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3765A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3765A
KR20230053765A KR1020210136541A KR20210136541A KR20230053765A KR 20230053765 A KR20230053765 A KR 20230053765A KR 1020210136541 A KR1020210136541 A KR 1020210136541A KR 20210136541 A KR20210136541 A KR 20210136541A KR 20230053765 A KR20230053765 A KR 20230053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ering plastic
plastic panel
inspection
table b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6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0391B1 (ko
Inventor
김종찬
도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고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고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고분자
Priority to KR1020210136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391B1/ko
Publication of KR20230053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3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6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 G01N29/265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by moving the sensor relative to a stationary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41Analysing solids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e.g. using Lamb, Rayleigh or shear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48Marking the faulty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34Generating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3Solids
    • G01N2291/0235Plastics; polymers; soft materials, e.g. rubb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8Material parameters
    • G01N2291/0289Internal structure, e.g. defects, grain size, tex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성형이 완료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이 적재되어 정렬되는 테이블베드(10); 테이블베드(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검사탐지부(30)를 다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갠트리부(20); 갠트리부(20)에 의해 다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테이블베드(10)에 적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부의 기포를 탐지하는 검사탐지부(30); 테이블베드(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검사탐지부(30)에 의해 검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에 대한 검사결과를 판별하고 표시하는 판별표시부(4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성형 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에 형성된 기포를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불량 여부를 신속하게 검사 판별함으로써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제조 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Engineering Plastic Panel Bubble Inspection Device}
본 발명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부의 기포 유무를 비파괴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성형 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에 형성된 기포를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불량 여부를 신속하게 검사 판별하고 보다 명확한 개선의 기회를 포착할 수 있게 한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1906년 미국에서 벨기에 출신의 화학자 리오 베이클랜드가 합성수지 개발에 성공하며 인류는 나무, 철과 종이를 대체할 수 있는 플라스틱을 얻었다.
플라스틱은 비닐봉투, 빨대, 각종 용기, 의류, 장난감, 기계부품, 가구 등 수많은 다양한 제품의 소재로 활용되며 인류에게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이점을 가져다 주었다.
산업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플라스틱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이 개발되었는데, 플라스틱을 구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사용 용도와 요구하는 물성 등에 따라 범용 수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super engineering plastic)으로 구분하며, 까다로워지는 사용자의 요구조건에 따라 보다 높은 강도, 내마모성, 내열, 내화학성 등을 가진 소재로 발전하여 금속, 세라믹 등을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고기능성 소재로 거듭나게 되었다.
한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고강도, 내마모성을 가짐으로써 자동차, 전기, 전자 부품 및 기타 공업용 구조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나, 제조 과정이 까다롭고 기포 발생으로 인한 불량 발생이 많아 사용자의 요구하는 품질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생산업체 내부적으로도 실패비용이 많은 단점이 있다.
