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952B1 - 파워 리클라이너 - Google Patents

파워 리클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952B1
KR102216952B1 KR1020200129650A KR20200129650A KR102216952B1 KR 102216952 B1 KR102216952 B1 KR 102216952B1 KR 1020200129650 A KR1020200129650 A KR 1020200129650A KR 20200129650 A KR20200129650 A KR 20200129650A KR 102216952 B1 KR102216952 B1 KR 102216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internal gear
support
reclin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윤호
김동일
신규하
Original Assignee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102020012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952B1/ko
Priority to CN202110881036.5A priority patent/CN114287762B/zh
Priority to US17/402,001 priority patent/US11528992B2/en
Priority to DE102021123060.8A priority patent/DE102021123060A1/d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리클라이너에 하중 부하 시, 웨지의 지지돌기와 인터널기어에 구비된 지지홈과의 접촉지지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최대강도(보증강도)가 향상되는 파워 리클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버소켓의 회전구동에 따른 웨지의 회전에 의해 인터널기어에 결합되어 있는 익스터널기어가 편심회전되어 시트백의 각도가 조절되는 파워 리클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기어는, 익스터널기어가 편심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홈의 중앙에 버링부가 돌출형성되며, 수용홈의 내면에 단차를 구비하도록 버링부를 중심으로 소정반경을 유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웨지는 인터널기어의 지지홈내로 삽입되는 지지돌기가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시트 백 하중 부하 시, 웨지의 지지돌기가 인터널기어 지지홈의 일측에 접촉지지됨으로써, 하중이 분산되어 인터널기어와 익스터널기어의 치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파워 리클라이너{DEVICE RECLI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파워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웨지에 지지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인터널기어의 수용홈내에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하중 부하 시, 지지돌기가 지지홈내 일측에 접촉지지됨으로써, 리클라이너에 발생되는 하중의 분산 및 최대강도가 향상된 파워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클라이너는 시트쿠션에 대해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리클라이닝 작동시 부품간 강한 결합력을 구비하여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승객의 레버 조작에 의해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는 메뉴얼 타입과, 스위치 조작을 통해 모터의 동력으로 자동 작동하는 파워 타입으로 분류된다.
종래의 파워 리클라이너는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백(미 도시)과 결합되며 내치차(2a)가 형성된 인터널기어(2)와, 외치차(3a)가 형성된 익스터널기어(3)를 구성하되, 상기 인터널기어(2)와 익스터널기어(3)는 구조적으로 서로 다른 기어크기(기어 잇수)와, 서로 다른 피치원지름(PCD : Pitch Circle Diameter)에 의하여 조립 상태에서 인터널기어(2)에 익스터널기어(3)가 편심 결합되어, 사이공간에 개재된 한쌍의 웨지(4,5: Wedge)에 의하여 편심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록킹(Locking) 상태 혹은 리클라이너 작동을 위한 언록킹(Unlocking)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6 의 미설명부호 (1)은 레버소켓이고, (3b)는 익스터널기어에 압입고정된 베어링이며, (6)은 웨지스프링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클라이너는, 시트 백에 전방 또는 후방의 충격 하중이 발생되면, 하중이 인터널 기어와 익스터널 기어의 치합부위에 의해 익스터널기어에 전달되고, 익스터널기어에 전달된 하중은 웨지 및 캠을 통해 인터널 기어의 버링부에 전달되어, 버링부에 변형이 발생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특히, 버링부에 변형이 발생될 경우, 인터널기어의 내치차와 익스터널기어의 외치차간 치합이 분리됨으로써, 충격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의 치형이 파손되는 등의 안전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613449(2016.04.12)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03718(2010.12.17)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711826(2017.02.24)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38576(2019.01.09)
