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1591A - 게임 장치, 서버 장치,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게임 장치, 서버 장치,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1591A
KR20230051591A KR1020237009673A KR20237009673A KR20230051591A KR 20230051591 A KR20230051591 A KR 20230051591A KR 1020237009673 A KR1020237009673 A KR 1020237009673A KR 20237009673 A KR20237009673 A KR 20237009673A KR 20230051591 A KR20230051591 A KR 20230051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reproduction
mov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9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치바
히로시 다니부치
준키 히라이
가이 이노우에
츠구오 신포
아키라 사카이
도시아키 가나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4312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03855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43121A external-priority patent/JP728617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230051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1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63F13/355Performing operations on behalf of clients with restricted processing capabilities, e.g. servers transform changing game scene into an encoded video stream for transmitting to a mobile phone or a thin cli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9Saving the game status; Pausing or ending the game
    • A63F13/497Partially or entirely replaying previous game a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2Ball games, e.g. soccer 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63F13/86Watching games played by other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게임을 실행하고,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나타내는 배신 정보를 생성하는 배신 정보 생성부와,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배신 정보 생성부가 생성하는 배신 정보에 기초하여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로서 기능시킨다.

Description

게임 장치, 서버 장치,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기록 매체
본 발명은, 게임 장치, 서버 장치,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게임을 실행하고,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장치를 구비하고, 게임 장치에 있어서 생성된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단말 장치에 있어서 표시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8-134409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을 실제로 플레이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일례로서,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와 마찬가지의 상황에 있어서 게임을 체험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도 고려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일례로서,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또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 등을 파악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도 고려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을 실제로 체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제공을, 해결 과제의 하나로 한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의 프로그램이며,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나타내는 배신 정보를 생성하는 배신 정보 생성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가 생성하는 상기 배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의 프로그램이며,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나타내는 배신 정보를 생성하는 배신 정보 생성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가 생성되는 상기 배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상기 게임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당해 취득한 재현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공급하는 공급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제어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고, 상기 게임 제어부는,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서버 장치는,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이며,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나타내는 배신 정보를 생성하는 배신 정보 생성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가 생성하는 상기 배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는,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제어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은,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나타내는 배신 정보를 생성하는 배신 정보 생성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가 생성하는 상기 배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은,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제어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장치와, 상기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며,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나타내는 배신 정보를 생성하는 배신 정보 생성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가 생성하는 상기 배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제어부와, 상기 게임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단말 장치 및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의 프로그램이며,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진행 상황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진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장치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는,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제어부와, 상기 게임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서버 장치는, 단말 장치 및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이며,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진행 상황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진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장치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은,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제어부와, 상기 게임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단말 장치 및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진행 상황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진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장치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며,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진행 상황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진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장치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Sys의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정보 처리 시스템 Sys의 동작의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3은 정보 처리 시스템 Sys의 동작의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4는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1의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2의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DE의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의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재현 플레이 동화상 DS의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의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게임 장치(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게임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단말 장치(7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단말 장치(7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투수 일람 정보 J1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타자 일람 정보 J2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투구 정보 J3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게임 진척 정보 J4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게임 재현 관리 정보 테이블 TBL1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게임 재현 정보 JGG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단말기 특성 정보 테이블 TBL2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테이블 TBL3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Sys-A의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7은 게임 장치(10A)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8은 동화상 배신 서버(50A)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정보 처리 시스템 Sys-A의 동작의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Sys-B의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1은 게임 장치(10B)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2는 게임 관리 서버(4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3은 게임 관리 서버(4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4는 단말 장치(70B)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5는 정보 처리 시스템 Sys-B의 동작의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36은 변형예 1에 따른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의 개요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7은 동화상 배신 서버(50C)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8은 게임 장치(10C)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9는 동화상 배신 서버(50D)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부의 치수 및 축척은, 실제의 것과 적절히 다르게 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구체예인 점에서,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다양한 한정이 부가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한다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1.1. 정보 처리 시스템의 개요]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Sys의 개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서, 정보 처리 시스템 Sys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시스템 Sys는, 야구 게임(「게임」의 일례)을 실행 가능한 복수의 게임 장치(10-1 내지 10-M)와, 복수의 게임 장치(10-1 내지 10-M)에 대응하여 마련된 복수의 표시 장치(20-1 내지 20-M)와, 네트워크 NW를 통해 게임 장치(10)와 통신 가능한 동화상 편집 장치(30)를 포함하는 게임 시스템 SysG를 구비한다. 여기서, 값 M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게임 장치(10-1 내지 10-M) 중 m번째의 게임 장치(10)를, 게임 장치(10-m)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값 m은, 1≤m≤M을 충족시키는 자연수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복수의 표시 장치(20-1 내지 20-M) 중, m번째의 표시 장치(20)를, 표시 장치(20-m)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게임 장치(10)가 가정용 게임 기기인 경우를 일례로서 상정한다. 단, 게임 장치(10)로서는, 임의의 정보 처리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장치(10)는, 점포나 유희 시설 등에 설치된 업무용 게임 기기여도 되고, 휴대 전화 혹은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여도 되며, 또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거치형의 정보 기기여도 된다.
또한,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시스템 Sys는, 네트워크 NW를 통해 게임 시스템 SysG와 통신 가능한 동화상 배신 서버(50)(「서버 장치」의 일례)와, 네트워크 NW를 통해 동화상 배신 서버(50)와 통신 가능한 복수의 단말 장치(70-1 내지 70-N)를 구비한다. 여기서, 값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단말 장치(70-1 내지 70-N) 중, n번째의 단말 장치(70)를, 단말 장치(70-n)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값 n은, 1≤n≤N을 충족시키는 자연수이다.
또한, 단말 장치(70)로서는, 스마트폰, 휴대 전화, 또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네트워크 NW에 접속 가능한 임의의 정보 처리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게임 장치(10-m)는, 게임 장치(10-m)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20-m)에 마련된 표시부(21-m)에 대해서, 게임 장치(10-m)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야구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게임 장치(10-m)가, 표시부(21-m)에 대하여 표시시키는, 야구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m이라고 칭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m은, 단위 기간(예를 들어, 60분의 1초의 기간)마다 갱신되는 표시용 정지 화상 GG-m이어도 된다. 여기서, 표시용 정지 화상 GG-m은, 각 단위 기간에 있어서, 표시부(21-m)에 표시되는 정지 화상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게임 장치(10-1 내지 10-M) 중, 하나의 게임 장치(10)는, 네트워크 NW를 통해 다른 게임 장치(10)와 통신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게임 장치(10)는, 다른 게임 장치(10)에 대해서, 하나의 게임 장치(10)로 실행되고 있는 야구 게임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다른 게임 장치(10)는, 하나의 게임 장치(10)에 대해서, 다른 게임 장치(10)로 실행되고 있는 야구 게임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이 때문에, 하나의 게임 장치(10)의 유저 Ug와, 다른 게임 장치(10)의 유저 Ug가,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게임 장치(10-1)의 유저 Ug-1과, 게임 장치(10-2)의 유저 Ug-2가,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을 행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일례로서, 게임 장치(10-1)의 유저 Ug-1이 야구 게임에 있어서 사용하는 야구팀을, 야구팀 T1이라고 칭하고, 게임 장치(10-2)의 유저 Ug-2가 야구 게임에 있어서 사용하는 야구팀을, 야구팀 T2라고 칭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값 m을, 1≤m≤2를 충족시키는 자연수로서 설명한다.
[1.2.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정보 처리 시스템 Sys의 동작의 개략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Sys의 동작의 개략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게임 장치(10-1)의 유저 Ug-1과, 게임 장치(10-2)의 유저 Ug-2가,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을 행하는 경우의, 정보 처리 시스템 Sys의 동작을 예시하고 있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게임 장치(10-1)의 유저 Ug-1과, 게임 장치(10-2)의 유저 Ug-2가,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을 행하는 경우, 각 게임 장치(10-m)는, 시합 개시 처리를 실행한다(S10).
구체적으로는, 게임 장치(10-1) 및 게임 장치(10-2)는, 스텝 S10의 시합 개시 처리로서, 예를 들어 게임 장치(10-1) 및 게임 장치(10-2) 사이의 통신을 확립시키고, 게임 장치(10-1)의 유저 Ug-1이 야구 게임에 있어서 사용하는 야구팀 T1의 정보를, 게임 장치(10-1)로부터 게임 장치(10-2)에 공유시키고, 또한 게임 장치(10-2)의 유저 Ug-2가 야구 게임에 있어서 사용하는 야구팀 T2의 정보를, 게임 장치(10-2)로부터 게임 장치(10-1)에 공유시키는 등, 게임 장치(10-1)의 유저 Ug-1과, 게임 장치(10-2)의 유저 Ug-2가,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을 개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각 게임 장치(10-m)는, 동화상 배신 서버(50)에 대해서 게임 기본 정보 JK-m을 공급한다(S11).
여기서, 게임 기본 정보 JK-m은, Q 종류의 재현용 프로그램 PG-R[1] 내지 PG-R[Q]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또한, 재현용 프로그램 PG-R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게임 기본 정보 JK-m은,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 중에서 복수의 게임 재현 정보 JGG가 생성되는 경우에, 당해 복수의 게임 재현 정보 JGG의 생성에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또한, 게임 재현 정보 JGG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구체적으로는, 게임 기본 정보 JK-m은, 예를 들어 유저 Ug-m이 야구 게임에 있어서 사용하는 야구팀에 있어서의, 투수 캐릭터 CP에 관한 정보인, 투수 일람 정보 J1과, 유저 Ug-m이 야구 게임에 있어서 사용하는 야구팀에 있어서의, 타자 캐릭터 CB에 관한 정보인, 타자 일람 정보 J2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또한, 투수 일람 정보 J1 및 타자 일람 정보 J2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게임 장치(10-m)는, 동화상 배신 서버(50)에 대해서, 재현용 프로그램 PG-R을 공급한다(S12).
여기서, 재현용 프로그램 PG-R은, 단말 장치(70)에 있어서,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 중 투수 캐릭터 CP 및 타자 캐릭터 CB의 대전에 관한 부분을 재현하고, 단말 장치(70)의 유저 Ut에 대해서, 당해 대전을 체험 가능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 중 투수 캐릭터 CP 및 타자 캐릭터 CB의 대전에 관한 부분 등,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 중 일부를 단말 장치(70)에 있어서 재현하는 것을, 「재현 플레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다음으로, 게임 장치(10-m)는, 야구 게임을 실행하고,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을 진행시킨다(S13).
구체적으로는, 게임 장치(10-m)는, 스텝 S13에 있어서, 우선, 유저 Ug-m에 의한 게임 장치(10-m)의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 JM을 취득한다. 다음으로, 게임 장치(10-m)는, 스텝 S13에 있어서, 조작 정보 JM에 기초하여, 야구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 Fd의 상황을 나타내는, 게임 진행 정보 JS를 생성한다. 여기서, 야구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 Fd의 상황은, 예를 들어 야구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 Fd에 존재하는 각종 캐릭터의 상황, 및 야구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 Fd에 존재하는 각종 오브젝트의 상황의 한쪽 또는 양쪽이다. 이 중, 캐릭터의 상황은, 예를 들어 당해 캐릭터의 가상 공간 Fd에 있어서의 위치, 자세, 동작,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등의 일부 또는 전부이다. 또한, 오브젝트의 상황은, 예를 들어 당해 오브젝트의 가상 공간 Fd에 있어서의 위치, 자세, 동작,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등의 일부 또는 전부이다.
다음으로, 게임 장치(10-m)는, 야구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 Fd를, 가상 공간 Fd에 마련된 가상 카메라로 촬상함으로써, 단위 시간마다 갱신되는 표시용 정지 화상 GG-m을 포함하는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m을 생성하고, 동화상 편집 장치(30)에 대해서, 생성된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m을 나타내는 정보인, 표시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G-m(「동화상 정보」의 일례)을 공급한다(S14).
여기서, 표시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G-m은, 단위 시간마다 갱신되는 표시용 정지 화상 GG-m을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복수의 단위 기간과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용 정지 화상 GG-m의 집합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며, 또는 이들에 대해서, 야구 게임에 관한 음성을 부가한 정보여도 된다.
