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480A - 비만 개선에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 - Google Patents

비만 개선에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480A
KR19990063480A KR1019980058705A KR19980058705A KR19990063480A KR 19990063480 A KR19990063480 A KR 19990063480A KR 1019980058705 A KR1019980058705 A KR 1019980058705A KR 19980058705 A KR19980058705 A KR 19980058705A KR 19990063480 A KR19990063480 A KR 19990063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erived
composition
roasted
mulbe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지 이노우에
마나부 야마모토
수수무 시무라
Original Assignee
시게미 다께오
가부시끼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게미 다께오, 가부시끼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시게미 다께오
Publication of KR19990063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4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콩과식물로 분류되는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추출물이 모라시애로 분류되는 뽕나무 유래의 추출물과 혼합되고, 여기서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추출물은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고 한편 뽕나무 유래의 다른 추출물은 당의 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고, 따라서 내장지방의 현저한 감소 외에 체중 증가를 억제하고 체중을 감소시키는 향상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만 개선에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
본 발명은 비만과 지방세포의 치료 및 개선에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는, 규정식은 지방질의 곡물분말로 바뀌어 왔고 따라서 비만인 사람의 수가 상당히 증가되었고 이에 따라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소모에너지 이상의 과다 섭취 에너지는 인체내에 지방으로 축적된다. 체지방의 축적을 피하기 위해서는 빠르게 감소되어 매우 낮은 칼로리의 규정식으로 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규정식은 인체에 심한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에 건강이 악화된다.
비만이 당뇨병, 동맥경화증 또는 고혈압 등의 여러 가지 성인병을 일으킨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체내에 축적된 지방은 두 종류로 분류되는데, 하나는 피하지방이고 다른 하나는 내장지방이다. 내장지방은 합병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고, 이것은 1993년 발행된 비만:진단/치료/안내라는 문헌에 보고되었다.
식품 조성물에서, 트리글리세리드는 가장 높은 칼로리 지방이다. 이러한 지방의 과다 섭취는 비만을 일으킨다. 상기 지방은 소장으로 흡수되기 위해 판크레아틱 리파제에 의해 화학적으로 분해된다. 지방이 소장으로 흡수되는 것을 막기 위해, 판크레아틱 리파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이러한 이유로 판크레아틱 리파제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리브스타틴 같은 약제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약제는 비만 치료에 사용되고 있지만 부작용이 있다. 정상적인 사람은 비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약제를 매일 섭취하지 않는다. 천연 조성물 또는 물질은 안전성 측면에서 매일 사용될 수도 있다.
Agric. Biol. Chem., 37, 1225(1973)에는 대두단백질이 천연 리파제 억제제로서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뉴트리션 리포트 인터내셔널, 32, 1107(1985)에는 곡물단백질이 다른 천연 리파제 억제제로서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J. Food Sci., 49, 956(1984)에는 헤미셀룰로스가 다른 천연 리파제 억제제로서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Am. J. Clin. Nutr., 42, 629(1985)에는 밀겨가 다른 천연 리파제 억제제로서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리포트, 디파트먼트 오브 어그리컬춰 오브 메이지 유니버시티 73, 9(1986)에는 무 종자의 포스포르티지르콜린이 개시되어 있다. J. Food Sci., 53, 250(1988)에는 미오이노시톨이 다른 천연 리파제 억제제로서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평1-102022호에는 우롱차 조성물이 다른 천연 리파제 억제제로서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평3-219872호에는 피망, 호박, 트리콜로마 콘글로바툼 색, 그리폴라 프론도사 딕슨, 히지키아 푸시포르미스 하브. 오카무라, 녹차, 차, 및 우롱차로부터의 추출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천연 리파제 억제제는 아직 실용적으로 만들어지지 않았다.
일본특허 제2602387호에는 또다른 리파제 억제제가 생약, 안젤리캐 푸베센티스 라딕스, 알피내 오피시나룸 리조마, 미리애 코르텍스, 노마메 헤르바 및 카시애 세멘 유래의 추출물인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2628832호에는 신규한 두종류의 탄닌이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의 유효성분으로서 함유되어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259557호에는 플라반 올리고머가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의 유효성분인 것이 개시되어 있다.
