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053A - 잠금장치 및 냉동장치 - Google Patents

잠금장치 및 냉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053A
KR20230037053A KR1020237005111A KR20237005111A KR20230037053A KR 20230037053 A KR20230037053 A KR 20230037053A KR 1020237005111 A KR1020237005111 A KR 1020237005111A KR 20237005111 A KR20237005111 A KR 20237005111A KR 20230037053 A KR20230037053 A KR 20230037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regulating
hole
pressing member
le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5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시 오카다
Original Assignee
피에이치씨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이치씨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에이치씨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37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0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4Lost motion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57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by locking the handle, spindle, follower or the like
    • E05B47/0665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by locking the handle, spindle, follower or the like radially
    • E05B47/0669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by locking the handle, spindle, follower or the like radially with a pivotally moveable block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52Locks mounted on the "frame" cooperating with means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00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05C3/045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in the form of a hoo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Abstract

잠금장치는, 핸들의 조작을 규제하는 규제부, 구멍, 및, 전자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부응하여 이동하는 이동 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고, 제1 회전축 주위를 요동하는 레버 부재와, 구멍 안에 배치되어, 열쇠의 해정(解錠) 조작에 부응하여 구멍 안에서 제1 왕복 이동을 하는 압압(押壓: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압압 부재는, 제1 왕복 이동의 왕로에 있어서 구멍의 내주면의 일부인 제1 부위를 눌러 레버 부재를 제1 회전축 주위에 요동시킴으로써, 규제부를 핸들 조작을 규제하는 위치로부터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1 왕복 이동의 귀로에 있어서 레버 부재를 요동시키는 일없이 제1 부위로부터 멀어진다.

Description

잠금장치 및 냉동장치
본 개시는, 잠금장치 및 냉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저장실을 가지는 냉동장치의 문에 장착된 핸들(handle)이 개시되어 있다. 핸들은, 문이 닫힌(閉) 상태일 때에 조작됨으로써, 문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開) 상태가 되는 동작을 규제 및 허용한다. 핸들에는, 핸들 조작을 규제하는(즉 시정(施錠:자물쇠를 잠금)하는) 및 허용하는(즉 해정(解錠:자물쇠 해제함)하는) 수동식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6392466호 공보
그런데, 핸들은, 수동식(手動式) 잠금장치(locking device) 및 전자식(電子式) 잠금장치의 양쪽을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수동식 잠금장치 및 전자식 잠금장치의 양쪽을 구비할 경우, 수동식 잠금장치 및 전자식 잠금장치의 어느 쪽 잠금장치로 핸들 조작이 규제되어 있는지 사용자가 모를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핸들 조작을 하는데에 시간이 걸리는 일이 있다.
본 개시는,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수동 및 전동의 각각으로 간편하게 시정 및 해정을 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에 있어서의 잠금장치는, 핸들 조작을 규제(規制)하는 규제부, 구멍, 및, 전자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부응하여 이동하는 이동(移動) 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고, 제1 회전축(回轉軸) 주위를 요동(搖動)하는 레버(lever) 부재와, 구멍 안에 배치되어, 열쇠의 해정 조작에 부응하여 구멍 안에서 제1 왕복 이동을 하는 압압(押壓: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압압 부재는, 제1 왕복이동의 왕로(往路)에 있어서 구멍의 내주면(內周面)의 일부인 제1 부위를 눌러 레버 부재를 제1 회전축 주위에 요동시킴으로써, 규제부를 핸들 조작을 규제하는 위치로부터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1 왕복 이동의 귀로(歸路)에 있어서 레버 부재를 요동시키는 일없이 제1 부위로부터 멀어진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에 있어서의 냉동장치는, 본 개시의 잠금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개시의 잠금장치 및 냉동장치에 의하면, 수동 및 전동 각각으로 간편하게 시정(施錠) 및 해정(解錠)을 할 수 있다.
[도 1]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냉동장치의 사시도
[도 2] 핸들의 측면도
[도 3] 핸들의 사시도
[도 4] 핸들의 분해 사시도
[도 5] 전자 액추에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핸들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핸들의 단면도
[도 7]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핸들의 단면도
[도 8]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핸들의 단면도
[도 9]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핸들의 단면도
[도 10]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핸들의 단면도
[도 11] 제3 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핸들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2] 제3 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핸들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3] 제4 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핸들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14] 제4 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핸들의 부분 확대 단면도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잠금장치 및 냉동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있어서의 상측(上側) 및 하측(下側)을 각각 냉동장치(1)의 위쪽(上方) 및 아래쪽(下方)으로, 마찬가지로 좌상측(左上側) 및 우하측(右下側)을 각각 냉동장치(1)의 뒤쪽(後方) 및 앞쪽(前方)으로, 마찬가지로 좌측(左側) 및 우측(右側)을 각각 냉동장치(1)의 왼쪽(左方) 및 오른쪽(右方)으로서 설명한다.
잠금장치(50)는, 예를 들면, 수납실(收納室)(도면표시 없음)의 내부 온도가 -80℃이하로 되는 초저온(超低溫) 프리저 등의 냉동장치(1)에 장착된다.
냉동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앞쪽으로 개구(開口)하는 수납실(도면표시 없음)을 내부에 가지는 박스형 몸체(2), 수납실의 개구를 개폐(開閉)하는 문(扉)(3), 및, 문(3)에 장착된 핸들(4)을 구비하고 있다. 또, 몸체(2)는, 수납실내를 냉각하는 냉동 회로(도면표시 없음)를 구비하고 있다.
문(3)은, 우측에 배치된 힌지(hinge)(도면표시 없음)를 경유하여, 몸체(2)에 접속되어 있다. 문(3)은, 오른쪽 펼치기(右開)식 문이다. 또, 문(3)에는, 사용자가 냉동장치(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패널(3a)이 배치되어 있다.
핸들(4)은, 도 1 및 도 2에 표시되는 것처럼, 문(3)의 좌측면에 붙어 있다. 핸들(4)은, 문(3)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부재이며, 문(3)의 개폐시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핸들(4)은, 문(3)이 닫힌 상태일 때 조작됨으로써, 문(3)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되는 동작을 규제 및 허용한다. 핸들(4)은, 도 2 내지 도 8에 표시되는 것처럼, 몸체 베이스(10), 문 베이스(20), 케이싱(casing)(30), 및, 손잡이(40)를 구비하고 있다. 몸체 베이스(10), 문 베이스(20) 및 케이싱(30)은, 각각 별개(separate)로 설치되어 있다.
몸체 베이스(10)는, 몸체(2)의 좌측면에 있어서의 문(3) 근방에 고정되어 있다. 몸체 베이스(10)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나는 것처럼, 몸체 고정부(11), 계합(係合:맞물림) 핀(12), 및, 돌기부(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나는 돌기부(13)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몸체 고정부(11)는, 판상(板狀)으로 형성되어, 몸체(2)에 고정된다. 계합 핀(12)은, 몸체 고정부(11)의 좌판면(左板面)으로부터 왼쪽을 향해 좌우 방향을 따라 길다란 원주상(圓柱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합 핀(12)은, 문(3)이 닫힌 상태일 때에 케이싱(30)에 계합한다(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돌기부(13)는, 몸체 고정부(11)의 앞 측면으로부터 앞쪽을 향해 돌출한다. 돌기부(13)는, 문(3)이 닫힌 상태일 때에 후술하는 규제 플레이트(22)를 누른다(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문 베이스(2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문(3)의 좌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문 베이스(20)는, 문(3)이 닫힌 상태일 때, 몸체 베이스(10)와 전후(前後)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문(3)에 장착된다. 문 베이스(20)는, 좌판면으로부터 왼쪽을 향해 돌출하는 스토퍼(stopper)(21)가 형성되어 있다(도 3 및 도 6 내지 도 8). 스토퍼(21)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문 베이스(20)에는, 케이싱(30)이 도 2의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문베이스(20)에는, 규제 플레이트(22)가 배치되어 있다(도 3 및 도 4). 규제 플레이트(22)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케이싱(30)은, 오른쪽을 개구(開口)하는 속이 비어 있는 원주상(圓柱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30)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는 것처럼, 베이스축(軸) 부재(31)가 장착되어 있고, 베이스축 부재(31)는, 케이싱(30)의 좌측벽을 관통하여, 문 베이스(20)에 장착된다. 케이싱(30)은, 문 베이스(20)에 대해서 제2 회전축(31a) 주위로 회전한다. 제2 회전축(31a)은, 베이스축 부재(31)의 중심축이다.
케이싱(30)과 손잡이(40)는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40)는, 케이싱(30)의 외주면으로부터 길다란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40)는, 사용자에 의해 핸들(4)이 조작될 때에 움켜잡힌다. 문(3)이 닫힌 상태에 있을 때에, 손잡이(40)가 상하 방향을 따르는 닫힌(閉) 위치(Ph1)에 위치하도록, 케이싱(30)이 문(3)에 장착된다(도 2). 또, 케이싱(30)에는, 피(被)계합부(32) 및 볼록(凸)부(33)가 형성되어 있다.
피계합부(32)는, 케이싱(30)의 좌측벽의 내면에, 제1 단(端)이 케이싱(30)의 외주면으로 개구하는 구상(溝狀: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계합부(32)는, 손잡이(40)가 닫힌 위치(Ph1)에 위치할 때, 대체로 상하 방향을 따라서 길다랗게 형성되어 있다(도 6). 또, 문(3)이 닫힌 상태이고, 그러면서 또, 손잡이(40)가 닫힌 위치(Ph1)에 위치할 때, 피계합부(32)의 제2 단부(端部)에는, 계합 핀(12)이 계합한다(도 6). 이것에 의해, 손잡이(40)가 닫힌 위치(Ph1)에 위치한 채, 사용자가 문(3)을 열려고 하더라도, 계합 핀(12)이 피계합부(32)의 측면에 닿아있기 때문에, 문(3)이 열리는 것이 규제된다.
