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507A - 암 치료 조합 - Google Patents

암 치료 조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507A
KR20230047507A KR1020237010499A KR20237010499A KR20230047507A KR 20230047507 A KR20230047507 A KR 20230047507A KR 1020237010499 A KR1020237010499 A KR 1020237010499A KR 20237010499 A KR20237010499 A KR 20237010499A KR 20230047507 A KR20230047507 A KR 20230047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r
antagonist
ibrutinib
antibody
admin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0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제이 킵스
리구앙 천
빙 쿠이
Original Assignee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filed Critical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Publication of KR20230047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5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8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tumor tissues, cells,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03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the immunoglobulin superfamily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07K16/2887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against CD2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80Vaccine for a specifically defined cancer
    • A61K2039/804Blood cells [leukemia, lymphom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3Inducing cell death, e.g. apoptosis, necrosis o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암의 치료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치료 유효량의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 길항제 및 ROR-1 길항제를,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BTK 길항제, ROR-1 길항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도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이브루티닙(ibrutinib)이고 ROR-1 길항제는 섬투주맙(cirmtuzumab)이다.

Description

암 치료 조합 {CANCER TREATMENT COMBINATION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원은, 2016년 6월 27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355,171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가출원은 모든 목적상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ASCII 파일로서 제출된 "서열목록", 표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목록 부록에 대한 언급
기계 포맷 IBM-PC, MS-윈도우즈 운영 시스템에 의해 2017년 6월 19일에 10,919 바이트로 생성된 파일 48537-582001WO SL_ST25.TXT로 작성된 서열목록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연방 지원 연구 및 개발 하에서 만들어진 발명에 대한 권리에 관한 진술
본 발명은 미국 국립보건원에 의해 부여된 승인 번호 CA081534 하에서 정부 지원으로 만들어졌다. 정부는 본 발명에 대해 특정 권리를 가진다.
BCR(B 세포 수용체) 신호전달을 통한 신호전달은 질환, 예를 들면,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의 발병 및/또는 진행에 있어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더욱이,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 Bruton's tyrosine kinase)를 억제하는 이브루티닙(ibrutinib) 및 아칼라브루티닙(acalabrutinib)(4-{8-아미노-3-[(2S)-1-(2-부티노일)-2-피롤리디닐]이미다조[1,5-a]피라진-1-일}-N-(2-피리디닐)벤즈아미드)을 포함하는, 림프 및 백혈병 악성종양에서의 B 세포 수용체(BCR) 신호전달을 표적화하는 물질은 유의미한 임상 활성을 보였다. BTK 치료는 B 세포 신호전달 경로를 파괴함으로써 현저한 림프절 반응과 관련되어 있으나, 질환의 박멸 및 고위험 질환의 재발은 과제로 남아 있다.
본원은 당분야에서의 이 문제점들 및 다른 문제점들에 대한 해법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조성물 및 방법은 특히 백혈병의 치료에 유용하다. 예를 들면, 본원은 항-ROR-1 항체와 BCR 억제제의 조합을 사용하여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을 치료하는 놀라울 정도로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한 양태에서,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 유효량의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 길항제 및 티로신 키나제 유사 희귀 수용체 1(ROR-1) 길항제를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한 양태에서, BTK 길항제, ROR-1 길항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한 양태에서, BTK 길항제, 항-ROR-1 항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로서, BTK 길항제 및 항-ROR-1 항체가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조합된 상승작용적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한 양태에서,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치료 유효량의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 길항제 및 항-ROR-1 항체를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 길항제, 항-ROR-1 항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 1a 내지 1d. UC-961은 이브루티닙 처리 CLL 세포에서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를 억제한다. (도 1a) 각각의 레인의 위에 표시된 바와 같이, Wnt5a와 함께 또는 Wnt5a 없이 항온처리되었고 UC-961 또는 이브루티닙으로 처리된 CLL 세포에서 활성화된 Rac1을 측정하였다. (도 1b) 처리되지 않았거나 UC-961(10 ㎍/㎖) 및/또는 이브루티닙(0.5 μM)으로 처리된 CLL 세포에서 Rac1의 Wnt5a-유도된 활성화. 5회 독립적 실험에서 관찰된 평균 Rac1 활성화가 표시되어 있다(n=5). (도 1c)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환자로부터 CLL 세포를 채취하였다(n=5). 시험관 내에서 각각의 레인 위에 표시된 Wnt5a 또는 UC-961로 처리되었거나 처리되지 않은 이 CLL 세포들에서 활성화된 Rac1을 측정하였다. (도 1d) Wnt5a 및/또는 UC-961로 처리된,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환자로부터 채취된 CLL 세포에서 Rac1 활성화를 측정하였다. 5개의 독립적 실험에서 관찰된 평균 Rac1 활성화가 표시되어 있다(n=5). 각각의 레인 아래의 숫자는 비처리된 샘플에 대해 표준화된, 활성화된 GTPase 대 총 GTPase의 밴드 IOD의 비이다. 데이터는 각각의 군에 대한 평균 ± SEM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터키(Tukey)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를 이용함으로써 계산된 ** P < 0.01; *** P < 0.001; **** P < 0.0001.
도 2a 및 2b. UC-961은 이브루티닙 처리 CLL 세포에서 Wnt5a-향상된 증식을 억제한다. (도 2a) Wnt5a로 처리되었거나 처리되지 않고 UC-961 또는 이브루티닙으로 처리된 CFSE-표지된 CLL 세포(n=6)의 CD154-유도된 증식. 한 대표적인 CLL 샘플이 분열 세포의 퍼센트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도 2b) 막대는 아래에 표시된 각각의 배양 조건에 대한 6명의 상이한 환자들 각각으로부터의 감소된 CFSE 형광을 가진 CLL 세포의 평균 비율을 표시한다. 데이터는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에 의해 측정된 평균 ± SEM, * P < 0.05; ** P < 0.01로서 표시된다.
도 3. CLL 환자 유래의 이종이식 마우스에서 UC-961 및 이브루티닙의 상가적 억제 효과. 표시된 치료 1일 전에 CLL 세포를 Rag2-/-γc -/- 마우스의 복강에 주사하였다. 세포 주사로부터 7일 후 복막 세척액을 수거하였고, CD5, CD19 및 CD45에 특이적인 mAb로 염색한 후 세포 카운팅 및 유세포분석으로 잔류 CLL을 측정하였다. 그래프에서 각각의 막대는 치료받지 않은 마우스로부터 채취된 세포에 대해 표준화된, 치료 후 마우스로부터 채취된 잔류 CLL 세포의 퍼센트를 나타낸다. 표시된 데이터는 각각의 군에서 5마리의 마우스들을 가진 3개의 상이한 환자 군들로부터의 평균 ± SEM이다.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로 P-값을 측정하였다.
도 4a 내지 4d. UC-961은 이브루티닙 처리 ROR-1×TCL1 백혈병 세포에서 Wnt5a-향상된 증식을 억제한다. (도 4a) 각각의 레인의 위에 표시된 바와 같이, Wnt5a와 함께 항온처리되었거나 항온처리되지 않았고 UC-961(10 ㎍/㎖) 및/또는 이브루티닙(0.5 μM)으로 처리된 ROR-1×TCL1 백혈병 세포에서 활성화된 Rac1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레인 아래의 숫자는 비처리된 샘플에 대해 표준화된, 활성화된 GTPase 대 총 GTPase의 밴드 IOD의 비이다. (도 4b) 처리되지 않았거나 UC-961(10 ㎍/㎖) 및/또는 이브루티닙(0.5 μM)으로 처리된 ROR-1×TCL1 백혈병 세포에서 Rac1의 Wnt5a-유도된 활성화. 5회 독립적 실험에서 관찰된 평균 Rac1 활성화가 표시되어 있다(n=5). (도 4c) Wnt5a로 처리되었거나 처리되지 않았고 UC-961 또는 이브루티닙으로 처리된 CFSE-표지된 ROR-1×TCL1 백혈병 세포(n=6)의 CD154-유도된 증식. 1개의 대표적인 ROR-1×TCL1 백혈병 세포 샘플이 분열 세포의 퍼센트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도 4d) 막대는 아래에 표시된 각각의 배양 조건에 대한 5마리의 상이한 마우스들 각각으로부터의 감소된 CFSE 형광을 가진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평균 비율을 표시한다.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를 이용함으로써 계산될 때 ** P < 0.01; *** P < 0.001; **** P < 0.0001.
도 5a 내지 5c. ROR-1×TCL1 백혈병 이종이식 마우스에서 UC-961 및 이브루티닙의 상가적 억제 효과. (도 5a) 2ㅧ104개의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정맥내 주입을 받은 지 25일 후에 채취된, Rag2-/-γc -/- 마우스의 대표적인 비장이 표시되어 있다. (도 5b) UC-961과 이브루티닙의 조합은 Rag2-/-γc -/- 마우스에서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생착을 억제한다. 2×104개의 ROR-1×TCL1 백혈병 세포를 Rag2-/-γc -/- 마우스에게 생착시킨 후, 1일째 날 1 mg/kg UC-961의 단회 정맥내 주사를 제공하였거나 5-mg/kg 이브루티닙을 매일 주사하였다. B220(가로좌표) 및 인간 ROR-1(세로좌표)에 특이적인 플루오로크롬-접합된 mAb로 세포를 염색한 후, 광 산란 특징에 의해 확인되었을 때, 위에 표시된 치료를 받은 대표적인 마우스들(n=5)로부터의 입양 전달 후 25일째 날에 채취된 비장 림프구의 형광을 묘사하는 등고선 도표. 각각의 등고선 도표의 위 우측에 표시된 퍼센트는 백혈병 세포의 CD5+B220lowROR-1+ 표현형을 가진 혈액 단핵 세포의 비율을 표시한다. (도 5c) 유세포분석 및 세포 카운트에 의해 측정되었을 때, 1 mg/kg UC-961의 단회 주사 또는 5 mg/kg 이브루티닙의 매일 주사를 제공받은 2×104개의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입양 전달 후 25일째 날 수용자 Rag2-/-γc -/- 마우스의 비장 내의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총 수. 각각의 모양은 개별 마우스에서 발견된 백혈병 세포의 수를 나타낸다. 데이터는 각각의 동물 군(n=5)에 대한 평균 ± SEM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를 이용함으로써 계산되었을 때, *** P < 0.001.
도 6a 내지 6d. 이브루티닙은 BCR 신호전달을 억제하나, Wnt5a/ROR-1 신호전달을 억제하지 않는다. (도 6a) 각각의 레인의 위에 표시된 바와 같이, 0, 0.25, 0.5 또는 1.0 μM 농도의 Wnt5a 또는 이브루티닙과 함께 항온처리되었거나 항온처리되지 않은 CLL 세포에서 활성화된 Rac1을 측정하였다. (도 6b) CLL 세포를 1시간 동안 증가하는 용량의 이브루티닙으로 처리한 후, BTK 활성 부위의 점유에 대해 어세이하였다. (도 6c) 상이한 용량의 이브루티닙으로 처리하였거나 처리하지 않은 후 CLL 세포에서 항-μ-유도된 칼슘 이동. 세포내 칼슘의 상대적 평균 형광 강도가 시간의 함수로서 작도되어 있다. 화살표로 표지된 "IgM"은 항-μ가 세포에 첨가된 시간을 표시한다. (도 6d) DiOC6 및 PI를 사용한 염색에 의한 세포 생존율의 측정. 수평 축 및 수직 축에서 각각 백혈병 세포의 상대적 녹색(DiOC6) 및 적색(PI) 형광 강도를 정의하는, 대표적인 환자로부터의 CLL 세포의 도트 맵이 제공되어 있다. 상이한 용량의 이브루티닙으로 처리한 후 CLL 세포에 대해 활력 세포 집단(DiOC6+PI-)을 측정하였다. 활력 세포의 퍼센트가 각각의 도트 맵에 표시되어 있다.
도 7a 내지 7e. Wnt5a는 이브루티닙으로 처리된 CLL 세포에서 Rac1 활성화를 유도한다. (도 7a) CD154 없이 Wnt5a에 의해 유도된 CLL 증식에 대한 CFSE 어세이. IL-4/10의 존재 하에서 외생성 Wnt5a를 사용하지 않거나(좌측 패널) 사용하여(우측 패널) 야생형 HeLa 세포와 함께 5일 동안 공배양한 CFSE-표지된 CLL 세포(n=6)의 형광. 1개의 대표적인 CLL 샘플에 대한 어세이의 결과가 각각의 패널의 아래 좌측에 표시된 분열 세포의 퍼센트와 함께 제시되어 있다. (도 7b) CD154 없이 Wnt5a에 의해 유도된 ROR-1×TCL1 백혈병 세포 증식에 대한 CFSE 어세이. IL-4/10의 존재 하에서 외생성 Wnt5a를 사용하지 않거나(좌측 패널) 사용하여(우측 패널) HeLa 세포와 함께 5일 동안 공배양한 CFSE-표지된 CLL 세포(n=6)의 형광. 1개의 대표적인 CLL 샘플에 대한 어세이의 결과가 각각의 패널의 아래 좌측에 표시된 분열 세포의 퍼센트와 함께 제시되어 있다. (도 7c) 30분 동안 Wnt5a로 처리된, 혈청 기아상태(starved) TCL1 백혈병 세포에서 Rac1 활성화를 측정하였다. 전체 세포 용해물을 병렬 겔 상에서 런닝시켜 총 Rac1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레인 아래의 숫자는 비처리된 샘플에 대해 표준화된, 활성화된 GTPase 대 총 GTPase의 밴드 IOD의 비이다. (도 7d) Wnt5a 및/또는 CD154에 의해 유도된 TCL1 백혈병 세포 증식에 대한 CFSE 어세이. IL-4/10의 존재 하에서 외생성 Wnt5a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하여 야생형 HeLa 또는 HeLaCD154 세포와 함께 5일 동안 공배양한 CFSE-표지된 TCL1 백혈병 세포(n=3)의 형광. 1개의 대표적인 TCL1 백혈병 샘플에 대한 어세이의 결과가 각각의 패널의 아래 좌측에 표시된 분열 세포의 퍼센트와 함께 제시되어 있다. (도 7e) 아래에 표시된 조건 하에서 TCL1 백혈병 세포(n=3)로부터 분열 CLL 세포의 평균 비율. 데이터는 각각의 군에 대한 평균 ± SEM으로서 표시되어 있고; p-값은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를 이용함으로써 계산되었다; ns: 유의미하지 않음.
도 8a 및 8b. ROR-1×TCL1 백혈병 이종이식 마우스에서 UC-961 또는 이브루티닙의 용량 의존적 억제 효과. (도 8a) ROR-1×TCL1 백혈병 이종이식 마우스에서 이브루티닙의 용량 의존적 억제 효과. (도 8b) ROR-1×TCL1 백혈병 이종이식 마우스에서 UC-961의 용량 의존적 억제 효과. 각각의 모양은 개별 마우스에서 발견된 백혈병 세포의 수를 나타낸다. 데이터는 각각의 동물 군(n=6)에 대한 평균 ± SEM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를 이용함으로써 계산될 때, * P < 0.05; *** P < 0.001.
도 9. ROR-1은 BCR 신호전달 억제제에 의해 유도되었다.
도 10. 적소 의존적 동물 모델에서 CLL 세포의 제거에 대한 이브루티닙과 조합된 항-ROR-1 항체의 상가적 효과.
도 11. ROR-1xTCL1 마우스 백혈병에 대한 이브루티닙과 조합된 항-ROR-1 항체의 상가적 효과.
도 12a 내지 12f. 섬투주맙(cirmtuzumab)은 이브루티닙 처리 CLL 세포에서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를 억제한다. (도 12a) 각각의 레인의 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새로 단리된 이브루티닙 처리 CLL 세포, 또는 외생성 Wnt5a(200 ng/㎖)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하여 무혈청 배지에서 배양한 단리된 이브루티닙 처리 CLL 세포에서 활성화된 Rac1을 측정하였다. (도 12b) 새로 단리된 이브루티닙 처리 CLL 세포, 또는 Wnt5a(200 ng/㎖)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무혈청 배지에서 배양한 단리된 이브루티닙 처리 CLL 세포에서 활성화된 Rac1을 측정하였다. 4회 독립적 실험에서 관찰된 평균 Rac1 활성화가 표시되어 있다(n=4). (도 12c) 이브루티닙 치료 환자(n=4)로부터 CLL 세포를 채취하였다. 면역블롯의 각각의 레인 위에 표시된 바와 같이, Wnt5a(200 ng/㎖) 또는 섬투주맙(10 ㎍/㎖)으로 처리되었거나 처리되지 않은 CLL 세포에서 활성화된 Rac1을 측정하였다. (도 12d) Wnt5a(200 ng/㎖) 및/또는 섬투주맙(10 ㎍/㎖)으로 처리된,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요법을 받은 환자로부터 채취된 CLL 세포에서 Rac1 활성화를 측정하였다. 5회 독립적 실험에서 관찰된 평균 Rac1 활성화가 표시되어 있다(n=5). (도 12e) 각각의 레인의 위에 표시된 바와 같이, Wnt5a와 함께 항온처리되었거나 항온처리되지 않았고 섬투주맙(10 ㎍/㎖) 또는 이브루티닙(0.5 μM)으로 처리된 CLL 세포에서 활성화된 Rac1을 측정하였다. (도 12f) 섬투주맙 및/또는 이브루티닙으로 처리되지 않았거나 처리된 CLL 세포에서 Rac1의 Wnt5a-유도된 활성화. 5회 독립적 실험에서 관찰된 평균 Rac1 활성화가 표시되어 있다(n=5). 각각의 레인 아래의 숫자는 비처리된 샘플에 대해 표준화된, 활성화된 GTPase 대 총 GTPase의 밴드 IOD의 비이다. 데이터는 각각의 군에 대한 평균 ± SEM으로서 제시되어 있다.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를 이용함으로써 계산될 때, ** P < 0.01; *** P < 0.001; **** P < 0.0001.
도 13a 내지 13d. 섬투주맙은 이브루티닙 처리 CLL 세포에서 Wnt5a-향상된 증식을 억제한다. (도 13a) Wnt5a로 처리되었거나 처리되지 않았고 섬투주맙(10 ㎍/㎖) 또는 이브루티닙(0.5 μM)으로 처리된 CFSE-표지된 CLL 세포(n=6)의 CD154-유도된 증식. 1개의 대표적인 CLL 샘플이 분열 세포의 퍼센트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도 13b) 막대는 아래에 표시된 각각의 배양 조건에 대한 6명의 상이한 환자들 각각으로부터의 감소된 CFSE 형광을 가진 CLL 세포의 평균 비율을 표시한다. (도 13c) CLL 세포를 IL-4/10 또는 Wnt5a의 존재 하에서 HeLaCD154와 공배양한 후, 4일 동안 섬투주맙(10 ㎍/㎖) 또는 이브루티닙(0.5 μM)으로 처리하였고, PI 염색 후 세포 주기 분석을 수행하였다. 1개의 대표적인 CLL 샘플이 표시되어 있다. (도 13d) 시험된 모든 4명의 환자들에 대한 S/G2/M 기의 세포의 평균 비율이 제시되어 있다.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에 의해 측정되었을 때, * P < 0.05; ** P < 0.01.
도 14a 및 14b. CLL 환자 유래의 이종이식물에 대한 섬투주맙 및/또는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치료의 효과. (도 14a) CLL 세포를 치료 1일 전에 Rag2-/-γc -/- 마우스의 복강에 주사하였다. 복막 세척액을 세포 주사로부터 7일 후 수거하였고, CD5, CD19 및 CD45에 특이적인 mAb로 염색한 후 세포 카운팅 및 유세포분석으로 잔류 CLL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등고선 도표의 위 우측에 표시된 퍼센트는 치료 후 마우스로부터 채취된 세포들 중에서 CLL 세포의 비율을 표시한다. (도 14b) 그래프에서 각각의 막대는 100%에 해당하는, 치료받지 않은 마우스로부터 채취된 세포들 중에서 CLL 세포의 백분율에 대해 표준화된, 치료 후 마우스로부터 채취된 세포들 중에서 CLL 세포의 백분율을 나타낸다. 표시된 데이터는 각각의 군에서 5마리의 마우스들을 가진 3개의 상이한 환자 군으로부터의 평균 ± SEM이다: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를 이용함으로써 계산되었을 때, *** P < 0.001; **** P < 0.0001.
도 15a 내지 15c. 섬투주맙은 이브루티닙 처리 ROR-1×TCL1 백혈병 세포에서 Wnt5a-향상된 증식을 억제한다. (도 15a) 각각의 레인의 위에 표시된 바와 같이, Wnt5a(200 ng/㎖)와 함께 항온처리되었거나 항온처리되지 않았고 섬투주맙(10 ㎍/㎖) 및/또는 이브루티닙(0.5 μM)으로 처리된 ROR-1×TCL1 백혈병 세포에서 활성화된 Rac1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레인 아래의 숫자는 비처리된 샘플에 대해 표준화된, 활성화된 GTPase 대 총 GTPase의 밴드 밀도의 비이다. (도 15b) 섬투주맙(10 ㎍/㎖) 및/또는 이브루티닙(0.5 μM)과 함께 또는 이들 없이 Wnt5a로 처리된 ROR-1×TCL1 백혈병 세포에서 Rac1의 활성화. 5회 독립적 실험에서 관찰된 평균 Rac1 활성화가 표시되어 있다(n=5). (도 15c) Wnt5a(200 ng/㎖) 및/또는 섬투주맙(10 ㎍/㎖) 또는 이브루티닙(0.5 μM)으로 처리되었거나 처리되지 않은 CFSE-표지된 ROR-1×TCL1 백혈병 세포(n=5)의 CD154-유도된 증식. 막대는 아래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배양 조건에 대한 감소된 CFSE 형광을 가진 5마리의 상이한 마우스들 각각으로부터의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평균 비율을 표시한다.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를 이용하여 계산하였을 때, * P < 0.05; ** P < 0.01; **** P < 0.0001.
도 16a 내지 16c. 면역결핍 마우스 생착된 조직적합성 ROR-1+ 백혈병에서 섬투주맙 및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치료의 상가적 억제 효과. (도 16a) 2×104개의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정맥내 주입을 제공받은 지 25일 후 채취된, Rag2-/-γc -/- 마우스의 대표적인 비장이 표시되어 있다. (도 16b) 섬투주맙과 이브루티닙의 조합은 Rag2-/-γc -/- 마우스에서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생착을 억제한다. 2×104개의 ROR-1×TCL1 백혈병 세포를 Rag2-/-γc -/- 마우스에게 생착시킨 후, 1일째 날 1 mg/kg 섬투주맙의 1회 정맥내 주사를 제공하였거나, 경구 위관영양법을 통해 매일 용량의 5 mg/kg 이브루티닙을 제공하였다. B220(가로좌표) 및 인간 ROR-1(세로좌표)에 특이적인 플루오로크롬-접합된 mAb로 세포를 염색한 후, 위에 표시된 바와 같은 처리를 제공받은 대표적인 마우스들(n=5)로부터의 입양 전달 후 25일째 날에 채취된 림프구의 형광을 묘사하는 등고선 도표. 각각의 등고선 도표의 위 우측에 표시된 퍼센트는 백혈병 세포의 CD5+B220lowROR-1+ 표현형을 가진 혈액 단핵 세포의 비율을 표시한다. (도 16c) 1 mg/kg 섬투주맙의 단회 주사 또는 5 mg/kg 이브루티닙의 매일 주사를 제공받은 2×104개의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입양 전달 후 25일째 날 수용자 Rag2-/-γc -/- 마우스의 비장 내의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총 수. 각각의 부호는 개별 마우스에서 발견된 백혈병 세포의 수를 나타낸다. 데이터는 각각의 동물 군에 대한 평균 ± SEM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를 이용하여 계산하였을 때, * P < 0.05, ** P < 0.01, *** P < 0.001.
도 17a 내지 17c. 면역능력 마우스 생착된 조직적합성 ROR-1+ 백혈병에서 섬투주맙 및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치료의 상가적 억제 효과. (도 17a) 2×104개의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정맥내 주입을 제공받은 지 25일 후 채취된, ROR-1-Tg 마우스의 대표적인 비장이 표시되어 있다. (도 17b) 섬투주맙과 이브루티닙의 조합은 ROR-1-Tg 마우스에서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생착을 억제한다. 2×104개의 ROR-1×TCL1 백혈병 세포를 ROR-1-Tg 마우스에게 생착시킨 후, 10 mg/kg 섬투주맙의 매주 정맥내 주사를 제공하였거나, 경구 위관영양법을 통해 매일 용량의 5 mg/kg 이브루티닙을 제공하였다. B220(가로좌표) 및 인간 ROR-1(세로좌표)에 특이적인 플루오로크롬-접합된 mAb로 세포를 염색한 후, 위에 표시된 바와 같은 처리를 제공받은 대표적인 마우스들(n=6)로부터의 입양 전달 후 25일째 날에 채취된 림프구의 형광을 묘사하는 등고선 도표. 각각의 등고선 도표의 위 우측에 표시된 퍼센트는 백혈병 세포의 CD5+B220lowROR-1+ 표현형을 가진 혈액 단핵 세포의 비율을 표시한다. (도 17c) 10 mg/kg 섬투주맙의 매주 주사 및/또는 매일 용량의 이브루티닙(5 mg/kg)을 제공받은 2×104개의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입양 전달 후 28일째 날 수용자 ROR-1-Tg 마우스의 비장 내의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총 수. 각각의 부호는 개별 마우스에서 발견된 백혈병 세포의 수를 나타낸다. 데이터는 각각의 동물 군에 대한 평균 ± SEM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를 이용하여 계산하였을 때, * P < 0.05, ** P < 0.01.
도 18a 및 18b. CD154 없이 Wnt5a에 의해 유도된 CLL 증식에 대한 CFSE 어세이. (도 18a) 분열 CLL 세포에 대한 게이팅 전략. 세포를 먼저 크기 및 단일성에 따라 게이팅한 후, PI 배제를 수행하여 추가 분석을 위해 생존 세포를 확인하였다. CFSE로 염색한 후 형광에 대해 생존 CD5 및 CD19 CLL 세포를 조사하였다. 보다 더 낮은 CFSE 형광을 가진 세포의 비율을 산출함으로써 분열 CLL 세포의 퍼센트를 계산하였다. (도 18b) IL-4/10의 존재 하에서 외생성 Wnt5a를 사용하지 않거나(위 패널) 또는 사용하여(아래 패널) 야생형 HeLa 세포와 함께 5일 동안 공배양한 CFSE-표지된 CLL 세포(n=6)의 형광. 1개의 대표적인 CLL 샘플의 결과가 각각의 막대그래프의 아래 좌측 모서리에 표시된 분열 세포의 퍼센트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도 19a 및 19b. 외생성 Wnt5a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섬투주맙 또는 이브루티닙으로 처리된 CLL 세포의 세포 주기 분석. (도 19a) 백혈병 세포를 IL-4/10 또는 Wnt5a의 존재 하에서 HeLaCD154와 공배양한 후, 4일 동안 섬투주맙(10 ㎍/㎖) 또는 이브루티닙(0.5 μM)으로 처리하였고, PI 염색 후 세포 주기를 분석하였다. 1개의 대표적인 백혈병 샘플이 표시되어 있다. (도 19b) 시험된 모든 3개의 샘플들에 대한 S/G2/M 기의 백혈병 세포의 평균 비율이 제시되어 있다.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로 계산하였을 때, * P < 0.05, ** P < 0.01.
도 20a 및 20b. ROR-1×TCL1 백혈병 생착된 마우스에 대한 섬투주맙 또는 이브루티닙의 용량 의존적 억제 효과. (도 20a) ROR-1×TCL1 백혈병 생착된 마우스에서 이브루티닙의 용량 의존적 억제 효과. (도 20b) ROR-1×TCL1 백혈병 생착된 마우스에서 섬투주맙의 용량 의존적 억제 효과. 각각의 부호는 개별 마우스에서 발견된 백혈병 세포의 수를 나타낸다. 데이터는 각각의 동물 군에 대한 평균 ± SEM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를 이용하여 계산하였을 때, * P < 0.05, ** P < 0.001.
도 21. Wnt5a 및/또는 CD154에 의해 유도된 TCL1 백혈병 세포 증식에 대한 CFSE 어세이. IL-4/10의 존재 하에서 외생성 Wnt5a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하여 야생형 HeLa 또는 HeLaCD154 세포와 함께 5일 동안 공배양한 CFSE-표지된 TCL1 백혈병 세포(n=3)의 형광. 데이터는 각각의 동물 군에 대한 평균 ± SEM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를 이용하여 p-값을 계산하였다.
도 22a 내지 22c. MCL 환자 혈장에서 일차 MCL 및 Wnt5a 수준에서의 항원 발현. (도 22a) CD5 및 CD19를 발현하는 MCL 세포에 대한 게이팅(위 좌측). 음영으로 표시된 막대그래프는 다른 표면 항원에 특이적인 플루오로크롬-접합된 mAb로 염색된 게이팅된 MCL 세포의 형광을 보여준다. CLL 세포와 대조적으로, MCL 세포는 CD200(위 우측) 또는 CD23(아래 좌측)에 특이적인 mAb로 염색되지 못하였다. CLL과 유사하게, MCL은 고수준의 ROR-1을 발현한다(아래 우측). 개방된 막대그래프는 이소타입 대조군 항체로 염색된 세포의 형광을 묘사한다. (도 22b) MCL 대 CLL에서 ROR-1의 ΔMFI. ns = 유의미하지 않음. (도 22c) MCL을 가진 환자 대 연령-일치된 대조군 대상체에서의 혈장 Wnt5a(군당 n=4; P < 0.05, 스튜던트 t 검정).
도 23a 내지 23d. MCL 세포에서의 Rac1 활성화 및 세포 주기의 분석. (도 23a) 면역블롯의 각각의 레인 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이브루티닙(0.5 μM)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거나 섬투주맙(10 ㎍/㎖)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Wnt5a(200 ng/㎖)로 처리되었거나 처리되지 않은 MCL 세포에서 활성화된 Rac1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레인 아래의 숫자는 비처리된 샘플에 대해 표준화된, 활성화된 GTPase 대 총 GTPase의 밴드 IOD의 비이다. (도 23b) 섬투주맙 및/또는 이브루티닙으로 처리되지 않았거나 처리된 CLL 세포에서의 Rac1의 Wnt5a-유도된 활성화. 5회 독립적 실험에서 관찰된 평균 Rac1 활성화가 표시되어 있다(n=3). 각각의 레인 아래의 숫자는 비처리된 샘플에 대해 표준화된, 활성화된 GTPase 대 총 GTPase의 밴드 IOD의 비이다. 데이터는 각각의 군에 대한 평균 ± SEM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를 이용함으로써 계산될 때, ****P < 0.0001. (도 23c) MCL 세포를 IL-4/10 또는 Wnt5a의 존재 하에서 HeLaCD154와 공배양한 후, 4일 동안 섬투주맙(10 ㎍/㎖) 또는 이브루티닙(0.5 μM)으로 처리하였고, PI 염색 후 세포 주기를 분석하였다. 1개의 대표적인 CLL 샘플이 표시되어 있다. (도 23d) 시험된 모든 MCL 환자들에 대한 S/G2 기의 세포의 평균 비율이 제시되어 있다(n=3).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로 측정하였을 때, * P < 0.05; ** P < 0.01. ns = 유의미하지 않음.
정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들 및 양태들이 본원에 제시되어 있고 기재되어 있지만, 이러한 실시양태들 및 양태들이 예로써만 제공된다는 것은 당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다수의 변경, 변화 및 치환이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인식될 것이다. 본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대한 다양한 대안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단락 제목은 조직화 목적만을 위한 것이고 기재된 보호대상을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특허, 특허출원, 소논문, 교재, 매뉴얼 및 논문을 포함하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본원에서 인용된 모든 문헌들 또는 문헌의 일부는 임의의 목적을 위해 전체로서 본원에 명백히 참고로 도입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약어는 화학 및 생물학 분야 내에서 그들의 보편적인 의미를 가진다. 본원에 기재된 화학구조 및 화학식은 화학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화학 원자가의 표준 규칙에 따라 구축된다.
