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687A -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687A
KR20190126687A KR1020180050936A KR20180050936A KR20190126687A KR 20190126687 A KR20190126687 A KR 20190126687A KR 1020180050936 A KR1020180050936 A KR 1020180050936A KR 20180050936 A KR20180050936 A KR 20180050936A KR 20190126687 A KR20190126687 A KR 20190126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lk
lecithin
red ginseng
yolk lecithin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시호
진서현
Original Assignee
정시호
진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시호, 진서현 filed Critical 정시호
Priority to KR1020180050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6687A/ko
Publication of KR20190126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4Emulsifier
    • A23V2250/1842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추출액 함유 조성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기반재로서 난황레시틴을 적용하고, 갱년기 개선에 유효한 혼합재를 혼합함으로써, 홍삼 함유 조성물의 사포닌 흡수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킴과 동시에, 홍삼의 면역 및 건강 증진 기능과 혼합재의 갱년기 개선 기능이 복합 발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YOLK LECITHIN BASED RED GINSENG CONTAINING MENOPAUSAL SYMPTOM RELIEVING COMPOSITION MANUFACTURING METHOD AND COMPOSITION THEREOF}
본 발명은 홍삼추출액 함유 조성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기반재로서 난황레시틴을 적용함으로써 사포닌 흡수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갱년기 개선에 유효한 혼합재를 혼합함으로써 홍삼의 면역 및 건강 증진 기능과 혼합재의 갱년기 개선 기능이 복합 발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인삼 또는 홍삼의 효능을 설명하는 구성성분으로서 대표적인 이차대사산물인 사포닌을 들 수 있으며, 인삼 유래 사포닌 즉,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는 비당체(aglycone)부분이 담마린계(dammarane 系)인 프로토페낙사디올(protopanaxadiol) 및 프로토파낙스트리올(protopanaxtriol)과 , 올레아난계(oleanane 系) 배당체(配糖體) 등으로 구성된다.
사람이 홍삼 또는 홍삼추출물을 입을 통하여 섭취하게 되면 비극성이 높은 알칼로이드 등은 위에서 흡수될 수 있으나 대부분의 다당체 및 사포닌은 흡수되지 않은 채, 일부는 장내 서식균에 의하여 소비되고 나머지는 배설된다.
예컨데, 진세노사이드 Rb1은 홍삼에 가장 많이 함유된 사포닌으로서 위나 소장에서 쉽게 흡수되지 않은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데, 인삼이나 홍삼의 효능을 체감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사포닌 대사 능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된다.
특히, 한국인 중 37%는 사포닌 분해 효소가 전혀 없거나, 효소 성분 중 일부가 결여되어 사포닌을 분해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설령 사포닌 분해 효소를 가지고 있어도 효소의 양이 충분하지 못하여 사포닌의 일관된 흡수도 형성과 이를 통한 효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진세노사이드 Rb1, Rb2 및 Rc 등을 비극성화하여 흡수성이 양호한 진세노사이드 Rg3로 전환하는 물리, 화학적 처리가 시도되어 왔으며, 그 구체적 사례로는 전통적 인삼 처리법인 구증구포(九蒸九曝)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반복 가열 및 건조 등에 기반한 처리과정에서 막대한 시간과 에너지가 소모될 뿐 아니라, 처리과정에서 유효 알칼로이드 및 휘발성 물질이 지속적으로 유실되는 심각한 문제가 초래된다.
이에, 장내 미생물인 유산균을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를 흡수가 용이한 대사산물로 전환하는 방법이 시도되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14-49280호 등을 들 수 있다.
공개특허 제2014-49280호를 비롯한 종래의 미생물 이용 진세노사이드 처리 기술을 통하여 열처리의 반복 없이도 진세노사이드의 흡수성을 일부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으나,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 또한 미생물의 접종 및 발효 등 복잡한 공정 및 장시간의 처리가 필요할 뿐 아니라, 미생물로 인한 관능성 변화에 따른 제품 특성 변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이에, 인지질(燐脂質)을 진세노사이드의 유효 성분의 전달체로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인지질은 세포막의 주성분으로서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가지며, 양친매성 구조로 인하여 용액상에서 적절하게 처리하면 리포좀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어, 약물을 포접하는 약물 전달체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인지질을 약물 전달체로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분리된 고순도의 인지질을 조합하여 최적의 혼합물을 형성하고, 이를 다시 적정 형태의 안정한 제형으로 완성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보조 유화제의 첨가 및 고압 균질기를 통한 처리 등, 고가의 제제 및 장비를 이용한 복잡한 공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다종의 인지질을 합성하는 경우에는 복잡한 합성 공정을 거쳐야 할 뿐 아니라, 광학이성질체 생성을 억제할 필요가 있어, 고가의 장비 및 복잡한 정제단계가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홍삼 유래 사포닌의 건강 증진 효과 특히, 면역력 증강 및 혈행 개선 등의 효과는 이미 널리 알려진 바 있으며, 이러한 기초적 건강 증진 효과 뿐 아니라, 홍삼 유래 사포닌에는 노화 방지 및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가 있음이 상당수의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홍삼 함유 조성물은 홍삼의 단독 작용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 갱년기 증상 개선에 유효한 여타 약리 성분과의 복합 작용 및 이를 통한 상승 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천연 인지질인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을 혼합하여 안전하며 효율적인 방식으로 진세노사이드의 흡수성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에 유효한 혼합재를 혼합함으로써 홍삼의 면역 및 건강 증진 기능과 혼합재의 갱년기 개선 기능이 복합 발현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건조 난황분과 주정을 혼합한 후 여과하여 난황액을 형성하는 난황액형성단계(S11)와, 난황액의 부피가 농축전 부피의 10% 내지 30%로 감소되도록 농축하는 난황액농축단계(S12)와, 난황농축액을 재차 농축하여 반액반고상의 난황레시틴을 기반재로 완성하는 레시틴형성단계(S20)와, 백수오추출물, 석류추출물, 오미자추출물 및 감마리놀렌산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혼합재와, 상기 기반재 및 홍삼추출액을 혼합하되, 홍삼추출액 1g 당, 기반재 2g 내지 15g와, 혼합재 0.1g 내지 5g의 비율로 혼합하는 혼합단계(S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이다.