물론,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흡수를 억제하는 것이 비만방지 및 예방에 효과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분이나 당의 과다 섭취는 또한 비만을 일으킨다.
짐네마-실베스트리스 알. 비알(Gymnema-sylvestris R. Br)과 짐네마 산으로부터의 추출물은 당 흡수에 대한 천연 억제제로서 알려져 있다.
Biochem. Biophys. Acta. 658, 387(1981)에는, 사람의 타액 α-아밀라제를 억제하기 때문에 당-소화 효소에 효과적인 천연 억제제로서 밀가루로부터의 추출물이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FEBS Lett., 309(1) 68(1992)에는 사람의 타액 α-아밀라제를 억제하기 때문에 당-소화 효소에 효과적인 다른 천연 억제제로서 쌀겨로부터의 추출물이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Agric. Biol. Chem., 54(8), 1939(1990)에는 사람의 타액 α-아밀라제를 억제하기 때문에 당-소화 효소에 효과적인 다른 천연 억제제로서 차의 테아플라빈과 카테킨이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5-148153호에는 라우렐의 탈지 및 비탈지 분말이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4-27839호에는 라우렐로부터의 추출물이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보 소60-36746호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59539호에는 구아바 잎이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3-44530호 및 Agric. Biol. Chem., 52, 121(1988)에는 뽕나무에 함유된 1-데옥시노디리마이신이 당소화 효소로서 α-글루코시다제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당의 소화 및 이들이 장으로의 흡수가 지연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140351호에는 1-데옥시노디리마이신을 함유하는 뽕나무잎에서의 추출물 및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혈당 향상제로서 식품과 음료 조성물이 α-글루코시다제 억제제로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비만을 개선하고 체지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지방과 당의 흡수을 억제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지방과 당의 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화학물질은 아직 개발되거나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체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비만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지방인 트리글리세라이드와 당의 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신규한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으며, 여기서 상기 조성물은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신규한 안전한 식품 및 음료를 개발할 뿐만 아니라 지방과 당의 과다 섭취를 방지하기 위해 매일의 규정식 생활을 위한 식품 및 음료에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없는 신규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비만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당과 지방인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신규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지방과 당의 과다 섭취를 방지하기 위해 매일의 규정식 생활을 위한 식품 및 음료에 사용되는 신규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인체내의 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비만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당과 지방인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신규한 식품 및 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지방과 당의 과다 섭취를 방지하기 위해 매일의 규정식 생활을 위한 신규한 식품 및 음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당의 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모라시애(Moraceae)로 분류되는 뽕나무 유래의 추출물과 함께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콩과식물로 분류되는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추출물의 사용으로 내장지방의 현저한 감소 외에 체중 증가를 억제하고 체중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콩과식물로 분류되는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에서 물이나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이 모라시애로 분류되는 뽕나무에서 물이나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물과 함께 사용되고, 여기서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추출물은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고 한편 뽕나무 유래의 다른 추출물은 당의 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고, 따라서 내장지방의 현저한 감소 외에 체중 증가를 억제하고 체중을 감소시키는 향상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콩과식물로 분류되는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에서 물이나 유기용매로 추출된 수렴성과 고미가 감소된 로스트된 추출물이 모라시애로 분류되는 뽕나무에서 물이나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물과 함께 사용되고, 여기서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로스트된 추출물은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고 한편 뽕나무 유래의 다른 추출물은 당의 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고, 따라서 내장지방의 현저한 감소 외에 체중 증가를 억제하고 체중을 감소시키는 향상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내장지방의 현저한 감소 외에 체중 증가를 억제하고 체중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이 조성물은 천연물질로부터 추출되기 때문에 상기 조성물이 안전성 측면에서 일상생활에 매일 사용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또한 식품과 음료에 첨가하기 위해 수렴성과 고미가 감소되어 있다.
