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9216A -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29216A KR20210029216A KR1020217003042A KR20217003042A KR20210029216A KR 20210029216 A KR20210029216 A KR 20210029216A KR 1020217003042 A KR1020217003042 A KR 1020217003042A KR 20217003042 A KR20217003042 A KR 20217003042A KR 20210029216 A KR20210029216 A KR 202100292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lass
- molten glass
- bent portion
- adjustment tank
- molded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3
- 239000006060 molten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0265 homogen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352 cla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3 slow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280 down draw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60 Pt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5 clar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31 devit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4—Forming glass sheets by the overflow downdraw fusion process; Isopipe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6—Outlets, e.g. drains, siphons; Overflows, e.g. for supplying the float tank, twe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상태 조정조(7)로 상태의 조정이 이루어진 용융 유리(Gm)를 성형체(8)에 공급하고, 유리 리본(Gr)을 성형함에 있어서, 상태 조정조(7)의 유출구(7e)에 접속관(12)의 제 1 굽힘부(13)를 접속하고, 성형체(8)의 유입구(8c)에 접속관(12)의 제 2 굽힘부(14)를 접속함과 아울러, 상태 조정조(7)의 내부에 유입할 때의 용융 유리(Gm)의 흐름 방향을 기준 흐름 방향(d0)으로 했을 때, 제 1 굽힘부(13)를 상태 조정조(7)의 유출구(7e)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제 1 굽힘부(13)를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d0)과 같은 방향의 제 1 방향(d1)으로 구부리고, 또한 제 2 굽힘부(14)를 제 1 방향(d1)로부터, 제 2 굽힘부(14)를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d0)에 대하여 좌우 어느 한 방향의 제 2 방향(d2)으로 구부린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성형체에 이르는 용융 유리의 반송 경로를 개량함으로써 제조 라인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미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유리 롤이나 판 유리의 제조 라인은 용융 유리가 흐르는 용융 라인과, 유리 리본이 흐르는 가공 라인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용융 라인은 예를 들면, 상류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용해조와, 청징조와, 교반조 등의 균질화조와, 상태 조정조와, 성형체를 구비함과 아울러, 이들 각 조와 성형체가 용융 유리의 공급관으로 접속된 구성을 이룬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또한, 유리 롤의 제조 라인에 있어서, 유리 리본의 반송 방향은 종 방향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전환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를 참조). 이 때문에, 가공 라인은 제조 라인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용융 라인의 종단(성형체)으로부터 용융 라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리 롤의 제조 라인에 있어서는 용융 라인과 가공 라인이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된다. 이 경우, 유리 롤의 제조 라인을 병렬로 배치하면, 가공 라인만큼 용융 라인 사이의 거리를 두지 않으면 안되어 설치 스페이스 상의 낭비가 발생한다. 또한, 용융 라인과 가공 라인이 직교하는 위치 관계밖에 채택되지 않는 것 같다면, 제조 라인의 레이아웃이 제한되어 레이아웃을 유연하게 변경하는 것도 어렵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레이아웃이 생각된다. 이 레이아웃에 있어서는 상태 조정조(101)는 도면에 나타내 않은 균질화조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성형체(102)는 상태 조정조(101)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도 8을 참조). 그리고, 균질화조와 상태 조정조(101)가 소정 형상의 접속관(103)(도 9를 참조)으로 접속됨과 아울러, 상태 조정조(101)와 성형체(102)가, 소정의 방향에 구부러진 형상을 이루는 접속관(104)(도 8을 참조)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상태 조정조(101)의 유출구(101a)는 하방을 향하고 있고(도 8을 참조), 이 유출구(101a)에 접속되는 접속관(104)이 이 접속관(104)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상태 조정조(101)내로의 용융 유리(Gm)의 유입 방향(d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도 9를 참조). 이와 같이, 접속관(104)을 구부린 구성으로 함으로써, 유리 리본(Gr)의 이송 방향(D0)과, 용융 유리(Gm)의 흐름 방향(상태 조정조(101) 내부로의 용융 유리(Gm)의 유입 방향(d0))이 평행하게 되므로, 용융 라인과 가공 라인을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8 및 도 9중, 부호(101b)는 상태 조정조(101)의 유입구, 부호(102a)는 성형체(102)의 유입구, 부호(Gr1, Gr2)는 성형되는 유리 리본(Gr)의 폭 방향 양 단부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용융 라인을 구비한 제조 라인을 가동한 경우, 성형체(102)에 이르기까지의 각 조(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균질화조(105)나 상태 조정조(101)) 내에 용융 유리(Gm)의 정체 영역(R1, R2)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들 정체 영역(R1, R2)내의 용융 유리(Gm1',Gm2')는 정체 영역(R1, R2)을 통과하지 않고 성형체(102)에 이른 용융 유리(Gm)와, 다른 온도 이력을 거치고 있기 때문에, 이질로 되기 쉽다. 종래 구성의 용융 라인이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체 영역(R1, R2) 내의 용융 유리(Gm1',Gm2')는 상태 조정조(101)의 하방으로부터 접속관(106)을 흘러서, 성형체(102)의 유입구(102a)의 상부 또는 하부를 통과하고, 유리 리본(Gr)의 폭 방향 양 단부(Gr1, Gr2)가 된다. 유리 리본(Gr)의 폭 방향 양 단부(Gr1, Gr2)는 통상, 그 후의 가공 라인에 있어서 절단 등에 의해 제거되기 때문에, 이질의 용융 유리(Gm1',Gm2')가 최종 제품 내에 남지 않아 특별히 문제는 없다. 이에 대하여 상기 제안의 용융 라인(도 8 및 도 9을 참조)의 경우, 접속관(104)을, 하방으로부터 상태 조정조(101)로의 용융 유리(Gm)의 유입 방향(d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리고 있기 때문에,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체 영역(R1, R2)의 용융 유리(Gm1',Gm2')는 접속관(104) 중 종래 구성의 용융 라인에 있어서 흐르는 부분(도 11)과는 다른 부분을 흘러, 성형체(102)의 유입구(102a) 중 상하 방향의 중간부를 통과하고, 성형체(8) 내로 유입한다. 그 때문에 이들 정체 영역(R1, R2)의 용융 유리(Gm1',Gm2')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리본(Gr)의 폭 방향 양 단부(Gr1, Gr2) 사이에 위치하는 제품 부분에 혼입하고, 가공 후의 유리 리본(Gr)(즉, 제품으로서의 유리 롤이나 유리판)에 이질의 용융 유리(Gm1',Gm2')가 남아 제품 불량을 발생시킨다.