또한,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건조 난황분과 주정을 혼합한 후 여과하여 난황액을 형성하는 난황액형성단계(S11)와, 난황액의 부피가 농축전 부피의 10% 내지 30%로 감소되도록 농축하는 난황액농축단계(S12)와, 난황농축액을 재차 농축하여 반액반고상의 난황레시틴을 완성하는 레시틴형성단계(S20)와, 상기 난황레시틴에, 초산나트륨 완충액 및 레시타제를 혼합하여 레시틴용액을 형성하는 레시틴용해단계(S25)와, 상기 레시틴용액에 주정을 혼합 용해한 후 건조하여 건조분해레시틴을 형성하는 용해물건조단계(S26)와, 상기 건조분해레시틴에 주정을 추가 투입한 후 여과 및 농축, 건조하여 가수분해 난황레시틴을 기반재로 완성하는 레시틴고정단계(S29)와, 백수오추출물, 석류추출물, 오미자추출물 및 감마리놀렌산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혼합재와, 상기 기반재 및 홍삼추출액을 혼합하되, 홍삼추출액 1g 당, 기반재 2g 내지 15g와, 혼합재 0.1g 내지 5g의 비율로 혼합하는 혼합단계(S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이다.
또한, 상기 레시틴형성단계(S20)는 난황액농축단계(S12)에서 형성된 난황농축액을 정치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여 유동성 침강액을 형성하는 농축액정치단계(S21)와, 상기 유동성 침강액을 재차 농축하는 침강액농축단계(S2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상기 레시틴형성단계(S20)는 난황액농축단계(S12)에서 형성된 난황농축액과 아세톤을 혼합하고 정치하여 침강시킨 후 상등액을 제거하여 유동성 침강액을 형성하는 혼합침강단계(S23)와, 상기 유동성 침강액을 재차 농축하는 침강액농축단계(S2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홍삼 함유 조성물의 사포닌 흡수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홍삼 함유 식품 또는 제제(製劑)의 약리효과를 제고하고, 연관 제품의 성능 및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갱년기 증상 개선에 유효한 혼합재를 통하여 홍삼의 면역 및 건강 증진 기능과 혼합재의 갱년기 개선 기능이 복합 발현될 수 있다.
특히, 홍삼 함유 조성물의 기반재로서 난황레시틴을 적용함으로써, 난황레시틴 자체의 다양한 효능과 홍삼 사포닌 효능의 복합 작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흐름도
도 2는 시료별 장 흡수도 그래프
도 3은 시료별 Caco-2 세포에 의한 진세노사이드 함량
도 4는 시료별 SD 쥐의 혈중 진세노사이드 함량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난황레시틴(卵黃 lecithin)을 기반으로 하는 홍삼추출액 함유 식품용 조성물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난황레시틴은 기본적으로 건조 난황분(卵黃粉)에 주정(酒精)을 가하여 제조되며 그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우선, 건조 난황분과 주정을 혼합한 후 여과하여 난황액을 형성하는 난황액형성단계(S11)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용되는 주정은 발효 주정으로서, 순도 95% 이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황액형성단계(S11)에 있어서 건조 난황분과 주정의 혼합비는 건조 난황분 100g 당 주정 500㎖ 내지 1,000㎖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후 진행되는 농축 처리 등의 효율을 고려할 때 건조 난황분 100g 당 주정 500㎖의 혼합비가 적절한데, 후술할 고순도 난황레시틴의 제조에 있어서는 건조 난황분 100g 당 주정 1,000㎖의 혼합비가 적절하다.
혼합된 건조 난황분과 주정은 교반조에 투입되어 맹렬하게 교반되는데, 교반 시간과 속도는 30분 내지 2시간동안 300RPM으로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후, 건조 난황분과 주정이 혼합, 교반된 혼합액을 Whatman No.2 여과지로 여과하여 난황박(卵黃粕)과 난황액으로 고액분리함으로써 난황액형성단계(S11)가 완료된다.