사용자는, 문(3)을 열 때에, 손잡이(40)를 움켜잡고, 케이싱(30)이 도 2에 있어서 시계방향(도 6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손잡이(40)를 조작한다(즉, 앞쪽으로 당긴다). 이것에 의해, 손잡이(40)는 닫힌 위치(Ph1)(도 6)로부터 열린(開) 위치(Ph2)(도 8)를 향해 이동한다. 케이싱(30)이 회전하면, 피계합부(32)가 회전함으로써 피계합부(32)의 측면이 계합 핀(12)을 누른다.
손잡이(40)가 열린 위치(Ph2)에 위치하면, 눌린 계합 핀(12)은, 피계합부(32)의 개구 근방까지 케이싱(3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그러면서 또, 피계합부(32)의 제1 단은 후방을 향해 개구한다(도 8).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문(3)을 열 때에, 계합 핀(12)이 피계합부(32)의 측면에 닿지않기 때문에, 문(3)이 열리는 것이 허용된다. 또한 손잡이(40)가 열린 위치(Ph2)에 위치하면, 계합 핀(12)이 이동한 전후방향의 거리분량 만큼, 문(3)이 열린다.
볼록부(33)는, 케이싱(30)의 좌측벽의 내면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좌우 방향을 따라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33)의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 케이싱(30)에는, 잠금장치(50)가 수납되어 있다. 잠금장치(50)는, 핸들(4)의 조작을 규제 및 허용하는 것이다. 잠금장치(50)가 규제 및 허용하는 핸들(4)의 조작이란, 사용자가 손잡이(40)를 닫힌 위치(Ph1)로부터 열린 위치(Ph2)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다.
잠금장치(50)가 시정되어 있는 경우, 핸들(4)의 조작은 규제된다. 즉, 잠금장치(50)가 시정되어 있을 때, 사용자는 손잡이(40)를 닫힌 위치(Ph1)로부터 열린 위치(Ph2)로 이동시킬 수 없다. 한편, 잠금장치(50)가 해정되어 있는 경우, 핸들(4)의 조작은 허용된다. 즉, 잠금장치(50)가 해정되어 있을 때, 사용자는 손잡이(40)를 닫힌 위치(Ph1)로부터 열린 위치(Ph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잠금장치(50)는, 전자 액추에이터(51), 제어부(52)(도 1), 수동(手動) 회전 부재(53), 레버 부재(54), 연결 부재(55)(도 5), 및, 보지(保持) 부재(56)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술한 스토퍼(21) 및 볼록부(33)도 잠금장치(50)를 구성한다. 연결 부재(55)는, 「이동 부재」의 일례이다.
전자(電磁) 액추에이터(51)는, 자기 보지형(自己保持型) 솔레노이드 (solenoid)를 이용해 구성되어 있다. 전자 액추에이터(51)는, 도 5에 나타나는 것처럼, 케이싱(30)의 좌측벽의 내면에 형성된 옴폭(凹)부(34)에 배치되어 있다. 전자 액추에이터(51)는, 프레임(51a), 가동 철심(可動 鐵心)(51b), 제1 스프링(51c), 영구 자석(51d), 및, 자기 코일(51e)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51a)은, 직방체(直方體) 모양으로 형성되어, 영구자석(51d) 및 자기 코일(51e)을 수납한다. 가동 철심(51b)은,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51a)에 대해서 축선(軸線) 방향을 따라서 진퇴(進退) 가능하게 보지되어 있다. 가동 철심(51b)의 제1 단부(도 5에 있어서 상단부)는, 프레임(51a)내에 수납되어 있다. 가동 철심(51b)의 제2 단부(도 5에 있어서 하단부)는, 외부로 노출해 있다. 가동 철심(51b)은, 축선 방향(도 6에 있어서 대체로 상하 방향)을 따르듯이 진퇴한다.
제1 스프링(51c)은, 코일 스프링이다. 제1 스프링(51c)은, 가동 철심(51b)을 프레임(51a)으로부터 진출하는 방향(도 5 내지 도 7의 아래쪽)을 향해 힘을 가한다. 영구자석(51d)은, 가동 철심(51b)을 자력을 이용해 보지한다.
자기 코일(51e)은, 통전(通電)됨으로써 자속을 발생시키는 코일이다. 자기 코일(51e)은, 프레임(51a)내에 있어서, 가동 철심(51b)의 제1 단부의 주위에 도선(導線)이 감겨짐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자기 코일(51e)을 구성하는 도선의 양단부는, 단자(T)를 경유해 전선(電線)(C)과 접속되어 있다. 자기 코일(51e)은, 전선(C)을 경유하여 단자(T)로부터 수전(受電)한다. 단자(T)는 「수전부」의 일례이다.
단자(T)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자기 코일(51e)의 앞 측면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 단자(T)는, 가동 철심(51b)의 제2 단부보다 제2 회전축(31a)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도 6). 가동 철심(51b)의 제2 단부에는, 레버 부재(54)의 후술하는 장착부(54b)가 연결 부재(55)를 경유하여 장착된다. 즉, 자기 코일(51e)은, 장착부(54b)보다, 제2 회전축(31a)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자기 코일(51e)은, 구체적으로는, 제2 회전축(31a)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 액추에이터(5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나는 전자 액추에이터(51)는, 자기 코일(51e)이 통전되어 있지 않고, 가동 철심(51b)은, 프레임(51a)으로부터 진출한 진출 위치(Pp1)에 위치하고, 그러면서 또, 가동 철심(51b)의 위치는, 영구자석(51d)의 자력에 의해 진출 위치(Pp1)에 보지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나는 전자 액추에이터(51)에 있어서, 자기 코일(51e)이 소정의 방향으로 통전되면, 자기 코일(51e)이 여자됨으로써 가동 철심(51b)을 끌어당기는 흡인력(吸引力)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철심(51b)은, 흡인력에 의해 영구자석(51d)의 자력(磁力) 및 제1 스프링(51c)의 부세력(付勢力:미는 힘)에 저항하여 후퇴하여, 도 7에 표시되는 후퇴 위치(Pp2)에 위치한다. 그리고, 자기 코일(51e)의 통전이 정지되면, 가동 철심(51b)은, 영구자석(51d)의 자력에 의해 후퇴 위치(Pp2)에서 보지된다.
한편, 도 7에 표시되는 전자 액추에이터(51)에 있어서, 자기 코일(51e)이 소정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통전되면, 자기 코일(51e)이 소정 방향으로 통전되었을 때와 반대 방향의 자속을 발생시킨다. 이것에 의해, 영구자석(51d)의 자력이 캔슬되기 때문에, 가동 철심(51b)은, 제1 스프링(51c)의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영구자석(51d)의 자력에 저항하여 진출하여, 도 6에 나타나는 진출 위치(Pp1)에 위치한다. 그리고, 자기 코일(51e)의 통전이 정지되면, 가동 철심(51b)은, 영구자석(51d)의 자력에 의해 진출 위치(Pp1)에서 보지된다. 이하, 자기 코일(51e)의 통전에 있어서, 소정의 방향을 진출 방향이라고 기재하고, 소정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을 후퇴 방향이라고 기재한다.
제어부(52)는, 문(3)에 수납되어 있다(도 1). 제어부(52)는, 전자 액추에이터(51)의 자기 코일(51e)과 전선(C)(도 5)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자 액추에이터(51)를 제어한다. 제어부(52)는, 핸들(4)의 조작을 규제하는 취지의 시정신호를 수신한 경우, 자기 코일(51e)에 진출 방향으로 통전한다. 한편, 핸들(4)의 조작을 허용하는 취지의 해정신호를 수신한 경우, 자기 코일(51e)에 후퇴 방향으로 통전한다. 제어부(52)가 수신하는 신호는, 냉동장치(1)를 통괄 제어하는 제어장치(도면표시 없음)로부터 출력된다.
사용자에 의해 조작 패널(3a)에 표시되는 핸들(4)의 조작을 규제하는 시정 스위치(도면표시 없음)가 눌러진 것에 부응하여, 제어장치는 시정 신호를 제어부(52)에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조작 패널(3a)에 배치된 핸들(4)의 조작을 허용하는 해정 스위치(도면표시 없음)가 눌러지면, 제어장치는 해정신호를 제어부(52)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52)는, 제어장치와 일체로 구성되어도 좋고, 별도로 구성되어도 좋다.
수동 회전 부재(53)는, 도 4에 표시되는 것처럼, 좌우 방향을 따라 길다란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동 회전 부재(53)는, 좌측면에 설치된 열쇠구멍(H)(도 2)에 핸들(4)의 외부로부터 열쇠(K)를 삽입할 수 있도록, 케이싱(30)에 배치되어 있다. 열쇠구멍(H)에 열쇠(K)가 삽입되어 열쇠(K)가 수동으로 돌려짐으로써, 수동 회전 부재(53)는, 수동 회전 부재(53)의 중심축 주위를 회전한다. 또, 수동 회전 부재(53)에는, 압압 부재(53a)가 설치되어 있다.
