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8220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8220A
KR20230028220A KR1020227037682A KR20227037682A KR20230028220A KR 20230028220 A KR20230028220 A KR 20230028220A KR 1020227037682 A KR1020227037682 A KR 1020227037682A KR 20227037682 A KR20227037682 A KR 20227037682A KR 20230028220 A KR20230028220 A KR 20230028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amount
unit
threshing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타로 하야시
다카노리 호리
나오키 사이토
슌 마츠나가
šœ 마츠나가
하루유키 데라니시
마사유키 호리우치
교스케 야마오카
아츠히토 오쿠다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09766A external-priority patent/JP73990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09764A external-priority patent/JP73990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09763A external-priority patent/JP739903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30028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2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30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 A01F12/32Straw separators, i.e. straw walkers, for separating residual grain from the straw with shaker screens or sie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8Air conduits or blowers for grai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2Arrangements for returning unthreshed grain to the thresh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콤바인은,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부(41)와, 탈곡부(41)의 하방에 마련되고, 탈곡부(41)로부터 누하되어 온 탈곡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부(42)와, 선별부(42)에 의해 선별된 선별 처리물 중 1번물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와, 선별 처리물 중 2번물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와, 2번물 회수부에 의해 회수된 2번물을 선별부(42)로 환원하는 2번물 환원 장치를 갖는 탈곡 장치(1)를 구비하고, 1번물의 회수량을 1번물 회수량으로서 측정하는 1번물 센서(60)와, 2번물의 환원량을 2번물 환원량으로서 측정하는 2번물 센서(70)와, 1번물 센서(60)에 의한 1번물 회수량을, 2번물 센서(70)에 의한 2번물 환원량으로 보정하는 보정부(8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콤바인
본 발명은, 포장의 식립 곡간을 예취하고, 탈곡 장치에 의해 예취 곡간의 탈곡 선별 처리를 행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은, 식립 곡간을 예취하고, 예취 곡간을 탈곡 선별 처리하고, 얻어진 곡립(선별 처리물)을 곡립 탱크로 반송하여 저류한다. 적절하게 예취 곡간이 탈곡되지 않으면, 곡립에 손상이 발생한다. 또한, 적절하게 선별이 행해지지 않으면, 선별 처리물에 곡립 이외의 협잡물 등의 이물이 혼입된다. 그 결과, 적절한 품질의 곡립을 취득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곡립 탱크 내부에 일시 저류부를 구비하고, 그 일시 저류부에 저류된 선별 처리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촬영 화상을 해석하여 얻어진 곡립의 선별 정밀도(이물의 혼입 등)에 기초하여, 탈곡 장치 등의 각종 설정을 조정하거나 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9-10075호 공보
2-1. 과제 〔1〕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반송 장치에 의해 곡립 탱크로 반송되어 와서 저류부 내에 투척된 선별 처리물을, 곡립 탱크의 후방부(투척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지지된 일시 저류부에 있어서 촬상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탈곡 장치 등의 각종 설정을 조정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된 탈곡 처리물 중 적어도 일부가 탈곡 장치에 체류함으로써, 일시 저류부로 반송되지 않는 탈곡 처리물이 있는 경우에는 적절하게 상기 설정을 할 수 없다.
그래서, 탈곡 처리물의 양을 적절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이 요구된다.
2-2. 과제 〔2〕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반송 장치에 의해 곡립 탱크로 반송되어 와서 저류부 내에 투척된 선별 처리물을, 곡립 탱크의 후방부(투척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지지된 일시 저류부에 저류하는 것이므로, 일시 저류부에 선별 처리물이 모이는 데 시간이 걸려, 선별 처리물의 선별 정밀도나 품질을 확인하는 타이밍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 그 결과, 예를 들어, 해석 결과가 반영된 기체 제어가 행해지는 데 시간이 걸려, 제어의 반응이 지연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선별된 선별 처리물을 적절하게 저류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이 요구된다.
2-3. 과제 〔3〕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반송 장치에 의해 곡립 탱크로 반송되어 와서 저류부 내에 투척된 선별 처리물을, 곡립 탱크의 후방부(투척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지지된 일시 저류부에 있어서 촬상한 촬상 화상에 기초하여 탈곡 장치 등의 각종 설정을 조정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된 탈곡 처리물 중 적어도 일부가 탈곡 장치에 막혀서 체류함으로써, 일시 저류부로 반송되지 않는 탈곡 처리물이 있는 경우에는 적절하게 상기 설정을 할 수 없다.
그래서, 탈곡 장치에 체류하는 탈곡 처리물이 존재하는지 여부, 즉 탈곡 장치에 있어서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이 요구된다.
2-4. 과제 〔4〕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서는, 반송 장치에 의해 곡립 탱크로 반송되어 와서 저류부 내에 투척된 선별 처리물을, 곡립 탱크의 후방부(투척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지지된 일시 저류부에 저류하는 것이므로, 일시 저류부에 선별 처리물이 모이는 데 시간이 걸려, 선별 처리물의 선별 정밀도나 품질을 확인하는 타이밍이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 그 결과, 예를 들어, 해석 결과가 반영된 기체 제어가 행해지는 데 시간이 걸려, 제어의 반응이 지연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적절하게 선별된 선별 처리물을 저류하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이 요구된다.
3-1. 해결 수단 〔1〕
과제 〔1〕에 대응하는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부와, 상기 탈곡부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탈곡부로부터 누하되어 온 탈곡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선별 처리물 중 1번물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와, 상기 선별 처리물 중 2번물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와, 상기 2번물 회수부에 의해 회수된 상기 2번물을 상기 선별부로 환원하는 2번물 환원 장치를 갖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번물의 회수량을 1번물 회수량으로서 측정하는 1번물 센서와, 상기 2번물의 환원량을 2번물 환원량으로서 측정하는 2번물 센서와, 상기 1번물 센서에 의한 상기 1번물 회수량을, 상기 2번물 센서에 의한 상기 2번물 환원량으로 보정하는 보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이러한 특징 구성으로 하면, 1번물 센서의 검출 결과를, 2번물 환원량에 기초하여 보정하므로, 정확한 1번물 회수량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탈곡 처리물의 양을 적절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보정부는, 작업 대상 영역에 있어서 수확 작업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1번물 회수량이 소정량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기 1번물 회수량에 상기 2번물 환원량을 더하여 보정하면 적합하다.
작업 대상 영역에 있어서 작물의 수확 작업을 개시하고 나서 1번물 회수량이 소정량(소정값)에 도달할 때까지는, 1번물 회수량은 점차 증대되고, 2번물 환원량은 급격하게 증대된 후,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본 구성으로 하면, 작업 대상 영역에 있어서 작물의 수확 작업을 개시하고 나서 1번물 회수량이 소정량(소정값)에 도달할 때까지는, 보정부가 1번물 센서에 의해 검출된 1번물 회수량에 2번물 환원량을 더하여, 1번물 센서의 검출 결과를 보정하므로, 정확한 1번물 회수량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보정부는, 작업 대상 영역을 예취하여 빠져나간 후에는 상기 1번물 회수량으로부터 상기 2번물 환원량을 감하여 보정하면 적합하다.
작업 대상 영역을 예취하여 빠져나간 후(예취하여 빠져나가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는, 1번물 회수량은 급격하게 증대된 후,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2번물 환원량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본 구성으로 하면, 작업 대상 영역을 예취하여 빠져나간 후, 보정부가 1번물 센서에 의해 검출된 1번물 회수량으로부터 2번물 환원량을 감하여, 1번물 센서의 검출 결과를 보정하므로, 정확한 1번물 회수량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2. 해결 수단 〔2〕
과제 〔2〕에 대응하는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부와, 상기 탈곡부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탈곡부로부터 누하되어 온 탈곡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선별 처리물 중 1번물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와, 상기 선별 처리물 중 2번물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와, 상기 2번물 회수부에 의해 회수된 상기 2번물을 상기 선별부로 환원하는 2번물 환원 장치를 갖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번물의 회수량을 1번물 회수량으로서 측정하는 1번물 센서와, 상기 2번물의 환원량을 2번물 환원량으로서 측정하는 2번물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선별부는, 요동 선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 선별 장치는, 탈곡 처리물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채프 립을 가짐과 함께 상기 복수의 채프 립의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누하 개방도를 변경 가능한 채프 시브를 구비하고, 상기 채프 시브는, 상기 1번물 회수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역치를 초과하고, 또한 상기 2번물 환원량이 미리 설정된 제2 역치 이하일 때, 상기 누하 개방도가 작게 되는 점에 있다.
