기에는, 하루에 섭취 등을 시키는 양을 1회로 주도록 해도 된다.
<장어용 사료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양식 장어(또는 그 군)의 생산에 있어서, 장어용 사료에는, 예를 들면, 건물(乾物) 중의 비율로 0.05중량% 이상의 대두 이소플라본을 함유한 것, 건물 중의 비율로 0.05중량% 이상의 대두 이소플라본아글리콘을 함유한 것, 건물 중의 비율로 0.006중량% 이상의 게니스테인을 함유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장어용 사료에 대두 이소플라본(또는 대두 이소플라본아글리콘, 혹은 이들 중의 1 또는 2 이상의 특정한 화합물, 예를 들면, 게니스테인 등)을 함유시키고, 치어 장어 및/또는 소장어의 시기에, 그 사료를 일정 기간 급이함으로써, 장어의 암컷화를 유도할 수 있고, 이로써, 중형 이상이며, 골격근에서의 지방 조직 비율이 높은 고품질의 식용 양식 장어를 생산·양산할 수 있다.
장어용 사료로서 이용되는 배합 사료는, 많은 경우, 물·피드 오일(어유) 등을 가하고, 반죽하여 페이스트상(狀)으로 하고 나서 장어에 급이한다.
이 장어용 사료에서는, 건물(dry feed, 이하 동일)의 비율로, 즉 용시(用時) 조제(물 등을 가함) 전의 사료의 중량을 100%로 한 경우에 있어서, 대두 이소플라본을,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으면 된다. 대두 이소플라본 함유 비율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료 효율의 관점에서, 2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며, 8.0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4.0중량%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대두 이소플라본은, 공지의 것을 널리 채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성품을 사용해도 되고, 원료가 되는 대두 등으로부터, 공지의 방법에 의해 추출·정제·처리하여 조제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다른 시점에서, 이 장어용 사료에서는, 건물 중의 비율로, 즉 용시 조제(물 등을 가함) 전의 사료의 중량을 100%로 한 경우에 있어서, 대두 이소플라본아글리콘을,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으면 된다. 대두 이소플라본아글리콘 함유 비율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료 효율의 관점 등으로부터, 2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며, 8.0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4.0중량%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두 이소플라본아글리콘」은, 대두 이소플라본 중의 비당 부분이며(이하 동일), 그 함유 중량은, 예를 들면, 첨가된 대두 이소플라본의 중량으로부터, 배당체와 아글리콘의 분자량의 비로 환산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또한, 공지의 시험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시점에서, 이 장어용 사료에서는, 건물 중의 비율로, 즉 용시 조제(물 등을 가함) 전의 사료의 중량을 100%로 한 경우에 있어서, 게니스테인을, 바람직하게는 0.006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함유하고 있으면 된다. 게니스테인 함유 비율의 상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료 효율의 관점 등으로부터,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며, 2.0중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0중량%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장어용 사료에 게니스테인을 함유시키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게니스테인을 함유한 대두 이소플라본을 장어용 사료에 첨가함으로써, 장어용 사료에 게니스테인을 함유시켜도 되고, 장어용 사료에 게니스테인을 직접 첨가해도 되고, 사료의 제조 단계에서 미리 대두 이소플라본 또는 게니스테인을 함유시키고 있어도 된다.
게니스테인은, 공지의 것을 널리 채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성품을 사용해도 되고, 게니스테인을 함유하는 대두 이소플라본을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대두 이소플라본 등으로부터 공지의 방법에 의해 추출·정제·처리하여 분리 또는 고순도화된 것을 사용해도 되고, 콩류나 그 가공품으로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분리·추출·발효 등에 의해 얻어진 것을 사용해도 되고, 공지의 방법으로 합성된 것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대두 이소플라본이 10중량% 이상의 게니스테인을 함유한 것인 경우, 비교적 입수·제조·조제가 용이하며, 또한 확실하게 고효율로 장어를 암컷화 유도할 수 있고, 이로써, 중형 이상이며, 골격근에서의 지방 조직 비율이 높은 고품질의 식용 양식 장어를 생산·양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외, 여기서의 게니스테인에는, 장어에 대한 암컷화 유도 작용이 유지되고 있는 한에 있어서, 그 약리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 및 게니스테인의 유도체도 널리 포함된다.
