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223A -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223A
KR20230045223A KR1020210127817A KR20210127817A KR20230045223A KR 20230045223 A KR20230045223 A KR 20230045223A KR 1020210127817 A KR1020210127817 A KR 1020210127817A KR 20210127817 A KR20210127817 A KR 20210127817A KR 20230045223 A KR20230045223 A KR 20230045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wed vehicle
permanent magnet
wheel
pole perma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9111B1 (ko
Inventor
김규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신
Priority to KR1020210127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9111B1/ko
Publication of KR2023004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9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8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electro-magnetic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6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 B60T1/067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otherwise than on tread, e.g. employing rim, drum, disc, or transmission or on double wheels employing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0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mechan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0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mechanical assistance or drive by inertia, e.g. flywhe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9/0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 H02K49/10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of the permanent-magnet type
    • H02K49/102Magnetic gearings, i.e. assembly of gears, linear or rotary, by which motion is magnetically transferred without physical conta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3Brake assis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는: 견인차량과 피견인차량 사이에 설치되고, 견인차량의 제동시 피견인차량의 관성력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부와, 작동부와 연결되고, 작동부의 동작에 당겨지는 브레이크 케이블와, 브레이크 케이블에 의해 작동되고, 피견인차량 바퀴와 연결되며, 자기장을 발생시켜 피견인차량 바퀴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OVER RUN BRAKE DEVICE FOR TOWED VEHICLE}
본 발명은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생에너지를 이용한 제동으로 견인차량의 보조브레이크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레일러는 일반차량 또는 트랙터 등에 연결되어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차량으로서 견인차량의 동력으로 견인되는 차량 즉, 피견인차량이다. 이때, 피견인차량의 관성력에 의하여 견인차량과 피견인차량 사이에 설치된 실린더 장치의 피스톤을 압박하여 브레이크오일을 유동하도록 하는 피견인차량용 관성 제동장치가 있다. 피견인차량용 관성 제동장치는 견인차량의 제동시 주행 안정성과 제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러나, 견인차량의 제동시 피견인차량의 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스웨이(Sway)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61793호(발명의 명칭: 트레일러의 관성 제동장치, 공개일: 1998.10.07.)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회생에너지를 이용한 제동으로 견인차량의 보조브레이크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는: 견인차량과 피견인차량 사이에 설치되고, 견인차량의 제동시 피견인차량의 관성력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작동부의 동작에 당겨지는 브레이크 케이블; 및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에 의해 작동되고, 피견인차량 바퀴와 연결되며,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피견인차량 바퀴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동부는, 피견인차량 허브축에 장착되는 바퀴드럼부; 상기 피견인차량 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바퀴드럼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피견인차량 바퀴의 회전에 회동되며, 코일부를 구비하는 바퀴장착부; 상기 바퀴드럼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코일부 측으로 이동시 상기 코일부와 반응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부; 및 상기 바퀴드럼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의 작동에 설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자석부의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자석부를 상기 코일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퀴장착부는, 상기 바퀴가 장착되며, 상기 바퀴드럼부 상에서 회전가능한 너클부; 및 상기 너클부와 연결되어 상기 너클부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퀴드럼부는, 상기 자석부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퀴장착부가 통과하는 통과홀부를 구비하는 바퀴드럼본체; 및 상기 바퀴드럼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바퀴장착부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퀴드럼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부는, 상기 바퀴드럼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의 설정방향 회전시 상기 회전부의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코일부 측으로 이동되는 N극 영구자석부; 및 상기 바퀴드럼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의 설정방향 회전시 상기 회전부의 미가압에 상기 코일부 측으로 이동되는 S극 영구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N극 영구자석부는,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부를 감싸는 N극 영구자석; 및 상기 N극 영구자석과 연결되고, 상기 바퀴드럼본체에 결합되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N극 영구자석을 상기 코일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N극 영구자석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극 영구자석부는, 상기 회전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부를 감싸는 S극 영구자석; 및 상기 S극 영구자석과 연결되고, 상기 바퀴드럼본체에 결합되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S극 영구자석을 상기 코일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S극 영구자석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바퀴드럼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N극 영구자석부 및 상기 S극 영구자석부를 가압하거나 미가압하는 회전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피견인차량 허브축에 장착되고, 상기 피견인차량 바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동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전기에너지로 축적하는 축전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에서는 자석부와 회전부 사이에 발생되는 자기장으로 피견인차량 바퀴가 회생 제동되어 견인차량의 보조브레이크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견인차량의 제동시 피견인차량의 제동이 제대로 이루어져 스웨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의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의 제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의 제동부를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에서 제동부의 코일부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에서 제동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의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의 제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의 제동부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에서 제동부의 코일부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3,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에서 제동부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1)는 작동부(100), 브레이크 케이블(200) 및 제동부(300)를 포함한다. 작동부(100)는 견인차량과 피견인차량 사이에 설치되고, 견인차량의 제동시 피견인차량의 관성력에 의해 작동된다.
