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195A - 차량용 프런트 필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프런트 필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195A
KR20230029195A KR1020210111407A KR20210111407A KR20230029195A KR 20230029195 A KR20230029195 A KR 20230029195A KR 1020210111407 A KR1020210111407 A KR 1020210111407A KR 20210111407 A KR20210111407 A KR 20210111407A KR 20230029195 A KR20230029195 A KR 202300291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outer
front pillar
vehicle
panel
windshiel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락경
박종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1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9195A/ko
Priority to US17/883,231 priority patent/US20230060693A1/en
Priority to CN202211015758.3A priority patent/CN115716504A/zh
Publication of KR20230029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1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B60J1/006Mounting of windows characterised by fixation means such as clips, adhesive,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of special shape, e.g. beveled edges, holes for attachment, bent windows, peculiar curvatures such as when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roof, door, e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front, e.g. structure of the glazing, mounting of the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프런트 필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용 프런트 필러는 차량의 측면에 위치하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소정의 공간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사이에 위치하는 레인포스 멤버, 상기 레인포스 멤버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윈드실드 글라스 및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 끝단과 윈드실드 글라스를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프런트 필러{Front Pilla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프런트 필러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차량용 프런트 필러는 시계가 향상된 좌우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윈드실드 글라스를 장착하기 위한 필러의 구조 및 외부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구조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필러는 차량의 루프를 차체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로 형성된다.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필러는 A필러 혹은 A포스트라고 하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윈드실드 글라스의 양측부와 상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루프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량의 프런트 필러는 운전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전방 시야보다 앞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가리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프런트 필러에 의해 운전자가 볼 수 없는 사각지대가 차량의 전방에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각지대로 인해 차량을 좌회전 혹은 우회전할 경우에 교통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프런트 필러의 크기를 가능한 한 줄여서 상기 프런트 필러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지대의 크기를 줄이면 그만큼 상기 사각 지대로 인해 발생될 교통사고의 위험도 줄어든다.
그러나 상기 프런트 필로는 상기 윈드실드 글라스와 루프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적절한 강성을 가져야 하고, 또한 차량의 정면 충돌 시에도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 필요한 강성을 가져야 하므로, 상기 프런트 필러의 크기를 임의적으로 작게 형성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최근에는 차량의 전방 시계가 넓은 전방 글라스를 차용하는 차량이 증가하는 추세로서, 프런트 필러의 위치관계 재 설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윈드실드 글라스와 루프의 적절한 지지를 위한 강성과 정면 충돌 시에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강성을 가지면서 운전자의 전방 시야는 가능한 한 방해하지 않도록 프런트 필러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15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윈드실드 글라스의 양측면의 시계성 향상을 수행하기 위한 프런트 필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림부가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사출부를 일체로 감싸도록 구성되는 프런트 필러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용 프런트 필러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용 프런트 필러는 차량의 측면에 위치하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소정의 공간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사이에 위치하는 레인포스 멤버; 상기 레인포스 멤버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윈드실드 글라스; 및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 끝단과 윈드실드 글라스를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인접한 상기 윈드실드 글라스 일단에 위치하는 사출부; 및 상기 사출부의 측면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 끝단을 일체로 감싸도록 구성되는 몰딩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출부의 일단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몰딩부는 상기 사출부와 마주하는 일단에 위치하는 돌출부; 및 상기 사출부에 위치하여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유입홈;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사출부와 마주하는 제 1돌출부; 및 상기 사출부 끝단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로 삽입되는 제 2돌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과 루프 패널이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로부터 연장되는 익스텐션 패널;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출부는,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접하도록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와 상기 몰딩부 사이에 실링부가 상기 사출부와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몰딩부는 상기 사출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레인포스 멤버의 양단은 상기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 접하고, 상기 레인포스 멤버와 상기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사이에 폐단면을 형성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레인포스 멤버, 상기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 및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일단은 서로 접하여 위치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윈드실드 글라스 내측에 위치하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홈부 내측과 상기 윈드실드 글라스 끝단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면 시계성이 향상되는 프런트 필러 구조를 제공하여 사용자 안정성 측면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빗물 또는 이물질을 차폐할 수 있는 프런트 필러 구조를 제공하여 오염 방지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필러 면을 따라 굽혀진 형태로 구성되는 윈드실드 글라스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프런트 필러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윈드실드 글라스가 장착된 차량의 전면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윈드실드 글라스가 장착된 프런트 필러의 A-A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프런트 필러와 인접한 루프 판넬의 체결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윈드실드 글라스와 체결유닛이 사출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체결유닛과 마주하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헤밍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패널"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또는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 1, 제 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차량의 윈드실드 글라스(100)가 장착된 프런트 필러(200)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윈드실드 글라스(100)는 차량의 프런트 필러(200)에 고정되어 위치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윈드실드 글라스(100)는 차량의 전면 및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전면과 측면이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프런트 필러(200)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윈드실드 글라스(100)는 프런트 필러(200)의 전부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윈드실드 글라스(100)의 상단은 루프패널과 체결되어 위치되고, 프런트 필러(200)로부터 연장되는 익스텐션 패널(260)은 루프 패널(300)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프런트 필러(200)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220) 및 레인포스 멤버(25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윈드실드 글라스(100)의 양끝단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유닛(230)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결유닛(230)은 윈드실드 글라스(100) 양끝단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 사이에 위치하는바, 인서트 사출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사출부의 끝단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 사이에 위치하는 실링부(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의 외측면에 위치하고, 사출부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몰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몰딩부(240)는 차량의 도어와 인접한 위치에 구성될 수 있는바, 도어의 외측면을 따라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출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몰딩부(240)는 차량의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오염물 또는 빗물을 1차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고, 사출부 끝단에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 사이에 위치하는 실링부(500)는 오염물 또는 빗물을 2차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런트 필러(200)의 차량 내측에는 인테리어 트림(400)이 위치할 수 있어, 프런트 필러(200)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인테리어 트림(400)은 프런트 필러(200)를 따라 루프 트림과 체결될 수 있으며, 타단은 크러시 패드 상단과 접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프런트 필러(200)는, 차량의 외측 전방에서 보았을 때에 윈드실드 글라스(100)에 의해 가려져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윈드실드 글라스(100)는 프런트 필러(200)와 대응되는 위치로 굴곡지도록 구성된다.
