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373Y1 -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373Y1
KR200258373Y1 KR2020010029842U KR20010029842U KR200258373Y1 KR 200258373 Y1 KR200258373 Y1 KR 200258373Y1 KR 2020010029842 U KR2020010029842 U KR 2020010029842U KR 20010029842 U KR20010029842 U KR 20010029842U KR 200258373 Y1 KR200258373 Y1 KR 200258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mold
synthetic resin
waste synthetic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춘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명특수흄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명특수흄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명특수흄관
Priority to KR2020010029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3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373Y1/ko

Links

Landscapes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폐합성수지가 완전히 용융된 상태로 성형이 이루어짐으로써 규모가 큰 제품뿐만 아니라 파이프 형태의 제품도 모두 성형할 수 있으며, 또한 생산공정중에 발생되던 제품 불량이 현저히 감소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도관(17)을 성형하기 위해 관형태로 된 외금형(12a)과 코어형태로 된 내금형(12b)이 서로 조합된 금형(12)과, 일정 크기로 분쇄된 폐합성수지(1)를 공급받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1차적으로 용융화하여 압출하는 제1용융 압출기(5)와, 상기 제1용융 압출기에서 1차적으로 용융화된 1차 페합성수지 용융액을 공급받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2차적으로 완전 용융화하여 압출하는 제2용융 압출기(7)와, 상기 제2용융 압출기로부터 공급된 2차 폐합성수지 용융액을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2차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일정량만큼 충진되면 이를 금형(12) 내부로 사출하는 사출 피딩기(13)와, 상기 금형 내에서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고형화되면 금형(12)으로부터 성형 완료된 도관(17)을 취출함과 함께 상기 도관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성형제품 취출기(1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apparatus for molding conduit tube using scrapped plastic material}
본 고안은 도관 성형장치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 기술하면 각종 산업현장에서 버려지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도관 등의 유용한 자재를 성형하도록 된 도관 성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는 각종 산업용 또는 생활용 물품을 생산하는 재료로서 그 특성상 각종 형상으로 변형이 용이하고 대량 생산에 적합한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이점이 많아 각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수지는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그 수요가 증가됨에 따라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폐합성수지의 양도 엄청나게 불어나게 되었고, 현실적으로 그 처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최근 조사에 의하면 전국에서 배출되는 폐합성수지의 양이 연간 약 700만톤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된 반면, 상기 폐합성수지의 재생률은 단지 15%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져 많은 양의 폐합성수지가 재활용되지 못하고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재생되지 못한 폐합성수지는 일반적으로 매립되거나 소각처리 됨으로써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바, 상기 폐합성수지를 매립할 경우에는 토양중에서 썩거나 분해되지 않으므로 토양을 황폐화시키고, 또한 이를 소각할 경우에는 각종 유해가스가 대기중으로 방출되므로 심각한 대기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 폐합성수지로부터는 다이옥신 등의 치명적인 독소가 다량으로 배출되어짐이 알려짐으로써 그 대처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폐합성수지의 처리를 위해 상기 폐합성수지 중 열을 가함에 따라 용융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중심으로 이를 재활용하는 방안이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는데, 종래 상기와 같은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재생하기 위한 방법은 아래에 기술된 바와 같다.
