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025A -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025A
KR20230032025A KR1020210114358A KR20210114358A KR20230032025A KR 20230032025 A KR20230032025 A KR 20230032025A KR 1020210114358 A KR1020210114358 A KR 1020210114358A KR 20210114358 A KR20210114358 A KR 20210114358A KR 20230032025 A KR20230032025 A KR 20230032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etting
vehicle
handl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호
김지아
황진호
박하룡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4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2025A/ko
Priority to DE102022120857.5A priority patent/DE102022120857A1/de
Priority to US17/891,432 priority patent/US11904752B2/en
Priority to CN202211046302.3A priority patent/CN115723650A/zh
Publication of KR20230032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8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handles or hand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루프 측에 결합된 장착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1이동 가이드 및 제2이동 가이드를 구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 프레임부,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장착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와 맞물리게 결합되는 각도 조절부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 경로를 따르며 이동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각도 조절부가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에 맞물리게 하여 인출 위치 및 인출 각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HANDLE DEVICE FOR GETTING ON AND OFF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량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차량 실내의 루프 측면에서 개방된 도어 입구를 향해 선택적으로 하강하여 파지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령자나 장애인 탑승자로 하여금 승하차를 보조할 수 있는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양측 상단에 착석자가 잡을 수 있도록 복수의 보조 손잡이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보조 손잡이는 차량의 실내 측, 즉 헤드라이너 하측에 위치되어 차량의 바디패널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보조 손잡이의 경우, 승합차 등과 같은 차량에 설치됨에 있어서는 탑승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B 필러가 삭제된 구조를 가지는 차량 등이 출시됨에 따라, 착석자 뿐만 아니라, 고령자나 장애인과 같은 탑승자의 탑승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조 손잡이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다시 말해, 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가 시작되면서 고령자가 주요 소비층으로 대두되고 있으나, 고령자를 위한 자동차 개발에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고령자나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을 갖춘 차량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장애인을 위한 복지차량에는 장애인 승강 리프트, 회전시트, 휠체어 이동장치, 그리고 족동식 방향지시기 등의 장치들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고령자들의 전체적인 신체능력저하를 위한 장치와는 구분이 되는바, 문자 시인성 저하, 컬러 구별 저하, 승하차 시 동작의 불편 등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클러스터 조명 장치를 구비하여 항시 점등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또는 승하차 시 손 파지를 위한 손잡이를 시트백에 부착하는 등의 장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물로서, 종래에는 고령자나 장애인 등이 차량에서 승하차할 때 효과적으로 파지하여 승하차할 수 있도록 보조 손잡이가 차량의 시트 측면에 장착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차량의 하차 보조 손잡이는 시트의 측면, 즉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고령자나 장애인의 승하차 시 파지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파지 상태에서 일어설 때, 그 몸무게를 지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강하게 되며, 이때의 한 쌍이 가이드 핀이 각각 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함에 있어, 각도 조절부가 프레임 기어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 및 이동하여 차량의 실내 루프 측면에서 도어 입구를 향해 손잡이가 단계적으로 인출 및 고정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손잡이의 파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고령자나 장애인 탑승자로 하여금 승하차를 보조할 수 있는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는 차량 루프 측에 결합된 장착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1이동 가이드 및 제2이동 가이드를 구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 프레임부,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장착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와 맞물리게 결합되는 각도 조절부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 경로를 따르며 이동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각도 조절부가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에 맞물리게 하여 인출 위치 및 인출 각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이동 가이드 및 상기 제2이동 가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각도 조절부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와 축 결합되는 제1가이드핀 및 제2가이드핀을 구비하며,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제1가이드핀과 상기 제2가이드핀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에 구비된 프레임 기어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기 손잡이부의 인출 위치 및 인출 각도가 조절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제2이동 가이드는 상기 커버부의 하부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이동 가이드는, 상기 제2이동 가이드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경로 및 상기 제1경로의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제2이동 가이드와 이격 배치되는 제2경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경로는 상기 제1가이드핀 및 상기 제2가이드핀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기 제2이동 가이드와 이격되도록 상기 제1경로에서 상향 절곡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가이드핀 및 상기 제2가이드핀이 초기 위치에서 각각 상기 제1이동 가이드 및 상기 제2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함에 있어, 오픈 모드, 각도 조절 모드 및 리턴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오픈 모드는 상기 손잡이부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제2가이드핀이 상기 제2이동 가이드의 타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핀이 상기 제1경로 및 상기 제2경로의 경계에 위치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 모드는 상기 오픈 모드에서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핀이 상기 제2경로로 진입하여, 상기 각도 조절부가 상기 프레임 기어에 맞물리게 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제1가이드핀을 상기 제2경로의 타단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프레임 기어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의 기어이와 돌출편이 맞물리며 이동, 상기 손잡이부의 인출 각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된다.
