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231A - 홍삼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삼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1231A
KR20230041231A KR1020210124583A KR20210124583A KR20230041231A KR 20230041231 A KR20230041231 A KR 20230041231A KR 1020210124583 A KR1020210124583 A KR 1020210124583A KR 20210124583 A KR20210124583 A KR 20210124583A KR 20230041231 A KR20230041231 A KR 20230041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ixing
shaft
raw materi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희
한겨레
이동현
조현서
이강덕
이은정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4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1231A/ko
Publication of KR2023004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4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5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분말, 회화나무 열매 추출물, 대두이소플라본, 산화아연, 및 비타민 제제를 혼합하여 기능성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성 원료에 부원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부원료를 혼합하는 단계는 내부 공간부 및 이에 연통되는 투입부와 인출부를 갖고 눕혀진 원통형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공간부 중심에 회전케 장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축 결합되는 원통형 지지체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구동부와, 상기 지지체에 축 결합되는 다수의 혼합헤드와, 상기 샤프트 회전 시 상기 각 혼합헤드를 출몰(出沒) 동작케 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혼합기를 사용하도록 구현함으로써, 홍삼을 포함하는 기능성 원료와 각종 부원료를 적절히 배합하면서도 취식성을 향상시켜 섭취가 용이하기 때문에 이용자의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홍삼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홍삼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FOR IMPROVING FEMALE CLIMACTERIC SYMPTOMS COMPRISING RED GINSENG}
본 발명은 홍삼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갱년기 개선에 효과가 있는 홍삼을 함유하면서도 취식성을 향상시킨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성 갱년기의 알려진 증상으로는 골다공증, 고지혈증, 안면홍조, 유방암, 우울증과 같은 갱년기 증후군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갱년기 증후군의 치료와 예방에 중요한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 및 폐경기 여성 질환 관련 바이오 마커들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갱년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에스트로겐 등의 호르몬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호르몬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천연 원료의 개발이 필요하여 다양한 갱년기 증상 완화용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73016호에서는 홍삼 및 양배추 추출물을 이용하여 여성 갱년기 증상을 개선하는 건강식품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126687호에서는 난황레시틴을 적용하고 갱년기 개선에 유효한 혼합재를 혼합함으로써 홍삼 함유 조성물의 사포닌 흡수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갱년기 증상을 완화시키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들의 결과로부터 홍삼의 갱년기 증상 완화 효과를 확인할 수는 있으나, 홍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우 맛이나 이취로 인하여 취식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소비자는 약을 복용하듯 섭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홍삼을 함유하면서도 취식성이 개선되어 갱년기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에 적용가능한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7301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12668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홍삼을 포함하는 기능성 원료와 각종 부원료를 적절히 배합하면서도 취식성을 향상시켜 섭취가 용이한 여성 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홍삼 분말, 회화나무 열매 추출물, 대두이소플라본, 산화아연, 및 비타민 제제를 혼합하여 기능성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원료에 부원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능성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부원료를 혼합하는 단계는 내부 공간부 및 이에 연통되는 투입부와 인출부를 갖고 눕혀진 원통형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공간부 중심에 회전케 장착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축 결합되는 원통형 지지체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구동부와, 상기 지지체에 축 결합되는 다수의 혼합헤드와, 상기 샤프트 회전 시 상기 각 혼합헤드를 출몰(出沒) 동작케 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혼합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능성 원료는 홍삼 분말 35 내지 40 중량부, 회화나무 열매 추출물 25 내지 30 중량부, 대두이소플라본 5 내지 10 중량부, 산화아연 0.5 내지 1 중량부, 및 비타민 제제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부원료는 산호칼슘 1 내지 5 중량부, L-테아닌 1 내지 5 중량부, 결정셀룰로오스 1 내지 5 중량부, 구연산 1 내지 5 중량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1 내지 5 중량부,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 내지 5 중량부, 하이프로멜로스(HPMC) 1 내지 5 중량부, 건조효모 1 내지 5 중량부, 이산화규소 1 내지 5 중량부, 실크펩타이드 1 내지 5 중량부, 석류추출분말 0.5 내지 1 중량부, 포스파타딜세린 0.1 내지 0.5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성 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홍삼을 포함하는 기능성 원료와 각종 부원료를 적절히 배합하면서도 취식성을 향상시켜 섭취가 용이하기 때문에 이용자의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혼합기를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혼합기를 나타낸 정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 구성도,
도 5는 혼합헤드 및 스크러버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혼합기의 혼합헤드 출몰 동작을 나타낸 정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홍삼 분말, 회화나무 열매 추출물, 대두이소플라본, 산화아연, 및 비타민 제제를 혼합하여 기능성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 원료에 부원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능성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부원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홍삼의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의 효과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2073016호에서도 언급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홍삼 추출물을 적용함으로써 홍삼의 유효성분을 다량 함유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우 맛이나 이취로 인해 이용자의 기호도가 떨어지며, 이로 인해 꾸준한 섭취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홍삼 성분으로서 홍삼 분말을 사용하는데 이를 통해 홍삼 특유의 이취를 줄일 수 있고 다른 성분들과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섭취에 용이하도록 맛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여성 갱년기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유효성분으로 홍삼 분말과 함께 회화나무 열매 추출물, 대두이소플라본, 산화아연, 및 비타민 제제를 혼합하여 기능성 원료를 제조한다.
