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734A - 프리폼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프리폼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734A
KR20230033734A KR1020237005407A KR20237005407A KR20230033734A KR 20230033734 A KR20230033734 A KR 20230033734A KR 1020237005407 A KR1020237005407 A KR 1020237005407A KR 20237005407 A KR20237005407 A KR 20237005407A KR 20230033734 A KR20230033734 A KR 20230033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olding
resin
molding machine
decontamination
pr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5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엔리코 그리바우도
클라우스 페이츠팅거
맨프레드 해클
크리스토프 웨스
에이이치 후루사와
무네히코 다카다
시게노부 기시
요시히로 사이토
나오야 오가사와라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아이.피.에이. 소시에타’ 인더스트리아리자지오네 프로게타지오네 이 오토마지오네 에스.피.에이.
교에이 인더스트리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아이.피.에이. 소시에타’ 인더스트리아리자지오네 프로게타지오네 이 오토마지오네 에스.피.에이., 교에이 인더스트리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3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08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29C45/0441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involving a rotation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2013/002Extracting undesirable residual components, e.g. solvents, unreacted monomers, from material to be mou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24Screens,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2049/023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using inherent heat of the preform, i.e. 1 step blow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04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 B29C45/0441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involving a rotational movement
    • B29C45/045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vable moulds or mould halves involving a rotational movement mounted on the circumference of a rotating support having a rotating axis perpendicular to the 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29C48/287Raw material pre-treatment while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6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containing impur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6Scrap or recycle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열가소성 수지 플레이크로부터 프리폼을 제조하기 위한 프리폼 제조 장치는, 열가소성 수지 플레이크에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오염 제거기와, 오염 제거기로부터 공급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리폼 제조 장치{A PREFORM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예컨대 PET 플레이크(flakes)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 플레이크로부터 플라스틱병용 프리폼을 제조하는 프리폼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만들어진 플라스틱병(예컨대 플라스틱 용기 등)은 음식 또는 음료를 담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플라스틱병은 연신 블로우성형 방법으로, 예컨대 시험관과 같은 형상의 프리폼을 부풀어지게 함으로써 성형된다.
최근에는, 사용이 끝난 플라스틱병을 재활용하여 플라스틱병을 제조하는, 플라스틱병의 재활용이 행해지고 있다. 특히, 사용이 끝난 플라스틱을 음료, 음식 등을 위한 플라스틱병으로 재활용하려면, 소비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병에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지된 오염 제거 방법에는 화학적 재활용 방법과 기계적 재활용 방법이 있다. 화학적 재활용 방법과 기계적 재활용 방법에서는 먼저, 수집한 사용이 끝난 플라스틱병을 분쇄하고(shattering) 세척하여, 수지 플레이크를 제작한다. 그 다음, 화학적 재활용 방법에서는, 수지 플레이크들을 수지 원료 또는 중간 재료로 분해하기 위해 수지 플레이크들의 해중합 반응을 수행하고, 분해된 수지는 오염 제거를 위해 정제되고, 재중합이 수행된다. 한편, 기계적 재활용 방법에서는, 오염 제거를 수행하기 위해, 수지 플레이크들에 포함된 불순물을 고온에서 휘발시킨다. 화학적 재활용 방법과 비교하면, 기계적 재활용 방법은 필요한 설비를 소규모화할 수 있어, 제조 비용과 환경적인 부하를 절감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2014-198422호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계적 재활용 방법을 사용한, 플라스틱병의 재활용 공정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시된 재활용 공정에서는, 사용이 끝난 플라스틱병으로부터 제작되는 수지 플레이크를 사용하여 프리폼이 제조된다.