이러한 특징 구성으로 하면, 1번물 회수량과 2번물 환원량에 기초하여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를 설정함으로써, 탈곡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콤바인이 적절하게 선별된 선별 처리물을 저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체의 주행 제어를 행하는 주행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 제어 유닛은, 상기 2번물 환원량이 상기 제2 역치보다도 클 때에 상기 기체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면 적합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2번물 환원량에 따라서 콤바인이 예취하는 작물의 양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탈곡 장치로 반송되는 작물의 양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탈곡 장치에 머무르는 탈곡 처리물의 탈곡 처리를 우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주행 제어 유닛은, 상기 기체를 자동 주행시키면 적합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콤바인의 자동 주행 중에, 적절하게 탈곡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프 시브는, 상기 1번물 회수량이 상기 제1 역치보다도 작은 제3 역치보다 작아지면,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면 적합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2번물 환원 장치에 의한 선별부로의 환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탈곡 제어를 보다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3-3. 해결 수단 〔3〕
과제 〔3〕에 대응하는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부와, 상기 탈곡부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탈곡부로부터 누하되어 온 탈곡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선별 처리물 중 1번물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와, 상기 선별 처리물 중 2번물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와, 상기 2번물 회수부에 의해 회수된 상기 2번물을 상기 선별부로 환원하는 2번물 환원 장치를 갖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번물의 회수량을 1번물 회수량으로서 측정하는 1번물 센서와, 상기 2번물의 환원량을 2번물 환원량으로서 측정하는 2번물 센서와, 상기 1번물 회수량에 대한 상기 2번물 환원량의 비율에 따라서, 상기 선별부에 있어서 상기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이러한 특징 구성으로 하면,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에 기초하여, 선별부에 있어서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 장치에 체류하는 탈곡 처리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선별부는, 요동 선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 선별 장치는, 탈곡 처리물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채프 립을 가짐과 함께 상기 복수의 채프 립의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누하 개방도를 변경 가능한 채프 시브를 구비하고, 상기 채프 시브는, 상기 비율이 클수록,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는 것이면 적합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클수록,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를 크게 하므로, 1번물 회수부로의 반송을 촉진하고, 2번물 환원 장치에 의한 선별부로의 환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요동 선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탈곡 제어를 보다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동 선별 장치는, 상기 채프 시브의 하방에 마련된 그레인 시브를 구비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된 경우라도, 상기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상기 그레인 시브에 있어서 상기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다고 판정하면 적합하다.
원래,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를 크게 한 경우에는,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은 작아질 것이다. 이 때문에, 본 구성이면, 당해 비율에 기초하여 탈곡 처리물이 그레인 시브에 막혀 있는 것을 판정함으로써, 탈곡 장치에 체류하는 탈곡 처리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체의 주행 제어를 행하는 주행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 제어 유닛은,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된 경우라도, 상기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상기 기체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면 적합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콤바인이 예취하는 작물의 양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탈곡 장치로 반송되는 작물의 양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탈곡 장치에 머무르는 탈곡 처리물의 탈곡 처리를 우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주행 제어 유닛은,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상기 기체를 정차시키면 적합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탈곡 장치로 반송되는 작물의 양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 장치에 머무르는 탈곡 처리물의 탈곡 처리를 최우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된 경우라도, 상기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면 적합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지 않은 것, 즉, 선별부에 있어서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 것을 주위에 명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소정의 처치를 행하는 등의 대응이 가능해진다.
3-4. 해결 수단 〔4〕
과제 〔4〕에 대응하는 해결 수단은,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부와, 상기 탈곡부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탈곡부로부터 누하되어 온 탈곡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선별 처리물 중 1번물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와, 상기 선별 처리물 중 2번물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와, 상기 2번물 회수부에 의해 회수된 상기 2번물을 상기 선별부로 환원하는 2번물 환원 장치를 갖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번물의 회수량을 1번물 회수량으로서 측정하는 1번물 센서와, 상기 2번물의 환원량을 2번물 환원량으로서 측정하는 2번물 센서와, 상기 1번물 회수량에 대한 상기 2번물 환원량의 비율에 따라서, 상기 탈곡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파라미터 결정부와, 상기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탈곡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이러한 특징 구성으로 하면, 1번물 회수량과 2번물 환원량에 기초하여 설정된 제어 파라미터에 의해, 탈곡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콤바인이 적절하게 선별된 선별 처리물을 저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선별부는, 요동 선별 장치와 풍구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 선별 장치는, 탈곡 처리물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채프 립을 가짐과 함께 상기 복수의 채프 립의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누하 개방도를 변경 가능한 채프 시브를 구비하고, 상기 채프 시브는, 상기 비율이 클수록,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상기 풍구는, 상기 비율이 클수록, 선별풍의 풍량이 증대되면 적합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클수록,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를 크게 하고, 풍구의 선별풍의 풍량을 증대시키므로, 1번물 회수부로의 반송을 촉진하고, 2번물 환원 장치에 의한 선별부로의 환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요동 선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탈곡 제어를 보다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기체의 주행 제어를 행하는 주행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 제어 유닛은,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또한 상기 풍량이 증대된 경우라도, 상기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상기 기체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면 적합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콤바인이 예취하는 작물의 양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탈곡 장치로 반송되는 작물의 양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탈곡 장치에 머무르는 탈곡 처리물의 탈곡 처리를 우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주행 제어 유닛은,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또한 상기 풍량이 증대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상기 기체를 정차시키면 적합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탈곡 장치로 반송되는 작물의 양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탈곡 장치에 머무르는 탈곡 처리물의 탈곡 처리를 최우선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또한 상기 풍량이 증대된 경우라도, 상기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면 적합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지 않은 것을 주위에 명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소정의 처치를 행하는 등의 대응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의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4는 곡립 탱크, 양곡 장치, 및 탈곡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양곡 장치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6은 2번물 센서 및 2번물 배출구의 배치도이다.
도 7은 2번물 센서 및 2번물 배출구의 배치도이다.
도 8은 2번물 센서 및 2번물 배출구의 배치도이다.
도 9는 2번물 센서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탈곡 처리물의 양의 측정에 관한 기능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1번물 회수량 및 2번물 환원량의 검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탈곡 제어에 관한 기능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탈곡 제어에 관한 제어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막힘 판정에 관한 기능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탈곡 제어에 관한 기능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에 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누하 개방도 및 풍량의 각각과,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4-1.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은, 탈곡된 작물로부터 선별된 곡립을 적절하게 저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콤바인에 대해서, 보통형 콤바인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우측면도이고,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전」(도 1에 도시하는 화살표 F의 방향)은 기체 전후 방향(주행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을 의미하고, 「후」(도 1에 도시하는 화살표 B의 방향)는 기체 전후 방향(주행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도 1에 도시하는 화살표 U의 방향) 및 「하」(도 1에 도시하는 화살표 D의 방향)는 기체의 연직 방향(수직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이며, 지상 높이에 있어서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좌우 방향 또는 횡방향은, 기체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기체 횡단 방향(기체 폭 방향), 즉, 「좌」(도 2에 도시하는 화살표 L의 방향) 및 「우」(도 2에 도시하는 화살표 R의 방향)는, 각각, 기체의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콤바인에는,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3)와, 주행 장치(3)에 의해 지지된 기체 프레임(2)과, 포장의 작물(벼, 보리, 대두, 유채 등의 각종 작물)을 예취하는 예취부(4)와, 피더(11)와, 탈곡 장치(1)와, 곡립 탱크(12)와, 곡립 배출 장치(14)가 구비되어 있다.
