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224A -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224A
KR20190115224A KR1020180037985A KR20180037985A KR20190115224A KR 20190115224 A KR20190115224 A KR 20190115224A KR 1020180037985 A KR1020180037985 A KR 1020180037985A KR 20180037985 A KR20180037985 A KR 20180037985A KR 20190115224 A KR20190115224 A KR 20190115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cable
bending
unit
b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9548B1 (ko
Inventor
김성훈
박설아
김미선
Original Assignee
통일전자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통일전자공업(주) filed Critical 통일전자공업(주)
Priority to KR1020180037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548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7/00Bundling particula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using string, wire, or narrow tape or band; Baling fibrous material, e.g. p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27/06Bundling coils of wire or like annula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밴딩용 타이 및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유닛, 상기 밴딩용 타이를 일정길이로 커팅하는 커팅유닛 및 상기 밴딩용 타이의 양단부를 잡아 꼬이도록 회전시켜 케이블을 결속시키는 밴딩유닛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제작 완료된 케이블을 밴딩용 타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결속함에 따라, 기존의 수작업으로 진행하던 작업에 비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AUTOMATIC BE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밴딩용 타이 및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유닛, 상기 밴딩용 타이를 일정길이로 커팅하는 커팅유닛 및 상기 밴딩용 타이의 양단부를 잡아 꼬이도록 회전시켜 케이블을 결속시키는 밴딩유닛으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제작 완료된 케이블을 밴딩용 타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결속함에 따라, 기존의 수작업으로 진행하던 작업에 비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워코드 플러그 생산 및 제조 공정시에는 거래처 납품을 위해 마지막 포장정리 단계인 케이블의 권취 및 결속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 때 케이블 권취 작업 후, 이를 고정시켜주는 결속작업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 밴딩용 타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일일이 케이블을 결속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을 결속시키는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7-0016250호 "케이블 정리용 결속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단부에 접속부를 갖는 케이블의 피복과 일체로 성형되거나, 케이블과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케이블에 결합되거나, 상기 케이블과 일체화 되도록 제작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양쪽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각각 연장 형성되고, 각각의 단부에는, 여러 가닥의 케이블들을 묶기 위한 결합수단이 마련된 결속단을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케이블을 정리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편리하나, 제작된 케이블을 납품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케이블을 결속해야 하며 이로 인해 작업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1185806호 "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이어폰"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케이블(20)의 꼬임 및 엉킴을 방지하고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일측의 홀더(45)가 상기 케이블(20) 상에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측의 띠재(41)가 유연성을 가지며 변형되어 상기 케이블(20)을 묶음 고정하는 결속띠(40)를 구비하여서 되며; 상기 홀더(45)는, 상기 케이블(20)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도록 상부 및 하부커버(46)(47)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및 하부커버(46)(47)의 대향면에 서로 대응 결합되는 결합홈(46a) 및 결합돌기(47a)를 가져서 되고; 상기 띠재(41)는,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광고표시부(42)가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홀더(45)와 연결되는 유연성 소재의 표면 띠재(41a)와 이면 띠재(41b)로 이루어지고 그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유연성 심재(43)를 내장 하여서 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결속띠를 통하여 이어폰을 권취하여 결속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이 또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해야 하며, 이로 인하여 제품 납품을 위한 대량의 케이블 작업 시에는 그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결속시키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기존에 사용되는 케이블 결속기는 작업자가 권취작업이 완료된 케이블을 센서가 부착된 눌림판을 눌러줘 결속범위 안에 위치시키고, 공급된 밴딩용 타이가 결속 운동부를 통해 자동으로 결속이 완료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이 또한 작업자의 눌림판을 누르는 힘에 따라 케이블의 단단하게 고정시키지 못하고, 균일하지 못한 작업결과가 도출되며, 내부에서 구동되는 밴딩용 타이를 결속해주는 부품이 제한적으로 그 비용이 증가하며, 케이블을 넣는 위치의 범위가 좁아 결속시키려는 케이블의 부피가 클 경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작업 효율성이 감소하고, 작업자에 따라 일정한 힘으로 진행하기 어려워 품질의 획일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날카로운 밴딩용 타이를 사용함에 있어 작업자가 다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안착유닛, 커팅유닛, 밴딩유닛을 통하여 작업자가 결속하고자 하는 케이블을 안착유닛에 올려놓으면, 밴딩유닛이 하강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케이블을 가압한 후, 밴딩용 타이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케이블을 결속시킬 수 있는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밴딩유닛이 하강하여 케이블을 가압함에 따라 항상 기 설정된 동일한 압력으로 케이블을 가압하여 결속시킴에 따라 제품품질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기존 수작업에 의존했던 작업 환경을 자동방식으로 변경함에 따라 보다 단단하게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고, 작업속도향상 및 제품 완성도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는