압압 부재(53a)는, 수동 회전 부재(53)의 우측면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좌우 방향을 따라서 길다란 원주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압압 부재(53a)는, 수동 회전 부재(53)와 일체로 회전한다. 압압 부재(53a)는, 열쇠구멍(H)에 열쇠(K)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도 6 및 도 7에 나타나는 기준 위치(Po1)에 위치한다. 압압 부재(53a)가 기준 위치(Po1)에 위치할 때에, 열쇠구멍(H)에 대해서 열쇠(K)의 넣고빼기가 가능하도록 수동 회전 부재(53)가 구성되어 있다.
압압 부재(53a)가 기준 위치(Po1)에 위치할 때에, 열쇠(K)가 열쇠구멍(H)에 삽입되어 도 6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압압 부재(53a)는, 수동 회전 부재(53)의 중심축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引出) 위치(Po2)(도 9)에 위치한다. 압압 부재(53a)가 기준 위치(Po1)로부터 인출 위치(Po2)로 이동할 때의 열쇠(K)의 조작을, 해정 조작이라고 한다.
또, 압압 부재(53a)는, 열쇠(K)가 도 9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압압 부재(53a)는, 인출 위치(Po2)로부터 수동 회전 부재(53)의 중심축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준 위치(Po1)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압압 부재(53a)는, 열쇠(K)의 해정조작에 따라, 기준 위치(Po1)로부터 인출 위치(Po2)로 이동하고, 인출 위치(Po2)로부터 기준 위치(Po1)로 돌아오는 제1 왕복 이동을 한다.
또, 압압 부재(53a)가 기준 위치(Po1)에 위치할 때에, 열쇠(K)가 열쇠구멍(H)에 삽입되어 도 6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압압 부재(53a)는, 수동 회전 부재(53)의 중심축 주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압입(밀어넣음) 위치(Po3)(도 10)에 위치한다. 압압 부재(53a)가 기준 위치(Po1)로부터 압입 위치(Po3)로 이동할 때의 열쇠(K)의 조작을, 시정 조작이라고 한다.
또, 압압 부재(53a)는, 열쇠(K)가 도 10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압압 부재(53a)는, 압입 위치(Po3)로부터 수동 회전 부재(53)의 중심축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준 위치(Po1)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압압 부재(53a)는, 열쇠(K)의 시정 조작에 부응하여, 기준 위치(Po1)로부터 압입 위치(Po3)로 이동하고, 압입 위치(Po3)로부터 기준 위치(Po1)로 되돌아오는 제2 왕복 이동을 한다.
보지 부재(56)는, 레버 부재(54)를 회전 가능하게 보지하는 것이다. 보지 부재(56)는, 도 4에 표시되는 것처럼, 보지 플레이트(56a) 및 보지축(保持軸) 부재(56b)를 구비하고 있고, 보지 플레이트(56a)는, 판상(板狀)으로 형성되어, 케이싱(30)에 고정되어 있다. 보지축 부재(56b)는,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보지 플레이트(56a)의 좌판면(左板面) 으로부터 왼쪽으로 좌우 방향을 따라서 길다랗게 배치되어 있다.
레버 부재(54)는, 측면시(Side view) 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케이싱(30)의 좌측벽과 보지 플레이트(56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도 4). 또, 레버 부재(54)는, 보지축 부재(56b)에 대해서 회전(요동) 가능하게 보지축 부재(56b)에 감합(嵌合)한다. 레버 부재(54)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제1 회전축(54a)은, 보지축 부재(56b)의 중심축과 동일한 축이다.
또, 레버 부재(54) 및 전자 액추에이터(51)는, 도 5에 표시되는 것처럼, 제2 회전축(31a)(도 4 참조)에 직교하는 평면(F)을 따르듯이, 그러면서 또, 제2 회전축(31a)에 직교하는 평면(F)을 사이에 끼듯이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회전축(31a)을 따르는 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가상 레이어를 상정했을 때, 레버 부재(54) 및 전자 액추에이터(51)는, 서로 다른 레이어 내에 배치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케이싱(30) 내에 있어서의 레버 부재(54), 전자 액추에이터(51) 및 기타 부재의 레이아웃을 최적화하여, 케이싱(30)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레버 부재(54)는, 구체적으로는, 전자 액추에이터(51)보다 오른쪽 앞쪽에 배치되어 있다(도 5 및 도 6).
레버 부재(54)는, 도 6에 표시되는 것처럼, 장착부(54b), 구멍(54c), 및 규제부(54d)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부(54b)는, 레버 부재(54)에 있어서 제1 회전축(54a)보다 후방(後方) 단부에 막대(捧)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54b)에는, 전자 액추에이터(51)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 철심(51b)의 제2 단부가 장착된다. 장착부(54b)는, 구체적으로는, 연결 부재(55)를 경유하여 가동 철심(51b)에 장착된다(도 5). 가동 철심(51b)의 진퇴에 부응하여 장착부(54b) 나아가서는 레버 부재(54)가 제1 회전축(54a) 주위를 회전한다(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규제부(54d)는, 레버 부재(54)에 있어서 제1 회전축(54a)보다 앞쪽 단부에서 위쪽을 향해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규제부(54d)와 장착부(54b)는, 제1 회전축(54a)을 사이에 끼고 반대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회전축(54a)과 장착부(54b)의 거리 및 제1 회전축(54a)과 규제부(54d)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가동 철심(51b)의 이동량 나아가서는 장착부(54b)의 이동량에 따른 규제부(54d)의 이동량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레버 부재(54)가 제1 회전축(54a) 주위를 회전함으로써, 규제부(54d)는, 시정 위치(Pk1)와 해정 위치(Pk2)의 사이를 이동한다.
시정 위치(Pk1)는, 도 6에 표시되는 것처럼, 손잡이(40)가 닫힌 위치(Ph1)에 위치할 때, 제2 회전축(31a)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볼록부(33)와 스토퍼(21)의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이하, 규제 영역이라고 기재함)(R)에, 규제부(54d)가 걸리는 위치이다. 규제 영역(R)은, 도 7에 점선을 이용해 표시되는 영역이다.
스토퍼(21)는, 베이스축 부재(31)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술한 것처럼, 문(3)에 고정된 문 베이스(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21)는, 손잡이(40)가 조작되어 케이싱(30)이 회전하더라도 도 6에 표시된 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볼록부(33)는, 베이스축 부재(31)의 앞쪽에 위치하고, 상술한 것처럼 케이싱(3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록부(33)는, 손잡이(40)가 조작됨에 의해 케이싱(30)과 일체로 회전한다. 손잡이(40)가 도 6에 나타나는 닫힌 위치(Ph1)에 위치할 때, 볼록부(33)는, 제2 회전축(31a)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규제 영역(R)을 사이에 두고 스토퍼(2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위치한다. 손잡이(40)가 닫힌 위치(Ph1)로부터 회전하여 열린 위치(Ph2)에 위치할 때, 볼록부(33)는, 제2 회전축(31a) 주위를 도 6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규제 영역(R)이 형성되지 않고 스토퍼(21)와 접촉하는 위치에 위치한다(도 8).
규제부(54d)가 규제 영역(R)에 걸리는 시정 위치(Pk1)에 위치할 때(도 6), 규제부(54d)는, 제2 회전축(31a) 둘레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볼록부(33)와 스토퍼(21)에 끼여, 그러면서 또, 볼록부(33) 및 스토퍼(21) 각각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볼록부(33)의 제2 회전축(31a) 주위의 회전 나아가서는 손잡이(40)의 닫힌 위치(Ph1)로부터 열린 위치(Ph2)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즉, 규제부(54d)가 시정 위치(Pk1)에 위치할 때, 잠금 장치(50)는 시정된 상태이다.
해정 위치(Pk2)는, 도 7에 나타나는 것처럼, 핸들(4)이 닫힌 위치(Ph1)에 위치할 때에 형성되는 규제 영역(R)으로부터, 규제부(54d)가 벗어난 위치이다. 규제부(54d)가 해정 위치(Pk2)에 위치할 때, 규제부(54d)는, 볼록부(33)의 제2 회전축(31a) 주위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볼록부(33)의 제2 회전축(31a) 주위의 회전 나아가서는 손잡이(40)의 닫힌 위치(Ph1)로부터 열린 위치(Ph2)로의 회전이 허용된다. 즉, 규제부(54d)가 해정위치(Pk2)에 위치할 때, 잠금장치(50)는 해정된 상태이다.
구멍(54c)은, 대략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멍(54c)은, 레버 부재(54)에 있어서 제1 회전축(54a)보다 앞쪽에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다. 즉, 구멍(54c)과 장착부(54b)는, 제1 회전축(54a)을 사이에 두고 반대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회전축(54a)과 장착부(54b)의 거리 및 제1 회전축(54a)과 구멍(54c)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가동 철심(51b)의 이동량 나아가서는 장착부(54b)의 이동량에 따른 구멍(54c)의 이동량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구멍(54c) 안에는, 압압 부재(53a)가 배치된다. 압압 부재(53a)는, 구멍(54c) 안에서, 상술한 것처럼 제1 왕복 이동 및 제2 왕복 이동을 한다.
도 6에 표시되는 것처럼, 규제부(54d)가 시정위치(Pk1)에 위치할 때, 압압 부재(53a)의 기준 위치(Po1)(도 6)로부터 인출 위치(Po2)(도 9)로의 이동(즉 제1 왕복 이동의 왕로)에 의해, 압압 부재(53a)는, 구멍(54c)의 내주면의 일부인 제1 부위(S1)를 누른다. 제1 부위(S1)는, 구멍(54c)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아래쪽 부위이다.