도 4는, 게임 장치(10-1)가 생성하는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1의 개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5는, 게임 장치(10-2)가 생성하는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2의 개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 및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m은, 가상 공간 Fd에 있어서, 유저 Ug-1에 의해 조작되는 타자 캐릭터 CB-1의 상황과, 유저 Ug-2에 의해 조작되는 투수 캐릭터 CP-2의 상황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m은, 가상 공간 Fd에 있어서, 투수 캐릭터 CP-2가, 유저 Ug-2의 조작에 기초하여, 볼 오브젝트 OBL을 투구하는 상황과, 타자 캐릭터 CB-1이, 유저 Ug-1의 조작에 기초하여, 배트 오브젝트 OBT를 사용하여 볼 오브젝트 OBL을 반격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동화상 편집 장치(30)는, 게임 장치(10-1)로부터 공급된 표시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G-1, 및 게임 장치(10-2)로부터 공급된 표시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G-2에 기초하여, 게임 장치(10-1) 및 게임 장치(10-2)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야구 게임에 관한 동화상인,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DE를 생성하고, 동화상 배신 서버(50)에 대해서, 당해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DE를 나타내는 정보인,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정보 JDE를 공급한다(S15).
여기서,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DE는, 게임 장치(10-1) 및 게임 장치(10-2)로부터 공급된, 복수의 표시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G-m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화상이어도 되고, 또는 게임 장치(10-1) 및 게임 장치(10-2) 중, 한쪽의 게임 장치(10-m)로부터 공급된, 단일의 표시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G-m에 기초하여 생성된 동화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DE는, 단위 시간마다 갱신되는, 편집 완료 정지 화상 GE여도 된다. 여기서, 편집 완료 정지 화상 GE는, 표시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G-m이 나타내는 표시용 정지 화상 GG-m과 동일한 정지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이어도 되고, 또는 표시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G-m이 나타내는 표시용 정지 화상 GG-m의 해상도를 변경한 정지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이어도 된다. 또한,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DE는, 단위 기간마다 갱신되는 편집 완료 정지 화상 GE를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복수의 단위 기간과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편집 완료 정지 화상 GE의 집합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며, 또는 이들에 대해서, 야구 게임에 관한 음성을 부가한 정보여도 된다.
도 6은, 동화상 편집 장치(30)가 생성하는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DE의 개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DE는,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m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화상 편집 장치(30)는,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이 행해지고 있는 각 기간에 있어서,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1 및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2 중 한쪽을 선택하고, 선택한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m에 기초하여,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DE를 생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DE는, 유저 Ug-m을 촬상한 동화상인 유저 촬상 동화상 DU-m과, 유저 Ug-m의 명칭을 나타내는 화상인 유저 명칭 화상 GN-m과, 유저 Ug-m이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에 있어서 사용하는 야구팀의 명칭을 나타내는 화상인 팀 명칭 화상 GT-m과, 당해 야구팀의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에 있어서의 득점을 나타내는 화상인 득점 화상 GP-m을 포함한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동화상 배신 서버(50)는, 동화상 편집 장치(30)로부터 공급된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정보 JDE에 기초하여, 게임 장치(10-1) 및 게임 장치(10-2)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야구 게임에 관한 동화상인,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배신 동화상」의 일례)를 생성하고, 단말 장치(70)에 대해서, 당해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를 나타내는 정보인, 배신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H(「배신 정보」의 일례)를 공급한다(S16).
여기서,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는, 단위 시간마다 갱신되는, 배신용 정지 화상 GH여도 된다. 여기서, 배신용 정지 화상 GH는,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정보 JDE가 나타내는 편집 완료 정지 화상 GE와 동일한 정지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이어도 되고, 또는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정보 JDE가 나타내는 편집 완료 정지 화상 GE의 해상도를 변경한 정지 화상을 포함하는 화상이어도 된다. 또한,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는, 단위 기간마다 갱신되는 배신용 정지 화상 GH를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복수의 단위 기간과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배신용 정지 화상 GH의 집합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며, 또는 이들에 대해서, 야구 게임에 관한 음성을 부가한 정보여도 된다.
도 7은, 동화상 배신 서버(50)가 생성하는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의 개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는,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DE에 대해서,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를 부가한 동화상이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게임 장치(10-m)는, 동화상 배신 서버(50)에 대해서 게임 진행 상황 정보 JG-m(「진행 상황 정보」의 일례)을 공급한다(S17).
여기서, 게임 진행 상황 정보 JG-m이란, 단말 장치(70)에 있어서, 재현 플레이를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게임 진행 상황 정보 JG-m은, 예를 들어 게임 진행 정보 JS가 나타내는 가상 공간 Fd의 상황 중, 재현 플레이에 관계하는 가상 공간 Fd의 상황을 잘라낸 정보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게임 진행 상황 정보 JG-m이, 투수 캐릭터 CP에 의한 투구의 내용을 나타내는 투구 정보 J3을 포함하는 경우를, 일례로서 상정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70-n)의 유저 Ut-n이,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에 표시되는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를 누르면, 단말 장치(70-n)는, 동화상 배신 서버(50)에 대해서, 단말 장치(70-n)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실행을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재현 플레이 리퀘스트 Req를 공급한다(S18).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재현 플레이 리퀘스트 Req에는, 단말 장치(70-n)의 특성을 나타내는 단말기 특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다음으로, 동화상 배신 서버(50)가, 단말 장치(70-n)로부터 재현 플레이 리퀘스트 Req를 수신하면, 동화상 배신 서버(50)는, 단말 장치(70-n)에 대해서, 단말 장치(70-n)에 있어서 재현 플레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정보인, 게임 재현 정보 JGG (「재현 정보」의 일례)를 공급한다(S19).
그 후, 단말 장치(70-n)는, 게임 재현 정보 JGG에 기초하여, 재현 플레이를 실행한다(S20).
도 8은, 단말 장치(70-n)가 재현 플레이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에, 단말 장치(70-n)에 마련된 표시부(76-n)에 표시되는, 재현 플레이 동화상 DS의 개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재현 플레이 동화상 DS는, 가상 공간 Fd에 있어서, 투수 캐릭터 CP가, 게임 장치(10-m)의 유저 Ug-m의 조작에 기초하여, 볼 오브젝트 OBL을 투구하는 상황과, 타자 캐릭터 CB가, 단말 장치(70-n)의 유저 Ut-n의 조작에 기초하여, 배트 오브젝트 OBT를 사용하여 볼 오브젝트 OBL을 반격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70-n)는, 단말 장치(70-n)에 있어서 실행된 재현 플레이의 결과를 나타내는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결과 정보」의 일례)를, 동화상 배신 서버(50)에 대해서 공급한다(S21).
그 후, 정보 처리 시스템 Sys는,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이 종료될 때까지의 동안, 스텝 S14 내지 S21의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또한, 동화상 배신 서버(50)는, 단말 장치(70)로부터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를 취득한 경우, 당해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70-n)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를 나타내는, 재현 플레이 결과 화상 GK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현 플레이 결과 화상 GK를,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에 편성시켜도 된다.
또한, 동화상 배신 서버(50)는, 복수의 단말 장치(70)로부터, 당해 복수의 단말 장치(70)와 대응하는 복수의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를 취득한 경우, 당해 복수의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 장치(70)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를 나타내는, 재현 플레이 결과 화상 GK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현 플레이 결과 화상 GK를,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에 편성시켜도 된다.
또한, 동화상 배신 서버(50)는, 복수의 단말 장치(70)로부터, 당해 복수의 단말 장치(70)와 대응하는 복수의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를 취득한 경우, 당해 복수의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에 기초하여, 복수의 단말 장치(70)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와, 복수의 단말 장치(70) 중 하나의 단말 장치(70)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를 나타내는, 재현 플레이 결과 화상 GK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현 플레이 결과 화상 GK를, 하나의 단말 장치(70)에 대해서 공급하는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에 편성시켜도 된다.
도 9는, 재현 플레이 결과 화상 GK가 편성된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의 개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9에서는, 동화상 배신 서버(50)가, 복수의 단말 장치(70)로부터 복수의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를 취득한 경우에, 당해 복수의 단말 장치(70) 중, 단말 장치(70-n)에 마련된 표시부(76-n)에 표시되는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를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에 편성된 재현 플레이 결과 화상 GK가, 복수의 재현 플레이 개별 결과 화상 GKK를 포함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도 9에 도시한 예에서는, 재현 플레이 결과 화상 GK가, 재현 플레이를 실행한 단말 장치(70)의 개수에 대한, 재현 플레이의 결과가 「스트라이크」로 된 단말 장치(70)의 개수를 나타내는, 재현 플레이 개별 결과 화상 GKK1과, 재현 플레이를 실행한 단말 장치(70)의 개수에 대한, 재현 플레이의 결과가 「안타」로 된 단말 장치(70)의 개수를 나타내는, 재현 플레이 개별 결과 화상 GKK2와, 재현 플레이를 실행한 단말 장치(70)의 개수에 대한, 재현 플레이의 결과가 「홈런」으로 된 단말 장치(70)의 개수를 나타내는, 재현 플레이 개별 결과 화상 GKK3을 포함하는 경우를 일례로서 상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동화상 배신 서버(50)는,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에 포함된 재현 플레이 결과 화상 GK에 포함되는 복수의 재현 플레이 개별 결과 화상 GKK 중, 당해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가 공급되는 단말 장치(70-n)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에 대응하는 재현 플레이 개별 결과 화상 GKK를, 강조 표시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도 9에 도시한 예에서는, 단말 장치(70-n)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가 「안타」인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9에 도시한 예에서는, 재현 플레이의 결과가 「안타」인 단말 장치(70)의 개수를 나타내는 재현 플레이 개별 결과 화상 GKK2가, 재현 플레이 개별 결과 화상 GKK1 및 재현 플레이 개별 결과 화상 GKK3과 비교해서 강조 표시되게 된다.
[1.3. 정보 처리 시스템의 기능]
이하,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서, 게임 장치(10), 동화상 배신 서버(50) 및 단말 장치(70)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게임 장치(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게임 장치(10)는, 게임 장치(1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1)와,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13)와, 게임 장치(10)의 유저 Ug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조작부(14)와, 게임 장치(1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부(15)를 구비한다.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1)는, 게임 제어부(111)를 구비한다. 그리고, 게임 제어부(111)는,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와, 표시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113)를 구비한다.
이 중,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는, 조작부(14)에 의해 접수된 유저 Ug에 의한 게임 장치(10)의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 JM에 기초하여, 게임 진행 정보 JS를 생성한다. 또한,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는, 게임 진행 정보 JS에 기초하여, 투구 정보 J3을 생성한다. 또한,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는,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의 진척 상황을 나타내는, 게임 진척 정보 J4를 생성한다. 그리고,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는, 투구 정보 J3 및 게임 진척 정보 J4를 포함하는, 게임 진행 상황 정보 JG를 생성한다.
또한, 표시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113)는,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가 생성한 게임 진행 정보 JS에 기초하여, 표시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G를 생성한다.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기억부(13)는, 투수 일람 정보 J1과, 타자 일람 정보 J2와, 투구 정보 J3과, 게임 진척 정보 J4와, 게임 장치(10)의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PGG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기억부(13)는, Q 종류의 재현용 프로그램 PG-R을 기억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값 Q는 2 이상의 자연수이다. 단, 값 Q는, 「1」이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Q 종류의 재현용 프로그램 PG-R 중, q번째의 재현용 프로그램 PG-R을, 재현용 프로그램 PG-R[q]라고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시스템 Sys는, 단말 장치(70)에 대해서, Q 종류의 재현용 프로그램 PG-R[1] 내지 PG-R[Q] 중, 단말 장치(70)의 특성에 따른, 재현용 프로그램 PG-R[q]를 공급한다. 여기서, 단말 장치(70)의 특성이란, 재현용 프로그램 PG-R의 재생 가능 방법에 관련된 단말 장치(70)의 성질 및 재현용 프로그램 PG-R의 재생 정밀도에 관련된 단말 장치(70)의 성질의,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장치(70)의 특성이란, 단말 장치(70)가 갖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종류, 단말 장치(70)가 갖는 브라우저의 종류, 단말 장치(70)가 갖는 프로세서(7001)의 처리 성능, 및 단말 장치(70)가 갖는 기억 장치(7003)의 기억 용량 등의 일부 또는 전부이다.
도 11은, 게임 장치(1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게임 장치(10)는, 게임 장치(10)의 각 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001)와,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1003)와, 게임 장치(10)의 유저 Ug에 의한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조작 장치(1004)와, 게임 장치(1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장치(1005)를 구비한다.
