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7304A -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7304A
KR20190017304A KR1020170101925A KR20170101925A KR20190017304A KR 20190017304 A KR20190017304 A KR 20190017304A KR 1020170101925 A KR1020170101925 A KR 1020170101925A KR 20170101925 A KR20170101925 A KR 20170101925A KR 20190017304 A KR20190017304 A KR 20190017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vehicle
loading frame
braking
electric c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준
최용길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유도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도로보틱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도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1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7304A/ko
Publication of KR20190017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7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0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mechanically
    • B60T11/046Us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8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20Drive modes; Transition between modes
    • B60L2260/24Coasting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차량의 운행중 배터리 방전시 전기차량이 재운행하도록 전기차량의 후방에 연결되어 견인 이동되면서 전기차량의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는 전기차량의 후방에 배치되고, 바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전기차량의 주행으로 이동되는 적재프레임과, 상기 전기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적재프레임에 적재되며, 케이블에 의해 상기 전기차량과 연결되는 컨버터가 구비되는 배터리 및 상기 적재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프레임을 상기 전기차량에 연결하고, 상기 전기차량의 제동시 관성력에 의해 상기 전기차량의 제동과 연동되어 상기 바퀴부에 대한 제동력을 발생하는 연결제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EMERGENCY CHARGING TRAILER FOR ELECTRIC CAR}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차량의 운행도중 충전이 부족하거나 방전시 재운행되도록 전기차량의 후방에 연결되어 견인 이동되면서 전기차량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에너지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반면, 에너지 자원은 한정되어 있어 여러 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고 있다.
자동차 분야에서도 엔진 방식의 자동차는 매연 등의 발생으로 인해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가 부각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유가로 인하여 운전자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엔진 및 모터가 병용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제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에 의해서만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도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의 용량에 기술적 한계를 가지고 있어 장거리 운행에 따른 배터리의 방전시 충전시간 동안 기다려야 하므로, 전기버스의 경우 승객이 다음 차량을 대기한 후에 이동 승차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크기나 하중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배터리의 용량을 최대한 확보하는 기술이 개발되어야 하나 전기 자동차의 보급 추세에 맞추어 개발되기에는 현실적으로 아직 많은 무리가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22419호(2017.03.02 공개, 발명의 명칭: 전기버스 긴급상황용 배터리 트레일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전기차량의 운행도중 충전이 부족하거나 방전시 재운행되도록 전기차량의 후방에 연결되어 견인 이동되면서 전기차량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는 전기차량의 후방에 배치되고, 바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전기차량의 주행으로 이동되는 적재프레임과, 상기 전기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적재프레임에 적재되며, 케이블에 의해 상기 전기차량과 연결되는 컨버터가 구비되는 배터리 및 상기 적재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프레임을 상기 전기차량에 연결하고, 상기 전기차량의 제동시 관성력에 의해 상기 전기차량의 제동과 연동되어 상기 바퀴부에 대한 제동력을 발생하는 연결제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제동부는 상기 적재프레임이 관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전기차량과 상기 적재프레임을 연결하는 작동연결부 및 상기 작동연결부와 연동되도록 상기 적재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프레임의 전방 이동시 상기 바퀴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연결부는 상기 적재프레임에 구비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전기차량의 후방에 결합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적재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압축되는 탄성압축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탄성압축부재에 수용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적재프레임의 전방 이동시 가압력으로 상기 제동부를 작동시키는 작동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적재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적재프레임의 전방 이동시 상기 작동연결부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바퀴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한 당김력으로 상기 바퀴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제동부는 승강이동부에 의해 상기 적재프레임의 전방 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전기차량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는 전기차량의 후방에 연결되어 견인 이동되면서 전기차량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전기차량에 내장된 배터리의 한정된 용량에 더하여 전원을 제공함으로써 전기차량의 주행거리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제동부에 의해 전기차량의 제동과 연동됨으로써, 유압 방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베이퍼록, 브레이크 페이드 등과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제동력에 의해 감속 또는 정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가 전기차량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를 확대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에서 연결제동부의 작동을 도시한 요부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에서 승강이동부의 작동을 도시한 요부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가 전기차량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를 확대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에서 연결제동부의 작동을 도시한 요부 작동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에서 승강이동부의 작동을 도시한 요부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1)는 적재프레임(100), 배터리(200) 및 연결제동부(300)를 포함한다.
적재프레임(100)은 전기차량(3)의 후방에 배치되고, 바퀴부(110)가 구비되어 전기차량(3)의 주행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적재프레임(100)은 상측에 배터리(200)를 적재 가능하게 지지하고, 연결제동부(300)에 의해 전기차량(3)의 후방에 연결되어 전기차량(3)의 주행으로 견인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적재프레임(100)은 전기차량(3)의 주행을 따라 이동되도록 지면에 접하여 회전되는 바퀴부(110)가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바퀴부(110)에는 연결제동부(300)에 의해 회전이 정지되도록 브레이크드럼(111)이 구비된다.
