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576B1 -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 Google Patents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576B1
KR101938576B1 KR1020160120501A KR20160120501A KR101938576B1 KR 101938576 B1 KR101938576 B1 KR 101938576B1 KR 1020160120501 A KR1020160120501 A KR 1020160120501A KR 20160120501 A KR20160120501 A KR 20160120501A KR 101938576 B1 KR101938576 B1 KR 101938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cam
wedges
contact
inclined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1967A (ko
Inventor
심재원
김태윤
신규하
Original Assignee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대원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1020160120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5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31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with a transversal pin displaced by a slot or a cam along a predetermin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리클라이너의 록킹 및 작동시, 제1,2웨지와 캠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시트백의 떨림현상 없이 리클라이닝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버소켓의 회전구동에 따른 제1,2웨지 및 캠의 회전에 의해 인터널기어에 결합되어 있는 익스터널기어가 편심회전되어 시트백의 각도가 조절되는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에 있어서; 회전구동되는 레버소켓의 일측이 제1웨지의 웨지지지면에 접촉되어 제1웨지가 레버소켓의 회전구동방향으로 회전이동되고, 제1웨지의 웨지걸림면이 캠의 제1경사단차면에 접촉되어 캠이 레버소켓의 회전구동방향으로 회전작동되며, 캠의 제2경사단차면이 제2웨지의 웨지걸림면에 접촉되어 제2웨지가 레버소켓의 회전구동방향으로 회전이동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웨지의 웨지걸림면과 캠의 제1경사단차면의 접촉, 제2웨지의 웨지걸림면과 캠의 제2경사단차면의 접촉에 의해, 제1,2웨지는 웨지외주면이 익스터널기어에 압입고정된 베어링부 방향으로 가압접촉되며 회전이동되고, 캠은 내주면 일측이 인터널기어의 버링부 방향으로 가압접촉되며 회전이동되어, 리클리이너 작동시, 베어링부, 제1,2웨지, 캠 및 버링부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DEVICE RECLI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버소켓에 의한 제1,2웨지의 작동 시, 제1,2웨지와 캠의 접촉에 의해 제1,2웨지는 베어링부 방향으로 가압 회전이동되고, 캠은 버링부 방향으로 가압 회전이동되어 제1,2웨지와 캠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리클라이닝 작동시 틈새발생으로 인한 떨림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클라이너는 시트쿠션에 대해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리클라이닝 작동시 부품간 강한 결합력을 구비하여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승객의 레버 조작에 의해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는 메뉴얼 타입과, 스위치 조작을 통해 모터의 동력으로 자동 작동하는 파워 타입으로 분류된다.
종래의 파워 리클라이너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백(미 도시)과 결합되며 내치차(2a)가 형성된 제1기어(2)와, 외치차(3a)가 형성된 제2기어(3)를 구성하되, 상기 제1기어(2)와 제2기어(3)는 구조적으로 서로 다른 기어크기(기어 잇수)와, 서로 다른 피치원지름(PCD : Pitch Circle Diameter)에 의하여 조립 상태에서 제1기어(2)에 제2기어(3)가 편심 결합되어, 사이공간에 개재된 한쌍의 웨지(4,5: Wedge)에 의하여 편심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록킹(Locking) 상태 혹은 리클라이너 작동을 위한 언록킹(Unlocking)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클라이너는 제2기어(3)가 제1기어(2)의 버링부(2b)로부터 단순히 한 쌍의 웨지(4,5)에 의해서만 지지되고, 제1기어의 버링부(2b)에 웨지(4,5)가 1포인트 접촉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리클라이너의 초기 작동시 웨지(4,5)의 순간적 이동에 따른 버링부(2b)와 웨지(4,5)간 금속마찰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리클라이너는 소켓(1)의 회전에 의해 웨지(4,5)가 서로 근접되도록 작동될 경우, 소켓에 의해 1차적으로 이동되는 일측 웨지와 익스터널기어(3) 사이 즉, 베어링부(3b)와 일측 웨지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었다가 없어지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익스터널기어(3)가 타원형으로 회전되므로, 시트백의 무게중심에 의해 시트백이 덜컹거리며 이동(떨림현상)되어 승객에게 