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0897A -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0897A
KR20230060897A KR1020210145600A KR20210145600A KR20230060897A KR 20230060897 A KR20230060897 A KR 20230060897A KR 1020210145600 A KR1020210145600 A KR 1020210145600A KR 20210145600 A KR20210145600 A KR 20210145600A KR 20230060897 A KR20230060897 A KR 20230060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lard
unit
signal
vehicle
crosswal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일권
선재필
선재호
Original Assignee
선일권
선재필
선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일권, 선재필, 선재호 filed Critical 선일권
Priority to KR1020210145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0897A/ko
Publication of KR20230060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0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2Upright or projecting signs or signals permanently installed directly on or in the roadway and designed to be depressed by rolling or other loads and then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e.g. collapsible or rockable stop signs,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for audible war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의 신호에 연동하여 차량의 진행을 방지하여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제작성과 시공성이 뛰어나 경제성 및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횡단보도의 차량 진입 방향 측에 설치되고,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볼라드 수단; 상기 볼라드 수단을 회동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 구동 수단; 및 횡단보도의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볼라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 {TRAFFIC SIGNAL INTERLOCKING AUTO BOLLARD SYSTEM FOR STREET CROSSING}
본 발명은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횡단보도의 신호에 연동하여 차량의 진행을 방지하여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제작성과 시공성이 뛰어나 경제성 및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차도와 인도로 구분되고, 차도에는 보행자가 차도를 건널 수 있도록 된 보행자용 횡단보도가 설치된다.
또한, 보행자용 횡단보도가 있는 위치에는 보행자용 적녹 신호등이 설치되고 또한 차량의 주행 주의 정지를 지정하는 녹, 황, 적색 신호등이 설치되고 이러한 보행자용 적녹신호등과 차량용의 녹, 황, 적색 신호등의 점등, 소등을 콘트롤하는 신호제어기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횡단보도의 인도에는 차량의 진입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콘크리트 또는 철재나 화강석 재질로 이루어진 볼라드(bollard) 및 각종 차단 구조물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볼라드는 처음에는 목재를 가공하여 제조하였는데, 이와 같이 목재로 이루어진 볼라드는 목재가 간직한 자체적인 특성상 강도가 취약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 즉 차량의 충돌 등이 가해질 경우 쉽게 파손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외부충격이 가해지지 아니하더라도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습기 등의 수분에 의해 휘어지거나 부식되어 볼라드로서의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목재로 이루어진 볼라드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석재로 이루어진 볼라드가 제조되었다.
이러한 석재의 볼라드는 통상적인 화강석을 채취하여 가공한 후, 횡단보도의 인도 측에 볼라드의 하부를 매설하여 설치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설치된 다수의 볼라드는 횡단보도의 인도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차량의 진입 방지의 기능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기 때문에 단순하고, 인도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으므로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보행에 지장을 줄 뿐만 아니라 보행자가 볼라드에 충돌하여 부상을 당하는 등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므로 오히려 볼라드에 의해 안전한 보행권을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설치된 볼라드는 차량의 인도 침입은 차단할 수 있지만,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차도 상의 차량으로부터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15965호에는 횡단보도의 인도와 더불어서 차량의 진행방향에 가까운 횡단보도의 차도 상에도 각각의 볼라드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볼라드를 보행자의 신호등과 연계하여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 또는 차량의 진행을 제어하여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안전을최대한 도모토록 한 횡단보도 안전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복수의 블라드 각각이 지면에 매설되어 설치되고, 동작 시 블라드를 승강시켜 차단하고 다시 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 블라드는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높이(길이)를 가져야 하고, 이에 따라 그 높이만큼의 매설깊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공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각각의 블라드를 구동시키기 위한 개별 구동체를 필요로 하므로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15965(2012.02.23.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47831(1999.06.1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52545(2004.06.05.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0-0034574(2020.03.31.