예취부(4)는, 작물을 긁어들이는 긁어들임 릴(5)과, 포장의 작물을 절단하는 바리캉형의 절단 장치(6)와, 예취된 작물을 피더(11)까지 횡이송하는 오거(7)를 구비한다. 예취부(4)에 의해 예취된 작물은, 피더(11)에 의해 탈곡 장치(1)로 반송되고, 탈곡 장치(1)에 의해 탈곡 선별 처리된다. 탈곡 장치(1)에 의해 탈곡 선별 처리된 선별 처리물은, 곡립 탱크(12)에 저류되고, 적절히 곡립 배출 장치(14)에 의해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예취부(4)의 우측 후방에, 피더(11)와 횡배열 상태로, 운전부(9)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9)는 캐빈(10)에 의해 덮여 있다. 운전부(9)의 하방에는 엔진 룸 ER이 구비되고, 엔진 룸 ER에는 엔진 E나, 특별히 도시는 하지 않지만, 냉각 팬이나 라디에이터 등이 수용되어 있다. 엔진 E의 동력은, 도시하지 않은 동력 전달 기구에 의해, 주행 장치(3)나, 예취부(4), 탈곡 장치(1) 등의 작업 장치에 전달된다.
다음에, 도 3에 도시되는 탈곡 장치(1)의 종단 좌측면도를 사용하여, 탈곡 장치(1)의 구성을 설명한다. 탈곡 장치(1)는 기체 프레임(2)에 마련되고, 급동(22)에 의해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부(41)와, 탈곡 처리물을 요동 선별 처리하는 선별부(42)를 구비한다. 탈곡부(41)는 탈곡 장치(1)에 있어서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고, 탈곡부(41)의 하방에, 수망(23)이 마련되고, 선별부(42)는 수망(23)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선별부(42)는 수망(23)으로부터 누하되어 온 탈곡 처리물을, 회수해야 할 곡립을 포함하는 선별 처리물과, 배출 짚 등의 배출물로 선별한다.
탈곡부(41)는 탈곡 장치(1)의 좌우의 측벽과, 천장판(53)과, 수망(23)으로 둘러싸인 급실(21)을 구비한다. 급실(21)에는, 회전에 의해 작물을 탈곡 처리하는 급동(22)과, 복수의 송진(送塵) 밸브(53a)가 구비되어 있다. 피더(11)에 의해 반송된 작물은, 급실(21)에 투입되고, 급동(22)에 의해 탈곡 처리된다. 급동(22)에 의해 동반 회전되는 작물은, 송진 밸브(53a)의 이송 작용에 의해 후방을 향하여 이송된다.
송진 밸브(53a)는 플레이트 형상이며, 천장판(53)의 내면(하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된다. 송진 밸브(53a)는, 평면으로 보아 회전 축심 X에 대하여 경사지는 자세로 마련된다. 그 때문에, 각각의 송진 밸브(53a)는, 급실(21)에 있어서 급동(22)과 함께 회전하는 예취 곡간을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작용시킨다. 또한, 송진 밸브(53a)는 회전 축심 X에 대한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급동(22) 내에서 작물이 후방으로 이송되는 속도는, 송진 밸브(53a)의 경사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작물이 탈곡되는 탈곡 효율은, 작물이 급동(22) 내에서 이송되는 속도에도 영향을 받는다. 그 결과, 작물이 탈곡되는 처리 능력은,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여 조정할 수 있지만, 송진 밸브(53a)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것을 하나의 수단으로 하여 조정할 수 있다. 특별히 도시는 하지 않지만, 송진 밸브(53a)의 경사 자세를 변경 제어 가능한 송진 밸브 제어 기구가 구비되어 있어, 송진 밸브(53a)의 경사 각도를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탈곡 장치(1)는 1번물 회수부(26)와, 2번물 회수부(27)와, 2번물 환원 장치(32)를 구비한다. 선별부(42)는, 시브 케이스(33)를 갖는 요동 선별 장치(24)와 풍구(19)를 구비한다.
풍구(19)는 선별부(42)의 전방부 영역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고, 요동 선별 장치(24)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처리물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선별풍을 발생시킨다. 선별풍은, 비교적 비중이 가벼운 배출 짚 등을 시브 케이스(33)의 후방측을 향하여 송출하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요동 선별 장치(24)에 있어서는, 요동 구동 기구(43)에 의해 시브 케이스(33)가 요동함으로써, 시브 케이스(33)의 내부의 탈곡 처리물이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요동 선별 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이유로부터, 이하의 설명에서는, 요동 선별 장치(24)에 있어서, 처리물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이 전단부 혹은 전방측이라고 칭해지고, 하류측이 후단부 혹은 후방측이라고 칭해진다. 또한, 풍구(19)의 선별풍은 강도(풍량, 풍속)를 변경할 수 있다. 선별풍을 강하게 하면, 탈곡 처리물을 후방으로 송출하기 쉬워져, 선별 속도가 높아진다. 반대로, 선별풍을 약하게 하면, 탈곡 처리물이 길게 시브 케이스(33) 내에 머물러, 선별 정밀도가 높아진다. 그 때문에, 풍구(19)의 선별풍은 강도를 변경함으로써, 요동 선별 장치(24)의 선별 효율(선별 정밀도나 선별 속도)을 조정할 수 있다. 특별히 도시는 하지 않지만, 풍구(19)의 선별풍의 강도를 변경 제어 가능한 풍구 제어 기구가 구비되어 있어, 풍구(19)의 선별풍의 강도를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시브 케이스(33)의 전반 부분에는 제1 채프 시브(38)가 구비되고, 시브 케이스(33)의 후반 부분에는 제2 채프 시브(39)가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특별히 설명은 하지 않지만, 시브 케이스(33)에는, 제1 채프 시브(38) 등 이외에, 그레인 팬이나 그레인 시브(40)가 구비되어 있다. 수망(23)을 누하한 탈곡 처리물은, 제1 채프 시브(38)나 제2 채프 시브(39)에 낙하한다. 탈곡 처리물의 대부분은, 수망(23)으로부터 제1 채프 시브(38)를 포함하는 시브 케이스(33)의 전반 부분에 대하여 누하되어 와서, 시브 케이스(33)의 전반 부분에 의해 대략 선별 및 정밀 선별된다. 일부의 탈곡 처리물은, 수망(23)으로부터 제2 채프 시브(39)에 대하여 누하되어 오거나, 제1 채프 시브(38)에 있어서 누하되지 않고 제2 채프 시브(39)까지 이송되어 오거나 하여, 제2 채프 시브(39)에 있어서 누하 선별된다.
제1 채프 시브(38)의 하방에는, 상기 그레인 시브(4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요동 선별 장치(24)는 제1 채프 시브(38)의 하방에 마련된 그레인 시브(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레인 시브(40)는, 펀칭 메탈이나 망체 등의 다공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제1 채프 시브(38)로부터 누하되어 온 탈곡 처리물을 받아내어 누하 선별한다.
시브 케이스(33)의 전반 부분의 하방에, 스크루식의 1번물 회수부(26)가 구비되고, 시브 케이스(33)의 후반 부분의 하방에, 스크루식의 2번물 회수부(27)가 구비되어 있다. 시브 케이스(33)의 전반 부분에 의해 선별 처리되어 누하되어 온 1번물, 즉, 선별부(42)에 의해 선별된 선별 처리물 중 1번물은, 1번물 회수부(26)에 의해 회수되어, 곡립 탱크(12)의 측(기체 좌우 방향 우측)을 향하여 반송된다. 시브 케이스(33)의 후반 부분(제2 채프 시브(39))에 의해 선별 처리되어 누하되어 온 2번물(일반적으로 선별 처리 정밀도가 낮아, 절단 짚의 비율이 높음), 즉, 선별 처리물 중 2번물은, 2번물 회수부(27)에 의해 회수된다. 2번물은, 탈곡 처리물 중, 선별 처리물로서 선별되지 않은 탈곡 처리물이 상당한다. 2번물 회수부(27)에 의해 회수된 2번물은, 2번물 환원 장치(32)에 의해 선별부(42)의 전방부로 환원되고, 시브 케이스(33)에 의해 재선별된다.