밴딩용 타이를 공급하는 공급부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공급된 밴딩용 타이와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유닛;
상기 안착유닛 후단에 구비되어, 안착유닛에 안착된 밴딩용 타이의 일측을 커팅하는 커팅유닛;
상기 안착유닛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밴딩용 타이 양 단부를 잡아 서로 꼬이게 회전시켜 케이블을 결속시키는 밴딩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안착유닛에 구비되는 밴딩용 타이 상부에 정리하고자 하는 케이블을 올리면, 상기 밴딩유닛이 하강하여 케이블과 밴딩용 타이를 눌러 밴딩용 타이가 U자 형상으로 양단부가 절곡되어 케이블을 감싸며 올라가고,
상기 밴딩유닛이 올라간 밴딩용 타이의 양단부를 고정한 후, 양 단부가 서로 꼬이도록 회전시킴으로서 밴딩용 타이가 케이블을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는
우선 종래의 수작업에 의존했던 작업환경을 자동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시간 단축 등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에 힘에 따라 다르게 결속되었던 문제를 밴딩유닛에 구비되는 가압부재에 의해 케이블을 가압하여 밴딩용 타이를 결속시킴에 따라 항상 일정한 힘으로 케이블을 결속할 수 있어 보다 더 단단하고 동일한 결과물을 도출하여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자동으로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종류, 권취양에 따라 밴딩용 타이의 꼬임횟수 및 케이블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각각에 케이블에 가장 최적화 된 결속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작업자가 밴딩용 타이를 직접 만지지 않음으로서, 밴딩용 타이에 의한 긁힘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의 측면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의 작동 사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의 커팅유닛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의 안착유닛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의 밴딩유닛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우선 본 명세서에서의 케이블(C)은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전원케이블(C), 이어폰 줄, 일반 케이블(C)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케이블(C) 등을 납품하는 경우, 권취된 케이블(C)을 결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밴딩용 타이(T)를 이용한 밴딩장치(A)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밴딩용 타이(T)는 일반적으로 칼라타이라 불리는 중앙에 철사가 삽입된 타이를 지칭하는 것이다.
다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C) 자동 밴딩장치(A)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안착유닛(30), 커팅유닛(20) 및 밴딩유닛(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안착유닛(30), 커팅유닛(20) 및 밴딩유닛(40)이 구비될 수 있도록 받침부(11)와 상기 받침부(11)에 구비되는 프레임(1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에 제어부가 구비되어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며, 후술하는 밴딩유닛(40)의 가압력 및 회전횟수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11)의 하단에는 받침다리(1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시 상기 본체(10)에는 밴딩용 타이(T)를 공급하기 위한 타이공급부재(15)와, 상기 밴딩용 타이(T)가 권취되는 권취롤러(1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타이공급부재(15)는 상기 권취롤러(17)에 권취된 밴딩용 타이(T)를 공급받아 상기 안착유닛(30)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타이공급부재(15)에는 밴딩용 타이(T)가 배출되는 배출공(15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되는 밴딩용 타이(T)는 기 설정된 길이대로 상기 안착유닛(30)에 안착될 수 있도록 배출공(151)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밴딩용 타이(T)가 배출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안착유닛(30)의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권취롤러(17)의 위치를 후방으로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타이공급부재(15)로부터 배출된 밴딩용 타이(T)는 안착유닛(30)에 안착되게 되고, 이 때 상기 밴딩용 타이(T)의 후단을 커팅하는 커팅유닛(20)이 상기 안착유닛(30)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팅유닛(20)은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이공급부재(15) 내부에 구비되는 커팅칼날(21)과, 상기 커팅칼날(21)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재(2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밴딩용 타이(T)가 안착유닛(30)에 안착되면, 상기 구동부재(23)가 동작하여 상기 커팅칼날(21)을 상승시키도록 하여 밴딩용 타이(T)의 후단을 절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커팅칼날(21)은 상기 배출공(151)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가, 상승하여 배출공(151)내에서 상기 밴딩용 타이(T)의 후단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 밴딩용 타이(T)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유닛(30) 상부에 안착되고, 이 때 작업자가 결속하고자 하는 케이블(C)을 밴딩용 타이(T) 상부에 올리면, 후술하는 밴딩유닛(40)이 하강하여 상기 밴딩용 타이(T)를 꼬아 케이블(C)을 결속하는 구조를 갖는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안착유닛(3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안착유닛(30)은 사이에 누름공간(35)을 형성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31)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31) 상부를 서로 연결하여, 공급된 밴딩용 타이(T)가 안착되는 탄성부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안착유닛(30)은 상기 타이공급부재(15)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지지부재(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31)는 