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횡단보도의 신호에 연동하여 차량의 진행을 방지하여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제작성과 시공성이 뛰어나 경제성 및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라드의 차단 동작 과정에서 차량과 접촉하더라도 블라드 및 차량 범퍼의 손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간 시 운전자가 쉽게 식별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과의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다중 선택 차단 동작로 구성하여 차량의 진입 거리에 따라 효과적으로 차단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횡단보도의 차량 진입 방향 측에 설치되고,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볼라드 수단; 상기 볼라드 수단을 회동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 구동 수단; 및 횡단보도의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볼라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 수단은,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에 일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볼라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볼라드 유닛은 도로면에 노출되는 노출면이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 유닛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으로 도로면에 대하여 기립된 상태에서 하단부를 축으로 하여 차량 진행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고, 탄성 부재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 유닛은,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부 측이 상기 외부 하우징의 외측으로 탈락 방지되게 구비되는 내부 선형이동 부재; 상기 내부 선형이동 부재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 부재; 및 상기 외부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선형이동 부재를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 유닛은, 도로면으로 노출되는 측의 반대면에 야광 물질이나 야광띠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 유닛은 도로면으로 노출되는 측의 반대면에 상기 볼라드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은, 정역 회전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볼라드 수단의 회전 샤프트 간에 구성되어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 샤프트로 전달하는 회동력 전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력 전달 모듈은 기어 트레인 방식 또는 캠 구동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 수단과 회전 구동 수단은 차량 진행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복수 구성되고, 진입하는 차량의 거리를 센싱하여 검출 거리를 상기 볼라드 제어 모듈로 전달하는 차량 거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볼라드 제어 모듈은, 교통신호 제어기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는 교통신호제어기신호 수신부와, 상기 교통신호제어기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적색 신호 및 녹색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의 정역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모터 제어부, 및 상기 차량 거리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회전 구동 수단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하는 볼라드 선택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횡단보도에서 차량 진입 방향에 대하여 각각 설치된 복수의 볼라드가 보행자 신호등과 연계하여 동시 동작하여 차량의 진행을 차단함으로써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볼라드 설치를 위한 지면의 깊이를 깊게 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이 뛰어나고, 일체형 구동 방식으로 구현하여 제작성을 향상시켜 경제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블라드의 차단 동작 과정에서 차량과 접촉하더라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여 블라드 및 차량 범퍼의 손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야간 시 형광 및/또는 발광을 통해 운전자가 쉽게 식별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과의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다중 선택 차단 구성으로 구성하여 차량의 진입 거리에 따라 효과적으로 차단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블라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에 포함되는 볼라드 수단과 회전 구동 수단의 일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에 포함되는 볼라드 수단과 회전 구동 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에 포함되는 볼라드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에 포함되는 회전 구동 수단의 회동력 전달 모듈의 실시 형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에 포함하는 볼라드 제어 모듈의 구성부를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에 포함되는 볼라드 수단과 회전 구동 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에 포함되는 볼라드 수단의 실시 형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에 포함되는 회전 구동 수단의 회동력 전달 모듈의 실시 형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에 포함하는 볼라드 제어 모듈의 구성부를 블록화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볼라드 수단(100); 회전 구동 수단(200); 및 볼라드 제어 모듈(3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보도의 차량 진입 방향 측에 설치되고,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볼라드 수단(100); 상기 볼라드 수단(100)을 회동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 구동 수단(200); 및 횡단보도의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회전 구동 수단(2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볼라드 제어 모듈(300);을 포함한다.
상기 볼라드 수단(100)은 횡단보도의 차량 진입 방향 측에 설치되고, 도로의 표면과 동일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회전 구동 수단(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그에 구비되는 볼라드 유닛이 90°로 기립함으로써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라드 수단(100)은 상기 회전 구동 수단(20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 샤프트(110), 및 상기 회전 샤프트(110)에 일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볼라드 유닛(120)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샤프트(110)의 일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 구동 수단(200)의 회동력 전달 모듈의 일 구성부가 구성된다.
