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092A - 트레이 적층용 포켓 - Google Patents

트레이 적층용 포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092A
KR20230025092A KR1020210107159A KR20210107159A KR20230025092A KR 20230025092 A KR20230025092 A KR 20230025092A KR 1020210107159 A KR1020210107159 A KR 1020210107159A KR 20210107159 A KR20210107159 A KR 20210107159A KR 20230025092 A KR20230025092 A KR 20230025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tray
stacking
trays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1192B1 (ko
Inventor
변용호
최종목
김홍조
유현성
박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Priority to KR102021010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192B1/ko
Publication of KR20230025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delicate optical, measuring, calculating or control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 적층용 포켓에 관한 것으로서,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를 상하로 적층할 수 있도록,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의 테두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으로서, 입구를 가지는 공간으로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에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끼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가 사실상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를 서로 분리하기 쉽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레이 적층용 포켓 {Pocket for stacking Trays}
본 발명은 트레이 적층용 포켓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가 사실상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를 서로 분리하기 쉬운 트레이 적층용 포켓에 관한 것이다.
각종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액정 패널, 모바일 기기용 기판, 플렉서블 기판 등 다양한 형태의 기판 모듈 또는 글라스와 같이 얇고도 평평한 판형 부품을 수납하기 위해서 직사각형 용기인 트레이(Tray)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종래의 부품 수납용 트레이(T)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부품 수납용 트레이(T)는 제조 가격 및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위하여,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시트형 부재를 소위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원자재인 시트형 부재의 두께가 매우 얇을 경우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부품 수납용 트레이(T)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적층시킨 상태로 보관 및 운송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굽힘 강성 등 구조적 강도가 약할 경우,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가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상면에서 전후좌우로 미끄러지는 문제가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에 가해지는 하중(P)에 의하여 트레이의 일부가 기울어지거나 찌그러져서,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중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하면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에 수용된 판형 부품의 상면에 접촉하여 트레이에 수용된 부품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상기 구조적 강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분한 두께를 가진 시트형 부재를 사용하여 부품 수납용 트레이(T)를 제작할 수도 있겠으나, 그러한 경우에는 트레이의 제조 비용 및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수용된 판형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단 적층 시에 인접한 한 쌍의 트레이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함과 아울러, 적은 제조 비용으로 가볍고 굽힘 강성 등 구조적 특성이 우수한 판형 부품용 트레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종래의 판형 부품용 트레이(T)는, 도 2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1)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T)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적층용 포켓(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T)의 구조 강도를 높히기 위하여 "ㄷ"자 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구비하며, 바닥부(2)와, 상기 바닥부(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측벽부(3)와, 상기 바닥부(2)의 입구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바닥부(2)로부터의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로 경사진 역구배부(4)와, 각종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액정 패널과 같은 판형 부품이 수용될 수 있는 부품 수용부(5)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 적층시킨 상태에서는, 위쪽에 있는 트레이(T)의 바닥부(2)가 아래쪽에 있는 트레이(T)의 상면(6) 위에 올려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적층용 포켓(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쪽의 폭(Wa)이 뒷쪽의 폭(Wb)와 거의 비슷한 값을 가지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트레이(T)에 하방으로 하중(P)이 가해지면, 상측의 적층용 포켓(1)이 하측의 적층용 포켓(1)의 내부로 삽입되어 거의 포개진 상태로 끼임으로써, 상측 트레이(T)와 하측 트레이(T)가 사실상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어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렇게 상측 트레이(T)와 하측 트레이(T)가 서로 밀착되면, 부품 수용부(5)에 수용된 부품이 손상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상적인 적층 상태와는 달리, 상측 트레이(T)와 하측 트레이(T)를 서로 분리시키기도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가 사실상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를 서로 분리하기 쉽도록 구조가 개선된 트레이 적층용 포켓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적층용 포켓은,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를 상하로 적층할 수 있도록,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의 테두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으로서, 입구를 가지는 공간으로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에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끼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 공간의 입구측 폭이 상기 내부 공간의 입구 반대측 폭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부의 입구측 폭이 상기 바닥부의 입구 반대측 폭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 상기 내부 공간의 천장을 이루는 천장부;을 구비하며, 상기 천장부의 입구측 폭이 상기 바닥부의 입구 반대측 폭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은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입구의 중심부를 향하여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에 배치되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 및 상기 적층용 포켓은 얇은 시트형 부재를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를 