누름공간(35)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31)의 상부단부의 높이는 상기 배출공(15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배출공(151)을 통해 배출되는 밴딩용 타이(T)가 상기 지지부재(31)의 상부단부 위로 배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한 쌍의 지지부재(31)의 상부단부는 각각 상기 배출된 밴딩용 타이(T)의 전방과 후방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누름공간(35)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지지부재(31)에는 그 간격이 넓어졌다가 좁아질 수 있도록 절곡부(3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부재(31)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부재(31)를 구동할 수 있는 별도의 구동장치(315)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이 구동장치(315)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31)의 간격을 서로 가까워질 수 있도록 지지부재(31)를 동작하도록 하거나, 상기 구동장치(315)를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1)의 상부 단부에는 끼임홈(313)이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31)에 구비되는 끼임홈(313)을 서로 연결하는 탄성부재(33)가 더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33)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31) 사이를 연결하도록 이루어져, 누름공간(35) 상부에 위치하여 배출되는 밴딩용 타이(T)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33)는 스프링이 아닌 고무밴딩과 같은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탄성부재(33) 위에 위치한 밴딩용 타이(T) 위에 사용자가 케이블(C)을 올린 후, 동작하여 케이블(C)을 아래로 가압하면, 상기 케이블(C)이 가압력에 의해 누름공간(35)으로 눌려지게 되며, 작업 완료 후에는 상기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31)의 각각의 외면에는 상기 탄성부재(33)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클립(317)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클립(317)은 상기 탄성부재(33)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안착유닛(30), 보다 정확하게는 탄성부재(33)에 밴딩용 타이(T)가 안착되면, 작업자는 권취된 케이블(C)을 상기 밴딩용 타이(T) 상부에 밴딩용 타이(T)와 교차되도록 올려놓고, 상기 밴딩유닛(40)을 동작하여 밴딩용 타이(T)가 케이블(C)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밴딩유닛(4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딩유닛(40)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승하강실린더(41)와, 상기 승하강실린더(41)에 구비되어, 상기 밴딩용 타이(T)의 양 단부를 고정하여 회전시켜 밴딩용 타이(T)를 꼬는 지지부재(31) 및 상기 지지부재(31)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재(31)가 하강하면 케이블(C)을 누름공간(35)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밴딩유닛(40)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안착유닛(30)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안착유닛(30) 상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승하강실린더(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승하강실린더(41)의 하부 단부에는 상기 밴딩용 타이(T)를 고정 및 회전시키기 위한 집게부재(43)가 구비되어 있는데,
먼저, 상기 승하강실린더(41)는 상기 집게부재(43) 및 가압부재(45)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제1 실린더(411)와, 상기 집게부재(43)를 상승시켜, 한 쌍의 집게부재(43)가 밴딩용 타이(T)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제2 실린더(413)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밴딩유닛(40)은 상기 안착유닛(30) 상부에 위치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제1 실린더(411)와 연결되는 케이싱(47)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47)의 하부에는 집게부재(43)와 가압부재(45)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케이싱(47) 내부에는 제2 실린더(413)가 구비되고, 이 제2 실린더(413)의 단부에 상기 한 쌍의 집게부재(43)가 구비되어, 상기 제2 실린더(413)가 상승하면, 한 쌍의 집게부재(43)가 오므려지도록 하여 밴딩용 타이(T)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실린더(413),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집게부재(43)와 연결되는 실린더축(431)은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져 밴딩용 타이(T)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케이싱(47)에는 회전모터(433)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모터(433)에는 제1 기어(433a)가 구비되며, 상기 실린더축(431)에는 제2 기어(431a)가 구비되어 상기 제1 기어(433a)와 제2 기어(431a)가 밴딩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축(431)을 회전시켜 결과적으로 상기 집게부재(4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케이싱(47)에는 별도의 가압부재(45)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가압부재(45)는 한 쌍으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안착유닛(30)에 올려지는 케이블(C)을 누를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밴딩유닛(40)이 하강하면, 상기 가압부재(45)가 안착유닛(30)에 놓여지는 케이블(C)을 눌러 누름공간(35)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가압부재(45)에는 곡선부(451)가 더 구비되어, 상기 결속시키기 위한 케이블(C)의 뭉치를 둥근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밴딩용 타이(T)가 케이블(C)을 권취할 때 그 모양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2 및 도 3을 참고하여 케이블(C)에 밴딩용 타이(T)를 결속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권취롤러(17)에 권취되어 있던 밴딩용 타이(T)는 상기 타이공급부재(15)의 배출공(151)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안착유닛(30)의 탄성부재(33) 상부에 놓여지게되고, 그 후, 상기 타이공급부재(15)에 구비되는 커팅유닛(20)의 커팅칼날(21)이 상승하여 상기 밴딩용 타이(T)의 후단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준비작업이 끝나면, 작업자는 결속하고자 하는 케이블(C)을 상기 안착유닛(30), 구체적으로는 탄성부재(33)에 있는 밴딩용 타이(T) 상부에 위치시키게 되며, 이 경우 케이블(C)의 결속을 위해 상기 케이블(C)의 방향과 밴딩용 타이(T)의 방향이 직교하도록 위치시킨다.