제1 채프 시브(38)에는, 탈곡 처리물의 이송(반송)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마련된 복수의 판상의 채프 립이 구비되어 있다. 각 채프 립은, 후단부측일수록 비스듬히 상방을 향하는 경사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채프 립의 경사 각도는 가변이며, 경사 각도를 급하게 할수록, 인접하는 채프 립끼리의 간격이 확대되어, 탈곡 처리물이 누하되기 쉬워진다. 즉, 복수의 채프 립의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누하 개방도를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채프 립의 경사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요동 선별 장치(24)의 선별 효율(선별 정밀도나 선별 속도)을 조정할 수 있다. 채프 립의 경사 자세를 변경 제어 가능한 립 제어 기구가 구비되어 있어, 채프 립의 경사 각도를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2 채프 시브(39)도, 제1 채프 시브(38)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제2 채프 시브(39)의 채프 립의 경사 자세를 변경 제어 가능한 각도 제어 기구도 구비되어 있어, 채프 립의 경사 각도를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곡립 탱크(12), 양곡 장치(29), 및 탈곡 장치(1)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양곡 장치(29)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번물 회수부(26)에 의해 회수된 선별 처리물을 곡립 탱크(12)로 반송하는 양곡 장치(29)가 구비되어 있다. 양곡 장치(29)는 탈곡 장치(1)와 곡립 탱크(12)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을 따른 자세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양곡 장치(29)는 버킷식의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양곡 장치(29)에 의해 리프팅된 선별 처리물은, 양곡 장치(29)의 상단부에 있어서, 횡이송 반송 장치(30)에 전달된다. 횡이송 반송 장치(30)는 스크루식으로 구성되고, 곡립 탱크(12)의 전방부 좌측의 벽부로부터 곡립 탱크(12)의 내부에 파고들어가 있다. 횡이송 반송 장치(30)의 탱크 내부측의 단부에, 곡립 방출 장치(30A)가 구비되어 있다. 곡립 방출 장치(30A)는 판상의 방출 회전체(30B)를 구비하고 있고, 스크루 부분과 일체 회전한다. 선별 처리물은, 횡이송 반송 장치(30)에 의해 횡이송되고, 최종적으로, 곡립 방출 장치(30A)에 의해 곡립 탱크(12) 내에 투척된다.
양곡 장치(29)에 있어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스프로킷(29A)과 종동 스프로킷(29B)에 걸쳐서 감아 걸린 무단 회동 체인(29C)의 외주측에 복수의 버킷(31)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양곡 장치(29)는 선별 처리물이 수납된 버킷(31)이 상승하는 이송 경로(29D)와, 선별 처리물을 횡이송 반송 장치(30)에 배출한 후의 버킷(31)이 하강하는 복귀 경로(29E)를 구비한다. 이송 경로(29D)와 복귀 경로(29E)는, 이송 경로(29D)가 후방측이 되도록, 곡립 탱크(12)의 좌측벽(12b)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된다.
1번물 센서(60)는, 1번물의 회수량을 1번물 회수량으로서 측정한다(도 10 참조). 1번물 센서(60)는, 선별 처리물이 1번물 회수부(26)로부터 곡립 탱크(12)까지 반송되는 반송 경로에 있어서의 어느 위치, 구체적으로는 1번물 회수부(26)로부터 선별 처리물이 곡립 탱크(12)에 투척되는 투척구(30C)까지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 선별 처리물의 양을 측정하도록 배치된다. 1번물 센서(60)는, 예를 들어 물리적인 접촉식의 센서를 사용하여 선별 처리물의 양을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포장의 맵을 나타내는 맵 정보에 1번물의 회수량을 관련지어서 생성한 맵 센서에 의한 결과를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1번물 회수부(26)로부터 투척구(30C)까지의 어느 위치에 카메라를 마련하고, 당해 카메라로 1번물 회수부(26)에 있어서의 1번물을 촬상한 촬상 화상, 탈곡 장치(1)의 급동(22)으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곡립을 찍은 촬상 화상, 탈곡 장치(1)의 시브 케이스(33)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는 곡립을 찍은 촬상 화상, 곡립 탱크(12)에 투입되는 곡립을 찍은 촬상 화상, 버킷(31)에 의해 반송되는 곡립을 찍은 촬상 화상 등에 기초하여 1번물의 회수량을 측정(추정)해도 된다. 또한, 1번물 회수부(26)의 스크루의 부하(토크 등)를 이용하여 1번물의 회수량을 측정(추정)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2번물은 2번물 환원 장치(32)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24)의 전방부인 상류측으로 환원된다. 구체적으로는, 2번물 환원 장치(32)의 2번물 배출구(32A)는 원호상의 수망(23)에 있어서의 직경 방향 외측의 위치(수망(23)의 측방이며, 2번물이 수망(23)을 통과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고, 이 위치에 있어서 2번물이 배출된다. 탈곡 장치(1)에는, 이와 같이 환원되는 2번물의 환원량을 2번물 환원량으로서 측정하는 2번물 센서(70)가 구비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에는, 이러한 2번물 배출구(32A)의 배치 형태가 도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번물 배출구(32A)는 수망(23)측을 향하여 마련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번물 배출구(32A)의 근방에는, 2번물 환원 장치(32)를 구성하는 스크루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 블레이드(32B)가 마련되고, 2번물 환원 장치(32)에 의해 반송된 2번물은, 탈곡부(41)의 측벽(50)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을 통하여 회전 블레이드(32B)에 의해 2번물 배출구(32A)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방출된다(도 8의 파선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배출된다).
2번물 배출구(32A)에는, 방출된 2번물을 요동 선별 장치(24)의 처리물 이송 방향 상측을 향하여 안내하는 안내부(32C)가 마련된다. 안내부(32C)는, 2번물 배출구(32A)에 대향하는 내주면을 갖는 통 형상의 일부를 나타내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환언하면, 띠판을 원호상으로 구부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안내부(32C)의 내주면에 의해, 회전 블레이드(32B)에 의해 방출된 2번물의 배출 방향이 규제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번물 센서(70)는 탈곡부(41)에 있어서의 측벽(50)의 내부측 부분에 지지된다. 2번물 센서(70)는 2번물 환원 장치(32)에 있어서의 회전 블레이드(32B)에 의해 방출된 2번물에 접촉하여 환원되는 2번물의 환원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2번물 센서(70)는 2번물 환원 장치(32)에 의해 방출되는 2번물의 방출 연장상에 위치하여 방출된 2번물이 접촉함으로써 요동하는 요동 암(72)과, 요동 암(72)의 요동각에 기초하여 환원량을 측정하는 계측부(73)와, 계측부(73) 및 요동 암(72)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74)과, 2번물 센서(70)의 상방을 덮는 커버체(75)를 구비하고 있다.
계측부(73)는 케이스에 포텐시오미터가 내장되고, 지지 프레임(74)의 내방측 개소에 대하여 볼트에 의한 체결 고정되어 있다. 계측부(73)는 회전축(76)이 지지 프레임(74)을 삽입 관통하여 외방측(측벽(50)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고, 회전축(76)에 일체 회동 가능하게 요동 암(72)이 설치되어 있다. 요동 암(72)은 회전축(76)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안내부(32C)에 의해 2번물이 안내되는 안내 경로 내에 위치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요동 암(72)은 회전축(76)의 축심 둘레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커버체(75)는 요동 암(72), 계측부(73), 및 지지 프레임(74)의 각각의 상방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커버체(75)에 의해, 수망(23)을 통과하여 누하되는 탈곡 처리물 중 미세한 진애가 요동 암(72)이나 계측부(73)에 내려앉아 계측 동작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동 암(72)은 회전축(76)보다도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 돌출부를 갖고, 연장 돌출부와 스프링 수용부(77)에 걸쳐서 코일 스프링(78)이 장설된다. 요동 암(72)은 코일 스프링(78)의 인장 가압력에 의해 2번물 배출구(32A)에 근접하도록 요동 가압되어 있다. 요동 암(72)은 상단부가 걸림부(79)에 맞닿아, 스프링 가압력에 대항하여 하향 대기 자세로 위치 유지된다.
2번물 배출구(32A)를 통하여 회전 블레이드(32B)에 의해 방출된 2번물이 요동 암(72)에 접촉하면, 그 압박력에 의해 요동 암(72)이 코일 스프링(7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2번물 배출구(32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때의 요동 각도가 계측부(73)에 의해 계측되고, 그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2번물의 환원량이 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요동 각도와 환원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나 식을 계측부(73)에 기억해 두고, 당해 맵이나 식에 기초하여 환원량을 산정하면 적합하다.