장어용 사료는, 적어도 대두 이소플라본(또는 대두 이소플라본아글리콘, 혹은 이들 중의 1 또는 2 이상의 특정한 화합물, 예를 들면, 게니스테인)을 함유하고 있으면 되고, 그 외의 배합·성분 조성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장어용 사료 중, 대두 이소플라본(또는 대두 이소플라본아글리콘, 혹은 그 중의 1 또는 2 이상의 특정한 화합물) 이외의 배합·성분 조성에 대해서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배합 사료와 동일해도 된다. 배합 사료는, 장어 생육을 위한 영양분이 적절한 비율로 혼합된 것이며, 예를 들면, 건물 중의 비율로, 어분(魚粉)을 50중량% 이상 함유하고, 또한 전분, 인산 칼슘, 식염, 효모, 약초 엑기스 등을 함유한 것이라도 된다.
배합 사료 중의 어분에 대해서는, 공지의 것을 널리 체용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정어리, 고등어, 청어, 전갱이 등을 가공해서 얻어진 분말이라도 된다. 또한, 그 이외의 어류의 어분이라도 되고, 복수 어종의 어분이 혼합된 것이라도 된다. 이는 장어의 종류, 생육 상태,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그 외, 예를 들면, 유산균, 부티르산균(세균), 소화효소, 건조야채 등, 장어의 생육 효율을 향상시키는 성분 등이 적절하게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장어 암컷화 유도제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양식 장어(또는 그 군)의 생산에 있어서, 장어 암컷화 유도제에는, 예를 들면, 1일당 10mg/kg(장어 체중, 이하 동일) 이상 섭취시키는 대두 이소플라본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한 것, 1일당 10mg/kg 이상 섭취시키는 대두 이소플라본아글리콘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한 것, 및 1일당 1.2mg/kg 이상 섭취시키는 게니스테인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장어 암컷화 유도제에, 대두 이소플라본(또는 대두 이소플라본아글리콘, 혹은 그 중의 1 또는 2 이상의 특정한 화합물, 예를 들면, 게니스테인)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시키고, 치어 장어 및/또는 소장어의 시기에, 장어에 대두 이소플라본 등을 섭취시킴으로써, 확실하게 고효율로 장어를 암컷화 유도할 수 있고, 이로써, 중형 이상이며, 골격근에서의 지방 조직 비율이 높은 고품질의 식용 양식 장어를 생산·양산할 수 있다.
배합 사료의 경우, 일반적인 급이량의 기준은, 치어 장어∼소장어(예를 들면, 체중 0.2g∼20g 정도)의 시기에 체중의 5∼8 %, 성장에 따라, 소장어(예를 들면, 체중 20g∼30g 정도)의 시기에 체중의 2∼3 %이다. 급이량을 체중의 2%로 하고, 대두 이소플라본을, 1일당 10mg/kg 이상 섭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40mg/kg 이상 섭취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mg/kg 이상 섭취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사료 효율의 관점에서, 급이량을 체중의 8%로 하고, 대두 이소플라본의 섭취량은, 1일당 16g/kg 이하가 바람직하며, 6.4g/k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2g/kg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장어의 성장의 정도에 따라, 치어 장어∼소장어(예를 들면, 체중 대략 0.2g 이상 대략 20g 미만까지)의 시기에, 대두 이소플라본을, 1일당 25mg/kg∼16g/kg(장어 체중) 섭취시키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mg/kg∼6.4g/kg 섭취시키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mg/kg∼3.2g/kg 섭취시키고, 소장어(예를 들면, 체중 대략 20g 이상 대략 30g까지)의 시기에, 대두 이소플라본을, 1일당 10mg/kg∼16g/kg(장어 체중) 섭취시키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mg/kg∼6.4g/kg 섭취시키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mg/kg∼3.2g/kg 섭취시키도록 해도 된다.