이 중, 기억 장치(1003)는,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기억 장치(1003)는, 비일과성(non-transitory)의 기록 매체이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1001)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와, 제어 프로그램 PGG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고, 기억부(13)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즉, 기억 장치(1003)는, 투수 일람 정보 J1과, 타자 일람 정보 J2와, 투구 정보 J3과, 게임 진척 정보 J4와, 게임 장치(10)의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PGG와, Q 종류의 재현용 프로그램 PG-R[1] 내지 PG-R[Q]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프로그램 PGG를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기억 장치(1003)를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프로그램 PGG를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는, 게임 장치(1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에 마련된 기억 장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 프로그램 PGG를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는, 게임 장치(10)의 외부에 존재하고, 제어 프로그램 PGG를 배신하는 배신 서버에 마련되며, 제어 프로그램 PGG를 기록한 기억 장치여도 된다.
또한,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어 1개 또는 복수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세서(1001)는, 기억 장치(10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PGG를 실행하고, 당해 제어 프로그램 PGG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제어부(11)로서 기능한다. 또한, 프로세서(1001)는, 1개 또는 복수의 CPU에 추가하거나, 또는 1개 또는 복수의 CPU 중 일부 또는 전부 대신에, GPU(Graphics Processing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프로세서(1001)에 의해 실현되는 제어부(11)의 일부 또는 전부는, DSP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프로세서(1001)는, 1개 또는 복수의 CPU와, 1개 또는 복수의 하드웨어 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01)가 복수의 CP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11)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은, 이들 1개 또는 복수의 CPU 일부 또는 전부가 제어 프로그램 PGG에 따라서 협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조작 장치(1004)는, 예를 들어 조작 버튼이며, 게임 장치(10)의 유저 Ug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14)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조작 장치(1004)는, 예를 들어 조작 버튼, 터치 패널, 키보드, 조이 스틱 및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1개 또는 복수의 기기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1005)는,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의 한쪽 또는 양쪽을 통해, 게임 장치(1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이며, 통신부(15)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도 12는,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동화상 배신 서버(50)는,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51)와,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53)와,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부(55)를 구비한다.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51)는, 배신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511)와,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를 구비한다.
이 중, 배신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511)(「배신 정보 생성부」의 일례)는,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정보 JDE에 기초하여, 배신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H를 생성한다.
또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재현 정보 생성부」 및 「생성부」의 일례)는, 게임 기본 정보 JK-m과, 게임 진행 상황 정보 JG-m과, 재현용 프로그램 PG-R에 기초하여, 게임 재현 정보 JGG를 생성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제어부(51)는, 게임 장치(10-m)로부터 공급되는 게임 진행 상황 정보 JG-m을 취득함으로써, 「정보 취득부」로서 기능한다.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기억부(53)는, 투수 일람 정보 J1과, 타자 일람 정보 J2와, 게임 재현 관리 정보 테이블 TBL1과, 단말기 특성 정보 테이블 TBL2와,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테이블 TBL3과,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PGS와, Q 종류의 재현용 프로그램 PG-R[1] 내지 PG-R[Q]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게임 재현 관리 정보 테이블 TBL1, 단말기 특성 정보 테이블 TBL2 및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테이블 TBL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3은,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동화상 배신 서버(50)는,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각 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5001)와,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5003)와,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장치(5005)를 구비한다.
이 중, 기억 장치(5003)는,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기억 장치(5003)는, 비일과성(non-transitory)의 기록 매체이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5001)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와, 제어 프로그램 PGS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EEPROM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고, 기억부(53)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즉, 기억 장치(5003)는, 투수 일람 정보 J1과, 타자 일람 정보 J2와, 게임 재현 관리 정보 테이블 TBL1과, 단말기 특성 정보 테이블 TBL2와,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테이블 TBL3과,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PGS와, Q 종류의 재현용 프로그램 PG-R[1] 내지 PG-R[Q]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프로그램 PGS를 기록한 「기록 매체」와 기억 장치(5003)를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프로그램 PGS를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는,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에 마련된 기억 장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 프로그램 PGS를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는,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외부에 존재하고, 제어 프로그램 PGS를 배신하는 배신 서버에 마련되고, 제어 프로그램 PGS를 기록한 기억 장치여도 된다.
또한, 프로세서(5001)는, 예를 들어 1개 또는 복수의 CPU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세서(5001)는, 기억 장치(50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PGS를 실행하고, 당해 제어 프로그램 PGS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제어부(51)로서 기능한다.
또한, 프로세서(5001)는, 1개 또는 복수의 CPU에 추가하거나, 또는 1개 또는 복수의 CPU 중 일부 또는 전부 대신에, GPU, DSP, 또는 FPGA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프로세서(5001)에 의해 실현되는 제어부(51)의 일부 또는 전부는, DSP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프로세서(5001)는, 1개 또는 복수의 CPU와, 1개 또는 복수의 하드웨어 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001)이 복수의 CPU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51)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은, 이것들 1개 또는 복수의 CPU 일부 또는 전부가 제어 프로그램 PGS에 따라서 협동하여 동작함으로써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5005)는,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의 한쪽 또는 양쪽을 통해,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이며, 통신부(55)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도 14는, 단말 장치(7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70)는, 단말 장치(7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71)와,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73)와, 단말 장치(70)의 유저 Ut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74)와, 단말 장치(7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부(75)와, 각종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76)를 구비한다.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71)는, 배신용 게임 동화상 재생부(711)와, 재현 플레이 실행부(712)를 구비한다.
이 중, 배신용 게임 동화상 재생부(711)는, 배신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H에 기초하여,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를 표시부(76)에 표시시킨다.
또한, 재현 플레이 실행부(712)는, 게임 재현 정보 JGG에 기초하여, 재현 플레이를 실행한다.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기억부(73)는, 단말 장치(70)의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PGT와, 단말 장치(70)에 대응하는 재현용 프로그램 PG-R[q]를 기억하고 있다.
도 15는, 단말 장치(7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70)는, 단말 장치(70)의 각 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7001)와,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7003)와, 단말 장치(7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장치(7005)와, 각종 화상을 표시함과 함께, 단말 장치(70)의 유저 Ut의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터치 패널(7004)을 구비한다.
이 중, 기억 장치(7003)는,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이다. 기억 장치(7003)는, 비일과성(non-transitory)의 기록 매체이며, 예를 들어 프로세서(7001)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와, 제어 프로그램 PGT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EEPROM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고, 기억부(73)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프로세서(7001)는, 예를 들어 1개 또는 복수의 CPU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세서(7001)는, 기억 장치(70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PGT를 실행하고, 제어 프로그램 PGT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배신용 게임 동화상 재생부(711)로서 기능한다. 또한, 프로세서(7001)는, 기억 장치(7003)에 기억된 재현용 프로그램 PG-R[q] 및 제어 프로그램 PGT를 실행하고, 재현용 프로그램 PG-R[q] 및 제어 프로그램 PGT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재현 플레이 실행부(712)로서 기능한다.
또한, 프로세서(7001)는, 1개 또는 복수의 CPU에 추가하거나, 또는 1개 또는 복수의 CPU 중 일부 또는 전부 대신에, GPU, DSP 또는, FPGA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프로세서(7001)에 의해 실현되는 제어부(71)의 일부 또는 전부는, DSP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통신 장치(7005)는,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의 한쪽 또는 양쪽을 통해 단말 장치(7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이며, 통신부(75)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터치 패널(7004)은, 각종 화상을 표시 가능한 표시부(76)로서 기능함과 함께, 단말 장치(70)의 유저 Ut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74)로서 기능한다.
[1.4.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존재하는 데이터]
이하, 도 16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서, 정보 처리 시스템 Sys에 있어서 존재하는 각종 데이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투수 일람 정보 J1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투수 일람 정보 J1은,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의 개시 전에, 미리 정해진 정보이다.
도 16에 예시한 바와 같이, 투수 일람 정보 J1은,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에 있어서 등장하는 복수의 투수 캐릭터 CP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레코드를 갖는다. 투수 일람 정보 J1의 각 레코드는, 투수 ID와, 투수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투수 ID란,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에 있어서 등장하는 복수의 투수 캐릭터 CP 중에서 각 투수 캐릭터 CP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투수 정보란, 예를 들어 투수 기본 정보와, 투수 스킬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이 중, 투수 기본 정보란, 예를 들어 투수 캐릭터 CP의 명칭을 나타내는 투수 명칭 정보와, 투수 캐릭터 CP의 화상을 나타내는 투수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또한, 투수 스킬 정보란, 투수 캐릭터 CP에 의한 볼 오브젝트 OBL의 투구의 능력 높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투수 스킬 정보란, 예를 들어 투수 캐릭터 CP가 투구하는 볼 오브젝트 OBL의 표준적인 구속을 나타내는 표준 구속 정보와, 투수 캐릭터 CP가 투구 가능한 각 구종에 관한 투수 캐릭터 CP의 투구 능력의 높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구종 정보와, 투수 캐릭터 CP의 투구에 있어서의 볼 오브젝트 OBL의 컨트롤 능력의 높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컨트롤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도 17은, 타자 일람 정보 J2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타자 일람 정보 J2는,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의 개시 전에, 미리 정해진 정보이다.
도 17에 예시한 바와 같이, 타자 일람 정보 J2는,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에 있어서 등장하는 복수의 타자 캐릭터 CB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레코드를 갖는다. 타자 일람 정보 J2의 각 레코드는, 타자 ID와, 타자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타자 ID란,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에 있어서 등장하는 복수의 타자 캐릭터 CB 중에서 각 타자 캐릭터 CB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타자 정보란, 예를 들어 타자 기본 정보와, 타자 스킬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이 중, 타자 기본 정보란, 예를 들어 타자 캐릭터 CB의 명칭을 나타내는 타자 명칭 정보와, 타자 캐릭터 CB의 화상을 나타내는 타자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또한, 타자 스킬 정보란, 타자 캐릭터 CB에 의한 볼 오브젝트 OBL의 타격 능력의 높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타자 스킬 정보란, 예를 들어 타자 캐릭터 CB가, 투수 캐릭터 CP가 투구한 볼 오브젝트 OBL을 반격한 경우에, 당해 반격된 볼 오브젝트 OBL의 속도인 타구 속도의 속도 정도를 나타내는, 타격 파워 정보와, 타자 캐릭터 CB가, 투수 캐릭터 CP가 투구한 볼 오브젝트 OBL에 배트 오브젝트 OBT를 미트시키는 능력의 높이의 정도를 나타내는, 미트 능력 정보와, 타자 캐릭터 CB의 주루의 속도 정도를 나타내는, 주루 능력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도 18은, 투구 정보 J3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투구 정보 J3은, 게임 장치(10-m)의 유저 Ug-m이, 조작부(14)에 있어서, 투수 캐릭터 CP에 의한 볼 오브젝트 OBL의 투구 동작을 지시하는 조작을 행한 경우에, 당해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조작 정보 JM과, 투수 일람 정보 J1에 기초하여,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가 생성하는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는, 조작 정보 JM이 나타내는 투수 캐릭터 CP의 투구 내용과, 투수 일람 정보 J1에 포함되는 당해 투수 캐릭터 CP의 투수 스킬 정보에 기초하여, 투구 정보 J3을 생성한다.
도 18에 예시한 바와 같이, 투구 정보 J3은, 예를 들어 투구 ID와, 투구 내용 정보를 포함한다.
이 중, 투구 ID란,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에 있어서, 복수의 투수 캐릭터 CP에 의한 복수회의 투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당해 복수회의 투구 중에서 각 투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투구 내용 정보란, 예를 들어 투수 캐릭터 CP에 의해 투구되는 볼 오브젝트 OBL의 구속을 나타내는 투구 구속 정보와, 투수 캐릭터 CP에 의한 투구의 구종을 나타내는 투구 구종 정보와, 투수 캐릭터 CP에 의해 투구되는 볼 오브젝트 OBL의 궤적을 나타내는 투구 궤적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여기서, 투구 궤적 정보란, 예를 들어 투수 캐릭터 CP에 의해 투구된 볼 오브젝트 OBL이 홈베이스상을 통과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투구 코스 정보와, 투수 캐릭터 CP에 의해 투구된 볼 오브젝트 OBL의 비상 중의 코스의 변화 내용을 나타내는 투구 코스 변위량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도 19는, 게임 진척 정보 J4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게임 진척 정보 J4는, 게임 장치(10-m)의 유저 Ug-m이, 조작부(14)에 있어서, 투수 캐릭터 CP에 의한 볼 오브젝트 OBL의 투구 동작을 지시하는 조작을 행한 경우에,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이다.
도 19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게임 진척 정보 J4는, 예를 들어 투구 타이밍 정보와, 카운트 정보와, 스코어 정보와, 주자 정보와, 대전 캐릭터 특정 정보를 포함한다.