작동부(100)는 폴로드(110), 리버싱레버(120) 및 핸드브레이크레버(130)를 포함한다. 폴로드(110)는 견인차량과 피견인차량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피견인차량의 관성력에 의해 피견인차량 측으로 이동된다. 폴로드(110)는 피견인차량의 관성력에 의해 후방으로(도 3 기준) 이동된다. 이때, 폴로드(110)는 피견인차량 허브축(20)에 장착된다.
리버싱레버(120)는 폴로드(110)의 이동에 회전되어 후술된 브레이크 케이블(200)을 당긴다. 리버싱레버(120)는 시계방향으로(도 3 기준) 회전되고 후술된 브레이크 케이블(200)을 전방으로(도 3 기준) 당긴다. 핸드브레이크레버(130)는 리버싱레버(120)의 회전에 회동된다.
브레이크 케이블(200)은 작동부(100)와 연결되고, 작동부(100)의 동작에 당겨진다. 브레이크 케이블(200)은 작동부(100)의 리버싱레버(120)의 시계방향(도 3 기준) 회전에 전방으로(도 3 기준) 당긴다.
제동부(300)는 브레이크 케이블(200)에 의해 작동되고, 피견인차량 바퀴(10)와 연결되며, 자기장을 발생시켜 피견인차량 바퀴(10)에 제동력을 제공한다.
제동부(300)는 바퀴드럼부(310), 바퀴장착부(320), 자석부(330) 및 회전부(340)를 포함한다. 바퀴드럼부(310)는 피견인차량 허브축(20)에 장착된다. 바퀴드럼부(31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피견인차량 바퀴(1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바퀴드럼부(310)는 바퀴드럼본체(311)와 바퀴드럼장착부(312)를 포함한다. 바퀴드럼본체(311)는 후술된 자석부(330)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부(34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바퀴장착부(320)가 통과하는 통과홀부(321a)를 구비한다.
바퀴드럼장착부(312)는 바퀴드럼본체(311)에 결합되고, 바퀴장착부(32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바퀴드럼장착부(312)에는 코일부(322)가 통과되는 장착홀부(312a)가 형성된다(도 9 참조).
바퀴장착부(320)는 피견인차량 바퀴(10)가 장착되고, 바퀴드럼부(3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피견인차량 바퀴(10)의 회전에 회동되며, 코일부(322)를 구비한다. 피견인차량 바퀴(10)는 스포크(11)와 타이어(12)를 포함한다. 스포크(11)는 바퀴장착부(320)의 너클부(321)에 결합된다. 타이어(12)는 스포크(11)에 결합된다.
바퀴장착부(320)는 너클부(321)와 코일부(322)를 포함한다. 너클부(321)는 바퀴(10)가 장착되며, 바퀴드럼부(310) 상에서 회전가능하다. 너클부(321)는 피견인차량 바퀴(10)의 스포크(11)와 결합된다.
코일부(322)는 너클부(321)와 연결되어 너클부(321)와 함께 회전된다. 코일부(322)는 제1코일(322a), 제2코일(322b) 및 제3코일(322c)을 포함한다. 제1코일(322a)은 한 쌍으로 너클부(321)와 연결되되, 후술된 자석부(330) 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코일(322b)은 한 쌍으로 제1코일(322a)과 연결된다. 제3코일(322c)은 한 쌍으로 축전지부(400)의 한 쌍의 축전커넥터(420) 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자석부(330)는 바퀴드럼부(310)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코일부(322) 측으로 이동시 코일부(322)와 반응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자석부(330)는 코일부(322)를 감싸도록 바퀴드럼부(310)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자석부(330)는 N극 영구자석부(331)와 S극 영구자석부(332)를 포함한다. N극 영구자석부(331)는 바퀴드럼본체(311)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부(340)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부(340)의 설정방향 회전시 회전부(340)의 가압이 해제되어 코일부(322) 측으로 이동된다.
