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513A - 미술공예품, 미술공예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술공예품, 미술공예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513A
KR20230070513A KR1020237014219A KR20237014219A KR20230070513A KR 20230070513 A KR20230070513 A KR 20230070513A KR 1020237014219 A KR1020237014219 A KR 1020237014219A KR 20237014219 A KR20237014219 A KR 20237014219A KR 20230070513 A KR20230070513 A KR 20230070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arts
crafts
cylind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4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오사무 다케우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사무 다케우치 filed Critical 오사무 다케우치
Publication of KR20230070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Toy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다양한 추상적 표현이 가능하고, 게다가 수송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미술공예품의 제공.
다양한 형상의 복수의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을 조합시켜서 구성되고, 각 부분품은 접합부(3)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접합부(3)는, 소정의 길이의 통체(13)와, 통체(13)의 외주면에 부착한 전나사볼트(14)를 구비하고, 전나사볼트(14)를 부분품에 형성한 구멍(15)에 고정하여 통체(13)의 외주면을 부분품에 접촉 또는 근접시켜서 부착하고 있고, 상호의 부분품의 접합부(3)를 통체(13)의 끝면 상호간에 접촉시켜서 통체(13, 13)에 축(4)을 통과시킴으로써 부분품 상호간이 접합·분리 가능하다.

Description

미술공예품, 미술공예품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미술공예품과 미술공예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금속제의 미술공예품으로서 대표적인 것에 브론즈상(동상(銅像)이 있다. 브론즈상은, 불상(佛像), 나부상(裸婦像) 등의 초상(肖像)이 대부분이어서, 새로운 것이 적어서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이나 감성에 어울리지 않은 것이 되어 있다. 또한, 브론즈상은, 주조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수송할 때에 콤팩트하게 곤포(梱包)할 수 없어서, 해외에 수송하려고 하면 방대한 수송비용이 걸린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정을 감안하여, 다양한 추상적 표현이 가능하고, 게다가 수송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미술공예품과 미술공예품의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의한 미술공예품은, 다양한 형상의 복수의 부분품을 조합시켜서 구성되고, 각 부분품은, 접합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접합부는, 소정의 길이의 통체와, 통체의 외주면에 부착한 전나사볼트를 구비하고, 전나사볼트를 부분품에 형성한 구멍에 삽입하고, 구멍으로부터 돌출한 전나사볼트에 너트를 나사결합 하여 체결함으로써 통체의 외주면을 부분품에 접촉 또는 근접시켜 고정하여 부착하고, 상호의 부분품의 접합부를 통체의 끝면 상호간에 접촉시켜서 통체에 볼트를 통하여 너트를 걸므로써 상호의 부분품의 접합부의 통체를 상대회전 불가능 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의 발명에 의한 미술공예품의 제조방법은, 다양한 형상의 복수의 부분품에 표면처리를 실시하는 공정과, 표면처리를 실시한 각 부분품에 접합부 부착용의 구멍을 가공하는 공정과, 통체의 외주면에 전나사볼트를 부착한 접합부를, 그 전나사볼트를 부분품에 형성한 구멍에 고정하여 통체의 외주면을 부분품에 접촉 또는 근접시켜서 고정해서 부착하는 공정과, 상호의 부분품의 접합부를 통체의 끝면 상호간에 접촉시켜서 통체에 볼트를 통하여 너트를 걸므로써 상호의 부분품의 접합부의 통체를 상대회전 불가능 하게 고정하여 부분품 상호간을 연결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 의한 미술공예품은, 다양한 형상의 복수의 부분품을 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추상적 표현이 가능한다. 또한 부분품 상호간이 접합·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수송하는 때에는 부분품별로 분해하여 콤팩트 하게 할 수 있어서 수송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술공예품은, 각 부분품에 접합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접합부는, 소정의 길이의 통체와, 통체의 외주면에 부착한 전나사볼트를 구비하고, 전나사볼트를 부분품에 형성한 구멍에 삽입하고, 구멍으로부터 돌출한 전나사볼트에 너트를 나사결합 하여 체결함으로써 통체의 외주면을 부분품에 접촉 또는 근접시켜 고정하여 부착하고, 상호의 부분품의 접합부를 통체의 끝면 상호간에 접촉시켜서 통체에 볼트를 통하여 너트를 걸므로써 상호의 부분품의 접합부의 통체를 상대회전 불가능 하게 고정했으므로, 분해 및 조립이 누구에 의해서라도 간단하게 단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음과 아울러, 접합부에 통체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에 노출하여도 위화감이 없고,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접합부의 통체를 부분품에 용접하지 않음으로써 부분품에 도금 등의 표면처리를 한 후부터, 부분품의 임의의 위치에 접합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작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접합부는 간단하게 뗄 수 있기 때문에, 부분품의 재이용도 용이하다.
