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639A -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639A
KR20230029639A KR1020227044059A KR20227044059A KR20230029639A KR 20230029639 A KR20230029639 A KR 20230029639A KR 1020227044059 A KR1020227044059 A KR 1020227044059A KR 20227044059 A KR20227044059 A KR 20227044059A KR 20230029639 A KR20230029639 A KR 20230029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molding apparatus
wall
molten glass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리 나카노
모토이치 이가
고타 오카모토
히로키 이시바시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29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8Means for providing the drawing force, e.g. traction or draw 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4Forming glass sheets by the overflow downdraw fusion process; Isopip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로서, 제 1 단부부터 제 2 단부까지 연신하는 축 방향을 갖고, 제 1 단부는, 용융 유리의 입구측이 되고, 당해 성형 장치는, 상부에, 상기 제 1 단부부터, 상기 제 2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돌출부를 갖고, 양 돌출부 사이에는, 상기 제 1 단부부터 상기 제 2 단부를 향해 상기 용융 유리가 흐르는 채널이 형성되고,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채널의 상기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채널폭으로 했을 때, 상기 채널의 상기 제 2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상기 채널폭은, 상기 제 2 단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제 2 단부에서 0 (제로) 에 이르는, 성형 장치.

Description

성형 장치
본 발명은,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유리판의 제조에 사용되는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리판의 연속 제조 프로세스의 일종으로서, 다운 드로우법이 알려져 있다. 다운 드로우법의 대표예는, 퓨전법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 퓨전법에서는, 유리 원료를 용해함으로써 얻어진 용융 유리가, 성형용의 장치 (이하, 「성형 장치」라고 칭한다) 의 상부에 형성된 채널에 공급된다. 성형 장치는, 단면 (斷面) 이 하향으로 뾰족해진 대략 쐐기상으로 되어 있고, 채널로부터 넘쳐흐른 용융 유리는, 성형 장치의 대향하는 2 개의 측면을 따라 유하된다.
양 측면을 따라 유하하는 용융 유리는, 성형 장치의 하단 (下端) 에서 합류, 일체화되고, 이로써 유리 리본이 성형된다. 그 후, 이 유리 리본은, 롤러 등의 견인 부재에 의해, 서랭되면서 하향으로 견인되고, 소정의 치수로 절단된다.
미국 특허 제 3338696호 명세서
전술한 바와 같은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유리 리본을 성형했을 때에, 유리 리본의 일부에 결정화 (즉, 실투) 가 생기거나, 유리 조성이 국소적으로 변화하거나 한다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 유리 리본의 폭 방향에 있어서, 자주, 균일한 두께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유리 리본의 성형 시에, 실투나 조성 변화가 생기기 어렵고, 유리 리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로서,
제 1 단부 (端部) 부터 제 2 단부까지 연신하는 축 방향을 갖고, 제 1 단부는, 용융 유리의 입구측이 되고,
당해 성형 장치는, 상부에, 상기 제 1 단부부터, 상기 제 2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돌출부를 갖고, 양 돌출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 1 단부부터 상기 제 2 단부를 향해 상기 용융 유리가 흐르는 채널이 형성되고,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채널의 상기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채널폭으로 했을 때, 상기 채널의 상기 제 2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상기 채널폭은, 상기 제 2 단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제 2 단부에서 0 (제로) 에 이르는, 성형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유리 리본의 성형 시에, 실투나 조성 변화가 생기기 어렵고, 유리 리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성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퓨전법에 사용되는 종래의 성형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성형 장치의 상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낸 성형 장치의 I-I 선을 따른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종래의 성형 장치의 채널 내를 흐르는 용융 유리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흐름 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성형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성형 장치의 상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성형 장치의 II-II 선을 따른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성형 장치의 채널 내를 흐르는 용융 유리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흐름 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른 성형 장치의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낸 성형 장치의 상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은, 도 10 에 나타낸 성형 장치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른 성형 장치의 채널 내를 흐르는 용융 유리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흐름 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상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성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성형 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성형 장치의 구성 및 특징을 보다 양호하게 이해하기 위해, 먼저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종래의 성형 장치의 구성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 에는, 종래의 퓨전법에 사용되는 성형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또, 도 2 에는, 도 1 에 나타낸 성형 장치의 상면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또, 도 3 에는, 도 2 에 나타낸 성형 장치의 I-I 선을 따른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1 및 도 3 에는, 성형 장치의 사용 중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성형 장치 (1) 는, 제 1 단부 (3) 부터 제 2 단부 (5) 까지 연신되는 축 방향 (X 방향) 을 갖고, 제 1 단부 (3) 는, 용융 유리의 공급관 (7) 에 접속된다.
또, 성형 장치 (1)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윤곽이 대략 쐐기상으로 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외측면 (8a 및 8b) 을 갖는다. 양 외측면 (8a 및 8b) 은, 합류변 (9) 에서 합류하고 있다.
성형 장치 (1) 는, 상측의 제 1 부분 (11) 과, 하측의 제 2 부분 (31) 을 갖는다.
성형 장치 (1) 의 제 1 부분 (11) 은,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돌출부 (12a 및 12b) 를 갖는다. 돌출부 (12a) 는, 상면 (13a), 내면 (14a) 및 외면 (15a) 을 갖는다. 내면 (14a) 및 외면 (15a) 은, 각각, 연직 방향 (Z 방향) 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내면 (14a) 및 외면 (15a) 은, 상면 (13a) 에 의해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돌출부 (12b) 는, 상면 (13b), 내면 (14b) 및 외면 (15b) 을 갖는다.
또한, 성형 장치 (1) 의 제 1 부분 (11) 은, 2 개의 돌출부 (12a 및 12b) 사이에, 바닥면 (17) 을 갖는다. 바닥면 (17) 은, 성형 장치 (1) 의 제 1 단부 (3) 부터 제 2 단부 (5) 를 향하여, 깊이가 서서히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돌출부 (12a) 의 내면 (14a), 돌출부 (12b) 의 내면 (14b), 및 바닥면 (17) 에 의해, 제 1 부분 (11) 에 채널 (22) 이 구획된다. 채널 (22) 은, 바닥면 (17) 의 형상에 의해, 성형 장치 (1) 의 제 1 단부 (3) 부터 제 2 단부 (5) 를 향하여, 깊이가 서서히 감소하고, 제 2 단부 (5) 의 근방에 있어서, 깊이가 제로가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성형 장치 (1) 의 제 2 부분 (31) 은, 서로 대향하는 외표면 (33a 및 33b) 을 갖는다. 제 2 부분 (31) 의 외표면 (33a) 은, 제 1 부분 (11) 의 외면 (15a) 과 접속되어 있고, 이로써, 성형 장치 (1) 의 외측면 (8a) 이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부분 (31) 의 외표면 (33b) 은, 제 1 부분 (11) 의 외면 (15b) 과 접속되어 있고, 이로써, 성형 장치 (1) 의 외측면 (8b) 이 구성된다.