안락함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리클라이너의 떨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웨지와 인터널기어의 버링부 또는 웨지와 익스터널기어에 압입고정된 베어링부 사이에 캠을 설치하여, 사이틈새를 저감시킨 것도 있으나, 소켓에 의해 일측 웨지가 편심공간(S,웨지와 웨지 사이의 폭이 넓은공간)으로 이동될 경우, 웨지와 캠의 사이틈새가 벌어지는 현상은 여전히 발생되어 시트백의 떨림현상이 완벽하게 해소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리클라이너는 부품간의 조립공차 또는 틈새로 인하여, 각종 기계 및 전자장치가 내부에 설치된 시트백의 리클라이너 작동(부하작동)시, 변화되는 각도에 따른 시트백의 무게중심 변화에 따라, 시트백의 떨림 및 진동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시트의 편안함을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84190 (2012.09.13)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03718 (2010.12.17)
본 발명의 목적은 리클라이너의 록킹 및 작동시, 제1,2웨지와 캠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시트백의 떨림현상 없이 리클라이닝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레버소켓의 회전구동에 따른 제1,2웨지 및 캠의 회전에 의해 인터널기어에 결합되어 있는 익스터널기어가 편심회전되어 시트백의 각도가 조절되는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에 있어서;
회전구동되는 레버소켓의 일측이 제1웨지의 웨지지지면에 접촉되어 제1웨지가 레버소켓의 회전구동방향으로 회전이동되고,
제1웨지의 웨지걸림면이 캠의 제1경사단차면에 접촉되어 캠이 레버소켓의 회전구동방향으로 회전작동되며,
캠의 제2경사단차면이 제2웨지의 웨지걸림면에 접촉되어 제2웨지가 레버소켓의 회전구동방향으로 회전이동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웨지의 웨지걸림면과 캠의 제1경사단차면의 접촉, 제2웨지의 웨지걸림면과 캠의 제2경사단차면의 접촉에 의해, 제1,2웨지는 웨지외주면이 익스터널기어에 압입고정된 베어링부 방향으로 가압접촉되며 회전이동되고, 캠은 내주면 일측이 인터널기어의 버링부 방향으로 가압접촉되며 회전이동되어, 리클리이너 작동시, 베어링부, 제1,2웨지, 캠 및 버링부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레버소켓에 의한 제1,2웨지의 작동 시, 제1,2웨지의 웨지걸림면과 캠의 제1,2경사단차면이 서로 접촉되어, 제1,2웨지는 익스터널기어에 압입고정된 베어링부에 밀착되어 회전이동되고, 캠은 인터널기어의 버링부에 밀착되어 회전이동되게 되므로, 베어링부, 제1,2웨지, 캠 및 버링부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리클라이너 작동시 무부하뿐 아니라 부하 상태에서도 떨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웨지의 웨지걸림면과 캠의 제1,2경사단차면이 소정의 경사각을 구비하며 접촉되도록 되어 있어, 적은 힘에 의해서도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제1,2웨지에 의한 록킹 및, 레버소켓에 의한 제1,2웨지의 작동 시, 제1,2웨지와 캠 사이의 사이틈새(G)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리클라이닝 작동시 틈새의 변화에 따른 떨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웨지구조는 웨지스프링을 압축하며 웨지가 편심공간(S)으로 이동될 시, 이동되는 웨지와 캠 사이의 틈새가 증대되어 미세한 떨림 현상이 발생되나, 본 발명은 웨지의 작동시에도 사이틈새(G)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어, 미세한 떨림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제1,2웨지와 캠이 간단한 구조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소형화가 가능할 뿐 아니라, 부품의 생산 및 조립이 용이하며, 이로 인해 고장발생률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우수한 유지보수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레버소켓에 의해 제1웨지의 마찰저항력이 해제된 후, 제1웨지에 연동하여 캠 및 제2웨지가 회전이동되도록 되어 있어, 내부에 설치된 각종 기계장치 및 전자장치에 의한 하중 및 탑승자에 의한 하중이 가해진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작동(부하상태에서의 작동)시, 시트백의 회전에 따른 무게중심의 변화가 발생되어도, 부품간의 조립공차 및 틈새로 인한 떨림, 진동 및 소음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리클라이너의 작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소켓의 회전구동력이 웨지와 캠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 웨지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작은 조작력에 의해 리클라이닝 작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제1,2웨지의 웨지하단면이 캠의 틈새유지면과 사이틈새를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리클라이닝 작동시 제1,2웨지가 흔들림없이 부드럽게 회전이동되어, 리클라이닝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레버소켓과 제1웨지, 제2웨지와 캠 또는 레버소켓과 캠의 접촉에 의해 레버소켓의 회전구동력이 전달되어, 익스터널기어가 편심회전되므로, 작동로스의 발생이 없으며, 이를 통해 우수한 작동효율성을 구비하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관계를 보인 