이 후, 본 발명에 따른 밴딩장치(A)를 동작하면, 먼저 상기 밴딩유닛(40)이 하강하게 되는데, 상기 밴딩유닛(40)의 가압부재(45)는 상기 밴딩유닛(40)의 집게부재(43)보다 더 아래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가압부재(45)가 먼저 상기 케이블(C)을 아래, 즉 누름공간(35)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밴딩용 타이(T)는 철사가 내재되어 있는 타이로서, 케이블(C)이 누름공간(35)으로 하강함에 따라 밴딩용 타이(T)의 중앙부분이 아래로 하강하게 되고, 밴딩용 타이(T)의 양 단부가 고정되지 않음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그 측면형상이 'U' 자형을 이루도록 밴딩용 타이(T)의 양 단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밴딩용 타이(T)가 상기 케이블(C)을 감싸는 구조가 되며, 이 때 양 단부가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후술하는 집게부재(43)가 상기 밴딩용 타이(T)의 단부를 잡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밴딩용 타이(T)의 양단부가 상승한 상태가 되면, 상기 밴딩용 타이(T)의 양단부는 한 쌍의 집게부재(43)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집게부재(43)에 연결되는 제2 실린더(413)가 상승하면, 상기 집게부재(43)가 서로 맞닿으면서 상기 밴딩용 타이(T)의 양 단부를 잡게 된다.
그 후, 상기 회전모터(433)의 동작에 의해 상기 집게부재(43)가 회전하면, 상기 집게부재(43)에 고정되어 있는 밴딩부재의 양 단부가 서로 꼬이게 되며, 이로써 케이블(C)을 견고하게 결속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집게부재(43)가 회전하면서 상기 밴딩용 타이(T)를 꼬는 동작 중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31)가 서로 가까워질 수 있도록 동작함으로서, 밴딩용 타이(T)가 상기 케이블(C)을 보다 단단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받침부(11)에는 복수개의 받침다리(111)가 구비되는데, 설치 환경에 따라 상기 받침다리(111)를 교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휠이나, 받침다리의 크기, 길이를 달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받침부와 받침다리는 상호간에 결속유닛(L)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고하여 결속유닛(L)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결속유닛(L)을 설명함에 있어 사용되는 용어는, 앞서 언급한 용어와 동일할 수 있으나, 도면부호를 달리하여 설명함으로서, 서로 다른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다시 상기 결속유닛(L)은 제1 결속부재(L10)와, 상기 제1 결속부재(L10)에 안착되는 제2 결속부재(L20), 상기 제1 결속부재(L10)와 제2 결속부재(L20)를 결합 및 고정하기 위한 록킹수단(L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1 결속부재(L10)는 받침다리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몸체(L13)와 상기 몸체(L13)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L13)보다 작게 구성된 헤드돌기(L11), 상기 몸체(L13) 하부에 구비되어 몸체(L13)보다 크게 구성된 외플랜지(L14)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돌기(L11)는 후술하는 제2 결속부재(L20)의 인입홈(L23)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후술하는 인입바(L311)가 내삽되기 위하여 관통공(L113)이 형성된 지지격벽(L1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결속부재(L20)는 받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결속부재(L10)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몸체(L13)가 안착되는 끼움홈(L21)과, 상기 끼움홈(L21)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돌기(L11)가 안착되는 인입홈(L23), 상기 끼움홈(L21)의 외벽을 형성하여 그 단부가 상기 외플랜지(L14)와 밀착되는 대응플랜지(L2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 결속부재(L10)에는 상기 제2 결속부재(L20)가 안착되어 결합되게 되며, 후술하는 록킹수단(L30)에 의하여 제1 결속부재(L10)와 제2 결속부재(L2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수단(L3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록킹수단(L30)은 상기 제1 결속부재(L10)와 제2 결속부재(L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서로 연동되도록 동작하는 가압부재(L31)와, 상기 가압부재(L31)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결속부재(L10)와 제2 