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2887A - 간, 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간, 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2887A
KR20110132887A KR1020100052481A KR20100052481A KR20110132887A KR 20110132887 A KR20110132887 A KR 20110132887A KR 1020100052481 A KR1020100052481 A KR 1020100052481A KR 20100052481 A KR20100052481 A KR 20100052481A KR 20110132887 A KR20110132887 A KR 20110132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angover
liver function
extract
stoma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2266B1 (ko
Inventor
신진영
조남훈
손종희
조시영
김완기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0005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266B1/ko
Publication of KR20110132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Oligosaccharides, i.e. having three to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울금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 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창출, 산사, 맥아 및 작약을 포함하는 식물성분 혼합농축액; 인진, 백출 및 구기자를 포함하는 식물추출 혼합농축액; 및 홍삼농축액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간, 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hepatic, stomachic function and curing hangover}
본 발명은 간, 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울금 추출물, 밀크씨슬(Milk Thistle) 추출물 및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숙취 개선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창출, 산사, 맥아 및 작약을 포함하는 식물성분 혼합농축액; 인진, 백출 및 구기자를 포함하는 식물추출 혼합농축액; 및 홍삼농축액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한다.
알코올은 적당히 섭취하면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수단이 되지만, 지나치게 과량 섭취하게 되면 갈증, 전신권태, 피로감, 기억상실, 복부팽만감, 소화불량, 구토, 설사 및 비타민 결핍 등의 숙취 현상으로 고생하게 된다. 또한, 알코올은 혈액을 팽창시키고 미세한 혈관파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과다한 알코올 섭취는 얼굴과 몸에 가는 실핏줄을 나타나게 한다. 또한 세포조직에서도 수분을 제거시키므로 중성, 지성피부로 각화현상이 생기고 거칠어 진다. 이외에도 보통 과음한 다음날이면 얼굴이나 눈이 붓고 뾰루지도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숙취현상은 간세포와 체내에 축적된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섭취된 에탄올은 소화관을 통해 흡수되어 섭취 후 20-120분 사이에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한다. 흡수된 에탄올은 간을 비롯한 모든 장기들에서 대사되는데 일부는 호흡, 소변 또는 땀으로 배설된다.
간내로 들어온 에탄올은 세포질내의 알코올탈수소효소(ADH: alcohol dehydrogenase)와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 aldehyde dehydrogenase)의 작용에 의해 아세테이트로 전환되고, 이는 순화계를 통해 간세포 밖으로 배설된다.
에탄올의 최초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에탄올에 비해 반응성이 매우 높고 독성이 강하여 알코올성 간 장애의 주원인 물질로 밝혀진 바 있다.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세포 내 에너지 생성기관인 미토콘드리아의 호흡을 방해하고 산화적 인산화 반응을 억제하며, 막단백질 및 콜라겐 단백질과 결합하여 항체를 생성하기도 하고, 면역학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어 간세포 분비 단백질의 방출기구를 저해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또한 아세트알데하이드는 근섬유모세포(myofibroblast)의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간 섬유화와 간세포의 변성 종대를 일으키며, 생체내 거대분자와 반응하여 부가물(adduct)을 형성하기도 한다. 특히,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중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타입 II가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제거에 중요한데, 동양인은 일반적으로 II형 효소가 결핍 또는 부족하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하이드 산화가 느리고 따라서 산화되지 않은 아세트알데하이드 및 에탄올의 유독 작용에 의하여 정상적인 신진대사가 방해받아 여러 숙취 현상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숙취해소용 제품은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켜 혈중 알코올 농도와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를 감소시켜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의 활성을 높이는 물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숙취를 개선할 수 있는 효능 물질을 찾고자 노력한 결과, 울금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키토올리고당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숙취 개선, 간장 및 위장 기능 개선, 및 피로 회복 효과가 우수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숙취 개선, 간장 및 위장 기능 개선, 및 피로 회복 효과가 우수한 숙취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울금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 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숙취 개선용 조성물은 울금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숙취 개선, 간장 및 위장 기능 개선, 및 피로 회복 등의 효과를 부여하였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숙취 개선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피로 개선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숙취 개선, 간장 및 위장 보호 및 피로 회복 효과가 우수한 숙취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울금 추출물은 물 또는 주정에서 가열하고 추출한 후, 여과 및 감압농축하는 공정을 통해 수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숙취 개선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울금 추출물을 1∼5 중량%로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숙취개선 효능을 얻기 어렵고,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숙취 개선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밀크씨슬 추출물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밀크씨슬 추출물은 밀크씨슬을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물 또는 유기용매로 각각 추출하거나 또는 한꺼번에 추출한 추출물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을 사용한다. 