이 중, 투구 타이밍 정보란, 예를 들어 투구 ID와, 게임 시간 정보와, 이닝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여기서, 게임 시간 정보란, 예를 들어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의 개시부터, 당해 시합 내에 있어서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게임 시간 정보란, 예를 들어 게임 진척 정보 J4에 있어서,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의 개시부터, 투수 캐릭터 CP에 의한 투구가 이루어질 때까지의, 당해 시합에 있어서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단, 게임 시간 정보는, 게임 진척 정보 J4에 있어서, 야구 게임이 개시된 후이며,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이 개시되기 전의 임의의 시각으로부터, 투수 캐릭터 CP에 의한 투구가 이루어질 때까지의, 당해 시합에 있어서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이닝 정보란, 투수 캐릭터 CP에 의한 투구가 이루어지는 이닝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카운트 정보란, 예를 들어 투수 캐릭터 CP에 의한 투구가 이루어질 때의 아웃카운트를 나타내는 아웃카운트 정보와, 투수 캐릭터 CP에 의한 투구가 이루어질 때의 스트라이크 카운트를 나타내는 스트라이크 카운트 정보와, 투수 캐릭터 CP에 의한 투구가 이루어질 때의 볼카운트를 나타내는 볼카운트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또한, 스코어 정보란, 예를 들어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에 있어서의 야구팀 T1의 득점과,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에 있어서의 야구팀 T2의 득점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주자 정보란, 예를 들어 1루에 있어서의 주자의 유무 및 1루에 주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당해 주자의 타자 ID를 나타내는 1루 주자 정보와, 2루에 있어서의 주자의 유무, 및 2루에 주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당해 주자의 타자 ID를 나타내는 2루 주자 정보와, 3루에 있어서의 주자의 유무, 및 3루에 주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당해 주자의 타자 ID를 나타내는 3루 주자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대전 캐릭터 특정 정보란, 예를 들어 투수 캐릭터 CP에 의한 투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당해 투수 캐릭터 CP의 투수 ID를 나타내는, 투구 중 투수 정보와, 투수 캐릭터 CP에 의한 투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타석에 위치하는 타자 캐릭터 CB의 타자 ID를 나타내는, 타석 내 타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도 20은, 게임 재현 관리 정보 테이블 TBL1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에 있어서의 투수 캐릭터 CP에 의한 투구가, 게임 재현 조건을 충족할 경우에, 게임 재현 관리 정보 테이블 TBL1에 레코드를 추가한다.
여기서, 게임 재현 조건(「소정 조건」의 일례)이란, 투수 캐릭터 CP에 의한 투구와 대응하는 게임 진척 정보 J4에 관한 조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게임 재현 조건이, 이하의 제1 내지 제4 게임 재현 조건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충족된다고 하는 조건인 경우를 상정한다.
<제1 게임 재현 조건>
게임 진척 정보 J4 중, 이닝 정보가, 「7회 이후의 이닝수」를 나타낸다고 하는 조건.
<제2 게임 재현 조건>
게임 진척 정보 J4 중, 주자 정보가, 「2루 또는 3루에 주자가 존재함」을 나타낸다고 하는 조건.
<제3 게임 재현 조건>
게임 진척 정보 J4 중, 아웃카운트 정보가, 「2아웃」을 나타낸다고 하는 조건.
<제4 게임 재현 조건>
게임 진척 정보 J4 중, 스트라이크 카운트 정보가, 「2스트라이크」를 나타낸다고 하는 조건.
또한, 이하에서는, 게임 재현 조건을 충족시키는 투구, 즉, 제1 내지 제4 게임 재현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투구를, 재현 대상 투구(「특정 상황」의 일례)라고 칭한다.
도 20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게임 재현 관리 정보 테이블 TBL1은,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에 있어서의 복수의 재현 대상 투구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레코드를 갖는다. 게임 재현 관리 정보 테이블 TBL1의 각 레코드는, 재현 ID와, 게임 재현 관리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재현 ID란,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에 있어서의 복수의 재현 대상 투구 중에서 각 재현 대상 투구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게임 재현 관리 정보란, 예를 들어 상술한 게임 시간 정보와, 대전 캐릭터 특정 정보와, 투구 정보 J3을 포함하는 정보이다.
도 21은, 게임 재현 정보 JGG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게임 재현 정보 JGG는, 동화상 배신 서버(50)가 단말 장치(70-n)로부터 재현 플레이 리퀘스트 Req를 수신한 경우에,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이다.
도 21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게임 재현 정보 JGG는, 예를 들어 상술한 재현 ID, 게임 시간 정보, 및 투구 정보 J3과, 재현 플레이 캐릭터 정보와, 재현용 프로그램 PG-R[q]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이 중, 재현 플레이 캐릭터 정보란, 예를 들어 상술한 투수 기본 정보와, 타자 기본 정보와, 타자 스킬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게임 재현 정보 JGG가 공급되는 단말 장치(70)에 있어서는, 재현 플레이 동화상 DS가 표시됨으로써, 재현 플레이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장치(70)의 재현 플레이 실행부(712)는, 재현 플레이 동화상 DS에 있어서, 게임 재현 정보 JGG에 포함되는 투수 기본 정보에 기초하여, 투수 캐릭터 CP를 표시하고, 또한 게임 재현 정보 JGG에 포함되는 타자 기본 정보에 기초하여, 타자 캐릭터 CB를 표시하고, 나아가, 게임 재현 정보 JGG에 포함되는 투구 내용 정보에 기초하여, 볼 오브젝트 OBL을 표시한다. 그리고, 재현 플레이 실행부(712)는, 단말 장치(70)의 유저 Ut에 의한 조작부(74)의 조작 내용과, 게임 재현 정보 JGG에 포함되는 타자 스킬 정보에 기초하여, 볼 오브젝트 OBL을 배트 오브젝트 OBT에 의해 반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재현 플레이 실행부(712)는, 재현 플레이에 있어서, 볼 오브젝트 OBL이 반격되는 경우에는, 단말 장치(70)의 유저 Ut에 의한 조작부(74)의 조작 내용과, 게임 재현 정보 JGG에 포함되는 타자 스킬 정보에 기초하여, 반격된 볼 오브젝트 OBL(타구)의 스피드와, 당해 볼 오브젝트 OBL의 궤적을 결정한다.
도 22는, 단말기 특성 정보 테이블 TBL2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동화상 배신 서버(50)가 단말 장치(70)로부터 재현 플레이 리퀘스트 Req를 수신한 경우이며, 당해 재현 플레이 리퀘스트 Req가,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이 실행되고 있는 기간 중에 있어서의, 당해 단말 장치(70)로부터의 최초의 재현 플레이 리퀘스트 Req인 경우에, 단말기 특성 정보 테이블 TBL2에 레코드를 추가한다.
도 2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특성 정보 테이블 TBL2는,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이 실행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동화상 배신 서버(50)에 대해서 재현 플레이 리퀘스트 Req를 송신한 복수의 단말 장치(70)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레코드를 갖는다. 또한, 이하에서는,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이 실행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동화상 배신 서버(50)에 대해서 재현 플레이 리퀘스트 Req를 송신한 단말 장치(70)를, 재현 플레이 실행 단말기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단말기 특성 정보 테이블 TBL2의 각 레코드는, 단말기 ID와, 단말기 특성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 ID란, 복수의 재현 플레이 실행 단말기 중에서 각 재현 플레이 실행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단말기 특성 정보란,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70)의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단말기 특성 정보가, 단말 장치(70)가 갖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종류를 나타내는 OS 종류 정보와, 단말 장치(70)가 갖는 브라우저의 종류를 나타내는 브라우저 종류 정보와, 단말 장치(70)가 갖는 프로세서(7001)의 처리 속도를 나타내는 단말기 처리 속도 정보와, 단말 장치(70)가 갖는 표시부(76)의 화면 사이즈를 나타내는 화면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도 23은,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테이블 TBL3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동화상 배신 서버(50)가 단말 장치(70)로부터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를 수신한 경우에,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테이블 TBL3에 레코드를 추가한다.
도 2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테이블 TBL3은, 동화상 배신 서버(50)가 복수의 재현 플레이 실행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레코드를 갖는다.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테이블 TBL3의 각 레코드는, 재현 결과 ID와,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를 포함한다.
여기서, 재현 결과 ID란, 동화상 배신 서버(50)가 수신한 복수의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 중에서 각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란, 예를 들어 당해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에 대응하는 재현 플레이에 관한 재현 ID와, 당해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를 송신한 단말 장치(70)에 관한 단말기 ID와, 당해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에 대응하는 재현 플레이의 결과를 나타내는 재현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1.5. 동화상 배신 서버의 동작]
이하,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서,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이 행해지는 경우의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 및 도 25는,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이 행해지는 경우의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게임 장치(10-1) 및 게임 장치(10-2)에 있어서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이 개시되고, 게임 장치(10-m)로부터 게임 기본 정보 JK-m이 송신되면, 당해 게임 기본 정보 JK-m을 취득한다(S100).
또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게임 장치(10-1) 및 게임 장치(10-2)에 있어서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이 개시되고, 게임 장치(10-m)로부터 재현용 프로그램 PG-R[1] 내지 PG-R[Q]가 송신되면, 당해 재현용 프로그램 PG-R[1] 내지 PG-R[Q]를 취득한다(S102).
다음으로, 배신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511)는, 동화상 편집 장치(30)로부터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정보 JDE가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4).
스텝 S104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배신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511)는, 처리를 스텝 S110으로 진행시킨다.
스텝 S104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배신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511)는, 스텝 S104에 있어서 공급된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정보 JDE를 취득한다(S106).
그리고, 배신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511)는, 스텝 S106에 있어서 취득한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정보 JDE에 기초하여, 배신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H를 생성한다(S108).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신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H에는,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의 개시부터, 당해 시합 내에 있어서의 경과 시간을 나타내는 게임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게임 장치(10-m)로부터, 게임 진행 상황 정보 JG-m이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10).
스텝 S110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처리를 스텝 S120으로 진행시킨다.
스텝 S110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스텝 S110에 있어서 공급된 게임 진행 상황 정보 JG-m을 취득한다(S112).
다음으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스텝 S112에 있어서 취득한 게임 진행 상황 정보 JG-m에 포함되는 게임 진척 정보 J4가, 게임 재현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14).
스텝 S114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처리를 스텝 S120으로 진행시킨다. 또한, 스텝 S114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스텝 S112에서 취득한 게임 진행 상황 정보 JG-m을 폐기해도 된다.
스텝 S114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스텝 S100에서 취득한 게임 기본 정보 JK-m과, 스텝 S112에서 취득한 게임 진행 상황 정보 JG-m에 기초하여, 게임 재현 관리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게임 재현 관리 정보를, 게임 재현 관리 정보 테이블 TBL1에 기억시킨다(S116).
도 25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단말 장치(70-n)로부터, 재현 플레이 리퀘스트 Req가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20).
스텝 S120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처리를 스텝 S130으로 진행시킨다.
스텝 S120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스텝 S120에 있어서 단말 장치(70-n)로부터 공급된 재현 플레이 리퀘스트 Req에 포함되는 단말기 특성 정보를 취득한다(S122).
다음으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스텝 S122에 있어서 취득한 단말기 특성 정보를, 단말기 특성 정보 테이블 TBL2에 기억시킨다(S124).