단계 P101에서는, 수지 플레이크가 준비된다. 수지 플레이크는 사용이 끝난 플라스틱병을 분쇄하고 세척하여 제작된다. 단계 P102에서, 수지 플레이크는 오염 제거기에 의해 고온에서 오염 제거된다. 단계 P103에서는, 오염 제거된 수지가 오염 제거기에서 융해된다. 단계 P104에서는, 융해된 수지가 오염 제거기로부터 압출된다. 이때, 수지를 필터에 통과시킴으로써, 수지 안에 있던 이물질이 제거된다. 단계 P105에서, 압출된 비결정 수지를 고온(약 220℃)으로 가열하여 결정화한다. 단계 P106에서, 결정화된 수지를 포장하고 운송한다. 단계 P107에서는, 운송된 결정화된 수지가 약 160℃에서 건조된다. 단계 P108에서, 건조된 결정화된 수지는 사출 성형을 위해 융해된다. 즉, 결정화된 수지는 가소화된다. 단계 P109에서,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가소화된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프리폼이 제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재활용 과정에서는, 오염 제거기로부터 압출된 비결정 수지가, 운송되어 사출 성형기로 도입되기 위해 결정화된다. 또한, 결정화된 수지가 운송되는 동안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결정화된 수지의 가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운송된 이후에 결정화된 수지를 건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수지 조각들로부터 프리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많은 단계들이 필요했고, 이로 인해 프리폼의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고려한 것으로, 기계적인 재활용 방법을 사용하는 플라스틱병의 재활용 공정에서 프리폼의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오염 제거기로부터 오염 제거된 수지를 압출하는 단계와 사출 성형기의 몰드로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에서 수지가 융해되어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오염 제거기와 사출 성형기를 통합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전술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발명에서는, 열가소성 수지 플레이크로부터 프리폼을 제조하기 위한 프리폼 제조 장치로서, 열 가소성 수지 플레이크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오염 제거기와, 오염 제거기로부터 공급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기를 포함하는, 프리폼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제2 발명에서, 프리폼 제조 장치는 제1 발명의 오염 제거기와 사출 성형기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제3 발명에서, 프리폼 제조 장치는 제2 발명의 필터와 사출 성형기 사이에 배치되는 기어 펌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제4 발명에서,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사출 성형기는 복수의 몰드를 포함하고, 연속적으로 프리폼을 성형한다.
제5 발명에서, 사출 성형기는 제4 발명의 복수의 몰드를 회전시키는 회전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회전식 사출 성형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 재활용 방법이 사용되는 플라스틱병의 재활용 공정에서, 프리폼의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플라스틱병용 프리폼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폼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 제거기의 또 다른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는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 펌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의 또 다른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폼 제조 공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의 프리폼 제조 공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기된다.
음료, 음식 등을 담는 데 사용되는 플라스틱병은 연신 블로우성형 방법으로 프리폼을 부풀어지게 함으로써 성형된다. 본 명세서에서, 플라스틱병이라 함은,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PE)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병을 의미하며, 따라서 이는 PET병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플라스틱병은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이나, 부분적으로 식물로 만들어지는 플랜트 병 등일 수 있다.
도 1은 플라스틱병용 프리폼(100)을 도시한다. 프리폼(100)은, 플라스틱병의 뚜껑과 들어맞는 입구 부분(100a), 입구 부분(100a)에 인접한 원통 본체 부분(100b), 그리고 원통 본체 부분(100b)의 일 단부를 폐쇄하는 병 부분(100c)으로 구성되며, 예컨대 시험관과 같은 형상이다. 입구 부분(100a)의 원주 표면에는, 플라스틱병의 뚜껑의 내측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외측 나사부가 형성된다. 프리폼(100)의 단부 중 입구 부분(100a) 측에 위치하는 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프리폼(100)은 통상적으로, 석유 등으로 이루어진 버진 재료, 사용이 끝난 플라스틱병으로 만들어진 재활용된 재료, 또는 버진 재료와 재활용된 재료의 혼합으로부터,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하지만, 사용이 끝난 플라스틱병은 종종 불순물로 오염되어 있다. 따라서, 재활용된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 사출 성형기에 도입하기 전에, 오염 제거기로 불순물에 의한 오염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폼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프리폼 제조 장치(1)는 재활용된 재료로부터 프리폼을 제조한다. 재활용된 재료는 사용이 끝난 플라스틱병을 분쇄하고 세척함으로써 제작되는 열가소성 수지 플레이크, 예를 들어 PET 플레이크다. PET 플레이크는 약 8mm2의 작은 조각이다.