또한, 상기 리턴 모드는 상기 각도 조절 모드에서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핀이 상기 제2경로의 타단부로 이동하여, 상기 각도 조절부가 상기 프레임 기어에 맞물림 해제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는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2가이드핀과 축 결합되는 본체, 상기 프레임 기어가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제1가이드핀과 축 결합되는 상기 각도 조절부가 수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과 기어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인출됨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본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하는 승강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는 상기 각도 조절부와 연결되며, 정의된 리턴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부에 대한 초기 위치 복귀 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는 상기 승강 가이드 부재와 맞물리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에 있어, 상기 승강 가이드 부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댐퍼부재를 더 구비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 하부로 돌출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파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그립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재는 내부에 마련된 장착 영역에 설치되며, 발광이 이루어지는 LED 광원 및 상기 LED 광원에서 발광된 광이 투과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투과렌즈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LED 광원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조명램프 또는 UV 살균램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강하게 되며, 이때의 한 쌍이 가이드 핀이 각각 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함에 있어, 각도 조절부가 프레임 기어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 및 이동하여 차량의 실내 루프 측면에서 도어 입구를 향해 손잡이가 단계적으로 인출 및 고정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손잡이의 파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고령자나 장애인 탑승자로 하여금 승하차를 보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프레임 기어와 맞물린 각도 조절부의 회전 시, 프레임 기어에 형성된 복수개의 기어이를 따르며 선택적으로 이동, 손잡이 위치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승하차의 목적과 함께, 착좌자로 하여금 파지의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를 구성하는 그립부에 조명원을 삽입하고, 그립부의 렌즈를 통해 조명원의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에 따라 손잡이가 선택적으로 웰컴 조명, 무드 조명, UV 살균 조명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설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가이드 프레임부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가이드 프레임부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각도 조절부 및 댐퍼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각도 조절부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각도 조절부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각도 조절부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베이스 모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오픈 모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각도 조절 모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손잡이부의 그립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도 11 의 A-A 단면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설치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가이드 프레임부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가이드 프레임부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각도 조절부 및 댐퍼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각도 조절부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각도 조절부의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각도 조절부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10)는 루프(1)의 양측,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2열 공간의 루프(1)에 설치된 루프 벤트 그릴(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10)는 2열 공간을 향해 선택적으로 인출되어 탑승자로 하여금 승하차를 보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0), 가이드 프레임부(200), 각도 조절부(300) 및 손잡이부(400)를 포함한다.
커버부(100)는 차량의 2열 공간의 루프 벤트 그릴(2) 사이에 결합되기 위한 장착 플레이트(10a)의 양측에서 각각 서로 마주보며 한 쌍으로 배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커버부(100)는 내측에 배치되는 제1커버부(110) 및 외측에 배치되는 제2커버부(120)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커버부(110)는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제1이동 가이드(112)를 구비한다.
제2커버부(120)는 제1커버부(110)와 동일한 크기로 제1커버부(110)의 외측에 결합되고, 제1이동 가이드(112)와 마주하는 이동 경로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의 이동 경로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이동 가이드(122)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2이동 가이드(122)는 소정의 경사를 가지며 제2커버부(120)의 하부로 연장되어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부(200)는 장착 플레이트(10a)의 내부에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커버부(100)의 사이에 배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2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왕복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200)은 본체(210), 결합부재(220) 및 승강 가이드 부재(230)를 구비한다.
본체(210)는 제1커버부(110) 및 제2커버부(120)에 배치되어 서로 마주하는 손잡이부(400)와 축 결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손잡이부(400)의 경우 제1이동 가이드(112) 및 제2이동 가이드(122)에 장착되어 각도 조절부(300) 및 가이드 프레임부(200)와 각각 축 결합되는 제1가이드핀(402) 및 제2가이드핀(404)을 구비하는데, 여기서 본체(210)는 제2가이드핀(404)과 축 결합된다.
그리고, 결합부재(220)에는 한 쌍의 프레임 기어(212)가 구비되며, 내부에 제1가이드핀(402)과 축 결합되는 각도 조절부(300)가 수용된다(도 3 참조).