N극 영구자석부(331)는 N극 영구자석(331a)과 N극 영구자석 스프링(331b)을 포함한다. N극 영구자석(331a)은 회전부(340)의 일측에 배치되고, 코일부(322)를 감싼다. N극 영구자석(331a)은 반원형 링 형상으로 코일부(322)를 감싸며, 후술된 회전부(340)의 회전방향에 따라 가압되거나 미가압된다.
N극 영구자석 스프링(331b)은 N극 영구자석(331a)과 연결되고, 바퀴드럼본체(311)에 결합되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N극 영구자석(331a)을 코일부(322) 측으로 이동시킨다. N극 영구자석 스프링(331b)은 코일 스프링으로 N극 영구자석(331a)이 회전부(34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탄성변형되어 압축된다. 이때, 회전부(34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N극 영구자석(331a)이 코일부(322)와 설정거리 이상 의 거리로 이격되게 된다.
이후, 작동부(100)의 동작으로 브레이크 케이블(200)이 당겨져 회전부(340)가 설정방향으로 회전하면, N극 영구자석(331a)의 가압이 해제되고, N극 영구자석 스프링(331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N극 영구자석(331a)이 코일부(322)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회전부(34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N극 영구자석(331a)이 코일부(322)와 설정거리 미만의 거리로 이격되게 된다(도 13, 도 14 참조).
S극 영구자석부(332)는 바퀴드럼본체(311)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부(340)의 타측에 배치되며, 회전부(340)의 설정방향 회전시 회전부(340)의 미가압에 코일부(322) 측으로 이동된다.
S극 영구자석부(332)는 S극 영구자석(332a)과 S극 영구자석 스프링(332b)을 포함한다. S극 영구자석(332a)은 회전부(340)의 타측에 배치되고, 코일부(322)를 감싼다. S극 영구자석(332a)은 반원형 링 형상으로 N극 영구자석(331a)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코일부(322)를 감싸며, 후술된 회전부(340)의 회전방향에 따라 가압되거나 미가압된다.
S극 영구자석 스프링(332b)은 S극 영구자석(332a)과 연결되고, 바퀴드럼본체(311)에 결합되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S극 영구자석(332a)을 코일부(322) 측으로 이동시킨다. S극 영구자석 스프링(332b)은 코일 스프링으로 S극 영구자석(332a)이 회전부(34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탄성변형되어 압축된다. 이때, 회전부(34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S극 영구자석(332a)이 코일부(322)와 설정거리 이상 의 거리로 이격되게 된다.
이후, 작동부(100)의 동작으로 브레이크 케이블(200)이 당겨져 회전부(340)가 설정방향으로 회전하면, S극 영구자석(332a)의 가압이 해제되고, S극 영구자석 스프링(332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S극 영구자석(332a)이 코일부(322)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회전부(340)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S극 영구자석(332a)이 코일부(322)와 설정거리 미만의 거리로 이격되게 된다(도 13, 도 14 참조).
회전부(340)는 바퀴드럼부(3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브레이크 케이블(200)의 작동에 설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자석부(330)의 가압을 해제하여 자석부(330)를 코일부(322) 측으로 이동시킨다. 회전부(340)는 브레이크 케이블(200)의 당겨짐에 설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이 되도록 배치된다.
회전부(340)는 회전축(341)과 회전블럭(342)을 포함한다. 회전축(341)은 바퀴드럼본체(3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브레이크 케이블(200)과 연결되며, 브레이크 케이블(20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된다. 즉, 회전축(341)은 설정방향으로 즉, 시계방향으로(도 14 기준) 회전된다. 이때, 설정방향은 회전블럭(342)이 회전부(340)의 가압을 해제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회전블럭(342)은 회전축(341)과 연결되고, 회전축(341)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되어 N극 영구자석부(331) 및 S극 영구자석부(332)를 가압하거나 미가압한다.
