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143B1 - 발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발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브레이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143B1
KR0130143B1 KR1019950025598A KR19950025598A KR0130143B1 KR 0130143 B1 KR0130143 B1 KR 0130143B1 KR 1019950025598 A KR1019950025598 A KR 1019950025598A KR 19950025598 A KR19950025598 A KR 19950025598A KR 0130143 B1 KR0130143 B1 KR 0130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cylinder rod
commutator
permanent magne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5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494A (ko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50025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143B1/ko
Publication of KR970010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1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by utilising wheel movement for accumulating energy, e.g. driving air compr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브레이크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제동에 도움을 주고 동시에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브레이크가 작동함과 동시에 발전이 가능하고, 또한 제동력을 배가 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차축의 끝단에 축설되어 회전가능하도록 하되, 내측면에 영구자석을 부착하여서 된 브레이크드럼, 상기한 영구자석에 근접시킨 채 차축의 외주연에 마련한 전선코일과, 상기한 전선코일의 일단은 브레이크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스의치기구를 통해 정류자에 연결하고, 전선코일의 타단은 직접 정류자에 연결하여 이루어진 발전기구로 구성하여 브레이크를 제동하였을 때 상기한 스위치기구가 도통되면 회전하는 영구자석과 전선코일의 의해 저항이 생겨 발전과 동시에 브레이크 제동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발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브레이크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스위치 작동구조를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축 2 : 브레이크 드럼
3 : 영구자석 4 : 발전기구
5 : 전선코일 6 : 스위치기구
61 : 실린더 로드 62 : 압축스프링
63 : 스위치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브레이크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제동에 도움을 주고 동시에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브레이크에 있어서는 휠 브레이크와 드럼식 브레이크가 있으며, 이들중 드럼식 브레이크장치의 예를 보면 차축의 끝단부에서 일체로 연결된 채 회전할 수 있는 브레이크 드럼이 있고, 이 드럼의 안쪽면에 라이닝이 접하여 제동을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브레이크장치는 단순히 바퀴의 회전력을 억제시키는 역할만을 하며, 별다른 장치를 하지 않는한 발전의 기능을 가지지는 못하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해 이를 시정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브레이크가 작동함과 동시에 발전이 가능하고, 또한 제동력을 배가 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차축의 끝단에 축설되어 회전이가능하도록 하되, 내측면에 영구자석을 부착하여서 된 브레이크드럼, 상기한 영구자석에 근접시킨 채 차축의 외주연에 마련한 전선코일과, 상기한 전선코일의 일단은 브레이크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기구를 통해 정류자에 연결하고, 전선코일의 타단은 직접 정류자에 연결하여 이루어진 발전기구로 구성하여 브레이크를 제동하였을 때 상기한 스위치기구가 도통되면 회전하는 영구자석과 전선코일에 의해 저항이 생겨 발전과 동시에 브레이크 제동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특히 상기한 스위치기구는 브레이크용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로드와, 실린더 로드와 반대방향으로 탄설된 압축스프링과, 상기의 실린더 로드에 의해 접촉하고, 상기한 압축스프링에 의해 단락되는 스위치로 구성하여 브레이크를 제동시킴과 동시에 작동하도록 하는데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본 발명의 구성도에서 보듯이 차축(1)의 끝단에 일체로 축착되어 회전하는 브레이크 드럼(2)이 있는 바, 이 브레이크 드럼(2)의 내면에는 영구자석(3)을 돌설하되, N극과 S극을 교호로 배열하여 원주형으로 둥글게 형성한다.
그리고 이 영구자석(3)의 바로 안쪽에는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시킨 전선코일(5)이 마련되어 있고 이 전선코일(5)은 양측 단자가 정류자(41)에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 전선에는 스위치기구(6)가 개입되어 있다.
스위치기구(6)는 제2도 도면에서 보듯이 브레이크용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 로드(61)와, 실린더 로드와는 반대방향으로 탄설된 압축스프링(62)과, 상기의 실린더 로드(61)에 의해 접촉하고, 상기한 압축스프링(62)에 의해 단락되는 스위치(63)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0은 브레이크용 유압라인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자동차가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되면 부스터 및 마스터 실린더를 통해 가압된 유압이 각각의 바퀴에 있는 휠실린더로 공급되고, 이는 제1도에서 볼 수 있는 브레이크 라이닝(21)을 브레이크 드럼(2)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브레이크 유압은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치기구(6)의 실린더 로드(61)에 작용하게 되고, 이 실린더 로드(61)는 압축스프링(62)의 힘을 이기고, 스위치(63)가 ON되도록 접촉시킨다.
