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421B1 - 락커 시스템 - Google Patents

락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421B1
KR102519421B1 KR1020210088758A KR20210088758A KR102519421B1 KR 102519421 B1 KR102519421 B1 KR 102519421B1 KR 1020210088758 A KR1020210088758 A KR 1020210088758A KR 20210088758 A KR20210088758 A KR 20210088758A KR 102519421 B1 KR102519421 B1 KR 102519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key
door
latch bolt
lo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8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7888A (ko
Inventor
서민석
김창민
김이석
김재범
Original Assignee
서민석
김창민
김이석
김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민석, 김창민, 김이석, 김재범 filed Critical 서민석
Priority to KR1020210088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421B1/ko
Priority to PCT/KR2022/009690 priority patent/WO2023282591A1/ko
Publication of KR20230007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7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6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linearly reciprocating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락커의 사용이 승인되면 닫혀 있던 도어를 열 수 있고, 열린 도어를 닫으면 닫힌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하면서 키홀더부에 수용되어 있던 도어키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며, 도어키를 꽂으면 닫힌 도어를 열 수 있되, 도어키가 꽂힌 도어를 닫으면 도어가 잠기면서 도어키를 인출할 수 있으며, 사용이 완료되면 락커가 사용대기 상태로 복귀되는 등의 동작이 단일의 구동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락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락커 시스템 {Locker System}
본 발명은 락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락커의 사용이 승인되면 닫혀 있던 도어를 열 수 있고, 열린 도어를 닫으면 닫힌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하면서 키홀더부에 수용되어 있던 도어키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며, 도어키를 꽂으면 닫힌 도어를 열 수 있되, 도어키가 꽂힌 도어를 닫으면 도어가 잠기면서 도어키를 인출할 수 있으며, 사용이 완료되면 락커가 사용대기 상태로 복귀되는 등의 동작이 단일의 구동수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락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락커(Locker)는 보통 의복이나 사물을 넣는 선반을 말하는데, 도난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락커에는 잠금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잠금 장치를 개폐하는데 있어 과거에는 열쇠 구멍에 열쇠를 넣고 돌리는 방식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이를 대체하는 다양한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일 예로, 잠금 장치의 외측에 텐키(Ten Key) 버튼을 구성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잠금 장치의 개방하는 것이 있다.
하지만 텐키 버튼 방식에 의할 경우 사용자가 도어를 열 때마다 비밀번호를 입력해야하는 불편이 있으며,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경우 관리자를 호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텐키 버튼 방식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쇠 구멍에 열쇠를 직접 넣고 돌리는 것이 아니라, RF 방식의 비접촉식 열쇠 또는 달라스 칩을 이용한 접촉식 열쇠를 사용해 잠금 장치를 개폐하는 것이 개발되었는데, 이 방식은 관리자가 사용자에게 일일이 열쇠를 지급하고, 사용 후 다시 열쇠를 반납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발생시켰다.
그리하여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락커에 키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락커 사용을 승인받은 자가 물건을 보관하고 도어를 닫으면 락커로부터 키를 분리해 낼 수 있도록 하는 락커 시스템(90)이 도입되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락커 시스템(90)을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23942호(2018.01.25)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락커 시스템(90)은 워터파크, 골프장, 스키장, 호텔, 주민센터 등에서 대량으로 설치되는 개인 물품 보관함의 도어(D)에 적용되는 것으로, 도어(D)의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부(91)와, 도어(D)의 외측에 설치되는 키홀더부(93)와, 상기 키홀더부(93)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도어키(95)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91)에는 외부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된 래치볼트부(911)가 구성되어, 상기 래치볼트부(911)가 구동부(91)의 외측으로 돌출되었을 때 돌출된 상기 래치볼트부(911)가 도어(D) 프레임에 형성된 잠금브라켓 상에 삽입됨으로써 도어(D)가 개방되는 것을 막고, 상기 래치볼트부(911)가 구동부(91)의 내측으로 들어갔을 때에는 상기 래치볼트부(911)가 상기 잠금브라켓 상에 삽입되지 않아 도어(D)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키홀더부(93)에는 상기 도어키(95)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키홀더부(93)는 전후측 방향으로 병진 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 키훅부(931)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도어키(95)가 수용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훅부(931)가 상기 키홀더부(91)로부터 돌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도어키(95)를 상기 키홀더부(93)로부터 탈거시킬 수 없으나, 상기 키훅부(931)가 상기 키홀더부(91) 내측으로 들어갔을 때에는 상기 도어키(95)를 상기 키홀더부(93)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락커 시스템(90)은 사용 중이 아닐 때 상기 도어키(95)가 키훅부(931)에 막혀 상기 키홀더부(93)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볼트부(911)가 상기 구동부(91)의 내측으로 들어가 있어 도어(D)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므로, 승인을 받지 않은 자가 개방되어 있는 도어(D)를 열어 안쪽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귀중품이 아닌 옷 등의 경우는 타인이 이를 가져가는 경우가 드물고, 설사 이러한 물품 등을 가져가더라도 그 피해가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종래의 락커 시스템(90)에 의하면 사용료를 지불하는 것 없이 개방되어 있는 락커 안에 무단으로 옷가지 등을 넣어두는 행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전술한 문제는 우선 사용자측에 피해를 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당한 사용료를 지불하고 특정 락커의 사용을 허락받은 자는 관리자가 지정해 준 락커를 찾아 이동한 뒤 지정된 락커의 도어(D)를 열게 될 것인데, 이 때 무단으로 락커를 사용한 자의 물품이 놓여 있을 경우 순간적인 불쾌감이 밀려드는 것은 물론, 이러한 상황을 알리기 위해 다시 관리자를 찾고, 관리자와 함께 해당 락커의 상태를 확인한 뒤, 다시 락커를 재배정 받아야 하는 등의 불편을 겪게 된다.
또한 락커 관리자는 이러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곧바로 락커 무단 사용자의 물품 전부를 폐기하고 싶어도 차후 물품 폐기와 관련한 분쟁에 휘말릴 것을 우려해 그러지 못하며, 락커 무단 사용자의 물품을 따로 챙겨 보관해야만 했다. 이 과정에서 관리자측은 무단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또 다른 공간을 마련해야 함은 물론, 이러한 물품 처리에 불필요한 시간과 노고를 소비하였다.