도 10은, 1번물 센서(60)에 의한 측정 결과 및 2번물 센서(70)에 의한 측정 결과를 고정밀도로 취득하기 위한 제어에 관한 기능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1번물 회수량과 2번물 환원량과 검출량의 일례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물 센서(60)에 의한 측정 결과, 및 2번물 센서(70)에 의한 측정 결과는, 측정 결과 취득부(81)에 전달된다. 보정부(82)는 측정 결과 취득부(81)를 참조하여, 1번물 센서(60)에 의한 1번물 회수량을, 2번물 센서(70)에 의한 2번물 환원량으로 보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보정부(82)는 작업 대상 영역에 있어서 수확 작업을 개시하고 나서 1번물 회수량이 소정량에 도달할 때까지는, 1번물 회수량에 2번물 환원량을 더하여 보정한다. 작업 대상 영역이란, 콤바인이 포장에서 작물의 예취 작업을 행하는 영역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물의 수확 작업을 개시하고 나서 1번물 회수량이 소정량(소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즉, 도 11에 있어서의 예취 개시로부터 t1까지는 1번물 회수량은 점차 증대되고, 2번물 환원량은 급격하게(급준하게) 증대된 후,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그래서, 보정부(82)는 예취 개시로부터 t1까지는 1번물 센서(60)에 의해 검출된 1번물 회수량에 2번물 환원량을 더하여, 1번물 센서(60)의 검출 결과를 보정한다.
한편, 보정부(82)는 작업 대상 영역을 예취하여 빠져나간 후에는 1번물 회수량으로부터 2번물 환원량을 감하여 보정한다. 작업 대상 영역을 예취하여 빠져나간 후란, 콤바인의 예취부(4)가 포장에서 작물의 예취 작업을 행하는 영역을 주행하여 빠져나간 후를 말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취하여 빠져나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t2의 후는, 1번물 회수량은 급격하게(급준하게) 증대된 후,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2번물 환원량은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그래서, 보정부(82)는 예취하여 빠져나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t2의 후는, 1번물 센서(60)에 의해 검출된 1번물 회수량으로부터 2번물 환원량을 감하여, 1번물 센서(60)의 검출 결과를 보정한다.
보정부(82)에 의해 보정된 1번물 회수량은 제어 유닛(83)에 전달된다. 제어 유닛(83)은, 보정된 1번물 회수량과 2번물 환원량에 기초하여 탈곡 장치(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83)은 1번물 회수량이 제1 역치를 초과하고, 또한 2번물 환원량이 제2 역치 이하이면, 선별부(42)에 있어서의 제1 채프 시브(38) 및 제2 채프 시브(39)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누하 개방도를 작게 한다. 이에 의해, 1번물 회수량을 저감하고, 2번물 환원량을 증대시키고, 탈곡 장치(1)에 있어서 선별하는 탈곡 처리물의 양을 증대시켜, 보다 선별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1번물에 혼입되는 협잡물의 양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어 유닛(83)은, 1번물 회수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역치보다도 작은 제3 역치보다도 작아지면,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를 크게 하면 적합하다. 이에 의해, 1번물 회수량이 소정량 이하인 경우에 1번물 회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채프 시브(38) 및 제2 채프 시브(39)의 누하 개방도가 작게 된 경우라도, 1번물 회수량이 제1 역치보다도 큰 상태가 계속되거나, 혹은 2번물 환원량이 제2 역치 이하인 상태가 계속되거나 하는 것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는 것이 상정되는데, 이것은 탈곡 장치(1)에 공급되는 작물의 양이 너무 많은 것에 기인한다. 그래서, 제1 채프 시브(38) 및 제2 채프 시브(39)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된 경우라도, 특히 2번물 환원량이 제2 역치보다도 클 때에는,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제어를 행하는 주행 장치(3)가,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면 적합하다. 이에 의해, 탈곡 장치(1)에 공급되는 작물의 양이 적어져, 탈곡 장치(1)에 있어서의 탈곡량 및 선별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그레인 시브(40)에 있어서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 상태로 됨으로써, 2번물 환원량이 증대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 상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주행 장치(3)는 기체 프레임(2)을 자동 주행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역치나 제2 역치에 기초하여,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거나, 정차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기치 않은 이유에 의해, 제1 채프 시브(38) 및 제2 채프 시브(39)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나,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가 저감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주행 장치(3)는 기체 프레임(2)을 정지시키면 적합하다. 이에 의해, 탈곡 장치(1)로의 작물의 공급을, 일단 중단할 수 있으므로, 탈곡 장치(1)에 있어서의 탈곡 처리 및 선별 처리에 관한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현재, 탈곡 장치(1) 내에 있어서의 작물에 대한 처리를 행하여, 그레인 시브(40)에 있어서의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 상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송진 밸브(53a)의 경사 자세를 변경 가능한 경우에는, 1번물 회류량과 2번물 환원량에 기초하여 당해 경사 각도를 변경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보정부(82)는, 작업 대상 영역에 있어서 수확 작업을 개시하고 나서 1번물 회수량이 소정량에 도달할 때까지는, 1번물 회수량에 2번물 환원량을 더하여 보정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보정부(82)는 작업 대상 영역에 있어서 수확 작업을 개시하고 나서 1번물 회수량이 소정량에 도달할 때까지는, 1번물 회수량에 미리 설정된 값(일정값이나 산출값)을 더하여 보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보정부(82)는, 작업 대상 영역을 예취하여 빠져나간 후에는 1번물 회수량으로부터 2번물 환원량을 감하여 보정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보정부(82)는 작업 대상 영역을 예취하여 빠져나간 후에는 1번물 회수량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값(일정값이나 산출값)을 감하여 보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콤바인이 보통형 콤바인인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콤바인은 자탈형 콤바인이어도 된다.
4-2.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도, 탈곡된 작물로부터 선별된 곡립을 적절하게 저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콤바인에 대해서, 보통형 콤바인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주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1번물 센서(60)에 의한 측정 결과 및 2번물 센서(70)에 의한 측정 결과를 사용한 탈곡 제어에 관한 기능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1번물 회수량과 2번물 환원량에 기초하는 제어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물 센서(60)에 의한 측정 결과, 및 2번물 센서(70)에 의한 측정 결과는, 제어 유닛(83)에 전달된다. 제어 유닛(83)은 1번물 회수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역치를 초과하고, 또한 2번물 환원량이 미리 설정된 제2 역치 이하일 때,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를 작게 한다. 1번물 회수량이란, 1번물 센서(60)의 측정 결과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번물의 회수량이다. 제1 역치란, 1번물 회수량에 대하여 설정된 역치이며, 1번물 회수량이 많은 경우에 1번물로서의 회수를 억제하고, 2번물 환원 장치(32)로 환원시키기 위해 마련한 설정값이다. 2번물 환원량이란, 2번물 센서(70)의 측정 결과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2번물의 환원량이다. 제2 역치란, 2번물 환원량에 대하여 설정된 역치이며, 2번물 환원량이 적은 경우에 2번물로서의 회수를 촉진하고, 2번물 환원 장치(32)로 환원시키기 위해 마련한 설정값이다.