청구항2의 발명에 의한 미술공예품의 제조방법은, 다양한 형상의 복수의 부분품에 표면처리를 실시하는 공정과, 표면처리를 실시한 각 부분품에 접합부 부착용의 구멍을 가공하는 공정과, 통체의 외주면에 전나사볼트를 부착한 접합부를, 그 전나사볼트를 부분품에 형성한 구멍에 고정하여 통체의 외주면을 부분품에 접촉 또는 근접시켜서 고정해서 부착하는 공정과, 상호의 부분품의 접합부를 통체의 끝면 상호간에 접촉시켜서 통체에 볼트를 통하여 너트를 걸므로써 상호의 부분품의 접합부의 통체를 상대회전 불가능 하게 고정하여 부분품 상호간을 연결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추상적 표현이 가능함과 아울러 너트를 떼어내고 접합부에서 볼트를 뽑으면, 부분품 상호간이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수송하는 때에는 부분품별로 분해하여 콤팩트 하게 할 수 있고, 수송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의 통체를 부분품에 용접하지 않음으로써 부분품에 도금 등의 표면처리를 한 후부터, 부분품의 임의의 위치에 접합부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작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접합부는 간단하게 뗄 수 있기 때문에, 부분품의 재이용도 용이하다.
[도1] 본 발명에 관한 미술공예품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2] 동(同) 미술공예품의 부분품 상호간의 접합장소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3] (a)는 접합부를 부분품과 분리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접합부를 부품품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4] 접합부의 부분품에 대한 부착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 동(同) 미술공예품의 부분품과 대의 접합장소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6] (a)는 대략 C자형의 부분품을 제작할 때의 부품별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b)는 대략 S자형의 부분품을 제작할 때의 부품별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다.
[도7] 본 발명에 관한 미술공예품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8] 본 발명에 관한 미술공예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9] 동(同) 미술공예품의 부분품 상호간의 접합장소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정면도다.
[도10] 동(同) 미술공예품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1] 본 발명에 관한 미술공예품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12] (a)는 동(同) 미술공예품의 부분품 상호간의 접합장소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횡단면도면이며, (b)는 동(同) 정면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미술공예품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미술공예품은, 두개의 대략 S자형의 부분품(部分品)(1a, lb)과, 하나의 대략 C자형의 부분품(1c)을 조합시켜서 구성되고, 또한 이렇게 세개의 부분품(1a, lb, 1c)을 조합시킨 것을 기립시켜 전시해 두기 위한 대(臺)(2)를 구비하고 있다. 본 미술공예품은, 대략 S자형의 부분품(1a, lb)과 대략 C자형의 부분품(1c)을 적절하게 조합시킴으로써 작자의 다양한 생각이나 개념을 표현하는 새로운 장르의 예술이다. 본 미술공예품은, 높이가 1∼2m 정도이다.
각 부분품(1a, lb, 1c)은, 금속의 주물에 의하여 중공모양으로 형성하고 있고, 표면에는 별이나 태양 등을 본뜬 다수의 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분품(1a, lb, 1c)에 다수의 구멍(6)을 형성함으로써 예술성을 한층더 높임과 아울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각 부분품(1a, lb, 1c)은, 표면에 도금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대략 C자형의 부분품(1c)은, 도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부분품(1c)을 길이방향을 따라 반 정도의 두께로 분할하는 분할면(7a)과, 부분품(1c)을 길이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면(7b)으로 분할한 4개의 부품(8a, 8b, 8c, 8d)을 주조에 의하여 형성하고, 이들의 부품을 용접함으로써 제작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각 부품(8a, 8b, 8c, 8d)을 주조하는 시점에서 각 부품에 구멍(6)을 형성해 둔다.