결국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래 락커 시스템(90)이 대여 전에 잠겨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구동부(91)와 상기 키홀더부(93)의 종래 구동 방식에 의하면, 사용 전 락커의 도어(D)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이에 관련 업계에서는 대여 전에는 래치볼트부(911)에 의해 도어(D)가 잠긴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락커 사용을 허락받지 않은 자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고, 상기 구동부(91)와 상기 키홀더부(93)의 유기적인 구동으로 정당 사용자가 대여를 시작했을 때 상기 래치볼트부(911)에 의한 잠금이 해제되며, 물품을 보관하고 도어(D)를 닫으면 래치볼트부(911)에 의해 도어(D)가 잠기되, 상기 키훅부(931)가 상기 키홀더부(93)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상기 도어키(95)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고, 대여 중 상기 키홀더부(93) 내측에 상기 도어키(95)를 삽입하면 상기 래치볼트부(911)에 의한 잠금이 해제되어 도어(D)가 열리게 되는 등의 동작이 가능한, 새로운 형식의 락커 시스템(90)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23942호(2018.01.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락커의 사용이 승인되면 닫혀 있던 도어를 열 수 있고, 열린 도어를 닫으면 닫힌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하면서 키홀더부에 수용되어 있던 도어키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며, 도어키를 꽂으면 닫힌 도어를 열 수 있되, 도어키가 꽂힌 도어를 닫으면 도어가 잠기면서 도어키를 인출할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되면 락커가 사용대기 상태로 복귀되는 등의 동작이 단일 모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의 구동수단으로 락커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하여, 제품의 단가, 무게를 낮추고, 제품의 제조, 유지, 보수 등이 용이해 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여 전 락커의 도어가 항상 잠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락커의 사용을 허락받지 않은 자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락커의 사용대기 상태에서는, 돌출된 래치볼트부에 의해 도어가 닫혀 열리지 않도록 하고, 돌출된 키훅부에 의해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를 인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구동휠부를 구성해, 모터에 의한 상기 기어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구동휠부의 회전 정도가 결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휠부의 구동축이 기어부의 기어축과 래치볼트부의 운동축에 수직하도록 하여, 상기 구동휠부의 회전 정도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부의 움직임이 달라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몸체부로부터 돌출 연장 형성된 돌출부를 구성해 상기 돌출부에 의한 래치볼트부의 추진 또는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래치볼트부의 상측에 수용부를 구성하여, 구동휠부의 돌출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래치볼트부를 구동부의 내외측방향으로 밀거나 특정 위치에서 래치볼트부가 움직이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확경부와 챔버부를 포함하는 수용부를 구성해, 구동휠부의 돌출부가 상기 확경부에 의해 간섭없이 수용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진입하고 래치볼트부를 움직이지 않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챔버부에 삽입된 돌출부에 의해 래치볼트부가 추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부에 제1탄성부를 구성해 래치볼트부는 상기 제1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구동부의 외측으로 힘을 받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서부를 구성해 구동휠부의 돌출부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감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래치볼트부의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휠부와 연결된 회전운동부를 구성하여, 구동휠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키훅부를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으로 돌출시키거나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진기어치부를 구성해, 연결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키훅부가 내부공간 측으로 가압되는 정도가 달라지도록 하여, 일정 회전까지는 키훅부가 내부공간 측으로 계속 전진하도록 하고, 일전 회전을 넘어서는 키훅부가 내부공간 반대측으로 후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린더부의 전측면에 함입 형성된 파지홈을 구성하여, 상기 파지홈에 개폐수단을 체결해 도어를 강제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병진운동부를 구성해 추진기어치부의 회전운동이 키훅부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진기어치부의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안착면을 포함하는 변환부를 구성해 회전하는 추진기어치부에 의해 변환부가 전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추진기어치부에 의한 외력이 감소할 경우 걸림부에 체결된 제2탄성부에 의해 키훅부가 후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변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날개부가 하우징지지부의 회전방지부에 파지되도록 하여, 병진운동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장부의 제2수용공간 상에 제2탄성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2탄성부의 일단은 하우징지지부의 탄성고정부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제2탄성부의 타단은 상기 제2수용공간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탄성부의 탄성력보다 강한 외력이 작용할 경우 키훅부가 키훅수용홀을 통해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키훅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홀더부를 몸체부와 핸들부로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와 상기 핸들부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에 도어키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캡부 상에 파지홈연통홀을 형성하여, 상기 파지홈연통홀을 통해 개폐수단을 삽입해 상기 개폐수단이 실린더부의 파지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파지홈에 결합된 상기 개폐수단을 회전시켜 필요시 도어를 강제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핸들지지부의 베이스부 상에 강제개폐홀을 형성하여, 핸들부의 핸들커버부를 분리시켜 상기 강제개폐홀이 노출되면, 상기 강제개폐홀로 개폐수단을 삽입해 내부공간을 지나 하우징캡부에 형성된 파지홈연통홀을 통과한 상기 개폐수단이 파지홈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키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부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래치볼트부와, 상기 래치볼트부를 제어하는 동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부는, 단일의 구동수단으로 상기 구동부와 상기 키홀더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동력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구동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기어부는, 기어부의 회전 중심축인 기어축이 래치볼트부가 병진운동하는 방향에 나란한 운동축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휠부는, 상기 기어축과 상기 운동축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구동휠부는, 상기 기어축 및 운동축에 수직한 구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몸체부와, 상기 구동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래치볼트부를 상기 구동부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추진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래치볼트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래치볼트부의 상측에 함입 형성된 공간인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수용부는, 회전하는 돌출부와 래치볼트부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래치볼트부의 상측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형상의 공간인 확경부와, 상기 확경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지면서 연장된 공간인 챔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부를 상기 구동부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휠부의 위치를 감지해 상기 구동휠부의 회전 정도를 파악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키홀더부는,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의 인출을 제어하는 키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키홀더부는, 일측이 구동휠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휠부의 회전에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회전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훅부는, 상기 구동휠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회전운동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회전운동부는, 상기 구동휠부와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키훅부가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가압되는 정도가 달라지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추진기어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추진기어치부는, 비틀림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중심수직면에 비스듬하게 하측 방향으로 감기면서 연장되는 하향추진기어치와, 비틀림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중심수직면에 비스듬하게 상측 방향으로 감기면서 연장되는 상향추진기어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추진기어치와 상기 상향추진기어치는, 상기 연결부 측의 단부가 서로 만나지 않고, 상기 내부공간 측의 단부가 서로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추진기어치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중심수직면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대칭 형성되며, 상기 하향추진기어치의 상기 연결부 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상향추진기어치의 상기 연결부 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부는, 도어의 강제 개폐를 위한 개폐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전측면에 함입 형성된 파지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키홀더부는, 일측이 상기 추진기어치부와 맞물려 상기 회전운동부의 회전운동을 상기 키훅부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형상을 가지는 병진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병진운동부는, 상기 실린더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추진기어치부의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함입된 안착면을 포함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병진운동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날개부와, 제2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변환부와 상기 키훅부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키훅부는, 상기 제2수용공간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키홀더부는, 일측이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로 상기 제2수용공간 내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상기 키훅부를 탄성력에 의해 돌출 전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키훅부를 잡아당기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락커 시스템은, 락커의 사용대기 상태에서, 상기 래치볼트부가 상기 구동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키훅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락커 시스템은, 락커의 사용승인시, 상기 래치볼트부가 상기 구동부의 내측으로 들어가고, 상기 키훅부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락커 시스템은, 락커의 사용승인 상태에서 열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래치볼트부가 상기 구동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키훅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락커 시스템은, 락커의 사용승인 상태에서 닫힌 도어의 상기 키홀더부에 상기 도어키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래치볼트부가 상기 구동부의 내측으로 들어가고, 상기 키훅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락커 시스템은, 락커의 사용종료시, 상기 래치볼트부가 상기 구동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키훅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락커의 사용이 승인되면 닫혀 있던 도어를 열 수 있고, 열린 도어를 닫으면 닫힌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하면서 키홀더부에 수용되어 있던 도어키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며, 도어키를 꽂으면 닫힌 도어를 열 수 있되, 도어키가 꽂힌 도어를 닫으면 도어가 잠기면서 도어키를 인출할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되면 락커가 사용대기 상태로 복귀되는 등의 동작이 단일 모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단일의 구동수단으로 락커 시스템이 작동하도록 하여, 제품의 단가, 무게를 낮추고, 제품의 제조, 유지, 보수 등이 용이해 지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대여 전 락커의 도어가 항상 잠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락커의 사용을 허락받지 않은 자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락커의 사용대기 상태에서는, 돌출된 래치볼트부에 의해 도어가 닫혀 열리지 않도록 하고, 돌출된 키훅부에 의해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를 인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구동휠부를 구성해, 모터에 의한 상기 기어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구동휠부의 회전 정도가 결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구동휠부의 구동축이 기어부의 기어축과 래치볼트부의 운동축에 수직하도록 하여, 상기 구동휠부의 회전 정도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부의 움직임이 달라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몸체부로부터 돌출 연장 형성된 돌출부를 구성해 상기 돌출부에 의한 래치볼트부의 추진 또는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래치볼트부의 상측에 수용부를 구성하여, 구동휠부의 돌출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어 래치볼트부를 구동부의 내외측방향으로 밀거나 특정 위치에서 래치볼트부가 움직이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게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확경부와 챔버부를 포함하는 수용부를 구성해, 구동휠부의 돌출부가 상기 확경부에 의해 간섭없이 수용부 내측으로 용이하게 진입하고 래치볼트부를 움직이지 않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챔버부에 삽입된 돌출부에 의해 래치볼트부가 추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구동부에 제1탄성부를 구성해 래치볼트부는 상기 제1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항상 구동부의 외측으로 힘을 