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851B1 -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851B1
KR102550851B1 KR1020210051465A KR20210051465A KR102550851B1 KR 102550851 B1 KR102550851 B1 KR 102550851B1 KR 1020210051465 A KR1020210051465 A KR 1020210051465A KR 20210051465 A KR20210051465 A KR 20210051465A KR 102550851 B1 KR102550851 B1 KR 102550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ts
tape
unit
working position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1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4950A (ko
Inventor
박철희
Original Assignee
박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희 filed Critical 박철희
Priority to KR1020210051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851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는, 정량의 농산물을 테이프로 결속시키는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로서, 상기 농산물을 결속하기 위한 상기 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농산물이 결속되는 작업위치가 마련된 케이스모듈, 상기 테이프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기 테이프의 일부를 커팅하는 커팅모듈, 상기 농산물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이 기 설정된 중량이 유지되도록 무게를 측정하며, 안착된 상기 농산물이 상기 작업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슬라이딩모듈 및 상기 농산물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커팅모듈에 의해 커팅된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적어도 한 번 이상 교차시켜 기 설정된 중량의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키는 밴딩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QUANTITATIVE AGRICULTURAL PRODUCT BINDING DEVICE}
본 발명은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량의 농산물이 결속되도록 농산물의 무게를 측정하며,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테이프를 이동시켜 농산물을 결속함을 통해 농산물의 손상을 방지하며 품질을 유지시키고, 적층되는 농산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상의 품질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량의 농산물을 포장해서 배송하기 위해서는 각 농산물의 정량만큼을 결속하여 다량의 농산물을 배송하는 방식으로 농산물을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작업자가 수동으로 농산물을 쌓아 적층하고, 테이프를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내려 농산물의 아랫부분에서 결속하는 방식으로 농산물을 결속하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에서 농산물의 정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기 어려우며 상부에서 하부로 테이프를 이동시키면서 농산물이 압축되어 손상이 발생되거나, 농산물의 하부에서 테이프가 꼬이면서 결속되기 때문에 농산물이 적층된 상태에서 아랫부분에 빈 공간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또한, 정량의 농산물을 적층함에 있어서, 농산물의 정량을 맞추기 위해 과도하게 높아지는 농산물의 높이 때문에 측면으로 흘러내리거나 부피가 늘어나 격벽을 넘어 넘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될 수도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정량의 농산물이 결속되도록 농산물의 무게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면서도 농산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적층되는 농산물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활발하게 고안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정량의 농산물이 결속되도록 농산물의 무게를 측정하며,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테이프를 이동시켜 농산물을 결속함을 통해 농산물의 손상을 방지하며 품질을 유지시키고, 적층되는 농산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상의 품질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산물 결속장치는, 정량의 농산물을 테이프로 결속시키는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로서, 상기 농산물을 결속하기 위한 상기 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농산물이 결속되는 작업위치가 마련된 케이스모듈, 상기 테이프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기 테이프의 일부를 커팅하는 커팅모듈, 상기 농산물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이 기 설정된 중량이 유지되도록 무게를 측정하며, 안착된 상기 농산물이 상기 작업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슬라이딩모듈 및 상기 농산물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커팅모듈에 의해 커팅된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적어도 한 번 이상 교차시켜 기 설정된 중량의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키는 밴딩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상기 농산물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농산물을 결속하는 상기 밴딩모듈 및 상기 테이프를 커팅하는 상기 커팅모듈이 구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상기 밴딩유닛이 상부를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테이프가 이동되는 이동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상기 농산물이 안착되도록 상기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안착유닛, 상기 안착유닛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이 기 설정된 중량을 유지하도록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측정유닛 및 상기 중량측정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농산물의 무게를 표시하는 표시유닛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농산물이 상기 안착공간에 적층되면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공간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의 일측에서 상기 격벽부의 내측에 적층되는 상기 농산물이 적층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형태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형태유지부는, 일단부가 상기 격벽부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작업위치로 상기 안착공간이 이동되면서 타단부가 또 다른 상기 격벽부와 맞닿아 상기 농산물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덮개부재 및 상기 안착공간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덮개부재의 일단부와 맞닿아 상기 덮개부재의 타단부를 또 다른 상기 격벽부로 