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707A -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 - Google Patents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707A
KR20230068707A KR1020210154781A KR20210154781A KR20230068707A KR 20230068707 A KR20230068707 A KR 20230068707A KR 1020210154781 A KR1020210154781 A KR 1020210154781A KR 20210154781 A KR20210154781 A KR 20210154781A KR 20230068707 A KR20230068707 A KR 20230068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ie
gripper
binding
power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8475B1 (ko
Inventor
김성훈
김미선
Original Assignee
통일전자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통일전자공업(주) filed Critical 통일전자공업(주)
Priority to KR1020210154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475B1/ko
Publication of KR20230068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6Bundling coils of wire or like annula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28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3/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63/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for folding or winding articles, e.g. gloves or stockings
    • B65B63/06Forming elongated hanks, e.g. of shoe l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워 코드 케이블의 생산 후 포장, 납품 단계에서 파워 코드 케이블을 제품별 사양이나 고객의 요구 규격에 맞춰 균일하게 롤링 및 결속하고, 해당 공정을 완전 자동화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파워 코드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는, 좌우로 한 쌍의 기둥이 입설되어 있으며, 회전을 통해 상기 기둥에 케이블이 감기게 하는 회전 테이블, 감겨 있는 케이블 뭉치를 파지하여 전후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으로 이송된 케이블 뭉치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 결속용 타이를 공급하는 타이 공급기, 타이의 양단을 파지 후 회전하여 타이를 결속하는 결속 그리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AUTOMATIC ROLLING AND BANDING APPARATUS FOR POWER CABLE}
본 발명은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워 코드 케이블의 생산 후 포장, 납품 단계에서 파워 코드 케이블을 제품별 사양이나 고객의 요구 규격에 맞춰 균일하게 롤링 및 결속하고, 해당 공정을 완전 자동화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파워 코드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워 코드 케이블은 각종 전자기기의 전원 공급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입고된 전선을 하나의 케이블로 피복 후 심선을 탈피한 다음 압착을 거친 후 플러그를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성형하여 제작된다.
이렇게 제작된 파워 코드 케이블은 각종 전기적 특성 테스트를 완료한 후 묶음(rolling) 형태로 결속되어 포장 후 출하된다.
이때 종래의 파워 코드 케이블의 롤링 및 결속 작업은 전적으로 수작업에 의존하여 왔다.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5a와 같이 완제품인 파워 코드 케이블을 작업자가 두 개의 봉에 감아서 롤링한 후, 타이(철심 끈)로 케이블 뭉치의 중간을 묶어서 결속하여 왔다.
이렇게 파워 케이블 코드의 롤링 및 결속 작업이 전적으로 수작업으로만 진행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평균적인 생산 수량이 달라서 출하 수량을 맞추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이에 사용되는 파워 코드 케이블의 사양(케이블의 두께, 플러그의 모양 등)이 다르고, 여기에 납품받는 회사마다 요구하는 롤링 규격(롤링 길이, 횟수 등) 역시 제각각이다.
따라서 제품별로 각각의 케이블 사양이나 롤링 규격에 맞춰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데, 수작업의 경우 작업자별로 롤링 규격의 판단 능력이 달라서 재작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있으며, 타이의 소모량이 매우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수작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타이를 결속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타이 결속에만 국한된 부분 자동화 설비로써, 파워 코드 케이블의 롤링 작업은 여전히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며, 이에 파워 코드 케이블의 롤링 및 결속 작업을 전부 완전 자동화시킬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나, 현재 해당 작업의 완전 자동화 설비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워 코드 케이블의 생산 후 포장, 납품 단계에서 파워 코드 케이블을 제품별 사양이나 고객의 요구 규격에 맞춰 균일하게 롤링 및 결속하고, 해당 공정을 완전 자동화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파워 코드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는,
좌우로 한 쌍의 기둥이 입설되어 있으며, 회전을 통해 상기 기둥에 케이블이 감기게 하는 회전 테이블,