여기서, 1번물 회수량 및 2번물 환원량은, 1번물 센서(60) 및 2번물 센서(70)의 구성상, 항상 일정한 값으로 이루어지는 측정 결과가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제어 유닛(83)은, 1번물 회수량 및 2번물 환원량의 각각의 소정 시간에 있어서의 평균값을 산정하여 상기 측정 결과로서 사용해도 되고, 소정의 타이밍에 얻어진 1번물 회수량 및 2번물 환원량의 순시값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제1 역치와 제2 역치는, 서로 독립적으로 설정해도 되고, 서로 관련지어서 설정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유닛(83)은 1번물 회수량이 제1 역치를 초과하고, 또한 2번물 환원량이 제2 역치 이하이면, 선별부(42)에 있어서의 제1 채프 시브(38) 및 제2 채프 시브(39)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누하 개방도를 작게 한다. 이러한 1번물 회수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역치를 초과하고, 또한 2번물 환원량이 미리 설정된 제2 역치 이하인 상태는, 도 13에 있어서 구분 A1로서 나타내어진다. 이에 의해, 1번물 회수량을 저감하고, 2번물 환원량을 증대시키고, 탈곡 장치(1)에 있어서 선별하는 탈곡 처리물의 양을 증대시켜, 보다 선별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1번물에 혼입되는 협잡물의 양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어 유닛(83)은 1번물 회수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역치보다도 작은 제3 역치보다도 작아지면,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를 크게 하면 적합하다. 이에 의해, 1번물 회수량이 소정량 이하인 경우에 1번물 회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1번물 회수량이 미리 설정된 제3 역치 미만인 상태는, 도 13에 있어서 구분 B1로서 나타내어진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채프 시브(38) 및 제2 채프 시브(39)의 누하 개방도가 작게 된 경우라도, 1번물 회수량이 제1 역치보다도 큰 상태가 계속되거나, 혹은 2번물 환원량이 제2 역치 이하인 상태가 계속되거나 하는 것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는 것이 상정되는데, 이것은 탈곡 장치(1)에 공급되는 작물의 양이 너무 많은 것에 기인한다. 그래서, 제1 채프 시브(38) 및 제2 채프 시브(39)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된 경우라도, 특히 2번물 환원량이 제2 역치보다도 클 때에는,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제어를 행하는 주행 장치(3)가,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면 적합하다. 이러한 2번물 환원량이 미리 설정된 제2 역치보다도 큰 상태는, 도 13에 있어서 구분 C1로서 나타내어진다. 이에 의해, 탈곡 장치(1)에 공급되는 작물의 양이 적어져, 탈곡 장치(1)에 있어서의 탈곡량 및 선별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그레인 시브(40)에 있어서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 상태로 됨으로써, 2번물 환원량이 증대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 상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주행 장치(3)는, 기체 프레임(2)을 자동 주행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역치나 제2 역치에 기초하여,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거나, 정차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기치 않은 이유에 의해, 제1 채프 시브(38) 및 제2 채프 시브(39)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나,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가 저감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주행 장치(3)는 기체 프레임(2)을 정지시키면 적합하다. 이에 의해, 탈곡 장치(1)로의 작물의 공급을, 일단 중단할 수 있으므로, 탈곡 장치(1)에 있어서의 탈곡 처리 및 선별 처리에 관한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현재, 탈곡 장치(1) 내에 있어서의 작물에 대한 처리를 행하여, 그레인 시브(40)에 있어서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 상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장치(3)는 2번물 환원량이 제2 역치보다도 클 때에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주행 장치(3)는 2번물 환원량이 제2 역치보다도 클 때에도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장치(3)는 기체 프레임(2)을 자동 주행시키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기체 프레임(2)은 자동 주행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채프 시브는, 1번물 회수량이 제1 역치보다도 작은 제3 역치보다 작아지면,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채프 시브는, 1번물 회수량이 제1 역치보다도 작은 제3 역치보다 작아진 경우에도,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1번물 회류량과 2번물 환원량에 기초하여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를 변경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송진 밸브(53a)의 경사 자세를 변경 가능한 경우에는, 1번물 회류량과 2번물 환원량에 기초하여 당해 경사 각도를 변경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콤바인이 보통형 콤바인인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콤바인은 자탈형 콤바인이어도 된다.
4-3.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은, 작물로부터 탈곡된 탈곡 처리물이 탈곡 장치 내에서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콤바인에 대해서, 보통형 콤바인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주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4는, 1번물 센서(60)에 의한 측정 결과 및 2번물 센서(70)에 의한 측정 결과를 사용한, 선별부(42)에 있어서의 탈곡 처리물의 막힘 판정에 관한 기능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물 센서(60)에 의한 측정 결과, 및 2번물 센서(70)에 의한 측정 결과는, 판정부(80)에 전달된다. 판정부(80)는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에 따라서, 선별부(42)에 있어서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1번물 회수량이란, 1번물 센서(60)의 측정 결과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번물의 회수량이다. 2번물 환원량이란, 2번물 센서(70)의 측정 결과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2번물의 환원량이다.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란, 2번물의 환원량을 1번물의 회수량으로 나눈 값이다. 여기서, 1번물 회수량 및 2번물 환원량은, 1번물 센서(60) 및 2번물 센서(70)의 구성상, 항상 일정한 값으로 이루어지는 측정 결과가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판정부(80)는 1번물 회수량 및 2번물 환원량의 각각의 소정 시간에 있어서의 평균값을 산정하여 상기 비율을 구해도 되고, 소정의 타이밍에 얻어진 1번물 회수량 및 2번물 환원량의 순시값을 사용하여 상기 비율을 구해도 된다. 판정부(80)의 판정 결과는 제어 유닛(83)에 전달된다.
여기서, 2번물 환원량이 너무 많으면 2번물 환원 장치(32)의 처리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제어 유닛(83)은 2번물 환원량이 많아질수록, 즉,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클수록, 제1 채프 시브(38)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된다. 이에 의해, 제1 채프 시브(38)로부터 1번물 회수부(26)로 누하되는 처리물의 양이 증대되고, 2번물 환원 장치(32)에 도달하는 처리물의 양이 감소하므로, 2번물 환원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제1 채프 시브(38)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된 경우라도,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가 있다. 이 원인으로서 제1 채프 시브(38)로부터 누하된 탈곡 처리물이 그레인 시브(40)에 막혀서 1번물 회수부(26)로 누하되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러한 경우, 판정부(80)는 그레인 시브(40)에 있어서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다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콤바인에서는,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에 따라서 그레인 시브(40)에 있어서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레인 시브(40)에서의 탈곡 처리물의 막힘을 해소하기 위해, 탈곡 장치(1)에 공급되는 작물의 양을 저감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주행 속도를 저감하면, 탈곡 장치(1)에 공급되는 작물의 양이 감소하여, 그레인 시브(40)에 있어서의 탈곡 처리물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 유닛(83)은 제1 채프 시브(38)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된 경우라도,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주행 장치(3)가,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면 된다.
또한, 제1 채프 시브(38)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나,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가 저감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주행 장치(3)는 기체 프레임(2)을 정지시키면 적합하다. 이에 의해, 탈곡 장치(1)로의 작물의 공급을, 일단 중단할 수 있으므로, 탈곡 장치(1)에 있어서의 탈곡 처리 및 선별 처리에 관한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현재, 탈곡 장치(1) 내에 있어서의 작물에 대한 처리를 행하여, 그레인 시브(40)에 있어서의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 상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채프 시브(38)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된 경우라도,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통지부(91)가 통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그레인 시브(40)에 있어서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 상태인 것을 오퍼레이터나 주위에 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판정부(80)는,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클수록,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된 경우라도, 당해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그레인 시브(40)에 있어서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다고 판정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판정부(80)는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클수록,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된 경우라도, 당해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 이외에 있어서도, 그레인 시브(40)에 있어서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장치(3)는,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된 경우라도,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주행 장치(3)는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장치(3)는,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기체 프레임(2)을 정차시키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주행 장치(3)는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거리를 주행할 때까지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기체 프레임(2)을 정차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장치(3)는,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기체 프레임(2)을 정차시키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주행 장치(3)는 기체 프레임(2)을 정차시키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된 경우라도,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에 통지하는 통지부(91)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통지부(91)를 구비하지 않고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콤바인이 보통형 콤바인인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콤바인은 자탈형 콤바인이어도 된다.
4-4.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은, 탈곡된 작물로부터 적절하게 선별된 곡립을 저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콤바인에 대해서, 보통형 콤바인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콤바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주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1번물 센서(60)에 의한 측정 결과 및 2번물 센서(70)에 의한 측정 결과를 사용한 탈곡 제어에 관한 기능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물 센서(60)에 의한 측정 결과 및 2번물 센서(70)에 의한 측정 결과는, 파라미터 결정부(84)에 전달된다. 파라미터 결정부(84)는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에 따라서, 탈곡 장치(1)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1번물 회수량이란, 1번물 센서(60)의 측정 결과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번물의 회수량이다. 2번물 환원량이란, 2번물 센서(70)의 측정 결과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2번물의 환원량이다.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란, 2번물의 환원량을 1번물의 회수량으로 나눈 값이다. 여기서, 1번물 회수량 및 2번물 환원량은, 1번물 센서(60) 및 2번물 센서(70)의 구성상, 항상 일정한 값으로 이루어지는 측정 결과가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파라미터 결정부(84)는 1번물 회수량 및 2번물 환원량의 각각의 소정 시간에 있어서의 평균값을 산정하여 상기 비율을 구해도 되고, 소정의 타이밍에 얻어진 1번물 회수량 및 2번물 환원량의 순시값을 사용하여 상기 비율을 구해도 된다.
