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942B1 -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942B1
KR101823942B1 KR1020170072311A KR20170072311A KR101823942B1 KR 101823942 B1 KR101823942 B1 KR 101823942B1 KR 1020170072311 A KR1020170072311 A KR 1020170072311A KR 20170072311 A KR20170072311 A KR 20170072311A KR 101823942 B1 KR101823942 B1 KR 101823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blocking
blocking member
electric mo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현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그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그마
Priority to KR1020170072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함 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록커를 동작시키는 록커구동기구에 의해 키홀더에 구비된 차단부재가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부품수를 대폭 절감하여 구조를 단순화함과 동시에, 조립 및 제조공정시 공정수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는, 장치몸체와, 상기 장치몸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도어의 록킹위치와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는 록커와, 상기 록커를 동작시키기 위한 록커구동기구와, 전자키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한 키홀더와, 상기 키홀더에 삽입된 전자키를 막는 차단위치와 차단해제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록커구동기구는 록커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록커구동기구와 차단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연동하여 차단부재를 차단위치 또는 차단해제위치 사이에서 동작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전동모터로 록커와 차단부재를 함께 동작시키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ELECTRONIC LOCKING APPARATUS FOR LOCKER}
본 발명은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키를 장치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키홀더를 구비하여 전자키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의 종래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 10-0991848호에 알려진 착탈식 키홀더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록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디지털 도어록의 장치몸체(1)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함 도어(D)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측몸체(10)와, 도어(D) 외부에 설치되는 외측몸체(20)를 구비한다.
내측몸체(10)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록커(11)와, 록커구동기구(12)가 설치되어 도어(D)를 도어틀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도시안됨)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외측몸체(20)에는 예를 들면, 손목밴드형 전자키(30)를 삽입하여 착탈할 수 있는 키홀더(21)와, 외측몸체(2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손목밴드형 전자키(30)의 신호를 수신하여 회로적으로 연결된 내측몸체(10)의 록커구동기구(12)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도시안됨)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측몸체(20)에는 키홀더(21)에 삽입된 전자키(30)를 빼내거나 빼내지 못하게 하는 차단부재(22)와 차단구동기구(50)(도 4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키(30)가 키홀더(21)에 삽입되고, 차단부재(22)가 돌출된 상태에서는 전자키(30)를 빼낼 수 없다. 이 상태에서 관리자가 허가한 사물함 내에 사용자가 물품을 넣고 도어(D)를 닫게 되면, 도어개폐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내측몸체(10)의 록커구동기구(12)를 구동함으로써 도 2에서와 같이 록커(11)를 돌출시켜 도어(D)를 잠금과 동시에, 차단구동기구(50)를 구동하여 차단부재(22)를 외측몸체(20) 내부로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키홀더(21)로부터 전자키(30)를 빼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도어(D)를 열 때에는, 전자키(30)를 다시 키홀더(21)에 삽입하면 외측몸체(20) 내의 제어부가 전자키(30)로부터 신호를 받아 록커구동기구(12)를 구동함으로써 록커(11)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고, 이와 동시에, 차단구동기구(50)를 구동하여 차단부재(22)를 돌출시킴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이 도어(D)는 열 수 있게 되고, 전자키(30)는 키홀더(21) 내에서 빼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키홀더(21)에 삽입된 전자키(30)를 차단 또는 차단해제하는 차단부재(22)를 구비함으로써 관리자가 허가하지 않은 사물함에 대하여는 차단부재(22)가 키홀더(21)를 차단하여 키홀더(21)에 삽입된 전자키(30)를 아무나 빼내지 못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분실을 방지하는 등 전자키(30)의 관리가 용이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내측몸체(10) 내에 록커(11)를 동작시키기 위한 록커구동기구(12)와, 외측몸체(20) 내에 차단부재(22)를 동작시키기 위한 차단구동기구(50)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구동기구(12)는, 전동모터(12a), 피니언기어(12b)를 구비하고, 피니언기어(12b)를 록커(11)에 형성한 래크기어(12c)와 이맞물림시켜 구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구동기구(50)는, 전동모터(60), 피니언기어(61), 상기 피니언기어(61)와 이맞물림하는 래크기어(54)를 형성하여 차단부재(22)를 출몰 동작시키는 이동부재(51) 등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은 부품수가 많아 구성이 복잡하고, 조립 및 제조공정시 공정수가 증가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것은 물론, 제조비용을 상승시켜 소비자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물함 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록커를 동작시키는 록커구동기구에 의해 키홀더에 구비된 차단부재가 함께 동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부품수를 대폭 절감하여 구조를 단순화함과 동시에, 조립 및 제조공정시 