결속부재(L2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부재(L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가압부재(L31)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재(L31)는 인입바(L311), 가압바(L312), 고정바(L313), 시소바(L314), 푸쉬바(L315)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인입바(L311)는 상기 제1 결속부재(L10)의 헤드돌기(L11), 보다 정확하게는 헤드돌기(L11)에 형성되는 관통공(L113)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록킹부재(L35)의 동작에 의해 관통공(L11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가압바(L312), 고정바(L313), 시소바(L314) 및 푸쉬바(L315)는 모두 제2 결속부재(L20)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각각 서로 연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압바(L312)는 상기 제2 결속부재(L20)의 인입홈(L23)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결속부재(L10)와 제2 결속부재(L20)가 서로 결합하면, 상기 제1 결속부재(L10)의 인입바(L311)의 의해 상승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입바(L311)의 중앙에는 상기 인입홈(L23)을 통과하여 상기 제2 결속부재(L20)의 내부로 관통될 수 있는 고정바(L3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인입바(L311)와 고정바(L313)의 연결형태는 그 단면형상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ㅗ' 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바(L313)의 단부, 즉 상기 제2 결속부재(L20)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바(L313)의 단부에는 시소바(L314)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시소바(L314)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바(L313)와 평행하도록 푸쉬바(L315)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시소바(L314)와 푸쉬바(L315)는 상기 고정바(L313)를 기준으로 양측에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하 후술하는 록킹수단(L30) 및 안전수단(L40), 걸림부재(L33) 또한 동일한 형상으로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어느 한 방향의 구성을 기준으로 작성하도록 한다.
다시, 상기 고정바(L313)와 시소바(L314)는 제1 회전축(L3131)을 통하여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회전축(L3131)에 의해 상기 고정바(L313)와 시소바(L314)는 서로 그 연결부위가 힌지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시소바(L314)의 나머지 단부에는 푸쉬바(L315)가 제2 회전축(L3151)을 통하여 결합되어, 시소바(L314)와 푸쉬바(L315) 또한 제2 회전축(L3151)에 의하여 서로 힌지 운동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시소바(L314)의 중앙에는 고정축(L314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시소바(L314)의 일단이 상승하면 상기 고정축(L3141)에 의해 타단이 하강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상기 가압바(L312)가 상승하면, 제1 회전축(L3131)이 상승하게 되고, 이와 연결된 시소바(L314)의 시소운동에 의해 제2 회전축(L3151)이 하강하며, 이로 인하여 푸쉬바(L315)가 하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 때 상기 시소바(L314)는 둘 이상의 분체로 이루어져 연장부(R)를 형성함으로서 시소바(L314)의 운동에 따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푸쉬바(L315)가 수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결속부재(L10)에 제2 결속부재(L20)를 안착시키면, 상기 제1 결속부재(L10)의 인입바(L311)가 상기 가압바(L312)를 밀어 상승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푸쉬바(L315)가 하강하여 후술하는 록킹수단(L30)의 걸림부재(L33)를 동작하여 걸림돌기(L331)가 회전하여 걸림홈(L333)에 내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상기 제1 결속부재(L10)의 몸체(L13)가 상기 제2 결속부재(L20)의 끼움홈(L21)에 완벽하게 인입되기 전에 푸쉬바(L315)가 하강하면, 걸림돌기(L331)가 걸림홈(L333)에 내삽될 수 없어 결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L13)가 상기 끼움홈(L21)에 완벽하게 인입된 이후에 상기 인입바(L311)가 상기 가압바(L312)를 밀어 푸쉬바(L315)를 하강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록킹부재(L35)를 더 구비하여 이를 보완하고 있다.