이동시키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덮개부재와 접촉되면서 회전되고, 상기 안착공간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재의 일단부 및 타단부와 맞닿도록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커팅모듈은, 상기 케이스모듈에 구비된 상기 테이프를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기 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유닛 및 상기 테이프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테이프가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고, 상기 안착공간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테이프가 상기 안착공간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유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지유닛은, 상기 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테이프에 철사가 구비되고, 상기 절단유닛에 의해 상기 테이프가 절단된 상태에서 양단이 고정되도록 자성을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밴딩모듈은, 상기 작업위치의 하부에서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상기 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된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테이프를 꼬아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키는 결속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는 정량의 농산물이 결속되도록 농산물의 무게를 측정하며,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테이프를 이동시켜 농산물을 결속함을 통해 농산물의 방지하며 품질을 유지시키고, 적층되는 농산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상의 품질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커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슬라이딩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형태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승강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결속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농산물이 위치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농산물이 결속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를 이해하기 위한 테이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유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농산물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형태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농산물이 결속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회전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대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커팅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슬라이딩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형태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승강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결속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는 농산물을 결속하기 위한 테이프(T)가 마련되고, 상기 농산물이결속된느 작업위치가 마련되는 케이스모듈(1000), 상기 테이프(T)를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기 테이프(T)의 일부를 커팅하는 커팅모듈(2000), 상기 농산물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이 기 설정된 중량이 유지되도록 무게를 측정하며, 안착된 상기 농산물이 상기 작업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슬라이딩모듈(3000) 및 상기 농산물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커팅모듈(2000)에 의해 커팅된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며, 이동된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적어도 한 번 이상 교차시켜 기 설정된 중량의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키는 밴딩모듈(40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모듈(1000)은 상기 테이프(T)가 거치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거치유닛(1200), 상기 작업위치 상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유닛(1400), 상기 상부 하우징유닛(1400)과 결합되며, 상기 작업위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하우징유닛(1600) 및 상기 하부 하우징유닛(1600)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케이스모듈(1000)을 이동시키는 휠유닛(18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테이프(T)가 거치된 상기 거치유닛(1200)은 상기 테이프(T)가 말린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테이프(T)가 상기 커팅모듈(2000)을 통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작업위치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하부 하우징유닛(1600)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하우징유닛(1400) 및 상기 하부 하우징유닛(1600)은 서로가 결합되면서 상기 작업위치를 형성하고, 상기 작업위치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상부 하우징유닛(1400) 및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하부 하우징유닛(16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하우징유닛(1400)과 상기 하부 하우징유닛(1600) 사이에는 상기 작업위치로 상기 농산물이 이동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모듈(3000)과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하우징유닛(1400)에는 추후 상술할 도면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상기 안착공간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의 무게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표시하는 표시유닛(3400)이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반드시 상기 상부 하우징유닛(1400)에만 결합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 하우징유닛(1400)의 내측에는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된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꼬아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키는 결속유닛(440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하우징유닛(1600)에는 상기 작업위치의 하부에서 상기 테이프(T)가 이동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테이프(T)가 커팅되는 커팅모듈(2000) 