즉,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제조하는 방법은 사출, 압출, Monocasting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 어떤 방법으로 생산하던지 온도, 압력 등 작업조건 부적합, 이물질 혼입, 설비 비정상 가동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내부에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성형이 완료된 후에는 내부의 기포 발생 여부를 검사하여 불량품을 선별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초음파탐상기를 직접 들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에 대한 기포 발생 여부를 수동을 검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검사 능률과 정확도가 떨어지고, 검사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 저하의 요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4497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성형 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에 형성된 기포를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불량 여부를 신속하게 검사 판별할 수 있게 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기포 뿐만 아니라, 두께, 편평도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게 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기포 발생 위치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표면에 표시할 수 있게 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는,
성형이 완료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이 적재되어 정렬되는 테이블베드(10);
상기 테이블베드(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검사탐지부(30)를 다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갠트리부(20);
상기 갠트리부(20)에 의해 다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테이블베드(10)에 적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부의 기포를 탐지하는 검사탐지부(30);
상기 테이블베드(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검사탐지부(30)에 의해 검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에 대한 검사결과를 판별하고 표시하는 판별표시부(40); 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테이블베드(10)는,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 다수가 설치되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투입과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안내롤러(101);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적재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위치가 정렬되게 지지하는 지지벽(1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벽(102)은,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서 좌우 양측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갠트리부(20)는,
상기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서 X축 방향으로 설치된 X축이송모듈(201);
상기 X축이송모듈(201)에 의해 이송되게 Y축 방향으로 설치된 Y축이송모듈(202);
상기 Y축이송모듈(202)에 의해 이송되게 Z축 방향으로 설치된 Z축이송모듈(2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각 이송모듈은
상기 정밀한 직선 이송을 제공하는 레일수단;
상기 레일수단을 따라 이송되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검사탐지부(30)는,
상기 갠트리부(20)의 Z축이송모듈(203)의 일측에 설치되어 테이블베드(10)에 적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부의 기포의 수, 위치, 크기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두께를 검사하는 초음파탐상모듈(301);
상기 갠트리부(20)의 Z축이송모듈(203)의 타측에 설치되어 초음파탐상모듈(301)의 하부로 초음파매질을 공급하는 매질공급수단(3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매질공급수단(302)은,
상기 갠트리부(20)의 Z축이송모듈(203)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초음파매질이 저장되는 매질저장용기(302a);
일단이 매질저장용기(302a)에 연결되고, 타단이 초음파탐상모듈(301)의 일측에 설치되어 초음파탐상모듈(301)의 하측으로 초음파매질을 공급하는 공급라인(302b);
상기 공급라인(302b)의 일측에 설치되어 매질저장용기(302a)에 저장된 초음파매질이 공급라인(302b)을 통해 초음파탐상모듈(301)의 하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는 공급제어밸브(302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검사탐지부(3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편평도를 검사하고, 그 검사값을 판별표시부(40)로 제공하는 편평도검사모듈(303);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판별표시부(40)는,
상기 검사탐지부(30)에 의해 검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에 대한 검사값과, 사전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모듈(401);
상기 판별모듈(401)의 판별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수단(4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테이블베드(10)는,
테이블베드(10)의 상면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테이블베드(10)에 적재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위치가 정렬되게 보조하는 스토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테이블베드(10)의 일측에 형성된 절개장공(103)을 통해 상하로 승강 가능케 설치된 지지판(501);
상기 테이블베드(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판(501)을 승강시키는 제1액추에이터(5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는,
테이블베드(10)에 적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을 감지하고, 자동 정렬하는 자동정렬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동정렬부는,
상기 테이블베드(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적재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601);
상기 테이블베드(10)의 타측에 설치되어 감지수단(601)의 감지값에 따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타측면이 지지벽(102)에 밀착되며 정렬되게 하는 정렬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는
상기 초음파탐상모듈(301)의 일측에 설치되어 검사탐지부(30)에 의해 탐지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의 기포의 위치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표면에 표시하는 마킹수단(70);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성형 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에 형성된 기포를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불량 여부를 신속하게 검사 판별함으로써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제조 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기포뿐만 아니라, 두께, 편평도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품질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기포 발생 위치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표면에 표시함으로써 불량부만 신속하게 절단 선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부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정렬부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마킹수단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서로 다른 구성 요소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성형 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에 형성된 기포를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불량 여부를 신속하게 검사 판별할 수 있도록 테이블베드(10), 검사탐지부(30), 갠트리부(20), 판별표시부(40)를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베드(10)는 성형이 완료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이 적재되어 정렬되도록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되며, 안내롤러(101), 지지벽(102)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롤러(101)는 평탄하게 형성된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 가로세로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됨으로써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을 적재할 때, 테이블베드(10)의 상면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간의 마찰력을 줄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투입 및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안내롤러(101)는 봉형, 수형, 실린더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을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 적재할 때, 크고 무거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테이블베드(10)의 일측에 투입부를 형성하고, 타측에 배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지지벽(102)은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 적재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위치가 정렬되게 지지하도록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지지벽(102)은 테이블베드(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평형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을 적재한 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일측면을 일측 지지벽(102)의 내면에 밀착시키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가로(길이) 방향이 정렬된다.