본 발명의 목적은 리클라이너에 하중 부하 시, 웨지의 지지돌기와 인터널기어에 구비된 지지홈과의 접촉지지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최대강도(보증강도)가 향상되는 파워 리클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리클라이너에 하중 부하 시, 웨지의 지지돌기와 인터널기어 지지홈의 접촉 및, 캠과 인터널기어 버링부의 접촉에 의해, 하중이 분산되어 리클라이너의 작동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파워 리클라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버소켓의 회전구동에 따른 웨지의 회전에 의해 인터널기어에 결합되어 있는 익스터널기어가 편심회전되어 시트백의 각도가 조절되는 파워 리클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기어는, 익스터널기어가 편심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홈의 중앙에 버링부가 돌출형성되며, 수용홈의 내면에 단차를 구비하도록 버링부를 중심으로 소정반경을 유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웨지는 인터널기어의 지지홈내로 삽입되는 지지돌기가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시트 백 하중 부하 시, 웨지의 지지돌기가 인터널기어의 지지홈에 접촉지지됨으로써, 하중이 분산되어 인터널기어와 익스터널기어의 치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충격등에 의해 인터널기어의 버링부에 변형이 발생될 정도의 하중이 리클라이너에 발생될 경우, 웨지의 지지돌기가 인터널기어의 지지홈에 접촉지지되어 인터널기어의 버링부로 전달되어지는 하중이 분산되고, 이를 통해 인터널기어의 버링부에 대한 변형이 방지되어, 인터널기어와 익스터널기어의 치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웨지에 돌출형성된 지지돌기가 인터널기어의 지지홈내로 삽입되도록 조립되고, 리클라이너에 하중 부하 시, 웨지의 지지돌기가 인터널기어의 지지홈에 접촉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보증강도(최대 강도)가 향상된 고강도 파워 리클라이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웨지의 지지돌기가 인터널 기어 수용홈의 지지홈과 소정의 갭(G)을 구비하도록 조립설치되어 있어, 레버소켓에 의한 웨지의 회전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캠 설치)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캠 설치)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조립된 구성(캠 설치)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도 3 의 A-A 단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널기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웨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캠 설치)
도 8 은 본 발명의 하중분산 과정을 보인 예시도(캠 설치)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캠 미설치)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캠 미설치)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조립된 구성(캠 미설치)을 보인 예시도
도 12는 도 11 의 B-B 단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하중분산 과정을 보인 예시도(캠 미설치)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웨지의 단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캠 설치)
도 16은 종래의 리클라이너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캠이 설치된 파워 리클라이너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9 내지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라 캠이 미설치된 파워 리클라이너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레버소켓(10)의 회전구동에 따른 웨지(20,20`)의 회전에 의해 인터널기어(40)에 결합되어 있는 익스터널기어(50)가 편심회전되어 시트백의 각도가 조절되는 파워 리클라이너(100)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기어(40)는, 익스터널기어(50)가 편심삽입되는 수용홈(41)이 형성되고, 수용홈(41)의 중앙에 버링부(42)가 돌출형성되며, 수용홈의 내면(41a)에 단차를 구비하도록 버링부(42)를 중심으로 소정반경을 유지하는 지지홈(43)이 형성되고,
상기 웨지(20,20`)는 인터널기어의 지지홈(43)내로 삽입되는 지지돌기(21)가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시트 백 하중 부하 시, 웨지의 지지돌기(21)가 인터널기어의 지지홈(43)에 접촉지지됨으로써, 인터널기어(40)와 익스터널기어(50)의 치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널기어의 버링부(42)에 캠(30)이 연결설치되고, 캠(30)과 익스터널기어의 베어링(51) 사이에 위치하도록 웨지(20)가 설치되며, 레버소켓(10)에 의해 웨지(20) 및 캠(30)이 회전작동되어 인터널기어(40)에 일측이 치합되어 있는 익스터널기어(50)가 회전되는 파워 리클라이너(100)에 있어서,
웨지(20)에 지지돌기(21)가 형성되고, 인터널기어의 수용홈 내면(41a)에 단차를 구비하는 지지홈(43)이 형성되며, 웨지의 지지돌기(21)가 지지홈(43)내로 삽입설치되어, 시트 백 하중 부하 시, 캠(30)과 버링부(42)가 접촉되고, 웨지의 지지돌기(21)가 지지홈(43)의 일측에 접촉되는, 이중 접촉지지에 의해 하중이 분산지지되어, 리클라이너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9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널기어의 버링부(42)와 익스터널기어의 베어링(51) 사이에 위치하도록 웨지(20`)가 설치되고, 레버소켓(10)에 의해 웨지(20`)가 회전작동되어 인터널기어(40)에 일측이 치합되어 있는 익스터널기어(50)가 회전되는 파워 리클라이너(100)에 있어서,
웨지(20`)에 지지돌기(21)가 형성되고, 인터널기어의 수용홈 내면(41a)에 단차를 구비하는 지지홈(43)이 형성되며, 웨지의 지지돌기(21)가 지지홈(43)내로 삽입설치되어, 시트 백 하중 부하 시, 웨지(20`)와 버링부(42)가 접촉되면서, 웨지의 지지돌기(21)가 지지홈(43)의 일측에 접촉되는, 이중 접촉지지에 의해 하중이 분산지지되어, 리클라이너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캠(30), 웨지(20), 웨지스프링(60), 버링부(42)를 구비하는 인터널기어(40), 베어링(51)이 압입설치된 익스터널기어(50) 및, 레버소켓(10)을 포함하는 모든 파워 리클라이너 또는,