치환기들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작성된 그들의 보편적인 화학식에 의해 특정되는 경우, 이들은 구조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작성함으로써 생성될 화학적으로 동일한 치환기를 동등하게 포괄한다. 예를 들면, -CH2O-는 -OCH2-와 동등하다.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그 자체로 또는 또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용어 "알킬"은 전체적으로 포화될 수 있거나, 단일불포화될 수 있거나 다중불포화될 수 있고 표기된 탄소 원자 수를 가진 2가 라디칼 및 다가 라디칼을 포함할 수 있는 직선(즉, 비분지된) 또는 분지된 비환형 탄소 쇄(또는 탄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의미한다(즉, C1-C10은 1개 내지 10개의 탄소를 의미한다). 포화된 탄화수소 라디칼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t-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사이클로헥실)메틸, 이들의 동족체 및 이성질체, 예를 들면, n-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등과 같은 기가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불포화된 알킬 기는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을 가진 알킬 기이다. 불포화된 알킬 기의 예로는 비닐, 2-프로페닐, 크로틸, 2-이소펜테닐, 2-(부타디에닐), 2,4-펜타디에닐, 3-(1,4-펜타디에닐), 에티닐, 1-프로피닐, 3-프로피닐, 3-부티닐 및 고차 동족체 및 이성질체가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알콕시는 산소 링커(-O-)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된 알킬이다. 알킬 모이어티는 알케닐 모이어티일 수 있다. 알킬 모이어티는 알키닐 모이어티일 수 있다. 알킬 모이어티는 전체적으로 포화될 수 있다. 알케닐은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 이외에 하나 초과의 이중 결합 및/또는 하나 이상의 삼중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알키닐은 하나 이상의 삼중 결합 이외에 하나 초과의 삼중 결합 및/또는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그 자체로 또는 또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용어 "알킬렌"은 -CH2CH2CH2CH2-로 예시되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알킬로부터 유도된 2가 라디칼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알킬(또는 알킬렌) 기는 1개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것이고, 이때 1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가진 이러한 기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다. "저급 알킬" 또는 "저급 알킬렌"은 일반적으로 8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가진 보다 더 짧은 쇄 알킬 또는 알킬렌 기이다.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그 자체로 또는 또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용어 "알케닐렌"은 알켄으로부터 유도된 2가 라디칼을 의미한다.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그 자체로 또는 또 다른 용어와 함께 용어 "헤테로알킬"은 적어도 하나의 탄소 원자 및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예를 들면, O, N, P, Si 및 S)를 포함하는 안정한 직선 또는 분지된 비환형 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의미하고, 이때 질소 및 황 원자는 임의적으로 산화될 수 있고, 질소 헤테로원자는 임의적으로 사차화될 수 있다. 헤테로원자(들)(예를 들면, O, N, P, S 및 Si)는 헤테로알킬 기의 임의의 내부 위치, 또는 알킬 기가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로는 -CH2-CH2-O-CH3, -CH2-CH2-NH-CH3, -CH2-CH2-N(CH3)-CH3, -CH2-S-CH2-CH3, -CH2-CH2, -S(O)-CH3, -CH2-CH2-S(O)2-CH3, -CH=CH-O-CH3, -Si(CH3)3, -CH2-CH=N-OCH3, -CH=CH-N(CH3)-CH3, -O-CH3, -O-CH2-CH3 및 -CN이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최대 2개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들이 연속될 수 있다(예를 들면, -CH2-NH-OCH3 및 -CH2-O-Si(CH3)3). 헤테로알킬 모이어티는 1개의 헤테로원자(예를 들면, O, N, S, Si 또는 P)를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2개의 상이한 헤테로원자들(예를 들면, O, N, S, Si 또는 P)을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3개의 상이한 헤테로원자들(예를 들면, O, N, S, Si 또는 P)을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4개의 상이한 헤테로원자들(예를 들면, O, N, S, Si 또는 P)을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5개의 상이한 헤테로원자들(예를 들면, O, N, S, Si 또는 P)을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최대 8개의 상이한 헤테로원자들(예를 들면, O, N, S, Si 또는 P)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그 자체로 또는 또 다른 용어와 함께 용어 "헤테로알케닐"은 적어도 하나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헤테로알킬을 의미한다. 헤테로알케닐은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 이외에 임의적으로 하나 초과의 이중 결합 및/또는 하나 이상의 삼중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그 자체로 또는 또 다른 용어와 함께 용어 "헤테로알키닐"은 적어도 하나의 삼중 결합을 포함하는 헤테로알킬을 의미한다. 헤테로알키닐은 하나 이상의 삼중 결합 이외에 임의적으로 하나 초과의 삼중 결합 및/또는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그 자체로 또는 또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용어 "헤테로알킬렌"은 -CH2-CH2-S-CH2-CH2- 및 -CH2-S-CH2-CH2-NH-CH2-로 예시되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헤테로알킬로부터 유도된 2가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알킬렌 기의 경우, 헤테로원자는 쇄 말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점유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알킬렌옥시, 알킬렌디옥시, 알킬렌아미노, 알킬렌디아미노 등). 추가로, 알킬렌 및 헤테로알킬렌 결합 기의 경우, 결합 기의 배향은 결합 기의 식이 작성되는 방향에 의해 내포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식 -C(O)2R'-은 -C(O)2R'- 및 -R'C(O)2- 둘 다를 나타낸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원에서 사용된 헤테로알킬 기는 헤테로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된 기, 예컨대, -C(O)R', -C(O)NR', -NR'R", -OR', -SR' 및/또는 -SO2R'를 포함한다. 특정 헤테로알킬 기가 언급된 후 "헤테로알킬"이 언급되어 있는 경우, 예컨대, -NR'R" 등의 경우, 용어 헤테로알킬과 -NR'R"는 중복되지 않거나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특정 헤테로알킬 기는 더 명료하게 하기 위해 언급된다. 따라서, 용어 "헤테로알킬"은 본원에서 특정 헤테로알킬 기, 예컨대, -NR'R" 등을 배제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그 자체로 또는 다른 용어와 함께 용어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알킬" 및 "헤테로알킬"의 비방향족 환형 버전을 의미하고, 이때 고리 또는 고리들을 구성하는 탄소는 비-수소 원자와의 결합에 참여하는 모든 탄소 원자가들로 인해 반드시 수소에 결합될 필요는 없다. 추가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경우, 헤테로원자는 헤테로환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되는 위치를 점유할 수 있다. 사이클로알킬의 예로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1-사이클로헥세닐, 3-사이클로헥세닐, 사이클로헵틸, 3-하이드록시-사이클로부트-3-에닐-1,2, 디온, 1H-1,2,4-트리아졸릴-5(4H)-온, 4H-1,2,4-트리아졸릴 등이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의 예로는 1-(1,2,5,6-테트라하이드로피리딜), 1-피페리디닐, 2-피페리디닐, 3-피페리디닐, 4-모르폴리닐, 3-모르폴리닐, 테트라하이드로푸란-2-일, 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 테트라하이드로티엔-2-일, 테트라하이드로티엔-3-일, 1-피페라지닐, 2-피페라지닐 등이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독으로 또는 또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사이클로알킬렌"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은 각각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로알킬로부터 유도된 2가 라디칼을 의미한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모이어티는 1개의 고리 헤테로원자(예를 들면, O, N, S, Si 또는 P)를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2개의 상이한 고리 헤테로원자들(예를 들면, O, N, S, Si 또는 P)을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3개의 상이한 고리 헤테로원자들(예를 들면, O, N, S, Si 또는 P)을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4개의 상이한 고리 헤테로원자들(예를 들면, O, N, S, Si 또는 P)을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5개의 상이한 고리 헤테로원자들(예를 들면, O, N, S, Si 또는 P)을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최대 8개의 상이한 고리 헤테로원자들(예를 들면, O, N, S, Si 또는 P)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그 자체로 또는 또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용어 "할로" 또는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원자를 의미한다. 추가로, "할로알킬"과 같은 용어는 모노할로알킬 및 폴리할로알킬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용어 "할로(C1-C4)알킬"은 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4-클로로부틸, 3-브로모프로필 등을 포함하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용어 "아실"은 R이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아릴, 또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인 -C(O)R을 의미한다.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용어 "아릴"은 단일 고리일 수 있거나, 함께 융합되어 있거나(즉, 융합된 고리 아릴) 또는 공유결합되어 있는 다수의 고리들(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3개의 고리)일 수 있는 다중불포화된 방향족 탄화수소 치환기를 의미한다. 융합된 고리 아릴은 함께 융합된 다수의 고리들을 지칭하고, 이때 융합된 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아릴 고리이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 예컨대, N, O 또는 S를 함유하는 아릴 기(또는 고리)를 지칭하고, 이때 질소 및 황 원자는 임의적으로 산화되고, 질소 원자(들)는 임의적으로 사차화된다. 따라서, 용어 "헤테로아릴"은 융합된 고리 헤테로아릴 기(즉, 융합된 고리들 중 적어도 하나가 헤테로방향족 고리인, 함께 융합된 다수의 고리들)를 포함한다. 5,6-융합된 고리 헤테로아릴렌은 함께 융합된 2개의 고리들을 지칭하고, 이때 하나의 고리는 5개의 구성원을 갖고 다른 하나의 고리는 6개의 구성원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고리는 헤테로아릴 고리이다. 마찬가지로, 6,6-융합된 고리 헤테로아릴렌은 함께 융합된 2개의 고리들을 지칭하고, 이때 하나의 고리는 6개의 구성원을 갖고 다른 하나의 고리는 6개의 구성원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고리는 헤테로아릴 고리이다. 6,5-융합된 고리 헤테로아릴렌은 함께 융합된 2개의 고리들을 지칭하고, 이때 하나의 고리는 6개의 구성원을 갖고 다른 하나의 고리는 5개의 구성원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고리는 헤테로아릴 고리이다. 헤테로아릴 기는 탄소 또는 헤테로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아릴 및 헤테로아릴 기의 비한정적 예로는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4-비페닐, 1-피롤릴, 2-피롤릴, 3-피롤릴, 3-피라졸릴, 2-이미다졸릴, 4-이미다졸릴, 피라지닐, 2-옥사졸릴, 4-옥사졸릴, 2-페닐-4-옥사졸릴, 5-옥사졸릴, 3-이속사졸릴, 4-이속사졸릴, 5-이속사졸릴, 2-티아졸릴, 4-티아졸릴, 5-티아졸릴, 2-푸릴, 3-푸릴, 2-티에닐, 3-티에닐,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2-피리미딜, 4-피리미딜, 5-벤조티아졸릴, 푸리닐, 2-벤즈이미다졸릴, 5-인돌릴, 1-이소퀴놀릴, 5-이소퀴놀릴, 2-퀴녹살리닐, 5-퀴녹살리닐, 3-퀴놀릴 및 6-퀴놀릴이 있다. 상기 언급된 아릴 및 헤테로아릴 고리 시스템들 각각에 대한 치환기는 하기 허용 가능한 치환기들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단독으로 또는 또 다른 치환기의 일부로서 "아릴렌" 및 "헤테로아릴렌"은 각각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부터 유도된 2가 라디칼을 의미한다. 아릴 및 헤테로아릴 기의 비한정적 예로는 피리디닐, 피리미디닐, 티오페닐, 티에닐, 푸라닐, 인돌릴, 벤즈옥사디아졸릴, 벤조디옥솔릴, 벤조디옥사닐, 티아나프타닐, 피롤로피리디닐, 인다졸릴, 퀴놀리닐, 퀴녹살리닐, 피리도피라지닐, 퀴나졸리노닐, 벤조이속사졸릴, 이미다조피리디닐, 벤조푸라닐, 벤조티에닐, 벤조티오페닐, 페닐, 나프틸, 비페닐, 피롤릴,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피라지닐,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푸릴티에닐, 피리딜, 피리미딜, 벤조티아졸릴, 푸리닐, 벤즈이미다졸릴, 이소퀴놀릴, 티아디아졸릴, 옥사디아졸릴, 피롤릴, 디아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벤조티아디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라졸로피리미디닐, 피롤로피리미디닐, 벤조트리아졸릴, 벤즈옥사졸릴 또는 퀴놀릴이 있다. 상기 예들은 치환될 수 있거나 비치환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헤테로아릴 예의 2가 라디칼은 헤테로아릴렌의 비한정적 예이다.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는 1개의 고리 헤테로원자(예를 들면, O, N 또는 S)를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2개의 상이한 고리 헤테로원자들(예를 들면, O, N 또는 S)을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3개의 상이한 고리 헤테로원자들(예를 들면, O, N 또는 S)를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4개의 상이한 고리 헤테로원자들(예를 들면, O, N 또는 S)을 포함할 수 있다.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5개의 상이한 고리 헤테로원자들(예를 들면, O, N 또는 S)을 포함할 수 있다. 아릴 모이어티는 단일 고리를 가질 수 있다. 아릴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2개의 상이한 고리들을 가질 수 있다. 아릴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3개의 상이한 고리들을 가질 수 있다. 아릴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4개의 상이한 고리들을 가질 수 있다.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는 1개의 고리를 가질 수 있다.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2개의 상이한 고리들을 가질 수 있다.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3개의 상이한 고리들을 가질 수 있다.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4개의 상이한 고리들을 가질 수 있다. 헤테로아릴 모이어티는 임의적으로 5개의 상이한 고리들을 가질 수 있다.
융합된 고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아릴은 헤테로사이클로알킬에 융합된 아릴이다. 융합된 고리 헤테로사이클로알킬-헤테로아릴은 헤테로사이클로알킬에 융합된 헤테로아릴이다. 융합된 고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사이클로알킬은 사이클로알킬에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다. 융합된 고리 헤테로사이클로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또 다른 헤테로사이클로알킬에 융합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다. 융합된 고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아릴, 융합된 고리 헤테로사이클로알킬-헤테로아릴, 융합된 고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사이클로알킬, 또는 융합된 고리 헤테로사이클로알킬-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각각 독립적으로 비치환될 수 있거나 본원에 기재된 치환기들 중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옥소"는 탄소 원자에 이중 결합된 산소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알킬설포닐"은 식 -S(O2)-R'를 가진 모이어티를 의미하고, 이때 R'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 기이다. R'는 특정된 수의 탄소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면, "C1-C4 알킬설포닐").
상기 용어들(예를 들면, "알킬", "헤테로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 각각은 표시된 라디칼의 치환된 형태 및 비치환된 형태 둘 다를 포함한다. 각각의 종류의 라디칼에 대한 바람직한 치환기는 이하에 제공된다.
(종종 알킬렌, 알케닐, 헤테로알킬렌, 헤테로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케닐 및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로서 지칭된 기들을 포함하는) 알킬 및 헤테로알킬 라디칼에 대한 치환기는 0부터 (2m'+1)까지 이르는 수의 -OR', =O, =NR', =N-OR', -NR'R", -SR', -할로겐, -SiR'R"R"', -OC(O)R', -C(O)R', -CO2R', -CONR'R", -OC(O)NR'R", -NR"C(O)R', -NR'-C(O)NR"R"', -NR"C(O)2R', -NR-C(NR'R"R"')=NR"", -NR-C(NR'R")=NR"', -S(O)R', -S(O)2R', -S(O)2NR'R", -NRSO2R', -NR'NR"R"', -ONR'R", -NR'C=(O)NR"NR"'R"", -CN 및 -NO2(그러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음)로부터 선택된 다양한 기들 중 하나 이상의 기일 수 있고, 이때 m'는 이러한 라디칼에서 탄소 원자의 총 수이다. R, R', R", R"' 및 R""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아릴(예를 들면, 1개 내지 3개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아릴),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 알콕시 또는 티오알콕시 기, 또는 아릴알킬 기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하나 초과의 R 기를 포함할 때, 예를 들면, R 기들 각각은 이들 기들 중 하나 초과의 기가 존재할 때 각각 R', R", R"' 및 R"" 기로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R' 및 R"가 동일한 질소 원자에 부착될 때, 이들은 질소 원자와 조합되어 4원, 5원, 6원 또는 7원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R'R"는 1-피롤리디닐 및 4-모르폴리닐을 포함하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치환기의 상기 논의로부터, 당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용어 "알킬"이 수소 기 이외의 기에 결합된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기, 예컨대, 할로알킬(예를 들면, -CF3 및 -CH2CF3) 및 아실(예를 들면, -C(O)CH3, -C(O)CF3, -C(O)CH2OCH3 등)을 포함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알킬 라디칼에 대해 기재된 치환기와 유사하게, 아릴 및 헤테로아릴 기에 대한 치환기는 변경되고, 예를 들면, 0부터 방향족 고리 시스템 상의 개방 원자가의 총 수까지 이르는 수의 -OR', -NR'R", -SR', -할로겐, -SiR'R"R"', -OC(O)R', -C(O)R', -CO2R', -CONR'R", -OC(O)NR'R", -NR"C(O)R', -NR'-C(O)NR"R"', -NR"C(O)2R', -NR-C(NR'R"R"')=NR"", -NR-C(NR'R")=NR"', -S(O)R', -S(O)2R', -S(O)2NR'R", -NRSO2R', -NR'NR"R"', -ONR'R", -NR'C=(O)NR"NR"'R"", -CN, -NO2, -R', -N3, -CH(Ph)2, 플루오로(C1-C4)알콕시 및 플루오로(C1-C4)알킬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R', R", R"' 및 R""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하나 초과의 R 기를 포함할 때, 예를 들면, 각각의 R 기는 이들 기들 중 하나 초과의 기가 존재할 때 각각 R', R", R"' 및 R"" 기로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2개 이상의 치환기들은 임의적으로 아릴, 헤테로아릴,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기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소위 고리 형성 치환기는 전형적으로 환형 기본 구조에 부착된 상태로 발견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고리 형성 치환기는 기본 구조의 인접 구성원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환형 기본 구조의 인접 구성원에 부착된 2개의 고리 형성 치환기들은 융합된 고리 구조를 생성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고리 형성 치환기는 기본 구조의 단일 구성원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환형 기본 구조의 단일 구성원에 부착된 2개의 고리 형성 치환기들은 스피로환형 구조를 생성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고리 형성 치환기는 기본 구조의 비-인접 구성원에 부착된다.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의 인접 원자들 상의 치환기들 중 2개의 치환기들은 임의적으로 식 -T-C(O)-(CRR')q-U-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T 및 U는 독립적으로 -NR-, -O-, -CRR'- 또는 단일 결합이고, q는 0 내지 3의 정수이다. 대안적으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의 인접 원자들 상의 치환기들 중 2개의 치환기들은 임의적으로 식 -A-(CH2)r-B-의 치환기로 대체될 수 있고, 이때 A 및 B는 독립적으로 -CRR'-, -O-, -NR-, -S-, -S(O)-, -S(O)2-, -S(O)2NR'- 또는 단일 결합이고, r은 1 내지 4의 정수이다. 이로써 형성된 새로운 고리의 단일 결합들 중 1개의 단일 결합은 임의적으로 이중 결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고리의 인접 원자들 상의 치환기들 중 2개의 치환기들은 임의적으로 식 -(CRR')s-X'-(C"R"R"')d-의 치환기로 대체될 수 있고, 이때 s 및 d는 독립적으로 0 내지 3의 정수이고, X'는 -O-, -NR'-, -S-, -S(O)-, -S(O)2- 또는 -S(O)2NR'-이다. 치환기 R, R', R" 및 R"'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아릴, 및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헤테로원자" 또는 "고리 헤테로원자"는 산소(O), 질소(N), 황(S), 인(P) 및 규소(Si)를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치환기"는 하기 모이어티들로부터 선택된 기를 의미한다:
(A) 옥소, 할로겐, -CF3, -CN, -OH, -NH2, -COOH, -CONH2, -NO2, -SH, -SO3H, -SO4H, -SO2NH2, -NHNH2, -ONH2, -NHC=(O)NHNH2, -NHC=(O)NH2, -NHSO2H, -NHC=(O)H, -NHC(O)-OH, -NHOH, -OCF3, -OCHF2, 비치환된 알킬, 비치환된 헤테로알킬,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비치환된 아릴,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및
(B) 하기 치환기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헤테로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
(i) 옥소, 할로겐, -CF3, -CN, -OH, -NH2, -COOH, -CONH2, -NO2, -SH, -SO3H, -SO4H, -SO2NH2, -NHNH2, -ONH2, -NHC=(O)NHNH2, -NHC=(O)NH2, -NHSO2H, -NHC=(O)H, -NHC(O)-OH, -NHOH, -OCF3, -OCHF2, 비치환된 알킬, 비치환된 헤테로알킬,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비치환된 아릴 및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및
(ii) 하기 치환기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헤테로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
(a) 옥소, 할로겐, -CF3, -CN, -OH, -NH2, -COOH, -CONH2, -NO2, -SH, -SO3H, -SO4H, -SO2NH2, -NHNH2, -ONH2, -NHC=(O)NHNH2, -NHC=(O)NH2, -NHSO2H, -NHC=(O)H, -NHC(O)-OH, -NHOH, -OCF3, -OCHF2, 비치환된 알킬, 비치환된 헤테로알킬,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비치환된 아릴 및 비치환된 헤테로아릴, 및
(b) 옥소, 할로겐, -CF3, -CN, -OH, -NH2, -COOH, -CONH2, -NO2, -SH, -SO3H, -SO4H, -SO2NH2, -NHNH2, -ONH2, -NHC=(O)NHNH2, -NHC=(O)NH2, -NHSO2H, -NHC=(O)H, -NHC(O)-OH, -NHOH, -OCF3, -OCHF2, 비치환된 알킬, 비치환된 헤테로알킬,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비치환된 아릴 및 비치환된 헤테로아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헤테로알킬,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및 헤테로아릴.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크기-제한된 치환체" 또는 "크기-제한된 치환기"는 "치환기"에 대해 전술된 모든 치환체들로부터 선택된 기를 의미하고, 이때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이고,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2원 내지 20원 헤테로알킬이고,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3-C8 사이클로알킬이고,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3원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아릴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10 아릴이고,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5원 내지 10원 헤테로아릴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저급 치환체" 또는 "저급 치환기"는 "치환기"에 대해 전술된 모든 치환체들로부터 선택된 기를 의미하고, 이때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8 알킬이고,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2원 내지 8원 헤테로알킬이고,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3-C7 사이클로알킬이고,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3원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아릴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10 아릴이고,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5원 내지 9원 헤테로아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의 화합물에 기재된 각각의 치환된 기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의 화합물에 기재된 각각의 치환된 알킬, 치환된 헤테로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아릴, 치환된 헤테로아릴, 치환된 알킬렌, 치환된 헤테로알킬렌, 치환된 사이클로알킬렌,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 치환된 아릴렌 및/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렌은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이들 기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전부는 적어도 하나의 크기-제한된 치환기로 치환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이들 기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전부는 적어도 하나의 저급 치환기로 치환된다.
본원의 화합물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일 수 있고/있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2원 내지 20원 헤테로알킬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3-C8 사이클로알킬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3원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아릴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10 아릴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5원 내지 10원 헤테로아릴이다. 본원의 화합물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20 알킬렌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렌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2원 내지 20원 헤테로알킬렌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렌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3-C8 사이클로알킬렌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3원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10 아릴렌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렌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5원 내지 10원 헤테로아릴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8 알킬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2원 내지 8원 헤테로알킬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3-C7 사이클로알킬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3원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아릴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10 아릴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5원 내지 9원 헤테로아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1-C8 알킬렌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알킬렌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2원 내지 8원 헤테로알킬렌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렌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3-C7 사이클로알킬렌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3원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렌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C6-C10 아릴렌이고/이거나, 각각의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아릴렌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5원 내지 9원 헤테로아릴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하기 실시예 단락, 도면 또는 표에 기재된 화학적 종이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상에서 발견된 특정 치환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무독성 산 또는 염기에 의해 제조된 활성 화합물의 염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산성을 띤 작용기를 함유할 때, 이러한 화합물의 중성 형태를 순수한 상태로 또는 적합한 불활성 용매에서 충분한 양의 원하는 염기와 접촉시킴으로써 염기 부가 염을 수득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부가 염의 예로는 나트륨, 칼륨, 칼슘, 암모늄, 유기 아미노 또는 마그네슘 염, 또는 유사한 염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상대적으로 염기성을 띤 작용기를 함유할 때, 이러한 화합물의 중성 형태를 순수한 상태로 또는 적합한 불활성 용매에서 충분한 양의 원하는 산과 접촉시킴으로써 산 부가 염을 수득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부가 염의 예로는 무기 산, 예컨대, 염산, 브롬산, 질산, 탄산, 일수소탄산, 인산, 일수소인산, 이수소인산, 황산, 일수소황산, 요오드화수소산 또는 아인산 등으로부터 유도된 염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무독성을 띤 유기 산, 예컨대,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이소부티르산, 말레산, 말론산, 벤조산, 석신산, 수베르산, 푸마르산, 젖산, 만델산, 프탈산, 벤젠설폰산, p-톨릴설폰산, 구연산, 주석산, 메탄설폰산 등으로부터 유도된 염도 있다. 아미노산의 염, 예컨대, 아르기네이트 등, 및 유기 산, 예컨대, 글루쿠론산 또는 갈락투노르산 등의 염도 포함된다(예를 들면, 문헌(Berge et al.,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 66:1-19 (1977)) 참조). 본 발명의 일부 특정 화합물들은 이 화합물들이 염기 또는 산 부가 염으로 전환될 수 있게 하는 염기성 작용기 및 산성 작용기 둘 다를 함유한다. 당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본 발명에 적합하다. 염은 수성 또는 다른 양성자성 용매에서 상응하는 유리 염기 형태보다 더 강한 가용성을 갖는 경향을 나타낸다. 다른 경우, 제제는 사용 전에 완충제와 조합되는, pH 범위 4.5 내지 5.5의 1 mM 내지 50 mM 히스티딘, 0.1% 내지 2% 수크로스 및 2% 내지 7% 만니톨 중의 동결건조된 분말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컨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에 의해 형성된 염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염을 포함한다. 이러한 염의 예로는 염산염, 브롬산염, 황산염, 메탄설폰산염, 질산염, 말레산염, 아세트산염, 구연산염, 푸마르산염, 주석산염(예를 들면, (+)-주석산염, (-)-주석산염, 또는 라세미체 혼합물을 포함하는 이들의 혼합물), 석신산염, 벤조산염, 및 아미노산, 예컨대, 글루탐산에 의해 형성된 염이 있다. 이들 염은 당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합물의 중성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염을 염기 또는 산과 접촉시키고 통상적인 방식으로 모 화합물을 단리함으로써 재생된다. 화합물의 모 형태는 일부 물리적 성질, 예컨대, 극성 용매에서의 가용성 면에서 다양한 염 형태들과 상이하다.
본원은 프로드러그 형태일 수 있는 물질(예를 들면, 화합물, 약물, 치료제)을 제공한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프로드러그는 선택된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화학적 변화를 용이하게 겪음으로써 최종 물질(예를 들면, 화합물, 약물, 치료제)을 제공하는 화합물이다. 추가로, 프로드러그는 생체외 환경에서 화학적 또는 생화학적 방법에 의해 물질(예를 들면, 화합물, 약물, 치료제)로 전환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프로드러그는 선택된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화학적 변화를 용이하게 겪음으로써 물질(예를 들면, 화합물, 약물, 치료제)을 생물학적 시스템(예를 들면, 대상체)에게 제공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들은 비용매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수화된 형태를 포함하는 용매화된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매화된 형태는 비용매화된 형태와 동등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들은 다수의 결정성 또는 비결정성 형태들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물리적 형태들은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되는 용도에 있어서 동등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염"은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된 화합물의 산 또는 염기 염을 지칭한다. 허용 가능한 염의 예시적 예는 무기 산(염산, 브롬산, 인산 등) 염, 유기 산(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루탐산, 구연산 등) 염, 사차 암모늄(요오드화메틸, 요오드화에틸 등) 염이다.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들은 비대칭 탄소 원자(광학 또는 키랄 중심) 또는 이중 결합을 갖고; 거울상이성질체, 라세미체, 부분입체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절대 입체화학의 관점에서 (R) 또는 (S), 또는 아미노산의 경우 (D) 또는 (L)로서 정의될 수 있는 입체이성질체 형태, 및 개별 이성질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합성하고/하거나 단리하기에 너무 불안정한 것으로 당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라세미체 및 광학적으로 순수한 형태의 화합물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광학적 활성 (R)-이성질체 및 (S)-이성질체, 또는 (D)-이성질체 및 (L)-이성질체는 키랄 신톤(synthon) 또는 키랄 시약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거나, 통상적인 기법을 이용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이 올레핀성 결합 또는 기하 비대칭의 다른 중심을 함유할 때, 달리 특정되어 있지 않은 한, 화합물은 E 기하 이성질체 및 Z 기하 이성질체 둘 다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이성질체"는 동일한 수 및 종류의 원자를 가짐으로써 동일한 분자량을 갖되, 원자의 구조적 배열 또는 입체배치 면에서 상이한 화합물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호변이성질체"는 평형 상태로 존재하고 한 이성질체 형태로부터 또 다른 이성질체 형태로 용이하게 전환되는 2개 이상의 구조 이성질체들 중 하나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부 화합물들이 호변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화합물의 모든 이러한 호변이성질체 형태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은 당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본원에서 묘사된 구조는 그 구조의 모든 입체화학적 형태들, 즉 각각의 비대칭 중심에 대한 R 및 S 입체배치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화합물의 단일 입체화학적 이성질체뿐만 아니라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본원에서 묘사된 구조는 하나 이상의 동위원소 농축 원자의 존재 면에서만 상이한 화합물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중수소 또는 삼중수소에 의한 수소의 대체, 또는 13C 또는 14C 농축 탄소에 의한 탄소의 대체를 제외하고 본 구조를 가진 화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러한 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자들 중 하나 이상의 원자에서 비천연 비율의 원자 동위원소도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합물은 방사성 동위원소, 예를 들면, 삼중수소(3H), 요오드-125(125I) 또는 탄소-14(14C)에 의해 방사성표지될 수 있다. 방사성을 갖던 아니면 갖지 않던 관계없이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동위원소 변경물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유사체" 및 "유사물질"은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되고, 화학 및 생물학 내에서 그들의 평범한 통상의 의미에 따라 사용되고, 또 다른 화합물(즉, 소위 "기준" 화합물)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나 조성, 예를 들면, 상이한 원소의 원자에 의한 한 원자의 대체, 특정 작용기의 존재, 또 다른 작용기에 의한 한 작용기의 대체, 또는 그의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기준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의 절대 입체화학 면에서 상이한 화학적 화합물을 지칭한다. 따라서, 유사체는 기준 화합물과 기능 및 외관 면에서 유사하거나 필적할 만하지만 구조 또는 기원 면에서 유사하지 않거나 필적할 만하지 않은 화합물이다.
부호 "
Figure pat00001
"는 화학적 모이어티가 분자 또는 화학식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되는 점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R2 및/또는 다른 변수의 다수의 경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변수는 임의적으로 상이할 수 있고 보다 더 큰 명료성을 위해 각각의 기를 구별하도록 적절하게 표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R2가 상이한 경우, 이들은 예를 들면, 각각 R2.1, R2.2, R2.3 및/또는 R2.4로서 지칭될 수 있고, 이때 R2의 정의는 R2.1, R2.2, R2.3 및/또는 R2.4에 의해 가정된다. R2의 정의 내에서 사용된 변수, 및/또는 다수의 경우들에서 등장하고 상이한 다른 변수들은 유사하게 보다 더 큰 명료성을 위해 각각의 기를 구별하도록 적절하게 표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본원(예를 들면, 한 양태, 실시양태, 실시예, 청구항, 표, 반응식, 도식 또는 도면)에 기재된 화합물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형 용어는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 추가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어구 "로 치환된"은 특정된 기가 나열된 치환기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치환기 또는 모든 치환기들로 치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 다. 예를 들면, 기, 예컨대, 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기가 "비치환된 C1-C20 알킬 또는 비치환된 2원 내지 20원 헤테로알킬로 치환된" 경우, 상기 기는 하나 이상의 비치환된 C1-C20 알킬 및/또는 하나 이상의 비치환된 2원 내지 20원 헤테로알킬을 함유할 수 있다.
모이어티가 R 치환기로 치환된 경우, 기는 "R-치환된"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모이어티가 R-치환된 경우, 모이어티는 적어도 하나의 R 치환기로 치환되고, 각각의 R 치환기는 임의적으로 상이하다. 예를 들면, 본원에서 모이어티가 R12-치환 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인 경우, 복수의 R12 치환기들이 알킬 모이어티에 부착될 수 있고, 이때 각각의 R12 치환기는 임의적으로 상이하다. R-치환된 모이어티가 복수의 R 치환기들로 치환된 경우, 각각의 R 치환기는 프라임 부호('), 예컨대, R', R" 등의 사용을 통해 본원에서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이어티가 R12-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이고 상기 모이어티가 복수의 R12 치환기들로 치환된 경우, 복수의 R12 치환기들은 R12', R12", R12"' 등으로서 구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 치환기의 수는 3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 치환기의 수는 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R1, R2, R3, R4, R5, R6, R7, R9, R10, R11, R12, R13, R14 및/또는 다른 변수의 다수의 경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변수는 임의적으로 상이할 수 있고 보다 더 큰 명료성을 위해 각각의 기를 구별하도록 적절하게 표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R1, R2, R3, R4, R5, R6, R7, R9, R10, R11, R12, R13 및/또는 R14가 상이한 경우, 이들은 예를 들면, 각각 R1.1, R1.2, R1.3, R1.4, R2.1, R2.2, R2.3, R2.4, R3.1, R3.2, R3.3, R3.4, R4.1, R4.2, R4.3, R4.4, R5.1, R5.2, R5.3, R5.4, R6.1, R6.2, R6.3, R6.4, R7.1, R7.2, R7.3, R7.4, R9.1, R9.2, R9.3, R9.4, R10.1, R10.2, R10.3, R10.4, R11.1, R11.2, R11.3, R11.4, R12.1, R12.2, R12.3, R12.4, R13.1, R13.2, R13.3, R13.4, R14.1, R14.2, R14.3 및/또는 R14.4로서 지칭될 수 있고, 이때 R1의 정의는 R1.1, R1.2, R1.3 및/또는 R1.4에 의해 가정되고, R2의 정의는 R2.1, R2.2, R2.3 및/또는 R2.4에 의해 가정되고, R3의 정의는 R3.1, R3.2, R3.3 및/또는 R3.4에 의해 가정되고, R4의 정의는 R4.1, R4.2, R4.3 및/또는 R4.4에 의해 가정되고, R5의 정의는 R5.1, R5.2, R5.3 및/또는 R5.4에 의해 가정되고, R6의 정의는 R6.1, R6.2, R6.3 및/또는 R6.4에 의해 가정되고, R7의 정의는 R7.1, R7.2, R7.3 및/또는 R7.4에 의해 가정되고, R9의 정의는 R9.1, R9.2, R9.3 및/또는 R9.4에 의해 가정되고, R10의 정의는 R10.1, R10.2, R10.3 및/또는 R10.4에 의해 가정되고, R11의 정의는 R11.1, R11.2, R11.3 및/또는 R11.4에 의해 가정되고, R12의 정의는 R12.1, R12.2, R12.3 및/또는 R12.4에 의해 가정되고, R13의 정의는 R13.1, R13.2, R13.3 및/또는 R13.4에 의해 가정되고, R14의 정의는 R14.1, R14.2, R14.3 및/또는 R14.4에 의해 가정된다. R1, R2, R3, R4, R5, R6, R7, R9, R10, R11, R12, R13 및/또는 R14의 정의 내에서 사용된 변수, 및/또는 다수의 경우들에서 등장하고 상이한 다른 변수는 유사하게 보다 더 큰 명료성을 위해 각각의 기를 구별하도록 적절하게 표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설명은 당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화학적 결합의 원리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기가 다수의 치환기들 중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는 경우, 이러한 치환은 화학적 결합의 원리에 부합하고 주위 조건, 예컨대, 수성, 중성 및 여러 공지된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본질적으로 불안정하지 않고/않거나 당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불안정할 가능성 있는 화합물로서 공지되어 있지 않을 화합물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예를 들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은 당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화학적 결합의 원리에 따라 고리 헤테로원자를 통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됨으로써, 본질적으로 불안정한 화합물을 피한다.
항체는 복잡한 내부 구조를 가진 큰 복합체 분자(약 150,000의 분자량 또는 약 1320개 아미노산)이다. 천연 항체 분자는 1개의 경쇄 및 1개의 중쇄를 각각 가진 동일한 두 쌍의 폴리펩타이드 쇄를 함유 한다. 각각의 경쇄 및 중쇄는 2개의 영역들, 즉 표적 항원과의 결합에 관여하는 가변("V") 영역, 및 면역 시스템의 다른 성분과 상호작용하는 불변("C") 영역으로 구성된다. 경쇄 가변 영역과 중쇄 가변 영역은 3차원 공간에서 함께 모여, 항원(예를 들면, 세포의 표면 상의 수용체)에 결합하는 가변 영역을 형성한다. 각각의 경쇄 또는 중쇄 가변 영역 내에는 상보성 결정 영역("CDR")으로서 지칭되는 3개의 짧은 분절들(길이가 평균 10개 아미노산임) 이 있다. 항체 가변 도메인 내의 6개의 CDR들(경쇄로부터 3개 및 중쇄로부터 3개) 은 3차원 공간에서 함께 접혀져, 표적 항원에 도킹하는 실제 항체 결합 부위를 형성한다. 상기 CDR들의 위치 및 길이는 문헌(Kabat, E. et al., Sequences of Proteins of Immunological Interest,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1983, 1987)에 의해 정확히 정의되었다. CDR들 내에 함유되지 않은 가변 영역의 일부는 CDR들을 위한 환경을 형성하는 골격("FR")으로서 지칭된다.
용어 "항체"는 당분야에서 그의 통상적으로 공지된 의미에 따라 사용된다. 항체는 예를 들면, 온전한 면역글로불린으로서 존재하거나, 다양한 펩티다제들에 의한 분해에 의해 생성된 다수의 잘 특징규명된 단편들로서 존재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펩신은 힌지 영역 내의 디설파이드 결합 아래에서 항체를 분해하여, F(ab)'2, 즉 그 자체가 디설파이드 결합에 의해 VH-CH1에 연결된 경쇄인 Fab의 이량체를 생성한다. F(ab)'2는 순한 조건 하에서 환원되어 힌지 영역 내의 디설파이드 결합을 절단함으로써, F(ab)'2 이량체를 Fab' 단량체로 전환시킬 수 있다. Fab' 단량체는 본질적으로 힌지 영역의 일부를 가진 Fab이다(문헌(Fundamental Immunology (Paul ed., 3d ed. 1993)) 참조). 다양한 항체 단편들이 온전한 항체의 분해의 관점에서 정의되어 있지만, 숙련된 자는 이러한 단편이 화학적으로 또는 재조합 DNA 방법의 이용에 의해 새로 합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항체는 전체 항체의 변형에 의해 생성된 항체 단편, 또는 재조합 DNA 방법의 이용에 의해 새로 합성된 항체 단편(예를 들면, 단일 쇄 Fv) 또는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의 이용에 의해 확인된 항체 단편도 포함한다(예를 들면, 문헌(McCafferty et al., Nature 348:552-554 (1990)) 참조).
단일클론 또는 다중클론 항체의 제조를 위해, 당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예를 들면, 문헌(Kohler & Milstein, Nature 256:495-497 (1975)); 문헌(Kozbor et al., Immunology Today 4:72 (1983)); 및 문헌(Cole et al., pp. 77-96 in Monoclonal Antibodies and Cancer Therapy (1985)) 참조). "단일클론" 항체(mAb)는 단일 클론으로부터 유래한 항체를 지칭한다. 단일 쇄 항체를 생성하는 기법(미국 특허 제4,946,778호)을 조정하여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에 대한 항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형질전환 마우스 또는 다른 유기체, 예컨대, 다른 포유동물을 사용하여 인간화된 항체를 발현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파지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선택된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이종체성 Fab 단편을 확인할 수 있다(예를 들면, 문헌(McCafferty et al., Nature 348:552-554 (1990)); 및 문헌(Marks et al., Biotechnology 10:779-783 (1992)) 참조).
mAb의 에피토프는 mAb가 결합하는 그의 항원의 영역이다. 2개의 항체들은 이들 각각이 다른 한 항체와 항원의 결합을 경쟁적으로 억제하는(차단하는) 경우 동일한 또는 중첩되는 에피토프에 결합한다. 즉, 1배, 5배, 10배, 20배 또는 100배 과량의 한 항체는 경쟁 결합 어세이에서 측정될 때 다른 한 항체의 결합을 적어도 30%, 바람직하게는 50%, 75%, 90% 또는 심지어 99%까지 억제한다(예를 들면, 문헌(Junghans et al., Cancer Res. 50:1495, 1990) 참조). 대안적으로, 2개의 항체들은 한 항체의 결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항원 내의 본질적으로 모든 아미노산 돌연변이들이 다른 한 항체의 결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경우 동일한 에피토프를 가진다. 2개의 항체들은 한 항체의 결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일부 아미노산 돌연변이들이 다른 한 항체의 결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경우 중첩되는 에피토프를 가진다.
항체는 예를 들면, 온전한 면역글로불린으로서 존재하거나, 다양한 펩티다제들에 의한 분해에 의해 생성된 다수의 잘 특징규명된 단편들로서 존재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펩신은 힌지 영역 내의 디설파이드 결합 아래에서 항체를 분해하여, F(ab)'2, 즉 그 자체가 디설파이드 결합에 의해 VH-CH1에 연결된 경쇄인 Fab의 이량체를 생성한다. F(ab)'2는 순한 조건 하에서 환원되어 힌지 영역 내의 디설파이드 결합을 절단함으로써, F(ab)'2 이량체를 Fab' 단량체로 전환시킬 수 있다. Fab' 단량체는 본질적으로 힌지 영역의 일부를 가진 항원 결합 부분이다(문헌(Fundamental Immunology (Paul ed., 3d ed. 1993)) 참조). 다양한 항체 단편들이 온전한 항체의 분해의 관점에서 정의되어 있지만, 숙련된 자는 이러한 단편이 화학적으로 또는 재조합 DNA 방법의 이용에 의해 새로 합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항체는 전체 항체의 변형에 의해 생성된 항체 단편, 또는 재조합 DNA 방법의 이용에 의해 새로 합성된 항체 단편(예를 들면, 단일 쇄 Fv) 또는 파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의 이용에 의해 확인된 항체 단편도 포함한다(예를 들면, 문헌(McCafferty et al., Nature 348:552-554 (1990)) 참조).