한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검사를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 정렬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가로 방향 정렬 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 정렬도 필요한데, 이를 위해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세로 방향 정렬을 위한 기준선이 지지벽(102)과 직각이 되게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 적재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은 검사를 위한 가로세로 위치 정렬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갠트리부(20)는 테이블베드(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검사탐지부(30)의 초음파탐상모듈(301)을 다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X축이송모듈(201), Y축이송모듈(202), Z축이송모듈(203)을 포함한다.
상기 X축이송모듈(201)은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서 X축 방향으로 설치되되, 한 쌍이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Y축이송모듈(202)은 X축이송모듈(201)에 의해 이송되게 Y축 방향, 즉 한 쌍이 평행하게 설치된 X축이송모듈(201) 간에 설치된다.
상기 Z축이송모듈(203)은 Y축이송모듈(202)에 의해 이송되게 Z축 방향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X축이송모듈(201), Y축이송모듈(202), Z축이송모듈(203)에 의해 검사탐지부(30)의 초음파탐상모듈(301)이 다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케 된다.
한편, 상기 각 이송모듈은 정밀한 직선 이송을 위한 레일수단과, 상기 레일수단을 따라 이송되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되, 레일수단과 구동수단은 주지된 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검사탐지부(30)는 갠트리부(20)에 의해 다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테이블베드(10)에 적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부의 기포를 탐지하도록 초음파탐상모듈(301), 매질공급수단(302)을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탐상모듈(301)은 갠트리부(20)의 Z축이송모듈(203)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테이블베드(10)에 적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표면에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부로 초음파를 발사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부의 기포의 수, 위치, 크기를 검사하고, 그 검사값을 판별표시부(40)에 제공한다.
또한, 초음파탐상모듈(301)은 사전 설정된 좌표 위치에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내부로 초음파를 발사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각 좌표 위치별 두께를 검사하고 그 검사값을 판별표시부(40)에 제공한다.
상기 매질공급수단(302)은 갠트리부(20)의 Z축이송모듈(203)의 타측에 설치되어 초음파탐상모듈(301)의 하부로 초음파매질을 공급하도록 매질저장용기(302a), 공급라인(302b), 공급제어밸브(302c)를 포함한다.
상기 매질저장용기(302a)는 Z축이송모듈(203)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초음파매질이 저장된다.
상기 초음파매질은 초음파의 손실 없는 투과 및 초음파탐상모듈(301)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고분자 수화젤, 에멀전, 오일젤, 물 중 어느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초음파탐상모듈(301)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서는 높은 윤활성으로 마찰계수를 크게 낮출 수 있는 에멀전이 유리하나, 검사 완료 후 초음파매질의 제거를 위해서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라인(302b)은 일단이 매질저장용기(302a)에 연결되고, 타단이 초음파탐상모듈(301)의 일측에 설치되어 초음파탐상모듈(301)의 하측으로 초음파매질을 공급한다.
상기 공급제어밸브(302c)는 공급라인(302b)의 일측에 설치되어 매질저장용기(302a)에 저장된 초음파매질이 공급라인(302b)을 통해 초음파탐상모듈(301)의 하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제어한다.
따라서 검사탐지부(30)의 초음파탐상모듈(301)이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 적재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표면을 따라 다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에 초음파를 발사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부의 기포를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검사탐지부(3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편평도를 검사하는 편평도검사모듈(30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편평도검사모듈(303)은 초음파탐상모듈(301)의 일측에 설치되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편평도를 검사하고, 그 검사값을 판별표시부(40)로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편평도검사모듈(303)은 수광부와 발광부로 구성됨으로써 발광부에서 조사된 레이저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수광부에서 인식되는 시간을 통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편평도 검사하는 레이저센서일 수 있다.