회전블럭(342)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N극 영구자석부(331) 및 S극 영구자석부(332)를 가압한다. 회전블럭(342)은 회전축(341)의 설정방향 회전에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N극 영구자석부(331) 및 S극 영구자석부(332)의 가압이 해제된다.
축전지부(400)는 피견인차량 허브축(20)에 장착되고, 피견인차량 바퀴(10)의 회전에 의해 제동부(30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전기에너지로 축적한다. 축전지부(400)는 축전지(410)와 한 쌍의 축전커넥터(420)를 포함한다. 축전지(410)는 피견인차량 허브축(20)에 장착된다. 한 쌍의 축전커넥터(420)는 축전지(410)와 연결되고, 바퀴장착부(320)의 코일부(322)를 감싼다.
구체적으로, 견인차량의 제동시 피견인차량이 관성력에 의해 견인차량 측으로 이동된다. 피견인차량 바퀴(10)가 회전된다. 이때, 작동부(100)기 동작되고, 브레이크 케이블(200)이 당겨져 회전부(340)가 설정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부(340)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회전부(340)가 자석부(330)의 N극 영구자석부(331)와 S극 영구자석부(332)를 미가압한다.
회전부(340)가 자석부(330)의 N극 영구자석부(331)와 S극 영구자석부(332)를 미가압한 상태인 경우, N극 영구자석부(331)와 S극 영구자석부(332)가 바퀴장착부(320)의 너클부(321) 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경우, 자석부(330)와 너클부(321)가 설정거리 미만으로 이격된 상태로, 자석부(330)와 너클부(321) 사이에서 자기장이 발생되는 상태가 된다. 일 예로, 자석부(330)와 너클부(321)의 이격거리가 L1에서 L2로, 설정거리 미만인 상태가 된다. 즉, 피견인차량 바퀴(10)가 회생제동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피견인차량 바퀴(10)는 자석부(330)와 너클부(321)의 제1코일(322a) 사이에서 발생된 자기장에 의해 제동된다. 달리 말해, 피견인차량 바퀴(10)가 회생 제동되어 견인차량의 보조브레이크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기술에 비해 견인차량 및 피견인차량의 제동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 결과, 견인차량의 제동시 피견인차량의 제동이 제대로 이루어져 스웨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자석부(330)와 너클부(321)의 제3코일(323a) 사이에서 발생된 자기장을 축전지부(400)에 전기에너지로 축전된다. 구체적으로, 자기장이 한 쌍의 축전커넥터(420)를 거쳐 축전지(410)에 전기에너지로 축전된다. 축전지부(400)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는 피견인차량의 전기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견인차용 제동장치(1)에서는 자석부(330)와 회전부(340) 사이에 발생되는 자기장으로 피견인차량 바퀴(10)가 회생 제동되어 견인차량의 보조브레이크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견인차량의 제동시 피견인차량의 제동이 제대로 이루어져 스웨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피견인차용 제동장치 10 : 피견인차량 바퀴
11 : 스포크 12 : 타이어
20 : 피견인차량 허브축 100 : 작동부
110 : 풀로드 120 : 리버싱레버
130 : 핸드브레이크레버 200 : 브레이크 케이블
300 : 제동부 310 : 바퀴드럼부
311 : 바퀴드럼본체 311a : 통과홀부
312 : 바퀴드럼장착부 312a : 장착홀부
320 : 바퀴장착부 321 : 너클부
322 : 코일부 322a : 제1코일
322b : 제2코일 322c : 제3코일
330 : 자석부 331 : N극 영구자석부
331a : N극 영구자석 331b : N극 영구자석스프링
332 : S극 영구자석부 332a : S극 영구자석
332b : S극 영구자석스프링 340 : 회전부
341 : 회전축 342 : 회전블럭
400 : 축전지부 410 : 축전지
420 : 축전커넥터

Claims (9)

  1. 견인차량과 피견인차량 사이에 설치되고, 견인차량의 제동시 피견인차량의 관성력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작동부의 동작에 당겨지는 브레이크 케이블; 및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에 의해 작동되고, 피견인차량 바퀴와 연결되며, 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피견인차량 바퀴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견인차용 제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피견인차량 허브축에 장착되는 바퀴드럼부;
    상기 피견인차량 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바퀴드럼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피견인차량 바퀴의 회전에 회동되며, 코일부를 구비하는 바퀴장착부;
    상기 바퀴드럼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코일부 측으로 이동시 상기 코일부와 반응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부; 및
    상기 바퀴드럼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의 작동에 설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자석부의 가압을 해제하여 상기 자석부를 상기 코일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견인차용 제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장착부는,
    상기 바퀴가 장착되며, 상기 바퀴드럼부 상에서 회전가능한 너클부; 및
    상기 너클부와 연결되어 상기 너클부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코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견인차용 제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드럼부는,
    상기 자석부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퀴장착부가 통과하는 통과홀부를 구비하는 바퀴드럼본체; 및
    상기 바퀴드럼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바퀴장착부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퀴드럼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견인차용 제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상기 바퀴드럼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의 설정방향 회전시 상기 회전부의 가압이 해제되어 상기 코일부 측으로 이동되는 N극 영구자석부; 및