받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센서부를 구성해 구동휠부의 돌출부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감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래치볼트부의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구동휠부와 연결된 회전운동부를 구성하여, 구동휠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키훅부를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으로 돌출시키거나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추진기어치부를 구성해, 연결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키훅부가 내부공간 측으로 가압되는 정도가 달라지도록 하여, 일정 회전까지는 키훅부가 내부공간 측으로 계속 전진하도록 하고, 일전 회전을 넘어서는 키훅부가 내부공간 반대측으로 후퇴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실린더부의 전측면에 함입 형성된 파지홈을 구성하여, 상기 파지홈에 개폐수단을 체결해 도어를 강제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병진운동부를 구성해 추진기어치부의 회전운동이 키훅부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추진기어치부의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의 안착면을 포함하는 변환부를 구성해 회전하는 추진기어치부에 의해 변환부가 전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추진기어치부에 의한 외력이 감소할 경우 걸림부에 체결된 제2탄성부에 의해 키훅부가 후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변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날개부가 하우징지지부의 회전방지부에 파지되도록 하여, 병진운동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연장부의 제2수용공간 상에 제2탄성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2탄성부의 일단은 하우징지지부의 탄성고정부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제2탄성부의 타단은 상기 제2수용공간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탄성부의 탄성력보다 강한 외력이 작용할 경우 키훅부가 키훅수용홀을 통해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키훅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키홀더부를 몸체부와 핸들부로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와 상기 핸들부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에 도어키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하우징캡부 상에 파지홈연통홀을 형성하여, 상기 파지홈연통홀을 통해 개폐수단을 삽입해 상기 개폐수단이 실린더부의 파지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파지홈에 결합된 상기 개폐수단을 회전시켜 필요시 도어를 강제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핸들지지부의 베이스부 상에 강제개폐홀을 형성하여, 핸들부의 핸들커버부를 분리시켜 상기 강제개폐홀이 노출되면, 상기 강제개폐홀로 개폐수단을 삽입해 내부공간을 지나 하우징캡부에 형성된 파지홈연통홀을 통과한 상기 개폐수단이 파지홈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락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구동부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
도 6은 래치볼트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사용대기 상태의 래치볼트부, 동력부 및 제1탄성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사용승인시의 래치볼트부, 동력부 및 제1탄성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사용승인 상태에서 열린 도어가 닫혔을 때의 래치볼트부, 동력부 및 제1탄성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키홀더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몸체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몸체부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
도 14는 회전운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회전운동부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
도 16은 회전운동부를 또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병진운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회전운동부와 병진운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회전운동부가 회전하면서 병진운동부를 미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회전운동부의 회전에 의해 병진운동부가 최대로 밀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핸들부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핸들부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
도 23은 제어부에 연결된 도어키판독부, 입력부 및 도어개폐감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도어키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도어에 결합된 락커 시스템을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27은 복수의 락커 도어에 결합된 락커 시스템을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28은 사용대기 상태의 구동부와 키홀더부를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29는 사용승인시의 구동부와 키홀더부를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30은 사용승인 상태에서 열린 도어가 닫혔을 때의 구동부와 키홀더부를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31은 사용종료시의 구동부와 키홀더부를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락커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 발명인 락커 시스템(1)은 대여 전 락커의 도어가 항상 잠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락커의 사용을 허락받지 않은 자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 대기 상태의 락커 도어는 잠겨 있게 되는바, 사용 승인 권한을 받지 않은 자가 락커의 도어를 열어 락커 안쪽에 물품을 넣는 것이 불가능해 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커 시스템(1)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락커 시스템(1)은, 구동부(10), 키홀더부(20), 입력부(30), 도어개폐감지부(40), 도어키(50), 서버부(6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10)는, 개폐 가능한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키홀더부(20)가 개폐 가능한 도어의 외측에 위치해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상기 구동부(10)는 후술할 키홀더부(20)와 연결이 되어, 상기 구동부(10)의 작동에 의해 후술할 키홀더부(20)가 작동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10)의 작동은 모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터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단일의 구동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구동부(1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구동부(10)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구동부(10)는, 래치볼트부(11), 동력부(12), 제1탄성부(13), 제어부(14), 센서부(15)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볼트부(11)는, 상기 구동부(10)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락커의 사용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된 상기 래치볼트부(11)에 의해 닫힌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고, 락커의 사용 승인시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닫힌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 내측으로 들어가 도어가 열리게 되면, 열린 도어를 통해 락커 내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게 되고, 이후 사용자가 열려 있는 도어를 닫게 되면 상기 래치볼트부(110에 의해 도어가 자동으로 잠기게 된다. 후술할 키훅부(2134)가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은 락커의 사용승인 상태에서,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도어키(50)를 삽입할 경우,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정당한 사용시간 내에는 어느 때나 도어를 자유롭게 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래치볼트부(11)의 병진운동은 후술할 동력부(1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래치볼트부(11)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래치볼트부(11)는 수용부(111)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11)는, 후술할 돌출부(1232)를 수용하도록 상기 래치볼트부(11)의 상측에 함입 형성된 공간을 가리킨다. 상기 수용부(111)를 통해, 후술할 구동휠부(123)의 돌출부(1232)가 상기 수용부(111)에 수용되어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구동부(10)의 내외측방향으로 밀거나, 특정 위치에서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움직이지 않고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수용부(111)는, 확경부(1111), 챔버부(1112)를 포함한다.
상기 확경부(1111)는, 회전하는 후술할 돌출부(1232)와 상기 래치볼트부(11)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볼트부(11)의 상측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형상의 공간을 말한다. 상기 확경부(1111)에 의해, 후술할 구동휠부(123)의 돌출부(1232)는 간섭없이 상기 수용부(111) 내측으로 용이하게 진입하고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움직이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챔버부(11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경부(1111)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지면서 연장된 공간을 말한다. 상기 챔버부(1112)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챔버부(1112)에 삽입된 후술할 돌출부(1232)가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구동부(10)의 내외측 방향으로 밀 수 있다.
상기 동력부(12)는, 회전운동을 통해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직선운동시키는 구성으로,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직선운동시키고, 후술할 회전운동부(212)를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사용대기 상태의 래치볼트부(11), 동력부(12) 및 제1탄성부(13)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사용승인시의 래치볼트부(11), 동력부(12) 및 제1탄성부(13)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사용승인 상태에서 열린 도어가 닫혔을 때의 래치볼트부(11), 동력부(12) 및 제1탄성부(13)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7 내지 9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동력부(12)는, 모터부(121), 기어부(122), 구동휠부(123)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부(121)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모터부(121)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락커의 사용이 승인되면 닫혀 있던 도어를 열 수 있고, 열린 도어를 닫으면 닫힌 도어를 열 수 없도록 하면서 후술할 키홀더부(20)에 수용되어 있던 도어키(5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며, 도어키(50)를 꽂으면 닫힌 도어를 열 수 있되, 도어키(50)가 꽂힌 도어를 닫으면 도어가 잠기면서 도어키를 인출할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되면 락커가 사용대기 상태로 복귀되는 등의 동작이 단일의 모터부(12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수의 모터부(121)로 락커 시스템(1)이 작동하도록 하여, 제품의 단가, 무게를 낮추고, 제품의 제조, 유지, 보수 등이 용이해 지도록 한다.
상기 기어부(122)는, 구동수단, 즉, 상기 모터부(12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모터부(121)에 의해 회전하는 웜기어로 볼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기어부(1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축(122a)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기어축(122a)은 후술할 구동휠부(123)의 구동축(123a)과 수직하게 구성된다. 상기 기어축(122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기어부(122)의 회전 정도, 회전 방향을 제어함으로써, 후술할 구동휠부(123)가 구동축(123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거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할 수 있고, 그 회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휠부(123)는, 상기 기어부(122)에 맞물려 회전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모터부(121)에 의해 상기 기어부(12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기어부(122)에 맞물려 있는 상기 구동휠부(123)가 회전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모터부(121)에 의한 상기 기어부(122)의 회전 방향, 회전 정도 등에 따라, 상기 구동휠부(123)의 회전 방향, 회전 정도 등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휠부(123)의 구동축(123a)은 상기 기어부(122)의 기어축(122a)과 상기 래치볼트부(11)의 운동축(11a)에 수직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구동휠부(123)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부(11)의 움직임이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휠부(123)는 상기 웜기어로 구성되는 기어부(122)에 맞물리는 기어치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웜휠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구동휠부(123)는 몸체부(1231), 돌출부(123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231)는, 상기 기어부(122)의 회전 중심축인 기어축(122a) 및 상기 래치볼트부(11)가 병진운동하는 방향에 나란한 운동축(11a)에 수직한 구동축(123a)을 중심으로 상기 기어부(122)에 맞물려 회전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몸체부(1231)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측면에는 상기 기어부(122)와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231) 상에는 연결홈(123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홈(12311) 상에 후술할 연결부(2121)가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홈(1231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32)는, 상기 구동축(123a)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1231)로부터 돌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구동부(10)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추진시키거나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지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몸체부(1231) 상에 상기 돌출부(1232)를 구성하여, 상기 돌출부(1232)의 위치에 따라 상기 래치볼트부(11)의 추진 방향, 추진 여부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돌출부(1232)가 대략 11시 방향을 향하고 있는데, 이 때를 락커의 사용대기 상태로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1232)가 상기 래치볼트부(11)에 어떠한 외력도 가하지 않게 되며, 후술할 제1탄성부(13)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부(11)가 구동부(10)의 외측으로 가압되면서, 닫힌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한다.