보편적인 방법으로는 수거된 폐합성수지를 일정 온도로 가열로에서 용융시킨 다음, 상기 폐합성수지 용융액을 일정형상의 틀안에 넣고 프레스성형함에 따라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프레스성형법은 제품의 형상으로된 상하 금형내에 용융액을 주입하고 각각의 금형을 압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규모가 큰 제품이나 파이프와 같은 원통형상을 성형할 수 없고 생산공정이 연속적이지 못하므로 자동화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식으로 일정 온도로 가열된 폐합성수지 용융액을 판형태로 압출하는 방식이 이용되거나 상기 폐합성수지 용융액을 일정형상의 금형 안에 사출하여 성형하는 방식이 이용되기도 하나, 종래 이용되는 압출 및 사출에 의한 방식은 폐합성수지가 완전히 용융되지 못한 상태에서 성형이 이루어지므로 결국 완제품이 모두 불량 처리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폐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폐합성수지가 완전히 용융된 상태로 성형이 이루어짐으로써 규모가 큰 제품뿐만 아니라 파이프 형태의 제품도 모두 성형할 수 있으며, 또한 생산공정중에 발생되던 제품 불량이 현저히 감소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를 전체적으로 보인 요부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용융 압출기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부분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금형과 사출 피딩기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6은 도 5의 게이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성형제품 취출기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8은 도 7의 C부분 요부 확대도
도 9a는 본 고안의 성형제품 취출기에 의해 내금형 및 도관이 인출되기 전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
도 9b는 도 9a에서 내금형 및 도관이 인출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
도 9c는 도 9b에서 내금형으로부터 도관이 분리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
도 9d는 도 9c에서 분리된 도관이 이송 콘베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폐합성수지 조각 2 : 스크류
3 : 용융 압출기 5 : 제1용융 압출기
7 : 제2용융 압출기 8 : 히터
12: 금형 13: 사출 피딩기
14: 저장실린더 15: 피스톤실린더
16: 게이트 17: 도관
18: 성형제품 취출기 19: 인출실린더
20: 도관분리부재 21: 클램핑부재
22: 이송 콘베어 24: 분리실린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도관을 성형하기 위해 관형태로 된 외부금형과 코어형태로 된 내부금형이 서로 조합된 금형과, 일정 크기로 분쇄된 폐합성수지를 공급받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1차적으로 용융화하여 압출하는 제1용융 압출기와, 상기 제1용융 압출기에서 1차적으로 용융화된 1차 페합성수지 용융액을 공급받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2차적으로 완전 용융화하여 압출하는 제2용융 압출기와, 상기 제2용융 압출기로부터 공급된 2차 폐합성수지 용융액을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2차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일정량만큼 충진되면 이를 금형 내부로 사출하는 사출 피딩기와, 상기 금형 내에서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고형화되면 금형으로부터 성형 완료된 도관을 취출함과 함께 상기 도관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성형제품 취출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를 전체적으로 보인 요부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용융 압출기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낸 요부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 요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의 B부분 요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금형과 사출 피딩기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낸 요부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게이트를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성형제품 취출기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낸 요부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C부분 요부 확대도이며, 도 9a는 본 고안의 성형제품 취출기에 의해 내금형 및 도관이 인출되기 전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b는 도 9a에서 내금형 및 도관이 인출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9c는 도 9b에서 내금형으로부터 도관이 분리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d는 도 9c에서 분리된 도관이 이송 콘베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요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도관 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서브 기기들로 구성된다.
먼저, 도 1에서 본 성형장치의 선단에는 일정 크기로 분쇄된 폐합성수지 조각(1)을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내부 스크류(2)가 회전하면서 상기 폐합성수지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상기 폐합성수지 조각(1)을 가열 유동화하여 압출하도록 된 용융 압출기(3)가 설치되는데, 상기 용융 압출기는 다시 분쇄된 폐합성수지(1)를 호퍼(4)를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한쌍의 내부 스크류(2)가 회전하면서 상기 폐합성수지 조각(1)을 가용융시킴과 동시에 일측으로 압출하도록 된 제1용융 압출기(5)와, 상기 제1용융 압출기로부터 다시 일측에 설치된 호퍼(6)를 통해 폐합성수지 가용융액을 공급받아 한쌍의 내부 스크류(2)가 회전하면서 상기 폐합성수지 가용융액을 완전용융시킴과 동시에 일측으로 압출하도록 된 제2용융 압출기(7)와, 상기 제1용융 압출기(5) 및 제2용융 압출기(7)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 외관을 가열하도록 설치된 히터(8)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용융 압출기(5)와 제2용융 압출기(7)의 일측에는 각각 모터(9)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는 감속기(10)가 설치되고, 상기 감속기와 각 스크류(2) 끝단에 결합된 맞물림기어(2a)중 하나의 사이에는 다시 커플링(11)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모터(9)의 회전력으로 한쌍의 내부 스크류(2)가 서로 맞물림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2용융 압출기(5)(7)에서 내부 스크류(2)를 둘러싼 관은 단면 형상이으로 됨에 따라 상기 관을 따라 이송되는 폐합성수지의 용융 및 압출이 용이하도록 된다.