대략 S자형의 부분품은, 도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의 4개의 부품(8a, 8b, 8c, 8d)에서 선단부측의 좌우의 부품(8c, 8d)을 중간부에서 분할면(7c)으로 더 분할하고, 길이방향의 분할면(7b, 7c)을 경계로 하여 구부리는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하여 각 부품(8a, 8b, 8c, 8d, 8e, 8f)을 접합함으로써 제작하고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동일한 부품으로부터 대략 C자형의 부분품(1c)과 대략 S자형의 부분품(1a, lb)의 어느쪽이라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각 부분품(1a, lb, 1c)에는, 표면의 적당한 장소에 접합부(接合部)(3, 3, …)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접합부(3, 3, …)는, 도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2cm정도의 길이로 절단한 금속제의 통체(筒體)(13)와, 통체(13)의 외주면에 용접에 의하여 부착한 전나사볼트(14)를 구비하고, 부분품(1a, lb, 1c)에 형성한 너트구멍(15)에 전나사볼트(14)를 나사결합 하여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통체(13)의 외주면을 부분품(1a, lb, 1c)의 표면에 접촉 또는 근접시켜서 부착하고 있다.
또 접합부(3)는, 도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나사볼트(14)를 부분품(1a, lb, 1c)의 너트구멍(15)에 나사결합 하는 것만으로 부착하고 있어도 좋지만, 도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부분품(1a, lb, 1c)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6)으로부터 부분품(1a, lb, 1c)내로 너트(16)를 삽입하고, 너트(16)를 전나사볼트(14)와 나사결합 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접합부(3)를 보다 견고하게 부분품(1a, lb, 1c)에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통체(13)의 축방향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부분품(1a, lb, 1c) 상호간은,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호의 접합부(3, 3)를 통체(13)의 끝면 상호간에 접촉시켜서 볼트(축)(4)를 통과시키고, 접합부(3)로부터 돌출한 볼트(4)의 나사부에 너트(5)를 걸어서 체결함으로써 부분품(1a, lb, 1c) 상호간을 접합하고 있다. 따라서 볼트(4) 및 너트(5)를 떼어냄으로써 부분품(1a, lb, 1c)별로 분리할 수 있고, 다시 조립하는 것도 용이하다. 각 부분품(1a, lb, 1c)에는,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조립을 할 때를 위하여, 접합부(3)가 여분으로 더 설치되어 있다.
도1에서 좌측상부에 위치하는 대략 S자형의 부분품(1b)은, 2군데의 접합장소(A, B)에서 다른 부분품(1a, 1c)과 접합되어 있지만, 양 접합장소(A, B)의 볼트(4)의 중심축은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있고, 따라서 양 접합장소(A, B)의 볼트(4) 또는 너트(5)를 품으로써 도면 중의 화살표(9)에 의하여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동(同) 부분품(1b)은 접합장소(A, B)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부분품(1a)과 대(2)도,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부분품(1a)과 대(2)에 각각 설치한 접합부(3, 3)에 볼트(4)을 통과시키고, 접합부(3)로부터 돌출한 볼트(4)의 나사부에 너트(5)를 걸어서 체결함으로써 부분품(1a)과 대(2)를 접합하고 있고, 볼트(4) 및 너트(5)를 떼어내면, 부분품(1a)과 대(2)를 분리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미술공예품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미술공예품은, 금속의 주물에 의하여 중공모양으로 형성된 하나의 대략 S자형의 부분품(1d)과, 2개의 대략 C자형의 부분품(1e, 1f)을 조합시켜 있고, 또한 이들을 기립시켜 전시해 두기 위한 금속제의 대(2)를 구비하고 있다.