한편, 도 7에 나타나는 것처럼, 규제부(54d)가 해정 위치(Pk2)에 위치할 때, 압압 부재(53a)의 기준 위치(Po1)(도 7)로부터 압입 위치(Po3)(도 10)로의 이동(즉 제2 왕복 이동의 왕로)에 있어서, 압압 부재(53a)는, 구멍(54c)의 내주면의 일부인 제2 부위(S2)를 누른다. 제2 부위(S2)는, 구멍(54c)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위쪽 부위이다.
또, 구멍(54c)은, 압압 부재(53a)의 외경(外徑)보다 제1 부위(S1)와 제2 부위(S2) 간의 거리가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나타나는 것처럼, 규제부(54d)가 시정 위치(Pk1)에 위치할 때에, 압압 부재(53a)가 기준 위치(Po1)와 압입 위치(Po3)의 사이를 왕복하는 제2 왕복 이동을 하더라도, 압압 부재(53a)가 제1 부위(S1) 및 제2 부위(S2)를 누르지 않도록, 구멍(54c)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9에 표시되는 것처럼, 규제부(54d)가 해정 위치(Pk2)에 위치할 때, 압압 부재(53a)가 기준 위치(Po1)와 인출 위치(Po2)의 사이를 왕복하는 제1 왕복 이동을 하더라도, 압압 부재(53a)가 제1 부위(S1) 및 제2 부위(S2)를 누르지 않도록, 구멍(54c)이 형성되어 있다.
또, 압압 부재(53a)가 기준 위치(Po1)에 위치할 때에(도 6 및 도 7), 후술하는 것처럼 전자 액추에이터(51)의 작동에 의해 레버 부재(54)가 회전되더라도, 압압 부재(53a)가 제1 부위(S1) 및 제2 부위(S2)를 누르지 않도록, 구멍(54c)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55)는, 전자 액추에이터(51)와 별개의 부재이다. 연결 부재(55)는, 장착부(54b)와 가동 철심(51b)을 연결한다. 도 5에 표시된 것처럼, 연결 부재(55)는, 대체로 좌우 방향을 따라서 길다란 판상(板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55)는, 일단측(좌단측)에서, 대체로 전후방향을 따라서 길다랗게 케이싱(30)에 배치된 연결축 부재(57)에, 연결축 부재(57)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감합한다. 연결 부재(55)에는, 구부(홈)(55a) 및 긴 구멍(55b)이 형성되어 있다.
구부(55a)는, 연결 부재(55)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구부(55a)에는, 가동 철심(51b)의 제2 단부를 대체로 전후방향을 따라서 관통하는 이동축 부재(58)가 계합한다. 가동 철심(51b)의 진퇴에 부응하여 가동 철심(51b)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이동축 부재(58)가 왕복 이동한다. 이동축 부재(58)의 이동에 부응하여, 가동 철심(51b)에 계합하는 구부(55a) 나아가서는 연결 부재(55)가 연결축 부재(57) 주위를 회전한다.
긴 구멍(55b)은, 연결 부재(55)의 타단측(우단측(右端側))에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55b)에는, 레버 부재(54)의 장착부(54b)가 계합한다. 가동 철심(51b)의 진퇴에 부응하여 상술한 것처럼 연결 부재(55)가 연결축 부재(57) 주위를 회전함으로써, 긴 구멍(55b)이 연결축 부재(57) 주위를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긴 구멍(55b)에 계합하는 장착부(54b)가 이동함으로써, 레버 부재(54)가 제1 회전축(54a) 주위를 회전한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55)가 구성됨으로써, 연결 부재(55)는, 일단측에 연결축 부재(57)가 접촉하는 받침점(支點)을, 타단측에 장착부(54b)가 접촉하는 작용점(作用點)을 가진다. 또, 연결 부재(55)는, 받침점과 장착부(54b)가 접촉하는 작용점과의 사이에, 이동축 부재(58)를 경유하여 전자 액추에이터(51)로부터의 힘이 가해지는 힘점(力點)을 가진다.
연결 부재(55)는, 연결축 부재(57)와 장착부(54b)가 장착되어 있는 긴 구멍(55b)의 사이에서 이동축 부재(58)가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긴 구멍(55b)의 이동량은, 가동 철심(51b)의 이동량보다 커진다. 따라서, 가동 철심(51b)의 이동량보다 장착부(54b)의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철심(51b)의 이동량의 억제 나아가서는 전자 액추에이터(51)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잠금장치(50)는, 도 4에 나타나는 것처럼, 제3 스프링(59)을 더 구비하고 있다. 제3 스프링(59)은,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이다. 제3 스프링(59)은, 레버 부재(54)와 보지 플레이트(56a)의 사이에서, 레버 구멍(54e) 및 플레이트 구멍(56a1)을 이용해 장착된다. 제3 스프링(59)은, 「탄성 부재」의 일례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나는 것처럼, 제3 스프링(59)의 제1 단부(59a)는, 보지 플레이트(56a)에 형성된 플레이트 구멍(56a1)에 장착되어 있다. 보지 플레이트(56a)는 케이싱(3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 구멍(56a1) 나아가서는 제3 스프링(59)의 제1 단부(59a)는, 케이싱(30)에 대해서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3 스프링(59)의 제2 단부(59b)는, 레버 부재(54)의 레버구멍(54e)에 장착되어 있다. 레버 부재(54)는 케이싱(30)에 대해서 제1 회전축(54a) 주위를 회전하기 때문에, 레버구멍(54e) 나아가서는 제3 스프링(59)의 제2 단부(59b)는, 케이싱(30)에 대해서 제1 회전축(54a) 주위를 회전한다. 따라서, 제3 스프링(59)은, 제2 단부(59b)의 회전에 따라 변위한다. 또, 제3 스프링(59)은, 제2 단부(59b)의 회전에 따라 탄성변형한다.
레버 부재(54)가 제1 회전축(54a) 주위를 회전할 때에, 레버구멍(54e)은, 제1 회전축(54a)과, 보지 플레이트(56a)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구멍(56a1)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레버 부재(54)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버구멍(54e)은, 점선으로 표시되는 레버구멍(54e)의 중심축의 궤적(L)을 따라서, 시정 위치(Pa1), 해정 위치(Pa2), 및, 중간 위치(Pa3)에 위치하도록 제1 회전축(54a) 주위를 이동한다.
레버구멍(54e)의 시정위치(Pa1)는, 규제부(54d)가 시정위치(Pk1)에 위치할 때의 레버구멍(54e)의 위치이다. 레버구멍(54e)의 해정위치(Pa2)는, 규제부(54d)가 해정위치(Pk2)에 위치할 때의 레버구멍(54e)의 위치이다.
레버구멍(54e)의 중간 위치(Pa3)는, 시정위치(Pa1)와 해정위치(Pa2) 사이의 레버구멍(54e)의 위치이다. 레버구멍(54e)이 중간 위치(Pa3)에 위치할 때, 레버구멍(54e)의 중심축은, 궤적 L의 중앙에 위치한다. 또, 레버구멍(54e)이 중간 위치(Pa3)에 위치할 때, 레버구멍(54e)이 플레이트 구멍(56a1)에 가장 접근하도록, 레버구멍(54e) 및 플레이트 구멍(56a1)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11에 나타나는 것처럼, 레버구멍(54e)은, 시정위치(Pa1)에 위치할 때보다, 중간 위치(Pa3)에 위치하는 쪽이, 플레이트 구멍(56a1)과의 거리가 작다. 또, 레버구멍(54e)이 시정위치(Pa1)에 위치할 때보다 중간 위치(Pa3)에 위치하는 쪽이, 제3 스프링(59)의 변형량은,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레버구멍(54e)은, 중간 위치(Pa3)에 위치할 때 보다, 시정위치(Pa1)에 위치하는 쪽이, 레버 부재(54)는, 제1 회전축(54a) 주위를 도 11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해 있다. 따라서, 레버구멍(54e)이 시정위치(Pa1)에 위치할 때, 제3 스프링(59)은, 플레이트 구멍(56a1)과 레버구멍(54e)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레버 부재(54)를 제1 회전축(54a) 주위를 도 11의 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따라서, 규제부(54d)가 시정위치(Pk1)에 위치할 때, 제3 스프링(59)은, 규제부(54d)가 시정위치(Pk1)에 계속 위치하도록 레버 부재(54)에 힘을 가한다. 이것에 의해, 규제부(54d)가 시정위치(Pk1) 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12에 나타나는 것처럼, 레버구멍(54e)은, 해정위치(Pa2)에 위치할 때보다, 중간 위치(Pa3)에 위치하는 쪽이, 플레이트 구멍(56a1)과의 거리가 작다. 또, 레버구멍(54e)이 해정위치(Pa2)에 위치할 때보다 중간 위치(Pa3)에 위치하는 쪽이, 제3 스프링(59)의 변형량은,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레버구멍(54e)은, 중간 위치(Pa3)에 위치할 때보다, 해정위치(Pa2)에 위치하는 쪽이, 레버 부재(54)는, 제1 회전축(54a) 주위를 도 1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해 있다. 따라서, 레버구멍(54e)이 해정위치(Pa2)에 위치할 때, 제3 스프링(59)은, 플레이트 구멍(56a1)과 레버구멍(54e)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레버 부재(54)를 제1 회전축(54a) 주위를 도 12의 반시계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따라서, 규제부(54d)가 해정위치(Pk2)에 위치할 때, 제3 스프링(59)은, 규제부(54d)가 해정위치(Pk2)에 계속 위치하도록 레버 부재(54)에 힘을 가한다. 이것에 의해, 규제부(54d)가 해정위치(Pk2) 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규제 플레이트(22)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나는 것처럼, 측면시(side view), 삼각형 모양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규제 플레이트(22)는, 전 하단부(前 下端部) 및 후 하단부(後 下端部)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규제 플레이트(22)는, 케이싱(30)내에 있어서 베이스축 부재(31)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문 베이스(20)에 장착되어 있다. 규제 플레이트(22)는, 문 베이스(20)에 규제축 부재(23)를 경유하여 장착되어 있다.