난황액형성단계(S11)가 완료되면, 난황액형성단계(S11)를 통하여 형성된 난황액이 난황액농축단계(S12)를 거쳐 농축됨으로써 난황농축액이 형성되는데, 난황액농축단계(S12)에서는 상기 난황액의 부피가 농축전 부피의 10% 내지 30%로 감소되도록 농축하여 난황농축액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농축 방식으로는 회전감압농축기를 적용한 감압농축이 적용될 수 있다.
난황액농축단계(S12)가 완료되면, 생성된 난황농축액을 재차 농축하여 반액반고상(半液半固狀)의 난황레시틴을 후술할 홍삼추출액 및 갱년기 개선 혼합재와 혼합될 기반재로서 완성하는 레시틴형성단계(S20)가 수행되는데, 이 레시틴형성단계(S20)는 도 1에서와 같이, 기본형 난황레시틴을 형성하는 과정과, 고순도(高純度) 난황레시틴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우선, 기본형 난황레시틴을 형성하는 레시틴형성단계(S20)는 난황액농축단계(S12)에서 형성된 난황농축액을 상온에서 수시간 정치(定置)한 후 상등액(上等液)을 제거하여 유동성 침강액을 형성하는 농축액정치단계(S21)로 개시된다.
이후, 상등액이 제거된 유동성 침강액을 재차 농축하는 침강액농축단계(S22)가 수행됨으로써, 비로소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본형 난황레시틴이 완성되는데, 이때 적용되는 유동성 침전물의 농축 방식으로는 전술한 난황액농축단계(S12)에서와 같이 감압농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침강액농축단계(S22)를 거쳐 최종 형성되는 기본형 난황레시틴은 난황액형성단계(S11)에서 투입된 건조 난황분 중량의 10% 내지 30%가 되도록 농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건조 난황분 100g을 전술한 난황액형성단계(S11) 내지 침강액농축단계(S22)를 거쳐 처리하면 기반재로서의 기본형 난황레시틴 10g 내지 30g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고순도 난황레시틴을 형성하는 레시틴형성단계(S20)는 난황액농축단계(S12)에서 형성된 난황농축액과 아세톤을 혼합하고 정치하여 침강시킨 후 상등액(上等液)을 제거하여 유동성 침강액을 형성하는 혼합침강단계(S23)로 개시된다.
혼합침강단계(S23)에서는 15℃로 조절된 아세톤을 난황액형성단계(S11)에서 투입되는 건조 난황분 100g 당 아세톤 500㎖ 내지 800㎖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고순도 난황레시틴의 제조에 있어서 난황액형성단계(S11) 수행시에는 건조 난황분과 주정의 혼합비로서 건조 난황분 100g 당 주정 1,000㎖를 적용하여 기본형 난황레시틴에 비하여 다량의 주정을 투입함으로써 용출 촉진을 도모한다.
또한, 혼합침강단계(S23)를 수행함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1차 아세톤 혼합 및 상등액 제거 후, 1차 투입된 아세톤 부피의 50% 부피의 아세톤을 재차 투입한 후 상등액을 재차 제거하는 과정을 1 내지 3회 반복함으로써, 불요(不要) 성분을 제거하고 레시틴 함유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혼합침강단계(S23)를 통하여 형성된 유동성 침강액은 전술한 침강액농축단계(S22)를 통하여 처리됨으로써, 기반재로서의 고순도 난황레시틴이 완성된다.
한편, 전술한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기본형 난황레시틴 또는 고순도 난황레시틴을 가수분해하여 일종의 리소레시틴(lyso-lecithin)을 형성하고, 이를 홍삼추출액 및 갱년기 개선 혼합재와 혼합될 기반재로서 적용함로써, 흡수율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가수분해 난황레시틴의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전술한 기본형 난황레시틴 또는 고순도 난황레시틴에, 초산나트륨 완충액 및 레시타제(lecithase)를 혼합, 교반하여 레시틴용액을 형성하는 레시틴용해단계(S25)가 수행된다.
레시틴용해단계(S25)에 있어서 적용되는 초산나트륨 완충액은 염화칼슘이 함유된 pH6.0의 수용액으로서, 기본형 난황레시틴의 경우 기본형 난황레시틴 50g 당 염화칼슘 100mM이 함유된 pH6.0의 초산나트륨 완충액 5㎖와 레시타제 2㎖를 혼합하는 비율이 적용되고, 고순도 난황레시틴의 경의 고순도 난황레시틴 5g 당 염화칼슘 100mM이 함유된 pH6.0의 초산나트륨 완충액 40㎖와 레시타제 0.5㎖를 혼합하는 비율이 적용되는데, 고순도 난황레시틴의 경우 50㎖의 에틸아세테이트가 추가로 첨가된다.
이러한 레시틴용해단계(S25)는 이중 재킷 유리 비이커 등 온도 조절이 가능한 반응조에서 수행되며, 40℃에서 2시간동안 300RPM 이상으로 맹렬하게 교반하면서 반응시킴으로써, 레시틴용액을 형성하게 된다.