우선, 상기 가압바(L312)에는 상기 제1 결속부재(L10)로부터 제2 결속부재(L20)를 분리하는 경우, 다시 하강할 수 있도록 제2 탄성체(L3121)를 더 구비하여 가압바(L312)에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인입바(L311)에는 록킹부재(L35)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록킹부재(L35)는 상기 인입바(L311)의 양측에는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인입바(L311)와 직교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바(L35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바(L351)의 단부에는 상기 제1 결속부재(L10)의 외면에 형성된 안내홀(L3531)을 통하여 일부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푸쉬돌기(L353)가 결합된다.
즉, 상기 푸쉬돌기(L353)를 하강시키면, 상기 인입바(L311)가 상기 지지격벽(L111)으로 형성된 관통공(L113) 내에서 함께 하강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푸쉬돌기(L353)에는 제1 탄성체(L355)가 구비되어 상기 인입바(L311)가 상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푸쉬돌기(L353)는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안내홀(L3531)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본 발명은 상기 몸체(L13)가 끼움홈(L21)에 완벽하게 인입되기 전에는 인입바(L311)가 가압바(L312)를 상승시키지 못하도록 하여야 하는 바, 이는 제1 탄성체(L355)의 탄성력을 제2 탄성체(L3121)의 탄성력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서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결속부재(L10)에 제2 결속부재(L20)를 안착시키면, 인입바(L311)와 가압바(L312)는 밀착되고, 탄성력이 낮은 인입바(L311)가 관통공(L113)내에서 하강하며, 상기 제1 결속부재(L10)의 몸체(L13)가 제2 결속부재(L20)의 끼움홈(L21)에 완전하게 인입되면, 사용자가 상기 푸쉬돌기(L353)를 강제로 상승시켜 가압바(L312)가 상승될 수 있도록 하여 푸쉬바(L315)를 하강하도록 한다.
상기 푸쉬돌기(L353)는 안내홀(L3531) 내에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상기 제1 결속부재(L10)로부터 제2 결속부재(L20)가 분리되지 않는데, 이는 안전수단(L40)에 의해 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안전수단(L40)에 대해서는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고, 우선 상기 록킹수단(L30)의 걸림부재(L33), 즉 상기 제1 결속부재(L10)와 제2 결속부재(L20)를 서로 결합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재(L33)는 상기 제1 결속부재(L10)의 몸체(L13)에 구비되는 걸림홈(L333)과, 상기 제2 결속부재(L20)의 대응플랜지(L25),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푸쉬바(L315)의 단부 아래에 구비되는 걸림돌기(L331)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걸림돌기(L331)는 'ㄱ'자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제1 걸림바(L3311)와 제2 걸림바(L3313)가 서로 직교하여 결합되고, 이 직교하는 부분이 상기 대응플랜지(L25)에 제3 회전축(L3315)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대응플랜지(L25)에는 별도의 개방공(L3317)이 구비되어 상기 걸림돌기(L331)가 회전하면 제2 걸림바(L3313)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푸쉬바(L315)의 동작과 걸림부재(L33)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푸쉬바(L315)가 하강하면 상기 제1 걸림바(L3311)(푸쉬바(L315) 하단에 위치하는 부분을 지칭한다.)를 밀게 되고, 상기 걸림부재(L33)는 상기 제3 회전축(L3315)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2 걸림바(L3313)가 상기 끼움홀로 침범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정확하게 결합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결속부재(L10)와 제2 결속부재(L20)를 상호간에 결합하면, 상기 푸쉬돌기(L353)가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결합 완료된 시점에서 상기 푸쉬돌기(L353)를 밀면, 상기 인입바(L311)가 상기 가압바(L312)를 상승시키며, 이로인하여 푸쉬바(L315)가 하강하여 상기 걸림돌기(L331)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 걸림바(L3313)가 회전하여 상기 제1 결속부재(L10)에 구비되는 걸림홈(L333)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L331)가 걸림홈(L333)에 끼워짐에 따라 제1 결속부재(L10)와 제2 결속부재(L20)의 결합력이 유지되게 되고, 상기 푸쉬바(L315)가 다시 상승하지 않는 한, 상기 걸림돌기(L331)는 회전이 불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걸림홈(L333)은 상기 제2 걸림바(L3313)가 회전하여 인입되는 곳으로서, 회전반경을 고려하여 곡선부(L3333)와 직선부(L3331)가 형성된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바(L315)가 상승하지 않으면, 상기 제1 결속부재(L10)와 제2 결속부재(L20)의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바, 결과적으로 푸쉬바(L315)가 상승하지 않으려면, 상기 인입바(L311)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고, 이는 푸쉬돌기(L353)가 안내홀(L3531) 내에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8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홀(L3531)에 이동방지부재(L49)(후술하는 안전수단(L40)의 구성이다.)를 구비함으로서 푸쉬돌기(L353)의 하강을 방지한다.