다른 시점에서, 이 장어 암컷화 유도제에서는, 급이량을 체중의 2%로 하고, 대두 이소플라본아글리콘을, 1일당 10mg/kg 이상 섭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40mg/kg 이상 섭취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mg/kg 이상 섭취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사료 효율의 관점에서, 급이량을 체중의 8%로 하고, 대두 이소플라본아글리콘의 섭취량은, 1일당 16g/kg 이하가 바람직하며, 6.4g/k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3.2g/kg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장어의 성장의 정도에 따라, 예를 들면, 치어 장어∼소장어(예를 들면, 체중 대략 0.2g 이상 대략 20g 미만까지)의 시기에, 대두 이소플라본아글리콘을, 1일당 25mg/kg∼16g/kg(장어 체중) 섭취시키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mg/kg∼12g/kg 섭취시키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00mg/kg∼8g/kg 섭취시키고, 소장어(예를 들면, 체중 대략 20g 이상 대략 30g까지)의 시기에, 대두 이소플라본아글리콘을, 1일당 10mg/kg∼16g/kg(장어 체중) 섭취시키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mg/kg∼6.4g/kg 섭취시키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mg/kg∼3.2g/kg 섭취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다른 시점에서, 이 장어 암컷화 유도제에서는, 급이량을 체중의 2%로 하고, 게니스테인을, 1일당 1.2mg/kg 이상 섭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4.0mg/kg 이상 섭취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mg/kg 이상 섭취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사료 효율의 관점에서, 급이량을 체중의 8%로 하고, 게니스테인의 섭취량은, 1일당 4.0g/kg 이하가 바람직하며, 1.6g/k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8g/kg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장어의 성장의 정도에 따라, 예를 들면, 치어 장어∼소장어(예를 들면, 체중 대략 0.2g 이상 대략 20g 미만까지)의 시기에, 게니스테인을, 1일당 3mg/kg∼4.0g/kg(장어 체중) 섭취시키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mg/kg∼1.6g/kg 섭취시키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50mg/kg∼800mg/kg 섭취시키고, 소장어(예를 들면, 체중 대략 20g 이상 대략 30g까지)의 시기에, 게니스테인을, 1일당 1.2mg/kg∼1.5g/kg(장어 체중) 섭취시키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mg∼600mg/kg 섭취시키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0mg/kg∼300mg/kg 섭취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장어 암컷화 유도제에는, 목적·용도·제형 등에 따라, 부형제(賦形劑), 활택제, 결합제, 붕괴제, 용제, 용해보조제, 현탁화제, 완충제, 등장화제, 방부제, 항산화제, pH조절제, 분산제, 착색제, 소포제(消泡劑) 등이 적절하게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부형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유당, 백당, D-만니톨, 전분, 결정(結晶) 셀룰로오스, 경질 무수 규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활택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칼슘, 탈크, 콜로이드 실리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결합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결정 셀룰로오스, 백당, D-만니톨, 덱스트린,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붕괴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크로스칼멜로오스나트륨, 카르복시메틸스타치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주사용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마크로콜, 참기름, 옥수수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해보조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D-만니톨, 벤조산 벤질, 에탄올, 트리스아미노메탄, 콜레스테롤, 트리에탄올아민, 탄산 나트륨, 시트르산 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현탁화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스테아릴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 나트륨,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온산, 레시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린 등), 