단일 쇄 가변 단편(scFv)은 전형적으로 10개 내지 약 25개 아미노산의 짧은 링커 펩타이드에 의해 연결된, 면역글로불린의 중쇄 가변 영역(VH) 및 경쇄 가변 영역(VL)의 융합 단백질이다. 링커는 통상적으로 유연성을 위해 글리신을 풍부하게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용성을 위해 세린 또는 쓰레오닌도 풍부하게 가질 수 있다. 링커는 VH의 N-말단을 VL의 C-말단과 연결할 수 있거나, 그 반대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항체, 예를 들면, 재조합, 단일클론 또는 다중클론 항체를 제조하고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해, 당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많은 기법들을 이용할 수 있다(예를 들면, 문헌(Kohler & Milstein, Nature 256:495-497 (1975)); 문헌(Kozbor et al., Immunology Today 4: 72 (1983)); 문헌(Cole et al., pp. 77-96 in Monoclonal Antibodies and Cancer Therapy, Alan R. Liss, Inc. (1985)); 문헌(Coligan, Current Protocols in Immunology (1991)); 문헌(Harlow & Lane,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1988)); 및 문헌(Goding, Monoclonal Antibodies: Principles and Practice (2d ed. 1986)) 참조). 관심 있는 항체의 중쇄 및 경쇄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세포로부터 클로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일클론 항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하이브리도마로부터 클로닝하고 사용하여 재조합 단일클론 항체를 생성할 수 있다. 단일클론 항체의 중쇄 및 경쇄를 코딩하는 유전자 라이브러리도 하이브리도마 또는 형질 세포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중쇄 및 경쇄 유전자 생성물의 무작위 조합은 상이한 항원 특이성을 가진 항체들의 큰 풀을 생성한다(예를 들면, 문헌(Kuby, Immunology (3rd ed. 1997)) 참조). 단일 쇄 항체 또는 재조합 항체를 생성하는 기법(미국 특허 제4,946,778호 및 미국 특허 제4,816,567호)을 조정하여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에 대한 항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형질전환 마우스 또는 다른 유기체, 예컨대, 다른 포유동물을 사용하여 인간화된 또는 인간 항체를 발현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545,807호, 제5,545,806호, 제5,569,825호, 제5,625,126호, 제5,633,425호 및 제5,661,016호; 문헌(Marks et al., Bio/Technology 10:779-783 (1992)); 문헌(Lonberg et al., Nature 368:856-859 (1994)); 문헌(Morrison, Nature 368:812-13 (1994)); 문헌(Fishwild et al., Nature Biotechnology 14:845-51 (1996)); 문헌(Neuberger, Nature Biotechnology 14:826 (1996)); 및 문헌(Lonberg & Huszar, Intern. Rev. Immunol. 13:65-93 (1995)) 참조). 대안적으로, 파지 디스플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선택된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이종체성 Fab 단편을 확인할 수 있다(예를 들면, 문헌(McCafferty et al., Nature 348:552-554 (1990)); 및 문헌(Marks et al., Biotechnology 10:779-783 (1992)) 참조). 항체는 이중특이성을 갖도록, 즉 2개의 상이한 항원들을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예를 들면, 국제 특허출원 공보 제WO 93/08829호; 문헌(Traunecker et al., EMBO J. 10:3655-3659 (1991)); 및 문헌(Suresh et al., Methods in Enzymology 121:210 (1986)) 참조). 항체는 이종접합체, 예를 들면, 2개의 공유결합된 항체들, 또는 면역독소일 수도 있다(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676,980호; 국제 특허출원 공보 제91/00360호; 국제 특허출원 공보 제WO 92/200373호; 및 유럽 특허 제03089호 참조).
비-인간 항체를 인간화하거나 영장류화하는 방법은 당분야에서 잘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816,567호, 제5,530,101호, 제5,859,205호, 제5,585,089호, 제5,693,761호, 제5,693,762호, 제5,777,085호, 제6,180,370호, 제6,210,671호 및 제6,329,511호; 국제 특허출원 공보 제WO 87/02671호; 유럽 특허출원 제0173494호; 문헌(Jones et al. (1986) Nature 321:522); 및 문헌(Verhoyen et al. (1988) Science 239:1534)). 인간화된 항체는 예를 들면, 문헌(Winter and Milstein (1991) Nature 349:293)에도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비-인간인 공급원으로부터 유래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인간화된 항체 내에 도입되어 있다. 이 비-인간 아미노산 잔기는 전형적으로 이입(import) 가변 도메인으로부터 유래한 이입 잔기로서 종종 지칭된다. 인간화는 본질적으로 인간 항체의 상응하는 서열을 설치류 CDR 또는 CDR 서열로 치환시킴으로써, 윈터(Winter)와 그의 동료들의 방법 후 수행될 수 있다(예를 들면, 문헌(Morrison et al., PNAS USA, 81:6851-6855 (1984)); 문헌(Jones et al., Nature 321:522-525 (1986)); 문헌(Riechmann et al., Nature 332:323-327 (1988)); 문헌(Morrison and Oi, Adv. Immunol., 44:65-92 (1988)); 문헌(Verhoeyen et al., Science 239:1534-1536 (1988)); 문헌(Presta, Curr. Op. Struct. Biol. 2:593-596 (1992)); 문헌(Padlan, Molec. Immun., 28:489-498 (1991)); 및 문헌(Padlan, Molec. Immun., 31(3):169-217 (1994)) 참조). 따라서, 이러한 인간화된 항체는 온전한 인간 가변 도메인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부분이 비-인간 종으로부터의 상응하는 서열로 치환되어 있는 키메라 항체이다(미국 특허 제4,816,567호). 실제로, 인간화된 항체는 전형적으로 일부 CDR 잔기들 및 가능하게는 일부 FR 잔기들이 설치류 항체 내의 유사한 부위로부터의 잔기로 치환되어 있는 인간 항체이다. 예를 들면, 인간화된 면역글로불린 프레임워크 영역을 코딩하는 제1 서열 및 원하는 면역글로불린 상보성 결정 영역을 코딩하는 제2 서열 세트를 포함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합성으로 생성할 수 있거나, 적절한 cDNA와 게놈 DNA 분절의 조합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인간 불변 영역 DNA 서열은 잘 공지되어 있는 절차에 따라 다양한 인간 세포들로부터 단리될 수 있다.
"키메라 항체"는 (a) 항원 결합 부위(가변 영역)가 상이한 또는 변경된 클래스, 이펙터 기능 및/또는 종의 불변 영역, 또는 새로운 성질을 키메라 항체에 부여하는 전체적으로 상이한 분자, 예를 들면, 효소, 독소, 호르몬, 성장 인자, 약물 등에 연결되도록 불변 영역 또는 이의 일부가 변경되어 있거나, 대체되어 있거나 교환되어 있거나; (b) 가변 영역 또는 이의 일부가 상이한 또는 변경된 항원 특이성을 가진 가변 영역으로 변경되어 있거나, 대체되어 있거나 교환되어 있는 항체 분자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항체는 인간화된 항체 및/또는 키메라 단일클론 항체를 포함한다.
치료제를 항체에 접합시키는 기법은 잘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문헌(Arnon et al., "Monoclonal Antibodies For Immunotargeting Of Drugs In Cancer Therapy", in Monoclonal Antibodies And Cancer Therapy, Reisfeld et al. (eds.), pp. 243-56 (Alan R. Liss, Inc. 1985)); 문헌(Hellstrom et al., "Antibodies For Drug Delivery"in Controlled Drug Delivery (2nd Ed.), Robinson et al. (eds.), pp. 623-53 (Marcel Dekker, Inc. 1987)); 문헌(Thorpe, "Antibody Carriers Of Cytotoxic Agents In Cancer Therapy: A Review" in Monoclonal Antibodies '84: Biological And Clinical Applications, Pinchera et al. (eds.), pp. 475-506 (1985)); 및 문헌(Thorpe et al., "The Preparation And Cytotoxic Properties Of Antibody-Toxin Conjugates", Immunol. Rev., 62:119-58 (1982)) 참조).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항체-약물 접합체" 또는 "ADC"는 항체에 접합되어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공유결합된 치료제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언급된 "치료제"는 암과 같은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한 조성물이다.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를 지칭할 때 항체에 "특이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또는 "특이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면역반응하는"이라는 어구는 종종 단백질과 다른 생물약제의 불균질한 집단에서 단백질의 존재를 확인시켜주는 결합 반응을 지칭한다. 따라서, 지정된 면역어세이 조건 하에서, 특정된 항체는 배경보다 적어도 2배, 보다 전형적으로 배경보다 10배 내지 100배 더 많이 특정 단백질에 결합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항체에의 특이적 결합은 특정 단백질에 대한 그의 특이성에 대해 선택된 항체를 요구한다. 예를 들면, 다중클론 항체는 선택된 항원과 특이적으로 면역반응하고 다른 단백질과 면역반응하지 않는 항체의 서브세트만을 수득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 선택은 다른 분자와 교차반응하는 항체를 빼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다양한 면역어세이 포맷을 이용하여 특정 단백질과 특이적으로 면역반응하는 항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체 상 ELISA 면역어세이를 관례적으로 이용하여 단백질과 특이적으로 면역반응하는 항체를 선택한다(예를 들면, 특이적 면역반응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면역어세이 포맷 및 조건의 설명에 대해서는 문헌(Harlow & Lane, Using Antibodies, A Laboratory Manual (1998)) 참조).
"리간드"는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는 물질, 예를 들면, 폴리펩타이드 또는 다른 분자를 지칭한다.
"접촉"은 그의 평범한 통상의 의미에 따라 사용되고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종들(예를 들면, 생체분자 또는 세포를 포함하는 화학적 화합물)이 반응하거나, 상호작용하거나 물리적으로 접촉할 정도로 충분히 가까이 있게 하는 과정을 지칭한다. 그러나, 생성된 반응 생성물이 첨가된 시약들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또는 반응 혼합물에서 생성될 수 있는, 첨가된 시약들 중 하나 이상의 첨가된 시약으로부터의 중간체로부터 직접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용어 "접촉"은 2개의 종들이 반응하거나, 상호작용하거나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2개의 종들은 예를 들면, 본원에서 제공된 약학 조성물 및 세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접촉은 예를 들면, 본원에 기재된 약학 조성물이 세포 또는 환자와 상호작용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달리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본원에서 사용된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당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면, 문헌(Singleton et al., DICTIONARY OF MICROBIOLOGY AND MOLECULAR BIOLOGY 2nd ed., J. Wiley & Sons (New York, NY 1994)); 문헌(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s Harbor Press (Cold Springs Harbor, NY 1989))을 참조한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 디바이스 및 재료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임의의 방법, 디바이스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될 수 있다. 하기 정의는 본원에서 빈번히 사용된 일부 용어들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되고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핵산"은 단일 또는 이중 가닥 형태의 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 또는 리보뉴클레오타이드 및 이들의 중합체, 및 이들의 상보체를 지칭한다. 용어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뉴클레오타이드의 선형 서열을 지칭한다. 용어 "뉴클레오타이드"는 전형적으로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단일 유닛, 즉 단량체를 지칭한다. 뉴클레오타이드는 리보뉴클레오타이드, 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이들의 변형된 버전일 수 있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예로는 단일 가닥 DNA 및 이중 가닥 DNA, 단일 가닥 RNA 및 이중 가닥 RNA(siRNA를 포함함), 및 단일 가닥 DNA 및 RNA와 이중 가닥 DNA 및 RNA의 혼합물을 가진 하이브리드 분자가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핵산은 천연 생성 핵산과 동일한 기본 화학 구조를 가진 핵산도 지칭한다. 이러한 유사체는 변형된 당 및/또는 변형된 고리 치환기를 갖되, 천연 생성 핵산과 동일한 기본 화학 구조를 보유한다. 핵산 모방 물질(mimetic)은 핵산의 일반적인 화학 구조와 상이한 구조를 갖되 천연 생성 핵산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화학적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유사체의 예로는 포스포로티올레이트, 포스포라미데이트, 메틸 포스포네이트, 키랄-메틸 포스포네이트, 2-O-메틸 리보뉴클레오타이드, 및 펩타이드-핵산(PNA)이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폴리펩타이드", "펩타이드" 및 "단백질"은 아미노산 잔기의 중합체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되고, 이때 상기 중합체는 일부 실시양태에서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지 않은 모이어티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상응하는 천연 생성 아미노산의 인공 화학적 모방 물질인 아미노산 중합체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천연 생성 아미노산 중합체 및 비천연 생성 아미노산 중합체에도 적용된다. "융합 단백질"은 단일 모이어티로서 재조합 발현되는 2개 이상의 별개의 단백질 서열들을 코딩하는 키메라 단백질을 지칭한다.
용어 "펩티딜" 및 "펩티딜 모이어티"는 1가 펩타이드를 의미한다.
용어 "아미노산"은 천연 생성 아미노산 및 합성 아미노산을 지칭할 뿐만 아니라, 천연 생성 아미노산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아미노산 유사체 및 아미노산 모방 물질도 지칭한다. 천연 생성 아미노산은 유전 코드에 의해 코딩된 아미노산, 및 추후에 변형된 아미노산,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프롤린, γ-카복시글루타메이트 및 O-포스포세린이다. 아미노산 유사체는 천연 생성 아미노산과 동일한 기본 화학 구조, 즉 수소, 카복실 기, 아미노 기 및 R 기에 결합된 α 탄소를 가진 화합물, 예를 들면, 호모세린, 노르류신, 메티오닌 설폭사이드, 메티오닌 메틸 설포늄을 지칭한다. 이러한 유사체는 변형된 R 기(예를 들면, 노르류신) 또는 변형된 펩타이드 골격을 갖되, 천연 생성 아미노산과 동일한 기본 화학 구조를 보유한다. 아미노산 모방 물질은 아미노산의 일반적인 화학 구조와 상이한 구조를 갖되, 천연 생성 아미노산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화학적 화합물을 지칭한다. 용어 "비천연 생성 아미노산" 및 "비천연 아미노산"은 자연에서 발견되지 않는 아미노산 유사체, 합성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모방 물질을 지칭한다.
아미노산은 본원에서 그의 통상적으로 공지된 3 문자 부호, 또는 IUPAC-IUB 생화학 명명법 위원회(Biochemical Nomenclature Commission)에 의해 권장된 1 문자 부호에 의해 지칭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뉴클레오타이드는 그의 통상적으로 허용되는 단일 문자 코드에 의해 지칭될 수 있다.
"보존적으로 변형된 변이체"는 아미노산 서열 및 핵산 서열 둘 다에 적용된다. 특정 핵산 서열과 관련하여, "보존적으로 변형된 변이체"는 동일한 또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핵산을 지칭한다. 유전 코드의 축퇴성 때문에, 다수의 핵산 서열들이 임의의 소정의 단백질을 코딩할 것이다. 예를 들면, 코돈 GCA, GCC, GCG 및 GCU는 모두 아미노산 알라닌을 코딩한다. 따라서, 알라닌이 코돈에 의해 특정된 모든 위치에서, 코돈은 코딩된 폴리펩타이드를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기재된 상응하는 코돈들 중 임의의 상응하는 코돈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핵산 변경은 보존적으로 변형된 변이의 일종인 "침묵 변이"이다.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본원의 모든 핵산 서열은 핵산의 모든 가능한 침묵 변이도 기술한다. 숙련된 자는 (통상적으로 메티오닌에 대한 유일한 코돈인 AUG, 및 통상적으로 트립토판에 대한 유일한 코돈인 TGG를 제외한) 핵산 내의 각각의 코돈을 변형시켜 기능적으로 동일한 분자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는 핵산의 각각의 침묵 변이는 각각의 기재된 서열에 내포되어 있다.
아미노산 서열에 대하여, 숙련된 자는 코딩된 서열에서 단일 아미노산 또는 작은 퍼센트의 아미노산을 변경시키거나, 추가하거나 결실시키는, 핵산, 펩타이드, 폴리펩타이드 또는 단백질 서열에 대한 개별 치환, 결실 또는 추가가 "보존적으로 변형된 변이체"라는 것을 인식할 것이고, 이때 변경은 아미노산을 화학적으로 유사한 아미노산으로 치환시킨다. 기능적으로 유사한 아미노산을 제공하는 보존적 치환 표는 당분야에서 잘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보존적으로 변형된 변이체는 본 발명의 다형성 변이체, 종간 상동체 및 대립유전자 이외의 것이고 이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하기 8개의 군들은 서로에 대한 보존적 치환인 아미노산을 각각 함유한다:
1) 알라닌(A), 글리신(G);
2) 아스파르트산(D), 글루탐산(E);
3) 아스파라긴(N), 글루타민(Q);
4) 아르기닌(R), 라이신(K);
5) 이소류신(I), 류신(L), 메티오닌(M), 발린(V);
6) 페닐알라닌(F), 티로신(Y), 트립토판(W);
7) 세린(S), 쓰레오닌(T); 및
8) 시스테인(C), 메티오닌(M)(예를 들면, 문헌(Creighton, Proteins (1984)) 참조).
소정의 아미노산 또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넘버링과 관련하여 사용될 때 용어 "에 대하여 넘버링된" 또는 "에 상응하는"은 소정의 아미노산 또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이 기준 서열과 비교될 때 특정된 기준 서열의 잔기의 넘버링을 지칭한다. 단백질 내의 아미노산 잔기는 단백질 내에서 소정의 잔기와 동일한 필수 구조적 위치를 점유할 때 상기 소정의 잔기에 "상응한다". 당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상이한 넘버링 시스템으로 다른 단백질에서 단백질(예를 들면, ROR-1) 내의 특정 위치에 상응하는 잔기의 정체성 및 위치를 즉시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면, 단백질(예를 들면, ROR-1)과의 단순한 서열 정렬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단백질의 특정 위치에 상응하는 잔기의 정체성 및 위치를, 상기 단백질에 정렬하는 다른 단백질 서열에서 확인한다. 예를 들면, 선택된 단백질 내의 선택된 잔기는 선택된 잔기가 위치 138에서 글루탐산과 동일한 필수 공간적 또는 다른 구조적 관계를 점유할 때 위치 138에서 글루탐산에 상응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선택된 단백질이 단백질과의 최대 상동성을 위해 정렬되는 경우, 정렬된 선택된 단백질 내에서 글루탐산 138과 정렬되는 위치는 글루탐산 138에 상응한다고 주장된다. 예를 들면, 선택된 단백질의 구조가 위치 138에서 글루탐산과 최대로 상응하도록 정렬되고 전체 구조가 비교되는 경우, 일차 서열 정렬 대신에 3차원 구조적 정렬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구조적 모델에서 글루탐산 138과 동일한 필수 위치를 점유하는 아미노산은 글루탐산 138 잔기에 상응한다고 주장된다.
"서열 동일성의 퍼센트"는 비교 윈도우에 걸쳐 2개의 최적으로 정렬된 서열들을 비교함으로써 측정되고, 이때 비교 윈도우에서 폴리뉴클레오타이드 또는 폴리펩타이드의 일부는 상기 2개의 서열들의 최적 정렬을 위해 (추가 또는 결실을 포함하지 않는) 기준 서열에 비해 추가 또는 결실(즉, 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퍼센트는 두 서열들에서 동일한 핵산 염기 또는 아미노산 잔기가 존재하는 위치의 수를 측정하여 일치된 위치의 수를 산출하고, 일치된 위치의 수를 비교 윈도우 내의 총 위치의 수로 나누고 결과에 100을 곱하여 서열 동일성의 퍼센트를 산출함으로써 계산된다.
2개 이상의 핵산들 또는 폴리펩타이드 서열들과 관련하여, 용어 "동일한" 또는 퍼센트 "동일성"은 하기 서열 비교 알고리즘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측정하거나, 수동 정렬 및 시각적 검사로 측정할 때 비교 윈도우 또는 지정된 영역에 걸쳐 비교되고 최대로 상응하도록 정렬될 경우, 동일한 2개 이상의 서열들 또는 하위서열들, 또는 특정된 퍼센트의 동일한 아미노산 잔기 또는 뉴클레오타이드(즉,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전체 폴리펩타이드 서열 또는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의 개별 도메인의 특정된 영역에 걸쳐 60% 동일성, 임의적으로 65%, 70%, 75%, 80%, 85%, 90%, 95%, 98% 또는 99% 동일성)를 가진 2개 이상의 서열들 또는 하위서열들을 지칭한다. 그 다음, 이러한 서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주장된다. 이 정의는 시험 서열의 상보체도 지칭한다. 임의적으로, 동일성은 길이가 적어도 약 50개 뉴클레오타이드인 영역, 보다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100개 내지 500개 또는 1000개 이상의 뉴클레오타이드인 영역에 걸쳐 존재한다.
서열 비교를 위해, 전형적으로 한 서열은 시험 서열과 비교되는 기준 서열로서 작용한다. 서열 비교 알고리즘을 이용할 때, 시험 서열 및 기준 서열을 컴퓨터에 입력하고, 필요하다면 하위서열 좌표를 지정하고 서열 알고리즘 프로그램 파라미터를 지정한다. 디폴트 프로그램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거나, 대안적 파라미터를 지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서열 비교 알고리즘은 프로그램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기준 서열에 비해 시험 서열에 대한 퍼센트 서열 동일성을 계산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비교 윈도우"는 예를 들면, 전체 길이 서열 또는 20개 내지 600개, 약 50개 내지 약 200개, 또는 약 100개 내지 약 150개 아미노산 또는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다수의 인접 위치들 중 어느 한 인접 위치의 분절의 지칭을 포함하고, 이때 서열은 2개의 서열들이 최적으로 정렬된 후 동일한 수의 인접 위치들의 기준 서열과 비교될 수 있다. 비교를 위해 서열을 정렬하는 방법은 당분야에서 잘 공지되어 있다. 비교를 위한 서열의 최적 정렬은 예를 들면, 문헌(Smith and Waterman (1970) Adv. Appl. Math. 2:482c)의 국소 상동성 알고리즘, 문헌(Needleman and Wunsch (1970) J. Mol. Biol. 48:443)의 상동성 정렬 알고리즘, 문헌(Pearson and Lipman (1988) Proc. Nat'l. Acad. Sci. USA 85:2444)의 유사성 검색 방법, 이들 알고리즘들의 전산화된 실행(위스콘신 제네틱스 소프트웨어 팩키지(Wisconsin Genetics Software Package) 내의 GAP, BESTFIT, FASTA 및 TFASTA, Genetics Computer Group, 위스콘신주 매디슨 사이언스 드라이브 575 소재), 또는 수동 정렬 및 시각적 검사(예를 들면, 문헌(Ausubel et al.,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1995 supplement)) 참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퍼센트 서열 동일성 및 서열 유사성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알고리즘의 일례는 각각 문헌(Altschul et al. (1977) Nuc. Acids Res. 25:3389-3402) 및 문헌(Altschul et al. (1990) J. Mol. Biol. 215:403-410)에 기재된 BLAST 및 BLAST 2.0 알고리즘이다. BLAST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국립 생명공학 정보 센터(웹사이트 www.ncbi.nlm.nih.gov/)를 통해 공개적으로 입수될 수 있다. 이 알고리즘은 데이터베이스 서열에서 동일한 길이의 단어와 정렬되었을 때 어느 정도 양의 값을 가진 역치 점수 T와 일치하거나 이러한 점수를 충족시키는 길이 W의 짧은 단어를 질의(query) 서열에서 확인함으로써 높은 점수기록 서열 쌍(HSP)을 먼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는 이웃 단어 점수 역치로서 지칭된다(상기 문헌(Altschul et al.)). 이 초기 이웃 단어 히트(hit)는 이를 함유하는 보다 더 긴 HSP를 찾기 위한 검색을 시작하기 위한 시드(seed)로서 작용한다. 단어 히트는 누적 정렬 점수가 증가될 수 있는 만큼 멀리 각각의 서열을 따라 양 방향으로 확장된다.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경우, 파라미터 M(한 쌍의 일치 잔기들에 대한 보상 점수; 항상 > 0) 및 N(불일치 잔기에 대한 벌점 점수; 항상 < 0)을 사용하여 누적 점수를 계산한다. 아미노산 서열의 경우, 점수기록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누적 점수를 계산한다. 누적 정렬 점수가 그의 최대 달성된 값으로부터 양 X만큼 떨어질 때; 하나 이상의 음의 점수기록 잔기 정렬의 축적으로 인해 누적 점수가 0 이하로 떨어질 때; 또는 어느 한 서열의 말단에 도달될 때, 각각의 방향에서 단어 히트의 확장이 중단된다. BLAST 알고리즘 파라미터 W, T 및 X는 정렬의 민감성 및 속도를 결정한다.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경우) BLASTN 프로그램은 11의 단어 길이(W), 예상치(E) 또는 10, M=5, N=-4, 및 양 가닥들의 비교를 디폴트로서 사용한다. 아미노산 서열의 경우, BLASTP 프로그램은 3의 단어 길이, 및 10의 예상치(E), 및 50의 BLOSUM62 점수기록 매트릭스(문헌(Henikoff and Henikoff (1989) Proc. Natl. Acad. Sci. USA 89:10915) 참조) 정렬(B), 10의 예상치(E), M=5, N=-4, 및 양 가닥들의 비교를 디폴트로서 사용한다.
BLAST 알고리즘은 2개의 서열들 사이의 유사성의 통계학적 분석도 수행한다(예를 들면, 문헌(Karlin and Altschul (1993) Proc. Natl. Acad. Sci. USA 90:5873-5787) 참조). BLAST 알고리즘에 의해 제공된 유사성의 한 척도는 2개의 뉴클레오타이드 또는 아미노산 서열들 사이의 일치가 우연히 일어날 확률의 표시를 제공하는 최소 합계 확률(P(N))이다. 예를 들면, 시험 핵산과 기준 핵산의 비교에서 최소 합계 확률이 약 0.2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01 미만인 경우, 핵산은 기준 핵산과 유사한 것으로서 간주된다.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이, 2개의 핵산 서열들 또는 폴리펩타이드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표시는 제1 핵산에 의해 코딩된 폴리펩타이드가 제2 핵산에 의해 코딩된 폴리펩타이드에 대해 생성된 항체와 면역학적으로 교차반응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2개의 펩타이드들이 보존적 치환에 의해서만 상이한 경우, 폴리펩타이드는 전형적으로 제2 폴리펩타이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에 기재된 바와 같이, 2개의 핵산 서열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또 다른 표시는 2개의 분자들 또는 이들의 상보체들이 엄격한 조건 하에서 서로 하이브리드화한다는 것이다. 2개의 핵산 서열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또 다른 표시는 동일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서열을 증폭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백질에 적용될 때, 용어 "단리된"은 단백질이 천연 상태에서 그와 회합되어 있는 다른 세포 성분을 본질적으로 갖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백질은 무수 또는 수성 용액으로 존재할 수 있을지라도, 바람직하게는 균질한 상태로 존재한다. 순도 및 균질성은 전형적으로 분석 화학 기법, 예컨대,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영동 또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함으로써 측정된다. 제제에 존재하는 우세한 종인 단백질은 실질적으로 정제된다. 용어 "정제된"은 단백질이 전기영동 겔에서 본질적으로 1개의 밴드를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이것은 단백질이 적어도 85% 순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순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9% 순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를 지칭할 때 항체에 "특이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또는 "특이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면역반응하는"이라는 어구는 단백질과 다른 생물약제의 불균질한 집단에서 단백질의 존재를 확인시켜주는 결합 반응을 지칭한다. 따라서, 지정된 면역어세이 조건 하에서, 특정된 항체는 배경보다 적어도 2배 더 많이 특정 단백질에 결합하고 샘플에 존재하는 다른 단백질에 유의미한 양으로 실질적으로 결합하지 않는다. 전형적으로, 특이적 또는 선택적 반응은 배경 신호 또는 노이즈의 적어도 2배, 보다 전형적으로 배경의 10배 내지 100배 이상일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세포"는 그의 게놈 DNA를 보존하거나 복제하기에 충분한 대사 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를 지칭한다. 세포는 예를 들면, 온전한 막의 존재, 특정 염료에 의한 염색, 자손을 생성하는 능력, 또는 생식세포의 경우 살아있는 자손을 생산하기 위해 제2 생식세포와 조합하는 능력을 포함하는, 당분야에서 잘 공지되어 있는 방법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세포는 원핵 세포 및 진핵 세포를 포함할 수 있다. 원핵 세포는 세균을 포함하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진핵 세포는 효모 세포, 및 식물 및 동물로부터 유래한 세포, 예를 들면, 포유동물, 곤충(예를 들면, 스포도프테라) 및 인간 세포를 포함하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단백질-억제제(예를 들면, 수용체 길항제 또는 신호전달 경로 억제제) 상호작용과 관련하여 용어 "억제", "억제한다", "억제하는" 등은 억제제의 부재 하에서의 단백질의 활성 또는 기능에 비해 단백질의 활성 또는 기능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예를 들면, 감소시킨다는)(예를 들면, 수용체 또는 단백질의 활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억제는 질환 또는 질환의 증상(예를 들면, 암)의 감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억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극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차단하거나, 활성화를 감소시키거나, 방해하거나 지연시키거나, 단백질(예를 들면, 수용체)의 신호 전달도입 또는 효소 활성 또는 양을 불활성화시키거나, 탈감작시키거나 하향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억제제"는 예를 들면, 결합하거나,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차단하거나, 감소시키거나, 방해하거나, 지연시키거나, 불활성화시키거나, 탈감작시키거나, 활성(예를 들면, 수용체 활성 또는 단백질 활성)을 하향조절함으로써 수용체 또는 또 다른 단백질을 억제하는 화합물 또는 단백질이다.
본원에서 제공된 용어 "BTK 길항제"는 대조군에 비해 BTK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지칭한다. BTK의 억제된 활성은 대조군에서의 BTK의 억제된 활성의 10%, 20%, 30%, 40%, 50%, 60%, 70%, 80% 또는 90% 이하일 수 있다. 일부 경우, 억제는 대조군에 비해 1.5배, 2배, 3배, 4배, 5배 또는 10배 이상이다. BTK 길항제는 예를 들면, BTK 길항제의 부재에 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극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차단하거나, 활성화를 감소시키거나, 방해하거나 지연시키거나, BTK의 신호 전달도입, 활성 또는 양을 불활성화시키거나, 탈감작시키거나 하향 조절함으로써 BTK 활성을 억제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용어 "ROR-1 길항제"는 대조군에 비해 ROR-1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지칭한다. ROR-1의 억제된 활성은 대조군에서의 ROR-1의 억제된 활성의 10%, 20%, 30%, 40%, 50%, 60%, 70%, 80% 또는 90% 이하일 수 있다. 일부 경우, 억제는 대조군에 비해 1.5배, 2배, 3배, 4배, 5배 또는 10배 이상이다. ROR-1 길항제는 예를 들면, ROR-1 길항제의 부재에 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극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차단하거나, 활성화를 감소시키거나, 방해하거나 지연시키거나, ROR-1의 신호 전달도입, 활성 또는 양을 불활성화시키거나, 탈감작시키거나 하향 조절함으로써 ROR-1 활성을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길항제는 항체 또는 소분자이다.