탈곡 장치(1)의 제어 파라미터란, 탈곡 장치(1)의 능력을 설정하는 기기 설정값이며, 구체적으로는 탈곡 장치(1)가 구비하는 탈곡부(41)의 탈곡 능력을 설정 가능한 탈곡 파라미터나, 선별부(42)의 선별 능력을 설정 가능한 선별 파라미터가 상당한다. 탈곡부(41)에 있어서의 탈곡 능력을 설정 가능한 탈곡 파라미터란, 급동(22)의 회전 지지축(55)의 회전 속도를 설정하는 설정값이나, 송진 밸브(53a)의 천장판(53)에 대한 설치 각도를 설정하는 설정값이 상당한다. 또한, 선별부(42)에 있어서의 선별 능력을 설정 가능한 선별 파라미터란, 풍구(19)로부터의 선별풍의 풍량을 설정하는 설정값이나,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를 설정하는 설정값이나, 요동 선별 장치(24)를 요동시키는 요동 구동 기구(43)의 요동 속도나 요동량을 설정하는 설정값이 상당한다. 나아가,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를 증감함으로써, 콤바인이 예취하는 작물의 양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도, 제어 파라미터에 포함된다.
파라미터 결정부(84)는, 상술한 제어 파라미터를 변경함으로써, 요동 선별 장치(24)의 선별 능력, 즉, 수망(23)으로부터 누하되는 처리물의 양에 대한, 1번물 회수부(26)에 의해 회수되는 1번물의 양의 비율인 선별도(혹은 선별 효율)가 적절한 것이 되도록 결정한다.
파라미터 결정부(84)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할 때,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에 대하여 제1 역치와 당해 제1 역치보다도 큰 제2 역치를 미리 설정해 두고, 이들 제1 역치와 제2 역치 사이를 설정 범위로 하여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에 의해, 제어 파라미터의 최솟값이나 최댓값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제어량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5로 돌아가, 제어 유닛(83)은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탈곡 장치(1)를 제어한다. 즉, 제어 유닛(83)은 상술한 제어 파라미터에 의해, 탈곡 장치(1)의 탈곡부(41) 및 선별부(42)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된 탈곡 장치(1)에 있어서, 1번물 센서(60) 및 2번물 센서(70)는 각각 회수량과 환원량을 측정하고, 또한 파라미터 결정부(84)가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제어 유닛(83)이 탈곡 장치(1)를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83)은 1번물 센서(60) 및 2번물 센서(70)의 각각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피드백 제어를 행하고 있는 것이 되어, 콤바인이 한창 수확 작업을 행하고 있는 중에, 작업 상황에 따른 적절한 제어 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설정하여, 적절하게 수확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프 시브는,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클수록,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풍구(19)는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클수록, 선별풍의 풍량이 증대된다. 1번물 회수량에 대하여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큰 경우는, 요동 선별 장치(24)에 있어서 1번물로서 회수되지 않으며, 또한 2번물로서 환원되지 않고, 요동 선별 장치(24)로부터의 후방으로 3번물로서 반송되는 양이 많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1번물 회수량에 대하여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큰 경우는,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를 크게 설정함으로써, 1번물 회수부(26)나 2번물 회수부(27)로 선별 처리물을 누하되기 쉽게 하고, 풍구(19)의 선별풍의 풍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선별 처리물 이외의 것을 요동 선별 장치(24)의 후방으로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3번물로서 반송되는 3번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1번물 회수량에 대하여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은 경우는, 선별 정밀도가 너무 높아, 요동 선별 장치(24)에 있어서 1번물로서 회수되지 않고, 2번물 회수부(27)로 반송되는 양이 많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1번물 회수량에 대하여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은 경우는,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를 작게 설정함으로써, 1번물 회수부(26)로 선별 처리물을 누하되기 쉽게 하고, 풍구(19)의 선별풍의 풍량을 저감함으로써, 선별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24)의 후방으로 반송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1번물로서 회수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누하 개방도와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의 관계와, 풍량과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의 관계를 동일한 특성으로 나타냈지만, 서로 다른 특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작물의 종별마다 각각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풍구(19)의 선별풍의 풍량이 증대된 경우라도,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는 것이 상정되는데, 이것은 탈곡 장치(1)에 공급되는 작물의 양이 너무 많은 것에 기인한다. 그래서,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풍구(19)의 선별풍의 풍량이 증대된 경우라도,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주행 장치(3)는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면 적합하다. 이에 의해, 탈곡 장치(1)에 공급되는 작물의 양이 적어져, 탈곡 장치(1)에 있어서의 탈곡량 및 선별량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적절하게 선별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기치 않은 이유에 의해,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풍구(19)의 선별풍의 풍량이 증대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나,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가 저감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주행 장치(3)는 기체 프레임(2)을 정지시키면 적합하다. 이에 의해, 탈곡 장치(1)로의 작물의 공급을, 일단 중단할 수 있으므로, 탈곡 장치(1)에 있어서의 탈곡 처리 및 선별 처리에 관한 부하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현재, 탈곡 장치(1) 내에 있어서의 작물에 대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풍구(19)의 선별풍의 풍량이 증대된 경우라도,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통지부(91)가 통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커지지 않는 것을 오퍼레이터나 주위에 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채프 시브는,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클수록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풍구(19)는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클수록 선별풍의 풍량이 증대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 및 선별풍의 풍량의 조정은, 적어도 어느 한쪽이어도 된다. 나아가,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 및 선별풍의 풍량의 조정을 행하지 않고, 다른 제어로 탈곡 능력 및 선별 능력을 변경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장치(3)는,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또한 풍구(19)의 선별풍의 풍량이 증대된 경우라도,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주행 장치(3)는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 기체 프레임(2)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장치(3)는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또한 풍구(19)의 선별풍의 풍량이 증대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기체 프레임(2)을 정차시키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주행 장치(3)는 기체 프레임(2)을 정차시키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채프 시브의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또한 풍구(19)의 선별풍의 풍량이 증대된 경우라도, 1번물 회수량에 대한 2번물 환원량의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에 통지하는 통지부(91)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통지부(91)를 구비하지 않고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콤바인이 보통형 콤바인인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콤바인은 자탈형 콤바인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포장의 식립 곡간을 예취하고, 탈곡 장치에 의해 예취 곡간의 탈곡 선별 처리를 행하는 콤바인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
1: 탈곡 장치
26: 1번물 회수부
27: 2번물 회수부
32: 2번물 환원 장치
41: 탈곡부
42: 선별부
60: 1번물 센서
70: 2번물 센서
82: 보정부
〔제2 실시 형태〕
1: 탈곡 장치
2: 기체 프레임(기체)
3: 주행 장치(주행 제어 유닛)
24: 요동 선별 장치
26: 1번물 회수부
27: 2번물 회수부
32: 2번물 환원 장치
38: 제1 채프 시브(채프 시브)
39: 제2 채프 시브(채프 시브)
41: 탈곡부
42: 선별부
60: 1번물 센서
70: 2번물 센서
〔제3 실시 형태〕
1: 탈곡 장치
2: 기체 프레임(기체)
3: 주행 제어 유닛(주행 장치)
24: 요동 선별 장치
26: 1번물 회수부
27: 2번물 회수부
32: 2번물 환원 장치
38: 제1 채프 시브(채프 시브)
40: 그레인 시브
41: 탈곡부
42: 선별부
60: 1번물 센서
70: 2번물 센서
80: 판정부
91: 통지부
〔제4 실시 형태〕
1: 탈곡 장치
2: 기체 프레임(기체)
3: 주행 장치(주행 제어 유닛)
19: 풍구
24: 요동 선별 장치
26: 1번물 회수부
27: 2번물 회수부
32: 2번물 환원 장치
38: 제1 채프 시브(채프 시브)
39: 제2 채프 시브(채프 시브)
41: 탈곡부
42: 선별부
60: 1번물 센서
70: 2번물 센서
84: 파라미터 결정부
90: 제어 유닛
91: 통지부

Claims (18)

  1.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부와, 상기 탈곡부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탈곡부로부터 누하되어 온 탈곡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선별 처리물 중 1번물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와, 상기 선별 처리물 중 2번물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와, 상기 2번물 회수부에 의해 회수된 상기 2번물을 상기 선별부로 환원하는 2번물 환원 장치를 갖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번물의 회수량을 1번물 회수량으로서 측정하는 1번물 센서와,
    상기 2번물의 환원량을 2번물 환원량으로서 측정하는 2번물 센서와,
    상기 1번물 센서에 의한 상기 1번물 회수량을, 상기 2번물 센서에 의한 상기 2번물 환원량으로 보정하는 보정부
    를 구비하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작업 대상 영역에 있어서 수확 작업을 개시하고 나서 상기 1번물 회수량이 소정량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기 1번물 회수량에 상기 2번물 환원량을 더하여 보정하는,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작업 대상 영역을 예취하여 빠져나간 후에는, 상기 1번물 회수량으로부터 상기 2번물 환원량을 감하여 보정하는, 콤바인.