친수성고분자(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완충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인산염, 아세트산염, 탄산염, 시트르산염, 주석산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HEPES 등의 완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등장화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염화나트륨, 글리세린, D-만니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방부를 목적으로 한 약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타메로살, 파라옥시벤조산 에스테르류, 페녹시에탄올, 클로로부탄올, 벤질알코올, 페네틸알코올, 데하이드로아세트산, 소르브산, 그 외, 각종 방부제, 항생물질, 합성항균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항산화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아황산염, 아스코르브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pH조절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염산, 탄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인산, 붕산, 황산 등의 산,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수산화 칼슘, 수산화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 탄산염 또는 탄산수소염, 아세트산 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 아세트산염, 시트르산 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 시트르산염, 트로메타몰 등의 염기, 모노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분산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소르베이트8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착색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캐러멜 색소, 치자나무 색소, 안토시아닌 색소, 안나토 색소, 파프리카 색소, 홍화 색소, 홍국 색소, 카로틴 색소, 카로티노이드 색소, 플라보노이드 색소, 코치닐 색소, 아마란스(적색 2호), 에리트로신(적색 3호), 알룰라레드 AC(적색 40호), 뉴콕신(적색 102호), 플록신(적색 104호), 로즈벵갈(적색 105호), 애시드레드(적색 106호), 타트라진(황색 4호), 선셋옐로우 FCF(황색 5호), 패스트그린 FCF(녹색 3호), 브릴리언트블루 FCF(청색 1호), 인디고카르민(청색 2호), 동클로로필, 동클로로필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소포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디메티콘, 시메티콘, 실리콘에멀젼,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비이온계 물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것 외에, 본제에는, 보조 성분, 예를 들면, 보존·효능의 조제(助劑)가 되는 광흡수색소(리보플라빈, 아데닌, 아데노신 등), 안정화를 위한 킬레이트제·환원제(비타민 C, 시트르산 등), 탄수화물(소르비톨, 락토스, 만니톨, 전분,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덱스트란 등), 카제인 소화물, 각종 비타민, 유산균, 부티르산균, 소화효소, 건조 야채 등이 적절하게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서는, 대두 이소플라본으로 장어를 암컷화 유도할 수 있는지, 검토했다.
성이 미결정된 치어 장어(평균체중 0.4g)를 각 군 70마리씩 150L의 FRP 수조에 넣고, 대두 이소플라본을 각각의 비율로 첨가한 배합 사료를 포식 급이하고, 수온을 28℃로 설정하여 사육했다.
대두 이소플라본을 첨가한 배합 사료의 급이 횟수는 1주일당 5회로 했다. 1회당 급이량은, 최초 2개월은 체중의 7∼8 %, 그 후는 체중의 약 2.5%였다.
사육 개시로부터 약 6개월 경과 후, 체중 약 30g 이상의 소장어로 성장한 개체를 적절하게 샘플링하여, 자웅 판별을 행하였다.
자웅 판별은, 생식선의 형태학적 관찰에 의해, 난소를 가지는 것을 암컷, 고환을 가지는 것을 수컷으로 판정했다.
결과를 표 1, 2에 나타내었다. 각 표 중, 「마리수」는 샘플링한 소장어의 개체수를, 「대두 이소플라본 첨가 비율」은 대두 이소플라본 첨가 전·용시 조제 전의 배합 사료의 중량을 100%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대두 이소플라본 첨가량의 비율(중량%)을, 「아글리콘 함유 비율」은 대두 이소플라본 첨가 전·용시 조제 전의배합 사료의 중량을 100%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대두 이소플라본아글리콘 함유 중량의 비율(중량%)을, 「게니스테인 함유 비율」은 대두 이소플라본 첨가 전·용시 조제 전의 배합 사료의 중량을 100%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게니스테인 함유 중량의 비율(중량%)을, 각각 표시하고, 「암컷의 비율」은 샘플링한 개체수 중 암컷의 비율을 나타낸다. 그리고, 「대두 이소플라본아글리콘 함유 중량」은, 첨가된 대두 이소플라본 중 비당 부분의 중량을 나타낸 것이며, 공지의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얻어진 분석값을 사용했다. 그 외, 「대조」는, 대신하여, 대두 이소플라본을 첨가하고 있지 않은 통상의 배합 사료를 급이해서 사육한 경우의 결과이다.