레시틴용해단계(S25)가 완료되면, 레시틴용액에 충분한 주정을 혼합하고 65℃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농축, 건조하여 수분과 주정을 제거함으로써 건조분해레시틴을 형성하는 용해물건조단계(S26)가 수행되는데, 용해물건조단계(S26)에서 투입되는 주정은 전술한 레시틴용해단계(S25)에서 투입되는 기본형 난황레시틴 또는 고순도 난황레시틴 1g 당 10㎖ 내지 100㎖의 비율로 충분하게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고순도 난황레시틴이 적용되는 경우 용해물건조단계(S26)의 수행에 있어서 주정의 혼합에 선행하여, 레시틴용액에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 및 교반한 후 침전시켜 상등액을 제거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는데, 이때 혼합되는 에틸아세테이트는 직후 혼합될 주정과 동량(同量)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해물건조단계(S26)가 완료되면, 건조분해레시틴에 주정을 추가 투입한 후 여과 및 농축, 건조하는 레시틴고정단계(S29)가 수행됨으로써, 기반재로서의 가수분해 난황레시틴 즉,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 또는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이 완성되는데, 레시틴고정단계(S29)에서 추가 투입되는 주정은 전술한 용해물건조단계(S26)에서와 같이, 기본형 난황레시틴 또는 고순도 난황레시틴 1g 당 10㎖ 내지 100㎖의 비율로 충분하게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시틴고정단계(S29)에서 적용되는 여과 내지 농축, 건조 방식은 전술한 여과지 이용 여과 및 감압농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레시틴고정단계(S29)를 통하여 형성되는 가수분해 레시틴은 그 중량이 전술한 레시틴용해단계(S25)에서 투입되는 기본형 난황레시틴 또는 고순도 난황레시틴 중량의 60% 내지 80%가 되도록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레시틴용해단계(S25)에서 투입된 레시타제 등 효소가 전술한 레시틴고정단계(S29)가 완료된 후에도 충분히 불활성화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레시틴고정단계(S29)를 수행함에 있어서, 용해물건조단계(S26)를 거쳐 형성된 건조분해레시틴을 질소분위기에서 90℃로 10분간 처리하여 효소를 불활성화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기반재로서의 난황레시틴 즉, 기본형 난황레시틴, 고순도 난황레시틴,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 또는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난황레시틴 기반재와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를 가지는 혼합재 및 홍삼추출액을 배합함으로써 흡수율이 우수한 홍삼 함유 난황레시틴 기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기본형 난황레시틴, 고순도 난황레시틴,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 및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의 구체적인 제조 과정과, 이들 기반재와 홍삼추출액 혼합물의 흡수도 실험 과정 및 그 결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은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제조되어 후술할 흡수도 실험에 적용된다.
건조 난황분 500g과 순도 95%의 주정 3,000㎖를 5L 반응조에 투입하고 상온에서 300RPM으로 1시간 교반한 후, Whatman No.2 여과지로 여과하여 난황액을 형성하였다.
상기 난황액을 회전감압 농축기로 농축하여 500㎖의 난황농축액을 형성하였다.
상기 난황농축액을 상온에서 2시간 정치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여 유동성 침강액을 형성하였다.
상기 유동성 침강액을 감압 농축하여 95g의 기본형 난황레시틴을 수득하였으며, 동 기본형 난황레시틴내 주요 인지질 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포스파티딜콜린(PC) 48% 및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 11%가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기본형 난황레시틴 6g과 100㎖의 주정을 혼합하고 30℃에서 10분간 가온하여 용해한 후, 주식회사 농협홍삼의 홍삼추출액 1g을 혼합하여 60℃에서 감압 회전 농축하고, 다시 30℃에서 24시간 진공 건조하여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을 완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과 후술할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및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에서 공히 적용되는 홍삼추출액은 주식회사 농협홍삼의 상품명 홍삼정프라임으로서, 주요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6mg/g인 6년근 홍삼 농축액이다.
한편,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은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제조되어 후술할 흡수도 실험에 적용된다.
건조 난황분 100g과 순도 95%의 주정 1,000㎖를 2L 반응조에 투입하고 상온에서 300RPM으로 1시간 교반한 후, Whatman No.2 여과지로 여과하여 난황액을 형성하였다.
상기 난황액을 회전감압 농축기로 농축하여 200㎖의 난황농축액을 형성하였다.
상기 난황농축액에 15℃의 아세톤 600㎖를 혼합하여 상등액을 제거한 후, 15℃의 아세톤 300㎖를 추가 혼합하여 상등액을 제거하는 과정을 2회 반복하고, 유동성 침강액을 형성하였다.
상기 유동성 침강액을 감압 농축하여 11g의 고순도 난황레시틴을 수득하였으며, 동 고순도 난황레시틴내 주요 인지질 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포스파티딜콜린(PC) 76% 및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 16%가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고순도 난황레시틴 3g과 100㎖의 주정을 혼합하고 30℃에서 10분간 가온하여 용해한 후, 주식회사 농협홍삼의 홍삼추출액 1g을 혼합하여 60℃에서 감압 회전 농축하고, 다시 30℃에서 24시간 진공 건조하여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을 완성하였다.