웨지(20), 웨지스프링(60), 버링부(42)를 구비하는 인터널기어(40), 베어링(51)이 압입설치된 익스터널기어(50) 및, 레버소켓(10)을 포함하는 모든 파워 리클라이너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므로, 파워 리클라이너의 구성이 한정되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캠이 설치된 파워 리클라이너(100)와, 캠이 미설치된 파워 리클라이너(100`)를 기준으로 도면에 연계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캠 설치)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캠 설치)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의 조립된 구성(캠 설치)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도 3 의 A-A 단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널기어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웨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7 은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8 은 본 발명의 하중분산 과정을 보인 예시도(캠 설치)를,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웨지의 단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5 는 본 발명의 내부 구성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캠 설치)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중앙에 버링부(42)가 돌출형성되고 수용홈의 내주면에 내치차(44)가 형성되며, 버링부(42)와 내치차(44)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용홈의 내면(41a)에 소정깊이로 지지홈(43)이 형성된 인터널기어(30);
인터널기어의 버링부(42)에 일측이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캠(30);
인터널기어의 내치차(44)에 일측이 치합되는 외치차(52)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베어링(51)이 압입고정되며 인터널기어의 수용홈(41)내로 편심삽입되는 익스터널기어(50);
익스터널기어의 베어링(51)과 캠(30) 사이에 배치되어 인터널기어의 지지홈(43)내로 지지돌기(21)가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웨지(20);
인터널기어의 버링부(42)내에 일측이 끼움결합되고 웨지(20) 및 캠(30)을 회전구동시키는 레버소켓(1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터널기어(40)는 도 1, 도 2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터널기어(50)가 편심삽입되는 수용홈(41)과, 수용홈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익스터널기어의 외치차(52) 일측이 치합되는 내치차(44)와, 수용홈(4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돌출형성된 버링부(42)와, 내치차(44)와 버링부(42) 사이에 위치하도록 또한, 수용홈의 내면(41a)에 단차를 구비하도록 소정깊이로 형성된 지지홈(43)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널기어(40)는 캠(30), 한 쌍의 웨지(20) 및, 익스터널 기어(50)가 수용되는 수용홈(41)내에 수용홈 내면(41a)과 단차를 구비하도록 지지홈(43)이 형성되는, 수용홈(41)과 지지홈(43)이 단차를 이루며 형성된 이중 홈구조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홈(43)은 웨지(20)에 각각 형성된 지지돌기(21)가 삽입되어, 시트 백의 충격에 의해 리클라이너에 큰 하중이 발생될 경우, 일측 웨지의 지지돌기(21)가 지지홈(43)의 내측단차면(43a)에 접촉지지되어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리클라이너의 최대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홈(43)은, 인터널기어의 버링부(42)와 내치차(44)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용홈 내면(41a)에 버링부(42)를 중심으로 소정반경을 구비하며 링타입(고리타입)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수용홈(41)은 내면(41a)이 지지홈(43)을 중심으로, 지지홈(43)과 버링부(42) 사이에 위치하여 캠(30)과 웨지(20) 또는, 캠(30)이 회동가능하게 안착지지되는 제1내면(41b)과, 지지홈(43)과 내치차(44) 사이에 위치하여 익스터널기어(50)가 회동가능하게 안착지지되는 제2내면(41c)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홈(43)은 내측단차면(43a)과, 상기 내측단차면(43a)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외측단차면(43b)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단차면(43a)은 하중 발생 시, 웨지의 지지돌기(21)가 접촉지지되고, 외측단차면(43b)은 웨지의 지지돌기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측단차면(43a)은 제1내면(41b)에 연결되고, 외측단차면(43b)은 제2내면(41c)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30)은, 레버소켓(10)의 회전력을 익스터널기어(50)에 전달하는 기능 및, 웨지(20)와 버링부(42)에 일측이 밀착접촉되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캠(3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널기어의 버링부(42)가 삽입되는 캠중앙홀(31)이 형성되고, 웨지(20)에 일측이 접촉되는 웨지접촉면(32)이 구비된 캠몸체(33)와, 웨지접촉면(32)이 형성되지 않은 캠몸체(33)의 또다른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레버소켓(10)의 일측이 접촉되는 캠돌기(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몸체(33)는 일측에 웨지접촉면(32)이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 캠돌기(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웨지접촉면(32) 일측이, 웨지(20)의 일측에 각각 접촉지지되어 캠(30)과 베어링(51) 사이에서 웨지(20)에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리클라이너의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캠돌기(34)는 회전작동되는 레버소켓(10)의 일측 즉, 레버소켓(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작동돌기(11) 또는 제2작동돌기(12)가 접촉되어, 레버소켓의 회전력을 캠몸체(33)에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익스터널기어(5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51)이 압입설치되는 중앙홀(53)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인터널기어의 내치차(44)에 일측이 치합되는 외치차(52)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치차(52)의 일측이 인터널 기어의 내치차(44) 일측에 치합되도록 인터널기어의 수용홈(41)내로 삽입설치된다.
