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7262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7262A
KR20230067262A KR1020210153165A KR20210153165A KR20230067262A KR 20230067262 A KR20230067262 A KR 20230067262A KR 1020210153165 A KR1020210153165 A KR 1020210153165A KR 20210153165 A KR20210153165 A KR 20210153165A KR 20230067262 A KR20230067262 A KR 20230067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rake
brake light
work
input
construction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주
손동연
박병헌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7262A/ko
Priority to PCT/KR2022/017412 priority patent/WO2023085718A1/ko
Publication of KR20230067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7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는 엔진룸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엔진룸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엔진룸과 대향하는 일면에 반대되는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타면에 부착된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복수의 점등 또는 점멸 패턴 중 선택된 하나를 표현하는 다기능 보조 제동등과,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과 연결된 케이블, 그리고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 기계{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 제동등을 구비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건설 기계는 크게 토목 공사나 건축 공사에 사용되는 모든 기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는 엔진과 엔진의 동력으로 동작하는 유압 펌프를 가지며, 유압 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로 주행을 하거나 각종 작업 장치를 구동한다. 또한, 건설 기계는 수행하고자 하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장착하게 된다. 예를 들어, 건설 기계의 한 종류인 굴착기는 암의 일단부에 굴삭용 버켓(bucket), 브레이커(breaker), 바이브레이터, 및 해머 등 각종 어태치먼트들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설 기계는 이동을 위해 주행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작업 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건설 기계가 작업 현장에서 작업을 할 때 경광등(Beacon)을 통해 현재의 작업 상태를 표시해 주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광등은 작업자가 스위치를 통해 온오프(on/off)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장 현장 안에서 경광등을 켜고 작업하는 건설 기계와 경광등을 끄고 작업하는 건설 기계가 혼재되어 있어 건설 기계의 주변에서 작업하는 다른 작업자가 현재 건설 기계의 작업 상태를 한 눈에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설 기계가 작업 중인 작업의 종류와 작업 준비 상태 또는 작업 중인 상태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설 기계가 도로 주행을 통해 이동할 때, 작업자가 장비를 정렬하거나 붐(boom)의 하강 또는 상승을 위해 작업 장치를 동작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 건설 기계의 후방이나 주변 차량이 건설 기계의 동작 상황을 인지할 방법이 없어 사고 발생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통해 각종 작업 상태를 구분하여 주변에 경고할 수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 기계는 엔진룸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엔진룸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카운터웨이트와, 상기 엔진룸과 대향하는 일면에 반대되는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타면에 부착된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복수의 점등 또는 점멸 패턴 중 선택된 하나를 표현하는 다기능 보조 제동등과,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과 연결된 케이블, 그리고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한 건설 기계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을 막는 절연성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건설 기계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의 가장자리를 둘러싸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보호하는 보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은 램프부와, 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체결되어 상기 램프부를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볼트 체결공과, 상기 볼트 체결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보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건설 기계는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엔진룸, 상기 카운터웨이트, 및 각종 작업 장치를 포함하는 선회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건설 기계는 상기 주행체와 상기 선회체의 각종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와, 상기 선회체의 선회 동작을 감지하는 스윙 센서, 그리고 상기 작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파일럿 압력을 차단하는 안전 차단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조작 장치, 상기 스윙 센서, 및 상기 안전 차단 밸브 중 하나 이상이 제공하는 정보 신호 및 상기 작업 장치의 작업 정보에 따라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이 표현할 상기 복수의 점등 또는 점멸 패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안전 차단 밸브가 동작되고 브레이크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보조 제동등으로 점등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안전 차단 밸브가 미동작하고 상기 작업 장치의 작업 신호가 미입력되면, 작업 준비 상태로 인식하고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점등시켜 작업이 시작됨을 경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안전 차단 밸브가 미동작하고 상기 작업 장치의 작업 신호가 입력되면, 작업 상태로 인식하고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점멸시켜 작업 중임을 경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미입력되고 상기 작업 장치의 작업 신호가 미입력되면,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보조 제동등으로 점등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미입력되고 상기 작업 장치의 작업 신호가 입력되고 선회 신호가 미입력되면, 작업 상태로 인식하고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점멸시켜 작업 중임을 경고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미입력되고 상기 작업 장치의 작업 신호가 입력되고 선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선회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순차 점등하여 선회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설 기계는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통해 각종 작업 상태를 구분하여 효과적으로 주변에 경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의 일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설 기계의 일부를 위에서 투사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건설 기계의 카운터웨이트의 배면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다기능 보조 제동등의 결합부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에 사용되는 다기능 보조 제동등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에 사용되는 다기능 보조 제동등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101)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건설 기계(101)는 굴착기(excavator)일 수 있다. 그리고 건설 기계(101)는 주행을 위한 주행체와, 주행체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선회체를 포함할 수 있다.