규제축 부재(23)는,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문 베이스(20)의 좌판면(左板面)으로부터 왼쪽으로 좌우 방향을 따라서 길다랗게 배치되어 있다. 규제 플레이트(22)는, 상단부(上端部)에서 규제축 부재(23)에 규제축 부재(23) 주위를 회전 가능하게 감합한다. 또, 규제축 부재(23)에는, 제2 스프링(24)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스프링(24)은, 토션 스프링이다. 제2 스프링(24)은, 규제 플레이트(22)를 규제축 부재(23) 주위를 도 6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힘을 가한다.
규제 플레이트(22)는, 도 6에 나타나는 것처럼, 문(3)이 닫힌 상태이고, 그러면서 또, 손잡이(40)가 닫힌 위치(Ph1)에 위치할 때, 후측면에 돌기부(13)가 접촉함으로써, 제2 스프링(24)에 의한 회전이 규제된다.
상술한 것처럼, 손잡이(40)가 닫힌 위치(Ph1)로부터 회전하여 열린 위치(Ph2)에 위치했을 때, 계합 핀(12) 나아가서는 돌기부(13)는, 도 8에 나타나는 것처럼, 피계합부(32)의 개구(開口)까지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돌기부(13)는, 규제 플레이트(2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규제 플레이트(22)는, 제2 스프링(24)의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규제축 부재(23) 주위를 도 6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한 규제 플레이트(22)는, 도 8에 나타나는 것처럼, 전 하단부(前 下端部)가 볼록부(33)의 피접촉면(33a)에 접촉하는 규제 위치(Ps)에 위치한다. 볼록부(33)의 피접촉면(33a)은, 손잡이(40)가 열린 위치(Ph2)에 위치할 때에 있어서 볼록부(33)가 스토퍼(21)에 접촉하는 면과, 제2 회전축(31a) 주위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반대 측에 형성된 면이다. 규제 플레이트(22)의 전 하단부와 볼록부(33)의 피접촉면(33a)이 접촉해 있을 때, 볼록부(33) 나아가서는 케이싱(30)이 제2 회전축(31a) 주위를 회전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 잠금장치(50)는, 도 4, 13, 14에 나타나는 것처럼, 제4 스프링(6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제4 스프링은, 케이싱(30)을 도 13, 14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것이다. 제4 스프링(60)은, 구체적으로는, 인장 코일 스프링이다. 제4 스프링(60)은, 보지 플레이트(56a)와 문 베이스(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4 스프링(60)의 제1 단부(61)는, 문 베이스(20)의 걸기부(20a)에 장착되어 있다. 문 베이스(20)는 문(3)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30)이 회전하더라도, 제4 스프링(60)의 제1 단부(61)는 문 베이스(20)에 대해서 이동하지 않는다(도 13, 14).
제4 스프링(60)의 제2 단부(62)는, 보지 플레이트(56a)의 걸기부(56a2)에 장착되어 있다. 보지 플레이트(56a)는 케이싱(30)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30)이 회전했을 때, 제4 스프링(60)의 제2 단부(62)는, 케이싱(30) 나아가서는 보지 플레이트(56a)의 회전에 의해 문 베이스(20)에 대해서 이동한다(도 13, 14).
제4 스프링(60)은, 케이싱(30)의 회전 범위내에 있어서, 제2 단부(62)가 장착되어 있는 보지 플레이트(56a)의 걸기부(56a2)를, 제1 단부(61)가 장착되어 있는 문 베이스(20)의 걸기부(20a)에 접근하도록 기능한다. 즉, 제4 스프링(60)은, 케이싱(30)을 도 13, 14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문(3)을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하고, 손잡이(40)를 열린 위치(Ph2)로부터 닫힌 위치(Ph1)로 할 때에, 제4 스프링(60)은, 손잡이(40)를 열린 위치(Ph2)로부터 닫힌 위치(Ph1)에 위치시키도록 케이싱(30)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손잡이(40)가 닫힌 위치(Ph1)에 확실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한 해정)
이어서, 잠금장치(50)가 전자 액추에이터(51)의 작동에 의해 해정 되어, 문(3)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되기 까지의 핸들(4)의 동작에 대해서, 잠금장치(50)가 시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부터 설명한다.
도 6에는, 문(3)은 닫힌 상태이고, 손잡이(40)는 닫힌 위치(Ph1)에 위치하고, 그러면서 또, 잠금장치(50)는 시정되어 있는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손잡이(40)가 닫힌 위치(Ph1)에 위치할 경우, 상술한 것처럼, 볼록부(33)와 스토퍼(21)의 사이에 규제 영역(R)이 형성되어 있다(도 7). 또, 잠금장치(50)가 시정되어 있을 때, 전자 액추에이터(51)의 가동 철심(51b)은 진출 위치(Pp1)에 위치한다.
가동 철심(51b)이 진출 위치(Pp1)에 위치할 때, 가동 철심(51b)에 연결 부재(55)를 경유하여 장착된 레버 부재(54)의 규제부(54d)는 규제 영역(R)에 걸리는 시정위치(Pk1)에 위치한다. 또한 열쇠(K)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압압 부재(53a)는, 기준 위치(Po1)에 위치한다. 규제부(54d)가 시정 위치(Pk1)에 위치할 때, 압압 부재(53a)는, 레버 부재(54)의 구멍(54c)에 있어서의 제1 부위(S1)에 접촉해 있다.
규제부(54d)가 시정 위치(Pk1)에 위치할 때, 상술한 것처럼 볼록부(33)의 제2 회전축(31a) 주위의 회전 나아가서는 손잡이(40)의 닫힌 위치(Ph1)로부터 열린 위치(Ph2)로의 회전이 규제된다. 즉, 핸들(4)의 조작이 규제되어 있다. 또, 문(3)이 닫힌 상태일 때 손잡이(40)가 닫힌 위치(Ph1)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상술한 것처럼 케이싱(30)의 피계합부(32)와 계합 핀(12)이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문(3)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잠금장치(50)를 해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 패널(3a)에 배치된 해정 스위치(도면표시 없음)를 누르면, 제어장치로부터 핸들(4)의 조작을 허용하는 취지의 해정 신호가 출력된다. 제어부(52)는, 해정 신호를 수신한 것에 부응하여, 자기 코일(51e)에 후퇴 방향으로 통전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것처럼 가동 철심(51b)이 진출 위치(Pp1)로부터 후퇴 위치(Pp2)를 향해 후퇴한다.
가동 철심(51b)의 후퇴에 부응하여 연결 부재(55)가 연결축 부재(57) 주위를 도 5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레버 부재(54)의 장착부(54b)가 위쪽을 향해 이동한다. 장착부(54b)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부응하여 레버 부재(54)가 제1 회전축(54a) 주위를 도 6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도 7에 나타나는 것처럼, 규제부(54d)가 시정 위치(Pk1)로부터 규제 영역(R)을 벗어난 해정 위치(Pk2)에 위치한다.
또한 열쇠(K)에 의한 조작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압압 부재(53a)는 기준 위치(Po1)인 채이다. 규제부(54d)가 시정 위치(Pk1)로부터 해정 위치(Pk2)로 이동하도록 레버 부재(54)가 회전할 때, 구멍(54c)은 제1 회전축(54a) 주위를 도 6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상술한 것처럼 압압 부재(53a)는 구멍(54c)의 내주면을 누르지 않는다. 따라서, 압압 부재(53a)는, 레버 부재(54)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7에 나타나는 것처럼, 규제부(54d)가 해정 위치(Pk2)에 위치할 때, 기준 위치(Po1)에 위치하는 압압 부재(53a)는, 레버 부재(54)의 구멍(54c)에 있어서의 제2 부위(S2)에 접촉해 있다.
규제부(54d)가 해정 위치(Pk2)에 위치할 때, 상술한 것처럼 볼록부(33)의 제2 회전축(31a) 주위의 회전 나아가서는 손잡이(40)의 닫힌 위치(Ph1)로부터 열린 위치(Ph2)로의 회전이 허용된다. 즉, 핸들(4)의 조작이 허용되어 있다.
사용자에 의해서 손잡이(40)가 닫힌 위치(Ph1)로부터 열린 위치(Ph2)를 향해 회전되면, 케이싱(30) 나아가서는 볼록부(33)가 제2 회전축(31a) 주위를 도 7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술한 것처럼, 전자 액추에이터(51)에 있어서 전선(C)이 접속되는 단자(T)가 제2 회전축(31a)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싱(30)의 회전에 의한 단자(T)의 이동량 나아가서는 단자(T)에 접속된 전선(C)의 변위량이 억제된다. 따라서, 전선(C)의 스트레스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전선(C)의 변위량이 억제되기 때문에, 전선(C)의 길이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C)이 케이싱(30)내에 있어서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 상술한 것처럼, 단자(T)는, 가동 철심(51b)의 제2 단부보다 제2 회전축(31a)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 철심(51b)의 제2 단부에는, 연결 부재(55)를 경유하여 장착부(54b)가 장착되어 있다. 즉, 장착부(54b)는, 단자(T)보다 제2 회전축(31a) 나아가서는 베이스축 부재(31)보다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부(54b)의 이동 나아가서는 레버 부재(54)의 회전량을, 베이스축 부재(31)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케이싱(30) 나아가서는 볼록부(33)가 회전하여, 볼록부(33)가 스토퍼(21)에 접촉함으로써, 볼록부(33)의 회전 나아가서는 손잡이(40)의 회전이 규제되어, 도 8에 표시되는 것처럼, 손잡이(40)가 열린 위치(Ph2)에 위치한다.