본 발명은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제1 추출물과 뽕나무 유래의 제2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의 중량 혼합비는 1:0.5 내지 1:2.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추출물은 상기 제2 추출물과 배합되기 전에 로스트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추출물은 100-13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로스트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제1 추출물과 뽕나무 유래의 제2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를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 및 음료의 기본원료에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의 중량 혼합비는 1:0.5 내지 1:2.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추출물은 상기 제2 추출물과 배합되기 전에 로스트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추출물은 100-13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로스트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제1 추출물과 뽕나무 유래의 제2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비만개선제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의 중량 혼합비는 1:0.5 내지 1:2.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추출물은 상기 제2 추출물과 배합되기 전에 로스트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추출물은 100-13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로스트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제1 추출물과 뽕나무 유래의 제2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은 중량비로 1:0.5 내지 1:2.5의 범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추출물을 상기 제2 추출물과 혼합하기 전에 로스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추출물은 100-13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로스트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제1 추출물과 뽕나무 유래의 제2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식품 및 음료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식품 및 음료의 기본원료에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은 중량비로 1:0.5 내지 1:2.5의 범위로 혼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추출물을 상기 제2 추출물과 혼합하기 전에 로스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추출물은 100-13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로스트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제1 추출물과 뽕나무 유래의 제2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비만개선제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개선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은 중량비로 1:0.5 내지 1:2.5의 범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추출물을 상기 제2 추출물과 혼합하기 전에 로스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추출물은 100-13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로스트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은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로부터 물, 극성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로 추출된다. 추출방법은 이들 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의 건조된 지상부는 미세 조각으로 절단하거나 밀로 분쇄하고 유기용매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연속추출하여 담갈색이나 녹갈색의 페이스트 또는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얻는다. 이 추출물은 식품 및 음료에 직접 첨가될 수 있다. 이 추출물은 또한 식품 및 음료에 첨가하기 전에 분획용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추출물은 식품 및 음료에 첨가되기 전에 수렴성과 고미를 감소시키기 위해 로스트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 추출물은 100-13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1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로스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추출물은 리파제-억제 활성의 감소없이 불쾌한 냄새뿐만 아니라 수렴성과 쓴맛이 감소된다.