이때, 추출온도는 10∼80℃가 바람직하며, 6∼72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이때, 밀크씨슬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30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밀크씨슬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숙취개선 효능을 얻기 어렵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키토올리고당은 다양한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00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것 일 수 있고, 예를 들어 700∼2,000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00∼1,500의 분자량을 가질 수도 있고, 예를 들어 700∼1,000의 분자량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키토올리고당은 예를 들어 키토올리고당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3당 내지 7당의 키토올리고당의 비율이 30 중량%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먼저 게 또는 새우껍질 등을 분쇄, 탈염, 단백질 제거 및 불순물 제거 공정에 의해 키틴으로 분리 정제한 후, 탈아세틸화하여 키토산을 제조한다. 그런 다음 무기산 또는 유기산 등의 산(acid)을 이용한 화학적 분해방법 또는 효소를 이용한 분해방법을 통해 상기 키토산으로부터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시판되는 키토올리고당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효소 분해방법을 통해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하는 경우, 사용가능한 효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셀룰라아제(cellulas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키토산을 효소분해하여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키토산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젖산을 2∼3% 첨가하고, 40∼6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고형분 5∼10%의 젖산이 함유된 키토산 분산액을 제조한다. 완전히 용해된 키토산 분산액의 pH를 4∼6으로 조정하고, 키토산 분해 효소인 셀룰라아제를 정제수에 용해하여 투입한다. 그런 다음, 40∼60℃에서 14∼20 시간 가수분해한 후, 80℃에서 30 분간 열처리하여 효소를 실활한 다음, 여과 건조과정을 거쳐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숙취개선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키토올리고당을 4∼55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토올리고당의 함량이 4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숙취개선 효능을 얻기 어렵고, 5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숙취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식물성분 혼합농축액, 식물추출 혼합농축액 및 홍삼농축액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분 혼합농축액은 창출, 산사, 맥아 및/또는 작약을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물 또는 유기용매로 각각 추출하거나 또는 한꺼번에 추출한 추출물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을 사용한다. 이때, 추출온도는 10∼80℃가 바람직하며, 6∼72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상기 식물성분 혼합농축액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50 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숙취개선 효능을 얻기 어렵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식물추출 혼합농축액은 인진, 백출 및/또는 구기자를 포함하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물 또는 유기용매로 각각 추출하거나 또는 한꺼번에 추출한 추출물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을 사용한다. 이때, 추출온도는 10∼80℃가 바람직하며, 6∼72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상기 식물추출 혼합농축액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50 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숙취개선 효능을 얻기 어렵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홍삼 농축액은 물 또는 주정에서 가열하고 추출한 후, 여과 및 감압농축하는 공정을 통해 수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숙취 개선용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홍삼 농축액을 5∼50 중량%로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원하는 숙취개선 효능을 얻기 어렵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 안정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숙취 개선용 조성물은 상술된 유효성분들 이외에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물 또는 부가물 등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하여 더 첨가함으로써 식품, 건강보조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체내 알데하이드 분해를 촉진시키는 간장 또는 위장 보호제, 또는 피로 회복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변비용 조성물은 그 제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오일 또는 수성매질에서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의 형태가 되거나, 사용하기 전에 무균, 발열물질이 제거된 물로 녹여 사용하는 건조분말의 형태가 되어 음료, 환, 과립, 정제 또는 캡슐 등의 경구용 제형 또는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구용 제형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carrier) 또는 부형제(forming agent)를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예를 들면, 정제, 트로키제, 함당정제,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분산가능 가루 또는 입자, 유화액, 연질 또는 경질 캡슐, 시럽 또는 일릭서와 같은 형태로 제제화되며, 이는 단위 투여량 형태 및 다용량 용기에 담아서 완성품을 제조할 수 있다.