이때, 바퀴부(110)는 적재프레임(100)이 연결제동부(300)에 의해 전기차량(3)의 주행으로 견인되는 구성이므로, 회전축에 의해 상호 연결되지만 회전축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지 않는다.
그리고, 배터리(200)는 적재프레임(100)에 적재되어 전기차량(3)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200)는 전기차량(3)이 충전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블(210)에 의해 전기차량(3)에 마련된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버터(220)가 구비된다.
한편, 연결제동부(300)는 적재프레임(100)에 구비되어 적재프레임(100)을 전기차량(3)에 연결하고, 전기차량(3)의 제동시 관성력에 의해 전기차량(3)의 제동과 연동되어 바퀴부(110)에 대한 제동력을 발생한다.
즉, 연결제동부(300)는 적재프레임(100)이 전기차량(3)의 주행을 따라 이동되도록 전기차량(3)과 적재프레임(100)을 연결하는 동시에 전기차량(3)이 주행도중 제동하면 적재프레임(100)도 함께 제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결제동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연결부(310) 및 제동부(320)를 포함한다.
작동연결부(310)는 적재프레임(100)이 관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하면서, 전기차량(3)과 적재프레임(100)을 연결한다.
이때, 작동연결부(310)는 커버부재(311), 결합부재(312), 탄성압축부재(313) 및 작동가압부재(3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버부재(311)는 적재프레임(100)에 구비되어 탄성압축부재(313)에 의해 결합부재(312)와 연결되면서 작동지지부재(314)를 수용한다.
그리고, 결합부재(312)는 커버부재(311)의 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전기차량(3)의 후방에 구비된 견인부재(3a)와 결합한다.
이러한 결합부재(312)는 작업자에 의해 분리된 상태에서 견인부재(3a)와 결합하거나 견인부재(3a)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도록 손잡이(312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탄성압축부재(313)는 커버부재(311)와 결합부재(312)에 연결되고, 적재프레임(100)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압축된다.
즉, 탄성압축부재(313)는 커버부재(311)와 결합부재(3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부재(311)와 결합부재(312)를 연결하고, 전기차량(3)이 주행도중 제동하면 적재프레임(100)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압축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탄성압축부재(313)는 전기차량(3)이 주행도중 제동하면 관성력에 의해 적재프레임(100)이 전방 이동되어 압축되고, 압축된 상태에서 전기차량(3)이 다시 주행하면 탄성 복원된다.
그리고, 작동가압부재(314)는 커버부재(311)와 탄성압축부재(313)에 수용되도록 결합부재(312)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적재프레임(100)의 전방 이동시 제동부(320)를 가압하여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작동가압부재(314)는 전기차량(3)이 주행도중 제동하면 제동부(320)가 전기차량(3)의 제동에 의해 제동부(320)에 구비된 회동부재(321)를 가압한다.
한편, 제동부(320)는 작동연결부(310)와 연동되도록 적재프레임(110)에 설치되고, 적재프레임(110)의 전방 이동시 바퀴부(11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러한 제동부(320)는 회동부재(321) 및 와이어부재(320)를 포함한다.
회동부재(321)는 적재프레임(100)에 힌지 연결되어 적재프레임(100)의 전방 이동시 작동연결부(310)에 의해 회동한다. 이때, 회동부재(321)는 일측이 작동연결부(310)에 구비된 작동가압부재(314)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타측이 와이어부재(320)와 연결된다.
이러한 회동부재(321)는 전기차량(3)이 주행도중 제동하여 적재프레임(100)이 전방으로 이동되면 작동연결부(310)에 구비된 작동가압부재(314)의 단부에 가압되어 회동되고, 회동된 상태에서 전기차량(3)이 다시 주행하면 작동연결부(310)에 구비된 작동가압부재(314)의 단부와 이격되어 원래의 상태로 탄성 복원된다.
그리고, 와이어부재(320)는 회동부재(321)와 바퀴부(110)에 연결되어 회동부재(321)의 회동에 의한 당김력으로 바퀴부(11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때, 와이어부재(320)는 일단이 회동부재(321)에 고정되고, 타단이 바퀴부(110)에 구비된 브레이크드럼(111)에 고정된다.
즉, 와이어부재(320)는 평상시 회동부재(321)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되다가 회동부재(321)가 회동되면 이에 연동하여 당김력으로 브레이크드럼(111)을 작동시켜 바퀴부(110)에 회전이 정지되게 한다.
한편, 연결제동부(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이동부(400)에 의해 적재프레임(100)의 전방 높이가 조절되어 전기차량(3)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이동부(400)는 연결제동부(300)에 구비된 결합부재(312)가 분리된 상태에서 전기차량(3)의 견인부재(3a)에 결합되거나 전기차량(3)의 견인부재(3a)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도록 적재프레임(100)의 전방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분리된 결합부재(312)를 전기차량(3)의 견인부재(3a)에 결합시킬 때에는 먼저 적재프레임(100)의 전방을 상승시킨다. 그런 다음 결합부재(312)가 차량의 후방과 결합할 수 있는 선상에 위치되도록 적재프레임(100)을 이동시킨 후에 적재프레임(100)의 전방을 하강시킨다.