주행체는 선회체를 지지하고,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 장치를 통해 건설 기계(101)를 주행시킬 수 있다. 일례로, 주행체는 다수의 주행 휠을 포함하는 휠 타입의 주행체일 수 있다.
선회체는 주행체 상에서 회전하여 작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선회체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설치되는 운전실과 각종 작업 장치(300)(도 6에 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회체는 엔진룸(750)(도 2에 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 장치(300)는 붐, 암, 및 버켓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장치는 붐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붐 실린더, 암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암 실린더, 그리고 버켓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버켓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설 기계(101)에는 버켓(bucket) 대신 틸트 로테이터(tilt rotator), 셔블(shovel), 브레이커(breaker), 바이브레이터, 및 해머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어태치먼트(attachment)가 작업의 종류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101)는 카운터웨이트(700), 지지 플레이트(600),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 케이블(850), 및 제어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101)는 절연성 마개(870) 및 보호 플레이트(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101)는 조작 장치(400), 스윙 센서(450), 안전 차단 밸브(470), 및 제어 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카운터웨이트(700)는 선회체에 마련된 엔진룸(750)의 후방에 설치된다. 카운터웨이트(700)는 건설 기계(101)의 작업 가능한 임계 하중을 늘리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카운터웨이트(700)는 엔진룸(750)과 연통하는 관통홀(78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통홀(780)은 엔진룸(750)과 대향하는 카운터웨이트(700)의 일면과 일면에 반대되는 타면을 관통하게 된다.
지지 플레이트(600)는 엔진룸(750)과 대향하는 일면에 반대되는 카운터웨이트(700)의 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600)는 후술할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을 카운터웨이트(7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지지 플레이트(600)는 다수의 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600)에는 카운터웨이트(700)의 관통홀(780)에 대응하는 구멍도 형성될 수 있다.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은 지지 플레이트(600)에 결합되며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복수의 점등 또는 점멸 패턴 중 선택된 하나를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은 점등되거나 점멸하거나 일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순차 점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좌우 방향이라 함은 건설 기계(101)를 후방에서 바라볼 때 가로 방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은 램프부(810)와, 볼트(680)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600)에 체결되어 램프부(810)를 지지 플레이트(60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8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680)가 체결되기 위한 볼트 체결공(821)과, 볼트 체결공(82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보강 리브(8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820)는 램프부(8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결합부(820)는 건설 기계(101)의 특성 상 진동이 심하기 때문에 램프부(810)를 진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내진동 특성을 향상시키고 강도를 개선하며 지지 플레이트(600)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하여 응력이 분산되도록 설계된 것이다.
케이블(850)은 카운터웨이트(700)의 관통홀(780)을 통해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과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850)은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에 제어 신호 및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제어 장치(500)는 케이블(850)과 연결되어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5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장치(400), 스윙 센서(450), 및 안전 차단 밸브(470) 중 하나 이상이 제공하는 정보 신호 및 작업 장치(300)의 작업 정보에 따라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이 표현할 상기 복수의 점등 또는 점멸 패턴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 장치(500)는 엔진룸(750)에 설치되거나 카운터웨이트(700)의 엔진룸(750)과 대향하는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제어 장치(500)의 설치 위치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절연성 마개(870)는 케이블(850)이 관통홀(780)을 관통한 상태에서 관통홀(780)을 막을 수 있다. 절연성 마개(870)는 카운터웨이트(700)의 관통홀(780)을 통해 엔진룸(750)의 열이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에 전달되어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에 열해를 끼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일례로, 절연성 마개(870)는 러버(rubber)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보호 플레이트(900)는 지지 플레이트(600)에 결합되어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을 보호할 수 있다.