도 8에는 상기 돌출부(1232)가 대략 5시 방향을 향하고 있는데, 이 때는 락커의 사용이 승인되었을 때를 말한다. 락커의 사용이 승인되면 상기 모터부(121)에 의해 상기 기어부(122)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구동휠부(12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돌출부(1232)는 도 7과 같이 대략 11시 방향을 향하고 있다가 도 8과 같이 대략 5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1232)가 상기 수용부(111)에 수용되어 상기 래치볼트부(11)를 밀게 되는바, 상기 래치볼트부(11)는 운동축(11a)을 따라 상기 구동부(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락커 사용을 승인받은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시간 중에 열려 있는 락커의 도어를 닫을 경우, 상기 돌출부(1232)는 상기 기어부(122)의 회전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7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1232)는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운동축(11a)을 따라 상기 구동부(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탄성부(13)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구동부(10)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상기 몸체부(123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출부(1232)가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이동시키더라도,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미는 상기 돌출부(1232)에 의한 힘이 제거될 경우, 상기 제1탄성부(13)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부(11)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래치볼트부(11)와 후술할 키훅부(2134)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을 말한다. 즉, 상기 제어부(14)에 의해 상기 모터부(121)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모터부(12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상기 기어부(122)의 회전 방향, 회전 정도 등이 결정되고, 이로 인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돌출부(1232)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부(11) 및 후술할 키훅부(2134)의 움직임이 달라지게 된다.
도 10은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제어부(14)는, 신호수신모듈(141), 사용시작모듈(142), 보관모듈(143), 오픈모듈(144), 사용종료모듈(145)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수신모듈(141)은, 각종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모터부(121)를 제어하여 상기 래치볼트부(11)와 후술할 키훅부(2134)의 움직임이 달라지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신호수신모듈(141)은 승인신호수신모듈(1411), 개폐신호수신모듈(1412), 삽입신호수신모듈(1413), 종료신호수신모듈(1414)을 포함한다.
상기 승인신호수신모듈(1411)은, 일측은 후술할 승인신호입력부(31)와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할 사용시작모듈(142)과 연결되어, 승인신호입력부(31)로부터 사용승인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시작모듈(142)을 활성화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개폐신호수신모듈(1412)은, 일측은 후술할 도어개폐감지부(40)와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할 보관모듈(143)과 연결되어, 도어개폐감지부(40)로부터 도어감지신호를 수신하다가 도어가 열림에서 닫힘으로 변화했음이 감지되었을 때 후술할 보관모듈(143)을 활성화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삽입신호수신모듈(1413)은, 일측은 후술할 도어키판독부(23)와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할 오픈모듈(144)과 연결되어, 도어키판독부(23)로부터 도어키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오픈모듈(144)을 활성화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종료신호수신모듈(1414)은, 일측은 후술할 종료신호입력부(32)와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할 사용종료모듈(145)과 연결되어, 종료신호입력부(32)로부터 사용종료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종료모듈(145)을 활성화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사용시작모듈(142)은, 락커의 사용승인시,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하면서, 후술할 키훅부(2134)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즉, 상기 사용시작모듈(142)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12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5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운동축(11a)을 따라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바, 사용자는 잠겨 있던 락커의 도어를 열 수 있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겠지만, 상기 돌출부(1232)가 대략 5시 방향을 가리킬 때, 후술할 키훅부(2134)는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는바, 사용자가 내부공간에 삽입된 도어키(50)를 인출할 수는 없다.
상기 보관모듈(143)은, 후술할 키훅부(2134)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락커의 사용승인 상태에서, 열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면서, 후술할 키훅부(2134)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보관모듈(143)에 의해 상기 모터부(121)가 제어되면, 상기 돌출부(1232)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7시 방향을 가리키게 되고, 이로 인해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가 잠기도록 하며, 후술할 키훅부(2134)는 더이상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있던 도어키(50)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오픈모듈(144)은, 후술할 키훅부(2134)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은 락커의 사용승인 상태에서, 닫힌 도어의 키홀더부(20)에 도어키(5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하면서, 후술할 키훅부(2134)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즉, 상기 오픈모듈(144)에 의해 상기 모터부(121)가 제어되면, 상기 돌출부(12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대략 5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한 도어키(50)를 뺄 수 없게 되지만, 락커의 도어는 열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용종료모듈(145)은, 상기 래치볼트부(11)와 후술할 키훅부(2134)를 상기 락커의 사용대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시간이 경과했을 때 종료신호가 수신되면서 상기 사용종료모듈(145)이 활성화될 수 있고, 상기 사용종료모듈(145)에 의해 상기 모터부(121)가 제어되면서, 상기 돌출부(123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11시 방향을 향하게 되는바, 락커의 도어는 잠겨 열 수 없게 되고, 후술할 키훅부(2134)는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내부공간 안으로 도어키(50)를 삽입해 문을 열 수 없도록 한다. 결국 사용시간을 초과한 사용자는 카운터 방문 등을 통해 락커 관리자로부터 추가 요금 결제 등을 해야 락커에 보관된 물품을 찾을 수 있게 된다. 만일 사용시간이 남아 있지만 사용자가 이미 락커의 사용을 마치고 퇴실한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1232)가 도 9와 같이 대략 7시 방향을 향하게 되어, 도어는 잠기되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50)는 인출할 수 있는 상황이 되지만 사용자가 도어키(50)를 인출하지 않고 퇴실한 상태가 되므로, 관리자는 사용자의 퇴실이 확인되었을 때 종료신호를 보내어 상기 돌출부(1232)가 도 7과 같이 대략 11시 방향이 되도록 하거나, 사용시간이 완료되기까지 그대로 두고 사용시간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종료신호가 생성 및 수신되면서 상기 돌출부(1232)가 도 7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5)는, 상기 구동휠부(123)의 위치를 감지해 상기 구동휠부(123)의 회전 정도를 파악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15)는 상기 구동부(10) 상의 복수의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15)를 통해 상기 래치볼트부(11)의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15)는 상기 돌출부(1232)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상기 돌출부(1232)가 대략 11시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 이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도 8과 같이 상기 돌출부(1232)가 대략 5시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 이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도 9와 같이 상기 돌출부(1232)가 대략 7시 방향을 향하고 있을 때 이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홀더부(20)는, 상기 도어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10)와 연결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키홀더부(20)는 크게 몸체부(21)와 핸들부(22)로 구분되며, 이러한 상기 몸체부(21)와 핸들부(22)는 중간에 빈 공간이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서로 결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공간은 상측이 외부와 연통되어 있는바, 사용자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후술할 도어키(50)를 삽입하거나,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50)를 상측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다.
도 11은 키홀더부(20)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키홀더부(20)는 몸체부(21), 핸들부(22), 도어키판독부(23), 무선충전부(24)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21)는, 상기 키홀더부(20) 중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핸들부(22)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말한다. 즉, 상기 몸체부(21)가 도어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도어에 고정된 상기 몸체부(21)에 후술할 핸들부(22)가 결합되면서, 결국 상기 키홀더부(20)가 상기 도어의 외측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몸체부(21)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몸체부(21)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몸체부(21)는, 하우징부(211), 회전운동부(212), 병진운동부(213), 제2탄성부(214), 하우징캡부(215)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211)는, 상기 몸체부(21)의 외형을 형성하면서,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내측 빈 공간에 위치하는 구성들을 감싸 보호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부(211)가 원형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하우징부(211)가 이러한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달리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하우징부(211)는, 하우징컵부(2111), 하우징지지부(2112)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컵부(2111)는, 후술할 병진운동부(213)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일측, 바람직하게는 전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된 전측을 통해 후술할 병진운동부(213)가 상기 하우징컵부(2111)의 내측으로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컵부(2111)의 개방된 전측은 후술할 하우징캡부(215)에 의해 덮히게 된다.