종래의 성형 장치 (1) 를 사용할 때에는, 공급관 (7) 으로부터 성형 장치 (1) 로 용융 유리 (MG) 가 공급된다.
성형 장치 (1) 에 공급된 용융 유리 (MG) 는, 채널 (22) 을 통과하여, 제 1 단부 (3) 부터 제 2 단부 (5) 까지 유동한다.
채널 (22) 에 공급된 용융 유리 (MG) 는, 그 후, 성형 장치 (1) 의 제 1 부분 (11) 의 돌출부 (12a 및 12b) 로부터, 각각의 외면 (15a 및 15b) 을 따라 넘쳐흘러, 하방으로 유출된다.
이로써,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 장치 (1) 의 제 1 부분 (11) 의 외면 (15a) 에, 제 1 용융 유리 부분 (40a) 이 형성되고, 제 1 부분 (11) 의 외면 (15b) 에, 제 2 용융 유리 부분 (40b) 이 형성된다.
그 후, 제 1 용융 유리 부분 (40a) 은, 성형 장치 (1) 의 제 2 부분 (31) 의 외표면 (33a) 을 따라, 더욱 하방으로 유출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용융 유리 부분 (40b) 은, 성형 장치 (1) 의 제 2 부분 (31) 의 외표면 (33b) 을 따라, 더욱 하방으로 유출된다.
그 결과, 제 1 용융 유리 부분 (40a) 및 제 2 용융 유리 부분 (40b) 은, 합류변 (9) 에 이르고, 여기서 일체화된다. 이로써, 유리 리본 (GR) 이 형성된다.
또한, 그 후, 유리 리본 (GR) 은 더욱 연직 방향으로 늘여지고, 서랭된다.
종래의 퓨전법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유리 리본 (GR), 나아가서는 유리판이 제조된다.
여기서, 종래의 성형 장치 (1) 에서는, 유리 리본 (GR) 의 성형 시에, 유리 리본 (GR) 의 일부에 실투가 생기거나, 유리 조성이 국소적으로 변화하거나 한다는 문제가, 자주 관측되고 있다. 또, 유리 리본 (GR) 의 폭 방향 (도 1 에 있어서의 X 방향) 에 있어서, 균일한 두께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자주 보고되고 있다.
본원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유리 리본 (GR) 의 실투, 조성 변화, 및 두께 불균일성의 원인에 대해 예의 검토해 왔다. 그리고, 이들 문제는, 채널 (22) 의 구조에서 기인하고 있는 것을 깨달았다.
즉,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성형 장치 (1) 에 있어서, 채널 (22) 의 선단측, 즉 성형 장치 (1) 의 제 2 단부 (5) 측에는, 차단벽 (50)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차단벽 (50) 은, 용융 유리 (MG) 의 축 방향 (X 방향) 의 흐름을 제한하여, 축 방향을 따라 흐르는 용융 유리 (MG) 가, 소정의 거리를 초과하여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차단벽 (50) 은, 채널 (22) 내에서의 용융 유리 (MG) 의 흐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하, 도 4 를 참조하여, 차단벽 (50) 의 영향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에는, 종래의 성형 장치 (1) 의 채널 (22) 의 부분의 상면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4 에는, 채널 (22) 내를 흐르는 용융 유리 (MG) 의, 각 위치에 있어서의 흐름 방향이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성형 장치 (1) 의 제 1 단부 (3) 로부터 채널 (22) 에 공급된 용융 유리 (MG) 는, 축 방향 (X 방향) 우향을 주류 방향으로 하여, 성형 장치 (1) 의 제 2 단부 (5) 를 향해 흐른다.
단, 채널 (22) 은, 축 방향 (X 방향) 에 비해, 축에 수직인 방향 (Y 방향) 의 치수가 충분히 짧게 되어 있다. 따라서, 주류 방향을 따라 흐르는 도중에, 용융 유리 (MG) 의 일부는, 지류 (Gs1 ∼ Gs4) 가 되고, 성형 장치 (1) 의 외측면 (8a) (도면의 하측) 을 향해 흐르고, 채널 (22) 로부터 유출된다. 마찬가지로, 용융 유리 (MG) 의 일부는, 지류 (Gs5 ∼ Gs8) 가 되고, 성형 장치 (1) 의 외측면 (8b) (도면의 상측) 을 향해 흐르고, 그 후, 채널 (22) 로부터 유출된다.
이에 대하여, 주류 방향을 따라 나아가, 차단벽 (50) 에까지 도달한 용융 유리 (MG) 의 주류 (Gm1 및 Gm2) 는, 이 차단벽 (50) 에 충돌하여, 그 방향이 대략 90°변환된다. 즉,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의 주류 (Gm1) 는, 방향이 +90°변화하고, 다른 주류 (Gm2) 는, 방향이 -90°변화한다.
차단벽 (50) 과 같은 용융 유리 (MG) 의 주류 (Gm1 및 Gm2) 의 방향에 큰 변화가 생기는 지점에서는, 용융 유리 (MG) 의 정체가 생시기 쉬워진다. 특히, 차단벽 (50) 은, 용융 유리 (MG) 의 공급 위치, 즉 제 1 단부 (3) 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다. 따라서, 차단벽 (50) 의 근방에서는, 용융 유리 (MG) 의 후속의 (신선한) 흐름에 의해, 그때까지 생긴 차단벽 (50) 의 근방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 (MG) 의 정체가 약화되거나, 해소되거나 하는 일도 생기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제 2 단부 (5), 즉 차단벽 (50) 의 근방에서는, 용융 유리 (MG) 의 유동이 생기기 어려워져, 정체부 (52) 가 발생한다.