[표 1]
Figure pct00009
[표 2]
Figure pct0001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어 장어∼소장어의 시기에 장어용 사료에 대두 이소플라본을 1중량% 이상 첨가하여 사육함으로써, 장어의 암컷화를 유도할 수 있었다. 또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료 중량에 대한 아글리콘 함유 비율이 0∼0.040 중량%인 장어용 사료로 사육한 경우에는, 전체 개체가 수컷으로 분화된 것에 대하여, 아글리콘 함유 비율이 0.10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46%의 개체가, 0.336중량%인 경우에는 95%의 개체가 암컷화 유도되었고, 1.076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전개체가 암컷화 유도되었다. 다른 관점에서, 대두 이소플라본 첨가에 의해 사료 중에 함유된 게니스테인에 주목하면, 치어 장어∼소장어의 시기에 게니스테인 함유 비율 0∼0.004 중량%의 장어용 사료로 사육한 경우에는, 전체 개체가 수컷으로 분화된 것에 대하여, 게니스테인 함유 비율이 0.01중량%인 경우에는 46%의 개체가, 0.031중량%인 경우에는 95%의 개체가 암컷화 유도되었고, 게니스테인 함유 비율이 0.15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전체 개체가 암컷화 유도되고 있었다.
본 실험에 있어서 1회당의 급이량은, 최초 2개월간은 체중의 7∼8 %, 그 후에는 체중의 약 2.5%인 것으로부터 환산하면, 대두 이소플라본 첨가 비율이 1중량%인 경우에 있어서의, 최초 2개월의 1회당의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량은 약 700∼800 mg/kg체중, 그 후의 1회당의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량은 약 250mg/kg체중이다. 마찬가지로, 사료 중량에 대한 아글리콘 함유 비율이 0.100중량%인 경우에 있어서의, 최초 2개월의 1회당의 아글리콘 섭취량은 약 70.0∼80.0 mg/kg체중, 그 후의 1회당의 아글리콘 섭취량은 약 25.0mg/kg체중이며, 사료 중량에 대한 아글리콘 함유 비율이 0.336중량%인 경우에 있어서의, 최초 2개월의 1회당의 아글리콘 섭취량은 약 235.2∼268.8 mg/kg체중, 그 후의 1회당의 아글리콘 섭취량은 약 84.0mg/kg체중이며, 사료 중량에 대한 아글리콘 함유 비율이 1.076중량%인 경우에 있어서의, 최초 2개월의 1회당의 아글리콘 섭취량은 약 753.2∼860.8 mg/kg체중, 그 후의 1회당의 아글리콘 섭취량은 약 269.0mg/kg체중이다. 또한, 게니스테인 함유 비율이 0.01중량%인 경우에 있어서의, 최초 2개월의 1회당의 게니스테인 섭취량은 약 7∼8 mg/kg체중, 그 후의 1회당의 게니스테인 섭취량은 약 2.5mg/kg체중이며, 게니스테인 함유 비율이 0.031중량%인 경우에 있어서의, 최초 2개월의 1회당의 게니스테인 섭취량은 약 21.70∼24.8 mg/kg체중, 그 후의 1회당의 게니스테인 섭취량은 약 7.75mg/kg체중이며, 게니스테인 함유 비율이 0.155중량%인 경우에 있어서의, 최초 2개월의 1회당의 게니스테인 섭취량은 약 108.5∼1,240 mg/kg체중, 그 후의 1회당의 게니스테인 섭취량은 약 38.75mg/kg체중이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장어의 전장(全長)·체중, 영양 성분 분석에 기초하여, 수컷과 암컷을 비교했다.
대두 이소플라본에 의한 암컷화 유도를 행하고 있지 않은 장어(수컷 장어, n=7), 및 대두 이소플라본에 의한 암컷화 유도를 행한 장어(암컷 장어, n=5)의 각각에 대하여, 전장 및 체중을 계측했다. 또한, 각 개체에 대하여, 전술한 식 A에 의해 BMI값을 산출했다.
다음으로, 등부 및 복부의 골격근을 적출하고, 영양 성분 분석을 행하고, 단백질량과 지질량을 측정하여, 등부 및 복부의 골격근에서의 지질/단백질비를 산출했다.
도 1은, 체중 및 지질/단백질비를 자웅간에서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면 중, 가로축은 체중(g)을, 세로축은 지질/단백질비를 각각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어의 체중을 X(g), 지질/단백질비를 Z로 했을 때, 양식 장어에 대하여, 하기 식 I"를 경계로 하여 자웅을 명확히 식별할 수 있었다.