상기 하우징지지부(2112)는, 상기 하우징컵부(2111)로부터 상기 구동부(10)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운동부(212)를 수용하는 구성을 말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지지부(2112)는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일측이 개방된 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지지부(2112)의 내측 수용공간은 상기 하우징컵부(2111)의 내측 수용공간과 연통된다.
도 12 및 13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하우징지지부(2112)는, 관통홀(21121), 회전방지부(21122), 탄성고정부(21123)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홀(21121)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회전운동부(212)의 연결부(2121)가 상기 구동휠부(123)의 연결홈(123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후술할 연결부(2121)의 수용을 위해 상기 하우징지지부(2112)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홀을 말한다.
상기 회전방지부(21122)는, 후술할 병진운동부(213)를 파지해 병진운동부(213)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방지부(2112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의 중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 개의 격벽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부는 후술할 회전운동부(212)를 지지하게 되고, 하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격벽 사이의 공간을 형성해 후술할 병진운동부(213)의 날개부(2132)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후술할 병진운동부(213)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고정부(21123)는, 후술할 키훅부(2134)를 잡아당기는 제2탄성부(214)의 일측이 고정되도록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상기 탄성고정부(2112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홀(21121)의 상측에 위치하여 후술할 제2탄성부(214)의 일측을 걸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운동부(212)는, 일측이 상기 구동휠부(123)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휠부(123)의 회전에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회전운동부(212)는 상기 구동휠부(12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후술할 키훅부(2134)를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시키거나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회전운동부(212)는 상기 하우징부(211)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구동휠부(123)에 회전에 따라 회전하되, 특정 구간에서는 회전이 계속될수록 후술할 병진운동부(213)를 미는 힘이 이에 비례에 증가하나 다른 특정 구간에서는 회전이 계속될수록 후술할 병진운동부(213)를 미는 힘이 이에 비례에 감소하도록 하는 독특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4는 회전운동부(212)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회전운동부(212)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회전운동부(212)는, 연결부(2121), 실린더부(2122), 추진기어치부(212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2121)는, 상기 구동휠부(123)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동휠부(123) 중 상기 몸체부(1231)의 전측면에 함입 형성된 연결홈(12311) 상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2121)의 결합면은 상기 연결홈(12311)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2122)는, 상기 연결부(2121)로부터 연장 형성된 구성으로, 상기 실린더부(2122)의 형상을 어느 한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을 형성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6은 회전운동부(212)를 또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도 1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상기 실린더부(2122)는, 파지홈(21221)을 포함한다.
상기 파지홈(21221)은, 도어의 강제 개폐를 위한 개폐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부(2122)의 전측면에 함입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부득이하게 도어를 강제로 개폐해야할 경우가 발생하면, 관리자는 상기 파지홈(21221)에 개폐수단을 체결해 도어를 강제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파지홈(21221)이 십자형의 홈을 중심에 두고 그 주변에 원형의 홈이 4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파지홈(21221)의 형상을 이러한 형상으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는, 상기 실린더부(2122)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2121)의 회전 정도에 따라 후술할 키훅부(2134)가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가압되는 정도가 달라지도록 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는 상기 실린더부(2122)의 중심수직면(2122a)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대칭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는 상기 연결부(2121)의 회전 정도에 따라 후술할 키훅부(2134)가 내부공간 측으로 가압되는 정도가 달라지도록 하여, 일정 회전까지는 키훅부(2134)가 내부공간 측으로 계속 전진하도록 하고, 일전 회전을 넘어서는 키훅부(2134)가 내부공간 반대측으로 후퇴하도록 한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는, 하향추진기어치(21231), 상향추진기어치(21232), 연결치(21233)를 포함한다.
상기 하향추진기어치(2123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갈 수록 면이 90도로 비틀리는 형상을 가지는 비틀림 하향 경사면(212311)을 형성하도록, 상기 실린더부(2122)의 중심수직면(2122a)에 비스듬하게 하측 방향으로 감기면서 연장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상향추진기어치(21232)는, 비틀림 상향 경사면(212321)을 형성하도록 상기 실린더부(2122)의 중심수직면(2122a)에 비스듬하게 상측 방향으로 감기면서 연장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향추진기어치(21231)와 상기 상향추진기어치(21232)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2121) 측의 단부가 서로 만나지 않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 측의 단부가 서로 만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치(21233)는,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가 상기 실린더부(2122)의 중심수직면(2122a)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대칭 형성되었을 때,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향추진기어치(21231)의 상기 연결부(2121) 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그 반대쪽인 상기 상향추진기어치(21232)의 상기 연결부(2121) 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병진운동부(213)는, 일측이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와 맞물려 상기 회전운동부(212)의 회전운동을 후술할 키훅부(2134)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형상을 가지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병진운동부(213)는 상기 하우징부(211)와 후술할 하우징캡부(215)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7은 병진운동부(213)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7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병진운동부(213)는, 변환부(2131), 날개부(2132), 연장부(2133), 키훅부(2134)를 포함한다.
상기 변환부(2131)는, 추진기어치부(2123)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변환부(2131)는 상기 실린더부(2122)를 수용하면서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가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환부(2131)는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일면과 타면이 개방된 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가 위치하는 측에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와 맞물리기 위해 함입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변환부(2131)는, 제1수용공간(21311), 안착면(213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수용공간(21311)은, 상기 실린더부(2122)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부(212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이러한 상기 실린더부(2122)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제1수용공간(21311)은 일면과 타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21312)은,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의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전측 방향을 향해 함입된 구성으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를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안착면(21312)의 형상은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의 외주 형상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상기 안착면(21312)에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가 정확하게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회전운동부(212)에 의한 상기 병진운동부(213)의 추진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하지만,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가 회전하게 되면, 특이한 형상을 가지는 상기 추진기어치부(2123)의 기어치에 의해 상기 병진운동부(213)가 앞쪽으로 밀리게 된다. 이러한 전측 추진은 경사진 상기 상향추진기어치(21232)에 의해 도 20의 상태에 이르기까지 계속된다.
다만, 상기 병진운동부(213)는 후술할 제2탄성부(214)에 의해 전측 추진 방향의 반대방향의 힘을 받게 되므로, 상기 병진운동부(213)를 전측 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아지게 되면 상기 병진운동부(213)는 후측 방향으로 후퇴하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도 18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2132)는, 상기 변환부(2131)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병진운동부(213)의 회전을 방지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날개부(2132)는 전술한 상기 하우징지지부(2112)의 회전방지부(21122)에 파지되므로, 상기 회전방지부(21122)에 수용된 상기 날개부(2132)에 의해, 상기 회전운동부(212)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병진운동부(213)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연장부(2133)는, 상기 변환부(2131)와 후술할 키훅부(2134)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내부에 후술할 제2탄성부(214)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일면과 타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장부(2133)는, 제2수용공간(21331)을 포함한다.
상기 제2수용공간(21331)은, 후술할 제2탄성부(214)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후술할 키훅부(2134)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부(21341)가 돌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키훅부(2134)는,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50)의 인출을 막도록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을 말한다. 락커의 사용대기 상태에서는 상기 키훅부(2134)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50)를 인출하지 못하도록 하고, 락커의 사용승인시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잠겨 있던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지만 상기 키훅부(2134)는 여전히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락커 사용자가 열린 도어를 닫았을 때 상기 래치볼트부(11)가 구동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도어를 잠그고, 이때 상기 키훅부(2134)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면서 사용자가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50)를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후술할 도어키(50)를 삽입해 닫혀 있던 도어를 여는 경우에는, 상기 키훅부(2134)가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면서 도어키(50)의 인출을 막는다.