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용융 라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질의 용융 유리가 유리 리본의 제품 부분에 남는 사태를 방지하면서, 유리 물품의 제조 라인의 레이아웃에 관한 자유도를 높이는 것을, 해결해야 할 기술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즉, 이 제조 방법은 용융 유리 생성 장치로 용융 유리를 생성하는 생성 공정과, 생성된 용융 유리의 상태를 상태 조정조로 조정하는 상태 조정 공정과, 상태의 조정이 이루어진 용융 유리를 성형체에 공급해서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구비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성형체의 유입구가 제 1 굽힘부와 제 2 굽힘부를 갖는 접속관으로 접속되고,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제 1 굽힘부가 접속되고, 제 2 굽힘부와 성형체의 유입구가 접속되고, 용융 유리 생성 장치측으로부터 상태 조정조의 내부로 유입할 때의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을 기준 흐름 방향으로 했을 때, 제 1 굽힘부는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제 1 굽힘부를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과 같은 방향의 제 1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고, 또한 제 2 굽힘부는 제 1 방향으로부터, 제 2 굽힘부를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에 대하여 좌우 어느 한 방향의 제 2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는 점을 가져서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는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접속되는 제 1 굽힘부의 굽힘 방향을, 제 1 굽힘부를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정했다. 이것에 의해,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종래 구성의 용융 라인의 경우와 동일하게,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는 성형체의 유입구의 상부 또는 하부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는 성형체에 의해 성형되는 유리 리본의 폭 방향 양 단부에 도달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관을 구부림으로써, 성형체의 유입구의 방향을, 제 2 굽힘부의 굽힘 방향(제 2 방향)에 의해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이질의 용융 유리가 가공 후의 유리 리본에 남아서, 제품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사태를 가급적으로 방지하면서, 제조 라인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은 모두 수평 방향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을 모두 수평 방향으로 함으로써 제 1 굽힘부의 하류단에 있어서의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함과 아울러, 제 2 굽힘부에 의한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 변환을 수평면 상에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성형체의 유입구가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한 경우,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가 접속관(제 1 굽힘부, 제 2 굽힘부)에 유입했을 때의 위치 관계를 성형체에 도달할 때까지 유지하고, 이들 바람직하지 않은 용융 유리가 유리 리본의 제품 부분에 혼입하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성형체는 오버플로우 홈으로부터 넘쳐 나온 용융 유리를 양 측면을 따라 유하시킴으로써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것이고, 성형체의 유입구는 양 측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되고, 또한 제 1 방향과 제 2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유리 물품은 유리 리본을 롤 형상으로 권취해서 이루어지는 유리롤이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성형체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부러진 형태를 이루는 제 2 굽힘부를 접속함으로써, 기준 흐름 방향과, 성형체에 의해 성형되는 유리 리본의 주표면의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유리 롤의 제조 공정에서는 성형된 유리 리본은 하방으로 인출된 후, 현수선(catenary)을 통해서 수평 방향으로 방향 전환해서 반송되므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용융 라인과 가공 라인을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리 롤의 제조 라인을 그 폭 방향(용융 라인에 있어서는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말하고, 가공 라인에 있어서는 유리 리본의 폭 방향을 말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일함)으로 좁힐 수 있으므로, 유리 롤의 제조 라인을 병렬로 복수 배치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즉, 이 제조 장치는 용융 유리를 생성하는 용융 유리 생성 장치와, 생성한 용융 유리의 상태를 조정하는 상태 조정조와, 상태의 조정이 이루어진 용융 유리를 유리 리본에 성형하는 성형체를 구비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성형체의 유입구가, 제 1 굽힘부와 제 2 굽힘부를 갖는 접속관으로 접속되고,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제 1 굽힘부가 접속되고, 제 2 굽힘부와 성형체의 유입구가 접속되고, 용융 유리 생성 장치측으로부터 상태 조정조의 내부로 유입할 때의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을 기준 흐름 방향으로 했을 때, 제 1 굽힘부는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제 1 굽힘부를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과 같은 방향의 제 1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고, 또한 제 2 굽힘부는 제 1 방향으로부터, 제 2 굽힘부를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에 대하여 좌우 어느 한 방향의 제 2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는 점을 가져서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에 있어서도,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접속되는 제 1 굽힘부의 굽힘 방향을, 제 1 굽힘부를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설정함으로써,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는 성형체의 유입구의 상부 또는 하부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는 성형체에 의해 성형되는 유리 리본의 폭 방향 양 단부에 도달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관을 구부림으로써, 성형체의 유입구의 방향을, 제 2 굽힘부의 굽힘 방향(제 2 방향)에 의해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이질의 용융 유리가 유리 리본의 폭 방향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품 부분에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사태를 가급적으로 방지하면서, 제조 라인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융 라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질의 용융 유리가 유리 리본의 제품 부분에 남는 사태를 방지하면서, 유리 물품의 제조 라인의 레이아웃에 관한 자유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요부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의 요부를 평면으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제 4 접속관 및 그 주변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제 4 접속관 및 그 주변부를 평면으로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제 4 접속관 및 그 주변부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가 성형체 내부에 이르기까지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그린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제 4 접속관을 Y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의 비교에 사용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요부를 측면으로 본 도면으로서, 상태 조정조와 성형체를 접속하는 접속관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접속관을 평면으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접속관을 구비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가 성형체 내부에 이르기까지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그린 정면도이다.