상기 웨지(2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2개의 웨지(20a,20b)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익스터널기어의 베어링(51)과 캠(30) 사이에 상호 대칭되어지도록 배치되어, 인터널기어의 내치차(44)와 익스터널기어의 외치차(52)가 편심되어 치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 및, 리클라이너의 록킹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웨지(20)는 캠(30)과 베어링(51)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웨지몸체(22)와, 인터널기어의 지지홈(43)내로 삽입되어지도록 웨지몸체에서 돌출 또는 일체로 형성된 지지돌기(21)를 포함한다.
상기 웨지몸체(22)는, 익스터널기어의 베어링(51)에 웨지외주면(22b)이 접촉지지되고, 캠의 웨지접촉면(32) 일측에 웨지내주면(22c)의 일측이 접촉지지되며, 스프링 지지홈(25)이 구비된 일측단부(23)에서 레버소켓(10)의 일측이 접촉되는 타측단부(24)로 갈 수록 폭이 점차 감소되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돌기(21)는 웨지몸체의 일측단부(23)에서 타측단부(24)까지 구비되도록 웨지몸체(22)에서 단차를 구비하고 돌출형성되거나, 웨지몸체(2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리클라이너에 하중 발생 시, 돌기단차면(21a)이 지지홈의 내측단차면(43a)에 접촉지지된다.
즉, 상기 지지돌기(21)는 버링부(42) 방향으로 위치하는 돌기단차면(21a)이 웨지내주면(22c)과 단차를 구비하고, 인터널 기어의 내치차(44) 방향으로 위치하는 일측면이 웨지외주면(22b)에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도록, 웨지몸체의 일측단부(23)에서 타측단부(24)까지 웨지몸체(22)와 단차를 구비하며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웨지(20)는, 도 14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몸체(22)가 지지돌기(21) 보다 더 큰 체적을 구비하도록 즉, 웨지몸체(22)의 일면(22a)에서 지지돌기(21)가 단차를 구비하고 돌출형성되거나, 도 14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몸체(22)가 지지돌기(21) 보다 더 작은 체적을 구비하며 웨지몸체(22)와 지지돌기(21)가 단차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웨지몸체(22)가 지지돌기(21) 보다 더 작도록 형성될 경우,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30)은 수용홈의 내면(41a) 즉, 제1내면(41b)과 지지돌기(21)에 안착되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웨지(20)는, 서로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2개의 웨지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터널기어의 지지홈(43)내로 지지돌기(21)가 삽입되고, 웨지몸체(22)가 수용홈(41)내에 위치하도록, 익스터널기어에 압입설치된 베어링(51)과 캠(30) 사이에 상호 대칭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웨지(20)는, 스프링 지지홈(25)내로 웨지스프링(60)의 양단이 각각 삽입설치되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21)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단차면(21a)이 지지홈의 내측단차면(43a)과 소정의 갭(G)을 구비하도록 수용홈의 지지홈(43)내로 삽입설치된다.
