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4101A - 차량의 리클라이너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클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4101A
KR20230054101A KR1020210137693A KR20210137693A KR20230054101A KR 20230054101 A KR20230054101 A KR 20230054101A KR 1020210137693 A KR1020210137693 A KR 1020210137693A KR 20210137693 A KR20210137693 A KR 20210137693A KR 20230054101 A KR20230054101 A KR 20230054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liner
mobile flange
vehicle
eccentric r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571B1 (ko
Inventor
장승훈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7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571B1/ko
Priority to US17/961,664 priority patent/US20230116979A1/en
Priority to EP22201018.3A priority patent/EP4166387A1/en
Priority to CN202211259196.7A priority patent/CN115972995A/zh
Publication of KR20230054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4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e.g. one gear without sun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지지부가 단마다 외경이 상이한 다단구조로 형성된 모바일플랜지; 모바일플랜지의 지지부에 끼워짐으로써 모바일플랜지의 안착공간에 설치되고, 지지부에 접촉되는 내측면에는 지지부의 다단구조에 대응되는 대응단이 형성된 편심링; 외접기어가 모바일플랜지의 내접기어에 치합되는 기어플레이트; 및 편심링과 기어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기어플레이트를 일측으로 가압하는 캠;을 포함하는 차량의 리클라이너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리클라이너 {RECLI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모바일플랜지의 편심링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다단구조를 성형하고, 대응되는 편심링 역시 대응단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리클라이너의 강도를 증대시키면서도 중량과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줄이고, 제조원가 역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리클라이너는 내접기어가 형성된 모바일플랜지와 그 내부에서 편심되어 외접기어를 통해 치합되는 기어플레이트 및 기어플레이트의 편심을 유발하는 편심링과 캠으로 구성된다.
한편, 리클라이너는 승객의 하중 또는 차량 충돌시의 하중에 대한 저항강도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내접기어와 외접기어의 안정적인 치합면적의 확보 및 치합이 면 접촉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리클라이너의 경우 이러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단조 공법을 통하여 모바일플렌지를 성형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 제조원가가 매우 비싸고 무거운 단점이 있다. 한편, 파인블랭킹 공법을 통해 형상을 성형할 경우에는 제조원가는 저렴하지만 성형의 한계상 모바일플랜지의 필요한 지점에 필요한 두께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종래기술인 KR 10-2236705 B1의 경우에는 리클라이너의 강도 확보를 위해 캠의 내측면과 모바일플랜지 지지부의 사이에 캠슬리버를 배치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 경우 캠의 수직이 틀어져 약간이라도 기울어질 경우에는 모바일플랜지 및 캠슬리버와의 면 접촉이 해제되고 바로 점 접촉으로 바뀌어 이상마모가 발생되고 작동력이 불량하며, 필요한 치합강도 역시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조공차를 매우 정밀하게 관리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캠의 수직을 정확히 확보할 수 있도록 공차를 관리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또한 과도한 작동력의 인가로 인한 미세한 변형까지는 제조과정에서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실현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236705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모바일플랜지의 편심링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다단구조를 성형하고, 대응되는 편심링 역시 대응단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리클라이너의 강도를 증대시키면서도 중량과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줄이고, 제조원가 역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리클라이너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클라이너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안착공간을 이루는 내측면을 따라 내접기어가 형성되며, 안착공간의 중앙에는 하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되고, 지지부는 단마다 외경이 상이한 다단구조로 형성된 모바일플랜지; 모바일플랜지의 지지부에 끼워짐으로써 모바일플랜지의 안착공간에 설치되고, 지지부에 접촉되는 내측면에는 지지부의 다단구조에 대응되는 대응단이 형성된 편심링; 모바일플랜지의 안착공간에 배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외접기어가 형성되고, 외접기어가 모바일플랜지의 내접기어에 치합되는 기어플레이트; 및 편심링과 기어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기어플레이트를 일측으로 가압하는 캠;을 포함한다.
모바일플렌지의 하면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지지부는 관통홀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는 파인블랭킹 공법을 통하여 모바일플랜지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지지부는 하부단 및 하부단의 상방에 배치된 상부단으로 구성되고, 하부단의 외경이 상부단보다 더 클 수 있다.
모바일플렌지의 하면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단은 관통홀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부단은 하부단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모바일플렌지의 하면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단은 관통홀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옵셋된 지점에 형성되어 모바일플랜지의 하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부단은 하부단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옵셋된 지점에 형성되어 하부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모바일플랜지의 하단은 평판 형상일 수 있다.