상기 회화나무 열매는 가지 및 나무껍질과 더불어 치질치료에 쓰이기도 하며, 동맥경화 및 고혈압의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04603호 등에서는 회화나무의 열매가 에스트로겐 분비를 촉진하고, 콜라게네이즈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효능으로 인해 여성 갱년기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두이소플라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83692호에서 비타민과 병용함으로써 갱년기 증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산화아연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596728호에서 홍삼과 병용함으로써 갱년기 증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갱년기 증상의 완화에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는 성분들을 상기 홍삼 분말과 배합함으로써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에 특히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의 취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원료를 혼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성분들을 혼합하는 혼합 공정을 최적화하면 혼합 및 분말화가 진행되면서 취식성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물과 함께 섭취하거나 물에 녹여 섭취할 때 이취나 이물감이 적어 쉽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능성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부원료를 혼합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혼합기를 적용하고 있다. 즉, 혼합기에 기능성 원료의 각각의 성분을 필요한 양만큼 투입하고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저속 혼합한 후 여기에 부원료를 투입하고 다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저속 혼합함으로써 분말화와 함께 이취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혼합기를 사용하여 저속 혼합할 때 50 내지 100rpm의 속도로 혼합할 수 있는데, 저속 혼합을 하더라도 각 성분의 균질 배합과 분말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혼합기를 설계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기(100)는
내부 공간부(11) 및 이에 연통되는 투입부(12)와 인출부(13)를 갖고 눕혀진 원통형의 드럼(10),
상기 드럼(10)의 공간부(11) 중심에 회전케 장착되는 샤프트(20),
상기 샤프트(20)에 축 결합되는 원통형 지지체(30),
상기 샤프트(2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구동부(40),
상기 지지체(30)에 축 결합되는 다수의 혼합헤드(50), 그리고
상기 샤프트(20) 회전 시 상기 각 혼합헤드(50)를 출몰(出沒) 동작케 하는 구동수단(6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드럼(10)은 속이 비어 있고 눕혀진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특히 상부 측에 상기 투입부(12)가 배치되며, 하부 측에 상기 인출부(13)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투입부(12)와 상기 인출부(13)에는 각각 별도의 개폐도어가 마련되는 것은 자명하다.
그리고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샤프트(20)는 상기 드럼(10)의 공간부(11) 전후 단부에 회전케 장착되며, 이때 장착되는 단부에 별도의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체(30)는 상기 리세스(61) 형성을 위한 공간 확보용 구성으로서, 상기 샤프트(20)에 고정 결합됨에 따라 상기 샤프트(2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샤프트구동부(40)는 구동스프로켓(41)을 갖는 구동모터(42)와, 상기 샤프트(20)의 단부에 축 결합되는 종동스프로켓(43)과, 상기 구동 및 종동 스프로켓(41, 43)을 상호 연결하는 구동벨트(44)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터(42) 구동 시 상기 샤프트(20)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샤프트구동부(40)는 일예 일뿐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 샤프트(2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각 혼합헤드(50)는 원통 구조이면서 타단에 다수의 타격돌기(51)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혼합헤드(50)의 일단에는 연장되어 지름이 확경된 후술할 슬라이더(64)가 형성되며, 이러한 슬라이더(64)는 후술할 리세스(61) 내에서 슬라이딩 되며 후술할 단턱부(62)에 걸려 더 이상의 출(出) 동작(리세스로부터 빠져나오는 동작)이 제한된다.