상기 갭(G)은 웨지(20)의 작동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립공차 및, 인터널기어와 익스터널 기어의 접촉부위(P)를 통해, 인스터널기어 → 웨지 → 캠 → 인터널기어의 버링부 방향으로 하중(외력)이 전달될 시, 접촉부위(P)에 대한 치형 절손 또는 치형 이탈 현상이 발생될 정도의 버링부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일 예로 상기 갭(G)은 0.1∼0.4㎜ 범위내에서 설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약 0.2∼0.3㎜ 범위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갭(G)이 0.1㎜ 미만으로 설정될 경우, 레버소켓에 의한 웨지의 작동 시, 지지돌기의 돌기단차면(21a)과 지지홈의 내측단차면(43a)이 접촉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웨지의 작동성(리클라이너의 작동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버링부(42), 캠, 웨지(20), 베어링(51)의 마찰접촉력이 저하되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원활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갭(G)이 0.4㎜ 초과하여 설정될 경우, 시트 백 충격 등으로 인해 리클라이너에 하중 부하 시, 지지돌기의 돌기단차면(21a)이 지지홈의 내측단차면(43a)에 접촉지지되기 전에, 캠(30)을 통해 인터널 기어의 버링부(42)로 하중이 전달되어 버링부(42)에 변형이 발생되므로, 적정범위내에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웨지(20)는, 인터널기어(40)와 익스터널기어(50)의 편심을 유지시키고, 레버소켓(10)의 회전방향에 연동회전되어 익스터널기어(50)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상기 웨지(20)는 레버소켓(10)의 회전에 의해 서로 근접되도록 작동되고, 웨지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멀어지도록 작동되는 현상의 반복에 의해 익스터널기어(5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웨지의 작동에 의해 리클라이너가 작동되는 구성 및 기능은 공지된 기능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작동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웨지스프링(60)은, 도 1, 도 2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20)의 스프링 지지홈(25)에 양끝단이 각각 연결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자체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웨지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격시킴으로써 웨지(20)가 캠(30)과 베어링(51)에 밀착접촉되도록 하여, 인터널기어의 버링부(42)와 익스터널기어의 베어링(51)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인터널기어와 익스터널기어의 록킹 상태 유지)
상기 레버소켓(10)은 구동샤프트(도시없음)와 축 결합되어 웨지(20) 또는, 웨지(20)와 캠(30)에 구동력을 동시 전달하는 것으로, 도 1, 도 2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웨지(20a)와 캠(30) 또는, 또다른 웨지(20b)와 캠(30)을 이동시키는 제1,2작동돌기(11,12)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작동돌기(11,12)는 캠(30)과 베어링(43) 사이에 위치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작동돌기(11)는, 일측 웨지(20a)와 캠의 캠돌기(34) 사이에 위치하도록 또한, 제2작동돌기(12)는 타측 웨지(20b)와 캠의 캠돌기(34) 사이에 위치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소켓(10)은 구동샤프트(도시없음)에 의해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나, 구동샤프트(도시없음)가 조작다이얼에 의해 연결되어 탑승자의 수작업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레버소켓(10)이 회전작동될 시, 레버소켓(10)의 제1작동돌기(또는 제2작동돌기)가 일측 웨지(또는 또다른 웨지)의 타측단부에 접촉되어 일측 웨지(또는 또다른 웨지)가 레버소켓의 회전방향으로 연동되어 회전되고,
레버소켓의 제2작동돌기(또는 제1작동돌기)가 캠의 캠돌기에 접촉되어 캠이 회전작동되며, 웨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또다른 웨지(또는 일측 웨지)가 레버소켓 회전방향으로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익스터널 기어가 편심 회전되어 시트백의 각도가 조절된다. (리클라이너 각도 조절)
또한, 본 발명은 웨지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웨지(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웨지(20)가 캠(30)과 익스터널기어의 베어링(51)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인터널 기어의 내치차(44) 일측에 익스터널기어의 외치차(52) 일측이 기어접촉되어 록킹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웨지의 지지돌기는 인터널기어의 지지홈내에 위치하며, 지지돌기의 돌기단차면은 지지홈의 내측단차면과 소정의 갭(G)을 유지하게 된다. (리클라이너 록킹상태)
또한,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가 록킹된 상태에서 시트 백의 충격 등에 의해 리클라이너에 하중이 발생될 경우,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널 기어의 내치차와 익스터널기어의 외치차의 기어 접촉부위(접촉 포인트)를 통해 익스터널기어에 외력(하중)이 전달되고, 익스터널 기어로 전달된 외력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터널기어 → 웨지 → 캠 → 인터널 기어의 버링부로 전달되어 버링부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게 된다.