또한,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은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제조되어 후술할 흡수도 실험에 적용된다.
전술한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제조 과정에서 수득된 기본형 난황레시틴 50g과, 염화칼슘이 100mM 함유된 pH6.0의 초산나트륨 완충액 5㎖와, 레시타제 2㎖를 이중 재킷 비이커에 투입하고 40℃에서 2시간 교반하여 레시틴용액을 형성하였다.
상기 레시틴용액에 500㎖의 순도 95% 주정을 혼합하고 65℃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감압 농축하여 수분 및 주정을 제거함으로써 건조분해레시틴을 형성하였다.
상기 건조분해레시틴을 질소분위기에서 90℃로 10분간 처리하여 효소를 불활성화시킨 후, 500㎖의 주정을 추가 투입하여 용해하고, 여과 및 농축하여 38g의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을 수득하였으며, 동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내 주요 인지질 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포스파티딜콜린(PC) 35%,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 6%, 리소포스파티딜콜린 5% 및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2.7%가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 6g과 100㎖의 주정을 혼합하고 30℃에서 10분간 가온하여 용해한 후, 주식회사 농협홍삼의 홍삼추출액 1g을 혼합하여 60℃에서 감압 회전 농축하고, 다시 30℃에서 24시간 진공 건조하여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을 완성하였다.
또한,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은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제조되어 후술할 흡수도 실험에 적용된다.
전술한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제조 과정에서 수득된 고순도 난황레시틴 5g과, 염화칼슘이 100mM 함유된 pH6.0의 초산나트륨 완충액 40㎖와, 레시타제 0.5㎖ 및 에틸아세테이트 50㎖를 이중 재킷 비이커에 투입하고 40℃에서 2시간 교반하여 레시틴용액을 형성하였다.
상기 레시틴용액에 500㎖의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 및 교반한 후, 침전시켜 상등액을 제거하고, 남은 침전물에 500㎖의 순도 95% 주정을 혼합하고 65℃로 가열하여 용해한 후 감압 농축하여 수분 및 주정을 제거함으로써 건조분해레시틴을 형성하였다.
상기 건조분해레시틴에 100㎖의 주정을 추가 투입한 후 여과 및 농축하여 3.1g의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을 수득하였으며, 동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내 주요 인지질 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포스파티딜콜린(PC) 56%,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E) 9%, 리소포스파티딜콜린 7% 및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4.2%가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 3g과 100㎖의 주정을 혼합하고 30℃에서 10분간 가온하여 용해한 후, 주식회사 농협홍삼의 홍삼추출액 1g을 혼합하여 60℃에서 감압 회전 농축하고, 다시 30℃에서 24시간 진공 건조하여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을 완성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은 과정으로 제조된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 혼합물의 유효 성분 흡수 증진 효과 즉, 사포닌 흡수 증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진행하였다.
실험1. 장(腸) 흡수도 실험
12시간 공복시킨 5주령 수컷 SD 쥐(SD-rat)를 희생하고, 소장을 취하여 세척한 후 공장 시작 부분의 10cm를 실험체로 취하였다.
실험체인 장을 뒤집어 일단부를 봉합하고 0.1%의 glucose를 함유한 KHB(Krebs-Henseleit Bicarbonate) buffer(pH7.4) 1㎖를 serosal fluid(inner compartment)로서 투입한 후 타단부를 봉합하여 장낭(腸囊, sac)을 구성하였다.
홍삼추출액과, 전술한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및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80mg 당 증류수 1㎖를 혼합하여 시료를 형성하고, 이 시료 0.5㎖와 KHB buffer(pH7.4) 49.5㎖를 혼합하여 mucosal fluid(outer compartment)를 형성하였다.
상기 장낭(sac)을 mucosal fluid에 투입한 후, 장낭내 serosal fluid를 30분 및 60분 후 각각 채취하여 2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용한 장낭의 건조 중량으로 장 흡수도를 산출하되, 동일한 시료에 대하여 3회 반복 실험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험결과 다음 표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홍삼추출액 단독 시료에 비하여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및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의 흡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 흡수도 실험 결과
구분 30분후 흡수도
(mg/g sac)
60분후 흡수도
(mg/g sac)
홍삼추출액 단독 시료 3.5±0.3 5.6±1.7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 혼합물 3.9±0.5 6.5±1.3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 혼합물 4.5±0.4 5.8±0.7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 혼합물 4.1±0.6 6.9±1.1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 혼합물 4.3±0.7 6.5±0.9
실험2. Caco-2 cell을 이용한 섭취(uptake) 실험
ATCC사(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社)의 대장암 세포인 Caco-2 cell을 이용하여 흡수도를 조사하였다.
20% fecal bovine serume, 1% non-essential amino acid, 100units/㎖ penicillin과 0.1mg/㎖ streptomycin를 함유한 Dulbecco's Modifies Eagle's medium을 배양액으로 적용하여 6-well에서 14일 배양한 caco-2 세포 단층막을 사용하였다.