또한, 용융 유리 (MG) 는 고온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정체부 (52) 가 발생하고, 이 정체부 (52) 에 용융 유리 (MG) 가 정체하면, 용융 유리 (MG) 중의 특정한 성분이 휘발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정체부 (52) 에서는 유리 조성이 변화하거나, 실투가 생기거나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정체부 (52) 에서는, 용융 유리 (MG) 를 설계대로 유동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 결과, 유리 리본 (GR) 의 폭 방향 (도 1 의 X 방향) 에 있어서, 성형 장치 (1) 의 제 2 단부 (5) 에 대응하는 측의 두께가 변동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은 영향에 의해, 유리 리본 (GR) 의 실투 및 조성 변화, 그리고 유리 리본 (GR)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의 변동이 생기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고찰하, 본원 발명자들은, 채널 내에 용융 유리 (MG) 의 정체부 (52) 가 생기기 어려운 채널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상기 문제가 경감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원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다운 드로우법에 의해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로서,
제 1 단부부터 제 2 단부까지 연신하는 축 방향을 갖고, 제 1 단부는, 용융 유리의 입구측이 되고,
당해 성형 장치는, 상부에, 상기 제 1 단부부터, 상기 제 2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돌출부를 갖고, 양 돌출부 사이에는, 상기 제 1 단부부터 상기 제 2 단부를 향해 상기 용융 유리가 흐르는 채널이 형성되고,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채널의 상기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채널폭으로 했을 때, 상기 채널의 상기 제 2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상기 채널폭은, 상기 제 2 단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제 2 단부에서 0 (제로) 에 이르는, 성형 장치가 제공된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성형 장치에서는, 채널의 제 2 단부의 측에, 종래의 성형 장치 (1) 와 같은 차단벽 (50) 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성형 장치에서는, 채널의 제 2 단부의 측에 있어서, 용융 유리 (MG) 의 정체부 (52) 가 생기기 어려워져, 전술한 바와 같은 정체부 (52) 에서 기인하는 문제를 경감 또는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성형 장치에서는, 유리 리본의 성형 시에, 실투 및/또는 조성 변화가 생기기 어려워짐과 함께, 유리 리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변동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성형 장치)
다음으로, 도 5 ∼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성형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성형 장치 (이하, 「 제 1 성형 장치」라고 칭한다) (100) 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5 에는, 제 1 성형 장치 (100) 의 모식적인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6 에는, 제 1 성형 장치 (100) 의 모식적인 상면도가 나타나 있다. 또, 도 7 에는, 도 6 에 있어서의 II-II 선을 따른 모식적인 단면이 나타나 있다.
도 5 내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성형 장치 (100) 는, 제 1 단부 (103) 부터 제 2 단부 (105) 까지 연신하는 축 방향 (X 방향) 을 갖고, 제 1 단부 (103) 의 측은, 용융 유리의 공급관 (107) 에 접속된다. 또한, 명확화를 위하여, 도 7 에 있어서, 제 2 단부 (105) 보다 후방의 부분은, 생략되어 있다.
또, 제 1 성형 장치 (100)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윤곽이 대략 쐐기상으로 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외측면 (108a) 및 제 2 외측면 (108b) 을 갖는다. 양 외측면 (108a 및 108b) 은, 하단의 합류변 (109) 에서 합류하고 있다.
제 1 성형 장치 (100) 는, 상측의 제 1 부분 (111) 과, 하측의 제 2 부분 (131) 을 갖는다.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제 1 부분 (111) 은,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돌출부 (112a 및 112b) 를 갖는다. 돌출부 (112a) 는, 상면 (113a), 내면 (114a) 및 외면 (115a) 을 갖는다. 내면 (114a) 및 외면 (115a) 은, 각각, 연직 방향 (Z 방향) 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내면 (114a) 및 외면 (115a) 은, 상면 (113a) 에 의해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돌출부 (112b) 는, 상면 (113b), 내면 (114b) 및 외면 (115b) 을 갖는다.
돌출부 (112a) 와 돌출부 (112b) 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져도 된다.
또한,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제 1 부분 (111) 은, 2 개의 돌출부 (112a 및 112b) 사이에, 바닥면 (117) 을 갖는다. 바닥면 (117) 은,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제 1 단부 (103) 부터 제 2 단부 (105) 를 향하여, 깊이가 서서히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돌출부 (112a) 의 내면 (114a), 돌출부 (112b) 의 내면 (114b), 및 바닥면 (117) 에 의해, 제 1 부분 (111) 의 상측에 채널 (122) 이 구획된다. 채널 (122) 은, 바닥면 (117) 의 형상에 의해,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제 1 단부 (103) 부터 제 2 단부 (105) 를 향하여, 깊이가 서서히 감소하고, 제 2 단부 (105)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깊이가 제로가 되도록 구성된다. 바닥면 (117) 은, 곡면, 평면 또는 곡면과 평면을 조합한 형상 중 어느 형상이어도 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제 1 부분 (111) 은, 또한 축 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부 (112a 및 112b) 보다 상류측에, 연직 방향 (Z 방향) 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스토퍼 (170a) 및 제 2 스토퍼 (170b) 를 갖는다.
제 1 스토퍼 (170a) 는, 돌출부 (112a) 의 외면 (115a) 과 동일한 측에, 외면 (115a) 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스토퍼 (170b) 는, 돌출부 (112b) 의 외면 (115b) 과 동일한 측에, 외면 (115b) 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 1 스토퍼 (170a) 는, 돌출부 (112a) 의 상면 (113a) 보다 상단 (上端) 이 높아지도록 구성되고, 제 2 스토퍼 (170b) 는, 돌출부 (112b) 의 상면 (113b) 보다 상단이 높아지도록 구성된다.
제 1 스토퍼 (170a) 는, 제 1 성형 장치 (100) 를 사용하여 유리 리본 (GR) 을 성형할 때에, 제 1 외측면 (108a) 을 따라 유하하는 용융 유리 (MG) 의 폭 방향 (X 방향) 의 치수를 규정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스토퍼 (170b) 는, 제 2 외측면 (108b) 을 따라 유하하는 용융 유리 (MG) 의 폭 방향 (X 방향) 의 치수를 규정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또한, 제 1 성형 장치 (100) 에서는, 전술한 제 1 단부 (103) 는, 상면에서 볼 때, 축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의 제 1 스토퍼 (170a) 와 돌출부 (112a) 의 경계 위치, 또는 제 2 스토퍼 (170b) 와 돌출부 (112b) 의 경계 위치로서, 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제 1 성형 장치 (100) 에 있어서, 제 2 단부 (105) 는, 후술하는 선단벽 (151) 의 설치 위치에 의해 정할 수 있다.