경구용 제형 중, 정제는 탄산칼슘, 탄산나트륨, 락토오스, 인산칼슘 및 인산나트륨 등의 불활성 희석제; 옥수수, 녹말 및 알긴산 등의 입자화제; 붕해제; 녹말, 젤라틴 및 아카시아 등의 결합제; 및 스테아르산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스테아르산 및 탈크 등의 윤활제와 같이, 정제의 제조에 사용 가능한 부형제와 혼합된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정제는 코팅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거나, 위장관내의 흡수와 정제의 분해를 저해하기 위해 코팅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와 글리세릴디스테아레이트 등의 시간 저해 물질을 적용할 수도 있다. 경질캅셀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들을 탄산칼슘, 인산칼슘 및 카올린 등의 불활성 고체 희석제에 섞은 것이고, 연질캅셀은 물이나 혼합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PEGs(polyethylene glycol) 및 에탄올 등의 용매와 땅콩기름, 액상 파라핀 및 올리브 오일 등의 기름 용매에 활성성분을 섞은 것이다.
수용성 현탁제는 수용성 현탁제 제조에 적당한 부형제와 활성 성분을 함께 혼합한 것으로, 부형제로는, 예를 들면,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트래거캔스검(gum tragacanth) 및 아카시아검(gum acacia) 등의 현탁화제;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지방산과 알킬렌 옥사이드를 축합한 화합물들; 헵타데카에틸렌옥시세탄올(heptadecaethyleneoxycetanol)과 같이 긴 지방산에 알킬렌 옥사이드를 축합한 화합물들;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모노올레이트와 같이 무수헥시톨(hexitol anhydride)과 지방산에서 유래한 부분 에스테르를 에틸렌 옥사이드와 축합한 화합물들; 습윤제; 또는 분산화제 등이 있다. 상기 수용성 현탁제는 방부제, 착색제, 향신료 및 감미료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유성 현탁제는 올리브유, 세사미유(sesami oil) 등의 식물성 오일 또는 액상 파라핀 같은 광물성 오일에 활성 성분을 현탁시킨 것으로, 예를 들어 비즈왁스, 경화 파라핀 및 세틸알코올 등의 농후제(thickening agent)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방부제, 착색제, 향신료 및 감미료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는데, 이러한 조성은 비타민 C 같은 항산화제를 가하여 보존할 수 있다.
분산성의 파우더와 입자는 분산화제, 습윤제, 현탁화제 및 보존제 등을 넣어 함께 혼합한 상태로 활성 성분을 가지고 있다. 적절한 분산화제, 습윤제나 현탁화제는 앞서 이미 언급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부가적인 부형제로는 예를 들어, 감미료, 향신료 및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유중수형 유화액은 올리브유 같은 식물성 기름 또는 액상 파라핀 같은 광물성 오일을 유상으로 하고, 대두레시틴(soy bean lecithin) 등의 자연산 인지질,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와 같은 무수헤시톨이나 지방산의 에스테르에서 유래된 것, 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모노올레이트와 같이 무수헥시톨(hexitol anhydride)과 지방산에서 유래한 부분 에스테르를 에틸렌 옥사이드와 축합한 화합물들을 유화제로 하여 활성성분을 유화시킨 것 등이 있다.