아울러 상기 각 혼합헤드(50)는 상기 지지체(30)의 외주면에 방사상(放射狀)으로 네 개소(個所)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지지체(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60)은
상기 지지체(3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요입 형성되는 리세스(61)와,
상기 리세스(61)의 입구에 형성되는 환형(環形)의 단턱부(62)와,
상기 리세스(61)의 바닥면 중심에 세워지는 사각 포스트(63)와,
상기 혼합헤드(5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리세스(61)에 내외로 슬라이딩 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64)와,
상기 슬라이더(64)의 일단에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63)와 상호 암수 결합되는 사각 가이드홈(65)과,
상기 리세스(61) 바닥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더(64)의 일단에 타단이 지지되는 리턴스프링(66)과,
상기 혼합헤드(50)의 타단에 내장되는 제1자석부재(67)와,
상기 드럼(10)의 공간부(11) 내주면을 따라 내장되며 상기 제1자석부재(67)와 동극을 이루어 척력(斥力)을 유도하는 다수의 제2자석부재(68)
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리세스(61)는 상기 슬라이더(64)가 적정 거리만큼 왕복 동작될 수 있는 정도의 깊이를 갖는다. 다시 말해 빠져나온 상기 혼합헤드(50)가 상기 드럼(10)의 공간부(11) 내벽과 인접할 정도의 거리를 이루고, 또 들어간 상기 혼합헤드가(50)가 상기 드럼(10)의 공간부(11) 내벽과 적정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64)의 이동거리에 맞는 정도의 깊이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64)는 사각 기둥 구조이고, 상기 가이드홈(65)은 사각 홈 구조로서, 서로 간의 암수 결합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혼합헤드(50)의 출몰 동작 시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도록 안내함은 물론, 상기 혼합헤드(50)가 헛돌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자석부재(67)와 상기 제2자석부재(68)는 서로 동극(예 : N극, N극)을 이룸에 따라 서로 인접하게 되면 척력(斥力)이 발생한다. 이러한 척력은 상기 혼합헤드(50)를 상기 리세스(61) 측으로 미는 힘으로 작용한다. 아울러 상기 제2자석부재(68)는 대략 상기 드럼(10)의 공간부(11) 내주면을 따라 육 개소(個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원료의 성분, 혼합헤드의 중량, 자석부재의 자력 세기 등의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배치 수량 및 간격이 변경될 수 있다.
결국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샤프트구동부(40)에 의해 상기 샤프트(20) 및 상기 혼합헤드(50) 회전 시 상기 제1자석부재(67)와 상기 제2자석부재(68)가 서로 마주하게 되면 상기 혼합헤드(50)가 척력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리턴스프링(66)이 압축되며, 상기 제2자석부재(68)로부터 상기 제1자석부재(67)가 벗어나게 되면 상기 리턴스프링(6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혼합헤드(50)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는 출몰(出沒)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10)의 공간부(11)에 수용된 기능성 원료 및 부원료가 회전하는 각 혼합헤드(50)에 의해 골고루 혼합되고, 이때 각 혼합헤드(50)의 출몰 동작에 의해 좀 더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면서 원료들을 타격 분쇄시켜 미세입자 크기로 분말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혼합기(100)에는 상기 혼합헤드(50)에 끼워져 상기 지지체(30)에 장착되며 상기 혼합헤드(5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스크럽헤드(71)를 갖는 스크러버(7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스크러버(70)의 스크럽헤드(71)는 단면이 첨단(尖端) 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기 혼합헤드(50)의 몰(沒) 동작(상기 리세스(30) 내로 들어가는 동작) 시 상기 혼합헤드(50)의 외주면에 흡착된 원료들을 제거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아울러 상기 스크럽헤드(71)는 상기 혼합헤드(50)와의 밀착성을 위해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크러버(70)는 별도의 볼트 등에 의해 상기 지지체(30)에 볼팅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능성 원료의 제조를 위하여 홍삼 분말 35 내지 40 중량부, 회화나무 열매 추출물 25 내지 30 중량부, 대두이소플라본 5 내지 10 중량부, 산화아연 0.5 내지 1 중량부, 및 비타민 제제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부원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산호칼슘 1 내지 5 중량부, L-테아닌 1 내지 5 중량부, 결정셀룰로오스 1 내지 5 중량부, 구연산 1 내지 5 중량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1 내지 5 중량부,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 내지 5 중량부, 하이프로멜로스(HPMC) 1 내지 5 중량부, 건조효모 1 내지 5 중량부, 이산화규소 1 내지 5 중량부, 실크펩타이드 1 내지 5 중량부, 석류추출분말 0.5 내지 1 중량부, 포스파타딜세린 0.1 내지 0.5 중량부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조성물의 취식성을 고려한 것으로서, 상기 범위에서 혼합할 때 이용자의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형태로 섭취할 수 있으며, 정제로 제조하여 물과 함께 섭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분말 형태의 조성물을 물에 녹여 음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 1에서와 같은 배합비율로 기능성 원료를 40분 간 혼합한 후 여기에 부원료의 성분을 부가하여 다시 50분 간 혼합하여 분말을 수득하였다.