유효성분으로 1-데옥시노디리마이신을 함유하는 뽕나무 유래의 추출물은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140351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다. 또한, 뽕나무 잎의 건조 분말을 물이나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처리하여 뽕나무잎 유래의 추출물을 얻었다. 얻어진 추출물은 담갈색 또는 녹갈색의 페이스트 또는 분말 형태로 하였다. 이 추출물은 식품과 음료에 직접 첨가될 수 있다. 이 추출물은 또한 식품 및 음료에 첨가하기 전에 분획용 크로마토그래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뽕나무 유래의 추출물은 로스트될 수 있다. 농축된 뽕나무 추출용액은 연속분무건조공정을 위해 부형제로서 덱스트린을 15-18%, 바람직하게는 20%가 첨가된다. 농축된 뽕나무 추출용액에 부형제를 첨가함으로써 향미가 개선되고 또한 식품과 음료에 첨가하기에 적합한 미세입자 추출물이 된다.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추출물과 뽕나무 유래의 추출물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체지방 특히 내장 주위에 축적된 지방의 현저한 감소 외에 체중 증가를 억제하고 체중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추출물과 뽕나무 유래의 추출물의 중량 혼합비는 1:0.5 내지 1:2.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부형제의 양은 상기 뽕나무 유래 추출물의 양에서 제외된다.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추출물과 뽕나무 유래의 추출물의 혼합물은 적절한 용매로 희석하거나 또는 농축후 비만개선제는 물론 식품 및 음료에 첨가되기 위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감압 또는 냉동 건조공정으로 분말이나 페이스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 조성물은 캡슐 또는 소프트 캡슐에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비만방지제로서 이용되기 위해 정제상 또는 과립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모든 식품 및 음료용 재료, 예를 들면 추잉검, 초콜릿, 캔디, 정제모양의 과자, 젤리, 비스킷, 쿠키, 크래커, 스낵 등의 다양한 과자류, 또는 아이스크림, 냉동과자 등의 다양한 빙과류, 청량음료, 영양음료, 미용음료, 차 등의 다양한 음료, 및 빵, 햄, 스프, 스파게티 및 냉동식품에 혼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의 분쇄된 지상부 40kg을 50% 에탄올 용액 200L에 넣고 60℃에서 2시간동안 연속인 교반작업을 하였다. 1차 여과후 1차 잔류물을 50% 에탄올 용액 150L에 첨가하여 60℃에서 2시간동안 연속적인 교반작업을 하였다. 2차 여과후 2차 잔류물을 50% 에탄올 용액 150L에 첨가하여 60℃에서 2시간동안 연속적인 교반작업을 하였다. 추출 잔류물은 총량 500L의 에탄올 용액으로 세 번이상 추출하여 추출 잔류물을 제거하였다. 잔류물이 없는 추출용액을 농축시킨후 이 농축된 추출용액을 진공 건조시켜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추출물을 1.2kg 정도 얻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추출 작용을 수행하여 농축된 추출용액을 얻었다. 이 농축 추출용액 40L를 200L의 증류솥에 옮겨놓고 2.0kg/cm2, 시간당 30L의 수증기로 2시간 동안 증류하여 수증기 증류 추출물로부터 휘발 성분을 제거하였다. 상기 잔류물에 온도 40℃이하인 물 400L를 첨가하여 동일하게 교반하고 이어서 상청액을 제거하기 전에 방치하고 나서 상기 추출물로부터 액상성분을 제거하였다. 침전물을 진공동결건조에 의해 건조시켜 건조분말을 얻었다. 이 건조 분말을 열풍오븐에 옮겨놓고 110℃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상기 분말을 가열하여 1.1kg의 추출물 분말을 얻었다. 이 추출물 분말은 수렴성과 쓴맛이 감소되고 음식과 음료에 첨가하기에 적절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추출물은 폴린-시오칼토 시약으로 정량하여 페놀 함량이 대략 50%((+)-카테킨 기준) 임을 확인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염산-바닐린 시약으로 정량하여 농축 탄닌 함량이 약 14% 정도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뽕나무잎 건조 분말 10kg을 50% 에탄올 용액 120L에 넣고 50℃에서 3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교반작업을 하였다. 이 혼합물 용액을 여과후 그 여과액을 진공농축하고 동결건조공정을 실행하여 뽕나무잎 유래 추출물 1.5kg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을 수행하여 상기 추출물 내에 있는 1-데옥시노디리마이신 함량이 약 0.4%가 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뽕나무잎 건조 분말 10kg을 50% 에탄올 용액 120L에 넣고 50℃에서 3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교반작업을 하였다. 이 혼합물 용액을 여과후 이 여과액을 진공농축하고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획과 후속되는 동결건조공정을 실행하여 뽕나무잎 유래 추출물 175g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을 수행하여 상기 추출물 내에 있는 1-데옥시노디리마이신 함량이 약 7.4%가 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뽕나무잎 건조 분말 10kg을 50% 에탄올 용액 120L에 넣고 50℃에서 3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교반작업을 하였다. 이 혼합물 용액을 여과후 이 여과액을 진공농축하고 부형제로서 덱스트린 20%를 첨가하고 이어서 동결건조공정을 실행하여 뽕나무잎 유래 추출물 1.8kg을 얻었다.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을 수행하여 상기 추출물 내에 있는 1-데옥시노디리마이신 함량이 약 0.3%가 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초기 중량이 273-335g인 스프라구-다우레이 암컷 쥐들이 사용되었다. 상기 쥐들은 12시간 낮과 12시간 밤 주기로 24±2℃의 온도에서 스테인레스 강으로 만들어진 분리된 우리에서 따로따로 사육되었다. 여기서 12 시간 낮은 8:00-20:00 이다.
상기 쥐들은 대조군과 투여군으로 분리하였다. 대조군에 있어서, 상기 쥐들은 아래 표1에 나타낸 사료로 12주 동안 사육되었고, 여기서, 상기 쥐들은 사료와 물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유지되었다.
사료 조성 함량(%)
탄수화물(옥수수전분, α-옥수수전분, 수크로스) 56.9949
단백질(카세인) 18.0000
지방(라드) 20.0000
미네랄 혼합물 3.5000
비타민 혼합물 1.0000
L-시스테인 0.2511
콜린 바이타르타레이트 0.2500
3-부틸 하이드로퀴논 0.0040
투여군은 14개의 투여 소군으로 나누었다. 14개의 투여 소군에 있어서, 쥐들은 아래 표 2에서 나타낸 조성으로 첨가된 지방사료로 12주 동안 사육되었고, 여기서 상기 쥐들은 사료와 물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유지되었다.