프리폼 제조 장치(1)는 오염 제거기(3)와 사출 성형기(5)를 포함한다. 오염 제거기(3)는 열가소성 수지 플레이크에서 오염물을 제거하고, 오염 제거된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기(5)에 공급한다. 사출 성형기(5)는 오염 제거기(3)로부터 공급된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프리폼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예서, 프리폼 제조 장치(1)는 오염 제거기(3)와 사출 성형기(5)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7)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필터(7)는, 예를 들어 직경이 32㎛인 홀을 구비하는 스크린 메시 필터이거나, 직경이 최소 80㎛인 홀을 구비하는 원통형 필터를 회전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하는 멜트 필터(melt filter)이다. 오염 제거기(3)로부터 압출되는 융해된 열가소성 수지가 필터(7)를 통과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내의 미세 이물질이 제거된다.
오염 제거기(3)는 입구(31), 오염 제거부(32), 및 공급부(33)를 구비한다. 열가소성 수지 플레이크는 입구(31)로부터 오염 제거부(32)로 도입되고, 오염 제거부(32)에서 오염 제거된 열가소성 수지는 공급부(33)에 의해 사출 성형기(5)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오염 제거부(32)는 2개의 오염 제거 용기(34a, 34b)를 구비한다. 오염 제거 용기(34a, 34b)들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오염 제거 용기(34a, 34b)의 상단부에는 2개의 미끄럼 밸브(35)가 각각 제공된다. 2개의 미끄럼 밸브(35)의 각각은, 복동 실린더(36)에 의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오염 제거 용기(34a, 34b)들은 각각, 진공 펌프(37)에 연결된다. 따라서, 오염 제거 용기(34a, 34b)들은 진공 펌프(37)에 의해 진공 상태로 감압된다. 또한, 오염 제거 용기(34a, 34b)에는 회전 축(38)에 연결되는 복수의 회전 부재(39)가 위치된다. 회전 축(38)은 회전 구동 장치(40)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회전 축(38)을 구동시켜 회전 부재(39)를 회전시킴으로써, 오염 제거 용기(34a, 34b)에 도입된 열가소성 수지는 유체화되고 가열된다. 오염 제거기(3)는 진공 상태에서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에 있는 오염물질을 휘발하여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 제거기(3)는 소위 기계적인 재활용 방법을 수행한다.
오염 제거기(3)는 오염 제거 용기(34a)와 오염 제거 용기(34b) 사이에 이송부(41)를 구비한다. 오염 제거 용기(34a)에서 오염 제거된 열가소성 수지는 오염 제거 용기(34a)에 제공되는 배출 포트로부터 이송부(41)로 진입한다. 이송부(41)에는 이송 스크류(42)가 배치된다. 이송 스크류(42)는 이송 스크류 구동 장치(43)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이송 스크류(42)를 회전시킴으로써, 열가소성 수지가 오염 제거 용기(34a)로부터 오염 제거 용기(34b)로 이동된다. 오염 제거 용기(34b)로 이동된 열가소성 수지는, 오염 제거 용기(34a)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오염 제거 용기(34b)에서 다시 오염 제거된다. 오염 제거 용기(34b)의 하부에 배치되는 공급부(33)에는 공급 스크류(44)가 배치된다. 공급 스크류(44)는 공급 스크류 구동 장치(45)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공급부(33)는, 공급 스크류(44)를 회전시킴으로써, 오염 제거된 열가소성 수지를 필터(7)를 통해 사출 성형기(5)로 공급한다.
공급 스크류(44)는 오염 제거된 열가소성 수지를 융해시킨다. 따라서, 융해된 상태의 오염 제거된 열가소성 수지가 필터(7)에 공급된다. 프리폼 제조 장치(1)에 필터(7)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또는 사출 성형기(5)에 필터가 제공되는 경우, 공급 스크류(44)는 고체 상태의 오염 제거된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기(5)에 공급하는 이송 스크류일 수 있음에 주의한다.