상기 볼라드 유닛(120)은 막대나 봉 형태로 형성되되 도로면에 노출되는 노출면이 편평하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볼라드 유닛(120)은 도로면으로 노출되는 상면이 도로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어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볼라드 유닛(120)은 일측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반원의 단면 형태 또는 판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라드 유닛(120)은 도로면에 노출되는 노출면이 도로면보다 돌출되게 돌출부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횡단보도의 신호가 녹색인 경우라도, 횡단보도를 통과하는 차량이 서행하도록 하는 돌출턱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볼라드 유닛(120)은 회전 샤프트(110)의 회전으로 지면에 대하여 기립된 상태에서 차량이 충돌할 시 회전되고, 다시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라드 유닛(12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부의 회전축(120a)이 회전 샤프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는 상기 볼라드 유닛(120)을 지지하거나 그 볼라드 유닛(12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회전축(110)에 지지되거나 결합되어, 상기 볼라드 유닛(120)가 기립되게 회전 샤프트(110)가 회전한 상태에서, 후방 측(차량 진행 방향 측)으로 회동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12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라드 유닛(120)은 회전 샤프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에 있어 회전샤프트(110)가 회전(90°회전)할 때 회전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볼라드 유닛(120)이 90°로 기립된 상태에서 그 회전축(120a)을 축으로 후방 측(차량 진행 방향 측)으로 소정 각도 회동할 수 있는 회전 공간을 갖는 설치 홈에 설치된다.
상기 탄성 부재(120b)는 중앙부가 회전축(120a)에 감기고,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볼라드 유닛(120)과 회전 샤프트(110)에 지지 또는 결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볼라드 유닛(120)은 외부의 힘(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수축되고, 외부의 힘이 해제되면 원래의 길이 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볼라드 유닛(120)는 텔레스코핑(telescoping)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라드 유닛(12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121)과, 상기 외부 하우징(121)의 상부 측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그 외부 하우징(121)의 외측으로 탈락 방지되게 구비되는 내부 선형이동 부재(122)와, 상기 내부 선형이동 부재(122)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 부재(123), 및 상기 외부 하우징(12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 선형이동 부재(122)를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124)를 포함한다.
상기 충격 흡수 부재(123)는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 등 신축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볼라드 유닛(120)은 회전하여 기립하는 동작 과정에서 차량의 앞부분이 접촉되는 경우, 충격 흡수 부재(123)에 의해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면서 내부 선형이동 부재(122)가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어, 차량과의 충돌로 인한 볼라드 유닛(120)과 차량 범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라드 유닛(120)은 도로면으로 노출되는 측의 반대면, 즉 볼라드 유닛(120)이 기립된 상태에서 차량을 향하는 면에는 야간에서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야광 물질이나 야광띠가 구비되거나, 볼라드 제어 모듈(300)의 제어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모듈(125)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볼라드 수단(100)은 도로의 횡방향(즉, 차량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횡단 방향)으로 소정 크기와 깊이로 굴착된 홈에 회전 샤프트(110)가 설치되고, 그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도로면에 볼라드 유닛(120)의 형상에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된 홈에 볼라드 유닛(120)가 눕힌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횡단보도의 신호제어기의 녹색 신호 시 볼라드 제어 모듈(300)로부터의 신호로 동작하는 회전 구동 수단(20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기립 상태로 되어 차량의 진입을 방지하고, 횡단보도의 신호제어기의 적색 신호 시 원위치로 복귀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 구동 수단(200)은 상기 볼라드 수단(100)을 회동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구동 수단(200)은 상기 볼라드 제어 모듈(300)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정역 회전하는 구동 모터(210), 및 상기 구동 모터(210)와 상기 볼라드 수단(100)의 회전 샤프트(110) 간에 구성되어 구동 모터(21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 샤프트(110)로 전달하는 회동력 전달 모듈(220)을 포함한다.