카시아 추출물(%) 뽕나무잎 추출물(%)
대조군 0 0
투여 소군 1 2 0
투여 소군 2 4 0
투여 소군 3 6 0
투여 소군 4 0 1
투여 소군 5 0 2
투여 소군 6 0 3
투여 소군 7 0 4
투여 소군 8 0 5
투여 소군 9 0 6
투여 소군 10 2 1
투여 소군 11 2 2
투여 소군 12 2 3
투여 소군 13 2 4
투여 소군 14 2 5
상기 표 2에서 카시아 추출물은 실시예 1에서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고, 뽕나무잎 추출물은 실시예 3에서 뽕나무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다.
상기 쥐들을 사육 후, 쥐들의 무게를 측정하여 초기 무게로부터 증가된 쥐의 무게를 산정하였다. 상기 쥐들을 해부하여 복강피부 아래의 지방(피하지방)과 장간막지방을 채취후 채취된 지방들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카시아추출물(%) 뽕나무추출물(%) 중량증가(g) 피하지방(g) 장간막지방(g)
대조군 0 0 111±14 10.2±1.2 14.9±1.3
투여 소군 1 2 0 80±13 8.1±1.7 1.05±2.1
투여 소군 2 4 0 76±11 7.9±1.9 10.1±2.5
투여 소군 3 6 0 71±10 7.8±1.5 9.7±1.8
투여 소군 4 0 1 98±7 9.2±0.4 13.9±1.6
투여 소군 5 0 2 95±13 9.5±1.3 14.0±2.7
투여 소군 6 0 3 94±12 9.6±1.0 13.6±1.4
투여 소군 7 0 4 92±14 9.4±1.2 12.8±2.1
투여 소군 8 0 5 91±9 9.2±0.9 12.5±1.6
투여 소군 9 0 6 92±11 9.2±1.1 13.0±1.2
투여 소군 10 2 1 79±11 7.6±0.8 9.8±1.0
투여 소군 11 2 2 80±8 8.0±1.2 9.5±0.9
투여 소군 12 2 3 80±9 8.5±1.5 9.2±1.3
투여 소군 13 2 4 76±11 7.8±0.8 8.3±1.1
투여 소군 14 2 5 78±10 7.9±0.9 8.6±1.0
상기 표 3에서 카시아 추출물은 실시예 1에서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고, 뽕나무잎 추출물은 실시예 3에서 뽕나무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고, 중량증가는 쥐의 초기중량에 대한 증가된 중량이고, 피하지방은 복강피부 하부에서 채취한 지방이고, 장간막지방은 장간막에서 채취한 지방이다.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 추출물이 공급된 투여 소군 1-3의 쥐들은 대조군의 쥐들에 비하여 중량증가가 분명히 억제되었고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이 분명히 감소되었다. 뽕나무잎 유래 추출물이 공급된 투여 소군 4-9의 쥐들은 대조군의 쥐들에 비하여 중량증가가 약간 억제되었고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이 약간 감소되었다.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 추출물과 뽕나무잎 유래 추출물이 함께 공급된 투여 소군 10-14의 쥐들은 대조군의 쥐에 비하여 중량이 감소되었고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 추출물과 뽕나무잎 유래 추출물을 함께 투여함으로써 상승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중량증가를 억제하고 내장지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두 추출물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 추출물과 뽕나무잎 유래 추출물의 보다더 효과적인 중량혼합비는 1:0.5 내지 1:2.5의 범위이다.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 추출물과 뽕나무잎 유래 추출물의 최적 중량혼합비는 1:2 이다.
실시예 6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고온 에탄올용액으로 뽕나무잎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 추출물 750g을 상기 뽕나무잎 추출 여액에 용해하였다. 이 혼합 용액에 덱스트린 750g을 첨가하여 30L 정도로 진공농축하여 내장지방을 감소시키기 위한 비만방지제 조성물로서 식품과 음료에 첨가되기에 적합한 조성물 3kg을 얻었다. 이 조성물은 식품과 음료에 첨가하기에 적합한 수렴성과 고미감이 감소된 미세분말 형태로 하였다.