도 11은 종래 구성에 따른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가 성형체 내부에 이르기까지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그린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의 흐름을 Y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요부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의 요부를 평면으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제 4 접속관 및 그 주변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제 4 접속관 및 그 주변부를 평면으로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제 4 접속관 및 그 주변부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가 성형체 내부에 이르기까지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그린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제 4 접속관을 Y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의 비교에 사용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요부를 측면으로 본 도면으로서, 상태 조정조와 성형체를 접속하는 접속관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접속관을 평면으로 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접속관을 구비한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가 성형체 내부에 이르기까지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그린 정면도이다.
도 11은 종래 구성에 따른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가 성형체 내부에 이르기까지의 흐름을 모식적으로 그린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내는 정체 영역의 용융 유리의 흐름을 Y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의 요부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 1∼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1)를 정면으로부터 본 도면, 도 2는 같은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1)를 평면으로 본 도면이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조 장치(1)는 대별해서 용융 유리(Gm)가 흐르는 용융 라인(2)과, 성형된 유리 리본(Gr)의 가공 라인(3)을 구비한다. 이 중, 용융 라인(2)은 최상류역에 배치된 용융 유리 생성 장치로서의 용해조(4)과, 용해조(4)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청징조(5)와, 청징조(5)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균질화조(6)와, 균질화조(6)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상태 조정조(7)와, 상태 조정조(7)의 더욱 하류측에 설치되는 성형체(8)와, 각 조(4∼7) 및 성형체(8)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관(9∼12)을 구비한다.
또한, 유리 리본(Gr)의 가공 라인(3)은 예를 들면, 어느 쪽의 도면에도 나타내는 것은 생략하지만, 성형체(8)의 하방에 위치하고, 성형체(8)로 성형한 유리 리본(Gr)에 서랭 처리를 실시하는 서랭 처리부와, 서랭 처리가 실시된 유리 리본(Gr)을 소정의 온도, 예를 들면 실온 부근에까지 냉각하는 냉각부와, 냉각 후의 유리 리본(Gr)의 이송 방향을 종 방향으로부터 횡 방향으로 전환하는 방향 전환부와, 횡 방향으로 반송되는 유리 리본(Gr)의 폭 방향 양 단부(귀부라고도 한다)를 유리 리본(Gr)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제 1 절단부와, 폭 방향 양 단부가 제거된 유리 리본(Gr)을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하는 제 2 절단부와, 제 2 절단부를 통과한 유리 리본(Gr)을 롤형상으로 권취하는 권취부를 구비한다. 물론, 상술의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상술한 구성 요소의 일부를 변경, 생략해도 되고, 또는 상기 이외의 구성 요소를 필요에 따라서 추가해도 된다. 이하, 용융 라인(2)에 대해서, 상태 조정조(7)과 성형체(8)의 접속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용해조(4)는 투입된 유리 원료를 용해하고, 용융 유리(Gm)를 생성하는 생성 공정을 행하기 위한 용기이다. 용해조(4)는 제 1 접속관(9)에 의해 청징조(5)에 접속되어 있다.
청징조(5)는 제 1 접속관(9)을 통해서 용해조(4)로부터 공급된 용융 유리(Gm)를 청징제 등의 기능에 의해 청징하는 청징 공정을 행하기 위한 용기이다. 청징조(5)는 제 2 접속관(10)에 의해 균질화조(6)에 접속되어 있다.
균질화조(6)는 청징된 용융 유리(Gm)를 교반하고, 균일화하는 균질화 공정을 행하기 위한 용기이다. 균질화조(6)는 제 3 접속관(11)에 의해 상태 조정조(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균질화조(6)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이어도 되고, 2개 이상 나열하여 설치해도 된다.