용어 "길항제"는 대안적으로 본원에서 억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치료 유효 용량 또는 양"은 투여에 의해 얻고자 하는 효과(예를 들면,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를 생성하는 용량을 의미한다. 정확한 용량 및 제형화는 치료의 목적에 의존할 것이고, 공지된 기법을 이용함으로써 당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예를 들면, 문헌(Lieberman, Pharmaceutical Dosage Forms (vols. 1-3, 1992)); 문헌(Lloyd, The Art, Science and Technology of Pharmaceutical Compounding (1999)); 문헌(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0th Edition, Gennaro, Editor (2003)); 및 문헌(Pickar, Dosage Calculations (1999)) 참조). 예를 들면, 소정의 파라미터에 대해, 치료 유효량은 적어도 5%, 10%, 15%, 20%, 25%, 40%, 50%, 60%, 75%, 80%, 90% 또는 적어도 100%의 증가 또는 감소를 보일 것이다. 치료 효능은 "배" 증가 또는 감소로서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치료 유효량은 표준 대조군에 비해 적어도 1.2배, 1.5배, 2배 또는 5배 이상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치료 유효 용량 또는 양은 질환의 하나 이상의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치료 유효 용량 또는 양은 투여에 의해 얻고자 하는 효과가 질환을 발생시킬 위험에 있는 사람을 치료하는 것일 때 질환 또는 질환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발병을 방해할 수 있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항암제"는 그의 평범한 통상의 의미에 따라 사용되고 항신생물성, 또는 세포의 생장 또는 증식을 억제하는 능력을 가진 조성물(예를 들면, 화합물, 약물, 길항제, 억제제, 조절제)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암제는 화학요법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암제는 암을 치료하는 방법에서 유용성을 가진, 본원에서 확인된 물질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암제는 암의 치료를 위해 FDA, 또는 미국 이외의 국가의 유사한 규제 관청에 의해 승인된 물질이다. 항암제의 예로는 하기 항암제들이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MEK(예를 들면, MEK1, MEK2, 또는 MEK1 및 MEK2) 억제제(예를 들면, XL518, CI-1040, PD035901, 셀루메티닙(selumetinib)/AZD6244, GSK1120212/트라메티닙(trametinib), GDC-0973, ARRY-162, ARRY-300, AZD8330, PD0325901, U0126, PD98059, TAK-733, PD318088, AS703026, BAY 869766), 알킬화제(예를 들면, 사이클로포스프아미드(cyclophosphamide), 이포스프아미드(ifosfamide), 클로람부실(chlorambucil), 부설판(busulfan), 멜팔란(melphalan), 메클로레타민, 우라무스틴(uramustine), 티오테파(thiotepa), 니트로소우레아(nitrosoureas), 질소 머스타드(예를 들면, 메클로로에타민(mechloroethamine), 사이클로포스프아미드, 클로람부실, 메이팔란(meiphalan)), 에틸렌이민(ethylenimine) 및 메틸멜라민(methylmelamines)(예를 들면, 헥사메틸멜라민, 티오테파), 알킬 설포네이트(예를 들면, 부설판), 니트로소우레아(예를 들면, 카무스틴(carmustine), 로무스틴(lomustine), 세무스틴(semustine), 스트렙토조신(streptozocin)), 트리아젠(triazenes)(데카바진(decarbazine))), 항-대사물질(예를 들면, 5-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 류코보린(leucovorin), 카페시타빈(capecitabine), 플루다라빈(fludarabine), 겜시타빈(gemcitabine), 페메트렉세드(pemetrexed), 랄티트렉세드(raltitrexed), 엽산 유사체(예를 들면,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또는 피리미딘 유사체(예를 들면, 플루오로우라실(fluorouracil), 플록소우리딘(floxouridine), 사이타라빈(Cytarabine)), 푸린 유사체(예를 들면, 머캡토푸린(mercaptopurine), 티오구아닌(thioguanine), 펜토스타틴(pentostatin)) 등), 식물 알칼로이드(예를 들면,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블라스틴(vinblastine), 비노렐빈(vinorelbine), 빈데신(vindesine), 포도필로톡신(podophyllotoxin), 파클리탁셀(paclitaxel), 도세탁셀(docetaxel) 등), 토포이소머라제(topoisomerase) 억제제(예를 들면, 이리노테칸(irinotecan), 토포테칸(topotecan), 암사크린(amsacrine), 에토포사이드(etoposide)(VP16), 에토포사이드 포스페이트, 테니포사이드(teniposide) 등), 항종양 항생제(예를 들면, 독소루비신(doxorubicin),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에피루비신(epirubicin), 악티노마이신(actinomycin), 블레오마이신(bleomycin), 미토마이신(mitomycin), 미톡산트론(mitoxantrone), 플리카마이신(plicamycin) 등), 백금 기제 화합물 또는 백금 함유 물질(예를 들면, 시스플라틴(cisplatin), 옥살로플라틴(oxaloplatin), 카보플라틴(carboplatin)), 안쓰라세네디온(anthracenedione)(예를 들면, 미톡산트론(mitoxantrone)), 치환된 우레아(예를 들면, 하이드록시우레아), 메틸 하이드라진 유도체(예를 들면, 프로카바진(procarbazine)), 부신피질 억제제(예를 들면, 미토탄(mitotane), 아미노글루테티마이드(aminoglutethimide)), 에피포도필로톡신(epipodophyllotoxins)(예를 들면, 에토포사이드), 항생제(예를 들면,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블레오마이신(bleomycin)), 효소(예를 들면, L-아스파라기나제(asparaginase)), 미토겐에 의해 활성화되는 단백질 키나제(kinase) 신호전달의 억제제(예를 들면, U0126, PD98059, PD184352, PD0325901, ARRY-142886, SB239063, SP600125, BAY 43-9006, 워트만닌(wortmannin) 또는 LY294002, Syk 억제제, mTOR 억제제, 항체(예를 들면, 리툭산(rituxan)), 고시폴(gossyphol), 제나센스(genasense), 폴리페놀 E, 클로로푸신(Chlorofusin), 모든 트랜스 레티노산(ATRA), 브리오스타틴(bryostatin), 종양 괴사 인자 관련 아폽토시스 유도 리간드(TRAIL), 5-아자-2'-데옥시사이티딘, 모든 트랜스 레티노산, 독소루비신, 빈크리스틴, 에토포사이드, 겜시타빈(gemcitabine), 이마티닙(imatinib)(Gleevec.RTM.), 젤다나마이신(geldanamycin), 17-N-알릴아미노-17-데메톡시젤다나마이신(17-AAG), 플라보피리돌(flavopiridol), LY294002, 보르테조밉(bortezomib), 트라스투주맙(trastuzumab), BAY 11-7082, PKC412, PD184352, 20-epi-1,25 디하이드록시비타민 D3; 5-에티닐우라실; 아비라테론(abiraterone); 아클라루비신(aclarubicin); 아실풀벤(acylfulvene); 아데사이페놀(adecypenol); 아도젤레신(adozelesin); 알데스류킨(aldesleukin); ALL-TK 길항제; 알트레타민(altretamine); 암바무스틴(ambamustine); 아미독스(amidox); 아미포스틴(amifostine); 아미노레불린산(aminolevulinic acid); 암루비신(amrubicin); 암사크린(amsacrine); 아나그렐라이드(anagrelide); 아나스트로졸(anastrozole); 안드로그라폴라이드(andrographolide); 혈관신생 억제제; 길항제 D; 길항제 G; 안타렐릭스(antarelix); 항-등방화결정(dorsalizing) 형태발생 단백질-1; 항안드로겐, 전립선 암종; 항에스트로겐; 항네오플라스톤(antineoplaston);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아피디콜린(aphidicolin) 글리시네이트; 아폽토시스 유전자 조절제; 아폽토시스 조절제; 아푸린산(apurinic acid); ara-CDP-DL-PTBA; 아르기닌 데아미나제(deaminase); 아설라크린(asulacrine); 아타메스탄(atamestane); 아트리무스틴(atrimustine); 악시나스타틴(axinastatin) 1; 악시나스타틴 2; 악시나스타틴 3; 아자세트론(azasetron); 아자톡신(azatoxin); 아자티로신(azatyrosine); 박카틴(baccatin) III 유도체; 발라놀(balanol); 바티마스타트(batimastat); BCR/ABL 길항제; 벤조클로린(benzochlorins); 벤조일스타우로스포린(benzoylstaurosporine); 베타 락탐 유도체; 베타-알레틴(alethine); 베타클라마이신(betaclamycin) B; 베툴린산(betulinic acid); bFGF 억제제; 비칼루타마이드(bicalutamide); 비산트렌(bisantrene); 비스아지리디닐스퍼민(bisaziridinylspermine); 비스나파이드(bisnafide); 비스트라텐(bistratene) A; 비젤레신(bizelesin); 브레플레이트(breflate); 브로피리민(bropirimine); 부도티탄(budotitane); 부티오닌 설폭스이민(buthionine sulfoximine); 칼시포트리올(calcipotriol); 칼포스틴(calphostin) C; 캄프토테신(camptothecin) 유도체; 카나리폭스(canarypox) IL-2; 카페시타빈(capecitabine); 카복스아미드-아미노-트리아졸; 카복시아미도트리아졸; CaRest M3; CARN 700; 연골 유래의 억제제; 카젤레신(carzelesin); 카세인 키나제 억제제(ICOS); 카스타노스퍼민(castanospermine); 세크로핀(cecropin) B; 세트로렐릭스(cetrorelix); 클로린스(chlorins); 클로로퀴녹살린 설폰아미드; 시카프로스트(cicaprost); 시스-포피린(cis-porphyrin); 클라드리빈(cladribine); 클로미펜(clomifene) 유사체; 클로트리마졸(clotrimazole); 콜리스마이신(collismycin) A; 콜리스마이신 B; 콤브레타스타틴(combretastatin) A4; 콤브레타스타틴 유사체; 코나제닌(conagenin); 크람베스시딘(crambescidin) 816; 크리스나톨(crisnatol); 크립토파이신(cryptophycin) 8; 크립토파이신 A 유도체; 쿠라신(curacin) A; 사이클로펜탄쓰라퀴논; 사이클로플라탐(cycloplatam); 사이페마이신(cypemycin); 사이타라빈 오크포스페이트(cytarabine ocfosfate); 세포용해성 인자; 사이토스타틴(cytostatin); 다클릭시맙(dacliximab); 데시타빈(decitabine); 데하이드로디뎀닌(dehydrodidemnin) B; 데슬로렐린(deslorelin);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덱시포스프아미드(dexifosfamide); 덱스라족산(dexrazoxane); 덱스베라파밀(dexverapamil); 디아지쿠온(diaziquone); 디뎀닌(didemnin) B; 디독스(didox); 디에틸노르스퍼민(diethylnorspermine); 디하이드로-5-아자사이티딘; 9-디옥사마이신(dioxamycin); 디페닐 스피로무스틴(spiromustine); 도코사놀(docosanol); 돌라세트론(dolasetron); 독시플루리딘(doxifluridine); 드롤록시펜(droloxifene); 드로나비놀(dronabinol); 듀오카마이신(duocarmycin) SA; 에브셀렌(ebselen); 에코무스틴(ecomustine); 에델포신(edelfosine); 에드레콜로맙(edrecolomab); 에플오르니틴(eflornithine); 엘레멘(elemene); 에미테푸르(emitefur); 에피루비신; 에프리스테라이드(epristeride); 에스트라무스틴(estramustine) 유사체; 에스트로겐 아고니스트; 에스트로겐 길항제; 에타니다졸(etanidazole); 에토포사이드(etoposide) 포스페이트; 엑세메스탄(exemestane); 파드로졸(fadrozole); 파자라빈(fazarabine); 펜레티나이드(fenretinide); 필그라스팀(filgrastim);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플라보피리돌(flavopiridol); 플레젤라스틴(flezelastine); 플루아스테론(fluasterone); 플루다라빈(fludarabine); 플루오로다우노루니신(fluorodaunorunicin) 염산염; 포르페니멕스(forfenimex); 포르메스탄(formestane); 포스트리에신(fostriecin); 포테무스틴(fotemustine); 가돌리늄 텍사피린(gadolinium texaphyrin); 갈륨 니트레이트; 갈로시타빈(galocitabine); 가니렐릭스(ganirelix); 젤라티나제(gelatinase) 억제제; 겜시타빈; 글루타티온 억제제; 헵설팜(hepsulfam); 헤레굴린(heregulin); 헥사메틸렌 비스아세트아미드; 하이퍼리신(hypericin); 이반드론산(ibandronic acid); 이다루비신(idarubicin); 이독시펜(idoxifene); 이드라만톤(idramantone); 일모포신(ilmofosine); 일로마스타트(ilomastat); 이미다조아크리돈(imidazoacridones); 이미퀴모드(imiquimod); 면역자극 펩타이드;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1 수용체 억제제; 인터페론 아고니스트; 인터페론; 인터류킨; 이오벤구안(iobenguane); 요오도독소루비신(iododoxorubicin); 이포메아놀(ipomeanol), 4-; 이로플락트(iroplact); 이르소글라딘(irsogladine); 이소벤가졸(isobengazole); 이소호모할리콘드린(isohomohalicondrin) B; 이타세트론(itasetron); 자스플라키놀라이드(jasplakinolide); 카할라라이드(kahalalide) F; 라멜라린(lamellarin)-N 트리아세테이트; 란레오타이드(lanreotide); 레이나마이신(leinamycin); 레노그라스팀(lenograstim); 렌티난(lentinan) 설페이트; 렙톨스타틴(leptolstatin); 레트로졸(letrozole); 백혈병 억제 인자; 백혈구 알파 인터페론; 류프롤라이드+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류프로렐린(leuprorelin); 레바미솔(levamisole); 리아로졸(liarozole); 선형 폴리아민 유사체; 친유성 디사카라이드 펩타이드; 친유성 백금 화합물; 리소클린아미드(lissoclinamide) 7; 로바플라틴(lobaplatin); 롬브리신(lombricine); 로메트렉솔(lometrexol); 로니다민(lonidamine); 로속산트론(losoxantrone); 로바스타틴(lovastatin); 록소리빈(loxoribine); 루르토테칸(lurtotecan); 루테튬 텍사피린(lutetium texaphyrin); 라이소필린(lysofylline); 용해성 펩타이드; 메이탄신(maitansine); 만노스타틴(mannostatin) A; 마리마스타트(marimastat); 마소프로콜(masoprocol); 마스핀(maspin); 매트릴라이신(matrilysin) 억제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억제제; 메노가릴(menogaril); 머바론(merbarone); 미터렐린(meterelin); 메티오니나제(methioninase); 메토클로프라마이드(metoclopramide); MIF 억제제; 미페프리스톤(mifepristone); 밀테포신(miltefosine); 미리모스팀(mirimostim); 불일치된 이중 가닥 RNA; 미토구아존(mitoguazone); 미토락톨(mitolactol); 미토마이신(mitomycin) 유사체; 미토나파이드(mitonafide); 미토톡신(mitotoxin) 섬유모세포 성장 인자-사포린(saporin); 미톡산트론(mitoxantrone); 모파로텐(mofarotene); 몰그라모스팀(molgramostim); 단일클론 항체, 인간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모노포스포릴 지질 A+미오박테리움 세포벽 sk; 모피다몰(mopidamol); 다중 약물 내성 유전자 억제제; 다중 종양 억제제 1 기반 요법; 머스타드 항암제; 마이카퍼록사이드(mycaperoxide) B; 마이코박테리움 세포벽 추출물; 마이리아포론(myriaporone); N-아세틸디날린(acetyldinaline); N-치환된 벤즈아미드; 나파렐린(nafarelin); 나그레스팁(nagrestip); 날록손(naloxone)+펜타조신(pentazocine); 나파빈(napavin); 나프터핀(naphterpin); 나르토그라스팀(nartograstim); 네다플라틴(nedaplatin); 네모루비신(nemorubicin); 네리드론산(neridronic acid); 중성 엔도펩티다제(endopeptidase); 닐루타마이드(nilutamide); 니사마이신(nisamycin); 질산 산화물 조절제; 니트록사이드(nitroxide) 항산화제; 니트룰라인(nitrullyn); O6-벤질구아닌; 옥트레오타이드(octreotide); 오키세논(okicenone);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오나프리스톤(onapristone); 온단세트론(ondansetron); 온단세트론; 오라신(oracin); 경구 사이토카인 유도제; 오르마플라틴(ormaplatin); 오사테론(osaterone);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 옥사우노마이신(oxaunomycin); 팔라우아민(palauamine); 팔미토일리족신(palmitoylrhizoxin); 파미드론산(pamidronic acid); 파낙시트리올(panaxytriol); 파노미펜(panomifene); 파라박틴(parabactin); 파젤립틴(pazelliptine); 페가스파르가제(pegaspargase); 펠데신(peldesine); 펜토산(pentosan) 폴리설페이트 나트륨; 펜토스타틴(pentostatin); 펜트로졸(pentrozole); 퍼플루브론(perflubron); 퍼포스프아미드(perfosfamide); 퍼릴릴(perillyl) 알코올; 페나지노마이신(phenazinomycin); 페닐아세테이트; 포스파타제 억제제; 피시바닐(picibanil); 필로카르핀(pilocarpine) 염산염; 피라루비신(pirarubicin); 피리트렉심(piritrexim); 플라세틴(placetin) A; 플라세틴 B;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 억제제; 백금 착물; 백금 화합물; 백금-트리아민 착물; 포르피머(porfimer) 나트륨; 포르피로마이신(porfiromycin); 프레드니손(prednisone); 프로필 비스-아크리돈;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J2; 프로테아좀(proteasome) 억제제; 단백질 A 기반 면역 조절제; 단백질 키나제 C 억제제; 단백질 키나제 C 억제제, 마이크로알갈(microalgal); 단백질 티로신 포스파타제 억제제; 푸린 뉴클레오사이드 포스포릴라제 억제제; 푸르푸린(purpurins); 피라졸로아크리딘(pyrazoloacridine); 피리독실화된 헤모글로빈 폴리옥시에틸렌 접합체; raf 길항제; 랄티트렉세드(raltitrexed); 라모세트론(ramosetron); ras 파르네실(farnesyl) 단백질 트랜스퍼라제(transferase) 억제제; ras 억제제; ras-GAP 억제제; 탈메틸화된 레텔립틴(retelliptine); 레늄 Re 186 에티드로네이트(etidronate); 리족신(rhizoxin); 리보자임; RII 레틴아미드(retinamide); 로글레티마이드(rogletimide); 로히투카인(rohitukine); 로무르타이드(romurtide); 로퀴니멕스(roquinimex); 로비기논(rubiginone) B1; 루복실(ruboxyl); 사핀골(safingol); 사인토핀(saintopin); SarCNU; 사르코파이톨(sarcophytol) A; 사르그라모스팀(sargramostim); Sdi 1 모방 물질; 세무스틴; 노화 유래의 억제제 1; 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신호 전달도입 억제제; 신호 전달도입 조절제; 단일 쇄 항원 결합 단백질; 시조푸란(sizofuran); 소부족산(sobuzoxane); 나트륨 보로캡테이트(borocaptate); 나트륨 페닐아세테이트; 솔베롤(solverol); 소마토메딘(somatomedin) 결합 단백질; 소너민(sonermin); 스파르포스산(sparfosic acid); 스피카마이신(spicamycin) D; 스피로무스틴(spiromustine); 스플레노펜틴(splenopentin); 스폰기스타틴(spongistatin) 1; 스쿠알아민(squalamine); 줄기 세포 억제제; 줄기 세포 분열 억제제; 스티피아미드(stipiamide); 스트로멜라이신(stromelysin) 억제제; 설피노신(sulfinosine); 초고활성 혈관수축 장 펩타이드 길항제; 수라디스타(suradista); 수라민(suramin); 스와인소닌(swainsonine); 합성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glycosaminoglycans); 탈리무스틴(tallimustine); 타목시펜 메티오다이드(tamoxifen methiodide); 타우로무스틴(tauromustine); 타자로텐(tazarotene); 테코갈란(tecogalan) 나트륨; 테가푸르(tegafur); 텔루라피릴륨(tellurapyrylium); 텔로머라제(telomerase) 억제제; 테모포르핀(temoporfin); 테모졸로마이드(temozolomide); 테니포사이드; 테트라클로로데카옥사이드(tetrachlorodecaoxide); 테트라조민(tetrazomine); 탈리블라스틴(thaliblastine); 티오코랄린(thiocoraline); 쓰롬보포이에틴(thrombopoietin); 쓰롬보포이에틴 모방 물질; 타이말파신(thymalfasin); 타이모포이에틴(thymopoietin) 수용체 아고니스트; 타이모트리난(thymotrinan); 갑상선 자극 호르몬; 주석 에틸 에티오푸르푸린(etiopurpurin); 티라파자민(tirapazamine); 티타노센(titanocene) 비클로라이드; 톱센틴(topsentin); 토레미펜(toremifene); 분화전능성 줄기 세포 인자; 번역 억제제; 트레티노인(tretinoin); 트리아세틸우리딘; 트리시리빈(triciribine); 트리메트렉세이트(trimetrexate); 트립토렐린(triptorelin); 트로피세트론(tropisetron); 투로스테라이드(turosteride);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타이르포스틴(tyrphostins); UBC 억제제; 우베니멕스(ubenimex); 비뇨생식동 유래의 성장 억제 인자; 우로키나제(urokinase) 수용체 길항제; 바프레오타이드(vapreotide); 바리올린(variolin) B; 벡터 시스템, 적혈구 유전자 요법; 벨라레솔(velaresol); 베라민(veramine); 베르딘(verdins); 베르테포르핀(verteporfin); 비노렐빈; 빈살틴(vinxaltine); 비탁신(vitaxin); 보로졸(vorozole); 자노테론(zanoterone); 제니플라틴(zeniplatin); 질라스코르브(zilascorb); 지노스타틴 스티말라머(zinostatin stimalamer),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블레오마이신(Bleomycin), 빈블라스틴, 시스플라틴, 악시비신(acivicin); 아클라루비신(aclarubicin); 아코다졸(acodazole) 염산염; 아크로닌(acronine); 아도젤레신(adozelesin); 알데스류킨(aldesleukin); 알트레타민(altretamine); 암보마이신(ambomycin); 아메탄트론(ametantrone) 아세테이트; 아미노글루테티마이드; 암사크린(amsacrine); 아나스트로졸(anastrozole); 안쓰라마이신(anthramycin); 아스파라기나제(asparaginase); 아스퍼린(asperlin); 아자시티딘(azacitidine); 아제테파(azetepa); 아조토마이신(azotomycin); 바티마스타트(batimastat); 벤조데파(benzodepa); 비칼루타마이드(bicalutamide); 비산트렌(bisantrene) 염산염; 비스나파이드(bisnafide) 디메실레이트; 비젤레신(bizelesin); 블레오마이신(bleomycin) 설페이트; 브레퀴나르(brequinar) 나트륨; 브로피리민(bropirimine); 부설판; 칵티노마이신(cactinomycin); 칼루스테론(calusterone); 카라세마이드(caracemide); 카베티머(carbetimer); 카보플라틴(carboplatin); 카무스틴(carmustine); 카루비신(carubicin) 염산염; 카젤레신(carzelesin); 세데핀골(cedefingol); 클로람부실; 시롤레마이신(cirolemycin); 클라드리빈(cladribine); 크리스나톨(crisnatol) 메실레이트; 사이클로포스프아미드; 사이타라빈(cytarabine); 다카바진(dacarbazine);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염산염; 데시타빈(decitabine); 덱스오르마플라틴(dexormaplatin); 데자구아닌(dezaguanine); 데자구아닌 메실레이트; 디아지쿠온(diaziquone); 독소루비신; 독소루비신 염산염; 드롤록시펜(droloxifene); 드롤록시펜 시트레이트; 드로모스타놀론(dromostanolone) 프로피오네이트; 두아조마이신(duazomycin); 에다트렉세이트(edatrexate); 에플오르니틴 염산염; 엘사미트루신(elsamitrucin); 엔로플라틴(enloplatin); 엔프로메이트(enpromate); 에피프로피딘(epipropidine); 에피루비신 염산염; 에르불로졸(erbulozole); 에소루비신(esorubicin) 염산염; 에스트라무스틴(estramustine); 에스트라무스틴 포스페이트 나트륨; 에타니다졸(etanidazole); 에토포사이드; 에토포사이드 포스페이트; 에토프린(etoprine); 파드로졸(fadrozole) 염산염; 파자라빈(fazarabine); 펜레티나이드(fenretinide); 플록수리딘(floxuridine); 플루다라빈(fludarabine) 포스페이트; 플루오로우라실(fluorouracil); 플루오로시타빈(fluorocitabine); 포스퀴돈(fosquidone); 포스트리에신(fostriecin) 나트륨; 겜시타빈; 겜시타빈 염산염; 하이드록시우레아; 이다루비신(idarubicin) 염산염; 이포스프아미드; 이이모포신(iimofosine); 인터류킨 I1(재조합 인터류킨 II 또는 rlL.sub.2를 포함함), 인터페론 알파-2a; 인터페론 알파-2b; 인터페론 알파-n1; 인터페론 알파-n3; 인터페론 베타-1a; 인터페론 감마-1b; 이프로플라틴(iproplatin); 이리노테칸(irinotecan) 염산염; 란레오타이드(lanreotide) 아세테이트; 레트로졸(letrozole); 류프롤라이드(leuprolide) 아세테이트; 리아로졸(liarozole) 염산염; 로메트렉솔(lometrexol) 나트륨; 로무스틴(lomustine); 로속산트론(losoxantrone) 염산염; 마소프로콜(masoprocol); 메이탄신(maytansine); 메클로레타민 염산염; 메게스트롤(megestrol) 아세테이트; 멜렌게스트롤(melengestrol) 아세테이트; 멜팔란; 메노가릴(menogaril); 머캡토푸린; 메토트렉세이트; 메토트렉세이트 나트륨; 메토프린(metoprine); 메투레데파(meturedepa); 미틴도마이드(mitindomide); 미토카신(mitocarcin); 미토크로민(mitocromin); 미토길린(mitogillin); 미토말신(mitomalcin); 미토마이신(mitomycin); 미토스퍼(mitosper); 미토탄(mitotane); 미톡산트론(mitoxantrone) 염산염; 마이코페놀산; 노코다조이(nocodazoie); 노갈라마이신(nogalamycin); 오르마플라틴(ormaplatin); 옥시수란(oxisuran); 페가스파르가제(pegaspargase); 펠리오마이신(peliomycin); 펜타무스틴(pentamustine); 펩플로마이신(peplomycin) 설페이트; 퍼포스프아미드(perfosfamide); 피포브로만(pipobroman); 피포설판(piposulfan); 피록산트론(piroxantrone) 염산염; 플리카마이신(plicamycin); 플로메스탄(plomestane); 포르피머(porfimer) 나트륨; 포르피로마이신(porfiromycin); 프레드니무스틴(prednimustine); 프로카바진(procarbazine) 염산염; 푸로마이신(puromycin); 푸로마이신 염산염; 피라조푸린(pyrazofurin); 리보프린(riboprine); 로글레티마이드(rogletimide); 사핀골; 사핀골 염산염; 세무스틴; 심트라젠(simtrazene); 스파르포세이트(sparfosate) 나트륨; 스파르소마이신(sparsomycin); 스피로게르마늄(spirogermanium) 염산염; 스피로무스틴(spiromustine); 스피로플라틴(spiroplatin); 스트렙토니그린(streptonigrin); 스트렙토조신(streptozocin); 설포페누르(sulofenur); 탈리소마이신(talisomycin); 테코갈란(tecogalan) 나트륨; 테가푸르; 텔록산트론(teloxantrone) 염산염; 테모포르핀(temoporfin); 테니포사이드; 테록시론(teroxirone); 테스토락톤(testolactone); 티아미프린(thiamiprine); 티오구아닌(thioguanine); 티오테파; 티아조푸린(tiazofurin); 티라파자민(tirapazamine); 토레미펜 시트레이트; 트레스톨론(trestolone) 아세테이트; 트리시리빈(triciribine) 포스페이트; 트리메트렉세이트; 트리메트렉세이트 글루쿠로네이트; 트립토렐린(triptorelin); 튜불로졸(tubulozole) 염산염; 우라실 머스타드; 우레데파(uredepa); 바프레오타이드(vapreotide); 베르테포르핀; 빈블라스틴 설페이트;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빈데신; 빈데신 설페이트; 비네피딘(vinepidine) 설페이트; 빈글리시네이트(vinglycinate) 설페이트; 빈류로신(vinleurosine) 설페이트; 비노렐빈 타르트레이트; 빈로시딘(vinrosidine) 설페이트; 빈졸리딘(vinzolidine) 설페이트; 보로졸; 제니플라틴(zeniplatin); 지노스타틴(zinostatin); 조루비신(zorubicin) 염산염, G2-M 기에서 세포를 정지시키고/시키거나 마이크로튜불의 형성 또는 안정성을 조절하는 물질, 예를 들면, Taxol.TM(즉, 파클리탁셀), Taxotere.TM, 탁산 골격을 포함하는 화합물, 에르불로졸(Erbulozole)(즉, R-55104), 돌라스타틴(Dolastatin) 10(즉, DLS-10 및 NSC-376128), 미보불린 이세티오네이트(Mivobulin isethionate)(즉, CI-980), 빈크리스틴, NSC-639829, 디스코데르몰라이드(Discodermolide)(즉, NVP-XX-A-296), ABT-751(Abbott, 즉 E-7010), 알토르하이르틴(Altorhyrtins)(예를 들면, 알토르하이르틴 A 및 알토르하이르틴 C), 스폰기스타틴(Spongistatin)(예를 들면, 스폰기스타틴 1, 스폰기스타틴 2, 스폰기스타틴 3, 스폰기스타틴 4, 스폰기스타틴 5, 스폰기스타틴 6, 스폰기스타틴 7, 스폰기스타틴 8 및 스폰기스타틴 9), 세마도틴(Cemadotin) 염산염(즉, LU-103793 및 NSC-D-669356), 에포틸론(Epothilones)(예를 들면, 에포틸론 A, 에포틸론 B, 에포틸론 C(즉, 데스옥시에포틸론(desoxyepothilone) A 또는 dEpoA), 에포틸론 D(즉, KOS-862, dEpoB, 및 데스옥시에포틸론 B), 에포틸론 E, 에포틸론 F, 에포틸론 B N-산화물, 에포틸론 A N-산화물, 16-아자-에포틸론 B, 21-아미노에포틸론 B(즉, BMS-310705), 21-하이드록시에포틸론 D(즉, 데스옥시에포틸론 F 및 dEpoF), 26-플루오로에포틸론, 아우리스타틴(Auristatin) PE(즉, NSC-654663), 소블리도틴(Soblidotin)(즉, TZT-1027),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크립토파이신(Cryptophycin) 52(즉, LY-355703), 비틸레부아미드(Vitilevuamide), 튜불라이신(Tubulysin) A, 카나데솔(Canadensol), 센타우레이딘(Centaureidin)(즉, NSC-106969), 온코시딘(Oncocidin) A1(즉, BTO-956 및 DIME), 피지아놀라이드(Fijianolide) B, 라우리말라이드(Laulimalide), 나르코신(Narcosine)(NSC-5366으로서도 공지되어 있음), 나스카핀(Nascapine), 헤미아스털린(Hemiasterlin), 바나도센(Vanadocene)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몬사트롤(Monsatrol), 이나노신(Inanocine)(즉, NSC-698666), 엘류테로빈(Eleutherobins)(예컨대, 데스메틸엘류테로빈(Desmethyleleutherobin), 데사에틸엘류테로빈(Desaetyleleutherobin), 이소엘류테로빈(Isoeleutherobin) A 및 Z-엘류테론빈), 카리배오사이드(Caribaeoside), 카리배올린(Caribaeolin), 할리콘드린(Halichondrin) B, 디아존아미드(Diazonamide) A, 타칼로놀라이드(Taccalonolide) A, 디오조스타틴(Diozostatin), (-)-페닐아히스틴(Phenylahistin)(즉, NSCL-96F037), 미오세베린(Myoseverin) B, 레스베라스타틴(Resverastatin) 포스페이트 나트륨, 스테로이드(예를 들면, 덱사메타손), 피나스테라이드, 아로마타제(aromatase) 억제제, 고나도트로핀 방출 호르몬 아고니스트(GnRH), 예컨대, 고세렐린(goserelin) 또는 류프롤라이드, 아드레노코르티코스테로이드(adrenocorticosteroid)(예를 들면, 프레드니손), 프로게스틴(progestin)(예를 들면, 하이드록시프로게스테론(hydroxyprogesterone) 카프로에이트,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medroxyprogesterone) 아세테이트), 에스트로겐(예를 들면, 디에틸스틸베스트롤(diethlystilbestrol), 에티닐 에스트라디올(ethinyl estradiol)), 항에스트로겐(예를 들면, 타목시펜), 안드로겐(예를 들면, 테스토스테론 프로피오네이트, 플루옥시메스테론(fluoxymesterone)), 항안드로겐(예를 들면, 플루타마이드(flutamide)), 면역자극제(예를 들면, 바실러스 칼메트-구에린(Bacillus Calmette-Guerin)(BCG), 레바미솔(levamisole), 인터류킨-2, 알파-인터페론 등), 단일클론 항체(예를 들면, 항-CD20, 항-HER2, 항-CD52, 항-HLA-DR 및 항-VEGF 단일클론 항체), 면역독소(예를 들면, 항-CD33 단일클론 항체-칼리케아미신(calicheamicin) 접합체, 항-CD22 단일클론 항체-슈도모나스 외독소 접합체 등), 방사면역요법(예를 들면, 111In, 90Y 또는 131I에 접합된 항-CD20 단일클론 항체 등), 트립톨라이드(triptolide), 호모해링토닌(homoharringtonine), 닥티노마이신, 독소루비신, 에피루비신, 토포테칸,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빈데신, 세리바스타틴(cerivastatin), 빈크리스틴, 데옥시아데노신, 세르트랄린(sertraline), 피타바스타틴(pitavastatin), 이리노테칸(irinotecan), 클로파지민(clofazimine), 5-노닐옥시트립타민(nonyloxytryptamine), 베무라페닙(vemurafenib), 다브라페닙(dabrafenib), 에를로티닙(erlotinib), 제피티닙(gefitinib), EGFR 억제제,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EGFR)-표적화된 요법 또는 치료제(예를 들면, 제피티닙(Iressa™), 에를로티닙(Tarceva™), 세툭시맙(cetuximab)(Erbitux™), 라파티닙(lapatinib)(Tykerb™), 파니투무맙(panitumumab)(Vectibix™), 반데타닙(vandetanib)(Caprelsa™), 아파티닙(afatinib)/BIBW2992, CI-1033/카네르티닙(canertinib), 네라티닙(neratinib)/HKI-272, CP-724714, TAK-285, AST-1306, ARRY334543, ARRY-380, AG-1478, 다코미티닙(dacomitinib)/PF299804, OSI-420/데스메틸 에를로티닙, AZD8931, AEE788, 펠리티닙(pelitinib)/EKB-569, CUDC-101, WZ8040, WZ4002, WZ3146, AG-490, XL647, PD153035, BMS-599626), 소라페닙(sorafenib), 이마티닙(imatinib), 수니티닙(sunitinib), 다사티닙(dasatinib), 호르몬 요법 등.
Imbruvica®, PCI 32765 등으로서도 공지되어 있는 용어 "이브루티닙"은 통상적 및 관례적 의미로 1-[(3R)-3-[4-아미노-3-(4-페녹시페닐)-1H-피라졸로[3,4-d]피리미딘-1-일]피페리딘-1-일]프로프-2-엔-1-온(CAS 등록 번호 936563-96-1)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로서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미국 특허 제7,514,444호, 제8,008,309호, 제8,497,277호, 제8,476,284호, 8,697,711호 및 제8,703,780호에 개시된 화합물들 중 어느 한 화합물이다.
CAL101, GS-1101, Zydelig® 등으로서도 공지되어 있는 용어 "이델라리십(idelalisib)"은 통상적 및 관례적 의미로 5-플루오로-3-페닐-2-[(1S)-1-(7H-푸린-6-일아미노)프로필]-4(3H)-퀴나졸리논(CAS 등록 번호 870281-82-6)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로서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미국 특허 제9,469,643호, 제9,492,449호, 제8,139,195호, 제8,492,389호, 제8,865,730호 및 제9,149,477호에 개시된 화합물들 중 어느 한 화합물이다.
용어 "R406" 등은 통상적 및 관례적 의미로 6-((5-플루오로-2-((3,4,5-트리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2-디메틸-2H-피리도[3,2-b][1,4]옥사진-3(4H)-온 벤젠설포네이트를 지칭한다.
용어 "포스타마티닙(fostamatinib)" 등은 통상적 및 관례적 의미로 6-((5-플루오로-2-((3,4,5-트리메톡시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2,2-디메틸-2H-피리도[3,2-b][1,4]옥사진-3(4H)-온 벤젠설포네이트(CAS 등록 번호 901119-35-5 또는 1025687-58-4(이나트륨 염))를 지칭한다. 포스타마티닙은 R406의 프로드러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로서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미국 특허 제7,449,458호에 개시된 화합물들 중 어느 한 화합물이다.
ACP-196 등으로서도 공지되어 있는 용어 "아칼라브루티닙(acalabrutinib)"은 통상적 및 관례적 의미로 4-[8-아미노-3-[(2S)-1-부트-2-이노일피롤리딘-2-일]이미다조[1,5-a]피라진-1-일]-N-피리딘-2-일벤즈아미드(CAS 등록 번호 1420477-60-6)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로서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미국 특허출원 제20140155385호, 제20160151364호 및 제20160159810호에 개시된 화합물들 중 어느 한 화합물이다.
용어 "ONO/GS-4059" 등은 통상적 및 관례적 의미로 6-아미노-7-(4-페녹시페닐)-9-[(3S)-1-프로프-2-에노일피페리딘-3-일]푸린-8-온(CAS 등록 번호 1351636-18-4)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로서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미국 특허 제8,940,725호 및 제8,557,803호, 및 미국 특허출원 제20150094299호에 개시된 화합물들 중 어느 한 화합물이다.
용어 "BGB-3111" 등은 통상적 및 관례적 의미로 2-(4-페녹시페닐)-7-(1-프로프-2-에노일피페리딘-4-일)-1,5,6,7-테트라하이드로피라졸로[1,5-a]피리미딘-3-카복스아미드(CAS 등록 번호 1633350-06-7)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로서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미국 특허출원 제20150259354호 및 제20160083392호에 개시된 화합물들 중 어느 한 화합물이다.
AVL-292, 스페브루티닙(spebrutinib) 등으로서도 공지되어 있는 용어 "CC-292"는 통상적 및 관례적 의미로 N-[3-[[5-플루오로-2-[4-(2-메톡시에톡시)아닐리노]피리미딘-4-일]아미노]페닐]프로프-2-엔아미드(CAS 등록 번호 1202757-89-8)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로서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미국 특허 제8,338,439호에 개시된 화합물들 중 어느 한 화합물이다.
용어 "섬투주맙", "UC-961" 및 "99961.1"은 인간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유사 희귀 수용체 1(ROR-1)의 세포외 도메인에 결합할 수 있는 인간화된 단일클론 항체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섬투주맙은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로서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미국 특허출원 제14/422,519호에 개시된 항체들 또는 이들의 단편들 중 어느 한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은 당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특정된 값과 합리적으로 유사한 것으로서 간주할, 특정된 값을 포함하는 값의 범위를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은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허용 가능한 측정을 이용할 때 표준 편차 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은 특정된 값의 +/- 10%까지 확장되는 범위를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은 특정된 값을 의미한다.
용어 "질환" 또는 "질병"은 본원에서 제공된 화합물, 약학 조성물 또는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환자 또는 대상체의 상태 또는 건강 상태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질환은 암(예를 들면, 폐암, 난소암, 골육종, 방광암, 자궁경부암, 간암, 신장암, 피부암(예를 들면, 메르켈 세포 암종), 고환암, 백혈병, 림프종, 두경부암, 대장암, 전립선암, 췌장암, 흑색종, 유방암, 신경모세포종)이다. 질환은 자가면역, 염증, 암, 감염성, 대사, 발생학적, 심혈관, 간, 장, 내분비, 신경학적 또는 다른 질환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암"은 백혈병, 림프종, 흑색종, 신경내분비 종양, 암종 및 육종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발견되는 모든 종류의 암, 신생물 또는 악성 종양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화합물, 약학 조성물 또는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예시적 암은 림프종, 육종, 방광암, 골암, 뇌종양, 자궁경부암, 결장암, 식도암, 위암, 두경부암, 신장암, 골수종, 갑상선암, 백혈병, 전립선암, 유방암(예를 들면, 삼중 음성, ER 양성, ER 음성, 화학요법 내성, 헤르셉틴(herceptin) 내성, HER2 양성, 독소루비신 내성, 타목시펜 내성, 관암종, 소엽 암종, 일차, 전이성), 난소암, 췌장암, 간암(예를 들면, 간세포 암종), 폐암(예를 들면, 비-소세포 폐 암종, 편평 세포 폐 암종, 선암종, 대세포 폐 암종, 소세포 폐 암종, 카르시노이드, 육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신경교종, 흑색종, 전립선암, 거세 내성 전립선암, 유방암, 삼중 음성 유방암, 교모세포종, 난소암, 폐암, 편평 세포 암종(예를 들면, 머리, 목 또는 식도), 대장암,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림프종, B 세포 림프종, 또는 다발성 골수종을 포함한다. 추가 예로는 갑상선암, 내분비 시스템 암, 뇌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결장암, 두경부암, 식도암, 간암, 신장암, 폐암, 비-소세포 폐암, 흑색종, 중피종, 난소암, 육종, 위암, 자궁암 또는 수모세포종, 호지킨병, 비-호지킨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신경모세포종, 신경교종, 다형성 교모세포종, 난소암, 횡문근육종, 일차 혈소판증가증, 일차 마크로글로불린혈증, 일차 뇌종양, 암, 악성 췌장 인슐린종, 악성 카르시노이드, 비뇨기 방광암, 전구악성 피부 병변, 고환암, 림프종, 갑상선암, 신경모세포종, 식도암, 비뇨생식관암, 악성 고칼슘혈증, 자궁내막암, 부신피질암, 내분비 또는 외분비 췌장의 신생물, 수질 갑상선암, 수질 갑상선 암종, 흑색종, 대장암, 유두상 갑상선암, 간세포 암종, 유두의 파제트병(Paget's Disease), 엽상 종양, 소엽 암종, 관암종, 췌장 별모양 세포의 암, 간 별모양 세포의 암, 또는 전립선암이 있다.
용어 "백혈병"은 넓게는 혈액 형성 장기의 진행성 악성 질환을 지칭하고 일반적으로 혈액 및 골수에서의 백혈구들 및 이들의 전구체들의 왜곡된 증식 및 발생을 특징으로 한다. 백혈병은 일반적으로 하기 (1) 내지 (3)에 근거하여 임상적으로 분류된다: (1) 질환의 지속성 및 특징 - 급성 또는 만성; (2) 관여하는 세포의 종류: 골수성(골수발생성), 림프성(림프발생성) 또는 단핵구성; 및 (3) 혈액 중의 비정상 세포 수의 증가 또는 비-증가 - 백혈병성 또는 비백혈병성(아백혈병성). 본원에서 제공된 화합물, 약학 조성물 또는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예시적 백혈병은 예를 들면, 급성 비림프구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급성 과립구성 백혈병, 만성 과립구성 백혈병, 급성 전구골수세포성 백혈병, 성인 T 세포 백혈병, 비백혈병성 백혈병, 비백혈구혈증성 백혈병, 호염기성 백혈병, 모세포 백혈병, 소 백혈병, 만성 골수세포성 백혈병, 피부 백혈병, 배아 백혈병, 호산구성 백혈병, 그로스(Gross) 백혈병, 모발 세포 백혈병, 조혈세포성 백혈병, 혈구모세포성 백혈병, 조직구성 백혈병, 줄기 세포 백혈병, 급성 단핵구성 백혈병, 백혈구감소증성 백혈병, 림프 백혈병, 림프모세포성 백혈병, 림프구성 백혈병, 림프발생성 백혈병, 림프모양 백혈병, 림프육종 세포 백혈병, 비만 세포 백혈병, 거핵세포성 백혈병, 마이크로골수모세포성 백혈병, 단핵구성 백혈병, 골수모세포성 백혈병, 골수세포성 백혈병, 골수성 과립구성 백혈병, 골수단핵구성 백혈병, 내겔리(Naegeli) 백혈병, 형질 세포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형질세포성 백혈병, 전구골수세포성 백혈병, 리이더(Rieder) 세포 백혈병, 실링(Schilling) 백혈병, 줄기 세포 백혈병, 아백혈병성 백혈병, 또는 미분화된 세포 백혈병을 포함한다.
용어 "육종"은 일반적으로 배아 결합 조직과 같은 물질로 구성된 종양을 지칭하고 일반적으로 원섬유성 또는 균질한 물질 내에 파묻힌, 조밀하게 팩킹된 세포로 구성된다. 본원에서 제공된 화합물, 약학 조성물 또는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육종은 연골육종, 섬유육종, 림프육종, 흑색육종, 점액육종, 골육종, 아베메티(Abemethy) 육종, 지방 육종, 지질육종, 폐포 연부 육종, 법랑아 육종, 포도상 육종, 녹색종 육종, 융모막 암종, 배아 육종, 윌름스(Wilms) 종양 육종, 자궁내막 육종, 간질 육종, 에윙(Ewing) 육종, 근막 육종, 섬유모세포성 육종, 거대 세포 육종, 과립구성 육종, 호지킨 육종, 특발성 다발성 착색된 출혈성 육종, B 세포의 면역모세포성 육종, 림프종, T 세포의 면역모세포성 육종, 젠센(Jensen) 육종, 카포시(Kaposi) 육종, 쿱퍼(Kupffer) 세포 육종, 혈관육종, 백혈육종, 악성 중간엽종 육종, 방골 육종, 망상구 육종, 라우스(Rous) 육종, 장액낭종 육종, 활액 육종, 또는 모세혈관확장증성 육종을 포함한다.