그리고,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스텝 S100에서 취득한 게임 기본 정보 JK-m과, 스텝 S112에서 취득한 게임 진행 상황 정보 JG-m과, 스텝 S116에서 생성된 게임 재현 관리 정보와, 스텝 S122에서 취득한 단말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재현 정보 JGG를 생성한다(S126). 구체적으로는,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스텝 S126에 있어서, 재현용 프로그램 PG-R[1] 내지 PG-R[Q] 중에서 스텝 S122에서 취득한 단말기 특성 정보와 대응하는 재현용 프로그램 PG-R[q]를 선택한다. 그리고,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스텝 S126에 있어서, 당해 선택한 재현용 프로그램 PG-R[q]를 포함하는 게임 재현 정보 JGG를 생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단말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재현 정보 JGG를 생성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단말기 특성 정보 대신에, 또는 단말기 특성 정보 외에, 단말 장치(70-n)의 유저 Ut의 조작에 기초하여, 게임 재현 정보 JGG를 생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70-n)의 유저 Ut는, 조작부(74)를 조작함으로써, 재현 플레이 동화상 DS의 재생 양태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해도 된다. 여기서, 재현 플레이 동화상 DS의 재생 양태란, 예를 들어 재현 플레이 동화상 DS의 재생 정밀도, 재현 플레이 동화상 DS를 재생함에 따른 단말 장치(70-n)에 걸리는 처리 부하, 및 재현 플레이 동화상 DS를 재생함에 따른 단말 장치(70-n)에 걸리는 통신 부하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 경우,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단말 장치(70-n)의 유저 Ut에 의한, 재현 플레이 동화상 DS의 재생 양태의 지정 내용에 기초하여, 재현용 프로그램 PG-R[1] 내지 PG-R[Q] 중에서 당해 지정 내용에 따른 재현용 프로그램 PG-R[q]를 선택해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선택한 재현용 프로그램 PG-R[q]를 포함하는 게임 재현 정보 JGG를 생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스텝 S120에 있어서 재현 플레이 리퀘스트 Req를 공급한 단말 장치(70-n)에 대해서, 스텝 S126에 있어서 생성된 게임 재현 정보 JGG를 공급한다(S128).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스텝 S128에 있어서, 게임 재현 정보 JGG에 포함되는 게임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경과 시간이, 배신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H에 포함되는 게임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경과 시간보다도 짧아지도록, 단말 장치(70-n)에 대해서 게임 재현 정보 JGG를 공급한다. 다시 말해,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스텝 S128에 있어서, 단말 장치(70-n)에 있어서, 게임 재현 정보 JGG에 기초하는 재현 플레이가 가능해지는 타이밍 이후에, 단말 장치(70-n)에 있어서, 재현 플레이에 대응하는 부분의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가 열람 가능해지도록, 단말 장치(70-n)에 대해서 게임 재현 정보 JGG를 공급한다. 이 때문에, 단말 장치(70-n)의 유저 Ut는, 게임 장치(10-m)에 있어서 실행되는 야구 게임의 진행 내용 중, 재현 플레이에 대응하는 부분의 진행 내용을 알기 전에, 단말 장치(70-n)에 있어서 재현 플레이를 실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말 장치(70-n)의 유저 Ut는, 게임 장치(10-m)에 있어서 야구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 Ug에 가까운 조건에서, 재현 플레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재현 플레이의 흥취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배신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511)는, 단말 장치(70-n)로부터,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가 공급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30).
스텝 S130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배신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511)는, 처리를 스텝 S138으로 진행시킨다.
스텝 S130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배신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511)는, 단말 장치(70-n)로부터 공급된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를 취득한다(S132).
다음으로, 배신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511)는, 스텝 S132에 있어서 취득한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를,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테이블 TBL3에 기억시킨다(S134).
그리고, 배신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511)는, 스텝 S134에서 취득한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에 기초하여, 재현 플레이 결과 화상 GK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현 플레이 결과 화상 GK를, 단말 장치(70-n)에 대해서 공급하는 배신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H에 편성시킨다(S136).
다음으로, 제어부(51)는,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38).
스텝 S138의 판정 결과가 부정인 경우, 제어부(51)는, 처리를 스텝 S104으로 진행시킨다.
스텝 S138의 판정 결과가 긍정인 경우, 제어부(51)는,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처리를 종료시킨다.
[1.6. 제1 실시 형태의 결론]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신 서버(50)는, 단말 장치(70-n)에 있어서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게임 재현 정보 JGG를 생성하는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70-n)는, 배신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H에 기초하는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의 열람이 가능한 것에 추가로, 게임 재현 정보 JGG에 기초하여, 게임 장치(10-m)로 실행되고 있는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의 재현 플레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말 장치(70-n)의 유저 Ut는, 게임 장치(10-m)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말 장치(70-n)에 있어서 단순히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의 열람이 가능한 것에 불과하며 야구 게임에 관한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70-n)의 유저 Ut가, 게임 장치(10-m)에 있어서 야구 게임을 하는 유저 Ug의 스킬 레벨을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게임 장치(10-m)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야구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예시하는 각 형태에 있어서 작용이나 기능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사용한 부호를 유용하여 각각의 상세한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게임 재현 정보 JGG를 동화상 배신 서버에 있어서 생성하였다. 이에 반하여, 제2 실시 형태는, 게임 재현 정보 JGG를 게임 장치에 있어서 생성한다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2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Sys-A의 개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시스템 Sys-A는, 게임 시스템 SysG 대신에 게임 시스템 SysG-A를 구비하는 점과, 동화상 배신 서버(50) 대신에 동화상 배신 서버(50A)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Sys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게임 시스템 SysG-A는, 게임 장치(10) 대신에 게임 장치(10A)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게임 시스템 SysG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27은, 게임 장치(10A)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7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게임 장치(10A)는, 제어부(11) 대신에 제어부(11A)를 구비하는 점과, 기억부(13) 대신에 기억부(13A)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1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제어부(11A)는,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부(1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13A)는, 게임 재현 관리 정보 테이블 TBL1, 단말기 특성 정보 테이블 TBL2 및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테이블 TBL3을 기억하고 있는 점과, 제어 프로그램 PGG 대신에 제어 프로그램 PGG-A를 기억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억부(13)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로세서(1001)는, 기억 장치(10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PGG-A를 실행하고, 당해 제어 프로그램 PGG-A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제어부(11A)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게임 장치(10A)에 마련되는 제어부(11A)가,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 및 표시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113)에 추가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게임 장치(10A)에 마련되는 기억부(13A)가, 게임 재현 관리 정보 테이블 TBL1을 기억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게임 장치(10A)에 마련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가, 기억부(13A)에 기억되어 있는 투수 일람 정보 J1 및 타자 일람 정보 J2와,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가 생성된 게임 진행 정보 JS에 기초하는 투구 정보 J3과, 게임 재현 관리 정보 테이블 TBL1에 기억되어 있는 게임 재현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재현 정보 JGG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8은, 동화상 배신 서버(50A)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8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동화상 배신 서버(50A)는, 제어부(51) 대신에 제어부(51A)를 구비하는 점과, 기억부(53) 대신에 기억부(53A)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신 서버(5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제어부(51A)는,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 대신에 게임 재현 정보 공급부(513)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부(5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게임 재현 정보 공급부(513)(「공급부」의 일례)는, 동화상 배신 서버(50A)에 있어서 생성된 게임 재현 정보 JGG를 취득함과 함께, 당해 취득한 게임 재현 정보 JGG를, 단말 장치(70-n)에 공급한다.
또한, 기억부(53A)는, 투수 일람 정보 J1, 타자 일람 정보 J2, 게임 재현 관리 정보 테이블 TBL1, 단말기 특성 정보 테이블 TBL2,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테이블 TBL3, 제어 프로그램 PGS 및 재현용 프로그램 PG-R[1] 내지 PG-R[Q] 대신에 제어 프로그램 PGS-A를 기억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억부(53)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로세서(5001)는, 기억 장치(50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PGS-A를 실행하고, 당해 제어 프로그램 PGS-A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제어부(51A)로서 기능한다.
도 2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Sys-A의 동작의 개략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또한, 도 29에서는, 게임 장치(10A-1)의 유저 Ug-1과, 게임 장치(10A-2)의 유저 Ug-2가,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을 행하는 경우의, 정보 처리 시스템 Sys-A의 동작을 예시하고 있다.
도 2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을 행하는 경우, 각 게임 장치(10A-m)는, 시합 개시 처리를 실행한다(S10).
다음으로, 게임 장치(10A-m)는, 야구 게임을 실행하고,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을 진행시킨다(S13). 구체적으로는, 게임 장치(10A-m)에 마련된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는, 조작 정보 JM에 기초하여, 게임 진행 정보 JS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게임 장치(10A-m)는, 게임 진행 정보 JS에 기초하여, 표시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G-m을 생성하고, 생성된 표시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G-m을, 동화상 편집 장치(30)에 대해서 공급한다(S14).
그리고, 동화상 편집 장치(30)는, 표시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G-m에 기초하여,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정보 JDE를 생성하고, 생성된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정보 JDE를, 동화상 배신 서버(50A)에 공급한다(S15).
다음으로, 동화상 배신 서버(50A)는,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정보 JDE에 기초하여, 배신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H를 생성하고, 생성된 배신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H를, 단말 장치(70)에 공급한다(S16).
그리고, 단말 장치(70-n)의 유저 Ut-n의 조작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70-n)가, 동화상 배신 서버(50A)에 대해서, 재현 플레이 리퀘스트 Req를 송신하면 (S18), 동화상 배신 서버(50A)는, 단말 장치(70-n)으로부터 취득한 재현 플레이 리퀘스트 Req를, 게임 장치(10A-m)에 공급한다(S30).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재현 플레이 리퀘스트 Req에는, 단말기 특성 정보가 포함되어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게임 장치(10A-m)가, 동화상 배신 서버(50A)로부터 재현 플레이 리퀘스트 Req를 수신하면, 게임 장치(10A-m)는, 동화상 배신 서버(50A)에 대해서, 게임 재현 정보 JGG를 공급한다(S31).
구체적으로는, 스텝 S31에 있어서, 우선, 게임 장치(10A-m)에 마련된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는, 스텝 S13에 있어서 생성된 게임 진행 정보 JS에 기초하여, 투구 정보 J3과 게임 진척 정보 J4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게임 장치(10A-m)에 마련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투구 정보 J3 및 게임 진척 정보 J4에 기초하여, 게임 재현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게임 장치(10A-m)에 마련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는, 투수 일람 정보 J1, 타자 일람 정보 J2, 투구 정보 J3, 게임 재현 관리 정보 및 재현용 프로그램 PG-R[q]에 기초하여, 게임 재현 정보 JGG를 생성하고, 생성된 게임 재현 정보 JGG를, 동화상 배신 서버(50A)에 공급한다.
다음으로, 동화상 배신 서버(50A)는, 게임 장치(10A-m)로부터 게임 재현 정보 JGG를 취득하고, 취득된 게임 재현 정보 JGG를, 단말 장치(70-n)에 공급한다(S32).
그리고, 단말 장치(70-n)는, 게임 재현 정보 JGG에 기초하여, 재현 플레이를 실행한다(S20).
다음으로, 단말 장치(70-n)는,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를, 동화상 배신 서버(50A)에 대해서 공급한다(S33).
그리고, 동화상 배신 서버(50A)는, 단말 장치(70-n)로부터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를 취득하고, 취득된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를, 단말 장치(70-n)에 공급한다(S34).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는,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에 기초하여 재현 플레이 결과 화상 GK를 생성하고, 생성된 재현 플레이 결과 화상 GK를,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m에 편성시킨다.
그 후, 정보 처리 시스템 Sys-A는,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이 종료될 때까지의 동안, 스텝 S14 내지 S16, S18, S20 및 S30 내지 S34의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10A-m)는, 단말 장치(70-n)에 있어서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게임 재현 정보 JGG를 생성하는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말 장치(70-n)에 있어서 단순히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의 열람이 가능한 것에 불과하며 야구 게임에 관한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70-n)의 유저 Ut가, 게임 장치(10-m)에 있어서 야구 게임을 하는 유저 Ug의 스킬 레벨을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게임 장치(10-m)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야구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제3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재현 플레이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게임 장치는, 단말 장치에 대해서 게임 재현 정보 JGG를 공급하였다. 이에 반하여, 제3 실시 형태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재현 플레이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게임 장치가, 단말 장치에 대해서 게임 진행 정보 JS를 공급하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30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Sys-B의 개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시스템 Sys-B는, 게임 시스템 SysG 대신에 게임 시스템 SysG-B를 구비하는 점과, 단말 장치(70) 대신에 단말 장치(70B)를 구비하는 점과, 동화상 배신 서버(50)를 구비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Sys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게임 시스템 SysG-B는, 게임 장치(10) 대신에 게임 장치(10B)를 구비하는 점과, 동화상 편집 장치(30) 대신에 게임 관리 서버(40)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게임 시스템 SysG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도 31은, 게임 장치(10B)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1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게임 장치(10B)는, 제어부(11) 대신에 제어부(11B)를 구비하는 점과, 기억부(13) 대신에 기억부(13B)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1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제어부(11B)는,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 대신에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B)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부(1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B)는, 투구 정보 J3 및 게임 진척 정보 J4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B)는, 조작 정보 JM에 기초하여 게임 진행 정보 JS를 생성하고, 생성된 게임 진행 정보 JS를, 게임 관리 서버(40)를 통해 단말 장치(70B)에 공급한다.
또한, 기억부(13B)는, 제어 프로그램 PGG 대신에 제어 프로그램 PGG-B를 기억하고 있는 점과, 투구 정보 J3, 게임 진척 정보 J4 및 재현용 프로그램 PG-R[1] 내지 PG-R[Q]를 기억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억부(13)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로세서(1001)는, 기억 장치(10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PGG-B를 실행하고, 당해 제어 프로그램 PGG-B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제어부(11B)로서 기능한다.