또한 상기 용융 압출기(3)의 제2용융 압출기(7) 출구 부분에는 상기 제2용융 압출기로부터 공급된 폐합성수지 용융액을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일정량만큼 충진되면 금형(12) 내부로 사출하도록 된 사출 피딩기(13)가 설치되는데, 도 4에서 상기 사출 피딩기(13)는 용융 압출기(3)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폐합성수지 용융액을 받아 저장하는 저장실린더(14)와, 상기 저장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어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일정량만큼 채워지면 금형(12) 내부로 사출되도록 압력을 가하는 피스톤실린더(15)와, 상기 저장실린더(14)의 타측에 설치되어 평시에는 저장실린더 내부의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금형(12)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폐쇄하였다가 필요시에는 상기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금형(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게이트(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실린더의 일측에는 압력 게이지(23)가 설치되어 저장실린더(14) 내부의 압력을 체크하도록 됨과 함께 저장실린더(14)의 일측과 결합된 금형(12)은 둘레 외금형(12a)과 내부의 내금형(12b)이 조합된 구조로서, 도관(17)이 성형될 때에는 외금형과 내금형이 서로 결합된 상태이고 금형(12)으로부터 성형된 도관(17)을 떼어낼 때에는 상기 외금형(12a)으로부터 내금형(12b)이 측방에서 끼워지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금형(12)의 반대편에는 금형 내에서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고형화되면 금형(12)으로부터 성형 완료된 도관(17)을 취출함과 함께 상기 도관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도록 된 성형제품 취출기(18)로 구성되는데, 도 5에서 상기 성형제품 취출기(18)는 평시에는 금형(12)의 사출 피딩기(13) 반대쪽을 폐쇄하고 있다가 도관(17)이 성형 완료되면 상기 도관과 함께 내금형(12b)을 클램핑한 상태로 외부로 인출하도록 된 인출실린더(19)와, 상기 인출실린더의 실린더축 끝단에 설치되어 도관(17)이 인출되는 어느 시점에 상기 도관을 내금형(12b)과 분리하도록 된 도관분리부재(20)와, 상기 금형의 내금형(12b) 및 도관(17)의 인출방향 양쪽에 설치되어 도관분리부재(20)로부터 분리된 도관(17)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도록 된 클램핑부재(21)와, 상기 인출실린더(19)에 의해 내금형(12b)이 도관(17)으로부터 분리되어 완전히 빠져나간 후, 클램핑부재(21)가 도관(17)을 클램핑해제함에 따라 상기 도관을 일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콘베어(22)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도관분리부재(20)는 인출실린더(19)의 실린더축 끝단에 금형(12)을 향해 양측으로 분리실린더(24)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분리실린더의 각 실린더축 끝단에는 도관(17)의 환형 단부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분리실린더(24)의 실린더축이 돌출되면서 내금형(12b)으로부터 도관(17)만을 밀어서 떼어낼 수 있도록 환형편(25)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분쇄기로부터 잘게 분쇄된 폐합성수지 조각(1)들은 제1용융 압출기(5)의 호퍼(4)를 통하여 압출기 내부로 계속 공급되면서 상기 제1용융 압출기(5)를 따라 교반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서서히 용융되기 시작하는데, 상기 제1용융 압출기(5)의 출구쪽에는 제1용융 압출기를 통과한 폐합성수지 조각(1)들이 다시 제2용융 압출기(7)의 호퍼(6)를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융 압출기(3)의 제1용융 압출기(5) 및 제2용융 압출기(7)는 그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한쌍의 스크류(2)가 맞물림회전되도록 설치됨과 함께 상기 제1, 2용융 압출기(5)(7)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 외관에는 히터(8)가 감싸진 상태이므로 공급된 폐합성수지 조각(1)들이 상기 제1, 2용융 압출기(5)(7)를 지나면서 골고루 섞여 용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용융 압출기(5)를 따라 이송된 폐합성수지 조각(1)은 압출기의 타단까지 이송된 상태에서는 대략 75%정도로 가용융되도록 하고, 상기 제1용융 압출기(5)를 통해 다시 제2용융 압출기(7)로 공급된 폐합성수지 가용융액은 상기 제1용융 압출기(5)에서 설명된 동일한 방법으로 계속 용융됨으로써 제2용융 압출기(7)를 따라 출구쪽으로 모두 이송되었을 때에는 완전히 용융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용융 압출기(7)의 출구쪽에서는 순수한 폐합성수지 용융액만이 계속적으로 압출되어지며, 상기 압출된 폐합성수지의 용융액은 다시 사출 피딩기(13)의 저장실린더(14)로 공급되어 저장된다.