실시예 7
카카오매스 3.0kg, 카카오버터 1.7kg, 전지분유 2.0kg, 설탕 4.5kg, 및 실시예 6에서 얻은 조성물 50g를 믹서에 넣고 38-43℃에서 30분간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을 정제기에 옮겨넣고 35-36℃에서 정제작업을 하여 직경 40㎛ 이하의 균일한 입자를 얻었다. 이 입자를 콘칭 머신에 넣고 60℃에서 40시간동안 교반 혼합하여 콘칭공정을 실행하였다. 콘칭공정이 완료되기 직전에 유화제인 레시틴 50g과 소량의 향을 첨가하여 균질하였다. 후속되는 몰딩을 위해 27-32℃에서 템퍼링을 수행하고 응고를 위해 냉각하여 초콜릿을 얻었다. 얻어진 초콜릿은 양호한 향미를 갖고 내장지방 감소를 위한 비만개선제로서 적합하다.
실시예 8
500g의 검베이스, 1.2kg의 설탕, 200g의 콘시럽, 40g의 시트르산, 20g의 향, 및 30g의 실시예 6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배합하여 추잉검을 만들었다. 이 추잉검은 양호한 향미를 갖고 내장지방 감소를 위한 비만개선제로서 적합하다.
실시예 9
300g의 입자 설탕, 300g의 쇼트닝, 80g의 마가린, 50g의 옥수수전분, 70g의 전지분유, 10g의 염, 10g의 소듐 바이카보네이트, 1g의 바닐라향, 및 50g의 실시예 6에서 얻어진 조성물과 150g의 물을 믹서에 넣고 에어레이션시키면서 배합하고 이어서 밀가루를 첨가하여 비스킷 원료를 제조하였다. 이 원료를 길-스트레치하여 성형하고 200℃에서 10분간 구워 소프트 비스킷을 제조하였다. 이 소프트 비스킷은 양호한 향미를 갖고 내장지방 감소를 위한 비만개선제로서 적합하다.
실시예 10
220g의 설탕, 168g의 콘시럽, 72g의 물을 145-150℃로 끓여 가열 용해시킨 다음 12g의 실시예 6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배합후 성형하여 하드 캔디를 만들었다. 이 하드 캔디는 부드러운 식감을 갖고 내장지방 감소를 위한 비만개선제로서 적합하다.
실시예 11
40g의 락토스, 19g의 옥수수 전분, 1g의 당 에스테르, 및 30g의 실시예 6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혼합한 다음 압출조립기로 압출후 펀칭 머신으로 압축성형하여 100개의 정제로 된 비만개선제를 만들었다. 1개의 정제는 300mg의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 추출물과 뽕나무잎 유래 추출물을 함유한다.
실시예 12
4.0kg의 현미와 4.0kg의 애드레이를 혼합하여 80-90℃의 열수로 5-10분간 추출하여 차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차에 99g의 소듐 카보네이트, 153g의 비타민 C 및 4.5kg의 실시예 6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첨가하여 1000L의 비만개선 차를 얻었다. 이 차는 양호한 향미를 갖고 내장지방 감소를 위한 비만개선제로서 적합하다.
실시예 13
2.6kg의 30%-후레시 크림, 1.19kg의 농축탈지유, 524kg의 탈지유, 541g의 설탕, 720g의 콘시럽분말, 30g의 유화제, 30g의 안정제, 4.32kg의 물, 및 20g의 실시예 6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믹서에 넣고 60-65℃에서 배합한 다음 이 배합물을 균질기에 넣고 지방이 2㎛이하로 될 때까지 60-65℃에서 균질하여 아이스크림 믹스를 제조하였다. 이 아이스크림 믹스를 멸균솥에 넣고 85-90℃에서 15-30초간 멸균하였다. 멸균된 아이스크림 믹스를 5℃ 이하로 냉각하여 숙성하고 이어서 이를 아이스크림 제조기에 넣고 -2℃ 내지 -5℃에서 공기와 혼합하여 냉동시켜 소프트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였다. 소프트 아이스크림은 -20℃에서 더욱 냉동시켜 하드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였다. 소프트 아이스크림과 하드 아이스크림은 부드러운 식감과 양호한 향미를 갖고 내장지방 감소를 위한 비만개선제로서 적합하다.