재차, 도 5 ∼ 도 7 을 참조하면,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제 2 부분 (131) 은, 서로 대향하는 제 1 외표면 (133a) 및 제 2 외표면 (133b) 을 갖는다. 제 2 부분 (131) 의 제 1 외표면 (133a) 은, 제 1 부분 (111) 의 외면 (115a) 과 접속되어 있고, 이로써,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제 1 외측면 (108a) 이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부분 (131) 의 제 2 외표면 (133b) 은, 제 1 부분 (111) 의 외면 (115b) 과 접속되어 있고, 이로써,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제 2 외측면 (108b) 이 구성된다.
제 1 성형 장치 (100) 는, 추가로, 공급관 (107) 의 접속 위치와 제 1 단부 (103) 사이에, 정류부 (180) 를 갖는다. 정류부 (180) 는, 공급관 (107) 으로부터 제 1 성형 장치 (100) 에 공급되는 용융 유리 (MG) 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단, 정류부 (180) 는, 불필요한 경우, 생략되어도 된다.
여기서, 제 1 성형 장치 (100) 에 있어서, 상면에서 볼 때, 그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축 방향 (X 방향) 에 대해 수직인 채널 (122) 의 치수를, 「채널폭」이라고 칭하면, 채널 (122) 은, 제 1 단부 (103) 부터 제 2 단부 (105) 를 따라, 채널폭이 서서히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돌출부 (112a) 및 돌출부 (112b) 는, 각각, 제 1 단부 (103) 부터 제 2 단부 (105) 를 따라, 채널폭이 서서히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 단부 (105) 에서는, 채널폭은 0 (제로) 이다.
따라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제 1 부분 (111) 은, 상면에서 볼 때, 대략 「선형 (船型)」의 형상을 갖는다. 즉, 채널 (122) 은, 제 1 단부 (103) 부터 제 2 단부 (105) 를 향하여, 「뾰족해진」형상을 갖는다.
또, 제 1 성형 장치 (100) 는, 제 2 단부 (105) 에, 종래의 성형 장치 (1) 와 같은 차단벽 (50) 을 갖지 않는다. 제 2 단부 (105) 에는, 대신에, 선단벽 (151) 이 형성된다.
또한, 선단벽 (151) 은, 제 2 단부 (105) 를 넘는 용융 유리 (MG) 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그러나, 선단벽 (151) 이 용융 유리 (MG) 의 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이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차단벽 (50) 과는 완전히 상이한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하, 도 8 을 사용하여, 제 1 성형 장치 (100) 의 특징적인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에는, 제 1 성형 장치 (100) 를 사용하여 유리 리본 (GR) 을 성형할 때의, 채널 (122) 내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 (MG) 의 개략적인 흐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제 1 단부 (103) 로부터 채널 (122) 에 공급된 용융 유리 (MG) 는, 주류 (Hm1 및 Hm2)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방향 (X 방향) 우향, 즉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제 2 단부 (105) 를 향해 흐른다.
단, 채널 (122) 은, 축 방향 (X 방향) 에 비해, 채널 폭 방향 (Y 방향) 의 치수가 충분히 짧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단부 (105) 를 향해 흐르는 도중에, 용융 유리 (MG) 의 일부는, 지류 (Hs1 ∼ Hs4) 가 되고,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제 1 외측면 (108a) (도면의 하측) 을 향해 흐르고, 채널 (122) 로부터 유출된다. 마찬가지로, 용융 유리 (MG) 의 일부는, 지류 (Hs5 ∼ Hs8) 가 되고,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제 2 외측면 (108b) (도면의 상측) 을 향해 흐르로, 그 후, 채널 (122) 로부터 유출된다.
여기서, 제 1 성형 장치 (100) 에서는, 용융 유리 (MG) 의 주류 (Hm1, Hm2) 가 제 2 단부 (105) 또는 그 근방에까지 도달해도, 거기서 방향이 크게 변환된다는 현상은 생기기 어렵다. 채널 (122) 은, 그 채널 (122) 의 채널폭이 제 2 단부 (105) 를 향해 서서히 감소하고, 제 2 단부 (105) 에서 0 (제로) 에 도달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류 (Hm1) 는, 지류 (Hs1 ∼ Hs4) 와 마찬가지로,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제 1 외측면 (108a) 을 향해 흐르고, 그 후, 채널 (122) 로부터 유출되고, 주류 (Hm2) 는, 지류 (Hs5 ∼ Hs8) 와 마찬가지로,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제 2 외측면 (108b) 을 향해 흐르고, 그 후, 채널 (122) 로부터 유출된다.
그 때문에, 제 1 성형 장치 (100) 에서는, 제 2 단부 (105) 에, 종래의 성형 장치 (1) 와 같은 정체부 (52) 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종래와 같은 유리 리본 (GR) 의 실투 및/또는 조성 변화의 문제를 유의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지류 (Hs1 ∼ Hs8), 주류 (Hm1 및 Hm2) 의 유량은, 제 1 단부 (103) 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 (MG) 의 공급 유속, 채널 (122) 의 깊이 및 그 구배, 그리고 축 방향을 따른 채널 (122) 의 채널폭의 치수 등을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지류 (Hs1 ∼ Hs4) 및 주류 (Hm1) 로부터,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제 1 외측면 (108a) 을 따라 유하하는 용융 유리 (MG) 의 양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제 1 외측면 (108a) 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 (MG) 의 폭 방향 (X 방향) 의 두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류 (Hs5 ∼ Hs8) 및 주류 (Hm2) 로부터, 제 1 성형 장치 (100) 의 제 2 외측면 (108b) 을 따라 유하하는 용융 유리 (MG) 의 양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제 2 외측면 (108b) 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 (MG) 의 폭 방향의 두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효과에 의해, 제 1 성형 장치 (100) 에서는, 유리 리본의 성형 시에, 실투 및/또는 조성 변화가 생기기 어렵고, 또한 유리 리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 ∼ 도 7 에 나타낸 제 1 성형 장치 (100) 에서는, 상면에서 볼 때, 채널 (122) 은, 제 1 단부 (103) 부터 제 2 단부 (105) 를 향하여, 채널폭이 서서히 감소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 제 1 외측면 (108a) 및 제 2 외측면 (108b) 은, 상면에서 볼 때, 각각의 윤곽이 1 개의 곡선으로 나타나는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한 일례이고, 제 1 성형 장치 (100) 는, 그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채널 (122) 은, 상면에서 볼 때, 축 방향을 따라, 제 1 단부 (103) 부터 소정의 위치 (이하, 「변곡 위치」라고 칭한다) 까지는 채널폭이 일정하고, 변곡 위치부터 제 2 단부 (105) 에 있어서, 채널폭이 서서히 감소하는 구성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제 1 단부 (103) 부터 제 2 단부 (105) 까지의 거리를 L1 로 했을 때, 변곡 위치는, 예를 들어, 제 1 단부 (103) 부터 0.1L1 ∼ 0.9L1 의 범위에서 정해져도 된다.