즉, 윈드실드 글라스(100)는 종래의 윈드실드 글라스(100)에 비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연장된 윈드실드 글라스(100)의 양단은 프런트 필러(2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프런트 필러(200)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과, 상기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220),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220)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 사이에 위치하는 레인포스 멤버(250)로 각각 구성된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은 단면상 차량의 폭 방향으로 절곡되어 윈드실드 글라스(100)의 끝단과 인접한 위치에 절곡된 일면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의 일면은 윈드실드 글라스(100) 끝단과 접하도록 구성된다.
차량의 후단을 기준으로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220) 및 레인포스 멤버(250)는 서로 접하여 위치되고,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은 차량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절곡되며,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220)과 레인포스 멤버(250)는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폐단면을 구성하는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220)과 레인포스 멤버(250)는 사각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폐단면을 구성하는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폐단면을 이루는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220)과 레인포스 멤버(250)의 상단은 서로 접하여 구성되는바, 더 바람직하게, 폐단면 상하단에 위치하는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220)과 레인포스 멤버(250)는 점용접, 프레스 공법 등을 통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220)과 레인포스 멤버(250)는 서로 분할되어 패널을 형성한 이후 상기 개시된 공법에 의해 형상이 성형된 이후 용접에 의해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결유닛(230)은 인서트 성형 공법에 의해 제작되고, 윈드실드 글라스(100) 일단에 위치하는 사출부, 사출부의 일단에 위치하고,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과 상기 사출부 사이에 위치하는 실링부(500)를 포함한다.
사출부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면과 마주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는바, 실링부(500)가 위치하는 공간부 양측면에 위치하여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과 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돌기부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과 마주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링부(500)와 인접한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출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몰딩부(240)를 더 포함하는바, 몰딩부(240)는 사출부에 위치하는 유입홈 내측으로 삽입되어 구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몰딩부(240)는 두개의 서로 다른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바, 제 1돌출부는 사출부 측면에 형성되는 유입홈 내측으로 삽입되고, 제 2돌출부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과 사출부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몰딩부(240)가 차량의 외측면과 마주하는 표면은 페인팅이나 크롬 도금 등 표면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출부는 차량의 외측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윈드실드 글라스(100)의 최외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실링부(500)의 양측면에 이격된 두개의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기부는 실링부(500)와 함께 프런트 필러(200) 내측으로 빗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루프 패널(300)과 인접한 위치의 프런트 필러(200)의 체결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프런트 필러(200)의 상단은 루프 패널(300)과 마주하도록 구성되는바, 상기 플런트 필러와 루프 패널(300) 사이에 위치하는 익스텐션 패널(260)을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익스텐션 패널(260)은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220)로부터 연장되어 루프 패널(300) 내측으로 삽입되어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익스텐션 패널(260)의 경우, 윈드실드 글라스(100)와 마주하는 일면을 갖도록 구성되는바, 프런트 필러(200)와 루프 패널(300) 사이의 공간에 윈드실드 글라스(100)의 착좌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익스텐션 패널(260)은 프런트 필러(200)와 루프 패널(300)의 적어도 일부와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루프 패널(300)을 따라 폭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익스텐션 패널(260) 상에 위치하는 윈드실드 글라스(100)는 실러가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바, 실러는 익스텐션 패널(260)에 위치하여 윈드실드 글라스(1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즉, 익스텐션 패널(260)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의 루프 패널(300) 측면 입접부의 하단과 루프 패널(300)의 글라스가 위치하는 인접 영역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런트 필러(200) 구조를 통해 필러 측단을 따라 절곡되어 연장되는 윈드실드 글라스(100)가 안착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체결유닛(230)과 일체로 구성되는 윈드실드 글라스(100)을 포함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체결유닛(230)은 윈드실드 글라스(100)과 일체로 사출되어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의 몰딩부(240)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체결유닛(230)은 윈드실드 글라스(100)와 일체로 인서트 사출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사출된 체결유닛(230)의 하면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 사이에 위치하는 실링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도시된 바와 같이, 윈드실드 글라스(100)의 양 끝단에는 홈부(110)를 포함하는바, 체결유닛(230)과 윈드실드 글라스(100)가 일체로 사출되는 경우, 체결유닛(230)이 윈드실드 글라스(100)의 홈부(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5에서는 체결유닛(230)과 마주하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의 헤밍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유닛(230)이 접하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210)의 끝단이 접힌 형태로 구성되는바, 인서트 사출물인 체결유닛(230)에 발생되는 스크레치를 저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시된 체결유닛(230)의 경우, 별도의 몰딩부(240)를 포함하지 않고 윈드실드 글라스(100)의 최외각면과 체결유닛(230)의 외각면이 동일한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차량의 외부에 노출되는 윈드실드 글라스(100)와 체결유닛(230)은 일체감 있는 평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윈드실드 글라스