  4.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부와, 상기 탈곡부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탈곡부로부터 누하되어 온 탈곡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선별 처리물 중 1번물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와, 상기 선별 처리물 중 2번물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와, 상기 2번물 회수부에 의해 회수된 상기 2번물을 상기 선별부로 환원하는 2번물 환원 장치를 갖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번물의 회수량을 1번물 회수량으로서 측정하는 1번물 센서와,
    상기 2번물의 환원량을 2번물 환원량으로서 측정하는 2번물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선별부는, 요동 선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 선별 장치는, 탈곡 처리물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채프 립을 가짐과 함께 상기 복수의 채프 립의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누하 개방도를 변경 가능한 채프 시브를 구비하고,
    상기 채프 시브는, 상기 1번물 회수량이 미리 설정된 제1 역치를 초과하고, 또한 상기 2번물 환원량이 미리 설정된 제2 역치 이하일 때, 상기 누하 개방도가 작게 되는, 콤바인.
  5. 제4항에 있어서,
    기체의 주행 제어를 행하는 주행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 제어 유닛은, 상기 2번물 환원량이 상기 제2 역치보다도 클 때에 상기 기체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는, 콤바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제어 유닛은, 상기 기체를 자동 주행시키는, 콤바인.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프 시브는, 상기 1번물 회수량이 상기 제1 역치보다도 작은 제3 역치보다 작아지면,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는, 콤바인.
  8.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부와, 상기 탈곡부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탈곡부로부터 누하되어 온 탈곡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선별 처리물 중 1번물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와, 상기 선별 처리물 중 2번물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와, 상기 2번물 회수부에 의해 회수된 상기 2번물을 상기 선별부로 환원하는 2번물 환원 장치를 갖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번물의 회수량을 1번물 회수량으로서 측정하는 1번물 센서와,
    상기 2번물의 환원량을 2번물 환원량으로서 측정하는 2번물 센서와,
    상기 1번물 회수량에 대한 상기 2번물 환원량의 비율에 따라서, 상기 선별부에 있어서 상기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구비하는 콤바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요동 선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 선별 장치는, 탈곡 처리물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채프 립을 가짐과 함께 상기 복수의 채프 립의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누하 개방도를 변경 가능한 채프 시브를 구비하고,
    상기 채프 시브는, 상기 비율이 클수록,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는, 콤바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선별 장치는, 상기 채프 시브의 하방에 마련된 그레인 시브를 구비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된 경우라도, 상기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상기 그레인 시브에 있어서 상기 탈곡 처리물이 막혀 있다고 판정하는, 콤바인.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기체의 주행 제어를 행하는 주행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 제어 유닛은,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된 경우라도, 상기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상기 기체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는, 콤바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제어 유닛은,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상기 기체를 정차시키는, 콤바인.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된 경우라도, 상기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는, 콤바인.
  14. 작물을 탈곡하는 탈곡부와, 상기 탈곡부의 하방에 마련되고, 상기 탈곡부로부터 누하되어 온 탈곡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선별 처리물 중 1번물을 회수하는 1번물 회수부와, 상기 선별 처리물 중 2번물을 회수하는 2번물 회수부와, 상기 2번물 회수부에 의해 회수된 상기 2번물을 상기 선별부로 환원하는 2번물 환원 장치를 갖는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번물의 회수량을 1번물 회수량으로서 측정하는 1번물 센서와,
    상기 2번물의 환원량을 2번물 환원량으로서 측정하는 2번물 센서와,
    상기 1번물 회수량에 대한 상기 2번물 환원량의 비율에 따라서, 상기 탈곡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파라미터 결정부와,
    상기 제어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탈곡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
    을 구비하는 콤바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요동 선별 장치와 풍구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 선별 장치는, 탈곡 처리물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채프 립을 가짐과 함께 상기 복수의 채프 립의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누하 개방도를 변경 가능한 채프 시브를 구비하고,
    상기 채프 시브는, 상기 비율이 클수록,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상기 풍구는, 상기 비율이 클수록, 선별풍의 풍량이 증대되는, 콤바인.
  16. 제15항에 있어서,
    기체의 주행 제어를 행하는 주행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 제어 유닛은,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또한 상기 풍량이 증대된 경우라도, 상기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상기 기체의 주행 속도를 저감시키는, 콤바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제어 유닛은,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또한 상기 풍량이 증대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는, 상기 기체를 정차시키는, 콤바인.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하 개방도가 크게 되고, 또한 상기 풍량이 증대된 경우라도, 상기 비율이 작아지지 않을 때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는, 콤바인.
KR1020227037682A 2020-06-25 2021-05-18 콤바인 KR202300282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09766A JP7399038B2 (ja) 2020-06-25 2020-06-25 コンバイン
JPJP-P-2020-109763 2020-06-25
JP2020109764A JP7399037B2 (ja) 2020-06-25 2020-06-25 コンバイン
JP2020109765 2020-06-25
JP2020109763A JP7399036B2 (ja) 2020-06-25 2020-06-25 コンバイン
JPJP-P-2020-109766 2020-06-25
JPJP-P-2020-109765 2020-06-25
JPJP-P-2020-109764 2020-06-25
PCT/JP2021/018710 WO2021261115A1 (ja) 2020-06-25 2021-05-18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220A true KR20230028220A (ko) 2023-02-28

Family

ID=7928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682A KR20230028220A (ko) 2020-06-25 2021-05-18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28220A (ko)
CN (1) CN115551343A (ko)
WO (1) WO202126111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0075A (ja) 2017-06-30 2019-01-24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2561A (ja) * 2003-09-29 2005-04-21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09219414A (ja) * 2008-03-14 2009-10-01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15050947A (ja) * 2013-09-05 2015-03-19 三菱農機株式会社 汎用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0075A (ja) 2017-06-30 2019-01-24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51343A (zh) 2022-12-30
WO2021261115A1 (ja)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8036B2 (en) Methods for controlling a side-shaking mechanism in a combine
US10779469B2 (en) Harvester grain tank having active conveying system
KR20230028220A (ko) 콤바인
US10104840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cleaning sieve in an agricultural harvester
JP2017063658A (ja) コンバイン
JP2008220326A (ja) 収穫機
JP2018029545A (ja) 汎用型コンバイン
JP7399038B2 (ja) コンバイン
JP7399037B2 (ja) コンバイン
JP7399036B2 (ja) コンバイン
JP2007061003A (ja) 脱穀装置
JP7391005B2 (ja) コンバイン
JP2022175695A (ja) 支援システム
US20240122114A1 (en) Header automation system utilizing front feeder drum position variation over time
JP2880336B2 (ja) コンバインの選別制御装置
US20220217911A1 (en) Threshing Apparatus
JPH0356186Y2 (ko)
JP2008199995A (ja) 脱穀選別装置
KR20230118072A (ko) 콤바인, 산정 시스템, 산정 방법, 산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JP2022072503A (ja) コンバイン
JP2021087417A (ja) 脱穀装置
JP6482907B2 (ja) 脱穀装置
JP2022175696A (ja) 管理システム
KR20230117558A (ko) 콤바인
JP2020162502A (ja) 脱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