용어 "흑색종"은 피부 또는 다른 장기의 멜라닌세포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되는 종양을 의미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된 화합물, 약학 조성물 또는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흑색종은 예를 들면, 말단-흑색점 흑색종, 멜라닌결핍 흑색종, 양성 소아 흑색종, 클라우드만(Cloudman) 흑색종, S91 흑색종, 하딩-파세이(Harding-Passey) 흑색종, 소아 흑색종, 악성 흑색점 흑색종, 악성 흑색종, 결절성 흑색종, 손발톱 흑색종 또는 표재 확산 흑색종을 포함한다.
용어 "암종"은 주변 조직을 침윤하고 전이를 발생시키는 경향을 가진, 상피 세포로 구성된 악성 신생물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제공된 화합물, 약학 조성물 또는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예시적 암종은 예를 들면, 수질 갑상선 암종, 가족성 수질 갑상선 암종, 세엽 암종, 선포 암종, 선낭성 암종, 선상 낭포 암종, 선암종, 부신 피질의 암종, 폐포 암종, 폐포 세포 암종, 기저 세포 암종, 기저 세포성 암종, 기저 세포모양 암종, 기저편평 세포 암종, 기관지폐포 암종, 세기관지 암종, 기관지원성 암종, 대뇌모양 암종, 담관세포 암종, 융모막 암종, 콜로이드 암종, 면포성 암종, 자궁몸통 암종, 선낭 암종, 음낭의 갑옷 암종, 피각 암종, 원통형 암종, 원통형 세포 암종, 관 암종, 관암종, 경성 암종, 배아 암종, 뇌질모양 암종, 표피모양 암종, 상피 선양 암종, 외성장 암종, 궤양 발생 암종, 섬유성 암종, 젤라틴모양 암종, 젤라틴성 암종, 거대 세포 암종, 거대 세포성 암종, 선상 암종, 과립막 세포 암종, 모상 암종, 혈구모양 암종, 간세포 암종, 허슬(Hurthle) 세포 암종, 유리질 암종, 부신모양 암종, 유아 배아 암종, 제자리 암종, 표피내 암종, 상피내 암종, 크롬페처(Krompecher) 암종, 쿨키츠키(Kulchitzky) 세포 암종, 대세포 암종, 렌즈모양 암종, 렌즈모양성 암종, 지방종성 암종, 소엽 암종, 림프상피 암종, 수질성 암종, 수질 암종, 멜라닌성 암종, 연성 암종, 점액소 암종, 점액분비성 암종, 점막세포성 암종, 점막표피모양 암종, 점액성 암종, 점액 암종, 점액종증성 암종, 비인두 암종, 귀리 세포 암종, 화골성 암종, 골모양 암종, 유두상 암종, 문맥주위 암종, 침습전 암종, 가시 세포 암종, 수질모양 암종, 신장의 신장 세포 암종, 저장 세포 암종, 육종성 암종, 슈나이더(schneiderian) 암종, 경성 암종, 음낭 암종, 인환(signet-ring) 세포 암종, 단순 암종, 소세포 암종, 솔라노이드(solanoid) 암종, 회전타원체 세포 암종, 방추 세포 암종, 해면질 암종, 편평 암종, 편평 세포 암종, 스트링(string) 암종, 혈관확장성 암종, 모세혈관확장성 암종, 전이 세포 암종, 결절성 암종, 관모양 암종, 결절상 암종, 사마귀모양 암종, 또는 유모 암종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이", "전이성" 및 "전이성 암"은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고 증식성 질환 또는 장애, 예를 들면, 암이 한 장기로부터 또 다른 비-인접 장기 또는 신체 부분으로 퍼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암은 기원 부위, 예를 들면, 유방에서 발생하고, 그 부위는 일차 종양, 예를 들면, 일차 유방암으로서 지칭된다. 일차 종양 또는 기원 부위에 있는 일부 암세포들은 국소 영역에서 주변 정상 조직을 침투하고 침윤하는 능력, 및/또는 림프 시스템 또는 혈관 시스템의 벽을 침투하여, 그 시스템을 통해 신체 내의 다른 부위 및 조직으로 순환하는 능력을 획득한다. 일차 종양의 암세포로부터 형성된, 임상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 제2 종양은 전이성 또는 이차 종양으로서 지칭된다. 암세포가 전이할 때, 전이성 종양 및 이의 세포는 원래의 종양의 세포와 유사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폐암이 유방으로 전이하는 경우, 유방의 부위에 있는 이차 종양은 비정상 폐 세포로 구성되고 비정상 유방 세포로 구성되지 않는다. 유방 내의 이차 종양은 전이성 폐암으로서 지칭된다. 따라서, 어구 전이성 암은 대상체가 일차 종양을 갖거나 가졌고 하나 이상의 이차 종양을 가진 경우의 질환을 지칭한다. 어구 비-전이성 암, 또는 전이성을 띠지 않는 암을 가진 대상체는 대상체가 일차 종양을 갖되 하나 이상의 이차 종양을 갖지 않은 경우의 질환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전이성 폐암은 일차 폐 종양을 갖거나 일차 폐 종양의 병력을 갖고 제2 위치 또는 다수의 위치들, 예를 들면, 유방에서 하나 이상의 이차 종양을 가진 대상체의 질환을 지칭한다.
질환(예를 들면, 당뇨병, 암(예를 들면, 전립선암, 신장암, 전이성 암, 흑색종, 거세 내성 전립선암, 유방암, 삼중 음성 유방암, 교모세포종, 난소암, 폐암, 편평 세포 암종(예를 들면, 머리, 목 또는 식도), 대장암,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림프종, B 세포 림프종, 또는 다발성 골수종))과 관련된 물질, 또는 물질 활성 또는 기능과 관련하여 용어 "관련된" 또는 "와 관련된"은 질환(예를 들면, 폐암, 난소암, 골육종, 방광암, 자궁경부암, 간암, 신장암, 피부암(예를 들면, 메르켈 세포 암종), 고환암, 백혈병, 림프종, 두경부암, 대장암, 전립선암, 췌장암, 흑색종, 유방암, 신경모세포종)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물질, 또는 상기 물질 활성 또는 기능에 의해 야기되거나, 상기 질환의 증상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기 물질, 또는 상기 물질 활성 또는 기능에 의해 야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자" 또는 "필요로 하는 대상체"는 본원에서 제공된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치료될 수 있는 질환 또는 질병을 앓고 있거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취약한 살아있는 유기체를 지칭한다. 비한정적 예로는 인간, 다른 포유동물, 소, 래트, 마우스, 개, 원숭이, 염소, 양, 젓소, 사슴, 및 다른 비-포유동물이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환자는 인간이다.
방법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은 특히 암의 치료에 유용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방법 및 조성물은 ROR-1을 발현하는 암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한다. 한 양태에서, 암의 치료를 필욜 하는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 유효량의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 길항제 및 티로신 키나제 유사 희귀 수용체 1(ROR-1) 길항제를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치료 유효량의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 길항제 및 항-ROR-1 항체를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티로신-단백질 키나제 BTK로서도 공지되어 있는 용어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는 임의의 재조합 또는 천연 생성 형태의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 또는 (예를 들면, BTK에 비해 적어도 50%, 80%,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활성 이내에서) BTK 활성을 유지하는 이의 변이체 또는 상동체를 지칭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변이체 또는 상동체는 천연 생성 BTK 단백질에 비해 전체 서열 또는 이 서열의 부분(예를 들면, 50개, 100개, 150개 또는 200개의 연속 아미노산 부분)에 걸쳐 적어도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단백질은 유니프롯(UniProt) 참조 번호 Q01687에 의해 확인된 단백질, 또는 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변이체 또는 상동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소분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이브루티닙, 이델라리십, 포스타마티닙, 아칼라브루티닙, ONO/GS-4059, BGB-3111 또는 CC-292(AVL-29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이브루티닙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이델라리십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포스타마티닙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아칼라브루티닙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ONO/GS-4059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BGB-3111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CC-292(AVL-29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R406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ROR-1"은 임의의 재조합 또는 천연 생성 형태의 티로신 키나제 유사 희귀 수용체 1(ROR-1), 또는 (예를 들면, ROR-1에 비해 적어도 50%, 80%,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활성 이내에서) ROR-1 활성을 유지하는 이의 변이체 또는 상동체를 지칭한다. 일부 양태에서, 상기 변이체 또는 상동체는 천연 생성 ROR-1 단백질에 비해 전체 서열 또는 이 서열의 부분(예를 들면, 50개, 100개, 150개 또는 200개의 연속 아미노산 부분)에 걸쳐 적어도 90%, 95%, 96%, 97%, 98%, 99% 또는 100% 아미노산 서열 동일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단백질은 수납 번호 NP_005003.1에 의해 확인된 단백질, 또는 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변이체 또는 상동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단백질은 서열 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단백질은 서열 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단백질은 서열 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단백질은 서열 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ROR-1 길항제가 항체인 경우, 상기 항체는 ROR-1 폴리펩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길항제는 항-ROR-1 항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항-ROR-1 항체는 인간화된 항체이다.
항-ROR-1 항체는 그가 ROR-1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의 단편의 부분에 결합할 수 있게 하는 아미노산 서열(예를 들면, CDR)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 서열 번호 2 및 서열 번호 3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4, 서열 번호 5 및 서열 번호 6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섬투주맙이다. 본원에 정의된 섬투주맙은 본원에서 UC-961 또는 99961.1로서도 지칭된다. 섬투주맙의 개발 및 구조는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로서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미국 특허출원 제14/422,519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7, 서열 번호 8 및 서열 번호 9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고;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0, 서열 번호 11 및 서열 번호 12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한다. 서열 번호 7, 8, 9, 10, 11 및 12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즉, CDR)을 포함하는 항체는 본원에서 항체 D10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항체 D10의 개발 및 사용은 모든 목적을 위해 전체로서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미국 특허 제9,217,04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ROR-1의 아미노산 서열 130-160 또는 이의 단편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ROR-1의 위치 138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글루탐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ROR-1 단백질의 세포외 도메인의 3' 또는 중간 Ig 유사 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위치 1-147로부터의 ROR-1 단백질의 세포외 도메인의 Ig 유사 영역의 3' 말단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전이를 억제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항체 단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인간 항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인간화된 항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키메라 항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단일 쇄 항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50 p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600 p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650 p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700 p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750 p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800 p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850 p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900 p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950 p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1 n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1 n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1.5 n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2 n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2.5 n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3 n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3.5 n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4 n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4.5 n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 n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5 nM 내지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50 p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600 p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650 p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700 p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750 p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800 p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850 p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900 p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950 p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1 n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1 n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1.5 n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2 n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2.5 n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3 n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3.5 n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4 n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4.5 n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 n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5 nM 내지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5.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4.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4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3.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3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3.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3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2.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2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1.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1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9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9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8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8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7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7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6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6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 내지 약 5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5.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4.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4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3.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3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3.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3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2.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2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1.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1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9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9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8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8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7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7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6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6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 내지 5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6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6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6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6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7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7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7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7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8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8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8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8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9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90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9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950 p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1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1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1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1.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1.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2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2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2.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2.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3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3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3.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3.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4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4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4.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4.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5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6 nM의 결합 친화성을 가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40 nM(예를 들면, 35,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1, 0.5, 0.25, 0.1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40 nM(예를 들면, 35,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1, 0.5, 0.25, 0.1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35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35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30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30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25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25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20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20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15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15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10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10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9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9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8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8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7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7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6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6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5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5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4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4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3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3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2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2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1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1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0.5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0.5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0.25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0.25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약 0.1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0.1 nM 미만의 KD로 ROR-1 단백질에 결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본원에서 99961.1 또는 UC-961로서도 지칭되는 섬투주맙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기 항체는 D10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및 ROR-1 길항제는 조합된 상승작용적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및 항-ROR-1 항체는 조합된 상승작용적 양으로 투여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조합된 상승작용적 양"은 상승작용적 효과(즉, 상가적 효과보다 더 큰 효과)를 야기하는, 제1 양(예를 들면, BTK 길항제의 양)과 제2 양(예를 들면, ROR-1 길항제의 양)의 합계를 지칭한다. 따라서, 본원에서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되는 용어 "상승효과", "상승작용", "상승작용적", "조합된 상승작용적 양" 및 "상승작용적 치료 효과"는 조합 투여된 화합물들의 측정된 효과를 지칭하고, 이때 상기 측정된 효과는 단일 물질로서 단독으로 투여된 화합물들 각각의 개별 효과의 합계보다 더 크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승작용적 양은 ROR-1 길항제와 별도로 사용될 때 BTK 길항제의 양의 약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또는 99%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상승작용적 양은 BTK 길항제와 별도로 사용될 때 ROR-1 길항제의 양의 약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또는 99%일 수 있다.
상승작용적 효과는 BTK 활성 감소 효과 및/또는 ROR-1 활성 감소 효과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와 ROR-1 길항제 사이의 상승효과는 개별적으로 및 별도로 사용될 때 BTK 길항제 또는 ROR-1 길항제의 감소의 합계보다 약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또는 100% 더 큰 감소(예를 들면, BTK 활성의 감소 또는 ROR-1 활성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와 ROR-1 길항제 사이의 상승효과는 개별적으로 및 별도로 사용될 때 BTK 길항제 또는 ROR-1 길항제의 억제의 합계보다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또는 100% 더 큰 BTK 단백질 및/또는 ROR-1 단백질 억제를 야기할 수 있다.
상승작용적 효과는 암 치료 효과, 예컨대, 림프종(즉, 림프종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백혈병(즉, 백혈병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골수종(즉, 골수종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AML(즉, AML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B-ALL(즉, B-ALL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T-ALL(즉, T-ALL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신장 세포 암종(즉, 신장 세포 암종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결장암(즉, 결장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대장암(즉, 대장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유방암(즉, 유방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편평 상피 세포암(즉, 편평 상피 세포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흑색종(즉, 흑색종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위암(즉, 위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뇌암(즉, 뇌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폐암(즉, 폐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췌장암(즉, 췌장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자궁경부암(즉, 자궁경부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난소암(즉, 난소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간암(즉, 간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방광암(즉, 방광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전립선암(즉, 전립선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고환암(즉, 고환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갑상선암(즉, 갑상선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두경부암(즉, 두경부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자궁암(즉, 자궁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선암종(즉, 선암종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부신암(즉, 부신암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즉,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소림프구성 림프종(즉, 소림프구성 림프종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변연 세포 B 세포 림프종(즉, 변연 세포 B 세포 림프종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버킷 림프종(즉, 버킷 림프종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및 B 세포 백혈병(즉, B 세포 백혈병 치료 상승작용적 효과) 치료 효과일 수 있다.
BTK 길항제 및 ROR-1 길항제는 (예를 들면, 혼합물로서) 동시에, (예를 들면, 별도의 정맥내 선을 통해) 별도로 그러나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예를 들면, 한 물질이 먼저 투여된 후, 제2 물질이 투여됨) 조합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용어 조합은 BTK 길항제 및 ROR-1 길항제의 동시, 동시적 또는 순차적 투여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및 ROR-1 길항제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및 ROR-1 길항제는 동시에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및 ROR-1 길항제는 순차적으로 투여된다. 치료의 과정 동안 BTK 길항제 및 ROR-1 길항제는 때때로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고 다른 때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및 ROR-1 길항제가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경우, ROR-1 길항제는 제1 시점에서 투여되고, BTK 길항제는 제2 시점에서 투여되고, 이때 제1 시점은 제2 시점에 앞선다. 대안적으로, BTK 길항제 및 ROR-1 길항제가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경우, BTK 길항제는 제1 시점에서 투여되고, ROR-1 길항제는 제2 시점에서 투여되고, 이때 제1 시점은 제2 시점에 앞선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및 항-ROR-1 항체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및 항-ROR-1 항체는 동시에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및 항-ROR-1 항체는 순차적으로 투여된다. 치료의 과정 동안 BTK 길항제 및 항-ROR-1 항체는 때때로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고 다른 때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및 항-ROR-1 항체가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경우, 항-ROR-1 항체는 제1 시점에서 투여되고, BTK 길항제는 제2 시점에서 투여되고, 이때 제1 시점은 제2 시점에 앞선다. 대안적으로,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및 항-ROR-1 항체가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경우, BTK 길항제는 제1 시점에서 투여되고, 항-ROR-1 항체는 제2 시점에서 투여되고, 이때 제1 시점은 제2 시점에 앞선다.
치료의 과정은 대상체의 특정 특징 및 선택된 치료의 종류에 따라 개별적으로 가장 잘 확인된다. 치료, 예컨대, 본원에 개시된 치료는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매일, 매일 2회, 2주마다, 월마다 또는 임의의 적용 가능한 기준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치료는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거나, 본원에 개시되어 있거나 당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다른 치료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추가 치료는 제1 치료와 동시에, 상이한 시간에, 또는 전체적으로 상이한 치료 일정(예를 들면, 제1 치료는 매일 투여될 수 있는 반면, 추가 치료는 매주 투여됨)으로 투여될 수 있다.
BTK 길항제 및 ROR-1 길항제가 동시에 투여되는 경우, BTK 길항제 및 ROR-1 길항제는 혼합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및 ROR-1 길항제는 투여 전에 혼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약 1 mg/kg, 2 mg/kg, 5 mg/kg, 10 mg/kg 또는 15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약 1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1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약 2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2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약 5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5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약 10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10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약 15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15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약 420 m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420 m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길항제는 약 1 mg/kg, 2 mg/kg, 3 mg/kg, 5 mg/kg 또는 10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길항제는 약 1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길항제는 1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길항제는 약 2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길항제는 2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길항제는 약 3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길항제는 3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길항제는 약 5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길항제는 5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길항제는 약 10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길항제는 10 mg/kg의 양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약 5 mg/kg의 양으로 투여되고, ROR-1 길항제는 약 2 mg/kg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5 mg/kg의 양으로 투여되고, ROR-1 길항제는 2 mg/kg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약 5 mg/kg의 양으로 투여되고, ROR-1 길항제는 약 1 mg/kg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5 mg/kg의 양으로 투여되고, ROR-1 길항제는 1 mg/kg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14일(예를 들면, 15일, 16일, 17일, 18일, 19일, 20일, 21일, 22일, 23일, 24일, 25일, 26일, 27일, 28일, 29일, 30일, 31일, 32일, 33일, 34일, 35일, 40일, 45일 또는 50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15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16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17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18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19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20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21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22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23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24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25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26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27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28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29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30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31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32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33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34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35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40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45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적어도 50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약 28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28일 동안 매일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길항제는 약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길항제는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는 정맥내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OR-1 길항제는 정맥내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동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원에서 제공된 방법 및 조성물(이들의 실시양태를 포함함)은 암, 특히 ROR-1을 발현하는 암의 치료에 유용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림프종, 백혈병, 골수종, AML, B-ALL, T-ALL, 신장 세포 암종, 결장암, 대장암, 유방암, 편평 상피 세포암, 흑색종, 위암, 뇌암, 폐암, 췌장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간암, 방광암, 전립선암, 고환암, 갑상선암, 두경부암, 자궁암, 선암종 또는 부신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소림프구성 림프종, 변연 세포 B 세포 림프종, 버킷 림프종 또는 B 세포 백혈병이다.
본원에서 제공된 BTK 길항제 및 ROR-1 길항제의 투여된 조합(이의 실시양태를 포함함)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이적 BTK 길항제(예를 들면, 이브루티닙)은 특이적 ROR-1 길항제(예를 들면,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델라리십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포스타마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아칼라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ONO/GS-4059는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BGB-3111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CC-292(AVL-292)는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R406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1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1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1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1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3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1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5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1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10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2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1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2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2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3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2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5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2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10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5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1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5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5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3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5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5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5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10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10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1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10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10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3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10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5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10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10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15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1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15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15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3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15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5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15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10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420 m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1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420 m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420 m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3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420 m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5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이브루티닙은 ROR-1 길항제 섬투주맙과 함께 투여되고, 이브루티닙은 420 m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10 mg/kg의 양으로 정맥내로 투여된다. 한 추가 실시양태에서, 이브루티닙은 28일 동안 매일 투여되고, 섬투주맙은 28일 동안 1회 투여된다.
약학 조성물
본원에서 제공된 BTK 길항제 및 ROR-1 길항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의 실시양태를 포함함)은 약학 조성물로서도 고려된다. 따라서, 한 양태에서, BTK 길항제, ROR-1 길항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 길항제, 항-ROR-1 항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길항제 및 항-ROR-1 항체는 조합된 상승작용적 양으로 존재하고, 이때 조합된 상승작용적 양은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데 효 과적이다.
본원에서 제공된 약학 조성물에 포함된 BTK 길항제 및 ROR-1 길항제는 본원에 기재된 BTK 길항제들 및/또는 ROR-1 길항제들(이들의 실시양태를 포함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BTK 길항제는 이브루티닙일 수 있고, ROR-1 길항제는 섬투주맙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원에서 제공된 약학 조성물은 BTK 길항제 및 ROR-1 길항제의 투여된 양이 본원에 기재된 양들 중 어느 하나이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브루티닙은 조성물의 투여가 약 5 mg/kg 또는 420 mg의 용량을 야기하도록 하는 양으로 존재할 수 있고, 섬투주맙은 약 2 mg/kg의 용량을 야기하는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제공된 조성물은 특히 제형화 및 시험관내 또는 생체내 투여에 적합하다. 적합한 담체 및 부형제, 및 이들의 제형화는 문헌(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1st Edition, David B. Troy, ed., Lippicott Williams & Wilkins (2005))에 기재되어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생물학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바람직하지 않지 않은 물질을 의미한다. 즉, 상기 물질은 바람직하지 않은 생물학적 효과를 야기하지 않거나 그 자신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유해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지 않으면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경우, 상기 담체는 임의적으로 활성 성분의 분해를 최소화하고 대상체에서 불리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도록 선택된다.
본원에서 제공된 약학 조성물은 활성 성분(예를 들면, 실시양태 또는 실시예를 포함하는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이 치료 유효량, 즉 그의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함유되어 있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특정 적용에 효과적인 실제 양은 특히 치료되는 질병에 의해 좌우될 것이다.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투여될 때, 본원에 기재된 재조합 단백질은 원하는 결과, 예를 들면, 표적 분자의 활성의 조절, 및/또는 질환 증상의 감소, 제거 또는 진행 지연을 달성하기에 효과적인 양의 활성 성분을 함유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치료 유효량의 결정은 특히 본원의 상세한 개시에 비추어 볼 때 당분야에서 숙련된 자의 능력 내에 있다.
제공된 조성물은 단일 물질 또는 하나 초과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투여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바람직하게는 수성 담체에 용해된, 본원에 기재된 물질을 포함할 것이다. 다양한 수성 담체들, 예를 들면, 완충된 식염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용액은 멸균 상태이고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을 갖지 않는다. 이 조성물은 잘 공지되어 있는 통상의 멸균 기법에 의해 멸균될 수 있다. 조성물은 생리학적 조건에 근접하기 위해 요구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보조 물질, 예컨대, pH 조절제, 완충제, 독성 조절제 등, 예를 들면, 아세트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젖산나트륨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 제형에서 활성 물질의 농도는 폭넓게 변경될 수 있고, 선택된 구체적인 투여 방식 및 대상체의 요구에 따라 주로 유체 부피, 점도, 체중 등에 기반하여 선택될 것이다.
유리 염기 또는 약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서 활성 화합물의 용액은 계면활성제, 예컨대,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와 적절하게 혼합된 물에서 제조될 수 있다. 분산액도 글리세롤,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 및 오일에서 제조될 수 있다. 통상의 저장 및 사용 조건 하에서, 이 제제는 미생물의 생장을 방지하기 위해 방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코내 또는 흡입 가능한 용액 또는 분무제, 에어로졸 또는 흡입제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코 용액은 점적 또는 분무제에 의해 비강에 투여되도록 고안된 수성 용액일 수 있다. 코 용액은 많은 면에서 코 분비물과 유사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수성 코 용액은 통상적으로 등장성을 갖고 5.5 내지 6.5의 pH를 유지하도록 약하게 완충된다. 추가로, 요구된 경우, 눈 제제에서 사용되는 항균 방부제와 유사한 항균 방부제 및 적절한 약물 안정화제가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상업용 코 제제들이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항생제 및 항히스타민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 제형은 예를 들면, 약학적 등급의 만니톨, 락토스, 전분,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나트륨 사카린, 셀룰로스, 탄산마그네슘 등으로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정제, 환제, 캡슐, 지속 방출 제형 또는 산제의 형태를 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경구 약학 조성물은 불활성 희석제 또는 동화 가능한 식용 담체를 포함할 것이거나, 경질 또는 연질 외피 젤라틴 캡슐 내에 담겨질 수 있거나, 정제로 압착될 수 있거나, 식사의 음식과 함께 직접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경구 치료 투여를 위해, 활성 화합물은 부형제와 함께 도입될 수 있고 섭취 가능한 정제, 협측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시르, 현탁액,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 및 제제는 적어도 0.1%의 활성 화합물을 함유해야 한다. 조성물 및 제제의 퍼센트는 당연히 변경될 수 있고 편리하게는 유닛의 중량의 약 2% 내지 약 75%, 또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일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에서 활성 화합물의 양은 적합한 용량이 수득될 수 있게 하는 양이다.
수성 용액에서의 비경구 투여를 위해, 예를 들면, 이 용액은 적절하게 완충되어야 하고, 액체 희석제는 먼저 충분한 식염수 또는 글루코스와 등장성을 갖게 되어야 한다. 수성 용액, 특히 멸균 수성 매질은 정맥내, 근육내, 피하 및 복강내 투여에 특히 적합하다. 예를 들면, 1회 용량을 1 ㎖의 등장성 NaCl 용액에 용해시킬 수 있고 1000 ㎖의 대량피하주사액에 첨가할 수 있거나 제안된 주입 부위에서 주사할 수 있다.
멸균 주사 가능한 용액은 요구된 양의 활성 화합물 또는 구축물을 적절한 용매 내에 도입한 후 여과 멸균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산액은 다양한 멸균된 활성 성분들을, 염기성 분산 매질을 함유하는 멸균 비히클 내에 도입함으로써 제조된다. 활성 성분 플러스 임의의 추가 원하는 성분의 분말을 생성하는 진공 건조 및 동결 건조 기법을 이용하여, 멸균 주사 가능한 용액의 재구성을 위한 멸균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직접적인 주사를 위한 보다 더 또는 고도로 농축된 용액의 제조도 예상된다. DMSO는 고농도의 활성 물질을 작은 면적에 전달하는, 극도로 빠른 침투를 위한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의 제형은 유닛 용량 또는 다중 용량 밀봉 용기, 예컨대, 앰플 및 바이알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조성물은 유닛 제형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에서, 제제는 적절한 양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유닛 용량으로 세분된다. 따라서, 조성물은 투여 방법에 따라 다양한 유닛 제형들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투여에 적합한 유닛 제형은 산제, 정제, 환제, 캡슐 및 로젠지를 포함하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포유동물에게 투여되는 용량 및 빈도(1회 또는 다회 용량)는 다양한 요인들, 예를 들면, 포유동물이 또 다른 질환을 앓고 있는 지 여부, 및 그의 투여 경로; 수용자의 크기, 연령, 성별, 건강, 체중, 신체 질량 치수 및 식습관; 치료되는 질환의 증상의 성질 및 정도(예를 들면, 암의 증상 및 이러한 증상의 중증도), 동시 치료의 종류, 치료되는 질환으로부터의 합병증 또는 다른 건강 관련 문제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치료법 또는 치료제가 본 발명의 방법 및 화합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확립된 용량(예를 들면, 빈도 및 지속시간)의 조절 및 조작은 당분야에서 숙련된 자의 능력 내에 있다.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조성물(예를 들면, 제공된 세포 침투 접합체)의 경우, 치료 유효량은 먼저 세포 배양 어세이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목표 농도는 본원에 기재되어 있거나 당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본원에 기재된 방법을 달성할 수 있는 활성 화합물(들)의 농도일 것이다. 당분야에서 잘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간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효량은 동물 모델로부터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인간을 위한 용량은 동물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된 농도를 달성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인간에서 용량은 전술된 바와 같이 효능을 모니터링하고 용량을 위로 또는 아래로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전술된 방법 및 다른 방법에 근거하여 인간에서 최대 효능을 달성하기 위해 용량을 조절하는 것은 통상의 숙련된 당업자의 능력 내에 있다.
용량은 환자의 요구 및 사용되는 화합물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환자에게 투여되는 용량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환자에서 유리한 치료 반응을 달성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용량의 크기도 임의의 불리한 부작용의 존재, 성질 및 정도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특정 상황에 적절한 용량의 결정은 의사의 기술 내에 있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화합물의 최적 용량보다 더 적은 보다 작은 용량으로 시작된다. 그 후, 용량은 환경 하에서 최적 효과에 도달될 때까지 조금씩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된다.
용량 양 및 간격은 치료되는 구체적인 임상 적응증에 효과적인 투여된 화합물의 수준을 제공하도록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것은 개체의 질환 상태의 중증도에 잘 맞는 치료법을 제공할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된 교시를 이용하여, 실질적인 독성을 야기하지 않고 특정 환자에 의해 나타나는 임상 증상을 치료하기에 효과적인 유효 예방적 또는 치료적 치료법을 계획할 수 있다. 이 계획은 화합물 효능, 상대적 생체이용률, 환자 체중, 불리한 부작용의 존재 및 중증도와 같은 요인을 고려함으로써 활성 화합물을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을 포함해야 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대상체에게의 활성 물질의 투여 및 대상체에 의한 활성 물질의 흡수를 보조하고 환자에 대한 유의미한 불리한 독성학적 효과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물질을 지칭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의 비한정적 예로는 물, NaCl, 생리식염수 용액, 젖산이 첨가된 링거액, 생리 수크로스, 생리 글루코스, 결합제, 충전제, 붕해제, 윤활제, 코팅제, 감미제, 풍미제, 염 용액(예컨대, 링거 용액), 알코올, 오일, 젤라틴, 탄수화물, 예컨대, 락토스, 아밀로스 또는 전분, 지방산 에스테르,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딘, 및 색소 등이 있다. 이러한 제제는 멸균될 수 있고, 원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과 불리하게 반응하지 않는 보조제, 예컨대, 윤활제, 방부제, 안정화제, 습윤화제, 에멀전화제, 삼투압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염, 완충제, 착색 및/또는 방향 물질 등과 혼합될 수 있다. 당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다른 약학적 부형제가 본 발명에 유용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당분야에서 잘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유기 반대 이온들 및 무기 반대 이온들로부터 유도된 염을 지칭하고, 단지 예로써,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암모늄, 테트라알킬암모늄 등; 및 분자가 염기성 작용기를 함유할 때, 유기 또는 무기 산의 염, 예컨대, 염산염, 브롬산염, 주석산염, 메실산염, 아세트산염, 말레산염, 옥살산염 등을 포함한다.
용어 "제제"는 캡슐을 제공하는 담체로서 캡슐화 물질을 가진 활성 화합물의 제제를 포함하기 위한 것이고, 이때 다른 담체와 함께 또는 다른 담체 없이 활성 성분은 담체에 의해 둘러싸임으로써, 담체와 회합된다. 유사하게, 카세제 및 로젠지가 포함된다. 정제, 산제, 캡슐, 환제, 카세제 및 로젠지가 경구 투여에 적합한 고체 제형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이브루티닙, 섬투주맙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이델라리십, 섬투주맙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포스타마티닙, 섬투주맙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아칼라브루티닙, 섬투주맙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ONO/GS-4059, 섬투주맙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BGB-3111, 섬투주맙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CC-292(AVL-292), 섬투주맙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R406, 섬투주맙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1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1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1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2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1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3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1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5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1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10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2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1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2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2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2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3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2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5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2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10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5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1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5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2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5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3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5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5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5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10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10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1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10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2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10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3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10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5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10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10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15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1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15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2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15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3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15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5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15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10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420 m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1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420 m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2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420 m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3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420 m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5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420 m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이브루티닙 및 10 mg/kg의 용량과 동등한 양의 섬투주맙을 포함한다.
실시예
BCR(B 세포 수용체) 신호전달을 통한 신호전달은 질환, 예를 들면,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의 발병 및/또는 진행에 있어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CLL 생물학에서의 이 캐스케이드의 중요성은 BCR 신호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소분자 키나제 억제제를 사용한 임상 활성을 입증하는 임상 시험에 의해 강조되는 듯하다. 그러나, BCR 신호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거의 모든 억제제들은 완전한 반응(CR)을 가질 수 없었는데, 이것은 BCR 신호전달의 균형을 잡아주는 다른 기작이 BCR 신호전달을 사용한 치료 후 CLL의 CR에 관여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본 출원인은 특히 CLL에 대한 생존 신호인 ROR-1이 상기 억제제들에 의해 유도되었고 이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유사 희귀 수용체 1(ROR-1)은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및 맨틀 세포 림프종(MCL)을 가진 환자로부터의 림프종 및 백혈병 세포의 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나, 정상 B 세포 또는 다른 산후 조직에서는 발현되지 않는 종양배아 항원이다. 리간드 Wnt5a와 ROR-1의 결합은 Rac1 및 RhoA를 활성화시키고 질환 관련 화학주성 및 증식을 촉진하는 구아닌 교환 인자(GEF)의 결집을 야기한다. BTK 및 ROR-1의 동시적 억제를 이용한 BCR 및 ROR-1 신호전달 경로의 표적화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여기서 제공된 작업은 일차 CLL 샘플에서 신규 선택적 항-ROR-1 항체 섬투주맙과 조합된 이브루티닙의 활성을 평가하였다. BTK 억제제 및 항-ROR-1 항체 둘 다를 사용한 치료는 단일 물질만을 사용한 치료에 비해 CLL 세포 생존을 더 감소시켰고, 조합 사용 시 더 파괴된 리간드 유도된 신호전달의 결과로서 상승작용적 생장 억제를 유도하였다. 따라서, 이 키나제들의 동시적 표적화는 임상 활성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항-ROR-1 및 이브루티닙의 조합 치료 시 관찰된 향상된 효능은 예상되지 않은 이익이었다. 구체적으로, 이브루티닙과 세포 매개 항-종양 반응성을 나타내는 항-CD20 항체의 조합은 향상된 효능을 나타내지 않았다. 사실상, 이브루티닙이 CD20 항체의 활성을 방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1.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의 치료를 위한 섬투주맙(UC-961)과 이브루티닙의 조합
요약.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를 비가역적으로 억제하는 소분자인 이브루티닙은 B 세포 수용체(BCR) 신호전달을 차단함으로써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을 가진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효능을 보였으나, 완전한 반응(CR) 또는 지속 가능한 관해를 유도하지 않는다. RTK 유사 희귀 수용체-1(ROR-1)은 Wnt5a에 대한 수용체이고 CLL 진행에서 비정규 Wnt 신호전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 본 출원인은 CLL 세포에서 Wnt5a/ROR-1 신호전달 매개 활성에 대한 이브루티닙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본 출원인은 Wnt5a가 이브루티닙으로 처리된 CLL 세포에서 Rac1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고, 이브루티닙 처리가 Wnt5a의 부재 하에서 CLL 증식을 억제할 수 있을지라도, 이것이 Wnt5a 자극에 의해 역전되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인간화된 항-ROR-1 단일클론 항체(mAb)인 섬투주맙(UC-961)에 의해 차단되었다. 더욱이, UC-961 및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조합 치료는 시험관 내에서 CLL 증식을 유의미하게 억제하였고 생체 내에서 ROR-1+ 백혈병 세포의 생착을 유의미하게 억제하였는데, 이것은 각각의 물질 단독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CLL 및 다른 ROR-1 발현 B 세포 종양을 가진 환자를 위한 요법으로서 UC-961과 이브루티닙을 조합하는 것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
도입. B 세포 수용체(BCR)를 통한 신호전달은 CLL의 발병 및 진행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BCR의 교차결합은 CD79a/b 및 Src 패밀리 키나제 LYN의 인산화를 유발하여, 다운스트림 신호전달 사건들의 캐스케이드를 유도하는 티로신 키나제 Syk의 결집 및 활성화를 야기함으로써, 향상된 B 세포 생존을 이끌어낸다. CLL 생물학에서 이 캐스케이드의 중요성은 BCR 신호전달에 있어서 중요한 키나제, 예컨대, Syk, Akt 및 BTK의 소분자 억제제의 치료 효과에 의해 강조되는 듯하다. 환자들이 무기한으로 요법을 계속하는 한, 이브루티닙은 BTK의 억제제이고 대다수의 환자들에서 지속 가능한 임상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부분적 반응(PR)만을 달성한다. 더욱이, 환자들은 심지어 연장된 단일 물질 요법 후에도 검출 가능한 최소한의 잔류 질환(MRD)을 결여하는 완전한 반응(CR)을 사실상 결코 달성하지 못한다.