또, 손잡이(40)가 열린 위치(Ph2)에 위치할 때, 계합 핀(12)은 피계합부(32)의 개구까지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것처럼 문(3)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되는 것이 허용된다.
그리고, 손잡이(40)가 열린 위치(Ph2)에 위치할 때, 상술한 것처럼, 규제 플레이트(22)는, 전 하단부(前 下端部)가 볼록부(33)의 피접촉면(33a)과 접촉하는 규제 위치(Ps)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볼록부(33) 나아가서는 케이싱(30)이 제2 회전축(31a) 주위를 회전하는 것, 나아가서는, 볼록부(33)와 스토퍼(21) 사이의 규제 영역(R)이 형성되는 것이 규제된다. 따라서, 규제부(54d)가 해정위치(Pk2)로부터 시정위치(Pk1)로 이동할 수 없다. 즉, 손잡이(40)가 열린 위치(Ph2)에 위치하고, 문(3)이 열린 상태일 때, 잠금장치(50)가 시정되는 것이 규제된다.
(전자 액추에이터에 의한 시정)
다음에, 문(3)이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되고, 잠금장치(50)가 전자 액추에이터(51)의 작동에 의해 시정되기 까지의 핸들(4)의 동작에 대해서, 도 8에 나타나는 문(3)의 열린 상태에서부터 설명한다.
문(3)이 열린 상태일 때, 상술한 것처럼, 잠금장치(50)는 해정되어 있고, 손잡이(40)는 열린 위치(Ph2)에 위치하고, 그러면서 또, 규제 플레이트(22)는 규제 위치(Ps)에 위치한다. 규제 플레이트(22)가 규제 위치(Ps)에 위치할 때에, 문(3)이 닫힘으로써 계합 핀(12)이 피계합부(32)의 제2 단부측(구석쪽)을 향해 이동하면, 돌기부(13)가 규제 플레이트(22)의 후측면(後側面)을 누르기 때문에, 규제 플레이트(22)가 규제축 부재(23) 주위를 도 8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규제 플레이트(22)의 회전에 의해, 규제 플레이트(22)가 규제 위치(Ps)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볼록부(33) 나아가서는 케이싱(30)이 제2 회전축(31a) 주위를 회전하는 것이 허용된다.
사용자에 의해 문(3)이 닫히고 손잡이(40)가 열린 위치(Ph2)로부터 닫힌 위치(Ph1)를 향해 회전되면, 케이싱(30) 나아가서는 볼록부(33)가 제2 회전축(31a) 주위를 도 8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계합 핀(12)이 피계합부(32)의 구석쪽(즉 제2 단부측)으로 더 진행된다. 계합 핀(12)이 피계합부(32)의 제2 단부에 위치함으로써, 케이싱(30)의 회전 나아가서는 손잡이(40)의 회전이 규제되어, 도 7에 나타나는 것처럼 손잡이(40)가 닫힌 위치(Ph1)에 위치한다.
계합 핀(12)이 피계합부(32)의 제2 단부에 위치할 때, 상술한 것처럼, 문(3)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되는 것이 규제된다. 손잡이(40)가 닫힌 위치(Ph1)에 위치할 때, 볼록부(33)와 스토퍼(21)의 사이에 규제 영역(R)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장치(50)를 시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 패널(3a)에 배치된 시정스위치(도면표시 없음)를 누르면, 제어장치로부터 핸들(4)의 조작을 규제하는 취지의 시정신호가 출력된다. 제어부(52)는, 시정 신호를 수신한 것에 부응하여, 자기 코일(51e)에 진출 방향으로 통전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것처럼 가동 철심(51b)이 후퇴 위치(Pp2)로부터 진출 위치(Pp1)를 향해 진출한다.
가동 철심(51b)의 진출에 부응하여 연결 부재(55)가 연결축 부재(57) 주위를 도 5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레버 부재(54)의 장착부(54b)가 아래쪽을 향해 이동한다. 장착부(54b)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에 부응하여 레버 부재(54)가 제1 회전축(54a) 주위를 도 7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6에 나타나는 것처럼, 규제부(54d)가 해정 위치(Pk2)로부터 규제 영역(R)에 걸리는 시정 위치(Pk1)에 위치한다.
또한 열쇠(K)에 의한 조작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압압 부재(53a)는 기준 위치(Po1)인 채이다. 규제부(54d)가 해정 위치(Pk2)로부터 시정 위치(Pk1)로 이동하도록 레버 부재(54)가 회전하는 경우, 구멍(54c)은 제1 회전축(54a) 주위를 도 7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상술한 것처럼 압압 부재(53a)는 구멍(54c)의 내주면을 누르지 않는다. 따라서, 압압 부재(53a)는, 레버 부재(54)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전자 액추에이터(51)의 작동에 의해, 규제부(54d)가 해정 위치(Pk2)와 시정 위치(Pk1)의 사이를 이동한다. 즉, 전자 액추에이터(51)의 작동에 의해, 잠금장치(50)가 해정 및 시정된다.
(열쇠에 의한 해정)
이어서, 손잡이(40)가 닫힌 위치(Ph1)에 위치할 때, 잠금장치(50)가 열쇠(K)의 해정조작에 의해 해정되는 경우의 핸들(4)의 동작에 대해서, 도 6에 나타나는 것처럼, 잠금장치(50)가 시정되어 있고, 열쇠(K)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부터 설명한다.
열쇠(K)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압압 부재(53a)는, 상술한 것처럼 기준 위치(Po1)에 위치한다. 잠금장치(50)가 시정되어 있기 때문에 규제부(54d)가 시정위치(Pk1)에 위치할 때, 압압 부재(53a)는, 레버 부재(54)의 구멍(54c)에 있어서의 제1 부위(S1)에 접촉해 있다.
사용자에 의해 열쇠(K)가 열쇠구멍(H)에 삽입되어 해정조작되면, 압압 부재(53a)는, 상술한 것처럼 수동 회전 부재(53)의 중심축 주위를 도 6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인출 위치(Po2)(도 9)를 향해 이동한다.
압압 부재(53a)는, 인출 위치(Po2)를 향해 이동할 때에, 제1 부위(S1)를 누른다. 제1 부위(S1)가 눌러진 것에 부응하여, 레버 부재(54)가 제1 회전축(54a) 주위를 도 6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규제부(54d)가 시정 위치(Pk1)로부터 해정 위치(Pk2)를 향해 이동하고, 그러면서 또, 장착부(54b)가 위쪽을 향해 이동한다. 또, 장착부(54b)가 위쪽을 향해 이동하는 것에 부응하여, 장착부(54b)에 연결 부재(55)를 경유하여 연결된 가동 철심(51b)이, 영구자석(51d)의 자력에 저항하여 진출 위치(Pp1)로부터 후퇴 위치(Pp2)를 향해 이동한다.
도 9에 나타나는 것처럼, 압압 부재(53a)가 인출 위치(Po2)에 위치한 경우, 압압 부재(53a)는 제1 부위(S1)에 접촉해 있고, 규제부(54d)가 해정위치(Pk2)에 위치하고 있고, 그러면서 또, 가동 철심(51b)이 후퇴 위치(Pp2)에 위치한다.
또, 조작자가 열쇠(K)를 뽑기 위해, 열쇠(K)가 수동 회전 부재(53)의 중심축 주위를 도 9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조작됨으로써, 압압 부재(53a)가 인출 위치(Po2)로부터 기준 위치(Po1)를 향해 이동한다. 다시 말하면, 압압 부재(53a)는, 구멍(54c) 안을 제1 부위(S1)로부터 제2 부위(S2)를 향해 이동한다. 압압 부재(53a)가 인출 위치(Po2)로부터 기준 위치(Po1)를 향해 이동할 때, 압압 부재(53a)는, 구멍(54c)의 내주면을 누르는 일없이 구멍(54c) 안을 이동한다. 즉, 압압 부재(53a)가 인출 위치(Po2)로부터 기준 위치(Po1)를 향해 이동할 때, 레버 부재(54)를 요동시키는 일없이 제1 부위(S1)로부터 멀어진다.
도 7에 나타나는 것처럼, 규제부(54d)가 해정위치(Pk2)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압압 부재(53a)가 기준 위치(Po1)로 되돌아오면, 상술한 것처럼, 압압 부재(53a)는, 구멍(54c)의 제2 부위(S2)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열쇠(K)의 해정조작에 의해, 잠금장치(50)가 해정된다.
상술한 것처럼, 규제부(54d)가 시정위치(Pk1)에 위치할 때에(도 6), 압압 부재(53a)가 기준 위치(Po1)와 인출 위치(Po2)의 사이를 왕복하는 제1 왕복 이동을 했을 경우, 압압 부재(53a)는, 제1 왕복 이동의 왕로에 있어서 제1 부위(S1)를 눌러 레버 부재(54)를 회전시켜 규제부(54d)를 해정위치(Pk2)에 위치시킨다(도 9). 또, 압압 부재(53a)는, 제1 왕복 이동의 귀로에 있어서 레버 부재(54)를 회전시키는 일없이 제1 부위(S1)로부터 멀어지고, 구멍(54c) 안을 제2 부위(S2)를 향해 이동한다(도 7).