상기 회동력 전달 모듈(220)은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 트레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구동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력 전달 모듈(220)은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모터(210)의 회전축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1 기어(221), 및 상기 회전 샤프트(11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기어(221)와 치합되는 제2 기어(22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기어(221)와 제2 기어(222)는 소정의 설계 기어비를 갖고 형성되며, 상기 볼라드 제어 모듈(300)의 제어에 의해 볼라드 수단(100)의 볼라드 유닛(120)이 눕혀진 상태에서 90°로 기립된 상태가 되도록 회전력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회동력 전달 모듈(220)은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 모터(210)의 회전축에서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동 캠(223), 및 상기 회전 샤프트(110)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 캠(223)의 회전 접촉으로 회전 샤프트(110)가 90°로 회전되도록 하는 종동 캠 또는 종동 홈(224)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볼라드 제어 모듈(300)은 횡단보도의 교통신호 제어기의 적색 신호 및 녹색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회전 구동 수단(2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라드 제어 모듈(300)은 교통신호 제어기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는 교통신호제어기신호 수신부(310), 및 상기 교통신호제어기신호 수신부(310)에서 수신된 적색 신호 및 녹색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210)의 정역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모터 제어부(3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볼라드 제어 모듈(300)은 상기 볼라드 유닛(120)에 발광 모듈(125)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교통신호제어기신호 수신부(310)에서 수신된 적색 신호 및 녹색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 모듈(125)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 제어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제어부(330)는 상기 교통신호제어기신호 수신부(310)에서 수신된 적색 신호 시 발광 모듈(125)이 온(ON) 되게 제어하고, 녹색 신호 시 오프(OFF)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은 상기 볼라드 수단(100)과 회전 구동 수단(200)이 차량 진행 방향으로 다중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은 상기 볼라드 수단(100)과 회전 구동 수단(200)이 차량 진행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복수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은 진입하는 차량의 거리를 센싱하도록 도로변에 설치되어 검출 신호(검출 거리)를 상기 볼라드 제어 모듈(300)로 전달하는 차량 거리 모듈(400)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볼라드 제어 모듈(300)은 상기 차량 거리 모듈(4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회전 구동 수단(200)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하도록 하는 볼라드 선택 제어부(34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은, 녹색 신호 시 상기 차량 거리 모듈(400)에서 검출되는 차량의 거리를 근거하여 차량에 대하여 가장 가깝게 위치된 최초 볼라드 수단과 너무 가까운 경우, 해당 볼라드 수단은 동작시키지 않고, 그 후방 측에 위치되는 볼라드 수단을 동작시켜 볼라드 수단과 차량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 진입 방향에 대하여 각각 설치된 복수의 볼라드가 보행자 신호등과 연계하여 동시 동작하여 차량의 진행을 차단함으로써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호할 수 있으며, 볼라드 설치를 위한 지면의 깊이를 깊게 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이 뛰어나고, 일체형 구동 방식으로 구현하여 제작성을 향상시켜 경제성 및 제품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라드의 차단 동작 과정에서 차량과 접촉하더라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하여 블라드 및 차량 범퍼의 손상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고, 야간 시 형광 및/또는 발광을 통해 운전자가 쉽게 식별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과의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다중 선택 차단 구성으로 구성하여 차량의 진입 거리에 따라 효과적으로 차단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하여 블라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볼라드 수단
110: 회전 샤프트
120: 볼라드 유닛
121: 외부 하우징
122: 내부 선형이동 부재
123: 충격 흡수 부재
124: 탄성 부재
125: 발광 모듈
200: 회전 구동 수단
210: 구동 모터
220: 회동력 전달 모듈
221: 제1 기어
222: 제2 기어
223: 구동 캠
224: 종동 캠(종동 홈)
300: 볼라드 제어 모듈
310: 교통신호제어기신호 수신부
320: 구동모터 제어부
330: 발광 제어부
340: 볼라드 선택 제어부
400: 차량 거리 모듈

Claims (6)

  1. 횡단보도의 차량 진입 방향 측에 설치되고,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볼라드 수단;
    상기 볼라드 수단을 회동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 구동 수단; 및