회전 축 구동 장치(40), 이송 스크류 구동 장치(43) 및 공급 스크류 구동 장치(45)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이다. 오염 제거기(3)는, 도 3에 도시된 오염 제거기(3')와 같이, 하나의 오염 제거 용기(34c)만을 구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음에 주의한다. 또한, 오염 제거기(3)는, 기계적인 재활용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 플레이크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되기만 한다면 전술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5)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성형기(5)는 사출부(51)와 성형부(52)를 구비한다. 사출부(51)는 가열 실린더(53)와 가소화 스크류(54)를 포함한다. 가열 실린더(53)에는 가열기(55)가 제공되며, 가열 실린더(53)는 오염 제거기(3)로부터 사출부(51)에 공급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할 수 있다. 가소화 스크류(54)는 가소화 스크류 구동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되며, 가소화 스크류(54)의 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사출부(51)로 공급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가열 실린더(53)와, 가소화 스크류(54)의 회전에 의해 가해지는 마찰력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가소화된다. 가소화 스크류 구동 장치는, 예를 들어 유압 실린더, 유압 모터, 전기 모터,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가소화된 수지는 가소화 스크류(54)의 앞쪽에 유지되고, 이는 가소화 스크류(54)를 축 방향으로 전진시킴으로써, 성형부(52)의 몰드(56)의 공동 내로 사출된다. 축 방향으로 전진하는 가소화 스크류(54)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공동 내로 사출된 수지는 냉각되어 고체화된다. 그 다음, 몰드(56)가 개방되고, 성형된 프리폼이 몰드(56)로부터 배출(eject)된다. 도 4의 예시에서는, 한 번의 사출 성형당 2개의 프리폼이 형성된다.
가소화 스크류(54)는 수지를 사출하고 난 다음 축 방향으로 후퇴되어, 오염 제거기(3)로부터 공급되는 수지를 가소화 스크류(54)의 회전으로 다시 가소화한다. 가소화된 수지는 다시 몰드(56) 내로 사출된다. 따라서, 가소화 스크류(54)는 수지를 가소화하기 위해 간헐적으로 회전하고, 사출 성형기(5)는 간헐적으로 프리폼을 형성한다. 따라서, 오염 제거기(3)의 공급 스크류 구동 장치(45)는, 가소화 스크류(54)의 후퇴 타이밍에 맞춰서 수지가 사출부(51)에 공급되도록, 공급 스크류(44)를 구동한다. 즉, 공급 스크류(44)는 가소화 스크류(54)와 협력하도록 제어된다.
프리폼 제조 장치(1)는 필터(7)와 사출 성형기(5) 사이에 배치되는 기어 펌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어 펌프(9)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어 펌프(9)는 서로 맞물리는(meshing) 2개의 기어(91a, 91b)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지를 운반한다. 기어(91a, 91b)들 중 임의의 하나는 전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기어 펌프(9)는 기어(91a, 91b)들의 회전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운반되는 수지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오염 제거기(3)로부터 사출 성형기(5)로 공급되는 수지의 양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어 펌프(9)는, 필터(7)가 막히더라도, 기어(91a, 91b)들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사출 성형기(5)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양의 수지를 공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 성형기의 또 다른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사출 성형기(5')는 복수의 몰드와 상기 복수의 몰드를 회전시키는 회전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회전식 사출 성형기로, 프리폼을 연속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사출 성형기는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WO 2014/111902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출 성형기(5')의 구조는 간략하게만 설명될 것이다.
사출 성형기(5')는 압출부(61), 수지 운반부(62), 회전 메커니즘(63) 및 성형부(52')를 구비한다. 압출부(61)는 가열 실린터(53')와 가소화 스크류(54')를 포함한다. 가열 실린더(53')에는 가열기(55')가 제공되어, 오염 제거기(3)로부터 압출부(61)에 공급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할 수 있다. 가소화 스크류(54')는 가소화 스크류 구동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압출부(61)로 공급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가열 실린더(53')와, 가소화 스크류(54')의 회전에 의해 가해지는 마찰력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가소화된다. 또한, 압출부(61)로 공급된 수지는 가소화 스크류(54')의 회전에 의해 수지 운반부(62)로 압출된다. 가소화 스크류 구동 장치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이다.
수지 운반부(62)에는 운반 경로(64)가 형성된다. 수지 운반부(62)로 압출된 수지는 운반 경로(64)를 통해 회전 메커니즘(63)의 수지 분배부(64)로 운반된다. 회전 메커니즘(63)은 회전식 연결부를 통해 수지 운반부(6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운반 경로(64)의 중심축은 회전 메커니즘(63)의 회전 축과 동축이다. 수지 분배부(65)는 복수의 제1 방사상 경로(66)에 연결된다. 따라서, 수지 분배부(65)에 운반된 수지는 수지 분배부(65)를 통해 복수의 제1 방사상 경로(66)로 분배된다. 복수의 제1 방사상 경로(66)는 각각, 제2 방사상 경로(67)에 연결된다. 제1 방사상 경로(66)로 분배된 수지는 제1 방사상 경로(66)와 제2 방사상 경로(67)를 통해, 성형부(52')에 형성되는 몰드들의 공동 내로 공급된다.