상태 조정조(7)는 용융 유리(Gm)를 성형에 적당한 상태로 조정하는 상태 조정 공정을 행하기 위한 용기이고, 예를 들면 성형체(8)에 공급하는 용융 유리(Gm)의 유량을 조정한다. 상태 조정조(7)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접속관(11)이 접속되고, 제 3 접속관(11)으로부터 용융 유리(Gm)가 유입하는 상부(7a)와, 상태의 조정이 이루어진 용융 유리(Gm)가 유출하는 하부(7b)와, 상부(7a)와 하부(7b)를 연결하는 중간부(7c)를 구비한다. 상부(7a)의 측면에는 용융 유리(Gm)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구(7d)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7b)의 하단에는 용융 유리(Gm)의 유출구(7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상태 조정조(7)는 제 4 접속관(12)에 의해 성형체(8)에 접속되어 있다.
성형체(8)는 용융 유리(Gm)를 소망의 형성으로 성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성형체(8)는 오버플로우 다운 드로우법에 의해 용융 유리(Gm)룰 띠형상으로 성형한다. 상세하게는 성형체(8)는 단면 형상이 대략 쐐기 형상을 이루고, 그 상부에 오버플로우 홈(8a)을 가짐과 아울러, 오버플로우 홈(8a)으로부터 넘쳐 나온 용융 유리(Gm)를 유하시키는 양 측면(8b, 8b)을 갖는다. 상기 구성에 따른 성형체(8)는 양측면(8b, 8b)을 따라 유하시킨 용융 유리(Gm)를 양 측면(8b, 8b)의 하부 정부(頂部)에서 융합시키고, 띠형상의 유리 리본(Gr)으로 성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성형된 유리 리본(Gr)은 예를 들면, 두께가 0.01∼2mm(바람직하게는 0.3mm 이하)이고,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유기 EL 조명, 태양 전지 등의 기판이나 보호 커버에 이용된다. 또한, 성형체(8)는 슬롯다운 드로우법 등의 다른 다운 드로우법을 실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제 1 접속관(9)∼제 4 접속관(12)은 예를 들면, 백금 또는 백금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원통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용해조(4)로부터 용융 유리(Gm)를 하류측에 인접하는 각 조(5∼7) 및 성형체(8)에 순차적으로 이송한다.
도 3은 상태 조정조(7)와 성형체(8)를 접속하는 제 4 접속관(12) 및 그 주변부를 비스듬하게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접속관(12)은 제 1 굽힘부(13)와 제 2 굽힘부(14)를 갖는다. 이 중 제 1 굽힘부(13)의 상류단은 상태 조정조(7)와 접속되어 있고, 제 2 굽힘부(14)의 하류단은 성형체(8)와 접속되어 있다. 제 1 굽힘부(13)의 하류단과 제 2 굽힘부(14)의 상류단은 직접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굽힘부(13)와 제 2 굽힘부(14)는 서로 다른 가상 평면 상에서 각각 구부러져 있다. 예를 들면, 연직 방향을 Z방향, 도 4와 같이 상태 조정조(7)를 Z방향(연직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유입구(7d)를 통해서 상태 조정조(7)의 내부로 유입하는 용융 유리(Gm)의 흐름 방향을 Y방향, 이 흐름 방향(Y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X방향이라고 했을 때, 제 1 굽힘부(13)는 YZ평면 상에서 구부러지고, 제 2 굽힘부(14)는 XY 평면 상에서 구부러져 있다.
또한, 상태 조정조(7)에 이르는 용융 유리(Gm)의 흐름 방향과의 관계로 말하면, 제 1 굽힘부(13)는 상태 조정조(7)의 유출구(7e)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굽힘부(13)를 평면으로 본(연직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d0)과 같은 방향의 제 1 방향(d1)으로 구부러져 있다. 여기서, 기준 흐름 방향(d0)은 균질화조(6)측으로부터 유입구(7d)를 통해서 상태 조정조(7)의 내부에 유입할 때의 용융 유리(Gm)의 흐름 방향을 말한다. 따라서, 기준 흐름 방향(d0)은 도 8 및 도 9 중의 부호(d0)로 나타내는 상태 조정조(7) 내로의 용융 유리(Gm)의 유입 방향과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X방향 및 Y방향은 수평 방향, Z방향은 연직 방향이고, 기준 흐름 방향(d0)과 제 1 방향(d1)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직 상방으로부터 본 경우에는,모두 Y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기준 흐름 방향(d0)은 Y방향보다 약간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고 있고, 제 1 방향(d1)은 Y방향을 향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태 조정조(7)의 유출구(7e)가 연직 하방을 향하고 있는 경우, 제 1 굽힘부(13)는 Z방향(연직 방향)으로부터 Y방향(수평 방향)으로 90° 구부러져 있다.