또한, 본원에서는, 축 방향을 따라, 제 1 단부 (103) 부터의 거리가 0.9L1 부터 L1 까지의 영역, 즉, 0.9L1 부터 제 2 단부 (105) 까지의 범위를, 특히 제 2 단부 (105) 의 「근방」이라고 칭한다. 이러한 정의를 이용하면, 제 1 성형 장치 (100) 는, 제 2 단부 (105) 의 「근방」에 있어서, 제 2 단부 (105) 를 향해 채널폭이 서서히 감소하고, 제 2 단부 (105) 에서의 채널폭이 0 이 되는 구성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또, 상면에서 볼 때, 제 1 외측면 (108a) 및 제 2 외측면 (108b) 은, 1 또는 복수의 직선으로 나타내는 윤곽을 가져도 된다. 혹은, 제 1 외측면 (108a) 및 제 2 외측면 (108b) 의 윤곽은, 곡선과 직선의 조합으로 나타내어도 된다.
또, 채널 (122) 은, 제 1 단부 (103) 부터 변곡 위치까지는 깊이가 일정하고, 변곡 위치부터 제 2 단부 (105) 를 따라, 깊이가 서서히 감소해도 된다.
또, 제 1 성형 장치 (100) 에 있어서, 채널 (122) 의 채널폭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채널폭을 2 분할하는 축을, 「채널축」이라고 칭한다. 이 경우, 상면에서 볼 때, 채널 (122) 의 제 2 단부 (105) 의 근방의 윤곽은, 채널축에 대해 대칭인 곡선, 및/또는 채널축에 대해 대칭인 1 혹은 2 이상의 직선으로 나타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기재에서는, 돌출부 (112a) 및 돌출부 (112b) 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경우를 예로, 제 1 성형 장치 (100)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 경우, 용융 유리 (MG) 는, 제 1 외측면 (108a) 과 제 2 외측면 (108b) 의 양측에서 유출된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한 일례이고, 돌출부 (112a) 및 돌출부 (112b) 의 높이는, 서로 상이해도 된다. 이 경우, 용융 유리 (MG) 는, 하나의 돌출부의 측으로부터만 유출된다. 예를 들어, 돌출부 (112a) 의 높이가 돌출부 (112b) 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 채널 (122) 을 흐르는 용융 유리 (MG) 는, 돌출부 (112b) 의 측으로부터만 유출되고, 돌출부 (112a) 의 측으로부터는 유출되지 않게 된다.
그 외에도,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른 성형 장치)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른 성형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 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다른 성형 장치 (이하, 「제 2 성형 장치」라고 칭한다) (200) 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9 에는, 제 2 성형 장치 (200) 의 모식적인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10 에는, 제 2 성형 장치 (200) 의 모식적인 상면도가 나타나 있다. 또, 도 11 에는, 도 10 에 있어서의 III-III 선을 따른 모식적인 단면이 나타나 있다.
도 9 내지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성형 장치 (200) 는, 제 1 단부 (203) 부터 제 2 단부 (205) 까지 연신하는 축 방향 (X 방향) 을 갖고, 제 1 단부 (203) 의 측은, 용융 유리의 공급관 (207) 에 접속된다.
또, 제 2 성형 장치 (200) 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윤곽이 대략 쐐기상으로 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외측면 (208a) 및 제 2 외측면 (208b) 을 갖는다. 제 1 외측면 (208a) 및 제 2 외측면 (208b) 은, 하단의 합류변 (209) 에서 합류하고 있다.
제 2 성형 장치 (200) 는, 상측의 제 1 부분 (211) 과, 하측의 제 2 부분 (231) 을 갖는다.
제 2 성형 장치 (200) 의 제 1 부분 (211) 은,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돌출부 (212a 및 212b) 를 갖는다. 돌출부 (212a) 는, 상면 (213a), 내면 (214a) 및 외면 (215a) 을 갖는다. 내면 (214a) 및 외면 (215a) 은, 각각, 연직 방향 (Z 방향) 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내면 (214a) 및 외면 (215a) 은, 상면 (213a) 에 의해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돌출부 (212b) 는, 상면 (213b), 내면 (214b) 및 외면 (215b) 을 갖는다.
또한, 제 2 성형 장치 (200) 의 제 1 부분 (211) 은, 2 개의 돌출부 (212a 및 212b) 사이에, 바닥면 (217) 을 갖는다. 바닥면 (217) 은, 제 2 성형 장치 (200) 의 제 1 단부 (203) 부터 제 2 단부 (205) 를 향하여, 깊이가 서서히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돌출부 (212a) 의 내면 (214a), 돌출부 (212b) 의 내면 (214b), 및 바닥면 (217) 에 의해, 제 1 부분 (211) 에 채널 (222) 이 구획된다. 채널 (222) 은, 바닥면 (217) 의 형상에 의해, 제 2 성형 장치 (200) 의 제 1 단부 (203) 부터 제 2 단부 (205) 를 향하여, 깊이가 서서히 감소하고, 제 2 단부 (205)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깊이가 제로가 되도록 구성된다. 바닥면 (217) 은, 곡면, 평면 또는 곡면과 평면을 조합한 형상 중 어느 형상이어도 된다.
제 2 성형 장치 (200) 의 제 1 부분 (211) 은, 또한, 축 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부 (212a 및 212b) 보다 상류측에, 연직 방향 (Z 방향) 을 따라 연장되는 제 1 스토퍼 (270a) 및 제 2 스토퍼 (270b) 를 갖는다.
제 1 스토퍼 (270a) 는, 돌출부 (212a) 의 외면 (215a) 과 동일한 측에, 외면 (215a) 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스토퍼 (270b) 는, 돌출부 (212b) 의 외면 (215b) 과 동일한 측에, 외면 (215b) 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제 1 스토퍼 (270a) 는, 돌출부 (212a) 의 상면 (213a) 보다 높아지도록 구성되고, 제 2 스토퍼 (270b) 는, 돌출부 (212b) 의 상면 (213b) 보다 높아지도록 구성된다.