상기 이동방지부재(L49)는 상기 안내홀(L3531)의 주변에 구비되는 안전가이드(L493)와, 이 안전가이드(L493)를 관통시켜 상승된 푸쉬돌기(L353)의 아래를 지지하는 안전핀(L491)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푸쉬돌기(L353)를 상승시킨 후, 안전핀(L491)을 결합시키면, 안전핀(L491)에 의해 푸쉬돌기(L353)의 하강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동작하는 경우, 각각의 구멍과 돌기들의 유격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전수단(L40)을 더 구비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으로 걸림돌기(L331)가 걸림홈(L333), 보다 정확하게는 걸림홈(L333)의 직선부(L3331)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걸림홈(L333)의 상부에는 이동홀(L45)이 형성되고, 이 이동홀(L45)에는 제1 마그넷(L41)이 이동홀(L4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 걸림바(L3313)에는 상기 제1 마그넷(L41)과 인력이 작용할 수 있는 제2 마그넷(L43), 또는 금속재질의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홈(L333)에 걸림돌기(L331)가 회전하여 내삽되면, 상기 제1 마그넷(L41)과 제2 마그넷(L43)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2 걸림바(L3313)가 직선부(L3331)에 밀착되어 결합 후, 유격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결속부재(L10)와 제2 결속부재(L2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안전수단(L40)(안전핀(L491) 및 마그넷들의 인력)을 제거할 필요가 있는데,
안전핀(L491)은 사용자가 직접 제거하면 되지만, 상기 제1 마그넷(L41)의 인력을 제거하기 위한 요소가 필요하게 된다.
즉,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홀(L45)의 일측에는 라인홀(L56)이 더 구비되고, 상기 마그넷에는 별도의 당김라인(L57)이 구비되어, 이 당김라인(L57)이 라인홀(L56)을 통과하여 상기 푸쉬돌기(L353)의 내측과 연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푸쉬돌기(L353)를 사용자가 하강시키면, 상기 당김라인(L57)에 의해 상기 제1 마그넷(L41)이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1 마그넷(L41)과 제2 마그넷(L43)이 서로 멀어져 서로간의 인력이 약해짐과 동시에, 상기 푸쉬돌기(L353)가 하강함에 따라 인입바(L311)가 하강하고, 이에 따라 가압바(L312)가 하강하여 푸쉬바(L315)가 상승함으로서, 걸림돌기(L331)의 회전(원위치)을 방해하는 요소가 사라지게 되어, 사용자가 제1 결속부재(L10)와 제2 결속부재(L2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밴딩장치 C : 케이블
T : 밴딩용 타이 10 : 본체
11 : 받침부 111 : 받침다리
13 : 프레임 15 : 타이공급부재
151 : 배출공 17 : 권취롤러
20 : 커팅유닛 21 : 커팅칼날
23 : 구동부재 30 : 안착유닛
31 : 지지부재 311 : 절곡부
313 : 끼임홈 315 : 구동장치
317 : 고정클립 33 : 탄성부재
35 : 누름공간 40 : 밴딩유닛
41 : 승하강실린더 411 : 제1 실린더
413 : 제2 실린더 43 : 집게부재
431 : 실린더축 431a : 제2 기어
433 : 회전모터 433a : 제1 기어
45 : 가압부재 451 : 곡선부
47 : 케이싱

Claims (4)

  1. 밴딩용 타이를 공급하는 공급부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공급된 밴딩용 타이와 케이블이 안착되는 안착유닛;
    상기 안착유닛 후단에 구비되어, 안착유닛에 안착된 밴딩용 타이의 일측을 커팅하는 커팅유닛;
    상기 안착유닛 상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밴딩용 타이 양 단부를 잡아 서로 꼬이게 회전시켜 케이블을 결속시키는 밴딩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안착유닛에 구비되는 밴딩용 타이 상부에 정리하고자 하는 케이블을 올리면, 상기 밴딩유닛이 하강하여 케이블과 밴딩용 타이를 눌러 밴딩용 타이가 U자 형상으로 양단부가 절곡되어 케이블을 감싸며 올라가고,
    상기 밴딩유닛이 올라간 밴딩용 타이의 양단부를 고정한 후, 양 단부가 서로 꼬이도록 회전시킴으로서 밴딩용 타이가 케이블을 결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유닛은
    사이에 누름공간을 형성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상부를 서로 연결하여, 공급된 밴딩용 타이가 안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탄성부재 상부에 위치한 밴딩용 타이에 케이블을 올리면, 상기 밴딩유닛이 하강하여 상기 케이블을 누름공간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유닛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승하강실린더와, 상기 승하강실린더에 구비되어, 상기 밴딩용 타이의 양 단부를 고정하여 회전시켜 밴딩용 타이를 꼬는 집게부재 및 상기 집게부재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집게부재가 하강하면 케이블을 누름공간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는