상세구성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캠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2웨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조립(록킹)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또다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관계를 보인 상세구성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레버소켓(10)의 회전구동에 따른 제1,2웨지(50,60) 및 캠(20)의 회전에 의해 인터널기어(30)에 결합되어 있는 익스터널기어(40)가 편심회전되어 시트백의 각도가 조절되는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에 있어서;
회전구동되는 레버소켓(10)의 일측이 제1웨지(50)의 웨지지지면(57)에 접촉되어 제1웨지(50)가 레버소켓의 회전구동방향으로 회전이동되고,
제1웨지(50)의 웨지걸림면(54)이 캠의 제1경사단차면(24)에 접촉되어 캠(20)이 레버소켓(10)의 회전구동방향으로 회전작동되며,
캠의 제2경사단차면(27)이 제2웨지(60)의 웨지걸림면(64)에 접촉되어 제2웨지(60)가 레버소켓의 회전구동방향으로 회전이동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제1웨지의 웨지걸림면(54)과 캠의 제1경사단차면(24)의 접촉, 제2웨지의 웨지걸림면(64)과 캠의 제2경사단차면(27)의 접촉에 의해, 제1,2웨지는 웨지외주면(55,65)이 익스터널기어에 압입고정된 베어링부(43) 방향으로 가압접촉되며 회전이동되고, 캠은 내주면(25) 일측이 인터널기어의 버링부(31) 방향으로 가압접촉되며 회전이동되어, 리클리이너 작동시, 베어링부(43), 제1,2웨지(50,60), 캠(30) 및 버링부(31)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레버소켓(10)의 회전구동에 따른 제1,2웨지(50,60) 및 캠(20)의 회전에 의해 인터널기어(30)에 결합되어 있는 익스터널기어(40)가 편심회전되어 시트백의 각도가 조절되는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에 있어서;
인터널기어의 버링부(31)에 내주면(25) 양측 일부분이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제1,2경사단차면(24,27)이 돌출형성된 캠(20)과,
캠의 외주면(21)에 웨지내주면(53) 일측이 접촉지지되고, 익스터널기어에 압입고정된 베어링부(43)에 웨지외주면(55)이 접촉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제1경사단차면(24)에 접촉되는 웨지걸림면(54)을 구비하는 제1웨지(50)와,
캠의 외주면(21) 일측에 웨지내주면(63) 일측이 접촉지지되고, 익스터널기어에 압입고정된 베어링부(43)에 웨지외주면(65)이 접촉지지되도록 제1웨지(50)와 대칭되어 설치되며, 제2경사단차면에 접촉되는 웨지걸림면(64)을 구비하는 제2웨지(60)와,
제1,2웨지(50,60)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제1,2웨지(50,60)를 서로 멀어지게 이격시키는 웨지 스프링(70)을 포함하여, 시트백에 부하가 발생되더라도 진동 및 떨림현상없이 리클라이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소켓에 의한 제1,2웨지 및 캠의 회전작동시, 제1,2웨지의 웨지하단면(52,62)과 캠의 틈새지지면(22)이 소정의 사이틈새(G)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레버소켓(10)의 회전작동에 따른 제1,2웨지(50,60) 또는 캠(20)의 회전시, 진동 및 떨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캠(20)의 틈새유지면(22)은 소정반경(R1)을 구비하고, 상기 제1,2웨지의 웨지하단면(52,62)은 소정반경(R3)을 구비하며, 상기 캠의 틈새유지면(22)과 제1,2웨지의 웨지하단면(52,62)은, 소정반경(R5)을 구비하는 웨지외주면(55,65)의 중심점인 베어링부의 중심점(O1)에서 서로 다른 반경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레버소켓(10)의 회전작동에 따른 제1,2웨지(50,60) 또는 캠(20)의 회전시, 틈새유지면(22)과 웨지하단면(52,62) 사이에 소정의 사이틈새(G)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진동 및 떨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익스터널기어(40)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중앙홀(42)을 구비하는 중앙지지부(44)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홀(42)에 베어링부(43)가 일체로 압입고정되고, 중앙지지부(44)의 외주면 일측끝단에 인터널기어의 내치차(32)에 치합을 이루는 외치차(41)가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중앙지지부(44)는 베어링부(43)가 압입고정되는 중앙홀(42)을 구비하도록 통공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터널기어(30)는 시트백에 연결설치되는 것으로,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버링부(31)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익스터널기어(40)가 편심삽입되는 수용홈(33)의 내주면을 따라 익스터널기어의 외치차(41) 일측이 치합되는 내치차(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버링부(31)는 레버소켓(10)의 일측이 삽입관통될 수 있도록 통공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20)은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널기어의 버링부(31)에 양측 일부분이 접촉되는 내주면(25)과, 제1,2웨지(50,60)의 일측이 접촉되는 외주면(21)을 포함하되,