상기 키훅부(2134)는 상기 구동휠부(123)의 회전에 따른 상기 회전운동부(212)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키훅부(2134)는, 걸림부(21341)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21341)는, 상기 제2수용공간(21331)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일단이 상기 키훅부(2134)에 연결되고 타단이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자유단을 형성하는 상기 걸림부(21341)의 타단은 상기 제2수용공간(21331) 상에 위치하는 바, 상기 제2수용공간(21331) 내에 안치되는 후술할 제2탄성부(214)의 일단이 상기 걸림부(2134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1341) 상에는 홈이 형성되므로, 상기 홈에 후술할 제2탄성부(214)의 일측을 걸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탄성부(214)는, 일측이 상기 걸림부(21341)에 걸린 상태로 상기 제2수용공간(21331) 내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상기 키훅부(2134)를 탄성력에 의해 돌출 전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키훅부(2134)를 잡아당기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연장부(2133)의 상기 제2수용공간(21331) 상에 상기 제2탄성부(214)를 위치시키고, 상기 제2탄성부(214)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지지부(2112)의 상기 탄성고정부(21123)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제2탄성부(214)의 타단은 상기 제2수용공간(21331)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21341)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탄성부(214)의 탄성력보다 강한 외력이 작용할 경우 후술할 키훅부(2134)가 키훅수용홀(2151)을 통해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2탄성부(214)의 탄성력에 의해 키훅부(2134)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캡부(215)는, 상기 하우징부(211)를 덮는 구성으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면서 일측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캡부(215)는 상기 하우징부(211)의 개방된 일측을 덮어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부(211)와 상기 하우징캡부(215)가 형성하는 내측 빈 공간에 수용된 상기 회전운동부(212), 상기 병진운동부(213), 상기 제2탄성부(214)를 보호한다.
도 12 및 13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하우징캡부(215)는, 키훅수용홀(2151), 파지홈연통홀(2152), 핸들결합홀(2153)을 포함한다.
상기 키훅수용홀(2151)은, 상기 키훅부(2134)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관통 형성된 홀로, 상기 키훅부(2134)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키훅수용홀(2151)에 의해 상기 키훅부(2134)는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파지홈연통홀(2152)은, 상기 회전운동부(212)에 포함된 파지홈(21221)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관통 형성된 홀을 말한다. 상기 하우징캡부(215) 상에 상기 파지홈연통홀(2152)을 형성하여, 상기 파지홈연통홀(2152)을 통해 개폐수단을 삽입해 상기 개폐수단이 상기 실린더부(2122)의 파지홈(212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파지홈(21221)에 결합된 상기 개폐수단을 회전시켜 필요시 도어를 강제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파지홈연통홀(2152)은 상기 키훅수용홀(2151)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결합홀(2153)은, 상기 핸들부(22)가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 형성된 홀로,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핸들결합홀(2153)에 의해 후술할 핸들지지부(221)의 연장결합부(2212)가 상기 몸체부(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부(22)는,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몸체부(21)에 결합되는 구성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21)와 상기 핸들부(22)가 결합되었을 때 중앙에는 후술할 핸들지지부(221)의 연장결합부(2212)에 의해 상측에 개방된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1은 핸들부(22)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핸들부(22)를 다른 시점에서 도시한 도면으로,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핸들부(22)는, 핸들지지부(221), 핸들커버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지지부(221)는, 상기 핸들부(22)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핸들부(22) 중 상기 몸체부(21)에 결합되는 부분을 말한다. 상기 핸들지지부(221)의 형상을 어느 특정 형상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키홀더부(20)의 중앙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핸들지지부(221)는, 베이스부(2211), 연장결합부(221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2211)는,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을 폐쇄하는 구성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측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할 핸들커버부(222)는 상기 베이스부(2211)의 개방된 전측면을 덮는 것인바, 상기 베이스부(2211)의 개방된 전측면은 후술할 핸들커버부(222)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1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베이스부(2211)는, 강제개폐홀(22111), 커버결합홀(22112)을 포함한다.
상기 강제개폐홀(22111)은,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되 상기 회전운동부(212)의 파지홈(21221)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관통 형성된 홀인 파지홈연통홀(2152)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관통 형성된 홀을 말한다. 상기 핸들지지부(221)의 베이스부(2211) 상에 상기 강제개폐홀(22111)을 형성하여, 상기 핸들부(22)의 핸들커버부(222)를 분리시켜 상기 강제개폐홀(22111)이 노출되면, 상기 강제개폐홀(22111)로 개폐수단을 삽입해 내부공간을 지나 상기 하우징캡부(215)에 형성된 상기 파지홈연통홀(2152)을 통과한 상기 개폐수단이 파지홈(21221)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결합홀(22112)은, 상기 핸들커버부(222)를 상기 핸들지지부(221)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커버고정수단(2221)에 대응되는 위치 상에 관통 형성된 홀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커버결합홀(22112)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211) 상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후술할 핸들커버부(222)가 결합될 수 있도록 후술할 커버고정수단(2221)이 체결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결합부(2212)는, 상기 베이스부(2211)로부터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1)에 결합되는 구성을 말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장결합부(2212)는 상기 핸들결합홀(215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커버부(222)는, 상기 핸들지지부(2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 도 2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핸들커버부(222)를 원반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형상으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얼마든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핸들커버부(222)는 상기 핸들지지부(221)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지지부(221)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것인바, 그 형상은 상기 핸들지지부(221)의 개방된 전측면과의 관계에서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핸들커버부(222)는, 커버고정수단(2221)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고정수단(2221)은, 상기 핸들커버부(222)를 상기 핸들지지부(221)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고정수단(2221)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결합홀(22112)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2211)에 형성된 커버결합홀(2211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3은 상기 제어부(14)에 연결된 도어키판독부(23), 입력부(30) 및 도어개폐감지부(40)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하에서는 도 23을 참고하도록 한다.
상기 도어키판독부(23)는,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후술할 도어키(50)를 인식하여 인식된 도어키(50)가 적법한 경우 도어키감지신호를 생성해 상기 제어부(14)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즉, 상기 도어키판독부(23)는 후술할 도어키(50)의 통신부(51)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도어키(50)를 인식하여, 인식된 도어키(50)가 적법한 경우 도어키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도어키판독부(23)를 통해 해당 락커에 맞는 적절한 도어키(50)가 상기 키홀더부(20)에 꽂혔는지를 인식해 도어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선충전부(24)는, 무선으로 후술할 전력수신부(53)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무선충전부(24)는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후술할 도어키(50)에 대향하는 위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도어키(50)의 전력수신부(53)가 상기 무선충전부(24)로부터 무선으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도어키(50)를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삽입했을 때, 상기 무선충전부(24)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은 전력수신부(53)가 후술할 축전부(52)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력부(30)는, 신호를 입력해 입력된 신호가 상기 제어부(14)의 신호수신모듈(141)에 수신되도록 함으로써, 락커의 사용을 승인하거나, 락커의 사용을 종료시키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부(30)는 락커 관리자가 있는 카운터 등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3을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입력부(30)는, 승인신호입력부(31), 종료신호입력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승인신호입력부(31)는, 락커의 사용을 승인하는 사용승인신호를 생성해 상기 제어부(14)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승인신호입력부(31)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의 승인신호수신모듈(1411)과 연결이 되는바, 관리자 등이 사용승인신호를 생성했을 때, 해당 신호가 상기 승인신호수신모듈(1411)에 수신되면서 상기 사용시작모듈(142)이 활성화되어,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도어가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 종료신호입력부(32)는, 락커의 사용을 종료시키는 사용종료신호를 생성해 상기 제어부(14)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일 예로, 사용시간이 도과할 경우에는 자동으로 상기 종료신호입력부(32)가 활성화되어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구동부(10)의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후술할 키훅부(2134)를 내부공간으로 돌출시키면서 사용대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바, 사용 시간을 넘은 부정 사용이 방지될 수 있으며, 락커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인력, 시간, 노고, 비용 등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개폐감지부(40)는,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감지신호를 생성해 상기 제어부(14)로 전송하는 구성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개폐감지부(40)에 의해 후술할 도어키(50)가 삽입되어 있는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래치볼트부(11)가 돌출되면서 도어가 잠기게 되고, 동시에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었던 상기 키훅부(2134)가 들어가게 되면서 도어키(5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커 시스템(1)을 도시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는 통신 가능한 도어키(50)가 추가된 특징이 있다.