감겨 있는 케이블 뭉치를 파지하여 전후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으로 이송된 케이블 뭉치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 결속용 타이를 공급하는 타이 공급기,
타이의 양단을 파지 후 회전하여 타이를 결속하는 결속 그리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에서,
상기 회전 테이블은 상기 한 쌍의 기둥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는,
상기 회전 테이블은 상기 한 쌍의 기둥 일측에 입설되어 케이블의 플러그를 고정시키는 고정 그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테이블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기둥에 감기는 케이블의 타측부를 잡아주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에서,
상기 이송유닛은 승강 가능한 이송 그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케이블 뭉치를 파지하는 안착 그리퍼로 구성되고,
상기 타이 공급기는 상기 안착 그리퍼 상부에서 상기 이송 그리퍼의 전후진 방향으로 타이를 공급하여,
하강하는 케이블 뭉치가 타이를 눌러서 케이블 뭉치에 타이가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는,
회전 테이블을 이용한 케이블의 롤링, 이송 로봇을 이용한 이송 및 배출, 타이 공급기 및 결속 그리퍼를 이용한 타이 결속 등 파워 코드 케이블의 롤링 및 결속 작업 전체를 완전 자동화시켜, 작업자별 생산 수량 차이를 줄임과 동시에 파워 코드 케이블의 사양이나 롤링 규격에 맞춰 균일한 품질을 유지되게 하여 종래의 수작업에 의존한 방식에 비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기둥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해 롤링 규격을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 동시에, 롤링 후 케이블 뭉치를 기둥에서 쉽게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으며,
플러그가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블을 잡아주어 회전 테이블이 회전할 때 케이블이 빠른 속도로 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롤링 작업 불량 및 작업자의 상해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그리퍼를 이용한 케이블 뭉치의 공급 시 타이가 자동으로 절곡되어 결속 대기 상태가 됨에 따라 공정 별 작업 로스 시간을 줄이고 결속 작업이 항상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a, 도 2b는 도 1의 부분 사시도와 평면도.
도 3a 내지 도 4d는 도 1의 부분 사시도와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케이블 롤링 및 결속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들.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 꺾임 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는,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회전 테이블(10), 이송유닛(20), 안착부(30), 타이 공급기(40), 결속 그리퍼(50), 고정유닛(60)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들은 개폐 가능한 도어들을 구비한 본체(M) 내부에 설치되고, 본체(M)의 전면이 개구된 작업부(W)상에 상기 회전 테이블(10)이 배치되어, 작업자가 파워 코드 케이블의 투입만을 수작업으로 진행한 후 롤링 및 결속 작업은 완전 자동화되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좌우로 한 쌍의 기둥(11)(12)이 입설되어 있으며, 회전을 통해 상기 기둥(11)(12)에 케이블(C)이 감기게 하는 회전 테이블(10),
감겨 있는 케이블 뭉치를 파지하여 전후로 이송하는 이송유닛(20),
상기 이송유닛(20)으로 이송된 케이블 뭉치가 안착되는 안착부(30),
상기 안착부(30)로 결속용 타이(T)를 공급하는 타이 공급기(40),
타이(T)의 양단을 파지 후 회전하여 타이(T)를 결속하는 결속 그리퍼(50),
상기 회전 테이블(10)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기둥(11)(12)에 감기는 케이블(C)의 타측부를 잡아주는 고정유닛(6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테이블(10)은 상면 양측에 각각 소정 높이의 기둥(11)(12)이 세워져 결합되어 있으며, 모터(13)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테이블(10)은 상기 한 쌍의 기둥(11)(1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간격 조절수단으로써,
상기 회전 테이블(10)의 좌우로 배열된 가이드홈(14)(15)에 각 기둥(11)(12)이 슬라이딩 결합되어 간격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더해 하나의 기둥(11)은 실린더(111)의 피스톤에 연결되어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롤링 규격에 맞춰 기둥(11)(12)들 중 하나에 케이블(C)을 걸어서 케이블(C)의 양단을 각각 고정 그리퍼(16) 및 고정유닛(6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 테이블(1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기둥(11)(12)들에 케이블(C)이 감겨서 롤링 작업이 완료된다.
그리고 롤링 완료 후 이송유닛(20)이 케이블 뭉치를 파지하여 이송할 때, 상기 실린더(111)에 의해 기둥(11)이 전진하여 기둥(11)(12)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이송유닛(20)이 케이블 뭉치를 보다 쉽게 파지하여 빼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 테이블(10)은 상기 한 쌍의 기둥(11)(12) 일측에 입설되어 케이블(C)의 플러그(P)를 고정시키는 고정 그리퍼(16)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그리퍼(16)는 실린더(161)에 의해 파지 작동 하는 것으로, 파워 코드의 플러그(P)가 케이블 뭉치에서 소정 길이로 감기지 않게 잡아준다.