시럽과 일릭서는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및 수크로오스 등의 감미료와 함께 활성성분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숙취개선용 조성물을 식품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음료수, 드링크, 유지류, 주류, 조미료류, 레토르트 또는 통조림 등의 각종 조리가공식품류로 제조가 가능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숙취 개선용 조성물의 통상적인 1일 60kg 성인기준시 투여량은 10 내지 60 mg/kg체중,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mg/kg체중의 범위일 수 있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치료 대상, 투여 경로, 대상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참고예 1] 울금 추출물의 제조
울금 1 kg에 10배 가량의 물 또는 주정을 넣고 12∼24시간씩 90∼100℃에서 2∼3회 반복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울금 추출물을 얻었다.
[참고예 2] 밀크씨슬 추출 분말의 제조
밀크씨슬 1 kg에 중량비 6배의 80% 에탄올 수용액 6 l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45℃에서 3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밀크씨슬 추출 분말을 얻었다.
[참고예 3] 식물성분 혼합농축액의 제조
창출, 산사, 맥아 및 작약을 동량으로 혼합한 식물성분 1 kg에 에 중량비 6배의 80% 에탄올 수용액 6 l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45℃에서 3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식물성분 혼합농축액을 얻었다.
[참고예 4] 식물추출 혼합농축액의 제조
인진, 백출 및 구기자 각 1 kg에 에 중량비 6배의 80% 에탄올 수용액 6 l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45℃에서 3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각각의 식물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이들을 혼합하여 식물추출 혼합농축액을 얻었다.
[참고예 5] 홍삼 농축액의 제조
홍삼 1 kg에 10배 가량의 물 또는 주정을 넣고 12∼24시간씩 90∼100℃에서 2∼3회 반복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농축하여 홍삼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5] 숙취 개선용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5의 숙취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키토올리고당 2.9 2.9 2.9 2.9 2.9
울금추출물 1 1 1 1 1
밀크씨슬추출 분말 0.2 0.2 0.2 0.2 0.2
식물성분혼합농축액 - 2. - - 2
식물추출혼합농축액 - - 1 - 1
홍삼농축액 - - - 1 1
배농축액 7.00 7.00 7.00 7.00 7.00
벌꿀 2.50 2.50 2.50 2.50 2.50
구연산칼륨 1.50 1.50 1.50 1.50 1.5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시험예 2] 숙취 개선 관능평가
평소 음주가 잦은(소주 반병 내지 2병 정도 평균 주 3회 음주) 27∼48세 남녀 40명을 대상으로 음주 전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숙취 개선용 조성물을 섭취하도록 한 후 숙취, 피로 및 위 건강 개선 효과를 알아보았다.
<숙취 개선 효과>
도 1a 및 1b 의 결과에서, 임상 대상 중 전체의 약 70%가 숙취 개선 효능을 인지하였으며, 소화불량 현상 및 두통 개선이 70% 차지하였고, 아침에 일어나기가 쉽고, 술이 덜 취해 주량이 증가하였다는 등 술이 덜 취한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피로 개선 효과>
도 2a 및 2b의 결과에서, 임상 대상 중 전체의 약 70%가 피로 개선 효능을 인지하였고, 특히, 섭취 후 아침에 일어나기 쉬우며, 업무 시 졸음이 줄어들어 집중력이 강화되었다고 평가하였다.
<위 건강 개선 효과>
대부분의 임상 대상자가 인지하지 못하였으나, 인지한 32%의 피험자는 소화불량개선 및 속쓰림개선을 인지하였다고 응답하였다(개선효과 10점/15점 척도).