37℃ HBSS(without phenol red, 10mM HEPES, pH7.2)를 이용하여 상기 세포 단층막을 세척한 후 30분간 incubation시키면서 starvated condition을 조성하고 흡입 제거하였으며, 홍삼추출액과, 전술한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및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을 HBSS에 용해하여 가하였다.
이후 이산화탄소 incubator에서 incubation시키면서 60분 후 및 180분 후 꺼내어 시료 혼합물은 흡입 제거하고 4℃의 PBS로 세척한 후, 1% Triton X-100을 1㎖씩 분주하여 cell을 lysis시킨다.
lysis된 cell은 phosphoric acid(85%) 20㎕를 가하여 5분간 방치한 후 1,2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실시하고, 침전물은 5% SDS(in 0.1N NaOH) 1㎖에 용해한 후 단백질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다음 표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및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의 섭취량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반면, 홍삼추출액 단독 시료의 경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aco-2 세포에 의한 F2 진세노사이드의 생성함량
구분 60분후 함량
(㎍/mg protein)
180분후 함량
(㎍/mg protein)
홍삼추출액 단독 시료 10±0.8 8.6±0.5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 혼합물 12±1.1 18.1±1.3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 혼합물 16.5±1.3 18.8±2.7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 혼합물 20.1±0.6 22.9±1.7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 혼합물 21.3±0.7 26.5±1.9
실험3. SD 쥐를 이용한 흡수율 실험
9주령 암컷 SD 쥐를 투여 시료에 따라 홍삼추출액 투여군,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투여군,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투여군,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투여군 및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투여군의 5개 군으로 분류하되, 각 군은 5마리 내지 6마리로 구성하였다.
각 군의 SD 쥐는 12시간 절식 후 체중 1g 당 8mg의 시료를 경구 투여하고, 30분, 60분 및 240분 경과후 채혈하여, 혈청 1㎖에 20㎕의 85% phosphoric acid를 가하여 5분간 방치한 후 14,000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회수하여 C18 cartridge로 처리하고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실시하였다.
채혈 시간별 혈중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30분 및 60분 경과후 채혈분에 대하여는 Rk1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240분 경과후 채혈분에 대하여는 Rg5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다음 표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전술한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 및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혼합물이 투여된 SD 쥐의 혈중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홍삼추출액 단독 시료가 투여된 SD 쥐의 혈중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D 쥐의 혈중 진세노사이드 함량
구분
Rk1 함량 Rg5 함량
30분후
(㎍/㎖)
60분후
(㎍/㎖)
240분후
(㎍/㎖)
홍삼추출액 단독 시료 2.6±0.5 4.5±0.7 1.6±0.5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 혼합물 6.2±1.1 5.8±1.6 2.7±0.6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 혼합물 4.6±1.2 4.9±1.7 2.5±0.6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 혼합물 7.2±1.6 5.6±1.3 4.2±1.6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 혼합물 6.8±0.6 6.6±1.9 5.8±0.9
이상에서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난황레시틴 및 홍삼추출액 혼합물의 우수한 사포닌 흡수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난황레시틴은 그 자체로서 우수한 건강 증진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천연물에서 유래한 바, 여타의 합성 인지질에 비하여 인체 유해성이 극히 미미하여 완성된 조성물에 있어서 우수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홍삼추출액과의 복합을 통하여 건강 증진 효능의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안전성과 인체 흡수성을 겸비한 식품용 조성물을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 및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에서와 같이, 난황레시틴을 가수분해함으로써 홍삼추출액 내 유효 성분의 포접 효율을 제고하고, 난황레시틴 및 홍삼추출액의 인체 흡수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가수분해 난황레시틴을 적용함에 있어서 과도한 가수분해가 수행되어 전체 난황레시틴내 리소레시틴(lyso-lecithin)이 과량 형성되는 경우, 홍삼추출액내 유효 성분의 포접 효과가 저하될 뿐 아니라, 리소레시틴이 석출될 수 있는 바 적절한 함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가수분해 난황레시틴을 적용함에 있어서, 난황레시틴의 순도(純度)를 막론하고, 전체 난황레시틴 중 리소레시틴의 비율을 10% 내지 2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리소레시틴 비율이 10%미만일 경우 가수분해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에 비하여 가수분해를 통한 유의(有意)한 흡수율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를 초과할 경우 홍삼 유효 성분의 포접 효율이 저하되고 과량 리소레시틴의 석출로 인하여 완제품의 성상 및 관능성이 악화되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에서는 포스파티딜콜린 35%,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6%, 리소포스파티딜콜린 5% 및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2.7%가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는 바,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및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의 총량 중 리소레시틴인 리소포스파티딜콜린 및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의 비율이 약 15.8%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에서는 포스파티딜콜린 56%,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9%, 리소포스파티딜콜린 7% 및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4.2%가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는 바, 난황레시틴 중 리소레시틴의 비율이 약 14.7%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수분해 난황레시틴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난황레시틴 중 리소레시틴의 비율은 각각 15.8% 및 14.7%로서 적절한 리소레시틴 비율이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전술한 실험 1 내지 실험 3에서와 같이, 우수한 흡수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전술한 기본형 난황레시틴, 고순도 난황레시틴,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 및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으로 구분되는 난황레시틴 기반재를 적용함으로써, 홍삼 유효 성분의 원활한 생체 흡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로써 홍삼 특유의 노화 방지 및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를 십분 활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우수한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를 발현하는 백수오추출물, 석류추출물, 오미자추출물 또는 감마리놀렌산유지로 구성되는 혼합재를 난황레시틴과 혼합함으로써, 일층 상승된 갱년기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기반재인 기본형 난황레시틴, 고순도 난황레시틴, 가수분해 기본형 난황레시틴, 가수분해 고순도 난황레시틴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백수오추출물, 석류추출물, 오미자추출물 및 감마리놀렌산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혼합재와 홍삼추출액을 혼합하는 혼합단계(S30)가 수행됨으로써 완성되는 것이다.