아울러 플러그(P)가 감기지 않는 길이에 따라 상기 고정 그리퍼(16)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테이블(10)은 하나의 가이드홈(15)에 대하여 사선 배열된 가이드홈(17)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 그리퍼(16)가 상기 가이드홈(17)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이송유닛(20)은 상기 회전 테이블(10) 상부에서 상기 안착부(30) 상부까지 연결된 가이드(21)와, 상기 가이드(21)를 따라 모터(22)에 의해 전후진 작동하면서 승강 가능한 이송 그리퍼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 그리퍼는 케이블 뭉치의 양단을 파지하는 제1 이송 그리퍼(23)와, 케이블(C)의 플러그(P)를 파지하는 제2 이송 그리퍼(24)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이송 그리퍼(23)는 실린더(251)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 플레이트(25)의 저면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이송 그리퍼(24)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25)의 일측단이 힌지 결합된 회동 프레임(26)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제2 이송 그리퍼(23)(24)는 각각의 실린더(231)(241)에 연결되어 파지 작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송유닛(20)은 롤링된 케이블 뭉치의 길이 및 플러그의 위치에 맞게 각 그리퍼(23)(24)의 위치를 조절하여 세팅되며, 롤링 작업이 완료된 케이블 뭉치를 파지(플러그(P) 포함. 플러그(P)의 반대편 심선(미도시)의 경우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별도의 파지를 필요로 하지 않음.)하여 결속 작업 위치인 안착부(30)로 이송한 후 전방으로 원위치 복귀한 상태에서 결속 작업이 완료되면 다시 후진하여 케이블 뭉치를 파지한 다음 전진하여 롤링 및 결속이 완료된 완제품을 최종 배출한다.
이때 상기 이송유닛(20)의 배출 작업이 완료될 때마다 그 횟수가 카운팅되어 생산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안착부(30)는 롤링된 케이블 뭉치에 타이(T)가 결속될 수 있도록 케이블 뭉치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안착부(30)는 케이블 뭉치를 파지하는 안착 그리퍼(31)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 그리퍼(31)는 상기 이송 그리퍼(23)(24)와 반대로 역립되어 설치된 것으로, 실린더(32)에 의해 파지 작동이 가능하며, 안착 그리퍼(31)의 집게들 상부에는 공급되는 타이(T)를 수평하게 안내하면서 탄력 지지하기 위한 지지밴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상기 안착 그리퍼(31)는 집게들이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이송 그리퍼(23)(24)에 의해 케이블 뭉치가 하강하여 안착되면 파지 작동하여 결속 작업 중 집게 뭉치가 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타이 공급기(40)는 공급릴(미도시)에 권취되어 있는 타이(T)를 풀어서 상기 안착부(30) 상부로 공급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타이(T)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이 공급기(40)는 공급릴의 타이(T)가 가이드롤러(41)(42)로 안내되면서 풀리게 작동하여, 상기 안착 그리퍼(31) 상부에서 상기 이송 그리퍼(23)(24)의 전후진 방향으로 타이(T)를 공급한다.
이때 공급되는 타이(T)는 상기한 지지밴드로 끼워져 수평하게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하강하는 케이블 뭉치가 타이(T)를 눌러서 케이블 뭉치에 타이(T)가 감긴다.
즉, 타이(T)로 케이블 뭉치를 결속하기 위해선 일자로 펴진 타이(T)를 케이블 뭉치에 한 번 감기도록 절곡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은 케이블 뭉치의 안착 작업을 통해 타이(T)가 눌리면서 'U'자형으로 절곡되게 함으로써 해당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속 그리퍼(50)는 케이블 뭉치에 한 번 감겨서 'U'자형 절곡된 타이(T)의 양단을 파지한 후 회전을 통해 타이(T)를 꼬아서, 케이블 뭉치가 타이(T)로 결속되게 한다.
이러한 결속 그리퍼(50)는 실린더(51)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실린더(52)를 통해 파지 작동이 이루어지면서, 모터(53)에 의해 회전한다.