이 후, 상기 저장실린더(14) 내부에는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계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일정량까지 충진되는데, 이 때 저장실린더(14) 일측의 피스톤실린더(15)에는 압력 게이지(2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력 게이지가 폐합성수지 용융액을일정량만큼 충만되었음을 체크하여 시스템 제어부(부호 생략)로 감지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신호가 시스템 제어부(부호 생략)에 수신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저장실린더(14)의 타측을 폐쇄하고 있는 게이트(16)를 작동시키는데, 이 때에는 상기 게이트(16)가 상방으로 이동되어짐에 따라 저장실린더(14) 및 금형(12)이 서로 연통됨으로써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금형(12) 내부로 사출할 준비를 완료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저장실린더(14)의 일측에 설치된 피스톤실린더(15)가 피스톤을 금형(12)쪽으로 밀어 폐합성수지 용융액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모두 금형(12) 내부로 사출되어져 금형에는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충만하게 되는데, 이 후 시스템 제어부에 의해 게이트(16)가 다시 닫혀짐으로써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금형 내부에 고립된 상태로 서서히 식어 성형되는 것이다.
이 후, 일정시간이 더 지남에 따라 상기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모두 고형화되면 저장실린더(14)의 일측에 설치된 성형제품 취출기(18)가 작동하여 금형(12)으로부터 도관(17)을 취출하는 공정을 시작하는데, 이 때에는 먼저 상기 저장실린더(14)의 반대쪽에 설치되어 금형(12)의 일측을 폐쇄하고 있던 인출실린더(19)가 작동하여 금형(12)의 내금형(12b)을 상기 금형으로부터 빼내게 된다.
이 때, 상기 인출실린더(19)의 실린더축은 내금형(12b) 선단과 결합된 상태이고, 또한 상기 금형(12)에는 고형화된 도관(17)이 끼워진 상태이므로 상기 인출실린더(19)가 실린더축을 금형(12) 반대쪽으로 당김에 따라 상기 실린더축에 결합된 내금형(12b)과 도관(17)이 함께 외부로 인출되어짐은 이해 가능하다.
이 후, 상기 내금형(12b) 및 도관(17)이 외금형(12a)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인출된 때에는 인출실린더(19)의 실린더축 끝단에 설치된 도관분리부재(20)가 도관(17)을 금형(12)쪽으로 밀어 분리하게 되는데, 상기 실린더축의 끝단에는 한쌍의 분리실린더(24)가 금형쪽을 향해 설치됨과 함께 상기 분리실린더(24)의 실린더축에는 환형편(2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환형편이 성형도관(17)의 단부 테두리와 정확히 접해진 상태이므로 이 때에는 상기 분리실린더(24)의 실린더축이 금형쪽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분리실린더의 환형편이 성형도관(17)을 밀어 내금형(12b)으로부터 순간적으로 떨어져 느슨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도관(17)이 내금형(12b)과 분리된 직후에는 상기 도관의 양측에 설치된 클램핑부재(21)가 작동하여 상기 도관(17)을 측방에서 잡아 지지함으로써 인출실린더(19)는 내금형(12b)만을 외금형(12a)쪽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계속 인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 후, 상기 내금형(12b)이 도관(17) 내부에서 완전히 빠져 나간후에는 클램핑부재(21)가 도관을 클램핑해제함에 따라 상기 도관(17)이 하방으로 떨어져 안착됨과 함께 일측방을 따라서는 이송 콘베어(2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송 콘베어를 따라 도관(17)이 일측으로 이송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에서 기술된 도관 성형장치는 금형과 성형제품 취출기의 구성을 약간 달리함으로써 얼마든지 다른 형상의 제품을 성형 제작할 수 있는 바, 상기에서 도관을 제조함을 전제로 설명된 부분은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단지 일실시예에 따라 기술된 부분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만은 아니다.
본 고안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는 건축현장 등에서 쓸모없이 버려져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폐합성수지를 수거하여 각종 산업자재로 재생산함으로써 환경오염의 방지는 물론, 원자재 구입에 따른 생산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도관 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효과적이다.
첫째, 산업현장의 각종 폐합성수지를 원자재로 이용함으로써 각종 혼성재료를 이용한 성형이 가능하다.
둘째, 각종 대형자재의 성형이 용이하고 전체 생산공정이 자동화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셋째, 각종 산업자재를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구매자의 부담이 감소된다.