이브루티닙이 깊은 CR을 달성하지 못하는 것은 BTK의 억제제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대안적 생존 신호전달 경로의 존재에 기인할 수 있다. 한 이러한 경로는 CLL 세포에서 발현되나 정상 산후 조직에서는 발현되지 않는 종양배아 항원인 ROR-1을 통한 신호전달에 의해 유도되는 경로이다. 본 출원인은 ROR-1이 Rho GTPases, 예컨대, Rac1의 활성화, 및 향상된 백혈병 세포 증식 및 생존을 이끌어내는 비정규 Wnt 신호전달을 유도할 수 있는, Wnt5a에 대한 수용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Wnt5a에 의한 Rac1의 활성화는 항-ROR-1 mAb, 즉 CLL을 가진 환자에 대한 임상 시험에서 현재 평가받고 있는 혁신 신약 인간화된 단일클론 항체인 UC-961에 의해 억제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본 출원인은 BCR 신호전달 억제제 이브루티닙의 존재 하에서 Wnt5a/ROR-1 신호전달을 조사하였고, 시험관 내에서 및 생체 내에서 CLL 치료에 대한 이브루티닙과 인간화된 항-ROR-1 단일클론 항체(mAb)인 섬투주맙(UC-961)의 조합 효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UC-961은 이브루티닙의 존재 하에서 CLL 세포에서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를 억제한다. Wnt5a는 CLL 세포를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세포들에서 Rac1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Wnt5a가 이브루티닙으로 처리된 CLL 세포에서 Rac1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지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인은 2시간 동안 CLL 세포를 0, 0.25, 0.5 또는 1.0 μM 농도의 이브루티닙으로 처리한 후, 30분 동안 세포를 외생성 Wnt5a로 처리하였다. 면역블롯 분석은 Wnt5a를 사용한 처리가 Rac1 활성화를 유도하였고 이러한 활성화가 생리학적 농도를 초과하는 농도로서 간주된 농도인 1 μM의 농도(도 6a), 및 종래 보고와 일치하는, 100%의 BTK 점유를 야기한 농도(도 6b)에서조차도 이브루티닙에 의해 차단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더욱이, 0.25 μM만큼 낮은 이브루티닙의 농도는 CLL 세포 생존율에 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6d) 항-μ를 사용한 BCR 결찰에 의해 유도된 칼슘 유동의 완전한 억제를 야기하였다(도 6c).
CLL 환자 혈장에서의 이브루티닙의 최대 농도는 대략 0.5 μM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후속 연구에서 CLL 세포를 0.5 μM 이브루티닙으로 처리하였다. 본 출원인은 UC-961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출원인은 2시간 동안 CLL 세포를 이브루티닙, UC-961, 또는 이브루티닙과 UC-961의 조합으로 전처리한 후, 30분 동안 Wnt5a 재조합 단백질로 처리하였거나 처리하지 않았다. 이브루티닙은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를 억제하지 않았으나, UC-961의 처리는 외생성 Wnt5a로 처리되지 않은 CLL 세포에서 관찰된 수준에 필적할 만한 수준까지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를 감소시켰다(도 1a 및 1b). 나아가, UC-961과 이브루티닙의 조합도 Wnt5a-유도된 Rac1을 기저 수준까지 억제하였다(도 1a 및 1b).
본 출원인은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요법을 받는 환자의 CLL 세포가 Wnt5a로 자극될 수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420 mg QD의 표준 치료 용량으로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치료를 받는 환자로부터 혈액 단핵 세포를 채취하였다. 단리된 CLL 세포를 Wnt5a 및/또는 UC-961과 함께 또는 이들 없이 항온처리하였다. 웨스턴 블롯 분석은 Wnt5a가 이 환자들로부터의 CLL 세포에서 Rac1 활성화를 유도한 반면, UC-961의 항온처리가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를 억제하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활성 Rac1의 수준은 치료를 받지 않은 샘플에서의 수준과 유사하였다(도 1c 및 1d). 이 결과는 이브루티닙이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를 억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한다.
UC-961은 이브루티닙의 존재 하에서 CLL 세포의 Wnt5a-향상된 증식을 억제한다. Rac1-GTPase의 활성화는 증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외생성 인터류킨(IL)-4 및 IL-10의 존재 하에서 CD154를 발현하는 세포(HeLaCD154)와 함께 공배양함으로써 CLL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배양물에의 외생성 Wnt5a의 첨가는 카복시플루오레세인 석신이미딜 에스테르(CFSE)로 표지된 세포의 형광 강도로부터 유추된 분열 세포의 비율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고; 이 효과는 UC-961에 의해 억제될 수 있었다(도 2a). 대조적으로, 야생형 HeLa 세포와 함께 공배양된 CLL 세포는 IL-4/10 및/또는 Wnt5a의 존재 하에서조차도 증식을 유도하지 않았다(도 7a 및 7b). 본 출원인의 결과는 Wnt5a에 의해 유도된 증식이 Wnt5a를 사용하지 않은 배양에서 관찰된 수준에 필적할 만한 수준까지 UC-961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처리는 CD154-유도된 CLL 세포 증식을 억제할 수 있었으나, 외생성 Wnt5a는 이브루티닙의 존재 하에서 분열 세포의 비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도 2a); 이것은 UC-961에 의해 억제될 수 있었다(도 2a). 상이한 환자들(N = 6)의 CLL 세포를 사용하였을 때 동일한 효과가 관찰되었다(도 2b). 종합하건대, 이들 데이터는 UC-961이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은 Wnt5a 신호전달을 차단할 수 있었다는 것을 입증한다.
CLL 환자 유래의 이종이식물에서의 UC-961과 이브루티닙의 조합. 본 출원인은 CLL을 면역 결핍 Rag2-/-γc -/- 마우스의 복강 내로 전달하여 이종이식물을 생성하였다. 본 출원인은 UC-961과 이브루티닙의 조합이 이러한 이종이식물에서 CLL 세포를 고갈시키는 능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인은 AIM-V 배지 중의 1×107개 생존 일차 CLL 세포를 각각의 마우스의 복강 내로 주사하였다. 1일 후, 마우스는 치료를 받지 않았거나, 위관영양법을 통해 매일 용량의 15 mg/kg 이브루티닙을 제공받았고/받았거나, 1회 용량의 1 mg/kg의 UC-961을 제공받았다. 7일 후, 복막 세척액(PL)을 통해 CLL 세포를 수거하였고 유세포분석으로 조사하였다. UC-961 또는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마우스의 군에서 PL당 계산된 CLL 세포 수는 대조군 비치료 마우스로부터 수집된 수보다 유의미하게 더 적었다. 그러나, UC-961 및 이브루티닙 둘 다로 치료받은 동물은 단일 물질 이브루티닙 또는 UC-961로 치료받은 군을 비롯한 각각의 다른 군보다 유의미하게 더 적은 PL당 CLL 세포를 가졌다(도 3). 이들 데이터는 이 이종이식물 모델에서 백혈병 세포를 제거하는 데 있어서 이브루티닙에 대한 UC-961의 상가적 효과를 입증한다.
UC-961은 이브루티닙의 존재 하에서 Wnt5a-향상된 Rac1 활성화 및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 백혈병을 발생시킨 ROR-1×TCL1 이중 형질전환 마우스로부터 ROR-1×TCL1 백혈병 세포를 단리하였다. 본 출원인은 2시간 동안 ROR-1×TCL1 백혈병 세포를 이브루티닙 또는 UC-961로 전처리한 후, 30분 동안 상기 세포를 Wnt5a 재조합 단백질로 처리하였거나 처리하지 않았다. 인간 CLL 세포를 사용한 본 출원인의 발견과 유사하게,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는 UC-961에 의해 억제될 수 있었으나 이브루티닙에 의해서는 억제될 수 없었다(도 4a 및 4b). UC-961과 이브루티닙의 조합도 Rac1의 Wnt5a-유도된 활성화를 기저 수준까지 억제하였다(도 4a 및 4b). 그러나, Wnt5a 처리는 ROR-1의 발현을 결여하는 단일 형질전환 TCL1 마우스로부터 유래한 백혈병 세포에서 Rac1 활성화를 유도할 수 없었다(도 8a).
또 다시, ROR-1×TCL1 백혈병 세포는 외생성 IL-4 및 IL-10의 존재 하에서 HeLaCD154와 함께 배양되었을 때 증식하도록 유도될 수 있었다. 외생성 Wnt5a 처리의 추가는 CFSE로 표지된 세포의 형광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는, 분열 세포의 비율 및 세포 분열의 수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도 4c 및 4d). 인간 CLL 세포와 유사하게, 야생형 HeLa 세포와 함께 공배양된 ROR-1×TCL1 백혈병 세포는 IL-4/10 및/또는 Wnt5a의 존재 하에서조차도 증식하도록 유도되지 않았다(도 8b).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처리는 CD154-유도된 ROR-1×TCL1 백혈병 세포 증식을 부분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다. UC-961은 CD154 및 IL-4/10에 반응하여 ROR-1×TCL1 백혈병 세포 증식을 향상시키는 Wnt5a의 능력을 억제할 수 있었으나, 이브루티닙은 그러하지 못하였다(도 4c 및 4d). 다른 한편으로, Wnt5a는 HeLaCD154 세포 및 IL-4/10과 함께 공배양된 ROR-1 음성 TCL1-백혈병 세포의 증식을 향상시키지 않았다.
ROR-1×TCL1 백혈병 생착 마우스에서의 UC-961과 이브루티닙의 조합. 본 출원인은 UC-961과 이브루티닙의 조합이 Rag2-/-γc -/- 마우스에서 ROR-1×TCL1 백혈병 세포(CD5+B220lowROR-1+)의 생착을 억제하는 능력을 조사하였다. 본 출원인은 각각 2×104개의 ROR-1×TCL1 백혈병 세포를 Rag2-/-γc -/- 마우스에게 생착시킨 후, 동물을 15, 5 또는 1.67 mg/kg 이브루티닙, 또는 1회 용량의 10, 3 또는 1 mg/kg의 UC-961로 매일 치료하였다. 25일 후, 동물을 희생시켰고, 비장을 조사하였다. 이브루티닙 및 UC-961은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증폭을 억제하였다. 본 출원인은 조합 연구를 위해 1 mg/kg 1회 용량의 UC-961 및 5 mg/kg 매일 용량의 이브루티닙을 선택하였다. UC-961 또는 이브루티닙만으로 치료받은 마우스는 치료를 받지 않은 한배새끼들보다 유의미하게 더 작은 비장을 가진 반면, UC-961과 이브루티닙의 조합 치료는 비장 크기의 가장 큰 감소를 야기하였다(도 5a). 본 출원인은 유세포분석을 통해 비장에서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비율을 조사하였다(도 5b). 비장당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퍼센트 및 총 세포 수는 치료를 받지 않은 마우스에 비해 UC-961 또는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마우스에서 유의미하게 더 낮았다. 그러나, UC-961 및 이브루티닙 둘 다로 치료받은 동물은 단일 물질 이브루티닙 또는 UC-961로 치료받은 군을 비롯한 모든 다른 군들보다 유의미하게 더 적은 비장당 ROR-1×TCL1 백혈병 세포를 가졌다(도 5c).
논의
CLL은 림프절(LN) 및 골수(BM)와 같은 조직 구획에서 증식하는 단일클론 성숙 CD5+ B 세포의 증폭을 특징으로 한다. 종양 증식의 차이는 아마도 CLL의 불균질한 임상 경과를 설명하고, 악성 림프구들 사이의 유전적 차이뿐만 아니라 종양 증식을 유도하는 외부 신호의 활성도 반영한다. CLL 세포는 증식 및 생존을 위해 종양 미세환경에 존재하는 세포 및 가용성 인자와의 상호작용에 의존한다. 생체 내에서 CLL 증식 및 생존을 뒷받침할 수 있는 경로들 중에서 BCR 신호전달은 중요한 경로들 중 한 경로인 듯하다. BTK는 BCR 신호전달에 관여하고 CLL 발생의 많은 양태들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 본 출원인은 이브루티닙의 처리가 BTK의 100% 억제를 야기하였고, IgM-유도된 BCR 신호전달, 예컨대, 칼슘 유입을 억제하였고, CD154 매개 CLL 증식을 감소시켰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세포 경로는 수퍼하이웨이보다 더 많은 유사한 네트워크들을 작동한다. 암은 다양한 병리학적 신호전달 및 유전자 조절 기작들을 이용하여 그의 생존, 증식 및 악성 표현형을 촉진한다. 본 출원인은 ROR-1이 CLL에서 발현되었고 CLL 진행에 기여한다고 보고하였다. 기능 연구는 ROR-1의 리간드인 Wnt5a가 ROR-1을 자극하여 CLL 세포에서 Rac1을 활성화시키고 Wnt5a/ROR-1 신호전달이 CLL 진행을 위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출원인은 Rac1 활성화 및 CLL 증식에 중요한 것으로 밝혀진 Wnt5a/ROR-1 신호전달의 기능에 대한 이브루티닙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출원인은 이브루티닙이 CD154-유도된 CLL 증식을 억제할 수 있을지라도(이 결과는 이전에 보고된 데이터와 일치함), 외생성 IL-4/10의 존재 하에서 HeLaCD154 세포와 함께 공배양되었을 때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 및 Wnt5a-향상된 CLL 증식을 억제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뿐만 아니라, Wnt-5a는 이브루티닙의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Rac1 활성화를 유의미하게 유도하였다. CLL 환자는 CLL 세포의 내성 클론 때문에 이브루티닙에 대한 일차 내성을 보이고, 이것은 이브루티닙이 CLL 세포 생물학, 특히 LN 및 BM 미세환경에 중요한 Wnt5a-유도된 신호전달을 차단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이브루티닙은 FcγR 매개 칼슘 신호전달 및 사이토카인 생성을 차단하나, 액틴 중합 및 식세포작용을 책임지는 Rac 활성화에 대한 효과를 갖지 않는다고 보고되었다.
한 경로의 억제에 반응하여 활성화될 수 있고 약물 내성 및 임상 재발을 야기할 수 있는 다수의 중복 또는 대안적 경로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합 요법은 많은 종양들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 종종 요구된다. 연구자들은 백혈병 치료를 위해 다른 약물과 함께 이브루티닙을 사용하는 조합 요법에 몰두하였다. Mcl-1 및 Bcl-XL의 감소와 함께 증가된 Bcl-2 단백질도 관찰되었고 이브루티닙으로 처리된 CLL 세포에 대한 생존 기작으로서 제안되었다. 이브루티닙과 Bcl-2 억제제(ABT-199)의 조합은 BTK 및 Bcl-2 경로의 교란을 통해 맨틀 세포 림프종 세포에서 증식 억제 및 아폽토시스에 대한 상승작용적 효과를 보였다. BTK 및 PI3K가 BCR 신호전달을 상이하게 조절하기 때문에, 이브루티닙 및 PI3K 억제제(이델라리십)를 사용한 조합 요법은 MCL 및 CLL 세포들을 그들의 증식 및 생존 촉진 적소로부터 더 현저히 이동시킨다. 더욱이 이브루티닙 및 항-CD20 mAb 조합 연구는 이브루티닙이 CLL 세포에서 CD20 발현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킨 후 보체 매개 세포 사멸을 감소시켰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브루티닙과 항-CD20 mAb 사이의 이 음성 상호작용은 조합 요법의 효능을 감소시킬 것이다. 모든 이들 연구들은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조합 요법을 추구할 때 BCR 신호전달과 대안적 신호전달 사이의 가능한 상호작용 또는 소통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본 출원인은 UC-961이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에서 유의미한 억제 활성을 보임으로써, Wnt5a-향상된 CLL 증식을 억제하였다는 것을 여기서 입증하였다. 더욱이, UC-961과 이브루티닙의 조합의 투여는 각각의 물질 단독에 의해 야기된 효과보다 더 큰 상가적 효과로 인해 수용자 Rag2-/-γc -/- 마우스에서 백혈병 세포를 제거하였다.
UC-961과 이브루티닙은 서로의 효과를 강화시킨다. 결과적으로, 조합 요법은 CLL 세포의 생장 촉진 적소에서의 감소된 증식 속도뿐만 아니라 이 적소로부터의 CLL 세포의 보다 더 현저한 이동도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약물 제거 및 단백질 회전율의 관점으로부터 볼 때, 조합이 사용될 때 BTK 및 ROR-1이 완전히 점유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효과는 더 강할 수도 있고 연장될 수도 있다. 나아가, 효능/독성 비에 유리할 보다 더 낮은 용량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경로의 하나 초과의 핵심 성분을 표적화하는 것이 선천성 (단일)요법 내성을 극복할 수 있고 후천성 (단일)요법 내성을 극복할 수 있거나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UC-961은 BTK의 이브루티닙 결합 부위에서 돌연변이를 갖고 BTK 축의 추가 분자, 예컨대, PLCγ2에서 돌연변이를 갖고 좋지 않은 예후와 관련된 것으로 확인된 SF3B1 돌연변이를 가진 이브루티닙 치료 환자에서 여전히 유리할 수 있다.
종합하건대, CLL 또는 ROR-1×TCL1 백혈병 세포를 사용한 시험관내 및 생체내 시스템에서 본 출원인들의 UC-961 사용은 치료 약물로서의 UC-961의 잠재력을 뒷받침하고, 활성 BCR 신호전달 및/또는 종양 미세환경에 의존하는 CLL 및 가능하게는 다른 ROR-1 발현 B 세포 악성종양에 대해 UC-961과 이브루티닙의 조합 요법을 더 조사할 가치가 있다.
방법
세포 및 샘플 준비
CLL 표본. 캘리포니아 샌 디에고 대학 무어 암 센터에서 CLL 환자로부터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피콜-파크 플러스(Ficoll-Paque PLUS)((GE Healthcare Life Sciences)를 사용한 밀도 원심분리로 PBMC를 단리하였고 액체 질소에서 살아있는 상태로 저장하기 위해 90% 태아 소 혈청(FBS)(Omega Scientific) 및 10% DMSO(Sigma-Aldrich)에 현탁하였다. 95% 초과의 CD19+CD5+ CLL 세포를 가진 샘플을 이 연구 전체에 걸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이브루티닙 점유 어세이. CLL 세포를 1시간 동안 증가하는 농도의 이브루티닙(0, 0.25, 0.5 또는 1 μM)으로 처리하였다. 그 다음, 세포를 인산염 완충 식염수로 세척하였고, BTK 점유 어세이를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할 때까지 -80℃에서 저장하였다. 그래프패드 프리즘(GraphPad Prism) 버전 6.0(GraphPad, 캘리포니아 샌 디에고 소재)을 이용하여 BTK 점유를 비교하였다.
칼슘 유동 어세이. CLL 세포를 30분 동안 0, 0.25, 0.5 또는 1.0 μM 이브루티닙과 함께 항온처리한 후, Ca2+ 및 Mg2+을 결여하는 행크스 발란스드(Hanks Blanced) 염 용액(HBSS) 중의 2 mM Fluo-4AM(Molecular Probes)과 함께 로딩하였다. 세포를 항-인간 IgM F(ab)2로 자극하기 위해 37℃에서 유지하였다. 칼슘 방출을 기재된 바와 같이 유세포분석으로 모니터링하였다.
세포 증식 어세이. 일차 CLL 또는 ROR-1×TCL1 백혈병 세포 증식 어세이를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백혈병 세포를 카복시플루오레세인 석신이미딜 에스테르(CFSE, Life Technologies)로 표지하였고, 24웰 트레이에서 5 ng/㎖의 재조합 인간 인터류킨(IL)-4(R&D Systems) 및 15 ng/㎖의 재조합 인간 IL-10(R&D Systems)으로 보충된 완전한 RPMI-1640 배지에서 15:1의 CLL/HeLaCD154 세포 비로 방사선조사된 HeLaCD154 세포(8000 Rad; 80 Gray)의 층 위에 1.5×106/웰/㎖로 플레이팅하였다. Wnt5a(200 ng/㎖, R&D Systems) 또는 UC-961(10 ㎍/㎖)은 본문에 표시된 바와 같다. CFSE-표지된 CLL 세포를 유세포분석으로 분석하였는데; Modfit LT 소프트웨어(버전 3.0, Verity Software House)가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세포 증식의 분석을 위해 사용되었다.
Rac1 활성화 어세이. Rac1 활성화 어세이 시약을 사이토스켈레톤(Cytoskeleton)으로부터 구입하였고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사용하였다. 요약하건대, GTP에 결합된 활성 Rac1을 PAK-PBD 비드로 끌어내린 후, 면역블롯 분석을 수행하였다. 전체 세포 용해물의 면역블롯을 사용하여 총 Rac1에 대해 평가하였다. 밴드의 적분된 광학 밀도(IOD)를 밀도측정으로 평가하였고 Gel-Pro 분석기 4.0 소프트웨어(Media Cybernetics, 메릴랜드주 소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면역블롯 분석. 웨스턴 블롯 분석을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각각의 샘플로부터 동등한 양의 총 단백질을 SDS-PAGE로 분획화하였고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막 상으로 블롯팅하였다. 호스라디쉬 퍼록시다제(Cell Signaling Technology)와 접합된 이차 항체를 사용함으로써 검출된, Rac1에 특이적인 일차 mAb를 사용하여 웨스턴 블롯 분석을 수행하였다.
인간 CLL 환자 유래의 이종이식물 연구. 6주령 내지 8주령의 Rag2-/-γc -/- 마우스들(처음에 카트리오나 자미에슨(Catriona Jamieson)으로부터 입수됨, 캘리포니아 샌 디에고 대학)을 특정 병원체 부재 조건 하에서 층류 캐비넷에서 수용하고 무제한으로 급식하였다. 본 출원인은 AIM-V 배지 중의 2×107개의 생존 일차 CLL 세포를 각각의 마우스의 복강 내로 주사하였다. 다음날, 1 mg/kg UC-961을 복강내로 1회 주사하였고, 15 mg/kg의 이브루티닙을 경구 위관영양법으로 매일 투여하였다. 7일 후, 총 부피 12 ㎖의 둘베코 PBS를 상기 복강에 주사함으로써 복막 세척액(PL)을 추출하였다. 구아바(Guava) 카운팅을 이용하여 PL 세포의 총 회수를 측정하였다. 그 후, 세포를 4℃에서 30분 동안 마우스 및 인간 Fc 차단제 둘 다로 차단하였고, 다양한 인간 세포 표면 마커들(예를 들면, CD19, CD5, CD45)로 염색한 후, 유세포분석을 위해 프로세싱하였다. 본 출원인은 PL 중의 CLL 세포의 퍼센트와 총 PL 세포 카운트를 곱함으로써 각각의 PL에서 CLL 세포의 수를 계산하였다. 인간 IgG로 치료받은 마우스로부터의 잔류 백혈병 세포를 100%에서 기준으로서 설정하였다. 각각의 치료군은 적어도 6마리의 마우스들을 포함하였고,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서 제공되었다.
ROR-1×TCL1 백혈병 입양 전달 연구. 본 출원인은 면역결핍 Rag2-/-γc -/- 마우스에서 UC-961과 이브루티닙의 조합의 항-백혈병 활성을 평가하였다. ROR-1×TCL1 백혈병 B 세포(CD5+B220lowROR-1+)를 비장으로부터 단리하였고, 농도 구배 원심분리를 통해 농축하였고, 멸균 PBS에 현탁하였고, 동물당 2×104개 세포의 양으로 Rag2-/-γc -/- 수용자 마우스에 정맥내로 주사하였다. 이식을 위해 사용된 샘플은 유세포분석에 의해 95% 초과의 백혈병 B 세포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UC-961의 용량 의존적 요법을 위해, 수용자 마우스는 치료를 받지 않았거나, 1일째 날에 10 mg/kg, 3 mg/kg 및 1 mg/kg의 UC-961의 1회 용량 정맥내 주사를 제공받았다. 이브루티닙의 용량 의존적 요법을 위해, 수용자 마우스는 치료를 받지 않았거나, 1일째 날부터 15 mg/kg, 5 mg/kg 및 1.67 mg/kg의 이브루티닙의 매일 비경구 주사를 제공받았다. 조합 요법을 위해, 수용자 마우스는 치료를 받지 않았거나, 1 mg/kg의 UC-961의 1회 용량 정맥내 주사 및/또는 1일째 날부터 5 mg/kg의 이브루티닙의 매일 비경구 주사를 제공받았다. 모든 마우스들을 25일째 날에 희생시켰고, 암모늄-클로라이드-칼륨(ACK) 용해 용액에서의 저장성 용해를 통해 비장세포의 단일 세포 현탁액으로부터 적혈구 세포를 제거하였고, 세척하였고, PBS(pH=7.4) 중의 2%(wt/vol) BSA(Sigma)에 현탁하였고, 최적화된 농도의 플루오로크롬-접합된 mAb를 사용하여 CD3(17A2), CD5(53-7.3), B220(RA3-6B2) 및 ROR-1(4A5)의 표면 발현에 대해 염색하였다. 이중 레이저 FACSCalibur(BD)를 이용하여 4색 다중파라미터 유세포분석으로 세포를 조사하였고, 플로우조(FlowJo) 소프트웨어(TreeStar)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유세포분석으로 총 림프구의 CD5+B220lowROR-1+ 세포의 퍼센트를 측정하고 이 수치와 총 비장 세포 카운트를 곱함으로써 비장당 백혈병 세포의 총 수를 계산하였다.
통계. 콜모고로브-스미르노브(Kolmogorov-Smirnov) 검정으로 확인하였을 때, 정규 분포를 위한 조건을 충족시킨 데이터 세트의 경우,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서 제시된다. 평균들 사이의 차이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로 평가하였다. 0.05 미만의 P 값은 유의미한 것으로서 간주되었다. 그래프패드 프리즘 6.0(GraphPad Software Inc.)으로 유의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2. 조합 연구
CLL 세포를 상이한 BCR 억제제로 처리하였고 ROR-1 발현에 대해 조사하였다. ROR-1 발현은 BCR 억제제 처리 후 유의미하게 유도되었다. 본 출원인은 면역결핍 Rag2/공통-감마-쇄 넉아웃 마우스(Rag2-/-γc -/-)의 복강에서 BCR 신호전달 억제제에 의해 유도된 증가된 ROR-1 발현을 가진 CLL 세포를 배양한 후, 대조군 Ig, 항-ROR-1 항체, 이브루티닙, 또는 항-ROR-1 항체와 이브루티닙의 조합으로 처리하였다. CLL 세포는 항-ROR-1 항체 또는 이브루티닙만을 사용한 처리보다 항-ROR-1 항체와 이브루티닙의 조합을 사용한 처리에 더 민감하였다. 인간 ROR-1 발현 뮤린 백혈병 세포의 입양 전달을 억제하는 항-ROR-1 항체와 이브루티닙의 조합의 능력을 면역결핍 수용자 마우스에서 시험하였다. 1 mg/kg의 인간화된 항-인간 ROR-1 mAb UC-961을 6마리의 RAG2-/-γc -/- 마우스들에게 정맥내로 주사하였다. 2시간 후, ROR-1×TCL1 형질전환 마우스로부터 유래한 1×104개의 CD5+B220lo 인간 ROR-1+ 뮤린 백혈병 세포의 정맥내 주사를 모든 마우스들에게 제공하였다. 이브루티닙 매일 치료를 백혈병 이종이식 후 다음날에 시작하였다. 단일 물질로 치료받은 동물인 대조군 동물과 비교할 때, 항-ROR-1 항체와 이브루티닙의 조합 치료는 이 악성 세포들에 대한 주요 축적 장기인 비장에서 백혈병 세포의 90% 이상의 감소를 야기하였다.
도 9에 묘사된 바와 같이, CLL 세포를 상이한 BCR 억제제로 처리하였고 ROR-1 발현에 대해 조사하였다. ROR-1 발현은 BCR 억제제 처리 후 유의미하게 유도되었다.
도 10에 묘사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면역결핍 Rag2/공통-감마-쇄 넉아웃 마우스(Rag2-/-γc -/-)의 복강에서 BCR 신호전달 억제제에 의해 유도된 증가된 ROR-1 발현을 가진 CLL 세포를 배양한 후, 대조군 Ig, 항-ROR-1 항체, 이브루티닙, 또는 항-ROR-1 항체와 이브루티닙의 조합으로 처리하였다. CLL 세포는 항-ROR-1 항체 또는 이브루티닙만을 사용한 처리보다 항-ROR-1 항체와 이브루티닙의 조합을 사용한 처리에 더 민감하였다.
도 11에 묘사된 바와 같이, ROR-1xTCL1 형질전환 마우스로부터 유래한 1×104개의 CD5+B220lo 인간 ROR-1+ 뮤린 백혈병 세포의 정맥내 주사를 Rag2-/-γc -/- 마우스들에게 제공한 후, 다음날 이 마우스들을 대조군 Ig, 항-ROR-1 항체, 이브루티닙, 또는 항-ROR-1 항체와 이브루티닙의 조합으로 치료하였다. 항-ROR-1 항체 또는 이브루티닙만을 사용한 치료와 비교될 때, 항-ROR-1 항체와 이브루티닙의 조합 치료는 이 악성 세포들에 대한 주요 축적 장기인 비장에서 백혈병 세포의 유의미한 감소를 야기하였다.
실시예 3. 섬투주맙은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에서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를 억제한다.
요약. B 세포 수용체(BCR)를 통한 신호전달은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의 발병 및 진행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것은 BCR 신호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의 억제제인 이브루티닙의 임상 효능에 의해 강조된다. 그러나, 이브루티닙은 연속된 요법 없이 완전한 반응(CR) 또는 지속 가능한 관해를 유도할 수 없는데, 이것은 BCR 신호전달과 관계없는 대안적 경로도 CLL 생장/생존에 기여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ROR-1은 Rac1의 활성화를 촉진하여 CLL 세포 증식 및 생존을 향상시킬 수 있는, Wnt5a에 대한 수용체이다. 이 연구에서, 본 출원인은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CLL 세포가 활성화된 Rac1을 가졌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Wnt5a는 Rac1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었고 BTK 및 BCR 신호전달을 완전히 억제하는 데 효과적인 농도에서 이브루티닙으로 처리된 CLL 세포의 증식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는 항-ROR-1 mAb인 섬투주맙(UC-961)에 의해 차단될 수 있었다. 본 출원인은 섬투주맙 및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치료가 생체 내에서 백혈병 세포를 제거하는 데 있어서 어느 한 물질만을 사용한 치료보다 유의미하게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섬투주맙이 CLL 또는 다른 ROR-1+ B 세포 악성종양을 가진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이브루티닙의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도입. CLL 세포는 증식 및 생존을 위해 종양 미세환경에 존재하는 세포 및 가용성 인자와의 상호작용에 의존한다. 생체 내에서 CLL 증식 및 생존을 뒷받침할 수 있는 경로들 중에서 BCR 신호전달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BCR의 가교결합은 CD79α/β 및 Src 패밀리 키나제 LYN의 인산화를 유발하여, 다운스트림 신호전달 사건들의 캐스케이드를 유도하는 티로신 키나제 Syk의 결집 및 활성화를 야기함으로써, 향상된 B 세포 생존을 이끌어낸다. CLL 생물학에서 이 캐스케이드의 중요성은 BCR 신호전달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세포내 키나제, 예컨대, SYK, 포스포이노시타이드 3-키나제(PI3K) 또는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의 소분자 억제제의 임상 활성에 의해 강조되는 듯하다. 이브루티닙은 CLL을 사용한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된 BTK의 소분자 억제제이다. 그러나, 이브루티닙은 현저한 임상 활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요법의 부재 하에서 질환을 박멸할 수 없거나 지속 가능한 반응을 유도할 수 없다.
이브루티닙이 완전한 반응을 유도하지 못하는 것은 BTK의 억제제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대안적 생존 신호전달 경로에 기인할 수 있다. 한 이러한 경로는 CLL 세포에서 발현되나 정상 산후 조직에서는 발현되지 않는 종양배아 항원인 ROR-1을 통한 신호전달에 의해 유도되는 경로이다. 본 출원인은 ROR-1이 Rho GTPase, 예컨대, Rac1을 활성화시키는 비정규 Wnt 신호전달을 유도할 수 있고 백혈병 세포 증식 및 생존을 향상시킬 수 있는, Wnt5a에 대한 수용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Wnt5a에 의한 Rac1의 활성화는 항-ROR-1 mAb, 즉 CLL을 가진 환자에 대한 임상 시험에서 현재 평가받고 있는 혁신 신약 인간화된 단일클론 항체인 섬투주맙(UC-961)에 의해 억제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본 출원인은 Wnt5a/ROR-1 신호전달이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치료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지를 조사하였고, 시험관 내에서 및 생체 내에서 CLL 세포에 대한 이브루티닙 및 섬투주맙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혈액 샘플 및 동물. 흔한 B 세포 CLL에 대한 진단 및 면역표현형 기준을 충족시켰고 헬싱키 선언 및 캘리포니아 샌 디에고 대학의 임상심사위원회(IRB)(IRB 승인 번호 080918)에 따라 작성된 사전동의서를 제공받은, 캘리포니아 샌 디에고 대학 무어 암 센터의 CLL 환자로부터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PBMC를 기재된 바와 같이 단리하였다. 실험 동물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한 국립보건원의 지침 및 캘리포니아 샌 디에고 대학에 의해 승인된 연구 프로토콜에 따라 마우스를 사용한 모든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모든 마우스들은 연령 및 성별이 일치하였다.
BTK 점유 어세이. CLL 세포를 1시간 동안 증가하는 농도의 이브루티닙(0, 0.25, 0.5 또는 1 μM)으로 처리하였다. 그 다음, 세포를 인산염 완충 식염수로 세척하였고, BTK 점유 어세이를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할 때까지 -80℃에서 저장하였다. 그래프패드 프리즘 버전 6.0(GraphPad, 캘리포니아주 샌 디에고 소재)을 사용하여 BTK 점유를 비교하였다.
칼슘 유동 어세이. CLL 세포를 30분 동안 0, 0.25, 0.5 또는 1.0 μM 이브루티닙과 함께 항온처리한 후, Ca2+ 및 Mg2+을 결여하는 행크스 발란스드 염 용액(HBSS) 중의 2 mM Fluo-4AM(Molecular Probes)과 함께 로딩하였다. 세포를 항-인간 IgM F(ab)2로 자극하기 위해 37℃에서 유지하였다. 칼슘 방출을 기재된 바와 같이 유세포분석으로 모니터링하였다.
Rac1 활성화 어세이. Rac1 활성화 어세이를 위한 시약을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출원인의 실험실에서 제조하였다. Rac1 풀-다운(pull-down) 및 면역블롯 분석을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세포 증식 어세이. 본 출원인은 이전에 기재된 바에 따라 백혈병 세포 증식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이 분석을 위해, 본 출원인은 생존 CD5+CD19+ 세포들의 특징적인 광 산란 및 PI 배제 능력을 이용하여 이 세포들에 대해 게이팅하였다(도 18a 및 18b).
세포 주기 분석. 백혈병 세포(1×107)를 100 ㎕의 PBS에 현탁하였고 1 ㎖ 냉각된 에탄올을 첨가함으로써 4℃에서 하룻밤 동안 고정시켰다. 세포를 2분 동안 700 x g로 회전시켰고, 1% BSA를 함유하는 PBS로 2회 세척하였다. 그 다음, 펠렛화된 세포를, 1% BSA 및 1 ㎕의 RNase(100 mg/㎖)를 함유하는 500 ㎕의 PBS에 현탁하였는데; RNase는 RNA를 분해하기 위해 첨가되었다. PI 용액(38 mM 구연산나트륨 중의 0.5 mg/㎖, pH 7.0), 1 ㎕의 끓인 RNase A(100 mg/㎖) 및 PI 염색 용액(38 mM 구연산나트륨 중의 0.5 mg/㎖, pH 7.0; 60 ㎕)을 세포에 첨가하였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암실에서 항온처리하였다. 그 직후, FACSArray(Becton Dickinson)를 이용하여 유세포분석을 통해 세포를 분석하였고, 플로우조 소프트웨어(Tree Star Inc.)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CLL 환자 유래의 이종이식물. 6주령 내지 8주령의 Rag2-/-γc -/- 마우스들(처음에 카트리오나 자미에슨으로부터 입수됨, 캘리포니아 샌 디에고 대학)을 특정 병원체 부재 조건 하에서 층류 캐비넷에서 수용하고 무제한으로 급식하였다. 본 출원인은 AIM-V 배지 중의 2×107개의 생존 일차 CLL 세포를 각각의 마우스의 복강 내로 주사하였다. 다음날, 1 mg/kg 섬투주맙을 복강내로 1회 주사하였고, 15 mg/kg의 이브루티닙을 경구 위관영양법으로 매일 투여하였다. 7일 후, 총 부피 12 ㎖의 둘베코 PBS를 상기 복강에 주사함으로써 복막 세척액(PL)을 추출하였다. 구아바 카운팅을 이용하여 PL 세포의 총 회수를 측정하였다. 그 후, 세포를 4℃에서 30분 동안 마우스 및 인간 Fc 차단제 둘 다로 차단하였고, 다양한 인간 세포 표면 마커들(예를 들면, CD19, CD5, CD45)로 염색한 후, 유세포분석을 위해 프로세싱하였다. 본 출원인은 PL 중의 CLL 세포의 퍼센트와 총 PL 세포 카운트를 곱함으로써 각각의 PL에서 CLL 세포의 수를 계산하였다. 인간 IgG로 치료받은 마우스로부터의 잔류 백혈병 세포를 100%에서 기준으로서 설정하였다. 각각의 치료군은 적어도 5마리의 마우스들을 포함하였고,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서 제공되었다.
ROR-1×TCL1 백혈병 입양 전달 연구. 본 출원인은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면역결핍 Rag2-/-γc -/- 또는 면역능력 ROR-1 형질전환 마우스에서 섬투주맙과 이브루티닙의 조합의 항-백혈병 활성을 평가하였다.
통계학적 분석. 데이터는 평균 ± SEM으로서 제시된다. 데이터 세트의 정규 분포를 콜모고로브-스미르노브 검정으로 확인하였다. 평균들 사이의 차이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터키 다중 비교 검정과 함께 일원 ANOVA로 평가하였다. 본 출원인은 본문에 기재된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유의성의 수준을 계산하기 위해 그래프패드 프리즘 6.0(GraphPad Software Inc.)을 이용하였다. p ≤ 0.05는 유의미한 것으로서 간주되었다.