상기 외주면(21)에는 중간부위에 중앙돌기(23)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돌기(23)는 외주면(21)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1경사단차면(24)과, 상기 제1경사단차면(24)에 대칭되는 기울기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제2경사단차면(27)과, 상기 제1경사단차면(24)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제2경사단차면(27)에 연결되며 소정반경을 구비하는 틈새유지면(22)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중앙돌기(23)는 외주면(21) 중간부위에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제1경사단차면(24)과 틈새유지면(22) 및 제2경사단차면(27)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단차면(24)과 제2경사단차면(27)은 서로 반대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도록 대칭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주면(21)은 제1,2웨지(50,60)에 일측이 접촉지지되어 캠(20)과 베어링부(43) 사이에서 제1,2웨지(50,60)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리클라이너가 록킹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외주면(21)은 버링부(31)의 중심점(O2)과 동일중심점을 구비하며 소정반경(R2)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돌기(23)의 제1,2경사단차면(24,27)은 레버소켓에 의한 제1,2웨지의 회전이동시, 제1,2웨지의 웨지걸림면(54,64)이 접촉되는 것으로, 외주면 연장라인(28)에 대하여 예각, 바람직하게는 약 15°∼5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30°의 경사각(θ)를 구비하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경사각(θ)의 설정은 반력에 의해 레버소켓의 작동력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2경사단차면(24,27)은 회전작동되는 제1,2웨지와의 접촉 즉, 제1,2웨지에 형성된 웨지걸림면(54,64)이 접촉될 시, 제1,2웨지의 웨지걸림면(54,64)이 제1,2경사단차면(24,27)을 타고 상승(베어링부 방향이동)하여 제1,2웨지가 베어링부(43)에 밀착회전되도록 할 뿐 아니라, 제1,2경사단차면(24,27)은 웨지걸림면(54,64)을 타고 하강(버링부 방향이동)하여 캠의 내주면 양측 일부분이 버링부(31)에 밀착되어 회전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중앙돌기(23)의 틈새유지면(22)은 제1,2웨지(50,60)의 회전이동시, 회전이동되는 제1,2웨지의 웨지하단면(52,62)과 일정한 사이틈새(G)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베어링부의 중심점(O1)과 동일중심점을 구비하며 소정반경(R1)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된 틈새유지면(22)은 제1,2웨지의 웨지하단면(52,62)이 사이틈새(G)를 구비하며 마주보도록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틈새유지면(22)과 외주면(21)은 서로 다른 중심점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캠(20)은 전체적으로 반원호형상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양끝단(26)이 제1,2웨지(50,60)의 웨지지지면(57,67) 상측에 위치하도록 즉, 내주면 범위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웨지(50,60)는 인터널기어(30)와 익스터널기어(40)의 편심을 유지시키고, 레버소켓(10)의 회전방향에 연동회전되어 익스터널기어(40)를 회전시킴으로써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제1,2웨지(50,60)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고 익스터널 기어의 베어링부(43)와 캠(20) 사이에서 서로 대칭되도록 또한, 웨지스프링(70)에 의해 베어링부(43)와 캠(20) 사이에서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2웨지(50,60)는 서로 마주보는 웨지대응면(56,66)에 웨지스프링(70)의 양단이 각각 접촉지지되고 웨지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익스터널기어에 압입고정된 베어링부와 캠 사이에서 마찰력을 발생시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제1,2웨지(50,60)는 도 2 내지 도 4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터널기어에 압입고정된 베어링부(43)에 접촉되는 웨지외주면(55,65)과, 캠의 외주면(21) 일측에 일부분이 접촉되도록 소정반경(R4)을 구비하는 웨지내주면(53,63)과, 상기 웨지내주면(53,63)으로부터 소정깊이의 단차를 구비하고 캠의 틈새유지면(22)과 일정한 사이틈새(G)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웨지하단면(52,62)과, 상기 웨지걸림면(54,64) 및 웨지하단면(52,62)에 연결되는 웨지걸림면(54,6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2웨지(50,60)는 웨지외주면(55,65)과 웨지하단면(52,62)에 연결되고 웨지스프링(70)이 접촉지지되는 웨지대응면(56,66)과, 웨지외주면(55,65)과 웨지내주면(53,63)에 연결되고 레버소켓(10)의 작동돌기(11)가 접촉지지되는 웨지지지면(57,67)을 포함한다.