Claims (6)

  1. 도관을 성형하기 위해 관형태로 된 외부금형과 코어형태로 된 내부금형이 서로 조합된 금형과,
    일정 크기로 분쇄된 폐합성수지를 공급받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1차적으로 용융화하여 압출하는 제1용융 압출기와,
    상기 제1용융 압출기에서 1차적으로 용융화된 1차 페합성수지 용융액을 공급받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2차적으로 완전 용융화하여 압출하는 제2용융 압출기와,
    상기 제2용융 압출기로부터 공급된 2차 폐합성수지 용융액을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기 2차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일정량만큼 충진되면 이를 금형 내부로 사출하는 사출 피딩기와,
    상기 금형 내에서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고형화되면 금형으로부터 성형 완료된 도관을 취출함과 함께 상기 도관을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성형제품 취출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융 압출기는, 단면 형상이로된 관 내부에 한쌍의 내부 스크류가 맞물림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융 압출기는, 단면 형상이로된 관 내부에 한쌍의 내부 스크류가 맞물림 회전가능하도록 각각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피딩기는, 제2용융 압출기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2차 폐합성수지 용융액을 받아 저장하는 저장실린더와,
    상기 저장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어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일정량만큼 채워지면 금형 내부로 사출되도록 압력을 가하는 피스톤실린더와,
    상기 저장실린더의 타측에 설치되어 평시에는 저장실린더 내부의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금형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폐쇄하였다가 필요시에는 상기 폐합성수지 용융액이 금형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게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제품 취출기는, 평시에는 금형의 사출 피딩기 반대쪽을 폐쇄하고 있다가 도관이 성형 완료되면 상기 도관과 함께 내금형을 클램핑한 상태로 외부로 인출하도록 된 인출실린더와,
    상기 인출실린더의 실린더축 끝단에 설치되어 도관이 인출되는 어느 시점에 상기 도관을 내금형과 분리하도록 된 도관분리부재와,
    상기 내금형 및 도관의 인출방향에 설치되어 도관분리부재로부터 분리된 도관을 양측에서 클램핑하도록 된 클램핑부재와,
    상기 인출실린더에 의해 내금형이 도관으로부터 분리되어 완전히 빠져나간 후, 클램핑부재가 도관을 클램핑해제함에 따라 상기 도관을 일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콘베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분리부재는, 인출실린더의 실린더축 끝단에 금형을 향해 양측으로 분리실린더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분리실린더의 실린더축에는 도관의 환형 단부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분리실린더의 실린더축이 돌출되면서 내금형으로부터 도관만을 밀어 분리할 수 있도록 환형편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
KR2020010029842U 2001-09-27 2001-09-27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 KR200258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842U KR200258373Y1 (ko) 2001-09-27 2001-09-27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842U KR200258373Y1 (ko) 2001-09-27 2001-09-27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530A Division KR100428733B1 (ko) 2001-04-20 2001-04-20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8373Y1 true KR200258373Y1 (ko) 2001-12-29

Family

ID=7306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842U KR200258373Y1 (ko) 2001-09-27 2001-09-27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3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2440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PRITZGIEßEN VON KUNSTSTOFFMATERIAL
US5253994A (en) System for molding a synthetic-resin using plastic scrap
CN106182560B (zh) 一种预模压注塑机
KR20020082313A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시스템
EP2357066B1 (de) Anlage zum herstellen von behälter-preforms
CN206357611U (zh) 一种具有双转速挤出机的注塑机
AU2016403142B2 (en) A preform manufacturing device
CN106042322B (zh) 一种具有双转速挤出机的注塑机
CN1307035C (zh) 长纤维填充增强塑料注射成型方法及装置
KR100483945B1 (ko) 폐수지 재생용 압출 성형장치
JPH0752185A (ja) 長繊維複合材料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KR200258373Y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장치
CN206357540U (zh) 一种注塑机
KR101188374B1 (ko)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성형시스템 및 성형방법
ITUA20163918A1 (it) Metodo e apparato per produrre oggetti in materiale polimerico.
CN106064441B (zh) 一种注塑机
JP7251456B2 (ja) 中空体の成形装置
KR100698531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기
EP3481616B1 (de) Corrugator, extrusionsanlage sowie verfahren
CN218111718U (zh) 一种粉末涂料加工用熔融料展平输送装置
CN213704304U (zh) 一种注塑机的废料回收装置
JPH07178790A (ja) 異物の検出方法および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255842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파이프의 제조장치
KR200415332Y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도관 성형기용 용융압출기의압출스크류
ITPN940079A1 (it) Procedimento perfezionato per il riuso di rifiuti solidi urban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