편심링에는 지지부에 접하는 내측면의 하부가 만입되어 대응단이 형성될 수 있다.
편심링의 대응단의 측면은 편심링의 내측단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옵셋될 수 있다.
편심링의 대응단의 측면과 편심링의 내측단은 각각 지지부의 다단구조의 측면을 마주할 수 있다.
편심링의 대응단은 편심링의 내측 하부가 패여진 링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리클라이너에 따르면, 비교적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모바일플랜지의 편심링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다단구조를 성형하고, 대응되는 편심링 역시 대응단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리클라이너의 강도를 증대시키면서도 중량과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줄이고, 제조원가 역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클라이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클라이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클라이너의 편심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클라이너의 일측 단면도.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모바일플랜지의 ?y심링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다단구조를 성형하고, 대응되는 편심링 역시 대응단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리클라이너의 강도를 증대시키면서도 중량과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줄이고, 제조원가 역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클라이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클라이너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클라이너의 편심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클라이너의 일측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리클라이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리클라이너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안착공간을 이루는 내측면을 따라 내접기어(110)가 형성되며, 안착공간의 중앙에는 하면(120)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부(140)가 형성되고, 지지부(140)는 단마다 외경이 상이한 다단구조로 형성된 모바일플랜지(100); 모바일플랜지(100)의 지지부(140)에 끼워짐으로써 모바일플랜지(100)의 안착공간에 설치되고, 지지부(140)에 접촉되는 내측면에는 지지부(140)의 다단구조에 대응되는 대응단(420)이 형성된 편심링(400); 모바일플랜지(100)의 안착공간에 배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외접기어(310)가 형성되며, 외접기어(310)가 모바일플랜지(100)의 내접기어(110)에 치합되는 기어플레이트(300); 및 편심링(400)과 기어플레이트(300)의 사이에 배치되어 기어플레이트(300)를 일측으로 가압하는 캠(490);을 포함한다.
리클라이너의 기본적인 구성으로는 모바일플랜지가 마련되어야 한다. 모바일플랜지(100)는 시트백 또는 시트쿠션 중 일측에 고정되며,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안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안착공간을 이루는 내측면을 따라 내접기어(110)가 형성된다.
한편, 모바일플랜지(100)의 안착공간의 중앙에는 내부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부(140)가 형성되고, 지지부(140)는 단마다 외경이 상이한 다단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모바일플렌지(100)의 하면(120)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지지부(140)는 관통홀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모바일플랜지(100)의 지지부(140)는 파인블랭킹 공법을 통하여 모바일플랜지(100)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모바일플랜지(100)의 경우 다양한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조나 냉간단조 또는 파인블랭킹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파인블랭킹 공법을 적용하면서도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모바일플랜지(100)의 지지부(140)는 하부단(142) 및 하부단(142)의 상방에 배치된 상부단(144)으로 구성되고, 하부단(142)의 외경이 상부단(144)보다 더 클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플렌지(100)의 하면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단(142)은 관통홀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부단(144)은 하부단(14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플렌지(100)의 하면(120)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단(142)은 관통홀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옵셋된 지점에 형성되어 모바일플랜지(100)의 하면(120)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부단(144)은 하부단(142)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옵셋된 지점에 형성되어 하부단(142)보다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방식으로 다단의 구조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파인블랭킹을 통하더라도 충분히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형상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이 경우 모바일플랜지(100)의 최하단은 평판 형상으로 함으로써 다단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중량의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리클라이너의 모멘트 강도에 가장 중요한 인자는 치형 크기와 지지부(버링 형상)의 두께이기 때문에 최근 슬림 디자인 요구 사항을 만족하면서 고강도를 확보 하기 위해 치형 두께 및 지지부 증대가 필수이나, 파인블랭킹 공법을 사용할 경우 치형 두께는 소재 두께 증대로 쉽게 달성할 수 있으나 지지부 두께 증대는 공법의 한계(버링 형상 체적 부족)로 일정 두께 이상 확보가 불가능하여 냉간단조 공법 등의 비교적 비싸고 복잡한 공법이 불가피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경우 지지부에 2단 형상의 단을 추가 하여 지지부 외경을 증대하고 전체 지지부 두께(D)가 증대되어 측면 지지력이 기존 보다 향상되어 지지부의 변형이 거의 없이 치형쪽으로 하중이 전달되는 효과가 증대되어 전체 강도가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클라이너의 편심링(400)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편심링(400)을 하방에서 바라본 상태이다. 편심링(400)은 모바일플랜지(100)의 안착공간에 배치되며 내측면이 지지부에 접하고, 내측면에는 지지부(140)의 다단구조에 대응되는 대응단(420)이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링(400)은 그 내측 하단의 일부가 링 형상으로 패여짐으로써 대응단(420)이 형성된다. 그리고 편심링(400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편심부(440)가 형성되어 편심부(440)의 캠(490) 가압을 통하여 기어플레이트(300)가 편심된 상태로 모바일플랜지(100)에 치합되도록 한다.