상기 판별표시부(40)는 테이블베드(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검사탐지부(30)에 의해 검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에 대한 불량 여부를 판별하고 검사결과를 표시하도록 판별모듈(401), 출력수단(402)을 포함한다.
상기 판별모듈(401)은 검사탐지부(30)에 의해 검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에 대한 검사값과, 사전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불량 여부를 판별한다.
일 예로서, 사전 저장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전체면적에 대한 기준값의 기포 수가 5개인데, 검사탐지부(30)에 의해 검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전체면적 기포 수 검사값이 5개를 초과하면 불량품으로 판별한다.
또 다른 예로서 사전 저장된 단위면적에 대한 기준값의 기포 수가 2개인데, 검사탐지부(30)에 의해 검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단위면적 기포 수 검사값이 2개를 초과하면 불량품으로 판별한다.
또 다른 예로서, 사전 저장된 기포의 크기가 단위면적에 대한 기준값의 기포 수가 2개인데, 검사탐지부(30)에 의해 검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단위면적 기포 수 검사값이 2개를 초과하면 불량품으로 판별한다.
또 다른 예로서, 사전 저장된 기포의 크기 기준값이 0.5㎜인데, 검사탐지부(30)에 의해 검사된 기포의 크기 검사값이 0.5㎜를 초과하면 불량품으로 판별한다.
또 다른 예로서, 사전 저장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두께 오차 기준값이 0.1㎜인데, 검사탐지부(30)에 의해 검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좌표 위치별 두께 오차 검사값이 0.1㎜를 초과하면 불량품으로 판별한다.
상기 출력수단(402)은 판별모듈(401)의 판별결과를 출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수단(402)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판별결과를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수단(402)은 다색표시등을 사용하여 판별결과를 서로 다른 색으로 점등되게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출력수단(402)은 음향출력스피커를 사용하여 판별결과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성형 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에 형성된 기포를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불량 여부를 신속하게 검사 판별함으로써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제조 시 생산성이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기포 뿐만 아니라, 두께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품질과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토퍼부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테이블베드(1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위치가 정렬되게 보조하는 스토퍼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는 테이블베드(10)의 상면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테이블베드(10)에 적재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위치가 정렬되게 보조하도록 지지판(501), 제1액추에이터(50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501)은 테이블베드(10)의 일측에 형성된 절개장공(103)을 통해 상하로 승강 가능케 설치된다.
상기 절개장공(103)은 테이블베드(10)에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이 적재되는 투입부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배출부 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판(501)은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벽(102)과 정확하게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는 검사가 이루어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평면 형상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성형된 것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평면 형상에 따라 지지판(501)의 형상 및 설치 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제1액추에이터(502)는 테이블베드(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지판(501)을 승강시킨다.
따라서,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을 적재하기 전에 제1액추에이터(502)에 의해 지지판(501)이 테이블베드(10)의 일측에 형성된 절개장공(103)을 통해 테이블베드(10)의 상면보다 더 돌출된 상태에서 테이블베드(10)의 상부에 지지패널을 적재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제1면을 일측 지지벽(102)의 내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일면과 직각을 이루는 제2면을 지지판(501)에 밀착시키면,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 적재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검사를 위한 가로세로 위치 정렬이 더욱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검사가 완료되면, 제1액추에이터(502)에 의해 지지판(501)이 하강함으로써 테이블베드(10)의 배출부를 통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을 배출할 때 지지판(501)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자동정렬부를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는 테이블베드(10)에 적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을 감지하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을 자동 정렬하는 자동정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동정렬부는 감지수단(601), 정렬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감지수단(601)은 테이블베드(1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적재 상태를 감지한다.