아울러 상기 결속 그리퍼(50)는 양측에 구비되어 상협하광의 구조로 하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누름 바(5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 그리퍼(50)는 상기 이송 그리퍼(23)(24)가 연결된 이송 플레이트(27)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21)를 따라 상기 이송 그리퍼(23)(24)와 결속 그리퍼(50)가 동시에 전후진 작동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 그리퍼(23)(24)가 후진 후 하강하여 상기 안착 그리퍼(31)에 케이블 뭉치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 그리퍼(23)(24)가 다시 전진하면, 후방의 결속 그리퍼(50)가 상기 안착 그리퍼(31) 상부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결속 그리퍼(50)가 하강하면 집게들 사이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타이(T)의 양단이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결속 그리퍼(50)가 파지 작동 후 회전하면 타이(T)가 꼬이면서 결속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누름 바(54)는 케이블 뭉치의 양단을 눌러서 잡아 주어, 타이(T) 결속 중 케이블 뭉치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유닛(60)은 상기 회전 테이블(10)의 회전 중 고정 그리퍼(16)에 고정된 플러그(P)와 달리 고정되지 않은 케이블(C)의 타측 끝단이 기둥(11)(12)들로 안전하게 공급되어 감기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유닛(60)은 케이블(C)이 끼워져 기둥(11)(12)들로 감기는 것을 안내하는 파지롤러(61)와, 상기 파지롤러(61)의 전후좌우 및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실린더(62)(63)(전후 이동을 위한 실린더의 경우 커버(64)에 내장되어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음.)를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유닛(60)은 파지롤러(61)들 사이로 케이블(C)이 끼워져 케이블(C)을 잡은 상태에서 전후좌우로 이동하면서 기둥(11)(12)들에 감기지 않는 케이블(C)의 타측부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부에서 상부로 상승하여 케이블(C)이 기둥(11)(12)들의 높이방향으로 일정하게 감길 수 있게 한다.
즉, 회전 테이블(10)이 고속 회전하여 케이블(C)이 기둥(11)(12)들에 감길 때, 케이블(C)의 타측부가 고정되지 않으면 회전 속도로 인해 케이블(C)이 요동치면서(튕겨서) 부품 파손 내지 작업자의 상해를 유발할 수 있는 바, 상기 고정유닛(60)으로 케이블(C)이 기둥(11)(12)들로 안전하게 안내되면서 감기게 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나아가 케이블(C)이 기둥(11)(12)들에 감길 때, 회전 테이블(10)의 회전 속도에 맞춰 케이블(C)의 공급 높이가 상향되게 제어하여, 케이블(C)이 기둥(11)(12)의 전후좌우로 중첩되지 않고 상하 일렬로 맞춰져 감기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케이블(C)을 기둥(11)(12)에 걸어서 플러그(P)와 케이블(C)의 타측부를 고정시켜 투입하는 작업만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 케이블(C)의 롤링, 결속, 이송 및 배출 작업이 모두 완전 자동화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의 수작업 방식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타이(T)의 결속 후 결속된 부위를 케이블 뭉치와 평행하게 꺾어줘야 하는 바, 본 발명은 상기 결속 그리퍼(50)에 자동 꺾임 수단을 도입하여 해당 작업까지도 완전 자동화를 시켰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꺾임 수단은, 상기 결속 그리퍼(50)의 각 집게부(50A)(50B) 하단 내측면에서 좌우를 따라 오목하게 길게 형성된 삽입홈(501)과, 삽입홈(501)들 중 하나(50A)에 삽입되는 푸시블록(55)과, 집게부(50A)(50B)들 중 하나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피스톤(561))이 해당 집게부(50A)를 관통하여 상기 푸시블록(55)에 연결되어 상기 푸시블록(55)을 전후진시키는 소형 실린더(56)를 포함하여,
상기 결속 그리퍼(50)의 파지 작동 시마다 상기 소형 실린더(56)가 상기 푸시블록(55)을 삽입홈(501)들 중 하나에 삽입되게 전후진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푸시블록(55)이 타이(T)의 꼬임부를 밀어서 꺾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일측 집게부(50A)의 삽입홈(501)에 상기 푸시블록(55)이 후진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 그리퍼(50)의 파지 작동 후 회전으로 타이(T)의 결속이 완료되면, 집게부(50A)(50B)들이 벌어질 때 상기 소형 실린더(56)가 작동하여 상기 푸시블록(55)을 전진시켜 타측 집게부(50B)의 삽입홈(501)에 삽입되게 하며 이렇게 푸시블록(55)이 전진할 때 집게부(50A)(50B)들 사이에 위치하던 타이(T)의 꼬임부가 푸시블록(55)의 전진 방향으로 꺾여서 접히게 된다.
그리고 후속 결속 작업 시에는, 결속 그리퍼(50)의 결속 완료 후 집게부(50A)(50B)들이 벌어질 때 타측 집게부(50B)의 푸시블록(55)이 소형 실린더(56)에 의해 후진하여 일측 집게부(50A)의 삽입홈(501)에 삽입됨에 따라, 타이(T)의 꼬임부가 푸시블록(55)의 후진 방향으로 꺾여서 접히게 된다.