스위치기구(6)가 도통되면 브레이크 드럼(2)의 안쪽에 마련한 전선코일(5)이 정류자(41)로 연결되는 것이고, 따라서 완전한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은 브레이크 드럼(2)의 영구자석(3) 때문에 전선코일(5)과 정류자(41)에는 발전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영구자석(3)은 전선코일(5)에 발생하는 자장 때문에 회전방향에 반하는 저항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는 브레이크 드럼(2)을 정지시키는 데 일조 하게 되는 것이다.
작동효과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바와 같은 본 발명은 브레이크의 유압에 의해 ON되는 스위치기구(6)가 브레이크 드럼(2)내부의 전선코일(5)과 정류자(41)를 도통시켜 회전하고 있는 브레이크 드럼(2)의 영구자석(3)으로써 발전이 일어날 뿐만 아니라 이때 발생하는 저항력이 브레이크의 제동에 도움이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차축(1)과 함께 회전하도록 축설되며, 브레이크 유압에 의하여 제동을 거는 브레이크 라이닝이 내설된 브레이크 드럼(2)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드럼(2)의 내축면에 대응되는 극성이 서로 마주하도록 부착된 영구자석(3)과;
    상기 차축(1)과 영구자석(3) 사이에 고정상태로 설치되는 전기코일(5)과;
    상기 전기코일(5)의 일단은 브레이크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기구(6)를 통해 정류자(41)에 연결되고, 상기 전기코일(5)의 타단은 직접 정류자에 연결시킨 발전기구(4);로 구성하여서 브레이크에 제동력을 걸었을 때 상기 스위치기구(6)가 온작동되어 회전상태에 있는 영구자석(3)의 자계를 끊는 전기코일(5)이 발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브레이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기구(6)는 브레이크용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 로드(61)와, 상기 실린더 로드(61)에 대하여 반대방향에 탄력지지된 압축스프링(62)과, 상기 실린더로드(61)과 압축스프링(62)에 의해 온/오프 작동되는 스위치(6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브레이크.
KR1019950025598A 1995-08-21 1995-08-21 발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브레이크 KR0130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598A KR0130143B1 (ko) 1995-08-21 1995-08-21 발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598A KR0130143B1 (ko) 1995-08-21 1995-08-21 발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494A KR970010494A (ko) 1997-03-27
KR0130143B1 true KR0130143B1 (ko) 1998-04-08

Family

ID=19423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5598A KR0130143B1 (ko) 1995-08-21 1995-08-21 발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1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494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40930A (ko) 전기로 작동되는 차량 브레이크용 작동기
KR0130143B1 (ko) 발전이 가능한 자동차용 브레이크
JPH09164925A (ja) 車両ブレーキペダルの変位検出装置
JPH0522234U (ja) ブレーキアクチユエータ
KR100498690B1 (ko) 전자기력을 이용한 전기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KR100361306B1 (ko) 자동차의 안티락브레이크장치
KR100387790B1 (ko) 전자력을 이용한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
KR101921531B1 (ko) 상용차 브레이크 시스템용 브러시리스 모터를 적용한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100254340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00599305B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피스톤장치
KR100774706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0174053B1 (ko) 자동차의 안티록 브레이크장치
RU2111138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тормоз автомобильных колес
KR970010491A (ko) 브레이크의 제동력 배가 장치
KR100257013B1 (ko) 비상시 작동되는 보조 브레이크 장치
KR20000018040U (ko) 전기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
KR100254818B1 (ko) 급제동시 조향휠 잠금장치
KR970040629A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US1822564A (en) Brake
KR0142534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KR20230045223A (ko)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
KR19990019129U (ko) 보조브레이크장치
KR100251082B1 (ko) 자동차용 전자석 브레이크
KR960013891A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00774320B1 (ko) 차량용 전기기계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