도 32는, 게임 관리 서버(4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2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게임 관리 서버(40)는, 게임 관리 서버(4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제어부(41)와, 게임 관리 서버(40)의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PGK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43)와, 게임 관리 서버(4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실행하기 위한 통신부(45)를 구비한다.
이 중, 제어부(41)는, 게임 장치(10B)로부터 게임 진행 정보 JS를 취득함과 함께, 취득한 게임 진행 정보 JS를, 단말 장치(70B)에 공급한다.
도 33은, 게임 관리 서버(4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3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게임 관리 서버(40)는, 게임 관리 서버(40)의 각 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4001)와,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4003)와, 게임 관리 서버(4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장치(4005)를 구비한다.
이 중, 기억 장치(4003)는, 프로세서(4001)의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와, 제어 프로그램 PGK 등의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EEPROM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의,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고, 기억부(43)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프로세서(4001)는, 예를 들어 1개 또는 복수의 CPU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세서(4001)는, 기억 장치(40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PGK를 실행하고, 제어 프로그램 PGK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제어부(41)로서 기능한다.
또한, 통신 장치(4005)는, 유선 네트워크 및 무선 네트워크의 한쪽 또는 양쪽을 통해 게임 관리 서버(40)의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이며, 통신부(45)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
도 34는, 단말 장치(70B)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70B)는, 제어부(71) 대신에 제어부(71B)를 구비하는 점과, 기억부(73) 대신에 기억부(73B)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7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제어부(71B)는,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를 구비하는 점과, 표시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113)를 구비하는 점과,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B)를 구비하는 점과, 재현 플레이 실행부(712) 대신에 재현 플레이 실행부(712B)를 구비하는 점과, 배신용 게임 동화상 재생부(711)를 구비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부(7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B)는, 게임 재현 정보 JGG 대신에 후술하는 게임 재현 정보 JGG-B를 생성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또한, 재현 플레이 실행부(712B)는, 게임 재현 정보 JGG 대신에 게임 재현 정보 JGG-B에 기초하여 재현 플레이를 실행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재현 플레이 실행부(712)와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73B)는, 투수 일람 정보 J1, 타자 일람 정보 J2, 투구 정보 J3, 게임 진척 정보 J4, 게임 재현 정보 JGG-B, 및 게임 재현 관리 정보 테이블 TBL1을 기억하고 있는 점과, 제어 프로그램 PGT 대신에 제어 프로그램 PGT-B를 기억하고 있는 점과, 재현용 프로그램 PG-R[q]를 기억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억부(73)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게임 재현 정보 JGG-B는, 재현용 프로그램 PG-R[q]를 포함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게임 재현 정보 JGG와 마찬가지의 데이터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로세서(7001)는, 기억 장치(70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PGT-B를 실행하고, 당해 제어 프로그램 PGT-B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제어부(71B)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장치(70B)에 마련되는 제어부(71B)가,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B)와, 재현 플레이 실행부(712B)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B)는, 게임 진행 정보 JS에 기초하여, 게임 재현 정보 JGG-B를 생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재현 플레이 실행부(712B)는, 게임 재현 정보 JGG-B에 기초하여, 재현 플레이를 실행한다.
도 3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Sys-B의 동작의 개략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또한, 도 35에서는, 게임 장치(10A-1)의 유저 Ug-1과, 게임 장치(10A-2)의 유저 Ug-2가,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을 행하는 경우의, 정보 처리 시스템 Sys-B의 동작을 예시하고 있다.
도 3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을 행하는 경우, 각 게임 장치(10B-m)는, 시합 개시 처리를 실행한다(S10).
다음으로, 각 게임 장치(10B-m)는, 게임 기본 정보 JK-m을, 게임 관리 서버(40)에 대해서 공급한다(S11).
다음으로, 게임 관리 서버(40)는, 게임 장치(10B-m)로부터 취득한 게임 기본 정보 JK-m을, 단말 장치(70B)에 공급한다(S40).
다음으로, 게임 장치(10B-m)는, 야구 게임을 실행하고, 야구 게임에 관한 시합을 진행시킨다(S13). 구체적으로는, 게임 장치(10B-m)에 마련된 제어부(11B)가 구비하는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112B)(「게임 실행부」의 일례)는, 조작 정보 JM에 기초하여, 게임 진행 정보 JS를 생성한다.
그리고, 게임 장치(10B-m)는, 게임 진행 정보 JS를, 게임 관리 서버(40)에 대해서 공급한다(S41). 또한, 게임 장치(10B-m)에 마련된 제어부(11B)는, 스텝 S41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정보 출력부」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게임 관리 서버(40)는, 게임 장치(10B-m)로부터 취득한 게임 진행 정보 JS를, 단말 장치(70B)에 공급한다(S42).
그리고, 단말 장치(70B)는, 게임 관리 서버(40)로부터 취득한 게임 진행 정보 JS에 기초하여, 배신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H를 생성함과 함께, 재현 플레이를 실행한다(S43).
구체적으로는, 스텝 S43에 있어서, 단말 장치(70B)에 마련된 표시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113)는, 게임 진행 정보 JS에 기초하여, 표시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G를 생성하고, 표시부(76)에,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를 표시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70B)에 마련된 표시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113)는,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에 대해서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를 표시시킨다.
또한, 스텝 S43에 있어서, 단말 장치(70B)에 마련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B)는, 게임 진행 정보 JS에 기초하여, 투구 정보 J3과 게임 진척 정보 J4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단말 장치(70B)에 마련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B)는, 투구 정보 J3 및 게임 진척 정보 J4에 기초하여, 게임 재현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단말 장치(70B)에 마련된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B)는, 투수 일람 정보 J1, 타자 일람 정보 J2, 투구 정보 J3 및 게임 재현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재현 정보 JGG-B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70B)에 마련된 재현 플레이 실행부(712B)는, 단말 장치(70B)의 유저 Ut가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를 누른 경우에, 게임 재현 정보 JGG-B에 기초하여, 재현 플레이를 실행한다.
이상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70B)는, 단말 장치(70B)에 있어서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게임 재현 정보 JGG-B를 생성하는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B)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단말 장치(70B)에 있어서 단순히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의 열람이 가능한 것에 불과하며 야구 게임에 관한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70B)의 유저 Ut가, 게임 장치(10B)에 있어서 야구 게임을 하는 유저 Ug의 스킬 레벨을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게임 장치(10B)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야구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변형예]
이상의 각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인 변형의 양태를 이하에 예시한다. 이하의 예시로부터 임의로 선택된 2 이상의 양태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병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예시하는 변형예에 있어서 작용이나 기능이 실시 형태와 동등한 요소에 대해서는, 이상의 설명에서 참조한 부호를 유용하여 각각의 상세한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변형예 1]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 또는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에는, 단일의 재현 플레이에 대응하는 단일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가 표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 또는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에는, 복수의 재현 플레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가 표시되어도 된다. 이 경우, 단말 장치(70)(또는, 단말 장치(70B))의 유저 Ut는, 복수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 중에서 하나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를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재현 플레이 중에서 하나의 재현 플레이를 실행 가능해도 된다.
도 36은, 본 변형예에 따른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의 개요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있어서,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에는, 복수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BP1 내지 BP3)를 포함하는 재현 플레이 선택 화상 GC가 표시된다. 단말 장치(70)(또는, 단말 장치(70B))의 유저 Ut는, 당해 재현 플레이 선택 화상 GC에 포함되는 복수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 중에서 하나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를 선택함으로써, 당해 복수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와 대응하는 복수의 재현 플레이 중에서 단말 장치(70)(또는, 단말 장치(70B))에 있어서 실행 가능하게 되는 하나의 재현 플레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재현 플레이 선택 화상 GC가,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에 표시되는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현 플레이 선택 화상 GC는,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에 표시되어도 되고, 또는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DE에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단말 장치(70)(또는, 단말 장치(70B))의 유저 Ut가,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에 표시되는 재현 플레이 선택 화상 GC에 포함되는 복수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 중에서 하나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를 선택하는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게임 장치(10)(또는, 게임 장치(10A), 혹은 게임 장치(10B))의 유저 Ug가, 표시용 게임 동화상 DG에 표시되는 재현 플레이 선택 화상 GC에 포함되는 복수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 중에서 하나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를 선택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동화상 편집 장치(30)의 오퍼레이터가, 편집 완료 게임 동화상 DE에 표시되는 재현 플레이 선택 화상 GC에 포함되는 복수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 중에서 하나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를 선택해도 된다.
도 37은, 본 변형예의 제1 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신 서버(50C)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또한, 동화상 배신 서버(50C)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Sys에 있어서,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대신에 마련된다.
도 37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동화상 배신 서버(50C)는, 제어부(51) 대신에 제어부(51C)를 구비하는 점과, 기억부(53) 대신에 기억부(53C)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신 서버(5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제어부(51C)는, 게임 재현 후보 제시부(800)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부(5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게임 재현 후보 제시부(800)(「제시부」의 일례)는, 게임 재현 관리 정보 테이블 TBL1에 기억되는 복수의 레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재현 대상 투구 중에서 2 이상의 재현 대상 투구를 선택하고, 선택한 2 이상의 재현 대상 투구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2 이상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배신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511)는, 게임 재현 후보 제시부(800)의 생성된, 2 이상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재현 플레이 선택 화상 GC가 포함된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를 나타내는 배신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H를 생성한다.
또한, 기억부(53C)는, 제어 프로그램 PGS 대신에 제어 프로그램 PGS-C를 기억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억부(53)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형태에 있어서, 프로세서(5001)는, 기억 장치(50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PGS-C를 실행하고, 당해 제어 프로그램 PGS-C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제어부(51C)로서 기능한다.
도 38은, 본 변형예의 제2 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10C)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또한, 게임 장치(10C)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Sys-A에 있어서, 게임 장치(10A)의 대신에 마련된다.
도 38에 예시한 바와 같이, 게임 장치(10C)는, 제어부(11A) 대신에 제어부(11C)를 구비하는 점과, 기억부(13A) 대신에 기억부(13C)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10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제어부(11C)는, 게임 재현 후보 제시부(800)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부(11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13C)는, 제어 프로그램 PGG-A 대신에 제어 프로그램 PGG-C를 기억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억부(13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형태에 있어서, 프로세서(1001)는, 기억 장치(10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PGG-C를 실행하고, 당해 제어 프로그램 PGG-C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제어부(11C)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본 변형예에 의하면, 단말 장치(70)(또는, 단말 장치(70B))의 유저 Ut는, 복수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 중에서 하나의 재현 플레이 요구 버튼 BP를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재현 플레이 중에서 하나의 재현 플레이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변형예에 의하면, 유저 Ut가 실행 가능한 재현 플레이를 선택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재현 플레이의 흥취성을 높일 수 있다.
[변형예 2]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에 있어서, 단말 장치(70)(또는, 단말 장치(70B))의 유저 Ut에 의한 재현 플레이의 실행 결과에 기초하여, 유저 Ut 및 게임 장치(10)(또는, 게임 장치(10A), 게임 장치(10B), 혹은 게임 장치(10C))의 유저 Ug의, 한쪽 또는 양쪽에 대해서, 포인트가 부여되어도 된다. 여기서, 포인트란, 야구 게임에 관련된 가치여도 되고,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에 관련된 가치여도 되고, 게임 장치(10)의 유저 Ug 혹은 단말 장치(70)의 유저 Ut에 있어서 가치가 있는 것이어도 되고, 야구 게임에 있어서 가치가 있는 것이어도 되고, 상품이어도 되며, 또는 금전적인 가치여도 된다.
도 39는, 본 변형예에 따른 동화상 배신 서버(50D)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또한, 동화상 배신 서버(50D)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 Sys에 있어서,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대신에 마련된다.
도 39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동화상 배신 서버(50D)는, 제어부(51) 대신에 제어부(51D)를 구비하는 점과, 기억부(53) 대신에 기억부(53D)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동화상 배신 서버(5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제어부(51D)는, 포인트 부여부(900)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부(51)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53D)는, 유저 포인트 관리 정보 테이블 TBL4를 기억하고 있는 점과, 제어 프로그램 PGS 대신에 제어 프로그램 PGS-D를 기억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억부(53)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저 포인트 관리 정보 테이블 TBL4란, 게임 장치(10)(또는, 게임 장치(10A), 게임 장치(10B), 혹은 게임 장치(10C))의 유저 Ug가 갖는 포인트에 관한 정보와, 단말 장치(70)(또는, 단말 장치(70B))의 유저 Ut가 갖는 포인트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테이블이다. 또한, 포인트 부여부(900)(「가치 제공부」의 일례)는,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가 나타내는 재현 플레이의 결과에 따라서, 각 유저 Ug 및 각 유저 Ut의 한쪽 또는 양쪽에 대해서, 포인트를 부여한다. 구체적으로는, 포인트 부여부(900)는,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가 나타내는 재현 플레이의 결과에 따라서, 유저 포인트 관리 정보 테이블 TBL4에 기억되어 있는, 유저 Ug가 갖는 포인트에 관한 정보와, 유저 Ut가 갖는 포인트에 관한 정보의, 한쪽 또는 양쪽을 갱신한다.