제 1 스토퍼 (270a) 는, 제 2 성형 장치 (200) 에 의해 유리 리본 (GR) 을 성형할 때에, 제 1 외측면 (208a) 을 따라 유하하는 용융 유리 (MG) 의 폭 방향 (X 방향) 의 치수를 규정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스토퍼 (270b) 는, 제 2 외측면 (208b) 을 따라 유하하는 용융 유리 (MG) 의 폭 방향 (X 방향) 의 치수를 규정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또한, 제 2 성형 장치 (200) 에서는, 전술한 제 1 단부 (203) 는, 상면에서 볼 때, 축 방향 (X 방향) 에 있어서의 제 1 스토퍼 (270a) 와 돌출부 (212a) 의 경계 위치, 또는 제 2 스토퍼 (270b) 와 돌출부 (212b) 의 경계 위치로서, 정할 수 있다.
재차 도 9 ∼ 도 11 을 참조하면, 제 2 성형 장치 (200) 의 제 2 부분 (231) 은, 서로 대향하는 제 1 외표면 (233a) 및 제 2 외표면 (233b) 을 갖는다. 제 2 부분 (231) 의 제 1 외표면 (233a) 은, 제 1 부분 (211) 의 외면 (215a) 과 접속되어 있고, 이로써, 제 2 성형 장치 (200) 의 제 1 외측면 (208a) 이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부분 (231) 의 제 2 외표면 (233b) 은, 제 1 부분 (211) 의 외면 (215b) 과 접속되어 있고, 이로써, 제 2 성형 장치 (200) 의 제 2 외측면 (208b) 이 구성된다.
제 2 성형 장치 (200) 는, 또한, 공급관 (207) 의 접속 위치와 제 1 단부 (203) 사이에, 정류부 (280) 를 갖는다. 정류부 (280) 는, 공급관 (207) 으로부터 제 2 성형 장치 (200) 에 공급되는 용융 유리 (MG) 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단, 정류부 (280) 는, 불필요한 경우, 생략되어도 된다.
제 2 성형 장치 (200) 에 있어서, 그 제 2 성형 장치 (200) 의 축 방향 (X 방향) 에 대해 수직인 채널 (222) 의 치수를, 「채널폭」이라고 칭한다. 또, 채널 (222) 의 채널폭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채널폭을 2 분할하는 축을, 「채널축」이라고 칭한다.
여기서, 제 2 성형 장치 (200) 는, 또한, 채널 (222) 내에 설치된 방향 조정 부재 (252) 를 갖는다. 방향 조정 부재 (252) 는, 제 1 부분 (211) 의 바닥면 (217) 으로부터 연직 방향 (Z 방향) 으로 연장되는 제 1 벽 (260a) 및 제 2 벽 (260b) 을 갖는다.
제 1 벽 (260a) 및 제 2 벽 (260b) 은, 채널 (222) 의 채널축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갖고, 채널 (222) 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접합 위치 (262) 에서, 서로 합체된다.
또한, 접합 위치 (262) 에서는, 제 1 벽 (260a) 및 제 2 벽 (260b) 은, 상면에서 볼 때, 일점에서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접합 위치 (262) 에서는, 채널폭은, 제 1 벽 (260a) 부터 돌출부 (212a) 까지의 거리와, 제 2 벽 (260b) 부터 돌출부 (212b) 까지의 거리의 합과 동일하다.
접합 위치 (262) 는, 제 1 단부 (203) 부터 제 2 단부 (205) 의 사이 (단 제 2 단부 (205) 는 제외한다) 의, 채널축 상의 어느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9 ∼ 도 10 에 나타낸 예에서는, 접합 위치 (262) 는, 채널축 상의, 제 1 스토퍼 (270a) 와 제 1 외측면 (208a) 의 경계, 즉 제 1 단부 (203) 부터, 제 2 단부 (205) 를 향해 거리 D1 의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제 1 벽 (260a) 은, 상면에서 볼 때, 접합 위치 (262) 부터, 제 2 단부 (205) 에 형성된 제 1 종점 (265a) 에 걸쳐, 제 1 벽 (260a) 부터 돌출부 (212a) 까지의 거리가 서서히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단부 (205) 에서는, 제 1 벽 (260a) 부터 돌출부 (212a) 까지의 거리는, 0 (제로) 이다.
동일하게, 제 2 벽 (260b) 은, 상면에서 볼 때, 접합 위치 (262) 부터, 제 2 단부 (205) 에 형성된 제 2 종점 (265b) 에 걸쳐, 제 2 벽 (260b) 부터 돌출부 (212b) 까지의 거리가 서서히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단부 (205) 에서는, 제 2 벽 (260b) 부터 돌출부 (212b) 까지의 거리는, 0 (제로) 이다.
그 결과, 채널 (222) 은, 방향 조정 부재 (252) 에 의해, 제 1 단부 (203) 부터 제 2 단부 (205) 를 따라, 채널폭이 서서히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단부 (205) 에서는, 채널폭은 0 (제로) 이다.
또한, 제 2 성형 장치 (200) 의 구성에서는, 접합 위치 (262) 보다 하류측에 있어서의 채널폭은, 제 1 벽 (260a) 부터 돌출부 (212a) 까지의 거리와, 제 2 벽 (260b) 부터 돌출부 (212b) 까지의 거리의 합으로서 규정된다.
이와 같이, 제 2 성형 장치 (200) 는, 제 2 단부 (205) 에, 종래의 성형 장치 (1) 와 같은 차단벽 (50) 을 갖지 않는 구조를 갖는다.
이하, 도 12 를 사용하여, 제 2 성형 장치 (200) 의 특징적인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에는, 제 2 성형 장치 (200) 를 사용하여 유리 리본 (GR) 을 성형할 때의, 채널 (222) 내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 (MG) 의 개략적인 흐름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성형 장치 (200) 의 제 1 단부 (203) 로부터 채널 (222) 에 공급된 용융 유리 (MG) 는, 주류 (Jm1 및 Jm2)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채널 축 방향 (X 방향) 우향, 즉 제 2 성형 장치 (200) 의 제 2 단부 (205) 를 향해 흐른다.
단, 채널 (222) 은, 채널 축 방향 (X 방향) 에 비해, 채널 폭 방향 (Y 방향) 의 치수가 충분히 짧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단부 (205) 를 향해 흐르는 도중에, 용융 유리 (MG) 의 일부는, 지류 (Js1 ∼ Js4) 가 되고, 제 2 성형 장치 (200) 의 제 1 외측면 (208a) (도면의 하측) 을 향해 흐르고, 채널 (222) 로부터 유출된다. 마찬가지로, 용융 유리 (MG) 의 일부는, 지류 (Js5 ∼ Js8) 가 되고, 제 2 성형 장치 (200) 의 제 2 외측면 (208b) (도면의 상측) 을 향해 흐르고, 그 후, 채널 (222) 로부터 유출된다.