감지수단(601)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적재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무게, 위치, 온도, 색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렬수단은 테이블베드(10)의 타측에 설치되어 감지수단(601)의 감지값에 따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타측면이 지지벽(102)에 밀착되며 자동 정렬되도록 가압판(602), 제2액추에이터(603)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판(602)은 테이블베드(10)의 일측에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일측면을 수평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된다.
가압판(602)의 길이나 형상은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제2액추에이터(603)는 테이블베드(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압판(602)을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가압판(602)의 슬라이딩 방향이 지지벽(102)의 내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는 검사가 이루어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평면 형상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성형된 것을 전제로 하는 것으로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평면 형상에 따라 슬라이딩 방향은 달라질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이 적재되어 감지수단(601)에 의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이 감지되면, 작업자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일측면을 일측 지지벽(102)의 내면에 직접 밀착지 않더라도, 정렬수단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을 지지벽(102) 쪽으로 밀어서 가압함으로써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일측면이 지지벽(102)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가로(길이) 방향이 정렬된다.
한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검사를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 정렬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가로 방향 정렬 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 정렬도 필요한데, 이를 위해 자동정렬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평면 형상에 따라 직각 또는 소정 각도로 다수가 설치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크기가 크고 무거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위치 정렬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마킹수단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의 기포의 위치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표면에 표시하는 마킹수단(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킹수단(70)은 초음파탐상모듈(301)의 일측에 설치되어 검사탐지부(30)에 의해 탐지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의 기포가 판별표시부(40)에 의해 표시가 필요한 기포로 판별되면, 판별표시부(40)의 제어에 따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표면에 기포의 위치를 마크(M)로 표시한다.
마킹수단(70)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표면에 기포의 위치를 식별 가능케 표시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나, 작업자에 의한 식별이 용이하도록 스탬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B: 기포
10: 테이블베드 101: 안내롤러
102: 지지벽 103: 절개장공
20: 갠트리부 201: X축이송모듈
202: Y축이송모듈 203: Z축이송모듈
30: 검사탐지부 301: 초음파탐상모듈
302: 매질공급수단 302a: 매질저장용기
302b: 공급라인 302c: 공급제어밸브
303: 편평도검사모듈 40: 판별표시부
401: 판별모듈 402: 출력수단
501: 지지판 502: 제1액추에이터
601: 감지수단 602: 가압판
603: 제2액추에이터 70: 마킹수단

Claims (5)

  1. 성형이 완료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이 적재되어 정렬되는 테이블베드(10);
    상기 테이블베드(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검사탐지부(30)를 다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갠트리부(20);
    상기 갠트리부(20)에 의해 다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테이블베드(10)에 적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부의 기포를 탐지하는 검사탐지부(30);
    상기 테이블베드(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검사탐지부(30)에 의해 검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에 대한 검사결과를 판별하고 표시하는 판별표시부(40); 을 포함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갠트리부(20)는,
    상기 테이블베드(10)의 상면에서 X축 방향으로 설치된 X축이송모듈(201);