원 료 명 배합비율(중량부)





기능성원료
홍삼분말(6.6mg/g) 38.0000
회화나무열매추출물(13%) 25.0000
대두이소플라본(210mg/g) 8.1675
비타민C 7.5000
산화아연(80%) 0.9375
비타민A혼합제제(11.5%) 0.4500
비타민D3혼합제제(0.25%) 0.3375
비타민B6염산염(82%) 0.1500
비타민B1염산염(78%) 0.1350
비타민B2 0.1200






부원료
산호칼슘, 34% 4.5000
L-테아닌 2.5000
결정셀룰로스 2.1020
구연산 2.0000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1.500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5000
HPMC 1.5000
건조효모 1.0000
이산화규소 1.0000
실크펩타이드 1.0000
석류추출분말 0.5000
포스파타딜세린 0.1000
상기 정제를 50 내지 60세 여성 40명을 선정하여 20g의 분말을 물 100㎖와 함께 섭취하도록 하였다(실시예). 또한, 비교를 위하여 상기 기능성 원료 및 부원료를 통상의 분쇄기를 사용하여 200목 이하로 분쇄한 분말 20g을 물 100㎖와 함께 섭취하도록 하였다(비교예).
섭취 후 5점 척도법(1: 매우 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매우 좋음)으로 이취 및 목넘김을 평가하였다. 이때, 최고점과 최저점을 제외한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결과는 표 2와 같다.
이취 목넘김
실시예 4.8 4.4
비교예 3.6 3.2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의 조성물에 대하여 각종 성분에서 발생하는 이취가 적으며 물과 함께 섭취할 때 목넘김이 좋아 쉽게 취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하여 통상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각 성분들을 혼합 및 분쇄하여 수득된 조성물의 경우 이취가 있고 목넘김이 보통이어서 실시예의 조성물에 비해 기호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적용하면 여성 갱년기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성 성분들을 쉽게 취식할 수 있도록 취식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홍삼과 같이 특유의 이취가 있는 성분을 함유하더라도 이취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냄새에 민감한 사용자도 쉽게 취식할 수 있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혼합기
10 : 드럼
11 : 공간부
12 : 투입부
13 : 인출부
20 : 샤프트
30 : 지지체
40 : 샤프트구동부
41 : 구동스프로켓
42 : 구동모터
43 : 종동스프로켓
44 : 구동벨트
50 : 혼합헤드
51 : 타격돌기
60 : 구동수단
61 : 리세스
62 : 단턱부
63 : 포스트
64 : 슬라이더
65 : 가이드홈
66 : 리턴스프링
67 : 제1자석부재
68 : 제2자석부재
70 : 스크러버
71 : 스크럽헤드

Claims (5)

  1. 홍삼 분말, 회화나무 열매 추출물, 대두이소플라본, 산화아연, 및 비타민 제제를 혼합하여 기능성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성 원료에 부원료를 혼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부원료를 혼합하는 단계는
    내부 공간부(11) 및 이에 연통되는 투입부(12)와 인출부(13)를 갖고 눕혀진 원통형의 드럼(10)과, 상기 드럼(10)의 공간부(11) 중심에 회전케 장착되는 샤프트(20)와, 상기 샤프트(20)에 축 결합되는 원통형 지지체(30)와, 상기 샤프트(20)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구동부(40)와, 상기 지지체(30)에 축 결합되는 다수의 혼합헤드(50)와, 상기 샤프트(20) 회전 시 상기 각 혼합헤드(50)를 출몰(出沒) 동작케 하는 구동수단(60)으로 이루어진 혼합기(100)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원료는 홍삼 분말 35 내지 40 중량부, 회화나무 열매 추출물 25 내지 30 중량부, 대두이소플라본 5 내지 10 중량부, 산화아연 0.5 내지 1 중량부, 및 비타민 제제 5 내지 1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원료는 산호칼슘 1 내지 5 중량부, L-테아닌 1 내지 5 중량부, 결정셀룰로오스 1 내지 5 중량부, 구연산 1 내지 5 중량부,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1 내지 5 중량부,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 내지 5 중량부, 하이프로멜로스(HPMC) 1 내지 5 중량부, 건조효모 1 내지 5 중량부, 이산화규소 1 내지 5 중량부, 실크펩타이드 1 내지 5 중량부, 석류추출분말 0.5 내지 1 중량부, 포스파타딜세린 0.1 내지 0.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60)은
    상기 지지체(30)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요입 형성되는 리세스(61)와,
    상기 리세스(61)의 입구에 형성되는 환형(環形)의 단턱부(62)와,
    상기 리세스(61)의 바닥면 중심에 세워지는 사각 포스트(63)와,
    상기 혼합헤드(5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리세스(61)에 내외로 슬라이딩 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64)와,
    상기 슬라이더(64)의 일단에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63)와 상호 암수 결합되는 사각 가이드홈(65)과,
    상기 리세스(61) 바닥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더(64)의 일단에 타단이 지지되는 리턴스프링(66)과,