혼합단계(S30)에서 홍삼추출액과 함께 난황레시틴 기반재에 혼합되는 혼합재는 상기와 같이 갱년기 증상 진정 내지 개선에 유효한 재료로서, 각각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백수오추출물은 여성 갱년기 증상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는 백수오에서 추출된 유효 성분을 농축한 분말상 제제로서, 백수오를 물 또는 주정과 혼합, 가열하여 유효 성분을 추출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 건조하여 수득한다.
본 발명에서는 건조된 백수오 100g 당 주정 1,500㎖를 가하여 가열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 건조하여 8g의 분말상 백수오추출물을 수득하였으며, 혼합단계(S30)를 수행함에 있어서, 홍삼추출액과 동반하여 난황레시틴 기반재에 혼합될 수 있다.
석류추출물은 여성호르몬 유사 성분이 풍부한 석류 열매에서 추출된 유효 성분을 농축한 점조성 액상 제제로서, 본 발명에서는 건조된 석류를 마쇄한 후, 중량 기준 20배의 주정을 혼합, 가열하여 유효 성분을 추출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하여, 건조 마쇄된 석류 100g 당 16g의 석류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혼합단계(S30)를 수행함에 있어서, 석류추출물도 홍삼추출액과 동반하여 난황레시틴 기반재에 혼합될 수 있다.
오미자추출물 역시 여성호르몬 유사 성분이 풍부한 액상 제제로서, 본 발명에서는 건조된 오미자에 중량 기준 20배의 주정을 혼합, 가열하여 유효 성분을 추출하고, 여과한 후 여액을 농축하여, 건조 오미자 100g 당 9g의 오미자추출물을 수득하였으며, 혼합단계(S30)를 수행함에 있어서, 홍삼추출액과 동반하여 난황레시틴 기반재에 혼합될 수 있다.
감마리놀렌산유지는 달맞이꽃종자, 보리지종자, 블랙커런트종자 등에서 채취한 감마리놀레산 함유 유지(油脂)를 식용에 적합하게 정제한 것으로서, 혈행 개선 및 여성 갱년기 증상 완화에 유효하며, 혼합단계(S30)를 수행함에 있어서, 난황레시틴 기반재와 우선 혼합한 후, 홍삼추출액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단계(S30)에서는 기반재로서의 난황레시틴과 홍삼추출액의 균일하고 안정적인 혼합을 도모하기 위하여, 일단 난황레시틴과 주정을 혼합하여 용해한 후, 이 용액에 전술한 혼합재 및 홍삼추출액을 혼합하고, 이를 다시 농축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혼합단계(S30)에서 적용되는 혼합비는 홍삼추출액 1g 당 난황레시틴 2g 내지 15g 및 혼합재 0.1g 내지 5g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주정을 혼합하는 경우의 혼합량은 홍삼추출액 1g 당 주정 50㎖ 내지 200㎖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혼합단계(S30) 수행시 혼합물을 30℃ 내지 60℃의 가온 상태로 처리함으로써 혼합 및 농축 효율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혼합단계(S30)에 적용되는 혼합재는 백수오추출물, 석류추출물, 오미자추출물 및 감마리놀렌산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서 즉, 혼합단계(S30)에서는 혼합재로서 백수오추출물, 석류추출물, 오미자추출물 또는 감마리놀렌산유지가 개별적으로 투입되거나, 상기 혼합재 중 2종 이상이 동반 투입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혼합재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는 혼합비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홍삼추출액 1g 당 혼합재 0.1g 내지 5g의 비율이 적용되나, 혼합재의 종별 최적 혼합비는 다음의 비율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혼합단계(S30)수행에 있어서 홍삼추출액과 동반 혼합되는 백수오추출물, 석류추출물 및 오미자추출물의 경우, 홍삼추출액 1g 당 혼합재 0.1g 내지 3g의 비율이 적용되는 것이 균질 혼합 및 관능적 품질상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단계(S30)수행에 있어서 난황레시틴 기반재와 우선 혼합되는 감마리놀렌산유지의 경우, 홍삼추출액 1g 당 감마리놀렌산유지 1g 내지 5g의 비율이 적용될 수 있다.