공정수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치몸체와, 상기 장치몸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도어의 록킹위치와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는 록커와, 상기 록커를 동작시키기 위한 록커구동기구와, 전자키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한 키홀더와, 상기 키홀더에 삽입된 전자키를 막는 차단위치와 차단해제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커구동기구는 록커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록커구동기구와 차단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연동하여 차단부재를 차단위치 또는 차단해제위치 사이에서 동작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전동모터로 록커와 차단부재를 함께 동작시키도록 된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차단부재에 형성되고 차단부재가 전자키를 차단 또는 차단해제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끝단이 록커에 근접하여 위치된 작동바와, 상기 록커에 형성되어 록커의 직선왕복운동을 상기 차단부재가 전자키를 차단 또는 차단해제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작동바의 끝단과 접촉하는 경사돌출부와, 상기 차단부재가 항상 차단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를 록킹 또는 록킹해제시키는 록커의 동력원인 록커구동기구의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키홀더에 삽입된 전자키의 차단 또는 차단해제시키는 차단부재의 동작을 함께 수행함에 따라, 종래에 차단부재의 동력원인 전동모터를 생략할 수 있음과 동시에, 차단부재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부품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이로써 잠금장치의 제조 및 조립 공정수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제조단가를 낮추어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전자키를 키홀더에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전자키를 키홀더에서 빼낸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에서 록커와 록커구동기구의 설치상태도.
도 4는 종래의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에서 차단부재와 차단구동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를 도어에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에서 록커와 록킹구동기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내측몸체의 단면도.
도 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장치몸체의 횡단면도.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장치몸체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잠금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는, 내부에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장치몸체(100)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몸체(100)는 도어(D)에 설치되는 구조에 따라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일체형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장치몸체(100)가 하나로 이루어져 정면은 도어(D) 외부로 노출되고, 배면은 도어(D) 내부로 노출되도록 도어(D)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조이고, 분리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몸체(100)가 도어(D) 내부에 설치되는 내측몸체(110)와 도어(D) 외부에 설치되는 외측몸체(120)로 분리형성되고, 도어(D)에 형성한 관통구멍(D1)을 통해 상호 동작을 위한 전선을 연결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형 구조를 일예로 설명하지만, 일체형 구조에도 적용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내측몸체(110)에는 도어(D)를 록킹 또는 록킹해제하여 도어(D)를 개폐하기 위한 록커(111)가 설치되고, 록커(111)는 전동모터(131)를 포함하는 록커구동기구(130)에 의해 도어(D)의 록킹위치와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 6의 (가) 및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구동기구(130)는 전동모터(131)와, 전동모터(131)의 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132)와, 록커(111)에 형성하여 상기 피니언기어(132)와 이맞물림하는 래크기어(133)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모터(131)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기어(132)가 정,역회전하면 래크기어(133)에 의해 록커(111)가 직선왕복운동하여 도어틀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도시안됨)에 걸림유지되는 록킹위치와 스트라이커로부터 이탈하는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외측몸체(120)에는 전자키(140), 예를 들면 손목밴드형 전자키(140)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는 키홀더(121)를 구비한다. 키홀더(121)는 외측몸체(120)의 정면에 외측몸체(120)와 소정간격 이격하여 형성함으로써 그 사이에 전자키(14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외측몸체(120)에는 상기 키홀더(121)에 전자키(140)를 삽입한 상태에서 전자키(140)의 상단을 차단하여 전자키(140)를 빼내지 못하게 하거나 차단해제하여 전자키(140)를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차단부재(122)가 설치된다.
차단부재(122)는 외측몸체(120) 내부에 설치되어 그 끝단이 전자키(140)의 상단을 막도록 돌출하는 차단위치와 그 끝단이 외측몸체(120) 내부로 삽입되어 전자키(140)를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차단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차단부재(122)는 록커구동기구(130)의 전동모터(131)를 동력원으로 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전동모터(131)와 차단부재(122) 사이에는 전동모터(131)의 구동에 연동하여 차단부재(122)를 동작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동력전달수단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122)에 형성되고 차단부재(122)가 전자키(140)를 차단 또는 차단해제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끝단이 록커(111)에 근접하여 위치된 작동바(151)를 구비한다. 또한 록커(111)에 형성되어 록커(111)의 직선왕복운동을 상기 차단부재(122)가 전자키(140)를 차단 또는 차단해제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작동바(151)의 끝단과 접촉하는 경사돌출부(152)를 구비한다.