상하로 적층할 수 있도록,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의 테두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으로서, 입구를 가지는 공간으로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에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끼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가 사실상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상측 트레이와 하측 트레이를 서로 분리하기 쉽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품 수납용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도 2의 적층용 포켓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트레이가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의 트레이에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상측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의 적층용 포켓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적층용 포켓을 포함하는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IX-IX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이 상하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트레이가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의 트레이에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적층용 포켓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XIV-XIV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트레이가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의 트레이에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적층용 포켓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XVIII-XVIII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트레이가 서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의 트레이에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적층용 포켓을 포함하는 트레이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적층용 포켓의 저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T)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진 용기로서, 트레이 본체(10)와 상기 적층용 포켓(100)을 포함하며,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시트형 부재를 소위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상기 트레이 본체(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와, 테두리부(12)와, 부품 수용부(13)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부(11)는, 위에서 내려다보았을 때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진 부분으로서, 상기 테두리부(12)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테두리부(12)는, 상기 본체부(11)의 외곽을 둘러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ㄴ"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부품 수용부(13)는, 판형 부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에 형성된 직사각형 공간부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부품 수용부(13)는,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으며, 판형 부품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적층용 포켓(1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T)를 상하로 적층할 수 있도록,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T)의 테두리부(12)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는 적층용 포켓(pocket)이다.
본 실시예에서에 따른 상기 적층용 포켓(10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01)와 바닥부(102)와 측벽부(103)와 천장부(104)와 후벽부(105)와 내부 공간(106)을 구비한다.
상기 입구(101)는, 상기 내부 공간(106)과 연통되어 있는 개구부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12)에 직사각형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102)는, 상기 내부 공간(106)의 바닥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상기 입구(101)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부(102)는 평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구(101)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부(102)의 입구측 폭(W1)은, 상기 바닥부(102)의 입구 반대측 폭(W2)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T)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에 하방으로 하중(P)이 가해짐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적층용 포켓(100)의 후단부가 상기 입구(101)에 간섭되어 걸리므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의 상기 내부 공간(106)으로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끼이지 않는다.
상기 측벽부(103)는, 상기 바닥부(102)의 좌우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벽부로서, 상기 바닥부(10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측벽부(103)는, 상기 입구(101)로부터 상기 후벽부(105)로 갈수록 서로의 간격이 점점 더 커지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천장부(104)는, 상기 내부 공간(106)의 천장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다.
상기 천장부(104)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구(101)로부터 상기 후벽부(105)를 향하여 내측으로 갈수록 점점 상기 바닥부(102)로부터의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의 역구배 경사를 구비한다.
상기 후벽부(105)는, 상기 바닥부(102)의 뒤쪽에 배치되는 벽부로서, 상기 바닥부(10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내부 공간(106)은, 상기 입구(101)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는 공간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을 가진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인 적층용 포켓(2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적층용 포켓(200)은 입구(201)와 바닥부(202)와 측벽부(203)와 천장부(204)와 후벽부(205)와 내부 공간(206)과 돌출부(210)와 홈부(211)를 구비한다.
상기 적층용 포켓(200)은 상술한 적층용 포켓(100)과 대부분의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거나 대응하므로, 이하에서는 양자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부(202)의 입구측 폭은, 상기 바닥부(202)의 입구 반대측 폭과 동일한 값을 가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구(201)에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202)로부터 상기 입구(201)의 중심부를 향하여 상방으로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2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200)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돌출부(210)의 간섭에 의하여,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2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200)의 상기 내부 공간(206)으로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끼이지 않는다.
상기 홈부(21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10)를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하는 과정에서 생긴 홈부이다.