편심링(400)은 지지부(140)에 접하는 내측면의 하부가 만입되어 대응단(4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편심링(400)의 대응단(420)의 측면(422)은 편심링(400)의 내측단(402)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옵셋될 수 있다. 그리고 편심링(400)의 대응단(420)의 측면(422)과 편심링의 내측단(402)은 각각 지지부(140)의 다단구조의 측면을 마주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링(400)의 대응단(440)의 측면(422)과 편심링(400)의 내측단(402)은 각각 지지부의 다단구조(142,144)의 측면을 마주함으로써 편심링(400)과 지지부(140)가 2개의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면 접촉을 이룸으로써 종래의 기술과 같이 틀어짐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며, 따라서 점 접촉으로 인한 불량과 소음, 강도저하 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의 경우 만약 일부 수치가 정확하지 않거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편심링의 대응단(420)의 측면(422)과 지지부의 하부단(142) 또는 편심링의 내측단(402)과 지지부의 상부단(1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항상 면접촉을 이루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강도의 확보가 가능하고 작동이 원활하며 내구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리클라이너의 경우, 기어플레이트(300)가 마련된다. 기어플레이트(300)는 모바일플랜지(100)의 안착공간에 배치되며 캠(490)의 외측을 감싸고, 외주면을 따라 외접기어(310)가 형성되며, 캠(490)에 의해 편측으로 가압되어 외접기어(310)가 모바일플랜지(100)의 내접기어(110)에 치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인풋디바이스(500)가 삽입되고, 인풋디바이스의 회전시 편심링(400)이 회전되고 캠(490)이 일측 회전방향으로 가압되어 편측으로 가압을 일으킨다. 그리고 평상시에는 한 쌍의 캠이 스프링(600)에 의해 벌어짐으로써 브레이킹이 발생되고, 이러한 구성들은 최종적으로 리테이너(700)와 캡(800)에 의해 커버링되어 보호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리클라이너에 따르면, 비교적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모바일플랜지의 편심링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다단구조를 성형하고, 대응되는 편심링 역시 대응단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리클라이너의 강도를 증대시키면서도 중량과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줄이고, 제조원가 역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모바일플랜지 300 : 기어플레이트
400 : 편심링

Claims (11)

  1.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안착공간을 이루는 내측면을 따라 내접기어가 형성되며, 안착공간의 중앙에는 하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지지부가 형성되고, 지지부는 단마다 외경이 상이한 다단구조로 형성된 모바일플랜지;
    모바일플랜지의 지지부에 끼워짐으로써 모바일플랜지의 안착공간에 설치되고, 지지부에 접촉되는 내측면에는 지지부의 다단구조에 대응되는 대응단이 형성된 편심링;
    모바일플랜지의 안착공간에 배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외접기어가 형성되고, 외접기어가 모바일플랜지의 내접기어에 치합되는 기어플레이트; 및
    편심링과 기어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기어플레이트를 일측으로 가압하는 캠;을 포함하는 차량의 리클라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바일플렌지의 하면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지지부는 관통홀의 테두리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클라이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부는 파인블랭킹 공법을 통하여 모바일플랜지에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클라이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부는 하부단 및 하부단의 상방에 배치된 상부단으로 구성되고, 하부단의 외경이 상부단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클라이너.
  5. 청구항 4에 있어서,
    모바일플렌지의 하면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단은 관통홀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부단은 하부단의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클라이너.
  6. 청구항 4에 있어서,
    모바일플렌지의 하면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하부단은 관통홀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옵셋된 지점에 형성되어 모바일플랜지의 하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부단은 하부단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옵셋된 지점에 형성되어 하부단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클라이너.
  7.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바일플랜지의 하단은 평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클라이너.