결과
이브루티닙은 CLL에서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를 억제하지 못한다. 본 출원인은 하루에 420 mg의 표준 용량으로 이브루티닙을 복용하는 환자의 혈액 단핵 세포를 조사하였다. 이브루티닙을 복용하지 않는 환자의 CLL 세포에 대해 인지된 바와 같이, 새로 단리된 CLL 세포는 외생성 Wnt5a를 제공받지 않는 한 무혈청 배지 중의 배양물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한 활성화된 Rac1을 가졌다(도 12a 및 12b). 뿐만 아니라,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환자로부터의 CLL 세포를 Wnt5a 및/또는 섬투주맙과 함께 또는 이들 없이 항온처리하였다. 면역블롯 분석은 Wnt5a가 검사된 모든 환자들로부터의 CLL 세포에서 Rac1 활성화를 유도한 반면, 섬투주맙을 사용한 치료가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를 억제하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도 12c 및 12d). 이 결과는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요법이 ROR-1 의존적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를 억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출원인은 시험관 내에서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CLL 세포의 처리가 CLL에서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인은 치료받지 않은 환자로부터 채취된 CLL 세포를 2시간 동안 0, 0.25, 0.5 또는 1.0 μM 농도의 이브루티닙과 함께 항온처리한 후, 상기 세포를 30분 동안 외생성 Wnt5a로 처리하였다. 면역블롯 분석은 이브루티닙이 심지어 BTK의 100% 점유 및 BTK 활성의 억제를 달성하는 데 요구되는 농도(도 6b)를 크게 초과하는 1 μM의 이브루티닙 농도(도 6a)에서도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를 차단할 수 없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본 출원인은 0.25 μM만큼 낮은 농도의 이브루티닙이 CLL 세포 생존율에 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6d) 항-IgM에 의해 유도된 칼슘 유동을 억제하였다는 것(도 6c)을 인지하였다.
이 약물로 치료받은 환자에서 이브루티닙의 피크 혈장 농도는 BTK의 100% 점유 및 억제를 달성할 수 있는 농도인 대략 0.5 μM이다. 따라서, 이브루티닙은 후속 연구를 위해 0.5 μM로 사용되었다. 본 출원인은 이브루티닙 및/또는 섬투주맙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CLL 세포를 2시간 동안 이브루티닙, 섬투주맙, 또는 이브루티닙 및 섬투주맙 둘 다와 함께 배양한 후, 30분 동안 외생성 Wnt5a로 자극하였다. 비교를 위해, Wnt5a를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CLL 샘플로부터의 세포를 동시에 배양하였다. Wnt5a를 사용한 CLL 세포의 처리는 Wnt5a로 처리되지 않은 CLL 세포의 수준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수준까지 Rac1의 활성화를 유도하였다(도 12e 및 12f). 섬투주맙을 사용한 처리는 CLL 세포에서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었으나,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처리는 그러하지 않았다(도 12e 및 12f). 예상된 바와 같이, 이브루티닙은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를 억제하는 섬투주맙의 능력을 차단하지 않았다(도 12e 및 12f).
섬투주맙은 이브루티닙으로 처리된 CLL 세포의 Wnt5a-향상된 증식을 억제한다. Rac1-GTPase의 활성화는 증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Rac1의 상실은 손상된 조혈 세포 생장을 초래한다. 본 출원인은 CD154를 발현하는 HeLa 세포(HeLaCD154) 및 재조합 인터류킨(IL)-4 및 IL-10과 함께 백혈병 세포를 공배양함으로써 CLL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다. CLL 세포와 HeLaCD154 세포 및 IL-4/10의 공배양물에의 외생성 Wnt5a의 첨가는 분열 CLL 세포의 비율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섬투주맙을 사용한 CLL 세포의 처리는 CLL 세포의 Wnt5a-향상된 증식을 차단할 수 있었으나,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CLL 세포의 처리는 이러한 증식을 차단할 수 없었다(도 13a). 상이한 환자들(n=6)의 CLL 세포에 대해 동일한 효과가 관찰되었다(도 13b). IL4/10 및/또는 Wnt5a는 단독으로 CLL 세포 증식을 유도할 수 없었다(도 18a 및 18b). 나아가, 요오드화프로피듐(PI)을 사용한 투과 가능해진 백혈병 세포에 대한 세포 주기 분석은 Wnt5a가 S/G2/M에 있는 CD154-자극된 백혈병 세포의 비율을 향상시켰다(도 13c 및 13d). S/G2/M에 있는 세포의 비율을 향상시키는 Wnt5a의 능력은 섬투주맙을 사용한 처리에 의해 억제될 수 있었으나,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처리에 의해서는 억제될 수 없었다(도 13c 및 13d).
CLL 환자 유래의 이종이식물에서 섬투주맙 및/또는 이브루티닙의 활성. 본 출원인은 CLL 세포를 면역결핍 Rag2-/-γc -/- 마우스의 복강 내로 전달하였고, 이브루티닙 및/또는 섬투주맙을 사용한 치료가 생체 내에서 CLL 세포를 고갈시킬 수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출원인은 AIM-V 배지 중의 1×107개 생존 일차 CLL 세포를 각각의 마우스의 복강 내로 주사하였다. 1일 후, 상기 마우스는 치료를 받지 않았거나, 경구 위관영양법을 통해 매일 용량의 15 mg/kg의 이브루티닙을 제공받았고/받았거나, 복강내 주사를 통해 1회 용량의 1 mg/kg의 섬투주맙을 제공받았다. 7일 후, 복막 세척액(PL)을 통해 CLL 세포를 수거하였고, 수거된 복막 세포들 중 CLL 세포의 비율을 유세포분석으로 조사하였다(도 14a). 어떠한 치료도 받지 않은 마우스보다 섬투주맙 또는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마우스에서 PL 중의 CLL 세포의 퍼센트 및 총 수가 유의미하게 더 낮았다. 그러나, 유의미하게 더 적은 CLL 세포는 어느 한 물질만으로 치료받은 마우스의 PL보다 섬투주맙 및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마우스의 PL에서 발견되었다(도 14b).
섬투주맙은 ROR-1×TCL1 백혈병 세포의 Wnt5a-향상된 Rac1 활성화 및 증식을 억제하나 이브루티닙은 이러한 활성화 및 증식을 억제하지 않는다. ROR-1+ 백혈병을 발생시킨 ROR-1×TCL1 이중 형질전환 마우스로부터 ROR-1×TCL1 백혈병 세포를 단리하였다. 본 출원인은 ROR-1×TCL1 백혈병 세포를 2시간 동안 이브루티닙 또는 섬투주맙으로 전처리한 후, 30분 동안 상기 세포를 Wnt5a와 함께 또는 Wnt5a 없이 배양하였다. 인간 CLL 세포의 사용 시 확인된 결과와 유사하게,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는 섬투주맙에 의해 억제될 수 있었으나, 이브루티닙에 의해서는 억제될 수 없었다(도 15a 및 15b). 섬투주맙과 이브루티닙의 조합도 비처리된 세포에서 관찰된 수준까지 Rac1의 Wnt5a-유도된 활성화를 억제하였다(도 15a 및 15b). 그러나, Wnt5a 처리는 ROR-1의 발현을 결여하는 백혈병을 발생시킨 단일 형질전환 TCL1 마우스의 백혈병 세포에서 Rac1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없었다(도 7c).
다시, 본 출원인은 ROR-1×TCL1 백혈병 세포를 재조합 IL-4/10의 존재 하에서 HeLaCD154와 함께 공배양함으로써 이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다. 외생성 Wnt5a는 세포 분열의 수의 퍼센트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도 15c). 인간 CLL 세포와 마찬가지로, Wnt5a 및/또는 IL-4/10 단독은 ROR-1×TCL1 형질전환 마우스의 ROR-1+ 백혈병 세포의 증식을 유도할 수 없었는데(도 15c), 이것은 이 효과를 위한 CD154에의 의존을 시사한다. 앞선 연구와 일치하게, Wnt5a는 HeLaCD154 세포 및 IL-4/10과 함께 공배양된 ROR-1 음성 TCL1-백혈병 세포의 증식을 향상시키지 않았는데(도 21a), 이것은 이 효과를 위한 ROR-1에의 의존을 시사한다.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처리는 CD154-유도된 ROR-1×TCL1 백혈병 세포 증식의 증식을 향상시키는 Wnt5a의 능력을 억제할 수 없었다. 다른 한편으로, 섬투주맙은 CD154 및 IL-4/10에 반응하여 ROR-1×TCL1 백혈병 세포 증식을 향상시키는 Wnt5a의 능력을 차단하였다(도 15c).
인간 CLL 세포에 대해 인지된 바와 같이, PI를 사용한 투과 가능해진 ROR-1×TCL1 백혈병 세포에 대한 세포 주기 분석은 Wnt5a가 S/G2/M에 있는 CD154-자극된 ROR-1+ 백혈병 세포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도 19a 및 19b). 더욱이, S/G2/M에 있는 ROR-1+ 백혈병 세포의 비율을 향상시키는 Wnt5a의 능력은 섬투주맙을 사용한 처리에 의해 억제될 수 있었으나,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처리에 의해서는 억제될 수 없었다(도 19a 및 19b).
섬투주맙 및/또는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ROR-1×TCL1 백혈병 세포가 생착된 면역결핍 마우스의 치료. 본 출원인은 Rag2-/-γc -/- 마우스에서 ROR-1×TCL1 백혈병 세포 생착을 억제하는 섬투주맙 및/또는 이브루티닙의 능력을 조사하였다. 본 출원인은 각각의 동물에 2×104개의 ROR-1×TCL1 백혈병 세포를 생착시킨 후, 위관영양법을 통해 15, 5 또는 1.67 mg/kg의 이브루티닙을 매일 투여하였거나, 정맥내 주사를 통해 1회 용량의 1, 3 또는 10 mg/kg의 섬투주맙을 제공하였다. 25일 후, 동물을 희생시켰고, 각각의 동물의 비장을 조사하였다. 이브루티닙(도 20a) 또는 섬투주맙(도 20b)은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비장 백혈병 세포의 수를 감소시켰다. 본 출원인은 조합 연구를 위해 1 mg/kg의 섬투주맙 용량 및 이브루티닙 5 mg/kg의 매일 용량을 선택하였다. 섬투주맙 또는 이브루티닙만으로 치료받은 생착된 마우스는 어떠한 치료도 받지 않은 생착된 동물보다 유의미하게 더 작은 비장을 가졌지만, 섬투주맙과 이브루티닙의 조합으로 치료받은 마우스는 비장 크기의 가장 큰 감소를 가졌다(도 16a). 나아가, 비장에서 백혈병 세포의 평균 비율 및 수는 치료를 받지 않은 생착된 마우스에 비해 섬투주맙 또는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마우스에서 유의미하게 더 낮았다(도 16b 및 16c). 그러나, 섬투주맙 및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생착된 동물은 모든 다른 군들보다 유의미하게 더 낮은 비장당 백혈병 세포의 비율 및 수를 가졌다(도 16b 및 16c).
섬투주맙 및/또는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ROR-1×TCL1 백혈병이 생착된 면역능력 마우스의 치료. 본 출원인은 면역능력 인간 ROR-1 형질전환(ROR-1-Tg) 마우스에서 ROR-1×TCL1 백혈병 세포(CD5+B220lowROR-1+)의 생착을 억제하는 섬투주맙 및/또는 이브루티닙의 능력을 조사하였다. 본 출원인은 2×104개의 ROR-1×TCL1 백혈병 세포를 ROR-1-Tg 마우스에게 주사하였고, 치료제를 투여하지 않았거나, 위관영양법을 통해 매일 용량의 5 mg/kg의 이브루티닙을 투여하였거나, 정맥내 주사를 통해 매주 용량의 10 mg/kg의 섬투주맙을 투여하였다. 28일 후, 동물을 희생시켰고, 각각의 동물의 비장을 조사하였다. 섬투주맙 또는 이브루티닙만으로 치료받은 생착된 마우스는 어떠한 치료도 받지 않은 생착된 동물보다 유의미하게 더 작은 비장을 가졌지만, 섬투주맙과 이브루티닙의 조합으로 치료받은 마우스는 비장 크기의 가장 큰 감소를 가졌다(도 17a). 나아가, 비장에서 백혈병 세포의 평균 비율 및 수는 치료를 받지 않은 마우스보다 섬투주맙 또는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마우스에서 유의미하게 더 낮았다(도 17b 및 17c). 그러나, 섬투주맙 및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생착된 동물은 모든 다른 군들보다 유의미하게 더 낮은 비장당 백혈병 세포의 비율 및 수를 가졌다(도 17b 및 17c).
논의
이 연구에서, 본 출원인은 BTK를 억제하는 그의 능력을 통해 BCR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치료를 받는 환자의 CLL 세포를 조사하였다. 먼저, 본 출원인은, 본 출원인이 외생성 Wnt5a로 배지를 보충하지 않는 한,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CLL 세포가 무혈청 배지 중의 배양물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한 활성화된 Rac1을 가졌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더욱이, 본 출원인은 CLL 세포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세포들에서 인지된 바와 같이 Wnt5a가 Rac1을 활성화시키도록 CLL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후속 연구는 Wnt5a가 심지어 BTK 및 BCR 신호전달의 100% 점유 및 억제를 달성하는 데 요구된 수준을 초과하는, 생리학적 농도 초과의 농도에서 이브루티닙으로 처리된 CLL 세포에서도 Rac1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에서 인지된 Wnt5a 신호전달은 Rac1의 Wnt5a-유도된 활성화를 억제하는 섬투주맙의 능력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ROR-1에 의존하였다. 본 출원인은 이브루티닙이 다수의 신호전달 경로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세포내 신호 전달도입제로서 작용하는 Rac1의 ROR-1 의존적 Wnt5a-유도된 활성화를 차단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활성화된 Rac1은 항암 요법의 효능을 경감시킬 것이다. 종래 연구는 활성화된 Rac1이 세포독성 약물에 대한 CLL 세포의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 연구는 활성화된 T 세포 및 섬유모세포가 Rac1을 활성화시키고 플루다라빈 일인산염의 세포독성 효과에 대한 내성을 획득하도록 CLL 세포를 유도할 수 있고; 활성화된 Rac1의 억제가 이 약물에 대한 이 CLL 세포의 민감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다른 연구에서, Rac1은 CLL에서 과다발현되는 Bcl-2와 상호작용하고 Bcl-2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급성 백혈병 세포를 사용한 또 다른 연구는 활성화된 Rac1의 억제제인 NSC-23766을 사용한 치료가 백혈병 세포에 대한 Bcl-2 길항제의 세포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림프종 세포에서의 p53의 상실은 NSC-23766에 의해 억제될 수 있는 Rac1, 또는 우성 음성 형태의 Rac1인 Rac1N17의 증가된 활성화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자연발생적 또는 약물-유도된 아폽토시스 속도의 용량 의존적 증가를 유발한다. 아마도,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CLL 세포에서 관찰된 활성화된 Rac1은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백혈병 세포의 생존을 향상시키는 보조 신호를 제공한다.
나아가, Wnt5a 신호전달도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환자에서 백혈병 세포 증식을 촉진할 수 있었다. Wnt5a 신호전달의 기능적 결과는 부분적으로 외생성 IL4/10 또는 IL-21의 존재 하에서 시험관 내에서 CLL 증식을 유도할 수 있는, CD154에 의해 유도된 증식을 향상시키는 Wnt5a의 능력에 의해 입증된다. 이브루티닙은 아마도 BCR 및 BCR 독립적 경로를 억제하는 그의 능력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CD154-유도된 CLL 세포 증식을 억제할 수 있었지만, 본 출원인은 이브루티닙이 섬투주맙을 사용한 처리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ROR-1 의존적 신호전달을 통해 CD154-유도된 CLL 증식을 향상시키는 Wnt5a의 능력을 억제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Wnt5a는 CLL 미세환경에서 세포에 의해 생성될 가능성이 높으나, CLL을 가진 환자의 혈장도 고수준의 Wnt5a를 가진다. Wnt5a는 CLL 세포 자신에 의해서도 생성되어, 자가분비 활성화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실제로, 한 연구는 고수준의 Wnt5a를 발현할 수 있는 CLL 세포가 추정컨대 Wnt5a-자가분비 신호전달로 인해 외관상으로는 증가된 이동성 및 화학주성 반응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출원인은 Wnt5a가 RhoA의 활성화를 통해 케모카인에 대한 CLL 세포의 이동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도 앞선 연구에서 인지하였다. 그러나, BTK가 케모카인 수용체, 예컨대, CXCR4를 통해 CLL 신호전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본 출원인은 BTK와 상대적으로 무관한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CD154에 의해 유도된 증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Rac1을 활성화시키는 Wnt5a의 능력에 관심을 기울였다.
Wnt5a-ROR-1 신호전달 경로가 이브루티닙으로 처리된 CLL 세포에서 온전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이브루티닙 및 섬투주맙을 사용한 처리의 상가적 효과(상승작용적 효과가 아닌 경우)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직적합성 ROR-1+ 백혈병 또는 인간 CLL 이종이식물이 생착된 마우스의 경우, 본 출원인은 섬투주맙 및 이브루티닙 둘 다를 사용한 치료가 생체 내에서 백혈병 세포를 제거하는 데 있어서 어느 한 물질만을 사용한 치료보다 유의미하게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섬투주맙이 CLL 또는 다른 ROR-1+ B 세포 악성종양을 가진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이브루티닙의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조합 요법은 암을 가진 환자의 치료에 종종 더 효과적이다. 다른 약물, 예컨대, 베네토클락스(venetoclax) 또는 항-CD20 mAb와 조합된 이브루티닙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섬투주맙 및 이브루티닙이 독립적 신호전달 경로를 표적화하기 때문에, 이들은 마우스 모델로부터 백혈병 세포를 제거하는 데 있어서 명확한 상승작용적 효과를 가진다. 섬투주맙 및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조합 요법은 백혈병 세포 생장/생존으로 이어지는 하나 초과의 신호전달 경로를 표적화함으로써, 이브루티닙 단일요법을 받은 환자에서 종종 일어나는, BTK의 억제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할 위험도 경감시킬 수 있었다.
종합하건대, 치료 효능 및 약물 내성의 관점에서 볼 때, 이 임상전 관찰은 ROR-1을 발현하는 CLL 또는 다른 B 세포 악성종양을 가진 환자를 위한 섬투주맙과 이브루티닙 또는 다른 BTK 억제제, 예컨대, 아칼라브루티닙을 사용한 조합 요법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
실시예 4. 맨틀 세포 림프종을 위한 항-ROR-1 항체와 이브루티닙의 조합
본 출원인 연구진에 의한 최근의 연구는 이브루티닙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CLL 세포가 활성화된 Rac1을 가졌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뿐만 아니라, Wnt5a는 Rac1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었고, BTK 및 BCR 신호전달을 완전히 억제하는 데 효과적인 농도의 이브루티닙으로 처리된 CLL 세포의 증식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Wnt5a-유도된 Rac1 활성화는 항-ROR-1 mAb인 섬투주맙(UC-961)에 의해 차단될 수 있었다. 본 출원인은 섬투주맙 및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치료가 생체 내에서 백혈병 세포를 제거하는 데 있어서 어느 한 물질만을 사용한 치료보다 유의미하게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섬투주맙이 CLL 또는 다른 ROR-1+ B 세포 악성종양을 가진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이브루티닙의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Rac1의 Wnt5a-유도된 ROR-1 의존적 활성화에 대해 MCL을 가진 환자의 일차 림프종 세포를 조사하였다. MCL 세포를 2시간 동안 이브루티닙, 섬투주맙, 또는 이브루티닙 및 섬투주맙 둘 다와 함께 배양한 후, 30분 동안 외생성 Wnt5a로 자극하였다. 비교를 위해, 동일한 MCL 샘플로부터의 세포를 Wnt5a 없이 동시에 배양하였다. CLL 세포에 대해 인지된 바와 같이, Wnt5a는 ROR-1 의존적 방식으로 일차 MCL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예를 들면, Wnt5a는 일차 MCL 세포에서 Rac1 활성화를 유도하였다(도 23a). 섬투주맙은 본 출원인이 일차 CLL 세포에서 관찰한 결과와 유사하게 일차 MCL 세포에서 Rac1 활성화를 유도하는 Wnt5a의 능력을 억제할 수 있었으나, 이브루티닙은 이러한 능력을 억제할 수 없었다.
Rac1-GTPase의 활성화는 증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면, Rac1의 상실은 손상된 조혈 세포 생장을 초래한다. 요오드화프로피듐(PI)은 DNA 함량/세포 주기 분석을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되는 염료이다. CD40 결찰 및 IL-4 노출에 대한 MCL 세포의 반응성을 평가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CD154를 발현하는 HeLa 세포(HeLaCD154) 및 재조합 IL-4 및 IL-10과 함께 림프종 세포를 공배양함으로써 일차 MCL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다. CLL 세포에 대해 인지된 바와 같이, PI 기반 세포 주기 연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을 때, MCL 세포와 HeLaCD154 세포 및 IL-4/10의 공배양물에의 외생성 Wnt5a의 첨가는 S/G2 기에 있는 MCL 세포의 비율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본 출원인은 PI를 사용하여 투과 가능해진 MCL 세포에 대한 세포 주기 분석도 수행하였고, Wnt5a 자극이 S/G2에 있는 CD154-자극된 MCL 세포의 비율을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는 것도 확인하였다(도 23b). CLL 세포에 대해 이미 인지된 바와 같이, S/G2에 있는 일차 MCL 세포의 비율을 향상시키는 Wnt5a의 능력은 섬투주맙을 사용한 처리에 의해 억제될 수 있었으나,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처리에 의해서는 억제될 수 없었다.
이들 데이터는 MCL에서의 ROR-1 신호전달의 기능적 중요성, 및 이 림프종에서 ROR-1 매개 발암 활성을 억제하는 섬투주맙의 능력을 입증한다. MCL에서의 섬투주맙의 활성은 본 출원인이 CLL에서 관찰한 활성과 동일한데, 본 출원인은 CLL에서 섬투주맙이 3개의 상이한 동물 모델들에서 백혈병 세포를 제거하는 데 있어서 이브루티닙과 함께 상승작용적 항-종양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실시예 5.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및 B 세포 비-호지킨 림프종의 치료를 위한 후보 약물
신규 BTK 억제제 이브루티닙 및 포스파티딜-4-5-비스포스페이트 3-키나제-δ 억제제 이델라리십(CAL-101)은 단독으로 또는 항-CD20 항체와 함께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및 B 세포 비-호지킨 림프종의 치료를 위한 후보 약물이다. 1시간 동안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전처리는 항-CD20 항체에 의해 매개된, 세포주 또는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샘플의 직접적인 세포 사멸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이브루티닙을 사용한 전처리는 보체 활성화 또는 보체 매개 용해를 억제하지 않았다. 대조적으로, 이브루티닙은 정제된 시스템 또는 전혈 어세이에서 항-CD20 항체 리툭시맙(rituximab), 오파투무맙(ofatumumab) 또는 오비누투주맙(obinutuzumab)에 의해 유도된 모든 세포 매개 기작들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천연 킬러 세포의 활성화 및 이 세포에 의한 항체 의존적 세포 세포독성뿐만 아니라, 대식세포 또는 호중구에 의한 식세포작용도 0.3 내지 3 μM의 절반 최대 유효 농도로 이브루티닙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연속된 경구 이브루티닙 치료를 받는 환자로부터 단리된 천연 킬러 세포의 항-CD20 매개 활성화의 분석은 반복된 약물 투약이 생체 내에서 이 세포를 억제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포스파티딜-4-5-비포스페이트 3-키나제-δ 억제제 이델라리십은 비록 10 μM에서 이 약물의 효과가 동일한 농도의 이브루티닙의 사용 시 관찰된 효과보다 더 약하지만 항-CD20 항체에 의해 유도된 면역 세포 매개 기작을 유사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어떠한 이론에 의해서도 구속받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항-CD20 항체와 이 키나제 억제제의 조합된 치료 일정의 디자인은 이 두 부류의 약물들 사이의 다수의 음성 상호작용을 고려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비형식적 서열목록
99961.1 CDR H1(서열 번호 1): GYAFTAYN
99961.1 CDR H2(서열 번호 2): FDPYDGGS
99961.1 CDR H3(서열 번호 3): GWYYFDY
99961.1 CDR L1(서열 번호 4): KSISKY
99961.1 CDR L2(서열 번호 5): SGS
99961.1 CDR L3(서열 번호 6): QQHDESPY
D10 CDR H1(서열 번호 7): GFSLTSYG
D10 CDR H2(서열 번호 8): IWAGGFT
D10 CDR H3(서열 번호 9): RGSSYSMDY
D10 CDR L1(서열 번호 10): SNVSY
D10 CDR L2(서열 번호 11): EIS
D10 CDR L3(서열 번호 12): QQWNYPLIT
전체 길이 인간 ROR-1 단백질(서열 번호 13):
Figure pat00010
위치 138에서 글루탐산을 포함하는 인간 ROR-1의 21개 아미노산 스트레치(서열 번호 14): VATNGKEVVSSTGVLFVKFGP
위치 138에서 글루탐산을 포함하는 인간 ROR-1의 15개 아미노산 스트레치(서열 번호 15): EVVSSTGVLFVKFGP
P 실시양태
실시양태 P1.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 유효량의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 길항제 및 항-ROR-1 항체를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P2. 실시양태 P1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가 CAL101, R406 또는 이브루티닙인 방법.
실시양태 P3. 실시양태 P1 또는 P2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가 이브루티닙인 방법.
실시양태 P4. 실시양태 P1 내지 P3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항-ROR-1 항체가 섬투주맙인 방법.
실시양태 P5. 실시양태 P1 내지 P4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 및 항-ROR-1 항체를 조합된 상승작용적 양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P6. 실시양태 P1 내지 P5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 및 항-ROR-1 항체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P7. 실시양태 P1 내지 P6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암이 림프종 또는 선암종인 방법.
실시양태 P8. 실시양태 P1 내지 P7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림프종이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소림프구성 림프종, 변연 세포 B 세포 림프종 또는 버킷 림프종인 방법.
실시양태 P9. 실시양태 P1 내지 P8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선암종이 결장 선암종 또는 유방 선암종인 방법.
실시양태 P10.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 길항제, 항-ROR-1 항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BTK 길항제 및 상기 항-ROR-1 항체가 조합된 상승작용적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조합된 상승작용적 양이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약학 조성물.
실시양태
실시양태 1.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 유효량의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 길항제 및 티로신 키나제 유사 희귀 수용체 1(ROR-1) 길항제를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실시양태 2. 실시양태 1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가 소분자인 방법.
실시양태 3. 실시양태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가 이브루티닙, 이델라리십, 포스타마티닙, 아칼라브루티닙, ONO/GS-4059, BGB-3111 또는 CC-292(AVL-292)인 방법.
실시양태 4. 실시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가 이브루티닙인 방법.
실시양태 5. 실시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가 항체 또는 소분자인 방법.
실시양태 6. 실시양태 1 내지 5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가 항-ROR-1 항체인 방법.
실시양태 7. 실시양태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 번호 1, 서열 번호 2 및 서열 번호 3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이 서열 번호 4, 서열 번호 5 및 서열 번호 6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8. 실시양태 3 내지 7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섬투주맙인 방법.
실시양태 9. 실시양태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 번호 7, 서열 번호 8 및 서열 번호 9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이 서열 번호 10, 서열 번호 11 및 서열 번호 12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10. 실시양태 1 내지 9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 및 상기 ROR-1 길항제를 조합된 상승작용적 양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11. 실시양태 1 내지 10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 및 상기 ROR-1 길항제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12. 실시양태 1 내지 11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를 제1 시점에서 투여하고, 상기 BTK 길항제를 제2 시점에서 투여하고, 이때 상기 제1 시점이 상기 제2 시점을 앞서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13. 실시양태 1 내지 12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 및 상기 ROR-1 길항제를 투여 전에 혼합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14. 실시양태 1 내지 13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를 약 1 mg/kg, 2 mg/kg, 5 mg/kg, 15 mg/kg 또는 10 mg/k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15. 실시양태 1 내지 14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를 약 5 mg/k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16. 실시양태 1 내지 14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를 약 420 m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17. 실시양태 1 내지 16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를 약 1 mg/kg, 2 mg/kg, 3 mg/kg, 5 mg/kg 또는 10 mg/k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18. 실시양태 1 내지 17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를 약 2 mg/k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19. 실시양태 1 내지 15, 17 및 18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를 약 5 mg/kg의 양으로 투여하고, 상기 ROR-1 길항제를 약 2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20. 실시양태 1 내지 15 및 17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를 약 5 mg/kg의 양으로 투여하고, 상기 ROR-1 길항제를 약 1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21. 실시양태 1 내지 20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를 적어도 14일 동안 매일 투여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22. 실시양태 1 내지 21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를 약 28일 동안 매일 투여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23. 실시양태 1 내지 22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를 약 28일 동안 1회 투여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24. 실시양태 1 내지 23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를 정맥내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25. 실시양태 1 내지 24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를 정맥내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실시양태 26. 실시양태 1 내지 25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포유동물인 방법.
실시양태 27. 실시양태 1 내지 26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인간인 방법.
실시양태 28. 실시양태 1 내지 27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암이 림프종, 백혈병, 골수종, AML, B-ALL, T-ALL, 신장 세포 암종, 결장암, 대장암, 유방암, 편평 상피 세포암, 흑색종, 위암, 뇌암, 폐암, 췌장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간암, 방광암, 전립선암, 고환암, 갑상선암, 두경부암, 자궁암, 선암종, 또는 부신암인 방법.
실시양태 29. 실시양태 1 내지 28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암이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소림프구성 림프종, 변연 세포 B 세포 림프종, 버킷 림프종 또는 B 세포 백혈병인 방법.
실시양태 30. BTK 길항제, ROR-1 길항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실시양태 31. BTK 길항제, 항-ROR-1 항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BTK 길항제 및 상기 항-ROR-1 항체가 조합된 상승작용적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조합된 상승작용적 양이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약학 조성물.
실시양태 32. 실시양태 30 또는 31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가 소분자인 약학 조성물.
실시양태 33. 실시양태 30 내지 32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가 이브루티닙, 이델라리십, 포스타마티닙, 아칼라브루티닙, ONO/GS-4059, BGB-3111 또는 CC-292(AVL-292)인 약학 조성물.
실시양태 34. 실시양태 30 내지 33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가 이브루티닙인 약학 조성물.
실시양태 35. 실시양태 30 내지 34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가 항체 또는 소분자인 약학 조성물.
실시양태 36. 실시양태 30 내지 35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가 항-ROR-1 항체인 약학 조성물.
실시양태 37. 실시양태 35 또는 36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 번호 1, 서열 번호 2 및 서열 번호 3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이 서열 번호 4, 서열 번호 5 및 서열 번호 6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실시양태 38. 실시양태 35 내지 37 중 어느 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섬투주맙인 약학 조성물.
실시양태 39. 실시양태 35 또는 36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이 서열 번호 7, 서열 번호 8 및 서열 번호 9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이 서열 번호 10, 서열 번호 11 및 서열 번호 12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SEQUENCE LISTING <1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Kipps, Thomas J. Chen, Liguang Cui, Bing <120> Cancer treatment combinations <130> 48537-582N01CA <150> PCT/US2017/039536 <151> 2017-06-27 <150> US 62/355,171 <151> 2016-06-27 <160> 15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400> 1 Gly Tyr Ala Phe Thr Ala Tyr Asn 1 5 <210> 2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400> 2 Phe Asp Pro Tyr Asp Gly Gly Ser 1 5 <210> 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400> 3 Gly Trp Tyr Tyr Phe Asp Tyr 1 5 <210> 4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400> 4 Lys Ser Ile Ser Lys Tyr 1 5 <210> 5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400> 5 Ser Gly Ser 1 <210> 6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400> 6 Gln Gln His Asp Glu Ser Pro Tyr 1 5 <210> 7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400> 7 Gly Phe Ser Leu Thr Ser Tyr Gly 1 5 <210> 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400> 8 Ile Trp Ala Gly Gly Phe Thr 1 5 <210> 9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400> 9 Arg Gly Ser Ser Tyr Ser Met Asp Tyr 1 5 <210> 10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400> 10 Ser Asn Val Ser Tyr 1 5 <210> 11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400> 11 Glu Ile Ser 1 <210> 12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ynthetic polypeptide <400> 12 Gln Gln Trp Asn Tyr Pro Leu Ile Thr 1 5 <210> 13 <211> 937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3 Met His Arg Pro Arg Arg Arg Gly Thr Arg Pro Pro Leu Leu Ala Leu 1 5 10 15 Leu Ala Ala Leu Leu Leu Ala Ala Arg Gly Ala Ala Ala Gln Glu Thr 20 25 30 Glu Leu Ser Val Ser Ala Glu Leu Val Pro Thr Ser Ser Trp Asn Ile 35 40 45 Ser Ser Glu Leu Asn Lys Asp Ser Tyr Leu Thr Leu Asp Glu Pro Met 50 55 60 Asn Asn Ile Thr Thr Ser Leu Gly Gln Thr Ala Glu Leu His Cys Lys 65 70 75 80 Val Ser Gly Asn Pro Pro Pro Thr Ile Arg Trp Phe Lys Asn Asp Ala 85 90 95 Pro Val Val Gln Glu Pro Arg Arg Leu Ser Phe Arg Ser Thr Ile Tyr 100 105 110 Gly Ser Arg Leu Arg Ile Arg Asn Leu Asp Thr Thr Asp Thr Gly Tyr 115 120 125 Phe Gln Cys Val Ala Thr Asn Gly Lys Glu Val Val Ser Ser Thr Gly 130 135 140 Val Leu Phe Val Lys Phe Gly Pro Pro Pro Thr Ala Ser Pro Gly Tyr 145 150 155 160 Ser Asp Glu Tyr Glu Glu Asp Gly Phe Cys Gln Pro Tyr Arg Gly Ile 165 170 175 Ala Cys Ala Arg Phe Ile Gly Asn Arg Thr Val Tyr Met Glu Ser Leu 180 185 190 His Met Gln Gly Glu Ile Glu Asn Gln Ile Thr Ala Ala Phe Thr Met 195 200 205 Ile Gly Thr Ser Ser His Leu Ser Asp Lys Cys Ser Gln Phe Ala Ile 210 215 220 Pro Ser Leu Cys His Tyr Ala Phe Pro Tyr Cys Asp Glu Thr Ser Ser 225 230 235 240 Val Pro Lys Pro Arg Asp Leu Cys Arg Asp Glu Cys Glu Ile Leu Glu 245 250 255 Asn Val Leu Cys Gln Thr Glu Tyr Ile Phe Ala Arg Ser Asn Pro Met 260 265 270 Ile Leu Met Arg Leu Lys Leu Pro Asn Cys Glu Asp Leu Pro Gln Pro 275 280 285 Glu Ser Pro Glu Ala Ala Asn Cys Ile Arg Ile Gly Ile Pro Met Ala 290 295 300 Asp Pro Ile Asn Lys Asn His Lys Cys Tyr Asn Ser Thr Gly Val Asp 305 310 315 320 Tyr Arg Gly Thr Val Ser Val Thr Lys Ser Gly Arg Gln Cys Gln Pro 325 330 335 Trp Asn Ser Gln Tyr Pro His Thr His Thr Phe Thr Ala Leu Arg Phe 340 345 350 Pro Glu Leu Asn Gly Gly His Ser Tyr Cys Arg Asn Pro Gly Asn Gln 355 360 365 Lys Glu Ala Pro Trp Cys Phe Thr Leu Asp Glu Asn Phe Lys Ser Asp 370 375 380 Leu Cys Asp Ile Pro Ala Cys Asp Ser Lys Asp Ser Lys Glu Lys Asn 385 390 395 400 Lys Met Glu Ile Leu Tyr Ile Leu Val Pro Ser Val Ala Ile Pro Leu 405 410 415 Ala Ile Ala Leu Leu Phe Phe Phe Ile Cys Val Cys Arg Asn Asn Gln 420 425 430 Lys Ser Ser Ser Ala Pro Val Gln Arg Gln Pro Lys His Val Arg Gly 435 440 445 Gln Asn Val Glu Met Ser Met Leu Asn Ala Tyr Lys Pro Lys Ser Lys 450 455 460 Ala Lys Glu Leu Pro Leu Ser Ala Val Arg Phe Met Glu Glu Leu Gly 465 470 475 480 Glu Cys Ala Phe Gly Lys Ile Tyr Lys Gly His Leu Tyr Leu Pro Gly 485 490 495 Met Asp His Ala Gln Leu Val Ala Ile Lys Thr Leu Lys Asp Tyr Asn 500 505 510 Asn Pro Gln Gln Trp Met Glu Phe Gln Gln Glu Ala Ser Leu Met Ala 515 520 525 Glu Leu His His Pro Asn Ile Val Cys Leu Leu Gly Ala Val Thr Gln 530 535 540 Glu Gln Pro Val Cys Met Leu Phe Glu Tyr Ile Asn Gln Gly Asp Leu 545 550 555 560 His Glu Phe Leu Ile Met Arg Ser Pro His Ser Asp Val Gly Cys Ser 565 570 575 Ser Asp Glu Asp Gly Thr Val Lys Ser Ser Leu Asp His Gly Asp Phe 580 585 590 Leu His Ile Ala Ile Gln Ile Ala Ala Gly Met Glu Tyr Leu Ser Ser 595 600 605 His Phe Phe Val His Lys Asp Leu Ala Ala Arg Asn Ile Leu Ile Gly 610 615 620 Glu Gln Leu His Val Lys Ile Ser Asp Leu Gly Leu Ser Arg Glu Ile 625 630 635 640 Tyr Ser Ala Asp Tyr Tyr Arg Val Gln Ser Lys Ser Leu Leu Pro Ile 645 650 655 Arg Trp Met Pro Pro Glu Ala Ile Met Tyr Gly Lys Phe Ser Ser Asp 660 665 670 Ser Asp Ile Trp Ser Phe Gly Val Val Leu Trp Glu Ile Phe Ser Phe 675 680 685 Gly Leu Gln Pro Tyr Tyr Gly Phe Ser Asn Gln Glu Val Ile Glu Met 690 695 700 Val Arg Lys Arg Gln Leu Leu Pro Cys Ser Glu Asp Cys Pro Pro Arg 705 710 715 720 Met Tyr Ser Leu Met Thr Glu Cys Trp Asn Glu Ile Pro Ser Arg Arg 725 730 735 Pro Arg Phe Lys Asp Ile His Val Arg Leu Arg Ser Trp Glu Gly Leu 740 745 750 Ser Ser His Thr Ser Ser Thr Thr Pro Ser Gly Gly Asn Ala Thr Thr 755 760 765 Gln Thr Thr Ser Leu Ser Ala Ser Pro Val Ser Asn Leu Ser Asn Pro 770 775 780 Arg Tyr Pro Asn Tyr Met Phe Pro Ser Gln Gly Ile Thr Pro Gln Gly 785 790 795 800 Gln Ile Ala Gly Phe Ile Gly Pro Pro Ile Pro Gln Asn Gln Arg Phe 805 810 815 Ile Pro Ile Asn Gly Tyr Pro Ile Pro Pro Gly Tyr Ala Ala Phe Pro 820 825 830 Ala Ala His Tyr Gln Pro Thr Gly Pro Pro Arg Val Ile Gln His Cys 835 840 845 Pro Pro Pro Lys Ser Arg Ser Pro Ser Ser Ala Ser Gly Ser Thr Ser 850 855 860 Thr Gly His Val Thr Ser Leu Pro Ser Ser Gly Ser Asn Gln Glu Ala 865 870 875 880 Asn Ile Pro Leu Leu Pro His Met Ser Ile Pro Asn His Pro Gly Gly 885 890 895 Met Gly Ile Thr Val Phe Gly Asn Lys Ser Gln Lys Pro Tyr Lys Ile 900 905 910 Asp Ser Lys Gln Ala Ser Leu Leu Gly Asp Ala Asn Ile His Gly His 915 920 925 Thr Glu Ser Met Ile Ser Ala Glu Leu 930 935 <210> 14 <211> 21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4 Val Ala Thr Asn Gly Lys Glu Val Val Ser Ser Thr Gly Val Leu Phe 1 5 10 15 Val Lys Phe Gly Pro 20 <210> 15 <211> 1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15 Glu Val Val Ser Ser Thr Gly Val Leu Phe Val Lys Phe Gly Pro 1 5 10 15

Claims (39)

  1.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치료 유효량의 브루톤 티로신 키나제(BTK: Bruton's tyrosine kinase) 길항제 및 티로신 키나제 유사 희귀 수용체 1(ROR-1) 길항제를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가 소분자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가 이브루티닙(ibrutinib), 이델라리십(idelalisib), 포스타마티닙(fostamatinib), 아칼라브루티닙(acalabrutinib), ONO/GS-4059, BGB-3111 또는 CC-292(AVL-292)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가 이브루티닙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가 항체 또는 소분자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가 항-ROR-1 항체인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 서열 번호 2 및 서열 번호 3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4, 서열 번호 5 및 서열 번호 6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섬투주맙(cirmtuzumab)인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7, 서열 번호 8 및 서열 번호 9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0, 서열 번호 11 및 서열 번호 12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 및 상기 ROR-1 길항제를 조합된 상승작용적 양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 및 상기 ROR-1 길항제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를 제1 시점에서 투여하고, 상기 BTK 길항제를 제2 시점에서 투여하며, 이때 상기 제1 시점이 상기 제2 시점을 앞서는 것인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 및 상기 ROR-1 길항제를 투여 전에 혼합하는 것인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를 약 1 mg/kg, 2 mg/kg, 5 mg/kg, 10 mg/kg 또는 15 mg/k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를 약 5 mg/k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를 약 420 m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를 약 1 mg/kg, 2 mg/kg, 3 mg/kg, 5 mg/kg 또는 10 mg/k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를 약 2 mg/k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를 약 5 mg/kg의 양으로 투여하고, 상기 ROR-1 길항제를 약 2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를 약 5 mg/kg의 양으로 투여하고, 상기 ROR-1 길항제를 약 1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를 적어도 14일 동안 매일 투여하는 것인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를 약 28일 동안 매일 투여하는 것인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를 약 28일 동안 1회 투여하는 것인 방법.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를 정맥내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를 정맥내로 투여하는 것인 방법.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포유동물인 방법.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가 인간인 방법.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림프종, 백혈병, 골수종, AML, B-ALL, T-ALL, 신장 세포 암종, 결장암, 대장암, 유방암, 편평 상피 세포암, 흑색종, 위암, 뇌암, 폐암, 췌장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간암, 방광암, 전립선암, 고환암, 갑상선암, 두경부암, 자궁암, 선암종, 또는 부신암인 방법.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소림프구성 림프종, 변연 세포 B 세포 림프종, 버킷 림프종 또는 B 세포 백혈병인 방법.