그리고 도 1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인 적층용 포켓(30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적층용 포켓(300)은 입구(301)와 바닥부(302)와 측벽부(303)와 천장부(304)와 후벽부(305)와 내부 공간(306)을 구비한다.
상기 적층용 포켓(300)은 상술한 적층용 포켓(100)과 대부분의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거나 대응하므로, 이하에서는 양자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적층용 포켓(300)의 입구(301)는, 하단의 폭(W3)이 상단의 폭(W4)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부(304)의 입구측 폭(W4)이 상기 바닥부(302)의 입구 반대측 폭(W3)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3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300)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적층용 포켓(300)의 후단부 하단이 상기 적층용 포켓(300)의 입구(301) 상단에 간섭되어 걸림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3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300)의 상기 내부 공간(306)으로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끼이지 않는다.
상기 적층용 포켓(300)의 경우에는,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T)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에 하방으로 하중(P)이 가해짐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3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300)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더라도, 보통 상측의 적층용 포켓(300)의 하단부가 하측의 적층용 포켓(300)의 상단부와 거의 비슷한 높이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끼임 방지" 내지 "삽입 방지"의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상술한 구성이 적층용 포켓(100)은,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T)를 상하로 적층할 수 있도록,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T)의 테두리부(12)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으로서, 입구(101)를 가지는 공간으로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는 내부 공간(106)을 포함하며,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T)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에 하방으로 하중(P)이 가해짐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의 상기 내부 공간(106)으로 삽입되어 끼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측 트레이(T)와 하측 트레이(T)가 사실상 서로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상측 트레이(T)와 하측 트레이(T)를 서로 분리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적층용 포켓(100)은, 상기 내부 공간(106)의 입구측 폭(W1)이 상기 내부 공간(106)의 입구 반대측 폭(W2)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으므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100)의 상기 내부 공간(106)으로 삽입되어 끼이지 않는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적층용 포켓(100)은, 상기 내부 공간(106)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102)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부(102)의 입구측 폭(W1)이 상기 바닥부(102)의 입구 반대측 폭(W2)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으므로, 상기 바닥부(102)의 형상만으로도, 상측에 위치한 적층용 포켓(100)이 하측에 위치한 적층용 포켓(100)의 상기 내부 공간(106)으로 삽입되어 끼이지 않는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적층용 포켓(300)은, 상기 내부 공간(306)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302); 상기 내부 공간(306)의 천장을 이루는 천장부(304);을 구비하며, 상기 천장부(304)의 입구측 폭(W4)이 상기 바닥부(302)의 입구 반대측 폭(W3)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으므로, 상기 적층용 포켓(300)의 후단부 하단이 상기 적층용 포켓(300)의 입구(301) 상단에 간섭되어 걸림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3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300)의 상기 내부 공간(306)으로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끼이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적층용 포켓(200)은, 상기 입구(201)의 중심부를 향하여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201)에 배치되어 있는 돌출부(210)를 구비하므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2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200)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돌출부(210)의 간섭에 의하여,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200)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T)의 적층용 포켓(200)의 상기 내부 공간(206)으로 삽입되어 포개진 상태로 끼이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적층용 포켓(200)은, 상기 내부 공간(206)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202)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210)는 상기 바닥부(20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진공성형에서 역구배부(4)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소위 슬라이드 유닛(Slide unit)이라는 장치를 장착한 금형을 통하여 상기 돌출부(21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T)가,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시트형 부재를 소위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제조되고 있으나, 사출성형법 등에 의하여 가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트레이 본체