및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4200)이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휠유닛(1800)은 상기 케이스모듈(1000)을 이동시켜 동작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모듈(1000)이 이동되도록 회전되면서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케이스모듈(1000)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며, 장소에 구애받지 않아 상황에 따라 상기 농산물의 포장 위치를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휠유닛(1800)은 지속적으로 회전되면서 고정되지 않아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키는 것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브레이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팅모듈(2000)은 상기 거치유닛(1200)에 거치된 상기 테이프(T)를 통해 상기 거치유닛(1200)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테이프(T)를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되면서 상기 테이프(T)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2200), 상기 테이프(T)의 일부를 절단하는 절단유닛(2400) 및 상기 테이프(T)가 상기 작업위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테이프(T)가 곧게 뻗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지시키는 유지유닛(26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유닛(2200)은 한 쌍의 롤러로 형성되며, 한 쌍의 롤러 사이로 상기 테이프(T)가 통과되고, 한 쌍의 롤러가 회전되면서 상기 테이프(T)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유닛(2200)을 통해 이동된 상기 테이프(T)가 상기 절단유닛(2400)의 내측을 통과하여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테이프(T)가 기 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작업위치에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테이프(T)의 일부를 절단하여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킬 수 있는 상기 테이프(T)의 길이를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유닛(2400)은 상기 테이프(T)의 일단을 절단시킨 상태에서 절단된 일단부가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테이프(T)의 일단부가 위치될 수 있는 테이프 위치부(242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테이프 위치부(2420)은 상기 절단유닛(2400)과 상기 유지유닛(26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지유닛(2600)에는 상기 테이프(T)에 구비된 철사(F)를 통해 상기 테이프(T)가 곧게 뻗은 상태에서 형태를 유지시키도록 자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추후 상술할 도면을 통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모듈(3000)은 상기 밴딩모듈(4000)이 상기 테이프(T)를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테이프(T)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장공(S)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농산물이 위치될 수 있는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안착유닛(3200), 상기 안착유닛(3200)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이 기 설정된 중량을 유지하도록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측정유닛, 상기 중량측정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농산물의 무게를 표시하는 표시유닛(3400), 상기 안착유닛(3200)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유닛(1600)과 결합되어 상기 안착유닛(3200)이 이동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레일유닛(3600) 및 상기 안착유닛(3200)에 상기 농산물이 안착된 상태에서 긴 형태의 상기 농산물이 기울어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측면방향으로 연장된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연장유닛(38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유닛(3200)은 상기 농산물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상기 농산물을 안착공간에 적층하면서 상기 농산물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공간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격벽부(3220) 및 상기 격벽부(3220)의 일측에서 상기 격벽부(3220)의 내측에 적층되는 상기 농산물이 부피에 의해 상기 격벽부(3220)를 초과하여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농산물이 상기 격벽부(3220)의 내측에 적층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형태유지부(32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격벽부(3220)는 상기 장공(S)을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벽부(32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형태유지부(3240)는 일단부가 상기 격벽부(3220)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작업위치로 상기 안착공간이 이동되면서 타단부가 또 다른 상기 격벽부(3220)와 맞닿아 상기 농산물이 상기 격벽부(322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덮개부재(3242) 및 상기 작업위치 상부에서 상기 안착공간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덮개부재(3242)의 일단부와 맞닿아 상기 덮개부재(3242)의 타단부를 또 다른 상기 격벽부(3220)를 향해 이동시키는 롤러부재(3244)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재(3242)는 상기 안착공간이 이동되는 방향상에서 상기 작업위치와 상대적으로 가까이 위치되는 상기 격벽부(322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배치되어야 상기 롤러부재(3244)와 맞닿아 상기 격벽부(3220)의 타단부를 향해 상기 덮개부재(3242)의 타단부가 이동되어 상기 농산물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도 4에는 상기 격벽부(32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장공(S)을 기준으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모듈(1000)의 내측방향의 한 쌍의 상기 격벽부(3220)의 일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롤러부재(324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공간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재(3242)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맞닿도록 한 쌍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공간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덮개부재(3242)와 맞닿아 상기 덮개부재(3242)의 타단부를 이동시키는 제1 롤러(3246) 및 상기 안착공간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재(3242)의 일단부와 맞닿는 제2 롤러(3248)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롤러부재(3244)는 