상기 웨지외주면(55,65)과 웨지하단면(52,62)은 캠의 틈새유지면(22)과 동일한 중심점 즉, 베어링부의 중심점(O1)에서 소정반경(R5,R3)을 구비하며, 상기 웨지내주면(53,63)은 캠의 외주면(21)에 일측이 접촉되도록 소정반경(R4)를 구비하며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웨지내주면(53,63)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외주면(21)의 반경(R2)보다 더 큰 반경(R4)을 구비하고, 웨지내주면(53,63)의 중심점은 캠의 외주면(21) 반경(R2)의 중심점인 버링부(31)의 중심점(O2)을 반경(R4)이 지나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웨지내주면(53,63)과 캠 외주면(21)은 반경이 서로 일치하는 부분에서 접촉되어 록킹시,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웨지걸림면(54,64)은 캠의 제1,2경사단차면(24,27)에 접촉, 바람직하게는 면접촉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웨지대응면(56,66)에는 웨지스프링(70)의 끝단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걸림홈(56a,66a)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2웨지(50,60)는 웨지외주면(55,65), 웨지대응면(56,66), 웨지하단면(52,62), 웨지걸림면(54,64), 웨지내주면(53,63), 웨지지지면(57,67)이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2웨지(50,60)는 전체적으로 웨지스프링(70)이 접촉지지되는 일측에서 레버소켓(10)이 접촉되는 타측으로 갈 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쐐기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형상은 리클라이너에 설치되는 웨지의 일반적인 형상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2웨지(50,60)는 베어링부(43)와 캠(20) 사이에 조립되어 록킹된 상태를 유지할 시, 웨지지지면(57,67)은 캠의 양끝단(26)에서 돌출되도록 형성/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버링부의 중심점(O2)을 지나는 중심선(CL2)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제1,2웨지의 웨지외주면의 반경(R5), 웨지내주면의 반경(R4), 웨지하단면의 반경(R3), 캠 외주면의 반경(R2) 및 캠의 틈새지지면 반경(R1)은 설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므로, 그 길이수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예로 조립공차범위내에서 R5>R3>R1>R4>R2 의 길이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웨지스프링(70)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웨지(50,60)의 마주하는 웨지대응면(56,66)에 끝단이 연결지지되도록 캠(20)과 레버소켓(10) 사이에 설치되어, 제1웨지(50)와 제2웨지(60)를 서로 멀어지게 이격시킴으로써 제1,2웨지(50,60)가 캠(20)과 베어링(43)에 밀착접촉되도록 하여, 인터널기어의 버링부(31)와 익스터널기어(40)에 압입고정된 베어링부(43) 사이에 마찰력(록킹)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레버소켓(10)은 구동샤프트(도시없음)와 축 결합되어 제1,2웨지(50,60) 및 캠(20)에 구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웨지의 웨지지지면(57,67)으로부터 양단이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작동돌기(1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관계 및 조립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조립상태 및 록킹상태
도 7 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록킹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인터널기어의 버링부(31)에 캠의 내주면(25) 양측 일부분이 접촉되도록 캠(20)이 설치되고, 캠(20)과 익스터널기어에 압입고정된 베어링부(43)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2웨지(50,60)가 웨지스프링(70)에 의해 지지되어 대칭설치되며, 제1,2웨지의 웨지지지면(57,67)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작동돌기(11)의 양단이 위치하도록 레버소켓(10)이 조립되게 된다.