11: 본체부
12: 테두리부
13: 부품 수용부
100: 적층용 포켓
101: 입구
102: 바닥부
103: 측벽부
104: 천장부
105: 후벽부
106: 내부 공간
200: 적층용 포켓
201: 입구
202: 바닥부
203: 측벽부
204: 천장부
205: 후벽부
206: 내부 공간
210: 돌출부
211: 홈부
300: 적층용 포켓
301: 입구
302: 바닥부
303: 측벽부
304: 천장부
305: 후벽부
306: 내부 공간
1: 종래의 적층용 포켓
2: 바닥부
3: 측벽부
4: 역구배부
5: 부품 수용부
6: 상면

Claims (7)

  1. 부품을 수납할 수 있는 부품 수납용 트레이를 상하로 적층할 수 있도록,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의 테두리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으로서,
    입구를 가지는 공간으로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가 상하로 적층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에 하방으로 하중이 가해짐으로써,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이 하측에 위치한 트레이의 적층용 포켓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어 끼이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의 입구측 폭이 상기 내부 공간의 입구 반대측 폭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부의 입구측 폭이 상기 바닥부의 입구 반대측 폭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 상기 내부 공간의 천장을 이루는 천장부;을 구비하며,
    상기 천장부의 입구측 폭이 상기 바닥부의 입구 반대측 폭보다 미리 정한 값 이상의 차이로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의 중심부를 향하여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입구에 배치되어 있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
  7. 제 1항에서 있어서,
    상기 부품 수납용 트레이 및 상기 적층용 포켓은 얇은 시트형 부재를 진공성형법에 의하여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적층용 포켓
KR1020210107159A 2021-08-13 2021-08-13 트레이 적층용 포켓을 구비한 부품 수납용 트레이 KR102611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59A KR102611192B1 (ko) 2021-08-13 2021-08-13 트레이 적층용 포켓을 구비한 부품 수납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59A KR102611192B1 (ko) 2021-08-13 2021-08-13 트레이 적층용 포켓을 구비한 부품 수납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092A true KR20230025092A (ko) 2023-02-21
KR102611192B1 KR102611192B1 (ko) 2023-12-07

Family

ID=85328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159A KR102611192B1 (ko) 2021-08-13 2021-08-13 트레이 적층용 포켓을 구비한 부품 수납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1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735U (ja) * 1995-02-09 1995-11-07 李 炳武 鶏卵トレー
KR20070051414A (ko) * 2005-11-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패널용 트레이
JP2013049466A (ja) * 2011-08-31 2013-03-14 Sanyu Kikaku:Kk 収納用トレー
JP2013052907A (ja) * 2011-09-05 2013-03-21 Seiko Epson Corp ソフトトレ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735U (ja) * 1995-02-09 1995-11-07 李 炳武 鶏卵トレー
KR20070051414A (ko) * 2005-11-15 2007-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패널용 트레이
JP2013049466A (ja) * 2011-08-31 2013-03-14 Sanyu Kikaku:Kk 収納用トレー
JP2013052907A (ja) * 2011-09-05 2013-03-21 Seiko Epson Corp ソフトト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192B1 (ko)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766B1 (ko) 유리기판 보관용 박스
US9376251B2 (en) Substrate storage container
KR100776337B1 (ko) 기판 반송용 트레이
US20110132789A1 (en) Tray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workpieces
KR20040019065A (ko) 300mm 단일 적층 가능한 필름 프레임 캐리어
KR20110017735A (ko) 반도체칩 트레이
JP5470060B2 (ja) 収納トレイ
KR200464274Y1 (ko) 기판 적재용 트레이
KR102356344B1 (ko) 판형 부품용 트레이
KR101934963B1 (ko) 판형 부품용 트레이
KR20230025092A (ko) 트레이 적층용 포켓
KR101127275B1 (ko) 배터리용 트레이
JP6182513B2 (ja) 半導体装置の搬送用トレイ
JP5406120B2 (ja) 板状体の搬送用容器
CN106169438B (zh) 半导体芯片托盘
JP5678494B2 (ja) 電子デバイス用収納容器
KR101408669B1 (ko) 박판 수납용기
US10004153B2 (en) Cassette for curved substrates
KR102643165B1 (ko) 다단 적층이 용이한 판형 부품용 트레이
KR102551878B1 (ko) 트레이용 진공성형금형의 적층 스토퍼 성형유닛
KR102614983B1 (ko) 수납용 트레이
CN215156732U (zh) 一种镜头包装盒
CN218807786U (zh) 用于光伏组件边框的防护件
KR101469347B1 (ko) 리드프레임용 케이스
CN210311274U (zh) 一种预防擦花板损的线路板转运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