또한, 본 형태에 있어서, 프로세서(5001)는, 기억 장치(5003)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PGS-D를 실행하고, 당해 제어 프로그램 PGS-D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제어부(51D)로서 기능한다.
이상과 같이, 본 변형예에 의하면, 재현 플레이의 결과에 따라서, 유저 Ug 및 유저 Ut의 한쪽 또는 양쪽에 포인트가 부여되기 때문에, 유저 Ug 및 유저 Ut에 포인트가 부여되지 않는 양태와 비교하여, 재현 플레이의 흥취성을 높일 수 있다.
[변형예 3]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 그리고 변형예 1 및 2에서는, 재현 플레이로서, 게임 장치(10)의 유저 Ug의 조작에 기초하는 투수 캐릭터 CP에 의한 볼 오브젝트 OBL의 투구에 대한, 단말 장치(70)의 유저 Ut의 조작에 기초하는 타자 캐릭터 CB에 의한 배트 오브젝트 OBT를 사용한 타격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현 플레이는, 단말 장치(70)의 유저 Ut가, 재현 플레이를 진행시키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타이밍, 또는 단말 장치(70)의 유저 Ut가, 재현 플레이를 진행시키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타이밍 이후에 있어서, 재현 플레이의 진행에 게임 장치(10)의 유저 Ug의 조작이 개재되지 않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어, 재현 플레이로서는, 게임 장치(10)의 유저 Ug의 조작에 기초하는 타자 캐릭터 CB에 의한 타격에 대한, 단말 장치(70)의 유저 Ut의 조작에 기초하는 야수 캐릭터(타자 캐릭터 CB)에 의한 수비를 채용할 수도 있다.
[변형예 4]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 그리고 변형예 1 내지 3에서는, 단말 장치(70)(또는, 단말 장치(70B))에 대해서,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를 나타내는 배신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H가 공급되는 경우를 상정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 장치(70)(또는, 단말 장치(70B))는,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를 나타내는 배신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H가 공급되지 않는 장치여도 된다.
[변형예 5]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4에 있어서, 단말 장치(70)(또는, 단말 장치(70B))는, 야구 게임의 실행을 할 수 없는 장치여도 된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 형태 그리고 변형예 1 내지 4에 있어서, 단말 장치(70)(또는, 단말 장치(70B))는, 게임 장치(10)(또는, 게임 장치(10A), 게임 장치(10B), 혹은 게임 장치(10C))에 있어서 실행 가능한 게임을 실행할 수 없는 장치여도 된다.
[변형예 6]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 및 변형예 1 내지 5에서는, 「게임」의 일례로서 야구 게임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임」으로서는, 임의의 게임을 채용할 수 있다.
[5. 부기]
이상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파악된다. 또한, 각 양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하에서는, 도면의 참조 부호를 편의상 괄호쓰기로 부기하지만, 본 발명을 도시한 양태에 한정한다는 취지는 아니다.
[부기 A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게임(예를 들어, 야구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예를 들어, 표시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G)를 생성하는 게임 장치(예를 들어, 게임 장치(10))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예를 들어,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프로그램이며,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5001))를,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예를 들어,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을 나타내는 배신 정보(예를 들어, 배신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H)를 생성하는 배신 정보 생성부(예를 들어, 배신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511))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가 생성하는 상기 배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예를 들어, 단말 장치(70))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예를 들어, 게임 재현 정보 JGG)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예를 들어,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예를 들어, 제어 프로그램 PGS)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예를 들어, 기억 장치(500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에 추가로, 재현 정보 생성부가 생성하는 재현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다. 즉,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배신 동화상의 표시가 가능한 것에 불과하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동화상 정보」는, 예를 들어 단위 기간마다 갱신되는 게임 화상을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복수의 단위 기간과 일대일로 대응하는 복수의 게임 화상의 집합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며, 또는 이들에 대하여 음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한 정보여도 된다. 여기서, 「단위 기간」은,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 길이를 갖는 기간이어도 되고, 또는 변동 가능한 시간 길이를 갖는 기간이어도 된다. 또한, 「게임 화상」은,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을 나타내는 정지 화상이어도 되고, 또는 게임 장치의 유저가 게임에 관한 조작을 행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내는 정지 화상이어도 된다. 또한, 「음성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에 있어서 발생하는 소리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또는 게임 장치의 유저가 게임에 관한 조작을 행하는 것에 따른 게임 장치가 발생시키는 소리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배신 동화상」은, 예를 들어 동화상 정보가 나타내는 동화상과 동일한 동화상이어도 되고, 동화상 정보가 나타내는 동화상의 해상도를 변경한 동화상이어도 되며, 또는 동화상 정보가 나타내는 동화상에 대하여 동화상 정보가 나타내는 동화상과는 다른 동화상 또는 정지 화상을 부가한 동화상이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게임의 진행 상황」은, 예를 들어 게임이 진행되는 각 시점 혹은 각 기간에 있어서의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의 상황이어도 되고, 또는 게임이 진행하는 각 시점 혹은 각 기간에 있어서의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게임 장치의 조작 내용이어도 된다.
여기서,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의 상황」은, 예를 들어 가상 공간에 존재하는 캐릭터의 상황이어도 되고, 또는 가상 공간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의 상황이어도 된다. 이 중, 「캐릭터의 상황」은, 예를 들어 당해 캐릭터의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생존 가능성이어도 되고, 당해 캐릭터의 스킬 레벨이어도 되고, 당해 캐릭터의 소지 아이템이어도 되고, 당해 캐릭터의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위치, 자세, 동작,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여도 되며, 또는 이들의 일부 혹은 전부여도 된다. 또한, 「오브젝트의 상황」은, 예를 들어 당해 오브젝트의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존속 가능성이어도 되고, 당해 오브젝트의 가상 공간에 있어서의 위치, 자세, 동작,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의 일부 또는 전부여도 되고, 또는 이들의 일부 혹은 전부여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게임을 실행하기 위한 게임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된 단말 장치여도 되고, 또는 게임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지 않은 단말 장치여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게임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당해 단말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실행 가능해도 된다. 즉, 단말 장치에 있어서, 게임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지 않은 경우, 당해 단말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실행할 수 없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게임의 재현 플레이」는, 예를 들어 게임 장치 이외의 외부 장치에 있어서,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진행 상황을 재현하고, 당해 재현된 상황에 있어서의 게임을, 외부 장치의 유저가 플레이하는 것이어도 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상술한 단말 장치와 같이, 배신 동화상을 표시 가능한 장치여도 되고, 또는 배신 동화상을 표시할 수 없는 장치여도 된다. 또한, 「외부 장치」는,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된 장치여도 되고, 또는 게임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지 않은 장치여도 된다. 또한, 외부 장치에, 게임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는 경우, 외부 장치에 있어서 게임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 즉, 게임을 실행함으로써, 외부 장치의 유저가,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도 된다. 한편, 외부 장치에, 게임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지 않은 경우, 외부 장치에 있어서, 게임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이외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 예를 들어 웹브라우저에 관련된 프로그램, 또는 동화상 재생 소프트웨어에 관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외부 장치의 유저가,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도 된다.
[부기 A2]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부기 A1에 기재된 기록 매체이며, 상기 재현 정보 생성부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가 실행 가능해지는 타이밍 이후에,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상기 배신 동화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재현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의 유저는, 각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게임의 재현 플레이가 가능해지는 타이밍보다도 전에, 각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배신 동화상을 열람할 수 없다. 즉,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각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배신 동화상이 표시되기 전에, 각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에 있어서, 각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배신 동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된 후에, 각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게임의 재현 플레이가 가능하게 되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에 가까운 조건에서, 각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재현 플레이의 흥취성을 높일 수 있다.
[부기 A3]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부기 A1 또는 A2에 기재된 기록 매체이며,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에 의한, 상기 재현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를 나타내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결과 정보(예를 들어, 재현 플레이 결과 정보 JSG)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있어서, 배신 정보 생성부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에 따라서, 배신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를, 배신 동화상에 반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배신 동화상에 대해서,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가 반영되지 않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흥취성을 높일 수 있다.
[부기 A4]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부기 A1 내지 A3에 기재된 기록 매체이며, 상기 재현 정보 생성부는, 상기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단말 장치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의 각각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결과 정보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의 각각의 유저에 의한, 상기 재현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있어서, 배신 정보 생성부는, 복수의 단말 장치의 각각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에 따라서 배신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복수의 단말 장치의 각각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를, 배신 동화상에 반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당해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를, 다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와 비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배신 동화상에 대해서, 복수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가 반영되지 않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흥취성을 높일 수 있다.
[부기 A5]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부기 A1 내지 A3에 기재된 기록 매체이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에 의한, 상기 재현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를 나타내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에 대해서, 가치(예를 들어, 포인트)를 제공하는 가치 제공부(예를 들어, 포인트 부여부(900))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가치 제공부가,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에 따라서, 단말 장치의 유저에 대해서 가치를 제공하기 때문에, 단말 장치의 유저에 대해서 가치가 제공되지 않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흥취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가치」는, 예를 들어 게임에 관련된 가치여도 되고, 게임 장치의 유저 혹은 단말 장치의 유저에게 있어서 가치가 있는 것이어도 되고, 게임에 있어서 가치가 있는 것이어도 되고, 상품이어도 되며, 또는 금전적인 가치여도 된다.
[부기 A6]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부기 A1 내지 A3 또는 부기 A5에 기재된 기록 매체이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에 의한, 상기 재현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를 나타내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장치의 유저에 대해서, 가치를 제공하는 가치 제공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가치 제공부가,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에 따라서, 게임 장치의 유저에 대하여 가치를 제공하기 때문에, 게임 장치의 유저에 대하여 가치가 제공되지 않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흥취성을 높일 수 있다.
[부기 A7]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부기 A1 내지 A3 또는 부기 A5 혹은 A6에 기재된 기록 매체이며, 상기 재현 정보 생성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특성을 나타내는 단말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재현 정보 생성부가, 단말 장치의 특성에 따라서 재현 정보를 생성하기 때문에,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말 장치의 특성에 따른 양태에서의 게임의 재현 플레이가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재현 정보가 생성되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에 있어서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행하는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행할 때에 발생하는 부하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의 특성」은, 예를 들어 단말 장치에 관한 하드웨어에 관한 특성이어도 되고, 또는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에 관한 특성이어도 된다.
여기서, 「단말 장치에 관한 하드웨어에 관한 특성」은, 예를 들어 단말 장치에 마련된 연산 처리 장치의 처리 성능에 관한 특성이어도 되고, 또는 단말 장치에 마련된 표시 장치의 표시 성능에 관한 특성이어도 된다. 즉, 「단말기 특성 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에 마련된 연산 처리 장치의 처리 성능에 관한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또는 단말 장치에 마련된 표시 장치의 표시 성능에 관한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소프트웨어에 관한 특성」은, 예를 들어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종류여도 되고, 또는 단말 장치에 특정한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즉, 「단말기 특성 정보」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에 인스톨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되고, 또는 단말 장치에 특정한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여기서, 「특정한 프로그램」은, 게임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부기 A8]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부기 A1 내지 A3 또는 부기 A5 내지 A7에 기재된 기록 매체이며, 상기 재현 정보 생성부는, 상기 게임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의 재현 플레이에 있어서,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와, 게임에 관한 대전 또는 협력을 의사적으로 체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가,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와, 게임에 관한 대전 또는 협력을 의사적으로 체험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흥취성을 높일 수 있다.