또한 상기 관능평가를 진행하면서 패널들이 응답한 기타 의견들을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기타 의견 응답자수
숙취 개선 효과 4
피로 개선 효과 4
제형 제안 (드링크타입, 젤리타입, 술에 타 먹는 형태) 3
먹기 편하고 맛도 좋음 2
점도증가요구 2
두통 및 뒷목뻐근함 개선 1
배변원활 1
섭취 후 변비증상 1
섭취 후 속쓰림 1
운동 시 피로감소, 지구력 증가 1
주량증가 1

Claims (12)

  1. 울금 추출물, 밀크씨슬 추출물 및 키토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 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울금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로 함유되는 위, 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크씨슬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30 중량%로 함유되는 위, 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올리고당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55 중량%로 함유되는 위, 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창출, 산사, 맥아 및 작약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된 식물성분혼합농축액을 더 포함하는 위, 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분혼합농축액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50 중량%로 함유되는 위, 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인진, 백출 및 구기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식물추출혼합농축액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인 위, 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혼합농축액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50 중량%로 함유되는 위, 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홍삼농축액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50 중량%로 더 포함하는 위, 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간장 보호제.
  11.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위장 보호제.
  12.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로 회복제.
KR1020100052481A 2010-06-03 2010-06-03 간, 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KR101742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481A KR101742266B1 (ko) 2010-06-03 2010-06-03 간, 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481A KR101742266B1 (ko) 2010-06-03 2010-06-03 간, 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887A true KR20110132887A (ko) 2011-12-09
KR101742266B1 KR101742266B1 (ko) 2017-06-01

Family

ID=45500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481A KR101742266B1 (ko) 2010-06-03 2010-06-03 간, 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2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5919A (zh) * 2014-07-01 2016-01-27 好侍食品集团本社株式会社 含有姜黄中的有用成分的饮料的制造方法
KR20160140417A (ko) * 2015-05-29 2016-12-07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645B1 (ko) 2023-10-12 2024-01-11 농업회사법인 온양바이오 주식회사 속쓰림 개선용 백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백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5919A (zh) * 2014-07-01 2016-01-27 好侍食品集团本社株式会社 含有姜黄中的有用成分的饮料的制造方法
KR20160140417A (ko) * 2015-05-29 2016-12-07 (주)아모레퍼시픽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266B1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89027A (zh) 低分子量海藻酸及其盐、应用、制法及药物组合物、食品
KR102634131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729003B1 (ko) 황칠 추출물 또는 황칠액 발효대사체를 포함하는 통풍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620948A (zh) 高尿酸/痛风的全自然细胞调理方法
KR20110132887A (ko) 간, 위 기능 및 숙취 개선용 조성물
CN101953467A (zh) 一种含有纳豆冻干粉的组合物及其用途
JP4368569B2 (ja) 腎機能低下の予防剤及び改善剤
CN109259022A (zh) 一种能快速改善微循环功能的含小分子肽的饮品
KR20030002893A (ko) 매실 추출물을 이용한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CN107375466A (zh) 一种具有降血脂功能的药食两用发酵液及其制备方法
CN101461836A (zh) 一种新型具有解酒保肝护胃功效的浓缩饮液及其制法
CN114304609B (zh) 一种具有降脂功效的玫瑰花酵素及其制备方法
JP4545063B2 (ja) 皮膚状態改善組成物
CN113796537B (zh) 一种降糖组合物及其制作工艺
KR101034986B1 (ko)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US20100008877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JPH1149690A (ja) 脂肪分解促進用組成物
CN108720013A (zh) 一组由果糖和茶叶提取物组成的醒酒护肝的保健食品的配方及生产工艺
JP2004292382A (ja) ミネラル吸収促進剤及び骨粗鬆症用予防及び/又は改善剤
KR101093006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우황 청심원 원료 함유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KR101668447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 식품
JP2009034017A (ja) ダイエット食品
KR100734944B1 (ko) 젖산칼슘 및 미강을 주재로 한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US20240123019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r ameliorating liver disease and liver dysfunction comprising zizania latifolia extract
KR101725261B1 (ko)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 분해 효능과 숙취해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