공동 내로 공급된 수지는 냉각되어 고체화된다. 그 다음, 몰드들이 개방되어, 성형된 프리폼이 몰드들로부터 배출된다. 사출 성형기(5')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몰드들을 구비하며, 몰드의 개수는 예를 들어, 144개이다. 사출 성형기(5')에서, 복수의 몰드는 회전 메커니즘(63)과 함께 연속적으로 회전하여, 각각의 몰드에서 성형되는 프리폼은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연속적으로 배출된다.
사출 성형기(5')에서, 가소화 스크류(54')는 프리폼을 성형하는 동안 연속적으로 회전하며, 따라서 가소화 스크류는 압출부(61)로 공급되는 수지를 연속적으로 가소화하여 수지 운반부(62)로 압출한다. 이 경우, 오염 제거기(3)의 공급 스크류(44)는 수지를 압출부(61)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기 때문에, 오염 제거기(3)의 처리 능력이 억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재활용 공정에서 프리폼의 생산성은, 오염 제거기(3)와 사출 성형기(5')를 조합함으로써 더 향상될 수 있다. 사출 성형기(5')는, 가소화 스크류(54')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프리폼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되기만 한다면, 전술된 구조에 제한되지 않음에 주의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서의 프리폼 제조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폼 제조 공정의 흐름도이다. 단계 P1에서는, 수지 플레이크가 준비된다. 수지 플레이크는 사용이 끝난 플라스틱병을 분쇄 및 세척함으로써 제작된다. 수지 플레이크는 열가소성 수지 플레이크, 예를 들어 PET 플레이크이다. 단계 P2에서, 수지 플레이크는 오염 제거기(3)에서 높은 온도로 오염 제거된다. 단계 P3에서, 오염 제거된 수지가 융해된다. 수지는 오염 제거기(3)의 공급 스크류(44)에 의해 융해되어, 사출 성형기(5)의 가소화 스크류(54) 또는 사출 성형기(5')의 가소화 스크류(54')로 공급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오염 제거된 수지는 오염 제거기(4)에서 사출 성형기(5; 5')로 직접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융해된 수지는 가소화 스크류(54; 54')로 공급되기 전에 필터(7)를 통과하여, 수지 안에 있는 이물질이 제거된다. 가소화 스크류(54; 54')로 공급된 수지는 융해된 채로 유지된다. 즉, 가소화 스크류(54; 54')에 의해 가소화된 채로 유지된다. 단계 P4에서, 사출 성형기(5; 5')로 가소화된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프리폼이 제조된다.
수지에 있던 이물질이 필터(7)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경우, 또는 수지에 있던 이물질이 사출 성형기(5; 5')에 제공되는 필터에 의해 제거되는 경우, 공급 스크류(44)는 사출 성형기(5; 5')에 오염 제거된 수지를 고체 상태로 공급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폼 제조 과정은, 도 8에 도시된 종래의 프리폼 제조 과정에 비해 극적으로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적인 재활용 방법을 사용하는 플라스틱병 재활용 공정에서, 프리폼의 생산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종래의 프리폼 제조 과정에 비해, 프리폼의 재료인 수지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횟수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지에 가해지는 열 부하가 감소되고, 이로 인해 재활용된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프리폼의 품질, 그리고 이로 인해 재활용된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플라스틱병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출 성형기(5)의 가소화 스크류(54) 또는 사출 성형기(5')의 가소화 스크류(54'), 그리고 오염 제거기(3)의 공급 스크류(44)는 단일체로 통합되어, 하나의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공급 스크류(44)에 의해 융해되는 수지가 사출 성형기(5)의 사출부(51)에서 융해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사출부(51)에 가열 실린더(53) 및 가열기(55)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공급 스크류(44)에 의해 융해된 수지가 사출 성형기(5')의 압출부(61)에서 융해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압출부(51)에 가열 실린더(53') 및 가열기(55')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1. 프리폼 제조 장치
3. 오염 제거기
5, 5'. 사출 성형기
7. 필터
9. 기어 펌프
44. 공급 스크류
54, 54'. 가소화 스크류
100. 프리폼

Claims (3)

  1. 열가소성 수지 플레이크로부터 프리폼을 제조하는 프리폼 제조 장치로서,
    열가소성 수지 플레이크에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오염 제거기와,
    오염 제거기로부터 공급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기를 포함하고,
    오염 제거기와 사출 성형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필터와 사출 성형기 사이에 배치되는 기어 펌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필터가 막히더라도 기어들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사출 성형기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양의 수지를 공급할 수 있으며,
    필터는 직경이 32㎛인 홀을 구비하는 스크린 메시 필터이거나, 직경이 최소 80㎛인 홀을 구비하는 원통형 필터를 회전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하는 멜트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폼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출 성형기는 복수의 몰드를 포함하고, 연속적으로 프리폼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폼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사출 성형기는, 복수의 몰드를 회전시키는 회전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회전식 사출 성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폼 제조 장치.