조작 장치(400)는 주행체와 선회체의 각종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선회체의 운전실에 설치될 수 있다. 조작 장치(400)는 조이스틱, 제어 패널, 페달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작 레버와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윙 센서(450)는 선회체의 선회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안전 차단 밸브(47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작업 장치(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파일럿 압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제어 장치(500)는 전술한 조작 장치(400), 스윙 센서(450), 안전 차단 밸브(450) 중 하나 이상이 제공하는 정보 신호 및 작업 장치(300)의 작업 정보에 따라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이 표현할 복수의 점등 또는 점멸 패턴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제어 장치(500)는, 경우에 따라, 키박스, 기어 박스, 및 브레이크 장치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정보 신호를 추가로 전달받아 이를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의 제어에 활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101)에서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어 장치(500)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입력되고 안전 차단 밸브(470)가 동작되고 브레이크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을 보조 제동등으로 점등시킬 수 있다. 즉,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하면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이 점등될 수 있다.
다음, 제어 장치(500)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입력되고 안전 차단 밸브(470)가 미동작하고 작업 장치(300)의 작업 신호가 미입력되면, 작업 준비 상태로 인식하고,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을 점등시켜 작업이 시작됨을 경고할 수 있다. 즉,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을 점등시켜 건설 기계(101)의 주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곧 건설 기계(101)가 작업을 시작할 것임을 경고할 수 있다.
다음, 제어 장치(500)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입력되고 안전 차단 밸브(470)가 미동작하고 작업 장치(300)의 작업 신호가 입력되면, 작업 상태로 인식하고,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을 점멸시켜 작업 중임을 경고할 수 있다. 즉,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을 점멸시켜 건설 기계(101)의 주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현재 건설 기계(101)가 작업 중임을 경고할 수 있다.
다음, 제어 장치(500)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미입력되고 작업 장치(300)의 작업 신호가 미입력되면,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을 보조 제동등으로 점등시킬 수 있다. 즉, 브레이크 장치가 작동하면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이 점등될 수 있다.
다음, 제어 장치(500)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미입력되고 작업 장치(300)의 작업 신호가 입력되고 선회 신호가 미입력되면, 작업 상태로 인식하고,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을 점멸시켜 작업 중임을 경고할 수 있다. 즉,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을 점멸시켜 건설 기계(101)의 주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현재 건설 기계(101)가 작업 중임을 경고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제어 장치(500)가 주행 중 작업 상태로 인식하고 작업 중임을 경고하게 된다.
다음, 제어 장치(500)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미입력되고 작업 장치(300)의 작업 신호가 입력되고 선회 신호가 입력되면,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을 선회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순차 점등하여 선회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설 기계(101)의 선회체가 좌선회할 경우,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차례로 점등될 수 있다. 반대로, 건설 기계(101)의 선회체가 우선회할 경우,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차례로 점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기계(101)는 다기능 보조 제동등(800)을 통해 각종 작업 상태를 구분하여 효과적으로 주변에 경고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건설 기계
300: 작업 장치
400: 조작 장치
450: 스윙 센서
470: 안전 차단 밸브
500: 제어 장치
600: 지지 플레이트
680: 볼트
700: 카운터웨이트
750: 엔진룸
780: 관통홀
800: 다기능 보조 제동등
810: 램프부
820: 결합부
821: 볼트 체결공
825: 보강 리브
850: 케이블
870: 절연성 마개
900: 보호 플레이트

Claims (13)

  1. 엔진룸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엔진룸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카운터웨이트;
    상기 엔진룸과 대향하는 일면에 반대되는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타면에 부착된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복수의 점등 또는 점멸 패턴 중 선택된 하나를 표현하는 다기능 보조 제동등;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과 연결된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을 막는 절연성 마개를 더 포함하는 건설 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의 가장자리를 둘러싸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보호하는 보호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건설 기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은,
    램프부와;
    볼트에 의해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체결되어 상기 램프부를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볼트 체결공과, 상기 볼트 체결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건설 기계.