이와 같이, 캠(20)과 제1,2웨지(50,60)가 설치되면, 제1,2웨지의 웨지내주면(53,63)은 일측이 캠의 외주면(21)에 접촉지지되고, 제1,2웨지의 웨지외주면(55,65)은 베어링부(43)에 접촉지지된다. 이때, 제1,2웨지의 웨지하단면(52,62)은 캠의 틈새유지면(22)과 사이틈새(G)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설치된 본 발명은 웨지스프링(70)의 탄력에 의해 제1,2웨지(50,6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익스터널기어에 압입고정된 베어링부(43)과 캠(20) 사이에서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인터널기어의 내치차(32)에 익스터널기어의 외치차(41)가 밀착결합되어 시트백이 록킹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 리클라이너 작동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7 과 같은 록킹상태에서, 레버소켓(10)이 A 방향으로 회전되면, 레버소켓의 작동돌기(11)가 제1웨지의 웨지지지면(57)에 접촉되고, 레버소켓(10)의 회전력에 의해 제1웨지(50)가 웨지스프링(70)을 압축하며 베어링부(43)를 따라 A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레버소켓(10)에 의해 제1웨지(50)의 일측이 편심공간(S)으로 이동되어 제1웨지(50)와 캠(20) 사이의 마찰력이 해제됨으로써 록킹이 해제된다.
상기 제1웨지(50)가 A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되면, 제1웨지(50)의 웨지걸림면(54)이 캠의 제1경사단차면(24)에 접촉되어 캠(20)이 A 방향으로 회전이동되고, 캠의 제2경사단차면(27)이 제2웨지의 웨지걸림면(64)에 접촉되어, 제2웨지(60)가 베어링부(43)를 따라 A 방향으로 회전이동되게 되며, 이로 인해, 제2웨지의 웨지외주면(65)과 익스터널기어에 압입고정된 베어링부(43)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어 익스터널기어(40)를 A 방향으로 감속회전시킴으로써, 시트백의 경사각이 조절되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소켓과의 접촉에 의해 제1웨지(50)가 A 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시, 제1웨지(50)의 회전이동에 연동하여 웨지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제2웨지(60)가 A 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도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레버소켓(10)의 회전작동에 의해 제1웨지(50)가 편심공간(S)으로 회전이동되어 리클라이너의 록킹이 해제될 시, 제1웨지의 웨지걸림면(54)과 캠의 제1경사단차면(24) 접촉 및, 웨지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제2웨지(60)와 캠(20)이 A 방향으로 회전이동되어 리클라이닝 작동이 이루어지고,
제1웨지의 웨지걸림면(54)과 캠의 제1경사단차면(24)의 접촉에 의해 제1웨지는 베어링부 방향으로 밀착되어 회전이동되고, 캠은 버링부 방향으로 밀착되어 회전이동됨으로써, 리클라이너 작동시, 베어링부(43), 제1,2웨지(50,60), 캠(30) 및 버링부(31)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반경(R5,R3)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제1,2웨지의 웨지외주면(55,65)과 웨지하단면(52,62)이, 소정반경(R1)을 구비하는 캠의 틈새유지면(22)과 동일한 중심점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제1웨지(50)가 A 방향으로 이동될 시, 제1웨지의 웨지외주면(55)은 베어링부(43)를 따라 이동되고, 제1웨지의 웨지하단면(52)은 캠의 틈새유지면(22)과 일정한 사이틈새(G)를 유지하면서 이동되게 되며, 제1웨지(50)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제2웨지(60) 역시, 웨지하단면(62)이 캠의 틈새유지면(22)과 일정한 사이틈새(G)를 유지하면서 A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록킹상태에서, 제1,2웨지의 웨지하단면(52,62)과 캠의 틈새유지면(22)사이의 사이틈새(G)가 5/100㎜ 를 유지할 경우, 작동레버의 조작력에 의해 제1,2웨지(50,60)가 웨지스프링(70)을 압축하며 서로 가까워졌다가 멀어졌다 반복작동할 시에도, 제1,2웨지의 웨지하단면(52,62)과 캠의 틈새유지면(22)사이의 사이틈새(G)는 5/100㎜가 계속하여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리클라이닝 작동시, 베어링부(43), 제1,2웨지(50,60), 캠(30) 및 버링부(31)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제1,2웨지(50,60)와 캠(20)의 사이틈새(G)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어, 부하발생시 종래 리클라이닝 장치에서 발생되는 틈새의 확대에 따른 시트백의 떨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 리클라이너 작동 (무부하)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또다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7 과 같은 록킹상태에서, 레버소켓(10)이 A 방향으로 회전되면, 레버소켓의 작동돌기(11)가 제1웨지의 웨지지지면(57)에 접촉되고, 레버소켓(10)의 회전력에 의해 제1웨지(50)가 웨지스프링을 압축하며 베어링부(43)을 따라 A 방향으로 이동되어 록킹이 해제된다.