실시예 14
100g의 설탕, 3g의 사이클로덱스트린, 1.5g의 소듐 카보네이트, 3g의 셀룰로스, 3g의 향, 50g의 커피 추출물, 및 20g의 실시예 6에서 얻어진 조성물을 물에 용해시켜 전체 부피가 1000ml가 되도록 한 다음 50ml씩 나누어 액상 약제를 제조하였다. 이 액상 약제는 양호한 향미를 갖고 내장지방 감소를 위한 비만개선제로서 적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추출물과 뽕나무 유래의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내장지방의 현저한 감소 외에 체중 증가를 억제하고 체중을 감소시키는 향상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이 앞에서 설명된 여러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의해 커버되는 모든 변형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6)

  1.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제1 추출물과 뽕나무 유래의 제2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의 중량 조성비는 1:0.5 내지 1:2.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은 로스트된 것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은 100-13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로스트된 것인 조성물.
  5.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제1 추출물과 뽕나무 유래의 제2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과 제2 추출물은 식품 및 음료의 기본원료에 혼합되는 것인 식품 및 음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의 중량 혼합비는 1:0.5 내지 1:2.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인 식품 및 음료.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은 로스트된 것인 식품 및 음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은 100-13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로스트된 것인 식품 및 음료.
  10.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제1 추출물과 뽕나무 유래의 제2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비만개선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의 중량 조성비는 1:0.5 내지 1:2.5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인 비만개선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은 로스트된 것인 비만개선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은 100-13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로스트된 것인 비만방지제.
  14.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제1 추출물과 뽕나무 유래의 제2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은 중량비로 1:0.5 내지 1:2.5의 범위로 혼합하는 것인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을 상기 제2 추출물과 혼합하기 전에 로스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은 100-13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로스트되는 것인 제조방법.
  18.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제1 추출물과 뽕나무 유래의 제2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조성물을 식품 및 음료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및 음료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및 음료의 기본원료에 혼합되는 것인 제조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은 중량비로 1:0.5 내지 1:2.5의 범위로 혼합하는 것인 제조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을 상기 제2 추출물과 혼합하기 전에 로스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은 100-13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로스트되는 것인 제조방법.
  23. 카시아 미모소이데스 엘. 변종 노마메 마키노 유래의 제1 추출물과 뽕나무 유래의 제2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비만개선제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개선제 제조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과 상기 제2 추출물은 중량비로 1:0.5 내지 1:2.5의 범위로 혼합하는 것인 제조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을 상기 제2 추출물과 혼합하기 전에 로스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출물은 100-13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로스트되는 것인 제조방법.
KR1019980058705A 1997-12-25 1998-12-26 비만 개선에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 KR199900634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57873 1997-12-25
JP9357873A JPH11187843A (ja) 1997-12-25 1997-12-25 肥満改善用の飲食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480A true KR19990063480A (ko) 1999-07-26

Family

ID=1845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705A KR19990063480A (ko) 1997-12-25 1998-12-26 비만 개선에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930019A3 (ko)
JP (1) JPH11187843A (ko)
KR (1) KR1999006348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560B1 (ko) * 2004-06-18 2007-03-13 한국식품연구원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및 용도
KR100718161B1 (ko) * 2004-06-18 2007-05-15 한국식품연구원 항비만용 리파제 저해제 및 용도