  6. 제1항에 있어서,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엔진룸, 상기 카운터웨이트, 및 각종 작업 장치를 포함하는 선회체
    를 더 포함하는 건설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체와 상기 선회체의 각종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장치;
    상기 선회체의 선회 동작을 감지하는 스윙 센서; 및
    상기 작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파일럿 압력을 차단하는 안전 차단 밸브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조작 장치, 상기 스윙 센서, 및 상기 안전 차단 밸브 중 하나 이상이 제공하는 정보 신호 및 상기 작업 장치의 작업 정보에 따라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이 표현할 상기 복수의 점등 또는 점멸 패턴 중 하나를 선택하는 건설 기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안전 차단 밸브가 동작되고 브레이크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보조 제동등으로 점등시키는 건설 기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안전 차단 밸브가 미동작하고 상기 작업 장치의 작업 신호가 미입력되면, 작업 준비 상태로 인식하고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점등시켜 작업이 시작됨을 경고하는 건설 기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안전 차단 밸브가 미동작하고 상기 작업 장치의 작업 신호가 입력되면, 작업 상태로 인식하고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점멸시켜 작업 중임을 경고하는 건설 기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미입력되고 상기 작업 장치의 작업 신호가 미입력되면,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보조 제동등으로 점등시키는 건설 기계.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미입력되고 상기 작업 장치의 작업 신호가 입력되고 선회 신호가 미입력되면, 작업 상태로 인식하고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점멸시켜 작업 중임을 경고하는 건설 기계.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전후진 기어 중립 신호가 미입력되고 상기 작업 장치의 작업 신호가 입력되고 선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다기능 보조 제동등을 선회 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순차 점등하여 선회 방향을 안내하는 건설 기계.
KR1020210153165A 2021-11-09 2021-11-09 건설 기계 KR20230067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165A KR20230067262A (ko) 2021-11-09 2021-11-09 건설 기계
PCT/KR2022/017412 WO2023085718A1 (ko) 2021-11-09 2022-11-08 건설 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165A KR20230067262A (ko) 2021-11-09 2021-11-09 건설 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7262A true KR20230067262A (ko) 2023-05-16

Family

ID=86336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165A KR20230067262A (ko) 2021-11-09 2021-11-09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67262A (ko)
WO (1) WO202308571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7534B2 (ja) * 1993-10-01 1998-07-16 建設省関東地方建設局長 建設機械の監視装置
JP3939874B2 (ja) * 1999-02-19 2007-07-04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リア部品の取付構造
JP2002227252A (ja) * 2001-02-02 2002-08-1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走行警告装置
JP2006161306A (ja) * 2004-12-03 2006-06-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配線引き回し構造
KR20110072071A (ko) * 2009-12-22 2011-06-29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의 비콘램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5718A1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58539A1 (ja) ショベル
US7772969B2 (en) Vehicle with always forward system
JP5004834B2 (ja) 作業機械
KR102506637B1 (ko) 쇼벨
EP3438351B1 (en) Working machine
JP6213526B2 (ja) 作業機械
KR101058463B1 (ko) 건설 기계의 표시 장치
KR20230067262A (ko) 건설 기계
CN114174598A (zh) 建筑机械
JP2020159045A (ja) 建設機械
WO2022209045A1 (ja) 建設機械
KR101735107B1 (ko) 틸팅캐빈의 제어 시스템
JPH0533359A (ja) 全旋回型の小型バツクホウ
JP3254125B2 (ja) 建設機械の安全装置
JPH0518122A (ja) 解体作業機の安全装置
JP6202665B2 (ja) 作業機械の外部電源接続装置
WO2022209046A1 (ja) 建設機械
WO2015016134A1 (ja) 建設機械
JP7421007B2 (ja) 電動式作業機械
WO2023219389A1 (ko) 건설 기계
KR19990043610A (ko) 중장비 전도 방지장치
JP2009097303A (ja) 建設機械
JP2008008122A (ja) 建設機械のモニタ
JP2022156496A (ja) 転圧機械
JP2562026Y2 (ja) バックホーの操縦機構における安全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