또한, 승강 가이드 부재(230)는 본체(210)의 중심에 결합된 회전축(230a)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가이드 레일(12)과 기어 결합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400)가 인출됨에 따라 회전하여 본체(21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한다.
가이드 프레임(200)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240)는 결합부재(220)의 내부에서 각도 조절부(300)와 연결되며, 정의된 리턴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각도 조절부(300)에 대한 초기 위치로의 복귀 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즉, 손잡이부(400)가 회전함에 따라, 각도 조절부(300) 또한 함께 회전하여 오픈 모드에서 각도 조절 모드로 전환되는데(도 8 참조), 이때 손잡이부(400)를 추가적으로 회전시켜 각도 조절 모드에서 리턴 모드로 전환되게 함에 있어서, 탄성부재(240)를 통한 탄성복원력이 각도 조절부(300)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각도 조절부(300)를 회전시켜 효과적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부재(25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댐퍼부재(250)는 승강 가이드 부재(230)와 맞물리게 결합되며, 본체(210)가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 승강 가이드 부재(23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210)의 슬라이드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손잡이부(400)를 인출시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가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면, 가이드 레일(12)의 경사에 의해 본체(210)가 급격하게 하강할 수 있는데, 이때 댐퍼부재(250)가 승강 가이드 부재(23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210)가 빠른 속도로 슬라이드 이동(하강)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각도 조절부(300)는 가이드 프레임부(200)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장착 각도가 조절되어 선택적으로 가이드 프레임부(200)와 맞물리게 결합된다.
더 자세하게는, 각도 조절부(300)는 제1가이드핀(402)과 제2가이드핀(404)이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 프레임부(200)에 구비된 프레임 기어(212)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손잡이부(400)의 인출 위치 및 인출 각도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
만일, 손잡이부(400)가 인출되면, 제1가이드핀(402)과 제2가이드핀(404)이 각각 각도 조절부(300) 및 본체(2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 또한 슬라이드 이동(하강)하게 된다. 이때 각도 조절부(300)에는 돌출편(310)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출된 손잡이부(400)를 회전시키게 되면, 돌출편(310)이 프레임 기어(212)에 맞물리게 결합될 수 있다(도 5의 확대 도면 참조).
이러한 경우, 돌출편(310)이 프레임 기어(212)의 기어이에 맞물리게 되므로, 인출된 손잡이부(400)의 인출 각도가 조절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단계로 손잡이부(400)의 인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부(400)의 인출 각도가 4 단계로 조절되는 것은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일 뿐 정해진 것은 아니며, 프레임 기어(212)에 형성된 기어이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세분화된 인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인출 각도의 조절을 통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손잡이부(400)가 인출되는 각도 변경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용이하게 손잡이의 파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인출된 손잡이부(400)를 이용하여 고령자나 장애인 탑승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승하차를 보조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도 9a 및 도 9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베이스 모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a 및 도 10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오픈 모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a 및 도 11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각도 조절 모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10)에서 손잡이부(400)가 인출됨에 따라 가이드 프레임부(20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순차적으로 오픈 모드, 각도 조절 모드 및 리턴 모드로 전환되게 할 수 있다.
오픈 모드
오픈 모드를 설명하기에 앞서, 제2이동 가이드(122)는 제2커버부(120)의 하부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며, 제1이동 가이드(112)는 제2커버부(120)의 제2이동 가이드(122)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경로(112a) 및 제1경로(112a)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제2커버부(120)의 하부로 돌출된 제2이동 가이드(122)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경로(112b)로 이루어진다.
더 바람직하게는, 제2경로(112b)는 제1가이드핀(402) 및 제2가이드핀(404)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그 단부에서 제2이동 가이드(122)의 단부와 이격되도록 제1경로(112a)에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상향 절곡될 수 있다.
오픈 모드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핀(402)이 제1경로(112a)와 제2경로(112b)의 경계에 위치, 다시 말해 제1이동 가이드(112)의 절곡 영역에 위치되고, 또한 제2가이드핀(404)이 제2이동 가이드(122)의 타단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핀(402) 및 제2가이드핀(404)은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이동하기 때문에, 고정부재(14)에 가이드 프레임부(200)가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부(400)가 인출됨에 따라, 고정부재(14)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어 가이드 프레임부(200)가 슬라이드 이동(하강)하게 되면,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베이스 모드에서 제2가이드핀(404)은 제1가이드핀(402) 보다 전단에 배치되므로, 먼저 제2이동 가이드(122)의 타단부에 걸림 위치되게 된다.