    횡단보도의 교통신호 제어기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볼라드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 수단은,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에 일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볼라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볼라드 유닛은 도로면에 노출되는 노출면이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 유닛은,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으로 도로면에 대하여 기립된 상태에서 하단부를 축으로 하여 차량 진행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고, 탄성 부재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 유닛은,
    도로면으로 노출되는 측의 반대면에 상기 볼라드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은, 정역 회전하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볼라드 수단의 회전 샤프트 간에 구성되어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 샤프트로 전달하는 회동력 전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력 전달 모듈은 기어 트레인 방식 또는 캠 구동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라드 수단과 회전 구동 수단은 차량 진행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복수 구성되고,
    진입하는 차량의 거리를 센싱하여 검출 거리를 상기 볼라드 제어 모듈로 전달하는 차량 거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볼라드 제어 모듈은, 교통신호 제어기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는 교통신호제어기신호 수신부와, 상기 교통신호제어기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적색 신호 및 녹색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의 정역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모터 제어부, 및 상기 차량 거리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근거하여 복수의 회전 구동 수단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하는 볼라드 선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
KR1020210145600A 2021-10-28 2021-10-28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 KR20230060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600A KR20230060897A (ko) 2021-10-28 2021-10-28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600A KR20230060897A (ko) 2021-10-28 2021-10-28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0897A true KR20230060897A (ko) 2023-05-08

Family

ID=8638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600A KR20230060897A (ko) 2021-10-28 2021-10-28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089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831Y1 (ko) 1996-12-09 1999-06-15 김호천 횡단보도의 차량 진입 차단장치
KR200352545Y1 (ko) 2004-03-23 2004-06-05 박희훈 안내 표지판의 자동 승강장치
KR101115965B1 (ko) 2009-07-07 2012-02-23 (주)창조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KR20200034574A (ko) 2019-07-22 2020-03-31 신대현 승강형 볼라드를 이용한 교통 안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7831Y1 (ko) 1996-12-09 1999-06-15 김호천 횡단보도의 차량 진입 차단장치
KR200352545Y1 (ko) 2004-03-23 2004-06-05 박희훈 안내 표지판의 자동 승강장치
KR101115965B1 (ko) 2009-07-07 2012-02-23 (주)창조 횡단보도 안전시스템
KR20200034574A (ko) 2019-07-22 2020-03-31 신대현 승강형 볼라드를 이용한 교통 안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2281B2 (en) Speed control system
JP6823722B2 (ja) 自動車の緊急停止地点
US7375618B2 (en) Speed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stopping or deceleration of vehicle
US20170081814A1 (en) Retractable speed barrier
MY152689A (en) Impact absorption facility for road
KR20110104985A (ko) 차량 통행 제어 장치
JP2017523523A (ja) 車両に配置される装置
KR101531485B1 (ko) 차량 감속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KR101636943B1 (ko) 차량 진출입로의 측벽 충돌 방지시스템
KR200423551Y1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KR100839927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도로 상의 운전차량 표시 시스템
KR20230060897A (ko) 횡단보도용 교통신호 연동형 자동 볼라드 시스템
JP2005297863A (ja) 自動車の安全システム
KR20110116929A (ko) 횡단보도 안전장치
US6510378B2 (en) Traffic control system for signalling timely any obstruction on the road
KR101073539B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KR101600361B1 (ko) 시인성 확보 및 우수처리 시설이 구비된 과속방지턱.
KR101636942B1 (ko) 차량 진출입로에서의 적정한 스티어링 유도를 위한 유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시스템
KR100740082B1 (ko) 보행자를 위한 횡단보도 안전장치
WO2019208515A1 (ja) 標示構造、並びに、路面標示、道路付属物および建造物
JP4077401B2 (ja) 可動ガードレール
KR200299918Y1 (ko) 보행자 보호용 차량 진입 차단봉의 은폐 구조
KR100650780B1 (ko) 주행차량 감속을 위한 도로구조
KR102386378B1 (ko) 어린이 보호를 위한 차량용 안전펜스
KR20110028923A (ko) 차량게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