상기 도어키(50)는, 상기 키홀더부(20)에 포함된 내부공간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구성으로, 상기 도어키(50)는 통신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도어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상기 도어키(50)가 주변과 통신 연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가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락커에 물품을 보관한 뒤 도어키를 소지하고 이동하는 자의 동선, 위치 등이 추적될 수 있도록 하여, 미아를 찾거나,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 등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이를 빅데이터화하며, 수집된 빅데이터를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5는 도어키(50)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러한 상기 도어키(50)는, 통신부(51), 축전부(52), 전력수신부(53), 메모리부(54), 출력부(55)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51)는, 상기 도어키(50)의 통신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키(5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부(51)는, 디지털 통신 기기를 위한 개인 근거리 무선 통신 산업 표준으로,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를 사용하는 블루투스(Bluetooth), IEEE 802.15 표준을 기반으로 개인 통신망을 구성하여 통신하기 위한 표준 기술인 지그비(ZigBee), 13.56MHz의 대역을 가지며 아주 가까운 거리의 무선 통신을 위한 기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주파수를 이용해 ID를 식별하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51)는 상기 도어키(50)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바, 상기 도어키(50)를 가지고 이동하는 락커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이 후술할 서버부(60)에 수집되어 빅데이터화될 수 있다.
상기 축전부(52)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51)와 연결되어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통신부(51)에 공급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통신부(51)에 의한 상기 도어키(50)의 통신 연결을 위해서는 전력 공급이 필요한바, 상기 도어키(50)의 내부에는 상기 축전부(52)가 구성되어 전기 에너지가 저장 및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력수신부(53)는, 상기 축전부(52)와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수신해 수신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축전부(52)에 공급하는 구성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수신부(53)는 외부의 전력원과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홀더부(20)에는 상기 무선충전부(24)가 구성되는바, 상기 도어키(50)가 상기 키홀더부(2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전력수신부(53)가 상기 무선충전부(24)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아 상기 축전부(52)에 전기 에너지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부(54)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도어키(50)의 출력부(55)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도록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메모리부(54)는 SD 카드 등과 같이 상기 도어키(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도어키(50)로부터 분리된 상기 메모리부(54)를 다른 단말기에 연결시켜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고, 다운로드 받은 데이터가 저장된 상기 메모리부(54)를 다시 상기 도어키(50)에 결합시켜 저장된 데이터를 후술할 출력부(5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55)는, 상기 메모리부(54)에 연결되어 저장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출력부(55)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54)에 저장된 영상이나 음성은 도어키(5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출력부(55)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출력모듈(551), 음성출력모듈(552)을 포함한다. 상기 영상출력모듈(551)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디스플레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출력모듈(552)은,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스피커가 될 수 있다. 상기 도어키(50)에 출력부(55)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도어키(50)를 문을 열기 위한 수단만이 아니라, 다양한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서버부(60)는, 데이터를 수신해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성으로, 상기 도어키(50)의 통신부(51)는 상기 서버부(60)와 상기 도어키(50)를 통신 연결시킨다. 상기 도어키(50)가 통신부(51)를 통해 상기 서버부(60)와 통신 연결되도록 하여, 원격지에서도 단말(T)이 상기 서버부(60)에 접속함으로써 도어키(50) 사용자의 위치, 동선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파악된 정보는 미아를 찾는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6은 도어(D)에 결합된 락커 시스템(1)을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인 락커 시스템(1)은 구동부(10), 키홀더부(20), 도어키(50)를 포함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0)가 도어(D)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키홀더부(20)가 상기 도어(D)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키홀더부(20)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상기 도어키(50)가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D)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10)와 상기 키홀더부(20)가 도어(D)에 형성된 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7은 복수의 락커 도어(D)에 결합된 락커 시스템(1)을 도시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 도 2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인 락커 시스템(1)에 의하면, 사용대기 상태의 락커 도어(D)는 항상 닫혀 잠김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바, 정당한 락커 사용 권한을 얻지 못한자가 도어(D)를 열고 도어(D) 안쪽 공간에 무단으로 물건을 적치해 두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일 특정인이 관리자로부터 락커의 사용을 승인받거나, 키오스크 등을 이용한 결제를 통해 락커 사용을 승인받을 경우, 상기 입력부(30)를 통한 사용승인신호가 구동부(10)의 제어부(14) 측으로 전송되고, 사용승인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4)에 의해 상기 모터부(14)가 동작하게 되면서, 상기 래치볼트부(11)가 상기 구동부(10) 내측으로 들어가게 되어 해당 사용자는 배정받은 특정 락커의 도어(D)를 열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대기 상태에서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232)가 대략 11시 방향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래치볼트부(11)에 어떠한 외력도 가하지 않게 된다. 상기 래치볼트부(11)는 상기 제1탄성부(13)에 의해 상기 구동부(10)의 외측으로 밀려 도어 플레임에 형성된 수용홀에 걸리게 되는바, 사용자는 락커의 도어를 열 수 없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휠부(123)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운동부(212)가 상기 병진운동부(213)를 도어의 외측으로 최대한 밀어 상기 키훅부(2134)를 내부공간(S)으로 돌출시키므로, 상기 내부공간(S)에 수용된 도어키는 밖으로 빠질 수 없게 된다.
이 후 락커의 사용승인이 이루어졌을 때, 상기 돌출부(1232)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5시 방향을 가리키도록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구동부(10)의 안쪽으로 밀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락커 도어를 열어 내부에 물건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 구동휠부(123)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상기 회전운동부(212)는 상기 병진운동부(213)를 최대한 바깥쪽으로 밀고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여전히 상기 내부공간(S)에 수용된 도어키를 밖으로 인출할 수 없다.
락커 내부에 물건을 넣은 사용자가 열린 도어를 닫으면, 상기 돌출부(1232)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7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구동부(10)의 내측에 위치해 있던 상기 래치볼트부(11)를 상기 구동부(10)의 외측으로 밀게 되면서, 도어는 잠기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돌출부(12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병진운동부(213)를 바깥쪽으로 밀고 있던 힘이 없어지게 되면서 상기 병진운동부(213)를 잡아 당기고 있던 제2탄성부(214)에 의해 상기 병진운동부(213)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키훅부(2134)가 내부공간(S)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는바, 사용자는 상기 내부공간(S)에 삽입되어 있던 도어키를 꺼낼 수 있게 된다.
도 30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내부공간(S)에 도어키를 삽입할 경우, 대략 7시 방향을 가리키고 있던 상기 돌출부(123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대략 5시 방향에서 멈추게 되므로, 사용자는 락커 도어를 열 수 있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키훅부(2134)는 상기 내부공간(S)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도어키 인출을 막는다. 사용자가 필요한 물건을 꺼내거나 보관이 필요한 추가적인 물건을 락커 내에 넣는 등의 행위를 한 뒤 다시 도어를 닫게 되면 상기 락커 시스템(1)은 도 30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승인받은 사용시간 내 락커의 도어를 얼마든지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다.