부분품(1d, 1e, 1f) 상호간, 부분품(1d, 1e)과 대(2)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호의 접합부(3, 3)에 볼트(4)을 통과시켜 너트를 걸음으로써 접합·분리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상부의 C자형의 부분품(1f)은, 도면 중의 화살표(9)에 의하여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부분품(1d)과의 접합장소를 지점으로 하여 방향이 변경되게 되어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미술공예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미술공예품은, 테이블 다리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미술공예품은, 금속의 주물에 의하여 중공모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대략 C자형의 부분품(1g, 1g)을 경첩(10)으로 연결해서 구성되어 있다. 경첩(10)은,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부분품(1g, 1g)에 원통모양의 접합부(3, 3, 3)를 부착하고, 접합부(3, 3, 3)에 상방으로부터 핀(축)(11)을 삽입하고, 핀(11)의 선단부에 스토퍼링(12)을 부착해서 핀(11)을 빠지지 않게 하고 있다. 또한, 핀(11)과 스토퍼링(12)을 사용하는 대신에, 볼트(4)와 너트(5)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미술공예품은, 스토퍼링(12)을 떼어내서 핀(11)을 뺌으로써 부분품(1g, 1g)별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경첩(10)을 지점으로 하여 2개의 부분품(1g, 1g)의 사이의 각도를 0°에서부터 약90°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2개의 부분품(1g, 1g)이 거의 달라붙은 상태로 함으로써 부분품(1g, 1g)별로 분리하지 않아도 좁은 스페이스에 수납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미술공예품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미술공예품은, 브론즈의 판으로 형성한 상판(부분품)(17)과 좌우의 측판(부분품)(18, 18)과 바닥판(부분품)(19)을 직4각형의 틀로 하고, 그 내측에 수직판(부분품)(20)을 부착해서 세로길이의 직4각형의 상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판(17)과 수직판(20)에는, 복잡하게 뒤얽힌 노치(21)와 구멍(22)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예술성을 높이고 있다.
각 부분품(17,18,19,20)에는,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합부(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접합부(3)는, 1∼2cm 정도의 길이로 절단한 금속제의 통체(13)와, 통체(13)의 외주면에 용접에 의하여 부착한 전나사볼트(14)를 구비하고, 각 부분품(17, 18, 19, 20)에 형성한 구멍(clearance hole)(23)에 전나사볼트(14)를 삽입하고, 너트(24)를 전나사볼트(14)에 나사결합 하고 체결하여 용접함으로써 통체(13)를 각 부분품(17, 18, 19, 20)에 부착하고 있다. 그리고 2매의 부분품에 부착한 접합부(3, 3)를 통체(13)의 끝면 상호간에 접촉시켜서 나사(축)(25)를 통과시킴으로써 부분품 상호간을 연결·고정하고 있다. 전방측의 통체(13)에는 나사(25)를 삽입하는 클리어런스홀(26)이 형성되고, 안쪽의 통체(13)에는 나사(25)가 나사결합 하는 볼트구멍(27)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통체(13, 13)에 나사(25)를 통과시켜서 체결하는 것 만으로, 통체(13, 13) 상호간을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사(25)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통체(13, 13)로부터 뽑음으로써 부분품 상호간을 분리하는 것도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 같이, 본 미술공예품은, 다양한 형상의 복수의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 17, 18, 19, 20)을 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추상적 표현이 가능한다. 자연계에 있는 것은 모두 곡선의 조합에 의하여 할 수 있고, 특히 대략 C자형 또는 대략 S자형의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을 적절하게 조합시킴으로써 사람의 심리에 강하게 호소하는 것 같은 우수한 예술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다. 크기나 형상이 서로 다른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을 몇종류 준비해 두고, 그들의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을 자유롭게 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고, 또한 이러한 표준화된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의 조합은, 다품종소량의 우수한 작품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미술공예품은,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 17, 18, 19, 20) 상호간이 접합·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수송하는 때에는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 17, 18, 19, 20)별로 분해하여 콤팩트 하게 할 수 있어, 수송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미술공예품은, 금속제의 대(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어디에서나 간단하게 전시할 수 있다. 또한 대략 C자형 또는 대략 S자형의 부분품(1a, lb, 1c, 1d, 1e, 1f)이 대(2)에 접합·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수송하는 때에는 대(2)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수송하기 쉽다.