[수식 9]
Figure pct00011
도 2는, BMI값 및 지질/단백질비를 자웅간에서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면 중, 가로축은 BMI값을, 세로축은 지질/단백질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BMI값을 Y, 지질/단백질비를 Z로 했을 때, 양식 장어에 대하여, 하기 식 II"를 경계로 하여 자웅을 명확히 식별할 수 있었다.
[수식 10]
Figure pct00012
실시예 3
실시예 3에서는, 대두 이소플라본으로 암컷화 유도된 장어의 생식선 중량지수(GSI; 생식선 중량/체중)를 산출하고 또한, 생식선 중량지수와 조리 후의 살의 경도의 관계를 평가했다.
처음에, 대두 이소플라본에 의한 암컷화 유도를 행하고 있지 않은 장어(수컷 장어, n=12, 체중 200∼350 g), 및 대두 이소플라본에 의한 암컷화 유도를 행한 장어(암컷 장어, n=15, 체중 200∼530 g)의 각각에 대하여, 체중을 계측하고 또한, 생식기를 적출하여, 그 중량을 측정했다. 그리고, 생식선 중량지수로서, 체중당의 생식선 중량(단위: %)을 산출했다.
그 결과, 수컷 장어는 모두 체중당의 생식선 중량이 0.35% 이하인 것에 비해, 대두 이소플라본으로 암컷화 유도된 암컷 장어는 모두 체중당의 생식선 중량이 0.35%보다 컸다.
이어서, 각 장어의 배측 중심을 따라 절취선을 형성하여 개복하고, 전기식 그릴러 3H-210(히고그릴러사 제조)을 사용하여, 850℃로, 껍질 측 600초, 몸측 600초, 한쪽 면씩 열가공해서 장어를 양념없이 구이로 하고, 껍질을 벗기고, 배측 부분의 3군데에서 폭 약 1cm의 토막을 각각 제작한 후, 1개체에 대하여 3개의 샘플에 대하여,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그 쐐기형 어태치먼트의 선단 부분이 살을 절단할 때의 파단하중을 각각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살의 경도의 지표로 하였다.
도 3은, 생식선 중량지수와 가열조리 후의 배측의 살의 파단하중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중, 가로축은 장어의 생식선 중량지수(GSI; 체중당의 생식선 중량. 단위: %)를, 세로축은 가열조리 후의 배측의 살의 파단하중(단위: N)을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식선 중량지수를 a(%), 가열조리 후의 배측의 살의 파단하중을 b(N)로 했을 때, 양식 장어에 대하여, 하기 식 III"을 경계로 하여 자웅을 명확히 식별할 수 있었다.
[수식 11]
Figure pct00013

Claims (6)

  1. 장어의 체중을 X(g), 지질/단백질비를 Z로 했을 때 하기 식 I을 만족시키는 식용 양식 장어:
    [수식 1]
    Figure pct00014
    .
  2. 체중이 250g 보다 크고, 또한,
    하기 식 A에 의한 값을 BMI로 하고, 상기 BMI값을 Y, 지질/단백질비를 Z로 했을 때 하기 식 II를 만족시키는, 식용 양식 장어:
    [수식 2]
    Figure pct00015

    [수식 3]
    Figure pct00016
    .
  3. 체중이 250g 보다 크고, 또한,
    체중당의 생식선 중량을 a(%), 10분간의 열가공 시에서의 살의 파단하중을 b(N)로 했을 때 하기 식 III을 만족시키는, 식용 양식 장어:
    [수식 4]
    Figure pct00017
    .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등부 또는 복부의 골격근 중의 지방 조직이 메쉬형으로 국재(局在)한, 식용 양식 장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어 장어 및/또는 소장어의 시기에,
    건물(乾物) 중의 비율로, 0.05중량% 이상의 대두 이소플라본이 함유된 장어용 사료를 섭취시킨, 식용 양식 장어.
  6. 10마리 이상으로 형성되고,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용 양식 장어 개체를 12% 이상의 비율로 함유한, 식용 양식 장어의 군(群).