S11 : 난황액형성단계
S12 : 난황액농축단계
S20 : 레시틴형성단계
S21 : 농축액정치단계
S22 : 침강액농축단계
S23 : 혼합침강단계
S25 : 레시틴용해단계
S26 : 용해물건조단계
S29 : 레시틴고정단계
S30 : 혼합단계

Claims (5)

  1.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건조 난황분과 주정을 혼합한 후 여과하여 난황액을 형성하는 난황액형성단계(S11)와;
    난황액의 부피가 농축전 부피의 10% 내지 30%로 감소되도록 농축하는 난황액농축단계(S12)와;
    난황농축액을 재차 농축하여 반액반고상의 난황레시틴을 기반재로 완성하는 레시틴형성단계(S20)와;
    백수오추출물, 석류추출물, 오미자추출물 및 감마리놀렌산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혼합재와, 상기 기반재 및 홍삼추출액을 혼합하되, 홍삼추출액 1g 당, 기반재 2g 내지 15g와, 혼합재 0.1g 내지 5g의 비율로 혼합하는 혼합단계(S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2.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건조 난황분과 주정을 혼합한 후 여과하여 난황액을 형성하는 난황액형성단계(S11)와;
    난황액의 부피가 농축전 부피의 10% 내지 30%로 감소되도록 농축하는 난황액농축단계(S12)와;
    난황농축액을 재차 농축하여 반액반고상의 난황레시틴을 완성하는 레시틴형성단계(S20)와;
    상기 난황레시틴에, 초산나트륨 완충액 및 레시타제를 혼합하여 레시틴용액을 형성하는 레시틴용해단계(S25)와;
    상기 레시틴용액에 주정을 혼합 용해한 후 건조하여 건조분해레시틴을 형성하는 용해물건조단계(S26)와;
    상기 건조분해레시틴에 주정을 추가 투입한 후 여과 및 농축, 건조하여 가수분해 난황레시틴을 기반재로 완성하는 레시틴고정단계(S29)와;
    백수오추출물, 석류추출물, 오미자추출물 및 감마리놀렌산유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혼합재와, 상기 기반재 및 홍삼추출액을 혼합하되, 홍삼추출액 1g 당, 기반재 2g 내지 15g와, 혼합재 0.1g 내지 5g의 비율로 혼합하는 혼합단계(S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레시틴형성단계(S20)는
    난황액농축단계(S12)에서 형성된 난황농축액을 정치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여 유동성 침강액을 형성하는 농축액정치단계(S21)와;
    상기 유동성 침강액을 재차 농축하는 침강액농축단계(S2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레시틴형성단계(S20)는
    난황액농축단계(S12)에서 형성된 난황농축액과 아세톤을 혼합하고 정치하여 침강시킨 후 상등액을 제거하여 유동성 침강액을 형성하는 혼합침강단계(S23)와;
    상기 유동성 침강액을 재차 농축하는 침강액농축단계(S2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80050936A 2018-05-02 2018-05-02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190126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936A KR20190126687A (ko) 2018-05-02 2018-05-02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936A KR20190126687A (ko) 2018-05-02 2018-05-02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408A Division KR102120165B1 (ko) 2020-02-24 2020-02-24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및 석류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687A true KR20190126687A (ko) 2019-11-12

Family

ID=68577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936A KR20190126687A (ko) 2018-05-02 2018-05-02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66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231A (ko) 2021-09-17 2023-03-24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홍삼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1231A (ko) 2021-09-17 2023-03-24 에스에스바이오팜 주식회사 홍삼을 함유하는 여성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570B1 (ko) 사포닌 흡수 증진을 위한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N113150867B (zh) 一种富含灵芝三萜的灵芝萃取油的制备方法
RU2523384C2 (ru) Фитокомплекс из плодов бергамота,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и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пищевой добавки и в области фармакологии
KR20050109269A (ko) 식초를 이용한 인삼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013112A1 (zh) 盐析萃取海参中有效成分的方法
KR101433192B1 (ko) 발효홍삼 추출액의 제조방법
CN101463043B (zh) 一种食用级浓缩大豆磷脂的生产方法
KR20190126687A (ko)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갱년기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N1270697C (zh) 口服纳米营养乳剂的制备方法
KR101193056B1 (ko)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제조 방법
KR102120165B1 (ko)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및 석류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US6120772A (en) Oral drugs for treating AIDS patients
KR102095621B1 (ko) 식품 첨가물의 제조방법
CN102746413B (zh) 蜂花粉多糖酶解破壁结合热水超声浸提方法
KR20190126688A (ko)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190126689A (ko) 난황레시틴 기반 홍삼 함유 눈건강 증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JP2005029483A (ja) 活性酸素消去剤、並びに化粧料及び飲食物
KR101713176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한방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76576A (ko) 버섯으로부터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수용성 추출물 및 지용성 추출물을 분리하는 방법
KR20110132887A (ko) 간, 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KR101885994B1 (ko) 발효 홍화 추출액을 이용한 샴푸 제조방법
KR102033214B1 (ko) 소화 흡수 촉진으로 아토피에 유효한 식품 첨가제, 그 제조방법과 이를 첨가한 식품
RU2657774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маски
CN110038076A (zh) 一种消炎止痛治疗外伤用复方灵芝孢子粉制备方法
JP2003012538A (ja) 抗酸化作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