또한 본 미술공예품은, 각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 17, 18, 19, 20)에 접합부(3, 3, …)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접합부(3, 3)에 볼트(4)나 나사(25)를 통과시키거나, 핀(11)을 통과시키거나 함으로써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 17, 18, 19, 20) 상호간을 접합·분리 가능하게 하므로, 분해 및 조립이 누구에 의해서라도 간단하게 단시간에 할 수 있다. 접합부(3, 3)에 볼트(4)를 통하여 너트를 걸었을 경우에는, 볼트(4)나 너트(5)를 체결함으로써 부분품(1a, lb, 1c, 1d, 1e, 1f) 상호간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3)와 볼트(4)의 머리나 너트(5)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미관이 손상되지 않는다.
접합부(3)를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 17, 18, 19, 20)의 표면에 용접에 의하여 부착하는 경우에는, 각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 17, 18, 19, 20)에 도금처리를 실시하는 전에 접합부(3)를 용접할 필요가 있고, 뒤에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 17, 18, 19, 20)을 조합시키는 방법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접합부(3)를 샌드페이퍼 등으로 깎아내거나, 다시 도금처리가 필요하게 되거나 하여 번거로운 작업이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본 미술공예품은, 접합부(3)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금속제의 통체(13)와, 통체(13)의 외주면에 부착한 전나사볼트(14)로 이루어지고, 전나사볼트(14)를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 17, 18, 19, 20)에 형성한 구멍(너트구멍(15), 구멍(23))에 고정하여 통체(13)의 외주면(13)을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 17, 18, 19, 20)에 접촉 또는 근접시켜서 부착하도록 했으므로, 각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 17, 18, 19, 20)에 도금처리를 실시한 후에, 임의의 위치에 구멍(15, 23)을 가공하는 것만으로 접합부(3)를 부착할 수 있어, 제작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접합부(3)는 간단하게 뗄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된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 17, 18, 19, 20)의 재이용도 용이하다.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에 형성된 구멍(6)으로부터 부분품내로 너트(16)를 삽입하고, 상기 너트(16)를 전나사볼트(14)와 나사결합 해서 체결함으로써 접합부(3)를 부분품(1a, lb, 1c, 1d, 1e, 1f, 1g)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통체(13)의 축방향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미술공예품은, 대략 C자형 또는 대략 S자형의 부분품(1b, 1f, 1g)이, 다른 부분품과의 접합장소를 지점으로 하여 방향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부분품(1b, 1f, 1g)의 방향을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보다 다채로운 표현이 가능하여, 보는 것을 싫증나지 않게 한다. 또한 부분품(1b, 1f, 1g)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수송하거나 할 때에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술공예품을 구성하는 부분품의 크기, 형상, 재질, 개수 등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자형 또는 S자형의 부분품을 수지(樹脂)로 형성 할 수도 있다. 부분품 상호간의 연결부, 부분품과 대와의 연결부의 구조는, 반복적으로 접합·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면 좋고, 볼트·너트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략 C자형 또는 대략 S자형의 부분품을 어떻게 해서 만들지는 임의여서, 반드시 길이방향을 따라 반정도의 두께로 분할한 것을 용접해서 만들 필요는 없고, 중공모양의 형상인채로 주조할 수도 있다.
1a, lb, 1c, 1d, 1e, 1f, 1g 부분품
2 대
3 접합부
4 볼트(축)
5 너트
11 핀(축)
13 통체
14 전나사볼트
15 너트구멍(구멍)
17 상판(부분품)
18 측판(부분품)
19 바닥판(부분품)
20 수직판(부분품)
23 구멍
25 나사(축)

Claims (2)

  1. 다양한 형상의 복수의 부분품(部分品)을 조합시켜서 구성되고, 각 부분품은, 접합부(接合部)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접합부는, 소정의 길이의 통체(筒體)와, 통체의 외주면에 부착한 전나사볼트를 구비하고, 전나사볼트를 부분품에 형성한 구멍에 삽입하고, 구멍으로부터 돌출한 전나사볼트에 너트를 나사결합 하여 체결함으로써 통체의 외주면을 부분품에 접촉 또는 근접시켜 고정하여 부착하고, 상호의 부분품의 접합부를 통체의 끝면 상호간에 접촉시켜서 통체에 볼트를 통하여 너트를 걸므로써 상호의 부분품의 접합부의 통체를 상대회전 불가능 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공예품.