상기 상부 하우징유닛(140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롤러(3246)와 상기 제2 롤러(3248)의 간격은 상기 덮개부재(3242)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공간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롤러(3246)는 상기 덮개부재(3242)의 일단부와 맞닿고, 상기 제2 롤러(3248)는 상기 덮개부재(3242)의 타단부와 맞닿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딩모듈(4000)은 상기 작업위치의 하부에서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상기 장공(S)을 통과하여 상기 작업위치 상부로 이동시키는 상기 승강유닛(4200) 및 상기 승강유닛(4200)에 의해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된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테이프(T)를 꼬아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키는 결속유닛(44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승강유닛(4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이 위치되는 한 쌍의 집게부(4220), 한 쌍의 상기 집게부(4220)의 사이에서 상기 작업위치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되, 상기 집게부(4220)가 곡률반경을 이루며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중앙부가 하부를 향해 곡률반경을 이루며 절곡된 절곡부(4240) 및 상기 절곡부(4240)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이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신축되는 실린더부(426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게부(4220)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부가 상부를 향해 격벽을 이루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이 상기 집게부(42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절곡부(4240)는 중앙부가 곡률반경을 이루며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되는 경우, 상기 집게부(4220)를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모아주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이 상기 결속유닛(4400)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4260)는 상기 절곡부(4240)의 일단부와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고, 실린더와 같은 형태로 구비되어 신축되면서 상기 절곡부(4240)를 승강시키고, 길이가 짧아지게 신축되는 경우에는 상기 절곡부(4240)가 하강되면서 상기 집게부(4220)가 하강되고, 길이가 길어지도록 신장되는 경우에은 상기 절곡부(4240)가 승강되어 상기 집게부(4220)가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속유닛(44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을 형성하고, 회전되면서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꼬아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키는 축 형성부(4420),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된 상기 테이프(T)를 걸어 고정시키도록 양단부가 회전방향을 향해 절곡된 걸쇠부(4440) 및 상기 걸쇠부(4440)를 사이에 두고 위치되며, 상기 걸쇠부(4440)의 양단부와 맞닿는 부분이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걸쇠부(4440)와 맞닿으며 상기 테이프(T)를 파지하는 파지부(446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테이프(T)가 상기 커팅모듈(2000)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작업위치의 하부에 위치되고, 일부가 절단된 상태에서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의 하부에 상기 집게부(4220)가 위치되고, 상기 절곡부(4240)가 상기 실린더부(4260)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이 상기 결속유닛(4400)으로 이동되고, 상기 테이프(T)가 상기 결속유닛(4400)의 측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걸쇠부(4440)가 회전되어 상기 파지부(4460)와 상기 걸쇠부(4440)에 의해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축 형성부(4420)가 회전되면서 상기 테이프(T)가 꼬아지며 상기 농산물이 결속될 수 있다.
앞선 구성을 바탕으로 도 8 내지 도 13을 활용하여 상기 농산물이 결속되는 상황을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농산물이 위치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농산물이 결속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를 이해하기 위한 테이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유지유닛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농산물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형태유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농산물이 결속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농산물이 상기 안착공간에 적층되기 시작하면, 상기 격벽부(3220)에 의해 무너지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측면 연장유닛(3800)에 의해 긴 형태의 상기 농산물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유지유닛(2600)에는 상기 테이프(T)가 위치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유지유닛(2600)은 상기 하부 하우징유닛(1600)과 스프링부(2620)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농산물의 형태에 의해 밀려도 상기 농산물의 하부, 상기 작업위치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농산물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부피에 의해 상기 격벽부(3220)를 넘어서는 상기 농산물이 적층되었음에도 기 설정된 중량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 상기 농산물이 넘쳐 상기 격벽부(3220)의 외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상기 농산물이 적층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안착공간을 소정거리 상기 작업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면, 상기 덮개부재(3242)와 상기 롤러부재(3244)가 맞닿아 상기 격벽부(3220)의 내측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이 부피에 의해 넘치지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농산물을 기 설정된 중량만큼 상기 안착공간에 적층시킨 후에 상기 안착공간을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모듈(3000)에 의해 상기 커팅모듈(2000) 및 상기 밴딩모듈(4000)이 동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공간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승강유닛(4200)이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상기 결속유닛(4400)을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테이프(T)는 상기 농산물을 감싸는 형태가 되며, 상기 결속유닛(4400)이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적어도 