여기서, 제 2 성형 장치 (200) 에서는, 용융 유리 (MG) 의 주류 (Jm1, Jm2) 가 제 2 단부 (205) 또는 그 근방에까지 도달해도, 거기서 흐름 방향이 크게 변환된다는 현상은 생기기 어렵다.
채널 (222) 은, 그 채널 (222) 의 채널폭이, 접합 위치 (262) 로부터 제 2 단부 (205) 를 향해 서서히 감소하고, 제 2 단부 (205) 에서 0 (제로) 에 도달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류 (Jm1) 는, 지류 (Js1 ∼ Js4) 와 마찬가지로, 제 2 성형 장치 (200) 의 제 1 외측면 (208a) 을 향해 흐르고, 그 후, 채널 (222) 로부터 유출되고, 주류 (Jm2) 는, 지류 (Js5 ∼ Js8) 와 마찬가지로, 제 2 성형 장치 (200) 의 제 2 외측면 (208b) 을 향해 흐르고, 그 후, 채널 (222) 로부터 유출된다.
그 때문에, 제 2 성형 장치 (200) 에서는, 제 2 단부 (205) 에, 종래의 성형 장치 (1) 와 같은 정체부 (52) 가 발생하기 어려워져, 종래와 같은, 유리 리본 (GR) 의 실투 및/또는 조성 변화의 문제를 유의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지류 (Js1 ∼ Js8), 주류 (Jm1 및 Jm2) 의 유량은, 제 1 단부 (203) 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 (MG) 의 공급 유속, 채널 (222) 의 깊이 및 그 구배, 제 1 단부 (203) 부터 접합 위치 (262) 까지의 거리 D1, 그리고 채널축의 방향을 따른 채널 (222) 의 채널폭의 치수 등을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지류 (Js1 ∼ Js4) 및 주류 (Jm1) 로부터, 제 2 성형 장치 (200) 의 제 1 외측면 (208a) 을 따라 유하하는 용융 유리 (MG) 의 양을 동일하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제 1 외측면 (208a) 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 (MG) 의 폭 방향 (X 방향) 의 두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류 (Js5 ∼ Js8) 및 주류 (Jm2) 로부터, 제 2 성형 장치 (200) 의 제 2 외측면 (208b) 을 따라 유하하는 용융 유리 (MG) 의 양을 동일하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제 2 외측면 (208b) 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 (MG) 의 폭 방향의 두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상의 효과에 의해, 제 2 성형 장치 (200) 에서는, 유리 리본 (GR) 의 성형 시에, 실투 및/또는 조성 변화가 생기기 어려워, 유리 리본 (GR)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9 ∼ 도 11 에 나타낸 제 2 성형 장치 (200) 에서는, 상면에서 볼 때, 채널 (222) 은, 접합 위치 (262) 부터 제 2 단부 (205) 까지, 채널폭이 서서히 감소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 제 1 벽 (260a) 및 제 2 벽 (260b) 은, 상면에서 볼 때, 각각의 윤곽이 1 개의 곡선으로 나타나는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한 일례이고, 제 2 성형 장치 (200) 는, 그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면에서 볼 때, 제 1 단부 (203) 부터 제 2 단부 (205) 까지의 거리를 L1 로 했을 때, 접합 위치 (262) 는, 예를 들어, 제 1 단부 (203) 부터 0 ∼ 0.9L1 의 범위의, 어떠한 위치에 정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접합 위치 (262) 는, 제 1 단부 (203) 부터 0 ∼ 0.4L1 의 범위에서 정해지고, 이 범위는, 예를 들어, 0.1L1 ∼ 0.3L1 의 범위여도 된다.
또, 상면에서 볼 때, 제 1 벽 (260a) 및 제 2 벽 (260b) 은, 1 또는 복수의 직선으로 나타내는 윤곽을 가져도 된다. 혹은, 제 1 벽 (260a) 및 제 2 벽 (260b) 의 윤곽은, 곡선과 직선의 조합으로 나타내도 된다. 또, 성형 장치 (200) 는, 채널축으로 2 분할한 편측으로 구성되고, 용융 유리 (MG) 가 넘쳐 유출되는 돌출부가 1 개만이어도 된다.
그 외에도,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 제 1 성형 장치 (100) 및 제 2 성형 장치 (200) 를 예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양태는, 제 1 성형 장치 (100) 및 제 2 성형 장치 (200)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성형 장치는, 제 2 단부 근방에 있어서, 채널폭이 제 2 단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제 2 단부에서 0 에 이르는 구성을 갖는 한, 어떠한 양태를 가져도 된다.
본원은, 2020년 6월 25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제 2020-109936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동일본국 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원에 참조에 의해 원용한다.