US7576407B2 (en) 2006-04-26 2009-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electrically programmable integrated fuses for low power applic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617B1 (ko) * 1999-08-05 2002-02-27 김강권 뽕잎을 주재로 한 아이스크림류의 제조방법
JP4678904B2 (ja) * 1999-11-02 2011-04-27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ホップより得られる体重増加抑制物質
KR100368039B1 (ko) * 2000-08-23 2003-01-14 주식회사롯데삼강 뽕잎을 함유하는 유중수형 유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TWI329516B (en) 2000-12-12 2010-09-01 Kaneka Corp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multiple risk factor syndromes and visceral fat-type obesity
KR100362511B1 (ko) * 2001-01-03 2002-11-29 박성근 뽕나무어린가지와 한약재의 추출액을 포함한 차 및 이의제조방법
CN1512878A (zh) * 2001-05-28 2004-07-14 钟纺株式会社 脂肪分解促进剂及含有该成分的皮肤化妆原料、饮食品合成物及瘦身方法和用途
US7025985B2 (en) 2001-05-28 2006-04-11 Kanebo, Ltd. Dihydroxyphenyl compounds and glucoside compounds thereof
KR100645385B1 (ko) * 2005-10-05 2006-11-23 주식회사 안지오랩 비만 억제용 조성물
WO2004037001A1 (ja) * 2002-10-08 2004-05-06 Meiji Dairies Corporation グリセミックインデックス低下食品
JP4255352B2 (ja) * 2002-10-08 2009-04-15 明治乳業株式会社 グリセミックインデックス低下食品
JP2004147605A (ja) * 2002-10-31 2004-05-27 Niigata Prefecture 桑の処理方法,桑微粉末の製造方法,桑抽出物の製造方法及び桑含有食品
JP4963738B2 (ja) * 2009-03-27 2012-06-27 クラシエ製薬株式会社 アルクチゲニン高含有ゴボウシエキ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79276A (ja) * 2013-01-04 2013-05-02 Lotte Co Ltd メチオニナーゼ阻害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並びに飲食品
CN103444978B (zh) * 2013-08-27 2015-06-03 浙江师范大学 桑叶营养蛋白速溶粉的制作方法
JP6649687B2 (ja) * 2014-06-17 2020-02-19 株式会社J−オイルミルズ 焼き菓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082742B (zh) * 2014-07-04 2016-06-29 凯泽(武汉)健康管理有限公司 一种调理血糖平衡的功能性食品
JP6627005B1 (ja) * 2019-03-07 2019-12-25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容器詰コーヒー飲料
JP2021061789A (ja) * 2019-10-15 2021-04-22 サムライ金沢株式会社 食品組成物および飼料組成物
JP7450279B2 (ja) * 2019-12-05 2024-03-15 Fulllife株式会社 起泡済み食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065192A (ko) * 2021-11-04 2023-05-11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차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너지 대사 촉진 또는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8202B2 (ja) * 1994-06-23 1997-06-11 株式会社ロッテ 血中脂質降下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品
JP3532999B2 (ja) * 1995-03-24 2004-05-31 株式会社ロッテ 新規なタンニン類およ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リパーゼ阻害剤
JP3530657B2 (ja) * 1995-11-21 2004-05-24 株式会社ロッテ 血糖改善用飲食組成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560B1 (ko) * 2004-06-18 2007-03-13 한국식품연구원 항비만용 아밀라제 저해제 및 용도
KR100718161B1 (ko) * 2004-06-18 2007-05-15 한국식품연구원 항비만용 리파제 저해제 및 용도
US7576407B2 (en) 2006-04-26 2009-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electrically programmable integrated fuses for low power appl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30019A3 (en) 1999-07-28
JPH11187843A (ja) 1999-07-13
EP0930019A2 (en) 1999-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3480A (ko) 비만 개선에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
US20120021088A1 (en) Oral use
JP2618202B2 (ja) 血中脂質降下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食品
US20010018090A1 (en) Calorie reducing agent
WO2009136611A1 (ja) 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剤、グルタチオンの欠乏に起因する疾患の予防・治療剤、飲食品及び飼料
US20180000871A1 (en) Composition
JP4684556B2 (ja) Sdgの製法およびその配合飲食物
WO2006132042A1 (ja) 食薬栄養末と油脂
WO2005027892A1 (ja) インスリン初期分泌促進剤
JP2003342185A (ja) リパーゼ活性阻害剤
JP4575588B2 (ja) 悪酔い・二日酔い予防剤
US4859468A (en) Compositions and method for decomposing adipose tissue
JP2007070263A (ja) 糖尿病予防用組成物
KR102122408B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296611B2 (ja) 一酸化窒素産生促進剤
AU2013367872B2 (en) Igf-1 production-promoting agent
JP2007070265A (ja) 脂質代謝改善用組成物
JP5176176B2 (ja) 脂質代謝改善物、飲食品、および医薬品
KR20190113721A (ko) 스테비아를 포함하는 양파껍질 효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JP2008094797A (ja) 肥満抑制剤及び該肥満抑制剤を含む高脂肪含有飲食品
JP7298001B2 (ja) カテキン類含有組成物
KR102478971B1 (ko) 호박, 엉겅퀴, 단호박, 양파, 토마토, 돼지감자, 비트 및 생강을 포함하는 배변유도 및 다이어트용 식품 조성물
KR101695299B1 (ko) 필발 추출물, 이소플라본을 함유하는 대두 추출물 및 l-카르니틴을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