동일하게, 상태 조정조(7)에 이르는 용융 유리(Gm)의 흐름 방향과의 관계로 말하면, 제 2 굽힘부(14)는 제 1 방향(d1)으로부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굽힘부(14)를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d0)에 대하여 좌우 어느 한 방향의 제 2 방향(d2)으로 구부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준 흐름 방향(d0)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직 상방으로부터 본 경우에는 Y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에 반해, 제 2 방향(d2)은 X방향(의 정의 방향)을 향하고 있다. 기준 흐름 방향(d0)과 제 2 방향(d2)이 이루는 각도는 90°이다. 따라서, 제 1 방향(d1)과 제 2 방향(d2)이 이루는 각도도 90°이다. 이 경우, 제 2 굽힘부(14)는 Y방향(수평 방향)으로부터 X방향(수평 방향)으로 90° 구부러져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제조 장치(1)를 사용한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특히 상태 조정조(7)로부터 성형체(8)에 이르는 용융 유리(Gm)의 흐름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구성을 이루는 제조 장치(1)를 사용해서 유리 물품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유리 원료를 용융 라인(2)의 최상류역에 위치하는 용해조(4)에 투입하고, 유리 원료를 용해함으로써 용융 유리(Gm)를 생성한다. 이어서, 용융 유리(Gm)를 제 1 접속관(9)을 통해서 청징조(5)에 공급하고, 청징조(5)로 청징한 용융 유리(Gm)를 제 2 접속관(10)을 통해서 균질화조(6)에 공급한다. 균질화조(6)에 공급된 용융 유리(Gm)는 교반 등에 의해 균질화된 후, 제 3 접속관(11)을 통하여 상태 조정조(7)로 공급된다. 상태 조정조(7)내로 예를 들면, 유량을 조정한 용융 유리(Gm)가 제 4 접속관(12)을 통하여 성형체(8)로 공급된다. 성형체(8)에서는 예를 들면,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용융 유리(Gm)를 띠형상의 유리 리본(Gr)으로 성형한다. 성형된 유리 리본(Gr)은 용융 라인(2)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가공 라인(3) 상을 반송하여, 절단 등 상기한 적절한 가공 또는 처리를 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유리 롤이 얻어진다. 이렇게 하여, 유리 물품의 제조가 연속적으로 실시된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제조 장치(1)로 유리 물품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균질화조(6)의 저부에 용융 유리(Gm)의 정체 영역(R1)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정체 영역(R1)의 용융 유리(Gm1')는 제 3 접속관(11)의 하부를 통하여 상태 조정조(7) 내로 유입하고, 유출구(7e)의 균질화조(6)에 가까운 측(XYZ좌표계에서 말하면 -Y방향측)을 통하여 제 4 접속관(12)에 이른다. 또는 마찬가지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태 조정조(7)의 정부(頂部)(상부(7a) 중 유입구(7d)보다도 상방의 영역)에 용융 유리(Gm)의 정체 영역(R2)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정체 영역(R2)의 용융 유리(Gm2')는 유출구(7e)의 성형체(8)에 가까운 측(XYZ좌표계에서 말하면 +Y방향측)을 통하여 제 4 접속관(12)에 이른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태 조정조(7)와 성형체(8)를 접속하는 제 4 접속관(12)에 대해서, 제 4 접속관(12)에 제 1 굽힘부(13)와 제 2 굽힘부(14)를 설치하고(도 3을 참조), 또한 상태 조정조(7)의 유출구(7e)와 접속되는 제 1 굽힘부(13)의 굽힘 방향(제 1 방향(d1))을, 제 1 굽힘부(13)를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d0)과 같은 방향으로 설정했다(도 4를 참조). 이와 같이 제 1 굽힘부(13)의 굽힘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정체 영역(R1)의 용융 유리(Gm1')는 제 1 굽힘부(13)의 외측 영역(13a)을 통하여 제 2 굽힘부(14)의 하부(14a)에 이른다. 또는 정체 영역(R2)의 용융 유리(Gm2')는 제 1 굽힘부(13)의 내측 영역(13b)을 통하여 제 2 굽힘부(14)의 상부(14b)에 이른다(모두 도 6을 참조). 여기서, 제 2 굽힘부(1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방향(d1)으로부터, 제 2 굽힘부(14)를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d0)에 대하여 좌우 어느 한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좌방향)으로 구부림으로써 정체 영역(R1)의 용융 유리(Gm1')는 계속해서 제 4 접속관(12)(제 2 굽힘부14)의 하부(14a)를 흘러서 성형체(8)의 유입구(8c)의 하부에 이른다. 또는 정체 영역(R2)의 용융 유리(Gm2')는 계속해서 제 4 접속관(12)(제 2 굽힘부14)의 상부(14b)를 통하여 성형체(8)의 유입구(8c)의 상부에 이른다(모두 도 7을 참조). 성형체(8)의 내부에 유입한 각 정체 영역(R1, R2)의 용융 유리(Gm1',Gm2')는 유리 리본(Gr)의 폭 방향 양 단부(Gr1, Gr2)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 4 접속관(12) 내에 유입했을 때의 정체 영역(R1, R2)의 용융 유리(Gm1',Gm2')의 위치를 제 4 접속관(12)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가급적으로 유지하고, 성형체(8)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이들 이질의 용융 유리(Gm1',Gm2')가 가공 후의 유리 리본(Gr)에 남아서 제품의 품질이 저하하는 사태를 가급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굽힘부(14)의 굽힘 방향에 대해서는 제 2 굽힘부(14)을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d0)에 대하여 좌우 어느 한 방향이면 되므로, 굽힘 후의 방향, 즉 제 2 방향(d2)을 상기 범위 내에서 적당하게 설정함으로써, 성형체(8)의 방향, 나아가서는 성형체(8)로 성형되는 유리 리본(Gr)의 가공 라인(3)의 방향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성형체(8)의 유입구(8c)를, 상부의 오버플로우 홈(8a)으로부터 넘쳐 나온 용융 유리(Gm)를 유하시키는 양 측면(8b, 8b)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설치함과 아울러, 제 2 굽힘부(14)의 구부러짐 전의 방향인 제 1 방향과, 구부러진 후의 방향인 제 2 방향(d2)이 이루는 각도를 90°로 설정했다. 