KR1020237011248A 2020-10-02 2021-10-01 식용 양식 장어 KR202300754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68025 2020-10-02
JP2020168025 2020-10-02
PCT/JP2021/036464 WO2022071589A1 (ja) 2020-10-02 2021-10-01 食用養殖ウナ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5462A true KR20230075462A (ko) 2023-05-31

Family

ID=8095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1248A KR20230075462A (ko) 2020-10-02 2021-10-01 식용 양식 장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2071589A1 (ko)
KR (1) KR20230075462A (ko)
CN (1) CN116390650A (ko)
TW (1) TW202228527A (ko)
WO (1) WO2022071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4972A1 (ja) * 2022-07-28 2024-02-01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チョウザメ飼育方法、チョウザメ生産方法、並びにチョウザメ用固形飼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3148A (ja) 1993-12-17 1995-07-11 Kikkoman Corp ゲニステインの製造法
JP2018143182A (ja) 2017-03-07 2018-09-20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ウナギ飼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706A (ja) * 2001-05-02 2002-11-19 Nichimo Co Ltd イソフラボンアグリコンを用いた養殖環境を改善する水産養殖方法
JP2005272309A (ja) * 2004-03-23 2005-10-06 Daicho Kikaku:Kk 魚類用薬剤
JP2005269913A (ja) * 2004-03-23 2005-10-06 Daicho Kikaku:Kk 魚類用飼料添加剤及び魚類用飼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3148A (ja) 1993-12-17 1995-07-11 Kikkoman Corp ゲニステインの製造法
JP2018143182A (ja) 2017-03-07 2018-09-20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ウナギ飼育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tai Tzchori, et al,"The influence of phytoestrogens and oestradiol-17β on growth and sex determination in the European eel(Anguilla Anguilla )", Aquaculture Research, 2004, 35, 1213-12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28527A (zh) 2022-08-01
CN116390650A (zh) 2023-07-04
WO2022071589A1 (ja) 2022-04-07
JPWO2022071589A1 (ko) 2022-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ancis et al. Effects of Quillaja saponins on growth, metabolism, egg production and muscle cholesterol in individually reared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EP0656786B1 (en) Use of isoflavone phyto-oestrogen extracts of soy or clover
KR101661145B1 (ko) 백편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WO2003028475A1 (ja) 五環性トリテルペン類を含有する飼料及び肥料
Ampofo-Yeboah Effect of phytogenic feed additives on gonadal development in Mozambique tilapia (Oreochromis mossambicus)
US9326968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ntaining compounds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s 1-8 or sophora flavescen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20230075462A (ko) 식용 양식 장어
JP6970992B2 (ja) ウナギ雌化誘導方法、ウナギ飼育方法、ウナギ雌化剤、及び、ウナギ用飼料
WO2004075905A1 (ja) 筋肉増強剤および筋肉減衰の予防または治療剤
EP1213027A2 (en) Liver function protecting or improving agent
CN115316497A (zh) 一种桑叶提取物、鳜鱼饲料及其应用
WO2020218148A1 (ja) 過酸化脂質生成抑制剤
JP5361527B2 (ja) 貧血治療剤
CN103141434A (zh) 灰天鹅种鹅饲养方法
KR102068908B1 (ko) 도라지 지상부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송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JP2003155245A (ja) 抗肝炎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5742060B2 (ja) ネギ属由来の成分を含む免疫賦活剤及び免疫賦活剤の製造方法
CN105850888B (zh) 密蒙鸡绿色生态养殖方法
CN109497335A (zh) 一种能生产出含茶多酚鸡蛋的饲料配方及饲养方法
CN112514850B (zh) 一种香河狸的驯养方法
JP2000053573A (ja) 肝機能改善剤
KR102429280B1 (ko) 신규 교잡품종 버섯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Ajijola et al. Growth And Reproductive Performances Of Female Clarias Gariepinus Fed Bitter Leaf (Vernonia Amygdalina) Diets
JP3502621B2 (ja) 抗癌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2002330706A (ja) イソフラボンアグリコンを用いた養殖環境を改善する水産養殖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