또한, 제1웨지(50)가 A 방향으로 계속하여 이동되면, 제1웨지(50)의 회전이동에 연동하여 웨지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제2웨지(60)가 A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웨지의 웨지외주면(65)과 익스터널기어에 압입고정된 베어링부(43)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켜 익스터널기어(40)를 A 방향으로 감속회전시킴으로써, 시트백의 경사각이 조절되게 된다.
위의 리클라이너 작동은 무하 및 무부하 상태로 분리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실제 작동시에는 도 8 및 도 9 에 따른 작동이 복합적인 발생되어 떨림현상없이 리클라이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레버소켓 (11) : 작동돌기
(20) : 캠 (21) : 외주면
(22) : 틈새지지면 (23) : 중앙돌기
(24) : 제1경사단차면 (25) : 내주면
(26) : 양끝단 (27) : 제2경사단차면
(28) : 외주면 연장라인 (30) : 인터널기어
(31) : 버링부 (32) : 내치차
(33) : 수용홈 (40) : 익스터널기어
(41) : 외치차 (42) : 중앙홀
(43) : 베어링부 (44) : 중앙지지부
(50) : 제1웨지 (60) : 제2웨지
(52,62): 웨지하단면 (53,63): 웨지내주면
(54,64): 웨지걸림면 (55,65): 웨지외주면
(56,66): 웨지 대응면 (57,67): 웨지지지면
(56a,66a): 걸림홈 (70) : 웨지스프링

Claims (5)

  1. 레버소켓(10)의 회전구동에 따른 제1,2웨지(50,60) 및 캠(20)의 회전에 의해 인터널기어(30)에 결합되어 있는 익스터널기어(40)가 편심회전되어 시트백의 각도가 조절되는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에 있어서;
    회전구동되는 레버소켓(10)의 일측이 제1웨지(50)의 웨지지지면(57)에 접촉되어 제1웨지(50)가 레버소켓의 회전구동방향으로 회전이동되고, 제1웨지(50)의 웨지걸림면(54)이 캠의 제1경사단차면(24)에 접촉되어 캠(20)이 레버소켓(10)의 회전구동방향으로 회전작동되며, 캠의 제2경사단차면(27)이 제2웨지(60)의 웨지걸림면(64)에 접촉되어 제2웨지(60)가 레버소켓의 회전구동방향으로 회전이동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캠(20)은, 인터널기어의 버링부(31)에 양측 일부분이 접촉되는 내주면(25)과, 제1,2웨지(50,60)의 일측이 접촉되는 외주면(21)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면(21)에는 중간부위에 중앙돌기(23)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돌기(23)는 외주면(21)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1경사단차면(24)과, 상기 제1경사단차면(24)에 대칭되는 기울기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제2경사단차면(27)과, 상기 제1경사단차면(24)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제2경사단차면(27)에 연결되며 소정반경을 구비하는 틈새유지면(22)을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제1웨지의 웨지걸림면(54)과 캠의 제1경사단차면(24)의 접촉, 제2웨지의 웨지걸림면(64)과 캠의 제2경사단차면(27)의 접촉에 의해, 제1,2웨지는 웨지외주면(55,65)이 익스터널기어에 압입고정된 베어링부(43) 방향으로 가압접촉되며 회전이동되고, 캠은 내주면(25) 일측이 인터널기어의 버링부(31) 방향으로 가압접촉되며 회전이동되어, 리클리이너 작동시, 베어링부(43), 제1,2웨지(50,60), 캠(30) 및 버링부(31)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제1,2경사단차면(24,27)은 외주면 연장라인(28)에 대하여 예각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제1,2경사단차면(24,27)은, 외주면 연장라인(28)에 대하여 20°∼30°의 경사각(θ)를 구비하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제1,2웨지(50,60)는, 익스터널기어에 압입고정된 베어링부(43)에 접촉되는 웨지외주면(55,65)과, 캠의 외주면(21) 일측에 일부분이 접촉되도록 소정반경(R4)을 구비하는 웨지내주면(53,63)과, 상기 웨지내주면(53,63)으로부터 소정깊이의 단차를 구비하고 캠의 틈새유지면(22)과 일정한 사이틈새(G)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웨지하단면(52,62)과, 상기 웨지걸림면(54,64) 및 웨지하단면(52,62)에 연결되는 웨지걸림면(54,64)을 포함하되,