    상기 바퀴드럼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회전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의 설정방향 회전시 상기 회전부의 미가압에 상기 코일부 측으로 이동되는 S극 영구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견인차용 제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N극 영구자석부는,
    상기 회전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부를 감싸는 N극 영구자석; 및
    상기 N극 영구자석과 연결되고, 상기 바퀴드럼본체에 결합되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N극 영구자석을 상기 코일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N극 영구자석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견인차용 제동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S극 영구자석부는,
    상기 회전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부를 감싸는 S극 영구자석; 및
    상기 S극 영구자석과 연결되고, 상기 바퀴드럼본체에 결합되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S극 영구자석을 상기 코일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S극 영구자석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견인차용 제동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바퀴드럼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과 연결되며,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N극 영구자석부 및 상기 S극 영구자석부를 가압하거나 미가압하는 회전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견인차용 제동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피견인차량 허브축에 장착되고, 상기 피견인차량 바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동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전기에너지로 축적하는 축전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견인차용 제동장치.
KR1020210127817A 2021-09-28 2021-09-28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 KR102559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817A KR102559111B1 (ko) 2021-09-28 2021-09-28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817A KR102559111B1 (ko) 2021-09-28 2021-09-28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223A true KR20230045223A (ko) 2023-04-04
KR102559111B1 KR102559111B1 (ko) 2023-07-25

Family

ID=8592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817A KR102559111B1 (ko) 2021-09-28 2021-09-28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91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266A (ko) * 2009-09-19 2011-03-25 송수니 차량의 제동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시스템
JP5293898B2 (ja) * 2011-04-11 2013-09-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ユニットの防食装置
KR20190017304A (ko) * 2017-08-10 2019-02-20 유도로보틱스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1266A (ko) * 2009-09-19 2011-03-25 송수니 차량의 제동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시스템
JP5293898B2 (ja) * 2011-04-11 2013-09-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ユニットの防食装置
KR20190017304A (ko) * 2017-08-10 2019-02-20 유도로보틱스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9111B1 (ko)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84341A (zh) 用于操作组合式车辆制动系统的方法
CN102292246A (zh) 电液制动系统以及操作该电液制动系统的方法
US20190277355A1 (en) Drag reducing structure and electric disk brake having the same
KR102559111B1 (ko)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
JP5820591B2 (ja) 自動二輪車のブレーキ装置
US3572472A (en) Emergency brake system for a vehicle
JP2002542986A (ja) 車両の制動装置
KR20130102924A (ko) 차량용 제동장치
GB2455529A (en) Braking system that releases the brakes when in use
CN108367747B (zh) 用于控制能够执行泊车制动功能的制动系统的方法
JP5377439B2 (ja) 保守用トロッコ
KR20200034103A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US10870419B2 (en) EPB low residual torque software function
KR101127202B1 (ko) 솔레노이드 작동체
KR100372420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GB851518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hydraul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KR0130143B1 (ko) 발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브레이크
KR100391658B1 (ko) 자동차의 보조브레이크장치
KR20020056536A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비상작동장치
KR20070009114A (ko) 자동차의 전자 버튼식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
US3847253A (en) Vehicle braking systems
JP2772714B2 (ja) 車両のブレーキ装置
CA2876271C (en) Safety actuation mechanism for trailer electric drum brake
KR19980047695U (ko) 디스크식 파킹 브레이크장치
KR200238144Y1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