  8. 청구항 1에 있어서,
    편심링에는 지지부에 접하는 내측면의 하부가 만입되어 대응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클라이너.
  9. 청구항 8에 있어서,
    편심링의 대응단의 측면은 편심링의 내측단보다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옵셋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클라이너.
  10. 청구항 8에 있어서,
    편심링의 대응단의 측면과 편심링의 내측단은 각각 지지부의 다단구조의 측면을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클라이너.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편심링의 대응단은 편심링의 내측 하부가 패여진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클라이너.
KR1020210137693A 2021-10-15 2021-10-15 차량의 리클라이너 KR102542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693A KR102542571B1 (ko) 2021-10-15 2021-10-15 차량의 리클라이너
US17/961,664 US20230116979A1 (en) 2021-10-15 2022-10-07 Recliner for vehicle
EP22201018.3A EP4166387A1 (en) 2021-10-15 2022-10-12 Recliner for vehicle
CN202211259196.7A CN115972995A (zh) 2021-10-15 2022-10-14 用于车辆的倾斜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693A KR102542571B1 (ko) 2021-10-15 2021-10-15 차량의 리클라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4101A true KR20230054101A (ko) 2023-04-24
KR102542571B1 KR102542571B1 (ko) 2023-06-12

Family

ID=83691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693A KR102542571B1 (ko) 2021-10-15 2021-10-15 차량의 리클라이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16979A1 (ko)
EP (1) EP4166387A1 (ko)
KR (1) KR102542571B1 (ko)
CN (1) CN1159729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9878B1 (ko) * 2021-07-12 2024-01-2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리클라이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718B1 (ko) * 2010-08-03 2010-12-24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용 무단 조절식 리클라이너
KR20120049333A (ko) * 2009-08-12 2012-05-16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연속 결합된 리클리너 자유자재 시스템 및 정밀 천공된 기어 허브
KR101711826B1 (ko) * 2015-12-03 2017-03-03 대원정밀공업(주) 밀림방지형 리클라이너
KR102070023B1 (ko) * 2018-05-17 2020-01-29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KR102216952B1 (ko) * 2020-10-07 2021-02-19 대원정밀공업(주) 파워 리클라이너
KR102236705B1 (ko) 2019-11-29 2021-04-06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7043B3 (de) * 2004-02-12 2005-06-23 Keiper Gmbh & Co. Kg 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333A (ko) * 2009-08-12 2012-05-16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연속 결합된 리클리너 자유자재 시스템 및 정밀 천공된 기어 허브
KR101003718B1 (ko) * 2010-08-03 2010-12-24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용 무단 조절식 리클라이너
KR101711826B1 (ko) * 2015-12-03 2017-03-03 대원정밀공업(주) 밀림방지형 리클라이너
KR102070023B1 (ko) * 2018-05-17 2020-01-29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KR102236705B1 (ko) 2019-11-29 2021-04-06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2216952B1 (ko) * 2020-10-07 2021-02-19 대원정밀공업(주) 파워 리클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972995A (zh) 2023-04-18
KR102542571B1 (ko) 2023-06-12
US20230116979A1 (en) 2023-04-20
EP4166387A1 (en) 2023-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0972B2 (en) Seat recliner and seat having the same
KR102236705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2542571B1 (ko) 차량의 리클라이너
JP2756516B2 (ja) 調節可能な背もたれを持つ座席用の継手金具
JP4445549B2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US8978863B2 (en) Silent ratch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1231787B (zh) 用于车辆座椅的倾斜装置
US20080047106A1 (en) Hinge mountings for a motor vehicle seat with at least two stopper arms
KR20230010440A (ko) 차량의 리클라이너
JP2009520931A (ja) 液圧ブレーキ用ピストン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40041318A1 (en) Dynamic damper
EP3626516B1 (en) Brake device for motor vehicle seat
JP5102554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215621540U (zh) 一种汽车用座椅调角器
CN115107597B (zh) 一种小型连续型调角器
US20060213740A1 (en) Bilateral drive
CN103510779A (zh) 一种适用于乘用车的背门缓冲垫
KR102233271B1 (ko) 간격유지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클라이너
US20140354024A1 (en) Method for producing a vehicle seat fitting
KR102096964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
KR102427808B1 (ko) 시트 리클라이너
JP2000006695A (ja) 車両用シートの回転機構
CN216709090U (zh) 一种高强度调角器
KR102542569B1 (ko)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JP4214479B2 (ja) 鍛造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