    상기 웨지외주면(55,65)과 웨지하단면(52,62) 및 틈새유지면(22)는 베어링부의 중심점(O1)에서 소정반경(R5,R3,R1)을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캠의 외주면(21)은 버링부의 중심점(O2)에서 소정반경(R2)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웨지내주면(53,63)은 캠의 외주면(21)에 일측이 접촉되도록 또한 소정반경(R4)보다 더 큰 소정반경(R4)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KR1020160120501A 2016-09-21 2016-09-21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KR101938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501A KR101938576B1 (ko) 2016-09-21 2016-09-21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501A KR101938576B1 (ko) 2016-09-21 2016-09-21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967A KR20180031967A (ko) 2018-03-29
KR101938576B1 true KR101938576B1 (ko) 2019-01-15

Family

ID=61907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501A KR101938576B1 (ko) 2016-09-21 2016-09-21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5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952B1 (ko) 2020-10-07 2021-02-19 대원정밀공업(주) 파워 리클라이너
DE102021123060A1 (de) 2020-10-07 2022-04-07 Daewon Precision Industrial Co., Ltd. Power-lehnenwinkeleinsteller
KR20220063390A (ko) 2020-11-10 2022-05-17 대원정밀공업(주) 파워 리클라이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449B1 (ko) * 2016-02-02 2016-04-19 대원정밀공업(주)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3449B1 (ko) * 2016-02-02 2016-04-19 대원정밀공업(주)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6952B1 (ko) 2020-10-07 2021-02-19 대원정밀공업(주) 파워 리클라이너
DE102021123060A1 (de) 2020-10-07 2022-04-07 Daewon Precision Industrial Co., Ltd. Power-lehnenwinkeleinsteller
US11528992B2 (en) 2020-10-07 2022-12-20 Daewon Precision Industrial Co., Ltd. Power recliner
KR20220063390A (ko) 2020-11-10 2022-05-17 대원정밀공업(주) 파워 리클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967A (ko)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576B1 (ko)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KR101613449B1 (ko)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US7513572B2 (en) Bracket angle adjustment mechanism
US7731289B2 (en) Automotive seat reclining device
KR101709599B1 (ko)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US8944508B2 (en) Seat reclining device
KR101711826B1 (ko) 밀림방지형 리클라이너
US7322654B2 (en) Bracket angle adjustment mechanism
KR101635354B1 (ko) 파워 리클라이너 장치
JP2007521894A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KR10179344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US20140290454A1 (en) Connecting rod and double reclining mechanism
US20220104621A1 (en) Power recliner
KR101143811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N112118984B (zh) 扶手倾斜装置
KR101775371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KR101058472B1 (ko) 차량용 리클라이닝 장치
KR102216952B1 (ko) 파워 리클라이너
JP2018166556A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2442453B1 (ko) 파워 리클라이너
CN107933383B (zh) 一种电动座椅及其角度调节装置
US20240034203A1 (en) Recliner for vehicle seat
US20240051436A1 (en) Recliner for vehicle seat
US20240017648A1 (en) Recliner for vehicle seat
JP2009202799A (ja) 車両の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