이와 같이 제 2 굽힘부(14)의 굽힘 각도와 그 자세를 성형체(8)의 유입구(8c)와의 관계로 정함으로써, 기준 흐름 방향(d0)과, 성형체(8)에 의해 성형되는 유리 리본(Gr)의 주표면의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성형된 유리 리본(Gr)은 하방으로 인출된 후, 현수선을 통해서 수평 방향으로 방향 전환하여 반송되므로, 상기 구성 에 의하면, 용융 라인(2)과 가공 라인(3)을 일직선 상에 배치할 수 있다(도 2를 참조). 이것에 의해, 유리 롤의 제조 라인을 그 폭 방향으로 좁힐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유리 롤의 제조 장치(1)(제조 라인)를 병렬로 복수 배치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는 상기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굽힘부(13) 및 제 2 굽힘부(14)의 굽힘 방향을 규정할 때의 기준이 되는 기준 흐름 방향(d0)(유입구(7d)를 통해서 상태 조정조(7) 내부에 유입할 때의 용융 유리(Gm)의 흐름 방향)을 수평 방향보다도 약간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기준 흐름 방향(d0)은 예를 들면, 수평 방향이어도 되고, 그 이외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기준 흐름 방향(d0)과 제 1 방향(d1)이 XYZ좌표계에 있어서 평행하지 않아도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연직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d0)과 제 1 방향(d1)이 동일 방향이면 된다. 또한, 제 2 방향(d2)도 수평 방향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연직 상방으로부터 본 상태에서, 기준 흐름 방향(d0)에 대하여 제 2 방향(d2)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동일 방향이 아닌) 관계이면 된다. 또한, 이상의 것으로부터, 제 1 굽힘부(13)에 있어서의 굽힘 각도(상태 조정조(7)의 유출구(7e)의 방향과 제 1 방향(d1)이 이루는 각도)는 90°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제 2 굽힘부(14)에 있어서의 굽힘 각도(제 1 방향(d1)와 제 2 방향(d2)이 이루는 각도)도 90°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범위 내에 있어서 임의의 각도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경 치수가 일정한 제 3 접속관(11)을 상태 조정조(7)에 접속한 경우를 예시했지만(도 5를 참조), 물론 이외의 접속 형태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그 일례(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제 3 접속관(11)과 상태 조정조(7)의 접속 부분을 정면으로부터 확대하여 본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접속관(11)은 본체부(11a)와, 본체부(11a)와 상태 조정조(7)측 사이에 위치하고, 본체부(11a)측으로부터 상태 조정조(7)측을 향해서 횡단면적(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 있어서의 면적, 이하, 단지 「단면적 」이라고도 한다)이 점차 변화되는 단면적 변화부(11b)를 갖는다. 이것에 의해, 제 3 접속관(11)의 본체부(11a)와 상태 조정조(7)가, 단면적 변화부(11b)를 통해서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접속관(11)의 본체부(11a)의 단면적을 S1, 상태 조정조(7)의 상부(7a)의 단면적을 S2라고 하면, 본체부(11a)의 단면적 S1은 상부(7a)의 단면적 S2와 다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11a)의 단면적 S1은 상부(7a)의 단면적 S2보다 작다. 이 경우, 단면적 변화부(11b)의 단면적이 본체부(11a)측으로부터 상태 조정조(7)측을 향해서 점차 증대하도록, 단면적 변화부(11b)의 내면(11c)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면적 변화부(11b)의 내면(11c)의 종단면(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의 형상이 원호 형상이다. 이 때문에, 단면적 변화부(11b)의 내면(11c)은 통형상이고, 본체부(11a)측으로부터 상태 조정조(7)측을 향해서 확경되어 있다.
본체부(11a)의 단면적 S1은 상부(7a)의 단면적 S2의 0.75배 이상이고, 또한 1.25배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본체부(11a)의 단면적 S1을 상부(7a)의 단면적 S2보다 작게 하는 경우에는 본체부(11a)의 단면적 S1을, 상부(7a)의 단면적 S2의 0.75배 이상이고 또한 0.96배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본체부(11a)의 내경은 150mm 이상이고 또한 300mm 이하로 설정할 수 있고, 단면적 변화부(11b)의 내면(11c)의 곡률 반경은 10mm 이상이고 또한 50mm 이하로 설정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mm 이상이고 또한 40mm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태 조정조(7)의 하부(7b)와, 제 1 굽힘부(13)의 상류단(13c)는 엣지 커팅된 상태에서(상태 조정조(7)의 하부(7b)와 제 1 굽힘부(13)의 상류단(13c)이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용융 유리(Gm)를 상태 조정조(7)측으로부터 제 1 굽힘부(13)측으로 공급 가능하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7b)를 제 1 굽힘부(13)의 상류단(13c) 내주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태 조정조(7)에서 상태의 조정이 이루어진 용융 유리(Gm)를 제 1 굽힘부(13) 및 제 2 굽힘부(14)(제 4 접속관(12))를 통해서 성형체(8)에 공급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여기서, 상태 조정조(7)의 하부(7b)의 단면적을 S3, 제 1 굽힘부(13)의 상류단(13c)의 단면적을 S4라고 한 경우, 하부(7b)의 단면적 S3을, 상류단(13c)의 단면적 S4의 0.75배 이상으로 또한 0.96배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 3 접속관(11)이 상기 구성을 이루는 경우, 본체부(11a)와 상태 조정조(7) 사이의 단면적 변화부(11b)를 통과하는 용융 유리(Gm)의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800Pa·s 이상으로 설정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Pa·s 이상으로 설정된다. 