또한, 리클라이너에 발생되는 하중이 증대될 경우, 익스터널기어에 의해 웨지가 버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웨지 지지돌기의 돌기단차면이 인터널기어 지지홈의 내측단차면에 접촉되어 웨지가 지지되므로, 익스터널 기어로 전달된 외력이, 웨지 지지돌기와 인터널기어 지지홈과의 접촉 및, 캠과 버링부의 접촉에 의해 분산지지되어, 버링부의 변형이 방지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캠 미설치)을 보인 예시도를,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캠 미설치)을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 11 은 본 발명의 조립된 구성(캠 미설치)을 보인 예시도를, 도 12 는 도 11 의 B-B 단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13 은 본 발명의 하중분산 과정을 보인 예시도(캠 미설치)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중앙에 버링부(42)가 돌출형성되고 수용홈의 내주면에 내치차(44)가 형성되며, 버링부(42)와 내치차(44)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용홈의 내면(41a)에 소정깊이로 지지홈(43)이 형성된 인터널기어(30);
인터널기어의 내치차(44)에 일측이 치합되는 외치차(52)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베어링(51)이 압입고정되며 인터널기어의 수용홈(41)내로 편심삽입되는 익스터널기어(50);
인터널기어의 버링부(42)와 익스터널기어의 베어링(51) 사이에 배치되어 인터널기어의 지지홈(43)내로 지지돌기(21)가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웨지(20`);
인터널기어의 버링부(42)내에 일측이 끼움결합되고 웨지(20`)를 회전구동시키는 레버소켓(10);을 포함하는 파워 리클라이너(10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파워 리클라이너(100`)는 웨지(20)가 버링부(42)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고, 레버소켓(10)에 의해 웨지(20`)가 회전구동되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웨지(20`)는 도 9, 도 10, 도 12 및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널기어의 버링부(42)와 익스터널기어의 베어링(51) 사이에 웨지몸체(22)가 위치되고, 웨지몸체의 일면(22a)에 돌출형성된 지지돌기(21)가 인터널기어의 지지홈(43)내로 삽입되어지게 된다.
또한, 웨지의 지지돌기(21)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단차면(21a)이 지지홈의 내측단차면(43a)과 소정의 갭(G)을 구비하도록 수용홈의 지지홈(43)내로 삽입설치되며, 상기 갭(G)은 웨지(20`)의 작동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립공차 및, 하중(외력)이 전달될 시, 접촉부위(P)에 대한 치형 절손 또는 치형 이탈 현상이 발생될 정도의 버링부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일 예로 상기 갭(G)은 0.1∼0.4㎜ 범위내에서 설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약 0.2∼0.3㎜ 범위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워 리클라이너(100`)는 위에 기재된 파워 리클라이너(100)와 캠의 유무에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구조, 연결관계 및 작동은 동일하므로, 파워 리클라이너(100`)의 인터널기어(30), 익스터널기어(50), 웨지(20`) 및 레버소켓(10)의 상세구성에 대한 설명은 위의 파워 리클라이너(100)에 기재된 인터널기어(30), 익스터널기어(50), 웨지(20) 및 레버소켓(10)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파워 리클라이너(100`)는, 레버소켓(10)이 회전작동될 시, 레버소켓(10)의 제1작동돌기(또는 제2작동돌기)가 일측 웨지(또는 또다른 웨지)의 타측단부에 접촉되어 일측 웨지(또는 또다른 웨지)가 레버소켓의 회전방향으로 연동되어 회전되고,
레버소켓의 제2작동돌기(또는 제1작동돌기)가 타측 웨지에 접촉되어 웨지가 회전작동되며, 웨지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또다른 웨지(또는 일측 웨지)가 레버소켓 회전방향으로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익스터널 기어가 편심 회전되어 시트백의 각도가 조절된다. (리클라이너 각도 조절)
또한, 본 발명의 파워 리클라이너(100`)는, 웨지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웨지(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웨지(20`)가 인터널기어의 버링부(42)와 익스터널기어의 베어링(51)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인터널 기어의 내치차(44) 일측에 익스터널기어의 외치차(52) 일측이 기어접촉되어 록킹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웨지의 지지돌기는 인터널기어의 지지홈내에 위치하며, 지지돌기의 돌기단차면은 지지홈의 내측단차면과 소정의 갭(G)을 유지하게 된다. (리클라이너 록킹상태)
또한, 본 발명의 파워 리클라이너(100`)는, 리클라이너가 록킹된 상태에서 시트 백의 충격 등에 의해 리클라이너에 하중이 발생될 경우, 인터널 기어의 내치차와 익스터널기어의 외치차의 기어 접촉부위(접촉 포인트)를 통해 익스터널기어에 외력(하중)이 전달되고, 익스터널 기어로 전달된 외력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터널기어 → 웨지 → 인터널 기어의 버링부로 전달되어 버링부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게 된다.