    상기 혼합헤드(50)의 타단에 내장되는 제1자석부재(67)와,
    상기 드럼(10)의 공간부(11) 내주면을 따라 내장되며 상기 제1자석부재(67)와 동극을 이루어 척력(斥力)을 유도하는 다수의 제2자석부재(68)
    로 이루어져,
    상기 샤프트구동부(40)에 의해 상기 샤프트(20) 및 상기 혼합헤드(50) 회전 시 상기 제1자석부재(67)와 상기 제2자석부재(68)가 서로 마주하게 되면 상기 혼합헤드(50)가 척력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리턴스프링(66)이 압축되며, 상기 제2자석부재(68)로부터 상기 제1자석부재(67)가 벗어나게 되면 상기 리턴스프링(6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혼합헤드(50)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는 출몰(出沒)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100)에는 상기 혼합헤드(50)에 끼워져 상기 지지체(30)에 장착되며 상기 혼합헤드(5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스크럽헤드(71)를 갖는 스크러버(7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혼합헤드(50)의 타단에는 다수의 타격돌기(5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10124583A 2021-09-17 2021-09-17 홍삼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30041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583A KR20230041231A (ko) 2021-09-17 2021-09-17 홍삼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583A KR20230041231A (ko) 2021-09-17 2021-09-17 홍삼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231A true KR20230041231A (ko) 2023-03-24

Family

ID=85872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583A KR20230041231A (ko) 2021-09-17 2021-09-17 홍삼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123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687A (ko) 2018-05-02 2019-11-12 정시호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2073016B1 (ko) 2018-06-26 2020-02-0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6687A (ko) 2018-05-02 2019-11-12 정시호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2073016B1 (ko) 2018-06-26 2020-02-0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홍삼 추출물 및 양배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69682A1 (en) Functional Masticatory Material,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104256407A (zh) 一种功能性纳豆咀嚼片及其生产工艺
KR100331064B1 (ko) 혈중지질강하제를함유하는가공음식품
JP2007131620A (ja) 機能性咀嚼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使用方法
JP2007181447A (ja) 成分等を強化したそばとその製造方法。
KR100804410B1 (ko) 울금 및 금국이 함유된 유황오리환의 제조방법
KR19990063480A (ko) 비만 개선에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
JP2005500074A (ja) 女性/妊婦用の薬草由来の栄養補助製剤およびその調製方法
EP1629723A1 (en) A functional food and use thereof
KR101538136B1 (ko) 가오리와 호랑가시나무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용 환 및 그 제조 방법
JPWO2006011245A1 (ja) 体脂肪低減剤
KR20230041231A (ko) 홍삼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08266223A (ja) 冷え性改善用組成物
CN1085498C (zh) 解酒保肝护胃牛奶巧克力
JP2007230888A (ja) ノコギリヤシ抽出物を含有する栄養補助食品及び発癌予防剤
JP2006109751A (ja) 機能性咀嚼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87846A (ja) 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食品、抗関節炎剤、抗リュウマチ剤又は飼料
CN1718101A (zh) 一种蜂花粉大豆卵磷脂片及其制备方法
KR20180076483A (ko) 양파껍질과 자연재료를 이용한 전통건강차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321087A (ja) 健康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76596B1 (ko) 견과 및 종실류를 배합한 콜레스테롤저하기능을 갖는쌈장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230041240A (ko) 녹용을 포함하는 장어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0873393B1 (ko) 천마를 이용한 천마 분말과립
KR100604466B1 (ko) 메추리 사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위생 메추리알생산방법
CN214546958U (zh) 一种牛肉味调味油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