[부기 A9]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예를 들어, 동화상 배신 서버(50A))의 프로그램이며,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나타내는 배신 정보를 생성하는 배신 정보 생성부(예를 들어, 배신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511))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가 생성되는 상기 배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상기 게임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당해 취득한 재현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공급하는 공급부(예를 들어, 게임 재현 정보 공급부(513))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예를 들어, 제어 프로그램 PGS-A)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예를 들어, 기억 장치(500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배신 동화상이 표시되는 것에 불과하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부기 A10]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게임 장치(예를 들어, 게임 장치(10A))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1001))를,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제어부(예를 들어, 게임 제어부(111))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예를 들어,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예를 들어, 제어 프로그램 PGG-A)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예를 들어, 기억 장치(100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배신 동화상이 표시되는 것에 불과하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부기 A11]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게임 장치(예를 들어, 게임 장치(10B))의 프로세서를,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실행부와, 상기 재현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예를 들어, 제어 프로그램 PGG-B)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예를 들어, 기억 장치(100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게임에 관한 동화상이 표시되는 것에 불과하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부기 A12]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서버 장치는,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이며,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나타내는 배신 정보를 생성하는 배신 정보 생성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가 생성되는 상기 배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배신 동화상이 표시되는 것에 불과하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부기 A13]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는,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제어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배신 동화상이 표시되는 것에 불과하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부기 A14]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은,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나타내는 배신 정보를 생성하는 배신 정보 생성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가 생성되는 상기 배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배신 동화상이 표시되는 것에 불과하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부기 A15]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은,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제어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배신 동화상이 표시되는 것에 불과하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부기 A16]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 Sys)은,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장치와, 상기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며,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나타내는 배신 정보를 생성하는 배신 정보 생성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가 생성되는 상기 배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배신 동화상이 표시되는 것에 불과하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부기 B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게임 장치(예를 들어, 게임 장치(10A))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1001))를, 게임(예를 들어, 야구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제어부(예를 들어, 게임 제어부(111))와, 상기 게임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예를 들어, 재현 대상 투구)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예를 들어, 게임 재현 정보 JGG)를 생성하는 생성부(예를 들어,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예를 들어, 제어 프로그램 PGG-A)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예를 들어, 기억 장치(1003))인 것를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재현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다. 즉,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게임에 관한 동화상이 표시되는 것에 불과하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제어부와, 상기 게임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부기 B2]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부기 B1에 기재된 기록 매체이며, 상기 게임 제어부는, 상기 게임의 진행에 따라서,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예를 들어, 표시용 게임 동화상 정보 JDG)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예를 들어, 배신용 게임 동화상 DH)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예를 들어, 단말 장치(70))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배신 동화상의 열람이 가능한 것에 추가로,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배신 동화상이 표시되는 것에 불과하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부기 B3]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부기 B1 또는 B2에 기재된 기록 매체이며, 상기 생성부는, 상기 게임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이, 소정 조건(예를 들어, 게임 재현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소정 조건을 충족시키는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진행 상황이, 예를 들어 재현 플레이에 적합한 상황인 경우에, 당해 상황에 있어서의 게임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에 있어서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소정 조건」은, 예를 들어 게임에 관한 가상 공간의 상황에 관련된 조건이어도 되고,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게임 장치의 조작 내용에 관련된 조건이어도 되고, 게임의 룰에 관련된 조건이어도 되며, 또는 이들의 일부 혹은 전부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소정 조건」은, 예를 들어 게임의 진행 상황이, 소정의 상황이 된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된다. 또한, 「소정 조건」은, 예를 들어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해 게임 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내용의 조작이 이루어진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된다. 또한, 「소정 조건」은, 예를 들어 게임의 진행 상황이, 게임의 룰로서 정해져 있는 1개 또는 복수의 사항 중, 소정의 사항에 해당하는 상황이 된다고 하는 조건이어도 된다.
[부기 B4]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부기 B1 내지 B3에 기재된 기록 매체이며, 상기 생성부는, 상기 게임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의 재현 플레이에 있어서,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와, 게임에 관한 대전 또는 협력을 의사적으로 체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가,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와, 게임에 관한 대전 또는 협력을 의사적으로 체험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재현 플레이의 흥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부기 B1 내지 B3에 기재된 기록 매체이며,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재현 플레이를 진행시키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타이밍에 있어서, 상기 재현 플레이의 진행에는, 상기 게임 장치의 유저 조작, 및 상기 게임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 조작은 개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게임 장치의 조작, 및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다른 게임 장치의 조작을 개재시키지 않고, 단말 장치의 유저에 의한 단말 장치의 조작만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와의 게임에 관한 대전 또는 협력을 의사적으로 체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부기 B1 내지 B3에 기재된 기록 매체이며,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재현 플레이를 진행시키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타이밍 이후에 있어서, 상기 재현 플레이의 진행에는, 상기 게임 장치의 유저 조작, 및 상기 게임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 조작은 개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게임 장치의 조작, 및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다른 게임 장치의 조작을 개재시키지 않고, 단말 장치의 유저에 의한 단말 장치의 조작만에 의해 실행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 장치의 유저에 의한,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와의 게임에 관한 대전 또는 협력을 의사적으로 체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부기 B5]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부기 B1 내지 B4에 기재된 기록 매체이며, 상기 프로그램은,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게임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 가능한 복수의 상황을 제시하는 제시부(예를 들어, 게임 재현 후보 제시부(800))로서 더 기능시키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시부에 의해 제시된 상기 복수의 상황 속에서 선택된 하나의 상황을 나타내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하나의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의 유저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진행 상황이, 예를 들어 재현 플레이에 적합한 상황인 경우에, 당해 상황에 있어서의 게임을 실제로 체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에 있어서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부기 B6]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기록 매체는, 단말 장치(예를 들어, 단말 장치(70)), 및 게임(예를 들어, 야구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예를 들어, 게임 장치(10))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예를 들어, 동화상 배신 서버(50))의 프로그램이며,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5001))를,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진행 상황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진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장치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예를 들어, 재현 대상 투구)을 나타내고,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예를 들어, 게임 재현 정보 JGG)를 생성하는 생성부(예를 들어,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512))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예를 들어, 제어 프로그램 PGS)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예를 들어, 기억 장치(500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재현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게임에 관한 동화상이 표시되는 것에 불과하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부기 B7]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는,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제어부와, 상기 게임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재현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게임에 관한 동화상이 표시되는 것에 불과하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부기 B8]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서버 장치는, 단말 장치 및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이며,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진행 상황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진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장치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재현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게임에 관한 동화상이 표시되는 것에 불과하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부기 B9]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은,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제어부와, 상기 게임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재현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게임에 관한 동화상이 표시되는 것에 불과하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부기 B10]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단말 장치 및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진행 상황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진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장치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재현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게임에 관한 동화상이 표시되는 것에 불과하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부기 B11]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며,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진행 상황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진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장치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재현 정보에 기초하여, 게임 장치에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단말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게임에 관한 동화상이 표시되는 것에 불과하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할 수 없는 양태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의 유저가, 게임 장치에 있어서 게임을 플레이하는 유저의 스킬 레벨, 및 게임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고 있는 게임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 게임 장치
11: 제어부
13: 기억부
14: 조작부
15: 통신부
20: 표시 장치
30: 동화상 편집 장치
40: 게임 관리 서버
50: 동화상 배신 서버
51: 제어부
53: 기억부
55: 통신부
70: 단말 장치
71: 제어부
73: 기억부
74: 조작부
75: 통신부
76: 표시부
111: 게임 제어부
112: 게임 진행 정보 생성부
113: 표시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
511: 배신용 동화상 정보 생성부
512: 게임 재현 정보 생성부
1001: 프로세서
5001: 프로세서
7001: 프로세서
Sys: 정보 처리 시스템
SysG: 게임 시스템

Claims (27)

  1.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의 프로그램이며,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나타내는 배신 정보를 생성하는 배신 정보 생성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가 생성하는 상기 배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
    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
    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현 정보 생성부는,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가 실행 가능해지는 타이밍 이후에,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의 상기 배신 동화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재현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에 의한, 상기 재현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를 나타내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현 정보 생성부는,
    상기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단말 장치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의 각각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는,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복수의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결과 정보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의 각각의 유저에 의한, 상기 재현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에 의한, 상기 재현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를 나타내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에 대해서, 가치를 제공하는 가치 제공부
    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에 의한, 상기 재현 정보에 기초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의 결과를 나타내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장치의 유저에 대해서, 가치를 제공하는 가치 제공부
    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7.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현 정보 생성부는,
    상기 단말 장치의 특성을 나타내는 단말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8.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현 정보 생성부는,
    상기 게임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9.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의 프로그램이며,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나타내는 배신 정보를 생성하는 배신 정보 생성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가 생성하는 상기 배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상기 게임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당해 취득한 재현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에 공급하는 공급부
    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제어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
    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
    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실행부와,
    상기 재현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
    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이며,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나타내는 배신 정보를 생성하는 배신 정보 생성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가 생성하는 상기 배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
    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13.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제어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
    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14.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장치
    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나타내는 배신 정보를 생성하는 배신 정보 생성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가 생성하는 상기 배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
    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
    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
  15.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제어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
    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
    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16.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장치와,
    상기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며,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나타내는 배신 정보를 생성하는 배신 정보 생성부와,
    상기 게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배신 정보 생성부가 생성하는 상기 배신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
    를 생성하는 재현 정보 생성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17.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제어부와,
    상기 게임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
    를 생성하는 생성부
    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제어부는,
    상기 게임의 진행에 따라서,
    상기 게임에 관한 동화상을 나타내는 동화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동화상 정보에 기초하는 배신 동화상을 표시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
    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게임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이, 소정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소정 조건을 충족시키는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
    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게임 장치와 통신하고, 상기 게임을 실행하는 다른 게임 장치의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재현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게임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 가능한 복수의 상황을 제시하는 제시부
    로서 더 기능시키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시부에 의해 제시된 상기 복수의 상황 속에서 선택된 하나의 상황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하나의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
    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2. 단말 장치, 및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의 프로그램이며,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진행 상황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진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장치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
    를 생성하는 생성부
    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3.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제어부와,
    상기 게임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
    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24. 단말 장치, 및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이며,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진행 상황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진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장치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
    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
  25. 게임 장치의 프로세서를,
    게임을 진행시키는 게임 제어부와,
    상기 게임 제어부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
    를 생성하는 생성부
    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26. 단말 장치, 및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서버 장치의 프로세서를,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진행 상황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진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장치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
    를 생성하는 생성부
    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
  27.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 장치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며,
    상기 게임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진행 상황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진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게임 장치에 의한 상기 게임의 진행의 상황 속에서 추출된 특정 상황을 나타내고,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의 유저가 상기 특정 상황에 있어서 상기 게임을 플레이하는 상기 게임의 재현 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재현 정보
    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237009673A 2020-08-27 2021-08-25 게임 장치, 서버 장치,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202300515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43122A JP2022038551A (ja) 2020-08-27 2020-08-27 ゲーム装置、サーバ装置、ゲーム装置の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の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20143121A JP7286171B2 (ja) 2020-08-27 2020-08-27 ゲーム装置、サーバ装置、ゲーム装置の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の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JP-P-2020-143122 2020-08-27
JPJP-P-2020-143121 2020-08-27
PCT/JP2021/031172 WO2022045197A1 (ja) 2020-08-27 2021-08-25 ゲーム装置、サーバ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1591A true KR20230051591A (ko) 2023-04-18

Family

ID=8035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673A KR20230051591A (ko) 2020-08-27 2021-08-25 게임 장치, 서버 장치,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182015A1 (ko)
KR (1) KR20230051591A (ko)
CN (1) CN115989068A (ko)
WO (1) WO202204519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34409A (ja) 2018-02-19 2018-08-30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動画配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7223B2 (ja) * 2012-08-09 2016-10-26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040281B2 (en) * 2015-09-30 2021-06-22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Multi-user demo streaming service for cloud gaming
JP6154527B1 (ja) * 2016-08-08 2017-06-28 株式会社ドワンゴ ゲームサーバ、ゲーム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ゲーム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
JP7092482B2 (ja) * 2017-10-12 2022-06-28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34409A (ja) 2018-02-19 2018-08-30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動画配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989068A (zh) 2023-04-18
US20230182015A1 (en) 2023-06-15
WO2022045197A1 (ja)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80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s recorde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723552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33963B2 (ja) 動画配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A2949464A1 (en) Video game with dynamic quest clues based on number of completions
JP2001155066A (ja) 広告表示装置および広告表示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230051591A (ko) 게임 장치, 서버 장치,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
JP7182870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ー装置
JP7286171B2 (ja) ゲーム装置、サーバ装置、ゲーム装置の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の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209245B1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7121322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JP7417433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20048983A (ja) 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7394284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22038551A (ja) ゲーム装置、サーバ装置、ゲーム装置のプログラム、サーバ装置の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7185172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130025B2 (ja) ゲームサーバ、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
JP7280422B2 (ja) ゲームサーバ、ゲーム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
JP723553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4877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348545B2 (ja) 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装置
JP6773819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システム
JP7328640B2 (ja) 構築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7025782B2 (ja) 動画配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WO2023063133A1 (ja) 動画生成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JP2004254821A (ja)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