또한, 리클라이너에 발생되는 하중이 증대될 경우, 익스터널기어에 의해 웨지가 버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웨지 지지돌기의 돌기단차면이 인터널기어 지지홈의 내측단차면에 접촉되어 웨지가 지지되므로, 익스터널 기어로 전달된 외력이, 웨지 지지돌기와 인터널기어 지지홈과의 접촉 및, 웨지와 버링부의 접촉에 의해 분산지지되어, 버링부의 변형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워 리클라이너(100,100`)는, 웨지의 지지돌기가 인터널기어에 구비된 지지홈에 접촉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버링부에 하중이 그대로 전달되는 종래의 리클라이너에 비해, 최대강도가 약 50% 이상 향상되게 된다. 일 예로, 본 발명은 최대강도 2,000∼2,200Nm의 사양의 경우, 지지돌기와 지지홈 및, 캠과 버링부의 2중 접촉지지에 따른 하중의 분산에 의해 약 3,000Nm 이상의 고강도를 구비하도록 최대강도가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13 에서 미설명부호 (70)은 웨지커버, (80)은 리클라이너 커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레버소켓 (11) : 제1작동돌기
(12) : 제2작동돌기
(20) : 웨지(캠이 설치된 경우의 웨지)
(20`) : 웨지(캠이 미설치된 경우의 웨지)
(21) : 지지돌기 (21a) : 돌기단차면
(22) : 웨지몸체 (22a) : 웨지몸체 일면
(22b) : 웨지외주면 (22c) : 웨지내주면
(23) : 일측단부 (24) : 타측단부
(25) : 스프링 지지홈 (30) : 캠
(31) : 캠중앙홀 (32) : 웨지접촉면
(33) : 캠몸체 (34) : 캠돌기
(40) : 인터널기어 (41) : 수용홈
(41a) : 내면 (41b) : 제1내면
(41c) : 제2내면 (42) : 버링부
(43) : 지지홈 (43a) : 내측단차면
(43b) : 외측단차면 (44) : 내치차
(50) : 익스터널기어 (51) : 베어링
(52) : 외치차 (53) : 중앙홀
(60) : 웨지스프링 (70) : 웨지커버
(80) : 리클라이너 커버 (100,100`): 파워 리클라이너

Claims (5)

  1. 레버소켓의 회전구동에 따른 웨지의 회전에 의해 인터널기어에 결합되어 있는 익스터널기어가 편심회전되어 시트백의 각도가 조절되는 파워 리클라이너에 있어서;
    파워 리클라이너는,
    중앙에 버링부가 돌출형성되고 수용홈의 내주면에 내치차가 형성되며, 버링부와 내치차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용홈의 내면에 소정깊이로 지지홈이 형성된 인터널기어;
    인터널기어의 내치차에 일측이 치합되는 외치차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베어링이 압입고정되며 인터널기어의 수용홈내로 편심삽입되는 익스터널기어;
    익스터널기어의 베어링과 인터널기어의 버링부 사이에 배치되어 인터널기어의 지지홈내로 지지돌기가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웨지;
    인터널기어의 버링부내에 일측이 끼움결합되고 웨지를 회전구동시키는 레버소켓;을 포함하여,
    시트 백 하중 부하 시, 웨지의 일측이 버링부에 접촉되면서, 웨지의 지지돌기가 인터널기어 지지홈의 일측에 접촉되는 이중 접촉지지에 의해 하중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리클라이너.
  2. 삭제
  3. 레버소켓의 회전구동에 따른 웨지의 회전에 의해 인터널기어에 결합되어 있는 익스터널기어가 편심회전되어 시트백의 각도가 조절되는 파워 리클라이너에 있어서;
    파워 리클라이너는,
    중앙에 버링부가 돌출형성되고 수용홈의 내주면에 내치차가 형성되며, 버링부와 내치차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용홈의 내면에 소정깊이로 지지홈이 형성된 인터널기어;
    인터널기어의 버링부에 일측이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캠;
    인터널기어의 내치차에 일측이 치합되는 외치차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베어링이 압입고정되며 인터널기어의 수용홈내로 편심삽입되는 익스터널기어;
    익스터널기어의 베어링과 캠 사이에 배치되어 인터널기어의 지지홈내로 지지돌기가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웨지;
    인터널기어의 버링부내에 일측이 끼움결합되고 웨지 및 캠을 회전구동시키는 레버소켓;을 포함하여,
    시트 백 하중 부하 시, 캠의 일측이 버링부에 접촉되면서, 웨지의 지지돌기가 인터널기어 지지홈의 일측에 접촉되는 이중 접촉지지에 의해 하중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리클라이너.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은, 내측단차면과, 웨지의 지지돌기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형성된 외측단차면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는, 지지홈의 내측단차면과 소정의 갭을 구비하도록 수용홈의 지지홈내로 삽입설치되어,
    리클라이너의 작동시, 웨지의 지지돌기는 지지홈의 내측단차면에 대하여 소정의 갭(G)이 유지되며 작동되고,
    리클라이너에 하중 발생 시, 지지돌기의 일측이 지지홈의 내측단차면에 접촉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리클라이너.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갭(G)은 0.1∼0.4㎜ 범위내에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리클라이너.