따라서, 제2가이드핀(404)이 제2이동 가이드(122)의 타단부에 걸림 위치되면, 제1가이드핀(404)은 제1가이드핀(402)이 제1경로(112a)와 제2경로(112b)의 경계에 위치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오픈 모드는 베이스 모드에서 손잡이부(400)를 차량 실외 측을 향하도록 장착 플레이트(10a)의 하부로 강제 인출시킴에 따라, 가이드 프레임부(200)가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가이드핀(402) 및 제2가이드핀(404)이 제1경로(112a)와 제2경로(112b)의 경계 및 제2이동 가이드(122)의 타단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오픈 모드는 손잡이부(400)가 강제 인출됨에 따라, 제1가이드핀(402) 및 제2가이드핀(404)이 오픈 모드에서 가이드 프레임부(2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각각 제1이동 가이드(112) 및 제2이동 가이드(122)를 따라 이동, 차량 실외 측을 향해 돌출되는 모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착석자로 하여금 손잡이 역할을 제공하는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400)는 차량 내부에서 실외 측을 향하도록, 다시 말해 최대한 실내 측에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돌출되기 때문에, 착석자 손잡이 역할과 함께, 착석자 머리 부분이 손잡이부(300)에 충돌하는 상황을 미연에 차단할 수도 있다.
각도 조절 모드
각도 조절 모드는 오픈 모드에서 제2가이드핀(404)이 제2이동 가이드(122)의 타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손잡이부(400)를 추가로 회전시켜 제1가이드핀(402)이 제2경로(112b)로 진입하게 되면, 각도 조절부(300)가 프레임 기어(212)에 맞물리게 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각도 조절 모드의 경우,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핀(402) 및 제2가이드핀(404)이 제1이동 가이드(112)의 제2경로(112b) 및 제2이동 가이드(122)의 타단부에 각각 위치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각도 조절 모드에서는 돌출편(310)이 프레임 기어(212)의 기어이에 맞물리게 되므로, 인출된 손잡이부(400)를 강제 회전시킴에 따라, 인출 각도가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도 조절 모드에서는 4 단계로 손잡이부(400)의 인출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나, 이는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일 뿐 정해진 것은 아니며, 프레임 기어(212)에 형성된 기어이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세분화된 인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손잡이부(400)는 차량 실내 측을 향하여 수직에 가까운 위치에 해당하도록 장착 플레이트(10a)의 하부에서 돌출되며, 돌출편(310)이 프레임 기어(212)의 기어이에 맞물린 상태이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탑승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며, 손잡이부(400)를 파지한 상태로 탑승자가 용이하게 차량 2열에 탑승할 수 있게 한다.
리턴 모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리턴 모드는 각도 조절 모드에서 손잡이부(400)를 추가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1가이드핀(402)이 제2경로(112b)의 타단부로 이동하여 돌출편(310)이 프레임 기어(212)에 맞물림 해제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돌출편(310)이 프레임 기어(212)에 맞물림 해제되면, 탄성부재(240)에 의해 각도 조절부(300)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손잡이부(400)를 내부로 밀어 올려 베이스 모드로 복귀될 수 있게 하는데, 여기서 고정부재(14)에 가이드 프레임부(200)이 결합되게 되면, 베이스 모드에서의 가이드 프레임부(20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가이드핀(402)은 순차적으로 제2경로(112b) 및 제1경로(112a)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제2가이드핀(404)은 제2이동 가이드(122)를 따라 초기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다시 베이스 모드에 위치되는데, 그에 따라 손잡이부(400)가 내부에 인입된 상태가 되어 탑승자가 차량에서 하차하는 경우 손잡이부(400)에 의한 간섭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손잡이부의 그립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에 대한 도 11 의 A-A 단면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10)는 손잡이부(400)를 포함하며, 이러한 손잡이부(400)는 연결부재(410) 및 그립부재(420)를 구비한다.
이러한 연결부재(41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제1가이드핀(402) 및 제2가이드핀(404)을 구비하며, 장착 플레이트(10a) 양측에 결합된 커버부(100)에 각각 장착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연결부재(410)는 장착 플레이트(10a)의 양측에서 제1커버부(110) 및 제2커버부(120)의 사이에 장착된다.