또한, 결합부재(312)를 전기차량(3)의 견인부재(3a)에서 분리시킬 때에는 적재프레임(100)의 전방을 상승시킨 후에 결합부재(312)가 차량의 후방에서 이격되도록 적재프레임(100)을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승강이동부(120)는 실린더(121) 및 보조바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21)는 적재프레임(100)의 하측면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어 적재프레임(100)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실린더(121)는 적재프레임(100)이 전기차량(3)의 주행을 따라 이동할 때에는 원활한 주행을 위해 보조바퀴부(122)가 지면에서 이격되게 한다.
그리고, 보조바퀴부(122)는 실린더(121)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지면에 접하여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정지된 적재프레임(100)을 이동시키기 매우 용이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차량(3)의 견인부재(3a)에 연결제동부(300)를 적은 힘으로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트레일러 3: 전기차량
100: 적재프레임 110: 바퀴부
111: 브레이크드럼 200: 배터리
300: 연결제동부 310: 작동연결부
311: 커버부재 312: 결합부재
313: 탄성압축부재 314: 작동가압부재
320: 제동부 321: 회동부재
322: 와이어부재 400: 승강이동부
410: 실린더 420: 보조바퀴부

Claims (5)

  1. 전기차량의 후방에 배치되고, 바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전기차량의 주행으로 이동되는 적재프레임;
    상기 전기차량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적재프레임에 적재되며, 케이블에 의해 상기 전기차량과 연결되는 컨버터가 구비되는 배터리; 및
    상기 적재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프레임을 상기 전기차량에 연결하고, 상기 전기차량의 제동시 관성력에 의해 상기 전기차량의 제동과 연동되어 상기 바퀴부에 대한 제동력을 발생하는 연결제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제동부는,
    상기 적재프레임이 관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전기차량과 상기 적재프레임을 연결하는 작동연결부; 및
    상기 작동연결부와 연동되도록 상기 적재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프레임의 전방 이동시 상기 바퀴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연결부는,
    상기 적재프레임에 구비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전기차량의 후방에 결합하는 결합부재;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적재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압축되는 탄성압축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탄성압축부재에 수용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적재프레임의 전방 이동시 가압력으로 상기 제동부를 작동시키는 작동가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적재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적재프레임의 전방 이동시 상기 작동연결부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바퀴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한 당김력으로 상기 바퀴부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와이어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제동부는, 승강이동부에 의해 상기 적재프레임의 전방 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전기차량의 후방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
KR1020170101925A 2017-08-10 2017-08-10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 KR20190017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925A KR20190017304A (ko) 2017-08-10 2017-08-10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925A KR20190017304A (ko) 2017-08-10 2017-08-10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304A true KR20190017304A (ko) 2019-02-20

Family

ID=6556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925A KR20190017304A (ko) 2017-08-10 2017-08-10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73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223A (ko)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화신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
KR20230091601A (ko) * 2021-12-16 2023-06-23 디와이이노베이트 주식회사 이동형 충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5223A (ko) *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화신 피견인차량용 제동장치
KR20230091601A (ko) * 2021-12-16 2023-06-23 디와이이노베이트 주식회사 이동형 충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2084B2 (en) Control system for equipment on a vehicle with a hybrid-electric powertrain
EP3847051A1 (en)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mining machine
AU2010347252B2 (en) Control system for equipment on a vehicle with a hybrid-electric powertrain and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combination valve
KR20130097727A (ko) 하이브리드 작업 차량
MXPA06013507A (es) Sistema para integrar equipo de carroceria con un tren de energia hibrido de vehiculo.
JP5842328B2 (ja) セミトレーラ式のハイブリッド車両
KR102585749B1 (ko) 친환경 차량과 그에 연결된 트레일러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728927B2 (ja) トレーラ
CN102442290B (zh) 智能驻车制动及辅助起步控制装置
CN103738194A (zh) 电驱动矿用汽车
KR20190017304A (ko) 전기자동차용 비상 충전 트레일러
CN111717035A (zh) 超大吨位电传动装载机制动系统及制动方法
EP2231435B1 (en) Hybrid refuse collection vehicle with an equipment electrical power take off
KR20140016036A (ko) 화물자동차용 하이브리드장치
CN210792810U (zh) 一种新能源汽车两级电力制动与能量回收系统
CN203666418U (zh) 电驱动矿用汽车
JP2012126305A (ja) トレーラ
CN106240381B (zh) 电驱动制动能量回收矿用车
KR20150123358A (ko) 회생제동 협조 제어 기능을 갖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JP2017189047A (ja) 可搬型充電装置
JP6060244B2 (ja) 電動作業車両
CN107139897A (zh) 一种新能源汽车的刹车系统、能量回收装置、新能源汽车
CN103448736B (zh) 无人驾驶电机车
JP2013060280A (ja) 電動作業車両
CN106427948A (zh) 机动车驻车防前、后溜自动垫轮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