110: 홈부
200: 프런트 필러
210: 사이드 아우터 패널
220: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
230: 체결유닛
240: 몰딩부
241: 제 1돌출부
242: 제 2돌출부
250: 레인포스 멤버
260: 익스텐션 패널
270: 사출부
271: 유입홈
300: 루프 패널
400: 인테리어 트림
500: 실링부

Claims (12)

  1. 차량의 측면에 위치하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소정의 공간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사이에 위치하는 레인포스 멤버;
    상기 레인포스 멤버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하는 윈드실드 글라스; 및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 끝단과 윈드실드 글라스를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인접한 상기 윈드실드 글라스 일단에 위치하는 사출부; 및
    상기 사출부의 측면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 끝단을 일체로 감싸도록 구성되는 몰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부의 일단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 사이의 공간부에 위치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상기 사출부와 마주하는 일단에 위치하는 돌출부; 및
    상기 사출부에 위치하여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유입홈;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사출부와 마주하는 제 1돌출부; 및
    상기 사출부 끝단과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로 삽입되는 제 2돌출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과 루프 패널이 마주하는 위치에 상기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로부터 연장되는 익스텐션 패널;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부는,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접하도록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상기 몰딩부 사이에 실링부가 상기 사출부와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상기 사출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포스 멤버의 양단은 상기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 접하고, 상기 레인포스 멤버와 상기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사이에 폐단면을 형성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인포스 멤버, 상기 사이드 아우터 이너 패널 및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일단은 서로 접하여 위치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드실드 글라스 내측에 위치하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홈부 내측과 상기 윈드실드 글라스 끝단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프런트 필러.
KR1020210111407A 2021-08-24 2021-08-24 차량용 프런트 필러 KR2023002919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07A KR20230029195A (ko) 2021-08-24 2021-08-24 차량용 프런트 필러
US17/883,231 US20230060693A1 (en) 2021-08-24 2022-08-08 Vehicle front pillar
CN202211015758.3A CN115716504A (zh) 2021-08-24 2022-08-24 车辆前支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407A KR20230029195A (ko) 2021-08-24 2021-08-24 차량용 프런트 필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195A true KR20230029195A (ko) 2023-03-03

Family

ID=8525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407A KR20230029195A (ko) 2021-08-24 2021-08-24 차량용 프런트 필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60693A1 (ko)
KR (1) KR20230029195A (ko)
CN (1) CN11571650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501B1 (ko) 2006-12-11 2008-05-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장착 구조가 개선된 suv용 쿼터 글라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501B1 (ko) 2006-12-11 2008-05-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장착 구조가 개선된 suv용 쿼터 글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16504A (zh) 2023-02-28
US20230060693A1 (en)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7286B2 (ja) 自動車用ピラー構造
JP6252617B2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5086701B2 (ja) 車両のドアフレーム構造
US20080122261A1 (en) Hood of a vehicle
EP1145937B1 (en) Vehicle window member support structure
JP6965766B2 (ja) 車両用フロントピラー構造及び車両側部構造
EP1741619B1 (en) Underbody structure of sliding-door vehicle
JP6922664B2 (ja) 自動車用ピラー構造
EP3663169B1 (en) Front pillar structure
KR20230029195A (ko) 차량용 프런트 필러
JP2005096696A (ja) ウインドシールドガラス支持構造
JP5383839B2 (ja) 車両のドアフレーム構造
CN111169541A (zh) 前支柱构造
EP1065137B1 (en) Side frame reinforcement structure for vehicle
JP4127226B2 (ja) 車体骨格構造
CN111674470B (zh) 车辆前部构造
KR0135440B1 (ko) 자동차용 센터 필러 어셈블리
KR930002557Y1 (ko) 승용차의 대쉬패널(dash panel)과 센터플로어(center floor) 접합구조
CN108068722B (zh) 车辆前部结构
CN108778908B (zh) 驾驶室的后面部构造
US3586364A (en) Vehicle body construction secured at the support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KR0128645Y1 (ko) 자동차의 센터필러 하부의 결합구조
JP2023158518A (ja) 車両用ガラスモール周辺構造
KR0128313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WO2018212066A1 (ja) 自動車のピラー上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