한편, 실투를 억제하는 관점으로부터, 단면적 변화부(11b)를 통과하는 용융 유리(Gm)의 점도는 50000Pa·s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3 접속관(11)이 본체부(11a)와 상태 조정조(7) 사이에, 본체부(11a)측으로부터 상태 조정조(7)측을 향해서 단면적이 점차 변화되는 단면적 변화부(11b)를 갖도록 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3 접속관(11)으로부터 상태 조정조(7) 내부에 유입한 용융 유리(Gm)에 박리류가 발생하는 사태를 가급적으로 방지하고, 균질화조(6)의 저부에 정체하는 용융 유리(Gm1')(도 6을 참조)를 제 1 굽힘부(13)의 외측 영역(13a) 및 제 2 굽힘부(14)의 하부(14a)를 통하여 성형체(8) 중 유리 리본(Gr)의 폭 방향 일단부(Gr2)(도 7을 참조)가 되는 영역으로 확실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상태 조정조(7)의 상부(7a)에 정체하는 용융 유리(Gm2')를 제 1 굽힘부(13)의 내측 영역(13b) 및 제 2 굽힘부(14)의 상부(14b)를 통하여 성형체(8) 중 유리 리본(Gr)의 폭 방향 타단부(Gr1)(도 7을 참조)가 되는 영역에 확실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의하면, 성형 불량의 원인이 되는 이질의 용융 유리((Gm1')(Gm2'))가 가공 후의 유리 리본(Gr)에 남아서 제품으로서의 유리 물품의 품질 저하를 초래하는 사태를 가급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태 조정조(7)의 하부(7b)를, 제 1 굽힘부(13)의 상류단(13c) 내주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태 조정조(7)에서 상태의 조정이 이루어진 용융 유리(Gm)를 제 1 굽힘부(13) 및 제 2 굽힘부(14)(제 4 접속관(12))를 통해서 성형체(8)에 공급 가능하게 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물론, 제 1 굽힘부(13)의 상류단(13c)을 상태 조정조(7)의 하부(유출구(7e))에 직접 접속해도 된다. 또한, 제 4 접속관(12)(제 1 굽힘부(13), 제 2 굽힘부(14))와, 상태 조정조(7) 및 성형체(8)의 접속 형태는 상기 예시의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시는 생략하지만,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접속관을 통해서, 상태 조정조(7)의 유출구(7e)와 제 1 굽힘부(13)를 접속해도 되고, 상술한 원통 형상의 접속관을 통해서, 성형체(8)의 유입구(8c)와 제 2 굽힘부(14)를 접속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원통 형상의 접속관을 통해서, 제 1 굽힘부(13)와 제 2 굽힘부(14)를 접속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공 라인(3)으로 유리 리본(Gr)으로부터 유리 롤을 얻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가공 라인(3)으로 띠형상의 유리 리본(Gr)으로부터 유리판을 얻어도 된다. 이 경우, 가공 라인(3)은 상술의 서랭 처리부 및 냉각부에 더해, 유리 리본(Gr)을 소정의 길이마다 폭 방향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유리 리본(Gr)으로부터 유리판을 순차적으로 잘라 내는 제 1 절단부와, 절단에 의해 유리판의 폭 방향 양 단부를 제거하는 제 2 절단부를 구비한다.
Claims (5)
- 용융 유리 생성 장치로 용융 유리를 생성하는 생성 공정과, 생성한 상기 용융 유리의 상태를 상태 조정조에서 조정하는 상태 조정 공정과, 상태의 조정이 이루어진 상기 용융 유리를 성형체에 공급해서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구비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상기 성형체의 유입구가 제 1 굽힘부와 제 2 굽힘부를 갖는 접속관으로 접속되고,
상기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상기 제 1 굽힘부가 접속되고, 상기 제 2 굽힘부와 상기 성형체의 유입구가 접속되고,
상기 용융 유리 생성 장치측으로부터 상기 상태 조정조의 내부로 유입할 때의 상기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을 기준 흐름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제 1 굽힘부는 상기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1 굽힘부를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상기 기준 흐름 방향과 같은 방향의 제 1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고, 또한
상기 제 2 굽힘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2 굽힘부를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상기 기준 흐름 방향에 대하여 좌우 어느 한 방향의 제 2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은 모두 수평 방향인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체는 오버플로우 홈으로부터 넘쳐 나온 상기 용융 유리를 양 측면을 따라 유하시킴으로써 상기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것이고,
상기 성형체의 유입구는 상기 양 측면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로 설정되는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물품은 상기 유리 리본을 롤형상으로 권취하여 이루어지는 유리 롤인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 용융 유리를 생성하는 용융 유리 생성 장치와, 생성한 상기 용융 유리의 상태를 조정하는 상태 조정조와, 상태의 조정이 이루어진 상기 용융 유리를 유하시켜서 상기 유리 리본을 성형하는 성형체를 구비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상기 성형체의 유입구가 제 1 굽힘부와 제 2 굽힘부를 갖는 접속관으로 접속되고,
상기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상기 제 1 굽힘부가 접속되고, 상기 제 2 굽힘부와 상기 성형체의 유입구가 접속되고,
상기 용융 유리 생성 장치측으로부터 상기 상태 조정조의 내부로 유입할 때의 상기 용융 유리의 흐름 방향을 기준 흐름 방향으로 했을 때,
상기 제 1 굽힘부는 상기 상태 조정조의 유출구와 같은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1 굽힘부를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상기 기준 흐름 방향과 같은 방향의 제 1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고, 또한
상기 제 2 굽힘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 상기 제 2 굽힘부를 평면으로 본 상태에서 상기 기준 흐름 방향에 대하여 좌우 어느 한 방향의 제 2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물품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126797 | 2018-07-03 | ||
JP2018126797A JP7104882B2 (ja) | 2018-07-03 | 2018-07-03 |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PCT/JP2019/022205 WO2020008781A1 (ja) | 2018-07-03 | 2019-06-04 |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9216A true KR20210029216A (ko) | 2021-03-15 |
KR102616991B1 KR102616991B1 (ko) | 2023-12-27 |