KR1020237005407A 2016-04-20 2016-04-20 프리폼 제조 장치 KR202300337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T2016/000098 WO2017183048A1 (en) 2016-04-20 2016-04-20 A preform manufacturing device
KR1020187033634A KR20190031198A (ko) 2016-04-20 2016-04-20 프리폼 제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634A Division KR20190031198A (ko) 2016-04-20 2016-04-20 프리폼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734A true KR20230033734A (ko) 2023-03-08

Family

ID=561374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5407A KR20230033734A (ko) 2016-04-20 2016-04-20 프리폼 제조 장치
KR1020187033634A KR20190031198A (ko) 2016-04-20 2016-04-20 프리폼 제조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634A KR20190031198A (ko) 2016-04-20 2016-04-20 프리폼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190126512A1 (ko)
EP (1) EP3445553B1 (ko)
JP (1) JP6895990B2 (ko)
KR (2) KR20230033734A (ko)
CN (1) CN109311187A (ko)
AU (1) AU2016403142B2 (ko)
BR (1) BR112018071545B1 (ko)
CA (1) CA3021246C (ko)
DK (1) DK3445553T3 (ko)
ES (1) ES2893579T3 (ko)
MX (1) MX2018012679A (ko)
MY (1) MY192417A (ko)
NZ (1) NZ748015A (ko)
RU (1) RU2709447C1 (ko)
SG (1) SG11201809249TA (ko)
WO (1) WO2017183048A1 (ko)
ZA (1) ZA2018070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4709B1 (de) * 2006-11-23 2008-09-15 Erem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inbringung von zusatzstoffen
JP7409049B2 (ja) 2019-11-29 2024-0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射出装置、樹脂製品製造装置および樹脂製品の製造方法
JP7409050B2 (ja) 2019-11-29 2024-0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樹脂製品製造装置および樹脂製品の製造方法
IT202000003383A1 (it) 2020-02-19 2021-08-19 Sacmi Apparato e metodo per produrre oggetti in materiale polimerico riciclat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8422A (ja) 2013-03-29 2014-10-23 株式会社 資生堂 射出延伸ブローボトル及び射出延伸ブローボトル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4811A (en) * 1972-04-12 1974-04-16 Horizons Inc Shaped articles from reconstituted polyester
JP2625184B2 (ja) * 1988-12-20 1997-07-02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飽和結晶性ポリエステルの成形方法
CA2033493A1 (en) * 1990-03-23 1991-09-24 Wayne N. Collette Apparatus for utilizing post consumer (recycled) polyester resin containing contaminents
JP2695762B2 (ja) * 1995-09-22 1998-01-14 菱屋精工株式会社 樹脂材料中の金属片検出装置及び射出成形機
IT1289367B1 (it) * 1996-03-07 1998-10-02 Sipa Spa Preforme perfezionate in resina termoplastica e relativo procedimento di produzione
US6352426B1 (en) * 1998-03-19 2002-03-05 Advanced Plastics Technologies, Ltd. Mold for injection molding multilayer preforms
JP2001191366A (ja) * 2000-01-13 2001-07-17 Chuo Kaseihin Kk 再生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の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JP2003127211A (ja) * 2001-10-25 2003-05-08 Toyo Seikan Kaisha Ltd プリフォームの成形方法及び装置
US7534378B2 (en) * 2004-03-03 2009-05-19 Rexam Prescription Products Inc. Plastic forming process monitoring and control
JP2006015585A (ja) * 2004-07-01 2006-01-19 Oritani:Kk プラスチックスの洗浄装置と処理装置と品物製造方法
JP5079239B2 (ja) * 2006-02-02 2012-11-21 株式会社リコー 再生pet材料を用いたトナーボトルの成形方法