1 : 종래의 성형 장치
3 : 제 1 단부
5 : 제 2 단부
7 : 공급관
8a, 8b : 외측면
9 : 합류변
11 : 제 1 부분
12a, 12b : 돌출부
13a, 13b : 상면
14a, 14b : 내면
15a, 15b : 외면
17 : 바닥면
22 : 채널
31 : 제 2 부분
33a, 33b : 외표면
40a : 제 1 용융 유리 부분
40b : 제 2 용융 유리 부분
50 : 차단벽
52 : 정체부
100 : 제 1 성형 장치
103 : 제 1 단부
105 : 제 2 단부
107 : 공급관
108a : 제 1 외측면
108b : 제 2 외측면
109 : 합류변
111 : 제 1 부분
112a, 112b : 돌출부
113a, 113b : 상면
114a, 114b : 내면
115a, 115b : 외면
117 : 바닥면
122 : 채널
131 : 제 2 부분
133a : 제 1 외표면
133b : 제 2 외표면
151 : 선단벽
170a : 제 1 스토퍼
170b : 제 2 스토퍼
180 : 정류부
200 : 제 2 성형 장치
203 : 제 1 단부
205 : 제 2 단부
207 : 공급관
208a : 제 1 외측면
208b : 제 2 외측면
209 : 합류변
211 : 제 1 부분
212a, 212b : 돌출부
213a, 213b : 상면
214a, 214b : 내면
215a, 215b : 외면
217 : 바닥면
222 : 채널
231 : 제 2 부분
233a : 제 1 외표면
233b : 제 2 외표면
252 : 방향 조정 부재
260a : 제 1 벽
260b : 제 2 벽
262 : 접합 위치
265a : 제 1 종점
265b : 제 2 종점
270a : 제 1 스토퍼
270b : 제 2 스토퍼
280 : 정류부
GR : 유리 리본
MG : 용융 유리

Claims (10)

  1.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 장치로서,
    제 1 단부부터 제 2 단부까지 연신하는 축 방향을 갖고, 제 1 단부는, 용융 유리의 입구측이 되고,
    당해 성형 장치는, 상부에, 상기 제 1 단부부터, 상기 제 2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돌출부를 갖고, 양 돌출부 사이에는, 상기 제 1 단부부터 상기 제 2 단부를 향해 상기 용융 유리가 흐르는 채널이 형성되고,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채널의 상기 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채널폭으로 했을 때, 상기 채널의 상기 제 2 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상기 채널폭은, 상기 제 2 단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제 2 단부에서 0 (제로) 에 이르는, 성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채널의 상기 제 2 단부 근방은, 상기 제 2 단부를 향해 뾰족해진 형상을 갖는, 성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성형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2 돌출부보다 높은, 성형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채널폭을 2 분할하는 채널축을 갖고,
    상기 뾰족해진 형상은, 상기 채널축에 대해 대칭인 곡선을 갖는, 성형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채널폭을 2 분할하는 채널축을 갖고,
    상기 뾰족해진 형상은, 상기 채널축에 대해 대칭인, 1 또는 2 이상의 직선을 갖는, 성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채널 내에는, 방향 조정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방향 조정 부재는, 상기 채널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벽 및 제 2 벽을 갖고,
    상기 채널은, 상기 채널폭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채널폭을 2 분할하는 채널축을 갖고,
    상기 제 1 벽 및 상기 제 2 벽은, 상기 채널축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갖고, 상기 채널축 상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접합 위치에서, 서로 합체되고,
    상기 접합 위치는, 상기 제 1 단부부터 상기 제 2 단부의 사이 (단 상기 제 2 단부는 제외한다) 중 어느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접합 위치보다 상기 제 2 단부의 측에서는, 상기 채널폭은, 상기 제 1 벽부터 상기 제 1 돌출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 2 벽부터 상기 제 2 돌출부까지의 거리의 합으로 나타내고,
    상기 접합 위치에서는, 상기 채널폭은, 상기 제 1 벽부터 상기 제 1 돌출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 2 벽부터 상기 제 2 돌출부까지의 거리의 합과 동일한, 성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벽 및 상기 제 2 벽은, 곡선을 갖는, 성형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벽 및 상기 제 2 벽은, 1 또는 2 이상의 직선을 갖는, 성형 장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벽 및 제 2 벽은, 상기 접합 위치로부터 제 2 단부에 걸쳐서, 상기 채널폭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갖는, 성형 장치.
KR1020227044059A 2020-06-25 2021-06-17 성형 장치 KR202300296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09936 2020-06-25
JPJP-P-2020-109936 2020-06-25
PCT/JP2021/023042 WO2021261374A1 (ja) 2020-06-25 2021-06-17 成形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639A true KR20230029639A (ko) 2023-03-03

Family

ID=7928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059A KR20230029639A (ko) 2020-06-25 2021-06-17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10501A1 (ko)
EP (1) EP4174037A1 (ko)
JP (1) JPWO2021261374A1 (ko)
KR (1) KR20230029639A (ko)
CN (1) CN115697925A (ko)
TW (1) TW202212277A (ko)
WO (1) WO202126137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8696A (en) 1964-05-06 1967-08-29 Corning Glass Works Sheet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8765B2 (en) * 2000-05-09 2004-06-15 Richard B. Pitbladdo Overflow downdraw glass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50268658A1 (en) * 2004-06-02 2005-12-08 Adamowicz John A Glass sheet forming apparatus
JP5091396B2 (ja) * 2005-10-24 2012-12-0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成形装置搭載耐火物成形体及び板ガラスの成形方法
CN101374778B (zh) * 2005-12-15 2012-12-12 康宁股份有限公司 溢流下拉玻璃形成方法和装置
JP5850332B2 (ja) * 2012-03-09 2016-02-03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薄板ガラスの成形装置及びその成形方法
CN202924895U (zh) * 2012-10-11 2013-05-08 富荞企业管理顾问有限公司 溢流式平板玻璃成型器
CN107750240A (zh) * 2015-06-12 2018-03-02 康宁股份有限公司 具有减压腔的玻璃制造设备和方法
CN108793689B (zh) * 2018-08-01 2021-08-03 彩虹显示器件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基板一体化溢流成型控制装置
CN209024403U (zh) * 2018-08-01 2019-06-25 彩虹显示器件股份有限公司 一种基板玻璃溢流成型装置
CN108996895B (zh) * 2018-08-01 2021-10-08 彩虹显示器件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基板溢流成型析晶控制装置
JP2020109936A (ja) 2018-12-28 2020-07-16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8696A (en) 1964-05-06 1967-08-29 Corning Glass Works Sheet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74037A1 (en) 2023-05-03
WO2021261374A1 (ja) 2021-12-30
CN115697925A (zh) 2023-02-03
TW202212277A (zh) 2022-04-01
US20230110501A1 (en) 2023-04-13
JPWO2021261374A1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4552B2 (ja) 薄板ガラス製造装置
CN104736488B (zh) 玻璃板的成形方法、及玻璃板的成形装置
JP2006182622A (ja) 板ガラス製造装置及び板ガラス製造方法
WO2011121802A1 (ja) 浸漬ノズル
KR20230029639A (ko) 성형 장치
US201903300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heet width attenuation of sheet glass
JP6085571B2 (ja) 連続鋳造用鋳型
JP5892986B2 (ja) 複合式ガラス成形システム
WO2017081934A1 (ja) 浸漬ノズル
WO2017087230A1 (en)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es with cooling devic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2012183544A (ja) 浸漬ノズル
JP2019112255A (ja)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04150746B (zh) 浮法平板玻璃的制造方法及装置
JP5850332B2 (ja) 薄板ガラスの成形装置及びその成形方法
EP2111316B1 (en) A submerged entry nozzle
KR20210029216A (ko)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7134105B2 (ja) 浸漬ノズル
CN112368244B (zh) 玻璃物品的制造方法以及制造装置
WO2015158439A1 (en) Submerged entry nozzle for continuous casting
JP2015174780A (ja) 板ガラスの成形装置、及び板ガラスの成形方法
JP2010144189A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製造装置
JP6740746B2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およびガラス板製造装置
JPS5939377B2 (ja) フロ−ト法による薄板ガラスの製造法
TWM541110U (zh) 漿料供應裝置
TWM478685U (zh) 溢流式平板玻璃成型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