Family
ID=6906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03042A KR102616991B1 (ko) | 2018-07-03 | 2019-06-04 |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7104882B2 (ko) |
KR (1) | KR102616991B1 (ko) |
CN (1) | CN112368243B (ko) |
WO (1) | WO202000878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608012B (zh) * | 2020-12-11 | 2022-03-29 | 芜湖东旭光电科技有限公司 | 加热调整装置和玻璃厚度调整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535694A (ja) * | 2007-08-08 | 2010-11-25 | ブルース テクノロジー エルエルシー | 光学品質ガラスのための溶融ガラス搬送装置 |
JP2011016705A (ja) | 2009-07-10 | 2011-01-27 |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 フィルム状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JP2012509845A (ja) * | 2008-11-26 | 2012-04-26 |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停滞している溶融材料の流動化 |
JP2016088754A (ja) | 2014-10-29 | 2016-05-23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製造装置及びガラス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748765B2 (en) * | 2000-05-09 | 2004-06-15 | Richard B. Pitbladdo | Overflow downdraw glass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
JP4711171B2 (ja) * | 2004-12-28 | 2011-06-29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板ガラス製造装置及び板ガラス製造方法 |
JP4905850B2 (ja) * | 2006-04-18 | 2012-03-28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物品製造装置 |
JP4990229B2 (ja) * | 2008-06-16 | 2012-08-01 | AvanStrate株式会社 | 板ガラス製造装置および板ガラス製造方法 |
US9242886B2 (en) * | 2010-11-23 | 2016-01-26 | Corning Incorporated | Delivery apparatus for a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s |
KR102200447B1 (ko) * | 2013-08-22 | 2021-01-11 |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 용융된 유리 처리 기기 및 그 방법 |
JP2016050148A (ja) * | 2014-08-29 | 2016-04-11 | AvanStrate株式会社 |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板の製造装置 |
KR20170066487A (ko) * | 2014-10-06 | 2017-06-14 |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 용융 유리의 유동을 변경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CN109415235A (zh) | 2016-06-23 | 2019-03-01 | 康宁股份有限公司 | 用于玻璃输送取向的设备和方法 |
-
2018
- 2018-07-03 JP JP2018126797A patent/JP7104882B2/ja active Active
-
2019
- 2019-06-04 WO PCT/JP2019/022205 patent/WO202000878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6-04 CN CN201980042040.3A patent/CN112368243B/zh active Active
- 2019-06-04 KR KR1020217003042A patent/KR1026169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535694A (ja) * | 2007-08-08 | 2010-11-25 | ブルース テクノロジー エルエルシー | 光学品質ガラスのための溶融ガラス搬送装置 |
JP2012509845A (ja) * | 2008-11-26 | 2012-04-26 |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停滞している溶融材料の流動化 |
JP2011016705A (ja) | 2009-07-10 | 2011-01-27 |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 フィルム状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JP2016088754A (ja) | 2014-10-29 | 2016-05-23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製造装置及びガラス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2368243B (zh) | 2022-12-02 |
JP7104882B2 (ja) | 2022-07-22 |
KR102616991B1 (ko) | 2023-12-27 |
WO2020008781A1 (ja) | 2020-01-09 |
CN112368243A (zh) | 2021-02-12 |
JP2020007168A (ja) | 2020-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048351B (zh) | 平板玻璃制造装置以及平板玻璃制造方法 | |
JP6521972B2 (ja) | 溶融ガラスを処理する装置および方法 | |
CN110291048B (zh) | 玻璃制造方法以及玻璃供给管的预热方法 | |
US10221085B2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cessing molten material | |
KR20190022671A (ko) | 드로우 바닥부에서의 장력 조절을 갖는 유리 제조 장치를 위한 다중-상승 구동 장치 | |
JP2021505508A (ja) | 薄いガラスシートの成形方法 | |
KR102616991B1 (ko) |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
JP7138843B2 (ja) |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 |
WO2019230340A1 (ja) |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KR20210101209A (ko) | 유리 물품의 제조 방법 | |
CN109890768B (zh) | 玻璃板制造装置及玻璃板制造方法 | |
US10377654B2 (en) |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glass articles | |
CN112368244B (zh) | 玻璃物品的制造方法以及制造装置 | |
KR102317952B1 (ko) | 판유리 제조 방법 및 판유리 제조 장치 | |
CN115697925B (zh) | 成形装置 | |
TW201410621A (zh) | 薄板玻璃之製造方法 | |
KR20160056015A (ko) | 유리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