KR1020200129650A 2020-10-07 2020-10-07 파워 리클라이너 KR102216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650A KR102216952B1 (ko) 2020-10-07 2020-10-07 파워 리클라이너
CN202110881036.5A CN114287762B (zh) 2020-10-07 2021-08-02 电动躺椅
US17/402,001 US11528992B2 (en) 2020-10-07 2021-08-13 Power recliner
DE102021123060.8A DE102021123060A1 (de) 2020-10-07 2021-09-07 Power-lehnenwinkeleinste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650A KR102216952B1 (ko) 2020-10-07 2020-10-07 파워 리클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952B1 true KR102216952B1 (ko) 2021-02-19

Family

ID=7468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650A KR102216952B1 (ko) 2020-10-07 2020-10-07 파워 리클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9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440A (ko) * 2021-07-12 2023-01-1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리클라이너
KR20230054101A (ko) * 2021-10-15 2023-04-2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리클라이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171A (ko) * 2009-02-20 2010-08-30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리클라이닝장치
KR101003718B1 (ko) 2010-08-03 2010-12-24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용 무단 조절식 리클라이너
JP2013501683A (ja) * 2009-08-12 2013-01-17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連続的に係合するリクライナ・フリー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精密打ち抜きギアハブ
KR101613449B1 (ko) 2016-02-02 2016-04-19 대원정밀공업(주)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KR101635354B1 (ko) * 2016-03-09 2016-07-01 대원정밀공업(주)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KR101711826B1 (ko) 2015-12-03 2017-03-03 대원정밀공업(주) 밀림방지형 리클라이너
KR101938576B1 (ko) 2016-09-21 2019-01-15 대원정밀공업(주)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5171A (ko) * 2009-02-20 2010-08-30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리클라이닝장치
JP2013501683A (ja) * 2009-08-12 2013-01-17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連続的に係合するリクライナ・フリー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精密打ち抜きギアハブ
KR101003718B1 (ko) 2010-08-03 2010-12-24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용 무단 조절식 리클라이너
KR101711826B1 (ko) 2015-12-03 2017-03-03 대원정밀공업(주) 밀림방지형 리클라이너
KR101613449B1 (ko) 2016-02-02 2016-04-19 대원정밀공업(주)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KR101635354B1 (ko) * 2016-03-09 2016-07-01 대원정밀공업(주)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KR101938576B1 (ko) 2016-09-21 2019-01-15 대원정밀공업(주)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440A (ko) * 2021-07-12 2023-01-1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리클라이너
KR102629878B1 (ko) * 2021-07-12 2024-01-2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리클라이너
KR20230054101A (ko) * 2021-10-15 2023-04-2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리클라이너
KR102542571B1 (ko) * 2021-10-15 2023-06-1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리클라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952B1 (ko) 파워 리클라이너
KR101569625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EP1676503B1 (en) Bracket angle adjustment mechanism
KR100627729B1 (ko) 리클라이너의 샤프트와 허브 결합구조
EP2261074B1 (en) Seat reclining apparatus for vehicle
EP1676742B1 (en) Bracket angle adjustment mechanism
KR100923944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EP2586650A2 (en) Seat reclining device
US7144082B2 (en) Seat reclining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EP2098405A2 (en) Automotive seat reclining device
US20050110322A1 (en) Continuously operable seat-reclining device for vehicles
US7195318B2 (en) Reclining device of vehicle seat
US20080061616A1 (en) Continuous recliner
KR101711826B1 (ko) 밀림방지형 리클라이너
EP1676741A1 (en) Bracket angle adjustment mechanism
KR10179344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US11528992B2 (en) Power recliner
KR101709599B1 (ko)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KR102442453B1 (ko) 파워 리클라이너
CN100480089C (zh) 车辆倾斜器
WO2006088896A1 (en) Seat recliner
KR10166245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EP0316193B1 (en) Seat mechanism
KR20240016099A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
CN114174111A (zh) 用于车辆座椅的配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