한 번 이상을 교차시켜 상기 테이프(T)를 꼬아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상기 테이프(T)가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농산물이 상기 테이프(T)에 의해 가압되지 않아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미관상 미려한 상태의 상기 농산물을 결속하여 포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모듈(3000)이 상기 작업위치로 상기 농산물을 이동시키고, 상기 밴딩모듈(4000)에 의해 상기 농산물이 결속되면 상기 커팅모듈(2000)은 상기 테이프(T)를 재차 상기 작업위치의 하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테이프(T)를 기 설정된 길이가 된 상태에서 일부를 절단하고, 상기 안착공간을 초기위치로 되돌리는 일련의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지유닛(2600)을 보다 상세하게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에 사용되는 상기 테이프(T)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프(T)에는 상기 철사(F)가 구비되며, 상기 철사(F)는 상기 테이프(T)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한 쌍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테이프(T)에는 상기 철사(F)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지유닛(2600)의 상부에 상기 테이프(T)가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테이프(T)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지유닛(2600)은 자성을 띄고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철사(F)에 의해 상기 테이프(T)가 상기 유지유닛(2600)에 부착된 상태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안착공간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테이프(T)에 걸려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즉, 결과적으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위치에서 상기 농산물이 결속될 수 있고, 상기 측면 연장유닛(3800)에 의해 상기 농산물의 형태가 유지되고, 상기 유지유닛(2600)에 의해 상기 농산물에 상기 테이프(T)가 걸리는 불량상태를 예방하며, 안정적으로 상기 농산물을 결속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농산물 결속하는데에 방해요소를 감소시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모듈(3000)은 상기 테이프(T)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경로상에서 상기 안착공간을 상기 작업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이 아닌 상기 테이프(T)의 이동경로와 수직한 방향에서 상기 안착공간을 상기 작업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모듈(3000)이 이동되는 방향이 전환되면 상기 농산물의 길이에 의해 포장이 방해되거나 상기 격벽부(3220)에 걸려 상기 농산물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유닛(4200)은 상기 하부 하우징유닛(1600)에 구비되어 상기 테이프(T)를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결속유닛(4400)이 회전되면서 상기 테이프(T)를 교차시켜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킬 수도 있지만, 상기 승강유닛(4200)이 상기 상부 하우징유닛(1400)에 구비되어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결속유닛(4400)이 상기 하부 하우징유닛(1600)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하우징유닛(1400)에 상기 승강유닛(420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테이프(T)는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테이프(T)에 구비되는 상기 철사(F)에 의해 상기 유지유닛(2600)과 자성에 의해 상기 유지유닛(2600) 상에 고정되어 있거나 상기 유지유닛(2600)의 상부에 거치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속유닛(4400)은 상기 승강유닛(4200)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작업위치 하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안착공간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게 되면, 상기 승강유닛(4200)은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상기 작업위치 하부에 위치된 상기 결속유닛(4400)과 인접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결속유닛(4400)은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파지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테이프(T)의 양단을 적어도 한 번 이상 교차시켜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유닛(4200) 및 상기 결속유닛(4400)이 서로 대칭되게 위치가 바뀌어 동작되는 상황에도 상기 덮개부재(3242)는 상기 격벽부(3220)의 일측에서 상기 농산물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롤러부재(3244)와 맞닿아 상기 격벽부(3220) 내부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3242)는 상기 격벽부(3220)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되, 상기 롤러부재(3244)와 맞닿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부로 개방되도록 탄성을 가지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덮개부재(3242)는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되, 상기 롤러부재(3244)와 맞닿은 상태에서는 상기 격벽부(322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의 형태를 유지시키도록 타단부가 또 다른 상기 격벽부(3220)와 맞닿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4 내지 도 15을 통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혹은 변형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의 회전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는 상기 슬라이딩모듈(3000) 대신 회전모듈(500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둘레에는 다수의 상기 장공(S)이 형성되고,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안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안착공간을 기준으로 상기 격벽부(322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안착공간은 상기 회전모듈(50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모듈(5000)이 구비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는 상기 농산물을 적층하는 작업자와 결속된 상기 농산물을 포장하는 작업자가 동시에 하나의 장치에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작업자와 함께 작업하여 빠르게 작업할 수 있으며, 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딩모듈(4000)을 한 쌍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모듈(3000)의 상기 안착공간이 상기 밴딩모듈(4000)에 대응되도록 변형하는 것도 앞선 회전모듈(5000)과 유사하게 다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할 수 있다.