따라서 결속 작업 시 마다 상기 푸시블록(55)의 전후진이 반복되면서 타이(T)의 꼬임부를 자동으로 꺾어서 접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파워 코드 케이블(C)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회전 테이블 11, 12 : 기둥
13 : 모터 14, 15 : 가이드홈
16 : 고정 그리퍼 17 : 가이드홈
20 : 이송유닛 21 : 가이드
22 : 모터 23, 24 : 이송 그리퍼
25 : 승강 플레이트 26 : 회동 프레임
27 : 이송 플레이트
30 : 안착부 31 : 안착 그리퍼
32 : 실린더
40 : 타이 공급기 41, 42 : 안내롤러
50 : 결속 그리퍼 51, 52 : 실린더
53 : 모터 54 : 누름 바
60 : 고정유닛 61 : 고정롤러
62, 63 : 실린더 64 : 커버

Claims (4)

  1. 좌우로 한 쌍의 기둥이 입설되어 있으며, 회전을 통해 상기 기둥에 케이블이 감기게 하는 회전 테이블,
    감겨 있는 케이블 뭉치를 파지하여 전후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으로 이송된 케이블 뭉치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 결속용 타이를 공급하는 타이 공급기,
    타이의 양단을 파지 후 회전하여 타이를 결속하는 결속 그리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테이블은 상기 한 쌍의 기둥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테이블은 상기 한 쌍의 기둥 일측에 입설되어 케이블의 플러그를 고정시키는 고정 그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테이블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기둥에 감기는 케이블의 타측부를 잡아주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승강 가능한 이송 그리퍼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케이블 뭉치를 파지하는 안착 그리퍼로 구성되고,
    상기 타이 공급기는 상기 안착 그리퍼 상부에서 상기 이송 그리퍼의 전후진 방향으로 타이를 공급하여,
    하강하는 케이블 뭉치가 타이를 눌러서 케이블 뭉치에 타이가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
KR1020210154781A 2021-11-11 2021-11-11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 KR102598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781A KR102598475B1 (ko) 2021-11-11 2021-11-11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781A KR102598475B1 (ko) 2021-11-11 2021-11-11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707A true KR20230068707A (ko) 2023-05-18
KR102598475B1 KR102598475B1 (ko) 2023-11-07

Family

ID=86545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781A KR102598475B1 (ko) 2021-11-11 2021-11-11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4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114U (ja) * 1992-05-14 1993-12-14 王子製袋株式会社 使用済ストレッチ・フィルムの梱包装置
KR20200124052A (ko) * 2019-04-23 2020-11-02 박경철 Cd 전선관 자동 밴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114U (ja) * 1992-05-14 1993-12-14 王子製袋株式会社 使用済ストレッチ・フィルムの梱包装置
KR20200124052A (ko) * 2019-04-23 2020-11-02 박경철 Cd 전선관 자동 밴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475B1 (ko)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17273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ttaching terminals to cable ends
US4993209A (en) Process and means for seaming and cutting off a wrapping film
CN108648903B (zh) 一种变压器穿套管及绕挂线一体机
US20080271510A1 (en) Wire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a cut length of wire
CN109292186B (zh) 一种电源线自动扎带机
CN210503318U (zh) 一种龙门式悬臂覆顶缠绕机
JP7468998B2 (ja) 第1および第2の単電線を撚り合わせてペア電線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H10112229A (ja) 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10125504A (zh) 一种集浸锡功能和焊锡功能于一体的设备
CN114314160A (zh) 一种高强度绞合电缆深加工工艺及设备
KR20230068707A (ko)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
CN114194460B (zh) 一种用于电缆电线的捆扎机及其捆扎方法
US8052079B2 (en) Coil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il
SK400590A3 (en) System for production of bunched wires
CN208700264U (zh) 一种电力线缆用线缆缠绕架
JP2003319622A (ja) 回転電機用固定子コイ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10356801A (zh) 一种绕线生产线
KR20190115224A (ko)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
CN113335593A (zh) 一种电线电缆用快速捆扎包装机
CN212475602U (zh) 一种可调节的成圈机
CN210570264U (zh) 绕线机构和自动绕线扎把设备
CN220079282U (zh) 一种初捻机的放线架
CN221040825U (zh) 一种绕线机快速装料装置
US20080295296A1 (en) Device and method for accepting a cut length of wire that has been formed into a coil
CN215731070U (zh) 一种下线机的下线盘整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