또한 도 9에 나타나는 것처럼, 규제부(54d)가 해정위치(Pk2)에 위치할 때에, 압압 부재(53a)가 기준 위치(Po1)와 인출 위치(Po2)의 사이를 왕복하는 제1 왕복 이동을 했을 경우, 압압 부재(53a)는 내주면을 누르는 일없이 구멍(54c) 안을 이동한다. 따라서, 레버 부재(54)는 회전하지 않고, 해정위치(Pk2)에 위치한다.
또, 열쇠(K)의 해정조작에 부응하여, 전자 액추에이터(51)의 가동 철심(51b)은, 상술한 것처럼 진출 위치(Pp1)로부터 후퇴 위치(Pp2)로 이동한다. 즉, 전자 액추에이터(51)는, 통전되는 일없이, 열쇠(K)의 해정조작에 부응하여, 잠금장치(50)를 해정하는 전자 액추에이터(51)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한다. 따라서, 열쇠(K)의 해정조작에 의해 잠금장치(50)가 해정된 잠금장치(50)의 상태와, 상술한 전자 액추에이터(51)에 의해 잠금장치(50)가 해정된 잠금장치(50)의 상태가 동일하게 된다(도 7).
(열쇠에 의한 시정)
다음에, 손잡이(40)가 닫힌 위치(Ph1)에 위치할 때에, 잠금장치(50)가 열쇠(K)의 시정 조작에 의해 시정될 경우의 핸들(4)의 동작에 대해서, 도 7에 나타나는 것처럼, 잠금장치(50)가 해정되어 있고, 열쇠(K)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부터 설명한다.
열쇠(K)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압압 부재(5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 위치(Po1)에 위치한다. 잠금장치(50)가 해정되어 있기 때문에 규제부(54d)가 해정위치(Pk2)에 위치할 때, 압압 부재(53a)는, 레버 부재(54)의 구멍(54c)에 있어서의 제2 부위(S2)에 접촉해 있다.
사용자에 의해 열쇠(K)가 열쇠구멍(H)에 삽입되어 시정조작되면, 압압 부재(53a)는, 상술한 것처럼 수동 회전 부재(53)의 중심축 주위를 도 7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압입 위치(Po3)(도 10)를 향해 이동한다.
압압 부재(53a)는, 압입 위치(Po3)를 향해 이동할 때에, 제2 부위(S2)를 누른다. 제2 부위(S2)가 눌러진 것에 부응하여, 레버 부재(54)가 제1 회전축(54a) 주위를 도 7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규제부(54d)가 해정위치(Pk2)로부터 시정위치(Pk1)를 향해 이동하고, 그러면서 또, 장착부(54b)가 아래쪽을 향해 이동한다. 또, 장착부(54b)가 아래쪽을 향해 이동하는 것에 부응하여, 장착부(54b)에 연결 부재(55)를 경유하여 연결된 가동 철심(51b)이, 영구자석(51d)의 자력에 저항하여 후퇴 위치(Pp2)로부터 진출 위치(Pp1)를 향해 이동한다.
이 때, 장착부(54b)가 접촉하는 긴 구멍(55b)은 힘점(力點)이 되고, 이동축 부재(58)와 접촉하는 구부(55a)는 작용점이 된다. 받침점인 연결축 부재(57)의 감합부까지의 거리(距離)는 구부(55a)로부터의 쪽이 긴 구멍(55b)으로부터 보다 짧다. 따라서, 잠금장치(50)가 연결 부재(55)를 구비하지 않고, 가동 철심(51b)이 장착부(54b)에 직접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작은 힘으로, 전자 액추에이터(51)의 영구자석(51d)의 자력 및 제1 스프링(51c)의 부세력(付勢力)에 저항하여, 열쇠(K)를 이용해 수동 회전 부재(5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나는 것처럼, 압압 부재(53a)가 압입 위치(Po3)에 위치한 경우, 규제부(54d)가 시정위치(Pk1)에 위치하고, 가동 철심(51b)이 진출 위치(Pp1)에 위치한다.
또, 조작자가 열쇠(K)를 뽑기 위해, 열쇠(K)가 수동 회전 부재(53)의 중심축 주위를 도 10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조작됨에 의해, 압압 부재(53a)가 압입 위치(Po3)로부터 기준 위치(Po1)를 향해 이동한다. 다시 말하면, 압압 부재(53a)는, 구멍(54c) 안을 제2 부위(S2)로부터 제1 부위(S1)를 향해 이동한다. 압압 부재(53a)가 압입 위치(Po3)로부터 기준 위치(Po1)를 향해 이동할 때, 압압 부재(53a)는, 구멍(54c)의 내주면을 누르는 일없이 구멍(54c)안을 이동한다. 즉, 압압 부재(53a)가 압입 위치(Po3)로부터 기준 위치(Po1)를 향해 이동할 때, 레버 부재(54)를 요동시키는 일없이 제2 부위(S2)로부터 멀어진다.
도 6에 나타나는 것처럼, 규제부(54d)가 시정위치(Pk1)에 위치해 있을 때에, 압압 부재(53a)가 기준 위치(Po1)로 되돌아오면, 상술한 것처럼, 압압 부재(53a)는, 구멍(54c)의 제1 부위(S1)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열쇠(K)의 시정조작에 의해, 잠금장치(50)가 시정된다.
상술한 것처럼, 규제부(54d)가 해정위치(Pk2)에 위치할 때에(도 7), 압압 부재(53a)가 기준 위치(Po1)와 압입 위치(Po3)의 사이를 왕복하는 제2 왕복 이동을 한 경우, 압압 부재(53a)는, 제2 왕복 이동의 왕로에 있어서 제2 부위(S2)를 눌러 레버 부재(54)를 회전시켜서 규제부(54d)를 시정위치(Pk1)에 위치시킨다(도 10). 또, 압압 부재(53a)는, 제2 왕복 이동의 귀로에 있어서 레버 부재(54)를 회전시키는 일없이 제2 부위(S2)로부터 멀어지고, 구멍(54c) 안을 제1 부위(S1)를 향해 이동한다(도 6).
또한 도 10에 나타나는 것처럼, 규제부(54d)가 시정위치(Pk1)에 위치할 때에, 압압 부재(53a)가 기준 위치(Po1)와 압입 위치(Po3)의 사이를 왕복하는 제2 왕복 이동을 했을 때, 압압 부재(53a)는 내주면을 누르는 일없이 구멍(54c) 안을 이동한다. 따라서, 레버 부재(54)는 회전하지 않고, 시정위치(Pk1)에 위치한다.
또, 열쇠(K)의 시정조작에 부응하여, 전자 액추에이터(51)의 가동 철심(51b)은, 상술한 것처럼 후퇴 위치(Pp2) 로부터 진출 위치(Pp1)로 이동한다. 즉, 전자 액추에이터(51)는, 통전되는 일없이, 열쇠(K)의 시정조작에 부응하여, 잠금장치(50)를 시정하는 전자 액추에이터(51)의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한다. 따라서, 열쇠(K)의 시정조작에 의해 잠금장치(50)가 시정된 잠금장치(50)의 상태와, 상술한 전자 액추에이터(51)에 의해 잠금장치(50)가 시정된 잠금장치(50)의 상태가 동일하게 된다(도 6).
또, 상술한 것처럼, 열쇠(K)의 해정조작에 의해 잠금장치(50)가 해정된 잠금장치(50)의 상태와, 상술한 전자 액추에이터(51)에 의해 잠금장치(50)가 해정된 잠금장치(50)의 상태가 동일하게 된다(도 7). 따라서, 열쇠(K)의 해정조작 및 전자 액추에이터(51)의 작동의 어느 것에 의해 잠금장치(50)가 해정된 뒤라 하더라도, 열쇠(K)의 시정조작 및 전자 액추에이터(51)의 작동의 어느 것에 의해서도, 잠금장치(50)를 시정할 수 있다. 또, 열쇠(K)의 시정조작 및 전자 액추에이터(51)의 작동의 어느 것에 의해 잠금장치(50)가 시정된 뒤라 하더라도, 열쇠(K)의 해정 조작 및 전자 액추에이터(51)의 작동의 어느 것에 의해서도, 잠금장치(50)를 해정할 수 있다. 즉, 수동과 전동의 어느 것에 의해 시정되었는 지에 상관없이, 사용자는 핸들 조작에 시간 걸리는 일없이 간편하게 시정 및 해정을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정전(停電)시 등, 전자자물쇠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더라도, 열쇠(K)로 확실하게 해정할 수 있고, 또, 열쇠(K)를 분실했을 경우라 하더라도, 전자자물쇠로 해정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문(3)을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하고, 손잡이(40)를 열린 위치(Ph2)로부터 닫힌 위치(Ph1)로 위치시킬 때에 있어서, 케이싱(30)의 회전량이 부족하면, 볼록부(33)의 이동량이 부족하다. 따라서, 규제부(54d)가 볼록부(33)와 간섭함으로써, 규제부(54d)의 이동량이 부족하여, 규제부(54d)가 규제 영역(R)(도 7)에 위치할 수 없어, 잠금장치(50)에 의한 시정을 할 수 없는 것이 생각된다.
특히, 전자 액추에이터(51)에 의한 시정의 경우, 열쇠(K)에 의한 시정의 경우와 달리, 열쇠(K)의 회전량 즉 규제부(54d)의 이동량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전자 액추에이터(51)에 의한 시정시에 있어서, 규제부(54d)의 이동량이 부족하여, 시정이 안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는 것이 생각된다.