    상기 밴딩유닛이 밴딩용 타이의 단부를 고정하여 회전시킬 때 서로 가까워지도록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
KR1020180037985A 2018-04-02 2018-04-02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 KR102109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985A KR102109548B1 (ko) 2018-04-02 2018-04-02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985A KR102109548B1 (ko) 2018-04-02 2018-04-02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224A true KR20190115224A (ko) 2019-10-11
KR102109548B1 KR102109548B1 (ko) 2020-05-12

Family

ID=6821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985A KR102109548B1 (ko) 2018-04-02 2018-04-02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5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3237A (zh) * 2019-11-07 2020-04-14 安徽尚纬电缆有限公司 储能电池用连接电缆生产的可自动上下料的电缆束带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851B1 (ko) * 2021-04-21 2023-07-05 박철희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503A (ja) * 1995-06-05 1996-12-10 Fuji Mach Co Ltd 袋詰め包装機における袋口部処理装置
KR20030012531A (ko) * 2001-08-01 2003-02-1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채소를 타원형으로 결속하기 위한 장치
KR101280600B1 (ko) * 2011-12-30 2013-07-02 박현우 선재 자동 결속기
KR101300366B1 (ko) * 2012-06-15 2013-08-28 백주현 결속선 다발 자동 묶음장치
CN203832788U (zh) * 2014-03-10 2014-09-17 东莞市森佳机械有限公司 高效自动绕线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4503A (ja) * 1995-06-05 1996-12-10 Fuji Mach Co Ltd 袋詰め包装機における袋口部処理装置
KR20030012531A (ko) * 2001-08-01 2003-02-1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채소를 타원형으로 결속하기 위한 장치
KR101280600B1 (ko) * 2011-12-30 2013-07-02 박현우 선재 자동 결속기
KR101300366B1 (ko) * 2012-06-15 2013-08-28 백주현 결속선 다발 자동 묶음장치
CN203832788U (zh) * 2014-03-10 2014-09-17 东莞市森佳机械有限公司 高效自动绕线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3237A (zh) * 2019-11-07 2020-04-14 安徽尚纬电缆有限公司 储能电池用连接电缆生产的可自动上下料的电缆束带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548B1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5224A (ko)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
CN106787514B (zh) 一种转子磁钢装配装置
KR101848540B1 (ko) 금속 선조체의 접속 방법 및 접속 장치
KR102012517B1 (ko) 농산물 자동 묶음장치
CN208903842U (zh) 夹持机构及全自动套管机
KR100590792B1 (ko) 방충창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CN109509633B (zh) 一种环形绕线机
CN110050406B (zh) 能够对线圈末端进行缠绕处理的电机线圈绕线机
CN110342340B (zh) 一种土木工程用缆线放线盘线装置
CN218732378U (zh) 动力电缆接线辅助工具
CN107263070A (zh) 拉线制作设备
CN204088849U (zh) 一种接续管操作平台
CN104310130B (zh) 光缆无应力收放装置
CN203832787U (zh) 环形绕线双扎机
MX2013001057A (es) Dispositivo de trenzado de alambres electricos y metodo de fabricacion de cable doble trenzado que emplea el mismo.
CN215207825U (zh) 一种自调整线缆张力的绕包装置
CN103879584A (zh) 环形绕线双扎机
JP4912192B2 (ja) 圧縮ヘッドの支持器
CN113937591A (zh) 一种用于电缆与线鼻的压接装置
CN207853712U (zh) 用于定子的绕线机
KR102177294B1 (ko) 업퍼툴에 수용된 모터 코일의 리드선 정렬을 위한 정렬유닛
CN210380592U (zh) 定子铁芯绕线机用绝缘套管夹紧组件
CN205452011U (zh) 一种变压器线圈的压紧装置
KR102598475B1 (ko)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
CN219620546U (zh) 一种绕包线放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