그리고, 그립부재(420)는 한 쌍의 연결부재(410)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고, 손잡이부(400)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위치되어 장착 플레이트(10a)의 하부로 돌출됨에 따라 탑승자 또는 착석자로 하여금 파지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그립부재(4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광원(422) 및 투과렌즈(424)를 구비할 수 있다.
LED 광원(422)은 램프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그립부재(420)의 내부에 마련된 장착 영역(A)에 설치되어 장착 플레이트(10a)의 PCB와 연결되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광이 이루어진다.
또한, LED 광원(422)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조명램프 또는 UV 살균 램프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LED 광원(422)은 흰색과 같은 밝은 색상의 조명램프로 구비되어 도어의 개방에 따른 웰컴램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노란색 등의 조명램프로 구비되어 도어 닫힘 시 무드램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LED 광원(422)은 UV 살균램프로 구비되어 그립부재(420)를 살균 처리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또한 그립부재(420)를 옷걸이로 활용할 경우, 의류의 살균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투과렌즈(424)는 그립부재(420) 전면에 장착되며, LED 광원(422)에서 발광된 광을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가이드 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강하게 되며, 이때의 한 쌍이 가이드 핀이 각각 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함에 있어, 각도 조절부가 프레임 기어와 맞물린 상태로 회전 및 이동하여 차량의 실내 루프 측면에서 도어 입구를 향해 손잡이가 단계적으로 인출 및 고정되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손잡이의 파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고령자나 장애인 탑승자로 하여금 승하차를 보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프레임 기어와 맞물린 각도 조절부의 회전 시, 프레임 기어에 형성된 복수개의 기어이를 따르며 선택적으로 이동, 손잡이 위치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승하차의 목적과 함께, 착좌자로 하여금 파지의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를 구성하는 그립부에 조명원을 삽입하고, 그립부의 렌즈를 통해 조명원의 빛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에 따라 손잡이가 선택적으로 웰컴 조명, 무드 조명, UV 살균 조명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 루프 2 : 루프 벤트 그릴
10 :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10a: 장착 플레이트
12 : 레일 14 : 고정부재
100 : 커버부 110 : 제1커버부
112 : 제1이동 가이드 112a : 제1경로
120 : 제2커버부 112b : 제2경로
122 : 제2이동 가이드 200 : 가이드 프레임부
210 : 본체 212 : 프레임 기어
220 : 결합부재 230 : 승강 가이드 부재
230a : 회전축 240 : 탄성부재
250 : 댐퍼부재 300 : 각도 조절부
310 : 돌출편 400 : 손잡이부
402 : 제1가이드핀 404 : 제2가이드핀
410 : 연결부재 420 : 그립부재
422 : LED 광원 424 : 투과렌즈

Claims (15)

  1. 차량 루프 측에 결합된 장착 플레이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제1이동 가이드 및 제2이동 가이드를 구비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 프레임부;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가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장착 각도가 조절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와 맞물리게 결합되는 각도 조절부;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 경로를 따르며 이동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각도 조절부가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에 맞물리게 하여 인출 위치 및 인출 각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이동 가이드 및 상기 제2이동 가이드에 장착되어 상기 각도 조절부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와 축 결합되는 제1가이드핀 및 제2가이드핀을 구비하며,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제1가이드핀과 상기 제2가이드핀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에 구비된 프레임 기어에 선택적으로 맞물려 상기 손잡이부의 인출 위치 및 인출 각도가 조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 가이드는,
    상기 커버부의 하부로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이동 가이드는, 상기 제2이동 가이드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경로 및 상기 제1경로의 단부에서 상향 절곡되어 상기 제2이동 가이드와 이격 배치되는 제2경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로는,
    상기 제1가이드핀 및 상기 제2가이드핀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기 제2이동 가이드와 이격되도록 상기 제1경로에서 상향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가이드핀 및 상기 제2가이드핀이 초기 위치에서 각각 상기 제1이동 가이드 및 상기 제2이동 가이드를 따라 이동함에 있어, 오픈 모드, 각도 조절 모드 및 리턴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모드는,
    상기 손잡이부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제2가이드핀이 상기 제2이동 가이드의 타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핀이 상기 제1경로 및 상기 제2경로의 경계에 위치되는 것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모드는,
    상기 오픈 모드에서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핀이 상기 제2경로로 진입하여, 상기 각도 조절부가 상기 프레임 기어에 맞물리게 되는 것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제1가이드핀을 상기 제2경로의 타단부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프레임 기어의 외측에 형성된 복수의 기어이와 돌출편이 맞물리며 이동, 상기 손잡이부의 인출 각도가 단계적으로 조절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모드는,