다만, 회전모듈(5000)은 포장하는 작업자와 적층하는 작업자로 구분되도록 효율을 높혔지만, 도 15에 도시된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는 두 작업자가 서로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며, 두 작업자의 업무 속도가 유사하다면 업무는 보다 빠르게 진행될 수 있고, 작업공간과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지속적으로 기 설정된 중량의 상기 농산물을 측정하여 번거로움을 줄이면서도, 상기 농산물이 적층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농산물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상기 테이프(T)를 이동시켜 상기 농산물의 미려한 미관을 유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과정에서 상기 테이프(T)가 상기 농산물에 걸려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F: 철사
S: 장공
T: 테이프
1000: 케이스모듈
1200: 거치유닛
1400: 상부 하우징유닛
1600: 하부 하우징유닛
1800: 휠유닛
2000: 커팅모듈
2200: 이동유닛
2400: 절단유닛
2600: 유지유닛
2620: 스프링부
3000: 슬라이딩모듈
3200: 안착유닛
3220: 격벽부
3240: 형태유지부
3242: 덮개부재
3244: 롤러부재
3246: 제1 롤러
3248: 제2 롤러
3400: 표시유닛
3600: 레일유닛
3800: 측면 연장유닛
4000: 밴딩모듈
4200: 승강유닛
4220: 집게부
4240: 절곡부
4260: 실린더부
4400: 결속유닛
4420: 축 형성부
4440: 걸쇠부
4460: 파지부
5000: 회전모듈

Claims (10)

  1. 정량의 농산물을 테이프로 결속시키는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로서,
    상기 농산물을 결속하기 위한 상기 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농산물이 결속되는 작업위치가 마련된 케이스모듈;
    상기 테이프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기 테이프의 일부를 커팅하는 커팅모듈;
    상기 농산물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공간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이 기 설정된 중량이 유지되도록 무게를 측정하며, 안착된 상기 농산물이 상기 작업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슬라이딩모듈; 및
    상기 농산물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커팅모듈에 의해 커팅된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며, 이동된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적어도 한 번 이상 교차시켜 기 설정된 중량의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키는 밴딩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상기 농산물이 안착되도록 상기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안착유닛, 상기 안착유닛에 위치된 상기 농산물이 기 설정된 중량을 유지하도록 무게를 측정하는 중량측정유닛 및 상기 중량측정유닛에서 측정된 상기 농산물의 무게를 표시하는 표시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유닛은,
    상기 농산물이 상기 안착공간에 적층되면서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공간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격벽부 및 상기 격벽부의 일측에서 상기 격벽부의 내측에 적층되는 상기 농산물이 적층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형태유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형태유지부는,
    일단부가 상기 격벽부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고, 상기 작업위치로 상기 안착공간이 이동되면서 타단부가 또 다른 상기 격벽부와 맞닿아 상기 격벽부 내측에 적층된 상기 농산물이 부피에 의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부재 및 상기 안착공간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덮개부재의 일단부와 맞닿아 상기 덮개부재의 타단부를 또 다른 상기 격벽부로 이동시키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상기 농산물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농산물을 결속하는 상기 밴딩모듈 및 상기 테이프를 커팅하는 상기 커팅모듈이 구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모듈은,
    상기 밴딩모듈이 상부를 향해 이동되도록 상기 테이프가 이동되는 이동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덮개부재와 접촉되면서 회전되고, 상기 안착공간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재의 일단부 및 타단부와 맞닿도록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모듈은,
    상기 케이스모듈에 구비된 상기 테이프를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상기 이동유닛에 의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기 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유닛; 및