JP4390789B2 (ja) * 2006-08-02 2009-12-24 宏平 澤 混練部及び射出部を有する一体化装置
AT506489B1 (de) * 2008-02-14 2010-12-15 Erem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pritzgiessen von kunststoffmaterial
WO2010144994A1 (en) * 2009-06-19 2010-12-23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In an injection unit having a filter, a method of controlling melt pressure in accordance with a target pressure range
ES2448956T3 (es) * 2010-01-22 2014-03-17 Erema Engineering Recycling Maschinen Und Anlagen Gesellschaft M.B.H. Procedimiento para el acondicionamiento y detoxificación de un material
DE102010002054A1 (de) * 2010-02-17 2011-08-18 Krones Ag, 93073 Verfahren und Anlage zum Herstellen von Behälter-Preforms
DE102010042958A1 (de) * 2010-10-26 2012-05-10 Krones Aktiengesellschaft Anlage und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Preforms
DE102010042965A1 (de) * 2010-10-26 2012-05-10 Krone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Kunststoffbehältern und/oder Kunststoffvorformlingen
ITRM20130033A1 (it) * 2013-01-21 2014-07-22 Sipa Soc Industrializzazione Progettazione Apparato di inietto-compressione per la produzione di contenitori di termoplastica
US9421697B2 (en) * 2014-03-07 2016-08-23 Phoenix Technologies International, Llc Method of using recycled pet flake directly in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8422A (ja) 2013-03-29 2014-10-23 株式会社 資生堂 射出延伸ブローボトル及び射出延伸ブローボト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3445553T3 (da) 2021-10-18
EP3445553A1 (en) 2019-02-27
MX2018012679A (es) 2019-06-10
EP3445553B1 (en) 2021-07-14
CA3021246C (en) 2023-05-23
JP6895990B2 (ja) 2021-06-30
ZA201807000B (en) 2021-02-24
MY192417A (en) 2022-08-19
AU2016403142B2 (en) 2022-10-06
CN109311187A (zh) 2019-02-05
US20190126512A1 (en) 2019-05-02
NZ748015A (en) 2020-08-28
BR112018071545A2 (pt) 2019-02-26
JP2019514728A (ja) 2019-06-06
BR112018071545B1 (pt) 2022-10-11
CA3021246A1 (en) 2017-10-26
WO2017183048A1 (en) 2017-10-26
RU2709447C1 (ru) 2019-12-17
KR20190031198A (ko) 2019-03-25
AU2016403142A1 (en) 2018-12-06
SG11201809249TA (en) 2018-11-29
ES2893579T3 (es)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816B1 (ko)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33734A (ko) 프리폼 제조 장치
RU2519157C2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пластиков
EP2101974B1 (de) Verfahren zur vorbehandlung, aufarbeitung bzw. recyclierung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material
CN111683802B (zh) 通过双螺杆挤出机的带回收的容器生产
JP7409049B2 (ja) 射出装置、樹脂製品製造装置および樹脂製品の製造方法
KR20020082313A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시스템
EP0720898B1 (en) Improvement in the recycling method for the re-use of solid household and similar wastes
JP2021186995A (ja) 樹脂製品製造システムおよび樹脂製品の製造方法
JP2021098350A (ja) 樹脂製品の製造方法、樹脂製品製造システムおよび搬送装置
CN118107133A (zh) 推出装置及其清洗方法以及使用推出装置的成型品的制造方法
KR200258373Y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
JP2021084417A (ja) 射出装置、樹脂製品製造装置および樹脂製品の製造方法
US20040217522A1 (en) Dual extruder, tri-layer system
KR19990011773A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파이프의 제조장치
JPH0663986A (ja) 結晶化ネックピース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