  2. 다양한 형상의 복수의 부분품에 표면처리를 실시하는 공정과, 표면처리를 실시한 각 부분품에 접합부 부착용의 구멍을 가공하는 공정과, 통체의 외주면에 전나사볼트를 부착한 접합부를 그 전나사볼트를 부분품에 형성한 구멍에 고정하여 통체의 외주면을 부분품에 접촉 또는 근접시켜서 고정해서 부착하는 공정과, 상호의 부분품의 접합부를 통체의 끝면 상호간에 접촉시켜서 통체에 볼트를 통하여 너트를 걸므로써 상호의 부분품의 접합부의 통체를 상대회전 불가능 하게 고정하여 부분품 상호간을 연결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공예품의 제조방법.
KR1020237014219A 2021-04-16 2021-09-07 미술공예품, 미술공예품의 제조방법 KR202300705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69676A JP6950109B1 (ja) 2021-04-16 2021-04-16 美術工芸品、美術工芸品の製造方法
JPJP-P-2021-069676 2021-04-16
PCT/JP2021/032814 WO2022219830A1 (ja) 2021-04-16 2021-09-07 美術工芸品、美術工芸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513A true KR20230070513A (ko) 2023-05-23

Family

ID=7800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4219A KR20230070513A (ko) 2021-04-16 2021-09-07 미술공예품, 미술공예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01254A1 (ko)
EP (1) EP4324659A1 (ko)
JP (1) JP6950109B1 (ko)
KR (1) KR20230070513A (ko)
CN (1) CN117042858A (ko)
WO (1) WO20222198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1195Y2 (ko) * 1980-01-28 1981-11-30
JP6847593B2 (ja) * 2016-06-01 2021-03-24 竹内 修 金属製美術工芸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01254A1 (en) 2024-01-04
JP2022164280A (ja) 2022-10-27
WO2022219830A1 (ja) 2022-10-20
JP6950109B1 (ja) 2021-10-13
EP4324659A1 (en) 2024-02-21
CN117042858A (zh)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87181A (ja) 玩具などの組立体
US6171013B1 (en) Device for coupling a corner strut by assembling components
KR20230070513A (ko) 미술공예품, 미술공예품의 제조방법
JP2011038590A (ja) フレームの連結構造
HU201131B (en) Spatial jointing mechanism
US20050074278A1 (en) Easily connected and separated columnar coupler structure
US9139228B2 (en) Modular electric scooter frame structure
JP6847593B2 (ja) 金属製美術工芸品
KR200366190Y1 (ko) 조립식 프레임 체결장치
JP5594758B2 (ja) 柱継手構造
JP2008064235A (ja) フレームユニット及びフレーム装置
GB2246597A (en) Clamping members and junction units
JP4476005B2 (ja) 手摺り構築用の自在継手
JP3470962B2 (ja) 鋼管構造体の接続機構
KR200224077Y1 (ko) 구조물 시공용 파이프 체결구조
JP3105615U (ja) フレームのジョイント構造
JP6608718B2 (ja) 什器の仕口構成体および什器
CN2240913Y (zh) 多功能组合架
KR100660467B1 (ko) 트러스 구조물용 죠인트부재
JPS601671Y2 (ja) 衝立て
JP2002242911A (ja) 連結装置
JPH051331U (ja) テ−ブル等の組立脚
JP4134081B2 (ja) 天板への脚取付け構造
JP3164784U (ja) 衣類用組立ラック
JP2000005008A (ja) 花器及びこれに用いてなる支脚連結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