    상기 X축이송모듈(201)에 의해 이송되게 Y축 방향으로 설치된 Y축이송모듈(202);
    상기 Y축이송모듈(202)에 의해 이송되게 Z축 방향으로 설치된 Z축이송모듈(2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탐지부(30)는,
    상기 갠트리부(20)의 Z축이송모듈(203)의 일측에 설치되어 테이블베드(10)에 적재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부의 기포의 수, 위치, 크기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두께를 검사하는 초음파탐상모듈(301);
    상기 갠트리부(20)의 Z축이송모듈(203)의 타측에 설치되어 초음파탐상모듈(301)의 하부로 초음파매질을 공급하는 매질공급수단(30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베드(10)는,
    테이블베드(10)의 상면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테이블베드(10)에 적재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위치가 정렬되게 보조하는 스토퍼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탐상모듈(301)의 일측에 설치되어 검사탐지부(30)에 의해 탐지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내의 기포의 위치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의 표면에 표시하는 마킹수단(70);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
KR1020210136541A 2021-10-14 2021-10-14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 KR102640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541A KR102640391B1 (ko) 2021-10-14 2021-10-14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6541A KR102640391B1 (ko) 2021-10-14 2021-10-14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3765A true KR20230053765A (ko) 2023-04-24
KR102640391B1 KR102640391B1 (ko) 2024-02-26

Family

ID=8614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6541A KR102640391B1 (ko) 2021-10-14 2021-10-14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3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549B1 (ko) * 2023-08-17 2024-02-27 (주)쎄미콤 3d스캐너를 이용한 프로파일 온도센서의 불량검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629B1 (ko) * 2011-12-16 2012-03-16 주식회사 선일기연 롤형fpcb와 시트형fpcb를 선택적으로 검사 가능한 fpcb 검사장치
KR20160034497A (ko) 2014-09-19 2016-03-30 효림산업 주식회사 초음파 탐상장치
KR20180062544A (ko) * 2016-11-30 2018-06-11 주식회사 포스코 초음파 탐상 장치
KR20200027168A (ko) * 2018-09-04 2020-03-12 주식회사 디이엔티 초음파 워터폴 방식으로 oled 패널의 검사시 유막 균등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629B1 (ko) * 2011-12-16 2012-03-16 주식회사 선일기연 롤형fpcb와 시트형fpcb를 선택적으로 검사 가능한 fpcb 검사장치
KR20160034497A (ko) 2014-09-19 2016-03-30 효림산업 주식회사 초음파 탐상장치
KR20180062544A (ko) * 2016-11-30 2018-06-11 주식회사 포스코 초음파 탐상 장치
KR20200027168A (ko) * 2018-09-04 2020-03-12 주식회사 디이엔티 초음파 워터폴 방식으로 oled 패널의 검사시 유막 균등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549B1 (ko) * 2023-08-17 2024-02-27 (주)쎄미콤 3d스캐너를 이용한 프로파일 온도센서의 불량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0391B1 (ko) 202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764922U (zh) 孔位置度半自动综合检测装置
CN209715742U (zh) 称重系统及称重剔除系统
KR20230053765A (ko)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패널 기포 검사장치
CN108543718B (zh) 一种层板机械应力智能分级系统
CN111420883A (zh) 一种货车枕簧视觉检测及智能选配系统和使用方法
CN111974711B (zh) 一种工件尺寸检测系统及检测方法
KR101787558B1 (ko) 부피 및 중량 자동 측정 시스템
CN109079253B (zh) 螺母自动检测及端孔倒角机
CN116735618A (zh) 一种汽车方型接头智能检测设备
CN105486232A (zh) 铆钉填放检测装置
CN104359442A (zh) 金属杆内孔检验装置
CN207556517U (zh) 汽车零配件检测装置
CN213377933U (zh) 一种工件尺寸检测系统
CN207641881U (zh) 一种套圈仿形漏加工检测装置
CN207507838U (zh) 一种异形零件快速自动检测装置
CN209792027U (zh) 一种轴承滚子高速在线检测装配装置
TWI599461B (zh) 用於將木頭、塑膠及類似物構成之工作物加工的機器,特別是開槽機以及監視在此機器中工作物的運送路徑的方法
KR101890726B1 (ko) 부피 및 중량 자동 측정 장치
JP2006234571A (ja) 積層薄鋼板の枚数測定方法及びその装置
WO2023103186A1 (zh) 一种基于光敏材料的同轴关系快速检具及其检测方法
CN204214356U (zh) 下板簧座检具
CN110961368A (zh) 一种发动机轴瓦盖位置度智能检具
CN113523776B (zh) 一种卡夹自动组装检测设备
CN220760103U (zh) 棒球球芯检测分选装置
CN111136021B (zh) 轴类零件在线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