그렇지만, 사용자가 손잡이(40)를 열린 위치(Ph2)로부터 닫힌 위치(Ph1)에 위치시킬 때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제4 스프링(60)이 케이싱(30)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케이싱(30)의 회전량 나아가서는 볼록부(33)의 이동량이 부족하지 않고, 손잡이(40)가 닫힌 위치(Ph1)에 확실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규제부(54d)가 볼록부(33)와 간섭하지 않고 규제 영역(R)에 위치하여, 잠금장치(50)에 의한 시정이 확실하게 행해진다. 또, 잠금장치(50)에 의한 해정이 행해진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손잡이(40)가 닫힌 위치(Ph1)로부터 열린 위치(Ph2)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본 개시는,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각종 변형을 본 실시형태에 실시한 것이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요소를 조합시켜서 구축되는 형태도,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레버 부재(54)의 장착부(54b)는, 제1 회전축(54a)과 구멍(54c)의 사이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 레버 부재(54)의 구멍(54c)은, 제1 회전축(54a)과 장착부(54b)의 사이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 연결 부재(55)는, 일단부에서 가동 철심(51b)과 계합하고, 타단측에서 장착부(54b)와 계합하고, 그러면서 또, 일단측과 타단측의 사이에서, 연결축 부재(57)와 감합해도 좋다.
또, 자기 코일(51e)이 장착부(54b)보다 베이스축 부재(31)의 제2 회전축(31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전자 액추에이터(51)가 케이싱(30)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 전자 액추에이터(51)는, 레버 부재(54)와 제2 회전축(31a)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도 좋다.
또, 잠금장치(50)는, 연결 부재(55)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장착부(54b)에는, 가동 철심(51b)의 제2 단부가 직접 장착된다. 이 경우, 가동 철심(51b)은, 「이동 부재」의 일례이다.
또, 잠금장치(50)는, 제3 스프링(59)을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해정 스위치가 조작된 것에 부응하여, 전자 액추에이터(51)에 의해 잠금장치(50)이 해정되고 있지만, 사용자가 인증되고, 그러면서 또, 해정스위치가 조작된 것에 부응하여, 전자 액추에이터(51)에 의해 잠금장치(50)가 해정되어도 좋다. 사용자의 인증은, 예를 들면,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ID카드, 및, 얼굴 인증 등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또, 전자 액추에이터(51)은, 푸시 솔레노이드 또는 풀 소레노이드를 이용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 잠금장치(50)는, 전자 액추에이터(51)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잠금장치(50)는, 전자 액추에이터(51)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 연결 부재(55)를 구비하지 않는다. 이 경우, 잠금장치(50)는, 열쇠(K)에 의해서만 시정 및 해정된다. 이 경우, 부품 점수를 삭감하여 저비용으로 잠금장치(50)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레버 부재(54)는, 장착부(54b)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전자 액추에이터(51)을 나중에 장착하여, 잠금장치(50)를 용이하게 고기능화할 수 있다.
또, 잠금장치(50)는, 냉동장치(1)에 적용될 뿐만 아니라, 문을 가지는 박스형 몸체를 구비하는 장치 등에 적용되어도 좋다.
2020년 11월 13일에 특허출원한 특원2020-189351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특허 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개시의 잠금장치는, 초저온 프리저, 냉동고 및 냉장고 등에 널리 이용 가능하다.
1 : 냉동장치
3 : 문
4 : 핸들
30 : 케이싱
31 : 베이스축 부재
31a : 제 2 회전축
40 : 손잡이(把持部)
50 : 잠금장치
51 : 전자 액추에이터
51b : 가동 철심
51e : 자기 코일
53a : 압압 부재
54 : 레버 부재
54a : 제 1 회전축
54b : 장착부
54c : 구멍
55 : 연결 부재(이동 부재)
59 : 제3 스프링(탄성 부재)
60 : 제4 스프링
F : 평면
K : 열쇠
S1 : 제 1 부위
S2 : 제 2 부위
T : 단자 (수전부)

Claims (9)

  1. 핸들의 조작을 규제하는 규제부, 구멍, 및, 전자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고,
    제1 회전축 주위를 요동하는 레버 부재와,
    상기 구멍 안에 배치되어, 열쇠의 해정 조작에 부응하여 상기 구멍 안에서 제1 왕복 이동을 하는 압압(押壓: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압압 부재는, 상기 제1 왕복 이동의 왕로(往路)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내주면의 일부인 제1 부위를 눌러 상기 레버 부재를 상기 제1 회전축 주위에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규제부를 상기 핸들 조작을 규제하는 위치로부터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왕복 이동의 귀로(歸路)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를 요동시키는 일없이 상기 제1 부위로부터 멀어지는,
    잠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부재는, 상기 열쇠의 시정 조작에 따라 상기 구멍 안에서 제2 왕복 이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압압 부재는, 상기 제2 왕복 이동의 왕로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내주면의 일부인 제2 부위를 눌러 상기 레버 부재를 상기 제1 회전축 주위에 요동시킴으로써, 상기 규제부를 상기 핸들 조작을 허용하는 위치로부터 규제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왕복 이동의 귀로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를 요동시키는 일없이 상기 제2 부위로부터 멀어지는,
    잠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위와 상기 제2 부위 간의 거리(距離)는, 상기 압압 부재의 외경보다 큰,
    잠금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구멍과 반대 측에 설치되어 있는,
    잠금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가 상기 핸들 조작을 규제하는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규제부가 상기 핸들 조작을 규제하는 위치에 계속 위치하도록 상기 레버 부재에 힘을 가하고, 상기 규제부가 상기 핸들 조작을 허용하는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규제부가 상기 핸들 조작을 허용하는 위치에 계속 위치하도록 상기 레버 부재에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잠금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는 수전부(受電部)를 가지고,
    상기 핸들은, 조작될 때에 움켜잡히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접속된 케이싱을 가지고, 상기 핸들의 조작에 부응하여 제2 회전축 주위를 요동(搖動)하고,
    상기 레버 부재, 상기 압압 부재 및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는, 상기 케이싱 안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수전부는 상기 장착부보다 상기 제2 회전축의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는,
    잠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 및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2 회전축에 직교하는 평면을 따르도록, 그러면서 또, 상기 평면을 사이에 끼도록 배치되어 있는,
    잠금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와 별개의 부재인 상기 이동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일단측에 받침점을, 타단측에 상기 장착부에 접촉하는 작용점을 가지고, 상기 받침점과 상기 작용점의 사이에, 상기 전자 액추에이터로부터의 힘이 가해지는 힘점을 가지는,
    잠금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냉동장치.
KR1020237005111A 2020-11-13 2021-10-06 잠금장치 및 냉동장치 KR202300370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89351 2020-11-13
JPJP-P-2020-189351 2020-11-13
PCT/JP2021/037019 WO2022102291A1 (ja) 2020-11-13 2021-10-06 錠装置および冷凍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053A true KR20230037053A (ko) 2023-03-15

Family

ID=8160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5111A KR20230037053A (ko) 2020-11-13 2021-10-06 잠금장치 및 냉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93661A1 (ko)
EP (1) EP4180594A4 (ko)
JP (1) JP7322304B2 (ko)
KR (1) KR20230037053A (ko)
CN (1) CN116034202A (ko)
WO (1) WO202210229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2466B2 (ja) 2015-10-20 2018-09-19 Ph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ハンドル及びフリー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216Y2 (ja) * 1980-05-26 1984-07-03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扉用施錠装置
DE102007017931B4 (de) * 2006-04-16 2015-11-05 Southco, Inc. Schwenkgriffverschluß
WO2009039558A1 (en) * 2007-09-27 2009-04-02 Telezygology Inc. Handle assembly
KR101130796B1 (ko) * 2009-12-29 2012-03-28 한국프리저(주) 냉동장치용 도어의 핸들장치
JP5922216B2 (ja) 2014-12-22 2016-05-2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2020189351A (ja) 2019-05-20 2020-11-2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ネジ棒の引き抜き工具、及びそれを用いたネジ棒の引き抜き及び挿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2466B2 (ja) 2015-10-20 2018-09-19 Ph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ハンドル及びフリー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80594A1 (en) 2023-05-17
US20230193661A1 (en) 2023-06-22
CN116034202A (zh) 2023-04-28
WO2022102291A1 (ja) 2022-05-19
JPWO2022102291A1 (ko) 2022-05-19
JP7322304B2 (ja) 2023-08-07
EP4180594A4 (en) 202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176B2 (en) Steering lock device
JP6350451B2 (ja) 車両用の蓋体開閉装置
US11486162B2 (en) Locking module
US6794768B2 (en) Device comprising a steering lock and an ignition starter switch which can be controlled by a handle in the presence of an identification transmitter
US11332957B2 (en) Linked locking module
JP6264342B2 (ja) 車両用の蓋体開閉装置
KR101823942B1 (ko)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
CN105378197B (zh) 带凹入式弹出旋钮的锁芯
KR20230037053A (ko) 잠금장치 및 냉동장치
JP4087655B2 (ja) メカキーを収容した携帯機
CN108999497A (zh) 一种电磁锁
CN218092560U (zh) 门锁装置以及致动器
JP5479217B2 (ja) 物品収納什器における開閉体の施解錠装置
EP3600977A1 (en) Smart cylinder lock device
JP2001301571A (ja)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JP4656656B2 (ja) 安全装置及び開閉機構
JP2004058731A (ja) 携帯機スロット装置
JP2008266929A (ja) 電気錠
JP5322623B2 (ja) ドア開閉状態切替装置
JP6411824B2 (ja) 錠装置
KR20230127751A (ko) 래치볼트 유닛 및 이를 갖는 도어락 모티스
WO2019216021A1 (ja) 錠前装置及び扉構造
JP6683936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H11256897A (ja) 電気錠のクラッチ機構
JP2022020904A (ja) 電気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