    상기 테이프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테이프가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하고, 상기 안착공간이 상기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테이프가 상기 안착공간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유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유닛은,
    상기 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테이프에 철사가 구비되고, 상기 절단유닛에 의해 상기 테이프가 절단된 상태에서 양단이 고정되도록 자성을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모듈은,
    상기 작업위치의 하부에서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상기 장공을 통과하여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상기 작업위치의 상부로 이동된 상기 테이프의 양단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테이프를 꼬아 상기 농산물을 결속시키는 결속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KR1020210051465A 2021-04-21 2021-04-21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KR102550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465A KR102550851B1 (ko) 2021-04-21 2021-04-21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1465A KR102550851B1 (ko) 2021-04-21 2021-04-21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950A KR20220144950A (ko) 2022-10-28
KR102550851B1 true KR102550851B1 (ko) 2023-07-05

Family

ID=8383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1465A KR102550851B1 (ko) 2021-04-21 2021-04-21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8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548B1 (ko) * 2018-04-02 2020-05-12 통일전자공업(주)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572B1 (ko) * 2001-08-01 2004-04-27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채소를 타원형으로 결속하기 위한 장치
KR20070020632A (ko) * 2005-08-16 2007-02-22 김용수 건조 잎담배 반자동 결속장치
JP6317120B2 (ja) * 2014-01-29 2018-04-25 高周波熱錬株式会社 線材の挿入装置、長尺ワークの巻取装置及び線材の挿入方法
KR102058782B1 (ko) * 2017-12-06 2019-12-23 박철희 자동 묶음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548B1 (ko) * 2018-04-02 2020-05-12 통일전자공업(주) 케이블 자동 밴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950A (ko) 2022-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366B1 (ko) 결속선 다발 자동 묶음장치
JP2014177337A (ja) 物品搬送用箱の搬送装置
ITBO990143A1 (it) Dispositivo per il caricamento di film su macchine per l' avvolgimento di prodotti .
KR102550851B1 (ko) 정량 농산물 결속장치
CN110077639A (zh) 盘卷自动包装设备及方法
JPH08175623A (ja) 昇降装置及びその昇降装置を備えた保管設備
KR200463133Y1 (ko) 랩핑장치
KR102178619B1 (ko) 바 타입 금속 소재의 자동 결속 시스템
KR20220147298A (ko) 농산물 결속기
KR102463533B1 (ko) 농산물 결속장치
CN205367297U (zh) 一种用于线缆排线系统中的收线装置
KR102587128B1 (ko) 다중 와인더 구조의 호스 포장장치
CN213415825U (zh) 钢丝绳的收线机构
US10220898B1 (en) Apparatus for storing objects above a floor surface
EP2428451A1 (en) Method, system and machine for producing and filling bags
ITGE20100016A1 (it) " metodo e apparato per il confezionamento di pacchi multistrato su bancali, pallet o simili "
JP3456811B2 (ja) 保管装置
KR102598475B1 (ko) 파워 코드 케이블 자동 롤링 및 결속 장치
KR20210017025A (ko) 환봉다발 팩킹시스템
CN209258456U (zh) 一种水平捆扎机平衡移动收带装置
KR102519187B1 (ko) 철근 포장장치 및 철근 포장방법
KR102553351B1 (ko) 농산물 스트링 바인더
CN213168721U (zh) 钢材码垛支承装置
KR102337613B1 (ko) 수평식 밴딩장치
KR101361429B1 (ko) 철근 결속선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