  30. BTK 길항제, ROR-1 길항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31. BTK 길항제, 항-ROR-1 항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BTK 길항제 및 상기 항-ROR-1 항체는 조합된 상승작용적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조합된 상승작용적 양은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것인 약학 조성물.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가 소분자인 약학 조성물.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가 이브루티닙, 이델라리십, 포스타마티닙, 아칼라브루티닙, ONO/GS-4059, BGB-3111 또는 CC-292(AVL-292)인 약학 조성물.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BTK 길항제가 이브루티닙인 약학 조성물.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가 항체 또는 소분자인 약학 조성물.
  36.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ROR-1 길항제가 항-ROR-1 항체인 약학 조성물.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 서열 번호 2 및 서열 번호 3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4, 서열 번호 5 및 서열 번호 6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가 섬투주맙인 약학 조성물.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 및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인간화된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7, 서열 번호 8 및 서열 번호 9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인간화된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 번호 10, 서열 번호 11 및 서열 번호 12에 기재된 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KR1020237010499A 2016-06-27 2017-06-27 암 치료 조합 KR202300475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55171P 2016-06-27 2016-06-27
US62/355,171 2016-06-27
KR1020197002452A KR20190022752A (ko) 2016-06-27 2017-06-27 암 치료 조합
PCT/US2017/039536 WO2018005519A2 (en) 2016-06-27 2017-06-27 Cancer treatment combinatio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452A Division KR20190022752A (ko) 2016-06-27 2017-06-27 암 치료 조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507A true KR20230047507A (ko) 2023-04-07

Family

ID=606751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0499A KR20230047507A (ko) 2016-06-27 2017-06-27 암 치료 조합
KR1020197002452A KR20190022752A (ko) 2016-06-27 2017-06-27 암 치료 조합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452A KR20190022752A (ko) 2016-06-27 2017-06-27 암 치료 조합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3) US10688181B2 (ko)
EP (1) EP3474854A4 (ko)
JP (2) JP7109007B2 (ko)
KR (2) KR20230047507A (ko)
CN (1) CN109996544A (ko)
AR (1) AR108889A1 (ko)
AU (1) AU2017289270B2 (ko)
CA (1) CA3029003A1 (ko)
IL (2) IL299099A (ko)
MX (1) MX2018016330A (ko)
MY (1) MY196869A (ko)
PH (1) PH12019500025A1 (ko)
SG (1) SG11201811559WA (ko)
TW (1) TWI767915B (ko)
WO (1) WO201800551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6544A (zh) 2016-06-27 2019-07-09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癌症治疗组合
CA3067829A1 (en) 2017-06-23 2018-12-27 VelosBio Inc. Ror1 antibody immunoconjugates
WO2019173843A1 (en) * 2018-03-09 2019-09-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mbination treatment of chemoresistant cancers
US20210121466A1 (en) 2018-05-03 2021-04-29 Juno Therapeutics, Inc. Combination therapy of a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t cell therapy and a kinase inhibitor
WO2020006273A1 (en) 2018-06-27 2020-01-02 Juvena Therapeutics, Inc. Heparin-associated polypeptides and uses thereof
CN110922409A (zh) * 2019-12-19 2020-03-27 武汉九州钰民医药科技有限公司 制备btk抑制剂泽布替尼的方法
EP4233866A1 (en) * 2020-11-24 2023-08-30 Geneheal Biotechnology Co., Ltd. Application of compound in preparation of reagent for down-regulating runx2 expression
WO2023133444A1 (en) * 2022-01-07 2023-07-13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orporated Bruton's tyrosine kinase inhibitors as antiviral agents
WO2023220655A1 (en) 2022-05-11 2023-11-16 Celgene Corporation Methods to overcome drug resistance by re-sensitizing cancer cells to treatment with a prior therapy via treatment with a t cell therapy
WO2024039925A1 (en) * 2022-08-19 2024-02-22 Oncternal Therapeutics, Inc. Combination treatment methods for cancer with tp53 mu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9837A (en) 1990-06-21 1993-06-15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Method of stimulating myelination of cells
US5858725A (en) 1990-10-10 1999-01-12 Glaxo Wellcome Inc. Preparation of chimaeric antibodies using the recombinant PCR strategy
GB9115364D0 (en) 1991-07-16 1991-08-28 Wellcome Found Antibody
US5843749A (en) 1991-07-26 1998-12-01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Ehk and Ror tyrosine kinases
US5855885A (en) 1993-01-22 1999-01-05 Smith; Rodger Isolation and production of catalytic antibodies using phage technology
US7473423B2 (en) 1994-04-29 2009-01-06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Human IgM antibodies, and diagnostic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particularly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ES2292173T3 (es) 1994-12-30 2008-03-01 Planet Biotechnology, Inc. Procedimiento para producir inmunoglobulinas que contienen proteinas de proteccion en plantas y sus usos.
JP4423680B2 (ja) 1995-06-07 2010-03-03 オーソ−マクニール・フアーマシユーチ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Cdr−グラフト化抗組織因子抗体及びその使用
US6037454A (en) 1996-11-27 2000-03-14 Genentech, Inc. Humanized anti-CD11a antibodies
US6133426A (en) 1997-02-21 2000-10-17 Genentech, Inc. Humanized anti-IL-8 monoclonal antibodies
WO1998041541A1 (en) 1997-03-19 1998-09-24 Johns Hopkins University Therapeutic uses of grip and grip-related molecules
DK1032660T3 (da) 1997-11-17 2010-01-18 Micromet Ag Fremgangsmåde til identivicering af bindingsstedsdominans som bevarer evnen til at binde til en epitop
PL343322A1 (en) 1998-04-03 2001-08-13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Humanized antibody against human tissue factor (tf) and process for constructing humanized antibody
US6605709B1 (en) 1999-04-09 2003-08-12 Genome Therapeutics Corporation Nucleic acid and amino acid sequences relating to Proteus mirabilis for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EP1267926A2 (en) 2000-03-17 2003-01-02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Method of inhibiting stenosis and restenosis with a mixture of antibodies anti cd18 and anti ccr2
PT2281843T (pt) 2000-06-16 2017-01-02 Human Genome Sciences Inc Anticorpos que se ligam imunoespecificamente a blys
US6596541B2 (en) 2000-10-31 2003-07-22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of modifying eukaryotic cells
US20050144655A1 (en) 2000-10-31 2005-06-30 Economides Aris N. Methods of modifying eukaryotic cells
US6586251B2 (en) 2000-10-31 2003-07-01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of modifying eukaryotic cells
US7105348B2 (en) 2000-10-31 2006-09-12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of modifying eukaryotic cells
US7214786B2 (en) 2000-12-14 2007-05-08 Kovalic David K Nucleic acid molecules and other molecules associated with plants and uses thereof for plant improvement
US20140072980A1 (en) 2001-01-16 2014-03-13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Isolating cells expressing secreted proteins
US20140072979A1 (en) 2001-01-16 2014-03-13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Isolating cells expressing secreted proteins
AU2002245272B2 (en) 2001-01-16 2006-06-29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Isolating cells expressing secreted proteins
US20090137416A1 (en) 2001-01-16 2009-05-28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Isolating Cells Expressing Secreted Proteins
JP2004538324A (ja) 2001-08-03 2004-12-24 メディカル リサーチ カウンシル 細胞内抗体
ES2466377T3 (es) 2001-08-23 2014-06-10 Rsr Limited Regiones epitópicas de un receptor de tirotropina (TSH), usos de las mismas y anticuerpos para las mismas
US7226594B2 (en) 2001-11-07 2007-06-05 Agensys, Inc. Nucleic acid and corresponding protein entitled 161P2F10B useful in treatment and detection of cancer
JP4063769B2 (ja) 2001-12-28 2008-03-19 中外製薬株式会社 タンパク質安定化方法
ATE509032T1 (de) 2002-02-13 2011-05-15 Ludwig Inst For Cancer Res Ltd Chimerizierte gm-csf antikörper
US7314974B2 (en) 2002-02-21 2008-01-01 Monsanto Technology, Llc Expression of microbial proteins in plants for production of plants with improved properties
US7193069B2 (en) 2002-03-22 2007-03-20 Research Association For Biotechnology Full-length cDNA
US20060234226A1 (en) 2002-04-26 2006-10-19 Fahner Robert L Non-affinity purification of proteins
IL149820A0 (en) 2002-05-23 2002-11-10 Curetech Ltd Humanized immunomodulatory monoclonal antibodies for the treatment of neoplastic disease or immunodeficiency
EP1544291A4 (en) 2002-07-19 2006-08-02 Towa Kagaku Co Ltd A NEW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NTIBODY CYME, NEW ANTIBODY CYM AND USE THEREOF
EP2298806A1 (en) 2002-10-16 2011-03-23 Purdue Pharma L.P. Antibodies that bind cell-associated CA 125/0722P and methods of use thereof
CA2515081A1 (en) 2003-02-07 2004-08-19 Protein Design Labs, Inc. Amphiregulin antibodies and their use to treat cancer and psoriasis
US7605235B2 (en) 2003-05-30 2009-10-20 Centocor, Inc. Anti-tissue factor antibodies and compositions
NZ543202A (en) 2003-05-31 2008-04-30 Micromet Ag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bispecific antibody for epcam
US7569389B2 (en) 2004-09-30 2009-08-04 Ceres, Inc. Nucleotide sequences and polypeptides encoded thereby useful for modifying plant characteristics
AU2003271174A1 (en) 2003-10-10 2005-04-27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Double specific antibodies substituting for functional protein
DK1673398T3 (da) 2003-10-16 2011-04-18 Micromet Ag Multispecifikke, deimmuniserede CD3-bindere
US7612179B2 (en) 2003-11-28 2009-11-03 Astrazeneca Ab antibodies binding to a C-terminal fragment of apoliopoprotein E
KR20130133302A (ko) 2003-12-10 2013-12-06 메다렉스, 인코포레이티드 Ip―10 항체 및 그의 용도
US8298532B2 (en) 2004-01-16 2012-10-30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Fusion polypeptides capable of activating receptors
WO2005070966A2 (en) 2004-01-16 2005-08-04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Fusion polypeptides capable of activating receptors
SI1716178T1 (sl) 2004-02-16 2010-11-30 Micromet Ag Manj imunogene vezne molekule
EP3653641A1 (en) 2004-02-19 2020-05-20 Genentech, Inc. Cdr-repaired antibodies
US7504086B2 (en) 2004-03-31 2009-03-17 Canon Kabushiki Kaisha Structure and method for releasing substance therefrom
WO2005100605A1 (en) 2004-04-06 2005-10-2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Orphan receptor tyrosine kinase as a target in breast cancer
US7625561B2 (en) 2004-04-22 2009-12-0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Diabody which specifically binds Streptococcus surface antigen I/II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WO2005105998A1 (ja) 2004-04-27 2008-07-31 財団法人化学及血清療法研究所 ヒト抗アミロイドβペプチド抗体およびその抗体フラグメント
UY28886A1 (es) 2004-05-10 2005-12-30 Boehringer Ingelheim Int Anticuerpos que consisten en polipéptidos y derivados conprendiendo tres secuencias conteniendo respectivamente los siguientes números de seq. id: 1-3 y 4-6; 7-9 y 10-12 y 13-15 ó 16-18
WO2005123777A2 (en) 2004-06-09 2005-12-29 Genentech, Inc. Method of treating granuloma annulare or sarcoid
EP1778845A2 (en) 2004-08-16 2007-05-02 CropDesign N.V. Plants having improved growth characteristic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TWI309240B (en) 2004-09-17 2009-05-01 Hoffmann La Roche Anti-ox40l antibodies
AU2005291486A1 (en) 2004-10-01 2006-04-13 Max-Planck-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Novel antibodies directed to the mammalian EAG1 ion channel protein
WO2006067122A2 (en) 2004-12-20 2006-06-29 Crucell Holland B.V. Binding molecules capable of neutralizing west nile virus and uses thereof
PT1848744E (pt) 2005-01-27 2012-04-24 Novimmune Sa Anticorpos anti-interferão gama e os seus processos de utilização
US8088976B2 (en) 2005-02-24 2012-01-03 Monsanto Technology Llc Methods for genetic control of plant pest infestation and compositions thereof
BRPI0609543B1 (pt) 2005-03-31 2021-11-09 Biomedics Inc Anticorpo monoclonal anti-cd20, hibridoma, anticorpo monoclonal anti-cd20 quimérico, anticorpo monoclonal anti-cd20 humanizado, agente de diagnóstico, e, agente terapêutico
JP5004154B2 (ja) 2005-04-06 2012-08-22 一般財団法人化学及血清療法研究所 組換え抗ボツリヌス神経毒素抗体
PL1874818T3 (pl) 2005-04-22 2011-09-30 Lilly Co Eli Przeciwciała swoiste wobec TGF-beta 1
EP1882392A4 (en) 2005-05-10 2009-07-01 Monsanto Technology Llc GENES AND THEIR USES FOR PLANT IMPROVEMENTS
US7736647B2 (en) 2005-06-15 2010-06-15 Monoclonal Antibodies Therapeutics Anti-CD71 monoclonal antibodies and uses thereof for treating malignant tumor cells
SG10201402712QA (en) 2005-08-31 2014-08-28 Merck Sharp & Dohme Engineered anti-il-23 antibodies
EP1948680A4 (en) 2005-10-28 2010-01-13 Univ California METHOD AND COMPOUNDS FOR DETECTING AND ISOLATING LYMPHOMA CELLS
WO2008103849A2 (en) 2007-02-21 2008-08-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and compounds for lymphoma cell detection and isolation
CA2627075A1 (en) 2005-11-14 2007-05-18 Bioren, Inc. Antibody ultrahumanization by predicted mature cdr blasting and cohort library generation and screening
USRE45660E1 (en) 2006-02-14 2015-09-01 Bp Corporation North America Inc. Xylanases, nucleic acids encoding them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JPWO2007102200A1 (ja) 2006-03-07 2009-07-23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抗cd20モノクローナル抗体
WO2007146957A2 (en) 2006-06-13 2007-12-21 Irm Llc Ror1 as a therapeutic target for lung cancer
WO2008021290A2 (en) 2006-08-09 2008-02-21 Homestead Clinical Corporation Organ-specific proteins and methods of their use
ES2444065T3 (es) 2006-08-18 2014-02-24 Novartis Ag Anticuerpo específico para PRLR y usos del mismo
CA2664738C (en) 2006-09-29 2017-03-07 Oncomed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iagnosing and treating cancer
US7718774B2 (en) 2006-11-08 2010-05-18 Macrogenics, Inc. TES7 and antibodies that bind thereto
FR2909092B1 (fr) 2006-11-24 2012-10-19 Pf Medicament Nouveaux anticorps anti-proliferation
WO2008076868A2 (en) 2006-12-18 2008-06-26 Abbott Laboratories Methods and compositions related to modulation of receptor tyrosine kinase orphan receptor-1 (ror-1)
AR064610A1 (es) 2006-12-22 2009-04-15 Schering Corp Anticuerpos contra el cd200r
US8298545B2 (en) 2007-02-07 2012-10-30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Anti-autoimmune antibodies for treatment of pemphigus
US9745367B2 (en) 2007-03-23 2017-08-29 Novelmed Theraputics, Inc. Alternative pathway specific antibodies for treating arthritis
WO2008127735A1 (en) 2007-04-13 2008-10-23 Stemline Therapeutics, Inc. Il3ralpha antibody conjugates and uses thereof
EP2142640B1 (en) 2007-05-03 2012-01-04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Identifying germline competent embryonic stem cells
US8318163B2 (en) 2007-05-17 2012-11-27 Genentech, Inc. Anti-pan neuropilin antibody and binding fragments thereof
CN101687924A (zh) 2007-07-04 2010-03-31 株式会社未来创药研究所 抗Muc17抗体
US8299318B2 (en) 2007-07-05 2012-10-30 Ceres, Inc. Nucleotide sequences and corresponding polypeptides conferring modulated plant characteristics
AU2008278803A1 (en) 2007-07-25 2009-01-29 Astrazeneca Ab Targeted binging agents directed to KDR and uses thereof - 035
CN101848999A (zh) 2007-09-06 2010-09-29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抗-cd20单克隆抗体
US8362325B2 (en) 2007-10-03 2013-01-29 Ceres, Inc. Nucleotide sequences and corresponding polypeptides conferring modulated plant characteristics
US7968687B2 (en) 2007-10-19 2011-06-28 Seattle Genetics, Inc. CD19 binding agents and uses thereof
EP3211011A1 (en) 2007-11-16 2017-08-30 Nuvelo, Inc. Antibodies to lrp6
DK2236604T3 (en) 2007-12-05 2016-10-03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The anti-NR10 antibody and use thereof
PT2851374T (pt) 2007-12-14 2017-06-20 Pfizer Moléculas de ligação ao recetor humano ox40
CA2707637A1 (en) 2007-12-17 2009-06-25 Dyax Corp.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steolytic disorders comprising mmp-14 binding proteins
CA2709354C (en) 2007-12-21 2014-06-17 Amgen Inc. Anti-amyloid antibodies and uses thereof
JP5690593B2 (ja) 2007-12-26 2015-03-25 ヴァクシネ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抗c35抗体併用療法および方法
US8603474B2 (en) 2008-01-29 2013-12-10 Ludwi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Ltd. Membrane transporter NaPi2b (SCL34A1) epitope for antibody therapy, antibodies directed thereto, and target for cancer therapy
US9029636B2 (en) 2008-02-05 2015-05-12 Monsanto Technology Llc Isolated novel nucleic acid and protein molecules from soy and methods of using those molecules to generate transgenic plants with enhanced agronomic traits
AR070316A1 (es) 2008-02-07 2010-03-31 Merck & Co Inc Antagonistas de pcsk9 (proproteina subtilisina-kexina tipo 9)
WO2009101611A1 (en) 2008-02-11 2009-08-20 Curetech Ltd. Monoclonal antibodies for tumor treatment
JP2011517662A (ja) 2008-03-03 2011-06-16 ダイア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メタロプロテアーゼ9結合タンパク質
EP2262837A4 (en) 2008-03-12 2011-04-06 Merck Sharp & Dohme PD-1 BINDING PROTEINS
CA2720614A1 (en) 2008-04-07 2009-10-15 Kalobios Pharmaceuticals, Inc. Neutralization of gm-csf for the treatment of heart failure
EP2280997A2 (en) 2008-04-18 2011-02-09 Xencor, Inc. Human equivalent monoclonal antibodies engineered from nonhuman variable regions
US9029508B2 (en) 2008-04-29 2015-05-12 Abbvie Inc. Dual variable domain immunoglobulins and uses thereof
US8410251B2 (en) 2008-06-20 2013-04-02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Okayama University Antibody against calcified globule and use of the same
EP2313435A4 (en) 2008-07-01 2012-08-08 Aveo Pharmaceuticals Inc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3 (FGFR3) BINDING PROTEINS
MX2011000071A (es) 2008-07-02 2011-05-03 Emergent Product Dev Seattle Inmunoterapeuticos de interleucina-6 (il6).
MX2011000543A (es) 2008-07-16 2011-04-27 Inst Research In Biomedicine Anticuerpos neutralizantes de citomegalovirus humano y uso de los mismos.
US8710022B2 (en) 2008-07-18 2014-04-29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Nagoya University Cell proliferation inhibitor
MX2011000778A (es) 2008-07-31 2011-03-15 Basf Plant Science Gmbh Plantas con caracteristicas modificadas de crecimiento y un metodo para obtenerlas.
US8399630B2 (en) 2008-08-20 2013-03-19 Centocor Ortho Biotech Inc. Engineered anti-IL-13 antibodies, compositions, methods and uses
CA3050455A1 (en) 2008-11-03 2010-06-03 Adc Therapeutics Sa Antibodies that specifically block the biological activity of a tumor antigen
US8183346B2 (en) 2008-12-05 2012-05-22 Eli Lilly And Company Anti-ferroportin 1 monoclonal antibodies and uses thereof
WO2010083179A2 (en) 2009-01-16 2010-07-22 Monsanto Technology Llc Isolated novel nucleic acid and protein molecules from soybeans and methods of using those molecules to generate transgenic plants with enhanced agronomic traits
US8673307B1 (en) 2009-03-09 2014-03-18 The Rockefeller University HIV-1 anti-core neutralizing antibodies that target a conformational epitope within the ALPHA5-helix of GP120
CN102388068B (zh) 2009-03-20 2015-05-20 安姆根有限公司 α-4-β-7异二聚体特异性拮抗剂抗体
RU2542394C2 (ru) 2009-03-24 2015-02-20 ТЕВА БИОФАРМАСЬЮТИКАЛЗ ЮЭсЭй, ИНК. Гуманизированные антитела против light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HUE025726T2 (en) 2009-03-25 2016-04-28 Genentech Inc Anti-FGFR3 antibodies and their use
WO2010117455A2 (en) 2009-04-08 2010-10-14 U.S. Army Medical Research Institute Of Infectious Diseases Human monoclonal antibodies protective against bubonic plaque
DK2419447T3 (en) 2009-04-17 2017-09-25 Immunas Pharma Inc ANTIBODIES THAT SPECIFICALLY BIND TO A BETA OLIGOMER AND USE THEREOF
WO2010124188A1 (en) 2009-04-23 2010-10-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nti-human ror1 antibodies
WO2010129304A2 (en) 2009-04-27 2010-11-11 Oncomed Pharmaceuticals, Inc. Method for making heteromultimeric molecules
EA023179B1 (ru) 2009-08-13 2016-05-31 Круселл Холланд Б.В. Антитела против респираторного синцитиального вируса (pcb)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PL2470671T3 (pl) 2009-08-28 2015-05-29 Regeneron Pharma Przeciwciała antykinowe wiążące się z wieloma chemokinami CC
US8926976B2 (en) 2009-09-25 2015-01-06 Xoma Technology Ltd. Modulators
CN103403026B (zh) 2009-09-25 2016-05-11 美国政府(由卫生和人类服务部的部长所代表) Hiv-1中和抗体及其用途
DK2488867T3 (da) 2009-10-14 2020-11-09 Janssen Biotech Inc Fremgangsmåder til affinitetsmodning af antistoffer
JP5756757B2 (ja) 2009-10-30 2015-07-29 東レ株式会社 C型肝炎ウイルス(hcv)に対して感染阻害活性を有する抗体及びその用途
US20120282177A1 (en) 2009-11-02 2012-11-08 Christian Rohlff ROR1 as Therapeutic and Diagnostic Target
CA2775373C (en) 2009-11-11 2019-10-29 Ganymed Pharmaceuticals Ag Antibodies specific for claudin 6 (cldn6)
EP2513148B1 (en) 2009-12-16 2016-08-31 AbbVie Biotherapeutics Inc. Anti-her2 antibodies and their uses
DK2513146T3 (en) 2009-12-18 2017-07-31 Kancera Ab Antibodies against ROR1 capable of inducing cell death by CLL
EP2534257B1 (en) 2010-02-12 2017-09-27 Oncomed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identifying and isolating cells expressing a polypeptide
US8609095B2 (en) 2010-03-04 2013-12-17 Symphogen A/S Anti-HER2 antibodies and compositions
JP6039428B2 (ja) 2010-03-04 2016-12-07 シムフォゲン・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Symphogen A/S 抗her2抗体および組成物
CA2789071C (en) 2010-03-05 2018-03-27 F. Hoffmann-La Roche Ag Antibodies against human csf-1r and uses thereof
US8468130B2 (en) 2010-04-02 2013-06-18 Skyfire Labs, Inc. Assisted hybrid mobile browser
WO2011125015A2 (en) 2010-04-05 2011-10-13 Bar-Ilan University Protease-activatable pore-forming polypeptides
CA2799746C (en) 2010-05-17 2020-11-24 Sai Reddy Rapid isol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from animals
AR081434A1 (es) 2010-06-10 2012-08-29 Lilly Co Eli Anticuerpo del peptido relacionado con el gen calcitonina (cgrp),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lo comprende, uso de dicho anticuerpo para preparar un medicamento util para tratar dolor de osteoartritis o migranas y fragmento de union a antigeno de dicho anticuerpo
JP2012021943A (ja) 2010-07-16 2012-02-02 National Cancer Center 子宮体がんの検査方法、子宮体がんの検査薬、並びに子宮体がん抗原に対する抗体
US9163258B2 (en) 2010-07-23 2015-10-20 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 Method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CN103221429A (zh) 2010-09-22 2013-07-24 诺沃—诺迪斯克有限公司 治疗因子viii抗体
EP3828205A1 (en) 2010-10-01 2021-06-02 Oxford BioTherapeutics Ltd Anti-ror1 antibodies
BR112013010544A2 (pt) 2010-10-29 2016-08-02 Immunogen Inc moléculas de ligação ao egfr e imunoconjugados das mesmas
JO3756B1 (ar) 2010-11-23 2021-01-31 Regeneron Pharma اجسام مضادة بشرية لمستقبلات الجلوكاجون
EP2455403A1 (en) 2010-11-23 2012-05-23 Pierre Fabre Medicament Homogeneous humanized antibodies against JAM-A that inhibit proliferation
WO2012075158A1 (en) 2010-12-01 2012-06-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himeric rabbit/human ror1 antibodies
GB201020995D0 (en) 2010-12-10 2011-01-26 Bioinvent Int Ab Biological materials and uses thereof
JP2014506257A (ja) 2011-01-06 2014-03-13 ダイア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血漿カリクレイン結合タンパク質
ES2865068T3 (es) 2011-01-14 2021-10-14 Univ California Anticuerpos terapéuticos contra la proteína ROR-1 y métodos para usarlos
AU2012217867A1 (en) 2011-02-14 2013-09-05 Theraclone Scienc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herapy and diagnosis of influenza
WO2012118693A1 (en) 2011-02-28 2012-09-07 Northshore University Healthsystem Methods of diagnosing clostridium difficile infection
RU2592686C2 (ru) 2011-04-22 2016-07-27 ВАЙЕТ ЭлЭлСи Композиции, относящиеся к мутантному токсину clostridium difficile,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CN107090043B (zh) 2011-05-13 2021-12-07 加尼梅德药物公司 用于治疗表达密蛋白6之癌症的抗体
WO2013019730A1 (en) 2011-07-29 2013-02-07 The Washington University Antibodies to tip-1 and grp78
EP2742067A4 (en) 2011-08-12 2015-03-04 Omeros Corp MONOCLONAL FZD10 ANTIBODIES AND METHOD FOR THEIR USE
CN107722122B (zh) 2011-09-23 2022-05-27 昂考梅德药品有限公司 Vegf/dll4结合剂及其应用
PT2766395T (pt) 2011-10-13 2020-02-04 Domantis Ltd Polipéptidos de anticorpo que antagonizam cd40l
AU2012325804B2 (en) 2011-10-19 2017-09-07 Pharmacyclics Llc Use of inhibitors of Bruton's tyrosine kinase (Btk)
EP2589609A1 (en) 2011-11-03 2013-05-08 Pierre Fabre Medicament Antigen binding protein and its use as addressing product for the treatment of cancer
US20130131139A1 (en) * 2011-11-17 2013-05-23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 Ror1 as a gene target in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EP2617319A1 (en) 2012-01-17 2013-07-24 Braun GmbH Head portion and handle portion of an oral care device
PL2818483T3 (pl) 2012-02-21 2018-01-31 Toray Industries Kompozycja lecznicza do leczenia i/lub zapobiegania nowotworowi
PL2818482T3 (pl) 2012-02-21 2019-11-29 Toray Industries Kompozycja farmaceutyczna do leczenia nowotworu
RU2014138474A (ru) 2012-02-24 2016-04-10 СтемСентРкс, Инк. Новые модуляторы и способы применения
EP2832856A4 (en) 2012-03-29 2016-01-27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ANTI-LAMP5 ANTIBODIES AND USE THEREOF
CN104203281B (zh) 2012-03-30 2019-07-26 东丽株式会社 胆囊癌的治疗和/或预防用药物组合物
EP2832365B1 (en) 2012-03-30 2017-11-01 Toray Industrie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liver cancer
EP2834271B1 (en) 2012-04-03 2019-01-16 NovelMed Therapeutics, Inc. Humanized and chimeric anti-factor bb antibodies and uses thereof
EP2844300B1 (en) 2012-05-01 2018-10-17 Genentech, Inc. Anti-pmel17 antibodies and immunoconjugates
RU2014145633A (ru) 2012-05-14 2016-07-10 Дженентек, Инк.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для диагностики и лечения опухолей
CN103421113B (zh) 2012-05-22 2018-01-19 武汉华鑫康源生物医药有限公司 抗BLyS抗体
JO3462B1 (ar) 2012-08-22 2020-07-05 Regeneron Pharma أجسام مضادة بشرية تجاه gfr?3 وطرق لاستخدامها
KR102312856B1 (ko) 2012-08-24 2021-10-13 더 리젠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Ror1 암을 치료하고 전이를 저해하는데 이용을 위한 항체와 백신
CN103792364B (zh) 2012-10-31 2016-06-08 张宝弘 用于检测外周血中循环肿瘤细胞ror1蛋白的试剂及其应用
TW202206465A (zh) 2012-11-14 2022-02-16 美商再生元醫藥公司 重組細胞表面捕捉蛋白質
SG11201506650PA (en) 2013-02-22 2015-09-29 Stemcentrx Inc Novel antibody conjugates and uses thereof
EP2789630A1 (en) 2013-04-09 2014-10-15 EngMab AG Bispecific antibodies against CD3e and ROR1
JP2016518382A (ja) 2013-04-26 2016-06-23 ピエール、ファーブル、メディカマン Axl抗体薬物複合体および癌の治療のためのその使用
MA38632B1 (fr) 2013-05-20 2019-10-31 Genentech Inc Anticorps anti-récepteur de transferrine et procédés d'utilisation
WO2015014376A1 (en) 2013-07-31 2015-02-05 Biontech Ag Diagnosis and therapy of cancer involving cancer stem cells
EP3038659A4 (en) 2013-08-28 2017-07-26 AbbVie Stemcentrx LLC Engineered anti-dll3 conjugates and methods of use
MX2016005763A (es) 2013-11-06 2016-08-19 Stemcentrx Inc Anticuerpos anti-claudina novedosos y metodos de uso.
RU2685914C1 (ru) 2013-12-11 2019-04-23 Регенерон Фармасьютикалс, Инк. Способы 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направленной модификации генома
CA2931340A1 (en) 2013-12-13 2015-06-18 Genentech, Inc. Anti-cd33 antibodies and immunoconjugates
UA120753C2 (uk) 2013-12-17 2020-02-10 Дженентек, Інк. Біспецифічне антитіло до сd3 та cd20
US10183989B2 (en) 2013-12-24 2019-01-22 Novelmed Therapeutics, Inc. Methods of treating ocular diseases
US10308721B2 (en) 2014-02-21 2019-06-04 Abbvie Stemcentrx Llc Anti-DLL3 antibodies and drug conjugates for use in melanoma
HUE050355T2 (hu) 2014-04-01 2020-12-28 Biontech Cell & Gene Therapies Gmbh Claudin-6-specifikus immunreceptorok és T-sejt-epitópok
SG10202109752XA (en) * 2014-04-07 2021-10-28 Novartis Ag Treatment of cancer using anti-cd19 chimeric antigen receptor
CN106470708B (zh) 2014-04-25 2019-12-31 皮埃尔法布雷医药公司 抗体-药物-缀合物和其用于治疗癌症的用途
CN109996544A (zh) 2016-06-27 2019-07-09 加利福尼亚大学董事会 癌症治疗组合
CA3067829A1 (en) * 2017-06-23 2018-12-27 VelosBio Inc. Ror1 antibody immunoconjug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108889A1 (es) 2018-10-03
KR20190022752A (ko) 2019-03-06
MX2018016330A (es) 2020-02-17
IL263802B1 (en) 2023-01-01
JP2019520426A (ja) 2019-07-18
MY196869A (en) 2023-05-05
TW201806622A (zh) 2018-03-01
TWI767915B (zh) 2022-06-21
IL263802B2 (en) 2023-05-01
JP7109007B2 (ja) 2022-07-29
JP2022133402A (ja) 2022-09-13
WO2018005519A3 (en) 2018-02-15
SG11201811559WA (en) 2019-01-30
US20240115700A1 (en) 2024-04-11
AU2017289270A1 (en) 2019-01-24
AU2017289270B2 (en) 2023-05-04
IL263802A (en) 2019-01-31
CN109996544A (zh) 2019-07-09
US11654193B2 (en) 2023-05-23
US20170368173A1 (en) 2017-12-28
EP3474854A4 (en) 2020-02-19
CA3029003A1 (en) 2018-01-04
US20210038716A1 (en) 2021-02-11
IL299099A (en) 2023-02-01
US10688181B2 (en) 2020-06-23
WO2018005519A2 (en) 2018-01-04
EP3474854A2 (en) 2019-05-01
PH12019500025A1 (en)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54199A1 (en) Methods of treating cancer
US11654193B2 (en) Cancer treatment combinations
AU2016265845B2 (en) Chimeric antigen receptor compositions
EP3612526A2 (en) K-ras modulators
WO2019090347A1 (en) Adenosine pathway inhibitors for cancer treatment
US20190022096A1 (en) Methods of treating cancer
US20230066830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ducing apoptosis in cancer stem cells
WO2021102359A2 (en) Taspase1 inhibitors and uses thereof
NZ743653A (en) Methods of treating cancer
WO2019090348A1 (en) Combination therapy for cancer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