    상기 각도 조절 모드에서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핀이 상기 제2경로의 타단부로 이동하여, 상기 각도 조절부가 상기 프레임 기어에 맞물림 해제되는 것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는,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2가이드핀과 축 결합되는 본체;
    상기 프레임 기어가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제1가이드핀과 축 결합되는 상기 각도 조절부가 수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과 기어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인출됨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본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하는 승강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는,
    상기 각도 조절부와 연결되며, 정의된 리턴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부에 대한 초기 위치 복귀 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부는,
    상기 승강 가이드 부재와 맞물리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에 있어, 상기 승강 가이드 부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본체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는 댐퍼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 하부로 돌출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파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그립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재는,
    내부에 마련된 장착 영역에 설치되며, 발광이 이루어지는 LED 광원; 및
    상기 LED 광원에서 발광된 광이 투과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투과렌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LED 광원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조명램프 또는 UV 살균램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KR1020210114358A 2021-08-30 2021-08-30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KR20230032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358A KR20230032025A (ko) 2021-08-30 2021-08-30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DE102022120857.5A DE102022120857A1 (de) 2021-08-30 2022-08-18 Griffvorrichtung zum Betreten und Verlassen eines Fahrzeuges
US17/891,432 US11904752B2 (en) 2021-08-30 2022-08-19 Handle device for embarking and disembarking vehicle
CN202211046302.3A CN115723650A (zh) 2021-08-30 2022-08-30 用于上下车的把手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358A KR20230032025A (ko) 2021-08-30 2021-08-30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025A true KR20230032025A (ko) 2023-03-07

Family

ID=8517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358A KR20230032025A (ko) 2021-08-30 2021-08-30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04752B2 (ko)
KR (1) KR20230032025A (ko)
CN (1) CN115723650A (ko)
DE (1) DE102022120857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2977B2 (ja) * 2007-09-25 2013-07-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アシストグリップ
US7631915B2 (en) * 2007-10-30 2009-12-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ctive material enabled self-actuated devices
US7905530B2 (en) * 2008-04-01 2011-03-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lf-actuating devices
US9340152B2 (en) * 2013-11-21 2016-05-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toluminescent scuff plate and grab handle
US9249608B2 (en) * 2014-05-05 2016-02-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ush door handle with shape memory alloy drive and heated handle to body seal
US20180099610A1 (en) * 2016-10-10 2018-04-12 Scott Meyers Illuminated handle assembly
US11351901B1 (en) * 2021-01-13 2022-06-07 Toyota Motor North America, Inc. Concealed vehicle grab handle assembly
KR20220149943A (ko) * 2021-05-03 2022-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승하차용 보조 손잡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04752B2 (en) 2024-02-20
US20230061957A1 (en) 2023-03-02
DE102022120857A1 (de) 2023-03-02
CN115723650A (zh)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74034A1 (ja) 車両用シート
CN115284993A (zh) 被构造成在进入和离开车辆时使用的辅助把手装置
CN114099731A (zh) 上车扶手杀菌装置
KR20230032025A (ko) 차량 승하차용 손잡이 장치
JP4144126B2 (ja) 乗合自動車における車椅子用シートベルト装置
JP7276285B2 (ja) 乗降用手すり
US20030098592A1 (en) Seat arrangement
CN110775781B (zh) 电梯轿厢
JP2004216060A (ja) 車両用乗降補助装置
US4143281A (en) Vehicle for the handicapped
JP4941765B2 (ja) 車両用昇降装置
CN211731226U (zh) 一种踏板装置、乘员室及消防车
JP2004175339A (ja) 車両用昇降ステップ装置
JPH10329609A (ja) キャブオーバ型車両の乗降装置
JP2000108770A (ja) 自動車用車椅子収納装置
KR20060091755A (ko) 차량 시트 백 폴딩을 위한 스트라이커의 자동격납장치
JP4687017B2 (ja) 車両のシート装置
JP2003127731A (ja) 車両の乗降補助シート
JP3134853U (ja) 観光バス2
JP2007331621A (ja) 福祉車両
JP4039027B2 (ja) 車両用リフト装置
JP5542358B2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3023975U (ja) 車両用移動・昇降装置
JP3664887B2 (ja) キャブオーバ型車両の乗降装置
JP3128723U (ja) 観光バ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