상기 경사돌출부(152)는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커(111)가 록킹위치에 있을 때, 작동바(151)의 끝단이 접촉하는 제1 면(152a)과,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커(111)가 록킹해제위치에 있을 때, 작동바(151)의 끝단이 접촉하는 제2 면(152b)을 구비하고, 제1 면(152a)과 제2 면(152b)의 높이는 차단부재(122)의 차단위치와 차단해제위치 사이 길이로 설정되며, 제1 면(152a)과 제2 면(152b)은 경사면(152c)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152c)에 대응하여 작동바(151)의 끝단에도 경사면(151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동모터(131)를 동력원으로 하여 동작하는 록커(111)의 직선왕복운동이 경사돌출부(152)에 의해 작동바(151)에 연동되고, 작동바(151)의 연동에 의해 차단부재(122)가 함께 동작함으로써 하나의 동력원, 즉 하나의 전동모터(131)로 록커(111)와 차단부재(122)를 함께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한편, 동력전달수단에는, 도 7의 (a) 및 (b)에서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122)가 항상 차단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53)가 구비된다. 탄성부재(153)는 차단부재(122)와 외측몸체(120)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을 탄력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53)의 탄성력에 의해 차단부재(122) 및 작동바(151)가 항상 차단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되므로, 작동바(151)의 끝단을 록커(111)의 경사돌출부(152)에 항상 접촉시킬 수 있어 경사돌출부(152)와 작동바(151)의 동작 연결이 원활하여 차단부재(122)의 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장치몸체(100)를 분리하여 구성한 내측몸체(110)와 외측몸체(120)를 도어(D)의 내,외측에 각각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차단부재(122)는 도어(D)의 관통구멍(D1)을 통해 외측몸체(120)의 조립구멍(123)에 끼워 조립하고, 작동바(151)는 내측몸체(110)의 조립구멍(112)을 통해 내부에 끼워 록커(111)의 경사돌출부(152)와 접촉시킴으로써 간단하게 도어(D)에 설치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의 (a), 도 7의 (a) 및 도 8의 (a)는 도어(D)를 열 수 있는 상태로서, 록커(111)가 내측몸체(110) 내부로 삽입된 록킹해제위치에 있고, 이때 작동바(151)의 끝단은 경사돌출부(152)의 제2 면(152b)에 위치하며, 차단부재(122)는 돌출하여 차단위치에 있는 상태로서, 키홀더(121)에 삽입되어 있는 전자키(140)를 빼낼 수 없다.
이어서, 관리자로부터 허가를 받은 사용자가 허가된 사물함을 사용하기 위해 사물함 내에 물품을 넣은 후, 도어(D)를 닫게 되면, 도시하지 않은 도어개폐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록커구동기구(130)의 전동모터(131)를 구동하게 되고, 이로써 도 6의 (b), 도 7의 (b) 및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111)가 돌출하여 도어틀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도시하지 않음)에 걸림유지되는 록킹위치로 이동하므로 도어(D)가 잠김과 동시에, 록커(111)의 이동에 따라 탄성부재(153)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경사돌출부(152)와 접촉하도록 된 작동바(151)의 끝단이 제2 면(152b)에서 경사면(152c)을 통해 제1 면(152a)으로 접촉위치가 변경된다.
이에 따라 작동바(151)가 연동하여 차단부재(122)를 차단위치에서 차단해제위치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로써 사용자는 전자키(140)를 키홀더(121)에서 빼내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다시 도어(D)를 열기 위해, 전자키(140)를 키홀더(121)에 삽입하게 되면, 전자키(14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외측몸체(120)에 구비된 제어부가 인식하여 록커구동기구(130)의 전동모터(131)를 구동하게 되고, 이로써 도 6의 (a), 도 7의 (a) 및 도 8의 (a)에서와 같이, 록커(111)는 록킹위치에서 록킹해제위치로 이동하여 내측몸체(110) 내부로 삽입되므로, 도어(D)를 열 수 있음과 동시에, 록커(111)의 이동에 따라 작동바(151)의 끝단이 제1 면(152a)에서 경사면(152c)을 통해 제2 면(152b)으로 접촉위치가 변경된다.