사용시간이 완료될 경우, 상기 돌출부(1232)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11시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에 의해 상기 키훅부(2134)는 상기 내부공간(S)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어 상기 내부공간(S) 수용된 도어키의 인출을 막게 된다. 결국, 사용이 종료되면 락커 시스템(1)은 사용대기 상태(도 28 참조)로 복귀하게 되므로, 정당한 사용 승인을 얻지 못한 자의 락커 무단 사용은 여전히 차단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락커 시스템
10: 구동부
11: 래치볼트부
11a: 운동축
111: 수용부
1111: 확경부
1112: 챔버부
12: 동력부
121: 모터부
122: 기어부
122a: 기어축
123: 구동휠부
123a: 구동축
1231: 몸체부
12311: 연결홈
1232: 돌출부
13: 제1탄성부
14: 제어부
141: 신호수신모듈
1411: 승인신호수신모듈
1412: 개폐신호수신모듈
1413: 삽입신호수신모듈
1414: 종료신호수신모듈
142: 사용시작모듈
143: 보관모듈
144: 오픈모듈
145: 사용종료모듈
15: 센서부
20: 키홀더부
21: 몸체부
211: 하우징부
2111: 하우징컵부
2112: 하우징지지부
21121: 관통홀
21122: 회전방지부
21123: 탄성고정부
212: 회전운동부
2121: 연결부
2122: 실린더부
2122a: 중심수직면
21221: 파지홈
2123: 추진기어치부
21231: 하향추진기어치
212311: 비틀림 하향 경사면
21232: 상향추진기어치
212321: 비틀림 상향 경사면
21233: 연결치
213: 병진운동부
2131: 변환부
21311: 제1수용공간
21312: 안착면
2132: 날개부
2133: 연장부
21331: 제2수용공간
2134: 키훅부
21341: 걸림부
214: 제2탄성부
215: 하우징캡부
2151: 키훅수용홀
2152: 파지홈연통홀
2153: 핸들결합홀
22: 핸들부
221: 핸들지지부
2211: 베이스부
22111: 강제개폐홀
22112: 커버결합홀
2212: 연장결합부
222: 핸들커버부
2221: 커버고정수단
23: 도어키판독부
24: 무선충전부
30: 입력부
31: 승인신호입력부
32: 종료신호입력부
40: 도어개폐감지부
50: 도어키
51: 통신부
52: 축전부
53: 전력수신부
54: 메모리부
55: 출력부
551: 영상출력모듈
552: 음성출력모듈
60: 서버부
D: 도어
S: 내부공간

Claims (23)

  1. 개폐 가능한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키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부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래치볼트부와, 상기 래치볼트부를 제어하되 단일의 구동수단으로 상기 구동부와 상기 키홀더부를 작동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홀더부는,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의 인출을 제어하는 키훅부를 포함하며,
    락커의 사용대기 상태에서, 상기 래치볼트부가 상기 구동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키훅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구동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기어부의 회전 중심축인 기어축이 래치볼트부가 병진운동하는 방향에 나란한 운동축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휠부는, 상기 기어축과 상기 운동축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부는, 상기 기어축 및 운동축에 수직한 구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하는 몸체부와, 상기 구동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래치볼트부를 상기 구동부의 내측 또는 외측방향으로 추진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볼트부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래치볼트부의 상측에 함입 형성된 공간인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회전하는 돌출부와 래치볼트부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상기 래치볼트부의 상측으로 갈수록 확경되는 형상의 공간인 확경부와, 상기 확경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를 가지면서 연장된 공간인 챔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치볼트부를 상기 구동부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제1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휠부의 위치를 감지해 상기 구동휠부의 회전 정도를 파악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홀더부는, 일측이 구동휠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휠부의 회전에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회전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훅부는, 상기 구동휠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회전운동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11. 개폐 가능한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키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부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래치볼트부와, 상기 래치볼트부를 제어하되 단일의 구동수단으로 상기 구동부와 상기 키홀더부를 작동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홀더부는,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의 인출을 제어하는 키훅부와, 일측이 구동휠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휠부의 회전에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회전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훅부는, 상기 구동휠부의 회전에 따른 상기 회전운동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키홀더부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고,
    상기 회전운동부는, 상기 구동휠부와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키훅부가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가압되는 정도가 달라지도록 하는 형상을 가지는 추진기어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어치부는, 비틀림 하향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중심수직면에 비스듬하게 하측 방향으로 감기면서 연장되는 하향추진기어치와, 비틀림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중심수직면에 비스듬하게 상측 방향으로 감기면서 연장되는 상향추진기어치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추진기어치와 상기 상향추진기어치는, 상기 연결부 측의 단부가 서로 만나지 않고, 상기 내부공간 측의 단부가 서로 만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어치부는, 상기 실린더부의 중심수직면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대칭 형성되며, 상기 하향추진기어치의 상기 연결부 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상향추진기어치의 상기 연결부 측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는, 도어의 강제 개폐를 위한 개폐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부의 전측면에 함입 형성된 파지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홀더부는, 일측이 상기 추진기어치부와 맞물려 상기 회전운동부의 회전운동을 상기 키훅부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형상을 가지는 병진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운동부는, 상기 실린더부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추진기어치부의 외주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함입된 안착면을 포함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병진운동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날개부와, 제2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변환부와 상기 키훅부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키훅부는, 상기 제2수용공간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키홀더부는, 일측이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태로 상기 제2수용공간 내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상기 키훅부를 탄성력에 의해 돌출 전 상태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키훅부를 잡아당기는 제2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19. 삭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 시스템은, 락커의 사용승인시, 상기 래치볼트부가 상기 구동부의 내측으로 들어가고, 상기 키훅부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 시스템은, 락커의 사용승인 상태에서 열린 도어가 닫혔을 때, 상기 래치볼트부가 상기 구동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키훅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 시스템은, 락커의 사용승인 상태에서 닫힌 도어의 상기 키홀더부에 상기 도어키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래치볼트부가 상기 구동부의 내측으로 들어가고, 상기 키훅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23. 개폐 가능한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동부와, 상기 도어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키홀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부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래치볼트부와, 상기 래치볼트부를 제어하되 단일의 구동수단으로 상기 구동부와 상기 키홀더부를 작동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홀더부는, 내부공간에 수용된 도어키의 인출을 제어하는 키훅부를 포함하며,
    락커의 사용종료시, 상기 래치볼트부가 상기 구동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키훅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커 시스템.
KR1020210088758A 2021-07-06 2021-07-06 락커 시스템 KR102519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758A KR102519421B1 (ko) 2021-07-06 2021-07-06 락커 시스템
PCT/KR2022/009690 WO2023282591A1 (ko) 2021-07-06 2022-07-05 락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8758A KR102519421B1 (ko) 2021-07-06 2021-07-06 락커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7888A KR20230007888A (ko) 2023-01-13
KR102519421B1 true KR102519421B1 (ko) 2023-04-11

Family

ID=8480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8758A KR102519421B1 (ko) 2021-07-06 2021-07-06 락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9421B1 (ko)
WO (1) WO202328259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1947A (ja) * 2000-10-16 2002-04-26 Shiroki Corp ドアロック装置
JP2007247365A (ja) * 2006-02-15 2007-09-27 Miwa Lock Co Ltd デッドボルトの構造
KR100977008B1 (ko) * 2009-12-10 2010-08-19 주식회사 명보교구상사 옷장 및 사물함용 손잡이
KR101823942B1 (ko) * 2017-06-09 2018-01-31 주식회사 마그마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24B1 (ko) * 2007-03-14 2008-07-31 (주)엔담 모티스 및 그를 구비한 도어록 장치
KR101879753B1 (ko) * 2017-11-14 2018-08-24 송정기 사물함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1947A (ja) * 2000-10-16 2002-04-26 Shiroki Corp ドアロック装置
JP2007247365A (ja) * 2006-02-15 2007-09-27 Miwa Lock Co Ltd デッドボルトの構造
KR100977008B1 (ko) * 2009-12-10 2010-08-19 주식회사 명보교구상사 옷장 및 사물함용 손잡이
KR101823942B1 (ko) * 2017-06-09 2018-01-31 주식회사 마그마 키홀더를 구비한 사물함용 전자식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82591A1 (ko) 2023-01-12
KR20230007888A (ko) 2023-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9222B2 (en) Secure package delivery container and method
US8720239B2 (en) Tool box locking mechanisms for remote activation
US10376032B2 (en) Secure portable encasement system
CN107461080B (zh) 一种智能物联锁
CN105378195A (zh) 用于与电子钥匙一起使用的商品安全装置
CN110114541A (zh) 电子机械锁芯
WO2010080402A2 (en) Security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chanism
CN108222681A (zh) 一种实现共享物品出借的方法和归还的方法及其智能锁
CN206309238U (zh) 一种防盗式柜门以及展柜
KR102519421B1 (ko) 락커 시스템
KR102519419B1 (ko) 락커 시스템
EP2962605A1 (en) Releasable mailbox system
CN105464470B (zh) 自动锁
KR20230007889A (ko) Usn을 가능하게 하는 락커 시스템
CN209908166U (zh) 智能挂锁
KR20090124616A (ko) 도어 금고 가구 종합 제어 지문 인식 장치
CN210593150U (zh) 配送箱
CN212027435U (zh) 包裹箱的锁定装置
CA3103544C (en) Multi-point locking mechanism
CN209179668U (zh) 一种门
JP6383474B1 (ja) 鞄類のファスナーロック装置
JP7373835B2 (ja) 物品保管システム
TW202411517A (zh) 提供可攜式防盜置物箱的租賃服務機
CN113585889B (zh) 一种共享雨伞用伞尖锁具及其雨伞收纳器
CN219061460U (zh) 安装于储物门上的储物箱及储物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