이에 따라 작동바(151)가 연동하여 차단부재(122)를 다시 차단해제위치에서 차단위치로 이동되므로, 전자키(140)를 키홀더(121)에서 빼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물함 내의 물품을 꺼내어 사용을 마친 후, 빈 사물함에 대하여 관리자가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 한 전자키(140)를 키홀더(121)로부터 빼낼 수 없어 분실할 염려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록커구동기구(130)의 전동모터(131)를 공용하여 록커(111)와 차단부재(122)를 함께 동작시킴으로써 종래에 차단부재(122)를 동작시키던 전동모터를 생략할 수 있고, 또한 공용의 전동모터(131) 동력을 차단부재(122)에 전달하는 수단이 작동바(151)와 경사돌출부(152)에 의해 아주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조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장치몸체 110 : 내측몸체
111 : 록커 120 : 외측몸체
121 : 키홀더 122 : 차단부재
130 : 록킹구동기구 131 : 전동모터
140 : 전자키 151 : 작동바
152 : 경사돌출부 153 : 탄성부재

Claims (2)

  1. 장치몸체와, 상기 장치몸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도어의 록킹위치와 록킹해제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는 록커와, 상기 록커를 동작시키기 위한 록커구동기구와, 전자키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기 위한 키홀더와, 상기 키홀더에 삽입된 전자키를 막는 차단위치와 차단해제위치 사이에서 동작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커구동기구는 록커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록커구동기구와 차단부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연동하여 차단부재를 차단위치 또는 차단해제위치 사이에서 동작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전동모터로 록커와 차단부재를 함께 동작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차단부재에 형성되고 차단부재가 전자키를 차단 또는 차단해제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끝단이 록커에 근접하여 위치된 작동바와, 상기 록커에 형성되어 록커의 직선왕복운동을 상기 차단부재가 전자키를 차단 또는 차단해제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작동바의 끝단과 접촉하는 경사돌출부와, 상기 차단부재가 항상 차단해제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
KR1020170072311A 2017-06-09 2017-06-09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 KR101823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311A KR101823942B1 (ko) 2017-06-09 2017-06-09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311A KR101823942B1 (ko) 2017-06-09 2017-06-09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942B1 true KR101823942B1 (ko) 2018-01-31

Family

ID=61083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311A KR101823942B1 (ko) 2017-06-09 2017-06-09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9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949B1 (ko) 2019-06-14 2020-06-11 박정균 개량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
WO2023282591A1 (ko) * 2021-07-06 2023-01-12 서민석 락커 시스템
KR20230007889A (ko) 2021-07-06 2023-01-13 서민석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KR20230007882A (ko) 2021-07-06 2023-01-13 서민석 락커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848B1 (ko) 2009-08-21 2010-11-04 박기준 착탈식 키홀더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848B1 (ko) 2009-08-21 2010-11-04 박기준 착탈식 키홀더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록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1949B1 (ko) 2019-06-14 2020-06-11 박정균 개량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
WO2023282591A1 (ko) * 2021-07-06 2023-01-12 서민석 락커 시스템
KR20230007889A (ko) 2021-07-06 2023-01-13 서민석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KR20230007888A (ko) 2021-07-06 2023-01-13 서민석 락커 시스템
KR20230007882A (ko) 2021-07-06 2023-01-13 서민석 락커 시스템
KR102519421B1 (ko) * 2021-07-06 2023-04-11 서민석 락커 시스템
KR102519419B1 (ko) * 2021-07-06 2023-04-11 서민석 락커 시스템
KR102602373B1 (ko) * 2021-07-06 2023-11-15 서민석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42B1 (ko)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
US8146393B2 (en) Vehicle door handle device
US10273724B2 (en) Door lock device
JP3588453B2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EP2792829B1 (en) Vehicle door latch system
CA2895850C (en) Latch mechanism for an exit device
JPH11513764A (ja) 車両のドアラッチ組立体
JP3821427B2 (ja) シリンダ錠の保護装置
KR100535053B1 (ko) 자동차의 잼 방지형 도어 래치
KR101695847B1 (ko) 일시 열림 조작 기능을 겸한 트리거 레버를 이용한 래치볼트의 좌, 우수 전환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락용 모티스
TWI777047B (zh) 車輛用門鎖裝置
KR200437514Y1 (ko) 모티스 록 장치
JPWO2017187489A1 (ja) ドアクローズ装置
KR100448080B1 (ko)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JP2009228310A (ja) 扉用錠装置
CN211572940U (zh) 一种拉扣锁具
CN211058468U (zh) 一种闭锁机构
JP4126181B2 (ja) 電気錠の切換えレバーと支持枠との構造
KR200444843Y1 (ko) 모티스 록 장치
JPH09167546A (ja) キー操作式安全スイッチ
TW201823567A (zh) 可上鎖的鎖蓋總成
WO2022102291A1 (ja) 錠装置および冷凍装置
KR101870194B1 (ko) 키의 푸쉬 방식만으로 통공 카드키를 인식하는 잠금 해제장치
KR20030021837A (ko) 자동차의 잼 방지용 프론트 도어래치 구조
KR100692719B1 (ko) 도난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